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365U -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365U
KR20140001365U KR2020120007576U KR20120007576U KR20140001365U KR 20140001365 U KR20140001365 U KR 20140001365U KR 2020120007576 U KR2020120007576 U KR 2020120007576U KR 20120007576 U KR20120007576 U KR 20120007576U KR 20140001365 U KR20140001365 U KR 201400013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protective case
main body
handl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5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2280Y1 (ko
Inventor
박철기
Original Assignee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75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28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3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3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2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2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2007/0004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convertible into an open planar surface, e.g. a shee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25Personal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가 수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을 마감하도록 일측에 제1링크부로 연결되는 커버부; 및
상기 본체부에 타측에 제2링크부로 연결되는 제1손잡이부;
상기 커버부에 일측에 제3링크부로 연결되는 제2손잡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구조는, 이동손잡이를 구비시킴으로써, 휴대시 가방이나 보호케이스의 외관을 파지하지 않고 이동손잡이를 손으로 파지하여 이동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부와 지지부가 마련됨으로써 스탠드형 거치가 용이하고, 손잡이부를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에 조립시킴으로써 승용차 뒷자석에서도 안정된 거치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모바일기기의 가장자리를 단속하여 지지하는 수납부가 구비됨으로써 모바일기기가 견고하게 고정되며, 삽입구에 연성재질의 접이날개가 형성되어 수납 및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CASE FOR MOBILE DIVISE}
본 고안은 모바일기기를 수납하여 보호하는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탠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케이스 일단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휴대가 간편하도록 하고,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에 거치시켜 사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테블릿피씨 등과 같은 모바일기기의 제조기술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고기능, 고가의 신제품이 연속적으로 출시되고 있으며, 그 판매량 또한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수납하여 외관을 보호하는 보호케이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1)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모바일기기(M)를 수납하는 본체부(2)와, 본체부(2)를 감싸는 커버부(4)와, 모바일기기(M)가 고정되는 점착부(3)와, 보호케이스(1)를 열고 잠그는 고정부(5)와, 연결부(6,7)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보호케이스는, 모바일기기(M)를 보호하는 구성은 대체로 갖추어져 있으나, 모바일기기(M)의 휴대를 목적으로 한 구성에 있어서는 보호케이스(1) 자체에 휴대를 간편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 부족함에 따라 가방 등에 수납하거나 손으로 보호케이스(1)의 외부를 파지하고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보호케이스 중에는 단독 기립이 가능한 스탠드 형 케이스가 존재하였으나, 흔들림이 발생하는 장소나 보호케이스를 기립시킬만한 공간이 없는 장소 특히 승용차 뒷좌석과 같이 흔들림이 발생하면서도 장시간 이동해야 하는 공간에서는 거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종래 보호케이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손잡이가 구비되고, 돌출부에 매다는 형태의 사용이 가능하며, 모바일기기의 가장자리를 견고히 지지하는 수납부가 구비됨으로써, 이동시에 휴대가 간편하고 흔들리는 자동차 내에서도 거치가 용이하며 수납 및 체결구조가 견고히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은, 상기 모바일기기가 장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을 대향하여 마감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제1링크부로 연결되는 커버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제2링크부로 연결되고, 제1체결부가 형성되는 제1손잡이부;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제3링크부로 연결되고, 상기 제1체결부에 대응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손잡이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2손잡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링크부와 제3링크부 사이에 절첩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측에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커버부측에 형성되는 지지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와, 커버부와, 제1,2손잡이부는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에는 보강부재가 개재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손잡이부에는 제1자석이 형성되고, 상기 제2손잡이부에는 상기 제1자석에 대응하는 제2자석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는 제2링크부에 인접하여 상기 제2자석에 대응하는 제3자석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는 내부에 수납공간부를 가지며, 일측으로 상기 모바일기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은 디스플레이 화면이 보이도록 개방되게 이루어진 수납케이스가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구 일단에는 상기 모바일기기의 삽입 또는 인출이 단속되도록 모바일기기의 측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접이날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수납케이스는 상기 모바일기기의 기능버튼, 카메라, 표시등, 스피커 및 단자들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기능홀과, 네 귀퉁이에 상기 수납케이스 내에 침투한 먼지 등이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모서리홀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구조는, 이동손잡이를 구비시킴으로써, 휴대시 가방이나 보호케이스의 외관을 파지하지 않고 이동손잡이를 손으로 파지하여 이동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부와 지지부가 마련됨으로써 스탠드형 거치가 용이하고, 손잡이부를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에 조립시킴으로써 승용차 뒷자석에서도 안정된 거치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모바일기기의 가장자리를 단속하여 지지하는 수납부가 구비됨으로써 모바일기기가 견고하게 고정되며, 삽입구에 연성재질의 접이날개가 형성되어 수납 및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수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4의 가-가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외부구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7의 나-나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이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바닥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차량에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차량에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에서 동일 명칭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였다.
도 1은 종래의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수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도4의 가-가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외부구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7의 나-나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100)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100)는, 모바일기기(M)를 내부에 수납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일측에 상기 장공(31,41)이 구비됨으로써 휴대가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보호케이스(100)는 내부에 수납되는 모바일기기(M)가 안정되게 수납되어 단속되도록 상기 모바일기기(M)의 종류에 따라 치수가 다양하게 형성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100)를 제시한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100)는, 상기 모바일기기(M)가 수납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를 마감하며 상기 본체부(10)와 제1링크부(50)로 연결되는 커버부(20)와, 상기 본체부(10)에 제2링크부(60)로 연결되고 제1장공(31)을 포함하는 제1손잡이부(30)와, 상기 커버부(20)에 제3링크부(70)로 연결되고 제2장공(41)을 포함하는 제2손잡이부(4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부(10), 커버부(20), 제1,2손잡이부(30,40) 및 제1,2,3링크부(50,60,70)는 연질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 실리콘 및 천연섬유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외피(101)와 내피(102)의 결합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외피(101)와 내피(102) 사이에는 일정한 두께의 보강부재(103)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부재(103)는 합성수지 또는 두꺼운 종이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103)는 상기 본체부(10), 커버부(20), 제1,2손잡이부(30,40)의 상기 외피(101)와 내피(102) 사이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보호케이스(100)에 강성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모바일기기(M)를 수납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외피(101)와 내피(102)는 합성피혁, 열가소성 필름, 텍스타일 류 및 플라스틱 발포시트 등 고주파 접착이 가능한 원단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거나 열가소성 접착 필름을 상기 외피(101)와 내피(102) 사이에 삽입하여 고주파에 반응하지 않는 원단들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외피(101)와 내피(102)의 접착은 접착제에 의한 본딩, 양면테이프 접착, 고주파 융착, 또는 봉제 등의 가공방법으로 모서리 부분이 상호 결합하여 마감된다.
한편,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모바일기기(M)의 삽입 및 인출이 단속되도록 접이날개(12)가 형성된 삽입구(11)가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화면이 보이도록 수납케이스(13)가 형성되며, 상기 모바일기기(M)의 기능버튼 등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기능홀(14)이 형성되고, 상기 모바일기기(M)의 모서리부가 노출되는 모서리홀(15)이 형성되며, 후면에 형성되는 제3자석(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구(11)는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보호케이스(100)의 거치 및 이동시에 내부에 수납된 상기 모바일기기(M)의 하중의 영향을 가장 작게 받는 본체부(10)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바일기기(M)는 상기 삽입구(11)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10)에 삽입 및 인출되며, 삽입구(11)에 구비된 상기 접이날개(12)가 내부에 수납된 모바일기기(M)의 상부를 감싼 후 배면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모바일기기(M)가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단속한다.
이때, 상기 접이날개(12)의 제조시에 상기 모바일기기(M)의 상측을 감싼 후 배면으로 끼워지는 형태로 상기 접이날개(12)의 외피(101)와 내피(102)를 접착시킴으로써 상기 접이날개(12)가 상기 모바일기기(M)의 배면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케이스(13)는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에 수납되는 상기 모바일기기(M)의 디스플레이부가 용이하게 관찰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는 모바일기기(M)가 수납된 상태에서도 사진을 찍거나, 기능버튼을 조작하거나, 이어폰 등이 접속될 수 있도록 원형 및 다각형 형태의 기능홀(1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체부(10)는 모바일기기(M)가 내부의 상,하,좌,우측 면에 용이하게 밀착되어 수납되고, 내부에 침투한 먼지 등 이물질이 수월하게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각 모서리에 모서리홀(15)이 형성된다.
상기 제3자석(16)는 상기 본체부(10)의 후면에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측 양단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호케이스(100)의 거치시 후술할 제2손잡이부(40)의 제2자석와 자력으로 결합하여 거치구조를 이룬다. 이때, 상기 자석는 상기 외피(101)와 내피(102) 사이에 자석이 삽입되며, 상기 보강부재(103)는 자석의 가장자리 모양으로 따내어지고 그 안에 자석이 삽입됨으로써 자석이 상기 외피(101) 또는 내피(102)측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된다.
한편, 상기 커버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일측과 제1링크부(50)로 연결되는데, 상기 보호케이스(100)가 후술할 거치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본체부(10)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와 외곽 테두리가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호케이스(100)의 보관 및 이동시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을 덮는 형태로 마감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20)는 중간에 절첩부(80)가 형성되어, 상기 제1링크부(50)측에 형성되는 베이스부(21)와, 타측에 형성되는 지지부(22)로 이루어짐으로써 후술할 상기 보호케이스(100)의 거치구조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절첩부(80)는 상기 커버부(20)가 절첩부(80)를 기준으로 절첩되도록 보강부재(103)가 구비되지 않고 외피(101)와 내피(102)가 고주파 융착됨으로써 결합한다.
상기 제1손잡이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타측에 제2링크부(60)로 연결되고, 상기 제2손잡이부(40)는 상기 보호케이스(100)의 이동 및 보관시 상기 제1손잡이부(30)에 대향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부(20)의 일측에 제3링크부(70)로 연결된다.
서로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상기 제1,2손잡이부(30,40)는, 제1,2장공(31,41)이 각각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제1,2장공(31,41)의 양측에 제1,2자석(32,42)이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응하여 체결되는 제1체결부(33)와 제2체결부(43)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2장공(31,41)은 상기 보호케이스(100)를 손으로 파지하여 이동 및 보관할 수 있도록 중앙에 가로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케이스(100)의 이동 및 보관시 상기 보호케이스(10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체결부(33)와 제2체결부(43)가 상기 제1,2장공(31,41)의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부(33)와 제2체결부(43)는 고정핀과 고정홀, 스냅, 벨크로, 강력자석 등의 다양한 체결부재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면에서는 고정핀과 고정홀이 적용된 일례를 도시하였다.
상기 제1,2자석(32,42)은 상기 제1,2손잡이부(30,40)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상기 제1,2장공(31,41)의 양측에 각각 한 쌍이 형성되며, 상기 제2자석(42)은 상기 본체부(10)에 형성된 상기 제3자석(16)과 결합하여 거치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케이스(100)의 이동상태 및 거치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이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바닥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차량에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차량에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보호케이스(100)는, 손으로 상기 제1,2장공(31,41)을 파지하여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상기 제1,2장공(31,41)은 보호케이스(100)의 상측에 가로로 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으로 파기하여 이동하기에 편리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상기 휴대케이스를 떨어뜨리거나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제1,2자석(32,42) 및 제1체결부(33)와 제2체결부(43)가 상기 보호케이스(100)를 이중으로 체결시킴으로써 내부의 모바일기기(M)는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보호케이스(100)는 책상과 같은 바닥면에 단독으로 기립하는 거치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제2손잡이부(40)가 상기 제3링크부(70)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10)의 배면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자석가 상기 본체부(10)에 구비된 제3자석(16)와 자력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커버부(20)는 상기 절첩부(8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베이스부(21)는 바닥면에 접촉하고 상기 지지부(22)는 상기 본체부(10)의 배면을 견고히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부(10)와 베이스부(21)와 지지부(22)가 상기 제2,3,4링크부(60,70,80)를 회전하여 이루는 측면의 형상이 바닥면에 접촉하는 상기 베이스부(21)를 밑면으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꼴로 형성되어 상기 보호케이스(100)는 일정각도 내외의 경사진 바닥면에서도 거치구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으로 보호케이스(100)를 파지하거나, 가방이나 벽체 등과 같은 지지수단에 거치시키지 않더라도 본 고안의 보호케이스(100)의 단독 거치구조에 의해 안정된 거치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감상할 수가 있는 것이다.
아울러, 도 11 및 12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보호케이스(100)는 승용차의 전면 좌석(S)에 구비된 헤드레스트(Head Rest, 이하 H)에 거치될 수도 있다. 즉, 차량이 이동하기 전이나 이동중에라도 상기 헤드레스트(H)를 분리한 후, 상기 제1,2손잡이부(30,40)를 상기 모바일기기(M)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관찰되도록 상기 제1링크부(50)를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1,2자석(32,42)재를 결합시킨 후, 상기 제1,2손잡이부(30,40)에 형성된 상기 제1,2장공(31,41)를 상기 헤드레스트(H)의 지지대(L)에 결합시킴으로써 승용차의 헤드레스트(H)에 거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2장공(31,41)의 형상은 승용차마다 다양한 폭으로 형성된 헤드레스트(H)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첨부된 도면 및 전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에 따라 해석되어져야 하고, 그 범위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00 : 보호케이스 10 : 본체부
20 : 커버부 30 : 제1손잡이부
40 : 제2손잡이부 50 : 제1링크부
60 : 제2링크부 70 : 제3링크부
80 : 절첩부 101 : 외피
11 : 삽입구 102 : 내피
12 : 접이날개 103 : 보강부재
13 : 수납케이스 21 : 베이스부
14 : 기능홀 22 : 지지부
15 : 모서리홀 41 : 제2장공
16 : 제3자석 42 : 제2자석
31 : 제1장공 43 : 고정홀
32 : 제1자석 M : 모바일기기
33 : 고정핀 H : 헤드레스트

Claims (8)

  1.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가 장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을 대향하여 마감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제1링크부로 연결되는 커버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제2링크부로 연결되고, 제1체결부가 형성되는 제1손잡이부;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제3링크부로 연결되고, 상기 제1체결부에 대응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손잡이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2손잡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링크부와 제3링크부 사이에 절첩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측에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커버부측에 형성되는 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3. 제 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커버부와, 제1,2손잡이부는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에는 보강부재가 개재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손잡이부에는 제1자석이 형성되고, 상기 제2손잡이부에는 상기 제1자석에 대응하는 제2자석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는 제2링크부에 인접하여 상기 제2자석에 대응하는 제3자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는 내부에 수납공간부를 가지며, 일측으로 상기 모바일기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은 디스플레이 화면이 보이도록 개방되게 이루어진 수납케이스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 일단에는 상기 모바일기기의 삽입 또는 인출이 단속되도록 모바일기기의 측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접이날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는 상기 모바일기기의 기능버튼, 카메라, 표시등, 스피커 및 단자들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기능홀과, 네 귀퉁이에 상기 수납케이스 내에 침투한 먼지 등이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모서리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2020120007576U 2012-08-27 2012-08-27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2004722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576U KR200472280Y1 (ko) 2012-08-27 2012-08-27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576U KR200472280Y1 (ko) 2012-08-27 2012-08-27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365U true KR20140001365U (ko) 2014-03-10
KR200472280Y1 KR200472280Y1 (ko) 2014-04-17

Family

ID=51489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576U KR200472280Y1 (ko) 2012-08-27 2012-08-27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28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938B1 (ko) * 2013-10-15 2014-08-01 홍순천 다용도 거치대
KR101582465B1 (ko) * 2014-08-26 2016-01-05 김효상 조립식 휴대폰 거치장치
KR102084349B1 (ko) * 2019-03-19 2020-03-03 최수연 노트북 받침대
KR102126648B1 (ko) * 2020-02-11 2020-06-24 최수연 노트북 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571B1 (ko) * 2022-04-13 2022-08-04 허영무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2663U (ja) * 2001-06-13 2001-12-21 公庸 木勢 携帯電話ホルダー
KR200445794Y1 (ko) * 2009-04-16 2009-09-01 박광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가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938B1 (ko) * 2013-10-15 2014-08-01 홍순천 다용도 거치대
KR101582465B1 (ko) * 2014-08-26 2016-01-05 김효상 조립식 휴대폰 거치장치
KR102084349B1 (ko) * 2019-03-19 2020-03-03 최수연 노트북 받침대
KR102126648B1 (ko) * 2020-02-11 2020-06-24 최수연 노트북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280Y1 (ko) 201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2280Y1 (ko)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996188B1 (ko) 접이식 상자
CA2821836C (en) Adjustable holder for tablet computer and cover therefor
US9235230B1 (en) Magnetic stand, mount and cord wrap for mobile devices and accessories
JP2007127980A (ja) 携帯機器用保護カバー
US20140224676A1 (en) Low profile protective cover configurable as a stand with integrated battery
JP2013025420A (ja) 電子機器用ケース及びキーボード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3176005U (ja) 携帯端末機用カバーケース
US20170180838A1 (en) Protective cover for portable wireless speaker and protective cover system
CN101484038A (zh) 用于具有显示屏的电子设备的容纳装置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JP2009178373A (ja) ケース
KR20140115142A (ko) 골프 백
KR101251936B1 (ko) 휴대기기용 지퍼케이스
KR20130007270U (ko)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JP3146051U (ja) ノート型パソコン持ち運び用鞄
CN216976289U (zh) 一种磁吸指环支架
KR20160000276U (ko)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
KR20170024511A (ko) 휴대전화 케이스
KR200475220Y1 (ko) 차량용 거치대
JP2008178494A (ja) パソコンバッグ
KR101239088B1 (ko)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 어셈블리
JP3113054U (ja) 携帯ゲーム機用収納バッグ
KR20210094923A (ko) 폴더블 폰 케이스
KR101718430B1 (ko) 포장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