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3281A -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 - Google Patents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3281A
KR20130143281A KR1020120066700A KR20120066700A KR20130143281A KR 20130143281 A KR20130143281 A KR 20130143281A KR 1020120066700 A KR1020120066700 A KR 1020120066700A KR 20120066700 A KR20120066700 A KR 20120066700A KR 20130143281 A KR20130143281 A KR 20130143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ultraviolet
water
water quality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식
송미영
김태현
김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냐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냐엘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냐엘에스
Priority to KR1020120066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43281A/ko
Publication of KR20130143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2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질 개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수, 댐, 저수지, 연못, 양식장 등과 같이 물의 출입이 활발하지 않고 정체되어 있는 폐쇄성 수역의 집수장에서 자외선 살균기능이 실행되어 자외선 살균을 실시하는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는, 수면을 부유하는 플로트와, 플로트에 장착되어 있고, 수중으로 미생물을 살균하기 위하여 자외선을 방사하는 자외선 소스와, 플로트에 장착되어 있으며, 자외선 소스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플로트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태양광을 전력으로 변환하여 자외선 소스와 컨트롤러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전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는, 호수, 댐, 저수지, 연못, 양식장 등과 같이 물의 출입이 활발하지 않고 정체되어 있는 폐쇄성 수역의 수중에 서식하고 있는 세균, 대장균, 곰팡이, 효모 등의 미생물을 간단한 구조와 저렴한 생산비로 설치장소의 제한 없이 배치하여 효과적으로 자외선 살균하여 수질 개선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을 전력으로 변환하여 자외선 소스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여 자외선 살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실시하므로 수질 개선의 향상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WATER PURIFYING APPARATUS WITH ULTRAVIOLET RAY STERILIZ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수질 개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수, 댐, 저수지, 연못, 양식장 등과 같이 물의 흐름이 활발하지 않고 정체되어 있는 수역에서 자외선 살균을 실시하는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질의 개선을 도모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수중물질의 교반이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 에어블로워(Air-blower)를 이용하여 수중에 공기를 불어넣어 주는 방법, 화학물질을 투입하여 오염원을 중화시키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자외선을 이용한 수질 개선 장치가 채택되고 있다.
자외선 살균은 파장 250~260nm의 자외선을 이용하여 세균, 대장균, 곰팡이, 효모 등의 미생물을 살균한다. 자외선 살균은 자외선이 균체의 세포막을 투과하여 직접 DNA사슬에 손상을 주기 때문에 살균의 속도가 빠르고, 염소 등의 화학물질을 첨가하지 않으므로 후에 화학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자외선은 2,000~3,000Å의 파장을 가지며, 특히 상대적으로 살균력이 높은 파장은 2,600Å 부근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자외선 살균을 위하여 자외선램프(Ultraviolet lamp)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자외선램프는 자외선이 투과할 수 있는 석영관이나 특수한 유리관 안에 미량의 수은을 봉입한 저압수은등이다. 자외선램프는 살균 램프(Germicidal lamp)라 부르고도 있으며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개발되어 있다. 최근 자외선 살균에 자외선발광다이오드(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UV LED)의 사용이 채택되고 있다. 자외선 LED는 자외선램프에 비하여 효율이 높고, 가격이 저렴하며, 소형화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수중물질을 교반하는 교반 방법과, 에어블로워를 이용하여 수중에 공기를 불어넣어 주는 폭기 방법 등의 수질 개선 방법은 장치 및 설비의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커 설치 장소가 제한적이며, 전기에 의한 동력을 이용하는 것으로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학물질을 투입하는 화학처리 방법은 화학물질의 값이 고가이며, 수계환경의 일면만을 고려하여 단기적으로는 효과를 볼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수질의 악화를 초래할 수 있고, 처리 후 살균을 위해 투입된 화학물질을 제거하여야 하므로 사용에 많은 주의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램프 및 자외선 LED는 장소나 장치 등에 제한적으로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수질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폐쇄성 수역에서는 수중의 자외선 살균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비가 저렴하며, 설치 장소의 제한 없이 배치할 수 있는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의 흐름이 활발하지 않은 폐쇄성 수역의 수중에 서식하고 있는 세균, 대장균, 곰팡이, 효모 등의 미생물에 대하여 간단한 구조와 저렴한 생산비로 설치 장소의 제한 없이 배치하여 자외선 살균을 실시할 수 있는 새로운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자외선 살균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는, 수면을 부유하는 플로트와, 플로트에 장착되어 있고, 수중으로 미생물을 살균하기 위하여 자외선을 방사하는 자외선 소스와, 플로트에 장착되어 있으며, 자외선 소스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플로트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태양광을 전력으로 변환하여 자외선 소스와 컨트롤러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전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는, 호수, 댐, 저수지, 연못, 양식장 등과 같이 물의 흐름이 활발하지 않고 정체되어 있는 폐쇄성 수역에서 수중에 서식하고 있는 세균, 대장균, 곰팡이, 효모 등의 미생물을 간단한 구조와 저렴한 생산비로 설치장소의 제한 없이 배치하여 효과적으로 자외선 살균하여 수질 개선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을 전력으로 변환하여 자외선 소스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여 자외선 살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실시하므로 써 수질 개선의 향상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의 구성을 분리하여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의 구성을 분리하여 평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 개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질 개선 장치(10)는 물의 흐름이 활발하지 않고 정체되어 있는 폐쇄성 수역에 주로 설치하여 수질을 개선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질 개선 장치(10)는 플로트(20)를 구비한다. 플로트(20)는 수면(2)에 부유가 가능하도록 합성수지 등과 같은 재질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로트(20)는 상부플로트부(20a)와 하부플로트부(20b)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플로트부(20a)와 하부플로트부(20b)는 나사체결방식으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부플로트부(20a)는 상면에 태양전지(70)를 구비한다. 태양전지(70)는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질 개선 장치(10)의 작동에 소요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상부플로트(20a)는 내측에 충전지(72)를 구비한다. 충전지는 태양전지(70)의 작동에 의하여 충전된다.
하부플로트(20b)에는 수중으로 자외선을 투과할 수 있는 투과판(30)이 장착되어 있다. 투과판(30)은 반투명이나 불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투과판(30)은 물이 플로트(2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하부플로트부(20b)는 내측 중앙에 자외선 방사를 위해 장착되어 있는 자외선 소스(Ultraviolet source: 40)로 자외선 전구(Ultraviolet bulb: 42)를 구비한다. 자외선 전구(42)의 작동에 의하여 방사되는 자외선은 투과판(30)을 통하여 수중으로 조사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자외선 소스(40)은 자외선램프, 자외선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자외선 전구(42)의 후방에는 반사판(50)이 장착되어 있다. 반사판(50)은 자외선 전구(42)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을 수중을 향하여 반사시켜 자외선 방사 효율을 높여주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질 개선 장치(10)는 플로트(20)의 하부플로트부(20b)의 한쪽에 자외선 전구(42)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ontroller: 60)를 구비한다. 컨트롤러(60)는 마이크로컴퓨터(Microcomputer)로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러(60)는 파워온오프스위치(Power on/off switch: 62)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파워온오프스위치(62)를 온 시켜 자외선 전구(4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자외선 살균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플로트(20)가 수면(2)에 배치된다. 복수의 플로트(20)는 복수의 로프(80) 각각에 연결되어 수중 또는 해저면에 배치되어 있는 웨이트(Weight: 90)에 의하여 바람, 우천 등과 같은 기상현상에도 유실이 발생이 발생하지 않고 배치되어 있는 수면(2)에 계류하게 된다. 복수의 플로트(20) 각각은 유실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로프(8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 개선 장치(10)에 있어서, 사용자는 컨트롤러(60)의 온오프스위치(62)를 온 시킨 후, 자외선 전구(42)를 작동시키고, 플로트(20)를 호수, 댐, 저수지, 연못, 양식장 등과 같이 물의 흐름이 활발하지 않고 정체되어 있는 폐쇄성 수역의 수면(2)에 부유하게 배치한다. 자외선 전구(42)의 작동에 의하여 방사되는 자외선은 수중에 서식하고 있는 세균, 대장균, 곰팡이, 효모 등의 미생물을 살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질 개선 장치(10)는 태양전지(70)의 작동에 의하여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충전지(72)를 충전하고, 자외선 전구(42)와 컨트롤러(60)의 작동에 소요되는 전력을 공급하여 설치 장소의 제한 없이 자외선 살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효과적으로 수질 개선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수면 10: 수질 개선 장치
20: 플로트 30: 투과판
40: 자외선 소스 42: 자외선 전구
50: 반사판 60: 컨트롤러
70: 태양전지 72: 충전지
80: 로프 90: 웨이트

Claims (6)

  1. 수면을 부유하는 플로트와;
    상기 플로트에 장착되어 있고, 수중으로 미생물을 살균하기 위하여 자외선을 방사하는 자외선 소스와;
    상기 플로트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자외선 소스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플로트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태양광을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자외선 소스와 상기 컨트롤러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의 하부에는 상기 자외선 소스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투과할 수 있는 투과판이 더 장착되어 있는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소스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을 수중으로 반사하도록 상기 플로트에 장착되어 있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소스는 자외선 전구로 이루어지는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로프와;
    상기 복수의 로프 각각에 매달려 있는 웨이트를 더 포함하는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
  6. 상기 플로트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플로트 각각은 복수의 로프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
KR1020120066700A 2012-06-21 2012-06-21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 KR201301432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700A KR20130143281A (ko) 2012-06-21 2012-06-21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700A KR20130143281A (ko) 2012-06-21 2012-06-21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281A true KR20130143281A (ko) 2013-12-31

Family

ID=49986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700A KR20130143281A (ko) 2012-06-21 2012-06-21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43281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75457A (zh) * 2016-05-01 2016-07-20 长葛市怡盛蜂业有限公司 中心灭菌蜂蜜储存罐
KR101716643B1 (ko) * 2016-07-14 2017-03-15 주식회사 해인엘이디 Led램프를 이용한 양어장 살균장치
KR20170116506A (ko) * 2016-04-11 2017-10-1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살균 모듈,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180092304A (ko) * 2018-08-06 2018-08-1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살균 모듈,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190006581A (ko) * 2019-01-10 2019-01-1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광원 유닛 및 광원 유닛을 포함하는 유체 처리 장치
JP2019504799A (ja) * 2016-02-15 2019-02-2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浮力モジュール及び防汚システムのアセンブリ
KR102022192B1 (ko) * 2018-05-03 2019-09-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조류제거장치
EP3504161A4 (en) * 2016-08-23 2020-02-19 Reiber, Braden, A. PORTABLE DISINFECTOR DEVICE
WO2020130656A1 (ko) * 2018-12-21 2020-06-25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살균 모듈
US11998648B2 (en) 2018-12-21 2024-06-04 Seoul Viosys Co., Ltd. Sterilization modul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04799A (ja) * 2016-02-15 2019-02-2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浮力モジュール及び防汚システムのアセンブリ
KR20170116506A (ko) * 2016-04-11 2017-10-1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살균 모듈,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CN105775457A (zh) * 2016-05-01 2016-07-20 长葛市怡盛蜂业有限公司 中心灭菌蜂蜜储存罐
KR101716643B1 (ko) * 2016-07-14 2017-03-15 주식회사 해인엘이디 Led램프를 이용한 양어장 살균장치
EP3504161A4 (en) * 2016-08-23 2020-02-19 Reiber, Braden, A. PORTABLE DISINFECTOR DEVICE
US10736978B2 (en) 2016-08-23 2020-08-11 Braden A. Reiber Portable disinfection device
KR102022192B1 (ko) * 2018-05-03 2019-09-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조류제거장치
KR20180092304A (ko) * 2018-08-06 2018-08-1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살균 모듈,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WO2020130656A1 (ko) * 2018-12-21 2020-06-25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살균 모듈
US11998648B2 (en) 2018-12-21 2024-06-04 Seoul Viosys Co., Ltd. Sterilization module
KR20190006581A (ko) * 2019-01-10 2019-01-1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광원 유닛 및 광원 유닛을 포함하는 유체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3281A (ko)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수질 개선 장치
KR102343018B1 (ko) 염수로부터 수확된 에너지를 사용하는 오염-방지 시스템
KR102351416B1 (ko) 안티-바이오파울링용 시스템
KR101602571B1 (ko) Uv-c램프와 초음파발생장치를 이용한 녹조제거장치
CN104803445B (zh) 水下紫外线杀菌器
CN201530754U (zh) 池塘生态净水浮岛
CN107129005B (zh) 一种内光源球串式光催化水质净化箱
KR101855571B1 (ko) Uv led를 이용하는 녹조 제거 장치
KR200398372Y1 (ko) 부유형 수처리 장치
TWI780158B (zh) 電解水生成裝置
CN102050543B (zh) 生态浮岛式池塘净水方法
KR102117236B1 (ko) 수상태양광, 초음파, 생분해성 소재 및 부착성 미세조류를 이용한 효율적인 복합 녹조억제 시스템
CN201232042Y (zh) 太阳能上流式水处理设备
JP2007014940A (ja) 深層水循環光触媒浄化装置
KR20110095019A (ko) 수질정화장치
CN108178346A (zh) 一种河道深度充氧装置
CN204625248U (zh) 水下紫外线杀菌器
CN210610742U (zh) 水产养殖专用增氧机
JP3815655B2 (ja) 池水等の閉鎖性水域の浄化装置
CN112625891A (zh) 一种在宽广水域漂浮的大型光生物反应器
CN203307085U (zh) 一种紫外消毒器
TWI690492B (zh) 水質淨化裝置及系統
CN206428043U (zh) 一种水体洁净机
CN220642681U (zh) 基于波浪能与光伏能联合发电的小型水质净化装置
JP2004057967A (ja) 浄水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