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974A - 수험자 단말, 시험 관리 서버, 수험자 단말의 시험 진행 방법, 및 시험 관리 서버의 시험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수험자 단말, 시험 관리 서버, 수험자 단말의 시험 진행 방법, 및 시험 관리 서버의 시험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974A
KR20130137974A KR1020120061712A KR20120061712A KR20130137974A KR 20130137974 A KR20130137974 A KR 20130137974A KR 1020120061712 A KR1020120061712 A KR 1020120061712A KR 20120061712 A KR20120061712 A KR 20120061712A KR 20130137974 A KR20130137974 A KR 20130137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aminee
answer
question
time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태운
김민
이미영
Original Assignee
이투스교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투스교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투스교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1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7974A/ko
Publication of KR20130137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9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Abstract

본 발명은 OMR(Optical Mark Reader) 답안지를 사용하는 시험을 대비하기 위해 수험자의 단말을 이용하여 실전 문제풀이 훈련 및 문제풀이 습관 교정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험자 단말, 시험 관리 서버, 수험자 단말의 시험 진행 방법, 및 시험 관리 서버의 시험 분석 방법{Examinee Equipment, Test Managing Server, Test Progressing Method of Examinee Equipment, and Test Analyzing Method of Test Managing Server}
본 발명은 OMR(Optical Mark Reader) 답안지를 사용하는 시험을 대비하기 위해 수험자의 단말을 이용하여 실전 문제풀이 훈련 및 문제풀이 습관 교정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성적 처리, 대학 입시, 수학 능력 평가, 각종 국가 자격 시험, 운전 면허 시험 등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객관식 답안 작성에 OMR(Optical Mark Reader) 카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입시 및 자격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의 경우 학습뿐만 아니라 실전과 같은 문제풀이 훈련이 필요하다. 그러나, 특정 기관에서 간헐적으로 제공하는 모의고사 응시 기회 이외에 실전과 같이 문제풀이 훈련을 해 볼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이러한 모의고사의 경우에도 성취 점수에 대한 결과 정보만 제공하고 문제풀이 방법상의 잘못된 습관, 오류 등을 파악할 수는 없다. 예를 들면, 시험에서는 정답의 풀이뿐만 아니라 적절한 시간 배분이 중요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OMR 카드를 이용한 모의고사는 최종 결과만을 알 수 있을 뿐이고, 각 문항에 대하여 수험자가 얼마나 시간을 할당하였는지를 알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학습자와 교육 기관에서 실전 훈련 및 문제풀이 습관 교정 훈련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수험자가 입력한 답안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답안지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답안지 및 상기 수험자가 입력한 답안을 표시하는 표시부; 각각의 문항에 대해 상기 수험자가 각 문항의 답안을 입력하는데 걸린 문항별 소요 시간을 측정하는 제어부; 및 수험자가 입력한 답안의 정보 및 상기 문항별 소요 시간의 정보를 포함하는 수험자 시험 정보를 시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험자 단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험자가 입력한 답안의 정보를 수험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험자가 입력한 답안의 정보 및 상기 수험자가 각 문항의 답안을 입력하는데 걸린 문항별 소요 시간의 정보를 포함하는 수험자 시험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및 분석하는 성적 채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관리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답안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수험자가 입력한 답안을 수신하고, 상기 수험자가 입력한 답안을 표시하는 단계; 각각의 문항에 대해 상기 수험자가 각 문항의 답안을 입력하는데 걸린 문항별 소요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각 문항에 대해 상기 수험자가 입력한 답안의 정보 및 문항별 소요 시간의 정보를 포함하는 수험자 시험 정보를 상기 시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험자 단말의 시험 진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험자가 입력한 답안의 정보를 상기 수험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험자가 입력한 답안의 정보 및 상기 수험자가 각 문항의 답안을 입력하는데 걸린 문항별 소요 시간의 정보를 포함하는 수험자 시험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및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관리 서버의 시험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와 교육 기관에서 실전 훈련 및 문제풀이 습관 교정 훈련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수험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수험자 단말에 표시되는 OMR 답안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문항별 소요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수험자 단말에서 시험 관리 서버로 전달되는 데이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서 시험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 및 10은 풀이 패턴 조회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문항별 상세 패턴 분석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시험 시스템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험 시스템은 수험자에게 제공되는 수험자 단말(10), 수험자 단말(10)과 네트워크(30)를 통해 연결된 시험 관리 서버(20), 및 시험 관리 서버(2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강사 단말(40)을 포함한다.
수험자 단말(10)은 각각의 수험자에게 제공되는 단말이다. 수험자 단말(10)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전자 기기로서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PDA, 스마트폰 등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수험자 단말(10)은 시험 진행자에 의해 제공되는 시험을 위한 전용 기기일 수 있거나, 시험 진행자에 의해 제공되거나 수험자가 소유하고 시험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범용 기기일 수 있다.
수험자 단말(10)은 실제 OMR(Optical Mark Reader) 카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디자인의 디지털 OMR 답안지를 구현한다. 수험자는 모의고사 또는 문제풀이 학습과정에서 수험자 단말(10)의 OMR 답안지를 활용하여 답안을 입력할 수 있다.
시험 관리 서버(20)는 수험자 단말(10)로 OMR 답안지의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시험 관리 서버(20)는 수험자 단말(10)의 OMR 답안지에 입력된 내용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시험 관리 서버(20)는 수험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OMR 답안지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을 할 수 있고, 또한 각 수험자의 문제풀이 습관을 분석할 수 있다. 시험 관리 서버(20)에서 분석된 내용은 강사 단말(40)로 전달되어 강사의 교육에 이용될 수 있다.
수험자 단말(10)과 시험 관리 서버(2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30)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망일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30)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 802.15.x, Zigbee,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ROLL(Routing Over Low power and Lossy networks), ISA(International Society of Automation) 100.11a 등과 같은 개인 통신망(Personal Area Network, PAN), 또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M-BUS(Meter-BUS), 무선 M-BUS, KNX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수험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험자 단말(10)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시험 관리 서버(2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10), 수험자가 입력한 답안을 수신하는 입력부(120), 답안지 및 답안지에 수험자가 입력한 답안을 표시하는 표시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입력부(120)는 마우스, 터치스크린, 키패드 등의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수험자는 입력부(120)를 통해 답안을 입력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OMR 형식의 답안지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답안지는 통신부(110)를 통해 시험 관리 서버(20)로부터 수신한 답안지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답안지 설정 정보는 시험 과목, 문항 수, 문항별 답안의 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수험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한 답안을 표시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이 사용되는 경우, 입력부(120) 및 표시부(130)는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도 3은 수험자 단말의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OMR 답안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OMR 답안지는 초기 화면(200) 및 답안지 화면(300)을 포함한다.
초기 화면(200)은 시험 유형 선택 창(210), 시험 선택 창(220), 문형 선택 창(230), 및 시험 응시하기 버튼(240)을 포함할 수 있다. 시험 유형 선택 창(210)은 시험의 종류(예를 들면, 모의고사 등), 시험 과목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창이다. 시험 선택 창(220)은 시험에 대한 상세한 정보(예를 들면, 시험 출제 기관 등)를 선택할 수 있는 창이다. 문형 선택 창(230)은 시험 문형(홀수형 또는 짝수형)을 선택할 수 있는 창이다. 시험 응시하기 버튼(240)은 수험자가 시험 유형 선택 창(210), 시험 선택 창(220), 문형 선택 창(240) 등을 선택한 후 시험을 응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상술한 시험 유형 선택 창(210), 시험 선택 창(220), 문형 선택 창(230), 및 시험 응시하기 버튼(240)은 일 예일 뿐이고,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수험자가 시험 응시하기 버튼(240)을 누르면, 표시부(130)는 답안지 화면(300)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답안지 화면(300)은 문항 번호(310), 각 문항에 대한 답안 입력란(320), 각 문항에 대한 다시 풀기 체크란(330), 각 문항에 대한 나중에 풀기 체크란(340), 입력 펜 선택란(350 및 360), 시간 표시 창(370), 및 답안 제출하기 창(380)을 포함할 수 있다.
수험자는 각 문항에 대해 문항 번호(310)에 해당하는 답안 입력란(320) 중 정답이라고 생각하는 답안에 체크할 수 있다.
다시 풀기 체크란(330)은 수험자가 확신하지 못한 문항에 대해 답안 입력란(320)에 답안을 입력한 후 나중에 재검토하고자 할 때 수험자가 체크할 수 있는 창이다. 다시 풀기 체크란(330)은 수험자가 답안 입력란(320)에 답안을 입력한 후 체크가 가능하게 활성화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중에 풀기 체크란(340)은 수험자가 확신하지 못한 문항에 대해 답안 입력란(320)에 답안을 입력하지 못한 후 나중에 답안을 입력하고자 할 때 수험자가 체크할 수 있는 창이다. 나중에 풀기 체크란(340)은 수험자가 답안 입력란(320)에 답안을 입력하기 전에만 체크가 가능하게 활성화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 펜 선택란은 플러스펜 선택란(350) 및 컴퓨터용 사인펜 선택란(360)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플러스펜 선택란(350)을 선택하면 컴퓨터용 사인펜 선택란(360)의 선택이 해제되고, 컴퓨터용 사인펜 선택란(360)을 선택하면 플러스펜 선택란(350)의 선택이 해제될 수 있다.
플러스펜 선택란(350)이 선택된 경우, 수험자가 답안 입력란(320)에 답안을 입력하면 선택된 답안은 적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용 사인펜 선택란(360)이 선택된 경우, 수험자가 답안 입력란(320)에 답안을 입력하면 선택된 답안은 흑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적색으로 표시된 답안은 채점을 할 때 수험자가 선택한 실제 답으로 인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비하여, 흑색으로 표시된 답안은 채점을 할 때 수험자가 선택한 실제 답으로 인정될 수 있다. 수험자는 기본적으로 흑색(컴퓨터용 사인펜)으로 답안을 마킹하고, 흑색으로 마킹한 답안 외에 답안 선택을 고민했던 보기를 적색(플러스펜)으로 마킹할 수 있다. 한편, 다시 풀기 체크란(330)은 수험자가 적색으로 답안 입력란(320)을 체크한 경우에만 입력 가능하게 활성화되는 것도 가능하다.
시간 표시 창(370)은 전체 수험 시간, 경과 시간, 잔여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시간 표시 창(370)은 전체 수험 시간, 경과 시간, 잔여 시간 등을 그래픽이나 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
답안 제출하기 버튼(380)은 수험자가 시험을 완료한 후 답안을 제출할 때 수험자가 누르는 버튼이다. 일 예에서, 답안 제출하기 버튼(380)은 모든 문항에 대해 흑색으로 답안이 체크된 후 활성화될 수 있다. 또는, 모든 문항에 대해 흑색으로 답안이 체크되지 않은 상태에서 답안 제출하기 버튼(380)이 눌린 경우, 답안을 제출할 것인지를 다시 확인하기 위한 창이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입력부(120)를 통해 수험자가 입력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험자 시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수험자 시험 정보는 수험자가 입력한 답안에 대한 정보, 각 문항에 대하여 수험자가 소요한 문항당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 전체 문항에 대하여 수험자가 소요한 총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 수험자가 문항에 대해 답안을 입력한 순서에 대한 정보, 불확실한 문항을 체크하기 위한 다시 풀기 또는 나중에 풀기 입력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문항별 소요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예에서, 수험자는 시험 시작 후 3번 문항, 4번 문항, 2번 문항의 순서로 답안을 입력한다. 이때, 수험자가 처음으로 푼 문항(3번 문항)의 소요 시간은 시험 시작 시간부터 해당 문항(3번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시간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반면에, 처음으로 풀지 않은 문항(예를 들면, 4번 문항)의 소요 시간은 이전 문항(3번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시간부터 해당 문항(4번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시간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도 5는 문항별 소요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수험자가 다시 풀기 또는 나중에 풀기 입력을 하였을 경우 문항별 소요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5의 예에서, 수험자가 3번 문항에 이어 4번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후 4번 문항의 답안이 불확실하여 다시 풀기를 체크한다. 이후, 수험자는 50번 문항에 이어 4번 문항의 답안을 다시 입력한다. 이러한 경우, 4번 문항의 소요 시간은 이전 문항(3번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시간부터 해당 문항(4번 문항)의 다시 풀기를 체크한 시간까지의 시간과, 이전 문항(50번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시간부터 해당 문항(4번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시간까지의 시간을 합한 시간일 수 있다.
또한, 나중에 풀기를 체크한 경우, 다시 풀기의 예와 유사하게, 해당 문항의 소요 시간은 이전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시간부터 해당 문항의 나중에 풀기를 체크한 시간까지의 시간과, 이전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시간부터 해당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시간까지의 시간을 합한 시간일 수 있다.
한편, 다시 풀기 또는 나중에 풀기를 체크한 문항에 이어서 푼 문항의 소요 시간은 다시 풀기 또는 나중에 풀기를 체크한 시간을 기준으로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수험자 시험 정보는 전체 문항에 대하여 수험자가 소요한 총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총 소요 시간은 시험 시작한 때부터 답안 제출하기 버튼(380)이 눌릴 때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또는, 총 소요 시간은 문항별 소요 시간의 합일 수 있다.
또한, 수험자 시험 정보는 수험자가 문항에 대해 답안을 입력한 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험자 시험 정보는 불확실한 문항을 체크하기 위해 각 문항의 다시 풀기 또는 나중에 풀기를 입력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험자 시험 정보는 흑색으로 마킹한 답안 외에 적색으로 마킹한 답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수험자 시험 정보는 수험자가 답안 제출하기 버튼(380)을 눌렀을 때 통신부(110)에 의해 시험 관리 서버(2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수험자 단말에서 수험자 시험 정보를 포함하고 시험 관리 서버로 전달되는 데이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예에서, 데이터는 총 소요 시간의 정보, 문제 푼 순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는 각 문항에 대해 마킹 답안의 정보, 다시 풀기 또는 나중에 풀기 여부에 대한 정보, 문제 풀이 시간의 정보, 답안 변경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 수험자 시험 정보는 수험자 단말(10)의 제어부(140)에 의해 정리된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도 7의 예에서, 데이터는 시간에 따른 수험자의 입력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는 수험자의 모든 입력 행위를 시간에 따라 정렬한 것일 수 있다. 도 7의 예에서, 수험자 시험 정보의 정리된 형태는 시험 관리 서버에서 추출될 것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 관리 서버(8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시험 관리 서버(800)는 통신부(810), 문제 데이터베이스(820), 및 성적 채점부(830)를 포함한다.
통신부(8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험자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통신부(810)는 후술될 강사 단말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문제 DB(820)는 수험자가 수행하는 시험의 문제에 대한 데이터 및 이의 정답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수험자가 수행하는 시험의 종류에 따라 문제 DB(820)에 저장된 시험 문제에 대한 데이터(예를 들면, 문항 수, 답안 수 등)에 기초하여 답안지 설정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답안지 설정 정보는 통신부(810)를 통해 수험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수험자가 수행하는 시험의 정답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성적 채점부(830)는 수험자의 답안을 채점할 수 있다.
또한, 문제 DB(820)는 각 문항의 속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문항 속성 정보는 문항의 난이도(예를 들면, 상, 중, 하), 문항의 유형(예를 들면, 이해, 응용, 심화 등), 단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원의 정보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등으로 계층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문항 속성 정보는 수험자의 시험 결과를 분석하고 상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성적 채점부(830)는 수험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수험자 시험 정보를 이용하여 수험자의 답안을 채점한다.
또한, 성적 채점부(830)는 수험자 시험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 및 통계를 수행하고 분석 통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성적 채점부(830)는 수험자의 문제 풀이 습관 관련 정보 및 성적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성적 채점부(830)에서 제공되는 분석 통계 정보는 다음의 표 1과 같을 수 있다.
문제 풀이 패턴 정보 성적 관련 정보
- 시간 측정 기능
- 풀이 순서
- 불확실한 문항 사전 체크 기능
- 결과 점수
- 문항별 정/오답
- 오답 문항 번호 모음
- 고민한 문항 번호 모음
- 취약 단원
- 문항별 패턴 비교
시간 측정 기능은 수험자가 시험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풀이 순서는 문항 속성 정보와 함께 수험자의 시험 습관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풀이 순서가 문항 배점, 난이도, 유형, 단원 등에 상관 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불확실한 문항 사전 체크 기능은 수험자가 불확실한 문항을 사전에 체크하면서 신중하게 시험을 진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결과 점수는 수험자의 시험 점수를 나타낸다.
문항별 정/오답은 문항별로 수험자가 정답 또는 오답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오답 문항 번호 모음은 수험자가 틀린 문항을 제공한다.
고민한 문항 번호 모음은 수험자가 불확실한 문항에 대해 다시 풀기 또는 나중에 풀기를 마킹하여 풀이 과정에서 선택한 문항을 제공한다. 정답/오답 유무와 상관없이 수험자가 확신을 갖지 못했으므로 해당 문항을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취약 단원은 오답 처리된 문항에 해당하는 단원명, 또는 고민한 문항에 해당하는 단원명이 표기될 수 있다. 취약 단원 외에 오답 처리되거나 고민한 문항에 해당하는 유형(예를 들면, 이해, 응용, 심화 등)이 표기되는 취약 유형이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문항별 패턴 비교는 각 문항에 대해 전체 응시 학생의 패턴 정보를 분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문항별 패턴 비교는 다음의 표 2와 같을 수 있다.
문항별 패턴 비교
- 수험자가 선택한 답안
- 실제 정답
- 정/오답 여부
- 전체 정답률
- 상위 수험자의 정답률
- 수험자의 문제 풀이 시간
- 전체 수험자의 문제 풀이 평균 시간
- 수험자의 다시 풀기/나중에 풀기 선택 여부
- 전체 수험자 중 다시 풀기/나중에 풀기 선택 비율
상술한 분석 통계 정보는 강사가 수험자와 상담을 할 때 이용하기 위해 강사 단말로 제공되거나, 수험자가 자신의 문제 풀이 습관을 확인하기 위해 수험자 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 강사 단말과 수험자 단말에 제공되는 분석 통계 정보의 세부 사항은 다를 수 있다.
도 9 및 10은 강사 단말에서 표시되는 풀이 패턴 조회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풀이 패턴 조회 화면은 문제 풀이 순서, 각 문항에 대한 수험자의 정오답 여부, 전체 정답률, 수험자의 문제 풀이 시간, 총 수험자의 문제 풀이 평균 시간, 상위권 수험자(예를 들면, 상위 1% 수험자)의 문제 풀이 평균 시간, 누계 시간, 남은 시간, 난이도, 유형, 배점, 단원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풀이 패턴 조회 화면은 전체 문항 중 알고 푼 문제, 모르고 푼 문제, 애매한 문제 등에 대하여 문제 수, 점수,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애매한 문제는 수험자가 다시 풀기 또는 나중에 풀기를 마킹한 문항의 수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애매한 문제는 수험자가 마킹한 답안이 변경된 문항의 수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1은 강사 단말에서 표시되는 문항별 상세 패턴 분석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문항별 상세 패턴 분석 화면은 수험자가 선택한 답안, 실제 정답, 정답 또는 오답 여부, 전체 수험자의 정답률, 수험자의 문제 풀이 시간, 전체 수험자의 평균 문제 풀이 시간, 다시 풀기 또는 나중에 풀기 마킹 여부, 전체 수험자 중 다시 풀기 또는 나중에 풀기 마킹한 수험자의 비율, 플러스펜(적색)으로 마킹하였는지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 진행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시험 관리 서버는 수험자 단말로 답안지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S1210). 답안지 설정 정보는 시험 과목, 시험 종류, 문항 수, 각 문항별 답안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수험자 단말은 답안지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OMR 답안지를 생성하고 표시한다(S1220). 보다 상세하게는, 수험자 단말은 문항 수 및 문항별 답안 수에 기초하여 답안지를 생성한다. 또한, 수험자 단말은 각 문항에 대해 다시 풀기 또는 나중에 풀기를 체크할 수 있는 창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수험자 단말은 흑색으로 답안을 마킹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컴퓨터용 사인펜 선택란 및 흑색으로 마킹한 답안 외에 답안 선택을 고민했던 보기를 적색으로 마킹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플러스펜 선택란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수험자 단말은 수험자가 답안 입력을 완료하였을 때 답안을 제출하기 위한 답안 제출하기 버튼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수험자 단말은 수험자가 입력한 답안 신호를 수신한다(S1230). 그리고, 수험자 단말은 답안지 정보를 시험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S1240).
답안지 정보는 수험자가 입력한 답안에 대한 정보에 추가하여, 수험자가 답안을 입력한 문항의 순서에 대한 정보, 수험자가 각 문항에 답안을 입력하기까지 사용한 시간인 문항당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 수험자가 불확실한 문항을 체크하기 위한 다시 풀기 또는 나중에 풀기 창에 체크를 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수험자가 플러스펜 선택란을 선택하여 답안을 마킹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수험자에 대한 상담을 위한 데이터로서 제공될 수 있다.
답안지 정보를 수신한 시험 관리 서버는 수험자의 답안지를 채점하고 분석한다(S1250).
시험 관리 서버는 수험자가 문제를 푼 시간, 풀이 순서, 불확실한 문항 사전 체크 등의 수험자의 문제 풀이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시험 관리 서버는 결과 점수, 문항별 정/오답, 오답 또는 고민한 문항(다시 풀기 또는 나중에 풀기가 체크된 문항), 오답 또는 고민한 문항에 관련된 단원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시험 관리 서버는 각 문항에 대하여 문항별 패턴 비교를 분석할 수 있다. 문항별 패턴 비교는 수험자가 선택한 답안, 실제 정답, 정답 또는 오답 여부, 전체 정답률, 수험자의 문제 풀이 시간, 전체 수험자의 평균 문제 풀이 시간, 수험자의 다시 풀기 또는 나중에 풀기 선택 여부, 전체 수험자 중 다시 풀기 또는 나중에 풀기를 선택한 수험자의 비율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채점 및 분석 결과는 강사가 상담을 위해 이용할 수 있도록 강사 단말로 제공ㄷ될 수 있다(S1260). 또는, 채점 및 분석 결과는 수험자가 참고할 수 있도록 수험자 단말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분석 통계 정보는 수험자 및 교육 기관에서 시험에 대비한 실전 문제 풀이 훈련에 적용할 수 있어, 기존의 종이 OMR 답안지에서는 불가능했던 시험 응시 패턴 분석이 가능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교육 기관에서 강사들이 수험자의 문제 풀이 습관을 파악하여 지도하는데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OMR 답안지의 분석 통계 정보 기능은 모의고사와 같은 문제 풀이 훈련 이외에도 일반 문제집의 풀이에서도 적용 가능하므로 출판업계에서 종이 교재의 결합형으로 활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속할 수 있고 디지털 OMR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단말을 이용하여 종이 교재(문제집)의 문제 풀이를 각각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OMR 답안지는 OMR을 사용하는 모든 종류의 시험 훈련에 활용 가능하고, 지금까지 파악이 불가능했던 정보를 제공하므로 시험 관련 문제 풀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 또는 수험자에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4)

  1. 상기 수험자가 입력한 답안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답안지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답안지 및 상기 수험자가 입력한 답안을 표시하는 표시부;
    각각의 문항에 대해 상기 수험자가 각 문항의 답안을 입력하는데 걸린 문항별 소요 시간을 측정하는 제어부; 및
    수험자가 입력한 답안의 정보 및 상기 문항별 소요 시간의 정보를 포함하는 수험자 시험 정보를 시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험자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항별 소요 시간은, 첫 번째 문항인 경우, 시험 시작 시간부터 해당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시간까지의 시간이고, 첫 번째 문항이 아닌 경우, 이전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시간으로부터 해당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시간까지의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험자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험자가 모든 문항의 답안을 입력하는데 걸린 총 사용 시간을 더 측정하고,
    상기 수험자 시험 정보는 상기 총 사용 시간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험자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험자가 답안 입력을 선택한 문항 순서를 더 측정하고,
    상기 수험자 시험 정보는 상기 답안 입력을 선택한 문항 순서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험자 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답안지는, 상기 수험자가 해당 문항의 답안을 다시 입력할 것을 체크하기 위한 다시 풀기 입력란, 또는 상기 수험자가 해당 문항의 답안을 나중에 입력할 것을 체크하기 위한 나중에 풀기 입력란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수험자 시험 정보는 해당 문항의 상기 다시 풀기 입력란 또는 다시 풀기 입력란이 체크되었는지 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험자 단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문항별 소요 시간은, 이전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시간으로부터 상기 다시 풀기 입력란 또는 나중에 풀기 입력란을 입력한 시간까지의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험자 단말.
  7. 수험자가 입력한 답안의 정보를 수험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험자가 입력한 답안의 정보 및 상기 수험자가 각 문항의 답안을 입력하는데 걸린 문항별 소요 시간의 정보를 포함하는 수험자 시험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및 분석하는 성적 채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관리 서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문항별 소요 시간은, 첫 번째 문항인 경우, 시험 시작 시간부터 해당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시간까지의 시간이고, 첫 번째 문항이 아닌 경우, 이전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시간으로부터 해당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시간까지의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관리 서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험자 시험 정보는 상기 수험자가 모든 문항의 답안을 입력하는데 걸린 총 사용 시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관리 서버.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험자 시험 정보는 상기 수험자가 답안 입력을 선택한 문항 순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관리 서버.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험자 단말에 제공되는 답안지는, 상기 수험자가 해당 문항의 답안을 다시 입력할 것을 체크하기 위한 다시 풀기 입력란, 또는 상기 수험자가 해당 문항의 답안을 나중에 입력할 것을 체크하기 위한 나중에 풀기 입력란을 포함하고,
    상기 수험자 시험 정보는 해당 문항에 대해 상기 다시 풀기 입력란 또는 나중에 풀기 입력란이 체크되었는지 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관리 서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문항별 소요 시간은, 이전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시간으로부터 상기 다시 풀기 입력란 또는 나중에 풀기 입력란을 입력한 시간까지의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관리 서버.
  13. 답안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수험자가 입력한 답안을 수신하고, 상기 수험자가 입력한 답안을 표시하는 단계;
    각각의 문항에 대해 상기 수험자가 각 문항의 답안을 입력하는데 걸린 문항별 소요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각 문항에 대해 상기 수험자가 입력한 답안의 정보 및 문항별 소요 시간의 정보를 포함하는 수험자 시험 정보를 상기 시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험자 단말의 시험 진행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문항별 소요 시간은, 첫 번째 문항인 경우, 시험 시작 시간부터 해당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시간까지의 시간이고, 첫 번째 문항이 아닌 경우, 이전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시간으로부터 해당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시간까지의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험자 단말의 시험 진행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험자가 모든 문항의 답안을 입력하는데 걸린 총 사용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험자 시험 정보는 상기 총 사용 시간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험자 단말의 시험 진행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험자가 답안 입력을 선택한 문항 순서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험자 시험 정보는 상기 답안 입력을 선택한 문항 순서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험자 단말의 시험 진행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답안지는, 상기 수험자가 해당 문항의 답안을 다시 입력할 것을 체크하기 위한 다시 풀기 입력란, 또는 상기 수험자가 해당 문항의 답안을 나중에 입력할 것을 체크하기 위한 나중에 풀기 입력란을 포함하고,
    상기 수험자 시험 정보는 해당 문항에 대해 상기 다시 풀기 입력란 또는 나중에 풀기 입력란이 체크되었는지 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험자 단말의 시험 진행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문항별 소요 시간은, 이전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시간으로부터 상기 다시 풀기 입력란 또는 나중에 풀기 입력란을 입력한 시간까지의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험자 단말의 시험 진행 방법.
  19. 수험자가 입력한 답안의 정보를 상기 수험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험자가 입력한 답안의 정보 및 상기 수험자가 각 문항의 답안을 입력하는데 걸린 문항별 소요 시간의 정보를 포함하는 수험자 시험 정보에 기초하여 채점 및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관리 서버의 시험 분석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문항별 소요 시간은, 첫 번째 문항인 경우, 시험 시작 시간부터 해당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시간까지의 시간이고, 첫 번째 문항이 아닌 경우, 이전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시간으로부터 해당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시간까지의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관리 서버의 시험 분석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험자 시험 정보는 상기 수험자가 모든 문항의 답안을 입력하는데 걸린 총 사용 시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관리 서버의 시험 분석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험자 시험 정보는 상기 수험자가 답안 입력을 선택한 문항 순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관리 서버의 시험 분석 방법.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험자 단말에 제공되는 답안지는, 상기 수험자가 해당 문항의 답안을 다시 입력할 것을 체크하기 위한 다시 풀기 입력란, 또는 상기 수험자가 해당 문항의 답안을 나중에 입력할 것을 체크하기 위한 나중에 풀기 입력란을 포함하고,
    상기 수험자 시험 정보는 해당 문항에 대해 상기 다시 풀기 입력란 또는 나중에 풀기 입력란이 체크되었는지 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관리 서버의 시험 분석 방법 .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문항별 소요 시간은, 이전 문항의 답안을 입력한 시간으로부터 상기 다시 풀기 입력란 또는 나중에 풀기 입력란을 입력한 시간까지의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관리 서버의 시험 분석 방법.
KR1020120061712A 2012-06-08 2012-06-08 수험자 단말, 시험 관리 서버, 수험자 단말의 시험 진행 방법, 및 시험 관리 서버의 시험 분석 방법 KR201301379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712A KR20130137974A (ko) 2012-06-08 2012-06-08 수험자 단말, 시험 관리 서버, 수험자 단말의 시험 진행 방법, 및 시험 관리 서버의 시험 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712A KR20130137974A (ko) 2012-06-08 2012-06-08 수험자 단말, 시험 관리 서버, 수험자 단말의 시험 진행 방법, 및 시험 관리 서버의 시험 분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974A true KR20130137974A (ko) 2013-12-18

Family

ID=49983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712A KR20130137974A (ko) 2012-06-08 2012-06-08 수험자 단말, 시험 관리 서버, 수험자 단말의 시험 진행 방법, 및 시험 관리 서버의 시험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79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732A (ko) * 2018-07-17 2020-01-29 주식회사 유핏 디지털 시험 관리 및 분석 방법 및 시스템
CN112541035A (zh) * 2020-09-30 2021-03-23 新大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信息核验方法、装置、设备、可读存储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732A (ko) * 2018-07-17 2020-01-29 주식회사 유핏 디지털 시험 관리 및 분석 방법 및 시스템
CN112541035A (zh) * 2020-09-30 2021-03-23 新大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信息核验方法、装置、设备、可读存储介质
CN112541035B (zh) * 2020-09-30 2023-08-18 新大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信息核验方法、装置、设备、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o et al. Validation of automated scoring for a formative assessment that employs scientific argumentation
Suyidno et al. Effectiveness of creative responsibility based teaching (CRBT) model on basic physics learning to increase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and responsibility
Huggins et al. Measur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literacy using a performance assessment: Validation of the student tool for technology literacy (ST2L)
Liu et al. Multifaceted assessment of inquiry-based science learning
Heck et al. Mathematics on the threshold
KR101058741B1 (ko) 공부 습관 검사 시스템 및 방법
Couch et al. GenBio-MAPS: A programmatic assessment to measure student understanding of vision and change core concepts across general biology programs
Shalem et al. Teachers' explanations of learners' errors in standardised mathematics assessments
Herman et al.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digital logic concept inventory
KR101488178B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모의고사 및 학습 제공 시스템
Misut et al. Software solution improving productivity and quality for big volume students' group assessment process
KR20170130222A (ko) 문제를 풀고 해당 문제의 해설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체계적인 구축 방법
Tolga Using the classroom response system to enhance students’ learning and classroom interactivity
Greiff et al. Assessment with microworlds using MicroDYN: measurement invariance and latent mean comparisons
He et al. Applying Rasch measurement to assess knowledge-in-use in science education
KR20130137974A (ko) 수험자 단말, 시험 관리 서버, 수험자 단말의 시험 진행 방법, 및 시험 관리 서버의 시험 분석 방법
Kambeyo The possibilities of assessing students’ scientific inquiry skills abilities using an online instrument: a small-scale study in the Omusati Region, Namibia
Zimmerman et al. Computer-automated approach for scoring short essays in an introductory statistics course
US20150050635A1 (en) Examinee equipment, test managing server, test progressing method of examinee equipment, and test analyzing method of test managing server
KR20110061847A (ko) 문제출제 인터페이스와 답안 리더기를 이용한 채점결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Vendlinski et al. Developing High-Quality Assessments that Align with Instructional Video Games. CRESST Report 774.
CN103839207A (zh) 一种分析学习者学习活动的设备和方法及其对应的介质
Fitzpatrick et al. A case study of measuring outcomes in an MPA program
Mat-jizat Developing an ICT-Literacy Task-Based Assessment Instrument: The Findings on the Final Testing Phase.
Maisyaroh et al. Unveiling the nexus of leadership, culture, learning independence, passion trend-based learning, and teacher creativity in shaping digital student ski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