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080U - Union Socket for Drain of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Union Socket for Drain of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080U
KR20140002080U KR2020120008853U KR20120008853U KR20140002080U KR 20140002080 U KR20140002080 U KR 20140002080U KR 2020120008853 U KR2020120008853 U KR 2020120008853U KR 20120008853 U KR20120008853 U KR 20120008853U KR 20140002080 U KR20140002080 U KR 201400020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hose
sewer
drain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85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건희
Original Assignee
이건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희 filed Critical 이건희
Priority to KR20201200088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080U/en
Publication of KR201400020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080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4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adapted for attachment of washing machines or heating or cool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세탁기 배수호스와 구성하여 결합한 뒤 하수구에 연결하기 위한 소켓에 관한 것으로써,
다용도실 또는 욕실 등의 바닥에 매설된 배수트랩의 여과수단이 세탁기 배수호스와 결합하기 위한 형상이 아닌 경우와 하수구 또는 하수구에 구성하여 포함된 배수트랩의 크기가 세탁기 배수호스보다 작아서 하수구 구멍에 구성하여 연결하지 못하는 경우에 대처하기 위해,
신축성을 이용하기 위한 형태로 세탁기 배수호스와 구성하여 결합하기 위한 호스접촉부 및 다공성의 재질과 액체의 인력을 이용하는 상기 복수의 여과망을 포함하여 구성된 이물질여과부 및 상기 호스접촉부 및 이물질여과부를 구성하여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구성된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탁기 배수호스 연결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배수트랩 및 하수구가 세탁기 배수호스보다 작은 상황에서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본 고안에 구성된 여과수단에 의해 세탁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 외의 오수를 여과하여 하수구로 흘려보내 하수구가 오수에 섞인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구성된 여과수단에 의해 하수구 통해 각종 벌레 등이 올라오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Regarding the socket for constructing and combining with the washing machine drain hose and connecting to the sewer,
If the filtration means of the drain trap embedded in the floor of the utility room or bathroom is not designed to be combined with the drainage hose of the washing machine, the drain trap included in the sewer or drain is smaller than the drainage hose of the washing machine. To cope with the failure to connect,
Consists of a hose contact part for forming and combining with the washing machine drainage hose in the form to use the elasticity and the foreign matter filtration unit comprising the plurality of filter nets using a porous material and the attraction force of the liquid and the hose contact part and the foreign matter filtration unit It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drain hose connection socke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ody portion configured to fasten means for,
The conventional drain trap and drain can be installed and used even in a situation smaller than the drainage hose of the washing machine, and by filtering the waste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machine by the filtration means config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water is discharged to the sewer and the sewer is mixed by the foreign matter.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clogging.
In addition, the filtration means config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variety of insects, such as coming up through the sewer.

Description

세탁기 배수호스 결합소켓{Union Socket for Drain of Washing Machine}Union Socket for Drain of Washing Machine

본 고안은 세탁기 배수호스와 결합하기 위한 소켓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ket for coupling with a washing machine drain hose,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기 배수호스와 구성하여 결합한 뒤 하수구에 연결하기 위한 결합소켓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socket for connecting to a sewer after being combined with a washing machine drain hose.

세탁기 배수호스는 다용도실 또는 욕실 등의 공간에 설치된 세탁기에 결합 되어 세탁기에서 세탁과정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수를 다용도실 또는 욕실 등의 바닥에 매설된 하수구 구멍에 직접연결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되거나 다용도실 또는 욕실 등의 바닥에 배출하여 바닥 표면을 통해 바닥에 매설된 하수구 구멍으로 흘러들어 가도록 구성된다.Washing machine drain hose is connected to the washing machine installed in the room such as the multipurpose room or bathroom, and the drainage discharged through the washing process from the washing machine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by directly connecting to the drain hole embedded in the floor of the multipurpose room or bathroom, or It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floor and flow through the floor surface into the sewer holes embedded in the floor.

일반적으로 상기 다용도실 또는 욕실 등의 바닥에 매설된 하수구에는 각종 생활하수가 배수되도록 함은 물론 하수관에서 발생 되는 악취가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하수관을 통해 올라오는 각종 벌레 등과 같은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과수단이 구성된 배수트랩을 포함하여 매설되는 경우가 많다.In general, the sewers buried in the floor of the utility room or the bathroom to drain various living sewage, as well as to prevent the odor generated from the sewer pipes to enter the room, the intrusion of pests such as various insects coming up through the sewer pipes In order to prevent the filtration means are often embedded including a drain trap configured.

그러나 상기 여과수단이 구성된 배수트랩은 바닥에 매설되어 있어서 여과수단에 세탁기 배수호스와 결합하기 위한 형상이 아닌 경우,However, if the drain trap is configured in the filtering means is buried in the bottom is not a shape for coupling with the washing machine drain hose in the filtering means,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 7

하수구와 구성하여 포함된 배수트랩 몸체에서 여과수단을 분리된 상태로 세탁기 배수호스를 배수트랩 몸체를 통해 하수구에 연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shing machine drain hose is connected to the sewer through the drain trap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ing means is separated from the drain trap body included in the sewer.

여과수단 없이 세탁기 배수호스가 연결된 배수트랩 몸체의 틈을 통해 하수관에서 각종 벌레 등이 올라오는 상황과 악취 등이 유입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There may be a situation in which various insects, such as worms and odors are introduced from the sewer pipe through the gap of the drain trap body connected to the washing machine drain hose without filtration means.

또한, 다용도실 또는 욕실 등의 바닥에 매설된 하수구 또는 하수구에 구성하여 포함된 배수트랩 몸체의 안지름이 세탁기 배수호스의 바깥지름보다 작아서 하수구 또는 하수구에 구성하여 포함된 배수트랩 몸체에 구성하여 연결하지 못하는 경우,In addition,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trap body included in the sewer or drain embedded in the floor of the utility room or bathroom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drain hose of the washing machine, so that it cannot be connected to the drain trap body formed in the sewer or drain. Occation,

다용도실 또는 욕실 등의 바닥 표면에 세탁기 배수호스가 위치하여 세탁기가 세탁과정을 통해 배출하는 배출수를 다용도실 또는 욕실 등의 바닥 표면을 통해 하수구로 흘러들어가는 과정에서The drainage hose of the washing machine is located on the floor surface of the utility room or bathroom, and the drainage discharged by the washing machine through the washing process flows into the sewer through the floor surface of the utility room or bathroom.

세탁기 배출수에 포함된 세제의 거품 또는 이물질 등에 의해서 다용도실 또는 욕실 등의 바닥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oor of the utility room or the bathroom is dirty due to the foam or foreign matter of the detergent contained in the washing machine discharge water.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다용도실 또는 욕실 등의 바닥에 매설된 배수트랩의 여과수단이 세탁기 배수호스와 결합하기 위한 형상이 아닌 경우,When the filtration means of the drain trap embedded in the floor of the utility room or bathroom is not shaped for coupling with the washing machine drain hose,

배수트랩에서 여과수단을 분리한 뒤에 세탁기 배수호스를 배수트랩 몸체를 통해 하수구에 연결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After removing the filtration means from the drain trap is to solve the problem of connecting the washing machine drain hose to the drain through the drain trap body.

또한, 다용도실 또는 욕실 등의 바닥에 매설된 하수구 또는 하수구에 구성하여 포함된 배수트랩의 안지름이 세탁기 배수호스의 바깥지름보다 작아서 하수구 구멍에 구성하여 연결하지 못하는 경우,In addition, when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trap included in the sewer or drain embedded in the floor of the utility room or bathroom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drainage hose of the washing machine, it cannot be configured and connected to the drain hole.

배출수에 포함된 세제의 거품 또는 이물질 등에 의해서 다용도실 또는 욕실 등의 바닥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It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floor of the utility room or the bathroom is dirty due to the foam or foreign matter of the detergent contained in the effluent.

세탁기 배수호스(10)와 구성하여 결합하기 위한 호스접촉부(20) 및 복수의 여과망(30, 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물질여과부와 하수구(92) 또는 배수트랩과 구성하기 위해 기둥형태(51)로 형성되는 몸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olumn form 51 for constructing with the foreign matter filtration unit and the sewer 92 or the drain trap comprising a hose contact portion 20 and a plurality of filter nets (30, 40) for coupling to the washing machine drain hose (1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dy portion 50 is formed by).

상기 호스접촉부(2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개방된 ㄱ자형상의 기둥형태(21)로 세탁기 배수호스(10)와 구성하여 결합하기 위해, 상단부 선단에 복수의 링 형상(22, 23)과 굴곡이 형성된 면(24)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와 구성하여 체결하기 위해 하단부 내부의 측면에 체결수단(2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ose contact portion 20 has a plurality of ring shapes 22 at the top end of the upper end portion in order to form a coupling with the washing machine drainage hose 10 in an L-shaped pillar shape 21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pened. , 23 and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24 is formed, the body portion 50 is configured to include a fastening means 27 on the side of the lower end for fastening to configure with the columnar shape 51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이물질여과부는 세탁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 외의 오수를 여과하여 배수하기 위해, 복수의 구멍(37)이 형성된 제1여과망(30) 및 다공성 구조(42)로 구성된 제2여과망(40)과,The foreign matter filtration unit includes a second filtration network 40 composed of a first filtration network 30 and a porous structure 42 having a plurality of holes 37 formed therein for filtering and draining wastewater other than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machine;

상기 제2여과망(40)에 접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여과망(30) 및 상기 제2여과망(40)을 포함하여 받쳐주기 위한 받침너트(60)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ody part 50 and the pillar shape 51 are form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filtration network 40 and include a support nut 60 for supporting the first filtration network 30 and the second filtration network 4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상기 이물질여과부에는 상기 제2여과망과 접하여 구성되는 받침너트(60)를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너트(8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oreign material filter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fixing nut 80 for fixing the support nut 60 form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filtration network to the pill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50.

상기 몸체부(5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단부 및 하단부 양측 모두가 개방된 기둥형태(51)로, 외부 측면에 호스접촉부(20) 및 이물질여과부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52)과 복수의 관통구멍(5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dy 50 has a space formed therei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both sides open columnar shape 51, the fastening means 52 for fastening with the hose contact portion 20 and the foreign matter filtration on the outer side And a plurality of through-holes 54.

종래의 배수트랩 및 하수구가 세탁기 배수호스보다 작은 상황에서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conventional drain trap and drain can be installed and used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washing machine drain hose is smaller.

또한, 연결소켓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전문적인 기술이 없는 사용자라도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on socket can be installed even users without professional skills.

또한, 본 고안에 구성된 여과수단에 의해 세탁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 외의 오수를 여과하여 하수구로 흘려보내 하수구가 오수에 섞인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iltering means config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lter the sewage other than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machine to the drain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sewer is blocked by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sewage.

또한, 본 고안에 구성된 여과수단에 의해 하수구 통해 각종 벌레 등이 올라오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ration means config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variety of insects, such as coming up through the sewer.

제 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이물질여과부 제1여과망의 다양한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 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이물질여과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 3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여과부를 몸체부에 구성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제 4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정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제 5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습을 보인 사시도.
제 6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절단하여 보인 예시도.
제 7도는 종래의 하수구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ety of configurations of the first filtration network of the foreign material filtr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reign material filter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reign material filt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body por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configur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ut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conventional sewer.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word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여기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Here,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제 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이물질여과부 제1여과망의 다양한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제 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이물질여과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제 3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여과부를 몸체부에 구성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제 4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정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제 5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제 6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절단하여 보인 예시도이며, 제 7도는 종래의 하수구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arious configurations of the first filtration network of the foreign matter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reign material filtr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oreign matter filt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ut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conventional sewer.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 배수호스 연결소켓은Washing machine drain hose connection s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용도실 또는 욕실 등을 포함한 세탁기가 설치된 장소의 바닥(90)에 매설된 하수구(92) 또는 상기 하수구(92)에 구성하여 포함된 배수트랩의 몸체(96)를 포함하여 매설된 곳에 설치되어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짐과 더불어 하수구를 통해 올라오는 각종 벌레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Sewer 92 installed on the floor 90 of the place where a washing machine including a utility room or a bathroom is installed, or a drainage trap installed in the sewer 92, including the body 96 of the drain trap included in the drain, and installed smoothly. In order to prevent the intrusion of various bugs, etc. coming through the sewer,

크게 신축성을 이용하기 위한 형태로 구성되는 호스접촉부(20) 및 다공성의 재질과 액체의 인력을 이용하는 이물질여과부 및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호스접촉부(20) 및 이물질여과부를 구성하여 체결하기 위한 몸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Body for forming and fastening the hose contact portion 20 and the foreign matter filtration unit by using the hose contact portion 20 and the foreign matter filtration unit and fastening means using a porous material and the attraction force of the liquid to be largely used to stretch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part 50.

세탁기에서 세탁과정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수가 바람직하게 하수구(92)로 배출될 수 있도록,Effluent discharged through the washing process in the washing machine can be preferably discharged to the sewer (92),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6,

상기 호스접촉부(20)는 세탁기 배수호스(10)와 접촉하는 측의 안지름이 세탁기 배수호스(10) 선단의 바깥지름과 일치하고,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와 구성되어 체결하는 측의 안지름이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의 바깥지름과 일치하도록 하는 크기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개방된 ㄱ자형상의 기둥형태(21)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The hose contact portion 20 is the inner diameter of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washing machine drain hose 10 coincides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front end of the washing machine drain hose 10, the body portion 50 and the column shape 51 is fastened The inner diameter of the side portion is formed so as to match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50) columnar shape 51 is formed in the interior,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is configured to be formed in the L-shaped columnar shape (21). .

이때, 세탁기 배수호스(10)의 입구 선단이 세탁기의 이송과정 중의 충격 또는 압력에 의해 원형이 손상되는 돌발적이 상황에 대비하여,At this time, in case of an accident that the inlet tip of the washing machine drain hose 10 is damaged due to the impact or pressure during the conveying process of the washing machine,

세탁기 배수호스(10)와 호스접촉부(20)가 구성하여 결합 되는 부분에서 세탁기 세탁과정의 배출수가 누수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Washing machine drain hose 10 and the hose contact portion 20 is configured to combine so that the discharge water from the washing process washing process does not occur

세탁기 배수호스(10)의 선단과 호스접촉부(20)가 바람직하게 밀착해 구성하여 결합하기 위해,In order for the front end of the washing machine drain hose 10 and the hose contact portion 2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세탁기 배수호스(10)와 접촉하여 구성되는 상단부 선단에 세탁기 배수호스(10)의 바깥지름보다 1 ~ 3mm 큰 지름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링 형상(22)으로 구성되며, Consists of a ring shape 22 formed in a space having a diameter of 1 to 3mm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washing machine drain hose 10 at the top end of the upper end configured in contact with the washing machine drain hose 10,

상기 큰 지름으로 형성되는 링 형상(22)에서 접해 연장되어 굴곡이 형성된 면(24)은 측면이 축의 방향으로 내부로 향하도록 굴곡이 형성된 면 형태로, 상기 굴곡이 형성된 면(24) 어느 한 부분의 안지름이 상기 세탁기 배수호스(10)의 바깥지름보다 1 ~ 5 mm 작은 지름의 형태로 구성되며,The surface 24 which is formed to be curved in contact with the ring shape 22 formed to have a large diameter is formed in a curved shape so that the side faces i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and any portion of the curved surface 24 is formed. The inner diameter of the washing machine drainage hose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diameter of 1 ~ 5 mm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10,

상기 굴곡이 형성되는 면(24)에 접하여 세탁기 배수호스의 선단과 결합하기 위한 부분은A part for contac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urved surface 24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washing machine drain hose

세탁기 배수호스(10)의 바깥지름보다 1 ~ 3mm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는 링 형상(2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shing machine drain hose 1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ring shape 23 is formed in a diameter of 1 ~ 3mm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또한, 용이하게 세탁기 배수호스 연결소켓을 구성할 수 있도록, 호스접촉부(20) ㄱ자형상으로 형성된 기둥형태(21) 하단부 내부 측면에 상기 몸체부(50)와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by screwing the body portion 50 to the inne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column-shaped (21) formed in the L-shaped hose contact portion 20 so as to easily configure the washing machine drain hose connection socket ( 27).

상기 이물질여과부는 세탁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 외의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배수하기 위해 복수의 여과망(30, 40)과 상기 복수의 여과망(30, 40)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너트(60)와 상기 받침너트(60)를 몸체부(5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너트(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oreign material filtering unit and the support nut (60)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filter nets (30, 40) and the plurality of filter nets (30, 40) to filter and drain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sewage other than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machine It comprises a fixing nut 80 for fixing the support nut 60 to the body portion (50).

상기 이물질여과부에 구성되는 복수의 여과망 중 머리카락 등의 크기가 큰 이물질을 1차로 걸러내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되는 제1여과망(30)은,The first filtration network 30 configured for the purpose of first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having a large size such as hair among the plurality of filtration networks configured in the foreign substance filtration uni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1,

측면의 형상이 하수구(92) 또는 하수구(92)에 구성하여 포함된 배수트랩의 몸체(96)와 일치하는 원형의 형태로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와 구성하기 위한 관통구멍(34)과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복수의 관통구멍(37)을 단면에 형성하여 구성된다.The through-hole for constituting the body portion 50 and the columnar shape 51 in the form of a circular shape coinciding with the body 96 of the drain trap included in the sewer 92 or the sewer 92 34) and a plurality of through-holes 37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are formed in the cross section.

이때, 상기 제1여과망(30)을 구성하는 방법은 복수의 판으로 구성하는 방법 또는 하나의 판으로 구성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구성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method of configuring the first filtration network 30 is configured by any one of a method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lates or a method consisting of one plate.

상기 복수의 판으로 구성하는 방법은The method of configuring the plurality of plates

하수구(92) 또는 하수구(92)에 구성하여 포함된 배수트랩의 몸체(96) 단면의 바깥지름과 일치하는 크기의 큰 띠 형상(32)과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 단면의 바깥지름과 일치하는 작은 띠 형상(33) 사이에 복수의 막대형상의 받침(31)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와 구성하여 체결하기 위해 상기 작은 띠 형상(33)의 축의 방향으로 몸체부(50) 기둥형태(51) 단면의 바깥지름과 일치하는 관통구멍(34)을 형성하고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39)을 형성하여 구성하게 된다.The large band shape 32 and the body portion 50 of the column shape 51 having a cross section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96 of the drain trap included in the sewer 92 or the sewer 92 are included. A plurality of rod-shaped bases 31 are formed between the small band shapes 33 that match the outer diameter, and the small band shapes for fastening by forming the body part 50 and the columnar shape 51. The through hole 34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the body portion 50 and the pillar shape 51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33, and the fastening means 39 for fastening by screwing is formed.

이후, 상기 큰 띠 형상(32)과 작은 띠 형상(33) 사이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하나의 판을 구성한 뒤에, 복수의 동일한 크기로 절단하여 형성된 복수의 여과판(35) 각각에 복수의 관통구멍(37)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큰 띠 형상(32)과 작은 띠 형상(33)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막대형상(31) 상단부에 접하여 구성하게 된다.
Subsequently, after forming one plate that matches the cross-sectional shape between the large band shape 32 and the small band shape 33,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ilter plates 35 formed by cutting to a plurality of the same size. 37 is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plurality of rod-shaped 31 formed between the large band 32 and the small band 33.

상기 하나의 판으로 구성하는 방법은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single plate

다용도실 또는 욕실 등의 바닥(90)에 매설된 하수구(92) 또는 하수구에 구성되어 포함된 배수트랩의 몸체(96)와 구성하여 결합하였을 때, 상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않도록 하기 위해,When combined with the body 96 of the drain trap 92 included in the sewer 92 or the sewer is embedded in the floor 90, such as a multi-purpose room or bathroom, to expose to the top so as not to inconvenience the user ,

축의 방향으로 두께가 5mm이하로 구성되는 하나의 판에 측면의 형상이 하수구(92) 또는 하수구(92)에 구성하여 포함된 배수트랩의 몸체(96) 단면의 바깥지름과 일치하는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고,In the direction of the axis in the form of a circular shape that is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body 96 of the drain trap included in the sewer 92 or the sewer 92 formed on one plate composed of 5 mm or less in thickness Formed,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와 구성하여 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단면 한 부분에 축의 방향으로 몸체부(50) 기둥형태(51) 단면의 바깥지름과 일치하는 관통구멍(34)을 형성하고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39)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 뒤 단면에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구멍(37)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For the purpose of fastening by configuring the body portion 50 and the columnar shape 51, a through-hole 34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portion 50 and the columnar shape 51 in the axial direction in one section of the cross section. After forming and including the fastening means 39 for fastening by screwing is configured so that a plurality of through-holes 37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cross section is formed

세탁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 외의 오수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을 여과하고, 하수구를 통해 올라오는 각종 벌레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되는 제2여과망(40)은,The second filtration network 40 is configured to filter the fin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sewage other than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machine, and to prevent invasion of various insects, etc. coming up through the sewers,

스펀지 등의 다공성 재질에 이물질이 포함된 물을 흘려보내면 일정량이 흡수된 뒤에 그 외에 추가로 유입되는 양은 흡수되지 못하고 외부로 배출되며, 이때 다공성 재질에 흡수된 물 분자의 인력에 의해 이물질이 다공성 재질에 잔류하는 점을 이용하기 위해, When water containing foreign matter is flowed into the porous material such as sponge, a certain amount is absorbed, and then the additional amount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porous material is not absorbed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take advantage of the points remaining i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2,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다공성 구조(42)의 형태로 구성되고, 측면의 형상이 하수구(92) 또는 하수구(92)에 구성하여 포함된 배수트랩의 몸체(96)의 바깥지름과 일치하는 크기의 원형형태로 형성되고,Any one of synthetic resins is formed in the form of a porous structure 42, the shape of the side is formed in the sewer 92 or the sewer 92, the circular shape of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96 of the drain trap included Formed into,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와 구성하여 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단면 한 부분에 축의 방향으로 몸체부(50) 기둥형태(51) 단면의 바깥지름과 일치하는 관통구멍(45)을 형성하여 구성하게 된다.
For the purpose of fastening by configuring the body portion 50 and the columnar shape 51, a through hole 45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portion 50 and the columnar shape 51 in the axial direction in one section of the cross section. To form.

상기 제1여과망(30) 및 제2여과망(40)을 포함하여 받쳐주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되는 받침너트(60)는, The support nut 60 is configured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and preventing movement including the first filtration network 30 and the second filtration network 4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2,

상기 제1여과망(30) 및 제2여과망(40)의 단면의 반지름보다 큰 크기의 단면이 형성되는 기둥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와 구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단면 한 부분에 축의 방향으로 관통구멍(65)을 형성한 후 몸체부(50) 기둥형태(51)와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63)을 형성하여 포함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olumn in which a cross section having a size larger than the radiu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filtration net 30 and the second filtration net 40 is formed, the cross section for the purpose of configuring the body portion 50 and the column shape 51 After forming the through-hole 65 in the axial direction in one portion is formed to include a fastening means 63 for fastening by the screw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50) columnar shape (51).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에 구성하여 체결되는 제1여과망(30)과 제2여과망(40) 및 받침너트(60)를 몸체부(50) 기둥형태(51)에 더욱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구성되는 고정너트(80)는,The first filtration net 30 and the second filtration net 40 and the supporting nut 60 which are configured and fastened to the pillar portion 51 of the body portion 50 are more firmly fixed to the pillar shape 51 of the body portion 50. The fixing nut 80 is configured to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3,

형상이 기둥형태로 형성되며, 단면 한 부분에 축의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와 구성하기 위한 관통구멍(82)을 형성한 후 몸체부(50) 기둥형태(51)와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84)을 형성하여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The shape is formed in a columnar shape, and after forming a through-hole 82 for constituting the body part 50 and the columnar shape 51 in the axial direction in one portion of the cross section, the body part 50 and the columnar shape 51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astening means 84 for fastening by screwing.

상기 호스접촉부(20) 및 이물질여과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기 위한 몸체부(50)는,Body portion 50 for configuring including the hose contact portion 20 and the foreign material filtra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2,

단면 바깥지름이 하수구(92) 또는 하수구(92)에 구성하여 포함된 배수트랩 몸체부(96) 단면 안지름보다 작은 크기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The outside diameter of the cross section is formed in the sewer 92 or the sewer 92, the space is formed inside the size smaller than the cross section inner diameter of the drain trap body portion 96 included,

세탁기 세탁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수 및 상기 배출수 외의 오수를 하수구(92)로 흘려보내기 위해 상단부 및 하단부 양측 모두가 개방된 기둥형태(51)로 형성하여 구성하게 되고,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formed in an open columnar shape 51 so as to discharge the discharge water generated in the washing machine washing process and the sewage other than the discharge water to the sewer 92,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 외부 측면에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52)을 형성하여 포함하게 되고,The body portion 50 is formed to include a fastening means 52 for fastening by screwing on the outer side of the columnar shape (51),

세탁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 외의 오수를 여과하여 몸체부(50) 기둥형태(51) 내부 공간을 통해 하수구로 흘려보내기 위한 목적으로,For the purpose of filtering the sewage other than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machine to the sewer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ortion (50) columnar shape (51),

상기 이물질여과부의 제2여과망(40)과 접하여 구성되도록,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 외부 측면 중간부에 복수의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구성하게 된다.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outer side of the body part 50 and the pillar shape 51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filtration network 40 of the foreign material filtration part.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구성품의 바람직한 조립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assembly process of the compon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2,

세탁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 외의 오수를 여과하여 몸체부(50) 기둥형태(51) 내부 공간을 통해 하수구(92)로 흘려보내기 위한 목적으로, For the purpose of filtering the sewage other than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machine to the sewer (92)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ortion (50) columnar shape (51),

상기 몸체부(50)에 이물질여과부의 받침너트(60)를 상기 몸체부(50)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멍(54)의 위치의 하단부와 인접하는 높이까지 체결하게 된다.The base nut 60 of the foreign material filtration unit is fastened to a height adjacent to the lower ends of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54 formed in the body 50.

이후, 이물질여과부의 제2여과망(40)을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의 상단부를 통해 끼워넣은 뒤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멍(54)의 위치와 접하는 위치에 구성되도록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에 먼저 체결하여 구성된 받침너트(60)의 위치를 조절하여 바람직한 구성이 되도록 한다.Thereafter, the second filtration network 40 of the foreign material filtration part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50 and the pillar shape 51, and the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54 formed in the body part 50 and the pillar shape 51. The body portion 50 is fastened to the columnar shape 51 so as to be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position of the support nut 60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configured to be a preferred configuration.

그리고, 이물질여과부의 제1여과망(30)을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의 상단부를 통해 상기 몸체부(50)의 기둥형태(51)와 체결하는데, 이때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에 먼저 구성된 이물질여과부의 제2여과망(40) 상단부와 밀착하는 위치까지 구성하여 체결하게 된다.
Then, the first filtration net 30 of the foreign matter filtration unit is fastened to the columnar shape 51 of the body portion 50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50 columnar shape, wherein the body portion 50 columnar shape ( 51) to the posi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iltration network 40 of the first foreign matter filtration unit configured to be fasten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4,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에 먼저 구성하여 포함된 이물질여과부를 더욱 단히 고정하기 위해, In order to more securely fix the foreign matter filtration included in the body portion 50 formed in the columnar shape 51,

고정너트(80)를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의 하단부를 통해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에 먼저 체결하여 구성된 받침너트(60) 하단부와 밀착하는 위치까지 체결하게 된다.The fixing nut 80 is fastened to a posi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supporting nut 60 formed by fastening the fixing nut 80 to the body part 50 and the column shape 51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column shape 51. do.

이후, 세탁기 배수호스(10)와 구성하여 결합하기 위한 호스접촉부(20)를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의 상단부와 구성하여 체결하게 된다.
Thereafter, the hose contact portion 20 for coupling with the washing machine drainage hose 1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50 and the pillar shape 51.

그리고, 다용도실 또는 욕실 등의 바닥(90) 경사도에 대처하여 세탁기 세탁과정의 배출수가 원활하게 하수구(92)로 배출될 수 있도록,Then, in order to cope with the inclination of the bottom 90 of the utility room or bathroom, the drainage of the washing machine washing process may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sewer 9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5,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에 구성된 호스접촉부(20)의 체결수단(27)을 이용해 높낮이를 조절하여 체결하게 된다.By adjusting the height by using the fastening means 27 of the hose contact portion 20 configured in the pillar portion 51 of the body portion 50 is fastened.

이때, 다용도실 또는 욕실 등의 바닥(90) 경사가 수평에 가까운 높이로 하수구(92) 또는 하수구(92)에 배수트랩의 몸체(96)를 포함하여 매설되었을 때,At this time, when the slope of the bottom 90 of the utility room or the bathroom is embedded with the body 96 of the drain trap in the sewer 92 or the sewer 92 to a height close to the horizontal,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6,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에 구성되는 호스접촉부(20)를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의 상단부에 접하여 체결하게 된다.The hose contact portion 20 formed in the pillar portion 51 of the body portion 5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pillar portion 51 of the body portion 50 to be fastened.

10: 세탁기 배수호스. 20: 호스접촉부.
21: ㄱ자 형상의 기둥형태. 22: 큰 지름의 링 형상.
23: 작은 지름의 링 형상. 24: 굴곡이 형성된 면.
27: 호스접촉부 체결수단. 30: 제1여과망.
31: 막대형상. 32: 큰 띠 형상.
33: 작은 띠 형상. 34: 제1여과망 관통구멍.
35: 여과판.
37: 제1여과망 복수의 관통구멍.
38: 제1여과망을 구성하는 하나의 판.
39: 제1여과망 체결수단.
40: 제2여과망.
42: 다공성 구조. 45: 제2여과망 관통구멍.
50: 몸체부. 51: 몸체부 기둥형태.
52: 몸체부 체결수단. 54: 몸체부 복수의 관통구멍.
57: 몸체부 관통구멍. 60: 받침너트.
63: 받침너트 체결수단. 65: 받침너트 관통구멍.
80: 고정너트. 82: 고정너트 관통구멍.
84: 고정너트 체결수단.
90: 다용도실 또는 욕실 등의 바닥. 92: 하수구.
96: 종래의 바닥에 매설된 배수트랩 몸체.
10: Washing machine drain hose. 20: Hose contact part.
21: A-shaped columnar shape. 22: Large diameter ring shape.
23: Ring shape of small diameter. 24: The curved side.
27: Hose contact fastening means. 30: First filtration.
31: bar shape. 32: Large strip shape.
33: Small strip shape. 34: First filtration through hole.
35: filter plate.
37: Through-holes of the first filtration network.
38: One edition of the First Filtration Network.
39: first filtration network fastening means.
40: Second filtration network.
42: porous structure. 45: Second filtration through hole.
50: body part. 51: pillar shaped body.
52: Body fastening means. 54: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the body portion.
57: body through hole. 60: support nut.
63: Support nut fastening means. 65: Support nut through hole.
80: fixing nut. 82: fixing nut through hole.
84: fixing nut fastening means.
90: Floor in utility room or bathroom. 92: Sewers.
96: Drain trap body embedded in a conventional floor.

Claims (5)

세탁기 배수호스(10)와 구성하여 결합하기 위한 호스접촉부(20);및
복수의 여과망(30, 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물질여과부;와
하수구(92) 또는 배수트랩과 구성하기 위해 기둥형태(51)로 형성되는 몸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탁기 배수호스 연결소켓.
Hose contact unit 20 for coupling with the washing machine drain hose 10; And
Foreign material filtering unit comprising a plurality of filter nets (30, 40); And
Washing machine drain hose connection socket comprising a body portion 50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lumn (51) to form a sewer (92) or drain tra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스접촉부(2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개방된 ㄱ자형상의 기둥형태(21)로 세탁기 배수호스(10)와 구성하여 결합하기 위해, 상단부 선단에 복수의 링 형상(22, 23)과 굴곡이 형성된 면(24)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와 구성하여 체결하기 위해 하단부 내부의 측면에 체결수단(2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탁기 배수호스 연결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se contact portion 20 has a plurality of ring shapes 22 at the top end of the upper end portion in order to form a coupling with the washing machine drainage hose 10 in an L-shaped pillar shape 21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pened. , 23 and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24 is formed, the body portion 50 is configured to include a fastening means 27 on the side of the lower end for fastening to configure with the columnar shape 51 Washing machine drain hose connection sock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여과부는 세탁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 외의 오수를 여과하여 배수하기 위해, 복수의 구멍(37)이 형성된 제1여과망(30) 및 다공성 구조(42)로 구성된 제2여과망(40)과,
상기 제2여과망(40)에 접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여과망(30) 및 상기 제2여과망(40)을 포함하여 받쳐주기 위한 받침너트(60)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51)에 구성되는 세탁기 배수호스 연결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reign matter filtration unit includes a second filtration network 40 composed of a first filtration network 30 and a porous structure 42 having a plurality of holes 37 formed therein for filtering and draining wastewater other than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machine;
The body part 50 and the pillar shape 51 are form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filtration network 40 and include a support nut 60 for supporting the first filtration network 30 and the second filtration network 40. Washing machine drain hose connecting socke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여과부에는 상기 제2여과망과 접하여 구성되는 받침너트(60)를 상기 몸체부(50) 기둥형태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너트(80)가 더 포함되는 세탁기 배수호스 연결소켓.
The method of claim 3,
Washing machine drain hose connection socket further comprises a fixing nut (80) for fixing the support nut (60) form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filtration network to the body portion (50) columnar for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5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단부 및 하단부 양측 모두가 개방된 기둥형태(51)로, 외부 측면에 호스접촉부(20) 및 이물질여과부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52)과 복수의 관통구멍(5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탁기 배수호스 연결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50 has a space formed therei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both sides open columnar shape 51, the fastening means 52 for fastening with the hose contact portion 20 and the foreign matter filtration on the outer side Washing machine drain hose connection socket compris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54).
KR2020120008853U 2012-10-02 2012-10-02 Union Socket for Drain of Washing Machine KR2014000208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853U KR20140002080U (en) 2012-10-02 2012-10-02 Union Socket for Drain of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853U KR20140002080U (en) 2012-10-02 2012-10-02 Union Socket for Drain of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080U true KR20140002080U (en) 2014-04-10

Family

ID=52442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853U KR20140002080U (en) 2012-10-02 2012-10-02 Union Socket for Drain of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080U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211Y1 (en) * 2019-07-30 2020-03-04 주식회사 동경건설 Piping to prevent leakage
CN115196769A (en) * 2022-07-12 2022-10-18 阳城县安阳污水处理有限公司 Grating machine with fishing function for sewage treatment
KR102499795B1 (en) * 2022-09-27 2023-02-14 주식회사 에스엠지 Variable drain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211Y1 (en) * 2019-07-30 2020-03-04 주식회사 동경건설 Piping to prevent leakage
CN115196769A (en) * 2022-07-12 2022-10-18 阳城县安阳污水处理有限公司 Grating machine with fishing function for sewage treatment
CN115196769B (en) * 2022-07-12 2024-04-09 阳城县安阳污水处理有限公司 Grid machine for sewage treatment with salvaging function
KR102499795B1 (en) * 2022-09-27 2023-02-14 주식회사 에스엠지 Variable drai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03575A1 (en) Filter and Filter Assembly
KR20090036931A (en) Drainage trap
KR20140002080U (en) Union Socket for Drain of Washing Machine
KR200490309Y1 (en) A drainage assembly with dual drainage
KR100613466B1 (en) Sewage drain of construction
RU2015139143A (en) CLOSED DRAINAGE SYSTEM
KR200472503Y1 (en) A draining trap
KR101415952B1 (en) Drain trap
KR100756933B1 (en) Apparatus for protection of odor treatment
KR20170064307A (en) A water-sealing trap
KR100654576B1 (en) Foreign material filtering device for drain
CN214884239U (en) Floor drain
KR101690457B1 (en) Drain trap
KR200444354Y1 (en) The bathroom floor for a drainage trap filter
KR200352206Y1 (en) a drain trap
KR100698773B1 (en) WATER SUPPLY TRAP for PREVENTING ADVERSE CURRENT
KR20090129111A (en) Structure of drain trap
KR200181575Y1 (en) Draining member for veranda on buildings
KR102075758B1 (en) Joint device for removal of debris in plughole
KR20110011043A (en) Structure of drain trap
KR100642591B1 (en) a drain trap for sink with separable water traps
KR200429979Y1 (en) Apparatus for protection of odor treatment
KR200461517Y1 (en) anti-stench apparatus for a drain teap of sink
KR20180131061A (en) a filtering device for a draine
KR200239586Y1 (en) Drain T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