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490A -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490A
KR20130137490A KR1020120061148A KR20120061148A KR20130137490A KR 20130137490 A KR20130137490 A KR 20130137490A KR 1020120061148 A KR1020120061148 A KR 1020120061148A KR 20120061148 A KR20120061148 A KR 20120061148A KR 20130137490 A KR20130137490 A KR 20130137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gital device
repeater
control
smar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인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엔스
Priority to KR1020120061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7490A/ko
Publication of KR20130137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 구비된 멀티 중계기에 스마트 통신부와 IP 카메라 통신부 및 IR 변환기 통신부를 설치하여 외부에 있는 스마트 단말기와 실내에 있는 멀티 IP 카메라 및 IR 변환부 간에 데이터 통신로를 형성함으로써,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기기 제어신호에 의해 실내에 있는 디지털 기기를 실외에서도 제어할 수 있게 하여, 디지털 기기 자체에 홈 오토메이션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일반적인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면서도 홈 오토메이션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멀티 중계기를 독립적인 운영체제가 설치된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형성하고, 스마트 단말기 없이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입력부를 구비함으로써, 스마트 단말기가 없어도 실내에서 멀티 중계기만을 이용하여 디지털 기기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한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DIGITAL DEVICE CONTROL AND HOME CONTROL SYSTEM USING SMART TERMINAL AND TOUCH REPEATER}
본 발명은 디지털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 구비된 멀티 중계기에 스마트 통신부와 IP 카메라 통신부 및 IR 변환기 통신부를 설치하여 외부에 있는 스마트 단말기와 실내에 있는 멀티 IP 카메라 및 IR 변환부 간에 데이터 통신로를 형성함으로써,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기기 제어신호에 의해 실내에 있는 디지털 기기를 실외에서도 제어할 수 있게 하여, 디지털 기기 자체에 홈 오토메이션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일반적인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면서도 홈 오토메이션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멀티 중계기를 독립적인 운영체제가 설치된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형성하고, 스마트 단말기 없이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입력부를 구비함으로써, 스마트 단말기가 없어도 실내에서 멀티 중계기만을 이용하여 디지털 기기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한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출시되는 디지털기기들, 특히 가정용 디지털기기들은 조작을 위한 사용자의 이동을 최소화하여 이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장치인 리모컨이 구비된 형태로 출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리모컨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던 디지털기기들이 과거에는 수시로 채널과 음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텔레비전이나 오디오 등에 국한되었으나, 근래에는 에어컨이나 선풍기와 같은 냉난방시설과, DVD 플레이어, 조명 등 다수의 디지털기기로 그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이 리모컨에 의해 디지털기기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리모컨을 항상 가까운 곳에 위치시켜야 하였으나, 디지털기기의 수만큼 리모컨이 증가하게 되면서 리모컨을 특정 장소에 놓지 않게 되어 디지털기기를 조작하고자 할 때마다 리모컨을 찾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곤 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1261호에 개시된 만능리모콘장치 및 그 업그레이드 시스템과 같이 다수의 디지털기기를 하나의 리모컨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한 장치들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만능리모컨은 국내외 모든 제조사와 각 제조사에서 판매되는 모든 디지털기기들의 커스텀 코드를 미리 저장하고, 리모콘에서 실제로 전송되는 적외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커스텀 코드와 일치하는 커스텀 코드를 추출한 후 해당 디지털기기의 커스텀 코드로 저장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수의 디지털기기들을 하나의 만능리모컨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하였으나, 이러한 종래의 만능리모컨도 조작하고자 하는 디지털기기의 전면에서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여 조작해야 한다는 리모컨 자체의 한계를 여전히 갖고 있는바 보관에 주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그리고, 근래에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에 있는 다수의 가전제품과 같은 디지털기기를 사용자가 실내에 있을 경우뿐만 아니라, 실외에 있을 경우에도 온/오프를 제어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유비쿼터스에 의한 홈 오토메이션을 가정에 구축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비쿼터스에 의한 홈 오토메이션은 시스템 구축을 위한 비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구축을 위한 공사 등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새로이 건축되는 고가의 주택에만 제한적으로 이용될 뿐 기존의 일반 주택들에는 그 이용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739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갖는 스마트 단말기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전원의 on/off, 채널 및 음량 등이 조절되는 디지털 기기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또는 와이파이(Wi-Fi) 통신으로 연결되고 상기 디지털 기기와는 다수개의 적외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컨트롤부를 포함함으로써, 리모콘 대신에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중앙컨트롤부에 적외선 통신을 할 수 있는 엘이디(LED)를 다수 개 포함하여 광범위에서 적외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어하고자 하는 디지털 기기가 먼 거리에 있거나 실내의 사각지대에 있는 경우에도 원격제어가 가능할 수 있게 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본 출원인이 제안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에 의할 경우, 디지털기기의 조작을 위해 리모컨을 찾을 필요 없이 항상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킨 후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된 터치패널 등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가정 내의 디지털 기기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처럼 디지털 기기를 조작하는 수단으로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할 경우 리모컨을 찾지 않아도 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는 있으나, 스마트 단말기 사용자가 외출한 경우 디지털 기기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종전처럼 리모컨을 다시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스마트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지 않은 노인이나 어린이들의 경우 종전처럼 리모컨에 의존하지 않고는 디지털 기기를 조작할 수 없게 되어 종래와 마찬가지로 각 디지털 기기마다 리모컨을 비치해 놓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기기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외부에서도 디지털 기기의 조작이 가능할 수 있게 홈 오토메이션을 구현하더라도, 이는 스마트 단말기 소유자에게만 해당될 뿐, 모든 가족들에게 균등한 편의성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멀티 중계기를 독립적인 운영체제가 설치된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형성하고, 스마트 단말기 없이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입력부를 구비함으로써, 스마트 단말기가 없어도 실내에서 멀티 중계기만을 이용하여 디지털 기기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한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은,
홈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 단말기; 실내 또는 실외에서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실내의 영상이나 음성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며, 독자적인 운영체제와 입력수단이 구비된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멀티 중계기; 실내의 근거리 통신망에 의해 상기 멀티 중계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여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주변 영상이나 음성정보를 전송하는 멀티 IP 카메라; 및 상기 멀티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기기 제어신호를 근거리 통신망상에서 수신하고 IR 신호로 변환한 후 송출하여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는 IR 변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 생성부와,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디지털 기기의 구동신호를 상기 멀티 중계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제1중계기 통신부와, 디지털 기기들의 커스텀 코드와 데이터 코드 등을 포함하여 각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여러 제어명령의 코드들로 이루어진 리모컨 포맷이 저장되어 있는 리모컨 포맷 저장부, 및 상기 멀티 중계기를 통하여 전송되는 실내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시키는 영상표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한다.
이때, 상기 멀티 중계기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기기의 구동신호로 이루어진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멀티 IP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신호나 음성신호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로를 형성하는 스마트 통신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거나 독립적으로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멀티 IP 카메라로 전송하고 상기 멀티 IP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신호나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로를 형성하는 IP 카메라 통신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거나 독립적으로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IR 변환기로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로를 형성하는 IR 변환기 통신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의 제어신호 입력이 없어도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를 독자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운영체제가 구비된 독립구동부; 및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기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입력수단인 터치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독립구동부는,
상기 멀티 중계기 자체의 독자적인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는 제어부; 상기 터치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이나, 상기 제어부에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매크로 기능의 구현에 의해 디지털 기기의 구동신호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를 적외선 신호나 RF 신호로 변환하여 각 디지털 기기로 송출하는 신호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멀티 중계기를 독립적인 운영체제가 설치된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형성하고, 스마트 단말기 없이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입력부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에서 스마트 단말기에 의해 실내의 디지털 기기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스마트 단말기가 없어도 실내에서 멀티 중계기만을 이용하여 디지털 기기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위성 TV를 조작하는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냉방기를 조작하는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CD 플레이어를 조작하는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멀티 IP 카메라에서 디지털 기기 구동용 IR 신호를 생성하여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IP 변환기에서 디지털 기기 구동용 IR 신호를 생성하여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은, 홈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 단말기(100)와, 실내 또는 실외에서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실내의 영상이나 음성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멀티 중계기(200)와, 실내의 근거리 통신망에 의해 상기 멀티 중계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여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주변 영상이나 음성정보를 전송하는 멀티 IP 카메라(300)와, 상기 멀티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기기 제어신호를 근거리 통신망상에서 수신하고 IR 신호로 변환한 후 송출하여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는 IR 변환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100)는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 생성부(110)와,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디지털 기기의 구동신호를 상기 멀티 중계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제1중계기 통신부(120)와, 디지털 기기들의 커스텀 코드와 데이터 코드 등을 포함하여 각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여러 제어명령의 코드들로 이루어진 리모컨 포맷이 저장되어 있는 리모컨 포맷 저장부(130)와, 상기 멀티 중계기를 통하여 전송되는 실내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시키는 영상표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110)는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된 신호처리수단을 이용하여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중계기 통신부(120)는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된 와이파이 통신모듈이나 블루투스 통신모듈 등을 이용하여 상기 멀티 중계기(200)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 케이블에 의해 상기 멀티 중계기(200)에 연결되어 직렬 시리얼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리모컨 포맷 저장부(13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의 일정영역에 다양한 리모컨 포맷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영상표출부(140)는 상기 구동신호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영상을 스마트 단말기를 이루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와 제1중계기 통신부와 리모컨 포맷 저장부와 영상표출부는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운영체제와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디지털 기기를 제어함과 아울러 홈 오토메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 홈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가정 내의 디지털 기기를 조작하고자 할 경우, 홈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서 사용자가 조작하고자 하는 디지털 기기(600)를 선택하게 하고, 특정 디지털 기기를 선택하게 되면, 그 디지털 기기의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시키게 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TV를 선택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숫자 키와, 채널 및 음량 조절 버튼들이 스마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된다.
또한, 사용자가 냉방기인 에어컨을 선택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현재 온도와, 바람세기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버튼들이 스마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된다.
또한, 사용자가 음향기기인 CD 플레이어를 선택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되는 음악을 선곡할 수 있는 조절 버튼과 음량 조절 버튼들이 스마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된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통상적인 리모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현되는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스마트 단말기 자체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입력수단을 활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출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터치나 드래그 동작, 또는 직접적인 숫자 쓰기 등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사용자가 제어명령을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110)는 조작하고자 하는 디지털 기기(600)를 선택하고 선택된 디지털 기기의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스마트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시켜 활성화시킨 후,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매치되어 있는 제어신호인 디지털 기기의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멀티 중계기(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110)는 홈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입력하는 신호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기기의 커스텀 코드와 데이터 코드를 결합하여 디지털 기기 구동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는 리모컨 포맷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디지털 기기의 리모컨 포맷을 독출(READ)하고, 독출된 커스텀 코드와 데이터 코드 등으로 이루어진 리모컨 포맷에 기반하여 구동신호를 생성하게 되므로, 이러한 구동신호를 수신한 멀티 중계기(200)와 IR 변환기(400)에서도 해당 디지털 기기의 제어에 적합한 리모컨 포맷을 갖는 적외선 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중계기 통신부(120)는 스마트 단말기 사용자가 실내에 있을 경우에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상기 멀티 중계기(200)와의 구동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게 하며, 스마트 단말기 사용자가 실외에 있을 경우에는 와이파이 모듈을 통하여 상기 멀티 중계기(200)와의 구동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스마트 단말기 사용자가 실내에 있을 경우에는 데이터 케이블에 의해 상기 멀티 중계기에 연결되어 USB 단자 등 시리얼 통신방식에 의해 멀티 중계기(200)와의 구동신호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리모컨 포맷 저장부(130)는 디지털 기기에 따라 적합한 커스텀 코드와 데이터 코드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자 하는 디지털 기기들의 커스텀 코드와 데이터 코드 등을 포함하여 해당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여러 코드들로 이루어진 리모컨 포맷을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된 메모리의 일정 영역에 저장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리모컨 포맷 저장부는 홈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와 동시에 자동으로 저장되는 국내외 가전사에서 제조된 디지털 기기들의 커스텀 코드와 데이터 코드뿐만 아니라, 개별적으로 학습된 새로운 디지털기기들의 커스텀 코드와 데이터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일정 주기마다 서버(500)에 접속한 후 해당 서버로부터 디지털 기기들의 커스텀 코드와 데이터 코드를 다운받아 저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영상표출부(140)는 멀티 IP 카메라(300)에서 촬영된 후 상기 멀티 중계기(200)를 통하여 실내 영상이나 음성정보가 전송되면, 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시켜 사용자가 외부에서도 실내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예기치 못한 침입 등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영상표출부(140)는 멀티 중계기로부터 영상이 수신될 때마다 자동으로 홈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되게 함으로써, 예기치 못한 침입자의 출현을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홈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킨 후에 상기 멀티 중계기로 실내영상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면, 그러한 요청 신호에 의해 상기 멀티 중계기에서 멀티 IP 카메라로부터 실내 영상을 획득한 후 이를 스마트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함으로써, 스마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멀티 중계기(20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100), 멀티 IP 카메라(300) 및 IR 변환기(400)와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데이터 통신로를 형성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한 디지털 기기의 제어를 총괄하며, 상기 멀티 IP 카메라(300)로부터 획득한 영상과 음성을 외부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외부에서도 실내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외부에 있는 스마트 단말기와 실내에 있는 디지털 기기를 통신망상에서 상호 연계시킬 수 있는 일종의 관문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멀티 중계기(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기기의 구동신호로 이루어진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멀티 IP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신호나 음성신호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로를 형성하는 스마트 통신부(210)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거나 독립적으로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멀티 IP 카메라로 전송하고 상기 멀티 IP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신호나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로를 형성하는 IP 카메라 통신부(220)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거나 독립적으로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IR 변환기로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로를 형성하는 IR 변환기 통신부(230)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의 제어신호 입력이 없어도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를 독자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운영체제가 구비된 독립구동부(240)와, 사용자가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인 터치입력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 통신부(210)는 와이파이 통신망을 이용하여 외부에 있는 스마트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요청신호나 디지털 기기의 구동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와이파이 모듈과, 실내에 있는 스마트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기기의 구동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과, 실내에 있는 스마트 단말기와 데이터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어 시리얼 통신 방식에 의해 디지털 기기의 구동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USB 단자 등 시리얼 통신모듈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마트 통신부는 사용자의 이용편의를 위해 상기 와이파이 모듈과 블루투스 모듈과 시리얼 통신모듈이 모두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멀티 중계기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여러 통신 모듈 중 일부 모듈만이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IP 카메라 통신부(220)는 상기 멀티 IP 카메라(300)와의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디지털 기기의 구동신호로 이루어진 제어신호를 상기 멀티 중계기(200)에서 멀티 IP 카메라(300)로 전송하고, 상기 멀티 IP 카메라(300)에서 획득한 영상신호나 음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근거리에서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모듈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와이파이 통신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와이파이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IP 카메라 통신부는 같은 실내에 위치하는 멀티 중계기와 멀티 IP 카메라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것인바, USB 단자와 같은 시리얼 통신모듈에 의해 유선 통신망상에서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IR 변환기 통신부(23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거나 독립구동부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IR 변환기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멀티 중계기와 IR 변환기 간의 데이터 통신로를 형성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이나 와이파이 모듈 또는 시리얼 통신모듈 등 다양한 통신모듈에 의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멀티 중계기는 스마트 통신부와 IP 카메라 통신부 및 IR 변환기 통신부에 의해 실내뿐만 아니라 외부에 있는 스마트 단말기와 실내에 있는 멀티 IP 카메라 및 IR 변환부 간에 데이터 통신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기기 제어신호에 의해 실내에 있는 디지털 기기를 실외에서도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디지털 기기 자체에 홈 오토메이션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일반적인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면서도 홈 오토메이션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독립구동부(240)는 멀티 중계기 자체의 독자적인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는 제어부(242)와, 상기 터치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이나 상기 제어부에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매크로 기능의 구현에 의해 디지털 기기의 구동신호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244)와,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를 적외선 신호나 RF 신호로 변환하여 각 디지털 기기로 송출하는 신호변환부(2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42)는 멀티 중계기 자체를 구동하기 위한 안드로이드 기반의 운영체제가 설치된 임베디스 시스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에 설치되는 운영체제가 이에 제한되지 않고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개발되는 다양한 종류의 운영체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244)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와는 별도로 자체적으로 구비된 매크로 프로그램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기기 제어신호를 일정한 시간의 흐름 등에 의해 독립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매크로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입력부를 통하여 직접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의해 디지털 기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신호변환부(246)는 상기 매크로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거나 터치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의해 디지털 기기를 구동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신호변환부는 디지털 기기 제어신호를 일반적인 디지털 기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IR(Infra Red)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기기로 송출하는 제1IR 변환 송출부(247)와, RF(Radio Frequency) 신호나 직비(Zigbee)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RF 변환 송출부(2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에 따라, 기존의 직비(Zigbee) 통신기반의 제품들과 연동하는 홈 오토메이션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IR 변환 송출부는 다수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IR LED)가 방사형으로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입력부(250)는 상기 멀티 중계기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터치 LCD 패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터치입력부(250)는 상기 제어부 및 제어신호 생성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마트 단말기가 없을 경우에도 여러 종류의 디지털 기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직접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독립적인 운영체제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멀티 중계기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디지털 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스마트 단말기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이 터치입력부를 통하여 표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제어하고자 하는 디지털 기기들의 리모컨 포맷이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된 리모컨 포맷 저장부에 저장된 것처럼 저장되어 적합한 디지털 기기의 제어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리모컨 포맷은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서버로부터 다양한 리모컨 포맷을 다운로드 받아 지속적인 리모컨 포맷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멀티 중계기를 독립적인 운영체제가 설치된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형성하고, 스마트 단말기 없이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입력부를 구비함으로써, 스마트 단말기가 없거나 스마트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는 어린이나 노인들의 경우에도 멀티 중계기만을 이용하여 디지털 기기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멀티 중계기(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1마이크(280)와, 상기 제1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기기 조작을 위한 IR 또는 RF 형태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1음성명령처리부(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할 수 있는 제1마이크(280)와, 이러한 제1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명령을 인식하고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1음성명령처리부(260)가 더 포함됨으로써, 상기 스마트 단말기나 터치입력부를 통한 조작 없이도 ‘전등 꺼!, TV 켜!, 볼륨 올려!, 에어컨 꺼!, 오디오 켜!’와 같은 다양한 제어명령을 음성에 의해 멀티 중계기로 직접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멀티 중계기(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통신부를 통하여 스마트 단말기와의 사이에 형성된 데이터 통신로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통화처리부(2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마트 단말기(100)는 자체적으로 마이크와 음성신호 변환부가 구비되어 있는 스마트 단말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멀티 중계기(200)는 상기 제1마이크를 통하여 실내에 있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통화처리부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 후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 통신부를 통하여 획득한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하여 재생하여 음성통화가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독립구동부를 이루는 제어부(242)에는 상기 제1마이크(280)에서 획득한 음성신호를 변환하여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통신부(210)를 통하여 획득한 음성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1통화처리부(290)는 멀티 IP 카메라에 구비된 제2통화처리부(360)에 의해 동일 건물 내의 다른 섹터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와의 통화가 가능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IR 변환기에 구비된 제3통화처리부(440)에 의해 동일 건물 내의 다른 섹터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와도 통화가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멀티 중계기(200)에 사용자의 영상이나 주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제1카메라(270)가 설치되어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 통신부(210)를 통하여 격지의 스마트 단말기(100) 이용자와의 영상통화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멀티 중계기(200)에는 인체감지센서(205)가 더 구비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205)에서 감지신호가 인식될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 통신부(210)를 통하여 스마트 단말기(100)로 해당 감지신호나 주변의 영상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하여 방문자나 침입자의 등장 여부를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멀티 중계기(200)에 AP(Access Point) 기능을 부가하여 IP공유기로 활용할 수도 있다.
상기 멀티 IP 카메라(300)는 동일 건물 내의 여러 구역(섹터)에 분산 설치되어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2카메라(310)와, 주변의 음성을 획득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2마이크(320)와, 상기 멀티 중계기와의 데이터 통신로를 형성하여 상기 제2카메라나 제2마이크에서 획득한 영상신호나 음성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멀티 중계기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2중계기 통신부(330)와, 상기 제2중계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IR(적외선)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제2IR 변환 송출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카메라(310)는 고정된 방향만이 아니라 상기 멀티 중계기 등을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하면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회전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카메라 회전모듈에 의해 상기 제2카메라는 좌우 355°, 상하 100°에 이르는 범위까지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전방위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중계기 통신부(330)는 블루투스 모듈이나, 와이파이 모듈, 또는 시리얼 통신방식 등 상기 멀티 중계기(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한 근거리 통신모듈로 구성된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모듈에 의해 상기 멀티 IP 카메라에서는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멀티 중계기(200)로 전송하고, 상기 멀티 중계기(200)로부터 디지털 기기(60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멀티 IP 카메라(300)는 주변의 영상 획득을 위해 실내의 상부인 천정 등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바, 방사형으로 설치된 다수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IR LED)로 이루어진 상기 제2IR 변환 송출부에서 IR(적외선) 신호로 변환되어 송출되는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가 주변의 장애물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카메라(310)나 제2마이크(32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나 음성신호는 상기 멀티 중계기(200)로 전송된 후 스마트 통신부(210)를 통하여 격지의 스마트 단말기(100)로 전송된다. 이후, 상기 스마트 단말기(100)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를 수신한 멀티 중계기(200)에서 IP 카메라 통신부(220)를 통하여 해당 디지털 기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멀티 IP 카메라(300)는 상기 제2중계기 통신부(330)를 통하여 수신한 디지털 기기 제어신호를 상기 제2IR 변환 송출부에서 적외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의 디지털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마트 단말기 사용자는 실내의 상황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하면서 디지털 기기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어 격지에서도 홈 모니터링 및 그로 인한 홈 오토메이션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멀티 IP 카메라(300)는 상기 제2마이크(3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멀티 중계기(200)로 전송하는 제2음성명령처리부(3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음성명령처리부(350)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멀티 중계기(200)로 전송한 후, 상기 멀티 중계기(200)에서 생성된 후 전송되는 디지털 기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IR 변환 송출부(340)로 전송하여 디지털 기기(600)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각 가정이나 건물의 여러 방에서도 음성명령에 의해 디지털 기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멀티 IP 카메라(300)는 상기 제2중계기 통신부(330)를 통하여 상기 멀티 중계기(200)와의 사이에 형성된 데이터 통신로를 통하여 제2마이크(320)에서 획득한 음성신호를 송수신 하며 음성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제2통화처리부(36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멀티 IP 카메라(300)는 방문자나 침입자를 감지할 수 있는 인체감지센서(37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370)에서 감지신호가 인식될 경우에는 상기 멀티 중계기(200)를 통하여 스마트 단말기(100)로 해당 감지신호나 주변의 영상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하여 방문자나 침입자의 등장 여부를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R 변환기(400)는 상기 멀티 중계기로부터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로를 형성하는 제3중계기 통신부(410)와, 상기 제3중계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IR(적외선)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제3IR 변환 송출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에 위치하는 디지털 기기(60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중계기 통신부(410) 및 제3IR 변환 송출부(420)는 상기 멀티 IP 카메라에 구비된 제2중계기 통신부(330) 및 제2IR 변환 송출부(340)와 동일한 바 이하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IR 변환기(400)는 주변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제3마이크(430)와, 상기 제3중계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멀티 중계기와의 사이에 형성된 데이터 통신로를 통하여 제3마이크에서 획득한 음성신호를 송수신 하며 음성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제3통화처리부(44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에 의하여,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신호를 Wi-Fi 네트워크 망 또는 외부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멀티 중계기로 전달하여 멀티 중계기나 멀티 IP 카메라, 또는 IR 변환기를 통해 IR 또는 RF 신호로 변환하여 가전기기 및 각종 기기를 조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멀티 중계기에 구비된 터치입력부(Touch LCD)나 마이크를 이용하여 획득한 음성 신호를 IR 또는 RF 신호로 변환하여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 없이 가전기기 및 각종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멀티 중계기 간의 영상통화와 컨트롤 시스템의 카메라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 시 카메라를 통해 가전기기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방문자 및 침입자가 있을 때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로 알림 메시지를 보내고,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에서 컨트롤 시스템의 카메라와 마이크를 이용해 영상 및 음성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저장이 가능하다. 또한, 멀티 중계기는 무선 Access Point 로 기존의 무선공유기를 대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에 표출되는 가전기기 및 각종 기기 별 직관적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적용하여 간편하게 제품을 제어할 수 있으며, 멀티 중계기와 Wi-Fi 통신을 통하거나, 실외에서 무선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멀티 중계기로 접속하여 실내의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로 멀티 중계기나 멀티 IP카메라의 영상을 보며 기기의 제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멀티 IP,카메라의 카메라 회전 모터를 제어하여 주변의 영상을 확인하고, 인체감지센서로 감지된 방문자나 침입자가 있을 경우 어플리케이션으로 알림 메시지와 함께 영상 및 음성을 보거나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멀티 중계기는 가전기기 및 각종 기기의 제어를 목적으로 하는 Touch LCD 의 터치 또는 드래그, 음성 명령어를 멀티 중계기 단독 또는 멀티 IP 카메라, IR 변환기로 전송해 IR 또는 RF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Wi-Fi, 3G, 4G 등)로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받아 단독 또는 멀티 IP 카메라, IR 변환기로 전송해 가전기기 및 각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적외선 리모컨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또한,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해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영상통화가 가능하고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에서 영상과 음성으로 가전기기의 동작을 확인하며 조종할 수 있다. 서버에서 가전기기 별, 브랜드 별 리모컨 코드를 다운로드 받거나, 내장된 IR Receiver 로 적외선 리모컨 신호를 받아 리모컨 코드를 학습할 수 있다. 무선 공유기의 기능을 통합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며 내부 Wi-Fi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Wi-Fi를 통해 근거리에 있는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 멀티 IP카메라와 통신하며, Zigbee 를 통해 IR 변환기와 통신하고, 3G 또는 4G 등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다. 보안모드 또는 사용자 설정 시 영상 및 음성 정보를 자체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멀티 IP 카메라는 멀티 중계기와 Wi-Fi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멀티 중계기의 제어 신호를 IR 신호로 변환하여 가전기기 및 각종 기기를 제어한다. 음성으로 제어 명령어를 말하면 멀티 중계기로 음성 신호가 전송되며, 이는 리모컨 코드로 변환되어 멀티 IP 카메라로 재전송되어 가전기기 및 각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포함된 IP카메라와 마이크, 스피커를 통해 영상 및 음성을 확인하며 가전기기의 제어를 할 수 있고 음성통화(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에서는 영상통화)가 가능하며,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해 침입자 또는 방문자가 있을 경우 멀티 중계기를 거쳐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로 알림 메시지와 함께 영상 및 음성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IR 변환기는 멀티 중계기와 Zigbee 통신을 통해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의 가전기기 제어 신호를 IR 리모컨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주변 가전기기 및 각종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스마트 단말기 110 - 구동신호 생성부
120 - 제1중계기 통신부 130 - 리모컨 포맷 저장부
140 - 영상표출부 200 - 멀티 중계기
210 - 스마트 통신부 220 - IP 카메라 통신부
230 - IR 변환기 통신부 240 - 독립구동부
242 - 제어부 244 - 제어신호 생성부
246 - 신호변환부 247 - 제1IR 변환 송출부
248 - RF 변환 송출부 250 - 터치입력부
260 - 제1음성명령처리부 270 - 제1카메라
280 - 제1마이크 290 - 제1통화처리부
300 - 멀티 IP 카메라 310 - 제2카메라
320 - 제2마이크 330 - 제2중계기 통신부
340 - 제2IR 변환 송출부 350 - 제2음성명령처리부
360 - 제2통화처리부 400 - IR 변환기
410 - 제3중계기 통신부 420 - 제3IR 변환 송출부
430 - 제3마이크 440 - 제3통화처리부
500 - 서버 600 - 디지털 기기

Claims (10)

  1. 홈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 단말기;
    실내 또는 실외에서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실내의 영상이나 음성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며, 독자적인 운영체제와 입력수단이 구비된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멀티 중계기;
    실내의 근거리 통신망에 의해 상기 멀티 중계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여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주변 영상이나 음성정보를 전송하는 멀티 IP 카메라; 및
    상기 멀티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기기 제어신호를 근거리 통신망상에서 수신하고 IR 신호로 변환한 후 송출하여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는 IR 변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 생성부와,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디지털 기기의 구동신호를 상기 멀티 중계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제1중계기 통신부와, 디지털 기기들의 커스텀 코드와 데이터 코드 등을 포함하여 각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여러 제어명령의 코드들로 이루어진 리모컨 포맷이 저장되어 있는 리모컨 포맷 저장부, 및 상기 멀티 중계기를 통하여 전송되는 실내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시키는 영상표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중계기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기기의 구동신호로 이루어진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멀티 IP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신호나 음성신호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로를 형성하는 스마트 통신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거나 독립적으로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멀티 IP 카메라로 전송하고 상기 멀티 IP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신호나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로를 형성하는 IP 카메라 통신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거나 독립적으로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IR 변환기로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로를 형성하는 IR 변환기 통신부;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의 제어신호 입력이 없어도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를 독자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운영체제가 구비된 독립구동부; 및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기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입력수단인 터치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구동부는,
    상기 멀티 중계기 자체의 독자적인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는 제어부;
    상기 터치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이나, 상기 제어부에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매크로 기능의 구현에 의해 디지털 기기의 구동신호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를 적외선 신호나 RF 신호로 변환하여 각 디지털 기기로 송출하는 신호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변환부는,
    상기 디지털 기기 제어신호를 디지털 기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IR(Infra Red)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기기로 송출하는 제1IR 변환 송출부; 및
    상기 디지털 기기 제어신호를 RF(Radio Frequency) 신호나 직비(Zigbee)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RF 변환 송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중계기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1마이크; 및
    상기 제1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기기 조작을 위한 IR 또는 RF 형태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1음성명령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중계기는 상기 스마트 통신부를 통하여 스마트 단말기와의 사이에 형성된 데이터 통신로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통화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IP 카메라는,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2카메라;
    주변의 음성을 획득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2마이크;
    상기 멀티 중계기와의 데이터 통신로를 형성하여 상기 제2카메라나 제2마이크에서 획득한 영상신호나 음성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멀티 중계기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2중계기 통신부; 및
    상기 제2중계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IR(적외선)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제2IR 변환 송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IP 카메라는 상기 제2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멀티 중계기로 전송하는 제2음성명령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IP 카메라는 상기 제2중계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멀티 중계기와의 사이에 형성된 데이터 통신로를 통하여 제2마이크에서 획득한 음성신호를 송수신 하며 음성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제2통화처리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IR 변환기는,
    상기 멀티 중계기로부터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로를 형성하는 제3중계기 통신부;
    상기 제3중계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디지털 기기의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IR(적외선)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제3IR 변환 송출부;
    주변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제3마이크; 및
    상기 제3중계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멀티 중계기와의 사이에 형성된 데이터 통신로를 통하여 제3마이크에서 획득한 음성신호를 송수신 하며 음성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제3통화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
KR1020120061148A 2012-06-07 2012-06-07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 KR201301374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148A KR20130137490A (ko) 2012-06-07 2012-06-07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148A KR20130137490A (ko) 2012-06-07 2012-06-07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490A true KR20130137490A (ko) 2013-12-17

Family

ID=49983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148A KR20130137490A (ko) 2012-06-07 2012-06-07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74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6469A1 (ko) * 2016-02-22 2017-08-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동글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8663945A (zh) * 2018-06-08 2018-10-16 徐潇潇 基于物联网的智能家居控制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6469A1 (ko) * 2016-02-22 2017-08-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동글 및 그의 제어 방법
US11122147B2 (en) 2016-02-22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ng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8663945A (zh) * 2018-06-08 2018-10-16 徐潇潇 基于物联网的智能家居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403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ome device remotely in a home network system
TWI544778B (zh) 遠端門鈴控制系統及其智慧門鈴裝置
US8942694B2 (en) Digital device control system using smart phone
KR101623162B1 (ko) 통합 리모콘이 구비된 무선중계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
TWI411243B (zh) 用以控制場所內電子設備之遙控系統及閘道器裝置
EP3798685B1 (en) Systems and methods of ultrasonic sensing in smart devices
US20050267605A1 (en) Home entertainment, security, surveillance, and automation control system
KR101253148B1 (ko) 스마트폰과 중계 홈서버를 이용한 적외선 신호 학습이 가능한 디지털기기 제어시스템
JP2007324734A (ja) リモコン装置、制御装置、および制御システム
KR20080060869A (ko)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130080278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기기 제어 및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0493908Y1 (ko) 멀티-기능 리모컨
TWM449319U (zh) 遠端門鈴控制系統及其智慧門鈴裝置
KR101377065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130137490A (ko) 이동형 스마트 단말기와 터치 중계기를 이용한 디지털기기 제어 및 홈 컨트롤 시스템
JP4470650B2 (ja) ネットワーク制御端末機器
KR101402796B1 (ko) 중고휴대폰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원격제어 및 감시 방법
JP2004032540A (ja) ホーム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6145905B1 (ja) 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照明制御方法
KR20060007206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KR100545157B1 (ko) 유비쿼터스 통합컨트롤 시스템
KR200430353Y1 (ko) 적외선 신호 학습이 가능한 조명스위치를 이용한홈네트워크 시스템
KR100756358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45726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device configuration in a networked environment
US20170085777A1 (e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