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171A - 자동통역방법 - Google Patents

자동통역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171A
KR20140002171A KR1020120069943A KR20120069943A KR20140002171A KR 20140002171 A KR20140002171 A KR 20140002171A KR 1020120069943 A KR1020120069943 A KR 1020120069943A KR 20120069943 A KR20120069943 A KR 20120069943A KR 20140002171 A KR20140002171 A KR 20140002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tence
voice
text
typ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종
김상훈
김기현
박상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69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171A/ko
Publication of KR20140002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1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자동통역방법은 음성인식결과 생성된 테스트 문장을 분석하여 문형을 구분 및 정정하여 자동통역하기 용이하도록, 실시 예는 입력된 제1 언어에 대응하는 텍스트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문장에서 추출된 특정 키워드 및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해 설정 임계값을 기초로, 상기 텍스트 문장에 대한 문형을 구분하는 단계, 상기 구분된 문형에 대응되게 상기 텍스트 문장을 음성 인식 문장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인식 문장에 대한 문형확정명령 입력시, 상기 음성 인식 문장을 제2 언어로 자동통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통역 단계는, 상기 음성 인식 문장에 대한 문형정정명령 입력시, 상기 음성 인식 문장을 입력된 문형에 대응되게 정정하며 상기 문형확정명령 입력시까지 반복하는 자동통역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통역방법{Method for interpreting automatically}
실시 예는 자동통역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인식결과 생성된 테스트 문장을 분석하여 문형을 구분 및 정정하여 자동통역하기 용이한 자동통역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번역을 수행함에 있어서, 같은 문장인 경우에도 의문부호가 부가된 의문형으로 번역한 결과와 의문부호가 생략된 채 평서형으로 번역한 결과는 매우 다른 결과를 가져온다.
자동번역 대상문장에 의문부호 또는 마침표를 정확히 부여했는지가 번역 성능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데, 사람이 발성한 음성을 문장으로 출력해주는 음성인식에서는 적절한 문장부호를 포함하여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자동통역을 위하여는 음성인식기, 자동번역기 및 음성합성기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동작되어야 한다. 이들 시스템은 각각 독립적인 기술체계 하에 개발되었고 각기 독자적인 입출력 특성이 요구된다.
또한, 음성인식의 경우에는 발성음을 텍스트로 변환하면서 문장부호까지 인식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자동번역의 경우에는 문장부호를 포함한 정확한 텍스트 문장의 입력을 가정하고 있다.
예로서 의문부호를 제외한 의문형 문장을 자동번역하는 경우와 의문부호를 포함한 의문형 문장을 자동번역한 결과는 완전히 다른 번역결과를 나타냄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문형부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음성인식결과 문장의 말미에 문형에 맞는 문장부호를 부가하여 자동번역의 입력으로 진행시켜야 할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자동통역을 위해서는, 음성인식결과로 출력되는 텍스트 문장을 자동번역의 입력문장으로 활용하게 되므로, 출력문장에 대한 문형정보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음성의 피치정보를 부가적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음성의 피치정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계산량의 과다로 인하여 활성화되고 있지는 않다.
실시 예의 목적은, 음성인식결과 생성된 테스트 문장을 분석하여 문형을 구분 및 정정하여 자동통역하기 용이한 자동통역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자동통역방법은, 입력된 제1 언어에 대응하는 텍스트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문장에서 추출된 특정 키워드 및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해 설정 임계값을 기초로, 상기 텍스트 문장에 대한 문형을 구분하는 단계, 상기 구분된 문형에 대응되게 상기 텍스트 문장을 음성 인식 문장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인식 문장에 대한 문형확정명령 입력시, 상기 음성 인식 문장을 제2 언어로 자동통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통역 단계는, 상기 음성 인식 문장에 대한 문형정정명령 입력시, 상기 음성 인식 문장을 입력된 문형에 대응되게 정정하며 상기 문형확정명령 입력시까지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키워드는, 상기 텍스트 문장의 종결부분에 해당되는 소정 개수의 음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임계값은, 상기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1 문형의 분포율 및 상기 제1 문형의 분포율 대비 제2 문형의 분포율을 포함하는 제1 설정 임계값 및 상기 제1 문형의 분포율 및 상기 제1 문형의 분포율 대비 제3 문형의 분포율을 포함하는 제2 설정 임계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문형은, 의문형이며, 상기 제2 문형은, 평서형이며, 상기 제3 문형은, 상기 의문형 및 상기 평서형을 제외한 다른 문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분 단계는, 상기 제1, 2 설정 임계값 중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한 상기 제1 내지 제3 문형 중 분포율이 높은 문형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 단계는, 상기 텍스트 문장 상에 상기 구분된 문형에 포함되는 문장부호를 추가하여 상기 음성 인식 문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자동통역방법은, 자동통역과정에서 입력된 제1 언어에 대응하는 텍스트 문장을 기초로 의문형 또는 평서형으로 자동분류된 음성 인식 문장을 생성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음성 인식 문장을 의문형 또는 평서형과 다른 문형으로 정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자동번역을 거쳐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통역방법은, 문형 자동구분과 사용자에 의한 문형정정으로 인하여 정확한 문형구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통역방법은, 다수 문형으로 분류 가능한 문장인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쉽게 문형 자동구분의 오류를 판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자동통역 시스템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자동통역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에 따른 자동통역방법을 첨부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자동통역 시스템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통역 시스템은 문형구분장치(100) 및 번역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문형구분장치(100)는 이동통신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 phone)인 것으로 설명하며, 이동통신 단말기 외에 다른 장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문형구분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입력부(120), 인식부(130), 텍스트 생성부(140), 문형 구분부(150), 키워드셋 설정부(160), 문장부호 부가부(170) 및 문형 확정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스마트폰의 기본화면 상에 복수의 앱 어플리케이션 및 복수의 실행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10)는 정전식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앱 어플리케이션 중 자동통역 앱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자동통역 실행/발성버튼, 문장창 및 문형확정/정정버튼 등을 포함하는 자동통역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상기 자동통역 앱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제1 언어의 음성이 입력되는 음성입력부(122) 및 상기 자동통역 실행/발성버튼, 상기 문장창 및 상기 문형확정/정정버튼에 대한 입력명령이 입력되는 키입력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입력부(122)는 상기 자동통역 실행에 대한 명령이 키입력부(124)를 통하여 입력되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음성입력부(122)는 활성화 된 후 사용자가 상기 제1 언어의 음성이 입력될 수 있으며, 마이크 또는 스피커일 수 있다.
여기서, 음성입력부(122)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자동통역 앱 어플리케이션을 터치 실행하고 상기 자동통역 실행버튼을 키입력부(124)를 통해 입력한 후 사용자가 상기 제1 언어의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키입력부(124)는 사용자가 상기 자동통역 실행/발성버튼, 상기 문장창 및 상기 문형확정/정정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시 입력명령을 인식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인식부(130)는 음성입력부(122)로 입력된 상기 제1 언어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132) 및 키입력부(124)로부터 입력된 상기 입력명령을 인식하여, 상기 입력명령에 따라 문장부호 부가부(170) 및 문형 확정부(180)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할 수 있는 키 입력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 생성부(140)는 음성인식부(132)에서 인식된 상기 제1 언어의 음성에 대응하는 텍스트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즉, 텍스트 생성부(140)에 생성된 상기 텍스트 문장은 상기 제1 언어의 음성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언어의 문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문형 구분부(150)는 텍스트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상기 텍스트 문장에서 추출된 특정 키워드를 추출하고, 키워드셋 설정부(160)에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해 설정 임계값을 제공받아 문형을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키워드는 상기 텍스트 문장의 종결부분에 해당되는 소정 개수의 음절일 수 있다.
키워드셋 설정부(160)에 설정된 상기 설정 임계값은 상기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1 문형의 분포율 및 상기 제1 문형의 분포율 대비 제2 문형의 분포율을 포함하는 제1 설정 임계값 및 상기 제1 문형의 분포율 및 상기 제1 문형의 분포율 대비 제3 문형의 분포율을 포함하는 제2 설정 임계값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문형은 의문형이고, 상기 제2 문형은 평서형이며, 상기 제3 문형은 상기 의문형 및 상기 평서형을 제외한 다른 문형일 수 있다.
즉, 문형 구분부(150)는 상기 텍스트 문장에서 추출된 상기 특정 키워드의 종결부분에 해당되는 소정 개수의 음절과 키워드셋 설정부(160)에 설정된 상기 제1, 2 설정 임계값 중 상기 제1 내지 제3 문형 중 분포율이 높은 문형을 구분할 수 있다.
다시말하면, 문형 구분부(150)는 상기 텍스트 문장이 의문형, 평서형 또는 다른 문형인지 구분하여, 문장부호 부가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문장부호 부가부(170)는 문형 구분부(150)로부터 전달된 상기 텍스트 문장이 상기 의문형인 경우 상기 텍스트 문장의 말미에 문장부호, 즉 의문부호("?")가 부가된 음성 인식 문장으로 변환하며, 상기 텍스트 문장이 상기 평서형인 경우 상기 텍스트 문장의 말미에 문장부호, 즉 마침표(".")가 부가된 음성 인식 문장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텍스트 문장이 상기 의문형 및 상기 평서형이 아닌 다른 문형(예를 들면, 감탄형)이거나, 또는 상기 의문형 및 상기 평서형에도 사용 가능하여 문형 구분이 어려운 경우 상기 텍스트 문장의 말미에 문장부호가 부가되지 않거나, 기호 등이 부가된 음성 인식 문장으로 변환할 수 있다.
문형 확정부(180)는 문장부호 부가부(170)에서 변환된 상기 음성 인식 문장을 디스플레이부(110)의 상기 문장창에 디스플레이시킨 후 상기 문형확정/정정버튼에 대한 문형확정명령이 키입력부(124)로 입력되면 상기 음성 인식 문장의 문형을 확정하고, 문형정정명령이 키입력부(124)를 통하여 입력되면 상기 음성 인식 문장의 문형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른 문형으로 정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문형 확정부(180)는 문형 구분부(170)에서 전달된 상기 음성 인식 문장을 디스플레이부(110)의 상기 문장창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설명하였으나, 문형 확정부(180)는 문형 구분부(180)에서 문형이 구분되지 않아 문장 부호가 부가되지 않거나, 또는 기호 등이 부가된 상기 음성 인식 문장 만을 디스플레이부(110)의 문장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때, 문형 확정부(180)는 상기 문형정정명령이 입력되어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다른 문형으로 정정하는 경우 상기 문형확정명령이 입력될때까지 반복하여 문형을 정정할 수 있다.
문형 확정부(180)는 상기 음성 인식 문장에 대한 문형이 확정되면 번역장치(200)로 상기 음성 인식 문장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번역장치(200)는 문형 확정부(180)로부터 전달된 상기 음성 인식 문장을 번역하고픈 제2 언어의 문장을 번역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문장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번역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2 언어의 문장에 대하여 사용자가 상기 자동통역 발성에 대한 명령이 키입력부(124)를 통하여 입력되면 상기 제2 언어의 음성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출력부(미도시)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번역장치(2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자동통역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자동통역 시스템(1)에 포함된 구성과 같이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통역 앱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제1 언어의 음성이 입력되고(S100), 상기 제1 언어의 음성에 대응하는 텍스트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S110).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자동통역 앱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자동통역 실행에 대한 명령이 키입력부(124)를 통하여 입력되면, 음성입력부(122)는 활성화되어 사용자 또는 기타 장치로부터 제1 언어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인식부(130)는 키입력부(124) 및 음성입력부(122)에서 입력된 명령을 인식할 수 있으며, 텍스트 생성부(140)는 인식부(130)에서 인식된 상기 제1 언어의 음성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언어의 문장으로 이루어진 텍스트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S110)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텍스트 문장에서 특정 키워드를 추출하고(S120), 추출된 특정 키워드에 대해 설정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텍스트 문장에 대한 문형을 구분하며(S130), 상기 구분된 문형에 대응되게 상기 텍스트 문장을 음성 인식 문장으로 변환할 수 있다(S140).
즉, 문형 구분부(150)는 텍스트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상기 텍스트 문장에서 추출된 특정 키워드를 추출하고, 키워드셋 설정부(160)에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한 설정 임계값을 제공받아 문형을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키워드는 상기 텍스트 문장의 종결부분에 해당되는 소정 개수의 음절일 수 있다.
키워드셋 설정부(160)에 설정된 상기 설정 임계값은 상기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1 문형의 분포율 및 상기 제1 문형의 분포율 대비 제2 문형의 분포율을 포함하는 제1 설정 임계값 및 상기 제1 문형의 분포율 및 상기 제1 문형의 분포율 대비 제3 문형의 분포율을 포함하는 제2 설정 임계값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문형은 의문형이고, 상기 제2 문형은 평서형이며, 상기 제3 문형은 상기 의문형 및 상기 평서형을 제외한 다른 문형일 수 있다.
즉, 문형 구분부(150)는 상기 텍스트 문장에서 추출된 상기 특정 키워드의 종결부분에 해당되는 소정 개수의 음절과 키워드셋 설정부(160)에 설정된 상기 제1, 2 설정 임계값 중 상기 제1 내지 제3 문형 중 분포율이 높은 문형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워드셋 설정부(160)는 상기 텍스트 문장에서 추출된 상기 특정 키워드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키워드를 포함한 문장은 의문형으로, 그 외의 문장은 평서형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미리 제1, 2 설정 임계값을 포함하는 설정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설정 임계값은 아래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문형 분포율 및 의문형 분포율 대비 평서형 분포율을 나타낼 수 있다.
의문형/평서형 공통 키워드 의문형 분포율 의문형 대비 평서형 분포율
찮아요 0.00116563 0.69229515
알아요 0.00112902 0.79234203
리죠 0.00133956 0.81794768
봤어요 0.00153485 0.8786787
돼요 0.00456183 0.88555251
드세요 0.0012114 1.00735513
라고요 0.00117784 1.1020597
각해요 0.00120225 1.13818257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설정 임계값은 예를 들어 "1.3 < 평서형 분포율/의문형 분포율) < 0.7" 과 같이 할 수 있다. 즉, "알아요" 라는 특정 키워드는 의문형 분포율 대비 평서형 분포율이 약 0.79로서, 의문형으로 구분하면 약 79%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2 설정 임계값은 아래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문형 분포율 및 의문형 분포율 대비 다른 문형(의문형 및 평서형을 제외한 문형) 분포율을 나타낼 수 있다.
의문형/다른 문형
공통 키워드
의문형 분포율 의문형 대비
다른 문형 분포율
이죠 0.00915003 0.56321138
시죠 0.00663343 0.59118284
이에요 0.00784314 0.63257063
않아요 0.00261438 0.92434535
하세요 0.01176471 1.05739708
돼요 0.00392157 1.16321524
렇죠 0.00261438 1.27797795
았아요 0.00130719 1.37251662
[표 2]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설정 임계값은 예를 들어 "1.3 < 의문형 분포율 및 의문형 분포율 대비 다른 문형 분포율 < 0.7"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즉, "시죠" 라는 특정 키워드는 의문형 대비 다른 문형 분포율이 약 0.591로서, 의문형으로 구분하면 약 59%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문형 구분부(150)는 상기 제1, 2 설정 임계값을 기초로 오류가 발생될 확률을 낮출 수 있는 문형을 구분할 수 있다.
문장부호 부가부(170)는 문형 구분부(150)로부터 전달된 상기 텍스트 문장이 상기 의문형인 경우 상기 텍스트 문장의 말미에 문장부호, 즉 의문부호("?")가 부가된 음성 인식 문장으로 변환하며, 상기 텍스트 문장이 상기 평서형인 경우 상기 텍스트 문장의 말미에 문장부호, 즉 마침표(".")가 부가된 음성 인식 문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 문장에 대한 문형확정명령 입력시, 상기 음성 인식 문장을 제2 언어로 자동통역한다(S150).
즉, 문형 확정부(180)는 문장부호 부가부(170)에서 변환된 상기 음성 인식 문장을 디스플레이부(110)의 상기 문장창에 디스플레이시킨 후 상기 문형확정/정정버튼에 대한 문형확정명령이 키입력부(124)로 입력되면 상기 음성 인식 문장의 문형을 확정하고, 문형정정명령이 키입력부(124)를 통하여 입력되면 상기 음성 인식 문장의 문형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른 문형으로 정정할 수 있다.
이때, 문형 확정부(180)는 상기 문형정정명령이 입력되어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다른 문형으로 정정하는 경우 상기 문형확정명령이 입력될때까지 반복하여 문형을 정정할 수 있다.
문형 확정부(180)는 상기 음성 인식 문장에 대한 문형이 확정되면 번역장치(200)로 상기 음성 인식 문장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번역장치(200)는 문형 확정부(180)로부터 전달된 상기 음성 인식 문장을 번역하고픈 제2 언어의 문장을 번역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문장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번역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2 언어의 문장에 대하여 사용자가 상기 자동통역 발성에 대한 명령이 키입력부(124)를 통하여 입력되면 상기 제2 언어의 음성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출력부(미도시)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 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0: 이동통신 단말기 200: 번역장치

Claims (1)

  1. 입력된 제1 언어에 대응하는 텍스트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문장에서 추출된 특정 키워드 및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해 설정 임계값을 기초로, 상기 텍스트 문장에 대한 문형을 구분하는 단계;
    상기 구분된 문형에 대응되게 상기 텍스트 문장을 음성 인식 문장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인식 문장에 대한 문형확정명령 입력시, 상기 음성 인식 문장을 제2 언어로 자동통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통역 단계는,
    상기 음성 인식 문장에 대한 문형정정명령 입력시, 상기 음성 인식 문장을 입력된 문형에 대응되게 정정하며 상기 문형확정명령 입력시까지 반복하는 자동통역방법.
KR1020120069943A 2012-06-28 2012-06-28 자동통역방법 KR201400021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943A KR20140002171A (ko) 2012-06-28 2012-06-28 자동통역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943A KR20140002171A (ko) 2012-06-28 2012-06-28 자동통역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171A true KR20140002171A (ko) 2014-01-08

Family

ID=5013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943A KR20140002171A (ko) 2012-06-28 2012-06-28 자동통역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17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8837A (ko) 2015-05-26 2016-12-06 주식회사 케이티 음성 인식 및 번역 시스템,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0678868A (zh) * 2017-03-29 2020-01-10 Cy游戏公司 翻译支持系统等
WO2020244073A1 (zh) * 2019-06-06 2020-12-10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语音的用户分类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8837A (ko) 2015-05-26 2016-12-06 주식회사 케이티 음성 인식 및 번역 시스템,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0678868A (zh) * 2017-03-29 2020-01-10 Cy游戏公司 翻译支持系统等
CN110678868B (zh) * 2017-03-29 2023-01-20 Cy游戏公司 翻译支持系统、装置和方法以及计算机可读介质
WO2020244073A1 (zh) * 2019-06-06 2020-12-10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语音的用户分类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96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speech recognition error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torage medium
JP6484236B2 (ja) オンライン音声翻訳方法及び装置
US10019984B2 (en) Speech recognition error diagnosis
US2018004032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ration of user command
CN102156551B (zh) 一种字词输入的纠错方法及系统
US8504350B2 (en) User-interactive automatic translation device and method for mobile device
AU2019268092B2 (en) Prototyping voice user interfaces for languages with non-phonetic alphabets
US10872207B2 (en) Determining translation similarity of reverse translations for a plurality of languages
US86765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peech recognition using a reduced user dictionary,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herefor
US110432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and correction of incorrectly pronounced words
CN105468585A (zh) 机器翻译装置和机器翻译方法
KR20170028628A (ko) 음성인식장치, 음성인식장치의 구동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9189476B2 (en) Transl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helping a user to more easily input a sentence to be translated
KR102554758B1 (ko) 기계 번역에서 모델 트레이닝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
CN103106061A (zh) 语音输入方法和装置
KR20150085145A (ko) 사용자 반응 기반 통역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270909A1 (en) Method for correcting false recognition contained in recognition result of speech of user
WO2014205232A1 (en) Language input method editor to disambiguate ambiguous phrases via diacriticization
KR101836996B1 (ko) 러프 셋을 이용한 형태소 품사 태깅 코퍼스 오류 자동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CN111192586B (zh) 语音识别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2509566A (zh) 一种语音识别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KR20140002171A (ko) 자동통역방법
CN104200807B (zh) 一种erp语音控制方法
KR101621154B1 (ko) 소셜 텍스트를 위한 철자 오류 교정 방법 및 장치
CN109754791A (zh) 声控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