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125A - Led 드라이버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Led 드라이버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125A
KR20130139125A KR1020120062900A KR20120062900A KR20130139125A KR 20130139125 A KR20130139125 A KR 20130139125A KR 1020120062900 A KR1020120062900 A KR 1020120062900A KR 20120062900 A KR20120062900 A KR 20120062900A KR 20130139125 A KR20130139125 A KR 20130139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headroom
led
dev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용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2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9125A/ko
Publication of KR20130139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1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Abstract

본 발명은 LED 드라이버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LED 드라이버는 다수의 LED 열들; 상기 LED 열들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발생하는 구동 전원; 상기 LED 열들을 통해 흐르는 정전류를 제어하는 정전류 제어부; 상기 LED 열들과 상기 정전류 제어부 사이에서 검출되는 헤드룸 전압들 중에서 최소 헤드룸 전압을 검출하여 출력을 발생하는 제1 헤드룸 전압 검출부; 상기 헤드룸 전압들 중에서 최대 헤드룸 전압을 검출하여 출력을 발생하는 제2 헤드룸 전압 검출부; 상기 제1 헤드룸 전압 검출부의 출력과 상기 제2 헤드룸 전압 검출부의 출력의 차이를 출력하는 편차 검출부; 상기 편차 검출부의 출력을 미리 설정된 편차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출력에 응답하여 상기 편차 검출부의 출력이 상기 편차 기준 전압 보다 높을 때 동작하는 보호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LED 드라이버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DRIVER FOR DRIVING LIGHT EMITTING DIOD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LED(Light Emitting Diode) 드라이버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명 광원이나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LED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LED는 도 1과 같이 LED 드라이버로 구동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LED 드라이버는 다수의 LED 열들(string)(LS1~LS3),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 이하 "DC-DC 컨버터"라 함)(10), LED 열들(LS1~LS3)의 정전류를 제어하는 정전류 제어부(50), 직류-직류 변환기(10)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피드백 제어부(20) 등을 포함한다.
LED 열들(LS1~LS3) 각각은 직렬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LED들을 포함한다. LED 열들(LS1~LS3)은 DC-DC 컨버터(10)의 출력 전압이 공급될 때 점등한다. DC-DC 컨버터(10)는 도 2와 같이 인에이블신호(ENA)가 하이 로직 레벨(High logic level)로 입력되면 직류 입력 전압을 V1 전압까지 승압하여 LED 열들(LS1~LS3)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출력한다. DC-DC 컨버터(10)는 피드백 제어부(20)로부터 입력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출력 전압(Vout)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C-DC 컨버터(10)는 피드백 전압(FB)이 낮아지면 피드백 제어부(20)의 PWM 제어 하에 출력 전압(Vout)을 더 높인다.
정전류 제어부(50)는 트랜지스터들(Q1~Q3), 비교기들(OP1~OP3), 피드백 전압 검출부(30) 등을 포함한다.
트랜지스터들(Q1~Q3)은 LED 열들(LS1~LS3) 각각에 연결된다. 비교기들(OP1~OP3)은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를 이용한 비교기로 구현된다. 비교기들(OP1~OP3)은 트랜지스터들(Q1~Q3)의 게이트 전압을 제어하여 LED 열들(LS1~LS3)과 트랜지스터들(Q1~Q3)을 통해 흐르는 정전류의 변동을 억제한다. 이러한 비교들(OP1~OP3)은 트랜지스터들(Q1~Q3)의 에미터(emitter) 전압(또는 소스(source) 전압)과 자신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여 그 차 전압을 트랜지스터들(Q1~Q3)의 베이스(base)(또는 게이트(gate))에 인가하여 LED 열들(LS1~LS3)과 트랜지스터들(Q1~Q3)을 통해 흐르는 순방향 전류(if1~if3)를 정전류로 제어한다.
피드백 전압 검출부(30)는 LED 열들(LS1~LS3) 각각의 헤드룸(Headroom) 전압(VH1~VH3)을 감지(sensing)하여 그 중 최소 헤드룸 전압에 비례하는 피드백 전압을 발생한다. 피드백 전압 검출부(30)는 최소 헤드룸 전압이 낮아지면 피드백 제어부(20)에 입력되는 피드백 전압(FB)을 낮추는 반면, 최소 헤드룸 전압이 높아지면 피드백 전압(FB)을 높인다. 헤드룸 전압(VH1~VH3)은 DC-DC 컨버터(10)의 출력 전압에서 LED 열들(LS1~LS3)에 인가되는 순방향 전압을 뺀 전압이다. 헤드룸 전압(VH1~VH3)은 트랜지스터들(Q1~Q3)의 컬렉터-에미터 전압(Vce)과 소스 저항(Rx)에 인가되는 전압을 합한 전압과 같다. 헤드룸 전압이 낮다는 것은 LED 열에 인가되는 순방향 전압이 높다는 것이고 반대로, 헤드룸 전압이 높다는 것은 LED 열에 인가되는 순방향 전압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피드백 제어부(20)는 피드백 전압(FB)이 낮아지면 PWM 제어신호의 듀티비(Duty ratio)를 높여 DC-DC 컨버터(10)의 출력을 높이는 반면, 피드백 전압(FB)이 높아지면 PWM 제어신호의 듀티비를 낮추어 DC-DC 컨버터(10)의 출력 전압(Vout)을 낮춘다.
LED의 편차로 인하여, LED 열들(LS1~LS3)의 순방향 전압은 편차가 있을 수 있다. DC-DC 컨버터(10)는 LED 열들(LS1~LS3)의 편차를 고려하여 LED 열들(LS1~LS3)의 최대 순방향 전압 이상의 전압을 출력하고 피드백 제어부(20)의 제어 하에 피드백 전압(FB)이 낮아지면 출력 전압을 더 높인다. 순방향 전압이 작은 LED 열에 연결된 트랜지스터의 전류가 커져 발열양이 증가한다. 따라서, LED 열들(LS1~LS3)의 순방향 전압이 높아져 헤드룸 전압이 낮아지면 피드백 전압(FB)이 낮아지게 되어 DC-DC 컨버터(10)의 출력이 더 높아지게 되어 트랜지스터의 발열과 소비전력이 증가한다.
DC-DC 컨버터(10)의 출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거나, LED 열들(LS1~LS3)과 트랜지스터들(Q1~Q3)의 연결 이상으로 인하여 그들 사이의 노드에서 전류 패스가 개방(open)되거나 그 노드가 기저전압원(GND)과 단락(short)되는 경우에 피드백 전압(FB)이 과도하게 낮아질 수 있다. 이 경우에, LED 열을 통해 흐르는 순방향 전류가 급증하여 LED, 트랜지스터 등의 소자가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LED 드라이버는 보호 회로를 내장할 수 있다. 보호 회로는 피드백 전압(FB)이 특정 전압 이하로 내려가면 DC-DC 컨버터(10)의 동작을 정지(shutdown)시킨다.
종래의 LED 드라이버에 내장된 보호회로는 피드백 전압의 변동 수준만으로 셧다운 동작을 제어한다. DC-DC 컨버터(10)의 출력이 최대 순방향 전압 이상의 전압으로 발생되므로 LED 열들(LS1~LS3)의 순방향 전압 편차가 커지면 순방향 전압이 작은 LED 열을 통해 흐르는 과전류가 커진다. 그런데, 종래의 LED 드라이버는 LED 열들(LS1~LS3)의 순방향 전압 편차를 바탕으로 보호 회로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없고 LED 열들(LS1~LS3)의 순방향 전압 편차를 적정 수준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 없다.
본 발명은 LED 열들의 순방향 전압 편차를 바탕으로 LED와 트랜지스터와 같은 소자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LED 열들의 순방향 전압 편차를 적정 수준으로 관리할 수 있는 LED 드라이버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LED 드라이버는 다수의 LED 열들; 상기 LED 열들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발생하는 구동 전원; 상기 LED 열들을 통해 흐르는 정전류를 제어하는 정전류 제어부; 상기 LED 열들과 상기 정전류 제어부 사이에서 검출되는 헤드룸 전압들 중에서 최소 헤드룸 전압을 검출하여 출력을 발생하는 제1 헤드룸 전압 검출부; 상기 헤드룸 전압들 중에서 최대 헤드룸 전압을 검출하여 출력을 발생하는 제2 헤드룸 전압 검출부; 상기 제1 헤드룸 전압 검출부의 출력과 상기 제2 헤드룸 전압 검출부의 출력의 차이를 출력하는 편차 검출부; 상기 편차 검출부의 출력을 미리 설정된 편차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출력에 응답하여 상기 편차 검출부의 출력이 상기 편차 기준 전압 보다 높을 때 동작하는 보호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 다수의 LED 열들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LED 열들을 구동하는 LED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상기 LED 드라이버는 상기 구동 전원, 상기 정전류 제어부, 상기 제1 헤드룸 전압 검출부, 상기 제2 헤드룸 전압 검출부, 상기 편차 검출부, 상기 비교부, 및 상기 보호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최소 헤드룸 전압과 최대 헤드룸 전압을 검출하고 그 차를 미리 설정된 편차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최소 헤드룸 전압과 최대 헤드룸 전압의 차가 편차 기준 전압 보다 클 때 LED 드라이버의 보호 기능을 활성화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은 LED 열들의 순방향 전압 편차를 바탕으로 LED와 트랜지스터와 같은 소자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LED 열들의 순방향 전압 편차를 적정 수준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LED의 정전류 제어 회로를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DC-DC 컨버터의 출력을 보여 주는 파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드라이버를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헤드룸 전압 검출부의 동작을 예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2 헤드룸 전압 검출부의 동작을 예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드라이버의 다른 동작 예시를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드라이버(100)를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LED 드라이버(100)는 다수의 LED 열들(LS1~LS3), DC-DC 컨버터(10), 정전류 제어부(150), 헤드룸 전압 검출부들(32, 34), 편차 검출부(36), 비교부(38), 보호 제어부(70) 등을 포함한다. LED 드라이버(100)에서 피드백 제어부, 정전류 제어부(150) 내의 비교기들과, 피드백 전압 검출부 등은 도면에서 생략되어 있다.
도 3에서 LED 드라이버(100)는 3 개의 LED 열들(LS1~LS3)을 구동하는 예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LED 드라이버(100)는 N(N은 2 이상의 양의 정수) 개의 LED 열들(LS1~LS3)을 구동할 수 있다.
LED 열들(LS1~LS3) 각각은 직렬 연결된 하나 이상의 LED들을 포함한다. LED 열들(LS1~LS3)은 DC-DC 컨버터(10)의 출력 전압이 공급될 때 점등한다. LED 열들(LS1~LS3) 각각에서 첫번째 LED의 애노드는 DC-DC 컨버터(10)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다. LED 열들(LS1~LS3) 각각에서 마지막 LED의 캐소드는 트랜지스터(Q1~Q3)의 컬렉터(Collector 또는 드레인(drain))에 연결되고 또한, 헤드룸 전압 검출부들(32, 34)에 연결된다.
DC-DC 컨버터(10)는 LED 열들(LS1~LS3)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발생하는 구동 전원이다. DC-DC 컨버터(10)는 도 2와 같이 인에이블신호(ENA)가 하이 로직 레벨로 입력되면 직류 입력 전압을 V1 전압까지 승압하여 LED 열들(LS1~LS3)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출력한다. DC-DC 컨버터(10)는 피드백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PWM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출력 전압(Vout)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C-DC 컨버터(10)는 피드백 전압(FB)이 낮아지면 피드백 제어부의 PWM 제어 하에 출력 전압(Vout)을 더 높인다.
정전류 제어부(150)는 트랜지스터들(Q1~Q3), 비교기들, 피드백 전압 검출부 등을 포함한다.
트랜지스터들(Q1~Q3) 각각의 베이스(또는 게이트)는 도 1과 같이 비교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들(Q1~Q3) 각각의 켈렉터(또는 드레인)는 LED 열에서 마지막 LED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들(Q1~Q3) 각각의 에미터(또는 소스)는 소스 저항들(R1~R3)에 연결된다. 소스 저항들(R1~R3)은 트랜지스터(Q1~Q3)의 에미터(또는 소스)와 기저전압원(GND) 사이에 연결된다.
정전류 제어부(150)는 도 1에 도시된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정전류 제어부(150)에서, 비교기의 비반전 입력단자는 도 1과 같이 기준전압(Vref)이 공급되고, 비교기의 반전 입력단자는 트랜지스터(Q1~Q3)의 에미터(또는 소스) 전압이 공급된다. 비교들은 트랜지스터들(Q1~Q3)의 에미터(또는 소스) 전압과 자신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그 차 전압을 트랜지스터들(Q1~Q3)의 베이스(또는 게이트)에 인가하여 LED 열들(LS1~LS3)과 트랜지스터들(Q1~Q3)을 통해 흐르는 순방향 전류를 정전류로 제어한다.
피드백 전압 검출부는 LED 열들(LS1~LS3) 각각의 헤드룸 전압(HRV1~HRV3)을 감지하여 그 중 최소 헤드룸 전압에 비례하는 피드백 전압을 발생한다. 피드백 전압 검출부는 최소 헤드룸 전압이 낮아지면 피드백 제어부(20)에 입력되는 피드백 전압(FB)을 낮추는 반면, 최소 헤드룸 전압이 높아지면 피드백 전압(FB)을 높인다. 피드백 제어부는 피드백 전압이 낮아지면 PWM 제어신호의 듀티비를 높여 DC-DC 컨버터(10)의 출력 전압(Vout)을 높이는 반면, 피드백 전압이 높아지면 PWM 제어신호의 듀티비를 낮추어 DC-DC 컨버터(10)의 출력 전압(Vout)을 낮춘다.
헤드룸 전압 검출부들(32, 34)은 최대 순방향 전압(Vfmax)을 검출하는 제1 헤드룸 전압 검출부(32)와, 최소 순방향 전압(Vfmin)을 검출하는 제2 헤드룸 전압 검출부(34)를 포함한다. 제1 헤드룸 전압 검출부(32)는 헤드룸 전압들(HRV1~HRV3) 중에서 최소 헤드룸 전압을 검출하여 최대 순방향 전압(Vfmax)을 출력한다. 제2 헤드룸 전압 검출부(34)는 헤드룸 전압들(HRV1~HRV3) 중에서 최대 헤드룸 전압을 검출하여 최소 순방향 전압(Vfmin)을 출력한다.
제1 헤드룸 전압 검출부(32)는 다수의 다이오드들(D1~D3)을 포함한다. 다이오드들(D1~D3)은 LED 열들(LS1~LS3)과 1:1로 연결된다. 따라서, 다이오드들(D1~D3)은 도 3에서 3 개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이오드들(D1~D3)의 개수는 LED 열들(LS1~LS3)의 개수가 많아지면 그 만큼 더 추가된다.
다이오드들(D1~D3) 각각의 캐소드는 LED 열들(LS1~LS3)의 마지막 LED와 트랜지스터들(Q1~Q3) 사이의 노드들에 연결된다. 다이오드들(D1~D3) 각각의 애노드는 제4 저항(R4)을 경유하여 고전위 공통 전압원(Vc)과 편차 검출부(36)의 제1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다이오드(D1)의 캐소드는 제1 LED 열(LS1)에 포함된 마지막 LED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제1 다이오드(D1)의 애노드는 제4 저항(R4)과 편차 검출부(36)의 제1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는 제2 LED 열(LS2)에 포함된 마지막 LED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제2 다이오드(D2)의 애노드는 제4 저항(R4)과 편차 검출부(36)의 제1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제3 다이오드(D3)의 캐소드는 제3 LED 열(LS3)에 포함된 마지막 LED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제3 다이오드(D3)의 애노드는 제4 저항(R4)과 편차 검출부(36)의 제1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이러한 다이오드들(D1~D3) 각각은 헤드룸 전압(HRV1~HRV3)이 인가되는 캐소드 전압이 애노드 전압보다 자신의 문턱 전압 만큼 낮을 때 턴-온(turn-on)된다. 다이오드들(D1~D3) 중에서 최소 헤드룸 전압이 인가되는 다이오드가 턴-온될 때, 그 다이오드를 통해 최대 순방향 전압(Vfmax)이 출력된다.
LED 열들(LS1~LS3)에 인가되는 순방향 전압이 높을수록 헤드룸 전압이 낮아진다. 예컨대, 최소 헤드룸 전압이 검출되는 노드와 연결되는 LED 열의 순방향 전압이 최대 순방향 전압이다. 제1 헤드룸 전압 검출부(32)로부터 출력되는 최대 순방향 전압(Vfmax)은 Vfmax = Vth + HRV(min)이다. Vth는 다이오드(D1~D3)의 문턱 전압이고, HRV(min)은 최소 헤드룸 전압이다. 최소 헤드룸 전압 HRV(min)은 HRV(min) = Vout - Vf(max) 이다. Vf(max)는 LED 열들(LS1~LS3)에 인가되는 순방향 전압들 중에서 최대 순방향 전압이다.
제2 헤드룸 전압 검출부(34)는 다수의 다이오드들(D4~D6)을 포함한다. 다이오드들(D4~D6)은 LED 열들(LS1~LS3)과 1:1로 연결된다. 따라서, 다이오드들(D4~D6)은 도 3에서 3 개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이오드들(D4~D6)의 개수는 LED 열들(LS1~LS3)의 개수가 많아지면 그 만큼 더 추가된다.
다이오드들(D4~D6) 각각의 애노드는 LED 열들(LS1~LS3)의 마지막 LED와 트랜지스터들(Q1~Q3) 사이의 노드들에 연결된다. 다이오드들(D4~D6) 각각의 캐소드는 제5 저항(R5)을 경유하여 기저 전압원(GND)과 편차 검출부(36)의 제2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기저 전압원(GND)의 전압은 0V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다이오드(D4)의 애노드는 제1 LED 열(LS1)에 포함된 마지막 LED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제4 다이오드(D4)의 캐소드는 제5 저항(R5)과 편차 검출부(36)의 제2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제5 다이오드(D5)의 애노드는 제2 LED 열(LS2)에 포함된 마지막 LED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는 제5 저항(R5)과 편차 검출부(36)의 제2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제6 다이오드(D6)의 애노드는 제3 LED 열(LS3)에 포함된 마지막 LED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제6 다이오드(D6)의 캐소드는 제5 저항(R5)과 편차 검출부(36)의 제2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이러한 다이오드들(D4~D6) 각각은 헤드룸 전압(HRV1~HRV3)이 인가되는 캐소드 전압이 애노드 전압보다 자신의 문턱 전압 만큼 낮을 때 턴-온(turn-on)된다. 다이오드들(D4~D6) 중에서 최대 헤드룸 전압이 인가되는 다이오드가 턴-온될 때, 그 다이오드를 통해 최소 순방향 전압(Vfmin)이 출력된다.
LED 열들(LS1~LS3)에 인가되는 순방향 전압이 낮을수록 헤드룸 전압이 높아진다. 예컨대, 최대 헤드룸 전압이 검출되는 노드와 연결되는 LED 열의 순방향 전압이 최소 순방향 전압이다. 제2 헤드룸 전압 검출부(34)로부터 출력되는 최소 순방향 전압(Vfmin)은 Vfmin = HRV(max) - Vth이다. Vth는 다이오드(D4~D6)의 문턱 전압이고, HRV(max)은 최대 헤드룸 전압이다. 최대 헤드룸 전압 HRV(max)은 HRV(max) = Vout - Vf(min) 이다. Vf(min)은 LED 열들(LS1~LS3)에 인가되는 순방향 전압들 중에서 최소 순방향 전압이다.
편차 검출부(36)는 제1 헤드룸 전압 검출부(32)로부터 출력되는 최대 순방향 전압(Vfmax)과, 제2 헤드룸 전압 검출부(34)로부터 출력되는 최소 순방향 전압(Vfmin)의 차이를 계산다. 이를 위하여, 편차 검출부(36)는 연산 증폭기(OP4)를 포함한 감산회로를 이용하여 최대 순방향 전압(Vfmax)과 최소 순방향 전압(Vfmin)의 차이 만큼 출력 전압을 발생한다. 따라서, 편차 검출부(36)의 출력 전압은 최대 순방향 전압(Vfmax)과 최소 순방향 전압(Vfmin)의 차이에 비례한다. 제6 저항(R6)은 연산 증폭기(OP4)의 반전 입력 단자와 제1 헤드룸 전압 검출부(32)의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된다. 제7 저항(R7)은 연산 증폭기(OP4)의 비반전 입력 단자와 제2 헤드룸 전압 검출부(34)의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된다. 제8 저항(R8)은 연산 증폭기(OP4)의 반전 입력 단자와 연산 증폭기(OP4)의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된다. 제9 저항(R9)은 연산 증폭기(OP4)의 비반전 입력 단자와 기저 전압원(GND) 사이에 연결된다. 제10 저항(R10)은 연산 증폭기(OP4)의 출력 단자와 기저 전압원(GND) 사이에 연결된다.
비교부(38)는 연산 증폭기(OP5)를 이용한 비교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연산 증폭기(OP5)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는 편차 검출부(36)의 출력 전압이 공급되고, 연산 증폭기(OP5)의 반전 입력 단자에는 미리 설정된 편차 기준 전압(Vr2)이 공급된다. 비교부(38)는 편차 검출부(36)의 출력 전압을 미리 설정된 편차 기준 전압(Vr2)과 비교하여, 편차 검출부(36)의 출력 전압이 편차 기준 전압(Vr2) 보다 높을 때 하이 로직 레벨(High logic level)의 출력을 발생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 로우 로직 레벨(Low logic level)을 출력한다.
보호 제어부(70)는 비교부(38)의 출력이 하이 로직 레벨일 때 동작하여 LED 열들(LS1~LS3)과 LED 드라이버(10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기능을 활성화한다. 보호 기능은 DC-DC 컨버터(10), 도 1에 도시된 피드백 제어부(20)의 동작을 정지(shutdown)시키거나, LED 열들(LS1~LS3)의 전류 패스를 개방(open)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제어부(70)는 비교부(38)의 출력이 하이 로직 레벨일 때 도 2에 도시된 인에이블신호(ENA)를 로우 로직 레벨로 반전시켜 DC-DC 컨버터(1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 제어부(70)는 피드백 제어부(20)에 입력되는 피드백 전압(FB)을 차단하거나 높여 DC-DC 컨버터(10)의 출력 전압을 현 상태 이하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보호 제어부(70)는 피드백 제어부(20)에 정전류 제어부(150)의 트랜지스터들(Q1~Q3)의 게이트 전압을 강제로 낮추어 그 트랜지스터들(Q1~Q3)을 턴-오프(turn-off)시켜 LED 열들(LS1~LS3)의 전류 패스를 개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고객의 요구나 LED 구동 환경을 고려하여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는 LED 열들(LS1~LS3)의 순방향 전압 편차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은 비교부(38)에 입력되는 편차 기준 전압(Vr2)을 조절하여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는 순방향 전압 편차를 변경할 수 있다. 편차 기준 전압(Vr2)이 높아지면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는 LED 열들(LS1~LS3)의 순방향 전압 편차도 높아지는 반면, 편차 기준 전압(Vr2)이 낮아지면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는 LED 열들(LS1~LS3)의 순방향 전압 편차도 낮아진다.
도 4는 제1 헤드룸 전압 검출부(32)의 동작을 예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5는 제2 헤드룸 전압 검출부(34)의 동작을 예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 LED 열들(LS1~LS3) 각각의 순방향 전압을 Vf1~Vf3라 할 때 Vf1 = 39V, Vf2 = 40V, Vf3 = 40.7V일 때, DC-DC 컨버터(10)의 출력 전압(Vout)은 모든 LED 열들(LS1~LS3)을 점등하기 위하여 최대 순방향 전압 이상의 전압을 출력하여야 하므로 42.4V를 출력한다고 가정한다. 고전위 공통 전압원(Vc)이 Vc = 3.3V이고, 다이오드들(D1~D6)의 문턱 전압(Vth)이 Vth = 0.6~0.7V로 가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헤드룸 전압 검출부(32)는 제3 다이오드(D3)를 통해 최대 순방향 전압 Vfmax = Vth + HRVmin(=HRV3) = 0.6V + 1.7V = 2.3V를 출력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1 다이오드(D1)의 캐소드 전압은 최대 헤드룸 전압 HRV(max) = Vout - Vf1 = HRV1 = 3.4V이고, 제3 다이오드(D3)의 캐소드 전압은 최소 헤드룸 전압 HRV(min) = Vout - Vf3 = HRV3 = 1.7V이다.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 전압은 HRV2 = Vout - Vf2 = 2.4V이다. 최소 헤드룸 전압이 인가되는 제3 다이오드(D3)는 애노드 전압과 캐소드 전압의 차가 자신의 문턱 전압(Vth) 이상이기 때문에 턴-온(turn-on)된다. 다이오드들(D1~D3)의 애노드는 풀-업(pull-up) 저항을 통해 고전위 공통 전압원(Vc)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다. 다이오드들(D1~D3)의 애노드 전압은 최소 헤드룸 전압 + 턴-온(turn-on)된 다이오드의 문턱 전압이므로 1.7V + 0.6V = 2.3V로 같은 전압이다. 따라서, 제3 다이오드(D3)가 턴-온되는 반면, 제1 및 제2 다이오드들(D1, D2)은 애노드 전압과 캐소드 전압의 차가 자신의 문턱 전압(Vth) 보다 낮기 때문에 턴-오프(turn-off)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헤드룸 전압 검출부(34)는 제4 다이오드(D4)를 통해 최소 순방향 전압 Vfmin = HRVmax(=HRV1) - Vth = 3.4V - 0.6V = 2.8 V를 출력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4 다이오드(D4)의 애노드 전압은 최대 헤드룸 전압 HRV(max) = Vout - Vf1 = HRV1 = 3.4V이고, 제6 다이오드(D6)의 애노드 전압은 최소 헤드룸 전압 HRV(min) = Vout - Vf3 = HRV3 = 1.7V이다. 그리고 제5 다이오드(D5)의 애노드 전압은 HRV2 = Vout - Vf2 = 2.4V이다. 최대 헤드룸 전압이 인가되는 제4 다이오드(D4)는 애노드 전압과 캐소드 전압의 차가 자신의 문턱 전압(Vth) 이상이기 때문에 턴-온된다. 다이오드들(D4~D6)의 캐소드는 풀-다운(pull-down) 저항을 통해 기저 전압원(GND)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다이오드들(D4~D6)의 캐소드 전압은 최대 헤드룸 전압 - 턴-온된 다이오드의 문턱 전압이므로 3.4V - 0.6V = 2.8V로 같은 전압이다. 따라서, 제4 다이오드(D4)는 턴-온되는 반면, 제5 및 제6 다이오드(D5, D6)는 애노드 전압과 캐소드 전압의 차가 자신의 문턱 전압(Vth) 보다 낮기 때문에 턴-오프된다.
도 6은 LED 드라이버(100)의 다른 동작 예시를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헤드룸 전압(HRV1~HRV3)이 HRV1 = 3.96V, HRV2 = 3.35V, HRV3 = 2.24V이고, 다이오드들(D1~D6)의 문턱 전압(Vth)이 Vth = 0.6V로 가정한다.
제1 헤드룸 전압 검출부(32)는 최소 헤드룸 전압(HRVmin = HRV3)에 의해 턴-온된 제3 다이오드(D3)를 통해 최대 순방향 전압 Vfmax = Vth + HRVmin(=HRV3) = 0.6V + 2.24V = 2.84V를 출력한다. 제2 헤드룸 전압 검출부(34)는 최대 헤드룸 전압(HRVmax = HRV1)에 의해 턴-온된 제4 다이오드(D4)를 통해 최소 순방향 전압 Vfmin = HRVmax(=HRV1) - Vth = 3.96V - 0.6V = 3.33 V를 출력한다.
비교부(38)에 인가되는 편차 기준 전압(Vr2)을 0.49V로 설정하면, 제1 헤드룸 전압 검출부(32)의 출력 전압(Vfmax)과 제2 헤드룸 전압 검출부(34)의 출력 전압(Vfmin)의 차이가 1.7V 이상일 때 보호 기능이 활성화된다. 이는 도 6의 예에서 HRV1 - HRV3 = 3.96V - 2.24V = 1. 72V 일 때 Vfmax - Vfmin = 2.84V - 3.33V = 0.49V 이기 때문이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LED 드라이버(100)는 도 7과 같이 액정표시장치의 광원 구동회로로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200), 액정표시패널(200)의 데이터라인들(201)을 구동하기 위한 소스 구동부(210), 액정표시패널(200)의 게이트라인들(202)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부(220), 소스 구동부(210)와 게이트 구동부(22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콘트롤러(230), 액정표시패널(200)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300), 백라이트 유닛(300)의 광원들을 구동하기 위한 LED 드라이버(100) 등을 포함한다.
액정표시패널(200)은 두 장의 유리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액정표시패널(200)에는 데이터라인들(201)과 게이트라인들(202)의 교차 구조에 의해 픽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액정표시패널(200)의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함) 어레이 기판에는 데이터라인들(201), 게이트라인들(202), TFT들, TFT들에 접속된 액정셀의 화소전극,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 등이 형성된다. 액정표시패널(200)의 컬러필터 기판에는 블랙매트릭스, 컬러필터 등이 형성된다. 화소전극과 대향하며, 공통전압(Vcom)이 공급되는 공통전극은 TFT 어레이 기판이나 컬러필터 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액정표시패널(200)의 액정 모드는 TN(Twisted Nematic) 모드와 VA(Vertical Alignment) 모드와 같은 수직전계 구동방식이나 IPS(In Plane Switching) 모드와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와 같은 수평전계 구동방식, 또는 공지의 어떠한 액정 모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타이밍 콘트롤러(230)는 외부의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타이밍신호들(Vsync, Hsync, DE, DCLK)을 입력받아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소스 구동부(210)에 공급한다. 타이밍신호들(Vsync, Hsync, DE, DCLK)은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신호(DE), 도트 클럭신호(DCLK) 등을 포함한다. 타이밍 콘트롤러(230)는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의 타이밍신호들(Vsync, Hsync, DE, DCLK)에 기초하여 소스 구동부(210)와 게이트 구동부(22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들(DDC, GDC)을 발생한다. 타이밍 콘트롤러(230)는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로컬 디밍에 따른 화질 보상 알고리즘으로 변조하고 변조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R'G'B')를 소스 구동부(210)에 공급한다.
호스트 시스템은 네비게이션 시스템, 셋톱박스,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PC), 홈 시어터 시스템, 방송 수신 시스템, 폰 시스템(Phone system)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된다. 호스트 시스템은 스케일러(scaler)가 내장된 SoC(System on chip)를 포함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와 함께 타이밍 신호들을 타이밍 콘트롤러(230)로 전송한다.
소스 구동부(210)는 타이밍 콘트롤러(230)의 제어 하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래치한다. 소스 구동부(210)는 정극성/부극성 감마보상전압을 이용하여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정극성/부극성 아날로그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라인들(201)에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부(220)는 데이터라인들(201) 상의 데이터전압과 동기되는 게이트펄스(또는 스캔펄스)을 게이트라인들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백라이트 유닛(300)은 액정표시패널(200)의 아래에 배치된다. 백라이트 유닛(300)은 LED 드라이버(100)에 의해 구동되는 광원들 즉, 복수의 LED 열들(LS1~LS3)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액정표시패널(200)에 균일하게 조사한다. 백라이트 유닛(300)은 직하형(direct type) 백라이트 유닛 또는, 에지형(edge type)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LED 드라이버(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LED 열들(LS1~LS3)의 순방향 편차가 미리 설정된 편차 기준 보다 클 때 보호 기능을 활성화하는 회로를 내장한다. LED 드라이버(100)는 입력 영상을 분석하여 백라이트 디밍값을 블록 단위로 선택하는 로컬 디밍부 또는, 로컬 디밍부가 내장된 타이밍 콘트롤러(230)로부터 디밍(Dimming) 값을 입력 받아, 그 디밍값(DIM)에 따라 DC-DC 컨버터(10)를 PWM으로 제어하여 백라이트의 디밍을 입력 영상에 종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LS1~LS3 : LED 열 10 : DC-DC 컨버터
20 : 피드백 제어부 30 : 피드백 전압 검출부
50, 150 : 정전류 제어부 32 : 제1 헤드룸 전압 검출부
34 : 제2 헤드룸 전압 검출부 36 : 편차 검출부
38 : 비교부 70 : 보호 제어부
100 : LED 드라이버 200 : 액정표시패널
300 : 백라이트 유닛

Claims (7)

  1. 다수의 LED 열들;
    상기 LED 열들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발생하는 구동 전원;
    상기 LED 열들을 통해 흐르는 정전류를 제어하는 정전류 제어부;
    상기 LED 열들과 상기 정전류 제어부 사이에서 검출되는 헤드룸 전압들 중에서 최소 헤드룸 전압을 검출하여 출력을 발생하는 제1 헤드룸 전압 검출부;
    상기 헤드룸 전압들 중에서 최대 헤드룸 전압을 검출하여 출력을 발생하는 제2 헤드룸 전압 검출부;
    상기 제1 헤드룸 전압 검출부의 출력과 상기 제2 헤드룸 전압 검출부의 출력의 차이를 출력하는 편차 검출부;
    상기 편차 검출부의 출력을 미리 설정된 편차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출력에 응답하여 상기 편차 검출부의 출력이 상기 편차 기준 전압 보다 높을 때 동작하는 보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드라이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헤드룸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최소 헤드룸 전압에 비례하는 피드백 전압을 발생하는 피드백 전압 검출부;
    상기 피드백 전압이 낮아지면 PWM 제어신호의 듀티비를 높여 상기 구동 전원의 출력 전압을 높이는 피드백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호 제어부는,
    상기 편차 검출부의 출력이 상기 편차 기준 전압 보다 높을 때 상기 구동 전원과 상기 피드백 제어부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상기 정전류 제어부 내의 트랜지스터들을 제어하여 상기 LED 열들의 전류 패스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드라이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드룸 전압 검출부는,
    상기 LED 열들과 상기 편차 검출부 사이에 연결된 다수의 제1 다이오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다이오드들의 캐소드는 상기 LED 열들의 캐소드에 1:1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다이오드들의 애노드는 상기 편차 검출부의 제1 입력 단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드라이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드룸 전압 검출부는,
    상기 제1 다이오드들 중에서 상기 최소 헤드룸 전압이 인가되는 제1 다이오드가 턴-온될 때,
    상기 최소 헤드룸 전압에 상기 턴-온된 제1 다이오드의 문턱 전압이 더해진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드라이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헤드룸 전압 검출부는,
    상기 LED 열들과 상기 편차 검출부 사이에 연결된 다수의 제2 다이오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다이오드들의 애노드는 상기 LED 열들의 캐소드에 1:1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다이오드들의 캐소드는 상기 편차 검출부의 제2 입력 단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드라이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헤드룸 전압 검출부는,
    상기 제2 다이오드들 중에서 상기 최대 헤드룸 전압이 인가되는 제2 다이오드가 턴-온될 때,
    상기 최대 헤드룸 전압에서 상기 턴-온되는 제2 다이오드의 문턱 전압을 뺀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드라이버.
  7. 액정표시패널;
    다수의 LED 열들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LED 열들을 구동하는 LED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LED 드라이버는,
    상기 LED 열들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발생하는 구동 전원;
    상기 LED 열들을 통해 흐르는 정전류를 제어하는 정전류 제어부;
    상기 LED 열들과 상기 정전류 제어부 사이에서 측정되는 헤드룸 전압들 중에서 최소 헤드룸 전압을 검출하여 출력을 발생하는 제1 헤드룸 전압 검출부;
    상기 헤드룸 전압들 중에서 최대 헤드룸 전압을 검출하여 출력을 발생하는 제2 헤드룸 전압 검출부;
    상기 제1 헤드룸 전압 검출부의 출력과 상기 제2 헤드룸 전압 검출부의 출력의 차이를 출력하는 편차 검출부;
    상기 편차 검출부의 출력을 미리 설정된 편차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출력에 응답하여 상기 편차 검출부의 출력이 상기 편차 기준 전압 보다 높을 때 동작하는 보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120062900A 2012-06-12 2012-06-12 Led 드라이버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130139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900A KR20130139125A (ko) 2012-06-12 2012-06-12 Led 드라이버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900A KR20130139125A (ko) 2012-06-12 2012-06-12 Led 드라이버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125A true KR20130139125A (ko) 2013-12-20

Family

ID=49984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900A KR20130139125A (ko) 2012-06-12 2012-06-12 Led 드라이버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91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505B1 (ko) * 2014-03-14 2014-11-07 주식회사 에이디텍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0183A (ja) * 2008-05-30 2009-12-10 Green Solution Technology Inc 発光ダイオード駆動回路及びそのコントローラ
EP2293276A1 (en) * 2009-09-01 2011-03-09 Nxp B.V. Backlight uni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10051062A (ko) * 2009-11-09 2011-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 발광 다이오드 구동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시스템
KR20110084731A (ko) * 2010-01-18 2011-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광원을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이의 구동 방법 및 광원 이상 검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0183A (ja) * 2008-05-30 2009-12-10 Green Solution Technology Inc 発光ダイオード駆動回路及びそのコントローラ
EP2293276A1 (en) * 2009-09-01 2011-03-09 Nxp B.V. Backlight uni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10051062A (ko) * 2009-11-09 2011-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 발광 다이오드 구동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시스템
KR20110084731A (ko) * 2010-01-18 2011-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광원을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이의 구동 방법 및 광원 이상 검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505B1 (ko) * 2014-03-14 2014-11-07 주식회사 에이디텍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936B1 (ko) 다채널 led의 정전류 제어 장치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696749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473366B1 (ko) 광원구동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광원 장치 및 이 광원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289639B1 (ko)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 구동장치 및 방법
KR101876561B1 (ko)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US9288883B2 (en) Backlight unit and a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90009585A (ko) 표시 장치용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448573B2 (en) DC-DC converter control circuit,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341021B1 (ko) 광원 구동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108173B1 (ko)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KR20150078503A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00065881A (ko) 광원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광원 장치 및 이 광원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30053536A (ko)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190031400A (ko) 표시 장치
KR101437689B1 (ko) 포토센서와 그 구동방법
KR20100075095A (ko)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50092395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60110749A (ko) 백라이트 유닛,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백라이트 유닛의 동작 방법
KR102115429B1 (ko)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KR101977240B1 (ko) Led의 정전류 제어 장치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37339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30139125A (ko) Led 드라이버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510885B1 (ko)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 구동장치 및 방법
KR102302801B1 (ko) Led 드라이버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130104594A (ko)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37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201

Effective date: 2020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