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625A -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625A
KR20130138625A KR1020120062378A KR20120062378A KR20130138625A KR 20130138625 A KR20130138625 A KR 20130138625A KR 1020120062378 A KR1020120062378 A KR 1020120062378A KR 20120062378 A KR20120062378 A KR 20120062378A KR 20130138625 A KR20130138625 A KR 20130138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app
terminal
teaching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봉현
Original Assignee
서봉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봉현 filed Critical 서봉현
Priority to KR1020120062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8625A/ko
Publication of KR20130138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6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1)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학습 주제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학습 주제에 따른 학습 프로세스를 상기 교수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2) 상기 학습 프로세스의 흐름에 따라 교육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앱”이라 함)을 상기 교수자 단말기에 추천하는 단계; (3) 상기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추천한 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을 입력받아 앱 기반 학습에 적용하는 단계; 및 (4) 상기 적용된 앱 기반 학습을 하는 학습자 단말기에 상기 단계 (3)에서 선택된 앱을 연동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가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학습 주제를 입력받고 학습 프로세스 및 앱을 추천함으로써, 교수자가 학습 주제 및 학습 프로세스에 맞는 앱을 선택하여 앱 기반 학습에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된 앱을 연동하여 학습자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종 앱을 쉽게 전환하면서 통합적으로 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다양한 정보의 통합적 활용을 통한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앱의 특성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분류 저장하고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앱을 추천함으로써, 교수자가 앱의 특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앱의 활용 방안을 능동적으로 고안하여 앱 기반 학습에 적용할 수 있으며, 학습자 단말기의 앱을 활용하기 때문에 저렴한 가격으로 학습을 할 수 있고, 다운로드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TEACHING SUPPORTING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LEARNING BASED ON APPLICATION PROGRAMS}
본 발명은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이하 “앱”이라 함)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도의 정보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정보를 제공, 검색, 가공, 공유하는 방법 등과 관련된 기술에도 급격한 진보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학습 형태 또한, 물리적 공간 안에 다수의 학생을 모아놓고 동일한 교재를 이용하여 1, 2명의 교사와 수업을 진행하는 기존의 집합식 교육 형태에서, 인터넷이나 모바일 기술을 활용한 개별화된 맞춤식 학습 형태로 전환되고 있다.
이와 같은 흐름은 2000년대 이후 e-learning, m-learning, u-learning (ubiquitous-learning)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나, 이러한 형태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기존의 학습 내용을 모바일 기기나 인터넷을 통한 콘텐츠 제공 방식으로 변경한 것일 뿐, 모바일이나 인터넷, 또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이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의 활용과 학습자 간의 상호 작용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최근 스마트 기기가 급속히 개발 및 보급되면서, 다양한 앱 형태의 소프트웨어의 개발, 무선인터넷 서비스 확대 등으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하고 자신에게 알맞은 정보를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으며, 더불어 각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라 함)를 통해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참여하는 프로슈머 형태의 정보유통구조방식이 일상화되었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의 도입 및 보급과 함께 다양한 교육용 앱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는 기존의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던 e-learning 콘텐츠를 단순히 스마트 기기 화면에 적합한 형태로 재가공한 것에 불과한 한계가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교육용 앱은 스마트 기기에 탑재된 각종 센서를 활용하여 스마트 기기를 흔들거나, 움직이는 등의 동작에 의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나, 학습자 입장에서 각종 앱을 통합적으로 활용하고 정보 검색이나 다른 학습자와의 협동적인 상호 작용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고차원적인 학습 능력을 신장시킬 수는 없다는 한계가 있다.
종래의 교육방식이 실생활과 괴리되어 있고, 실질적인 문제해결능력이나 창의성을 발현하기에 적절하지 못하다는 비판 하에, 교육과학기술부는 2015년 스마트러닝 도입 정책화 방안으로 개별학습자의 맞춤식 교육지원체제를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전자교과서 및 클라우드 컴퓨팅 등을 통한 다양한 콘텐츠 유통 생태계를 구축하고, 학습자 또는 교수자가 교수학습 상황에 적합한 콘텐츠나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퍼스널 컴퓨터 환경에서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설치가 어려울 뿐 아니라, 정식 프로그램의 가격이 매우 높아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으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면 각종 앱을 비교적 간편하게 설치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활용하여 능동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학습 서비스 제공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정보통신기술과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통합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요청이 시급한 상황이다.
특히, 엄청난 양의 신규 앱이 개발되고(ios 기준 70만 개, 안드로이드 기준 60만 개, 2011년 말 기준), 앱 마켓의 기준에 따라 몇 가지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사용자에게 관련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실제로 학습에 어떠한 앱을 활용해야 하는지, 앱에 대한 정보 및 활용방법에 대한 가이드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앱 분석과 로직화를 통해 학습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서비스 제공 서버가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학습 주제를 입력받고 학습 프로세스 및 앱을 추천함으로써, 교수자가 학습 주제 및 학습 프로세스에 맞는 앱을 선택하여 앱 기반 학습에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된 앱을 연동하여 학습자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종 앱을 쉽게 전환하면서 통합적으로 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다양한 정보의 통합적 활용을 통한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앱의 특성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분류 저장하고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앱을 추천함으로써, 교수자가 앱의 특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앱의 활용 방안을 능동적으로 고안하여 앱 기반 학습에 적용할 수 있으며, 학습자 단말기의 앱을 활용하기 때문에 저렴한 가격으로 학습을 할 수 있고, 다운로드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1)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학습 주제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학습 주제에 따른 학습 프로세스를 상기 교수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2) 상기 학습 프로세스의 흐름에 따라 교육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앱”이라 함)을 상기 교수자 단말기에 추천하는 단계;
(3) 상기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추천한 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을 입력받아 앱 기반 학습에 적용하는 단계; 및
(4) 상기 적용된 앱 기반 학습을 하는 학습자 단말기에 상기 단계 (3)에서 선택된 앱을 연동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학습 프로세스는,
동기 유발, 학습 목표 제시, 학습 활동 및 평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교육을 위한 상기 앱은,
정보의 검색 및 확인을 위한 뷰어(viewer) 앱, 학습자의 체험을 통해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활동성 앱, 정보의 생성 및 가공을 통하여 학습 산출물을 생산하는 생산성 앱, 또는 의사소통과 공유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 이후에는,
상기 단계 (1)에서 제공된 학습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각 단계의 학습 내용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입력받은 학습 내용을 더 이용하여 상기 앱 기반 학습에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 이전에는,
앱의 특성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학습 주제 및 학습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각 단계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앱을 상기 교수자 단말기에 추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앱의 활용 방법 및 범위를 더 입력받아 상기 앱 기반 학습에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앱을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에서 선택된 앱으로서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미설치된 앱의 설치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요청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4) 이후에는,
(5)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학습 결과를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5) 이후에는,
(6) 상기 교수자 단말기 또는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계 (5)에서 전송받은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가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학습 주제를 입력받고 학습 프로세스 및 앱을 추천함으로써, 교수자가 학습 주제 및 학습 프로세스에 맞는 앱을 선택하여 앱 기반 학습에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된 앱을 연동하여 학습자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종 앱을 쉽게 전환하면서 통합적으로 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다양한 정보의 통합적 활용을 통한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앱의 특성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분류 저장하고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앱을 추천함으로써, 교수자가 앱의 특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앱의 활용 방안을 능동적으로 고안하여 앱 기반 학습에 적용할 수 있으며, 학습자 단말기의 앱을 활용하기 때문에 저렴한 가격으로 학습을 할 수 있고, 다운로드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100이 수행되는 교수자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200 내지 단계 S400이 수행되는 교수자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200 내지 단계 S400이 수행되는 교수자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학습 결과를 전송받고 평가하는 과정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앱(10)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10)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 교수자 단말기(200) 및 학습자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교수자 단말기(200)로부터 학습 주제를 입력받고 학습 프로세스 및 앱(10)을 추천함으로써, 교수자가 학습 주제 및 학습 프로세스에 맞는 앱(10)을 선택하여 앱(10) 기반 학습에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된 앱(10)을 연동하여 학습자 단말기(300)에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각종 앱(10)을 쉽게 전환하면서 통합적으로 앱(10)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다양한 정보의 통합적 활용을 통한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앱(10)의 특성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110)에 분류 저장하고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앱(10)을 추천함으로써, 교수자가 앱(10)의 특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앱(10)의 활용 방안을 능동적으로 고안하여 앱(10) 기반 학습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앱(10)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10)를 구비하여 교육을 위한 앱(10)의 특성 등을 분석하여 분류하고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인터넷, 인트라넷, 유무선 통신망,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교수자 단말기(200) 및 학습자 단말기(300)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교수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교수자가 각종 앱을 적용한 앱(10) 기반 학습을 학습자가 학습할 수 있도록 필요한 앱(10)을 연동하여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앱(10) 기반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교수자 단말기(20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앱(10)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앱을 앱(10) 기반 학습에 적용하고, 학습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교수자의 단말기일 수 있다. 교수자는 본 발명에 따라 앱(10)을 선택하여 앱(10) 기반 학습에 적용함으로써, 각 앱(10)의 특성에 대하여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학습 주제에 따라 필요한 앱(10)을 추천받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학습자 단말기(30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앱(10)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용하여 교수자로부터 앱(10) 기반 학습을 제공받아 학습을 하는 학습자의 단말기일 수 있다. 이때, 학습자 단말기(300)는 각종 앱(10)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스마트 기기는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앱을 통해 상당 부분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제품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스마트 TV 등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학습자 단말기(300)가 나열한 바와 같은 단말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앱(10) 기반 학습에 필요한 앱(10)을 설치 및 실행하고, 앱(10)을 연동하여 제공받을 수만 있다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학습자 단말기(300)의 역할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앱(10)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앱(10)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교수자 단말기(200)로부터 학습 주제를 입력받고, 학습 주제에 따른 학습 프로세스를 교수자 단말기(200)에 제공하는 단계(S100), 학습 프로세스의 흐름에 따라 앱(10)을 교수자 단말기(200)에 추천하는 단계(S300), 추천한 앱(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을 입력받아 앱(10) 기반 학습에 적용하는 단계(S400) 및 앱(10) 기반 학습을 하는 학습자 단말기(300)에 선택된 앱(10)을 연동하여 제공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앱(10)의 특성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하는 단계(S10) 및 학습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각 단계의 학습 내용을 입력받는 단계(S20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1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앱(10)의 특성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10에서는, 교육용으로 제작된 앱(10)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앱으로서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앱(10)에 대해서도, 앱(10)의 특성을 분석하고 해당 앱(10)을 사용할 수 있는 학습 주제나 학습 프로세스 등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분석 대상이 되는 앱(10)은 학습자의 교육을 위한 앱(10)으로서, 정보의 검색 및 확인을 위한 뷰어(viewer) 앱(10), 학습자의 체험을 통해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활동성 앱(10), 정보의 생성 및 가공을 통하여 학습 산출물을 생산하는 생산성 앱(10), 또는 의사소통과 공유를 위한 SNS 앱(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뷰어 앱(10)은, 새로운 정보를 습득하거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앱(10)으로서, 각종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앱(10), 이북(eBook) 형태의 교재를 활용할 수 있는 앱(10), 바코드나 QR 코드 등을 인식할 수 있는 앱(10), 각종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는 앱(10), 지역과 지리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지도 앱(10) 등이 있을 수 있다. 활동성 앱(10)은, 다양한 학습 활동을 수행하고 학습자의 흥미나 몰입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앱(10)으로서, 그림 그리기 앱(10), 곤충 채집 앱(10), 애니메이션 제작 앱(10), 증강현실 앱(10) 등,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상호작용(interactive) 앱(10)이 포함될 수 있다. 생산성 앱(10)은, 앱(10) 기반 학습을 수행하면서 문제를 해결하고 그 결과 및 과정을 정리하거나 최종 산출물을 제작하는데 유용한 앱(10)으로서, 워드프로세서 앱(10), 프레젠테이션 앱(10), 영상 저작 앱(10), 마인드맵 앱(10), 그래프 작성 앱(10) 등이 있을 수 있다. SNS 앱(10)은 온라인상에서 타인과 소통, 공유하기 위한 것으로서, 앱(10) 기반 학습에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또는 학습자 상호 간의 능동적인 커뮤니케이션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호 평가, 토론, 전문가와의 협업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단계 S1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교수자 단말기(200)로부터 학습 주제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학습 주제에 따른 학습 프로세스를 교수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100에서는, 학습 주제뿐 아니라 학습 목표를 더 입력받을 수 있으며, 교과, 대상, 단원, 교과서 부분 등을 입력받아 세부적인 활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00에서는 학습 주제에 따라 구조화된 학습 프로세스를 교수자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학습 프로세스는 학습 주제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동기 유발, 학습 목표 제시, 학습 활동 및 평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앱(10)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100이 수행되는 교수자 단말기(2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앱(10)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100에서는, 학습 주제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학습 주제에 따른 학습 목표, 교과, 대상, 단원, 교과서 등을 더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00에서는 교과, 대상 등 선택이 가능한 항목에 대해서는 교수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교수자 단말기(200)의 키패드, 마이크 등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단계 S100을 처리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단계 S100에서 제공된 학습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각 단계의 학습 내용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S100에서는 동기 유발, 학습 목표 제시, 학습 활동 및 평가 단계 등을 포함하는 학습 프로세스를 교수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는 교수자가 학습 프로세스의 각 단계에서 학습자들이 수행하여야 할 학습 내용을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입력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학습 프로세스의 흐름에 따라 교육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앱(10)을 교수자 단말기(200)에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 유발 단계에서는 학습 주제와 관련되어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동영상 등을 제시할 수 있도록, 동영상을 검색하고 볼 수 있는 뷰어 앱(10) 등을 교수자 단말기(200)에 추천할 수 있다. 동영상을 볼 수 있는 뷰어 앱(10)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을 수 있고, 동일한 학습 주제에 대한 동일한 학습 프로세스에서도 다양한 앱(10)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300에서는 복수의 앱(10)을 교수자 단말기(200)에 추천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300에서는, 학습 주제 및 학습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단계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앱(10)을 교수자 단말기(200)에 추천할 수 있다. 즉, 단계 S10에서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한 앱(10)의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단계 S300에서 교수자 단말기(200)에 앱(10)을 추천할 수 있다. 따라서 교수자가 필요한 앱(10)에 대하여 일일이 분석할 필요가 없으며, 각 앱(10)의 특성에 대하여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300에서 앱(10)을 추천할 때에는, 학습 대상을 고려하여 해당 연령층의 학습자들이 학습자 단말기(300)에 설치하여 많이 이용하는 앱(10)을 위주로 추천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NS 앱(10)의 경우, 또래에 따라 선호하는 SNS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므로, 여러 SNS 중 앱 기반 학습을 제공할 대상에 따라 서로 다른 SNS 앱(10)을 추천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300에서 추천한 앱(10)을 교수자가 활용하게 되면, 학습자 단말기(300)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앱(10)을 활용하게 될 가능성이 커지므로, 앱(10) 설치 과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효율적이다.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에게 익숙한 앱(10)을 사용하게 되므로, 앱(10)의 사용 방법 등을 익히는 데에 필요한 시간을 절약하고 학습 진행에 집중할 수 있다.
단계 S4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추천한 앱(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을 교수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받아, 앱(10) 기반 학습에 적용할 수 있다. 즉, 교수자는 단계 S300에서 추천받은 앱(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앱(10)을 활용하여 학습 주제를 학습하는 앱(10) 기반 학습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단계 S400에서는, 단계 S200에서 입력받은 학습 내용을 더 이용하여 앱(10) 기반 학습에 적용할 수 있다. 즉, 학습 프로세스에 따라 학습 내용과 선택된 앱(10)이 유기적으로 연계되고, 선택된 앱(10)을 통하여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내용이 명확하게 파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400에서는, 교수자 단말기(200)로부터 선택된 앱(10)의 활용 방법 및 범위를 더 입력받아 앱(10) 기반 학습에 적용할 수도 있다. 즉, 교수자가 선택한 앱(10)을 어떻게 활용할 것이고, 앱(10)의 활용을 통하여 어떠한 결과를 얻고자 하는 지를 상세히 입력함으로써, 학습 내용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행성의 크기에 대한 학습에 있어서, 이미지 활용 앱(10)을 이용하여 태양계 행성의 사진을 보고 행성의 실제 크기를 조사하도록 하고, SNS 앱(10)을 이용하여 친구들과 조사 내용을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앱(10)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200 내지 단계 S400이 수행되는 교수자 단말기(2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 주제가 광고의 의도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한 것일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 유발 단계의 학습 프로세스에서는, 단계 S200에서 광고 영상을 보고, 광고 사진 및 잡지 사진을 만드는 학습 내용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3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동영상을 볼 수 있는 유튜브(YouTube) 앱(10)과 사진 편집을 위한 PHOTO2fun 앱(10)을 추천할 수 있다. 단계 S400에서는 교수자가 추천받은 두 개의 앱(10)을 선택하여 앱(10) 기반 학습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학습 활동 단계의 학습 프로세스에서는, 단계 S200에서 광고 살펴보기 및 광고에서 알 수 있는 것들을 SNS를 통해 상호 의견을 교환하는 학습 내용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3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검색을 위한 각종 포털사이트 앱(10)과 의견 교환을 위한 SNS 앱(10)을 추천할 수 있다. 단계 S400에서는 교수자가 추천받은 앱(10) 중 필요한 앱(10)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5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앱(10) 기반 학습을 하는 학습자 단말기(300)에 단계 S400에서 선택된 앱(10)을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단계 S500에서는, 단계 S400에서 선택된 앱(10)이 적용된 앱(10) 기반 학습을 학습자들이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교수자에 의하여 선택된 앱(10)을 연동하여 학습자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500에서 앱(10)을 연동하여 제공함으로써, 앱(10) 사이의 전환이나 자료 전송, 변환 등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통합적으로 앱(10)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을 위한 각종 포털사이트 앱(10)과 의견 교환을 위한 SNS 앱(10)을 연동하여 한 화면에서 제공할 수 있다. 학습자는 연동된 두 앱(10)을 동시에 참조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나의 앱(10) 화면을 전체보기를 할 수도 있다.
한편, 단계 S500에서는, 학습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앱(10)을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고, 단계 S400에서 선택된 앱(10)으로서 학습자 단말기(300)에 미설치된 앱(10)의 설치를 학습자 단말기(300)에 요청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학습자 단말기(300)에 이미 설치된 각종 앱(10)을 연동하여 제공하되, 필요한 앱(10)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학습자 단말기(300)에 설치를 요청하여 학습자가 필요한 앱(10)을 직접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앱(10) 기반 학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퍼스널 컴퓨터 환경에서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설치가 어려울 뿐 아니라, 정식 프로그램의 가격이 매우 높아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그러나 스마트 기기의 앱(10)은 무료인 경우가 많고, 유료이더라도 가격이 부담스럽지 않은 정도이며, 다운로드 및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양한 콘텐츠를 쉽게 활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앱(10)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학습 결과를 전송받고 평가하는 과정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앱(10)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는, 학습자 단말기(300)로부터 학습 결과를 전송받는 단계(S600) 및 교수자 단말기(200) 또는 학습자 단말기(300)로부터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70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6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학습자 단말기(300)로부터 학습 결과를 전송받을 수 있다. 학습 결과는 단계 S400에서 교수자가 선택한 생산성 앱(10)을 통하여 제작된 것일 수 있다. 단계 S6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직접 학습자 단말기(300)로부터 학습 결과를 전송받을 수 있으나, SNS 앱(10) 등을 통하여 학습 결과를 전송받을 수도 있다.
단계 S7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교수자 단말기(200) 또는 학습자 단말기(300)로부터 단계 S600에서 전송받은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단계 S700에서는, 교수자 뿐 아니라 학습자 스스로 학습 결과를 평가할 수 있고, 학습자가 다른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평가할 수도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단계 S600에서 전송받은 학습 결과를 SNS 앱(10) 등을 활용하여 서로 공유하고 평가하도록 함으로써, 자율적으로 학습자의 사고력 및 판단 능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앱 100: 서비스 제공 서버
110: 데이터베이스 200: 교수자 단말기
300: 학습자 단말기
S10: 앱의 특성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S100: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학습 주제를 입력받고, 학습 주제에 따른 학습 프로세스를 교수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S200: 학습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각 단계의 학습 내용을 입력받는 단계
S300: 학습 프로세스의 흐름에 따라 앱을 교수자 단말기에 추천하는 단계
S400: 추천한 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을 입력받아 앱 기반 학습에 적용하는 단계
S500: 앱 기반 학습을 하는 학습자 단말기에 선택된 앱을 연동하여 제공하는 단계
S600: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학습 결과를 전송받는 단계
S700: 교수자 단말기 또는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Claims (11)

  1.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1)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학습 주제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학습 주제에 따른 학습 프로세스를 상기 교수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2) 상기 학습 프로세스의 흐름에 따라 교육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앱”이라 함)을 상기 교수자 단말기에 추천하는 단계;
    (3) 상기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추천한 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을 입력받아 앱 기반 학습에 적용하는 단계; 및
    (4) 상기 앱 기반 학습을 하는 학습자 단말기에 상기 단계 (3)에서 선택된 앱을 연동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프로세스는,
    동기 유발, 학습 목표 제시, 학습 활동 및 평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교육을 위한 상기 앱은,
    정보의 검색 및 확인을 위한 뷰어(viewer) 앱, 학습자의 체험을 통해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활동성 앱, 정보의 생성 및 가공을 통하여 학습 산출물을 생산하는 생산성 앱, 또는 의사소통과 공유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이후에는,
    상기 단계 (1)에서 제공된 학습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각 단계의 학습 내용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입력받은 학습 내용을 더 이용하여 상기 앱 기반 학습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 이전에는,
    앱의 특성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학습 주제 및 학습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각 단계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앱을 상기 교수자 단말기에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앱의 활용 방법 및 범위를 더 입력받아 상기 앱 기반 학습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앱을 연동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 선택된 앱으로서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미설치된 앱의 설치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 이후에는,
    (5)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학습 결과를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 이후에는,
    (6) 상기 교수자 단말기 또는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계 (5)에서 전송받은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20062378A 2012-06-11 2012-06-11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1386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378A KR20130138625A (ko) 2012-06-11 2012-06-11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378A KR20130138625A (ko) 2012-06-11 2012-06-11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625A true KR20130138625A (ko) 2013-12-19

Family

ID=4998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378A KR20130138625A (ko) 2012-06-11 2012-06-11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86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915B1 (ko) 2023-02-24 2023-06-13 두인코컴넷(주) 안드로이드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복수의 단말기에 동시에 다운로드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915B1 (ko) 2023-02-24 2023-06-13 두인코컴넷(주) 안드로이드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복수의 단말기에 동시에 다운로드하는 방법
KR102574878B1 (ko) 2023-02-24 2023-09-06 두인코컴넷(주) 안드로이드 응용 프로그램 패키지의 동시 다운로드 과정에서 안드로이드 응용 프로그램 패키지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ll et al. Learning at scale
Baran A review of research on mobile learning in teacher education
Goodwin Use of tablet technology in the classroom
Ally Mobile learning: From research to practice to impact education
Sarrab et al. Toward educational requirements model for mobile learning development and adoption in higher education
Smutny Learning with virtual reality: A market analysis of educational and training applications
Truong How to design a mobile application to enhance teaching and learning?
Etherington Teaching introductory GIS programming to geographers using an open source Python approach
Johnson et al. NMC technology outlook for international schools in Asia: A horizon project regional report
Williams et al. The MOOClet framework: Improving online education through experimentation and personalization of modules
Dickson et al. The ‘S’and ‘T’in STEM: Integrating Science and Technology in Education in the UAE
Mikroyannidis et al. Designing and delivering a curriculum for data science education across Europe
Werkle et al. Case study 4: Technology enhanced workplace learning
Joyce et al. Interactive online tools for enhancing student learning experiences in remote sensing
Zhuang et al. When innovation meets evolution: An extensive study of emerging e-learning technologies for higher education in Hong Kong
Shrestha Exploring mobile learning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Nepal: the potential of open-source platforms
Bitter et al. Analysis of learning outcomes from mobile mathematics applications
Zervas et al. Supporting reflective lesson planning based on inquiry learning analytics for facilitating students’ problem solving competence development: The inspiring science education tools
Lin et al. Innovative technology-assisted science learning in Taiwan
KR20130138625A (ko) 앱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Sethi et al. Challenges faced in deployment of e-learning models in India
Johnson et al. Technology Outlook: Singaporean K-12 Education 2012-2017. An NMC Horizon Project Regional Analysis.
Gil Parga et al. Pedagogical design in educ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a systematic review
Aksela et al. Promoting Meaningful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ICT in the Finnish LUMA Ecosystem
Fanariotis et al. Training makers to build the internet of things on an Arduino (using a remote lab facility and an MOO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