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797A -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무선랜에서 전송 스케줄에 기초하여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 Google Patents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무선랜에서 전송 스케줄에 기초하여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797A
KR20130139797A KR1020130067266A KR20130067266A KR20130139797A KR 20130139797 A KR20130139797 A KR 20130139797A KR 1020130067266 A KR1020130067266 A KR 1020130067266A KR 20130067266 A KR20130067266 A KR 20130067266A KR 20130139797 A KR20130139797 A KR 20130139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dtim
transmission
wla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7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0249B1 (ko
Inventor
권형진
이재승
정민호
유희정
이석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407,385 priority Critical patent/US9516592B2/en
Priority to PCT/KR2013/005223 priority patent/WO2013187706A1/ko
Publication of KR20130139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where the power saving management affects multip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환경에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액세스포인트가 버퍼링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을 제어하고, 단말에서 상기 전송 스케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제어 장치는 단말들의 서비스 특성 및 트래픽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들을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핑 된 그룹 별로 서로 다른 시간에 깨어나도록 그룹 정보를 할당하며, 상기 할당된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ap) 정보 및 버퍼링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한다.

Description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무선랜에서 전송 스케줄에 기초하여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UFFERED DATA TRANSMISSION SCHEDUL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TERMINAL FOR RECEIVING BUFFERED DATA BASED ON TRANSMISSION SCHEDULE IN WLAN}
아래에서 설명하는 예들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환경에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액세스포인트가 버퍼링한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하는 스케줄을 제어하고, 단말에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무선랜 환경의 전력 절약(Power save) 모드에서, 액세스포인트(AP, Access Point)는 단말(STA)들에게 전송할 프레임이 버퍼링되면, 단말 별로 버퍼링 된 프레임의 존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주기적으로 Traffic Indication Map (TIM)에 반영하고, 비콘에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다. TIM은 비트맵으로 구성되며, TIM의 한 비트는 하나의 STA에 대응하며, STA에 매핑 되는 연관 식별자(AID, Association Identifier)에 대응한다.
AP는 각 STA에 전송하려는 버퍼링된 프레임이 있으면, TIM에서 버퍼링된 프레임을 전송해야 할 STA에 대응하는 비트를 1로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전력 전약 모드 상태인 STA은 비콘의 TIM을 확인하기 위해 깨어나야 한다.
TIM으로부터 버퍼링된 프레임이 있다고 확인되면, 버퍼링된 프레임을 획득하기 위해 STA은 PS-POLL 프레임이나 trigger 프레임을 전송한다. 그러나 버퍼링된 프레임의 수가 많으면, 짧은 기간 동안 많은 STA들이 채널을 액세스하기 때문에, 충돌(collision)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TIM은 2008bit로 구성되어, 최대 2007개의 STA에 대해 버퍼링된 프레임의 존부를 표시할 수 있다. TIM에서 1로 설정된 비트수가 수백 개가 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센서 노드를 고려하면 6000개 이상의 STA이 AP와 연관될 수 있다.
따라서, 채널 액세스 과정에서 많은 STA들 간의 충돌을 최소화하면서도, STA들에서 소모하는 전력을 최소화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많은 수의 STA들이 짧은 시간 구간에서, 채널 액세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STA들을 그룹핑하고, 한 그룹에 속한 STA이 깨어나는 단위는 다양한 서비스나 트래픽의 특성에 따라, 그룹마다 그 주기를 달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같은 주기를 갖는 STA들을 포함하는 그룹이 큰 경우, 그룹을 여러 개의 서브 그룹으로 나누고, 각 서브그룹에 속한 STA은 주기와 오프셋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DTIM의 전송을 알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장치는 단말들의 서비스 특성 및 트래픽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들을 그룹핑하는 그룹핑부, 상기 그룹핑 된 그룹 별로 서로 다른 시간에 깨어나도록 그룹 정보를 할당하는 그룹 정보 할당부 및 상기 할당된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ap) 정보 및 버퍼링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그룹핑부는 액세스 포인트에서 버퍼링 된 프레임의 유무를 나타내는 TIM(Traffic Indication Map)과 연관된 연관 아이디(AID, Association Identifier)에 기초하여, 단말들을 그룹핑할 수 있다.
상기 그룹핑부는 상기 그룹핑 된 그룹 안에 포함된 단말들에 대해, 기 설정 된 개수 이하를 포함하는 서브그룹들로 다시 그룹핑할 수 있다.
상기 그룹 정보 할당부는 상기 그룹핑 된 그룹에 속한 단말에 대응하는 버퍼링된 데이터의 존부를 나타내는 그룹 DTIM의 전송주기를 상기 그룹 간에 서로 다르게 결정하는 전송주기 결정부, 상기 그룹핑 된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 식별자를 생성하는 식별자 생성부, 상기 전송주기 결정부에서 결정된 상기 그룹 DTIM 전송주기와 연동하여 카운트 값을 설정함으로써 그룹 DTIM의 전송시기를 알려주는 그룹 카운터 및 상기 그룹핑 된 그룹의 서브그룹에 오프셋 값을 설정하여 상기 서브 그룹의 그룹 DTIM의 전송시기를 알려주는 오프셋 카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룹 정보는 상기 그룹 DTIM의 전송주기, 상기 그룹 식별자, 상기 그룹 카운터의 카운터 아이디(ID, Identifier) 및 현재 카운트 값, 오프셋 카운터의 오프셋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룹 카운터의 카운트 값은 상기 그룹 DTIM의 전송주기를 단위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오프셋 카운터의 오프셋 값은 상기 전송부에서 전송하는 비콘의 전송주기를 단위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전송부는 상기 그룹 정보 할당부에서 할당된 상기 그룹 정보를 상기 그룹핑 된 그룹들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는 상기 그룹 정보가 상기 그룹에 할당된 후에, 전송시기마다 업데이트되는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group DTIM descriptor element)를 비콘에 삽입하여 상기 그룹 DTIM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는 상기 그룹 DTIM의 전송주기마다 1씩 감소하는 카운트 값, 및 상기 카운트 값이 0이 되면 상기 비콘의 전송주기마다 1씩 증가하는 오프셋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카운트 값이 0이 되면, 상기 오프셋 값이 0인 그룹의 그룹 DTIM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카운트 값이 0이 된 후, 상기 비콘의 전송주기마다 상기 오프셋 값이 증가하면, 상기 증가한 오프셋 값에 대응하는 그룹의 그룹 DTIM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은 액세스포인트로부터 그룹 정보 및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group DTIM descriptor element)를 포함하는 비콘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그룹 정보와 상기 비콘의 전송주기마다 업데이트되는 상기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를 비교하여, 단말이 속한 그룹의 상기 그룹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ap)의 전송시점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전송시점에 기초하여 웨이크 업하고, 상기 액세스포인트로 버퍼링된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부를 포함한다.
상기 그룹 정보는 상기 그룹 DTIM의 전송주기, 그룹 식별자, 그룹 카운터의 카운터 아이디(ID, Identifier) 및 현재 카운트 값, 오프셋 카운터의 오프셋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는 상기 그룹 DTIM의 전송주기마다 1씩 감소하는 카운트 값, 및 상기 카운트 값이 0이 되면 상기 비콘의 전송주기마다 1씩 증가하는 오프셋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산부는 상기 그룹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속한 그룹을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식별된 단말에 대해 상기 그룹 DTIM의 전송주기와 상기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의 카운트 값, 상기 오프셋 카운터의 오프셋 값과 상기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의 오프셋 값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 DTIM의 전송시점을 추정하는 추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상기 단말의 서비스 특성 및 트래픽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액세스포인트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는 상기 액세스포인트로 버퍼링된 데이터를 요청하는 PS-Poll(Power Save Poll) 프레임 또는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PS-Poll 프레임 또는 상기 트리거 프레임의 응답으로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방법은 단말들의 서비스 특성 및 트래픽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들을 그룹핑하는 단계, 상기 그룹핑 된 그룹 별로 서로 다른 시간에 깨어나도록 그룹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ap) 정보 및 버퍼링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그룹핑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핑 된 그룹 안에 포함된 단말들에 대해, 기 설정 된 개수 이하를 포함하는 서브그룹들로 다시 그룹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핑 된 그룹에 속한 단말에 대응하는 버퍼링된 데이터의 존부를 나타내는 그룹 DTIM의 전송주기를 상기 그룹 간에 서로 다르게 결정하는 단계, 상기 그룹핑 된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상기 그룹 DTIM 전송주기와 연동하여 그룹 카운터의 카운트 값을 설정함으로써 그룹 DTIM의 전송시기를 알려주는 단계 및 상기 그룹핑 된 그룹의 서브그룹에 오프셋 카운터의 오프셋 값을 설정하여 상기 서브 그룹의 그룹 DTIM의 전송시기를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할당된 그룹 정보를 상기 그룹핑 된 그룹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제어 장치는 단말(STA)들을 그룹핑하고, 그룹마다 서로 다른 주기, 또는 서로 다른 주기 및 오프셋으로 DTIM의 전송주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STA이 서로 다른 시간에 깨어나 버퍼링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그로 인하여 채널 액세스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돌이 감소하게 되어, STA의 전력 절약과 전체적인 네트워크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STA이 속한 그룹의 DTIM 전송 스케줄을 STA의 DTIM 전송주기가 아닌 임의의 비콘을 들어도 알아낼 수 있으므로, 자신이 속한 DTIM 전송 스케줄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다시 복원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액세스포인트와 복수의 단말들로 구성된 무선랜 환경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에서 전송 스케줄에 기초하여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액세스포인트와 복수의 단말들로 구성된 무선랜 환경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액세스포인트(AP)(110)는 단말들(STA1, STA2, STA3, STA4, STA5, STA6, STA7, STA8, STA9)로 버퍼링된 데이터의 존부를 나타내는 TIM을 그룹 단위로 전송할 수 있다.
WLAN의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모드에서 AP(110)는 저전력 모드에서 슬립 상태에 있는 단말들(STA1, STA2, STA3, STA4, STA5, STA6, STA7, STA8, STA9)을 위해 프레임을 버퍼링 할 수 있다.
AP(110)는 단말들(STA1, STA2, STA3, STA4, STA5, STA6, STA7, STA8, STA9)로부터 각각 단말의 서비스 특성 또는 트래픽 특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트래픽 특성에 대한 정보는 IEEE 802.11e에서 사용하는 TCLAS(Traffic Class) 정보일 수 있으며, 서비스 특성에 대한 정보는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의 access category (AC)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서비스 특성 또는 트래픽 특성에 대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새롭게 정의될 수 있다.
서비스 특성 또는 트래픽 특성에 대한 정보는 규격에서 정의된 관련 IE(Information Element)나 필드에 포함되어, 전달될 수 있다. 새롭게 그룹 DTIM 요청 엘리먼트 포맷(group DTIM request element format)을 정의하고, 서비스 특성 또는 트래픽 특성에 대한 정보는 그 안의 서브 엘리먼트(sub-element)로서 정의되어 전달될 수도 있다. 또한 새롭게 그룹 DTIM 요청 프레임(group DTIM request frame)을 정의하고, 서비스 특성 또는 트래픽 특성에 대한 정보는 그 안의 엘리먼트(element)로서 정의되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연관 요청 프레임(association request frame) 또는 재연관 요청 프레임(re-association request frame)의 엘리먼트로 삽입되어 연관 또는 재연관 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트래픽 특성 정보로서, 트래픽 주기가 포함될 수 있는데, 트래픽 주기는 그룹 DTIM 요청 엘리먼트 포맷에서, 그룹 DTIM 딜리버리 인터벌(group DTIM delivery interval)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AP(110)는 유사한 서비스 특성 또는 트래픽 특성을 가지는 단말들을 그룹핑할 수 있다. AP(110)는 유사한 서비스 특성 또는 트래픽 특성을 가지는STA1(121), STA2(122), STA3(123)을 하나의 그룹(120)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또한, AP(110)는 유사한 서비스 특성 또는 트래픽 특성을 가지는STA4(131), STA5(132), STA6(133)을 하나의 그룹(130)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또한, AP(110)는 유사한 서비스 특성 또는 트래픽 특성을 가지는STA7(141), STA8(142), STA9(143)를 하나의 그룹(140)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AP(110)는 그룹(120), 그룹(130), 그룹(140)에 속한 단말들이 각 그룹 별로 서로 다른 시간에 깨어서 채널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그룹(120), 그룹(130), 그룹(140)으로,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그룹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ap) 전송주기에 대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 각 그룹에 속한 단말들은 그룹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ap) 전송주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후, 그에 기초하여 깨어서, 각 그룹에 대응하는 그룹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a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룹 DTIM 정보는 그룹 별로 대응하는 단말들에 대해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는지를 비트 값을 통해 나타낸다. 단말은 그룹 DTIM 정보에 기초하여,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다고 판단하면 버퍼링된 데이터를 AP(110)로 요청할 수 있다.
또한, AP(110)는 그룹(120)에 포함된 단말의 수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많으면,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도록 서브 그룹(125)을 생성할 수 있다. 기 설정된 기준은 AP(110)에서 지원하는 채널의 종류, 개수 및 상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기준은 보다 구체적인 서비스 특성 또는 트래픽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기준이 2개의 단말이면, 서브 그룹(125)에는 STA2(122) 및 STA3(123)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브 그룹(125)에 STA1(121) 및 STA2(122)가 포함되거나, STA1(121) 및 STA3(123)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그룹(130), 그룹(14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AP(110)는 그룹(130) 및 그룹(140)에 포함된 단말의 수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많으면,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도록 서브 그룹(135) 및 서브 그룹(145)을 생성할 수 있다. 서브 그룹(135)에는 STA5(132) 및 STA6(133)이 포함될 수 있다. 서브 그룹(145)에는 STA8(142) 및 STA9(143)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동일한 그룹(120)에서 서브 그룹(125)이 복수 개이면, 복수 개의 서브 그룹들에 대해, 그룹 DTIM의 전송주기는 동일하고, 오프셋 값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서브 그룹들에 속한 단말들은 AP(110)로부터 비콘을 통해 그룹 정보를 수신하고, 그룹 정보에 포함된 그룹 DTIM의 전송주기 및 오프셋 값에 기초하여, 자신이 속한 서브 그룹의 그룹 DTIM의 전송주기 및 오프셋 값에 해당하는 시점에 깨어서, 그룹 DTIM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그룹 안에서도 서로 다른 서브 그룹에 속한 단말들은 상이한 시간에 깨어서 채널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단말들 간에 채널 액세스로 인한 충돌의 발생확률이 감소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단말에서 소모하는 에너지가 감소하게 된다.
단말들(STA1, STA2, STA3, STA4, STA5, STA6, STA7, STA8, STA9)에게 전달되는 프레임은 그 전달 범위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프레임, 멀티캐스트 프레임, 유니캐스트 프레임으로 구별될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 프레임 및 멀티캐스트 프레임은 모든 비콘에 전송되지 않고 비콘 인터벌(beacon interval) 보다 더 긴 그룹DTIM interval 단위로 전송될 수 있다. 유니캐스트 프레임은 그룹 DTIM 정보를 비콘 인터벌 또는 리슨 인터벌(listen interval) 단위로 전송될 수 있다.
AP(110)는 단말들(STA1, STA2, STA3, STA4, STA5, STA6, STA7, STA8, STA9)에 할당된 AID(Association ID) 기반으로 단말들을 그룹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ID의 상위 2개 MSB가 동일한 단말들끼리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AP(110)는 그룹 별로DTIM을 fragment하여 그룹 DTIM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PS-POLL프레임이나 trigger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 채널 액세스를 수행하는 단말들의 수를 줄일 수 있다.
그룹 DTIM의 전송주기는 그룹마다 상이한데, 그룹 DTIM의 전송주기는 그룹의 서비스 특성 또는 트래픽 특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AP(110)는 단말들(STA1, STA2, STA3, STA4, STA5, STA6, STA7, STA8, STA9)이 알려준 정보를 바탕으로 그룹 DTIM의 전송주기를 설정하여 알려준다. AP(110)는 단말이 요청한 특성이 그룹 DTIM의 전송주기에 반영되지 않을 경우, 상태(status)를 정의하여 알려줌으로써, 단말과 협의(negotiation)할 수 있다.
AP(110)는 그룹핑 된 그룹에 대한 정보, 그룹 별로 설정된 그룹 DTIM의 전송주기, 서브 그룹을 생성하는 경우 서브 그룹에 설정된 오프셋 값 등을 포함하는 그룹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들로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정보는 그룹 DTIM의 전송주기를 나타내는 Group DTIM delivery interval, 각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group DTIM ID, 그룹DTIM정보가 전송되는 시점을 알려주는 그룹 DTIM 카운터 및 오프셋 카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룹 DTIM 카운터는 카운터를 식별하기 위한 카운터ID와 현재 비콘에서 카운터의 값을 나타내는 현재 카운트 필드(current count field)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재 카운트 필드의 카운트 값은 그룹 DTIM의 전송주기 단위로 값이 조절될 수 있다.
오프셋 카운터는 현재 비콘에 포함된 오프셋 카운터의 오프셋 값을 나타내며, 오프셋 값은 비콘 인터벌 단위로 값이 조절될 수 있다. 또는, 오프셋 값이 조절되는 단위를 나타내는 오프셋 카운터 인터벌 필드가 추가될 수 있으며, 이 필드의 값은 비콘 인터벌의 정수배로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그룹 DTIM 전송주기를 갖는 그룹은 동일한 그룹 DTIM 카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동일한 그룹 내의 서브 그룹은 오프셋 카운터의 서로 다른 오프셋 값으로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서브 그룹에는 오프셋 값이 0으로 할당되며, 두 번째 서브 그룹에는 오프셋 값으로 다른 오프셋 값이 할당될 수 있다.
AP(110)는 그룹 정보를 단말들로 할당한 후, 매 비콘마다 새롭게 정의한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group DTIM descriptor element)를 삽입하여, 그룹 DTIM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는 그룹 DTIM 카운터 및 오프셋 카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룹 DTIM 카운터는 카운터 ID로 카운터 간에 식별될 수 있으며, 카운터마다 서로 다른 그룹 DTIM 전송주기에 해당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현재 카운트 필드의 값은 그룹 DTIM 전송주기마다 1씩 감소할 수 있다. 현재 카운트 필드의 값이 0이 되면, AP(110)는 오프셋 값이 0인 그룹의 버퍼링된 데이터(또는 버퍼링된 프레임, buffered group addressed frame)를 해당 그룹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오프셋 카운터는 그룹 DTIM 카운터와 쌍(pair)으로 구성될 수 있다. 쌍으로 구성된 그룹 DTIM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0이 되면, 오프셋 카운터가 트리거(trigger)되어, 설정된 오프셋 값 조절단위에 따라 오프셋 값이 1씩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콘 인터벌이 오프셋 값 조절단위로 설정되면, 매 비콘 인터벌마다 오프셋 값이 1씩 증가할 수 있다.
그룹 DTIM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0이 아니면, 오프셋 카운터는 동작하지 않으므로, 비콘 프레임의 비트 수를 줄이기 위해, 그룹 DTIM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0인 경우에만, 오프셋 카운터 필드가 비콘 프레임에 동적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AP(110)는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의 전송 후, 오프셋 값과 일치하는 그룹의 버퍼링된 데이터를 해당 그룹으로 전송할 수 있다.
AP(110)는 오프셋 값을 가진 모든 그룹들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을 완료하면, 그룹 DTIM 카운터와 오프셋 카운터를 리셋(reset)할 수 있다.
또한,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는 그룹 DTIM I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룹 DTIM ID는 그룹핑 된 그룹들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버퍼링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그룹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복수의 그룹들이 하나의 그룹 DTIM 카운터를 공유하는 경우 각 그룹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들(STA1, STA2, STA3, STA4, STA5, STA6, STA7, STA8, STA9)은 수신하는 비콘에 삽입된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의 그룹 DTIM 카운터의 값 및 오프셋 카운터의 값과, AP(110)가 할당해 준 그룹 DTIM의 전송주기, 카운트 값 및 오프셋 값을 비교하여, 자신이 속한 그룹의 그룹 DTIM 정보가 언제 전송될지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들은 임의의 하나의 비콘을 들으면, 자신이 속한 그룹의 그룹 DTIM정보의 전송 시점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들은 그룹 DTIM ID를 기준으로 버퍼링된 데이터의 유무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제어 장치(200)는 그룹핑부(210), 그룹정보 할당부(220), 전송부(230) 및 수신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제어 장치(200)는 무선랜 환경에서 액세스포인트에 대응한다.
수신부(240)는 단말들로부터 서비스 특성 및 트래픽 특성을 수신한다. 트래픽 특성에 대한 정보는 IEEE 802.11e에서 사용하는 TCLAS(Traffic Class) 정보일 수 있으며, 서비스 특성에 대한 정보는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의 AC(access category) 정보일 수 있다.
그룹핑부(210)는 단말들의 서비스 특성 및 트래픽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단말들을 그룹핑 할 수 있다. 그룹핑부(210)는 서비스 특성이 유사한 단말들끼리 그룹핑 할 수도 있고, 트래픽 특성이 유사한 단말들끼리 그룹핑 할 수도 있다. 또한, 그룹핑부(210)는 서비스 특성 및 트래픽 특성이 유사한 단말들끼리 그룹핑 할 수도 있다.
그룹핑부(210)는 액세스 포인트에서 버퍼링 된 프레임의 유무를 나타내는 TIM(Traffic Indication Map)과 연관된 연관 아이디(AID, Association Identifier)에 기초하여, 단말들을 그룹핑 할 수 있다.
그룹핑부(210)는 그룹핑 된 그룹 안에 포함된 단말들에 대해, 기 설정 된 개수 이하를 포함하는 서브그룹들로 다시 그룹핑 할 수 있다. 그룹 안에 포함된 단말들이 많아서, 액세스포인트로 채널 액세스를 수행하는데 충돌 발생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되면, 그룹핑부(210)는 그룹을 다시 서브 그룹들로 그룹핑 할 수 있다.
그룹정보 할당부(220)는 그룹핑 된 그룹 별로 서로 다른 시간에 깨어나도록 그룹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그룹 정보는 그룹 DTIM의 전송주기, 그룹 식별자, 그룹 카운터의 카운터 아이디(ID, Identifier) 및 현재 카운트 값, 오프셋 카운터의 오프셋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그룹정보 할당부(220)는 전송주기 결정부(221), 식별자 생성부(223), 그룹 카운터(225) 및 오프셋 카운터(227)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주기 결정부(221)는 그룹핑 된 그룹에 속한 단말에 대응하는 버퍼링된 데이터의 존부를 나타내는 그룹 DTIM의 전송주기를 그룹 간에 서로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그룹 DTIM의 전송주기가 그룹 별로 다르게 결정됨으로써, 그룹 별로 서로 다른 시간에 깨어서, 액세스포인트로부터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식별자 생성부(223)는 그룹핑 된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그룹핑 된 그룹을 식별할 수 있고, 단말은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자신이 속한 그룹을 식별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깨어있는 그룹으로 그룹 DTIM을 전송할 수 있다.
그룹 카운터(225)는 전송주기 결정부(221)에서 결정된 그룹 DTIM 전송주기와 연동하여 카운트 값을 설정함으로써, 그룹 DTIM의 전송시기를 단말들로 알려줄 수 있다.
그룹 카운터(225)의 카운트 값은 그룹 DTIM의 전송주기를 단위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오프셋 카운터(227)는 그룹핑 된 그룹의 서브그룹에 오프셋 값을 설정함으로써, 서브 그룹의 그룹 DTIM의 전송시기를 알려줄 수 있다. 동일한 그룹에서는 단말들이 할당 받은 그룹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동일하다. 서브 그룹이 있는 경우에는 오프셋 값을 통하여 서브 그룹 간에 구별될 수 있다.
오프셋 카운터(227)의 오프셋 값은 전송부(230)에서 전송하는 비콘의 전송주기를 단위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오프셋 값은 비콘의 전송주기의 정수 배를 단위로 하여 조절될 수 있다.
전송부(230)는 그룹 별로 할당된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ap) 정보 및 버퍼링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그룹 DTIM 정보는 그룹 별로 버퍼링된 데이터의 유무를 나타내는 그룹 DTIM을 의미한다. 그룹 DTIM의 전송에 응답하여 수신부(240)는 단말로부터PS-Poll 프레임 또는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PS-Poll 프레임 또는 트리거 프레임에 응답하여 버퍼링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그룹 정보 할당부(220)에서 할당된 그룹 정보를 그룹핑 된 그룹들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그룹 정보를 비콘에 포함하여 그룹들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부(230)는 그룹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부(230)는 버퍼링된 데이터를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그룹 정보가 그룹에 할당된 후에, 비콘의 전송시기마다 업데이트되는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group DTIM descriptor element)를 비콘에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는 그룹 DTIM의 전송주기마다 1씩 감소하는 그룹 카운터(225)의 카운트 값, 및 상기 카운트 값이 0이 되면 상기 비콘의 전송주기마다 1씩 증가하는 오프셋 카운터(227)의 오프셋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카운트 값이 0이 되면, 오프셋 값이 0인 그룹의 그룹 DTIM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카운트 값이 0이 된 후, 비콘의 전송주기마다 오프셋 값이 증가하면, 증가한 오프셋 값에 대응하는 그룹의 그룹 DTIM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에서 전송 스케줄에 기초하여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에서 전송 스케줄에 기초하여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300)은 수신부(310), 계산부(320), 요청부(330) 및 전송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310)는 액세스포인트로부터 그룹 정보 및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group DTIM descriptor element)를 포함하는 비콘을 수신할 수 있다.
그룹 정보는 그룹 DTIM의 전송주기, 그룹 식별자, 그룹 카운터의 카운터 아이디(ID, Identifier) 및 현재 카운트 값, 오프셋 카운터의 오프셋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는 그룹 DTIM의 전송주기마다 1씩 감소하는 카운트 값, 및 상기 카운트 값이 0이 되면 비콘의 전송주기마다 1씩 증가하는 오프셋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계산부(320)는 그룹 정보와, 비콘의 전송주기마다 업데이트되는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를 비교하여, 단말(300)이 속한 그룹의 그룹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ap)의 전송시점을 계산할 수 있다.
일 예로, 계산부(320)는 식별부(321), 비교부(323) 및 추정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부(321)는 수신부(310)에서 수신한 그룹 식별자에 기초하여, 단말(300)이 속한 그룹을 식별할 수 있다.
비교부(323)는 식별된 단말(300)에 대해 그룹 DTIM의 전송주기와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의 카운트 값을 비교하고, 상기 오프셋 카운터의 오프셋 값과 상기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의 오프셋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추정부(325)는 비교부(323)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그룹 DTIM의 전송시점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정부(325)는 그룹 DTIM의 전송주기를 반영하여 할당된 그룹 카운터의 카운트 값과,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의 카운트 값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그룹 DTIM의 전송시점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추정부(325)는 할당된 그룹 카운터의 값과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의 카운트 값이 동일하면, 오프셋 카운터의 오프셋 값과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의 오프셋 값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그룹 DTIM의 전송시점을 추정할 수 있다.
요청부(330)는 계산부(320)에서 계산된 전송시점에 기초하여 웨이크 업(wake up)하고, 수신된 그룹 DTIM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포인트로 버퍼링된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전송부(340)는 단말(300)의 서비스 특성 및 트래픽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액세스포인트로 전송할 수 있다.
그룹 DTIM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300)에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다고 확인되면, 전송부(340)는 액세스포인트로 버퍼링된 데이터를 요청하는 PS-Poll(Power Save Poll) 프레임 또는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하고, 수신부(310)는 PS-Poll 프레임 또는 트리거 프레임의 응답으로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410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는 단말들의 서비스 특성 및 트래픽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단말들을 그룹핑 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장치는 액세스포인트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는 그룹핑 된 그룹 안에 포함된 단말들에 대해, 기 설정 된 개수 이하의 단말을 포함하는 서브 그룹들로 다시 그룹핑 할 수 있다. 그룹 간에는 서로 다른 그룹 DTIM의 전송주기가 설정될 수 있고, 서브 그룹 간에는 동일한 그룹 DTIM의 전송주기 및 서로 다른 오프셋 값이 설정될 수 있다.
420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는 그룹핑 된 그룹 별로 서로 다른 시간에 깨어나도록 그룹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그룹 정보는 그룹 DTIM의 전송주기, 그룹 식별자, 그룹 카운터의 카운터 아이디(ID, Identifier) 및 현재 카운트 값, 오프셋 카운터의 오프셋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는 그룹핑 된 그룹에 속한 단말에 대응하는 버퍼링된 데이터의 존부를 나타내는 그룹 DTIM의 전송주기를 그룹 간에 서로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는 그룹핑 된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는 상기 결정된 그룹 DTIM 전송주기와 연동하여 그룹 카운터의 카운트 값을 설정함으로써 그룹 DTIM의 전송시기를 단말로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는 그룹핑 된 그룹의 서브그룹에 오프셋 카운터의 오프셋 값을 설정함으로써, 서브 그룹 간에 서로 다른 그룹 DTIM의 전송시기를 알려줄 수 있다.
430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는 그룹별로 할당된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ap) 정보 및 버퍼링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는 할당된 그룹 정보를 그룹핑 된 그룹들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511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AP(503)는 STA1(501)로부터 서비스 특성 및 트래픽 특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513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AP(503)는 STA2(505)로부터 서비스 특성 및 트래픽 특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515단계에서, AP(503)는 서비스 특성 및 트래픽 특성에 기초하여 STA1(501) 및 STA2(505)을 그룹핑 할 수 있다. STA1(501) 및 STA2(505)은 복수의 단말들을 대표하기 위하여 사용된 가장 간단한 구성으로써, 2개 이상의 단말들이 유사한 서비스 특성 또는 유사한 트래픽 특성에 따라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핑 될 수 있다.
517단계에서, AP(503)는 그룹에 그룹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그룹 정보는 그룹 DTIM의 전송주기, 그룹 식별자, 그룹 카운터의 카운터 아이디(ID, Identifier) 및 현재 카운트 값, 오프셋 카운터의 오프셋 값을 포함할 수 있다.
519단계에서, AP(503)는 그룹 정보를 STA1(501)이 속한 그룹으로 전송할 수 있다. 521단계에서, AP(503)는 그룹 정보를 STA2(505)이 속한 그룹으로 전송할 수 있다. STA1(501)이 속한 그룹과 STA2(505)이 속한 그룹은 동일할 수도 있고,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523단계에서, AP(503)는 결정된 그룹 DTIM의 전송주기에 따라, 그룹 DTIM 정보를 STA1(501)이 속한 그룹으로 전송할 수 있다. 525단계에서, AP(503)는 결정된 그룹 DTIM의 전송주기에 따라, 그룹 DTIM 정보를 STA2(505)이 속한 그룹으로 전송할 수 있다. STA1(501)이 속한 그룹과 STA2(505)이 속한 그룹이 동일하면, STA1(501) 및 STA2(505)이 수신한 그룹 DTIM의 전송주기는 동일하고, STA1(501)이 속한 그룹과 STA2(505)이 속한 그룹이 상이하면, STA1(501) 및 STA2(505)이 수신한 그룹 DTIM의 전송주기도 상이하다.
527단계에서, STA1(501)은 그룹 DTIM 정보를 통하여,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다고 판단하면 PS-Poll 프레임 또는 트리거 프레임을 AP(503)로 전송할 수 있다. PS-Poll 프레임 또는 트리거 프레임은 버퍼링된 데이터의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고 있다. 529단계에서, STA2(505)은 그룹 DTIM 정보를 통하여,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다고 판단하면 PS-Poll 프레임 또는 트리거 프레임을 AP(503)로 전송할 수 있다.
531단계에서, AP(503)는 PS-Poll 프레임 또는 트리거 프레임에 응답하여, STA1(501)으로 버퍼링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533단계에서, AP(503)는 PS-Poll 프레임 또는 트리거 프레임에 응답하여, STA2(505)로 버퍼링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단말들의 서비스 특성 및 트래픽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들을 그룹핑하는 그룹핑부;
    상기 그룹핑 된 그룹 별로 서로 다른 시간에 깨어나도록 그룹 정보를 할당하는 그룹 정보 할당부; 및
    상기 할당된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ap) 정보 및 버퍼링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핑부는
    액세스 포인트에서 버퍼링 된 프레임의 유무를 나타내는 TIM(Traffic Indication Map)과 연관된 연관 아이디(AID, Association Identifier)에 기초하여, 단말들을 그룹핑하는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핑부는
    상기 그룹핑 된 그룹 안에 포함된 단말들에 대해, 기 설정 된 개수 이하를 포함하는 서브그룹들로 다시 그룹핑하는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정보 할당부는
    상기 그룹핑 된 그룹에 속한 단말에 대응하는 버퍼링된 데이터의 존부를 나타내는 그룹 DTIM의 전송주기를 상기 그룹 간에 서로 다르게 결정하는 전송주기 결정부;
    상기 그룹핑 된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 식별자를 생성하는 식별자 생성부;
    상기 전송주기 결정부에서 결정된 상기 그룹 DTIM 전송주기와 연동하여 카운트 값을 설정함으로써 그룹 DTIM의 전송시기를 알려주는 그룹 카운터; 및
    상기 그룹핑 된 그룹의 서브그룹에 오프셋 값을 설정하여 상기 서브 그룹의 그룹 DTIM의 전송시기를 알려주는 오프셋 카운터
    를 포함하는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정보는
    상기 그룹 DTIM의 전송주기, 상기 그룹 식별자, 상기 그룹 카운터의 카운터 아이디(ID, Identifier) 및 현재 카운트 값, 오프셋 카운터의 오프셋 값
    을 포함하는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제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카운터의 카운트 값은
    상기 그룹 DTIM의 전송주기를 단위로 하여 결정되는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카운터의 오프셋 값은
    상기 전송부에서 전송하는 비콘의 전송주기를 단위로 하여 결정되는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제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그룹 정보 할당부에서 할당된 상기 그룹 정보를 상기 그룹핑 된 그룹들로 전송하는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그룹 정보가 상기 그룹에 할당된 후에, 전송시기마다 업데이트되는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group DTIM descriptor element)를 비콘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는 상기 그룹 DTIM의 전송주기마다 1씩 감소하는 카운트 값, 및 상기 카운트 값이 0이 되면 상기 비콘의 전송주기마다 1씩 증가하는 오프셋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카운트 값이 0이 되면, 상기 오프셋 값이 0인 그룹의 그룹 DTIM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카운트 값이 0이 된 후, 상기 비콘의 전송주기마다 상기 오프셋 값이 증가하면, 상기 증가한 오프셋 값에 대응하는 그룹의 그룹 DTIM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제어 장치.
  11. 액세스포인트로부터 그룹 정보 및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group DTIM descriptor element)를 포함하는 비콘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그룹 정보와 상기 비콘의 전송주기마다 업데이트되는 상기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를 비교하여, 단말이 속한 그룹의 상기 그룹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ap)의 전송시점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전송시점에 기초하여 웨이크 업하고, 상기 액세스포인트로 버퍼링된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부
    를 포함하는 무선랜에서 전송 스케줄에 기초하여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정보는
    상기 그룹 DTIM의 전송주기, 그룹 식별자, 그룹 카운터의 카운터 아이디(ID, Identifier) 및 현재 카운트 값, 오프셋 카운터의 오프셋 값
    을 포함하는 무선랜에서 전송 스케줄에 기초하여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는
    상기 그룹 DTIM의 전송주기마다 1씩 감소하는 카운트 값, 및 상기 카운트 값이 0이 되면 상기 비콘의 전송주기마다 1씩 증가하는 오프셋 값
    을 포함하는 무선랜에서 전송 스케줄에 기초하여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부는
    상기 그룹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속한 그룹을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식별된 단말에 대해 상기 그룹 DTIM의 전송주기와 상기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의 카운트 값, 상기 오프셋 카운터의 오프셋 값과 상기 그룹 DTIM 디스크립터 엘리먼트의 오프셋 값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 DTIM의 전송시점을 추정하는 추정부
    를 포함하는 무선랜에서 전송 스케줄에 기초하여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서비스 특성 및 트래픽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액세스포인트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무선랜에서 전송 스케줄에 기초하여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액세스포인트로 버퍼링된 데이터를 요청하는 PS-Poll(Power Save Poll) 프레임 또는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PS-Poll 프레임 또는 상기 트리거 프레임의 응답으로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랜에서 전송 스케줄에 기초하여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17. 단말들의 서비스 특성 및 트래픽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들을 그룹핑하는 단계;
    상기 그룹핑 된 그룹 별로 서로 다른 시간에 깨어나도록 그룹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ap) 정보 및 버퍼링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핑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핑 된 그룹 안에 포함된 단말들에 대해, 기 설정 된 개수 이하를 포함하는 서브그룹들로 다시 그룹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제어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핑 된 그룹에 속한 단말에 대응하는 버퍼링된 데이터의 존부를 나타내는 그룹 DTIM의 전송주기를 상기 그룹 간에 서로 다르게 결정하는 단계;
    상기 그룹핑 된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상기 그룹 DTIM 전송주기와 연동하여 그룹 카운터의 카운트 값을 설정함으로써 그룹 DTIM의 전송시기를 알려주는 단계; 및
    상기 그룹핑 된 그룹의 서브그룹에 오프셋 카운터의 오프셋 값을 설정하여 상기 서브 그룹의 그룹 DTIM의 전송시기를 알려주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할당된 그룹 정보를 상기 그룹핑 된 그룹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 제어 방법.
KR1020130067266A 2012-06-13 2013-06-12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무선랜에서 전송 스케줄에 기초하여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KR102090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07,385 US9516592B2 (en) 2012-06-13 2013-06-1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schedule for buffered data in wireless LAN, and terminal for receiving buffered data based on transmission schedule in wireless LAN
PCT/KR2013/005223 WO2013187706A1 (ko) 2012-06-13 2013-06-13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무선랜에서 전송 스케줄에 기초하여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3152 2012-06-13
KR1020120063152 2012-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797A true KR20130139797A (ko) 2013-12-23
KR102090249B1 KR102090249B1 (ko) 2020-04-14

Family

ID=49984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266A KR102090249B1 (ko) 2012-06-13 2013-06-12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무선랜에서 전송 스케줄에 기초하여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16592B2 (ko)
KR (1) KR1020902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8065A1 (en) * 2014-03-28 2015-10-01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associated with processing group addressed messages
WO2015170942A1 (ko) * 2014-05-09 2015-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6130064A1 (en) * 2015-02-10 2016-08-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ccess point and wireless device for communicating downlink data
WO2017074020A1 (ko) * 2015-10-26 201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8879B2 (en) 2015-01-08 2018-06-12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traffic to a plurality of wireless devices
US9801039B2 (en) * 2015-01-08 2017-10-24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on data between awareness networking devices
US9602998B2 (en) 2015-01-21 2017-03-21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in a data link group
WO2017050586A1 (en) * 2015-09-25 2017-03-30 Sony Corporatio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US11178617B2 (en) * 2019-01-30 2021-11-16 Qualcomm Incorporated Wakeup signal group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9285A2 (ko) * 2010-05-26 2011-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4929B1 (en) * 2002-12-16 2007-09-25 Banginwar Rajesh P Power management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215358B1 (ko) 2004-04-16 2012-12-26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통신단말장치, 통신시스템 및 전력제어방법
KR100966517B1 (ko) 2005-11-04 2010-06-29 노키아 코포레이션 가변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청취 인터벌
US20070286121A1 (en) * 2006-06-12 2007-12-13 Mikolaj Kolakowski Systems and techniques for selective point-to-multipoint retransmission of multicast frames in a wireless network
KR20090100698A (ko) 2008-03-20 2009-09-24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슬립모드 동작지원 방법 및 장치
US8767612B2 (en) * 2010-06-18 2014-07-01 Panasoni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1527120B1 (ko) 2010-08-17 2015-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유저의 txop 파워 세이빙을 위한 액티브 모드에서의 단말 및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방법
US9137823B1 (en) * 2011-05-23 2015-09-15 Marvell International Ltd. Downlink and uplink staggering techniques with aid bitmap segmentation
US8660548B1 (en) * 2011-06-13 2014-02-25 Marvell International Ltd. Multi-radio time ba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9285A2 (ko) * 2010-05-26 2011-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8065A1 (en) * 2014-03-28 2015-10-01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associated with processing group addressed messages
US9462549B2 (en) 2014-03-28 2016-10-04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associated with processing group addressed messages
WO2015170942A1 (ko) * 2014-05-09 2015-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327204B2 (en) 2014-05-09 2019-06-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mode operation in wireless LAN
WO2016130064A1 (en) * 2015-02-10 2016-08-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ccess point and wireless device for communicating downlink data
US10129786B2 (en) 2015-02-10 2018-11-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ccess point and wireless device for communicating downlink data
WO2017074020A1 (ko) * 2015-10-26 201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81521A1 (en) 2015-06-25
KR102090249B1 (ko) 2020-04-14
US9516592B2 (en) 201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0249B1 (ko)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무선랜에서 전송 스케줄에 기초하여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KR102114854B1 (ko) 무선랜 시스템의 슬롯 기반 채널 액세스 제어 장치 및 방법, 무선랜 시스템의 슬롯 기반 채널 액세스 단말
CN113613316B (zh) 下行业务数据的指示方法和设备
KR102182958B1 (ko) 무선랜에서 채널 액세스 관련정보를 요청 및 획득하는 방법 및 단말, 무선랜에서 채널 액세스 관련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US20180332534A1 (en) Method for negotiating target wake time, access point, and station
KR20200018533A (ko) 무선랜 시스템의 오퍼레이팅 모드 변경 방법 및 무선랜 시스템
US111848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flexible transmission slot in wireless LAN system
US9137823B1 (en) Downlink and uplink staggering techniques with aid bitmap segmentation
US103214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periodic resources
US90949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packet transmission time
KR20100095524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파워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60131049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력 절약 장치 및 방법
WO2017114031A1 (zh) 一种多用户接入的方法及装置
US117297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flexible transmission slot in wireless LAN system
CN108738114B (zh) 无线局域网的通信方法、装置、接入点设备和站点设备
CN109548120B (zh) 无线局域网的通信方法、装置、站点设备和接入点设备
WO2014134988A1 (zh) 业务指示信息的发送处理、接收处理方法及装置
US11219058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requesting and acquiring information relating to channel access in wireless LAN,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ing to channel access in wireless LAN
US98440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a periodic resource allocation
WO2013187706A1 (ko) 무선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무선랜에서 전송 스케줄에 기초하여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WO2017028154A1 (zh) 资源分配指示方法、装置、接入点和用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