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885A -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 선택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 선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885A
KR20130137885A KR1020120061545A KR20120061545A KR20130137885A KR 20130137885 A KR20130137885 A KR 20130137885A KR 1020120061545 A KR1020120061545 A KR 1020120061545A KR 20120061545 A KR20120061545 A KR 20120061545A KR 20130137885 A KR20130137885 A KR 20130137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view
image
view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1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7885A/ko
Priority to EP13165214.1A priority patent/EP2672717A1/en
Priority to US13/874,073 priority patent/US20130328784A1/en
Priority to JP2013111778A priority patent/JP2013258692A/ja
Priority to CN201310223632.XA priority patent/CN103491362A/zh
Publication of KR20130137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8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2013/40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 H04N2013/403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the images being monoscop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2013/40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 H04N2013/405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the images being stereoscopic or three dimensio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 선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표시되는 영상에 동기하여 동작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멀티뷰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채널 및 표시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UI를 통해 상기 채널 및 표시모드의 선택에 관한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상기 선택된 채널 및 표시모드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멀티뷰 기능 구현 시,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영상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 선택 방법 {DISPLAY APPARATUS AND MODE SELE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 선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복수의 멀티뷰(multi-view) 디바이스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된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 선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TV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튜닝하여 외부의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패널(display panel) 상에 영상으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패널 상에 표시되는 영상은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하게 인지되므로, 종래에는 PIP(Picture In Picture)의 형태와 같이 영상을 화면 상에서 분할하여 표시하는 방식 이외에는 다수의 사용자는 하나의 TV를 통해 서로 선호하는 다른 채널을 시청하는 것이 불가능 하였다.
한편, 영상기술의 발달에 따라 3D 입체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TV가 상용화되고 있는데, 3D 영상 기술 중 현재 가장 보편화되어 있는 3D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은 사람의 두 눈이 가로 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함으로써 나타나게 되는 양안시차를 이용한 것이다. 3D안경의 방식 중, 셔터안경을 이용한 방식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을 번갈아 화면에 표시하고, 이에 동기하여 3D안경의 좌안렌즈 및 우안렌즈가 개폐 동작을 통해 광을 투과 / 차단 함으로써, 사용자가 좌안 및 우안으로 각각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 만을 인지하도록 하는 원리를 기초로 한 것이다.
이러한 3D셔터안경의 원리를 확장하면, TV의 화면에 서로 다른 채널의 영상을 번갈아 표시하고, 이에 동기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착용한 각각의 3D셔터안경의 렌즈를 개폐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화면을 통해 서로 다른 채널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멀티뷰(multi-view)의 구현이 가능하다.
멀티뷰 기능을 활용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각자의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하나의 TV에 대해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영상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구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멀티뷰 기능 구현 시,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영상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표시되는 영상에 동기하여 동작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멀티뷰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채널 및 표시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UI를 통해 상기 채널 및 표시모드의 선택에 관한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상기 선택된 채널 및 표시모드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모드는 2D표시모드 및 3D표시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상기 UI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멀티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화면이 조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의 선택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의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명령을 전송한 멀티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화면이 조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멀티뷰 기능이 설정될 때, 디스플레이장치와 페어링된 멀티뷰 디바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검색된 멀티뷰 디바이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의 채널 및 표시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상기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는, 좌안셔터렌즈 및 우안셔터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를 통해 선택된 채널 및 표시모드에 대응하여 표시된 화면과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의 상기 좌안셔터렌즈 및 상기 우안셔터렌즈의 개폐 동작을 동기하기 위한 동기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는 상기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좌안셔터렌즈 및 상기 우안셔터렌즈를 개폐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영상 및 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에 동기하여 동작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멀티뷰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 선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멀티뷰 기능의 설정을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채널 및 표시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UI를 통해 상기 채널 및 표시모드의 선택에 관한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UI를 통해 선택된 채널 및 표시모드에 기초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 선택 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모드는 2D표시모드 및 3D표시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상기 UI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상기 채널 및 표시모드의 선택에 관한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 중 하나의 선택에 관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멀티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화면이 조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의 선택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의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명령을 전송한 멀티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화면이 조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페어링된 멀티뷰 디바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멀티뷰 디바이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의 채널 및 표시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상기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는, 좌안셔터렌즈 및 우안셔터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UI를 통해 선택된 채널 및 표시모드에 대응하여 표시된 화면과,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의 상기 좌안셔터렌즈 및 상기 우안셔터렌즈의 개폐 동작을 동기하기 위한 동기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의 상기 좌안셔터렌즈 및 상기 우안셔터렌즈를 개폐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멀티뷰 기능 구현 시,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영상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및 멀티뷰 디바이스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UI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입력부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 선택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멀티뷰 디바이스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은 외부의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 또는 내/외부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하며, DTV(Digital Television)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멀티뷰 디바이스(210, 22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화면에 동기하여 좌안렌즈 및 우안렌즈를 개폐함으로써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3D셔터안경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각자 멀티뷰 디바이스(210, 220)를 착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화면을 시청할 수 있으며, 도 1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멀티뷰 디바이스(210, 220)의 사용자가 2명인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나, 3명 이상인 경우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는 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일반적인 2D영상 이외에 3D영상 및 멀티뷰(multi-view)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3D영상의 경우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교번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멀티뷰 영상의 경우 각각 다른 사용자에게 인지되기 위한 제1영상과 제2영상을 교번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멀티뷰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멀티뷰 영상과 각각의 멀티뷰 디바이스(210, 220)를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신호를 전송한다. 제1멀티뷰 디바이스(210)는 동기신호에 따라, 제1영상이 표시되는 시점에 광을 투과시키고, 제2영상이 표시되는 시점에 광을 차단하도록 렌즈를 개폐하고, 제2멀티뷰 디바이스(220)는 제2영상이 표시되는 시점에 광을 투과시키고, 제1영상이 표시되는 시점에 광을 차단하도록 렌즈를 개폐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화면 상에는 제1영상과 제2영상이 교번적으로 표시되는 멀티뷰 영상이 표시되지만, 제1멀티뷰 디바이스(210) 및 제2멀티뷰 디바이스(220)의 사용자는 각각 제1영상 및 제2영상만을 인지하게 됨으로써, 각각 다른 영상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술한 멀티뷰 기능을 더욱 확장하여, 제1멀티뷰 디바이스(210)와 제2멀티뷰 디바이스(220)의 사용자가 서로 다른 3D영상을 시청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멀티뷰 영상은 제1좌안영상, 제2좌안영상, 제1우안영상, 제2우안영상의 순서로 교번적으로 표시되고, 이에 동기하여 제1멀티뷰 디바이스(210)의 좌안렌즈, 제2멀티뷰 디바이스(220)의 좌안렌즈, 제1멀티뷰 디바이스(210)의 우안렌즈, 제2멀티뷰 디바이스(220)의 우안렌즈 순으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상술한 멀티뷰 영상을 3D로 구현하는 예는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하며, 표시되는 영상 및 동기하여 개폐되는 멀티뷰 디바이스(210, 220)의 렌즈의 순서는 상이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다른 3D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형태라면 본 발명에 적용됨에 아무런 지장이 없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가 각자의 멀티뷰 디바이스(210, 220)를 착용하여, 멀티뷰 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각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채널 및 2D 혹은 3D영상과 같은 표시모드를 선택하는 것이 요구되는데, 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라고 함)의 구현을 중심으로 이하에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수신부(110), 영상처리부(120), 디스플레이부(130), 통신부(140), 제어부(150)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입력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수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영상수신부(110)는 수신하는 영상신호의 규격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멀티뷰 기능의 실행 시 복수의 채널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영상수신부(110)는 동시에 복수의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멀티튜너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수신된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한다. 영상처리부(120)에서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예로써, 디코딩(de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스케일링(scaling),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인핸스먼트(detail enhancement) 등이 있으며, 그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 또는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 구성들이 장착된 영상처리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처리부(12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 및 후술할 제어부(150)에 의해 생성된 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40)는 멀티뷰 디바이스(210, 220)와 통신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멀티뷰 디바이스(210, 22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에 동기하여 동작하고, 통신부(140)는 표시되는 멀티뷰 영상과 멀티뷰 디바이스(210, 220)의 렌즈 개폐 동작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신호를 각각의 멀티뷰 디바이스(210, 220)로 전송한다. 통신부(140)는 공지의 규격 / 비규격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각 멀티뷰 디바이스(210, 220)와 통신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블루투스(Bluetooth) 표준에 따라 각 멀티뷰 디바이스(210, 220)와 페어링하여 동기신호를 비롯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며,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을 로딩하는 휘발성 메모리와, 로딩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CU(Micro Control Unit) 등과 같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멀티뷰 기능이 실행되면, 통신부(140)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뷰 디바이스(210, 220)와 대응하는 채널 및 표시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멀티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면, 멀티뷰 디바이스(210, 220)를 착용한 복수의 사용자의 눈에는 서로 다른 채널의 영상이 인지되더라도, 사용자는 같은 화면을 응시하므로, 하나의 UI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즉 멀티뷰 디바이스(210, 220) 각각에 대응하는 채널 설정, 표시모드 설정, 기타 화면 설정 등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UI는 멀티뷰 디바이스(210, 220), 선택된 멀티뷰 디바이스(210, 220)를 통해 시청할 채널, 선택된 채널의 2D 또는 3D 표시모드를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멀티뷰 디바이스가 블루투스를 통해 통신부(140)와 통신하는 경우, 멀티뷰 기능이 설정될 때,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페어링된 멀티뷰 디바이스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고, 검색된 멀티뷰 디바이스 중 사용자가 특정 멀티뷰 디바이스를 선택하면, 선택된 멀티뷰 디바이스를 통해 멀티뷰를 시청하도록 할 수 있고, 이 때 선택된 멀티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채널 및 표시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UI를, 표시되는 멀티뷰 영상과 별개의 레이어(layer)로 형성하여, 멀티뷰 영상의 전면에 표시하도록 하고, 이 때 표시되는 UI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동일하게 인지된다. 표시되는 UI의 구체적인 형태에 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후술할 사용자입력부(300)를 통해 표시된 채널 및 표시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및 표시모드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영상처리부(12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2명의 사용자가 각각의 멀티뷰 디바이스(210, 220)를 통해 멀티뷰를 시청할 때, 각각 8번 및 9번 채널을 선택하고, 표시모드를 각각 2D 및 3D모드로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30)에는 8번 채널의 단일영상과 9번채널의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이 교대로 표시된다. 또한, 제어부(150)는 표시되는 화면과 멀티뷰 디바이스(210, 220)의 좌안셔터렌즈 및 우안셔터렌즈의 개폐 동작을 동기하기 위한 동기신호를 통신부(140)를 통해 멀티뷰 디바이스(210, 2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멀티뷰 디바이스(210, 220)는 수신한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좌안셔터렌즈 및 우안셔터렌즈를 개폐 동작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는 UI를 통해 선택한 채널 및 표시모드에 따른 영상을 멀티뷰 디바이스(210, 220)를 통해 시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입력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300)는 원격제어장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별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외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멀티뷰 기능이 실행되더라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해 복수의 사용자입력부(300)를 포함하는 것은 비용 측면, 사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멀티뷰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사용자입력부(300)는 특정 멀티뷰 디바이스(210, 220)에 대응하는 영상을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사용자입력부(300)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UI(400)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2명의 사용자가 각각 제1멀티뷰 디바이스(210) 및 제2멀티뷰 디바이스(220)를 착용하여 멀티뷰를 시청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뷰 기능이 실행되면, 이를 화면의 상단 등에 표시한다(410). UI(400)에는 제1멀티뷰 디바이스(210) 또는 제2멀티뷰 디바이스(220) 중 채널 및 표시모드를 설정할 대상이 되는 멀티뷰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서브UI(420)가 표시된다. 이 때, 제1멀티뷰 디바이스 및 제2멀티뷰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창(421, 422)에는 각각의 PIN코드 또는 장치명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멀티뷰 디바이스 창(421)을 선택하면 제1멀티뷰 디바이스가 강조되어 표시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멀티뷰 디바이스의 채널 및 표시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서브UI(430)가 표시된다. 즉, 사용자가 제1멀티뷰 디바이스와 제2멀티뷰 디바이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사용자입력부(300)를 통한 채널 및 모드 선택을 비롯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선택된 멀티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화면이 조작된다.
제1멀티뷰 디바이스가 선택되면(421), 제1멀티뷰 디바이스(210)를 통해 시청할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서브UI(430)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멀티뷰 실행 전의 채널 또는 현재 제1멀티뷰 디바이스(210)를 통해 시청 중인 채널이 9번(432)인 경우, 9번의 전/후 채널인 8번(431), 10번(433) 채널이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채널 전환에 따라 이는 변경될 수 있다. 채널번호에 대응하는 창은 해당 채널의 화면 또는 프로그램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제1멀티뷰 디바이스를 통해 시청할 채널이 선택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서브UI(440)가 표시된다. 표시모드는 2D표시모드(441) 및 3D표시모드(4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채널을 통해 2D영상의 시청만이 가능한 경우, 시청 가능한 2D표시모드만이 서브UI(44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멀티뷰 디바이스(210) 및 제2멀티뷰 디바이스(220)를 통해 시청할 채널이 모두 선택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표시모드를 동시에 선택할 수 있는 서브UI(450)가 표시될 수도 있다.
연결된 제1멀티뷰 디바이스(210)와 제2멀티뷰 디바이스(220)의 채널 및 표시모드의 선택이 모두 완료되면, 제어부(150)는 선택된 채널 및 표시모드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120)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140)를 통해 제1멀티뷰 디바이스(210)와 제2멀티뷰 디바이스(220)에 동기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각 사용자는 멀티뷰 기능을 통해 각자 다른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입력부(300)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입력부(300)는 일반적인 원격제어장치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단, 멀티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 및 멀티뷰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300)의 형태는 도시된 바와 달리, 터치패드 등 공지의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부(30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UI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320) 및 멀티뷰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채널 및 표시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330)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330의 버튼 중 좌/우 버튼을 통해 도 3에 도시된 UI(400)에서 제1멀티뷰 디바이스와 제2멀티뷰 디바이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상/하 버튼을 통해 채널을 전환하거나, 2D/3D표시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뷰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토글버튼(340)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토글버튼(340)을 누르면, 화면 제어의 대상이 제1멀티뷰 디바이스(210)와 제2멀티뷰 디바이스(220) 간에 변경되고, 제어부(150)는 현재 선택 중인 멀티뷰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사용자입력부(300)를 활용하여, 각자 시청하고자 하는 영상 및 표시모드를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입력부는 멀티뷰 디바이스(200)에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입력부는 멀티뷰 디바이스의 안경 다리에서 렌즈와 연결되는 부위(202)에 하나 이상의 버튼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안경 다리의 중간 또는 렌즈와 연결 부위의 반대단에도 형성될 수 있고, 각 렌즈(201)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등 사용자입력부의 위치에는 아무런 제약이 없다.
이 때, 제어부(150)는 통신부(140)를 통해 멀티뷰 디바이스(200)에 포함된 사용자입력부(300)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면, 명령을 전송한 멀티뷰 디바이스(200)에 대응하는 화면이 조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멀티뷰 디바이스의 사용자(210)가 채널을 전환하면, 제1멀티뷰 디바이스(210)에 대응하는 채널만이 변경되고, 제2멀티뷰 디바이스(220)가 시청중인 화면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멀티뷰 기능 구현 시,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영상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모드 선택 방법의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 및 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멀티뷰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멀티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DTV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멀티뷰 디바이스는 좌안셔터렌즈 및 우안셔터렌즈를 포함하고, 표시되는 화면에 동기하여 각 렌즈를 개폐함으로써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사용자에게 멀티뷰 영상 및 3D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멀티뷰 기능의 설정을 위한 명령을 수신한다.
멀티뷰가 실행된 경우(S110), 적어도 하나의 멀티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채널 및 표시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표시한다(S12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되는 UI는 각 멀티뷰 디바이스를 통해 시청할 수 있는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서브UI와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2D표시모드 또는 3D표시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서브UI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멀티뷰 디바이스의 채널의 선택(S122), 제1멀티뷰 디바이스의 표시모드 선택(S124), 제2멀티뷰 디바이스의 채널의 선택(S126), 제2멀티뷰 디바이스의 표시모드 선택(S128)의 순서로 각각의 서브UI를 표시할 수 있으며, 순서 및 표시되는 UI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UI를 통해 사용자의 채널 및 표시모드 선택이 완료되면(S130), 채널 및 표시모드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한다(S140). 영상의 표시와 함께, 표시된 화면과, 멀티뷰 디바이스의 좌안셔터렌즈 및 우안셔터렌즈의 개폐 동작을 동기하기 위한 동기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멀티뷰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멀티뷰 디바이스는 수신한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좌안셔터렌즈 및 우안셔터렌즈를 개폐 동작한다.
멀티뷰 디바이스가 블루투스를 통해 통신부와 통신하는 경우, 멀티뷰 기능이 설정될 때,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페어링된 멀티뷰 디바이스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검색된 멀티뷰 디바이스 중 사용자가 특정 멀티뷰 디바이스를 선택하면, 선택된 멀티뷰 디바이스를 통해 멀티뷰를 시청하도록 할 수 있고, 이 때 선택된 멀티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채널 및 표시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는 원격제어장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별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외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부는 표시된 UI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입력부의 형태는, 도 3 및 4를 통해 설명한 바 있다.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채널 및 표시모드의 선택에 관한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는, 멀티뷰 디바이스 중 하나의 선택에 관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선택된 멀티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화면이 조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부는 멀티뷰 디바이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며, 모드 선택 방법은 버튼을 통한 선택, 즉, 멀티뷰 디바이스의 선택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달리, 사용자입력부는 멀티뷰 디바이스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멀티뷰 디바이스에 포함된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면, 명령을 전송한 멀티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화면만이 조작되며, 다른 멀티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화면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장치
110: 영상수신부
120: 영상처리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통신부
150: 제어부
200, 210, 220: 멀티뷰 디바이스
300: 사용자입력부

Claims (16)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표시되는 영상에 동기하여 동작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멀티뷰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채널 및 표시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UI를 통해 상기 채널 및 표시모드의 선택에 관한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상기 선택된 채널 및 표시모드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드는 2D표시모드 및 3D표시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상기 UI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멀티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화면이 조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의 선택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재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의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명령을 전송한 멀티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화면이 조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멀티뷰 기능이 설정될 때, 디스플레이장치와 페어링된 멀티뷰 디바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검색된 멀티뷰 디바이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의 채널 및 표시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상기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는, 좌안셔터렌즈 및 우안셔터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를 통해 선택된 채널 및 표시모드에 대응하여 표시된 화면과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의 상기 좌안셔터렌즈 및 상기 우안셔터렌즈의 개폐 동작을 동기하기 위한 동기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는 상기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좌안셔터렌즈 및 상기 우안셔터렌즈를 개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영상 및 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에 동기하여 동작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멀티뷰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 선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멀티뷰 기능의 설정을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채널 및 표시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UI를 통해 상기 채널 및 표시모드의 선택에 관한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UI를 통해 선택된 채널 및 표시모드에 기초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 선택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드는 2D표시모드 및 3D표시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 선택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상기 UI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 선택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상기 채널 및 표시모드의 선택에 관한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 중 하나의 선택에 관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멀티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화면이 조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 선택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의 선택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 선택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의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명령을 전송한 멀티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화면이 조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 선택 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페어링된 멀티뷰 디바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멀티뷰 디바이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의 채널 및 표시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상기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 선택 방법.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는, 좌안셔터렌즈 및 우안셔터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UI를 통해 선택된 채널 및 표시모드에 대응하여 표시된 화면과,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의 상기 좌안셔터렌즈 및 상기 우안셔터렌즈의 개폐 동작을 동기하기 위한 동기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뷰 디바이스의 상기 좌안셔터렌즈 및 상기 우안셔터렌즈를 개폐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 선택 방법.
KR1020120061545A 2012-06-08 2012-06-08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 선택 방법 KR2013013788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545A KR20130137885A (ko) 2012-06-08 2012-06-08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 선택 방법
EP13165214.1A EP2672717A1 (en) 2012-06-08 2013-04-24 Multi-view display apparatus and mode selection method thereof
US13/874,073 US20130328784A1 (en) 2012-06-08 2013-04-30 Display apparatus and mode selection method thereof
JP2013111778A JP2013258692A (ja) 2012-06-08 2013-05-28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のモード選択方法
CN201310223632.XA CN103491362A (zh) 2012-06-08 2013-06-06 显示设备及其模式选择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545A KR20130137885A (ko) 2012-06-08 2012-06-08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 선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885A true KR20130137885A (ko) 2013-12-18

Family

ID=4819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545A KR20130137885A (ko) 2012-06-08 2012-06-08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 선택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328784A1 (ko)
EP (1) EP2672717A1 (ko)
JP (1) JP2013258692A (ko)
KR (1) KR20130137885A (ko)
CN (1) CN1034913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5819A (zh) * 2018-12-25 2019-05-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界面显示方法、装置、双屏双系统终端及可读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941B1 (ko) * 2012-08-03 2013-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컨텐츠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컨텐츠 뷰 중 하나에 동기화되어 구동되는 안경 장치 및 그 방법들
KR20150083243A (ko) * 2014-01-09 2015-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표시방법
KR102124916B1 (ko) * 2014-04-18 2020-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4581129B (zh) * 2014-12-29 2016-09-28 深圳超多维光电子有限公司 裸眼立体显示装置
KR102330250B1 (ko) * 2015-01-22 202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6155604B (zh) * 2015-03-27 2020-02-21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处理方法和电子设备
EP3291566A1 (en) * 2016-08-30 2018-03-07 Advanced Digital Broadcast S.A. A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menu with multiple instantiations for a multi-stream display
EP3337176B1 (en) 2016-12-15 2020-10-14 HTC Corporation Method,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 system for video preview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173B1 (ko) * 2005-07-05 2009-08-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3d 그래픽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US8413073B2 (en) * 2009-07-27 2013-04-02 Lg Electronics Inc.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JP5433862B2 (ja) * 2009-09-30 2014-03-05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受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US9137523B2 (en) * 2010-04-12 2015-09-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so that viewers selectively view a 2D or a 3D service
KR20110115806A (ko) * 2010-04-16 2011-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안경,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EP2385706A1 (en) * 2010-05-03 2011-11-09 LG Electronics Image display device, viewing device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EP2391134A1 (en) * 2010-05-26 2011-11-30 Advanced Digital Broadcast S.A. A video display system, a shutter glasses de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shutter glasses
US8402502B2 (en) * 2010-06-16 2013-03-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US9032470B2 (en) * 2010-07-20 2015-05-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for adapting a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viewing apparatus
WO2012018669A2 (en) * 2010-08-03 2012-02-09 Bby Solutions, Inc. Multiple simultaneous programs on a displ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5819A (zh) * 2018-12-25 2019-05-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界面显示方法、装置、双屏双系统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09725819B (zh) * 2018-12-25 2022-12-13 浙江玖炫智能信息技术有限公司 界面显示方法、装置、双屏双系统终端及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72717A1 (en) 2013-12-11
JP2013258692A (ja) 2013-12-26
CN103491362A (zh) 2014-01-01
US20130328784A1 (en)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788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 선택 방법
EP2337363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pointer on a stereoscopic display
US10027951B2 (en) 3D glass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30007824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26111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US20140085183A1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112575A (ko) 3d안경,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단말기의 제어방법, 및 이에 관련된 3d안경,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단말기, 및 3d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150109426A1 (en) Glassless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30169763A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input apparatus used in the same
US8760587B2 (en) Remote control device for 3D video system
EP2672716A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11125726A1 (ja) 立体映像表示装置、立体映像表示システム
US20150077530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32225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2566165A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3003106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3042194A (ja) 立体表示装置用リモコンおよびマルチ画面立体表示システム
JP2012114840A (ja) 三次元画像用眼鏡
KR10159891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1233576B1 (ko) 2d 또는 3d 전환용 셔터 안경
KR101660731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시청 제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30016986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3060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662077B1 (ko) 방송프로그램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182566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