KR20140003102A -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102A
KR20140003102A KR1020120070737A KR20120070737A KR20140003102A KR 20140003102 A KR20140003102 A KR 20140003102A KR 1020120070737 A KR1020120070737 A KR 1020120070737A KR 20120070737 A KR20120070737 A KR 20120070737A KR 20140003102 A KR20140003102 A KR 20140003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ata
image data
display pane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7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3564B1 (en
Inventor
기현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0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564B1/en
Publication of KR20140003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1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5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lighting or sustain dischar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display panel including an electrode and displaying an image, and a driving part supplying a driving signal for displaying the image to the electrode of the display panel. The driving part reduces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panel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in a harsh condition mode. [Reference numerals] (AA) Number of sustain signals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Display Apparatus [0001]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PDP), Electro Luminescent Display (ELD), 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and the like have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display devices. Display) have been studied and used. Among them, a liquid crystal panel of an LCD includes a TFT substrate and a color filter substrate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a liquid crystal layer and a liquid crystal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n image can be displayed using light provided from the backlight unit.

한편,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력 소모가 크고, 이에 따라 고전력을 제공하는 전력공급장치(Power Supply Unit, PSU)가 필요하고, 이에 따라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consumes a lot of power, and accordingly, a power supply unit (PSU) for providing high power is required, and thus, a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본 발명은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히스토그램(Histogram) 및 전류 특성을 이용하여 휘도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apparatus for adjusting luminance by using a histogram and current characteristics of input image data.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며 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전극에 영상 표시를 위한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가혹 조건 모드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nd including an electrode and a driver for supplying a driving signal for displaying an image to the electrode of the display panel, wherein the driver is adapted to the image data in a harsh condition mode. The luminance of the corresponding display panel may be reduced.

또한, 상기 가혹 조건 모드는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상기 영상 데이터의 히스토그램(Histogram)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이고, 상기 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설정된 임계 전류 이상인 경우에 설정될 수 있다.In the harsh condition mode,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histogram of the image data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time or more, an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witching element for su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electrod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current. Can be set.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이 배치되는 전면기판, 상기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에 교차하는 어드레스 전극이 배치되는 후면기판 및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후면기판의 사이에서 방전셀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서브필드(Subfield)의 어드레스 기간에서 상기 어드레스 전극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IC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혹 조건 모드에서 상기 서브필드의 상기 어드레스 기간 이후의 서스테인 기간에서 상기 스캔 전극 및 상기 서스테인 전극으로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front substrate on which scan electrodes and sustain electrodes are disposed, a rear substrate on which address electrodes intersecting the scan electrodes and sustain electrodes are disposed, and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a discharge cell between the front substrate and the rear substrate. Wherein the driver includes a data IC for supplying a data signal to the address electrode in an address period of a subfield, and the driver includes a sustain period after the address period of the subfield in the harsh condition mode.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데이터 IC는 상기 스위칭 소자에 대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IC may correspond to the switching device.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 중 제 1 프레임(Frame 1)과 제 2 프레임(Frame 2)의 평균 화소 레벨(Average Picture Level, APL)이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 1 프레임에서 수직방향으로 인접하는 방전셀 간에 상기 데이터의 변화 횟수는 상기 제 2 프레임에서 수직방향으로 인접하는 방전셀 간에 상기 데이터의 변화 횟수보다 더 많은 경우, 상기 제 1 프레임에 할당되는 상기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는 상기 제 2 프레임에 할당되는 상기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보다 더 적을 수 있다.The average picture level (APL) of the first frame (Frame 1) and the second frame (Frame 2) of the image data is the same, and between the discharge cells adjac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irst frame When the number of changes of the data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changes of the data between discharge cells adjac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econd frame, the total number of the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first frame is allocated to the second frame. It may be less than the total number of the sustain signals.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에 따른 영상 데이터는 상기 가혹 조건 모드에서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이고, 상기 제 2 프레임에 따른 영상 데이터는 일반 모드(Normal)에서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first frame may be image data supplied in the harsh condition mode, and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frame may be image data supplied in a normal mode.

또한, 광을 발산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대항되게 배치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 및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후면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Data Line)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IC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혹 조건 모드에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 공급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display panel may further include a backlight unit that emits light, and 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a front substrate and a rear substrat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a liquid crystal layer disposed between the front substrate and the rear substrate. The driver may include a data IC supplying a data signal to a data line formed in the display panel, and the driver may reduce power supplied to the backlight unit in the harsh condition mode.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 중 제 1 프레임(Frame 1)과 제 2 프레임(Frame 2)의 평균 화소 레벨(Average Picture Level, APL)이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 1 프레임에서 수직방향으로 인접하는 셀 간에 상기 데이터의 변화 횟수는 상기 제 2 프레임에서 수직방향으로 인접하는 셀 간에 상기 데이터의 변화 횟수보다 더 많은 경우, 상기 제 1 프레임에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발산하는 광의 휘도는 상기 제 2 프레임에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발산하는 광이 휘도보다 더 작을 수 있다.The average picture level (APL) of the first frame (Frame 1) and the second frame (Frame 2) of the image data is the same, and between the adjacent cell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irst frame When the number of changes of data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changes of the data between cells adjac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econd frame, the luminance of light emitted by the backlight unit in the first frame is determined by the backlight unit in the second frame. The light emitted may be smaller than the luminance.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에 따른 영상 데이터는 상기 가혹 조건 모드에서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이고, 상기 제 2 프레임에 따른 영상 데이터는 일반 모드(Normal)에서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first frame may be image data supplied in the harsh condition mode, and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frame may be image data supplied in a normal mode.

또한, 상기 가혹 조건 모드에서 상기 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클수록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의 감소폭이 증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eater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witching element for supplying the driving signal to the electrode in the harsh condition mode, the greater the decrease in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데이터의 히스토그램(Histogram) 및 전류 특성을 이용하여 영상의 휘도를 조절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이고 제조단가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manufacturing cost by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image using histogram and current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data.

도 1 내지 도 4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영상 표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28은 가혹조건모드에서 구동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9 내지 도 39는 본 발명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되는 방송신호 수신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to 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lasma display device and the image display method;
5 to 2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driving method in the harsh condition mode;
29 to 3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4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broadcast signal receiver to which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change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onl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 " and / or " may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Can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can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interchangeably to designate one or more of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more fully to the average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anel)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인 것도 가능하다.Hereinafter, a plasma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Panel, Panel) is described as an example for the display panel, but the display panel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liquid crystal panel, liquid crystal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field emission display panel (FE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LED).

도 1 내지 도 4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영상 표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to 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lasma display device and the image display method.

도 1을 살펴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구동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lasma display apparatus may include a plasma display panel 100 and a driver 11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 1 전극, 제 1 전극과 교차하는 제 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복수의 서브필드(Subfield)를 포함하는 프레임(Frame)으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전극은 스캔 전극(Y)과 서스테인 전극(Z)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전극은 어드레스 전극(X)일 수 있다.The plasma display panel 10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crossing the first electrode. In addition, the plasma display panel 100 may implement an image in a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subfields. Here, the first electrode may include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the address electrode X.

구동부(11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스캔 전극(Y), 서스테인 전극(Z) 또는 어드레스 전극(X) 중 적어도 하나로 구동신호를 공급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에 영상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110)는 가혹 조건 모드에서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driver 110 supplies a driving signal to at least one of the scan electrode (Y), the sustain electrode (Z), or the address electrode (X) of the plasma display panel 100, thereby realizing an image on the screen of the plasma display panel 100. You can do that. Preferably, the driving unit 110 may reduce the luminanc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100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in the harsh condition mode.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여기, 도 1에서는 구동부(110)가 하나의 보드(Board)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만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 구동부(11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형성된 전극에 따라 복수개의 보드 형태로 나누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구동부(11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스캔 전극을 구동시키는 제 1 구동부(미도시)와, 서스테인 전극을 구동시키는 제 2 구동부와, 어드레스 전극을 구동시키는 제 3 구동부(미도시)로 나누어질 수 있는 것이다.Here, in FIG. 1, only the case in which the driving unit 110 is formed in one board form is illustrate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11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oard forms according to electrodes formed on the plasma display panel 100. It is also possible to lose. For example, the driver 110 may include a first driver (not shown) for driving the scan electrod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100, a second driver for driving the sustain electrode, and a third driver (not shown) for driving the address electrode. Can be divided int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도 2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제 1 전극(202(Y), 203(Z))과 교차하는 복수의 제 2 전극(213, X)이 형성되는 후면 기판(211)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plasma display panel 100 includes a rear substrate o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213 and X intersect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202 (Y) and 203 (Z). 211).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이 형성된 전면 기판(201)에는 스캔 전극(202, Y) 및 서스테인 전극(203, Z)의 방전 전류를 제한하며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 간을 절연시키는 상부 유전체 층(204)이 배치될 수 있다.The discharge currents of the scan electrodes 202 and the sustain electrodes 203 and the sustain electrodes 203 are applied to the front substrate 201 on which the scan electrodes 202 and the sustain electrodes 203 and the sustain electrodes Z are formed. ) And the sustain electrodes 203, Z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dielectric layer 204. In this case,

상부 유전체 층(204)이 형성된 전면 기판(201)에는 방전 조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호 층(20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층(205)은 2차 전자 방출 계수가 높은 재질, 예컨대 산화마그네슘(MgO)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 substrate 201 on which the upper dielectric layer 204 is formed may be provided with a protective layer 205 for facilitating discharge conditions. The protective layer 205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a high secondary electron emission coefficient, for example, a magnesium oxide (MgO) material.

후면 기판(211) 상에는 어드레스 전극(213, X)이 형성되고, 이러한 어드레스 전극(213, X)이 형성된 후면 기판(211)의 상부에는 어드레스 전극(213, X)을 덮으며 어드레스 전극(213, X)을 절연시키는 하부 유전체 층(215)이 형성될 수 있다.Address electrodes 213 and X are formed on the rear substrate 211 and address electrodes 213 and X are formed on the rear substrate 211 on which the address electrodes 213 and X are formed. The lower dielectric layer 215 may be formed.

하부 유전체 층(215)의 상부에는 방전 공간 즉, 방전 셀을 구획하기 위한 스트라이프 타입(Stripe Type), 웰 타입(Well Type), 델타 타입(Delta Type), 벌집 타입 등의 격벽(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 기판(201)과 후면 기판(211)의 사이에서 적색(Red : R)광을 방출하는 제 1 방전 셀, 청색(Blue : B)광을 방출하는 제 2 방전 셀 및 녹색(Green : G)광을 방출하는 제 3 방전 셀 등이 형성될 수 있다.Barrier ribs 212 such as a stripe type, a well type, a delta type, and a honeycomb type for partitioning a discharge space, that is, a discharge cell, ar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dielectric layer 215 . Accordingly, a first discharge cell that emits red (R) light, a second discharge cell that emits blue (B) light, and a second discharge cell that emits green (Green) light are provided between the front substrate 201 and the rear substrate 211, : G) a third discharge cell that emits light, or the like.

격벽(212)은 제 1 격벽(212b)과 제 2 격벽(212a)을 포함하고, 제 1 격벽(212b)의 높이와 제 2 격벽(212a)의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The barrier rib 212 includes a first barrier rib 212b and a second barrier rib 212a. The height of the first barrier rib 212b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barrier rib 212a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한편, 방전셀에서는 어드레스 전극(213)이 스캔 전극(202) 및 서스테인 전극(203)과 교차할 수 있다. 즉, 방전셀은 어드레스 전극(213)이 스캔 전극(202) 및 서스테인 전극(203)과 교차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discharge cell, the address electrode 213 may cross the scan electrode 202 and the sustain electrode 203. That is, the discharge cells are formed at the intersections of the address electrodes 213 with the scan electrodes 202 and the sustain electrodes 203.

격벽(2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는 소정의 방전 가스가 채워질 수 있다.A predetermined discharge gas may be filled in the discharge cells partitioned by the barrier ribs 212.

아울러, 격벽(2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 시 화상표시를 위한 가시 광을 방출하는 형광체 층(21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색 광을 발생시키는 제 1 형광체 층, 청색 광을 발생시키는 제 2 형광체 층 및 녹색 광을 발생시키는 제 3 형광체 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ischarge cells partitioned by the barrier ribs 212, a phosphor layer 214 that emits visible light for image display upon address discharge may be formed. For example, a first phosphor layer for generating red light, a second phosphor layer for generating blue light, and a third phosphor layer for generating green light may be formed.

스캔 전극(202), 서스테인 전극(203) 및 어드레스 전극(213) 중 적어도 하나로 소정의 신호가 공급되면 방전셀 내에서는 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전셀 내에서 방전이 발생하게 되면, 방전셀 내에 채워진 방전 가스에 의해 자외선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자외선이 형광체층(214)의 형광체 입자에 조사될 수 있다. 그러면, 자외선이 조사된 형광체 입자가 가시광선을 발산함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에는 소정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When a predetermined signal is su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scan electrode 202, the sustain electrode 203, and the address electrode 213, a discharge may occur in the discharge cell. When a discharge is generated in the discharge cell, ultraviolet rays can be generated by the discharge gas filled in the discharge cell, and such ultraviolet rays can be irradiated to the phosphor particles of the phosphor layer 214. Then, the phosphor particles irradiated with the ultraviolet rays emit visible light, so that a predetermined image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plasma display panel 100.

도 3에는 영상의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영상 프레임(Frame)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3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mage frame for implementing gradation of an image.

도 3을 살펴보면 영상의 계조(Gray Level)를 구현하기 위한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필드(Subfield, SF1~SF8)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frame for implementing gray levels of an imag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fields SF1 to SF8.

아울러, 복수의 서브필드는 방전셀을 방전이 발생하지 않을 방전셀을 선택하거나 혹은 방전이 발생하는 방전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간(Address Period) 및 방전횟수에 따라 계조를 구현하는 서스테인 기간(Sustain Period)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ubfields may include a sustain period for implementing gradation according to an address period and a number of discharges for selecting discharge cells in which discharge cells will not occur or discharge cells in which discharge occurs. Period) may be included.

예를 들어, 256 계조로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예컨대 하나의 프레임은 도 3과 같이 8개의 서브필드들(SF1 내지 SF8)로 나누어지고, 8개의 서브 필드들(SF1 내지 SF8) 각각은 어드레스 기간과 서스테인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in case of displaying an image with 256 gray levels, for example, one frame is divided into eight subfields SF1 to SF8 as shown in FIG. 3, and each of the eight subfields SF1 to SF8 is an address. It can include a period and a sustain period.

또는,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는 초기화를 위한 리셋 기간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at least one subfield of the plurality of subfields of the frame may further include a reset period for initialization.

아울러,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는 서스테인 기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subfield of the plurality of subfields of the frame may not include a sustain period.

한편, 서스테인 기간에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조절하여 해당 서브필드의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서스테인 기간을 이용하여 각각의 서브필드에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서브필드의 가중치를 20으로 설정하고, 제 2 서브필드의 가중치를 21로 설정하는 방법으로 각 서브필드의 가중치가 2n(단, n = 0, 1, 2, 3, 4, 5, 6, 7)의 비율로 증가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서브필드에서 가중치에 따라 각 서브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에서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영상의 계조를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the sustain signals supplied in the sustain period may be adjusted to set the weight of the corresponding subfield. That is, a predetermined weight can be given to each subfield using the sustain period. For example, the weight of each subfield is 2 n by setting the weight of the first subfield to 2 0 and the weight of the second subfield to 2 1 (where n = 0, 1, 2, 3, 4, 5, 6, 7) can be set to increase the ratio. By adjusting the number of the sustain signals supplied in the sustain period of each sub-field in accordance with the weight value in each sub-fiel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image gradations.

여기, 도 3에서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이 8개의 서브필드로 이루어진 경우만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다르게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이루는 서브필드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서브필드부터 제 12 서브필드까지의 12개의 서브필드로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고, 10개의 서브필드로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FIG. 3, only one image frame is composed of eight subfields. However, the number of subfields constituting one image frame may be variously changed. For example, one video frame may be configured with 12 subfields from the first subfield to the twelfth subfield, or one video frame may be configured with 10 subfields.

또한, 여기 도 3에서는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서 가중치의 크기가 증가하는 순서에 따라 서브필드들이 배열되었지만, 이와는 다르게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서 서브필드들이 가중치가 감소하는 순서에 따라 배열될 수도 있고, 또는 가중치에 관계없이 서브필드들이 배열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FIG. 3, subfields are arranged in an order of increasing weight in one image frame. Alternatively, subfields may be arranged in an order of decreasing weight in one image frame. Subfields may be arranged regardless.

한편, 프레임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 소거 서브필드(Selective Erase Subfield, SE)이고, 아울러 복수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 쓰기 서브필드(Selective Write Subfield, SW)인 것도 가능하다.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bfields included in the frame may be a selective erase subfield (SE),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bfields may be a selective write subfield (SW). Do.

하나의 프레임이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 소거 서브필드와 선택적 쓰기 서브필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필드 중 첫 번째 서브필드 또는 첫 번째 서브필드와 두 번째 서브필드가 선택적 쓰기 서브필드이고, 나머지는 선택적 소거 서브필드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f one frame includes at least one selective erase subfield and an optional write subfield, the first subfield or the first and second subfields of the plurality of subfields of the frame are the selective write subfields, It may be desirable for the remainder to be selective erasure subfields.

도 4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파형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설명될 구동 파형은 앞선 도 1의 구동부(110)가 공급하는 것이다.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riving waveform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device. The driving waveform to be described below is supplied by the driving unit 110 of FIG. 1.

도 4를 살펴보면, 프레임(Frame)의 복수의 서브필드(Sub-Field)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의 초기화를 위한 리셋 기간(Reset Period : RP)에서는 스캔 전극(Y)으로 리셋 신호(RS)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리셋 신호(RS)는 전압이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상승 램프 신호(Ramp-Up : RU) 및 전압이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하강 램프 신호(Ramp-Down : RD)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 the reset period RP for initializing at least one subfield among a plurality of subfields of a frame, the reset signal RS is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 Y. Can supply Here, the reset signal RS may include a rising ramp signal Ramp-Up RU whose voltage gradually increases and a falling ramp signal Ramp-Down RD whose voltage gradually falls.

예를 들면, 리셋 기간의 셋업 기간(SU)에서는 스캔 전극에 상승 램프 신호(RU)가 공급되고, 셋업 기간 이후의 셋다운 기간(SD)에서는 스캔 전극에 하강 램프 신호(RD)가 공급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ising ramp signal RU may be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in the set-up period SU of the reset period, and the falling ramp signal RD may be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during the set-down period SD after the set- .

스캔 전극에 상승 램프 신호가 공급되면, 상승 램프 신호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약한 암방전(Dark Discharge), 즉 셋업 방전이 일어난다. 이 셋업 방전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벽 전하(Wall Charge)의 분포가 균일해질 수 있다.When a rising ramp signal is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 weak dark discharge (i.e., setup discharge) occurs in the discharge cell due to the rising ramp signal. By this set-up discharge, the distribution of wall charges (Wall Charge) in the discharge cells can be made uniform.

상승 램프 신호가 공급된 이후, 스캔 전극에 하강 램프 신호가 공급되면, 방전 셀 내에서 미약한 소거 방전(Erase Discharge), 즉 셋다운 방전이 발생한다. 이 셋다운 방전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이 안정되게 일어날 수 있을 정도의 벽전하가 균일하게 잔류될 수 있다.When a falling ramp signal is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fter the rising ramp signal is supplied, a weak erase discharge (setdown discharge) occurs in the discharge cell. Due to the set-down discharge, wall charges can be uniformly left in the discharge cells to such an extent that address discharge can occur stably.

리셋 기간 이후의 어드레스 기간(AP)에서는 하강 램프 신호의 최저 전압보다는 높은 전압을 갖는 스캔 기준 신호(Ybias)가 스캔 전극에 공급될 수 있다.In the address period AP after the reset period, a scan reference signal Ybias having a voltage higher than the lowest voltage of the falling ramp signal may be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또한, 어드레스 기간에서는 스캔 기준 신호(Ybias)의 전압으로부터 하강하는 스캔 신호(Sc)가 스캔 전극에 공급될 수 있다.In the address period, the scan signal Sc falling from the voltage of the scan reference signal Ybias may be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이와 같이, 스캔 신호가 스캔 전극으로 공급될 때, 스캔 신호에 대응되게 어드레스 전극(X)에 데이터 신호(Dt)가 공급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can signal is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the data signal Dt may be supplied to the address electrode X corresponding to the scan signal.

이러한 스캔 신호와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면, 스캔 신호와 데이터 신호 간의 전압 차와 리셋 기간에 생성된 벽 전하들에 의한 벽 전압이 더해지면서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는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될 수 있다.When such a scan signal and a data signal are supplied, a wall voltage due to wall charges generated in the reset period and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scan signal and the data signal are added, and an address discharge may be generated in the discharge cell to which the data signal is supplied .

아울러,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하는 어드레스 기간에서 서스테인 전극에는 스캔 전극과 어드레스 전극 사이에서 어드레스 방전이 효과적으로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 서스테인 기준 신호(Zbias)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ddress period in which the address discharge occurs, the sustain reference signal Zbias may be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in order to effectively generate the address discharge between the scan electrode and the address electrode.

어드레스 기간 이후의 서스테인 기간(SP)에서는 스캔 전극 또는 서스테인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서스테인 신호(SUS)가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에 교번적으로 서스테인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In the sustain period SP after the address period, the sustain signal SUS may be su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For example, the sustain signal may be alternately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이러한 서스테인 신호가 공급되면, 어드레스 방전에 의해 선택된 방전 셀은 방전 셀 내의 벽 전압과 서스테인 신호의 서스테인 전압(Vs)이 더해지면서 서스테인 신호가 공급될 때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사이에 서스테인 방전 즉, 표시방전이 발생될 수 있다.When the sustain signal is supplied, the wall voltage in the discharge cell and the sustain voltage (Vs) of the sustain signal are added to the discharge cells selected by the address discharge. When the sustain signal is supplied, a sustain discharge is generated between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Discharge may occur.

도 5 내지 도 28은 가혹조건모드에서 구동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5 to 28 are views for explaining a driving method in the harsh condition mode.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도 5를 살펴보면, 영상 데이터가 입력(S500)되면,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모드를 판단(S510)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image data is input (S500), a mod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input image data (S510).

여기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가혹조건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S520)하여, 가혹조건모드인 경우에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를 감소(S530)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혹조건모드를 가혹모드라고 칭하는 것도 가능하다.In operation S520,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input image data is in the severe condition mode, and in the case of the severe condition mode,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may be reduced in response to the image data (S530). In the following, the harsh condition mode may be referred to as a harsh mode.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가혹조건모드에 대응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도 6에 개시된 바와 같다.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image data corresponds to the harsh condition mode is as described in FIG. 6.

도 6을 살펴보면, 영상 데이터가 입력(S500)되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히스토그램(Histogram)을 연산(S600)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when image data is input (S500), a histogram of the input image data may be calculated (S600).

이후, 히스토그램의 연상 결과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히스토그램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지를 판단(S610)할 수 있다.Subsequently,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amount of change in the histogram of the image data input as a result of association of the histogram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reference value during the preset reference time (S610).

판단결과,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히스토그램의 변화량이 기준시간 동안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구동전류(Ia)를 연산(S620)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histogram of the input image data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during the reference time, the driving current Ia corresponding to the input image data may be calculated (S620).

이후,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구동전류(Ia)가 미리 설정된 임계전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S630)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전류(Ia)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의미할 수 있다.Thereafter,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driving current Ia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current (S630). Here, the driving current Ia may mean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witching element that supplies the driving signal to the electrode of the display panel.

판단결과,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구동전류(Ia)가 미리 설정된 임계전류 이상인 경우에는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가혹조건모드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로 판단하고, 가혹조건모드를 설정(S640)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driving current Ia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current, the input image data may be determined as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vere condition mode, and the severe condition mode may be set (S640).

아울러,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를 감소(S530)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may be reduced (S530) in response to the input image data.

만약, S610 단계에서 판단결과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히스토그램의 변화량이 기준시간동안 기준값보다 크거나 혹은 S630 단계에서 판단결과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구동전류(Ia)가 임계전류보다 작은 경우에는, 일반모드로 설정(S650)할 수 있다.If the amount of change in the histogram of the image data inpu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10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during the reference time or when the driving current Ia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input as the result of determination in the step S630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current, the general Mode can be set (S650).

즉, 가혹조건모드는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히스토그램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이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설정된 임계 전류 이상인 경우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at is, the harsh condition mode is set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histogram of the image data input for the preset reference tim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reference value, an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witching element that supplies the driving signal to the electrode of the display pane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threshold current. It may be desirable.

한편, 이상에서는 영상 데이터의 히스토그램을 연산한 이후에 구동전류(Ia)를 연산하는 방법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와는 다르게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구동전류(Ia)를 연산한 이후에 영상 데이터의 히스토그램을 연산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a method of calculating the driving current Ia after calculating the histogram of the image data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differently, after calculating the driving current Ia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It may also be possible to compute histograms.

기준시간 동안 히스토그램의 변화량을 연산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change amount of the histogram during the reference ti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7을 살펴보면, 히스토그램은 영상 데이터에서 계조의 빈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의 최대 계조가 1024계조인 경우, 1024계조보다 작은 A2계조의 빈도(N2), A2계조보다 작은 A1계조의 빈도(N1) 등을 영상 데이터의 히스토그램을 분석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histogram may represent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gray levels in the image data. For example, if the maximum gradation of the image data is 1024 gradations, the frequency N2 of the A2 gradations smaller than 1024 gradations, the frequency N1 of the A1 gradations smaller than the A2 gradations, and the like can be confirmed by analyzing the histogram of the image data. .

이를 고려할 때, 연속하는 두 개의 프레임의 히스토그램을 비교하면 두 개의 프레임에서 계조의 사용 빈도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In consideration of this, it is possible to check the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use of gray scales in two frames by comparing the histograms of two consecutive frames.

도 8을 살펴보면, 히스토그램을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대 계조가 1024계조인 경우, 계조 0부터 계조 128까지를 제 1 구간(H1), 계조 129부터 계조 256까지를 제 2 구간(H2), 계조 257부터 계조 384까지를 제 3 구간(H3), 계조 385부터 계조 512까지를 제 4 구간(H4), 계조 513부터 계조 640까지를 제 5 구간(H5), 계조 641부터 계조 768까지를 제 6 구간(H6), 계조 769부터 계조 896까지를 제 7 구간(H7), 계조 897부터 계조 1024까지를 제 8 구간(H8)으로 구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histogram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For example, when the maximum gradation is 1024 gradations, the gradation 0 to gradation 128 is the first section (H1), the gradation 129 to gradation 256 is the second section (H2), and the gradation 257 to gradation 384 is the third section. (H3), gradation 385 to 512 512 for the fourth section (H4), gradation 513 to 640 for the fifth section (H5), gradation 641 to 768 for the sixth section (H6), gradation 769 to gradation Up to 896 may be divided into a seventh section H7 and a gradation 897 through gradation 1024 as an eighth section H8.

아울러, 각각의 제 1~8 구간(H1~H8)에서 연속하는 제 1 프레임(F1)과 제 2 프레임(F2)의 히스토그램의 변화량(차이)을 연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nge amount (difference) of the histogram between the continuous first frame F1 and the second frame F2 in each of the first to eighth periods H1 to H8 may be calculated.

예를 들어, 도 9의 경우와 같이, 제 1 구간(H1)에서 제 2 프레임(F2)은 제 1 프레임(F1)에 비해 계조 0부터 계조 a1을 AR1만큼 더 사용하고, 제 1 프레임(F1)은 제 2 프레임(F2)에 비해 계조 a1부터 계조 128을 AR2만큼 더 사용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2 프레임(F2)에 따른 영상에서 0~a1계조의 사용량은 제 1 프레임(F1)에 따른 영상에서 0~a1계조의 사용량에 비해 AR1만큼 더 많고, 제 1 프레임(F1)에 따른 영상에서 a1~128계조의 사용량은 제 2 프레임(F2)에 따른 영상에서 a1~128계조의 사용량에 비해 AR2만큼 더 많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9, in the first section H1, the second frame F2 uses the gray level a1 as much as AR1 from the gray level 0 compared to the first frame F1, and uses the first frame F1. ) May use gray level a1 to gray level 128 as much as AR2 compared to the second frame F2. In other words, the usage amount of 0 to a1 gradations in the image according to the second frame F2 is as much as AR1 compared to the usage amount of 0 to a1 gradation in the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frame F1, and the first frame F1 The usage amount of a1 to 128 gradations in the image according to FIG. 1 may mean as much as AR2 compared to the usage amount of a1 to 128 gradations in the image according to the second frame F2.

여기서, 제 1 구간(H1)에서 연속하는 제 1 프레임(F1)과 제 2 프레임(F2)의 히스토그램의 변화량(차이)은 AR1+AR2일 수 있다.Here, the change amount (difference) of the histogram between the first frame F1 and the second frame F2 continuous in the first section H1 may be AR1 + AR2.

이러한 방법으로 각각의 제 1~8 구간(H1~H8)에서 제 1 프레임(F1)과 제 2 프레임(F2)의 히스토그램의 변화량(차이)을 연산하고, 연산한 값을 합한 결과로서 제 1 프레임(F1)과 제 2 프레임(F2)의 히스토그램의 변화량(차이)을 획득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hange amount (difference) of the histogram of the first frame F1 and the second frame F2 is calculated in each of the first to eighth sections H1 to H8, and the first frame is the sum of the calculated values. A change amount (difference) of the histogram between F1 and the second frame F2 may be obtained.

또한, 기준시간은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프레임(F1)부터 제 8 프레임(F8)까지 총 8개의 프레임을 하나의 프레임 그룹으로 논리적으로 설정하고, 이러한 프레임 그룹을 기준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reference time may include a plurality of frames. 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10A, a total of eight frames from the first frame F1 to the eighth frame F8 are logically set as one frame group, and the frame group is referred to as a reference time. It is possible to set.

이러한 경우, 하나의 프레임 그룹에 포함된 8개의 프레임에서 히스토그램의 변화량을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프레임(F1)과 제 2 프레임(F2)을 비교하여 제 2 프레임(F2)에서는 제 1 프레임(F1)에 비해 히스토그램이 얼마나 변화되었는가를 연산하고, 이후 제 2 프레임(F2)과 제 3 프레임(F3)을 비교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연속하는 두 개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하나의 프레임 그룹 내에서 총 히스토그램의 변화량(A1+A2+A3+A4+A5+A6+A7)을 연산/획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histogram can be calculated in eight frames included in one frame group. For example, the first frame F1 and the second frame F2 are compared to calculate how much the histogram is changed in the second frame F2 compared to the first frame F1, and then the second frame F2. ) And the third frame F3, and compare two consecutive frames in this manner to calculat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total histogram (A1 + A2 + A3 + A4 + A5 + A6 + A7) within one frame group. Can be obtained.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연산하여 획득한 하나의 프레임 그룹 내에서, 즉 기준 시간 동안 총 히스토그램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이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설정된 임계 전류 이상인 경우에 가혹조건모드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total histogram vari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reference value within one frame group obtained by calculating in this manner, that is, during the reference time, an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witching element that supplies the drive signal to the electrode of the display pan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threshold current. In this case, it may be desirable to set the harsh condition mode.

이처럼, 8개의 프레임을 기준시간(프레임 그룹)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해당 영상 데이터가 가혹조건모드에 대응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영상 데이터를 적어도 8개의 프레임만큼 지연(Delay)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시청자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시청하는 영상은 적어도 8프레임 이전의 영상 데이터인 것이다.As such, when eight frames are set as the reference time (frame group), it is necessary to delay the image data by at least eight frames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image data corresponds to the severe condition mode. In this case, the image viewed by the viewer us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age data of at least 8 frames earlier.

또는, 도 10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프레임(F1)부터 제 16 프레임(F16)까지 총 16개의 프레임을 기준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프레임(F1)부터 제 16 프레임(F16)까지 총 16개의 프레임을 논리적으로 하나의 프레임 그룹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총 16개의 프레임에서 히스토그램의 변화량을 연산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FIG. 10B, it is possible to set a total of 16 frames from the first frame F1 to the sixteenth frame F16 as the reference time. In other words, it may be possible to logically set a total of 16 frames from the first frame F1 to the sixteenth frame F16 into one frame group. In this cas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histogram can be calculated in a total of 16 frames.

또는,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시간 동안, 예컨대 30초(Sec) 동안 영상 데이터의 히스토그램의 변화량을 연산하고 연산결과에 따라 가혹조건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30초(Sec)가 기준시간일 수 있다.Alternative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histogram of the image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30 seconds (Sec), and enter the harsh condition mode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 In this case, 30 seconds (Sec) may be the reference time.

이상에서 설명한 히스토그램의 변화량 연산 방법 및 기준시간의 길이에 대한 내용은 본 발명의 일례이고, 본 발명이 상기와 같은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준시간은 2개의 프레임으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calculating the change amount of the histogram and the length of the reference time ar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ontents. For example, the reference time can be set to two frames.

구동전류(Ia)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Hereinafter, the driving current I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구동전류(Ia)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의미할 수 있다.The driving current Ia may mean a current flowing through a switching element that supplies a driving signal to an electrode of the display panel.

여기서, 스위칭 소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 전극(X)에 데이터 신호(Dt)를 공급하는 데이터 IC일 수 있다.The switching element may be a data IC supplying a data signal Dt to the address electrode X of the plasma display panel.

이러한 데이터 IC(1000)는 도 11의 경우와 같이, 데이터 전압(Vd)을 공급하는 데이터 전압원과 접지(GND) 사이에 직렬로 배치되는 제 1 스위치(S1)와 제 2 스위치(S2)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data IC 1000 includes a first switch S1 and a second switch S2 disposed in series between a data voltage source supplying a data voltage Vd and a ground GND. can do.

아울러, 데이터 IC(1000)는 제 1 스위치(S1)와 제 2 스위치(S2)의 사이 노드(Na)에서 어드레스 전극(X)과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IC 1000 may be connected to the address electrode X at a node Na between the first switch S1 and the second switch S2.

구동 시에 데이터 IC(1000)에 흐르는 전류를 구동전류(Ia)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 시에 데이터 IC(1000)의 제 1 스위치(S1)에 흐르는 전류를 구동전류(Ia)라고 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ata IC 1000 during the driving may be referred to as the driving current Ia. For exampl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switch S1 of the data IC 1000 at the time of driving can be referred to as the driving current Ia.

이러한 데이터 IC(1000)는 서브필드의 어드레스 기간에서 어드레스 전극(X)으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의 경우와 같이, 제 1 스위치(S1)는 턴-온(Turn-On)되고, 제 2 스위치(S2)는 턴-오프(Turn-Off)될 수 있다.The data IC 1000 may supply a data signal to the address electrode X in the address period of the subfield. 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12, the first switch S1 may be turned on and the second switch S2 may be turned off.

이러한 경우, 데이터 전압원이 공급하는 데이터 전압(Vd)이 어드레스 전극(X)에 공급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ata voltage Vd supplied by the data voltage source may be supplied to the address electrode X.

이후, 제 1 스위치(S1)는 턴-오프되고, 제 2 스위치(S2)는 턴-온될 수 있다. 그러면, 어드레스 전극(X)이 접지되어 어드레스 전극(X)의 전압이 그라운드 레벨(GND)의 전압이 될 수 있다.Thereafter, the first switch S1 may be turned off and the second switch S2 may be turned on. Then, the address electrode X may be grounded so that the voltage of the address electrode X becomes the voltage of the ground level GND.

이러한 방식으로 어드레스 전극(X)으로 데이터 신호(Dt)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data signal Dt to the address electrode X.

이처럼, 어드레스 전극(X)에 데이터 신호(Dt)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제 1 스위치(S1) 및/또는 제 2 스위치(S2)가 스위칭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제 1 스위치(S1)의 경우에는 데이터 전압(Vd)을 어드레스 전극(X)에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구동전류, 즉 변위전류의 크기도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더욱이, 스위칭 횟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생성되는 변위전류의 크기도 증가할 수 있다.As such, in order to supply the data signal Dt to the address electrode X, the first switch S1 and / or the second switch S2 should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In the case of the first switch S1, since the data voltage Vd must be supplied to the address electrode X, the driving current generated by the switching operation, that is, the magnitude of the displacement current may be relatively large. Moreover, as the number of switching increases, the magnitude of the displacement current generated by the switching operation may also increase.

예를 들어, 도 13의 (A)의 경우와 같이, 소정의 어드레스 전극(X)에 대응되는 복수의 방전셀들이 On-Off-On-Off-On-Off-On-Off-On-Off와 같은 타입을 갖는 경우에는 데이터 IC(1000)는 On되는 방전셀에 데이터 신호(Dt)를 공급하기 위해 턴-온 및 턴-오프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도 13의 (A)의 경우에는 데이터 IC(1000)의 제 1 스위치(S1)는 총 5회의 턴-온 동작과 5회의 턴-오프 동작을 번갈아가며 수행해야 한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13A, a plurality of discharge cells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address electrode X may be On-Off-On-Off-On-Off-On-Off-On-Off. In the case of the same type, the data IC 1000 must repeatedly perform the turn-on and turn-off operations to supply the data signal Dt to the discharge cells that are turned on. In the case of FIG. 13A, the first switch S1 of the data IC 1000 should alternately perform five turn-on operations and five turn-off operations.

이러한 경우에 데이터 IC(1000)의 제 1 스위치(S1)에 흐르는 구동전류(변위전류)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current (displacement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switch S1 of the data IC 1000 may be relatively large.

반면에, 도 13의 (B)의 경우와 같이, 소정의 어드레스 전극(X)에 대응되는 복수의 방전셀들이 On-On-On-On-On-Off-Off-Off-Off-Off와 같은 타입을 갖는 경우에는 데이터 IC(1000)는 On되는 방전셀에 데이터 신호(Dt)를 공급하기 위해 1회의 턴-온 및 1회의 턴-오프 동작만을 수행하면 된다. 즉, 연속적으로 턴-온되는 5개의 방전셀에 데이터 신호(Dt)를 공급하기 위해 데이터 IC(1000)의 제 1 스위치(S1)는 1회 턴-온된 이후에 턴-온상태를 유지하고, 이후 연속적으로 턴-오프되는 5개의 방전셀에 그라운드 레벨(GND)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데이터 IC(1000)의 제 1 스위치(S1)는 1회 턴-오프된 이후에 턴-오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in the case of Figure 13 (B), a plurality of discharge cells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address electrode (X), such as On-On-On-On-On-Off-Off-Off-Off-Off In the case of having a type, the data IC 1000 only needs to perform one turn-on and one turn-off operation to supply the data signal Dt to the discharge cells that are turned on. That is, in order to supply the data signal Dt to five discharge cells continuously turned on, the first switch S1 of the data IC 1000 remains turned on after being turned on once, Since the first switch S1 of the data IC 1000 is turned off once to supply the ground level GND voltage to five discharge cells that are successively turned off, the first switch S1 remains turned off once. Can be.

이러한 경우에 데이터 IC(1000)의 제 1 스위치(S1)에 흐르는 구동전류(변위전류)의 크기는 도 13의 (A)의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current (displacement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switch S1 of the data IC 1000 may be smaller than that in the case of FIG. 13A.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IC(1000)에 흐르는 구동전류를 직접 측정하지 않아도,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패턴(Pattern)을 분석하여 데이터 IC(1000)에 흐르는 구동전류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필드 맵핑(Subfield Mapping) 단계에서 서브필드 맵핑된 데이터를 분석하면 도 13의 (A)와 (B)와 같은 데이터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ata IC 1000 can be predicted by analyzing a pattern of the input image data without directly measuring the driving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ata IC 1000. For example, when the subfield mapped data is analyzed in the subfield mapping step, data patterns shown in FIGS. 13A and 13B can be confirmed.

이처럼, 영상 데이터의 패턴을 분석하여 데이터 IC(1000)에 흐르는 구동전류(Ia)를 예측하고, 예측한 구동전류(Ia)가 미리 설정된 임계 전류 이상인 경우에 가혹조건모드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pattern of the image data to predict the driving current Ia flowing through the data IC 1000, and to set the harsh condition mode when the predicted driving current I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current.

즉,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횟수는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구동전류의 크기와 비례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수직방향, 즉 어드레스 전극(X)이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셀 간에 데이터의 변화 횟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구동전류의 크기와 비례할 수 있다.That is, the number of switching of the switching element that supplies the driving signal to the electrode of the display panel may be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witching element. In other words, the number of changes in data between cells adjac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address electrode 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witching element that supplies the driving signal to the electrodes of the display panel.

이상에서 설명한 히스토그램의 변화량 및 구동전류(Ia)를 이용하여 가혹조건모드를 설정하고, 아울러 가혹조건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를 낮추기 위해 서브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에서 스캔 전극(Y) 및/또는 서스테인 전극(Z)으로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In order to set the harsh condition mode by using the change amount of the histogram and the driving current Ia described above, and to lower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panel in the harsh condition mode, the scan electrode Y and / or the sustain electrode in the sustain period of the subfiel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supplied to (Z).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줄이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평균 화소 레벨(Average Picture Level, APL)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To describe a method of reducing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n average pixel level (APL) will be described first.

도 14에는 평균 화상 레벨(Average Picture Level, APL)의 개념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14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concept of an average picture level (APL).

평균화상레벨(APL)은 전체 화소 중 턴-온되는 화소(혹은 셀)의 개수로서 결정될 수 있다.The average image level APL may be determined as the number of pixels (or cells) turned on among all the pixels.

예를 들어, 도 14의 (A)의 경우와 같이, 전체 화소 중 턴-온되는 화소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어서 전체적으로 어두운 영상인 경우에 평균화상레벨(APL)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화소들이 온되는 영역(OA)의 크기가 작을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14A, the average image level APL may be relatively low when the number of turned-on pixels among all the pixels is relatively small, and thus the overall dark image.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area OA where the pixels are turned on may be small.

반면에, 도 14의 (B)의 경우와 같이, 전체 화소 중 턴-온되는 화소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서 전체적으로 밝은 영상인 경우에 평균화상레벨(APL)은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화소들이 온되는 영역(OA)의 크기가 클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in the case of FIG. 14B, the average image level APL may be relatively high when the number of turned-on pixels among all the pixels is relatively large and thus the overall bright image.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area OA where the pixels are turned on may be large.

아울러, 평균 화소 레벨에 따라 하나의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도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verage pixel level.

예를 들면, 도 15의 경우와 같이, 평균 화소 레벨이 증가할수록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는 감소할 수 있다. 반면에, 평균 화소 레벨이 감소할수록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는 증가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15, as the average pixel level increases,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a frame may decrease. On the other hand, as the average pixel level decreases,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frame may increase.

평균 화소 레벨이 높은 경우에는 턴-온되는 화소(혹은 셀)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줄이게 되면 전력 소모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average pixel level is high, the number of turned-on pixels (or cells) is relatively large, and thus reducing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frame can prevent an excessive increase in power consumption.

반면에, 평균 화소 레벨이 낮은 경우에는 턴-온되는 화소(혹은 셀)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증가시키면 전력 소모의 과도한 증가는 방지하면서도 영상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verage pixel level is low, the number of pixels (or cells) turned on is relatively small. Therefore, increasing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a frame improves image brightness while preventing excessive increase in power consumption. It is possible to let.

이처럼, 영상 데이터의 평균 화소 레벨에 따라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조절하게 되면 영상의 휘도의 저하를 방지하면서도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As such, if the number of the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fram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verage pixel level of the image data, power consumption may be reduced while preventing a decrease in luminance of the image.

가혹조건모드에서는, 도 16의 경우와 같이, 평균 화소 레벨의 그래프(APL Curve)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는, 일반모드(Normal Mode, N.M)에서의 평균 화소 레벨의 그래프를 가혹조건모드(Extreme Mode, E.M)에서는 아랫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영상 데이터가 일반모드인 경우와 가혹조건모드인 경우에 서로 다른 평균 화소 레벨 그래프 혹은 테이블(Table)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severe condition mode, as in the case of FIG. 16, the graph (APL Curve) of the average pixel level can be moved downward. In detail, the graph of the average pixel level in the normal mode (N.M) can be moved downward in the severe mode (E.M). That is, when the image data is the normal mode and the severe condition mode, different average pixel level graphs or tables may be used.

예를 들어, 일반 모드에서는 도 17에 도시된 제 1 테이블(Table 1)의 경우와 같이 평균 화소 레벨에 따라 서스테인 신호를 할당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normal mode, as in the case of the first table Table 1 shown in FIG. 17, the sustain signal may be allocated according to the average pixel level.

도 17의 경우와 같이, 평균전력레벨이 38 레벨인 경우에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대략 512개, 39 및 40 레벨인 경우에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대략 510개, 41 레벨인 경우에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대략 508개, 42 레벨인 경우에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대략 506개, 898 레벨인 경우에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대략 284개, 899 및 900 레벨인 경우에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대략 283개, 901 레벨인 경우에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대략 282개, 902 레벨인 경우에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대략 281개, 985 레벨인 경우에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대략 256개, 986 및 987 레벨인 경우에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대략 255개, 988 레벨인 경우에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대략 254개, 989 레벨인 경우에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대략 253개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7, when the average power level is 38 levels,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approximately 512, and when the 39 and 40 levels are,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approximately. In the case of 510 and 41 levels,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approximately 508, and in the case of 42 levels,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approximately 506 and one frame in the case of 898 levels. If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assigned to the frame is approximately 284, 899 and 900 levels,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approximately 283, and if the level is 901,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Is approximately 282, at 902 levels,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approximately 281 and at 985 levels,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assigned to one frame is If the total number of signals is approximately 256, 986 and 987 levels,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approximately 255. If the level is 988,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approximately 254. In the case of 989 levels,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may be approximately 253.

반면에, 가혹조건모드에서는, 도 18에 도시된 제 2 테이블(Table 2)의 경우와 같이, 평균전력레벨이 38 레벨인 경우에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대략 472개, 39 및 40 레벨인 경우에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대략 470개, 41 레벨인 경우에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대략 468개, 42 레벨인 경우에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대략 466개, 898 레벨인 경우에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대략 254개, 899 및 900 레벨인 경우에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대략 253개, 901 레벨인 경우에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대략 252개, 902 레벨인 경우에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대략 251개, 985 레벨인 경우에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대략 236개, 986 및 987 레벨인 경우에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대략 235개, 988 레벨인 경우에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대략 234개, 989 레벨인 경우에는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가 대략 233개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harsh condition mode, as in the case of the second table (Table 2) shown in Fig. 18, when the average power level is 38 levels,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approximately 472, 39 And when the level is 40, the total number of the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approximately 470, and when the level is 41, the total number of the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about 468; If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is approximately 466 and 898 levels,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approximately 254, and if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approximately At 253 and 901 levels,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approximately 252, and at 902 level,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large. In the case of 251 and 985 levels,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approximately 236. In the case of 986 and 987 levels,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approximately 235 and 988 levels. When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approximately 234 and 989 levels,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may be approximately 233.

도 17 내지 도 18의 경우는 일반모드 및 가혹조건모드에서 평균전력레벨에 따라 하나의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 및 각각의 서브필드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예로 든 것으로 본 발명에 도 17 내지 도 18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17 to 18 illustrate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and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each subfield according to the average power level in the normal mode and the severe condition mode. It is not limited to 17-18.

상기와 같이, 가혹조건모드에서는 일반모드와 비교하여 동일 평균 화소 레벨에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가 더 적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harsh condition mode,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frame at the same average pixel level may be smaller than that in the normal mode.

예를 들어, 도 19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패널이 총 64개의 셀(8×8)로 구성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For example, suppose that one panel includes 64 cells (8 × 8) in total, as in the case of FIG. 19.

이러한 경우, 도 19의 (A)의 경우와 같이, 2×2셀들을 포함하는 셀 그룹(Cell Group)이 번갈아가면 턴-온된다고 가정하면, 이러한 경우에는 64개의 셀 중 총 32개의 셀이 턴-온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9A, assuming that a cell group including 2 × 2 cells is turned on alternately, in this case, a total of 32 cells out of 64 cells are turned on. Can be turned on.

아울러, 도 19의 (B)의 경우와 같이, 인접하는 셀들은 서로 다른 논리 상태를 갖도록 번갈아가면 턴-온된되는 경우에는 64개의 셀 중 총 32개의 셀이 턴-온될 수 있다.In addition, as in the case of (B) of FIG. 19, when adjacent cells are alternately turned on to have different logic states, a total of 32 cells among the 64 cells may be turned on.

즉, 도 19의 (A)와 (B)의 패턴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면 도 19의 (A)와 도 19의 (B)의 경우는 평균 화소 레벨은 서로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That is, when the image data of the pattern of FIGS. 19A and 19B are compared, it can be seen that the average pixel levels are the same in FIGS. 19A and 19B.

아울러, 도 19의 (B)의 경우에 스위칭 소자(데이터 IC)의 스위칭 횟수는 도 19의 (A)의 경우에 비해 2배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FIG. 19B,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times of switching of the switching element (data IC) is twice as much as in the case of FIG. 19A.

이러한 경우, 비록 도 19의 (A)의 경우와 (B)의 경우가 평균 화소 레벨은 동일하지만, 도 19의 (A)의 경우에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는 도 19의 (B)의 경우에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보다 더 많을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although the average pixel level is the same in the case of Fig. 19A and 19B, in the case of Fig. 19A,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is not shown in Fig. 19B. ) May be more than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one frame.

도 19의 (A)의 패턴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제 1 프레임(F1)이라 하고, 도 19의 (B)의 패턴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제 2 프레임(F2)이라 가정하면, 제 1 프레임(F1)과 제 2 프레임(F2)의 평균 화소 레벨(APL)이 서로 동일하고, 제 1 프레임(F1)에서 수직방향(어드레스 전극(X)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방전셀 간에 데이터의 변화 횟수는 제 2 프레임(F2)에서 수직방향으로 인접하는 방전셀 간에 데이터의 변화 횟수보다 더 많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제 1 프레임(F1)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는 제 2 프레임(F2)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보다 더 적을 수 있는 것이다.Assuming that image data according to the pattern of FIG. 19A is a first frame F1 and that image data according to the pattern of FIG. 19B is a second frame F2, the first frame F1 ) And the average pixel level APL of the second frame F2 are equal to each other, and the number of changes of data between discharge cells adjac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ddress electrode X) in the first frame F1 is In the second frame F2, the number of changes of data may be greater than that between discharge cells adjac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first frame F1 may be less than the total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second frame F2.

여기서, 제 2 프레임(F2)에 따른 영상 데이터는 가혹 조건 모드에서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이고, 제 1 프레임(F1)에 따른 영상 데이터는 일반 모드에서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Here,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frame F2 may be image data supplied in the harsh condition mode, and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first frame F1 may be image data supplied in the normal mode.

이처럼, 가혹조건모드에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줄이면 전력소모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As such, it is possibl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by reducing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a frame in the harsh condition mode.

예를 들어, 도 20의 경우와 같이, 영상 데이터의 패턴이 증가(스위칭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력 모소도 함께 증가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20, as the pattern of the image data increases (the number of switching times increases), the power factor of the display device may also increase.

이러한 과정에서, 가혹조건모드에 진입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여 가혹조건모드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영상 데이터의 패턴의 증가(스위칭 횟수의 증가)에 따른 전력 소모의 증가가 둔감해질 수 있다.In this process, when entering the harsh condition mode by satisfying the condition capable of entering the harsh condition mode, an increase in power consumption due to an increase in the pattern of the image data (increase in the number of switching) may be insensitive.

예를 들어, 전력 소모가 P1인 시점에서 가혹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영상 데이터의 패턴이 증가하더라도 전력 소모의 증가율은 낮아질 수 있다. 만약, 가혹조건모드에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줄이지 않고 유지하는 경우에 소모되는 최대 전력을 Pmax라고 가정하면, 본 발명에서는 가혹조건모드에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줄여 최대 소모 전력이 Pmax-△Ia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harsh mode is entered when the power consumption is P1, the increase rate of the power consumption may decrease even if the pattern of the image data increases. If the maximum power consumed when maintaining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a frame in the severe condition mode is maintained as Pmax,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frame in the severe condition mode to reduce the maximum power consumption. The power may be Pmax-ΔIa.

이처럼, 최대 소모 전력을 줄이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Power Supply Unit, PSU)의 최대 공급전력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As such, reducing the maximum power consumption may reduce the maximum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unit (PSU) that supplies power to the display device.

예를 들어, 가혹조건모드에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줄이지 않고 유지하는 경우에는, 전력공급장치(PSU)는 최대 공급전력이 구동마진(Margin)을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최대 소모 전력(Pmax)보다 일정부분 더 크게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혹조건모드에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줄이지 않고 유지하는 경우에 전력공급장치(PSU)의 최대 공급전력은 Pmax+Pm일 수 있다.For example, in a severe condition mode, when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a frame is maintained without reducing the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unit PSU uses the maximum power consumption Pmax of the display device for the maximum margin of the drive margin. Can be designed to be larger than For example, in the case of maintaining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a frame in the severe condition mode without reducing the number, the maximum supply power of the power supply device PSU may be Pmax + Pm.

반면에, 가혹조건모드에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줄이는 경우에는 전력공급장치(PSU)의 최대 공급전력은 Pmax-△Ia+Pm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공급장치(PSU)를 최대 공급전력을 낮추는 방향으로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단가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a frame is reduced in the severe condition mode, the maximum supply power of the power supply device PSU may be Pmax−ΔIa + Pm. Accordingly, since the power supply device PSU can be designed in a direction of lowering the maximum supply pow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도 21의 (A) 및 (B)에는 가혹조건모드에 따른 영상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21A and 21B show an example of an image according to the harsh condition mode.

이러한 가혹조건모드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면서, 본 발명에 따라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줄이는 경우와 줄이지 않고 유지하는 경우에 소비전력을 비교하면 도 22의 경우와 같다.While displaying the image according to the severe condition mode, the power consumption is compared with the case of reducing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frame and maintaining the nu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case of FIG. 22.

도 21의 (A)의 경우를 B type 영상 데이터라 하고, 도 21의 (B)의 경우를 A type 영상 데이터라고 가정하여 보자.Assume that the case of FIG. 21A is B type image data, and the case of FIG. 21B is A type image data.

도 22의 (A)는 50인치(Inch) 모델의 경우의 데이터이고, 도 22의 (B)는 60인치 모델의 경우의 데이터이다.FIG. 22A is data for a 50-inch model, and FIG. 22B is data for a 60-inch model.

도 22의 (A) 및 (B)를 살펴보면, 50인치 모델 및 60인치 모델에서 모두 가혹조건모드에서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줄이는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전력소모가 상대적으로 더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A) and (B) of FIG. 22, in both 50-inch and 60-inch models, power consumption is relatively lower than in the case of reducing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frame in the harsh condition mode. You can see that.

한편, 가혹조건모드에서 영상 데이터의 패턴이 증가하는 경우(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횟수가 증가하는 경우)에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더욱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attern of the image data increases in the harsh condition mode (when the number of switching of the switching elements increases),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frame.

예를 들어, 도 23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패널이 총 256개의 셀(16×16)로 구성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For example, suppose that one panel includes a total of 256 cells (16 × 16) as in the case of FIG. 23.

이러한 경우, 소정의 제 1 프레임(F1)에서 도 23의 (A)의 경우와 같이, 8×8셀들을 포함하는 셀 그룹이 번갈아가면 턴-온된다고 가정하면, 이러한 경우에는 256개의 셀 중 총 128개의 셀이 턴-온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경우, 스위칭 소자의 턴-온 횟수는 대략 2회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평균 화소 레벨이 도 24의 경우와 같이, ①의 평균 화소 레벨(APL)의 그래프에 해당될 수 있다.In this case, assuming that a cell group including 8x8 cells is turned on alternately as in the case of FIG. 23A in the first first frame F1, in this case, a total of 256 cells is turned on. 128 cells may be turned on. In this case, the number of turn-on of the switching device may be about two times. In this case, as in the case of FIG. 24, the average pixel level may correspond to a graph of the average pixel level APL of ①.

또한, 소정의 제 2 프레임(F2)에서 도 23의 (B)의 경우와 같이, 4×4셀들을 포함하는 셀 그룹이 번갈아가면 턴-온된다고 가정하면, 이러한 경우에는 256개의 셀 중 총 128개의 셀이 턴-온될 수 있으며, 아울러 스위칭 소자의 턴-온 횟수는 대략 8회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평균 화소 레벨이 도 24의 경우와 같이, ②의 평균 화소 레벨(APL)의 그래프에 해당될 수 있다.In addition, assuming that a cell group including 4x4 cells is turned on alternately as in the case of FIG. 23B in a predetermined second frame F2, in this case, a total of 128 of 256 cells Cells may be turned on, and the number of turn-on times of the switching elements may be approximately eight times. In this case, as in the case of FIG. 24, the average pixel level may correspond to a graph of the average pixel level APL of ②.

또한, 소정의 제 3 프레임(F3)에서 도 23의 (C)의 경우와 같이, 2×2셀들을 포함하는 셀 그룹이 번갈아가면 턴-온된다고 가정하면, 이러한 경우에는 256개의 셀 중 총 128개의 셀이 턴-온될 수 있으며, 아울러 스위칭 소자의 턴-온 횟수는 대략 32회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평균 화소 레벨이 도 24의 경우와 같이, ③의 평균 화소 레벨(APL)의 그래프에 해당될 수 있다.In addition, assuming that a cell group including 2x2 cells is turned on alternately as in the case of FIG. 23C in a predetermined third frame F3, in this case, a total of 128 of 256 cells Cells may be turned on, and the number of turn-on times of the switching elements may be approximately 32 times. In this case, as in the case of FIG. 24, the average pixel level may correspond to a graph of the average pixel level APL of ③.

또한, 소정의 제 4 프레임(F4)에서 도 23의 (D)의 경우와 같이, 각각의 셀들이 번갈아가면 턴-온된다고 가정하면, 이러한 경우에는 256개의 셀 중 총 128개의 셀이 턴-온될 수 있으며, 아울러 스위칭 소자의 턴-온 횟수는 대략 128회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평균 화소 레벨이 도 24의 경우와 같이, ④의 평균 화소 레벨(APL)의 그래프에 해당될 수 있다.In addition, assuming that each cell is turned on alternately as in the case of FIG. 23D in the predetermined fourth frame F4, in this case, a total of 128 cells of 256 cells are turned on. In addition, the number of turn-on of the switching device may be approximately 128 times. In this case, the average pixel level may correspond to a graph of the average pixel level APL of ④ as in the case of FIG. 24.

상기한 도 23 및 도 24의 경우와 같이, 제 1, 2, 3, 4 프레임(F1~F4)의 평균 화소 레벨이 동일하고, 제 2 프레임(F2)에서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횟수(패턴의 양, 구동전류(Ia)의 크기)가 제 1 프레임(F1)에서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횟수(패턴의 양, 구동전류(Ia)의 크기)보다 더 큰 경우에 제 2 프레임(F2)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는 제 1 프레임(F1)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보다 더 적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3 프레임(F3)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는 제 2 프레임(F2)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보다 더 적고, 제 4 프레임(F4)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는 제 3 프레임(F3)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보다 더 적을 수 있는 것이다.23 and 24, the average pixel level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frames F1 to F4 is the same, and the number of switching of the switching elements (the amount of patterns in the second frame F2). The sustain allocated to the second frame F2 when the driving current Ia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switching of the switching element (the amount of patterns and the size of the driving current Ia) in the first frame F1. The number of signals may be smaller than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first frame F1. In this way,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third frame F3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second frame F2, and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fourth frame F4 is 3rd. It may be less than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frame (F3).

도 23의 (B), (C), (D)에 대응되는 제 2, 3, 4 프레임(F2, F3, F4)이 가혹조건모드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라고 가정하면, 가혹조건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도 영상 데이터의 패턴의 양이 증가(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횟수가 증가, 구동전류(Ia)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더욱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Assuming that the second, third, and fourth frames F2, F3, and F4 corresponding to FIGS. 23B, 23C, and 3D ar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vere condition mode, the system enters the severe condition mode. Even in the state, when the amount of the pattern of the image data increases (the switching frequency of the switching element increases, the size of the driving current Ia increases),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frame.

이러한 경우, 도 25의 경우와 같이, 가혹조건모드에서는 패턴의 양이 증가하더라도 전력소모는 증가하지 않고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as in the case of Fig. 25, even in the harsh condition mode, even if the amount of the pattern is increase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maintained without increasing.

한편, 영상 데이터의 히스토그램의 변화량을 연산할 때, 계조 구간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calculat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histogram of the image data, it is possible to set the weigh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gradation interval.

자세하게는, 가혹조건모드에서 사용되는 빈도가 높은 제 1 계조의 가중치를 일반모드에서 사용되는 빈도가 높은 제 2 계조의 가중치보다 더 낮게 설정하여 제 1 계조의 변화량이 크더라도 가혹조건모드에 진입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의 도 26의 내용은 앞선 도 8의 내용으로부터 유추할 수 있다.In detail, the weight of the first gradation used in the harsh condition mode is set to be lower than the weight of the second gradation used in the general mode so as to enter the harsh condition mode even if the variation of the first gradation is large. It is possible to set so that. The contents of FIG. 26 below can be inferred from the contents of FIG. 8.

예를 들면, 도 26의 경우와 같이, 영상 데이터의 최대 계조가 1024계조인 경우, 0계조부터 128계조에 대응하는 제 1 구간(H1)에는 G1의 가중치를 할당하고, 897계조부터 1024계조에 대응하는 제 8 구간(H8)에는 G3의 가중치를 할당하고, 385계조부터 512계조에 대응하는 제 4 구간(H4) 및 513계조부터 640계조에 대응하는 제 5 구간(H5)에는 G2의 가중치를 할당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6, when the maximum grayscale of the video data is 1024 grayscales, a weight of G1 is assigned to the first interval H1 corresponding to 0 to 128 grayscales, and from 897 to 1024 grayscales. The weight of G3 is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eighth section H8, and the weight of G2 is assigned to the fourth section H4 corresponding to 385 to 512 gradations and the fifth section H5 corresponding to 640 to 640 gradations. Can be assigned.

여기서, G2는 G1 및 G3보다 더 클 수 있다.Here, G2 may be larger than G1 and G3.

이러한 경우, 제 1 프레임(F1)과 제 2 프레임(F2)의 히스토그램의 변화량은 (AR1+AR2)×G1+[(AR4+AR4)+(AR5+AR6)]×G1+(AR7+AR8)×G3에 해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histogram of the first frame F1 and the second frame F2 is (AR1 + AR2) × G1 + [(AR4 + AR4) + (AR5 + AR6)] × G1 + (AR7 + AR8) × G3 It may correspond to.

여기서, G2가 G1 및 G3보다 더 큰 경우에는 제 1 프레임(F1)과 제 2 프레임(F2)에서 히스토그램의 변화량은 (AR4+AR4)+(AR5+AR6)에 의해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가중치가 상대적으로 큰 제 4, 5 구간(H4, H5)에서 제 1 프레임(F1)과 제 2 프레임(F2)의 히스토그램의 차이가 큰 경우에는 제 1 프레임(F1) 및/또는 제 2 프레임(F2)이 가혹조건모드를 벗어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고, 반면에 가중치가 상대적으로 작은 제 1, 8 구간(H1, H8)에서 제 1 프레임(F1)과 제 2 프레임(F2)의 히스토그램의 차이가 큰 경우라고 하더라도 제 1 프레임(F1) 및/또는 제 2 프레임(F2)이 가혹조건모드를 벗어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는 것이다.Here, when G2 is larger than G1 and G3, it may mean tha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histogram in the first frame F1 and the second frame F2 is likely to be determined by (AR4 + AR4) + (AR5 + AR6). Can be. That is, when the histogram of the first frame F1 and the second frame F2 is large in the fourth and fifth sections H4 and H5 having a relatively large weight, the first frame F1 and / or the second In the first and eighth sections H1 and H8 where the weight of the frame F2 is relatively high, the possibility of leaving the severe condition mode may be relatively high, while the first frame F1 and the second frame F2 Even if the difference in the histogram is large, the probability that the first frame F1 and / or the second frame F2 leave the harsh condition mode may be relatively low.

예를 들어, 도 27의 경우와 같이, 제 2 구간(H2)에서 제 7 구간(H7)에서는 제 1 프레임(F1)과 제 2 프레임(F2)이 동일하고, 제 1 구간(H1)에서 제 2 프레임(F2)에 따른 영상 데이터에서 0~128계조의 사용 빈도(N3)가 제 1 프레임(F1)에 따른 영상 데이터에서 0~128계조의 사용 빈도(N1)보다 더 높고, 제 8 구간(H8)에서 제 1 프레임(F1)에 따른 영상 데이터에서 897~1024계조의 사용 빈도(N3)가 제 2 프레임(F2)에 따른 영상 데이터에서 897~1024계조의 사용 빈도(N1)보다 더 높은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27, in the seventh section H7 in the second section H2, the first frame F1 and the second frame F2 are the same, and in the first section H1, the first frame F1 is the same. The frequency of use N3 of the 0 to 128 gradations in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two frames F2 is higher than the frequency of use N1 of the 0 to 128 gradations in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first frame F1 and the eighth period ( H8) when the frequency of use (N3) of 897 to 1024 gradations in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first frame F1 is higher than the frequency of use (N1) of 897 to 1024 gradations in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frame F2 Let's assume.

이러한 경우에, 제 1 프레임(F1)과 제 2 프레임(F2)의 히스토그램의 차이는 (AR1×G1)+(AR2×G3)에 해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stograms of the first frame F1 and the second frame F2 may correspond to (AR1 × G1) + (AR2 × G3).

반면에, 도 28의 경우와 같이, 제 1 구간(H1)에서 제 3 구간(H3) 및 제 6 구간(H6)에서 제 8 구간(H8)에서는 제 1 프레임(F1)과 제 2 프레임(F2)이 동일하고, 제 4 구간(H1)에서 제 1 프레임(F1)에 따른 영상 데이터에서 385~512계조의 사용 빈도(N3)가 제 2 프레임(F2)에 따른 영상 데이터에서 385~512계조의 사용 빈도(N1)보다 더 높고, 제 5 구간(H5)에서 제 2 프레임(F1)에 따른 영상 데이터에서 513~640계조의 사용 빈도(N3)가 제 2 프레임(F2)에 따른 영상 데이터에서 513~640계조의 사용 빈도(N1)보다 더 높은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On the other hand, as in the case of Figure 28, in the first section (H1) in the third section (H3) and the sixth section (H6) in the eighth section (H8) in the first frame (F1) and the second frame (F2) ) Are the same, and the frequency of use (N3) of 385 to 512 gradations in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first frame F1 in the fourth section H1 is 385 to 512 gradations in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frame F2. It is higher than the use frequency N1, and the use frequency N3 of 513 to 640 gradations in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frame F1 in the fifth section H5 is 513 in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frame F2. Let's assume that the case is higher than the frequency of use (N1) of ~ 640 gradations.

이러한 경우에, 제 1 프레임(F1)과 제 2 프레임(F2)의 히스토그램의 차이는 (AR3+AR4)×G2에 해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stograms of the first frame F1 and the second frame F2 may correspond to (AR3 + AR4) × G2.

도 27과 도 28을 비교하면, 제 1 구간(H1), 제 4 구간(H4), 제 5 구간(H5) 및 제 8 구간(H8)의 폭이 서로 동일하고, 제 1 프레임(F1)과 제 2 프레임(F2)의 계조 사용 빈도의 차이(N3-N1)가 동일하기 때문에 AR1, AR2, AR3, AR4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27 and 28, the widths of the first section H1, the fourth section H4, the fifth section H5, and the eighth section H8 are equal to each other, and the first frame F1 is the same as the first frame F1. AR1, AR2, AR3, and AR4 may be identical to each other because the difference (N3-N1) of gray level use frequencies of the second frame F2 is the same.

결국, 도 27의 경우에서 제 1 프레임(F1)과 제 2 프레임(F2)의 히스토그램의 차이는 (AR1×G1)+(AR1×G3) = (AR1×(G1+G3))에 해당할 수 있고, 도 28의 경우에서 제 1 프레임(F1)과 제 2 프레임(F2)의 히스토그램의 차이는 (AR1)×2G2에 해당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in the case of FIG. 27,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stograms of the first frame F1 and the second frame F2 may correspond to (AR1 × G1) + (AR1 × G3) = (AR1 × (G1 + G3)). In FIG. 28,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stograms of the first frame F1 and the second frame F2 may correspond to (AR1) × 2G2.

여기서, G2가 G1 및 G3보다 더 크기 때문에 (AR1)×2G2은 (AR1×(G1+G3))보다 더 큰 것이다.Here, since G2 is larger than G1 and G3, (AR1) × 2G2 is larger than (AR1 × (G1 + G3)).

결국, 도 28의 경우에서 히스토그램의 변화량은 도 27의 경우에 히스토그램의 변화량보다 더 큰 것을 의미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change amount of the histogram in the case of FIG. 28 may mean greater than the change amount of the histogram in the case of FIG. 27.

여기서, 기준값을 (AR1×(G1+G3))보다는 크고 (AR1)×2G2보다는 작은 (AR1)×(G2+G1)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앞선 도 27의 경우에는 가혹조건모드가 설정될 수 있고, 도 28의 경우에는 일반모드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Here, in the case of setting the reference value to (AR1 × (G2 + G1) larger than (AR1 × (G1 + G3)) and smaller than (AR1) × 2G2), the harsh condition mode can be set in the case of FIG. In FIG. 28, the normal mode may be set.

가혹조건모드는 앞선 도 21의 (A) 및 (B)와 같은 패턴의 영상일 가능성이 크고, 이러한 영상은 최대 휘도 및 최저 휘도의 영상이 뒤섞인 패턴을 갖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계조 영역에 따라 가중치가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 가혹조건모드를 설정하는데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The severe condition mode is likely to be an image having a pattern as shown in FIGS. 21A and 21B, and such an image often has a pattern in which an image of the highest luminance and the lowest luminance is mixed.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setting the weigh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gradation region may be more effective in setting the harsh condition mode.

도 29 내지 도 39는 본 발명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29 to 3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도 29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광학층(Optical Layer, 310) 및 광원부(320)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200), 및 후면커버(Back Cover, 3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9,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ck light unit 200 including a display panel 100, an optical layer 310, and a light source unit 320, and a back cover. , 330).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Display Panel, LCD)로서 서로 대항되게 배치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00 displaying an image may include a front substrate and a rear substrat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광학층(3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커버(3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optical layer 3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rear cover 330.

아울러, 백라이트 유닛(200)의 광원부(320)는 광학층(3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source unit 320 of the backlight unit 200 may be disposed behind the optical layer 310.

백라이트 유닛(200)의 후방에는 후면커버(33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The rear cover 330 may be disposed behind the backlight unit 200.

후면커버(330)는 백라이트 유닛(200)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및 압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The rear cover 330 may protect the backlight unit 200 and the display panel 100 from the impact and pressure applied from the outside.

여기서, 광학층(3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광학층(310)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소정거리 이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Here, the optical layer 31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play panel 100. Alternatively, the optical layer 3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panel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또는, 백라이트 유닛(200)에서 광원부(320)는 광학층(310)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light source unit 32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ptical layer 310 in the backlight unit 200.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duced.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백라이트 유닛(200)을 밀착하여 배치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 유닛(2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측 면,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편광판(404)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그를 위해 하부 편광판(404)과 백라이트 유닛(200) 사이에 접착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0,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by closely placing the backlight unit 200 on the display panel 100. For example, the backlight unit 200 may be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panel 100, more specifically, the lower polarizer 404, and for this purpose, between the lower polarizer 404 and the backlight unit 200. An adhesive layer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상기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200)을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밀착하여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켜 외관을 개선할 수 있으며, 백라이트 유닛(200)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을 제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 및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20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공간을 줄임으로써, 상기 공간으로의 이물질 등의 삽입으로 인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동작 또는 디스플레이 영상의 화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By forming the backlight unit 200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play panel 100 as described above,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may be reduced to improve appearance, and the display device may be removed by removing a structure for fixing the backlight unit 200. Can simplify 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by reducing the space between the backlight unit 200 and the display panel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display device due to the insertion of foreign matters into the space or the degradation of the image quality of the display imag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백라이트 유닛(200)은 복수의 기능층들이 적층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기능층들 중 적어도 한 층은 복수의 광원들(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light unit 200 may be configured in a form of a plurality of functional layers stacked,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unctional layers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not shown). Can be.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200)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측 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백라이트 유닛(200), 보다 상세하게는 백라이트 유닛(200)을 구성하는 복수의 층들은 각각 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order for the backlight unit 200 to be closely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the plurality of layers constituting the backlight unit 200, more specifically, the backlight unit 200 may be provide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rised from the material which has each ductility.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액정층(Liguid Crystal Layer, 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합착되는 전면기판(401)과 후면기판(402)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100 may include a front substrate 401 and a rear substrate 402 bonded to each other with a liquid crystal layer (not shown) therebetween.

아울러, 전면기판(4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통과한 광을 편광시키는 위한 상부 편광판(403)이 배치되고, 후면기판(402)의 후면에는 후면기판(402)의 후방에 배치되는 광학층(310)을 통과한 광을 편광시키는 하부 편광판(404)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upper polarizing plate 403 for polarizing light passing through the display panel 100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substrate 401, and a rear surface of the rear substrate 402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substrate 402. The lower polarizer 404 may be disposed to polarize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layer 310.

전면기판(401)에는 R, G, B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컬러필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A color filter (not shown) for implementing R, G, and B colors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bstrate 401.

이러한, 컬러 필터는 레드(R), 그린(G) 및 블루(B) 서브 픽셀(Sub-pixel)로 이루어진 복수의 픽셀(Pixel)들을 포함하며, 광이 인가되는 경우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 하는 이미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color filter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composed of red (R), green (G), and blue (B) sub-pixels, and a color of red, green, or blue when light is applied. Can generate an image corresponding to

픽셀들은 레드, 그린 및 블루 서브 픽셀로 구성될 수 있으나, 레드, 그린, 블루 및 화이트(W) 서브 픽셀이 하나의 픽셀을 구성하는 등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ixels may be composed of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but the red, green, blue, and white (W) subpixels constitute one pixe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후면기판(402)에는 화소별로 액정을 온/오프(On/Off) 시키기 위한 소정의 트랜지스터(Transistor), 예컨대 TFT(Thin Film transistor)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기판(401)을 컬러 필터 기판이라 하고, 후면기판(402)을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이라 하는 것도 가능하다.A predetermined transistor, for example, a thin film transistor (TFT), may be formed in the rear substrate 402 to turn on / off liquid crystals for each pixel. Accordingly, the front substrate 401 may be referred to as a color filter substrate, and the rear substrate 402 may be referred to as a thin film transistor (TFT) substrate.

액정층은 복수의 액정 분자들로 이루어져 있고, 액정 분자들은 트랜지스터에 의해 공급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20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은 액정층의 분자 배열의 변화에 상응하여 컬러 필터에 입사될 수 있다.The liquid crystal laye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iquid crystal molecules,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may change the arrangement by the drive signal supplied by the transistor. Accordingly, the light provided from the backlight unit 200 may be incident on the color filter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molecular arrangement of the liquid crystal layer.

그러면, 컬러 필터에 의해 적어도 R, G, B 광이 구현됨으로써, 소정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Then, at least R, G, and B light are implemented by the color filter, so that a predetermined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00.

도 31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픽셀들 각각은 데이터라인(500)과 게이트라인(510)이 교차되고, 그 교차부에 접속된 TFT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1, each of the pixels of the display panel 100 may include a TFT in which the data line 500 and the gate line 510 cross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to an intersection thereof.

TFT는 게이트라인(510)으로부터의 게이트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라인(500)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을 액정셀(Clc)의 화소전극(520)에 공급한다. 액정셀(Clc)은 화소전극(520)의 전압과 공통전극(530)에 인가되는 공통전압(Vcom)의 전압차에 따라 발생되는 전계에 의해 회동하여 편광판을 통과하는 광양을 조절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액정셀(Clc)의 화소전극에 접속되어 액정셀(Clc)의 전압을 유지한다.The TFT supplies the data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data line 500 to the pixel electrode 520 of the liquid crystal cell Clc in response to the gate pulse from the gate line 510. The liquid crystal cell Clc is rotated by an electric field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of the pixel electrode 520 and the common voltage Vcom applied to the common electrode 530 to control the light flux passing through the polarizer. The storage capacitor Cst is connected to the pixel electro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Clc to hold the voltage of the liquid crystal cell Clc.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구조 및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에서 실시예의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할 것이다.Th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panel 100 are merely examples, and modifications, additions, and deletions of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2는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3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cklight unit.

도 32를 살펴보면, 백라이트 유닛(200)은 기판(610), 광원(620), 수지층(630) 및 반사층(64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2, the backlight unit 200 may include a substrate 610, a light source 620, a resin layer 630, and a reflective layer 640.

복수의 광원들(620)은 기판(610)에 형성되며, 수지층(630)은 복수의 광원들(620)을 감싸는 형태로 기판(61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620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610, and the resin layer 630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610 to surround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620.

기판(610)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커넥터(Connector, 미도시)와 광원(620)을 연결하기 위한 전극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610)의 상면에는 광원(620)과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한 탄소 나노 튜브 전극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는 광원(6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Power Supply Unit, 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n electrode pattern (not shown)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not shown) and the light source 620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610. For example, a carbon nanotube electrode pattern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610 to connect the light source 620 and the connector. The connect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that supplies power to the light source 620.

기판(610)은 필름 기판(Film Substrate)일 수 있다.The substrate 610 may be a film substrate.

광원(620)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이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620)으로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가 제공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겠다.The light source 620 may be one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 chip or a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having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chip. In this embodiment, a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is provided as the light source 620 as an example.

광원(620)은 적색, 청색, 녹색 등과 같은 컬러 중에서 적어도 한 컬러를 방출하는 유색 LED이거나 백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색 LED는 적색 LED, 청색 LED 및 녹색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의 배치 및 방출 광은 실시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620 may be a colored LED or a white LED emitting at least one of colors such as red, blue, green, and the like. Also, the colored LE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ed LED, a blue LED, and a green LED, and the arrangement and emission light of such a light emitting diode may be changed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embodiment.

한편, 기판(6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수지층(630)은 광원(6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확산시켜, 광원(6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균일하게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sin layer 630 disposed above the substrate 610 transmits and diffus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620,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620 is uniformly distributed to the display panel 100. Can be provided.

기판(610)과 수지층(630)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판(610)의 상면에는 광원(6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층(640)이 형성될 수 있다.A reflective layer 640 may be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610 and the resin layer 630, more specifically,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610 to reflec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620.

반사층(640)은 수지층(630)의 경계로부터 전반사되는 광을 다시 반사시켜 광원(6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보다 넓게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The reflective layer 640 may reflect the light totally reflected from the boundary of the resin layer 630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620 may be more widely diffused.

반사층(640)은 합성수지 재질의 시트 중 산화티탄 등의 백색안료가 분산된 것, 표면에 금속 증착막을 적층한 것, 합성수지제의 시트 중에 빛을 산란시키기 위하여 기포가 분산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 표면에 은(Ag)이 코팅(coating)될 수도 있다. 또는, 반사층(640)은 기판(610)의 상면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The reflective layer 640 may include a white pigment such as titanium oxide dispersed in a sheet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 metal deposition film laminated on a surface thereof, or a bubble dispersed to scatter light in a synthetic resin sheet. In order to increase the reflectance, silver (Ag) may be coated on the surface. Alternatively, the reflective layer 640 may be formed by co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610.

수지층(630)은 광투과성을 갖는 다양한 수지(resin)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수지층(63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틸렌 및 폴리에폭시, 실리콘, 아크릴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 혹은 적어도 두 개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resin layer 630 may be composed of various resins having light transmittance. For example, the resin layer 630 may include any one material or at least two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carbonate, polypropylene, polyethylene, polystyrene, polyepoxy, silicone, acrylic, and the like. Do.

수지층(630)은 광원(620) 및 반사층(640)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접착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지층(630)은 불포화폴리 에스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노말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노말 부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히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아미드, 메티롤 아크릴 아미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 부틸 아크릴레이트, 노말 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 혹은 삼원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및 멜라민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esin layer 630 may include a polymer resin having adhesiveness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ight source 620 and the reflective layer 640. For example, the resin layer 630 is unsaturated polyester,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normal butyl methacrylate, normal butyl methyl methacrylate,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hydride Hydroxy ethyl methacrylate, hydroxy propyl methacrylate, hydroxy ethyl acrylate, acrylamide, metyrol acrylamide, glycidyl methacrylate, ethyl acrylate, isobutyl acrylate, normal butyl acrylate, 2- It may comprise an acrylic, urethane, epoxy, melamine, such as ethyl hexyl acrylate polymer or copolymer or terpolymer.

수지층(630)은 액상 또는 겔(gel) 상의 수지를 복수의 광원들(620) 및 반사층(640)이 형성된 기판(610)의 상측 면에 도포한 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별도로 제작되어 기판(610)의 상측 면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resin layer 630 may be formed by applying a resin on a liquid or g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610 on which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620 and the reflective layer 640 are formed, and then curing the resin. It may be formed separately and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610.

여기서는, 백라이트 유닛(200)이 광원부(320), 광학층(310), 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하는 경우로 설명하고 있지만, 백라이트 유닛(200)은 도광판(미도시)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는, 백라이트 유닛(200)이라는 표현은 광원(620)을 의미하는 것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백라이트 유닛(200)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Although the backlight unit 200 is described as including the light source unit 320, the optical layer 310, and a frame (not shown), the backlight unit 200 may also include a light guide plate (not shown). have. Alternatively, the expression backlight unit 200 may be used to mean the light source 620. As such, the configuration of the backlight unit 200 may be variously changed.

또한, 백라이트 유닛(200)의 하측에는 백라이트 유닛(200)이 안착되는 하부 커버(bottom cover,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bottom cover (not shown) on which the backlight unit 200 is seated may be provided below the backlight unit 2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상기 분할된 영역들 각각의 그레이 피크값 또는 색 좌표 신호에 따라 대응되는 백라이트 유닛(200)의 영역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밝기, 즉 해당 광원의 밝기가 조절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휘도가 조절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panel 10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the display panel 100 may be divided from areas of the backlight unit 200 corresponding to gray peak values or color coordinate signals of each of the divided areas. The brightness of the emitted light, that is, the brightness of the corresponding light source, may be adjusted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panel 100.

그를 위해, 백라이트 유닛(20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분할된 영역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분할 구동 영역으로 구분되어 동작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backlight unit 20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ded driving reg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divided regions of the display panel 100.

본 발명에는 다양한 형태의 광원(620)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이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원은 적색, 청색, 녹색 등과 같은 컬러 중에서 적어도 한 컬러를 방출하는 유색 LED이거나 백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Various types of light sources 620 may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may be one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 chip or a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having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chip. In this case, the light source may be a colored LED or a white LED that emits at least one color among colors such as red, blue, green, and the like.

아울러, 여기서는 백라이트 유닛(200)이 직하형(Direct Type)의 일례인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에지형(Edge Type) 백라이트 유닛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only the case where the backlight unit 200 is an example of a direct type is illustrated here, an edge type backlight unit may be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3은 백라이트 유닛의 다른 구성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3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3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backlight unit.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3 will be omitted.

도 33을 살펴보면, 기판(610)에 복수의 광원들(620)이 실장되고, 기판(610)의 상측에는 수지층(630)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기판(610)과 수지층(630)사이에는 반사층(640)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3,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620 may be mounted on the substrate 610, and a resin layer 630 may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610. The reflective layer 640 may be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610 and the resin layer 630.

또한, 수지층(630)은 복수의 산란 입자들(63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산란 입자들(631)은 입사되는 광을 산란 또는 굴절시켜 광원(6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보다 넓게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in layer 6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cattering particles 631, and the scattering particles 631 may scatter or refract incident light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620 may be spread more widely. can do.

산란 입자(631)는 광원(6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산란 또는 굴절시키기 위해, 수지층(630)을 구성하는 물질과 상이한 굴절율을 가지는 재질, 보다 상세하게는 수지층(630)을 구성하는 실리콘계 또는 아크릴계 수지보다 높은 굴절율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scattering particles 63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terial of the resin layer 630, more specifically, a silicon-based material of the resin layer 630 in order to scatter or refrac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620. Or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refractive index than the acrylic resin.

예를 들어, 산란 입자(631)는 이산화 티타늄(TiO2), 이산화 실리콘(SiO2)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물질들을 조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cattering particles 631 may be composed of titanium dioxide (TiO 2), silicon dioxide (SiO 2), or the like, and may be formed by combining the above materials.

한편, 산란 입자(631)는 수지층(630)을 구성하는 물질보다 낮은 굴절율을 가지는 물질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지층(630)에 기포(bubble)를 형성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cattering particles 631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er refractive index than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resin layer 630, for example, may be formed by forming a bubble (bubble) in the resin layer 630. .

또한, 산란 입자(631)를 구성하는 물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물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이외에 다양한 고분자 물질 또는 무기 입자들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scattering particles 63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materials, and may be formed using various polymer materials or inorganic particl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지층(630)은 액상 또는 겔(gel)상의 수지에 산란 입자들(631)을 혼합한 후 복수의 광원들(620) 및 반사층(640)이 형성된 기판(610)의 상측 면에 도포한 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layer 630 is a substrate 610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620 and a reflective layer 640 are formed after mixing the scattering particles 631 with a resin in a liquid or gel form. It may be formed by apply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nd then curing.

도 33을 참조하면, 수지층(630)의 상측에는 광학층(31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광학층(310)은 프리즘 시트(651) 및 확산 시트(6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광학층(310)에 포함된 복수의 시트들은 서로 이격되지 않고 접착 또는 밀착된 상태로 제공되어, 광학층(310) 또는 백라이트 유닛(200)의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3, an optical layer 310 may be disposed on the resin layer 630, for example, the optical layer 310 may include a prism sheet 651 and a diffusion sheet 652. .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sheets included in the optical layer 310 may be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adhered or adhered to each other without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by minimizing the thickness of the optical layer 310 or the backlight unit 200.

한편, 광학층(310)의 하측 면이 수지층(630)에 밀착되고, 광학층(310)의 상측 면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측 면,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편광판(404)에 밀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surface of the optical layer 3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sin layer 630, the upper surface of the optical layer 3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more specifically, the lower polarizing plate 404. Can be.

확산 시트(652)는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켜 수지층(630)으로부터 나오는 광이 부분적으로 밀집되는 것을 방지하여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한다. 또한, 프리즘 시트(651)는 확산 시트(652)로부터 나오는 광을 집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수직하게 광이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The diffusion sheet 652 diffuses the incident light to prevent the light emitted from the resin layer 630 from being partially concentrated, thereby making the brightness of the light uniform. In addition, the prism sheet 651 may collect light from the diffusion sheet 652 to allow light to enter the display panel 100 verticall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광학층(310), 예를 들어 프리즘 시트(651) 및 확산 시트(652) 중 적어도 하나가 제거될 수 있고, 또는 프리즘 시트(651) 및 확산 시트(652) 이외에 다양한 기능층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layer 310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prism sheet 651 and the diffusion sheet 652 may be removed, or the prism sheet 651 and In addition to the diffusion sheet 652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variety of functional layers.

도 34를 살펴보면, 기판(610)에는 복수의 광원(620)들이 소정 타입으로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4,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620 may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610 in a predetermined type.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판(610)에는 기판(610)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620)들에게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송라인(Transport Line)이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transport line for supplying power to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620 disposed on the substrate 610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610.

아울러, 기판(610)에는 광원(6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단자(Vcc) 및 그라운드 단자(GND)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ower terminal Vcc and a ground terminal GND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620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610.

도 34의 경우와 같이, 기판(610)에 복수의 광원(620)들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를 직하방식(Direct Type)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직하방식에서 광원(620)을 구성하는 LED 패키지는 발광면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탑뷰(Top view) 방식과 사이드 뷰(Side view)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As shown in FIG. 34, a case in which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620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substrate 610 may be referred to as a direct type. In such a direct method, the LED package constituting the light source 620 may be divided into a top view method and a side view method according to a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emitting surface is directed.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700)의 등가회로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3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quivalent circuit of the display apparatus 7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타이밍 컨트롤러(710), 데이터 구동회로(720), 게이트 구동회로(730)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5, a display apparatus 7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100, a timing controller 710, a data driver circuit 720, a gate driver circuit 730, and the like.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의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데이터라인들(500)과 게이트라인들(510)의 교차 구조에 의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픽셀 어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panel 10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layer formed between the front substrate and the rear substrate. The display panel 100 may include pixel arrays arranged in a matrix by a cross structure of the data lines 500 and the gate lines 510.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TFT 어레이 기판에는 데이터라인들(500), 데이터라인들(500)과 교차되는 게이트라인들(510), 데이터라인들(500)과 게이트라인들(510)의 교차부에 형성된 TFT, TFT에 접속된 액정셀(Clc)의 화소전극, 화소전극에 접속된 스토리지 커패시터 등이 형성된다.The TFT array substrate of the display panel 100 includes data lines 500, gate lines 510 crossing the data lines 500, and intersections of the data lines 500 and the gate lines 510. The formed TFT, the pixel electro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Clc connected to the TFT, the storage capacitor connected to the pixel electrode, and the like are formed.

데이터라인들(500)은 컬럼 방향(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게이트라인들(510)은 컬럼 방향과 직교하는 라인 방향(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에는 블랙매트릭스, 컬러필터 등이 형성된다.The data lines 500 are formed along the column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the gate lines 510 are formed along the line direction (X-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lumn direction. Black matrices, color filters, and the like are formed on the color filter array substrate of the display panel 100.

액정셀들(Clc)은 TFT를 통해 공급된 비디오 데이터전압을 충전하고,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계에 의해 구동된다. 공통전극에는 공통전압(Vcom)이 공급된다. 공통전극은 TFT 어레이 기판 및/또는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TFT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 각각에는 편광판이 접착된다. TFT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 각각에서 액정층과 접하는 면에는 액정분자들의 프리틸트각(pre-tilt angle)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된다.The liquid crystal cells Clc charge the video data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TFT and are driven by the electric field between the pixel electrode and the common electrode. The common voltage Vcom is supplied to the common electrode. The common electrode may be formed on the TFT array substrate and / or the color filter array substrate. A polarizing plate is attached to each of the TFT array substrate and the color filter array substrate of the display panel 100. An alignment film for setting a pre-tilt angle of liquid crystal molecules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TFT array substrate and the color filter array substrate, which face the liquid crystal layer, respectively.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TN(Twisted Nematic) 모드와 VA(Vertical Alignment) 모드와 같은 수직전계 구동방식으로 구현되거나, IPS(In Plane Switching) 모드와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와 같은 수평전계 구동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과형 디스플레이 장치, 반투과형 디스플레이 장치, 반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등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투과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반투과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백라이트 유닛(200)이 필요하다.The display panel 100 is implemented in a vertical electric field driving method such as twisted nematic (TN) mode and vertical alignment (VA) mode, or a horizontal electric field driving method such as IPS (In Plane Switching) mode and FFS (Fringe Field Switching) mode. It can be implemented as.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ny form, such as a transmissive display device, a transflective display device, a reflective display device. In the transmissive display device and the transflective display device, the backlight unit 200 is required.

타이밍 컨트롤러(710)는 외부의 호스트 시스템(800)으로부터 입력된 입력 영상의 8 bit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6 bit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구동회로(720)에 공급할 수 있다.The timing controller 710 may convert 8-bit digital video data RGB of an input image input from an external host system 800 into 6-bit digital video data and supply it to the data driving circuit 720.

타이밍 컨트롤러(710)는 호스트 시스템(800)으로부터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도트 클럭(CLK) 등의 타이밍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 구동회로(720)와 게이트 구동회로(7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발생한다. 타이밍 제어신호들은 게이트 구동회로(730)의 동작 타임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 데이터 구동회로(720)의 동작 타이밍과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를 포함한다.The timing controller 710 receives timing signals such as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a data enable signal DE, and a dot clock CLK from the host system 800. Timing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driving circuit 720 and the gate driving circuit 730 are generated. The timing control signals include a gate tim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e of the gate drive circuit 730, a data tim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data drive circuit 720 and the polarity of the data voltage.

호스트 시스템(800)은 방송신호 수신기, 네비게이션 단말기,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의 메인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보드는 그래픽 컨트롤러의 스케일러(scaler)를 통해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와 함께 타이밍신호들(Vsync, Hsync, DE, DCLK)을 타이밍 컨트롤러(710)에 전송할 수 있다.The host system 800 may include a main board such as a broadcast signal receiver, a navigation terminal,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the like. The main board may transmit timing signals Vsync, Hsync, DE, and DCLK together with the digital video data RGB of the input image to the timing controller 710 through a scaler of the graphic controller.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ate Output Enable, GOE)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는 게이트 구동회로(730)의 동작 시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은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를 쉬프트시키기 위한 클럭신호이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OE)는 게이트 구동회로(730)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The gate timing control signal includes a gate start pulse (GSP), a gate shift clock (GSC), a gate output enable signal (GOE), and the like. The gate start pulse GSP controls the operation start timing of the gate drive circuit 730. The gate shift clock GSC is a clock signal for shifting the gate start pulse GSP. The gate output enable signal GOE controls the output timing of the gate drive circuit 730.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 소스 샘플링 클럭(SSC), 극성제어신호(POL),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E) 등을 포함한다.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 구동회로(720)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데이터 구동회로(720) 내에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의 샘플링 타이밍을 제어하는 클럭신호이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E)는 데이터 구동회로(720)의 출력 타이밍과 차지 쉐어링(Charge sharing timing)을 제어한다. 극성제어신호(POL)는 데이터 구동회로(7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전압의 극성 반전 타이밍을 지시한다.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includes a source start pulse SSP, a source sampling clock SSC, a polarity control signal POL, a source output enable signal SOE, and the like. The source start pulse SSP controls the data sampling start timing of the data driving circuit 720. The source sampling clock SSC is a clock signal for controlling the sampling timing of the digital video data in the data driving circuit 720. The source output enable signal SOE controls the output timing and charge sharing timing of the data driving circuit 720. The polarity control signal POL indicates the polarity inversion timing of the data voltage outputted from the data driving circuit 720. [

타이밍 컨트롤러(710)는 동영상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휘도를 조저하기 위해 백라이트 유닛(200)에 공급되는 구동신호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타이밍 컨트롤러(710)는 동영상 모드에서 도 34의 기판(210)에 형성된 전원단자(Vcc)에 공급되는 구동신호를 조절하여 광원(620)에서 발생되는 광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타이밍 컨트롤러(710)는 가혹조건모드에서 백라이트 유닛(200)이 발생시키는 광량을 조절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휘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동작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 하도록 한다.The timing controller 710 may adjust a driving signal supplied to the backlight unit 200 in order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panel 100 in the video mode. For example, the timing controller 710 may adjust the amount of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620 by adjusting the driving signal supplied to the power terminal Vcc formed on the substrate 210 of FIG. 34 in the video mode. In this way, the timing controller 710 adjusts the amount of light generated by the backlight unit 200 in the harsh condition mode,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panel 100. This operation is made clearer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데이터 구동회로(720)는 다수의 소스 드라이브 IC들을 포함한다. 데이터 구동회로(720)는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타이밍 콘트롤러(710)로부터 입력되는 6 bit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래치한다. 그리고 데이터 구동회로(720)는 극성제어신호(POL)에 응답하여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아날로그 정극성/부극성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정극성/부극성 아날로그 데이터전압을 생성한다. 데이터 구동회로(720)로부터 출력된 정극성/부극성 데이터전압은 데이터라인들(500)에 공급된다.The data driving circuit 720 includes a plurality of source drive ICs. The data driving circuit 720 latches the 6-bit digital video data (RGB) input from the timing controller 710 in response to 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The data driving circuit 720 converts the digital video data RGB to an analog positive / negative gamma compensation voltage in response to the polarity control signal POL to generate a positive / negative analog data voltage. The positive polarity / negative polarity data voltages output from the data driving circuit 720 are supplied to the data lines 500.

게이트 구동회로(730)는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데이터전압과 동기되는 게이트펄스를 게이트라인들(510)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The gate driving circuit 730 sequentially supplies gate pulses synchronized with the data voltage to the gate lines 510 in response to the gate timing control signals.

이상에서 설명한 타이밍 컨트롤러(710), 데이터 구동회로(720) 및 게이트 구동회로(730)를 통칭하여 구동부(Driver)라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위해 소정의 신호를 공급하는 것들을 통칭하여 구동부라 칭한다.The timing controller 710, the data driving circuit 720 and the gate driving circuit 730 described above may collectively be referred to as a driver. Hereinafter, those that supply a predetermined signal for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are collectively called a driver.

한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극(스캔 라인, 데이터 라인)으로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y also include a switching element for supplying a drive signal to the electrodes (scan line, data lin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예를 들면, 도 36의 경우와 같이, 데이터 구동회로(720)는 데이터 라인(D1~Dx)으로 데이터전압을 공급하는 복수의 데이터 IC(360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36, the data driving circuit 7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ata ICs 3600 for supplying data voltages to the data lines D1 to Dx.

이러한 데이터 IC(3600)는 데이터 전압(Vd)을 공급하는 데이터 전압원과 접지(GND)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스위치(S1)와 제 2 스위치(S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IC 3600 may include a first switch S1 and a second switch S2 disposed between the data voltage source supplying the data voltage Vd and the ground GND.

아울러, 제 1 스위치(S1)와 제 2 스위치(S2)의 사이 노드(n1)에서 데이터 라인(D1~Dx)과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line D1 to Dx may be connected to the node n1 between the first switch S1 and the second switch S2.

이러한 데이터 IC(3600)에 흐르는 구동전류(Ia), 예컨대 제 1 스위치(S1)에 흐르는 구동전류를 고려하여 가혹조건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앞선 11 및 그에 대응하는 내용으로 충분히 유추할 수 있다.In consideration of the driving current Ia flowing through the data IC 3600, for example, the driving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switch S1, it is possible to set to the harsh condition mode. This can be inferred from the foregoing 11 and the corresponding contents.

또한, 데이터 IC(3600)에 흐르는 전류 뿐 아니라 영상 데이터의 히스토그램을 고려하여 가혹조건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기에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histogram of the image data as well a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ata IC 3600, it is possible to set to the harsh condition mode. Since it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가혹조건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를 낮추기 위해 백라이트 유닛에서 발생하는 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Meanwhile, in the harsh condition mode, the amount of light generated by the backlight unit may be reduced in order to reduce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panel.

예를 들면, 도 37의 경우와 같이, 일반모드에서 백라이트 유닛에서 발생하는 광의 휘도(Cd1)는 가혹조건모드에서 백라이트 유닛에서 발생하는 광의 휘도(Cd2)보다 더 높을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37, the luminance Cd1 of the light generated in the backlight unit in the normal mode may be higher than the luminance Cd2 of the light generated in the backlight unit in the harsh condition mode.

이러한 경우에도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전원공급장치(PSU)의 제조단가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Eve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and to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ower supply unit (PSU).

가혹조건모드에서 백라이트 유닛에서 발생하는 광량을 줄이기 위해 백라이트 유닛에 공급하는 구동신호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백라이트 유닛이 앞선 도 3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의 기판(210)과 광원(220)들을 포함하는 것을 가정한다.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riving signal supplied to the backlight unit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light generated in the backlight unit in the harsh condition mode. To illustrate this, it is assumed that the backlight unit includes the substrate 210 and the light sources 220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5.

예를 들어, 도 38의 (A)의 경우와 같이, 일반모드에 따른 프레임에서는 제 1 전압(V1)을 갖는 구동신호를 기판(210)의 전원단자(Vcc)로 공급하여 광원(220)들을 턴-온시킬 수 있다. 아울러, 가혹조건모드에 따른 프레임에서는 제 1 전압(V1)보다 낮은 제 2 전압(V2)을 갖는 구동신호를 기판(210)의 전원단자(Vcc)로 공급하여 광원(220)들을 턴-온시킬 수 있다. 즉, 가혹조건모드에서 광원(220)에 공급되는 구동신호의 전압(V2)을 일반모드에서 광원(220)에 공급되는 구동신호의 전압(V1)보다 더 작게 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200)이 발생시키는 광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38A, in the frame according to the general mode, the light sources 220 are supplied by supplying a driving signal having the first voltage V1 to the power terminal Vcc of the substrate 210. It can be turned on. In addition, in the frame according to the harsh condition mode, the light source 220 may be turned on by supplying a driving signal having a second voltage V2 lower than the first voltage V1 to the power terminal Vcc of the substrate 210. Can be. That is, the backlight unit 200 generates power by making the voltage V2 of the driving signal supplied to the light source 220 in the harsh condition mode smaller than the voltage V1 of the driving signal supplied to the light source 220 in the normal mod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light.

또는, 도 38의 (B)의 경우와 같이 일반모드에 따른 프레임에서는 광원(220)에 ①~⑧ 구동펄스(Driving Pulses, DP)가 공급되어 광원(220)이 턴-온되고, 가혹조건모드에 따른 프레임에서는 광원(220)에 ①~⑤ 구동펄스(DP)가 공급되어 광원(220)이 턴-온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B) of FIG. 38, in the frame according to the general mode, 1 to 8 driving pulses (DP) are supplied to the light source 220, and the light source 220 is turned on, and the severe condition mode is performed. In the frame according to ① ~ ⑤ driving pulse (DP) is supplied to the light source 220 may be turned on the light source 220.

이처럼, 가혹조건모드에서는 광원(220)에 공급되는 구동펄스(DP)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백라이트 유닛(200)에서 발생하는 광량을 줄일 수 있다.As such, in the harsh condition mode, the amount of light generated by the backlight unit 200 may be reduced by reducing the number of driving pulses DP supplied to the light source 220.

또는, 도 38의 (C)의 경우와 같이 일반모드에 따른 프레임에서는 광원(220)에 제 1 펄스폭(W1)을 갖는 제 1 구동펄스(DP1)를 공급하여 광원(220)을 턴-온시키고, 가혹조건모드에 따른 프레임에서는 광원(220)에 제 1 펄스폭(W1)보다 작은 제 2 펄스폭(W2)을 갖는 제 2 구동펄스(DP2)를 공급하여 광원(220)을 턴-온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in the frame according to the normal mode as shown in FIG. 38C, the light source 220 is turned on by supplying the first driving pulse DP1 having the first pulse width W1 to the light source 220. In the frame according to the severe condition mode, the light source 220 is turned on by supplying a second driving pulse DP2 having a second pulse width W2 smaller than the first pulse width W1 to the light source 220. You can.

이처럼, 가혹조건모드에서는 광원(220)에 공급되는 구동펄스(DP)의 펄스폭을 줄임으로써 백라이트 유닛(200)에서 발생하는 광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harsh condition mode, the amount of light generated by the backlight unit 200 may be reduced by reducing the pulse width of the driving pulse DP supplied to the light source 220.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가혹조건모드에서는 광원(220)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줄여 백라이트 유닛(200)에서 발생하는 광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in the harsh condition mod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light generated by the backlight unit 200 by reducing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light source 220.

한편, 가혹조건모드에서 패턴의 양이 증가(구동전류(Ia)의 크기가 증가,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횟수가 증가)하는 경우에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를 더욱 낮추는 것, 즉 백라이트 유닛에서 발생하는 광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the pattern increases in the harsh condition mode (the size of the driving current Ia increases and the number of switching of the switching elements increases),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is further lowered, that is, generated in the backlight uni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light.

예를 들면, 도 39의 경우와 같이, 일반모드에서 가혹조건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백라이트 유닛에서 발생하는 광의 휘도가 감소할 수 있고, 아울러 패턴의 양이 증가하는 경우에 백라이트 유닛에서 발생하는 광량은 더욱 감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일반모드에서 백라이트 유닛에서 발생하는 광의 휘도를 제 1 휘도(Cd1)라고 가정하면, 가혹조건모드에서 백라이트 유닛에서 발생하는 광의 휘도는 제 1 휘도(Cd1)보다 낮은 제 2 휘도(Cd2)이고, 패턴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 백라이트 유닛에서 발생하는 광의 휘도는 제 2 휘도(Cd2)에서 제 3 휘도(Cd3)로 감소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39, when entering the harsh condition mode in the normal mode, the brightness of light generated in the backlight unit may decrease, and when the amount of the pattern increases, the amount of light generated in the backlight unit may be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luminance of light generated in the backlight unit in the normal mode is the first luminance Cd1, the luminance of light generated in the backlight unit in the harsh condition mode is lower than the first luminance Cd1. When the amount of the pattern is increased, the luminance of light generated by the backlight unit may decrease from the second luminance Cd2 to the third luminance Cd3.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되는 방송신호 수신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기의 일례로 기술되는 방송신호 수신기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방송신호 수신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4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broadcast signal receiver to which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described herein as an example of a terminal is, for example, an intelligent broadcast signal receiver in which a computer support function is added to the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is faithful to the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nd has an Internet function added thereto. It can be equipped with a more convenient interface such as a space remote control. In addition, by being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a computer with the support of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func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functions such as e-mail, web browsing, banking or gaming. A standardized general-purpose OS can be used for these various functions.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방송신호 수신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Accordingly,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various user-friendly functions because various applications can be freely added or deleted on a general-purpose OS kernel, for example. More specifically,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may be, for example, a network TV, an HBBTV, a smart TV, or the like, and may be applied to a smartphone in some cases.

도 40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는, 구동부(110), 디스플레이부(100) 및 오디오 출력부(185Q)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10)는 앞서 설명한 도 1의 부호 110 또는 도 35의 710, 720, 73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00)는 앞서 설명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혹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해당되는 것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40,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iver 110, a display unit 100, and an audio output unit 185Q. Here, the driving unit 110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reference numeral 110 of FIG. 1 or 710, 720, and 730 of FIG. 35.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00 may correspond to the above-described plasma display panel 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구동부(110)는 방송 수신부(105Q),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저장부(140Q),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 제어부(170Q), 전원공급부(190Q),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Q)는, 튜너(110Q), 복조부(120Q),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er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er 105Q,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135Q, a storage 140Q, a user input interface 150Q, a controller 170Q, a power supply 190Q, and a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 May be included.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105Q may include a tuner 110Q, a demodulating unit 120Q, and a network interface unit 130Q.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110Q)와 복조부(120Q)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구비하면서 튜너(110Q)와 복조부(12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the tuner 110Q and the demodulator 120Q may be provided, but the network interface 130Q may not be included. Alternatively, the tuner 110Q and the demodulator 120Q may be included,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it not to include the demodulator 120Q.

튜너(110Q)는,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The tuner 110Q selects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ll previously stored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s. Also,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converte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 baseband image, or a voice signal.

복조부(120Q)는, 튜너(110Q)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The demodulator 120Q receives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110Q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예를 들어, 튜너(110Q)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Q)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Q)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Q)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Q is of the ATSC scheme, the demodulator 120Q performs 8-VSB (8-Vestigal Side Band) demodulation, for example. Also, the demodulator 120Q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The demodulator 120Q includes a trellis decoder, a de-interleaver, and a Reed Solomon decoder for performing trellis decoding, deinterleaving, and lead decoding. Solomon decoding can be performed.

복조부(120Q)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The demodulator 120Q may demodulate and decode the channel, and then output the stream signal TS. At this time, the stream signal may be a signal in which a video signal, a voice signal, or a data signal is multiplexed.

복조부(120Q)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Q)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0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Q)로 음성을 출력한다.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ion unit 120Q may be input to the control unit 170Q. The control unit 170Q performs demultiplexing, video / audio signal processing, and the like, and then outputs the video to the display unit 100 and the audio output unit 185Q.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외부 장치와 방송신호 수신기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may connect the external device 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Q) 또는 저장부(140Q)로 전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can receive the application or application list in the adjacent external device, and can transmit the application or application list to the control unit 170Q or the storage unit 140Q.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방송신호 수신기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Q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with a wired / wireless network including an internet network.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Q can transmit or receive data to another user or another electronic device via the network to which it is connected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및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Q may receive data and broadcast signals for the multicast service.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LAN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Ethernet Port인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Q can be an Ethernet port applicable to a LAN environment.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40Q may store a program for each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in the control unit 170Q or may store a signal-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

또한, 저장부(140Q)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Q)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Q may also function to temporarily store video, audio, or data signals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Q.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Q can store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broadcast channel through the channel memory function.

도 40은 저장부(140Q)가 제어부(170Q)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40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torage unit 140Q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70Q,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orage unit 140Q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170Q.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Q)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transmits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170Q or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170Q to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Q)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Q)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may turn on / off the power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Q, select a channel, select a channel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Q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n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method, Or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Q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Q.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Q)에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can transmit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local key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 value to the controller 170Q.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Q)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sensing unit (not shown) that senses a user's gesture to the control unit 170Q, or may sense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Q (Not shown). Here, the sensing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touch sensor, an audio sensor, a position sensor, an operation sensor, and the like.

제어부(170Q)는, 튜너(110Q) 또는 복조부(12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Q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or processes the demultiplexed signals through the tuner 110Q or the demodulation unit 120Q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to generate a signal for video or audio output Can be generated and output.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0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Q is input to the display unit 100 and can be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Q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Q)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The audio signal processed in the control unit 170Q may be output to the audio output unit 185Q. In addition, the voice signal processed in the controller 170Q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또한,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방송신호 수신기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Q may control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by a user command or an internal program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예를 들어,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Q)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Q)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0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Q)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70Q controls the tuner 110Q to input a signal of a selected channe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hannel selection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Then, video, audio, or data signals of the selected channel are processed. The controller 170Q may output the channel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ogether with the processed video or audio signal through the display unit 10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Q.

다른 예로,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0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Q)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70Q may, for example, receive an external device image playback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from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camera or a camcorder,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0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Q.

한편, 제어부(170Q)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Q)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Q)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170Q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00 to display an image. For example, a broadcast image input through the tuner 110Q, an external input imag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an image input through a network interface unit, or an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Q. The display unit 100 may control the display to be displayed.

디스플레이부(100)는,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에 대응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00 may output an image in response to an image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Q, or an image signal, a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오디오 출력부(185Q)는, 제어부(170Q)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Q)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85Q receives th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Q and outputs it as a voice. The voice output unit 185Q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of speakers.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방송신호 수신기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해 제어부(170Q)로 전달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detect the gesture of the user, as described above, a sensing unit (not show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nd a motion sensor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A signal sensed by a sensing unit (not show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70Q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Q)에 입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for photographing a user may be further provided.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may be input to the control unit 170Q.

제어부(170Q)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70Q may sense the gesture of the user by combining the images captur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or the sensed signals from the sensing unit (not shown), respectively.

전원 공급부(190Q)는, 방송신호 수신기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는 앞서 언급한 전원공급장치(PSU)에 대응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Q supplies the corresponding power throughout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The power supply unit may correspond to the aforementioned power supply unit PSU.

원격제어장치(200Q)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200Q transmits the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To this end,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can use Bluetooth,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infrared (IR) communication, UWB (Ultra Wideband), ZigBee, or the like.

또한, 원격제어장치(20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Q)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Als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Q can receive the video, audio, or data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and display it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Q or output voice or vibration.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erefore,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영상을 표시하며 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전극에 영상 표시를 위한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가혹 조건 모드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panel displaying an image and including an electrode; And
A driver supplying a driving signal for displaying an image to the electrode of the display panel;
Lt; / RTI >
The driving unit
A display device for reduc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panel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in the harsh condition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혹 조건 모드는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상기 영상 데이터의 히스토그램(Histogram)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이고, 상기 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설정된 임계 전류 이상인 경우에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arsh condition mode is set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histogram of the image data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time or more, an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witching element for su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electrod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current. Display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이 배치되는 전면기판;
상기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에 교차하는 어드레스 전극이 배치되는 후면기판; 및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후면기판의 사이에서 방전셀을 구획하는 격벽;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서브필드(Subfield)의 어드레스 기간에서 상기 어드레스 전극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IC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혹 조건 모드에서 상기 서브필드의 상기 어드레스 기간 이후의 서스테인 기간에서 상기 스캔 전극 및 상기 서스테인 전극으로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play panel
A front substrate on which scan electrodes and sustain electrodes are disposed;
A rear substrate having an address electrode intersecting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And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a discharge cell between the front substrate and the rear substrate;
/ RTI >
The driving unit
A data IC for supplying a data signal to the address electrode in an address period of a subfield;
The driving unit
And the number of sustain signals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in the sustain period after the address period of the subfield in the harsh condition mod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IC는 상기 스위칭 소자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the data IC corresponds to the switching elemen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중 제 1 프레임(Frame 1)과 제 2 프레임(Frame 2)의 평균 화소 레벨(Average Picture Level, APL)이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 1 프레임에서 수직방향으로 인접하는 방전셀 간에 상기 데이터의 변화 횟수는 상기 제 2 프레임에서 수직방향으로 인접하는 방전셀 간에 상기 데이터의 변화 횟수보다 더 많은 경우,
상기 제 1 프레임에 할당되는 상기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는 상기 제 2 프레임에 할당되는 상기 서스테인 신호의 총 개수보다 더 적은 디스플레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verage pixel level (Average Picture Level, APL) of the first frame (Frame 1) and the second frame (Frame 2) of the image data is the same,
When the number of changes of the data between the discharge cells adjac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irst frame is more than the number of changes of the data between the discharge cells adjac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econd frame,
And a total number of the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first frame is less than a total number of the sustain signals allocated to the second fram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에 따른 영상 데이터는 상기 가혹 조건 모드에서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이고,
상기 제 2 프레임에 따른 영상 데이터는 일반 모드(Normal)에서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인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first frame is image data supplied in the harsh condition mode.
And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frame is image data supplied in a normal mode.
제 2 항에 있어서,
광을 발산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대항되게 배치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 및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후면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Data Line)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IC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혹 조건 모드에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 공급하는 전력을 감소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backlight unit (Back Light Unit) for emitting light,
The display panel
A front substrate and a rear substrat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A liquid crystal layer disposed between the front substrate and the rear substrate;
/ RTI >
The driving unit
A data IC for supplying a data signal to a data line formed on the display panel;
The driving unit
And a display device to reduce power supplied to the backlight unit in the harsh condition mod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중 제 1 프레임(Frame 1)과 제 2 프레임(Frame 2)의 평균 화소 레벨(Average Picture Level, APL)이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 1 프레임에서 수직방향으로 인접하는 셀 간에 상기 데이터의 변화 횟수는 상기 제 2 프레임에서 수직방향으로 인접하는 셀 간에 상기 데이터의 변화 횟수보다 더 많은 경우,
상기 제 1 프레임에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발산하는 광의 휘도는 상기 제 2 프레임에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발산하는 광이 휘도보다 더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verage pixel level (Average Picture Level, APL) of the first frame (Frame 1) and the second frame (Frame 2) of the image data is the same,
When the number of changes of the data between the cells adjac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irst frame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changes of the data between the cells adjac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econd frame,
And a luminance of light emitted from the backlight unit in the first frame is smaller than luminance emitted from the backlight unit in the second fram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에 따른 영상 데이터는 상기 가혹 조건 모드에서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이고,
상기 제 2 프레임에 따른 영상 데이터는 일반 모드(Normal)에서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인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first frame is image data supplied in the harsh condition mode.
And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frame is image data supplied in a normal mo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혹 조건 모드에서 상기 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클수록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의 감소폭이 증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decrease in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increases as a current flowing through a switching element for su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electrode in the harsh condition mode increases.
KR1020120070737A 2012-06-29 2012-06-29 Display Apparatus KR1020235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737A KR102023564B1 (en) 2012-06-29 2012-06-29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737A KR102023564B1 (en) 2012-06-29 2012-06-29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102A true KR20140003102A (en) 2014-01-09
KR102023564B1 KR102023564B1 (en) 2019-09-23

Family

ID=5013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737A KR102023564B1 (en) 2012-06-29 2012-06-29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564B1 (en)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353A (en) * 2001-03-15 2002-09-26 삼성전자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 function of adaptive brightness intensifier and method for therefor
KR20050068172A (en) * 2003-12-29 2005-07-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KR20060014797A (en) * 2004-08-12 2006-02-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lasm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afterimage thereof
KR20070096354A (en) * 2006-03-23 2007-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Plasma display panel its control method
KR20090000456A (en) * 2007-06-28 2009-01-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Method to cancel ghost for plasma display panel and a plasma display panel device
KR20100045915A (en) * 2008-10-24 2010-05-0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Display device
KR20100058277A (en) * 2008-11-24 2010-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20100098873A (en) * 2009-03-02 2010-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Plasma display apparatus
KR20100099448A (en) * 2009-03-03 2010-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20110045643A (en) * 2009-10-27 2011-05-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353A (en) * 2001-03-15 2002-09-26 삼성전자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 function of adaptive brightness intensifier and method for therefor
KR20050068172A (en) * 2003-12-29 2005-07-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KR20060014797A (en) * 2004-08-12 2006-02-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lasm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afterimage thereof
KR20070096354A (en) * 2006-03-23 2007-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Plasma display panel its control method
KR20090000456A (en) * 2007-06-28 2009-01-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Method to cancel ghost for plasma display panel and a plasma display panel device
KR20100045915A (en) * 2008-10-24 2010-05-0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Display device
KR20100058277A (en) * 2008-11-24 2010-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20100098873A (en) * 2009-03-02 2010-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Plasma display apparatus
KR20100099448A (en) * 2009-03-03 2010-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20110045643A (en) * 2009-10-27 2011-05-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564B1 (en) 201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7560A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6328077B (en) Display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for using display device
KR101793284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954934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964466B1 (en) Display apparatus
CN101271674B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EP3340227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073065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637702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local dimming of the same
US864888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889042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light source in backlight unit
CN102467896B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global dimming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08322B1 (e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13080985A1 (en) Control unit, display device including control unit, and control method
KR10170590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2145280B1 (en) Display apparatus
CN103680425A (en) Luminance control device of backlight source, backlight source and display device
KR101495347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023564B1 (en) Display Apparatus
KR20100008501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728349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dual display
KR20120102411A (en) Display apparatus
KR101789330B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cluding photo senso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30142441A (en) Display apparatus
KR20140098387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