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6748A - A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A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6748A
KR20130136748A KR1020120060405A KR20120060405A KR20130136748A KR 20130136748 A KR20130136748 A KR 20130136748A KR 1020120060405 A KR1020120060405 A KR 1020120060405A KR 20120060405 A KR20120060405 A KR 20120060405A KR 20130136748 A KR20130136748 A KR 20130136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ator
water
drum
washing machine
wat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4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20663B1 (en
Inventor
이규범
김영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0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663B1/en
Priority to BR112014030432-7A priority patent/BR112014030432B1/en
Priority to US13/910,687 priority patent/US9587336B2/en
Priority to AU2013272445A priority patent/AU2013272445B2/en
Priority to CN201380035868.9A priority patent/CN104428458B/en
Priority to PCT/KR2013/004960 priority patent/WO2013183936A1/en
Publication of KR20130136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7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6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tub for receiving washing water; a drum which is arranged inside the tub to be able to rotate and which receives laundries; a pulsator which is arranged inside the drum to be able to rotate, and which has an outlet; a water flow forming unit which is arranged under the pulsator and which circulates the washing water received between the tub and the drum to form water flow erupted through the outlet; a filter cap for collecting foreign materials from the washing water erupted through the outlet; and a check valve for opening the outlet using the water flow formed by the water flow forming unit.

Description

세탁기{A WASHING MACHINE}Washing machine {A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와 세탁수 및 세탁 대상물이 드럼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펄세이터의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수류를 형성하여 드럼 내의 세탁 대상물을 강제적으로 유동시킨다. 그에 따라 세탁 대상물이 마찰 또는 충격과 같은 물리적 작용을 받아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세제를 세탁 대상물에 접촉시켜 화학적인 작용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나아가, 세탁 대상물의 드럼 내부에서의 유동에 의해 세제의 화학적 작용이 촉진되도록 한다.In general, a washing machine is a state in which detergent, washing water, and a laundry object are put into a drum, and a water flow is forcibly formed by using a mechanical force of a rotating pulsator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to force the washing object in the drum. Accordingly, the laundry object is subjected to the physical action such as friction or impact to wash. In addition, the detergen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aundry to be washed by a chemical action. Furthermore, the chemical action of the detergent is promoted by the flow inside the drum of the laundry object.

펄세이터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정역회전을 통해 드럼 내부에 다양한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수류를 보다 강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펄세이터에서 수류가 분출되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하기도 한다.The pulsator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and can form various water flows inside the drum through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Furthermore, in order to form such water flow more strongly, it may be provided with a means which allows water flow to be ejected from a pulsator.

이러한 펄세이터를 통한 수류의 분출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회전하는 펄세이터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수류를 형성하고 이를 분출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수류가 회전 성향을 갖으며 분출되기 때문에 충분한 분출압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The jet of water flow through this pulsator can be accomplished by a variety of methods. For example, there is a method of forming a water stream using a centrifugal force of a rotating pulsator and ejecting it.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ufficient jet pressure because the water flow is ejected with a rotational tendency.

한편, 별도의 팬(fan)을 펄세이터에 구비하여 수류를 분출하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별도의 팬을 구비하는 방법은 펄세이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여전히 수류가 회전 성향을 갖고 분출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lso a method of providing a separate fan (fan) in the pulsator to eject the water flow. However, the method having a separate fan ha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pulsator is complicated, and the water flow is still ejected with a rotational tendency.

상기 어느 경우이든 세탁수는 펄세이터와 드럼 사이를 순환 하면서 유동하는 특성을 갖게 되기 때문에, 세탁이 진행될수록 세탁물로부터 이탈된 오염물, 린트(lint) 등으로 인하여 세탁수 중에 부유하는 이물질의 양이 늘어나게 되어, 이를 적절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 세탁수 유동 경로의 폐색(閉塞), 세탁물의 재 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ny case, the wash water has a characteristic of flowing while circulating between the pulsator and the drum, and as the washing proceeds, the amount of foreign matter suspended in the wash water increases due to contaminants, lints, etc. If not properly removed, problems such as blockage of the wash water flow path, recontamination of laundry, and the like may occu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펄세이터를 통해 수류를 분출하는 과정에서 세탁수 중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채집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that can collect the foreign matter floating in the wash water in the process of ejecting the water flow through the pulsator.

또한, 본 발명은 강한 분출압의 수류를 형성하여 드럼 내부의 세탁수의 수위를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세탁수를 적게 사용하면서도 세탁물의 마모를 줄일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forming a stream of strong jet pressure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wash water in the drum to reduce the wear of the laundry while using less wash water.

또한, 본 발명은 펄세이터에서 분출되는 수류에 의해 세탁물의 꼬임을 풀어줄 수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releasing the twist of the laundry by the water flow ejected from the pulsator.

또한, 본 발명은 강한 분출압의 수류를 형성하여 드럼 내부에 투입된 세제의 순환을 보다 원할하게 하여 세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that can improve the washing performance by forming a stream of strong jet pressure to smooth the circulation of detergent injected into the drum.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탁수가 담기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분출구가 형성된 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와 드럼 사이에 담긴 세탁수를 순환시켜 상기 분출구를 통해 분출되는 수류를 형성하는 수류형성수단; 상기 분출구를 통해 분출된 세탁수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채집하는 필터 캡; 및 상기 수류형성수단에 의해 형성된 수류에 의해 상기 분출구를 개방시키는 체크밸브를 포함한다.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ub containing wash water;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and receiving laundry; A pulsator rotatably provided in the drum and having a jet port; A water flow forming means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pulsator and circulating the wash water contained between the tub and the drum to form a water stream ejected through the jet port; A filter cap collecting foreign matter suspended in the washing water jetted through the jet port; And a check valve for opening the jet port by the water flow formed by the water flow forming means.

본 발명의 세탁기는 펄세이터를 통해 수류를 분출하는 과정에서 세탁수 중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채집함으로써 세탁수 유동 경로의 폐색 및 세탁물의 재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blockage of the wash water flow path and the re-contamination of the laundry by collecting the foreign matter suspended in the wash water in the process of ejecting the water flow through the pulsator.

본 발명의 세탁기는 펄세이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도 강한 분출압을 가지는 분출 수류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pulsator and forming a jet stream having a strong jet pressure.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세탁기는 강한 분출압의 수류를 형성하여 드럼 내부의 세탁수의 수위를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세탁수를 적게 사용하면서도 세탁물의 마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erefore,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ducing the wear of the laundry while using less wash water by forming a strong jet pressure flow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wash water in the drum.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탁물의 꼬임을 풀어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leasing the twist of the laundry.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는 강한 분출압의 수류를 형성하여 드럼 내부에 투입된 세제의 순환을 보다 원할하게 하여 세탁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washing performance by forming a stream of strong jet pressure to smooth the circulation of the detergent injected into the dru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일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펄세이터를 통해 수류를 분출시키는데 관여하는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일부 구성들을 하측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원심블레이드부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2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것으로 펄세이터의 분출구가 체크밸브에 의해 폐쇄된 상태(a)와 개방된 상태(b)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한 드럼 내부의 수위선과 펄세이터의 수류 분출작용에 의해 보완된 드럼 내부의 수위선을 비교한 개략도이다.
도 8은 펄세이터를 통해 수류가 분출되는 과정 중의 세탁수의 순환경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는 펄세이터를 통해 수류가 분출되는 과정에서 원주방향으로 가압되는 수류의 경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and illustrates components involved in ejecting water flow through a pulsator.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FIG. 4 is a view of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from below.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ntrifugal blade unit shown in FIG. 4.
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2, illustrating a state (a) and an open state (b) of the pulsator outlet being closed by a check valve.
7 is a schematic diagram comparing the level line inside the drum due to the rotation of the pulsator and the level line inside the drum complemented by the water jetting action of the pulsator.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irculation path of the wash water during the flow of water flow through the pulsator.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ath of the water flow circumferentially pressurized in the course of the jet of water flow through the pulsator.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일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펄세이터를 통해 수류를 분출시키는데 관여하는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일부 구성들을 하측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원심블레이드부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2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것으로 펄세이터의 분출구가 체크밸브에 의해 폐쇄된 상태(a)와 개방된 상태(b)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and illustrates components involved in ejecting water flow through a pulsator.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FIG. 4 is a view of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from below.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ntrifugal blade unit shown in FIG. 4. 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2, illustrating a state (a) and an open state (b) of the pulsator outlet being closed by a check valve.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또는 케비넷의 내부에 터브(20)를 구비하고, 터브(20) 내부에는 드럼(3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1 to 2,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 20 inside a main body 10 or a cabinet forming an appearance, and a drum 30 inside the tub 20. This is rotatably provided.

본체(10)는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직육면체의 통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본체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외관을 형성할 수만 있으면 직육면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main body 10 forms the exterior of the washing machine and is formed to have a tubular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owever, the shape of the main body is merely exemplary and is not limited to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as long as it can form an appearance.

본체(10)의 상부에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도어(15)가 구비되어 있다. 터브(20)에는 세탁수가 담기고, 서스펜션 바(40)에 의해 본체(10)의 내부에 현가 지지되어 있다.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door 15 to allow the laundry to enter and exit. Washing water is contained in the tub 20, and the suspension bar 40 supports the suspension inside the main body 10.

드럼(30)은 세탁물을 수용하는 것으로,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드럼(30)의 하부에는 펄세이터(6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drum 30 accommodates laundry and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tub 20. The pulsator 60 is rotatably provided below the drum 30.

구동모터(50)는 드럼(30) 및/또는 펄세이터(60)를 회전 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동모터(50)는 터브(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구동모터(50)는 그 회전축이 드럼(30) 또는 펄세이터(60)의 회전 중심과 동일 선상에 정렬되어 드럼(30) 및/또는 펄세이터(6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직접구동방식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하지 않고,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밸트나 풀리 등의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전달하여 드럼(30) 및/또는 펄세이터(60)를 구동시키는 간접구동방식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drive motor 50 is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for rotating the drum 30 and / or the pulsator 60. The drive motor 50 may be disposed below the tub 20. Hereinafter, the drive motor 50 is a direct drive system in which the rotation axis thereof is aligned with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drum 30 or the pulsator 60 so as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drum 30 and / or the pulsator 60. It will be described as, but not limited to, it is also possible to indirectly drive the driving force of the drum 30 and / or the pulsator 60 b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means such as a belt or pulley, of course. .

구동모터(50)는 코어와 상기 코어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유도 기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의 회전에 의해 펄세이터(60)를 회전시키는 세탁축(52) 또는 드럼(30)을 회전시키는 탈수축(51)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로터와 세탁축(52)은 항시 일체로 회전되지만, 탈수축(51)의 회전은 상기 로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클러치(미도시)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클러치는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로터와 선택적으로 치합됨으로써 로터의 회전력을 탈수축(51)에 전달한다.The drive motor 50 may include a rotor rotated by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acting between the core and the core. The washing shaft 52 for rotating the pulsator 60 or the dehydration shaft 51 for rotating the drum 30 may b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or. The rotor and washing shaft 52 are always rotated integrally, but the rotation of the dehydration shaft 51 is made by the operation of a clutch (not shown)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or. The clutch i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rotor by vertical movement, thereb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or to the dewatering shaft 51.

펄세이터(60)는 드럼(3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펄세이터(60)는 다수개의 날개형상을 구비하고 있어서 회전에 의해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펄세이터(60)의 중심부에는 수류형성수단에 의해 형성된 수류가 드럼(30) 내부로 분출될 수 있도록 분출구(61a)가 형성된다. 상기 수류형성수단은 펄세이터(60)의 하측에 구비되고, 터브(20)와 드럼(30) 사이에 담긴 세탁수를 순환시켜 분출구(61h)를 통해 분출시킨다.The pulsator 60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drum 30. The pulsator 60 has a plurality of wing shapes, and can form water flow by rotation. A jet port 61a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ulsator 60 so that the stream of water formed by the stream forming means can be jetted into the drum 30. The water flow forming means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ulsator 60, circulates the wash water contained between the tub 20 and the drum 30 to eject through the jet port (61h).

상기 수류생성수단은 펄세이터(6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터브(20)와 드럼(30) 사이로부터 유입된 세탁수를 분출시키는 원심블레이드부(80)와, 원심블레이드부(80)의 회전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원심블레이드부(80)에 의해 분출된 세탁수를 펄세이터(60)의 분출구(61h)로 유도하는 가이드부(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flow generating means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pulsator 60,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for ejecting the wash water introduced from between the tub 20 and the drum 30 by the centrifugal force during rotation and It is provided independent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and includes a guide portion 70 for guiding the washing water jetted by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to the jet port (61h) of the pulsator 60 Can be.

분출구(61h)를 통해 분출된 세탁수에 부유하는 이물질은 필터 캡(64)을 통과하며 채집된다. 필터 캡(64)에는 다수개의 통공(64h)이 형성될 수 있다. 분출구(61h)를 통해 분출된 세탁수가 통공(64h)을 통과하는 중에, 통공(64h)보다 크기가 큰 이물질이 걸러진다.The foreign matter suspended in the washing water jetted through the jet port (61h) is collec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cap (64).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64h may be formed in the filter cap 64. While the washing water sprayed through the jet port 61h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64h, foreign matter larger in size than the through hole 64h is filtered out.

도 6을 참조하면, 펄세이터(60)는 수류형성수단에 의해 압송된 세탁수, 즉 가이드부(70)의 토출구(72)를 통해 토출된 세탁수를 펄세이터(60)의 분출구(61h)측으로 유도하는 유로(61a)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6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pulsator 60 discharges the wash water pumped by the water flow forming means, that is, the wash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72 of the guide unit 70, and the jet port 61h of the pulsator 60. It may include a flow path forming portion 62 to form a flow path (61a) to guide to the side.

체크밸브는 수류형성수단의 작용에 의해 형성된 수류에 의해 분출구(61h)를 개방시킨다. 즉, 원심블레이브부(80)의 회전 시 유로(61a)를 따라 유도되는 수류가 형성되고, 그로부터 가해지는 수압에 의해 체크밸브가 개방된다. 이러한, 체크밸브는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고, 본 실시예는, 체크밸브(66)가 필터 캡(64) 내에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하강 위치에서는 분출구(61h)를 폐쇄시키고, 수압에 의해 상승된 위치에서는 분출구(61h)를 개방시킨다. 체크밸브(66)는 원심블레이드부(80)가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분출구(61h)를 폐쇄시키고 있어야 하며, 필터 캡(64)의 통공(64h)을 통해 세탁수가 필터 캡(64) 내측으로 유입된 상태에서도 분출구(61h)를 폐쇄시키고 있어야 하는 바, 세탁수보다 비중이 클 것이 요구되고, 특히 하강 동작 시 후술하는 안착홈(61)에 원활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체크밸브는 이러한 구성에 한하지 않고 다른 실시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체크밸브가 필터 캡(64)내에 피봇(pivot)되도록 구비되어 수압에 따라 분출구(61h)를 여닫는 구조도 가능하다.The check valve opens the jet port 61h by the water flow formed by the action of the water flow forming means. That is, the water flow guided along the flow path 61a is formed when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rotates, and the check valve is opened by the water pressure applied therefrom. Such a check valve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In this embodiment, the check valve 66 is provided so that the filter valve 64 can move up and down, and closes the jet port 61h in the lowered position, and is raised by water pressure. In the position, the ejection opening 61h is opened. The check valve 66 should close the spout 61h when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is not rotated, and wash water flows into the filter cap 64 through the opening 64h of the filter cap 64. Even in a closed state, the ejection opening 61h should be closed, and it is required to have a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that of the washing water, and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be smoothly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61 to be described later during the lowering operation. . However, the check valve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nd other implementations may be possible. For example, the check valve may be pivoted in the filter cap 64 to open and close the jet port 61h according to the water pressure. .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펄세이터(60)의 중심부는 구동모터(50)의 구동축 중 세탁축(52)이 삽입되는 허브(63)가 형성되고, 유로형성부(62) 내측에 형성된 유로(61a)는 허브(63) 둘레를 따라 연장된 환형을 이룬다. 따라서, 유로(61a)의 출구를 이루는 분출구(61h)는 유로(62a)와 마찬가지로 환형을 이룬다.Referring back to FIG. 6, a hub 63 into which the washing shaft 52 is inserted among the driving shafts of the driving motor 5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ulsator 60, and a flow path formed inside the flow path forming part 62. 61a) has an annular extension extending around the hub 63. Therefore, the jet port 61h which forms the exit of the flow path 61a is annular like the flow path 62a.

유로형성부(62)는 분출구(61h)의 주변으로 체크밸브(66)가 안착되는 안착홈(61)이 형성된다. 체크밸브(66)는 하강위치에서 안착홈(61)에 안착됨으로써 그 움직임이 제한되고, 안정적으로 분출구(61h)가 폐쇄된다. 특히, 체크밸브(66)는 안착홈(61) 내로 수용이 이루어지는 외측 둘레를 따라 외측 경사면(66a)이 형성되고, 안착홈(61)에는 외측 경사면(66a)에 대응하는 외측 안착면(61a)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외측 경사면(66a) 뿐만 아니라, 체크밸브(66)의 개구된 중앙부의 둘레, 즉 내측 둘레를 따라 내측 경사면(66b)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안착홈(61)에도 내측 경사면(66b)에 대응하는 외측 안착면(61b)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외측 경사면(66a)과 내측 경사면(66b)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배를 이룸으로써, 체크밸브(66)의 하강 동작 시 안착홈(61) 내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분출구(61h)를 보다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다.The flow path forming part 62 has a seating groove 61 in which the check valve 66 is seated around the jet port 61h. Since the check valve 66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61 in the lowered position, its movement is limited, and the ejection opening 61h is closed stably. In particular, the check valve 66 has an outer inclined surface 66a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ceiving groove 61 into the receiving groove 61, and the outer recessed surface 61a corresponding to the outer inclined surface 66a is provided in the mounting groove 61. This can be formed. In particular, not only the outer inclined surface 66a but also the inner inclined surface 66b may be further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 central portion of the check valve 66, that is, the inner perimeter, and in this case, the inner inclined surface on the seating groove 61 as well. An outer seating surface 61b corresponding to 66b may be formed. In particular, the outer inclined surface (66a) and the inner inclined surface (66b) gradi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it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61 during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check valve 66, the ejection opening (61h) It can be closed more securely.

필터 캡(64)은 펄세이터(60), 특히, 유로형성부(6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캡(64)과 유로형성부(62)는 후크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거나, 상호 간의 끼움 결합(본 실시예에서는 펄세이터(60)에 필터 캡(64)이 끼워지는 끼움돌기(65)가 형성되었다.)에 의해 필터 캡(64)의 고정이 이루어지되 일정 수준 이상의 힘에 의해 필터 캡(64)의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가능하고, 필터 캡(64)을 돌림으로써 고정과 분리가 이루어지는 구조 등의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필터 캡(64) 내에 일정 량의 이물질이 채집되면, 펄세이터(60)로부터 필터 캡(64)을 분리한 후 채집된 이물질을 버림으로써 청결한 위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filter cap 64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pulsator 60, in particular, 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62. For example, the filter cap 64 and 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62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hook coupling, or a fitting coupling between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fitting cap in which the filter cap 64 is fitted to the pulsator 60). (65 is formed.) Is fixed to the filter cap 64, but the filter cap 64 can b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and the filter cap 64 by rotating the filter cap 64 and Various implementations, such as a structure by which separation is performed, are possible. When a certain amount of foreign matter is collected in the filter cap 64, the filter cap 64 may be separated from the pulsator 60, and then the collected foreign matter may be discarded to maintain a clean sanitary stat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펄세이터(6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터브(20)와 드럼(30) 사이로부터 유입된 물을 분출시키는 원심블레이드부(80)와, 원심블레이드부(80)의 회전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원심블레이드부(80)에 의해 분출된 물을 펄세이터(60)의 분출구(61h)로 유도하는 가이드부(70)를 포함한다.1 to 5,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pulsator 60, and is disposed between the tub 20 and the drum 30 by centrifugal force during rotation.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for ejecting the introduced water and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are independently provided for rotation, and the water jetted by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discharges the jet port 61h of the pulsator 60. Guide portion 70 to guide to).

특히, 원심블레이드부(80)는 그 자신이 회전시의 원심력으로 분출압을 형성하여 세탁수를 원심블레이드부(80)의 외측방향으로 압송시키고, 이때 원심블레이드부(80)에 의해 가압된 수류는 가이드부(70)를 따라 유동하며 그 진행방향이 펄세이터(60)의 중심부로 유도된다.In particular,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itself forms a jet pressure by the centrifugal force at the time of rotation to feed the washing water to the outside of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at this time the water flow pressurized by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Flows along the guide part 70 and its traveling direction is guided to the center of the pulsator 60.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일부 구성들을 하측에서 바라본 것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FIG. 4 is a view of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from below.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원심블레이드부(80)는 상부면(82), 중심부에 유입구(83)가 형성된 하부면(81), 및 상부면(82)과 하부면(81)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회전 블레이드(84)를 포함한다. 상부면(82)과 다수개의 회전 블레이드(8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3 and 4,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includes an upper surface 82, a lower surface 81 having an inlet 83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n upper surface 82 and a lower surface 81. A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84 extending radially. The upper surface 82 and the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84 may be integrally formed.

여기서 일체로 형성된다는 것은 상부면(82)과 회전 블레이드(84)가 하나의 부품로 사출되는 경우일 수도 있으나, 상부면(82)과 회전 블레이드(84)를 각각 별개의 부품으로 사출한 후, 각각의 회전 블레이드(84)의 상단에 상부면(82)을 열융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integrally formed may be the case where the upper surface 82 and the rotary blade 84 are injected into one component, but after the upper surface 82 and the rotary blade 84 are respectively injected into separate components, It is also possible to heat seal the upper surface 82 to the top of each rotating blade 84.

보다 상세하게, 원심블레이드부(80)는 허브(85), 다수개의 회전 블레이드(84), 하부면(81), 상부면(82) 및 외측 격벽(8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위에서 설명하지 않았던 허브(85)와 외측 격벽(86)에 대해서 추가로 설명하면, 허브(85)는 세탁축(52)과 연결을 위한 것으로 허브(85)의 중심부를 세탁축(52)이 관통하고, 외측 격벽(86)은 다수개의 회전 블레이드(84) 각각의 익단(84a)을 연결하는 것으로,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회전 블레이드(84)와 상부면(82)의 외측 선단과 외측 격벽(86)으로 둘러쌓인 개구부(87)를 통해 세탁수가 분출된다.In more detail,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may include a hub 85, a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84, a lower surface 81, an upper surface 82, and an outer partition 86, which are not described above. The hub 85 and the outer partition wall 86 that were not described further will be described. The hub 85 is for connection with the washing shaft 52, and the washing shaft 52 penetrates through the center of the hub 85, and the outer side thereof. The partition wall 86 connects the tip end 84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84 to a pair of the rotating blades 84 and the outer end and the outer partition 86 of the upper surface 82 adjacent to each other. Washing water is jetted through the enclosed opening 87.

여기서, 허브(85), 하부면(81), 다수개의 회전 블레이드(84) 및 외측 격벽(86)을 사출성형에 의해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로 형성하고, 상부면(82)은 별도로 사출 형성한 후, 각각의 회전 블레이드(84)의 상단에 상부면(82)을 열융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hub 85, the lower surface 81, the plurality of rotary blades 84 and the outer partition wall 86 are integrally formed into one part by injection molding, and the upper surface 82 is separately injection-molded. Thereafter, it is also possible to heat seal the upper surface 82 to the top of each rotating blade 84.

원심블레이드부(80)는 허브(85)를 통해 세탁축(52)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원심블레이드부(80)와 상기 펄세이터(60)는 구동모터(50)에 의해 일체로 회전된다. 원심블레이드부(80)의 회전에 의해 내부의 세탁수는 원심력을 받아 원심블레이드부(80)의 원주방향으로 가압된다.Centrifugal blade 80 is coupled to the washing shaft 52 through the hub (85). Therefore, the centrifugal blade unit 80 and the pulsator 60 are integrally rotated by the drive motor 50. Due to the rotation of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the washing water inside is pressuriz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under centrifugal force.

터브(20)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드럼(30)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드럼(30)과 터브(20) 간에 세탁수가 이동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드럼(30)은 하부면(31)과 허브(3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면(31)은 대략 중앙부가 개구된 환형으로 형성되고, 허브(32)는 탈수축(51)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하부면(31)의 하측에 결합되었다. 특히, 허브(32)에는 터브(20)로부터 드럼(30) 내부로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연통구(32h)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원심블레이드부(80)의 회전시, 터브(20)와 드럼(30) 사이의 물이 연통구(32h)를 통해 유입구(83) 측으로 유도되고, 그에 따라,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가 연통구(32h)와 유입구(83)를 통해 원심블레이드부(8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Washing water is accommodated in the tub 20.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drum 30 so that the wash water may move between the drum 30 and the tub 20. Referring to FIG. 2, the drum 30 may include a lower surface 31 and a hub 32. The lower surface 31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with a substantially central opening, and the hub 32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surface 31 by being rotated by the dehydration shaft 51. In particular, the hub 32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32h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wash water flows into the drum 30 from the tub 20. When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rotates, water between the tub 20 and the drum 30 is guided to the inlet port 83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32h, whereby the wash water accommodated in the tub 20 communicates. It is introduced into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through the sphere 32h and the inlet 83.

전술한 바와 같이 원심블레이드부(80)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세탁수는 원주방향으로 가압되는데, 외부에서 본다면 회전 블레이드(84)에 의해 유도되는 수류는 도 8과 같이 나선형으로 원주방향으로 이동될 것이다. 즉, 원심블레이드부(80)에 의해 형성된 수류는 회전되는 방향의 유동 특성을 가지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washing water is pressuriz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centrifugal blade unit 80.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the water flow guided by the rotary blade 84 moves helical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shown in FIG. Will be. That is, the water flow formed by the centrifugal blade unit 80 has flow characteristics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한편, 원심블레이드부(80)의 회전 시 원주방향으로의 가압에 의해 연통구(32h)와 유입구(83)의 안과 밖은 압력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터브(20)와 드럼(30) 사이의 세탁수는 수압차에 의해 연통구(32h)로부터 유입구(83) 측으로 유도된다.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pressur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uring the rotation of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a pressure difference occurs in and out of the communication port (32h) and the inlet (83). Therefore, the washing water between the tub 20 and the drum 30 is guided from the communication port 32h to the inlet port 83 side by the hydraulic pressure difference.

가이드부(70)는 원심블레이드부(80)의 회전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원심블레이드부(80)에 의해 분출된 세탁수를 펄세이터(60)의 분출구(64h)로 유도한다. 특히, 가이드부(70)는 원심블레이드부(80)에 의해 가압된 수류를 직류로 형성하여 펄세이터(60)를 통해 분출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원심블레이드부(80)는 가이드부(70)의 하방에 배치된다. 즉, 펄세이터(60)와 원심블레이드부(80) 사이에 가이드부(70)가 배치된다. 가이드부(70)에 의해 원심블레이드부(80)가 충분히 덮일 수 있도록, 가이드부(70)의 직경은 원심블레이드부(8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uide unit 70 is provided independent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the centrifugal blade unit 80 to guide the washing water jetted by the centrifugal blade unit 80 to the jet port 64h of the pulsator 60. In particular, the guide unit 70 forms a flow of water pressurized by the centrifugal blade unit 80 to direct current so as to be ejected through the pulsator 60. 2,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is disposed below the guide portion 70. That is, the guide unit 70 is disposed between the pulsator 60 and the centrifugal blade unit 80. In order that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may be sufficiently covered by the guide portion 70, the diameter of the guide portion 70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부(70)는 몸체부(71)와, 몸체부(71)의 중심부에 형성된 토출구(72) 및 토출구(72) 주변에서 원심블레이부(80)를 향해 돌출되되 반경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가이드블레이드(73)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guide part 70 protrudes toward the centrifugal blade part 80 around the discharge part 72 and the discharge hole 72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part 71 and the body part 71. A plurality of guide blades 73 extending radially along the direction.

원심블레이드부(80)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가압 유도된 수류는 가이드블레이드(73)에 의해 직류로 유도되어 토출구(72)로 토출된다. 즉, 세탁수가 원심블레이드부(80)의 상부면(82)과 하부면(81) 사이 공간에서 원주방향으로 가압 회전되며 토출된다. Water flow guided by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guided by a direct current by the guide blade 73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72). That is,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by being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82 and the lower surface 81 of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부(70)는 원심블레이드부(80)의 상부와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원심블레이드부(80)의 개구부(87)에서 토출된 수류는 가이드부(70)의 몸체부(71)의 배면을 따라 유도된다. Referring to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guide part 70 is formed to surround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centrifugal blade part 80. Therefore, the water flow discharged from the opening portion 87 of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is guided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71 of the guide portion 70.

한편, 다수개의 가이드블레이드(73)는 토출구(72) 주변에서 원심블레이부(80)측을 향해 돌출되되 반경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원심블레이드부(80)의 개구부(87)에서 토출된 수류는 가이드블레이드(72)를 따라 토출구(72)측으로 유도된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guide blades 73 protrude toward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around the discharge port 72 is extended radially along the radial direction. Therefore, the water flow discharged from the opening 87 of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is guided to the discharge port 72 side along the guide blade 72.

전술한 바와 같이 원심블레이드부(80)와 펄세이터(60)는 구동모터(50)에 의해 일체로 회전된다. 하지만, 가이드부(70)는 드럼(30)에 고정되어 원심블레이드부(80)와 펄세이터(60)의 회전에 독립적이다. 즉, 가이드부(70)는 드럼(30)의 하부면(31)에 고정되어 드럼(30)과 일체로 회전될 수는 있지만, 펄세이터(60) 및 원심블레이드부(80)와는 독립적으로 회전된다. 물론 탈수과정에서 탈수축(51)이 구동모터(50)의 로터에 클러치에 의해 연결되어 드럼(30)과 펄세이터(60)가 일체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가이드부(70)가 원심블레이드부(80) 및 펄세이터(60)와 일체로 회전할 수는 있다. 하지만, 세탁과정에서는 가이드부(70)가 원심블레이드부(80) 및 펄세이터(60)의 회전에 대해 독립적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entrifugal blade unit 80 and the pulsator 60 are integrally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50. However, the guide part 70 is fixed to the drum 30 and is independent of the rotation of the centrifugal blade part 80 and the pulsator 60. That is, the guide unit 70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31 of the drum 30, but can be rotated integrally with the drum 30, but rotates independently of the pulsator 60 and the centrifugal blade unit 80. do. Of course, in the dehydration process, the dehydration shaft 51 is connected to the rotor of the driving motor 50 by the clutch, so that when the drum 30 and the pulsator 60 are integrally rotated, the guide unit 70 is a centrifugal blade unit ( 80) and the pulsator 60 may be integrally rotated. However, in the washing process, the guide unit 70 is independent of the rotation of the centrifugal blade unit 80 and the pulsator 60.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원심블레이드부(80)에 의해 회전성향을 가지면서 토출된 수류는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부(70)의 가이드블레이드(73)에 의해 유도되며 직류로 전환된다. 이렇게 직류로 전환된 수류는 펄세이터(60)의 분출구(61h)을 통해 드럼(30) 내부로 분출된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flow discharged while having the rotational tendency by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is guided by the guide blade 73 of the guide portion 70 which is fixed and is converted to direct current. The water flow converted to direct current is jetted into the drum 30 through the jet port 61h of the pulsator 60.

상기 구성의 측면은, 펄세이터(60)와 일체로 회전되는 원심블레이드부(80)와는 독립적으로 드럼(30)에 대해 고정적인 가이드부(70)를 구비하여 원심블레이드부(8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가압되는 수류가 가이드부(70)를 통해 강한 분출압을 가지는 직류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The side surface of the configuration is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70 fixed to the drum 30 independently of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that is integrally rotated with the pulsator 60 to the rotation of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The water flow pressurized by the centrifugal force can be formed by a direct current having a strong jet pressure through the guide portion (70).

회전되는 수류는 원심력에 의해 주변으로 퍼지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직류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강한 분출압을 형성하기 힘들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도 강한 분출압을 가지는 분출 수류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The rotating water stream has the property of spreading to the surroundings by centrifugal forc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form a strong jet press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such as direct current. Therefore, the above structure has the effect of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forming a jet stream having a strong jet pressure.

드럼(30) 내부의 세탁수는 펄세이터(60)의 회전에 회전되는 수류를 형성하고, 그에 따라 드럼(30)의 내벽 측에서의 수위가 드럼(30)의 중심측보다 높아지는 경향을 가진다. 도 7의 좌측 도면을 참조하면, 임의의 기준선(A)을 기준으로 펄세이터(60)의 회전에 의해 드럼(30)의 중심부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지는 형태의 수위선(B)을 보여준다. Washing water inside the drum 30 forms a stream of water that is rotated in the rotation of the pulsator 60, so that the water level at the inner wall side of the drum 30 tends to be higher than the center side of the drum 30. Referring to the left side of FIG. 7, the water level line B is formed to be raised toward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drum 30 by the rotation of the pulsator 60 with respect to an arbitrary reference line A. FIG. Shows.

이러한 경우, 세탁수를 적게 사용한다면 드럼(30)의 중심부에서의 세탁물은 공기 중에 노출되거나 펄세이터(60)와의 마찰에 의해 마모가 발생할 수 있다. 더구나, 드럼(30)과 터브(20)간에 세탁수가 유동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세탁수가 드럼(30) 내측에서 외측으로 유출될 수도 있기 때문에, 드럼(30) 내부의 세탁수의 수위는 더욱 낮아지거나 불균일 해질 수 있다. In this case, if less wash water is used, the laundry at the center of the drum 30 may be exposed to air or may be worn by friction with the pulsator 60. Moreover, since the wash water may flow between the drum 30 and the tub 20, since the wash water may flow out from the inside of the drum 30, the level of the wash water inside the drum 30 is lower. It can be lost or uneven.

따라서,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강한 분출압의 수류가 펄세이터(60)를 통해 분출되기 때문에 도 6의 우측 도면과 같이 드럼(30)의 중심부에서의 수위를 보상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드럼(30)의 중심부에서의 수위증가로 인해 드럼(30) 내부의 세탁수의 수위선(C)이 기준선(A)에 접근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원심블레이드부(80)의 회전에 따른 수압차에 의해 세탁수가 유입구(83)를 통해 원심블레이드부(8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다시 드럼(30)으로 분출될 수 있어서, 드럼(30)과 터브(20) 사이에서의 수위는 낮추되, 드럼(30) 내부에서의 수위를 높여 적은 양의 세탁수로도 세탁물들을 충분히 적실 수 있으며, 드럼(30) 내부의 세탁수의 수위를 평형을 유지함으로써 세탁물의 마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ince the water flow of the strong jet pressure is jetted through the pulsator 60,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the water level at the center of the drum 30 as shown in the right figure of FIG. Due to the increase in the water level in the center of 30, the water level line C of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drum 30 can approach the reference line A. Furthermore, as described above, the washing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centrifugal blade unit 80 through the inlet 83 by the hydraulic pressure difference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centrifugal blade unit 80, and may be ejected back to the drum 30. While the water level between the 30 and the tub 20 is lowered, the water level inside the drum 30 can be increased to sufficiently wet the laundry with a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and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drum 30 can be increased. By maintaining the equilibrium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wear of the laundry.

또한, 본 발명은 펄세이터(60)에서 분출되는 수류가 직류로 분출되도록 하여 세탁물의 꼬임을 풀어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드럼(30) 내부의 세탁물은 회전되는 수류에 의해 꼬임이 발생할 수 있는데, 직류로 형성된 수류와 접촉하면 접촉된 부분의 세탁물의 회전이 줄어들어 꼬임이 풀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leasing the twist of the laundry by allowing the water stream to be ejected from the pulsator 60 to be discharged by direct current. The laundry inside the drum 30 may be twisted due to the water flow being rotated. When contacted with the water flow formed by direct current, the laundry of the contacted portion is reduced in rotation, thereby causing the twisting to be released.

도 8은 수류형성수단에 의해 형성된 드럼(30) 및 터브(20)에서의 세탁수의 순환 경로를 보여준다. 가이드부(70)의 가이드 블레이드(73)를 따라 안내된 수류(E)는 드럼(30) 내부로 분출(F)된다. 이때, 수류(E)는 실질적으로 직진하는 성향을 갖는다. 드럼(30) 내부의 세탁수는 펄세이터(60)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수류에 의해 터브(20)측으로 이동(G)된다. 터브(20)측으로 이동된 세탁수는 원심블레이드부(80)에 의해 발생된 수압차에 의해 다시 드럼(30) 내부로 유입(H)된다. 원심블레이드부(80)의 회전에 의해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가압(D)되는 회전 수류는 다시 가이드부(70에 의해 직류로 형성된다. 이 경우, 원심블레이드부(80)에 의해 가압 토출된 수류(D)는 도 9과 같이 나선형으로 회전되는 수류를 형성하지만 가이드부(70)에 의해 직류로 전환되는 것이다. 따라서, 강한 분출압의 수류를 형성함으로써 드럼(30) 내부에서의 세탁수의 순환이 촉진되고, 나아가 드럼(30) 내부에 투입된 세제의 순환을 보다 촉진하여 세탁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8 shows a circulation path of the washing water in the drum 30 and the tub 20 formed by the water flow forming means. The water flow E guided along the guide blade 73 of the guide part 70 is jetted into the drum 30. At this time, the water flow E has a tendency to go substantially straight. Washing water inside the drum 30 is moved (G) to the tub 20 side by the water flow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pulsator 60. The wash water moved to the tub 20 is introduced into the drum 30 again by the hydraulic pressure difference generated by the centrifugal blade unit 80 (H). The rotary water stream pressurized (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is again formed by direct current by the guide portion 70. In this case, the pressure discharged by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80 The water flow D forms a water flow that is rotated helically as shown in Fig. 9, but is converted to direct current by the guide portion 70. Therefore, the water flow of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drum 30 is formed by forming a water flow of strong jet pressure. The circulation is promoted, and furthermore, the circulation of the detergent injected into the drum 30 is further promoted, thereby improving washing performance.

Claims (14)

세탁수가 담기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분출구가 형성된 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와 드럼 사이에 담긴 세탁수를 순환시켜 상기 분출구를 통해 분출되는 수류를 형성하는 수류형성수단;
상기 분출구를 통해 분출된 세탁수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채집하는 필터 캡; 및
상기 수류형성수단에 의해 형성된 수류에 의해 상기 분출구를 개방시키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세탁기.
A tub containing washing water;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and receiving laundry;
A pulsator rotatably provided in the drum and having a jet port;
A water flow forming means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pulsator and circulating the wash water contained between the tub and the drum to form a water stream ejected through the jet port;
A filter cap collecting foreign matter suspended in the washing water jetted through the jet port; And
And a check valve for opening the jet port by the water flow formed by the water flow forming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필터 캡 내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heck valve
Washing machine provided to be able to lift and lower in the filter cap.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하강 위치에서 상기 분출공을 폐쇄하고, 상기 수류형성수단에 의해 형성된 수류에 의해 상승됨으로써 상기 분출공을 개방시키는 세탁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heck valve
A washing machine for closing the jet hole in the lowered position and opening the jet hole by being raised by the water flow formed by the water flow forming mean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분출구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상기 체크밸브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ulsator,
Washing machine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in which the check valve is seated in a position to close the jet por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안착홈 내로 수용이 이루어지는 외측 둘레를 따라 외측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은,
상기 외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세탁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heck valve
An outer inclined surface is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in which the accommodation is made into the seating groove,
The seating groove
Washing machine is provided with a mount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inclined surfa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중심부가 개구된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 둘레와 외측 둘레가 상기 안착홈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외측 경사면과, 상기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내측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외측 경사면 및 내측 경사면과 각각 대응하도록 경사진 외측 안착면과 내측 안착면을 포함하는 세탁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heck valve
A central portion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the inner circumference and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re supported by the seating groove, and includes an outer inclined surfac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and an inner inclined surfac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The seating recess includes an outer seating surface and an inner seating surface inclin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inclined surface and the inner inclined surface,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세탁수 보다 비중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heck valve is a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cific gravity is greater than the wash wa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수류형성수단에 의해 압송된 세탁수가 상기 분출구를 향해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캡은 상기 유로형성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ulsator,
And a flow path forming part for form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pumped by the water flow forming means flows toward the jet port.
The filter cap is washing machin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캡에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er cap is a washing machine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형성수단은,
상기 펄세이터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상기 터브와 드럼 사이로부터 유입된 세탁수를 분출시키는 원심블레이드부; 및
상기 원심블레이드부의 회전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원심블레이드부에 의해 분출된 세탁수를 상기 펄세이터의 분출구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flow forming means,
A centrifugal blade portion rotatably disposed below the pulsator and configured to eject washing water introduced between the tub and the drum by centrifugal force during rotation; And
And a guide unit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rotation of the centrifugal blade unit to guide the washing water jetted by the centrifugal blade unit to the jet port of the pulsato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원심블레이드부에 의해 압송된 세탁수가 상기 분출구를 향해 직진되도록 유도하는 세탁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guide portion
The washing machine for inducing the washing water pumped by the centrifugal blade portion to go straight toward the jet por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펄세이터의 분출구와 연통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배면에서 돌출되어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다수개의 가이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guide portion
A body part having a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the jet port of the pulsator;
Washing machine including a plurality of guide blades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 블레이드는,
상기 토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수렴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세탁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lurality of guide blades,
Washing machine disposed radially to converg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discharge por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드럼에 고정 배치되는 세탁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guide unit is fixed to the drum.
KR1020120060405A 2012-06-05 2012-06-05 A washing machine KR1019206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405A KR101920663B1 (en) 2012-06-05 2012-06-05 A washing machine
BR112014030432-7A BR112014030432B1 (en) 2012-06-05 2013-06-05 WASHING MACHINE
US13/910,687 US9587336B2 (en) 2012-06-05 2013-06-05 Washing machine
AU2013272445A AU2013272445B2 (en) 2012-06-05 2013-06-05 Washing machine
CN201380035868.9A CN104428458B (en) 2012-06-05 2013-06-05 Washing machine
PCT/KR2013/004960 WO2013183936A1 (en) 2012-06-05 2013-06-05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405A KR101920663B1 (en) 2012-06-05 2012-06-05 A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748A true KR20130136748A (en) 2013-12-13
KR101920663B1 KR101920663B1 (en) 2018-11-21

Family

ID=49983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405A KR101920663B1 (en) 2012-06-05 2012-06-05 A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66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5132A1 (en) * 2018-06-19 2019-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5132A1 (en) * 2018-06-19 2019-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KR20190142846A (en) * 2018-06-19 2019-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US11479899B2 (en) 2018-06-19 2022-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663B1 (en)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7336B2 (en) Washing machine
KR101918984B1 (en) A washing machine
KR101386470B1 (en) Washing machine
US20150225888A1 (en) Washing machine
JP2013052124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785555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JP5919488B2 (en) Drum washing machine
JP4331243B1 (en) Drum washing machine
KR20170042224A (en) Washing Machine
KR20130136748A (en) A washing machine
KR101920662B1 (en) A washing machine
JP2014097091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263451B1 (en) Washing machine
KR20100095932A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1311449B1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using the same
CN110670295B (en) Washing machine, inner barrel and stirring impeller
KR100218924B1 (en) A pulsator in washing machine
KR100292267B1 (en) Pulsator in washing machine
KR200159027Y1 (en) A washing stream generator of a washing machine
KR100292266B1 (en) Induction pipe of washing machine
KR100225645B1 (en) Device for injecting washing water of washing machine
KR100251568B1 (en) A pulsator of washing machine
KR100213617B1 (en) Washing machine
KR100225644B1 (en) A central blow-off apparatus of stream in a washing machine
KR200204133Y1 (en) Pulsator of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