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6258A -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6258A
KR20130136258A KR1020120059934A KR20120059934A KR20130136258A KR 20130136258 A KR20130136258 A KR 20130136258A KR 1020120059934 A KR1020120059934 A KR 1020120059934A KR 20120059934 A KR20120059934 A KR 20120059934A KR 20130136258 A KR20130136258 A KR 20130136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hole
main body
injection device
drug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4747B1 (ko
Inventor
원용기
Original Assignee
원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용기 filed Critical 원용기
Priority to KR1020120059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747B1/ko
Publication of KR20130136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5Needle inser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6With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5Multiple needle devices, e.g. a plurality of needles arranged coaxially or in parallel
    • A61M5/3298Needles arranged in parall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늘을 이용하여 인체의 피부 주름, 각질, 흉터, 기미, 튼살, 탈모 등을 치료하거나, 색소 등을 이용하여 그림이나 문자를 새길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피부에 약물이 주입되도록 하는 바늘에 약물이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하여 피부에 약물이 침투하는 비율을 높여 약물의 침투성을 높이고 제품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한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부용 복합장치에 장착되는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부용 복합장치의 약물주입장치 고정부에 장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직선 운동을 하는 연결구동축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연결구동축부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에 설치되는 바늘고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Device for dosing medicine through the skin}
본 발명은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늘을 이용하여 인체의 피부 주름, 각질, 흉터, 기미, 튼살, 탈모 등을 치료하거나, 색소 등을 이용하여 그림이나 문자를 새길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피부에 약물이 주입되도록 하는 바늘에 약물이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하여 피부에 약물이 침투하는 비율을 높여 약물의 침투성을 높이고 제품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한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는 주름, 여드름 제거, 각질 제거, 탈모 치료 등과 같은 피부 미용 및 건강, 비만 치료 등을 위한 치료법으로서, 피부에 구멍을 낸 후 그 위에 약물 또는 화장품을 발라 약물이 빠르고 많이 침투되게 하여 약효를 극대화하는 방법과 피부에 바늘로 자극을 주어 이에 따른 인체의 반사작용으로 콜라겐이 형성되는 것을 유도하는 방법을 말한다.
또는, 바늘을 사용하여 사람의 피부에 소정의 기호, 글자, 도형과 같은 무늬나 그림이 표현되도록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하고 그 위에 다양한 색소를 도포하여 구멍으로 색소가 침투하도록 하여 문신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인체의 피부에 무수의 미세한 구멍을 내는 과정에서 손상된 피부 조직의 자생력을 이용하여 새살이 돋아나게 하고, 미세한 구멍이 생긴 부위에 치료용 약물을 도포하여 이 약물이 미세한 구멍을 통해 피부속으로 빠르게 침투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는 다수의 바늘이 피부에 침투되면서 발생하는 자연적 상처치유 작용으로 진피조직이 새로이 구성되고, 재배열되기 때문에 흉터가 얕아지고, 피부가 팽팽하게 당겨지면서 잔주름이 감소하고 색소침착이 개선되어 건강하고 깨끗한 피부로 되살아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로 피부에 약물을 주입시키기 위해 피부에 미세한 구멍을 낼 수 있는 장치들이 많이 공급되어 있다.
즉, 종래에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7368호 " 피부용 복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특허등록 제10-097368호는 구동모터 작동에 의해서 회전하는 원통형 캠의 내주면에 경사 가이드면을 형성하고, 원통형 캠의 내측에 위치되어 경사 가이드면을 따라서 회전 가능한 롤러를 일측에 장착한 캠 블록이 연결레버를 통하여 바늘을 상하 작동시킴으로써, 바늘이 전후진 동작을 수행하면서 피부에 구멍을 내게 된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피부에 구멍을 내는 바늘 장착부의 결합 방법으로, 바늘 장착부와 슬라이더가 서로 판스프링에 의해 결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바늘 장착부의 파손 등에 의해 바늘 장착부를 교체하거나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할 때 슬라이더로부터 바늘 장착부를 신속하게 분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바늘 장착부는 이 진동에 의해 작업 중 바늘 장착부가 바늘깊이조절부로부터 분리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연결레버와 바늘을 작동시키는 홀더가 연결대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동작이 연결레버에 전달되고, 이 연결레버에 전달된 동작은 그대로 홀더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바늘 장착부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고, 구동모터의 동작이 직접적으로 바늘로 전달되어 동작하게 되어 충격이 그대로 피부에 전달되게 되어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피부에 영양분 또는 약물을 바르고 바늘을 이용하여 피부내로 약물이 주입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피부에 약물을 주입함으로써, 피부에 침투하는 약물의 비율이 낮고, 피부로 약물을 투입시키는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피부에 약물이 주입되도록 하는 바늘에 약물이 분사되어 이 바늘의 동작과 동시에 약물이 피부로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피부에 침투하는 약물의 비율을 높여 약물의 침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파지부에 조절레버를 구비함으로써, 저장통에 저장된 액체의 공급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바늘이 왕복동작을 수행하면서 피부에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약물, 즉 액체가 구멍난 피부로 주입되게 되어 약물을 피부에 주입시키는 작업시간이 단축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부용 복합장치에 장착되는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부용 복합장치의 약물주입장치 고정부에 장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직선 운동을 하는 연결구동축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연결구동축부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에 설치되는 바늘고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내측에 설치공이 형성되고, 이 설치공의 일측부에는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격판이 형성되며, 격판이 형성된 방향 외주면에는 걸림홀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격판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측에 가이드공이 형성된 지지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본체의 지지관이 형성된 타측부에는 체결구가 형성되고, 이 체결구가 형성된 위치에는 결속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의 설치공 내주면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동축부는 본체부의 지지관 및 본체에 결속되어 일측부가 본체의 설치공에 위치되게 연결축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축은 본체의 설치공에 위치한 일측부에 결속부재가 형성되고, 이 결속부재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축의 중앙부에는 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부재가 형성된 타측부에는 지지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연결축에 끼워지되, 연결축의 지지턱에 일측부가 지지되고, 타측부는 본체의 격판에 지지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본체부의 본체에 형성된 설치공에 설치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내측부에 설치되되, 연결구동축부의 연결축에 형성된 결속부재에 결속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재는 내측에 일측이 개방되게 설치홀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단턱이 형성되며, 이 단턱에 원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작동부재에는 설치홀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일측부가 본체의 격판에 지지되는 연장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재는 외주면에 본체의 설치공에 형성된 가이드돌기에 결속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는 작동부재의 설치홀에 안착되되, 중앙부에 연결축의 결속부재에 형성된 체결홈에 결속되도록 단턱진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늘고정부는 작동부의 작동부재에 결속 고정되고, 바늘이 결속되는 바늘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부에 끼워지는 캡부재와, 상기 바늘고정부재의 내측에 결속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바늘고정부는 일측이 개방되게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는 중앙부에는 관통된 끼움공이 형성된 끼움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끼움구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기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와 이격되게 지지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구가 형성된 외측 원호 방향으로 다수개의 바늘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와 지지구의 사이에 연통되게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캡부재는 바늘고정부재의 끼움구가 결속되되, 일측이 개방되어 끼움구가 결속되게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의 바닥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공간의 내주면에는 바늘고정부재의 가이드홈에 결속되는 가이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는 바늘고정부재의 공간에 결속되되, 중앙부에 캡부재가 위치되게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서로 대응되게 돌출구가 형성되며, 이 돌출구에는 본체부의 본체에 형성된 결속홀에 대응되게 절개홈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작동부재의 설치홀에 형성된 원주홈에 결속되는 원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늘고정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완충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는 바늘고정부재의 끼움공에 결속되되, 일측부는 머리가 형성되고, 타측부는 캡부재의 관통공에 결속 고정되는 결속홈이 형성된 고정축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축의 모리부와 캡부재의 내측 바닥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에는 바늘고정부로 약물을 공급하는 약물공급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약물공급부는 본체부의 본체에 형성된 체결구에 결속 고정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설치되어 일측에는 뚜껑으로 커버된 주입구가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의 배출구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부는 본체부의 본체에 형성된 결속홀에 결속되는 결속구에 고정되는 공급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바늘고정부로 공급되는 공급관을 가압하여 약물의 공급량을 조절 단속하는 가압구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 외측으로 돌출되어 가압구를 조작하는 레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피부에 약물이 주입되도록 하는 바늘에 약물이 분사되어 이 바늘의 동작과 동시에 약물이 피부로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피부에 침투하는 약물의 비율을 높여 약물의 침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파지부에 조절레버를 구비함으로써, 저장통에 저장된 액체의 공급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늘이 왕복동작을 수행하면서 피부에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약물, 즉 액체가 구멍난 피부로 주입되게 되어 약물을 피부에 주입시키는 작업시간이 단축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를 보인 결합 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본체부와 작동부를 보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늘고정부를 보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약물공급부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를 보인 결합 상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본체부와 작동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늘고정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약물공급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100)는 피부용 복합장치(미도시)의 약물주입장치 고정부(12)에 결속되는 본체부(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10)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설치공(114)이 형성된 본체(1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본체(112)의 일측부가 연장 형성되어 외주면에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의 걸림홀(116)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본체(112)의 설치공(114) 일측, 즉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주면에걸림홀(116)이 형성된 방향의 내측 설치공(114)에는 중앙부에 관통공(118a)이 형성된 격판(118)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격판(118)으로부터 돌출되고, 내측에는 가이드공(120a)이 형성된 지지관(12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관(120)이 형성된 본체(112)의 타측 외주면에는 체결구(122)가 형성되고, 이 체결구(122)의 내측 소정의 위치에는 설치공(114)과 연통되게 결속구(126)가 결속 고정되는 결속홀(1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12)의 설치공(114) 내주면, 즉 격판(118)이 형성된 방향에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12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10)의 본체(112)에 설치되어 직선 운동을 하는 연결구동축부(2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동축부(210)는 본체(112)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관(120)에 설치되되, 지지관(120)의 일측부로 돌출되게 결속되고, 타측부는 본체(112)의 설치공(114)에 위치되는 연결축(21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결축(212)의 일측부, 즉 본체(112)의 설치공(114)에 위치한 일측 끝단부에는 결속부재(214)가 형성되고, 이 결속부재(214)에는 체결홈(216))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연결축(212)의 중앙부, 즉 지지관(120)의 가이드공(120a)에 위치한 연결축(212)의 외주면에는 지지턱(218)이 형성되고, 결속부재(214)가 형성된 타측부에는 지지면(220)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112)의 지지관(120) 내측 가이드공(120a)에 위치되어 연결축(212)에 끼워지되, 일측부가 지지턱(218)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본체(112)의 격판(118)에 지지되는 탄성부재(22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의 본체(112)에 형성된 설치공(114)에 설치되어 연결구동축부(210)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을 수행하는 작동부(3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310)는 본체(112)의 설치공(114)에 설치되는 작동부재(312)가 구비되고, 이 작동부재(312)의 내측에는 일측이 개방되게 설치홀(314)이 형성되고, 이 설치홀(314)의 입구 내주면에는 단턱(314a)이 형성되며, 이 단턱(314a)에는 원주홈(314b)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작동부재(312)의 타측부, 즉 작동부재(312)의 설치홀(314)이 형성된 타측부로 돌출되고, 내측에 설치홀(314)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연결축(212)이 관통하는 관통공(316a)이 형성되고, 본체(112)의 격판(118)에 지지되는 연장부재(316)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연장부재(316)의 외주면에는 본체(112)의 설치공(114)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28)가 결속되는 가이드홈(316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312)의 설치홀(314)에 안착되되, 중앙부에 단턱지게 관통홀(318a)이 형성되어 연결축(212)의 결속부재(214)가 관통됨과 동시에 결속부재(214)의 체결홈(216)에 단턱부가 끼워지는 연결부재(318)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12)의 설치공(114)에 설치되어 작동부(310)의 동작에 의해 동작을 수행하는 바늘고정부(4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바늘고정부(410)는 작동부(310)의 작동부재(312)에 형성된 단턱(314a)에 안착되게 결속 고정되고, 바늘(418)이 결속되는 바늘고정부재(4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바늘고정부재(412)는 일측이 개방되게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 중앙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끼움구(414)가 형성되고, 이 끼움구(414)에는 끼움공(414a)이 형성되며, 끼움구(414)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414b)이 형성되고, 끼움구(414)와 이격되게 공간에 지지구(416)가 형성되며, 지지구(416)가 형성된 외측 원호 방향으로 바늘(418)이 결속되는 다수개의 바늘고정공(412a)이 형성되고, 끼움구(414)와 지지구(416)의 사이에 위치되게 배출공(41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늘고정부재(412)의 외주면에는 작동부재(312)의 단턱(314a)에 형성되 원주홈(314b)에 결속되는 원주돌기(412c)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지지돌기(412d)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바늘고정부재(412)의 공간에 위치되게 설치되되, 바늘고정부재(412)의 끼움구(414)가 결속되게 일측이 개방되게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공간과 연통되는 관통공(422)이 형성되며, 이 공간 내주면에는 바늘고정부재(412)의 끼움구(414)에 형성된 가이드홈(414b)이 결속되는 가이드구(424)가 형성된 캡부재(420)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바늘고정부재(412)의 공간에 일측부가 결속되는 지지부재(4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430)는 바늘고정부재(412)의 공간에 결속되되, 중앙부에 캡부재(420)가 끼워지게 관통공(432)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서로 대응되게 돌출된 한 쌍의 돌출구(434)가 형성되며, 이 돌출구(434)에는 본체부(110)의 본체(112)에 형성된 결속홀(124)에 대응되게 절개홈(4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늘고정부(410)의 바늘고정부재(412)에 형성된 끼움구(414)의 끼움공(414a)에 설치되는 완충부(5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510)는 바늘고정부재(412)의 끼움공(414a)에 결속되되, 일측부는 머리(512a)가 형성되고, 타측부는 캡부재(420)의 관통공(422)에 결속 고정되는 결속홈(512b)이 형성된 고정축(512)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고정축(512)의 머리(512a)와 캡부재(420)의 내측 바닥면 사이에는 탄성부재(51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에 설치되어 바늘고정부(410)로 약물을 공급하는 약물공급부(6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약물공급부(610)는 본체부(110)의 본체(112)에 형성된 체결구(122)에 결속되는 케이싱(612)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케이싱(612)의 내측에 설치되어 내측에 약물이 저장되되, 일측에는 뚜껑(616)으로 커버된 주입구(614a)가 형성되고, 타측부는 배출구(614b)가 형성된 저장통(614)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저장통(614)의 배출구(614b)에 일측 끝단부가 결속 고정되고, 타측부는 본체부(110)의 본체(112)에 형성된 결속홀(124)에 결속된 결속구(126)에 결속되어 약물을 공급하는 공급관(618)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바늘고정부(410)로 공급되는 약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공급관(618)을 가압하여 공급량을 조절하는 가압구(6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구(620)와 일체로 형성되되, 케이싱(612) 외측으로 일측부가 돌출되게 구비되어 가압구(620)를 동작시키는 레버(62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바늘고정부(410)의 바늘(418)이 커버되도록 본체(112)에 결속되되, 일측으로 돌출된 바늘(418)이 구비된 바늘고정부재(412)에 결속되어 바늘(418)을 보호하는 커버부재(71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커버부재를 이용하여 바늘을 커버하여 보관 및 이동하고,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커버부재를 분리시킨 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100)는 먼저, 피부용 복합장치의 약물주입장치 고정부(12)에 형성된 돌출관(미도시)에 본체(112)를 체결 고정시킨다.
즉, 상기 본체(112)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홀(116)에 약물주입장치 고정부(12)에 형성된 걸림돌기(미도시)가 결속되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12)를 약물주입장치 고정부(12)에 결속시 연결축(212)의 지지면(220)은 피부용 복합장치(미도시)의 연결레버(미도시)의 일측부에 접촉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피부용 복합장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구동모터(미도시)가 동작하게 되고, 이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연결레버가 직선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연결레버에 의해 전방으로 연결축(212)이 이동할 때 지지관(120)의 가이드공(120a)에 위치된 탄성부재(222)를 가압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연결축(212)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 연결축(212)에 결속된 연결부재(318)가 작동부재(312)의 설치홀(314)를 따라 이동하면서 지지부재(430)에 접촉하여 이 지지부재(430)를 동일한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고, 이 지지부재(430)의 바늘고정부재(412)가 동일하게 이동하면서 이 바늘고정부재(412)가 고정된 작동부재(312)가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430)가 연결부재(318)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바늘고정부재(412)를 밀어주게 되어 바늘(418)이 본체(112)의 설치공(114)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바늘(418)에 의해 피부에 구멍이 나게 된다.
이때, 상기 바늘고정부재(412)가 본체(112)의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피부에 접촉하여 구멍을 형성할 때 고정축(512)의 머리(512a)가 피부에 접촉하게 되면 고정축(512)은 피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탄성부재(514)를 가압하면서 캡부재(420)와 바늘고정부재(412)가 전진하면서 피부에 구멍이 형성되게 되고, 피부에 구멍을 형성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바늘고정부재(412)가 본체(112)로부터 인출되면서 피부에 약물이 주입되는 구멍을 형성할 때 약물공급부(610)의 저장통(614)에 저장된 약물이 배출구(614b)를 통하여 배출됨과 동시에 이 배출구(614b)에 결속된 공급관(618)과 본체(112)에 구비된 결속구(126)를 통하여 바늘고정부(410)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바늘고정부(410)로 공급된 약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늘고정부재(412)의 연결부와 바늘고정부재(412)의 외측부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약물의 공급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방수기능을 가지는 방수패킹이 구비된다.
이렇게, 상기 바늘공급부(410)로 공급된 약물은 바늘고정부재(412)가 본체(112)의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피부에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바늘고정부재(412)에 형성된 배출공(412b)을 통하여 약물이 배출되어 구멍이 형성되는 피부에 뿌려주면서 주입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늘고정부재(412)가 본체(112)의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피부에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바늘고정부재(412)에 형성된 배출공(412b)을 통하여 약물공급부(610)로부터 공급되는 약물이 피부로 분사되어 피부에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약물이 피부의 구멍으로 주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부용 복합장치의 연결레버가 후퇴하게 되면 연결축(212)에 가해지는 힘이 소실됨과 동시에 연결축(212)과 작동부재(312) 및 바늘고정부(410)는 지지관(120)에 구비된 탄성부재(222)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수회에 걸쳐 연결축(212)과 작동부(310) 및 바늘고정부(410)가 직선운동을 하면서 피부에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약물공급부(610)로부터 약물이 피부에 구멍을 형성하는 위치로 공급하여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피부로 약물이 주입되게 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바늘(418)에 의해 피부에 구멍이 형성됨과 동시 약물이 분사되어 피부에 형성되는 구멍으로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피부로 약물을 주입시키는 작업시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피부로 약물을 주입하는 작업이 간소화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피부에 약물을 직접 투입시켜 치료 및 피부미용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또는 피부에 문자, 기호 도형 등이 형성되도록 구멍을 형성하고, 이 피부의 표면에 색소잉크를 도포하게 되면 이 잉크가 피부에 형성된 구멍으로 침투되도록 하여 문신을 새길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피부용 약물주입장치 110 : 본체부
112 : 본체 114 : 설치공
116 : 걸림홀 118 : 격판
118a : 관통공 120 : 지지관
120a : 가이드공 122 : 체결구
124 : 결속홀 126 : 결속구
128 : 가이드돌기 210 : 연결구동축부
212 : 연결축 214 : 결속부재
216 : 체결홈 218 : 지지턱
220 : 지지면 222 : 탄성부재
310 : 작동부 312 : 작동부재
314 : 설치홀 314a : 단턱
314b : 원주홈 316 : 연장부재
316a : 관통공 316b :가이드홈
318 : 연결부재 318a : 관통홀
410 : 바늘고정부 412 : 바늘고정부재
412a : 바늘공 412b : 배출공
412c : 원주돌기 412d : 지지돌기
414 : 끼움구 414a : 끼움공
414b : 가이드홈 416 : 지지구
418 : 바늘 420 : 캡부재
422 : 관통공 424 : 가이드구
430 : 지지부재 432 : 관통공
434 : 돌출구 436 : 절개홈
510 : 완충부 512 : 고정축
512a : 머리 512b : 결속홈
514 : 탄성부재 610 : 약물공급부
612 : 케이싱 614 : 저장통
614a : 주입구 614b : 배출구
616 : 뚜껑 618 : 공급관
620 : 가압구 622 : 레버
710 : 커버부재

Claims (20)

  1. 피부용 복합장치에 장착되는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부용 복합장치의 약물주입장치 고정부에 장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직선 운동을 하는 연결구동축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연결구동축부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에 설치되는 바늘고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측에 설치공이 형성되고, 이 설치공의 일측부에는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격판이 형성되며, 격판이 형성된 방향 외주면에는 걸림홀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격판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측에 가이드공이 형성된 지지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지지관이 형성된 타측부에는 체결구가 형성되고, 이 체결구가 형성된 위치에는 결속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설치공 내주면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동축부는 본체부의 지지관 및 본체에 결속되어 일측부가 본체의 설치공에 위치되게 연결축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은 본체의 설치공에 위치한 일측부에 결속부재가 형성되고, 이 결속부재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축의 중앙부에는 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부재가 형성된 타측부에는 지지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에 끼워지되, 연결축의 지지턱에 일측부가 지지되고, 타측부는 본체의 격판에 지지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본체부의 본체에 형성된 설치공에 설치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내측부에 설치되되, 연결구동축부의 연결축에 형성된 결속부재에 결속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내측에 일측이 개방되게 설치홀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단턱이 형성되며, 이 단턱에 원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에는 설치홀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일측부가 본체의 격판에 지지되는 연장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재는 외주면에 본체의 설치공에 형성된 가이드돌기에 결속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작동부재의 설치홀에 안착되되, 중앙부에 연결축의 결속부재에 형성된 체결홈에 결속되도록 단턱진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고정부는 작동부의 작동부재에 결속 고정되고, 바늘이 결속되는 바늘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부에 끼워지는 캡부재와,
    상기 바늘고정부재의 내측에 결속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고정부는 일측이 개방되게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는 중앙부에는 관통된 끼움공이 형성된 끼움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끼움구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기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와 이격되게 지지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구가 형성된 외측 원호 방향으로 다수개의 바늘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와 지지구의 사이에 연통되게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바늘고정부재의 끼움구가 결속되되, 일측이 개방되어 끼움구가 결속되게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의 바닥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공간의 내주면에는 바늘고정부재의 가이드홈에 결속되는 가이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바늘고정부재의 공간에 결속되되, 중앙부에 캡부재가 위치되게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서로 대응되게 돌출구가 형성되며, 이 돌출구에는 본체부의 본체에 형성된 결속홀에 대응되게 절개홈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작동부재의 설치홀에 형성된 원주홈에 결속되는 원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고정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완충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바늘고정부재의 끼움공에 결속되되, 일측부는 머리가 형성되고, 타측부는 캡부재의 관통공에 결속 고정되는 결속홈이 형성된 고정축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축의 모리부와 캡부재의 내측 바닥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바늘고정부로 약물을 공급하는 약물공급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공급부는 본체부의 본체에 형성된 체결구에 결속 고정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설치되어 일측에는 뚜껑으로 커버된 주입구가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의 배출구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부는 본체부의 본체에 형성된 결속홀에 결속되는 결속구에 고정되는 공급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고정부로 공급되는 공급관을 가압하여 약물의 공급량을 조절 단속하는 가압구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 외측으로 돌출되어 가압구를 조작하는 레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 하는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KR1020120059934A 2012-06-04 2012-06-04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KR101384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934A KR101384747B1 (ko) 2012-06-04 2012-06-04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934A KR101384747B1 (ko) 2012-06-04 2012-06-04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258A true KR20130136258A (ko) 2013-12-12
KR101384747B1 KR101384747B1 (ko) 2014-04-14

Family

ID=49983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934A KR101384747B1 (ko) 2012-06-04 2012-06-04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74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169Y1 (ko) * 2015-04-09 2016-08-23 (주)우리메카 약물 주입용 피부시술장치
WO2017131337A1 (ko) * 2016-01-29 2017-08-03 박용택 문신장치
KR20190097880A (ko) 2018-02-13 2019-08-21 (주)엠큐어 약액 동시 주입이 가능한 멀티홀 시술기
CN110496275A (zh) * 2019-09-18 2019-11-26 郑妮 一种胰岛素笔自动注射装置
KR102331962B1 (ko) * 2021-07-26 2021-12-02 주식회사 노투스 균일한 주사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멀티 니들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941B1 (ko) * 2016-08-01 2017-01-04 (주)프레스티지 메디케어 피부용 액체 주입장치
KR101714552B1 (ko) * 2016-08-01 2017-03-09 (주)프레스티지 메디케어 피부용 액체 주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93282T3 (es) * 2001-09-12 2012-12-2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ispositivo de pluma basado en microaguja para la administración de fármacos
KR100922138B1 (ko) * 2009-04-14 2009-10-19 봄텍전자 주식회사 피부용 액체침투장치
KR200466691Y1 (ko) * 2010-09-03 2013-05-06 방시열 피부 시술용 모듈
KR20120044612A (ko) * 2010-10-28 2012-05-08 (주)엠툴즈 피부 시술용 모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169Y1 (ko) * 2015-04-09 2016-08-23 (주)우리메카 약물 주입용 피부시술장치
WO2017131337A1 (ko) * 2016-01-29 2017-08-03 박용택 문신장치
KR20190097880A (ko) 2018-02-13 2019-08-21 (주)엠큐어 약액 동시 주입이 가능한 멀티홀 시술기
CN110496275A (zh) * 2019-09-18 2019-11-26 郑妮 一种胰岛素笔自动注射装置
CN110496275B (zh) * 2019-09-18 2021-05-07 郑妮 一种胰岛素笔自动注射装置
KR102331962B1 (ko) * 2021-07-26 2021-12-02 주식회사 노투스 균일한 주사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멀티 니들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747B1 (ko) 201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747B1 (ko)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KR101153700B1 (ko)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KR100819468B1 (ko) 멀티 인젝션이 가능한 멀티홀 시술 장치
KR20100064669A (ko) 마이크로 니들 피부 미용기
KR101622374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미용 치료장치
KR101494219B1 (ko) 약물 흡수 유도장치
CN106061543B (zh) 药液注入装置
KR101395099B1 (ko) 피부시술장치
KR20160136051A (ko) 피부시술장치용 니들 유닛
CN113181543A (zh) 皮肤用手动式注射器
KR101692941B1 (ko) 피부용 액체 주입장치
KR20110098398A (ko) 주입식 마이크로니들 스탬프
KR20180055066A (ko) 액체공급 롤러장치
KR20180082756A (ko) 피부용 액체 투입장치
KR101664245B1 (ko) 피부치료용 핸드피스
KR102016559B1 (ko) 피부용 약물 주입기
KR101596419B1 (ko) 약물분배체가 구비된 피부시술용 멀티 니들장치
KR101061223B1 (ko) 의료용 침술기
KR101057219B1 (ko) 분리형 약물 주입장치
KR20140006171A (ko) 피부시술장치용 니들유닛
KR101300188B1 (ko) Pzt를 이용한 미세침 치료장치
KR200481169Y1 (ko) 약물 주입용 피부시술장치
KR101352127B1 (ko) 피부용 액체 투입장치
KR100864343B1 (ko) 니들롤러
KR20200077851A (ko) 약물 전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