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532A -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532A
KR20140001532A KR1020120069363A KR20120069363A KR20140001532A KR 20140001532 A KR20140001532 A KR 20140001532A KR 1020120069363 A KR1020120069363 A KR 1020120069363A KR 20120069363 A KR20120069363 A KR 20120069363A KR 20140001532 A KR20140001532 A KR 20140001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ontent
authoring
medium
virtu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섭
이수웅
윤진영
임석현
이길행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69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1532A/ko
Priority to US13/925,735 priority patent/US20140002498A1/en
Publication of KR20140001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5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16Rotation, translation, sc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rchitecture (AREA)
  • Geometr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방법은 사용자가 위치하는 현실 공간 내의 고정형 오브젝트를 정의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현실 공간 내의 동적 오브젝트를 정의하고, 동적 오브젝트를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로 변환하는 단계,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를 가상 공간 내에 배치하여 중강 공간 콘텐츠를 저작하는 단계,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프리미티브 오브젝트에 페어링하여 가상 공간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가상 공간 오브젝트와 사용자의 제스쳐와의 인터랙션을 이벤트 스크립트 형태로 정의하는 단계 및, 중강 공간 콘텐츠에 가상 공간 오브젝트와 인터랙션을 패키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HORING SPATIAL AUGMENTED REALITY CONTENTS}
본 발명은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강 공간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현실 공간에 존재하는 동적인 물체에 직접적으로 정합된 콘텐츠를 투영하고 맵핑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중강 공간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인터랙션, interaction)에 따라 해당 콘텐츠를 변형하고, 이를 반영하는 사용자 공간을 디스플레이화 하고, 사용자와의 직접적인 3D 터치 인터랙션을 지원하는 공간 인터랙션 중심의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중강 공간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다양한 사용자 공간에 대응하는 범용적인 중강 공간 콘텐츠를 저작하기 위하여,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는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는 다양한 사용자의 동적 공간 및 공간내 동적 물체들을 추상화하고, 추상화된 동적 공간과 동적 물체들에 3D 콘텐츠 등과 같은 다양한 오브젝트를 배치하고,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는 연동 동작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다.
종래의 중강 공간 또는 미디어 파사드, 프로젝션 맵핑을 위한 저작 방법은 실제 공간을 미리 풀 스캔하여 정형화하고, 정형화한 결과에 정합되는 3D 콘텐츠를 저작 후에 후처리를 통하여 실공간에 투영하게 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저작 방법은 풀 스캔한 단일 고정형 공간에서만 적용되는 방법으로, 해당 콘텐츠를 다른 공간에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불특정하고 비정규화된 다양한 동적 현실 공간에 대응되는 범용적인 콘텐츠 저작이 가능한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방법은
사용자가 위치하는 현실 공간 내의 고정형 오브젝트를 정의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현실 공간 내의 동적 오브젝트를 정의하고, 동적 오브젝트를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 공간 내에 배치하여 중강 공간 콘텐츠를 저작하는 단계;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상기 프리미티브 오브젝트에 페어링하여 가상 3D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 3D 오브젝트와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와의 인터랙션을 이벤트 스크립트 형태로 정의하는 단계; 및 기 중강 공간 콘텐츠에 상기 가상 3D 오브젝트와 상기 인터랙션을 패키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형 오브젝트는 상기 현실 공간 내 존재하는 벽, 바닥, 기둥, 천장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적 오브젝트는 상기 현실 공간 내 존재하는 이동 가능한 책상, 의자, 침대, 장롱, 탁자, 박스 등 사용자 실공 간에서 동적으로 이동 가능한 오브젝트이거나, 혹은 고정형 오브젝트에 포함 되지 못한 나무 등과 같은 환경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동적 오브젝트를 직육면체, 정육면체, 월뿔, 원기둥, 정사면체, 스피어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에 해당하는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는 외부에서 저작된 3D 모델, 2D 이미지, 동영상, 사운드,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것으로, 현실 공간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소품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강 공간 콘텐츠를 저작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공간 내에서 프리미티브 오브젝트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상 공간 오브젝트 또한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에뮬레이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패키징한 결과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콘텐츠 스크립트, 멀티미디어 원본 파일 들을 하나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현실 공간 내의 오브젝트를 고정형 오브젝트,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로 추상화하고, 상기 고정형 오브젝트,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가상 공간을 구축하는 실공간 애뮬레이터부;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 공간 내의 고정형 오브젝트와 프리미티브 오브젝트에 페어링하여 가상 공간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다중 중강 공간 애뮬레이터부; 상기 가상 공간 오브젝트와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와의 인터랙션을 이벤트 스크립트 형태로 정의하는 이벤트 기반 저작 지원부; 및 상기 중강 공간 콘텐츠에 상기 가상 공간 오브젝트와 상기 인터랙션을 패키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중강 공간 재현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실공간 애뮬레이터부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현실 공간 내의 오브젝트 중 고정형 오브젝트를 정의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상기 오브젝트 중 동적 오브젝트를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로 변환하여, 상기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 공간 내에 배치하여 중강 공간 콘텐츠를 저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형 오브젝트는 상기 현실 공간 내 존재하는 벽, 바닥, 기둥, 천장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적 오브젝트는 상기 현실 공간 내 존재하는 이동 가능한 책상, 의자, 침대, 장롱, 탁자, 박스 등 사용자 실공 간에서 동적으로 이동 가능한 오브젝트이거나, 혹은 고정형 오브젝트에 포함 되지 못한 나무 등과 같은 환경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공간 애뮬레이터부는 상기 고정형/동적 오브젝트를 직육면체, 정육면체, 월뿔, 원기둥, 정사면체, 스피어, 평면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에 해당하는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중 중강 공간 애뮬레이터부는 상기 가상 공간 내에서 프리미티브 오브젝트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상 공간 내에서 중강 공간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동 하는 경우, 상기 가상 공간 오브젝트 또한 움직일 수 있도록 에뮬레이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강 공간 재현 표시부는 패키징한 결과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콘텐츠 스크립트, 멀티미디어 원본 파일 들을 하나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은 사용자 공간을 디스플레이화 하여, 사용자와의 직접적인 3D 터치 인터렉션을 지원하는 공간 인터랙션 중심의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은 중강 공간 콘텐츠를 저작 함에 있어, 불특정 사용자의 현실 공간 내의 비 정형화된 다양한 고정형 또는 동적 오브젝트들을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로 추상화하고, 해당 프리미티브 오브젝트에 프로젝터에 의하여 사용자 실공간에 투영될 가상 3D 오브젝트를 페어링을 통한 정의를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 공간에 적용되는 범용적인 중강 공간 콘텐츠 또는 프로젝션 맵핑 콘텐츠를 저작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공간에 인터랙션 가능한 3D 콘텐츠를 투영함으로써, 다양한 응용 서비스, 교육,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 공연 등에서 몰입감 및 체험감을 높일 수 있는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콘텐츠는 인터랙티브 공간 역할극 학습 콘텐츠, 3D 공간 멀티방 콘텐츠, 인터랙티브 3D 가상 스테이지 공연 콘텐츠 증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강 공간 콘텐츠를 저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강 공간 콘텐츠를 저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는 실공간 애뮬레이터부(100), 다중 중강 공간 애뮬레이터부(200), 콘텐츠 관리부(300), 시나리오 기반 저작 지원부(400), 이벤트 기반 저작 지원부(500), 스크립트 생성부(600) 및 중강 공간 재현 표시부(700)를 포함한다.
실공간 애뮬레이터부(100)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현실 공간 내의 테이블, 벽, 바닥, 기둥, 천장, 책상, 의자, 박스 등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프리미티브 오브젝트(primitive object)로 추상화하여 가상 공간을 구축한다. 여기서,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는 직육면체, 정육면체, 월뿔, 원기둥, 정사면체, 스피어, 평면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다중 중강 공간 애뮬레이터부(200)는 실공간 애뮬레이터부(100)에서 구축한 가상 공간 내에 외부에서 저작된 3D 오브젝트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전달받아, 이를 가상 공간 내의 프리미티브 오브젝트에 페어링(= 바인딩)하여 가상 공간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콘텐츠 관리부(300)는 스크립트 디버거, 3D 구성 생성 및 관리 모듈, 프로젝터 관리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나리오 기반 저작 지원부(400)는 특정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저작함에 있어, 간단한 스크립트로 모든 기능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벤트 기반 저작 지원부(500)는 다중 중강 공간 애뮬레이터부(200)에서 생성한 가상 공간 오브젝트와, 사용자의 인터랙션 포인트(예를 들어, 손, 발, 머리)에 의한 사용자의 제스쳐와의 인터랙션을 이벤트 스크립트 형태로 정의한다.
스크립트 생성부(600)는 이벤트 기반 저작 지원부(500)에서 정의된 스크립트 형태를 토대로 콘텐츠를 생성한다.
중강 공간 재현 표시부(700)는 생성된 콘텐츠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콘텐츠 스크립트, 멀티미디어 원본 파일들을 하나의 형태로 패키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XML은 프리미티브 오브젝트의 정보, 프리미티브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가상 공간 오브젝트의 정보 및 가상 공간 오브젝트의 프리미티브 오브젝트 대비 상대적인 SRT(Scale+Rotation+Translation)을 포함한다. 여기서, SRT는 크기(Scale), 회전(Rotation), 이동(Translation)을 포함한다.
콘텐츠 스크립트는 프리미티브 오브젝트의 정보와 가상 공간 오브젝트의 변형 정보뿐만 아니라, 사운드 및 동영상 등의 멀티비디어 이벤트 등 콘텐츠 시나리오 진행에 관련한 이벤트를 스크립트 형태로 포함한다. 여기서, 가상 공간 오브젝트의 변형 정보는 사용자 인터랙션 포인트에 의한 사용자의 제스쳐 이벤트 및 현실 공간 내에서 조명 및 사운드 이벤트에 의해 가상 공간 오브젝트가 변형된 결과이다.
다음, 중강 공간 콘텐츠를 저작하는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강 공간 콘텐츠를 저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강 공간 콘텐츠를 저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현실 공간 내의 고정형 오브젝트를 정의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한다(S100). 여기서, 고정형 오브젝트는 벽, 바닥, 기둥 천장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현실 공간 내의 오브젝트를 프리미티브 오브젝트 중 고정형 오브젝트로 추상화하여 가상 공간을 구축한다. 예를 들어,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는 현실 공간 내의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벽"을 고정형 오브젝트 형태로 정의하여 도 3과 같은 기본 공간에 도 4와 같은 가상 공간을 생성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는 가상 공간상에서 사용자의 불특정 현실 공간 내에 존재하는 벽, 바닥, 기둥, 천장 등의 고정형 오브젝트를 정의하고, 이를 임의로 배치함으로써, 중강 공간 콘텐츠가 임의의 현실 공간에서 적용되더라도, 임의의 현실 공간에서 바닥, 벽, 기둥, 천장에 해당하는 영역에 중강 공간 콘텐츠를 맵핑할 수 있다.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현실 공간 내의 동적 오브젝트를 정의하고, 동적 오브젝트를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로 변환한다(S200). 여기서, 동적 오브젝트는 책상, 의자, 침대, 장롱, 탁자, 박스 등 사용자 실공 간에서 동적으로 이동 가능한 오브젝트이거나, 혹은 고정형 오브젝트에 포함 되지 못한 나무 등과 같은 환경 오브젝트에 해당한다.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는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를 S100 단계에서 생성한 가상 공간 내에 배치한다(S300). 예를 들어,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는 도 5와 같이 S100 단계에서 생성한 가상 공간(도 4를 참고) 내에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는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를 배치한다. 여기서,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는 항상 움직일 수 있는 동적 오브젝트 또는 고정형 오브젝트에 포함 되지 않은 환경 오브젝트를 추상화한 결과이다.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는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를 가상 공간 내에 배치함으로써,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가상 공간 즉, 중강 공간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다.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는 가상 공간 내에 외부에서 저작된 3D 오브젝트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전달받아, 이를 가상 공간 내의 프리미티브 오브젝트에 페어링(= 바인딩)하여 가상 공간 오브젝트를 생성한다(S400). 예를 들어,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는 도 6과 같이, 가상 공간 내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는 프리미티브 오브젝트에 소품(예를 들어, 물병, 와인잔, 접시 등)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페어링한다.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생성한 가상 3D 오브젝트를 가상 공간 내에서 프리미티브 오브젝트가 이동하는 경우 가상 3D 오브젝트 또한 움직일 수 있도록 에뮬레이션(emulation)한다. 예를 들어, 가상 공간 내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는 프리미티브 오브젝트가 현실 공간 내에서는 테이블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도 7과 같이, 해당 테이블이 어디에 있던지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는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로 추상화되는 한, 프리미티브 오브젝트에 페어링 되어 있는 가상 3D 오브젝트가 투영된다.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는 가상 3D 오브젝트와 사용자의 인터랙션 포인트(예를 들어, 손, 발, 머리)에 의한 사용자의 제스쳐와의 인터랙션을 이벤트 스크립트 형태로 정의한다(S500). 여기서, 사용자의 제스쳐는 터치, 드레그, 손들기, 걷기 등의 제스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는 프리미티브 오브젝트에 페어링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오브젝트에 대하여 사용자가 터칭 등을 수행하였을 경우, 해당 오브젝트가 변형(예를 들어, 색상 변화 등)될 수 있도록 한다.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는 중강 공간 콘텐츠에 가상 3D 오브젝트와 이벤트 스크립 형태의 인터랙션을 패키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500). 이때,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는 패키징 결과 즉,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최종 콘텐츠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콘텐츠 스크립트, 멀티미디어 원본 파일들을 하나의 형태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중강 공간 콘텐츠를 저작 함에 있어, 불특정 사용자의 현실 공간 내의 비 정형화된 다양한 오브젝트들을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로 추상화하고, 해당 프리미티브 오브젝트에 프로젝터에 의하여 사용자 실공간에 투영될 가상 3D 오브젝트를 페어링을 통한 정의를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 공간에 적용되는 범용적인 중강 공간 콘텐츠 또는 프로젝션 맵핑 콘텐츠를 저작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실공간 애뮬레이터부 200; 다중 중강 공간 애뮬레이터부
300; 콘텐츠 관리부 400; 시나리오 기반 저작 지원부
500; 이벤트 기반 저작 지원부 600; 스크립트 생성부
700; 중강 공간 재현 표시부

Claims (14)

  1. 사용자가 위치하는 현실 공간 내의 고정형 오브젝트를 정의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현실 공간 내의 동적 오브젝트를 정의하고, 동적 오브젝트를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 공간 내에 배치하여 중강 공간 콘텐츠를 저작하는 단계;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상기 프리미티브 오브젝트에 페어링하여 가상 공간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 공간 오브젝트와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와의 인터랙션을 이벤트 스크립트 형태로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강 공간 콘텐츠에 상기 가상 공간 오브젝트와 상기 인터랙션을 패키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오브젝트는
    상기 현실 공간 내 존재하는 벽, 바닥, 기둥, 천장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적 오브젝트는 상기 현실 공간 내 존재하는 이동 가능한 책상, 의자, 침대, 장롱, 탁자, 박스 등의 사물 또는 나무, 간판 등 환경에 따라 불특정 하게 배치되어 있는 사물들로 고정형 오브젝트에 포함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동적 오브젝트를 직육면체, 정육면체, 월뿔, 원기둥, 정사면체, 스피어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에 해당하는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는 외부에서 저작된 3D 모델, 2D 이미지, 동영상, 사운드,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것으로, 현실 공간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소품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강 공간 콘텐츠를 저작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공간 내에서 프리미티브 오브젝트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상 공간 오브젝트 또한 움직일 수 있도록 에뮬레이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패키징한 결과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콘텐츠 스크립트, 멀티미디어 원본 파일들을 하나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방법.
  8. 사용자가 위치하는 현실 공간 내의 오브젝트를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로 추상화하고, 상기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가상 공간을 구축하는 실공간 애뮬레이터부;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 공간 내의 프리미티브 오브젝트에 페어링하여 가상 공간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다중 중강 공간 애뮬레이터부;
    상기 가상 공간 오브젝트와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와의 인터랙션을 이벤트 스크립트 형태로 정의하는 이벤트 기반 저작 지원부; 및
    상기 중강 공간 콘텐츠에 상기 가상 공간 오브젝트와 상기 인터랙션을 패키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중강 공간 재현 표시부
    를 포함하는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실공간 애뮬레이터부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현실 공간 내의 오브젝트 중 고정형 오브젝트를 정의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상기 오브젝트 중 동적 오브젝트를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로 변환하여, 상기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 공간 내에 배치하여 중강 공간 콘텐츠를 저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오브젝트는 상기 현실 공간 내 존재하는 벽, 바닥, 기둥, 천장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동적 오브젝트는 상기 현실 공간 내 존재하는 이동 가능한 책상, 의자, 침대, 장롱, 탁자, 박스 등의 사물 또는 나무, 간판 등 환경에 따라 불특정 하게 배치되어 있는 사물들로 고정형 오브젝트에 포함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실공간 애뮬레이터부는
    상기 오브젝트를 직육면체, 정육면체, 월뿔, 원기둥, 정사면체, 스피어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에 해당하는 프리미티브 오브젝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다중 중강 공간 애뮬레이터부는
    상기 가상 공간 내에서 프리미티브 오브젝트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상 공간 오브젝트 또한 움직일 수 있도록 에뮬레이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중강 공간 재현 표시부는
    패키징한 결과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콘텐츠 스크립트, 멀티미디어 원본 파일 들을 하나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
KR1020120069363A 2012-06-27 2012-06-27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0153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363A KR20140001532A (ko) 2012-06-27 2012-06-27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US13/925,735 US20140002498A1 (en) 2012-06-27 2013-06-24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spatial augmented reality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363A KR20140001532A (ko) 2012-06-27 2012-06-27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532A true KR20140001532A (ko) 2014-01-07

Family

ID=49777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363A KR20140001532A (ko) 2012-06-27 2012-06-27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002498A1 (ko)
KR (1) KR201400015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464A (ko) * 2018-06-01 2019-12-11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 3d 모델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641165B1 (ko) * 2023-07-07 2024-02-27 주식회사 메타버즈 사용자 3d 가상공간 구축 및 운용 플랫폼 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326B1 (ko) 2015-03-23 2017-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현실 기반 실감체험 장치 및 제공 방법
US9646411B2 (en) * 2015-04-02 2017-05-09 Hedronx Inc. Virtual three-dimensional model generation based on virtual hexahedron models
US10089681B2 (en) 2015-12-04 2018-10-02 Nimbus Visulization, Inc. Augmented reality commercial platform and method
US11518104B2 (en) 2017-03-29 2022-12-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anufacturing boundary object shells
WO2019079806A1 (en) * 2017-10-20 2019-04-25 Google Llc MANAGING CONTENT DISPLAY PROPERTIES
US10553031B2 (en) 2017-12-06 2020-02-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gital project file presentation
US10467819B2 (en) 2018-03-28 2019-11-05 Authanaviz, LLC Real-time spatial authoring in augmented reality using additive and subtractive modeling
KR102571744B1 (ko) * 2021-05-06 2023-08-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차원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464A (ko) * 2018-06-01 2019-12-11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 3d 모델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641165B1 (ko) * 2023-07-07 2024-02-27 주식회사 메타버즈 사용자 3d 가상공간 구축 및 운용 플랫폼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02498A1 (en) 201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1532A (ko) 중강 공간 콘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KR101940720B1 (ko) 공간 기반 증강현실을 위한 콘텐츠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US9888333B2 (en) Three-dimensional audio rendering techniques
KR100612890B1 (ko) 3차원 이미지의 다중 특수 효과 표현 방법 및 장치
US20150262426A1 (en) Spatial Augmented Reality (SAR) Application Development System
JP200419949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383961B1 (ko) X-Plane를 이용한 HMD 기반 공간정위상실 체험 시뮬레이터
KR20180112582A (ko) 웹 기반의 3d 콘텐츠 전시 시스템
Diewald et al. Towards a holistic approach for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in intelligent environments
Silva et al. Mixed reality application to support infrastructure maintenance
Seth et al. A desktop networked haptic VR interface for mechanical assembly
Schlueter et al. Best practices for cross-platform virtual reality development
Gao et al. Realization of music-assisted interactive teaching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Hudák et al. On architecture and performance of LIRKIS CAVE system
Liarokapis et al. Augmented reality interface toolkit
Korečko et al. LIRKIS CAVE: architecture, performance and applications
Sinclair et al. A run-time programmable simulator to enable multi-modal interaction with rigid-body systems
Maleshkov et al. Affordable virtual reality system architecture for representation of implicit object properties
Huang et al. Developing a BIM-based visualization and interactive system for healthcare design
Halic et al. A framework for web browser-based medical simulation using WebGL
Okada et al. Web based interactive 3D educational material development framework supporting 360VR images/videos and its examples
Kim et al. A situated experiential learning system based on a real-time 3D virtual studio
Genty Virtual Reality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CALLISTO-SARI project, benefits for BOUYGUES CONSTRUCTION.
Ledermann et al. Abstraction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augmented reality authoring
Xu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 Ideological and Political Practice Teaching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Under the Background of Internet Pl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