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461A - 전지모듈 - Google Patents

전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461A
KR20140002461A KR1020127020608A KR20127020608A KR20140002461A KR 20140002461 A KR20140002461 A KR 20140002461A KR 1020127020608 A KR1020127020608 A KR 1020127020608A KR 20127020608 A KR20127020608 A KR 20127020608A KR 20140002461 A KR20140002461 A KR 20140002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ell
potential
battery module
collect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0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야 게시
마사토시 나가야마
다이스케 기시이
히로시 뎀묘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02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2Inorganic material
    • H01M50/224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5Gas exhaust passages comprising elongated, tortuous or labyrinth-shaped exhaust pass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01M50/529Intercell connections through partitions, e.g. in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5Terminals formed by the casing of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sh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전지모듈(100)에 있어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소(素)전지(10)가 홀더(20) 내에 수용되고, 소전지(10)는, 양극(1), 음극(2) 및 세퍼레이터(2)를 포함한 전극군(4)이 전지케이스(7)에 수용되며, 전지케이스(7)는, 양극(1) 및 음극(2)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한 제 1 전위(電位)를 가지고, 홀더(20)는, 복수의 소전지(10)를 개개로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21)를 가지며, 또 제 1 전위와 반대의 전위인 제 2 전위를 가지고, 소전지(10)는 전지케이스(7)와 홀더(20)가 절연된 상태에서 수용부(21)에 수용된다.

Description

전지모듈{CELL MODULE}
본 발명은, 복수의 소(素)전지를 구비한 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복수의 전지를 케이스에 수용하여, 소정의 전압 및 용량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 전지모듈이 여러 가지 기기 및 차량 등의 전원으로써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범용적(汎用的)인 전지를 병렬 또는 직렬 접속하여, 소정의 전압 및 용량을 출력하는 조(組)전지를 모듈화하고, 이 전지모듈을 여러 가지로 조합함으로써, 다종 다양한 용도에 대응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채용되기 시작하였다. 이 모듈화 기술은, 전지모듈에 수용되는 전지를 고성능화함으로써, 전지모듈 자체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로써, 전지모듈은 차량 등 한정된 공간에 탑재될 때의 자유도가 향상되는 등 여러 가지 이점을 갖는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등을 참조).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평성 10-106521호 공보
그러나, 전지모듈에 수용되는 전지의 고성능화에 수반하여, 1개의 전지에서 단락(短絡)이 일어난 경우, 이 전지에 발열 및 발연(發煙) 등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 발열 등의 영향이 같은 전지모듈 내의 다른 전지에 미치면, 전지모듈 전체에 발열 및 발연이 발생한다. 단락이 일어나는 요인으로써는, 예를 들어, 전지모듈을 탑재한 차량의 충돌 및 기기의 낙하 등에 의해, 못 등 도전성을 갖는 뾰족한 물질이나,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도전성(導電性) 부재가 전지에 눌려 전지를 관통하고(이하, 외부요인이라 부름), 전지 내의 양극과 음극의 사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주된 목적은, 안전성이 높은 전지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지모듈을, 소전지가 수용된 홀더에 소전지의 전지케이스와 반대의 전위(電位)가 부여된 구성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관한 전지모듈은,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소전지(이하, 전지모듈에 사용되는 전지를, "소전지"라 부름)가 홀더 내에 수용된 전지모듈에 있어서, 소전지는, 양극, 음극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전극군이 전지케이스에 수용되고, 전지케이스는,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한 제 1 전위를 가지며, 홀더는, 복수의 소전지를 개개로,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를 가지며, 또, 제 1 전위와 반대의 전위인 제 2 전위를 가지고, 소전지는, 전지케이스와 홀더가 절연된 상태에서 수용부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전지모듈에 의하면, 전지케이스는 제 1 전위를 가지며, 홀더는 제 1 전위와 반대의 전위인 제 2 전위를 가지므로, 외부요인에 의해 홀더에 수용된 소전지 내에서 내부단락(短絡)이 일어났다 하더라도, 소전지 외부의 홀더와 소전지 표면과의 사이에서 외부단락이 일어나 소전지 내의 충전전류가 소전지의 외부로 방전된다. 이로써, 소전지 내에서의 단락 전류는 작은 것으로 되어, 발열은 작아지고, 발연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지모듈에 의하면, 외부요인에 의해 소전지 내에서 단락이 발생하여도 소전지의 발열 및 발연이 발생하기 어려우므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모듈의 소전지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모듈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모듈의 홀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모듈의 홀더와 양극 집전판의 접속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모듈에 못 등 도전성을 갖는 뾰족한 물질이 관통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a)은 홀더에 전지케이스와 반대의 전위를 부여하지 않은 전지모듈에 못 등 도전성을 갖는 뾰족한 물질이 관통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b)은 도 6(a)의 상태에서 소전지의 단락 전류 및 전압의 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모듈에 못 등 도전성을 갖는 뾰족한 물질이 관통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b)은 도 7(a)의 상태에서 소전지의 단락 전류 및 전압의 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모듈의 음극단자와 음극 양극판과의 사이에 전류 제한수단을 설치한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한 변경은 가능하다.
먼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모듈에 이용되는 소전지에 대해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모듈의 소전지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모듈에 이용되는 소전지(10)는, 각각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판(1)과 음극판(2)이 세퍼레이터(3)를 개재하고 권회(捲回)되어 구성된 전극군(4)과, 이 전극군(4) 및 비수전해질을 수용하며 또 금속으로 이루어진 전지케이스(7)를 구비한다. 전지케이스(7)의 상부에는 개구부(開口部)가 형성되며, 이 개구부는 가스켓(9)을 개재하고 밀봉판(8)으로 밀봉된다. 양극판(1)은, 양극리드(5)를 개재하고 양극단자를 겸하는 밀봉판(8)에 접속된다. 음극판(2)은, 음극리드(6)를 개재하고, 음극단자를 겸하는 전지케이스(7) 저부(底部)에 접속된다. 즉, 전지케이스(7)는 음(-)의 전위(제 1 전위)를 갖는다. 밀봉판(8)에는, 개방부(8a)가 형성되고, 내부단락 등에 의해 소전지(10) 내에 가스가 발생했을 때에, 이 가스는 개방부(8a)로부터 소전지(10) 외부로 배출된다. 소전지(10) 외측면은 전지케이스(7)에 의해 구성되나, 전지케이스(7)에 한정되지 않으며, 양(+)의 전위 또는 음의 전위를 갖는 것이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또 소전지(10)의 외각(外殼)으로써 구성될 수 있는 형태라면 된다. 또, 전지케이스(7)의 외측면에는, 열 수축하는 절연성 수지필름(7a)이 감겨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소전지(10)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리튬이온 전지 및 니켈 수소전지 등의 이차전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원통형 전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각형전지 등이라도 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모듈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모듈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모듈 홀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모듈(100)은, 복수의 소전지(10)가, 그 극성(極性)을 동일 방향으로 맞추어 배열되고, 케이스(60)에 수용된다. 복수의 소전지(10)는, 도 3에 나타내는 홀더(20)에 수용되며, 각각의 소전지(10)는, 홀더(20)에 형성된 수용부(21)에 수용된다. 홀더(20)와 전지케이스(7)의 측면은, 수지필름(7a)에 의해 절연성이 유지된다. 그리고, 홀더(20)와 전지케이스(7) 사이의 절연성을 유지하는 방법은, 전지케이스(7)에 수지필름(7a)을 감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홀더(20)와 전지케이스(7) 사이에 절연성 부재를 배치해도 된다.
여기서, 홀더(20)는, 열 전도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소전지(10)에서 발생한 열을, 홀더(20)측으로 신속히 방열시킬 수 있으므로, 소전지(10)의 온도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복수 소전지(10)의 양(+)의 전위(제 2 전위)를 갖는 양극단자(제 2 전극단자)(11)측에는, 양극단자(1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양극 집전판(제 2 집전판)(30)이 배치되고, 또, 음(-)의 전위(제 1 전위)를 갖는 음극단자(제 1 전극단자)(12)측에는, 음극단자(12)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음극 집전판(제 1 집전판)(40)이 배치된다. 양극 집전판(30)은,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양극측 홀더(31)를 개재하고 소전지(10)에 밀착하도록 배치된다. 또, 홀더(20)와 음극 집전판(40) 사이에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평판형상 스페이서(50)가 배치된다. 양극 집전판(30)에는, 전지모듈(100)의 한쪽 극(여기서는 양극)의 외부단자(도시 않음)가 설치되고, 음극 집전판(40)에는, 다른 쪽 극(여기서는 음극)의 외부단자(도시 않음)가 설치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복수의 소전지(10)가, 그 극성을 동일 방향으로 맞추어 배열되는 경우에는, 양극 집전판(30)을, 도전성 평판으로 이루어진 양극 버스바(bus bar)로 구성함으로써, 용이하게 병렬 접속을 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음극 집전판(40)을, 도전성 평판으로 이루어진 음극 버스바로 구성함으로써, 용이하게 병렬 접속을 행할 수 있다. 또, 양극 집전판(30) 및 음극 집전판(40)은, 예를 들어, 소전지(10)끼리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패턴이 형성된 회로기판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 케이스(60)는, 양극 집전판(30)과의 사이에 내부공간인 배기실(70)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케이스(60)에는 배기실(70)과 외부를 연통(連通)시키는 배출구(6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양극 집전판(30)에, 각각의 소전지(10)의 양극단자(11)가 삽입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개방부(8a)와 배기실(70)을 연통시킴으로써, 소전지(10)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배기실(70)을 개재하고, 배출구(61)로부터 케이스(6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다음에, 홀더(20)와 양극 집전판(30)과의 접속방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모듈의 홀더와 양극 집전판과의 접속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듯이, 홀더의 단부(端部)(20a)와 양극 집전판(30)에 나사공(孔)(또는 볼트공)이 형성되며, 이들 나사공을 관통하도록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접속부재인 나사(80a)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홀더(20)는, 나사(80a)를 개재하고 양극 집전판(30)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양의 전위를 갖는다. 여기서, 홀더(20)와 양극 집전판(30)과의 접속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홀더(20)와 양극 집전판(30)을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방법이면 된다.
한편, 홀더(20)와 음극 집전판(40)과의 사이에는, 상기와 같이,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평판형상 스페이서(50)가 배치되며, 홀더(20)와 음극 집전판(40)은 절연된 구성이 된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모듈에 못 등 도전성을 갖는 뾰족한 물질이 관통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듯이, 못 등 도전성을 갖는 뾰족한 물질(90)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모듈(100)을 관통하는, 구체적으로, 도전성 물질(90)이 홀더(20)를 관통하고, 또한, 이 홀더(20)의 관통부분에 인접하는 소전지(10)(이하, 단락 소전지(10a)라 함)를 관통하면, 양극판(1)과 음극판(2) 사이에서 내부단락이 일어남과 동시에, 양의 전위를 갖는 홀더(20) 및 음의 전위를 갖는 단락 소전지(10a)의 전지케이스(7)와의 사이에 단락(외부단락)이 일어난다. 이 외부단락에 의해, 소전지(10)의 외부에 소전지(10) 내의 충전전류가 지배적으로 방전되므로, 단락 소전지(10a) 내에서의 내부단락에 의한 발열은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발연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외부단락에 의한 효과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은 홀더에 전지케이스와 반대의 전위를 부여하지 않은 전지모듈에 못 등 도전성을 갖는 뾰족한 물질이 관통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b)은 도 6(a)의 상태에서 소전지의 단락전류 및 전압의 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모듈에 못 등 도전성을 갖는 뾰족한 물질이 관통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b)은 도 7(a)의 상태에서 소전지의 단락전류 및 전압의 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소전지(10) 내에서 양극판(1) 및 음극판(2)은 세퍼레이터(3)를 개재하고 권회(捲回)되나, 도 6(a) 및 도 7(a)에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각각을 고리형상으로 나타낸다.
도 6(a) 및 (b)에 나타내듯이, 단독의 전지에 못 등이 관통한 경우, 양극판(1)과 음극판(2) 사이에서 내부단락이 발생하나, 복수의 소전지가 병렬로 접속된 전지모듈에 못 등이 관통한 경우, 못 등에 의해 관통된 단락 소전지(10a)에서 내부단락(92)이 일어나고, 다른 정상인 소전지(10)(이하, 다른 소전지(10b)라 함)의 전류가 외부 장치와 접속하는 외부단자 쪽으로 흐르지 않고, 보다 저항이 작은 단락 소전지(10a)로 유입되게 된다. 이 때문에, 단락 소전지(10a)로 유입되는 전류량은 커지고, 발열 및 발연 등의 우려도 커진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a) 및 (b)에 나타내듯이, 홀더(20)에 각 소전지(10)의 전지케이스(7)와 반대의 전위를 부여하므로, 단락을 소저지(10) 외부에서 일으킬 수 있다(외부단락(93)). 또, 홀더(20) 및 전지케이스(7)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므로, 홀더(20) 및 전지케이스(7)의 비(比)저항은,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판(1) 및 음극판(2)의 비저항보다 작다. 그 결과, 전류는 저항이 더 작은 소전지(10) 외부에 있는 홀더(20)측에 집중되고, 즉, 내부단락(94)측보다 외부단락(93)측에 전류가 지배적으로 흐르므로, 소전지(10) 내부의 발열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지모듈에 필요한 구성인 홀더(20)에 각 소전지(10)의 전지케이스(7)와 반대의 전위를 부여하므로, 새로운 부재를 배치하지 않고, 소전지(10) 내의 충전 전류를 소전지(10) 외부에 지배적으로 방전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블록 등의 열 전도성이 큰 금속으로 이루어진 홀더(20)를 이용함으로써, 방열성을 크게 할 수 있고, 소전지의 발연 및 연소(燃燒)의 우려를 더욱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홀더(20)에, 전지케이스(7) 측면의 극과 반대 극의 전위를 부여함으로써, 전지모듈(100)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전지(10)의 전지케이스(7)가 음의 전위를 갖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으나, 전지케이스(7)에 양의 전위를 부여해도 되고, 이 경우, 홀더(20)에 음의 전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홀더(20)에 음의 전위를 부여하는 방법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음극 집전판(40)과 홀더(20)를 도전성의 나사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모듈(100)에서는, 복수의 소전지(10)가 각각 병렬로 접속되므로, 도전성 물질(90)이 1개의 소전지(10)를 관통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20)와 그 단락 소전지(10a)에 의한 단락회로가 발생하면, 단락 소전지(10a) 이외의 다른 소전지(10b)에서도 외부단락이 발생하게 된다. 즉, 양극 집전판(30)에 모아진 다른 소전지(10b)의 전류는, 전지모듈(100)의 양극측 외부단자(도시 않음)로부터는 출력되지 않고, 발생한 단락회로로 흐르게 된다. 즉, 다른 소전지(10b)로부터의 전류가 양극 집전판(30), 홀더(20), 도전성 물질(90), 단락 소전지(10a)의 전지케이스(7) 및 음극 집전판(40)을 경유하고, 각각의 소전지(10)로 되돌아와 단락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지모듈(100)에 도전성 물질(90)이 관통한 채의 상태로 방치되면, 다른 소전지(10b) 자체는 정상인데도 불구하고, 전지모듈(100)의 양극측 외부단자로부터는 전류가 출력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전지모듈(100)로써의 기능을 다하지 않게 되고, 전지모듈(100)이 탑재된 차량 및 기기 등의 사용이 곤란해진다.
여기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전지모듈에 대해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모듈의 음극단자와 음극 집전판과의 사이에 전류 제한수단을 설치한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형태의 전지모듈에는, 도전성 물질(90)이 1개의 소전지(10)를 관통한 경우에, 다른 소전지(10)의 전류가, 홀더(20), 도전성 물질(90) 및 단락 소전지(10a)가 형성하는 단락회로에 흐르지 않도록, 단락회로를 전기적으로 제한하는 전류 제한수단(91)이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전류 제한수단(91)은, 홀더(20)에 수용된 복수 소전지(10)의 음극단자(12)와 음극 집전판(40)과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양극 집전판(30)에 모아진 다른 소전지(10)의 전류(소정값 이상의 전류)가 단락회로에 흐른 경우에, 단락 소전지(10a)의 음극단자(12)와 음극 집전판(40)과의 사이의 전기적인 도통(導通)이 차단되므로, 다른 소전지(10)의 전류는 단락회로에 흐르지 않고, 정상적으로 양극측 외부단자로부터 출력된다.
이와 같이, 도전성 물질(90)이 소전지(10)를 관통하여 단락회로가 형성되었다 하더라도, 일단, 양극 집전판(30)에 모인 다른 소전지(10b)의 전류는 이 단락회로를 흐르나, 전류 제한수단(91)은 소정값 이상의 전류가 흐른 것에 의한 전기적인 도통을 제한 또는 차단하고, 양극 집전판(30)에 모인 다른 소전지(10b)의 전류는, 다시 양극측의 외부단자로부터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전지모듈(100)은, 도전성 물질(90)이 소전지(10)를 관통했다 하더라도, 정상적으로 기능을 다하고, 이것이 탑재된 차량 및 기기 등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전류 제한수단(91)으로써는, 다이오드 등의 정류(整流)소자 및 퓨즈(fuse)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전류 제한수단(91)은, 음극단자(12)와 음극 집전판(40)과의 전기적 접속을 제한 또는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장소에 설치하면 되고, 음극 집전판(20) 내 및 소전지(10) 내 등에 설치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음극 측에 전류 제한수단(91)을 설치했으나, 양극측에 설치해도 된다. 즉, 양극단자(11)와 양극 집전판(30)과의 전기적 접속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장소에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도, 전류 제한수단(91)은 소정값 이상의 전류가 흐른 것에 의해 전기적인 도통을 차단하고, 양극 집전판(30)에 모인 다른 소전지(10b)의 전류는, 다시 양극측의 외부단자로부터 출력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설명해 왔으나, 이러한 기술(記述)은 한정사항이 아니며, 물론, 여러 가지로 개변(改變)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양극 집전판(30) 또는 음극 집전판(40)을 설치하지 않고, 홀더(30)에 의해 양극단자(11) 또는 음극단자(12)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홀더(20)에 의해 각 소전지(10)의 양극단자(11)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면, 나사(80a) 등의 접속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홀더에 정전위(正電位)를 부여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전지모듈은, 그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고, 자동차 및 전동 오토바이 등의 차량, 휴대형 전자기기 또는 이동 통신기기의 전원 등에 유용하다.
1 : 양극(판) 2 : 음극(판)
3 : 세퍼레이터 4 : 전극군
5 : 양극리드 6 : 음극리드
7 : 전지케이스 7a : 수지필름
8 : 밀봉판 8a : 개방부
9 : 가스켓 10 : 소전지
10a : 단락 소전지 10b : 다른 소전지
11 : 양극단자(제 2 전극단자) 12 : 음극단자(제 1 전극단자)
20 : 홀더 20a : 홀더의 단부
21 : 수용부 30 : 양극 집전판(제 2 집전판)
31 : 양극측 홀더 40 : 음극 집전판(제 1 집전판)
50 : 스페이서 60 : 케이스
61 : 배출구 70 : 배기실
80a : 나사 90 : 도전성 물질
91 : 전류 제한수단 92, 94 : 내부단락
93 : 외부단락 100 : 전지모듈

Claims (5)

  1.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소전지가 홀더 내에 수용된 전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소전지는, 양극, 음극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전극군이 전지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전지케이스는,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한 제 1 전위(電位)를 가지며,
    상기 홀더는, 상기 복수의 소전지를 개개로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를 가지며, 또, 상기 제 1 전위와 반대의 전위인 제 2 전위를 가지고,
    상기 소전지는, 상기 전지케이스와 상기 홀더가 절연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전지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소전지의 상기 제 1 전위를 갖는 제 1 전극단자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1 집전판과,
    상기 복수 소전지의 상기 제 2 전위를 갖는 제 2 전극단자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집전판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홀더와 상기 제 2 집전판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지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와 상기 제 2 집전판은, 도전성(導電性) 재료로 이루어진 접속부재를 개재하고 접속되는 전지모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소전지의 각 소전지에서, 적어도 상기 제 1 집전판과 상기 제 1 전극단자와의 사이, 및 상기 제 2 집전판과 상기 제 2 전극단자와의 사이 중 어느 한쪽에 소정값 이상의 전류가 흘렀을 때에,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 제한수단이 설치되는 전지모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음(-)의 전위를 가지며,
    상기 홀더는, 양(+)의 전위를 갖는 전지모듈.
KR1020127020608A 2011-01-06 2011-12-22 전지모듈 KR201400024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01004 2011-01-06
JP2011001004 2011-01-06
PCT/JP2011/007228 WO2012093456A1 (ja) 2011-01-06 2011-12-22 電池モジュ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461A true KR20140002461A (ko) 2014-01-08

Family

ID=4645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608A KR20140002461A (ko) 2011-01-06 2011-12-22 전지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308875A1 (ko)
EP (1) EP2662911A4 (ko)
JP (1) JPWO2012093456A1 (ko)
KR (1) KR20140002461A (ko)
CN (1) CN102763241A (ko)
WO (1) WO20120934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5047B2 (en) 2015-06-15 2018-11-2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attery p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1164B2 (ja) * 2012-11-30 2015-08-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DE102013202367B4 (de) * 2013-02-14 2024-04-04 Robert Bosch Gmbh Energiespeichermodul mit einem durch eine Folie gebildeten Modulgehäuse und mehreren jeweils in einer Aufnahmetasche des Modulgehäuses angeordneten Speicherzellen, sowie Energiespeicher und Kraftfahrzeug
KR102210880B1 (ko) * 2014-03-31 2021-02-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적재용기
KR102275331B1 (ko) * 2014-10-30 2021-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487835B1 (ko) * 2019-01-16 2023-01-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충전 시간을 단축시킨 이차전지의 충전 방법
DE102019207207A1 (de) * 2019-05-17 2020-11-1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tteriemodul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2852B2 (ja) * 1996-09-26 2002-08-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蓄電池電源装置
JP3742261B2 (ja) * 1999-11-10 2006-02-01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用バッテリーパック
JP2007059170A (ja) * 2005-08-24 2007-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パック
GB2452516B (en) * 2007-09-06 2009-07-22 Energy Control Ltd A Battery Assembly
JP5114788B2 (ja) * 2007-09-28 2013-01-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JP4951547B2 (ja) * 2008-02-14 2012-06-13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
US9023513B2 (en) * 2009-08-27 2015-05-0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having improved safety against puncture and collap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5047B2 (en) 2015-06-15 2018-11-2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308875A1 (en) 2012-12-06
CN102763241A (zh) 2012-10-31
EP2662911A1 (en) 2013-11-13
JPWO2012093456A1 (ja) 2014-06-09
EP2662911A4 (en) 2013-11-27
WO2012093456A1 (ja)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3314B1 (ja) 電池ブロック及び電池モジュール
JP4990422B1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
KR101252944B1 (ko) 방열 특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
KR101287107B1 (ko) 연결부재를 가지는 전지 모듈
KR20140002461A (ko) 전지모듈
EP2738835B1 (en) Battery module
EP2744015A1 (en) Battery block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KR20120052189A (ko) 전지 접속부재,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US20120225335A1 (en) Battery module
US20200176735A1 (en) Battery module
KR20120102343A (ko) 배터리 팩
CN109845024B (zh) 电池系统和包括其的电动车辆
JP2013118160A (ja) 電池セル用ホルダ及び電池セル用ホルダを備えた組電池
KR20200024249A (ko) 배터리 셀
KR20150034495A (ko) 전압 센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JP2012212558A (ja) 電池モジュール
US11133541B2 (en) Battery pack
JP2015049950A (ja) 電源モジュール及び絶縁板
JP7119831B2 (ja) 蓄電装置
JP7475536B2 (ja) 電池セル、電池、電力利用装置、並びに電池セルを製造する装置及び方法
CN109659162B (zh) 蓄电组件
US20230307740A1 (en) Battery cell, battery, apparatus, and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battery cell
KR100612231B1 (ko) 전지 모듈
KR20230164598A (ko) 전지 모듈
KR20160058474A (ko) 열전도성 시트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