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984U - 분해조립형 자전거 - Google Patents

분해조립형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984U
KR20140000984U KR2020120006985U KR20120006985U KR20140000984U KR 20140000984 U KR20140000984 U KR 20140000984U KR 2020120006985 U KR2020120006985 U KR 2020120006985U KR 20120006985 U KR20120006985 U KR 20120006985U KR 20140000984 U KR20140000984 U KR 201400009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procket
upper frame
rear end
b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9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시영
Original Assignee
정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시영 filed Critical 정시영
Priority to KR20201200069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984U/ko
Publication of KR201400009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98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02Cycle frame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ross-section of frame members
    • B62K19/04Cycle frame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ross-section of frame members the material being wholly or mainly metallic, e.g. of high elasticity
    • B62K19/06Cycle frame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ross-section of frame members the material being wholly or mainly metallic, e.g. of high elasticity tub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18Joints between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62K19/4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for attaching accessories, e.g. article carriers,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2Frames
    • B62K3/04Frames having a substantially horizontal top 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적인 클래식 타입의 안정적인 프레임 구조를 채택하고, 일부 구성의 분해조립 및 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안정성과 이동성을 동시에 겸비한 분해조립형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전단부에 핸들부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에 안장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10); 상부 프레임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구동 스프라켓과 연결되는 전방 프레임(40); 상부 프레임의 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구동 스프라켓과 연결되는 후방 프레임(50); 구동 스프라켓의 회전축과 피동 스프라켓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하중으로부터 후륜을 지지하며, 후단부는 피동 스프라켓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단부는 구동 스프라켓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면서 폴딩이 가능한 회동 프레임(70); 상부 프레임의 후단부와 회동 프레임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하중으로부터 후륜을 지지하며, 상단부는 상부 프레임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는 피동 스프라켓과 착탈이 가능하며 구동 스프라켓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 프레임과 일체로 폴딩이 가능한 지지 프레임(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분해조립형 자전거{DISASSEMBLY AND ASSEMBLY TYPE BIKE}
본 고안은 일반적인 클래식 타입의 안정적인 프레임 구조를 채택하고, 일부 구성의 분해조립 및 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안정성과 이동성을 동시에 겸비한 분해조립형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전륜과 후륜이 전,후방에 나란히 일렬로 배치되며, 중앙부에 위치한 구동 스프라켓을 페달로 구동함으로써 구동 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피동 스프라켓이 후륜의 회전축에 일체로 연결되어 후륜 구동에 의해 자전거가 전진하게 된다.
이러한 동력 전달 수단 외에 자전거 자체의 구조를 지지하기 위해 일정한 프레임들이 전륜과 후륜을 통하여 연결된다.
그런데 자전거는 사용자의 사용하는 방식(예: 레저, 익스트림, 산악 등)에 따라 자동차 등에 실어 일정한 장소로 운반한 후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렇게 자전거를 탈것에 실어 운반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사이즈의 자전거를 바로 싣기에 부적합한 면이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종래의 등록특허 제 10-1010833호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접이 방법"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종래의 접이식 자전거는 일정한 크기로 폴딩하는 것만을 고려하여 제작되었으므로 산악에서 이용하거나 비교적 거친 환경에 사용하기에는 다소 부적합 면이 있다. 즉, 전륜과 후륜을 연결하는 부분이 일자형의 프레임(170) 하나로 이루어지고, 일자형의 프레임(170)의 중앙부가 접히는 폴딩부(220)로 이루어져 상하 방향으로의 충격에 대해 자전거 전체의 안정감이 매우 떨어지는 구조이다.
그에 따라 이러한 구조적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일자형의 프레임(170)을 점차적으로 두껍게 제작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자전거의 무게와 원자재 단가가 증가하는 문제도 있다.
무엇보다도 상하 방향으로부터의 외부 충격에 대해 자전거 전체의 하중을 지탱하는 일자형의 프레임(170) 부분에 폴딩부(220)가 구성된다는 자체가 자전거에 앉아 주행하는 사용자의 안정감을 떨어뜨리며, 특히 산악과 같이 거친 환경에서는 전혀 제 구실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도 1]과 같이 프레임(170)의 중앙부가 폴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자전거와 같은 프레임이 병립하여 배치될 수 없는 단점도 있다. 왜냐하면 병립하는 각 프레임에 폴딩부를 각각 형성하는 경우 폴딩되는 각도의 차이로 인해 상호 엇갈려 정확한 폴딩이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1]과 같이 안정감이 떨어지는 종래의 접이식 자전거에 만족하지 못하는 사용자는 아예 차량의 외부에 접이식이 아닌 일반적인 자전거를 거치하여 운반하는 경우도 있는데, 차량의 외부에 자전거를 거치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외부에 흠집을 감수하더라도 거치대를 장착하여야만 하는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안정성과 이동성을 동시에 겸비한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는, 전륜이 위치하는 전방으로부터 후륜이 위치하는 후방을 향해 배치되며, 전단부에 핸들부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에 안장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며, 페달에 의한 회전력을 인가받아 체인을 통해 외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 스프라켓; 구동 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동 스프라켓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되며, 후륜의 회전축에 일체로 연결되는 피동 스프라켓; 상부 프레임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구동 스프라켓과 연결되는 전방 프레임; 상부 프레임의 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구동 스프라켓과 연결되는 후방 프레임; 상부 프레임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전륜의 회전축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핸들부의 조향 조작에 연동하여 전륜을 조향하는 조향 프레임; 구동 스프라켓의 회전축과 피동 스프라켓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하중으로부터 후륜을 지지하며, 후단부는 피동 스프라켓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단부는 구동 스프라켓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면서 폴딩이 가능한 회동 프레임; 상부 프레임의 후단부와 회동 프레임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하중으로부터 후륜을 지지하며, 상단부는 상부 프레임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는 피동 스프라켓과 착탈이 가능하며 구동 스프라켓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 프레임과 일체로 폴딩이 가능한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은 상부 프레임의 전단부와 전방 프레임의 상단부를 잇는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 튜브가 구비되며, 제 1 튜브의 상부로부터 핸들부의 레그가 끼워져 고정되고, 제 1 튜부의 하부로부터 조향 프레임의 상단부가 끼워져 핸들부의 레그와 맞물림으로써 핸들부의 조향 조작에 연동하여 조향 프레임이 조향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 프레임의 후단부와 후방 프레임의 상단부를 잇는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 튜브가 구비되며, 제 2 튜브의 상부로부터 안장의 레그가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제 2 튜브와 안장의 레그가 연결되는 부분과, 조향 프레임의 하단부와 전륜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부분과, 회동 프레임의 후단부와 피동 스프라켓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부분은 착탈이 간편하게 고정하는 QR 레버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는,
첫째, 상부 프레임, 전방 프레임, 후방 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삼각형을 이루는 일반적인 클래식 타입의 구조를 채택하여 외부 충격이나 큰 하중에는 자전거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안장, 핸들부, 전후륜이 자전거 몸체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고 후륜을 지지하는 회동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이 구동 스프라켓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폴딩이 가능함으로써 안정성과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접이식 자전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하는 과정도 1.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 후 폴딩하는 과정도 2.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 후 폴딩하는 과정도 3.
[도 6]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 후 폴딩하는 과정도 4.
[도 7]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와 폴딩을 한 후 상호 밀착시키기 위한 전 단계를 도시한 과정도 5.
[도 8]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와 폴딩을 한 후 상호 밀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과정도 6.
[도 9]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하는 과정도 1.
[도 11]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 후 폴딩하는 과정도 2.
[도 1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 후 폴딩하는 과정도 3.
[도 1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 후 폴딩하는 과정도 4.
[도 1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 후 폴딩하는 과정도 5.
[도 1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와 폴딩을 한 후 상호 밀착시키기 위한 전 단계를 도시한 과정도 6.
[도 1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와 폴딩을 한 후 상호 밀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과정도 7.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하는 과정도 1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는 상부 프레임(10), 구동 스프라켓(20), 피동 스프라켓(30), 전방 프레임(40), 후방 프레임(50), 조향 프레임(60), 회동 프레임(70), 지지 프레임(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프레임(10)은 전륜(W1)이 위치하는 전방으로부터 후륜(W2)이 위치하는 후방을 향해 배치되며, 전단부에 핸들부(110)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에 안장(120)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핸들부(110)의 착탈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부 프레임(10)의 전단부와 전방 프레임(40)의 상단부를 잇는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 튜브(90)가 구비되며, 제 1 튜브(90)의 상부로부터 핸들부(110)의 레그(111)가 끼워져 고정되고, 제 1 튜부(90)의 하부로부터 조향 프레임(60)의 상단부가 끼워져 핸들부(110)의 레그(111)와 맞물림으로써 핸들부(110)의 조향 조작에 연동하여 조향 프레임(60)이 조향된다. 여기서, 도면부호 112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그립하여 핸들부를 핸들링하기 위한 손잡이를 나타낸다.
그리고 안장(120)의 착탈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부 프레임(10)의 후단부와 후방 프레임(50)의 상단부를 잇는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 튜브(100)가 구비되며, 제 2 튜브(100)의 상부로부터 안장(120)의 레그(121)가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여기서 후방 프레임(50)과 제 2 튜브(100)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후방 프레임(50)이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후방 프레임(50)의 상단부 자체가 제 2 튜브(100)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접이식 자전거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 구성된 상부 프레임(10)에 대응하는 하나의 프레임만이 전륜(W1) 부분과 후륜(W2) 부분을 잇게 된다. 이렇게 하나의 프레임이 외부 충격을 지탱하는 구조인 것에 더하여 프레임의 일정한 부분이 폴딩되는 타입으로 산악 등 거친 환경에서 자전거에 안착된 상태로 주행하는 매우 불안정한 구조인 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에서는 상부 프레임(10)과 더불어 아래에서 설명하는 전방 프레임(40)을 구비하여 일반적인 클래식 타입의 안정성을 겸비하였다.
구동 스프라켓(20)은 상부 프레임(10)의 하부에 위치하며, 구동 스프라켓(20)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회전축(21)의 양단부에 페달(130)이 고정되고, 이 페달(130)에 의한 회전력을 인가받아 구동 스프라켓(20)에 감긴 체인(140)을 통해 외부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피동 스프라켓(30)은 구동 스프라켓(20)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동 스프라켓(20)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되며, 후륜(W2)의 회전축에 일체로 연결된다. 즉 구동 스프라켓(20)의 회전력은 체인(140)을 통해 피동 스프라켓(30)에 전달되고, 피동 스프라켓(30)에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피동 스프라켓(30)과 일체로 연결되는 후륜(W2)이 구동하여 자전거가 주행하게 된다. 즉, 후륜(W2) 구동으로 자전거가 주행한다.
전방 프레임(40)은 상부 프레임(10)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구동 스프라켓(20)과 연결된다. 전방 프레임(40)은 일반적인 접이식 자전거에서 채택되기 어려운 구성으로써 상하 방향으로부터의 하중이나 외부 충격에 대해 상부 프레임(10)과 더불어 전륜(W1) 부분과 후륜(W2)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후방 프레임(50)은 상부 프레임(10)의 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구동 스프라켓(20)과 연결된다. [도 1]과 [도 2]를 통해 살펴보면, 상부 프레임(10)과, 전방 프레임(40)과, 후방 프레임(50)은 상호 연결되어 폐쇄형의 삼각형을 이루어 전륜(W1) 부분과, 후륜(W2) 부분을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프레임 자체가 폴딩되는 종래 접이식 자전거에서는 구현하기 어려운 점을 극복하였다.
조향 프레임(60)은 상부 프레임(10)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전륜(W1)의 회전축(R1)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핸들부(110)의 조향 조작에 연동하여 전륜(W1)을 조향한다.
회동 프레임(70)은 구동 스프라켓(20)의 회전축(21)과 피동 스프라켓(30)의 회전축(31)에 연결되어 하중으로부터 후륜(W2)을 지지하며, 후단부는 피동 스프라켓(30)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단부는 구동 스프라켓(20)의 회전축(21)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면서 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지지 프레임(80)은 상부 프레임(10)의 후단부와 회동 프레임(70)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하중으로부터 후륜(W2)을 지지하며, 상단부는 상부 프레임(10)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는 피동 스프라켓(30)과 착탈이 가능하며 회동 프레임(70)이 구동 스프라켓(20)의 회전축(21)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경우 구동 스프라켓(20)과 일체로 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지지 프레임(80)의 상단부와 맞닿는 후방 프레임(50)의 상부에는 고정 브라켓이 일체로 연결되며, 지지 프레임(80)의 상단부가 후방 프레임(50)에 체결된 고정 브라켓에 끼워진 상태로 QR 레버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QR(Quick Release) 레버는 말 그대로 신속하게 잠금과 해제가 가능한 구성으로 샤프트의 일단부에 너트가 끼워지고 타단부에는 샤프트의 길이 방향에 대해 일정한 텐션으로 가압하는 일체형의 손잡이부가 구비된 것으로 시중에 나와 있는 일반적인 것을 채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튜브(100)와 안장(120)의 래그(121)가 연결되는 부분과, 조향 프레임(60)의 하단부와 전륜(W1)의 회전축(R1)이 연결되는 부분과, 회동 프레임(70)의 후단부와 피동 스프라켓(30)의 회전축(31)이 연결되는 부분은 착탈이 간편한 QR 레버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해한 후, 운반이 가능하도록 상호 밀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이 사용자가 자전거에 올라타서 주행할 수 있는 조립상태에서 단계적으로 분해를 하면, 먼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튜브(90)로부터 핸들부(110)를 분리하고, 제 2 튜브(100)로부터 안장(120)을 분리한다. 이때 안장(120)의 레그(121)와 제 2 튜브(100)의 상단부는 애초 QR 레버로 고정됨이 바람직하며, 신속한 해체와 잠금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 후 폴딩하는 과정도 2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 후 폴딩하는 과정도 3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80)의 상단부는 후방 프레임(50)의 상부에 체결된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회동 프레임(70)과 일체로 구동 스프라켓(20)의 회전축(21)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 회전시키면 [도 5]와 같이 움직이는 과정을 거친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 후 폴딩하는 과정도 4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80)과 회동 프레임(70)을 일체로 구동 스프라켓(20)의 회전축(21)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 회전시키면 [도 6]과 같이 지지 프레임(80)과 일체로 움직이는 회동 프레임(70)은 180°회전하여 자전거 전체의 크기가 최소화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와 폴딩을 한 후 상호 밀착시키기 위한 전 단계를 도시한 과정도 5로서, [도 7]은 [도 2]로부터 [도 6]의 과정을 거치는 동안 분해되고 폴딩된 상태의 각 구성이 나열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와 폴딩을 한 후 상호 밀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과정도 6로서, [도 7]과 같이 나열된 각각의 구성이 최소의 크기로 상호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과 같이 각각의 구성이 최소의 크기로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전용 가방(미도시)에 넣어 매우 간편하게 운반을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각각의 구성이 분해와 폴딩 후 밀착된 상태에서, 다시 조립되는 과정은 분해와 폴딩의 역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하는 과정도 1이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는 상부 프레임(10), 구동 스프라켓(20), 피동 스프라켓(30), 전방 프레임(40), 후방 프레임(50), 조향 프레임(60), 회동 프레임(70), 지지 프레임(80), 제 1 튜브(90), 제 2 튜브(100), 짐받이(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서 짐받이(16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짐받이(160)는 일단부가 후방 프레임(50)의 상부 또는 제 2 튜브(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짐받이(160)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후방 프레임(50)의 상부 또는 제 2 튜브(100)에는 고정 브라켓이 일체로 연결되며, 이 고정 브라켓에 짐받이(160)의 일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QR 레버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게 고정되며,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 브라켓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을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처럼 짐받이(160)의 일단부가 고정 브라켓을 회전축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는 구조이므로 자전거의 폴딩시 짐받이(160)도 해당 고정 브라켓을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지지 프레임(80)에 나란히 폴딩된다.
자전거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짐받이(160)도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를 위해 짐받이(160)의 타단부에는 하방으로부터 짐받이(160)를 지지하는 지지바(161)가 배치되며, 이 지지바(161)의 상단부는 짐받이(161)의 하면에 연결되고, 이 지지바(161)의 하단부는 지지 프레임(80)에 연결된 상태로 짐받이(160)를 지지하게 된다.
지지바(161)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짐받이(160)의 하면에는 고정 브라켓이 일체로 연결되며, 지지바(161)의 상단부가 짐받이(160)의 하면에 체결된 고정 브라켓에 끼워진 상태로 바람직하게는 QR 레버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지지바(161)의 하단부가 연결되는 지지 프레임(80)에는 고정 브라켓이 일체로 연결되는데, 지지바(161)의 하단부는 지지 프레임(80)의 고정 브라켓에 연결된 상태로 지지 프레임(8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지지바(161)의 상단부가 짐받이(160)의 하면에 체결된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지지바(161)는 지지 프레임(80)의 고정 브라켓을 회전축으로 하여 지지 프레임(80)에 폴딩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해한 후, 운반이 가능하도록 상호 밀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와 같이 사용자가 자전거에 올라타서 주행할 수 있는 조립상태에서 단계적으로 분해를 하면, 먼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튜브(90)로부터 핸들부(110)를 분리하고, 제 2 튜브(100)로부터 안장(120)을 분리한다. 이때 안장(120)의 레그(121)와 제 2 튜브(100)의 상단부는 애초 QR 레버로 고정됨이 바람직하며, 신속한 해체와 잠금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11]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 후 폴딩하는 과정도 2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 후 폴딩하는 과정도 3이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바(161)의 상단부와 짐받이(160) 하면의 고정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는 QR 레버를 해제한 후, 지지바(161)의 하단부가 연결된 지지 프레임(80)의 고정 브라켓을 회전축으로 움직여 지지 프레임(80)에 [도 12]와 같이 폴딩시킨다.
이어서 [도 1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 후 폴딩하는 과정도 4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80)의 상단부와 후방 프레임(50) 상부의 고정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는 QR 레버를 해제한 후, 지지바(161)가 폴딩된 상태의 지지 프레임(80)은 회동 프레임(70)과 일체로 구동 스프라켓(20)의 회전축(21)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 회전시키면 [도 13]과 같이 움직이는 과정을 거친다.
이때 짐받이(160)는 일단부가 후방 프레임(50) 상부의 고정 브라켓을 회전축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는 구조이므로 지지바(161)의 지지가 없는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 1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 후 폴딩하는 과정도 5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80)과 회동 프레임(70)을 일체로 구동 스프라켓(20)의 회전축(21)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 회전시키면 지지 프레임(80)과 일체로 움직이는 회동 프레임(70)은 180°회전하여 자전거의 운반이 간편한 형태로 전체의 크기가 최소화된다. 이때 짐받이(160)는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되어 후방 프레임(50)에 밀착된다.
[도 1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와 폴딩을 한 후 상호 밀착시키기 위한 전 단계를 도시한 과정도 6로서, [도 15]는 [도 9]로부터 [도 14]의 과정을 거치는 동안 분해되고 폴딩된 상태의 각 구성이 나열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해조립형 자전거를 분리와 폴딩을 한 후 상호 밀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과정도 7로서, [도 15]와 같이 각각의 구성이 최소의 크기로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전용 가방(미도시)에 넣어 매우 간편하게 운반을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는 각각의 구성이 분해와 폴딩 후 밀착된 상태에서, 다시 조립되는 과정은 분해와 폴딩의 역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0 : 상부 프레임 20 : 구동 스프라켓
21 : 회전축 30 : 피동 스프라켓
31 : 회전축 40 : 전방 프레임
50 : 후방 프레임 60 : 조향 프레임
70 : 회동 프레임 80 : 지지 프레임
90 : 제 1 튜브 100 : 제 2 튜브
110 : 핸들부 111 : 레그
112 : 손잡이 120 : 안장
121 : 레그 130 : 페달
140 : 체인 150 : 디레일러
160 : 짐받이 161 : 지지바
W1 : 전륜 R1 : 회전축
W2 : 후륜

Claims (4)

  1. 전륜이 위치하는 전방으로부터 후륜이 위치하는 후방을 향해 배치되며, 전단부에 핸들부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에 안장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10);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며, 페달에 의한 회전력을 인가받아 체인을 통해 외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 스프라켓(20);
    상기 구동 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 스프라켓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되며, 후륜의 회전축에 일체로 연결되는 피동 스프라켓(30);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구동 스프라켓과 연결되는 전방 프레임(40);
    상기 상부 프레임의 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구동 스프라켓과 연결되는 후방 프레임(50);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전륜의 회전축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핸들부의 조향 조작에 연동하여 전륜을 조향하는 조향 프레임(60);
    상기 구동 스프라켓의 회전축과 상기 피동 스프라켓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하중으로부터 후륜을 지지하며, 후단부는 상기 피동 스프라켓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단부는 상기 구동 스프라켓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면서 폴딩이 가능한 회동 프레임(70);
    상기 상부 프레임의 후단부와 상기 회동 프레임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하중으로부터 후륜을 지지하며, 상단부는 상부 프레임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피동 스프라켓과 착탈이 가능하며 상기 구동 스프라켓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회동 프레임과 일체로 폴딩이 가능한 지지 프레임(8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해조립형 자전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단부와 상기 전방 프레임의 상단부를 잇는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 튜브(90)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튜브의 상부로부터 상기 핸들부의 레그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제 1 튜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조향 프레임의 상단부가 끼워져 상기 핸들부의 레그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핸들부의 조향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조향 프레임이 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조립형 자전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후단부와 상기 후방 프레임의 상단부를 잇는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 튜브(100)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튜브의 상부로부터 상기 안장의 레그가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조립형 자전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 튜브와 상기 안장의 레그가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조향 프레임의 하단부와 상기 전륜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회동 프레임의 후단부와 상기 피동 스프라켓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부분은 착탈이 간편한 QR 레버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조립형 자전거.
KR2020120006985U 2012-08-03 2012-08-03 분해조립형 자전거 KR201400009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985U KR20140000984U (ko) 2012-08-03 2012-08-03 분해조립형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985U KR20140000984U (ko) 2012-08-03 2012-08-03 분해조립형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984U true KR20140000984U (ko) 2014-02-12

Family

ID=52442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985U KR20140000984U (ko) 2012-08-03 2012-08-03 분해조립형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098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9089B2 (en) Folding bicycle
US5544906A (en) Human powered recumbent vehicle
US6953203B2 (en) Human powered vehicle
US9266579B2 (en) Compact folding bicycle with single frame hinge
CN107922028B (zh) 可转换成推车的自行车
EP2837551A2 (en) Bicycle frame and bicycle, and baby carriage using same capable of two-wheel and three-wheel conversion
JP5032537B2 (ja) 折りたたみ自転車
US20170334517A1 (en) Bicycle Equipped with Versatile Dual Chain Drive
US8157279B2 (en) Trailing cycle
US20050001404A1 (en) Folding bicycle apparatus and method
US20060125205A1 (en) Front wheel drive mechanism for bicycle
US8123242B2 (en) Folding steering column for elliptical bike and method of use
US7661690B2 (en) Mechanical advantage drive system for cycles
US7121567B1 (en) Bicycle having front and rear rotative wheel frames with actuatable means for engaging and disengaging the rear wheel frame rotation
JP2008132955A (ja) 折りたたみ式自転車
JP2006511397A5 (ko)
KR20140000984U (ko) 분해조립형 자전거
RU2391244C1 (ru) Велосипед
WO2004110852A2 (en) Folding bicycle apparatus and method
WO2017075113A1 (en) A driving and steering system and a vehicle comprising the same
KR101097800B1 (ko) 외발자전거 동력전달장치
EP2937272A2 (en) Compact folding bicycle with single frame hinge
JP2024043935A (ja) 練習用自転車および自転車スタンド
AU2009230813A1 (en) A vehicle for carrying a large article
WO2009072140A1 (en) A bicycle, propelled manually, with facilities for both rear and front wheel propul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