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453A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453A
KR20130137453A KR1020120061085A KR20120061085A KR20130137453A KR 20130137453 A KR20130137453 A KR 20130137453A KR 1020120061085 A KR1020120061085 A KR 1020120061085A KR 20120061085 A KR20120061085 A KR 20120061085A KR 20130137453 A KR20130137453 A KR 20130137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t
message
chat room
item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7691B1 (ko
Inventor
김세호
박인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1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691B1/ko
Priority to US13/907,330 priority patent/US9632651B2/en
Publication of KR20130137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복수의 대화 참여자 간의 메시지 통신을 위한 복수의 대화방이 개설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대화방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목록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항목 중 제 1 항목이 제 2 항목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 1 항목에 대응하는 제 1 대화방의 대화 참여자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2 항목에 대응하는 제 2 대화방에 초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or 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개량에 힘입어, 이동 단말기는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대화 참여자 간의 메시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메시지 서비스를 전환해가면서 메시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은 사용자 입장에서 매우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대화 참여자 간의 메시지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복수의 대화 참여자 간의 메시지 통신을 위한 복수의 대화방이 개설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대화방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식별 항목을 포함하는 목록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식별 항목 중 제 1 식별 항목이 제 2 식별 항목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 1 식별 항목에 대응하는 제 1 대화방의 대화 참여자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2 식별 항목에 대응하는 제 2 대화방에 초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식별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별 항목에 대응하는 대화방의 대화 내용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대화방의 대화 내용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대화 참여자가 상기 제 2 대화방에 초대되는 경우, 상기 제 1 대화방의 대화 내용에서 상기 제 2 대화방의 대화 내용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별 항목에 대응하는 대화방의 대화 내용에서 다른 대화방의 대화 내용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별 항목에 대응하는 대화방에서 대화 참여자가 지정되는 경우, 상기 대화 내용에서 상기 지정된 대화 참여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발췌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화방은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개설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계정을 갖는 대화 참여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 중 다른 메시지 서비스의 선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메시지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다른 메시지 서비스에 대응하는 대화방을 개설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전송한 대화 참여자를 상기 다른 메시지 서비스에 대응하는 대화방에 초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대화방 각각에 대한 부가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복수의 대화방 각각에 대한 이용 메시지 서비스를 나타내는 출처 정보, 대화 참여자 정보 및 미확인 메시지의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확인 메시지의 개수 정보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팝업창을 생성하고, 상기 미확인 메시지를 상기 팝업창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어 방법은, 복수의 대화 참여자 간의 메시지 통신을 위한 복수의 대화방을 개설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대화방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식별 항목을 포함하는 목록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식별 항목 중 제 1 식별 항목이 제 2 식별 항목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 1 식별 항목에 대응하는 제 1 대화방의 대화 참여자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2 식별 항목에 대응하는 제 2 대화방에 초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식별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별 항목에 대응하는 대화방의 대화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 1 대화방의 대화 내용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대화 참여자가 상기 제 2 대화방에 초대되는 경우, 상기 제 1 대화방의 대화 내용에서 상기 제 2 대화방의 대화 내용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화방을 개설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대화방은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개설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계정을 갖는 대화 참여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 중 다른 메시지 서비스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메시지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다른 메시지 서비스에 대응하는 대화방을 개설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전송한 대화 참여자를 상기 다른 메시지 서비스에 대응하는 대화방에 초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복수의 대화방에 대한 목록 정보가 제공되고, 터치 입력에 의해 목록 정보의 식별 항목이 제어됨에 따라 대화 참여자의 초대 기능이 수행됨으로써, 복수의 대화 참여자 간의 메시지 통신을 위한 복수의 대화방을 관리함에 있어 사용자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메시지가 수신된 후에, 해당 발신자와 대화를 이어가기 위한 다른 메시지 서비스가 선택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 취향에 맞도록 메시지 서비스의 전환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통신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제어 방법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작동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어 방법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작동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화방의 대화 내용 전환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발췌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화인 메시지 표시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의 설정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필 정보의 설정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화방의 대화 내용 공유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해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터(navigato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들(110~190)에 대해 차례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것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카메라(121)에 의해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선택 모드 등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통화 모드에서 마이크(122)에 의해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가 입력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 및 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140)는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위치, 방위, 가속, 감속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감지부(140)는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감지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와 디스플레이부(151)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스크린’으로 호칭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것에 대응하는 신호들은 터치 제어기(미도시됨)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터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처리된 신호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감지 대상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감지 대상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근접 센서(141)로 분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감지 대상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감지 대상이 터치 스크린상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터치 스크린 상에 감지 대상이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의 유무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이러한 근접 터치 유무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에 출력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킨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촬영된 영상, 수신된 영상, UI 또는 GUI 등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또는 디스플레이 소자)는 그것을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할 수 있는데, 이러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본체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위치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선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 출력 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진동의 세기,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터치 스크린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에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라고 칭함)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상에서의 필기 입력 및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선택하는 패턴 선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들(processors), 제어기들(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들(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촉각을 이용하여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각 정보는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3차원 입체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고 호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과 입력창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출력창과 입력창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에는 전화 번호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가 출력될 수 있다. 소프트키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가 출력창에 표시된다. 조작 유닛이 조작되면 출력창에 표시된 전화 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되거나 출력창에 표시된 텍스트가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롤(scroll)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 및 터치 패드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실행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일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및 일 측면이 도시되고, 도 2b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및 타 측면이 도시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본체를 구비한다. 다만, 이동 단말기(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본체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본체,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 도 1 참조),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된 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위치하고, 타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 1 사용자 입력부(131) 및 마이크(122)가 위치한다. 제 2 사용자 입력부(132) 및 인터페이스(170)는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조작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또는 제 2 조작 유닛들(131, 132)은 다양한 명령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 2 조작 유닛(132)은 음향 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선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의 후면, 즉, 리어 케이스(102)에는 후면 카메라(121´)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후면 카메라(121´)는 전면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갖고, 전면 카메라(121)와 다른 화소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121)는 저 화소를 갖도록 구성되고, 후면 카메라(121´)는 고 화소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 통화 시에 전면 카메라(121)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대방에 전송하는 경우 전송 데이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반면, 후면 카메라(121´)는 고 화질의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들(121, 121´)은 회전 또는 팝업(pop-up) 되도록 단말기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 및 거울(124) 후면 카메라(121´)에 인접하는 곳에 추가 위치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사용자가 후면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낸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후면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는 경우, 사용자의 얼굴을 비춘다.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후면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 위치할 수 있다. 후면 음향 출력부(152´)는 전면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화 시에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는 통화를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 위치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구성하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본체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본체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 도 2a 참조)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드(135)에도 시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후면 디스플레이부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전면 디스플레이부(151) 및 후면 디스플레이부 양면에서 출력되는 정보는 터치 패드(13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대화 참여자 간의 메시지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 사용자 편의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대화 참여자란, 메시지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및 상대방의 단말기를 의미한다. 메시지 통신은 다양한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메시지 서비스는, 예를 들어, 실시간 채팅을 지원하는 서비스,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와 같은 문자 메시지 서비스, E-Mail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통신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대화 참여자 간의 메시지 통신을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이하, ‘대화 관리 애플리케이션’이라고 칭함)의 실행 시에, 디스플레이부(151, 도 1 참조)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영상(이하, ‘대화 관리 화면 영상’이라고 칭함)이 도시된다.
대화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다른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개설되는 복수의 대화방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화 관리 화면 영상은, 대화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목록 정보(210, 이하, ‘메시지 서비스 목록’이라고 칭함), 선택된 대화방의 대화 내용(221), 현재 개설된 복수의 대화방에 대한 목록 정보(230, 이하,‘대화방 목록’이라고 칭함), 가장 최근에 수신된 메시지(240), 메시지 입력창(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화 관리 화면 영상의 제 1 영역에는, 메시지 서비스 목록(210)이 배치될 수 있다. 메시지 서비스 목록(210)은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인디케이터(211~214)를 포함한다. 복수의 인디케이터(211~214) 중 현재 선택된 대화방(대화 내용이 표시되고 있는 대화방)에서 이용되는 메시지 서비스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는 다른 나머지 인디케이터와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인디케이터(211)가 현재 선택된 대화방의 메시지 서비스를 나타내는 경우, 색상, 밝기, 형태 등의 변경, 가장자리 강조, 깜빡거림 등의 그래픽 효과가 제 1 인디케이터(211)에 부여됨으로써, 제 1 인디케이터(211)는 나머지 제 2 내지 제 4 인디케이터(212~214)와 구분될 수 있다.
대화 관리 화면 영상의 제 2 영역에는, 대화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의 대화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대화방의 대화 내용(221)이 배치될 수 있다. 선택된 대화방의 대화 내용(221)은 각 대화 참여자의 메시지 및 프로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선택되지 않은 대화방의 대화 내용은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고, 대화 참여자 간의 대화가 백그라운드 작업(background task)으로 처리될 수 있다.
대화 관리 화면 영상의 제 3 영역에는, 대화방 목록(230)이 배치될 수 있다. 대화방 목록(230)은 복수의 대화방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항목(231~233)을 포함한다. 복수의 항목(231~233) 중 현재 선택된 대화방을 나타내는 항목은 다른 나머지 항목과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231)이 현재 선택된 대화방을 나타내는 경우, 색상, 밝기, 형태 등의 변경, 가장자리 강조, 깜빡거림 등의 그래픽 효과가 제 1 항목(231)에 부여됨으로써, 제 1 항목(231)은 나머지 제 2 및 제 3 항목(232, 233)과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각 항목은, 각 해당 대화방에 대한 부가 정보로서, 대화 참여자의 프로필 정보(예를 들어, 대표 참여자 정보, 참여 인원수 등), 이용 메시지 서비스를 나타내는 출처 정보(234), 미확인 메시지의 개수 정보(23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화 관리 화면 영상의 제 4 영역에는, 가장 최근에 수신된 메시지(240)가 배치될 수 있다. 가장 최근에 수신된 메시지(240)는 발신자의 프로필 정보(241), 해당 메시지 서비스를 나타내는 출처 정보(24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화 관리 화면 영상의 제 5 영역에는, 메시지 입력창(250)이 배치될 수 있다. 메시지 입력창(250)을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는 현재 선택된 대화방의 대화 참여자로 전송된다. 또한, 메시지가 입력됨에 따라 현재 선택된 대화방의 대화 내용(221)이 실시간으로 갱신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비록, 대화 관리 화면 영상의 제 1 내지 제 5 영역이 서로 구분되도록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각 영역은 다른 영역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대화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에, 복수의 대화 참여자 간의 메시지 통신을 위한 복수의 대화방을 개설하는 단계(S11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복수의 대화방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목록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120)가 수행된다.
이후, 목록 정보에서 복수의 항목 중 제 1 항목이 제 2 항목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가 수행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예: 드래그 제스처)에 의해 제 1 항목(또는 복제 항목)이 이동하여 제 2 항목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항목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경우, 제 1 대화방의 대화 참여자 중 적어도 일부를 제 2 대화방에 초대하는 단계(S140)가 수행된다. 여기서, 제 1 대화방은 제 1 항목에 대응하고, 제 2 대화방은 제 2 항목에 대응한다. 또한, 제 1 대화방의 대화 참여자 중 제 2 대화방에 대응하는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계정을 갖는 대화 참여자는 제 2 대화방으로 초대될 수 있으나, 제 2 대화방에 대응하는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계정을 갖지 않는 대화 참여자는 제 2 대화방으로의 초대가 배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 의하면, 복수의 대화방에 대한 목록 정보가 제공되고, 터치 입력에 의해 목록 정보의 항목이 제어됨에 따라 대화 참여자의 초대 기능이 수행됨으로써, 복수의 대화 참여자 간의 메시지 통신을 위한 복수의 대화방을 관리함에 있어 사용자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제어 방법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작동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대화방 목록(230)에서 제 1 대화방을 나타내는 제 1 항목(231)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 도 1 참조)는 제 1 대화방의 대화 내용(221)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드래그 제스처와 같은 터치 입력에 의해 제 1 항목(231)이 이동하여 제 2 대화방을 나타내는 제 2 항목(232)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 1 대화방의 대화 참여자 중 적어도 일부를 제 2 대화방에 초대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제어부(180)는 제 1 대화방의 각 대화 참여자가 제 2 대화방에 대응하는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계정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유효한 계정을 갖는 대화 참여자를 선별하여 제 2 대화방에 초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대화방이 서로 같은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개설되었다면, 제 1 대화방의 모든 대화 참여자가 제 2 대화방에 초대될 수 있다.
제 1 대화방의 대화 내용(221)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1 대화방의 적어도 일부의 대화 참여자가 제 2 대화방에 초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화면상에 표시되는 대화 내용을 제 1 대화방의 대화 내용(221)에서 제 2 대화방의 대화 내용(222)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는, 제 2 대화방이 선택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런 경우, 제어부(180)는 제 2 항목(232)을 제 1 및 제 3 항목(231, 233)과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 2 대화방에 초대된 대화 참여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대화방의 대화 내용(222)과 함께 “Jane님 외 3명이 초대되었습니다.”라는 안내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의 해제에 응답하여 제 2 항목(232)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었던 제 1 항목(231)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대화방 목록(230)에서 제 2 대화방을 나타내는 제 2 항목(231)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 2 대화방의 대화 내용(222)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드래그 제스처와 같은 터치 입력에 의해 제 1 항목(231)이 이동하여 제 2 대화방을 나타내는 제 2 항목(232)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 1 대화방의 대화 참여자 중 적어도 일부를 제 2 대화방에 초대할 수 있다.
제 1 대화방의 대화 참여자가 제 2 대화방에 초대될 때에 이미 제 2 대화방이 선택되어 있고, 해당 대화 내용(222)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대화방의 선택 변경 및 대화 내용의 전환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대화방의 대화 내용(222)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1 대화방의 적어도 일부의 대화 참여자가 제 2 대화방에 초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 2 대화방의 대화 내용(222)을 유지하고, 제 2 대화방에 초대된 대화 참여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5a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한 내용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계정을 갖는 대화 참여자로부터,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21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다른 메시지 서비스의 선택을 위한 메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220)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메시지 수신이 유료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이루어졌다면,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 중 무료 메시지 서비스를 검출하고, 이에 대한 선택 여부를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메뉴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후, 메뉴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메시지 서비스가 선택되면, 다른 메시지 서비스에 대응하는 대화방을 개설하는 단계(S23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어느 하나의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전송한 대화 참여자를 다른 메시지 서비스에 대응하는 대화방에 초대하는 단계(S240)가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메시지가 수신된 후에, 해당 발신자와 대화를 이어가기 위한 다른 메시지 서비스가 선택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 취향에 맞도록 메시지 서비스의 전환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제어 방법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작동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가장 최근에 수신된 메시지(24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신된 메시지(240)가 실시간으로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장 최근에 수신된 메시지(240)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메시지 서비스를 나타내는 출처 정보(242)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어느 하나의 메시지 서비스와 다른 메시지 서비스의 선택을 위한 메뉴 정보(26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메뉴 정보(260)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다른 메시지 서비스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다른 메시지 서비스에 대응하는 대화방을 개설하고, 수신된 메시지(240)를 전송한 대화 참여자를 개설된 대화방에 초대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어부(260)는 개설된 대화방의 대화 내용(223)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개설된 대화방의 대화 내용(223)은 가장 최근에 수신된 메시지(240) 및 해당 대화 참여자의 프로필 정보 등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개설된 대화방에 대응하는 항목(236)을 대화방 목록(240)에 추가할 수 있다. 이때, 개설된 대화방에 대응하는 항목(236)은 다른 항목(231, 232)과 구분되도록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개설된 대화방이 선택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260)는 다른 메시지 서비스, 다시 말해, 개설된 대화방에 대응하는 메시지 서비스의 선택에 응답하여 메시지 서비스 목록(210)에서 새롭게 선택된 메시지 서비스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212)를 강조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화방의 대화 내용 전환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 1 항목(231)이 선택되어 제 1 대화방의 대화 내용(221)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제 2 항목(232)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화면상에 표시되는 대화 내용을 제 1 대화방의 대화 내용(221)에서 제 2 대화방의 대화 내용(222)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이런 경우, 제어부(180)는 대화방 목록(230)에서 강조되는 항목을 제 1 항목(231)에서 제 2 항목(232)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선택된 대화방이 변경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 1 항목(231)이 선택되어 제 1 대화방의 대화 내용(221)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드래그 제스처, 플리킹 제스처와 같은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화면상에 표시되는 대화 내용을 제 1 대화방의 대화 내용(221)에서 제 2 대화방의 대화 내용(222)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발췌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선택된 항목(231)에 대응하는 대화방에서 대화 참여자의 프로필 정보(224)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해 대화 참여자가 지정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대화방의 대화 내용(221)에서 지정된 대화 참여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발췌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대화방의 대화 내용(221)에서 발췌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팝업창(225)이 해당 대화방의 대화 내용(221)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으나, 팝업창(225)이 표시된 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다른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팝업창(225)을 사라지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별도 화면 전환 없이 대화 관리 화면에서 특정 대화 참여자의 메시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발췌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팝업창(225)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터치 입력에 의해 팝업창(225)이 대화방 목록(230)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새로운 대화방을 개설하고, 이에 대응하는 항목(237)을 대화방 목록(230)에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지정된 대화 참여자는 개설된 대화방에 초대되고, 추가된 항목(237)은 지정된 대화 참여자(초대된 대화 참여자)의 프로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추가된 항목(237)이 대화방 목록(230)의 일정 영역을 차지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항목(233)이 사라지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화인 메시지 표시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대화방의 부가 정보로서 미확인 메시지의 개수 정보(235)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팝업창(226)을 생성하고, 해당 대화방의 미확인 메시지를 팝업창(226)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대화방의 대화 내용(221)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3 대화방의 미확인 메시지의 개수 정보(235)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 3 대화방의 미확인 메시지를 포함하는 팝업창(226)이 제 1 대화방의 대화 내용(221)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미확인 메시지를 포함하는 팝업창(226)이 표시됨에 따라 미확인 메시지의 개수 정보(235)를 사라지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팝업창(226)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화면상에 표시되는 대화 내용을 제 1 대화방의 대화 내용(221)에서 팝업창(226)의 미확인 메시지가 발생했던 제 3 대화방의 대화 내용(227)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이런 경우, 제어부(180)는 대화방 목록(230)에서 강조되는 항목을 제 1 항목(231)에서 제 3 항목(233)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선택된 대화방이 변경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의 설정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메시지 서비스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설정 화면 영상(310)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설정 화면 영상(310)은 메시지 서비스 목록(311), SNS 목록(312), 체크 박스(313), 메뉴 버튼(3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대화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호환되는 메시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메시지 서비스 목록(311)에 추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대화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호환되는 SNS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SNS 목록(311)에 추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체크 박스(313)에서 체크 마크의 표시 여부에 따라 해당 메시지 서비스 또는 SNS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자동으로 검색되지 않는 메시지 서비스 또는 SNS는 수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해, 계속해서 도 11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메시지 서비스 또는 SNS를 추가 설정하기 위한 메뉴 버튼(314)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홈스크린 영상(320)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홈스크린 영상(320)은 이동 단말기(100)에 탑재되어 있는 메시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또는 SNS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321),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객체(3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드래그 제스처와 같은 터치 입력에 의해 아이콘(321)(또는 복제 아이콘)이 이동하여 수용 객체(322) 내에 위치하면, 제어부(180)는 수용 객체(322)에 놓인 아이콘(321)에 대응하는 메시지 서비스 또는 SNS를 메시지 서비스 목록(311) 또는 SNS 목록(312)에 추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필 정보의 설정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 화면 영상(410)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편집 화면 영상(410)에서 사용자 프로필 정보가 편집된 후에 편집 완료를 위한 메뉴 버튼(411)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메시지 서비스 또는 SNS에 대한 목록 정보(42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체크 박스(421)에서 체크 마크의 표시 여부에 따라 해당 메시지 서비스 또는 SNS에 편집된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적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다수의 메시지 서비스 또는 SNS에 대해 일일이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편집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화방의 대화 내용 공유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대화방의 대화 내용(221)에 대한 제 1 터치 입력(예: 롱-프레스 제스처)에 응답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연동하는 SNS 또는 외부 기기에 대한 목록 정보(51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목록 정보(510)는 복수의 SNS 항목(511, 512) 및 복수의 외부 기기 항목(513~5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대화방의 대화 내용(221)에서 시작하여 목록 정보(510)의 항목 중 어느 하나에서 종료되는 제 2 터치 입력(예: 드래그 제스처)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SNS의 서버 또는 외부 기기로 대화방의 대화 내용(221)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복수의 대화 참여자 간의 메시지 통신을 위한 복수의 대화방이 개설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대화방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목록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항목 중 제 1 항목이 제 2 항목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 1 항목에 대응하는 제 1 대화방의 대화 참여자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2 항목에 대응하는 제 2 대화방에 초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대화방의 대화 내용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대화방의 대화 내용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대화 참여자가 상기 제 2 대화방에 초대되는 경우, 상기 제 1 대화방의 대화 내용에서 상기 제 2 대화방의 대화 내용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대화방의 대화 내용에서 다른 대화방의 대화 내용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대화방에서 대화 참여자가 지정되는 경우, 상기 대화 내용에서 상기 지정된 대화 참여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발췌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화방은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개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계정을 갖는 대화 참여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 중 다른 메시지 서비스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다른 메시지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다른 메시지 서비스에 대응하는 대화방을 개설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전송한 대화 참여자를 상기 다른 메시지 서비스에 대응하는 대화방에 초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대화방 각각에 대한 부가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복수의 대화방 각각에 대한 이용 메시지 서비스를 나타내는 출처 정보, 대화 참여자 정보 및 미확인 메시지의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확인 메시지의 개수 정보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팝업창을 생성하고, 상기 미확인 메시지를 상기 팝업창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11.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대화 참여자 간의 메시지 통신을 위한 복수의 대화방을 개설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대화방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목록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항목 중 제 1 항목이 제 2 항목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 1 항목에 대응하는 제 1 대화방의 대화 참여자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2 항목에 대응하는 제 2 대화방에 초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대화방의 대화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화방의 대화 내용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대화 참여자가 상기 제 2 대화방에 초대되는 경우, 상기 제 1 대화방의 대화 내용에서 상기 제 2 대화방의 대화 내용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화방을 개설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대화방은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개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계정을 갖는 대화 참여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메시지 서비스 중 다른 메시지 서비스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메시지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다른 메시지 서비스에 대응하는 대화방을 개설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전송한 대화 참여자를 상기 다른 메시지 서비스에 대응하는 대화방에 초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20061085A 2012-06-07 2012-06-07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17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085A KR101917691B1 (ko) 2012-06-07 2012-06-07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13/907,330 US9632651B2 (en) 2012-06-07 2013-05-31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085A KR101917691B1 (ko) 2012-06-07 2012-06-07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453A true KR20130137453A (ko) 2013-12-17
KR101917691B1 KR101917691B1 (ko) 2018-11-13

Family

ID=49716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085A KR101917691B1 (ko) 2012-06-07 2012-06-07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32651B2 (ko)
KR (1) KR10191769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10893A (ja) * 2014-03-17 2017-04-13 株式会社カカオKakao Corp. 抽出されたメッセージをチャットウィンドウに区別して表示するメッセージ表示方法、前記方法を行う移動端末及びチャットサーバ
KR20170045257A (ko) * 2014-08-15 2017-04-26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메시지 대화 이력의 신속 내비게이션
WO2017175951A1 (ko) * 2016-04-05 2017-10-12 주식회사 트위니 채팅 리스트 제공 사용자 단말 및 그 제공 방법
KR20190095676A (ko) * 2018-02-07 2019-08-16 주식회사 트위니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및 방법
KR20190134306A (ko) * 2018-05-25 2019-12-0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대화수단을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16195B1 (en) 2014-03-03 2019-09-1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845982B2 (en) * 2014-04-28 2020-11-24 Facebook, Inc. Providing intelligent transcriptions of sound messages in a messaging application
KR102114201B1 (ko) * 2014-04-29 2020-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메시지처리 방법
KR20150134949A (ko) * 2014-05-23 201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09915A (ko) * 2014-07-17 2016-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250777B1 (ko) * 2014-10-21 2021-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4580691B (zh) * 2014-12-02 2018-06-1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短信删除方法及终端
EP3104263A1 (en) * 2015-06-12 2016-12-14 Orange Improved messaging service
CN108008869A (zh) * 2016-10-31 2018-05-08 南宁富桂精密工业有限公司 在单页面上切换不同会话窗口的方法和系统
CN110472950A (zh) * 2018-05-09 2019-11-1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和服务器以及移动终端
KR102108328B1 (ko) * 2018-10-26 2020-05-08 주식회사 카카오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CN109495643B (zh) * 2018-10-29 2021-01-0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对象多聊天框设置方法及终端
KR20210116865A (ko) * 2020-03-18 2021-09-28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U2020239811B2 (en) 2020-06-09 2022-05-19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essages
US20240012929A1 (en) * 2022-07-06 2024-01-11 Snap Inc. Obscuring elements based on browser focus
US20240012930A1 (en) * 2022-07-06 2024-01-11 Snap Inc. Obscuring elements based on user inpu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4822A1 (en) * 2002-08-01 2004-02-05 Werndorfer Scott M.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udio and graphical animations in an instant messaging environment
US7921160B2 (en) * 2002-09-17 2011-04-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nitiating instant messaging (IM) chat sessions from email messages
US7213206B2 (en) * 2003-09-09 2007-05-01 Fogg Brian J Relationship user interface
US8255835B2 (en) * 2004-02-24 2012-08-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unread electronic messages
US7886024B2 (en) * 2004-07-01 2011-02-08 Microsoft Corporation Sharing media objects in a network
GB2420880A (en) * 2004-11-26 2006-06-07 Ibm Inhibiting overlooking notifications in applications
US20080028031A1 (en) * 2006-07-25 2008-01-31 Byron Lewis Bailey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nstant messaging
US20080250332A1 (en) * 2006-12-29 2008-10-09 Ecirkit Social networking website interface
US8006193B2 (en) * 2007-10-03 2011-08-23 Microsoft Corporation Web service user experience without upfront storage expense
JP5031588B2 (ja) * 2008-01-07 2012-09-1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552309B1 (ko) * 2009-02-11 2015-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8370762B2 (en) * 2009-04-10 2013-02-05 Cellco Partnership Mobile functional icon use in operational area in touch panel devices
WO2012109657A2 (en) * 2011-02-11 2012-08-16 Ari Backholm Automatic provisioning of instant messaging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10893A (ja) * 2014-03-17 2017-04-13 株式会社カカオKakao Corp. 抽出されたメッセージをチャットウィンドウに区別して表示するメッセージ表示方法、前記方法を行う移動端末及びチャットサーバ
KR20170045257A (ko) * 2014-08-15 2017-04-26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메시지 대화 이력의 신속 내비게이션
WO2017175951A1 (ko) * 2016-04-05 2017-10-12 주식회사 트위니 채팅 리스트 제공 사용자 단말 및 그 제공 방법
KR20190095676A (ko) * 2018-02-07 2019-08-16 주식회사 트위니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및 방법
KR20190134306A (ko) * 2018-05-25 2019-12-0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대화수단을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32651B2 (en) 2017-04-25
KR101917691B1 (ko) 2018-11-13
US20130332870A1 (en)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69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30316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91768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77297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8745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9067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10191769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3012730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0171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음성 인식 방법
KR20100054369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13493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20140075332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1610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12784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0093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30316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6113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2532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176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58666B1 (ko) 이동 단말기
KR1018212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리스트 표시 방법
KR1019062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26804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7052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7895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