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112U - 벽체 마감구조 - Google Patents

벽체 마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112U
KR20140001112U KR2020120007164U KR20120007164U KR20140001112U KR 20140001112 U KR20140001112 U KR 20140001112U KR 2020120007164 U KR2020120007164 U KR 2020120007164U KR 20120007164 U KR20120007164 U KR 20120007164U KR 20140001112 U KR20140001112 U KR 201400011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wall
panel
fixed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칠성
Original Assignee
다산이노씨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산이노씨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산이노씨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7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1112U/ko
Publication of KR201400011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11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Hooking means on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체 마감구조에 관한 것으로, 벽체에 레일을 설치하여 레일에 패널 조립판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못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레일의 간격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가 매우 용이하도록 하며, 마감용 패널에 조명을 부가하여 미려함은 물론 부가가치를 높이도록 한 벽체 마감구조를 제안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벽체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세워져 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홈부가 형성된 한 쌍의 레일과, 바 형태로 형성되고, 일정간격마다 걸림구멍이 형성되며,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그 돌출부들이 레일의 홈부에 삽입되어 못에 의해 고정되는 패널 고정 프레임과, 후면 양측에 돌출된 후크가 형성되어 한 쌍의 레일에 설치된 패널 고정 프레임의 걸림구멍에 끼워져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마감용 패널,로 구성된다.
또한, 레일은 레일 고정구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며, 레일 고정구는 상부면에 가로방향 상하측으로 나란히 형성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못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하부에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어 베이스의 가이드 레일에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부에는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간격을 두고 한 상의 레일고정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그 사이로 레일을 수용한 다음 볼트에 의해 고정시키는 이송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마감용 패널은 전면부에 장착홈이 형성되고, 장착홈의 바닥부에는 LED가 설치되며,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덮개가 장착홈의 전면 개방된 부위로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벽체 마감구조{omitted}
본 고안은 벽체 마감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체 마감용 패널이 끼워져 고정되는 조립체를 레일상에 고정시킴으로써 못을 많이 사용하지 않으며, 또한, 레일의 간격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마감용 패널에 조명을 설치한 벽체 마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지하층의 벽체나 또는 외기와 맞닿는 건물의 벽체에는 온도차에 의해 쉽게 결로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인해 곰팡이와 악취 발생을 유발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패널 조립판(10)을 벽체에 고정시킨 다음 마감용 패널(24a,24b)를 패널 조립판(10)에 조립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벽체와 마감용 패널(24a,24b)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외기와 내기간의 온도편차를 줄이게 되며, 이로인해 결로가 방지되어 곰팡이와 악취 발생을 줄이게 된다.
패널 조립판(10)은 일정 면적의 사각 단위체 형상을 가지게 되는데, 벽면을 따라 사방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패널(12)을 가지며, 이 베이스 패널(12)의 전면에 대하여 모자이크 형상으로 덮어 마감하는 마감용 패널(24a,24b)이 결합된다.
베이스 패널(12)은 복수 프레임(14a,14b,14c)들을 일정 단위 면적 내에서 가로 및 세로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 등 여러 방향 및 소정 간격으로 상호 교차 배열한 골격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각각의 프레임(14a,14b,14c)들은 베이스 패널(12) 전면의 평활도를 유지 및 내구성을 갖도록 그 배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세워진 형상의 리브(16)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각 프레임(14a,14b,14c)들이 교차하는 소정 위치에는 컵 형상의 교각(22)이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교각(22)들의 바닥에 못을 박아 벽체에 패널 조립판(10)을 고정시키게 되며, 이로인해 벽체와 마감용 패널(24a,24b)간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벽체에 결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더불어 베이스 패널(12)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이웃하는 베이스 패널(12)간의 연결을 위하여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체결홀(18)들과 체결돌기(20)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체결홀(18)들과 체결돌기(20)들의 결합에 의해 이웃하는 베이스 패널(12)들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정렬되며, 연속적인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패널 조립판(10)은 교각(22)에 기계(nail gun)에 의해 못을 박아 벽체에 고정시킴으로써 큰 압력으로 많은 못이 박히게 되어 벽체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건물의 안전에 큰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게 된다.
또한, 패널 조립판(10)을 벽체에 곧바로 고정할 때 이웃하는 패널 조립판과의 간격이 약간 비틀어진 경우 박혀져 있는 못을 모두 제거한 다음 다시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작업이 매우 어려우며, 이로인한 작업능률이 매우 낮은 문제점도 갖는다.
그리고, 마감용 패널(24a,24b)은 단순히 플라스틱 사출로 성형하여 마감재로서만 사용될 뿐 여타의 기능을 가지지 못하므로 부가가치 측면에서도 매우 뒤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벽체에 레일을 설치하여 레일에 패널 조립판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못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레일의 간격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가 매우 용이하도록 하며, 마감용 패널에 조명을 부가하여 미려함은 물론 부가가치를 높이도록 한 벽체 마감구조를 제안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벽체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세워져 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홈부가 형성된 한 쌍의 레일과,
바 형태로 형성되고, 일정간격마다 걸림구멍이 형성되며,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그 돌출부들이 레일의 홈부에 삽입되어 못에 의해 고정되는 패널 고정 프레임과,
후면 양측에 돌출된 후크가 형성되어 한 쌍의 레일에 설치된 패널 고정 프레임의 걸림구멍에 끼워져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마감용 패널,로 구성된다.
또한, 레일은 레일 고정구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며, 레일 고정구는
상부면에 가로방향 상하측으로 나란히 형성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못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하부에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어 베이스의 가이드 레일에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부에는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간격을 두고 한 상의 레일고정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그 사이로 레일을 수용한 다음 볼트에 의해 고정시키는 이송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마감용 패널은 전면부에 장착홈이 형성되고, 장착홈의 바닥부에는 LED가 설치되며,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덮개가 장착홈의 전면 개방된 부위로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레일 고정구에 의해 레일이 벽체에 고정되어 패널 조립판을 지지하는 구조로서, 레일 고정구만을 벽체에 못으로 고정하게 되어 못의 사용이 최소화됨으써 벽체 구조물에 못에 의한 균열이 발생하지 않아 건물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한, 레일만 올바르게 설치되면, 패널 조립판의 간격이 정확히 맞게 되므로 작업성이 매우 좋은 장점이 있으며, 레일도 레일 고정구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될 수 있어서 정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레일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마감용 패널에 조명이 부가됨으로써 외관이 미려함은 물론 화재나 정정 등의 비상시에 유도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조명기능을 갖는 광고판 등의 다양한 기능도 가지게 되어 부가가치가 높아지는 장점도 갖는다.
도1은 종래의 패널 조립판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본 고안의 전체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레일 고정구의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레일 고정구와 레일의 결합 상태를 보인 도.
도5는 본 고안이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조립된 외관 상태를 보인 도.
도7은 본 고안에서 적용된 마감용 패널의 상세 구조를 보인 도.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마감용 패널(400)을 벽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한 쌍의 레일(100,110)이 벽체에 세워져서 고정되는데, 레일(100,110)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길게 고정되며, 전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홈부(101,1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레일(110,110)은 레일 고정구(200)에 의해 고정되는데, 이러한 레일 고정구(200)는 도3에서와 같이 벽체에 직접 못으로 고정되기 위하여 가운데 부분에는 못구멍(211)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212,213)이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212,213)에는 이동체(220)가 탑재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이동체(220)는 하부에 슬라이드 홈(221)이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212,213)에 끼워져 슬라이딩되고, 상부에는 좌우측으로 레일 고정편(221,222)이 레일(100,110)의 폭만큼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세워져 있으며, 그 레일 고정편(221,222)에는 각각 고정구멍(223,22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4와 같이 레일 고정편(221,222) 사이에 레일(100)이 삽입되어 위치하면 고정구멍(223,224)에 나사를 삽입하여 레일(100)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레일 고정구(200)는 벽체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레일(100,110)을 고정시키면서 레일(100)과 레일(110)의 좌우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패널 고정 프레임(300)은 바 형태로 되고, 그 폭이 레일(100,110)의 폭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며,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310)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330)는 사각의 컵 형태로서 레일(100,110)의 홈부(101,1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외경이 홈부(101,111)와 꼭 맞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깊이 또한 홈부(101,111)의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마감용 패널(400)의 후크(401,402,403)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구멍(320,321,322)이 형성되어 있다.
마감용 패널(400)의 한 쌍의 레일(100,110)에 걸쳐지도록 위치하여 벽체를 마감하는 것으로, 후면에는 복수개의 후크(401,402,403)가 형성되어 있어서, 패널 고정 프레임(300)의 걸림구멍(320,321,32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레일(100,110)과 패널 고정 프레임(300), 그리고 마감용 패널(400)을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도5에서와 같이 먼저 벽체에 레일(100,110)이 설치된 위치의 상하방향으로 레일 고정구(200)를 못(230)으로 고정시킨 다음, 레일(100,110)을 레일 고정구(200)에 장착시킨다.
이후 도6에서와 같이 패널 고정 프레임(300)의 돌출부(330)들이 각각 레일(100,110)의 홈부(101,111)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하방향으로 홈부(101,110)를 따라 슬라이딩시켜 상하 위치를 잡게 되며, 상하 위치가 잡혀지면 못구멍(311)을 통해 못(312)을 박아서 레일(100,110)의 바닥부에 고정하여 패널 고정 프레임(300)을 결합하게 된다.
이때, 레일(100,110) 사이의 간격이 정확하지 않아서 마감용 패널(400)의 후크(401,402,403)와 걸림구멍(320,321,322)의 위치가 맞지 않는 경우 레일 고정구(200)의 이동체(220)의 위치를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후크(401,402,403)를 걸림구멍(320,321,322)의 위치에 정확히 맞출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레일(100,110)에 여러개의 패널 조립판(330)을 장착하여 채결구멍(340)과 체결돌기(350)에 의해 이웃하는 패널 조립판과 연결시킨 다음 마감용 패널(400)을 각각의 구획에 형성된 끼움구멍(360)에 끼워서 고정시키면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아울러 레일(100,110)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지 못하여 마감용 패널(400)이 정확히 설치될 수 없는 경우에는 레일 고정구(200)만 벽체로부터 분리시켜 재차 장착하면 되므로 작업성이 매우 좋으며, 아울러 레일 고정구(200)가 고정되는 위치에서만 벽체에 직접 못을 박는 경우를 최소화하여 벽체에 무리를 주지 않는다.
그리고, 마감용 패널(400)의 일측부에는 턱부(404)가 형성되어 측방향으로 이웃하는 마감용 패널의 턱부(405)와 서로 걸리도록 결합하는 형태를 가지며, 하측은 돌기부(406)가 형성되어 하측에 위치하는 마감용 패널의 상측에 형성된 홈부(407)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형태를 갖는다.
도7은 본 고안에서 적용된 마감용 패널(400)의 상세 구조를 보인 도로서, 전면부 가운데 부분에는 장착홈(410)이 형성되어 있고, 그 장착홈(410)의 바닥부에는 LED(4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장착홈(410)의 측벽에는 덮개(430)의 후크(431)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구멍(411)이 형성되어 있어서, 덮개(430)가 장착홈(410)의 전면부로부터 덮어지는 경우 이탈을 방지하면서 고정시키게 된다.
덮개(430)에는 창살부(440)에 의해 많은 구멍이 형성되므로, LED(420)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창살부(440)의 구멍들을 통해 외부로 새어나오게 된다.
그리고, 마감용 패널(400)의 후면 양측만 패널 고정 프레임(300)에 의해 레일(100,11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마감용 패널(400)의 후면이 비어있는 상태가 되어 LED(420)의 배선이 자유롭다.
즉, 종래의 마감용 패널(24a,24b)의 후면에는 베이스 패널(12)이 막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본 고안의 마감용 패널(40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후면에서의 배선이 자유롭지 못하여 사실상 적용이 불가능하지만, 본 고안의 벽체 마감구조에서는 마감용 패널(400)의 후방이 비어있는 상태이므로 배선이 자유롭다.
결국, 본 고안의 구조에 의해서만 LED(420)가 적용된 마감용 패널(400)의 적용이 쉬워지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마감용 패널(400)의 사용에 의해 조명이 행해져 인테리어는 물론 비상시에 유도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덮개(430)를 광고판으로 하는 경우 광고효과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즉, 벽체의 마감 구조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조명과 광고의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100,110 : 레일 101,102 : 홈부
200 : 레일 고정구 210 : 베이스
212,213 : 가이드 레일 220 : 이동체
221 : 슬라이드 홈 221,222 : 레일 고정편
300 : 패널 고정 프레임 310 : 돌출부
400 : 마감용 패널 410 : 후크
410 : 장착홈 420 : LED
430 : 덮개

Claims (3)

  1. 벽체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세워져 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홈부가 형성된 한 쌍의 레일과,
    바 형태로 형성되고, 일정간격마다 걸림구멍이 형성되며,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그 돌출부들이 레일의 홈부에 삽입되어 못에 의해 고정되는 패널 고정 프레임과,
    후면 양측에 돌출된 후크가 형성되어 한 쌍의 레일에 설치된 패널 고정 프레임의 걸림구멍에 끼워져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마감용 패널,로 구성된 벽체 마감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레일은 레일 고정구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며,
    레일 고정구는
    상부면에 가로방향 상하측으로 나란히 형성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못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하부에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어 베이스의 가이드 레일에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부에는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간격을 두고 한 상의 레일고정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그 사이로 레일을 수용한 다음 볼트에 의해 고정시키는 이송체,로 구성된 벽체 마감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마감용 패널은 전면부에 장착홈이 형성되고, 장착홈의 바닥부에는 LED가 설치되며,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덮개가 장착홈의 전면 개방된 부위로 체결되도록 구성된 벽체 마감구조.
KR2020120007164U 2012-08-10 2012-08-10 벽체 마감구조 KR201400011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164U KR20140001112U (ko) 2012-08-10 2012-08-10 벽체 마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164U KR20140001112U (ko) 2012-08-10 2012-08-10 벽체 마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112U true KR20140001112U (ko) 2014-02-20

Family

ID=52441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164U KR20140001112U (ko) 2012-08-10 2012-08-10 벽체 마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111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9422A (ko) 2022-04-20 2023-10-27 주식회사케이.피.씨 벽면 마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9422A (ko) 2022-04-20 2023-10-27 주식회사케이.피.씨 벽면 마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58249A1 (en) Art wall for customized installation of shelves
US9267670B2 (en) Illumination system
KR101410499B1 (ko) 벽체 마감장치
KR20170048130A (ko) 벽체 마감 시공용 프레임 조립체
CA2909961C (en) Auxiliary securing support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US9243798B2 (en) Illumination system
KR20160011482A (ko) 입체감 구현이 가능한 천장마감시스템
KR20160063631A (ko) 벽체의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331124B1 (ko) 천장 스크린 루버 고정구조
KR101703982B1 (ko) 조립식 천장구조물
KR20150070984A (ko) 시공이 용이한 피트패널조립체
KR101863507B1 (ko) 칸막이의 중간프레임 간격조절 고정장치
KR20140001112U (ko) 벽체 마감구조
KR101057561B1 (ko) 건축물 벽체용 장식부재
KR20130131153A (ko) 천정재 고정 시스템
KR101304825B1 (ko) 벽체 마감용 패널의 고정장치
KR101907464B1 (ko) 조립식 칸막이
CN210567775U (zh) 一种电梯灯用灯壳及电梯灯
US8978317B1 (en) Coping for attachment to a wall with a non-structural exterior building facade
KR101328435B1 (ko) 벽체용 패널의 조립구조
KR20130003853U (ko) 스크린 타입 루버의 조립구조
KR20110039933A (ko) 실내 벽체마감용 수평몰딩 및 상기 수평몰딩을 이용하여 벽체를 마감하는 시공방법
KR100932774B1 (ko) 건물 외장재 내부 설치형 경관조명등 부착장치
KR20170003197U (ko) 천정 루바 설치구조
KR100987661B1 (ko) 패널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