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1837A -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1837A
KR20130141837A KR1020120064858A KR20120064858A KR20130141837A KR 20130141837 A KR20130141837 A KR 20130141837A KR 1020120064858 A KR1020120064858 A KR 1020120064858A KR 20120064858 A KR20120064858 A KR 20120064858A KR 20130141837 A KR20130141837 A KR 20130141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de
touch
switch unit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4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41837A/ko
Priority to EP13171885.0A priority patent/EP2677412A1/en
Priority to CN201310236685.5A priority patent/CN103513820A/zh
Priority to US13/921,043 priority patent/US20130339719A1/en
Publication of KR20130141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에서 터치펜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가, 터치펜의 터치동작에 따라 단말기의 모드 전환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단말기의 모드를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MODE IN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에서 터치펜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펜으로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부를 구비하는 단말기에서, 단말기가 슬립(sleep)모드가 되면,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홀드(HOLD)키 또는 홈(HOME)키를 눌러서 단말기를 웨이크 업(wake up)모드로 전환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단말기가 학교용 전자북으로 활용 될 때, 단말기가 슬립모드로 전환되는 횟수는 많아질 것이며, 그럴 때 마다 사용자는 HOLD키 또는 HOME키를 눌러서 단말기를 웨이크 업(wake up)모드로 전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부는 복수의 센서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패널(TSP: Touch Screen Pane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말기가 복수의 센서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패널(TSP: Touch Screen Panel)로 이루어진 터치스크린부를 구비할 경우, 복수의 센서패널이 동시 동작 중일 때 특정 센서패널을 통한 입력이 방해를 받을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스크린패널(TSP: Touch Screen Panel)이 정전 식 센서패널 및 전자유도 센서패널을 포함할 경우, 전자유도 센서 동작 중에 정전 식 센서를 통해 입력이 수신되면, 동작 중인 전자유도 센서 때문에 정전 식 센서의 입력이 방해를 받거나, 입력을 수정하고 재 시도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에서 터치펜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펜과 스위치부 만으로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센서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부를 구비하는 단말기에서 각 센서패널을 온/오프 시킬 수 있는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가, 터치펜의 터치동작에 따라 단말기의 모드 전환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단말기의 모드를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방법은, 단말기에서 터치펜의 터치동작에 따라 스위치부에서 신호를 출력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스위치부에서 신호가 출력되면, 단말기의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터치펜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모드를 전환할 수 있고, 터치펜의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치펜과 스위치부 만으로 모드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모드를 전환할 수 있으며, 복수 센서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부에서 해당 센서패널만을 활성화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모드전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a - 도 3b는 도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표시되는 팝업창에 포함된 복수의 설정메뉴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와 고정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화상전화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E-Book, 휴대용 컴퓨터(Notebook, Tablet 등)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단말기는 데스크탑(desktop) 개인용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 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위치부에서 발생되는 터치펜의 터치동작에 따라 단말의 모드를 전환하고, 터치스크린부에 구비된 각 센서패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위치부(17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단말기의 모드를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의 슬립(Sleep)모드에서 상기 스위치부(170)에서 발생되는 터치펜의 터치동작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170)가 신호를 출력할 때, 단말기를 웨이크 업(wake up)모드로 자동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의 웨이크 업(wake up)모드에서 상기 스위치부(170)에서 발생되는 터치펜의 터치동작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170)가 신호를 출력할 때, 터치스크린부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패널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부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패널 종류가 포함된 팝업 창을 표시하며, 상기 팝업 창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패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패널에 대해 비활성 또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출력을 무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의 웨이크 업(wake up)모드에서 상기 스위치부(170)에서 발생되는 터치펜의 터치동작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170)가 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스위치부(170)에 발생된 신호의 종류에 따라 해당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스위치부(170)로부터 제1 터치발생을 알리는 신호가 출력될 때 복수의 설정메뉴를 포함하는 팝업창을 표시하고, 상기 팝업창에 포함된 복수의 설정메뉴 중 사용자에 의해 해당 설정메뉴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해당 설정메뉴에 대응되는 해당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팝업창에 포함된 복수의 설정메뉴는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선택되어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 시예에서 상기 팝업창에 터치스크린부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패널을 비활성화 시키는 메뉴, 슬립(sleep)모드 전환 금지메뉴, 슬립(sleep)모드 전환메뉴, 뮤트모드 전환메뉴 및 환경설정모드 전환메뉴 및 사인형태에 따라 해당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는 쇼컷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스위치부(170)로부터 제2 터치발생을 알리는 신호가 출력될 때, 슬립(Sleep)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스위치부(170)로부터 제3 터치발생을 알리는 신호가 출력될 때,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해당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해당기능은 상기 팝업창에 포함된 복수의 설정메뉴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된 어느 하나의 메뉴로 전환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 제3 터치는 단일터치, 더블터치 및 롱 터치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카메라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 또는 CMOS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터치스크린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ISP(Image Signal Processing)를 수행하며, 상기 ISP는 감마교정, 인터폴레이션, 공간적 변화, 이미지 효과, 이미지 스케일, AWB, AE,AF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부(160)는 입력부 및 표시부로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스크린부(160)가 표시부로 동작할 경우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부(160)가 입력부로 동작할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에는 상기 키 입력부(127)와 같은 키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부(160)는 복수의 센서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패널(TSP: Touch Screen Panel)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센서패널은 정전 식 센서패널, 터치펜과 같이 세밀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전자유도 센서패널, 감압식 센서패널 및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패널등 다양한 센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170)는 터치펜의 터치동작에 따라 단말기의 모드 전환을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부(170)는 단말기의 전면 또는 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리드 스위치(Reed switch)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스위치(170)에 마그네틱 성질을 가지는 터치펜의 터치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스위치부(170)는 온(ON) 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출력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의 웨이크 업(wakeup)모드에서 상기 스위치부(170)에서 발생되는 터치펜의 터치동작 예를 들어 단일터치, 더블터치 및 롱 터치에 따라 다른 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부(170)에서 터치펜에 의해 단일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스위치부(170)는 일정시간 내에 한 번의 온(ON)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170)에서 터치펜에 의해 더블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스위치부(170)는 일정시간 내에 두 번의 온(ON)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출력한다. 또는 상기 스위치부(170)에서 터치펜에 의해 롱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스위치부(170)는 일정시간 내에 연속적인 온(ON)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단말기에서 모드전환 제어 동작을 도 2 - 도 4를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모드전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a - 도 3b는 도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서 표시되는 팝업창에 포함된 복수의 설정메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의 전면 또는 측면에 구비된 스위치부(170)에서 터치펜에 의해 터치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스위치부(170)는 온(ON) 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부(170)로부터 온(ON)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110)는 201단계에서 터치펜의 터치동작을 감지하고, 단말기의 현재모드를 판단하는 20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단말기의 현재모드가 화면이 오프 되어 있는 슬립(sleep)모드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단말기를 웨이크 업(wakeup)모드로 전환하는 204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단말기의 비밀번호 또는 화면패턴이 설정되어 있을 때,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비밀번호 또는 화면패턴 입력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거나, 또는 비밀번호 또는 화면패턴 입력을 스킵하고 바로 웨이크 업(wakeup)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도 3a는 상기 단말기에 화면이 오프되어 있는 슬립(seep)모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3a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의 전면부에는 터치펜이 터치될 수 있는 영역 즉, 상기 스위치부(170)가 구비된 영역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아이콘(301)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콘(301)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펜(200)을 통해 터치되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도 3b와 같이 웨이크 업(wake up)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기의 현재모드가 화면이 온 되어 있는 웨이크 업(wakeup)모드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2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스위치부(17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종류를 판단하는 206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단말기가 웨이크 업(wakeup)모드일 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스위치부(170)에서 발생되는 터치펜의 터치동작 예를 들어 단일터치, 더블터치 및 롱 터치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170)에서 터치펜에 의해 단일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스위치부(170)는 일정시간 내에 한 번의 온(ON)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부(170)에서 터치펜에 의해 더블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스위치부(170)는 일정시간 내에 두 번의 온(ON)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출력하며, 상기 스위치부(170)에서 터치펜에 의해 롱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스위치부(170)는 일정시간 내에 연속적인 온(ON)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단말기가 웨이크 업(wakeup)모드에서 상기 스위치부(17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170)에서 터치펜에 의해 발생된 터치동작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170)에서 터치펜에 의해 발생된 터치동작의 종류가 제1 터치 예를 들어 단일터치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2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복수의 설정메뉴를 포함하는 팝업창을 표시하는 208단계를 진행한다.
즉, 상기 도 3b와 같은 단말기의 웨이크 업(wakeup)모드에서 터치펜(200)에 의해 터치펜이 터치될 수 있는 영역을 알리는 아이콘(301)이 단일터치 되면, 상기 도 3c와 같이 화면에 복수의 설정메뉴를 포함하는 팝업창(302)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도 3c와 같이 팝업창(302)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팝업창에 포함된 복수의 설정메뉴 중 해당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선택된 해당메뉴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209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도 4는 상기 팝업창에 포함된 복수의 설정메뉴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4b에서"1.Disable Capacitive Sensor input"메뉴는, 터치스크린부의 터치패널이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패널 중 정전 식 센서패널의 입력 비활성화 시키는 메뉴이다. 상기 도 4에서는 정전 식 센서패널의 입력 비활성화를 위한 메뉴만을 보이고 있으나,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터치패널이 포함하는 모든 센서패널 각각에 대한 입력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1.Disable Capacitive Sensor input" 메뉴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정전 식 센서를 비활성화 시키거나 또는 정전 식 센서에 대한 출력을 무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의 터치스크린부가 정전 식 센서패널과 전자유도 센서패널만을 구비하고 있을 때 "1.Disable Capacitive Sensor input" 메뉴가 설정되어 정전 식 센서패널의 입력 비활성화 되면, 단말기는 전자유도 센서패널만이 활성화됨으로서 터치펜 입력전용 단말기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 4b에서"2.Freeze "Screen time-out"메뉴는 단말기의 슬립(sleep)모드 전환을 금지하는 메뉴이며, "3.Lock Screen instantly" 메뉴는 단말기를 슬립(sleep)모드로 전환시키는 메뉴이며, "4. MUTE instantly"메뉴는 뮤트모드로 전환시키는 메뉴이며,"5.Goto Setting"메뉴는 단말기의 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환경설정모드로 전환하는 메뉴이며, "6. Draw Sign(Short Cut)"메뉴는 사인형태에 따라 해당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는 메뉴이다.
상기 "6. Draw Sign(Short Cut)"메뉴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된 일정한 형태의 사인이 입력될 때, 해당모드로 바로 전환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니다. 예를 들어 "6. Draw Sign(Short Cut)"메뉴 선택이 후 화면에 하트모양이 그려지면 하트모양에 대응되는 메시지모드로 바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도 4와 같은 복수의 설정메뉴를 제공하고 있으나, 상기 복수의 설정메뉴는 사용자에 의해 편집 가능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설정메뉴를 포함하는 팝업창은, 상기 단말기가 웨이크 업(wake up)모드일 때 단말기의 기능모드(통화모드, 메시지모드 및 인터넷모드등)제한 없이, 언제든 터치펜에 의해 상기 스위치부(170)에 발생되는 제1 터치동작을 통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위치부(170)에서 터치펜에 의해 발생된 터치동작의 종류가 제2 터치 예를 들어 롱 터치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2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단말기를 슬립(sleep)모드로 전환하는 211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스위치부(170)에서 터치펜에 의해 발생된 터치동작의 종류가 제3 터치 예를 들어 더블 터치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21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된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213단계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웨이크 업(wake up)모드일 때 상기 스위치부(170)에 터치펜에 의해 제3 터치가 발생될 때 메시지모드로 전환되는 것으로 미리 정의되어 있다면, 제3 터치 즉 더블터치동작 발생에 따라 메시지모드로 바로 전환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단말기의 웨이크 업(wake up)모드일 때 상기 스위치부(170)에 터치펜에 의해 제3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도 4와 같은 팝업창에 포함된 복수의 설정메뉴 중 "1.Disable Capacitive Sensor input" 메뉴를 설정하는 것으로 미리 정의되어 있다면, 제3 터치 즉 더블터치동작 발생에 따라 정전식 센서를 비활성화 시키거나 또는 정전 식 센서에 대한 출력을 무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는 상기 단말기의 현재모드가 화면이 온 되어 있는 웨이크 업(wakeup)모드일 때 상기 스위치부(170)로부터 온 신호가 수신되면, 터치종류를 판단하지 않고, 터치스크린부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패널 종류를 포함하는 팝업창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팝업 창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패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패널을 비활성화 시키거나 또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출력을 무시한다.
본 발명의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 및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제어부, 160:터치스크린부, 170:스위칭부

Claims (19)

  1.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에 있어서,
    터치펜의 터치동작에 따라 단말기의 모드전환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단말기의 모드를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의 슬립(Sleep)모드에서 터치펜의 터치동작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가 신호를 출력할 때, 단말기를 웨이크 업(wake up)모드로 자동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의 웨이크 업(Wake up)모드에서 터치펜의 터치동작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가 신호를 출력할 때, 터치스크린부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패널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의 웨이크 업(Wake up)모드에서 터치펜의 터치동작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가 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스위치부에 발생된 신호의 종류에 따라 해당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제1 터치발생을 알리는 신호가 출력될 때 복수의 설정메뉴를 포함하는 팝업창을 표시하고,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제2 터치발생을 알리는 신호가 출력될 때 슬립(sleep)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제3 터치발생을 알리는 신호가 출력될 때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된 해당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 제3 터치는 단일터치, 더블터치 및 롱 터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팝업창의 복수의 설정메뉴 중 사용자에 의해 해당 설정메뉴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해당 설정메뉴에 대응되는 해당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창에 포함된 복수의 설정메뉴는, 터치스크린부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패널을 비활성화 시키는 메뉴, 슬립(sleep)모드 전환 금지메뉴, 슬립(sleep)모드 전환메뉴, 뮤트모드 전환메뉴, 환경설정모드 전환메뉴 및 사인형태에 따라 해당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는 쇼컷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단말기의 전면 또는 측면에 구비되며, 리드 스위치(Reed Swit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
  10.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에서 터치펜의 터치동작에 따라 스위치부에서 신호를 출력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스위치부에서 신호가 출력되면, 단말기의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단말기의 전면 또는 측면에 구비되며, 리드 스위치(Reed Swit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은,
    상기 스위치부에서 신호가 출력되면, 단말기의 현재모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현재모드가 단말기의 슬립(Sleep)모드이면, 상기 단말기를 웨이크 업(Wake up)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현재모드가 웨이크 업(Wake up)모드이면,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터치스크린부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패널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현재모드가 웨이크 업(Wake up)모드이면,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해당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제1 터치발생을 알리는 신호가 출력되면, 복수의 설정메뉴를 포함하는 팝업창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제2 터치발생을 알리는 신호가 출력되면, 슬립(Sleep)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제3 터치발생을 알리는 신호가 출력되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된 해당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 제3 터치는 단일터치, 더블터치, 멀티터치 및 롱 터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창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팝업창의 복수의 설정메뉴 중 사용자에 의해 해당 설정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해당 설정메뉴에 대응되는 해당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방법.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창에 포함된 복수의 설정메뉴는, 터치스크린부에 포함된 적어도 두 개의 센서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패널을 비활성화 시키는 메뉴, 슬립(sleep)모드 전환 금지메뉴, 슬립(sleep)모드 전환메뉴, 뮤트모드 전환메뉴 및 환경설정모드 전환메뉴 및 사인형태에 따라 해당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는 쇼컷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방법.
  19. 제10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 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프로세서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64858A 2012-06-18 2012-06-18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30141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858A KR20130141837A (ko) 2012-06-18 2012-06-18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 및 방법
EP13171885.0A EP2677412A1 (en) 2012-06-18 2013-06-1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de switch
CN201310236685.5A CN103513820A (zh) 2012-06-18 2013-06-14 用于控制模式切换的装置和方法
US13/921,043 US20130339719A1 (en) 2012-06-18 2013-06-1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de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858A KR20130141837A (ko) 2012-06-18 2012-06-18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837A true KR20130141837A (ko) 2013-12-27

Family

ID=48672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858A KR20130141837A (ko) 2012-06-18 2012-06-18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339719A1 (ko)
EP (1) EP2677412A1 (ko)
KR (1) KR20130141837A (ko)
CN (1) CN1035138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28561A (zh) * 2020-10-14 2022-05-03 华为技术有限公司 触控笔的切换方法、系统及触控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1116A1 (en) * 2012-12-28 2014-07-03 Nokia Corporation Responding to user input gestures
US20150205386A1 (en) * 2014-01-22 2015-07-23 Lenovo (Singapore) Pte. Ltd. Pen gestures for navigation
US9882735B2 (en) * 2014-02-11 2018-01-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egional control system with manual override
CN104460593B (zh) 2014-10-29 2017-10-1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模式切换方法及装置
CN105045508B (zh) * 2015-08-05 2018-09-2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系统模式的设置装置及方法
CN105138167A (zh) * 2015-08-26 2015-12-09 苏州市新瑞奇节电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触屏显示板的触摸控制系统
CN109416595B (zh) * 2016-07-01 2022-07-05 株式会社和冠 由双触控笔和双控制器执行的方法、及双触控笔
CN108182085B (zh) * 2017-12-27 2022-03-08 上海传英信息技术有限公司 终端屏幕的唤醒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8874287A (zh) * 2018-06-05 2018-11-23 中新国际电子有限公司 触控类型识别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6633B1 (en) * 1993-05-28 2001-03-14 Sun Microsystems, Inc. Touch screen power control in a computer system
US6938221B2 (en) * 2001-11-30 2005-08-30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stylus-based user input
US20040100457A1 (en) * 2002-11-21 2004-05-27 Mandle Thomas C.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power and loading and closing applications in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ing a removable pointing device
US7176902B2 (en) * 2003-10-10 2007-02-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ake-on-touch for vibration sensing touch input devices
EP1787281A2 (en) * 2004-07-15 2007-05-23 N-Trig Ltd. Automatic switching for a dual mode digitizer
US20060213754A1 (en) * 2005-03-17 2006-09-2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mputer application program task switching via a single hardware button
US8587526B2 (en) * 2006-04-12 2013-11-19 N-Trig Ltd. Gesture recognition feedback for a dual mode digitizer
US20080005423A1 (en) * 2006-06-06 2008-01-03 Robert Alan Jacobs Method and device for acting on stylus removal
TWI412987B (zh) * 2008-11-28 2013-10-21 Htc Corp 可攜式電子裝置及利用觸控屏幕將其由睡眠模式中喚醒之方法
US9483138B2 (en) * 2009-07-10 2016-11-01 Adobe Systems Incorporated Natural media painting using a realistic brush and tablet stylus gestures
US20110095998A1 (en) * 2009-10-28 2011-04-28 Fortrend Taiwan Scientific Corp. External input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28561A (zh) * 2020-10-14 2022-05-03 华为技术有限公司 触控笔的切换方法、系统及触控笔
CN114428561B (zh) * 2020-10-14 2024-01-16 华为技术有限公司 触控笔的切换方法、系统及触控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39719A1 (en) 2013-12-19
EP2677412A1 (en) 2013-12-25
CN103513820A (zh)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6340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setting menu environments in the terminal
KR20130141837A (ko) 단말기의 모드전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101818B1 (ko) 단말기의 데이터전송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110193B1 (ko) 기기의 화면제어장치 및 방법
CN102609192B (zh) 计算机操作移动终端的方法和移动终端
KR102110457B1 (ko) 단말기의 미확인 메시지 표시장치 및 방법
KR20140049254A (ko) 단말기의 데이터표시 장치 및 방법
US20120262388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KR20140027579A (ko) 단말기의 사용자인증 수행 장치 및 방법
CN108536370B (zh) 一种输入界面切换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03135934A (zh) 一种快速切换应用程序的方法、装置及触摸屏移动设备
CN103873660A (zh) 具有来电处理功能的电子装置及来电处理方法
KR20140031660A (ko)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166266B1 (ko) 단말기의 문자변환 장치 및 방법
KR20150022202A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터치 반응성 제어방법
KR102214097B1 (ko) 단말기의 메뉴환경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2088792B1 (ko) 단말기의 테이블 편집 장치 및 방법
KR20140135385A (ko) 제스처 판단 장치 및 방법
KR20140143623A (ko) 휴대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057019A (ko) 단말기의 데이터 확대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60011004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영상데이터 편집방법
KR20140086141A (ko)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