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263U - 투명덮개 자동 열림구조를 갖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투명덮개 자동 열림구조를 갖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263U
KR20140001263U KR2020120007410U KR20120007410U KR20140001263U KR 20140001263 U KR20140001263 U KR 20140001263U KR 2020120007410 U KR2020120007410 U KR 2020120007410U KR 20120007410 U KR20120007410 U KR 20120007410U KR 20140001263 U KR20140001263 U KR 201400012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cover
body case
main body
touch button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4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1805Y1 (ko
Inventor
윤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200074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805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2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2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8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8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45D33/008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comprising a mirr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4Containers with two lids on one side; Containers with sever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투명덮개 자동 열림구조를 갖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특히 용기 본체의 측면에 투명덮개를 힌지 결합시키고, 상기 투명덮개를 오픈시키기 위한 원터치 버튼을 설치하여, 상기 원터치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서 투명덮개를 용이하게 오픈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덮개 자동 열림구조를 갖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 케이스와; 뚜껑과; 하부가 폐쇄되고 측면이 경사진 원통형 구조로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며, 플렌지면을 형성하되 상기 플렌지면이 본체 케이스의 상부일단에 걸리는 투명덮개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부 측면에 위치되며 투명덮개와 본체 케이스 사이를 연결하는 투명덮개용 힌지와; 상기 투명덮개용 힌지 결합부분에 설치하되 본체 케이스 외측면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누르면 본체 케이스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원터치 버튼과; 상기 원터치 버튼에 연장되어 설치하되 본체 케이스 내부로 연장되며 타측 끝단이 투명덮개의 경사면을 푸싱하여 투명덮개가 투명덮개용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유도하는 좌우 유동부와; 상기 좌우 유동부 내측에 설치되며 원터치 버튼이 전진하면 압축되고 손을 떼면 압축이 해제되면서 원터치 버튼이 다시 제자리로 후퇴하도록 탄발시키는 탄발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투명덮개 자동 열림구조를 갖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A Compact Cosmetic Container Having Autometic Open Sturcture of Cover}
본 고안은 투명덮개 자동 열림구조를 갖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 본체의 측면에 투명덮개를 힌지 결합시키고, 상기 투명덮개를 오픈시키기 위한 원터치 버튼을 설치하여, 상기 원터치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서 투명덮개를 용이하게 오픈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덮개 자동 열림구조를 갖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본체와 덮개가 힌지로 결합되어 용기본체에 대해 덮개가 회전 개폐되는 힌지개폐구조를 갖는 용기로는 화장품용 콤팩트케이스가 있다.
화장품 분야에서 콤팩트는 보통, 거울이 붙어있고 분 또는 연지 따위가 케이스에 수용되어진 휴대용 화장도구를 의미하며, 이러한 것들을 총칭하는 것이다.
여기서, 종래 화장품용 콤팩트 케이스의 구조를 살펴보면, 콤팩트ㆍ립그로스ㆍ아이섀도와 같은 화장품내용물과 화장품내용물을 찍어 바를 수 있는 화장도구를 수용하는 케이스본체; 및 내측 면에 거울이 마련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본체에 덮개가 힌지 결합되어지는 구조의 콤팩트 케이스를 포함한 힌지개폐구조를 갖는 용기는, 용기본체의 일측에 마련된 힌지홈 부분에 덮개의 일측에 마련된 힌지돌기가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힌지홈과 힌지돌기가 대응하여 위치한 부분을 힌지핀이 결합시켜서 된 구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콤팩트 중에서 투명 덮개가 형성되는 종류가 있는바, 공개실용신안 제 20-2011-0007756호에는 이러한 종류의 콤팩트 화장품이 제안되어 있다.
콤팩트 용기는 분말 파우더가 수용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본체(10)를 개폐하는 덮개부(20)와, 본체(10)와 덮개부(20) 사이에 설치되어 퍼프를 수용하는 퍼프수납부(30)와, 상기 퍼프수납부(30)의 상부에 설치된 환상(環狀)의 탄성부재(4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상방이 개방된 컵 형상으로 내부에 분말 파우더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12)이 형성되고, 이 나사산(12)에 후술하는 덮개부(20)의 나사산이 치합된다.
덮개부(20)는 소경부(22)와 대경부(24)가 수직으로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소경부(22)와 대경부(24)는 내주면이 불연속면으로 구비되며 소경부(22)와 대경부(24) 사이에는 단차부(26)가 형성된다. 상기 대경부(24)의 내주면에는 상기 본체(10)의 나사산(12)과 치합되는 나사산(2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경부(22)의 일측 외주면에 뚜껑(28)이 힌지결합된다. 상기 뚜껑(28)의 내측면에는 화장시 분말 파우더를 사용하여 화장할 때 얼굴을 비추어 볼 수 있도록 거울(29)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28)은 힌지결합되는 부분과 대향되는 개소에 상기 뚜껑(28)과 상기 소경부(22)의 상단이 걸림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콤팩트 화장품 용기는 퍼프가 수납되는 퍼프 수납부를 손으로 들어 올려서 다른 곳에 놓은 상태에서 퍼프 수납부 하단에 존재하는 화장재료를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다.
즉, 종래의 콤팩트 화장품 용기는 퍼프 수납부를 손으로 제거해야 하므로 손이 오염되어 있을 경우 퍼프 수납부가 오염될 수 있으며, 아울러 퍼프 수납부를 분실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화장재료의 상부에 존재하는 투명덮개를 원터치 분리하되 투명덮개는 본체 케이스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회전에 의해서 분리되도록하여 투명덮개를 용이하게 케이스 본체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연결되도록하여 분실 염려를 차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하부가 폐쇄된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용기로서 내부에 공간부를 확보하고 상기 공간부에 고형의 화장재료가 투입되는 본체 케이스(10)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단에 뚜껑용 힌지(30)를 통해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원터치 버튼에 의해서 개폐되거나 손으로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뚜껑(20)과; 하부가 폐쇄되고 측면이 경사진 원통형 구조로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며, 플렌지면을 형성하되 상기 플렌지면이 본체 케이스의 상부일단에 걸리는 투명덮개(50)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부 측면에 위치되며 투명덮개와 본체 케이스 사이를 연결하는 투명덮개용 힌지(60)와; 상기 투명덮개용 힌지 결합부분에 설치하되 본체 케이스 외측면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누르면 본체 케이스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원터치 버튼(70)과; 상기 원터치 버튼에 연장되어 설치하되 본체 케이스 내부로 연장되며 타측 끝단이 투명덮개의 경사면을 푸싱하여 투명덮개가 투명덮개용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유도하는 좌우 유동부(80)와; 상기 좌우 유동부 내측에 설치되며 원터치 버튼이 전진하면 압축되고 손을 떼면 압축이 해제되면서 원터치 버튼이 다시 제자리로 후퇴하도록 탄발시키는 탄발 스프링(90)과; 상기 탄발 스프링의 내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탄발 스프링이 압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스프링 결합부재(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10)는, 일측에 설치되며 푸싱하는 동작에 의해서 링크를 움직이며 이에 대응하여 뚜껑에는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링크를 움직이는 동작에 의해서 돌기부가 개폐되어 뚜껑을 열거나 닫는 본체 케이스용 버튼(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화장재료의 상부에 존재하는 투명덮개를 원터치 분리하되 투명덮개는 본체 케이스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회전에 의해서 분리되도록하여 투명덮개를 용이하게 케이스 본체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연결되도록하여 분실 염려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콤팩트 화장품 용기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콤팩트 화장품 용기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콤팩트 화장품 용기에서 투명덮개를 여는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콤팩트 화장품 용기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콤팩트 화장품 용기 개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원터치 버튼 주변 요부 확대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콤팩트 화장품 용기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콤팩트 화장품 용기에서 투명덮개를 여는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콤팩트 화장품 용기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콤팩트 화장품 용기 개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원터치 버튼 주변 요부 확대도로서,
본 고안의 구성은 크게 본체 케이스(10)와, 뚜껑(20)과, 뚜껑용 힌지(30)와, 본체 케이스용 버튼(40)과, 투명덮개(50)와, 투명덮개용 힌지(60)와, 원터치 버튼(70)과, 좌우 유동부(80)와, 탄발 스프링(90)과, 스프링 결합부재(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 케이스(10)는 하부가 폐쇄된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용기로서 내부에 공간부를 확보하고 상기 공간부에 고형의 화장재료가 투입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뚜껑(20)은 본체 케이스의 일단에 뚜껑용 힌지(30)를 통해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원터치 버튼에 의해서 개폐되거나 손으로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본체 케이스용 버튼(40)은 본체 케이스(10) 일측에 설치되며 푸싱하는 동작에 의해서 링크를 움직이며 이에 대응하여 뚜껑에는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링크를 움직이는 동작에 의해서 돌기부가 개폐되어 뚜껑을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상기 투명덮개(50)는 하부가 폐쇄되고 측면이 경사진 원통형 구조로서 본체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며, 플렌지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플렌지면이 본체 케이스의 상부일단에 걸리는 구조이다.
상기 투명덮개용 힌지(60)는 본체 케이스의 상부 측면에 위치되며 투명덮개와 본체 케이스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원터치 버튼(70)은 투명덮개용 힌지 결합부분에 설치하되 본체 케이스 외측면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누르면 본체 케이스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좌우 유동부(80)는 원터치 버튼에 연장되어 설치하되 본체 케이스 내부로 연장되며 타측 끝단이 투명덮개의 경사면을 푸싱하여 투명덮개가 투명덮개용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탄발 스프링(90)은 좌우 유동부 내측에 설치되며 원터치 버튼이 전진하면 압축되고 손을 떼면 압축이 해제되면서 원터치 버튼이 다시 제자리로 후퇴하도록 탄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 결합부재(100)는 탄발 스프링의 내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탄발 스프링이 압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고안의 조립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본체 케이스(10)를 구비하는바, 상기 본체 케이스(10)는 내측에 화장재료(11)가 투입되는 공간부를 확보하고 있으며, 상부에는 투명덮개(50)를 안착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본 고안의 투명덮개(50)는 플렌지(51)가 형성되어 있어서 본체 케이스의 상부에 용이하게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투명덮개(50)의 경사면(52)은 투명덮개용 힌지(60)가 본체 케이스(10)와 결합되어 있어서 투명덮개(50)는 투명덮개용 힌지(60)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구조이다.
본 고안에서는 투명덮개(50)를 유동시키기 위해서 원터치 버튼(70)과, 좌우 유동부(80)와, 탄발 스프링(90)과, 스프링 결합부재(100)를 구비하는바, 상기 원터치 버튼(70)은 본체 케이스(10)의 측면에 위치하여 본체 케이스(10) 내측으로 압박되는 구성부재이고, 상기 좌우 유동부(80)는 원터치 버튼(70)에 연장 설치되어 원터치 버튼을 누르면 본체 케이스(10) 내측으로 유동되면서 투명덮개(50)를 밀쳐서 투명덮개(50)가 회동하여 열리도록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원터치 버튼(70)을 누르는 동작을 멈추게 되면 원터치 버튼(70)이 다시 원래대로 복귀되어야 하는바, 이를 위해서 탄발 스프링(90)과 스프링 결합부재(100)를 구비하여, 상기 탄발 스프링(90)은 원터치 버튼(70)을 누르면 스프링 결합부재(100)에 지지되면서 압축되고 원터치 버튼(70)을 누르지 않으면 스프링 결합부재(100)를 지지점으로 본체 케이스(10) 외측면으로 탄발되면서 원터치 버튼(70)이 원상복귀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전체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본체 케이스(10)를 구비하고 그 내부 공간부에 화장재료(11)가 투입되며, 상기 화장재료(11)의 상부에는 투명덮개(50)가 설치되고, 상기 투명덮개(50)의 상부에는 화장용 퍼프(1)가 위치되며, 상기 본체 케이스(10)를 덮는 뚜껑(20)이 본체 케이스(1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본체 케이스용 버튼(40)의 링크(41)에 잠긴다.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 본체 케이스용 버튼(40)을 누르게 되면 링크(41)가 움직이면서 뚜껑(20)에 형성된 돌기부(21)가 해제되어 뚜껑을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뚜껑(20)이 개방되면 화장용 퍼프(1)가 외부로 들어나게 되며, 상기 화장용 퍼프(1)를 외부로 끄집어 내면 투명덮개(50)가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와 같이 화장용 퍼프(1)를 외부로 인출한 후에는 본체 케이스(10)의 측면에 형성된 원터치 버튼(70)을 누르게 되며, 상기와 같이 원터치 버튼(70)을 누르게 되면 투명덮개용 힌지(60)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투명덮개(50)가 오픈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원터치 버튼(70)을 누르지 않게 되면 탄발 스프링(90)에 의해서 원래 상태로 복귀되며, 사용자는 화장용 퍼프(1)를 이용하여 본체 케이스(10)의 내측에 담긴 화장재료(11)를 뭍혀서 얼굴화장을 할 수 있게 된다.
얼굴화장이 끝나면 투명덮개(50)를 다시 덮고 이후 화장용 퍼프를(1) 투명덮개(50)에 수납시킨후 뚜껑(20)을 닫으면 모든 동작이 완료된다.
10: 케이스
20: 뚜껑
30: 뚜껑용 힌지
40: 본체 케이스용 버튼
50: 투명덮개
60: 투명덮개용 힌지
70: 원터치 버튼
80: 좌우 유동부
90: 탄발 스프링
100: 스프링 결합부재

Claims (2)

  1. 하부가 폐쇄된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용기로서 내부에 공간부를 확보하고 상기 공간부에 고형의 화장재료가 투입되는 본체 케이스(10)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단에 뚜껑용 힌지(30)를 통해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원터치 버튼에 의해서 개폐되거나 손으로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뚜껑(20)과;
    하부가 폐쇄되고 측면이 경사진 원통형 구조로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며, 플렌지면을 형성하되 상기 플렌지면이 본체 케이스의 상부일단에 걸리는 투명덮개(50)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부 측면에 위치되며 투명덮개와 본체 케이스 사이를 연결하는 투명덮개용 힌지(60)와;
    상기 투명덮개용 힌지 결합부분에 설치하되 본체 케이스 외측면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누르면 본체 케이스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원터치 버튼(70)과;
    상기 원터치 버튼에 연장되어 설치하되 본체 케이스 내부로 연장되며 타측 끝단이 투명덮개의 경사면을 푸싱하여 투명덮개가 투명덮개용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유도하는 좌우 유동부(80)와;
    상기 좌우 유동부 내측에 설치되며 원터치 버튼이 전진하면 압축되고 손을 떼면 압축이 해제되면서 원터치 버튼이 다시 제자리로 후퇴하도록 탄발시키는 탄발 스프링(90)과;
    상기 탄발 스프링의 내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탄발 스프링이 압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스프링 결합부재(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덮개 자동 열림구조를 갖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10)는,
    일측에 설치되며 푸싱하는 동작에 의해서 링크를 움직이며 이에 대응하여 뚜껑에는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링크를 움직이는 동작에 의해서 돌기부가 개폐되어 뚜껑을 열거나 닫는 본체 케이스용 버튼(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덮개 자동 열림구조를 갖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KR2020120007410U 2012-08-21 2012-08-21 투명덮개 자동 열림구조를 갖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KR2004718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410U KR200471805Y1 (ko) 2012-08-21 2012-08-21 투명덮개 자동 열림구조를 갖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410U KR200471805Y1 (ko) 2012-08-21 2012-08-21 투명덮개 자동 열림구조를 갖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263U true KR20140001263U (ko) 2014-03-05
KR200471805Y1 KR200471805Y1 (ko) 2014-03-14

Family

ID=51484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410U KR200471805Y1 (ko) 2012-08-21 2012-08-21 투명덮개 자동 열림구조를 갖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80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405B1 (ko) * 2015-06-10 2015-12-21 김진우 화장용 스파츌러 자동 인출 구조를 갖는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200479164Y1 (ko) 2014-08-27 2015-12-24 이종남 화장품케이스
KR20180024693A (ko) 2016-08-31 2018-03-08 정규천 나사 및 힌지의 복합 개방 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611Y1 (ko) 2000-08-30 2001-03-15 주식회사포 쉬 에 화장품 케이스
KR200338797Y1 (ko) 2003-09-06 2004-01-24 주식회사 하나 화장품케이스의 뚜껑 개방구조
KR200460285Y1 (ko) 2010-03-04 2012-05-15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용 콤팩트 케이스
KR200458647Y1 (ko) 2010-09-30 2012-03-06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용 콤팩트 케이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164Y1 (ko) 2014-08-27 2015-12-24 이종남 화장품케이스
KR101579405B1 (ko) * 2015-06-10 2015-12-21 김진우 화장용 스파츌러 자동 인출 구조를 갖는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WO2016200128A1 (en) * 2015-06-10 2016-12-15 Ctk Co., Ltd Cream cosmetics container having structure for automatically ejecting makeup spatula
KR20180024693A (ko) 2016-08-31 2018-03-08 정규천 나사 및 힌지의 복합 개방 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805Y1 (ko) 201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113Y1 (ko) 파우더를 함유한 스펀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EP3117737A1 (en) Rotary open/close-type tube container
KR101242637B1 (ko) 출몰식 진동 퍼프를 갖는 콤팩트
KR20070047864A (ko) 화장용브러시의 토출구조
KR200479864Y1 (ko) 겔상 내용물의 잔량 방지가 용이한 파운데이션 용기
JP6353921B2 (ja) 内容器と内容器蓋間の密閉構造を有する化粧品容器
KR101253099B1 (ko) 콤팩트 용기
KR101242640B1 (ko) 출몰식 퍼프를 갖는 콤팩트
KR101222087B1 (ko) 다단형 화장품 용기
KR101638813B1 (ko) 인출식 팔레트를 갖춘 화장품용기
KR200478805Y1 (ko) 스펀지함침형 화장제용기
KR200471805Y1 (ko) 투명덮개 자동 열림구조를 갖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EP3031351A1 (en) Airless compact container
KR102164415B1 (ko) 내용기의 회전 체결구조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CA2900186A1 (en) Non-roll stick product containers
CN104886914A (zh) 具有杆状化妆品容器的粉盒容器
KR101002091B1 (ko) 커버의 자동 오픈구조를 구비한 화장용 케이스
KR101222088B1 (ko) 자동 슬라이드 개폐형 화장품 용기
KR20150001424U (ko) 주름부를 구비한 배출부재가 형성된 화장품용기
KR200375537Y1 (ko) 화장용구
US10477939B2 (en) Cushion compact container
KR20130003770U (ko) 화장액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20170025697A (ko) 뚜껑 분리와 동시에 퍼프가 출몰되는 파운데이션 용기
KR101785397B1 (ko) 함침부재와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콤팩트 화장품용기
KR101729072B1 (ko) 자동으로 개방되는 뚜껑을 구비한 펌핑 파운데이션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