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487A -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34487A KR20130134487A KR1020120058035A KR20120058035A KR20130134487A KR 20130134487 A KR20130134487 A KR 20130134487A KR 1020120058035 A KR1020120058035 A KR 1020120058035A KR 20120058035 A KR20120058035 A KR 20120058035A KR 20130134487 A KR20130134487 A KR 201301344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team
- duct
- heater
-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7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5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6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2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40000006829 Ficus sundaic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7717 excl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059 dormanc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808 vapor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0751 Hyper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935 allerg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15 allerg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3 conditio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50 conditio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07 rearrang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7 rins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7 telogen ph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that i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2—Air flow control mea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스팀공급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am supply mechanism of a washing machine.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을 세제와 기계적 마찰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장치이다. 구조적 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터브의 배향(orientation)에 따라, 상기 세탁기는 크게 탑 로딩(top-loading) 세탁기와 프론트 로딩(front-loading) 세탁기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탑 로딩 세탁기에서, 터브는 세탁기의 하우징내에서 세워지며, 이의 상부(top portion)에 입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세탁물은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터브의 입구와 연통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터브내에 넣어진다. 또한, 상기 프론트 로딩 세탁기에서, 터브는 캐비닛내에서 뉘어지며, 이의 입구는 세탁기의 전면과 마주한다. 따라서, 세탁물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터브의 입구와 연통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터브내에 넣어진다. 상기 탑로딩 및 프론트 로딩 세탁기 둘 다에 있어서, 도어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들을 개폐한다.Generally, 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for washing laundry using detergent and mechanical fric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al aspect, more specifically, the orientation of the tub to accommodate the laundry, the washing machine can be divided into a top-loading washing machine and a front-loading washing machine. In the top loading washing machine, the tub is erected in the housing of the washing machine, and an inlet is formed in the top portion thereof. Thus, the laundry is put into the tub through the opening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of the tub. In addition, in the front loading washing machine, the tub is laid in a cabinet, the entrance of which faces the front of the washing machine. Thus, laundry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housing and put into the tub through an open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of the tub. In both the top loading and front loading washing machine, a door is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opens and closes the openings of the housing.
이러한 형태의 세탁기들은 기본적인 세탁기능에 추가적으로 다른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는 세탁 뿐만 아니라 건조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건조를 위한 뜨거운 공기를 공급하는 메커니즘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는 세탁물을 리프레쉬(refresh)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리프레쉬 기능을 위해, 세탁기는 세탁물에 스팀을 공급하는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은 액체상태의 물을 가열하여 만들어진 기체상태의 물이므로, 높은 온도를 가지며 세탁물에 쉽게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된 스팀은 세탁물의 구김, 냄새, 및 정전기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리프레쉬 기능에 부가적으로, 스팀은 높은 온도 및 수분으로 인해 세탁물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세탁단계에 공급되는 경우, 스팀은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또는 터브내에 높은 온도 및 높은 습도를 갖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이러한 분위기에 의해 세탁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도 있다. Washing machines of this type may have various other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basic washing function. For example, the washing machine may be designed to perform drying as well as washing, and may further include a mechanism for supplying hot air for drying. In addition, the washing machine may have a function of refreshing laundry. For this refresh function, the washing machine may include a mechanism for supplying steam to the laundry. Steam is gaseous water made by heating liquid water, so it has a high temperature and can easily supply water to laundry. Thus, the supplied steam can remove wrinkles, odors, static electricity and the like of the laundry. In addition to this refresh function, steam can also sterilize laundry due to high temperature and moisture. In addition, when supplied to the washing step, the steam may create an atmosphere having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in the drum or tub to accommodate the laundry,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washing performance.
세탁기는 이러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는 건조를 위해 제공된 메커니즘을 스팀 발생을 위해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방법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종래기술들이 존재한다. The washing machine can use various methods to supply this steam. For example, a washing machine may use the mechanism provided for drying for steam generation, and the following prior arts exist with respect to this method.
먼저 한국특허 KR 10-0709943은 뜨거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유로와 상기 순환유로내에 설치된 히터 및 송풍기를 갖는다. 물이 상기 송풍기의 흡입부에 인접하게 공급되며, 공급된 물은 송풍기로부터 토출된다. 토출된 물은 송풍기에 의해 생성된 공기유동에 의해 히터까지 운반되며, 상기 히터에 의해 스팀으로 변환된다. First, KR 10-0709943 has a circulation passage for circulating hot air and a heater and a blower installed in the circulation passage. Water is supplied adjacent to the suction part of the blower, and the supplied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blower. The discharged water is conveyed to the heater by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blower, and is converted into steam by the heater.
또한, 한국실용신안공개공보 KR 1997-0039170은 순환유로의 토출부에 물을 분사하며, 분사된 물은 히터를 지나면서 가열된 공기 유동에 의해 스팀으로 변환된다. In additio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KR 1997-0039170 sprays water to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circulation passage, and the injected water is converted into steam by the heated air flow through the heater.
끝으로, PCT 공개공보 WO 2004/059070은 순환유로내에 물을 수용하는 별도의 팬(pan)을 갖는다. 순환유로내의 뜨거운 공기유동을 이용하여 상기 팬(pan)내의 물은 가열되며, 스팀이 생성된다. Finally, PCT publication WO 2004/059070 has a separate pan for receiving water in the circulation passage. The water in the pan is heated using hot air flow in the circulating flow path to produce steam.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스팀 발생을 위해 추가적인 장치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세탁기는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라 생산비용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스팀을 세탁물에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건조용 메커니즘을 최적으로 제어 또는 활용하지 못하므로, 스팀만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독립적인 장치인 스팀 제네레이터와 비교할 때, 충분한 량의 스팀을 효율적으로 생성하지 못한다. 또한, 같은 이유로 상기 종래기술들은 의도된 기능, 즉 리프레쉬, 살균 및 분위기 조성기능들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없다. Since these prior arts do not require additional equipment for steam generation, the washing machine can supply steam to laundry without increasing the production cost according to this prior art. However, these prior arts do not optimally control or utilize the drying mechanism, and thus do not efficiently generate a sufficient amount of steam when compared to a steam generator, which is an independent device configured to generate steam only. Also, for the same reason, the prior arts cannot effectively achieve the intended function, namely refresh, sterilization and atmosphere composition functions.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으로 스팀을 생성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efficiently generating steam.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팀공급에 의해 의도된 기능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effectively performing the functions intended by the steam supp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내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덕트; 상기 덕트내에 설치되며 상기 덕트내의 소정공간만을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히터; 상기 덕트에 설치되며 스팀을 생성하도록 상기 가열된 소정공간에 물을 직접적으로 공급하며, 별도로 형성되어 이의 내부에 끼워지며 와류를 형성하는 발생장치를 갖는 노즐; 및 상기 덕트에 설치되며, 상기 생성된 스팀을 상기 터브로 이송하도록 상기 소정 공간을 향해 공기를 불어내는 블로워로 이루어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tub for storing washing water; A drum rotatably provided in the tub and receiving laundry; A duc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tub; A heater installed in the duct and configured to heat only a predetermined space in the duct; A nozzle installed in the duct and directly supplying water to the heated predetermined space to generate steam, and having a generator formed separately and fitted in the nozzle to form a vortex; And a blower installed in the duct and blowing air toward the predetermined space to transfer the generated steam to the turbine.
상기 노즐은 물을 분사하는 개구부를 갖는 헤드 및 상기 헤드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헤드에 물을 안내하는 몸체로 이루질 수 있다. 상기 발생장치는 상기 몸체내에 끼워질 수 있다. The nozzle may include a head having an opening for spraying water, and a body formed integrally with the head, the body guiding water to the head. The generator may be fitted into the body.
상기 발생장치는 이의 중심을 따라 연장되며 원추형상을 갖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주위에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enerator may include a core having a conical shape extending along a center thereof and a flow path extending spirally around the core.
상기 노즐은 상기 발생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위치결정구조는 상기 노즐 및 상기 발생장치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홈과 상기 노즐 및 상기 발생장치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홈에 삽입되는 리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nozzle may have a positioning structure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generator. 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ing structure may include a groove formed in one of the nozzle and the generating device, and a rib formed in the other of the nozzle and the generating device, and inserted into the groove.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탁기는 복수개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washing machine may include a plurality of nozzl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해결수단은 함께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Other solutio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can be more clearly identified from the accompanying claims.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오직 최소한의 변형만을 적용하면서, 고온공기 공급을 위한 메커니즘, 즉 건조용 메커니즘을 스팀생성 및 공급을 위해 활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은 기존의 건조 메커니즘 즉, 변형된 스팀공급 메커니즘을 최적으로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은 충분한 양질의 스팀을 효율적으로 생성 및 공급하기 위한 최소한의 변형 및 최적의 제어를 구현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은 생산비용은 최소한으로 증가시키면서도 리프레쉬, 세탁성능 향상 및 살균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가지 기능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invention utilizes a mechanism for hot air supply, ie a drying mechanism for steam generation and supply, applying only minimal deformation. 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timally controls the existing drying mechanism, that is, the modified steam supply mechanism.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least deformation and optimum control for efficiently generating and supplying sufficient quality steam. For this reas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erform refreshing, washing performance improvement and sterilization as well as various other functions while minimizing the production co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세탁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덕트의 블로워 하우징의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세탁기의 덕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세탁기의 덕트에 설치되는 노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노즐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6의 노즐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9는 덕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덕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도 9의 덕트에 설치된 히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덕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덕트에 설치된 히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덕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덕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17은 도 16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테이블;
도 18a-도 18c은 도 16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타임 챠트;
도 19는 공급된 물의 량을 판단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20은 충분한 물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 수행되는 단계들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1은 실제전압에 따라 가열단계의 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22a는 도 21의 조절단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22b는 도 21의 조절단계에 적용되는 실제 전압범위에 따른 가열단계 수행시간을 나타내는 테이블;
도 23은 도 16의 스팀공급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세탁기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4는 다수개의 노즐이 적용된 덕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5는 복수개의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노즐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7은 도 25의 노즐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추가적인 분해사시도;
도 28은 서로 다른 구성을 갖는 덕트들의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들
도 29a-도 29c는 서로 다른 구성을 갖는 덕트들에 적용된 페어링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들; 그리고
도 30은 서로 해당되지 않는 구성들을 갖는 덕트와 노즐의 조합의 예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washing machine of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ct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ver of the blower housing of the duct shown in FIG. 3;
5 is a plan view showing a duct of a washing machine;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nozzle installed in a duct of a washing machine;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the nozzle of FIG. 6; FIG.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nozzle of FIG. 6;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duct;
10 is a side view of the duct of FIG. 9;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er installed in the duct of FIG. 9;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duct;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ater installed in the duct of FIG. 12;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duct;
15 is a plan view of the duct of FIG. 14;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ashing machin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table showing a control method of FIG. 16;
18A-18C are time charts showing the control method of FIG. 16;
19 is a flowchart showing a step of determin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20 is a flow chart showing the steps performed when not enough water is supplied;
21 is a flow chart showing the step of adjusting the time of the heating step according to the actual voltage;
FIG. 22A is a flowchart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adjustment step of FIG. 21; FIG.
FIG. 22B is a table showing a heating step execution time according to an actual voltage range applied to the adjustment step of FIG. 21;
23 is a flowchart showing a washing machine control method including the steam supplying process of FIG. 16;
24 is a plan view showing a duct to which a plurality of nozzles are applied;
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zzle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nozzles;
2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zzle assembly of FIG. 25;
Figure 27 is a furthe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nozzle assembly of Figure 25;
28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ducts having different configurations
29A-29C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airing structure applied to ducts having different configurations; And
30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mbination of a duct and a nozzle having configurations not corresponding to each other.
다음에서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발명은 도면들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프론트 로딩 세탁기의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나 실질적인 변형없이 탑 로딩 세탁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bove object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tructure of the front loading washing machine as shown in the figures but may be applied to a top loading washing machine without substantial mod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세탁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ashing machine of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는 외형을 형성하며 작동에 필요한 부품들을 수용하는 하우징(1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세탁기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유지보수를 위해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하우징(10)은 세탁기 일부분만을 감싼다. 대신에, 상기 세탁기의 전방부를 형성하도록 프론트 커버(12)가 상기 하우징(10)의 전방부에 장착되며, 상기 프론트 커버(12)의 위쪽에는 세탁기 조작을 위해 컨트롤 패널(13)이 장착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세탁기의 상부에는 세제박스(15)가 장착된다. 이러한 세제박스(15)는 세탁물의 세탁을 위한 세제 및 기타 첨가제들을 수용하며, 인출가능한 서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의 최상부를 덮도록 탑 플레이트(14)가 상기 하우징(10)에 제공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12), 탑 플레이트(14), 및 컨트롤 패널(13)도 상기 하우징(10)과 마찬가지로 세탁기의 외형을 형성하므로, 상기 하우징(10)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 정확하게는 프론트 커버(12)는 이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11)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11)는 마찬가지로 하우징(10)에 설치되는 도어(20)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된다. 상기 도어(20)는 일반적으로 원형 형상을 가지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사각형상을 갖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사각도어(20)는 상기 개구부(11) 및 드럼(40)의 입구를 사용자에게 크게 보이게 하므로, 세탁기의 외관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에는 도어 글래스(21)가 설치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도어 글래스(21)를 통해 세탁물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세탁기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washing machine may have a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0) 내부에는 터브(30) 및 드럼(40)이 설치된다. 상기 터브(30)는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세탁수를 저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드럼(40)은 상기 터브(3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터브(30)는 세탁에 필요한 물을 직접 공급받기 위해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30)는 튜브나 호스같은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세제박스(15)와 연결되며, 상기 세제박스(15)로부터 세제 및 첨가제등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터브(30) 및 드럼(40)은 이의 입구들이 상기 하우징(10)의 전방부를 마주하도록 배향된다(oriented). 상기 터브 및 드럼(30,40)의 입구들은 앞서 언급된 하우징의 개구부(11)과 연통되며, 이에 따라 일단 도어(20)가 개방되면 사용자는 상기 개구부(11) 및 터브/드럼(30,40)의 입구들을 통해 세탁물을 상기 드럼(40)내에 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11)와 터브(30)사이에는 세탁물 및 세탁수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개스킷(22)이 제공된다. 상기 터브(30)는 재료비를 절감하는 것과 더불어 무게를 줄이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드럼(40)은 무거운 젖은 세탁물을 수용하며 세탁중 이러한 세탁물에 의한 충격을 반복적으로 받으므로 충분한 강도 및 강성을 갖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드럼(40)에는 상기 터브(30)내의 세탁수가 그 내부로 들어오게 하는 다수개의 통공(40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터브(30)의 주위에는 상기 드럼(40)과 연결되는 소정의 동력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드럼(40)은 상기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된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플로워에 실질적으로 수평한 중심축을 갖도록 배향된 터브(30) 및 드럼(40)을 갖는다. 그러나, 세탁기는 위쪽방향으로 경사지게 배향된 터브(30) 및 드럼(40)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터브(30) 및 드럼(40)의 입구들(즉, 전방부들)은 이들의 후방부들보다 높게 위치된다. 이러한 터브(30) 및 드럼(40)의 입구들 뿐만 아니라 이들과 연계된 개구부(11)와 도어(20)는 도 2에 도시된 입구들과 개구부(11) 및 도어(20)보다 높게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세탁기에 세탁물을 넣거나 세탁기로부터 세탁물을 꺼낼 수 있다. 2, the
세탁기의 세탁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세탁물의 종류 및 상태에 따라서 따뜻하거나 뜨거운 세탁수가 요구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자체적으로 뜨겁거나 따뜻한 세탁수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히터(80)와 섬프(sump)(33)을 포함하는 히터 어셈블리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히터 어셈블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30)에 제공되며 상기 터브(30)에 저장된 세탁수를 원하는 온도로 가열한다. 상기 히터(80)는 세탁수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섬프(33)는 이러한 히터(80) 및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washing performance of the washing machine, warm or hot washing water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type and condition of the laundry. To this end,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heater assembly including a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히터 어셈블리는 세탁수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히터(8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 어셈블리는 상기 히터(80)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섬프(33)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히터(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섬프(33)에 형성된 소정크기의 개구부(33a)를 통해 상기 터브(40)내에, 정확하게는 상기 섬프(33)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섬프(33)는 상기 터브(30)의 바닥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캐버티(cavity) 또는 리세스(recess)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섬프(33)는 개방된 상부를 가지며, 터브(30)에 공급된 세탁수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소정크기의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섬프(33)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기에 유리한 터브(30)의 바닥부에 형성되므로, 상기 섬프(33)의 바닥부에 배수구(33b)가 형성되며, 배수관(91)에 의해 배수펌프(90)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터브(30)내의 세탁수는 상기 배수구(33b), 배수관(91) 및 배수펌프(90)를 거쳐 세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33b)는 상기 섬프(33)의 바닥부 대신에 상기 터브(30)의 다른 부위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섬프(33) 및 히터(80)을 이용하여 세탁기는 세탁수를 자체적으로 가열하고 뜨겁거나 따뜻한 세탁수를 세탁에 이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heater assembly may include a
한편, 상기 세탁기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또한 세탁된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기 세탁기는 뜨거운 공기를 생성하고 공급하기 위한 건조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건조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세탁기는 상기 터브(30)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덕트(10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덕트(100)는 이의 양 끝단이 터브(30)과 각각 연결되므로, 터브(30) 뿐만 아니라 드럼(40)내의 공기도 상기 덕트(100)를 통해 순환될 수 있다. 상기 덕트(100)는 구조적으로 하나의 어섬블리로 형성되나, 기능적으로 건조덕트(110) 및 응축덕트(120)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건조덕트(110)는 기본적으로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뜨거운 공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응축덕트(120)는 상기 세탁물로부터 가져온 순환하는 공기중의 수분을 응축하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washing machine may be configured to dry the laundry also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For this purpose the washing machine may have a drying mechanism for producing and supplying hot air. As the drying mechanism, the washing machine may have a
먼저, 상기 건조덕트(110)은 상기 응축덕트(120)와 터브(30)와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10)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건조덕트(110)내에는 히터(130)과 블로워(blower)(140)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응축덕트(120)도 상기 하우징(10)내에 배치되며, 상기 건조덕트(110) 및 터브(3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응축덕트(120)는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도록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덕트(110) 및 응축덕트(120), 즉 덕트(10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하우징(10)내에 배치되나, 필요한 경우, 부분적으로 하우징(10)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First, the drying
상기 건조덕트(110)는 상기 히터(130)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며, 상기 블로워(140)를 이용하여 가열된 공기를 터브(30) 및 그 내부에 배치된 드럼(40)을 향해 불어낼 수 있다. 따라서, 뜨겁고 건조한 공기가 상기 건조덕트(110)로부터 세탁물을 건조하도록 상기 터브(30)를 거쳐 드럼(40)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로워(140)와 히터(130)는 함께 작동되므로, 가열되지 않은 새로운 공기는 상기 블로워(140)에 의해 상기 히터(130)로 공급되며, 이후 상기 터브(30) 및 드럼(40)에 공급되도록 상기 히터(130)를 통과하면서 가열될 수 있다. 즉, 뜨겁고 건조한 공기의 공급은 상기 히터(130) 및 블로워(140)의 동시적인 작동에 의해 계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공급된 뜨거운 공기는 상기 세탁물을 건조시키고, 이후 상기 드럼(40)으로부터 터브(30)를 거쳐 상기 응축덕트(12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응축덕트(120)는 상기 급수장치(160)를 이용하여 배출된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한 공기로 만들고 이러한 건조한 공기를 다시 가열되도록 상기 건조덕트(11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급은 실제적으로 상기 블로워(140)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건조덕트(110)와 응축덕트(120)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즉, 배출된 공기는 응축덕트(120) 및 건조 덕트(110)을 거치면서 뜨겁고 건조한 공기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탁기내의 공기는 계속적으로 상기 터브(30), 드럼(40), 응축 및 건조덕트(120,110)를 거쳐 순환하면서 상기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순환하는 공기의 유동을 고려할 때, 상기 뜨겁고 건조한 공기를 공급하는 덕트(100)의 끝단부, 즉 상기 건조덕트(110)의 터브(30) 및 드럼(40)과 연통하는 끝단부 또는 개구부는 상기 덕트(100)의 배출부 또는 배출구(110a)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습한 공기를 받는 덕트(100)의 끝단부, 즉 상기 응축덕트(120)의 터브(30) 및 드럼(40)가 연통하는 끝단부 또는 개구부는 상기 덕트(100)의 흡입부 또는 흡입구(120a)를 형성할 수 있다. The drying
상기 건조덕트(110), 정확하게는 배출부(110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30)과 드럼(40)과 연통하도록 상기 개스킷(22)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덕트(110), 정확하게는 상기 배출부(110a)는 상기 터브(30)의 전방부의 상부영역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터브(30)에는 이와 같은 건조덕트(110)와 연통하는 흡입구(31)가 형성되며, 상기 드럼(40)에는 상기 흡입구(31)를 통해 상기 건조덕트와 연통하는 흡입구(4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덕트(120), 즉 흡입부(120a)는 상기 터브(30)의 후방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응축덕트(70)와 연통하도록 토출구(32)가 마찬가지로 상기 터브의 후방부의 하부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건조 및 응축덕트(110,120) 및 상기 터브(30)의 연결부들의 위치로 인해, 상기 뜨겁고 건조한 공기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40)의 내부에서 상기 드럼(40)의 전방부로부터 후방부까지 유동할 수 있다. 정확하게는, 상기 뜨겁고 건조한 공기는 상기 드럼의 전방부의 상부영역에서부터 상기 드럼의 후방부의 하부영역까지 유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뜨겁고 건조한 공기는 상기 드럼(40)내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건조 및 응축덕트(110,120)는 이의 적절한 장착위치로 인해 상기 뜨겁고 건조한 공기가 상기 드럼(40)의 내부공간을 완전하게 가로지르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뜨겁고 건조한 공기가 상기 드럼(40)의 전체 내부공간에 균일하게 확산됨으로써 건조효율 및 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drying
상기 덕트(100)은 다양한 부품들을 수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부품들이 그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덕트(100) 즉, 건조 및 응축덕트(110,120)는 분리가능한 파트들(parts)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대부분의 부품들, 예를 들어 히터(130) 및 블로워(140)등은 상기 건조덕트(110)와 연동하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건조덕트(110)가 분리가능한 파트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건조덕트(110)가 이와 같이 분해가능하므로, 그 내부의 부품들은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건조덕트(110)로부터 용이하게 꺼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건조덕트(110)는 하부 파트(11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파트(111)는 그 내부에 실질적으로 공간을 가지며, 상기 부품들은 이러한 공간내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덕트(110)는 상기 하부파트(111)를 덮는 커버(11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파트(111)와 커버(112)는 소정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100)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블로워(140)를 안정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별도의 하우징(113)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3)도 상기 블로워(140)의 용이한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해 분리가능한 파트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3)은 상기 블로워(140)를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113a)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113a)를 덮는 상부 하우징(113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되어야하는 상부 하우징(113b)을 제외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113a)는 덕트(100)의 부품수를 줄이기 위해 건조덕트의 하부파트(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도 5는 서로 일체화된 하부파트(111)와 하부 하우징(113a)을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건조덕트(110) 자체가 상기 하우징(113)과 일체화된다고 간주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건조덕트(110)가 블로워(140)도 수용한다고 간주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하부 하우징(113a)은 상기 응축덕트(12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건조덕트(110)는 높은 온도의 공기를 생성 및 이송하므로, 높은 내열성과 열전도성을 요구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3a)는 고속회전하는 블로워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야 하므로 높은 강성 및 강도를 가져야한다. 따라서, 서로 일체화된 하부 하우징(113a)과 하부 파트(111)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이러한 금속재질의 하부 하우징(113a)과 하부파트(111)에 의해 요구조건들이 만족되므로, 상기 커버(112) 및 상부 하우징(113b)은 덕트(110)의 중량을 줄이기 위해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The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세탁물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 앞서 종래기술과 관련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스팀의 공급에 의해 구김, 정전기, 냄새등을 제거함으로써 세탁물은 리프레쉬될 수 있다. 또한, 스팀은 세탁물을 살균할 수 있으며, 세탁에 최적화된 분위기를 조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모두 세탁기의 기본적인 세탁 코스중에 수행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 세탁기는 각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최적화된 별도의 프로세스 또는 코스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을 위한 스팀을 공급하도록 세탁기는 스팀만을 생성하도록 설계된 독립된 스팀 제네레이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세탁기는 스팀공급을 위해 다른 기능을 위해 제공된 메커니즘을 스팀을 생성 및 공급하기 위해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건조 메커니즘은 열원을 제공하는 히터(130) 및 터브(30) 및 드럼(40)으로의 이송수단을 제공하는 덕트(100) 및 블로워(140)등을 포함하므로, 뜨거운 공기 뿐만 아니라 스팀의 공급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팀 공급을 위해 상기 통상의 건조 메커니즘은 실제적으로 약간의 변형이 요구되며, 그와 같이 스팀공급을 위해 변형된 건조 메커니즘이 도 3-도 15를 참조하여 다음에서 설명된다. 상기 도면들중에서, 도 3, 5, 9, 12, 14는 상기 덕트(100)내부의 구조를 보다 잘 보여주기 위해서 건조덕트의 커버(112)가 제거된 덕트(100)를 도시한다.Furthermore,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supply steam to the laundry in order to provide more various functions to the user. As already discuss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prior art, the laundry can be refreshed by removing wrinkles, static electricity, odors, etc. by the supply of steam. In addition, steam may sterilize the laundry and may create an atmosphere optimized for washing. These functions can all be performed during the basic washing course of the washing machine, while the washing machine can have a separate process or course optimized to perform the respective functions. To supply steam for these functions, the washing machine may have a separate steam generator designed to generate steam only.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washing machine may use the mechanism provided for the steam supply to generate and supply steam for other functions.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drying mechanism includes the
먼저, 스팀 공급을 위해 스팀을 생성하기에 적합한 고온의 환경이 조성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130)는 상기 덕트(100)내의 소정공간(S)을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공기 자체는 낮은 열전도성을 가지므로, 만일 세탁기가 히터(130)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덕트(100)의 다른 영역들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수단, 예를 들어 블로워(140)로부터의 공기유동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상기 히터(130)는 자신이 차지하는 공간 자체 및 이의 주변공간만을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130)는 스팀 공급을 위해 덕트(100)내의 공간을 국부적으로 높은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즉, 상기 히터(130)는 상기 덕트(100)내 공간의 일부인 상기 소정공간(S)을 덕트내의 다른 공간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그와 같은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의 가열을 위해, 상기 히터(130)는 상기 소정공간(S)만을 가열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소정공간(S)을 직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소정공간(S)은 상기 히터(130) 자체, 즉, 상기 히터(130) 자신이 차지하는 공간과 상기 히터(130)에 인접하는 덕트내의 주변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소정공간(S)은 히터(130) 자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국부적이고 직접적인 높은 온도로의 가열로 인해, 상기 소정공간(S)은 스팀생성에 적합한 환경으로 신속하게 형성될 수 있다.First,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suitable for generating steam for steam supply needs to be created. Therefore, the
상기 히터(13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몸체(1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131)는 실질적으로 상기 덕트(100)내에 위치되며 가열을 위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몸체(131)는 다양한 가열 메커니즘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가열도선(hot wir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131)는 덕트(100)내에 존재할 수도 있는 수분에 의한 고장을 방지하도록 방수구조를 갖는 시스히터(sheath heat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131)는 동일 평면상에서 다수회 절곡되어 좁은 공간에서 최대의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히터(130)는 상기 몸체(131)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몸체(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13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자(132)는 상기 몸체(131)의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단자(82)는 외부 전원과의 연결을 위해상기 덕트(10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131)와 터미널(132)사이에는 밀폐부재가 개재될 수 있으며, 덕트(100)내의 공기 및 스팀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덕트(100)를 밀폐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5, the
또한, 상기 히터(130)는 브라켓(111b)를 이용하여 상기 덕트(100)의 바닥부(bottom)(정확하게는, 건조덕트의 하부파트(11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111b)과 연계하여 보스(111a)가 상기 덕트(100)의 바닥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스(111a)는 상기 덕트(100)의 바닥부로부터 소정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상기 보스(111a)는 상기 덕트(100)의 바닥부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11b)은 상기 히터(130)의 고정을 위해 상기 보스(111a)에 체결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브라켓(111b)은 상기 히터(130)의 몸체(131)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11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31)를 지지하도록 몸체(131)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상기 몸체(131)를 감쌀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111b)은 상기 몸체(131)의 형상에 맞게 절곡되는 절곡부를 가지며, 이러한 절곡부에 의해 상기 몸체(131)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11b)는 상기 보스(111a)에 체결되도록 관통공을 포함하며, 체결부재 및 관통공을 이용하여 상기 보스(111a)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111b)과 보스(111a) 둘 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히터(130)는 상기 덕트(100)내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스(111a)에 의해 덕트 바닥부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므로, 상기 히터(130)는 공기유동을 원할하게 하면서도 더 많은 공기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11b)는 상기 몸체(131)의 열을 견디도록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소정공간(S)에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소정량의 물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소정공간(S)에 물을 공급하도록 노즐(150)이 추가적으로 상기 덕트(100)에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generate steam in the predetermined space (S),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required. Therefore, a
일반적으로 스팀은 액체상태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생성되는 기체상태의 물(vapor phase of water)을 의미한다. 즉, 액체상태의 물이 임계온도이상으로 가열되면 상변화를 통해 기체상태로 변한다. 반면, 미스트(mist)는 액체상태의 작은 물 입자를 의미한다. 즉, 미스트는 단순히 액체상태의 물을 작은 입자로 분해함으로써 생성되며, 상 변화나 가열을 수반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팀과 미스트는 적어도 이들의 상태(phase) 및 온도에 있어서 서로 명확하게 구별되며, 단지 대상물에 수분(moisture)을 공급할 수 있는 능력에 있어서만 공통이다. 이러한 미스트는 작은 입자로 이루어지므로 통상의 액체상태의 물에 비해 넓은 표면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미스트는 쉽게 열을 흡수하여 상변화를 통해 고온의 스팀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액체상태의 물을 그대로 공급하는 아웃렛 대신에 액체상태의 물을 작은 입자로 분해할 수 있는 노즐(150)을 물 공급의 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세탁기는 소량의 물을 상기 소정공간(S)에 공급하는 통상적인 아웃렛을 채택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노즐(150)에 공급되는 수압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노즐(150)은 미스트 대신에 물, 즉 워터 젯(water jet)을 공급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들에 있어서도, 상기 소정공간(S)은 스팀발생에 충분한 환경을 가지고 있으므로, 스팀은 생성될 수 있다. In general, steam refers to a vapor phase of water generated by heating liquid water. That is, when the liquid water is heated above the critical temperature, the liquid state changes to a gas state through phase change. Mist, on the other hand, refers to small water particles in the liquid state. That is, mist is produced by simply decomposing liquid water into small particles, and does not involve phase change or heating. Thus, steam and mist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at least in their phase and temperature and are only common in their ability to supply moisture to the object. These mists are made up of small particles and thus have a larger surface area than ordinary liquid water. Thus, the mist can be easily absorbed heat and changed into hot steam through a phase change. For this reason,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the
스팀의 생성을 위해 물은 상기 소정공간(S)에 간접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노즐(150)은 물을 상기 소정공간(S)이 아닌 덕트(100)내의 다른 공간에 공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물은 블로워(140)에서 제공되는 공기유동에 의해 상기 소정공간(S)으로 스팀생성을 위해 이송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송도중, 물은 덕트(100)의 내면에 들러붙으므로, 제공된 물이 모두 상기 소정공간(S)에 도달하지 못한다. 또한, 상기 소정공간(S)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국부적이고 직접적인 가열에 의해 스팀 생성에 최적의 조건을 가지므로, 공급된 물을 충분히 스팀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Water may be indirectly provid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S to generate steam. For example, the
앞서 언급된 이유들을 고려할 때, 효율적인 스팀생성을 위해 상기 노즐(150)은 상기 소정공간(S)에 직접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이유로 상기 노즐(150)은 오직 상기 소정공간(S)에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노즐(150)은 상기 소정공간(S)에 미스트를 분사할 수 있다. 앞서 이미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소정공간(S)은 히터(130) 자체를 포함하므로, 이러한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어떠한 수분, 즉 물 또는 미스트의 제공은 상기 히터(130)에 대한 수분제공을 포함한다. 만일 상기 노즐(150)이 상기 소정공간(S)에 직접적으로 미스트를 분사한다면, 상기 소정공간(S)에 조성된 최적의 환경을 고려할 때, 스팀은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직접적인 미스트 분사가 상기 소정공간(S)에만 수행되면, 스팀의 생성은 더욱 효과적이 될 수 있다.In consideration of the aforementioned reasons, the
상기 히터(130)를 포함하는 소정공간(S)에 직접적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노즐(150)은 상기 소정공간(S)(히터(130)포함)을 향해 배향될 수 있다. 즉, 상기 노즐(150)의 배출구가 적어도 상기 소정공간(S)을 향해 배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소정공간(S)에 물을 직접 공급하도록 상기 노즐(150)은 상기 소정공간(S)의 바로 위(above)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소정공간(S)의 바로 아래(below)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노즐(150)에서 공급되는 물(정확하게는 미스트)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압으로 인해 소정의 각도로 확산되면서 소정거리를 이동한다. 반면, 상기 덕트(100)의 높이는 세탁기를 컴팩트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상당히 제한된다. 즉, 상기 소정공간(S)의 높이도 마찬가지로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150)이 상기 소정공간(S)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배치되면, 물은 이의 확산각도 및 이동거리를 고려할 때, 상기 소정공간(S) 전체에 균일하게 상기 노즐(150)로부터 공급되지 못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팀이 효율적으로 생성되지 못할 수 있다. 같은 이유로, 이러한 비효율적 스팀 생성은 상기 노즐(150)이 상기 소정공간(S)의 양 측부들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발생될 수 있다. In order to supply water directly to the predetermined space S including the
다른 한편, 상기 노즐(150)은 상기 소정공간(S)의 양 끝단들, 즉 영역들(A,B)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블로워(140)가 작동되면, 덕트(100)내의 공기는 블로워(140)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히터(130) 즉, 상기 소정공간(S)을 통과한다. 이러한 공기유동의 방향을 고려하면, 상기 영역(A)는 덕트내 공기유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소정공간(S)의 전방부 또는 흡입부에 해당하며, 상기 영역(B)는 상기 소정공간(S)의 후방부 또는 배출부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역(A) 및 영역(B)는 상기 소정공간(S)의 입구 및 출구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즐(150)은 덕트내 공기유동방향에 있어서, 상기 소정공간(S)의 전방부 또는 흡입부 (즉, 상기 영역(A))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노즐(150)은 덕트내 공기유동방향에 있어서, 상기 소정공간(S)의 후방부 또는 배출부 (즉, 상기 영역(B))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노즐(150)이 상기 영역(A) 또는 영역(B)에 배출되는 경우에도, 상기 노즐(150)로부터 공급된 물이 모두 상기 소정영역(S)내에 도달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일부 물이 상기 소정영역(S)밖에 잔류될 수도 있다. 그러나, 만일 상기 노즐(150)이 상기 후방부 또는 배출부(B)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S)에 도달되지 못한 물은 상기 후방부 또는 배출부(B) 부근에 머물게 된다. 따라서, 만일 블로워(140)가 작동되면, 이러한 물들은 스팀으로 변하지 못한 채로 터브(30)에 공급될 수 있다. 반면, 만일 상기 노즐(150)이 상기 전방부 또는 흡입부(A)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S)에 도달하지 못한 물은 상기 블로워(140)에서 공급되는 공기유동에 의해 상기 소정공간(S)에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영역(A)에 노즐(150)을 배치함으로써, 공급된 모든 물을 스팀으로 효율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효율적인 스팀 생성을 위해 상기 노즐(150)은 상기 영역(A) 즉, 공기유동방향에 있어서 상기 소정공간(S)의 전방부 또는 흡입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덕트(100)내 공기유동방향의 측면에서 상기 영역(B)에 배치된 노즐(150)은 상기 공기유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물을 공급하게 되는 반면, 상기 영역(A)에 배치된 노즐(150)은 상기 공기유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앞서 논의된 것과 같은 이유로, 공기유동방향의 관점에서 상기 노즐(150)은 상기 덕트내 공기유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소정공간(S)(히터 포함)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앞서 논의된 이유들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경우 상기 노즐(150)은 상기 영역들(A,B), 소정공간(S)의 양측부들, 소정공간(S)의 바로 위 및 바로 아래 부위들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거나 이들중 2개이상의 부위들에 설치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효율적인 물 공급 및 스팀 생성을 위해 상기 노즐(150)은 상기 소정공간(S) 직접 물을 공급하며, 상기 소정공간(S)을 향해 배향될 수 있다. 같은 이유로, 상기 노즐(150)은 상기 소정공간(S)에 상기 덕트내의 공기유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이미 앞서 결정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0)이 상기 영역(A), 즉 공기유동방향에 있어서 소정공간(S)의 전방부 또는 흡입부에 배치되는 것이 최적이다. 이러한 영역(A)는 상기 덕트(100)의 구조적 측면에서 상기 히터(130)와 상기 블로워(140)사이의 영역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노즐(150)은 상기 덕트(100)의 구조적 측면에서 상기 히터(130)와 블로워(1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상기 노즐(150)은 상기 소정공간(S)과 공기유동의 공급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노즐(150)은 상기 소정공간(S)의 흡입부와 상기 블로워(140)의 배출부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0)에서 공급되는 물은 소정각도로 확산된다. 만일 상기 노즐(150)이 상기 소정영역(S), 정확하게는 이의 흡입부에 가까이 배치되면, 확산각도를 고려할 때, 공급되는 물의 많은 부분이 소정영역(S)(히터(130) 포함) 대신에 덕트(100)의 벽면에 직접 공급된다. 실제적으로 상기 소정영역(S)에서 상기 히터(130)가 가장 높은 온도를 가지므로, 공급되는 물이 가능한 많이 상기 소정영역(S)중 상기 히터(130)에 직접 진입 및 접촉하는 것이 스팀 생성의 효율증가에 유리하다. 따라서, 가능한 한 많은 량의 물이 상기 소정공간(S)(즉, 히터(130)에 바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노즐(150)은 상기 소정공간(S)으로부터 가능한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150)이 상기 소정공간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면, 물의 확산을 고려할 때 공급되는 물은 실질적으로 상기 소정공간(S)의 흡입부, 즉 입구에서부터 전체적으로 분포될 수 있으며, 상기 소정공간(S)의 효율적 사용, 즉 효율적 열교환 및 스팀생성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150)이 상기 소정영역(S)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노즐(150)은 상기 블로워(140)에 가까워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노즐(150)은 상기 블로워(140)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동시에 상기 히터(130)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130)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이격되도록, 이러한 노즐(150)은 상기 블로워(140)의 토출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150)이 상기 블로워(140)의 토출부에 인접하는 경우, 공급되는 물은 토출되는 공기유동, 즉 블로워(140)의 토출력에 직접 영향받을 수 있으며, 상기 소정영역(S) 전체와 균일하게 접촉하도록 보다 멀리 이동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공기유동의 도움에 의해 상기 노즐(150)에는 높은 수압이 가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즐(150)의 가격이 저하되고 사용수명은 증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블로워(140)의 토출구에 인접한 배치를 위해,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0)은 상기 블로워 하우징(113)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용이한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노즐(150)은 분리가능한 상기 상부 하우징(113b)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0)의 설치를 위해, 상기 상부 하우징(113b)는 구멍(113c)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150)은 상기 구멍(113c)에 상기 소정공간(S)을 향해 배향되면서 끼워질 수 있다. As discussed above, for efficient water supply and steam generation, the
도 6-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노즐(150)은 몸체(151)과 헤드(1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151)은 상기 구멍(113c)에 삽입되도록 대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151)는 이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151a)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랜지(151a)는 체결공을 가지며, 이를 이용하여 상기 덕트(10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51a)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가 상기 플랜지(151a)와 몸체(151)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51)는 이의 외주에 형성되는 리브(151b)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리브(151b)는 상기 구멍(113c)의 엣지에 걸리며 상기 노즐(151)이 상기 덕트(100), 정확하게는 상부 하우징(113b)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리브(151b)는 상기 노즐(150)의 정확한 설치위치를 결정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6 to 8, the
상기 헤드(152)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끝단에 토출구(15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52a)는 일정한 수압을 갖는 물이 공급되면 이러한 물을 작은 입자, 즉 미스트로 분해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152a)는 공급되는 물에 추가적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급되는 물은 소정의 각도로 확산되며 소정거리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급되는 물의 확산 각도(a)는 예를 들어, 40°가 될 수 있다. 상기 헤드(152)는 이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152b)를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몸체(151)도 이러한 플랜지(152)와 마주하며 이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151d)를 가질 수 있다. 만일 상기 몸체(151)과 헤드(152)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들 플랜지들(152b,151d)는 서로 융착(melt-joinning)되며, 이에 따라 상기 몸체(151)와 헤드(152)는 결합될 수 있다. 만일 상기 몸체(151)와 헤드(152)가 플라스틱과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플랜지들(152b,151d)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152)는 상기 플랜지(152b)에 형성되는 리브(152c)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몸체(151)은 상기 플랜지(151d)에 형성되는 홈(151c)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리브(152c)는 상기 홈(151c)에 삽입되며, 상기 몸체(151)와 헤드(152)사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기 몸체(151)와 헤드(152)는 서로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150), 정확하게는 상기 몸체(151)는 그 내부에 공급되는 물을 안내하는 유로(153)를 포함한다. 상기 유로(153)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51)의 끝단부, 즉 토출부에서 나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나선형 유로(153)에 의해 물은 소용돌이치며(swirl) 상기 헤드(152)에 도달하며, 이에 따라 보다 큰 확산각도와 보다 긴 이동거리를 갖도록 상기 노즐(15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상기 소정공간(S)에서 스팀이 생성되면, 생성된 스팀은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터브(30) 및 드럼(40)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세탁물에까지 이송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생성된 스팀을 이송하기 위해 상기 블로워(140)는 상기 소정공간(S)(히터(130)포함)을 향해 공기를 불어낼 수 있다. 즉, 상기 블로워(140)는 상기 소정공간(S)에 공기유동을 공급할 수 있다. 생성된 스팀은 이러한 공기유동에 실려 덕트(100)를 따라 이동하며, 터브(30), 드럼(40)을 거쳐 최종적으로 세탁물까지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스팀은 의도된 기능들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세탁물을 리프레쉬하거나, 세탁물을 살균하거나 최적의 세탁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When steam is gener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S, the generated steam needs to be transferred to the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0)은 상기 소정공간(S)으로의 균일하고 충분한 물의 공급을 위해 최적의 구성(configuration)을 갖는다. 즉, 상기 노즐(150)은 최적의 배치 및 배향을 가지며, 상기 노즐(150)의 다른 구성들도 같은 목적으로 적절하게 설계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단일의 노즐(150)만으로는 상기 소정공간(S) 전체에 충분한 량의 물을 공급하지 못할 수도 있다. 즉, 단일의 노즐(150)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S)의 일부에는 물이 공급되지 못할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세탁기는 복수개의 노즐(1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4는 일 예로써 덕트(100)에 제공된 복수개, 정확하게는 2개의 노즐(150)을 보여준다. 도 24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노즐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S)는 가상적으로 분할되고, 적용된 각각의 노즐들(150)은 해당되는 분할된 공간(S)에 최적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노즐들(150)에 의해, 상기 소정공간(S)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같은 이유로, 상기 복수개의 노즐들(150)은 보다 많은 량의 스팀이 생성되도록 상기 소정공간(S)에 충분항 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노즐(150)의 효과는 도 24에서도 명확하게 도시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상기 복수개의 노즐들(150)은 앞서 설명된 단일 노즐(150)에 비해 더 많은 부품과 공정을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세탁기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다른 여러가지 방법중에서도 복수개의 노즐들(150)의 부품들을 일체화시킴으로써 쉽게 해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151) 및 헤드(152)를 포함한 모든 노즐(150)의 부품들을 몰딩을 통해 하나의 몸체로 성형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0)은 상기 몸체(151)의 내부에 형성되는 나선형 유로(153)을 갖는다. 이러한 나선형 유로(153)는 공급되는 물에 큰 확산각도와 보다 긴 이동거리를 갖게 하나, 이의 복잡한 구조로 인해, 상기 나선형 유로(153)까지 포함하는 일체형 노즐(150)을 제조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 25-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선형 유로(153)를 대신하여 발생장치(154)(swirling device 또는 swirler)가 상기 노즐(150)에 제공될 수 있다. Despite these advantages, however, the plurality of
상기 발생장치(154)는 기본적으로 상기 나선형 유로(153)과 마찬가지로 와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생장치(154)는 이의 중심에 배치되는 코어(154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154c)가 상기 코어(154a)를 감싸도록 상기 발생장치(154)에 제공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코어(154a)는 상기 발생장치(154)의 중심을 따라 연장되며, 원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발생장치(154)의 흡입부 부근에서 상기 코어(154a)는 적어도 원추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원추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생장치(154)에 공급되는 물의 유동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원추부의 뾰족한 팁(tip)은 상기 발생장치(154)에 공급되는 물의 유동과 마주한다. 이러한 배치로 인해 공급되는 물의 유동은 상기 뾰족한 팁에 의해 실질적인 유동저항없이 분할되며, 이후 상기 팁으로부터 연장되는 경사면을 따라 계속적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코어(154a)의 원추부에 의해 공급되는 물의 유동은 급격한 유동저항을 받지않으면서 상기 발생장치(154)내부로 부드럽게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도 25-도 27은 모두 상기 코어(154a)가 발생장치(154)의 흡입부에 인접한 부위에서만 원추부를 갖는 것을 도시하나, 상기 코어(154a)는 전체적으로 원추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생장치(154)는 상기 코어(154a)의 주위에 배치되는 유로(154b)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유로(154b)는 상기 코어(154a)의 주위에서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154a)와 상기 몸체(154c)사이에는 소정의 간극(clearance)이 형성되며, 이러한 간극내에 상기 유로(154b)가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공급되는 물은 상기 코어(154a)에 의해 상기 발생장치(154)의 내부로 안내되며, 상기 유로(154b)에 의해 소용돌이치며(swirl) 상기 노즐(150)의 헤드(152)에 도달한다. 따라서, 공급된 물은 보다 큰 확산각도와 보다 긴 이동거리 가지면서 상기 노즐(15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The
이러한 발생장치(1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0)의 다른 부품들과 별도로 제작된다. 대신에, 이러한 복잡한 구조를 갖는 와류형성구조, 즉 상기 발생장치(154)가 별도로 제작되므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0)의 다른 부품들, 크게는 몸체(151) 및 헤드(152)는 도 26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일체화된 몸체(151) 및 헤드(152)에 있어서도, 상기 덕트(100), 정확하게는 상부 하우징(113b)에 결합되기 위해, 상기 노즐(150)은 소정크기의 체결공을 포함하는 플랜지(151a)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150)은 물을 소정압력으로 소정공간(S)로 토출하도록 토출구(152a)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일체화된 몸체(151) 및 헤드(152), 즉 노즐(150)내에 별도로 형성된 발생장치(154)가 끼워질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생장치(154)는 앞서 설명된 나선형 유로(153)와 마찬가지로 상기 몸체(151)내에 끼워질 수 있다. 만일 상기 발생장치(154)와 몸체(151)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경우, 이와 같이 끼워진 발생장치(154)는 여러가지 방식, 예를 들어 초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151)에 융착될 수 있다. 상기 융착은 큰 결합강도를 제공하지는 않지만, 상기 발생장치(154)는 이러한 융착에 의해 상기 몸체(151)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한편, 생성된 와류의 효과를 최대한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발생장치(154)에서 발생된 와류가 바로 상기 헤드(152)로 공급되어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생장치(154)는 상기 헤드(152)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이러한 목적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151)의 상기 헤드(152)와의 연결부에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 몸체(151)는 실질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발생장치(154)를 상기 헤드(152)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151)의 한쪽 끝단으로부터 다른 끝단, 즉 몸체(151)와 헤드(152)의 연결부까지 정확하게 밀어 넣는 것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노즐(150)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생장치(154)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위치결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노즐(150) 또는 발생장치(154)는 홈을 가질 수 있다. 도 27은 상기 발생장치(154)에 제공되는 홈(154d)을 일 예로써 보여준다. 이러한 홈(154d)는 상기 노즐(150)과 인접하는 몸체(154c)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발생장치(154) 대신에, 상기 노즐(150)에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발생장치(154)를 마주하는 상기 몸체(151)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위치결정구조로써, 상기 홈과 짝을 이루도록, 상기 노즐(150) 또는 발생장치(154)는 리브를 가질 수 있다. 도 27은 상기 노즐(150)에 제공되는 리브(151e)를 일 예로써 보여준다. 이러한 리브(151e)는 상기 발생장치(154)와 인접하는 몸체(151)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즐, 즉 몸체(151) 대신에, 상기 발생장치(154)에 리브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노즐, 즉 몸체(151)와 마주하는 상기 몸체(154c)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생장치(154)가 상기 몸체(151)에 끼워질 때, 상기 리브(151e)가 상기 홈(154d)에 끼워지면 상기 발생장치(154)는 정확한 위치에 정렬된다. 또한, 상기 몸체(151)에 제공된 리브(151e) 또는 홈이 이의 길이방향으로 계속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발생장치(154)는 정렬된 상태로 상기 몸체(151)의 한쪽 끝단으로부터 다른 끝단, 즉 몸체(151)와 헤드(152)의 연결부까지 계속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결정구조에 의해 상기 발생장치(154)는 상기 헤드(152)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정확하고 용이하게 상기 몸체(151)에 결합될 수 있다.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generated vortex, it is preferable that the vortex generated in the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발생장치(154)는 와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노즐(150)과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노즐(150)내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발생장치(154)는 앞서 설명된 나선형 유로(153)를 효과적으로 대체하면서 동시에 노즐의 나머지 부품들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복수개의 노즐들(150)이 적용되는 경우에도, 부품과 공정은 증가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팀생산 성능을 향상시키면서도 세탁기의 제조비용은 증가되지 않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공지된 바와 같이, 요구되는 용량 및 성능등에 따라 서로 다른 모델의 세탁기들이 존재하며, 이러한 서로 다른 모델들에 따라 세탁기들의 설계도 서로 달라지게 된다. 또한, 서로 다른 설계에 따라, 세탁기들의 내부부품들의 구성들, 예를 들어 내부부품들의 크기 및 배치도 서로 달라지게 된다. 세탁기의 내부 부품들중 드럼(40)이나 터브(30)와 마찬가지로 상기 덕트(100)는 큰 부피를 차지하므로, 서로 다른 설계에 의해 상기 덕트(100)의 구성도 큰 영향을 받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의도된 세탁기의 성능 및 용량등에 따라 상기 덕트(100)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의 구성도 변화되며, 이러한 내부 설치 부품들의 구성 변화에 따라 상기 덕트(100)의 구성도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도된 세탁기의 성능등을 고려하여,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30)는 서로 다른 구성, 즉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히터(130)는 덕트(100)에 수용되는 부품중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하므로, 상기 히터(130)의 변화된 구성은 상기 덕트(100)의 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즉, 이러한 히터(130)를 적절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덕트(100), 정확하게는 건조덕트(110)의 구성, 즉 크기 및 형상등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같은 이유로, 비록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의도된 세탁기의 성능 및 용량등에 따라 상기 덕트(100)의 외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의 구성도 변화되며, 이러한 구성의 변화에 따라 상기 덕트(100)의 구성도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브(30) 및/또는 드럼(40)은 적어도 의도된 세탁기의 용량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구성, 즉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크기, 즉 세탁기의 전체 크기는 대부분의 경우 미리 결정되므로, 이러한 기 설정된 하우징(10)내에 상기 변화된 터브(30) 및 드럼(40)과 함께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덕트(100)의 구성, 즉 크기 및 형상등이 변화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성능 및 용량등에 따라 달라지는 설계들은 상기 덕트(100)의 구성, 적어도 크기 및 형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즉, 상기 덕트(100)의 구성은 서로 다른 설계, 즉 상기 덕트(100)의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는 관련부품들의 구성에 따라 서로 달라지게 되며, 이는 도 28에 명확하게 도시된다. As known in the art, different models of washing machines exist depending on required capacity and performance, and the designs of washing machin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different models. Also, according to different designs, the sizes and arrangements of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washing machines, for example the internal components, are different. Like the drum 40 and the
또한, 상기 덕트(100)의 구성이 서로 달라지는 경우, 그 내부에 배치된 히터(130) 및 소정공간(S)에 적절하게 물을 분사하기 위한 구조도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변경되어야 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물의 분사는 상기 노즐(150)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노즐(150)은 상기 덕트(100)의 팬 하우징(113), 정확하게는 상부 하우징(113b)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덕트(100)의 구성에 따른 적절한 물 분사는 이러한 노즐(150) 및 하우징(113)의 구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덕트(100)의 서로 다른 구성들에 따라 상기 노즐(150) 및 하우징(113)의 구성을 둘 다 변경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려울 수 있으며, 또한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제조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로워(140)는 덕트(100)의 부품중 상대적으로 큰 부피를 가지며, 상기 서로 다른 덕트(100)에 이의 구성의 변경없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일정 크기를 갖도록 상기 하우징(113)이 설계되면, 그와 같은 크기보다 작은 블로워(140)들은 모두 상기 하우징(113)내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8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구성을 갖는 덕트(100)에 대해, 동일한 구성의 팬 하우징(113), 즉, 상부 및 하우 하우징(113b,113a)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절되지 않은 동일한 노즐(150)이 사용되면, 이러한 노즐(150)은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구성의 덕트(100)의 히터(150) 및 소정공간(S)에 적절하게 물을 공급할 수 없게 되며, 이는 도 28에도 명확하게 나타난다. 즉,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팬 하우징(113b,113a)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S) 및 히터(150)의 전체에 충분할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상기 노즐(150)의 배향(orientation)이 조절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배향과 더불어, 상기 노즐(150)의 확산각(a)(도 5 참조)도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덕트(100)의 서로 다른 구성에 따라 상기 노즐(150)의 구성, 즉 배향 또는 확산각이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서로 다른 구성의 노즐(150)들이 도 29에 도시되며 이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다음에서 설명된다. In addition, when the configurations of the
도 29a-도 2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100)는 서로 다른 설계, 즉 이의 외부 및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에 따라 서로 다른 구성(100a,100b,100c), 즉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100)에, 동일한 구성의 팬 하우징(113a,113b)가 공통적으로 적용되므로, 상기 서로 다른 덕트(100)들은 이의 구성에 따라 예를 들어, 서로 다른 크기 및 형성의 하부파트(111) 및 상부파트(112;도시안됨)를 적어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서로 다른 구성의 덕트(100a,100b,100c)에 대해 서로 다른 구성의 노즐(150a,150b,150c)가 각각 적용된다. 이들 노즐들(150a,150b,150c)은 적어도 해당 덕트들(100a,100b,100c)의 구성에 따라 서로 다른 배향 및/또는 분사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덕트의 구성에 따른 서로 다른 구성의 노즐(150a,150b,150c)의 적용에 의해 상기 히터(150) 및 소정공간(S)의 전체에 충분한 량의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세탁기의 모델 및 설계변경 및 이에 따른 덕트(100)의 구성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량의 스팀 생성에 의해 원하는 성능의 리프레쉬가 수행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9A-29C, the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세탁기의 모델에 따라 서로 다른 다수개의 덕트(100)와 노즐(150)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서로 해당하는 구성을 갖지 않는 노즐(150) 및 덕트(100)가 잘못되게 조립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서로 해당되는 구성들을 갖는 노즐(150) 및 덕트(100)을 정확하게 짝을 지워주는 페어링 구조(pairing mechanism)가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a plurality of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페어링 구조의 일 실시예(170)에 있어서, 홈(171a,171b,171c)이 상기 덕트(100a,100b,100c) 및 노즐(150a,150b,150c)의 구성에 따라 상기 덕트(100a,100b,100c)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71a,171b,171c)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의 하부 파트(11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111e)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브(172a,172b,172c)가 해당하는 구성을 갖는 덕트(100a,100b,100c)에 형성된 홈(171a,171b,171c)에만 삽입되도록 상기 노즐(150a,150b,150c)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172a,172b,172c)는 다른 부품들과의 간섭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상기 노즐(150a,150b,150c)의 끝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노즐(150a,150b,150c)이 상기 덕트(100a,100b,100c)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리브(172a,172b,172c)가 홈(171a,171b,171c)에 정확하게 삽입될 때에만, 상기 노즐(150a,150b,150c)은 정확한 결합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만일,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50a)가 이에 해당하는 구성을 갖지 않는 덕트(100b)에 결합되는 경우, 리브(172a)는 홈(171b)에 삽입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노즐(150a,150b,150c)은 정확한 결합위치에 배치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잘못된 조합이 이루어졌음을 인식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홈(171a,171b,171c)은 상기 덕트(100a,100b,100c) 대신에 상기 노즐(150a,150b,150c)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리브(172a,172b,172c)는 상기 덕트(100a,100b,100c)에 형성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페어링 구조의 다른 실시예(180)에 있어서, 정보영역(181a, 181b,181c)은 서로 다른 덕트(100a,100b,100c) 및/또는 노즐(150a,150b,150c)의 구성들을 나타내면서 상기 덕트(100a,100b,100c)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영역(181a,181b,181c)은 실제적으로 세탁기의 서로 다른 모델명을 나타날 수 있으며, 상기 노즐에 인접하는 상부 하우징(113b)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표시자(indicator)(182a,182b,182c)가 상기 정보영역(181a,181b,181c)내의 해당하는 구성을 지시하도록 상기 노즐(150a,150b,150c)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해당되는 구성을 갖는 덕트(100a,100b,100c) 및 노즐(150a,150b,150c)이 정확하게 결합되는 경우, 상기 표시자(182a,182b,182c)는 상기 정보영역(181a,181b,181c)내의 해당 구성, 예를 들어 세탁기의 모델명을 정확하게 지시하게 된다. 상기 정보영역(181a,181b,181c)은 상기 덕트(100a,100b,100c) 대신에 상기 노즐(150a,150b,150c)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표시자(182a,182b,182c)는 상기 덕트(100a,100b,100c)에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페어링 구조(170,180)은 해당하는 구성을 갖는 노즐(150a,150b,150c)만을 해당 덕트(100a,100b,100c)에 설치되게 허용한다. 또한, 상기 페어링 구조(170,180)은 정확하게 조합된 노즐(150a,150b,150c) 및 해당 덕트(100a,100b,100c)의 구성 정보, 예를 들어 모델명을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페어링 구조(170,180)에 의해 작업자는 서로 조합가능한 구성을 갖는 노즐 및 덕트를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합된 노즐 및 덕트의 정보를향후 유지보수에 참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페어링 구조(170,180)는 세탁기의 생산성 및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도 9, 도 10, 도 12, 도 14에 공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100)는 소정크기의 리세스(114)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리세스(114)는 소정량의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정량의 물을 수용하기 위해서, 상기 리세스(114)는 덕트(100)의 바닥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건조덕트의 하부파트(112)에 제공될 수 있다. 여러가지 이유들로, 상기 덕트(100)내에는 물이 잔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노즐(150)에서 공급된 물의 일부는 스팀으로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덕트(100)내에 잔류할 수 있다. 한편으로 공급된 물은 스팀으로 변환되었다 하더라도 덕트(100)와의 열교환으로 인해 다시 물로 응축될 수도 있다. 또한, 통상적인 세탁물의 건조중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moisture)도 덕트(100)와의 열교환에 의해 응축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114)는 이러한 잔류하는 물을 수집할 수 있다. 도 10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세스(114)는 잔류하는 물을 용이하게 수집하기 위해 소정의 경사를 가질 수도 있다. 9, 10, 12, and 14, the
상기 리세스(114)는 수용된 물을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가열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리세스(114)는 수용된 물이 히터(13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히터(130)의 바로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리세스(114)는 상기 소정공간(S)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고 간주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리세스(114)내의 공간도 상기 히터(110)에 의해 가열되므로, 상기 소정공간(S)은 상기 리세스(114)내의 공간까지 확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소정공간(S)은 도 8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세스(114)내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configuration)에 의해, 상기 노즐(150)에서 공급된 물로부터 발생되는 스팀에 추가적으로,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은 상기 히터(130)의 가열에 의해 스팀으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더 많은 량의 스팀이 공급될 수 있으며, 의도된 기능은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The
보다 상세하게는,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130)는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을 직접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직접가열을 위해 상기 히터(130)의 일부는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에 잠길 수 있다. 즉, 상기 히터(130)는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히터(130)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에 잠길 수 있으나, 도 9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130)의 일부가 상기 리세스를 향해 절곡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상기 히터(130)는 리세스(114)내의 물에 잠기는 절곡부(131a)를 가질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9 and 11, the
다른 한편, 도 12-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130)는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을 간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130)는 상기 히터(130)에 장착되며,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에 잠기는 히트싱크(heat sink)(133)를 가열부재로써 가질 수 있다. 상기 히트싱크(1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휜(fin)을 가지며, 이에 따라 방열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히터(130)의 열은 상기 히트 싱크(133)를 거쳐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에 전달된다. 또한, 도 14-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130)는 가열부재로써 상기 리세스(114)의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히터(130)을 지지하는 지지부(111c)를 가질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파트(111)는 높은 열전도성 및 강도를 갖도록 금속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부(111c)도 같은 금속재질로 상기 하부파트(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1c)는 상기 히터(1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넓은 전열면적을 갖기 위해 상기 히터(130)를 수용하는 홈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130)이 열은 상기 지지부(111c)를 거쳐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에 전달된다. 이와 같은 히트싱크(133) 및 지지부(111c), 즉 가열부재에 의해 상기 히터(130)는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과 간접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열부재(133,111c)는 상기 히터(130)와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을 열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히터의 열을 이용하여 상기 물을 가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2-15, the
앞서 언급된 절곡부(131a) 및 가열부재(113,112c)에 의해 상기 히터(130)는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직접적 또는 간접적 접촉을 위한 구조없이도, 상기 히터(130)는 공기를 통한 열전달에 의해 상기 리세스(114)내의 물을 가열하고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By the aforementioned
앞서 도 2-도 15를 참조하여 설명된 스팀공급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스팀이 세탁기에 제공되며, 예를 들어 세탁물의 리프레쉬먼트, 세탁물의 살균, 및 세탁 분위기 조성등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스팀공급의 타이밍, 스팀공급량등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다른 많은 기능들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모두 세탁기의 기본적인 세탁 코스중에 수행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세탁기는 각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최적화된 별도의 코스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별도의 코스로써 다음에서는 스팀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리프레쉬하는데 최적화된 코스가 도 16-도 20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러한 리프레쉬 코스를 제어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세탁기는 소정의 제어장치(controller 또는 controll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후술되는 리프레쉬코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세탁기에서 구현가능한 모든 코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장치에 의해 앞서 설명된 스팀공급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각 부품의 모든 작동이 수행되거나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된 스팀공급 메커니즘의 모든 기능/작동 및 후술되는 제어방법의 모든 단계들은 모두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하에 있다. Using the steam supply mechanism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15, steam is provided to the washing machine, for example, a refreshment of laundry, sterilization of laundry, and a laundry atmosphere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many other functions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timing of the steam supply, the steam supply amount, and the like. These functions can all be performed during the basic washing course of the washing machine. On the other hand, the washing machine can have a separate course optimized to perform the respective functions. As such a separate course, a course optimized for refreshing laundry using steam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20. In order to control such a refresh course,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ler or a controlling unit. The control device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not only the refresh course described below, but also all courses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ll of the operations of each part of the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team supply mechanism described above can be performed or stopped by this control device. Therefore, all the functions / operations of the steam supply mechanism described above and all the steps of the control method described below are al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먼저, 상기 리프레쉬 코스에 있어서, 상기 소정공간(S)이 가열될 수 있다(S5). 그리고 이러한 가열은 여러장치중 상기 히터(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단계(S5)는 기본적으로 스팀을 생성하기에 적합한 고온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First, in the refresh course, the predetermined space S may be heated (S5). And such heating may be performed by the
상기 소정공간(S)은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이 스팀생성을 위해 기 설정된 소정공간을 의미한다. 다른 외부적인 변화가 이에 주어지지 않는다면, 상기 히터(130)는 공기의 낮은 열전도성으로 인해 자신이 차지하는 공간 자체 및 이의 주변공간만을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히터(130)을 이용하여 상기 덕트(100)의 공간을 국부적으로 높은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덕트(100)내 공간의 일부인 상기 소정공간(S)을 덕트내의 다른 공간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소정공간(S)은 상기 히터(130) 자체 (정확하게는, 상기 히터(130) 자신이 차지하는 공간)과 상기 히터(130)에 의해 가열되는 이의 주변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소정공간(S)은 히터(130) 자체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상기 소정공간(S)에 수행되는 모든 작동은 상기 히터(13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그와 같은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의 가열을 유효하게 수행하기 위해, 상기 히터(130)를 이용하여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소정공간(S)만을 가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같은 목적으로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히터(130)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공간(S)을 직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열단계(S5)는 국부적이고 직접적인 높은 온도로의 가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공간(S)을 스팀생성에 적합한 환경으로 신속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단계(S5)는 스팀생성에 요구되는 최소한의 공간, 즉 상기 소정공간(S)만을 가열하므로, 상당히 짧은 시간동안의 가열만을 요구한다. 따라서, 상기 가열단계(S5)는 국부적이고 직접적인 가열 뿐만 아니라 순간적인 가열을 이용하므로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가열은 의도된 스팀생성을 위한 소정의 환경이 형성될 수 있다면, 적어도 기설정된 가열단계(S5)의 일부기간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은 상기 가열단계(S5)의 전체 기간동안 수행될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space S refers to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space for steam generation as defined above. If no other external change is given to this, the
만일 상기 가열단계(S5)도중에 외부적인 변화가 상기 소정공간(S)에 주어지는 경우, 예를 들어, 공기유동이 상기 소정공간(S)이 주어지는 경우, 히터(130)로부터 발산되는 열은 덕트(100)의 다른 영역들로 강제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와 같은 다른 영역들을 불필요하게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국부적이고 순간적인 가열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스팀생성에 적합한 환경을 상기 소정공간(S)에 만들기 어려워지며, 에너지의 초과적 사용이 예상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공기유동의 공급없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공기유동이 상기 덕트 시스템 전체에 걸쳐 발생되는 경우, 즉 상기 덕트(100), 터브(30) 및 드럼(40)등을 통해 공기가 순환되는 경우, 앞서 설명된 결과가 보다 현저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덕트(100)를 이용한 공기순환없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단계(S5)가 진행되는 도중, 즉 완료되기 전에는 상기 소정공간(S)은 충분하게 가열되지 않을 수 있다. 만일 상기 가열단계(S5)도중 물이 상기 소정공간(S)에 공급된다면, 많은 량의 물이 스팀으로 변환되지 않으며 원하는 량의 스팀이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물 공급없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동공급 및/또는 물 공급의 배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단계(S5)의 전체기간동안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기유동공급 및/또는 물 공급의 배제는 상기 가열단계(S5)의 일부기간동안만 유지될 수도 있다. If an external change is given to the predetermined space S during the heating step S5, for example, when air flow is given to the predetermined space S, heat emitted from the
이와 같은 공기유동 공급 및 물 공급의 배제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제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스팀공급 메커니즘, 즉 덕트(100)장치내의 부품들이 일차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부품들의 제어는 도 17 및 도 18a-18c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도 17은 전체 리프레쉬 코스동안 관련부품들의 작동을 화살표를 이용하여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17에서 화살표는 해당 부품의 작동 및 이의 지속기간을 나타낸다. 또한, 도 18a-18c는 전체 리프레쉬 코스동안 관련부품들의 작동을 실제 시간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도 18a-18c에서, "진행시간"에서의 숫자는 리프레쉬 코스 시작후 진행된 전체시간(초)을 표시하며, 각 장치들에서의 숫자는 해당장치가 해당 단계에서 실제적으로 작동한 시간(초)을 표시한다.Such exclusion of the airflow supply and the water supply can be carried out by various methods. However, in order to carry out this exclusion, the steam supply mechanism, ie the components in the
예를 들어, 상기 블로워(140)는 공기유동 및 공기순환을 발생시킬 수 있는 주된 부품이다. 따라서,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워(140)는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공기유동 및/또는 공기 순환의 공급을 배제하기 위해 상기 가열단계(S5)동안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0)은 덕트(100)내에서 물공급을 위한 주된 부품이다. 따라서,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0)은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물 공급을 피하기 위해 상기 가열단계(S5)동안 정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로워(140) 및 노즐(150)의 작동 정지는 상기 가열단계(S5)의 전체 기간동안 계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블로워(140) 및 노즐(150)의 작동정지는 상기 가열단계(S5)의 일부기간동안만 유지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열단계(S5)의 전체기간동안 상기 히터(130)는 계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130)는 가열단계(S5)의 일부기간동안 작동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blower 140 is a main component capable of generating air flow and air circulation. Thus, as shown in FIGS. 17 and 18B, the blower 140 may be stopped during the heating step S5 to exclude the supply of air flow and / or air circulation to the predetermined space S. .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동공급은 기본적으로 스팀생성을 위한 최적의 고온환경을 형성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상기 가열단계(S5)에 있어 이러한 환경형성이 가장 중요하므로, 상기 가열단계(S5)는 적어도 공기유동의 공급없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상기 가열단계(S5)는 적어도 상기 블로워(140)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노즐(150)을 작동시키면서 상기 블로워(140)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생성될 스팀의 품질을 고려하여, 상기 가열단계(S5)는 공기유동의 공급 뿐만 아니라 물공급없이 수행될 수 있다. 즉, 가열단계(S5)는 상기 블로워(140) 및 노즐(150)을 둘 다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공기유동 배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상기 가열단계(S5)는 공기유동의 배제없이(즉, 공기유동의 공급과 더불어) 물공급을 배제하면서 수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단계(S5)는 블로워(140)의 작동정지없이 (즉, 블로워(140)를 작동시키면서) 노즐(150)만을 정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질수도 있다. 즉, 상기 가열단계(S5)는 적어도 상기 노즐(150)을 정지시키는 단계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로워(140) 및/또는 노즐(150)의 선택적인 정지중에도 상기 히터(130)는 상기 가열단계(S5)의 전체기간동안 계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즉, 도 17 및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공급 메커니즘의 주요부품인 히터(130), 블로워(150), 노즐(150)에 중에서, 상기 히터(130)만이 상기 가열단계(S5)동안 계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히터(130)는 의도된 스팀생성을 위한 소정의 환경, 즉 고온의 환경이 달성될 수 있다면, 기설정된 상기 가열단계(S5)의 일부 기간동안만 작동될 수도 있다. As discussed above, the airflow supply can basically prevent creating an optimal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for steam generation. Since such an environment is most important in the heating step S5,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heating step S5 is performed at least without supply of air flow. For these reasons, the heating step S5 may include stopping at least the blower 140. That is, the heating step S5 may include stopping the blower 140 while operating the
도 18b을 참조하면, 상기 가열단계(S5)는 실제적으로 상당히 짧은 시간인 20초동안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소정공간(S)만에 대한 국부적이고 직접적인 가열을 수행하므로, 이러한 짧은 시간내에도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소정공간(S)을 스팀 생성에 적합한 고온의 환경으로 만들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B, the heating step S5 may be performed for 20 seconds, which is a substantially short time. However, since the heating step S5 performs local and direct heating for only the predetermined space S,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suitable for generating steam in the predetermined space S while minimizing energy use even within such a short time. Can be made with
상기 가열단계(S5)가 완료되면, 상기 가열된 소정공간(S)에 물이 공급된다(S6). 이러한 물 공급은 여러장치중 노즐(15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물공급단계(S6)는 상기 소정공간(S)의 기 형성된 환경에 스팀생성을 위한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heating step (S5) is completed, water is supplied to the heated predetermined space (S6). This water supply can be made by the
스팀의 생성을 위해 물은 상기 노즐(150)을 이용하여 상기 소정공간(S)에 간접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물의 간접적인 공급은 상기 노즐(150)과는 다른 장치, 예를 들어 통상적인 아웃렛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물은 다양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공간(S)이 아닌 덕트(100)내의 다른 공간에 공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물은 블로워(140)에서 제공되는 공기유동에 의해 상기 소정공간(S)으로 스팀생성을 위해 이송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송도중, 물은 덕트(100)의 내면에 들러붙으므로, 제공된 물이 모두 상기 소정공간(S)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소정공간(S)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단계(S5)에서의 국부적이고 직접적인 가열에 의해 이미 스팀 생성에 최적의 조건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물 공급단계(S6)는 상기 소정공간(S)에 물을 직접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이유로 상기 물공급단계(S6)는 오직 상기 소정공간(S)에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물 공급은 의도된 바와 같이 충분한 량의 스팀이 만들어질 수 있다면 적어도 기설정된 물공급단계(S6)의 일부기간동안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 공급은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전체 기간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좋은 품질을 갖는 충분한 량의 스팀의 생성은 최적의 환경 즉, 고온의 환경의 조성을 조건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물 공급단계(S6)는 상기 가열단계(S5)가 소정시간동안, 정확하게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수행된 후에 시작 또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시작이전에 기설정된 시간동안 수행된다. Water may be indirectly provided to the predetermined space S by using the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이, 스팀은 액체상태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생성되는 기체상태의 물(vapor phase of water)을 의미하는 반면, 미스트(mist)는 액체상태의 작은 물 입자를 의미한다. 이러한 미스트는 쉽게 열을 흡수하여 상변화를 통해 고온의 스팀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물공급단계(S6)는 상기 소정공간(S)을 향해 미스트를 분사할 수 있다. 이미 앞서 도 6-8을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0)은 미스트를 생성하고 공급하는데 최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미스트의 공급에 의해 상기 물공급 단계(S6)는 상기 소정공간(S)에서 충분한 량의 스팀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노즐(150)에 공급되는 수압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노즐(150)은 미스트 대신에 물, 즉 워터 스트림 또는 워터 젯(water strean or water jet)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소정공간(S)은 스팀발생에 충분한 환경을 가지고 있으므로, 스팀은 생성될 수 있다. 앞서 이미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소정공간(S)은 히터(130) 자체를 포함하므로, 상기 물공급단계(S6)에서의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어떠한 수분, 즉 물 또는 미스트의 제공은 상기 히터(130)에 대해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물공급단계(S6)가 상기 소정공간(S)에 직접적으로 미스트를 분사한다면, 상기 소정공간(S)에 조성된 최적의 환경을 고려할 때, 스팀을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단계(S6)가 이러한 직접적인 미스트 분사를 상기 소정공간(S)에만 수행하면, 스팀의 생성은 더욱 효율적이 될 수 있다. As defined above, steam refers to the vapor phase of water produced by heating liquid water, while mist refers to small water particles in the liquid state. These mists can easily absorb heat and turn into hot steam through phase change. For this reason, the water supply step (S6) may spray the mist toward the predetermined space (S). As already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6-8, the
상기 물공급단계(S6)가 진행되는 도중에는 아직 충분한 량의 물이 공급되지 않았으므로, 의도된 바와 같은 충분한 량의 스팀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만일 물공급단계(S6)도중 공기유동이 상기 소정공간(S)에 공급되면, 충분하지 않은 량의스팀이 이러한 공기유동과 함께 터브(30)에 공급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초기에는 공급된 물이 공기유동에 의해 비산되어 상기 소정공간(S)을 벗어나므로, 마찬가지로 충분한 량의 스팀이 생성 및 공급될 수 없다. 더 나아가, 공급된 물이 스팀으로 변환되기까지는 소정의 시간이 필요하므로, 상기 물 공급단계(S6)가 진행되는 도중에는 아직 많은 량의 액체상태의 물이 상기 소정공간(S)내에 존재할 수 있다. 만일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공기유동이 물공급단계(S6)중에 공급되면, 상당한 량의 액체상태의 물이 스팀과 함께 상기 공기유동에 운반되어 상기 터브(30)에 공급될 수 있다. 즉, 물공급단계(S6)에서 공기유동의 공급은 터브(30)에 공급되는 스팀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의도된 기능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공급단계(S6)는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공기유동의 공급없이 수행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공기유동이 상기 덕트 시스템 전체에 걸쳐 발생되는 경우, 즉 상기 덕트(100) 및 터브(30)들을 통해 공기가 순환되는 경우, 앞서 설명된 결과들이 보다 현저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공급단계(S6)는 같은 이유로 공기순환없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유동/순환의 공급배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 공급단계(S6)의 전체기간동안 유지되나,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일부기간동안만 유지될 수도 있다. While the water supply step S6 is in progress, since a sufficient amount of water has not been supplied yet, a sufficient amount of steam may not be generated as intended. If the air flow is supplied to the predetermined space S during the water supply step S6, an insufficient amount of steam may be supplied to the
한편, 상기 물공급단계(S6)동안 공급된 물은 상기 소정공간(S)내의 에너지, 즉 열을 흡수하므로, 상기 소정공간(S)의 온도는 내려간다. 이러한 온도저하로 인해 상기 소정공간(S)은 스팀생성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갖지 못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당한 량의 액체상태의 물의 존재로 인해 충분한 량의 스팀이 생성되지 못하고 스팀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팀생성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상기 물공급단계(S6)동안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가열이 상기 물공급단계(S6)에서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물공급단계(S6)는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가열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가열은 적어도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일부기간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전체 기간동안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가열 자체는 상기 가열단계(S5)의 기본적이고 고유한 기능이므로, 이러한 물공급단계(S6)에서의 가열은 상기 가열단계(S5)가 적어도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일부기간동안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전체기간동안 수행될 수도 있다고 설명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서 충분하게 상기 소정공간(S)이 가열되었으므로, 추가적인 가열없이도 상기 물 공급단계(S4)에서 스팀은 어느정도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공급단계(S4)는 추가적인 가열없이 수행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 supplied during the water supply step (S6) absorbs energy, that is, heat in the predetermined space (S),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predetermined space (S) is lowered. Due to such a temperature drop, the predetermined space S may not have an optimal environment for steam generation. Accordingly, due to the presence of a large amount of liquid water, a sufficient amount of steam may not be generated and the quality of steam may deteriorate. Can be. Therefore, in order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optimum environment for steam generation during the water supply step S6, heating to the predetermined space S is also preferable in the water supply step S6. For this reason, the water supply step S6 may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heating for the predetermined space (S). In this case, the heating may be carried out for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supply step S6, or may be carried out for the entire period of the water supply step S6. In addition, since the heating itself is a basic and inherent function of the heating step S5, the heating in this water supply step S6 is further such that the heating step S5 is at least partially for a period of the water supply step S6. It can be substantially interpreted as being performed. Similarly,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heating step S5 may be performed for the entire period of the water supply step S6. Nevertheless, since the predetermined space S has been sufficiently heated above, steam may be generated to some extent in the water supply step S4 without additional heating. Thus, the water supply step S4 may be performed without additional heating.
이와 같은 공기유동 공급의 배제 및/또는 가열수행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상기 스팀공급 메커니즘, 즉 덕트(100)장치내의 부품들을 제어함으로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워(140)는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공기유동의 공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물공급단계(S6)동안 정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로워(140)의 작동 정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전체 기간동안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작동정지를 상기 물 공급단계(S6)의 일부기간동안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130)은 상기 소정공간(S)의 가열을 위한 주된 부품이다. 따라서, 도 17 및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정공간(S)의 최적환경 유지에 요구되는 가열을 위해, 상기 히터(130)는 상기 물공급단계(S6)동안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히터(130)는 적어도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일부기간동안 작동될 수 있으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전체 기간동안 작동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가열없는 물공급단계(S6)를 위해, 상기 히터(130)는 상기 물공급단계(S6)동안 정지될 수도 있다. 이러한 히터(130)의 작동정지는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전체기간동안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공급단계(S6)의 전체기간동안 상기 노즐(150)은 계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의도된 바와 같이 충분한 량의 스팀이 만들어질 수 있다면 상기 노즐(150)은 물공급단계(S6)의 일부기간동안만 작동될 수도 있다. Such exclusion and / or heating of the airflow supply can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but can be easily accomplished by controlling the components in the steam supply mechanism, ie the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동공급은 기본적으로 좋은 품질을 갖는 충분한량의 스팀을 생성하는 것이 방해한다. 상기 물 공급단계(S6)에 있어 스팀생성이 가장 중요하므로, 상기 물공급단계(S6)는 적어도 공기유동의 공급없이 수행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스팀 생성환경을 고려하여, 상기 물공급단계(S6)는 공기유동의 공급없이 가열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상기 물공급단계(S6)는 적어도 상기 블로워(140)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공급단계(S6)는 상기 블로워(140)를 정지시키는 반면, 상기 히터(150)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s discussed above, the airflow supply essentially prevents the production of a sufficient amount of steam with good quality. Steam generation is most important in the water supply step (S6), it is important that the water supply step (S6) is carried out at least without the supply of air flow.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team generation environment, the water supply step (S6) can be performed with heating without supply of air flow. For these reasons, the water supply step S6 may include stopping at least the blower 140.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step (S6) may include the step of operating the
상기 소정공간(S)의 크기는 제한적이므로, 너무 많은 량의 물을 실질적으로 긴 기간동안 공급하면 이러한 물은 모두 스팀으로 변환되기 어렵다. 따라서,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 공급단계(S6)는 상기 가열단계(S5)보다 짧은 시간인 7초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짧은 시간동안의 물 공급단계(S6)에 의해 적절한 량의 물이 상기 소정공간(S)에 공급되어 모두 스팀으로 변환될 수 있다.Since the size of the predetermined space S is limited, if a large amount of water is supplied for a substantially long period of time, all of such water is difficult to be converted into steam. Thus, as shown in FIG. 18B, the water supply step S6 may be performed for 7 seconds, which is a shorter time than the heating step S5. By this water supply step (S6) for a short time,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predetermined space (S) and all can be converted into steam.
상기 물공급단계(S6)가 완료되면, 생성된 스팀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소정공간(S)을 향해 공기가 불어질 수 있다(blow)(S7). 즉 생성된 스팀이 상기 터브(30)에 공급되도록 공기유동이 상기 소정공간(S)에 공급될 수 있다(S7). 이러한 공기유동의 공급은 여러장치중에서 상기 블로워(1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water supply step (S6) is completed, air may be blown toward the predetermined space (S) to move the generated steam (S7). That is, the air flow may be supplied to the predetermined space S so that the generated steam is supplied to the tub 30 (S7). The supply of such airflow may be performed by the blower 140 among various devices.
생성된 스팀은 이러한 공기유동에 실려 덕트(100)를 따라 이동하며, 일차적으로 터브(30)에 공급된다. 이후, 상기 스팀은 드럼(40)을 거쳐 최종적으로 세탁물까지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스팀은 의도된 기능들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세탁물을 리프레쉬하거나, 세탁물을 살균하거나 최적의 세탁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만일 공급된 공기유동이 생성된 스팀의 전부 또는 이의 충분한 량을 상기 터브(30)에 이송할 수 있다면, 이러한 공기공급은 상기 공기공급단계(S7)의 일부기간동안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공급은 상기 공기공급단계(S7)의 전체 기간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단계(S7)은 상기 터브(40)에 공급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스팀의 생성을 조건으로 하므로,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는 상기 물공급단계(S6)가 소정시간동안, 바람직하게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수행된 후에 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물공급단계(S6)는 상기 공기유동공급단계(S7)의 시작이전에 기설정된 시간동안 수행된다. 또한, 상기 물공급단계(S6)가 상기 가열단계(S5)의 소정시간동안의 수행후에 시작되므로,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는 상기 가열단계(S5) 및 물공급단계(S6)가 소정시간 수행된 후에 시작된다. The generated steam moves along the
한편, 상기 터브(30)/드럼(40) 및 그 내부의 공기는 상기 공급되는 스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갖는다. 공급된 스팀은 상기 터브(30)/드럼(40) 및 그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물로서 응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동공급단계(S7)동안, 생성된 스팀의 일정량은 이송되는 도중에 손실되며, 세탁물에 도달될 수 없다. 더 나아가, 충분한 량의 스팀이 세탁물에 제공될 수 없으며, 의도된 효과가 얻어지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스팀을 계속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동안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물공급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는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물공급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팀이 상기 물공급단계(S6)에 추가적으로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에서도 계속적으로 발생되며, 이에 따라 짧은 시간동안에 초과적인 스팀이 이송중의 손실을 충분하게 보충할 정도로 준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도중의 손실에도 불구하고 세탁기는 도어(20)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질 정도로 충분한 량의 스팀을 세탁물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팀에 의해 의도된 효과가 확실하게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물 공급은 적어도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일부기간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더 많은 스팀 생성을 위해,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전체기간동안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물공급은 물공급단계(S6)의 기본적 기능에 해당하므로, 이러한 공기유동 공급단계(S7)에서의 물공급은 상기 물공급단계(S6)가 적어도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일부기간동안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물공급단계(S6)는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전체기간동안 수행될 수도 있다고 설명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동안 공급된 물은 스팀으로 변환되면서 상기 소정공간(S)내의 열을 흡수하므로, 온도저하로 인해 상기 소정공간(S)은 스팀생성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갖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스팀생성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동안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가열이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에서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는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가열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에 의해 최적의 환경이 계속적으로 유지되므로, 상기 공기유동공급단계(S7)에서의 스팀 생성은 의도된 바와 같은 초과적인 량의 스팀을 얻도록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가열은 적어도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일부기간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스팀생성의 최적환경의 계속적 유지를 위해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전체 기간동안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가열은 상기 가열단계(S5)의 기본적 기능에 해당하므로, 이러한 공기유동 공급단계(S7)에서의 가열은 상기 가열단계(S5)가 적어도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일부기간동안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전체기간동안 수행될 수도 있다고 설명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supplied during the air flow supply step (S7) absorbs the heat in the predetermined space (S) while being converted into steam, the predetermined space (S) due to the temperature decreases the optimal environment for steam generation May not have. Therefore, in order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optimum environment for steam generation during the air flow supply step S7, heating to the predetermined space S is also preferable in the air flow supply step S7. For this reason, the air flow supply step S7 may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heating for the predetermined space S. Since the optimum environment is continuously maintained by this heating, the steam generation in the air flow supply step S7 can be performed more stably to obtain the excess amount of steam as intended. In this case, the heating may be carried out for at least a part of the air flow supply step S7, and further preferably for the entire period of the air flow supply step S7 for the continuous maintenance of the optimum environment for steam generation. May also be performed.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heating corresponds to a basic function of the heating step S5, the heating in this airflow supply step S7 is such that the heating step S5 is at least the airflow supply step S7. Can be substantially interpreted as being additionally performed during some period of time. Similarly,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heating step S5 may be carried out for the whole period of the air flow supply step S7.
이와 같은 물 공급 및/또는 가열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상기 스팀공급 메커니즘, 즉 덕트(100)장치내의 부품들을 제어함으로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150)은 및 히터(130)은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물 공급 및 가열을 위해 적어도 상기 공기유동공급단계(S7)의 일부기간동안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노즐(150) 및 히터(130)의 작동은 바람직하게는 초과적 스팀생성 및 이를 위한 최적환경 유지를 위해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전체기간동안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공급단계(S7)의 전체기간동안 상기 블로워(140)는 계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블로워(140)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을 넘어 추가적인 시간동안(예를 들어, 도 18b에서는 1초) 작동될 수도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작동은 상기 덕트(100)내에 잔류하는 스팀을 모두 배출하는 데 있어서 유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블로워(140)는 공급된 공기유동이 생성된 스팀의 전부 또는 이의 충분한 량을 상기 터브(30)에 이송할 수 있다면 상기 공급단계(S5)의 일부 기간동안만 작동될 수도 있다. Such water supply and / or heating can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but can be easily accomplished by controlling the components in the steam supply mechanism, ie the
한편,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에서 공급되는 스팀에 의해 상기 터브(30)내에는 물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브(30)/드럼(40) 및 그 내부의 공기는 상기 공급되는 스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갖는다. 따라서, 공급된 스팀은 상기 터브(30)/드럼(40) 및 그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물로서 응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단계(S6)에서도 상기 덕트(100)내에서도 열교환에 의해 상기 생성된 스팀은 응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응축된 물은 다시 공기유동에 의해 상기 터브(30)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응축된 물은 최종적으로 상기 터브(30)내에 모일 수 있다. 만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프(33)가 상기 터브(30)에 제공되는 경우, 응축된 물은 상기 섬프(33)에 모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응축된 물은 상기 세탁물을 다시 적실 수 있으며, 스팀공급에 의해 의도된 기능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물공급 및 공기공급단계(S6,S7)동안에 상기 스팀공급에 의해 생성된 물은 상기 터브(3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물의 배출을 위해,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펌프(90)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90)가 작동되면, 상기 섬프(33)에 있는 물은 상기 배수구(33b) 및 배수관(91)를 거쳐 세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물의 배출은 상기 물공급 및 공기유동 공급단계들(S6,S7)의 전체 기간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만일 물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면, 상기 물의 배출은 상기 물공급 및 공기유동 공급단계들(S6,S7)의 일부 기간동안만 수행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배수펌프(90)도 상기 물공급 및 공기유동 공급단계들(S6,S7)의 전체 기간동안 작동되거나, 이의 일부 기간동안 작동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ater may be generated in the
상기 소정공간(S)의 크기는 제한적이므로, 상기 소정공간(S)내에 생성된 모든 스팀을 상기 터브(30)에 공급하는데는 많은 시간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동공급단계(S7)는 상기 물공급단계(S6)보다 짧은 시간인 3초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들(S5-S7)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 단계에 의도된 기능을 각각 효율적으로 수행하므로, 이들의 수행시간들은 도 18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점차적으로 단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에너지의 사용도 최소화된다. Since the size of the predetermined space S is limited, much time is not required to supply all the steam gener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S to the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S5-S7)의 전체기간동안 상기 히터(130)는 연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속적인 작동으로 인해, 상기 히터(130)가 과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히터(130)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히터(130)의 온도가 직접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덕트(100)내 공기온도 또는 히터(130)의 온도가 85℃까지 상승되면, 상기 히터(130)가 정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덕트(100)내 공기온도 또는 히터(130)의 온도가 70℃까지 하강되면, 상기 히터(130)는 다시 작동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에서, 생성된 스팀을 효과적으로 터브(30)까지 이송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공기유동이 상기 소정공간(S)에 공급되어야 한다. 이러한 충분한 공기유동은 실제적으로 상기 블로워(140)가 소정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될 때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블로워(140)가 적정 회전수에 도달하기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요구된다. 특히, 상기 블로워(140)가 완전히 정지된 상태로부터 회전을 시작할 때까지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는 다른 관련단계들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동안 수행되도록 최적으로 설정되므로, 상기 블로워(140)가 적정 회전수하에서 작동되는 시간은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기간보다 더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동안 충분한 공기유동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성된 스팀의 효과적 이송도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단계(S7) 동안 블로워(140)의 최대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 이전에 상기 블로워(140)는 예비적으로 회전, 즉 작동될 수 있다. 만일, 상기 블로워(140)가 공급단계(S7) 이전에 미리 회전되면, 상기 블로워(140)의 회전동안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이 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초기에 상기 블로워(140)의 회전수는 적정 회전수까지 바로 증가될 수 있으며, 계속적으로 충분한 공기유동이 공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ir flow supply step (S7), sufficient air flow must be supplied to the predetermined space (S) in order to effectively transfer the generated steam to the tub (30). This sufficient airflow can actually occur when the blower 140 is rotated beyond a predetermined number of revolutions, and some time is required before the blower 140 reaches an appropriate number of revolutions. In particular, it takes the most time until the blower 140 starts to rotate from the completely stopped state. However, since the air flow supply step S7 is optimally set to be performed for a relatively short time in consideration of other related steps, the time for which the blower 140 is operated under an appropriate rotational speed is the air flow supply step S7. Can be shorter than Therefore, sufficient air flow may not be supplied during the air flow supply step (S7), and thus the effective transfer of generated steam may not be possible. For this reason, in order to ensure maximum performance of the blower 140 during the step S7, the blower 140 may be preliminarily rotated, i.e., operated before the airflow supplying step S7. If the blower 140 is previously rotated before the supplying step S7, the airflow supplying step S7 may be started during the rotation of the blower 140. Therefor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blower 140 may be immediately increased to an appropriate number of revolutions at the beginning of the airflow supply step S7, and sufficient airflow may be continuously supplied.
이러한 블로워(140)의 예비회전은 상기 물공급단계(S6)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그러나,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상기 물공급단계(S6)에서의 공기유동 공급은 스팀의 량 및 품질의 저하를 가져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블로워(140)의 예비회전은 상기 가열단계(S5)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단계(S5)는 소정시간동안 상기 블로워(140)를 회전시키는, 즉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단계(S5)에서의 공기유동 공급은 비록 스팀생성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나, 국부적인 가열을 방해함으로써 에너지의 소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블로워(140)의 작동은 상기 가열단계(S5)의 일부기간동안만 수행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물 공급단계(S6)동안은 상기 블로워(140)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상기 블로워(140)가 상기 가열단계(S5)의 초기에만 회전된다면, 상기 블로워(140)는 관성에 의해서도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까지 회전을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로워의 작동단계는 도 17 및 도 18b에도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단계(S5)의 종반부에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단계는 오직 상기 가열단계(S5)의 종반부에서만 수행될 수 있다. The pre-rotation of the blower 140 may be performed in the water supply step (S6). However, as discussed above, the air flow supply in the water supply step (S6)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leads to a decrease in the amount and quality of steam. Therefore, the preliminary rotation of the blower 140 may be performed in the heating step (S5).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S. 17 and 18B, the heating step S5 may further include rotating, that is, operating the blower 140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ddition, the airflow supply in the heating step (S5)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steam generation, but may increase the consumption of energy by preventing local heating. 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blower 140 may be performed only for a part of the heating step S5. Furthermore, since the blower 140 is not operated during the water supply step S6, if the blower 140 is rotated only at the beginning of the heating step S5, the blower 140 is also inertial. It may not be possible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rotation until the air flow supply step (S7). Therefore, the operating step of the blower is performed at the end of the heating step S5, as is also clearly shown in Figs. 17 and 18B. Preferably the actuation step can only be carried out at the end of the heating step S5.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가열단계(S5)에서조차도 공기유동 공급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작동단계는 상기 블로워(140)를 상당히 제한적으로 작동시킨다. 실제적으로 상기 작동단계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140)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소정시간동안만 턴 온된다. 상기 소정시간이 만료되면, 상기 블로워(140)는 바로 턴 오프되며, 단순히 회전만을 유지하도록 관성에 회전된다. 또한, 상기 턴 온되는 소정기간동안 상기 블로워(140)는 낮은 회전수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로워의 작동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단계(S5)는 제 1 가열을 수행하는 단계(S5a)와 제 2 가열을 수행하는 단계(S5b)로 구별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가열단계(S5a)는 가열단계(S5)의 초반부에 해당하며, 어떠한 블로워(140)의 작동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열단계(S5a)는 물공급 및 공기유동의 공급없이 상기 소정공간(S)만을 가열한다. 또한, 상기 제 2 가열단계(S5b)는 상기 가열단계(S5)의 종반부에 해당하며, 앞선 설명된 바와 같은 블로워(140)의 작동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가열단계(S5b)는 상기 블로워(140)를 작동시키면서 상기 소정공간(S)를 가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기간동안 즉, 상기 제 2 가열단계(S5b)동안 상기 블로워(140)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턴 온된다. 즉, 상기 제 2 가열단계(S5b)에서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공기 유동이 공급될 수도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로워(140)는 낮은 회전수로 작동되므로, 상기 소정공간(S)의 가열에 대한 공기유동의 악영향은 최소화된다. 한편,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가열단계(S5b)의 전체기간동안 상기 블로워(140)는 계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블로워(140)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상의 이유로, 상기 제 2 가열단계(S5b)를 넘어 추가적인 시간동안(예를 들어, 도 18b에서는 1초) 작동될 수도 있다. 이 후, 상기 제 2 가열단계(S5b)의 종료시, 상기 블로워(140)는 바로 턴 오프 된다. 턴 오프되면 상기 블로워(140)는 상기 물공급단계(S6)동안 단순히 회전만을 유지하도록 관성에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물공급단계(S6)동안 상기 블로워(140)가 상당히 낮은 회전수로 회전하므로, 어떠한 실질적인 공기유동이 상기 소정공간(S)에 공급되지 않는다. 상기 블로워(140)의 관성회전은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까지 연장되며,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가 시작될 때, 상기 블로워(140)는 여전히 낮은 회전수하에서도 회전을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초기에 블로워(140)의 정지에서 회전시작까지의 시간이 절약되며, 상기 블로워(140)의 회전수는 적정 회전수까지 바로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전체기간동안 계속적으로 충분한 공기유동이 공급될 수 있으며, 생성된 스팀도 효과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even in the heating step S5, since the airflow supply is not preferable, the operation step operates the blower 140 considerably limited. In practice, in the operation step, the blower 140 is turned on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so as to be rotated by power. When the predetermined time expires, the blower 140 is immediately turned off and rotated inertia to simply maintain rotation. In addition, the blower 140 may be rotated at a low rotational speed during the turned-on period.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blower, the heating step S5 may be divided into a step S5a for performing the first heating and a step S5b for performing the second heating. As shown in FIGS. 17 and 18B, the first heating step S5a corresponds to the beginning of the heating step S5 and does not include any operation of the blower 140. Therefore, the first heating step S5a heats only the predetermined space S without supplying water and supplying air flow. In addition, the second heating step S5b corresponds to the end of the heating step S5 and includes an operation step of the blower 140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second heating step S5b heats the predetermined space S while operating the blower 140. More specifically, the blower 140 is turned 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at is, during the second heating step S5b to be rotated by power. That is, the air flow for the predetermined space S may be supplied in the second heating step S5b. 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lower 140 is operated at a low rotation speed, the adverse effect of air flow on the heating of the predetermined space S is minimized. Meanwhile, as shown in FIGS. 17 and 18B, the blower 140 may be continuously operated for the entire period of the second heating step S5b. Furthermore, as shown in FIG. 18B, the blower 140 may be operated for an additional time (eg, 1 second in FIG. 18B) beyond the second heating step S5b for control reasons. Thereafter, at the end of the second heating step S5b, the blower 140 is immediately turned off. When turned off, the blower 140 is rotated inertia to simply maintain rotation during the water supply step S6. Therefore, since the blower 140 rotates at a considerably low rotational speed during the water supply step S6, no substantial air flow is supplied to the predetermined space S. The inertia rotation of the blower 140 extends to the air flow supply step S7, and when the air flow supply step S7 is started, the blower 140 still maintains rotation even under low revolutions. Therefore, the time from the stop of the blower 140 to the start of rot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air flow supply step (S7) is saved,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blower 140 can be immediately increased to the appropriate number of revolutions. Therefore, sufficient air flow can be supplied continuously for the entire period of the air flow supply step S7, and the generated steam can also be effectively transferred.
앞서 설명된 작동단계가 수행되면, 블로워(140)가 작동되고 공기유동이 공급되므로, 상기 작동단계를 수반한 가열단계(S5)는 단지 상기 소정공간(S)에 대한 물 공급 및 노즐(150)의 작동없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 블로워(140)는 작동단계에서 낮은 회전수로 회전하므로, 덕트(100)을 통한 공기 순환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가열단계(S5)는 상기 블로워 작동단계가 수행되는 경우에도, 덕트(100)를 통한 공기 순환없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작동단계가 수행된다 하더라도, 이는 가열단계(S5)에서의 국부적인 가열 및 스팀 생성 환경 조성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는다. 또한, 만일 상기 블로워 작동단계없이도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가 효율적으로 원하는 량의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면, 이러한 작동단계는 배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어떠한 경우에도 상기 가열단계(S5)는 여전히 물공급 및 공기유동 공급 둘 다 없이 수행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즉, 상기 블로워 작동단계는 선택적이며, 필수 불가결한 것이 아니다. When the operation step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the blower 140 is operated and the air flow is supplied, so that the heating step S5 accompanying the operation step is merely a water supply and a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단계(S5), 물공급단계(S6) 및 공기유동공급단계(S7)는 스팀공급을 위해 기능적으로 서로 연계된다. 따라서, 도 16,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단계들(S5-S7)은 이의 기능적 측면에서 하나의 프로세스, 즉 스팀공급 프로세스(P2)를 형성한다. 리프레쉬 효과, 즉 구김, 정전기, 냄새등의 제거는 충분한 량의 스팀의 공급만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공급프로세스(P2)는 이미 충분한 량의 스팀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후술되는 추가적인 단계들없이도 단독으로 의도된 리프레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들(S5-S7)의 세트 즉,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는 다수회 반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많은 스팀이 리프레쉬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계속적으로 상기 터브(30)에 공급될 수 있다. 도 18b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바람직하게는 12회 반복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13 -14회 또는 그 이상의 횟수로 반복될 수도 있다. 스팀공급프로세스(P2)를 1번 수행하는데 30초가 걸리므로, 이를 12회 수행하는 것은 360초정도 걸린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세스(P2)의 반복중에 약간의 지연이 발생될 수도 있으며, 제어의 목적으로 추가적인 지연도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에 뒤따르는 단계는 정확하게 360초후에 시작되지 않을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step (S5), the water supply step (S6) and the air flow supply step (S7) is functionally linked to each other for steam supply. Thus, as shown in Figs. 16, 17 and 18B, these steps S5-S7 form one process, that is, the steam supply process P2, in terms of their function. The refreshing effect, i.e. removal of wrinkles, static electricity, odors and the like can be achieved only by supplying a sufficient amount of steam.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team supply process P2 can generate a sufficient amount of steam already, the steam supply process P2 can perform the intended refresh function alone without additional step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set of steps S5-S7, that is, the steam supply process may be repeated a number of times, so that more steam may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스팀공급에 요구되는 기능 및 작동을 상세하게 구별하고 이러한 구별된 기능 및 작동을 해당 단계들(S5-S7)에 각각 부여한다. 이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단계(S5), 물공급단계(S6) 및 공기유동공급단계(S7)는 각각의 의도된 기능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의도된 기능에 연계된 작동을 주로 수행하며 이에 따라 연계된 부품을 주로 작동시킨다. 또한, 같은 이유로, 즉, 부여된 기능들을 최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상기 단계들(S5-S7)의 시작시점이 제어된다. 예를 들어, 상기 물공급단계(S6)는 상기 가열단계(S5)가 소정시간 수행된 후에 시작되며,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은 상기 물공급단계(S6)가 소정시간 수행된 후에 시작된다. 따라서, 후속단계들은 앞선 단계들이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며, 그와 같은 의도된 기능들이 충분하게 수행된 후에야 자신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앞선 단계들(S5,S6)의 지속기간은 후속단계들(S6,S7)와 앞선 단계들(S5,S6)이 중첩되게 제어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앞선 단계들(S5,S6)는 상기 후속단계들(S6,S7)을 넘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물공급단계(S6)동안 가열이 수행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열단계(S5)가 상기 물공급단계(S6)동안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동안 가열 및 물공급이 수행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열단계(S5) 및 상기 물공급단계(S6)가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동안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팀이 상기 물공급단계(S6)에 추가적으로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에서도 계속적으로 발생되며, 이에 따라 각종 손실을 보상하면서도 초과적인 량의 스팀이 생성된다. 더 나아가,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은 스팀이송성능을 강화하도록 추가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블로워(140)는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에 앞서 예비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공급단계(S7)가 시작되자 마자 상기 블로워(140)는 적절한 회전수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공기유동이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의 전체기간동안 공급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의도된 기능들의 효과적 수행에 추가적으로 스팀 생성 량과 이송에 있어서의 개선을 가져온다. 즉, 스팀생성량이 크게 증가되며, 이러한 증가된 스팀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기본적으로 리프레쉬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충분한 공기유동을 공급함으로써 초과생성된 스팀을 모두 터브(30)내에 이송시키므로, 이송된 스팀은 도어(20)의 투명부, 즉 도어 글래스(21)를 통해 사용자에게 분명하게 보여질 수 있다. 이러한 스팀 공급의 가시화에 의해 사용자는 세탁기에 대해 높은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The steam supply process P2 distinguishes in detail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required for steam supply and assigns these distinct functions and operations to the corresponding steps S5-S7, respectively. As already described above, the heating step (S5), water supply step (S6) and air flow supply step (S7) mainly performs an operation associated with the intended function to effectively perform the respective intended functions. Accordingly, the associated parts are mainly operated. Also, for the same reason, that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steps S5-S7 is controlled in order to optimally perform the given functions. For example, the water supply step S6 is started after the heating step S5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air flow supply step S7 is started after the water supply step S6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do. Thus, subsequent steps do not prevent the preceding steps from performing their intended function, and perform their function only after such intended functions have been sufficiently performed. In addition, the duration of the preceding steps (S5, S6) can be controlled to overlap the subsequent steps (S6, S7) and the preceding steps (S5, S6). More specifically, the foregoing steps S5 and S6 may extend beyond the subsequent steps S6 and S7. For example, heating is performed during the water supply step S6, and thus, the heating step S5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during the water supply step S6. In addition, heating and water supply are performed during the air flow supply step S7. Accordingly, the heating step S5 and the water supply step S6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during the air flow supply step S7. . Therefore, steam is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air flow supply step S7 in addition to the water supply step S6, thereby generating an excessive amount of steam while compensating for various losses. Furthermore, the air flow supply step (S7) can be further modified to enhance the steam transfer performance. For example, the blower 140 may be preliminarily operated prior to the air flow supplying step S7, so that the blower 140 is operated at an appropriate rotational speed as soon as the supplying step S7 is started. Can be rotated. Thus, sufficient airflow can be supplied for the entire period of the airflow supply step S7. As described above, the steam supply process P2 brings an improvement in the amount of steam production and transfer in addition to the effective performance of the intended functions. That is, the steam production amount is greatly increased, and this increased steam can be transferred more efficiently. For these reasons, the steam supply process P2 can basically greatly improve the refresh performance. In addition, since the steam supply process (P2) to supply a sufficient air flow to transfer all the excess steam in the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스팀을 생성하고 공급하는 독립적인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프로세스(P2)는 위에서 상기 리프레쉬 코스의 일부로써 설명되었으나, 기본적인 세탁 코스 또는 다른 개별적인 코스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team supply process P2 has an independent function of generating and supplying steam. Thus, although the process P2 has been described above as part of the refresh course, it can be applied to a basic laundry course or other individual course as it is.
한편, 만일 스팀공급 메커니즘을 포함하여 세탁기 자체가 미리 스팀공급에 적합하게 준비될 수 있다면,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S5-S7)는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준비를 위한 단계들이 다음에서 설명된다. 상기 준비단계들과 기 설명된 단계들(S5-S7) 뿐만 아니라 이후에 설명되는 모든 단계들에 있어서, 만일 어떤 기능이 수행되거나 배제된다고 설명되는 경우, 이는 기본적으로 그와 같은 기능수행 및 기능배제가 해당 단계의 기설정된 전체기간동안 유지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 해당 단계의 일부 기간동안 유지되는 것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같은 논리가 그와 같은 기능과 관련된 부품이 작동되거나 정지된다고 설명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또한, 만일 어떤 기능 및/또는 부품의 작동이 다음의 각각의 단계들에서 언급되지 않는다면, 이는 해당 단계에서 이러한 기능이 수행되지 않으며, 부품이 작동되지 않는다는 것, 즉 정지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미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술된 논리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모든 단계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washing machine itself including the steam supply mechanism can be prepared for steam supply in advance, the steam supply process (P2; S5-S7)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Therefore, the steps for such preparation are described below. In the above preparation steps and the previously described steps (S5-S7) as well as all the steps described later, if a function i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or excluded, it basically performs such a function and excludes the function. May mean to be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otal duration of the stage, and on the other hand, to be maintained for some duration of the stage. Likewise, the same logic applie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part related to such a function is activated or stopped. In addition, if the operation of any function and / or part is not mentioned in each of the following steps, this may mean that this function is not performed at that step and the part is not working, i.e., stopped. As already mentioned above, the above-described logic can be applied in common to all the step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준비단계로써, 상기 가열단계(S5)에 앞서, 상기 덕트(100)가 예비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S4). 이러한 예비가열단계(S4)는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상기 덕트(100)와 이에 연결된 터브(30)에서 고온의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기의 순환은 상기 스팀공급 메커니즘을 형성하는 덕트(100)내의 부품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 및 도 18a를 참조하면, 고온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블로워(140)와 히터(130)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히터(130)가 열을 발산하면, 이러한 열은 상기 블로워(140)에서 제공된 공기유동에 실려 덕트(100)를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열은 공기유동과 함께 순환하면서, 공기 뿐만 인접한 부품들도 가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순환하는 열과 공기유동은 상기 덕트(100)(스팀공급 메커니즘 포함)뿐만 아니라 터브(30)와 드럼(40) 자체와 이들 내부의 공기들을 전체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단계(S5)가 상기 소정공간(S)만을 국부적으로 가열하는 반면, 상기 예비가열단계(S4)는 상기 덕트(100) 및 그 내부 부품을 포함하여, 터브(30) 및 드럼(40)과 같은 세탁기 시스템 전체를 실질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단계(S5)가 상기 소정공간(S)을 직접적으로 가열하는 반면, 상기 예비가열단계(S4)는 공기의 순환을 이용하므로, 세탁기 시스템 전체를 간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예비가열단계(S4)의 전체기간동안 상기 블로워(140) 및 히터(130)는 계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로워(140)는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상의 이유로, 상기 예비가열단계(S4)를 넘어 추가적인 시간동안(예를 들어, 도 18a에서는 1초) 작동될 수도 있다. First, as a preparation step, prior to the heating step (S5), the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예비가열단계(S4)에 의해 상기 덕트(100)전체가 일차적으로 가열되므로,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S5-S7)에 의해 제공되는 스팀이 상기 터브(30) 및 드럼(40)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덕트(100)내에서 응축되는 것이 어느 정도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비가열단계(S4)는 터브(30) 및 드럼(40)도 전체적으로 가열하므로, 제공되는 스팀이 상기 터브(30) 및 드럼(40)내에서 응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손실없이 충분한 량의 스팀이 공급되므로 의도된 기능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예비가열단계(S4)는 도 17 및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50초동안 수행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세탁기, 상세하게는 덕트(100), 터브(30) 및 드럼(40)내에 잔류하는 물은 스팀공급에 의해 의도된 기능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잔류하는 물은 공급된 스팀의 빠른 응축을 유도할 수 있으며, 세탁물을 다시 적실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상기 세탁기내에 잔류하는 물은 세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S3). 상기 배출단계(S3)는 상기 가열단계(S5)이전에 어느 때라도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세탁기 내부에 존재하는 물은 공급되는 고온의 공기와 열교환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예비가열단계(S4)의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단계(S3)는 도 17 및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예비가열단계(S4)에 앞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단계(S3)의 수행을 위해, 상기 배수펌프(90)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90)가 작동되면, 상기 터브(30)내의 물은 상기 배수구(33b) 및 배수관(91)를 거쳐 세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물 배출을 촉진하기 위해, 상기 배출단계(S3)동안 가열되지 않은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가열되지 않은 공기의 순환을 위해 상기 순환단계동안, 히터(130)의 작동없이 상기 블로워(140)만이 소정시간(예를 들어, 3초)동안 작동될 수 있다 (도 17 및 18a 참조). 상기 순환단계에서, 가열되지 않은 공기, 즉 상온의 공기는 덕트(100), 터브(30) 및 드럼(40)에 걸쳐 순환하면서, 이들 내부에 기 존재하는 물을 이동시키고 최종적으로 터브(30), 상세하게는 상기 터브(30)의 바닥부에 모은다. 만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프(33)가 상기 터브(30) 의 바닥부에 제공되는 경우, 잔류된 물은 모두 상기 섬프(33)에 모일 수 있다. 실제적으로, 덕트(100)내에 잔류하는 물은 단순히 배수펌프(90)의 작동에 의해서 배출될 수 없다. 그러나, 공기 순환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덕트(100)내의 물도 제거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순환단계에 의해 잔류된 물은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출단계(S3)는 도 17 및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15초동안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remaining in the washing machine, specifically the
또한, 세탁기의 반복되는 작동동안 상기 히터(130)의 표면에는 린트등과 같은 불순물이 부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불순물은 히터(130)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가열단계(S5)에 앞서, 상기 히터(130)의 표면은 청소될 수 있다(S2). 상기 청소단계(S2)는 상기 가열단계(S5)이전에 어느 때라도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청소단계(S2)는 히터(130)의 효율적이고 신속한 청소를 위해 일정량의 물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므로, 이러한 물을 배출하기 위해 도 17 및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단계(S2)에 앞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청소단계(S2)의 수행을 위해, 상기 노즐(150)은 소정량의 물을 상기 히터(130)에 분사한다. 만일 너무 많은 량의 물이 상기 히터(130)에 분사되면, 상기 덕트(100)내에 물이 상당량의 물이 잔류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미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잔류된 물은 뒤 따르는 단계들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상기 노즐(150)은 상기 히터(130)에 물을 간헐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노즐(150)는 0.3초동안 물을 분사하고 2.5초동안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분사 및 정지의 세트는 예를 들어 4회 반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청소단계(S2)에 의해 히터(130)의 불순물들이 제거되므로, 뒤따르는 단계들, 특히 스팀공급 프로세스(P2)에서 상기 히터(130)의 안정적인 작동이 보장된다. 또한, 상기 청소단계(S2)에서, 분사된 물은 상기 히터(130)를 전체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130)표면의 온도는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되며, 이에 따라 히터(130)는 뒤따르는 단계들에서 보다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에서는 상당량의 스팀이 계속해서 상기 터브(30)에 공급된다. 상기 세제박스(15)는 상기 터브(3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팀중 일부가 상기 세제박스(15)를 통해 세탁기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따라서, 누출된 스팀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도 있으며, 세탁기 자체의 신뢰성도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청소단계(S2)에서 상기 세제박스(15)에 소정량의 물이 공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제박스(15)와 연결된 밸브가 짧은 시간동안(예를 들어, 0.1초)개방되며, 이에 따라 물이 상기 세제박스(15)에 공급될 수 있다. 공급된 물은 상기 세제박스(15) 내부와 상기 세제박스(15)와 터브(30)을 연결하는 관의 내부를 적신다. 따라서, 상기 터브(30)로부터 누출된 스팀은 상기 연결관의 내부 및 세제박스(15)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에 의해 응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세제박스(15)로부터 누출되지 않는다. 앞서 설명된 히터 청소 및 누출방지는 상당량의 물을 사용한다. 이러한 물이 잔류하면 뒤따르는 단계들의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단계(S2)동안에도 도 17 및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된 물을 배출하도록 배수펌프(90)가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청소단계(S2)은 도 17 및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12초동안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impurities such as lint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또한, 보다 효율적인 제어의 목적으로 상기 세탁기에 공급되는 전압이 감지될 수 있다(S1). 이러한 전압 감지에 기반한 제어는 본 명세서의 해당 부분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In addition, the voltage su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can be sensed for more efficient control (S1). This control based on voltage sensing is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relevant part of this specification.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들(S1-S4)는 뒤따른는 단계들(S5-S7), 즉 스팀공급 프로세스(P2)를 위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S1-S4)들은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를 위해 준비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 16, 도 17,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단계들(S1-S4)는 이들의 기능적 측면에서 하나의 프로세스, 즉 준비 프로세스(P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준비 프로세스(P1)는 스팀생성 및 공급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에 실질적으로 보조적이다. 따라서, 만일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레쉬 코스가 아닌 기본적인 세탁코스 또는 다른 개별적인 코스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적용되면, 상기 준비 프로세스(P1)는 그와 같은 코스들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teps S1-S4 can create an optimal environment for the following steps S5-S7, ie the steam supply process P2. In other words, the steps S1-S4 perform a function of providing preparation for the steam supply process P2. Thus, as shown in Figs. 16, 17 and 18A, these steps S1-S4 form one process, that is, preparation process P1, in terms of their function. The preparation process P1 is substantially assisted in the steam supply process P2 by creating an optimal environment for steam generation and supply. Thus, if the steam supply process P2 is applied independently to supply steam to the basic washing course or other individual course other than the refresh course, as mentioned above, the preparation process P1 is such. May be optionally applied to courses.
한편,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에서 공급된 스팀은 의도된 바와 같이 이의 높은 온도 및 수분으로 인해 세탁물의 구김, 냄새, 및 정전기등을 어느정도 제거함으로써 세탁물을 리프레쉬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리프레쉬 기능을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후처리가 추가적으로 요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급된 스팀은 상기 세탁물에 수분을 공급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는 상기 리프레쉬된 세탁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가 요구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team supplied in the steam supply process (P2) can be refreshed by removing some of the wrinkles, odors, static electricity, etc. of the laundry due to its high temperature and moisture as intended. Nevertheles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this refresh function, some post-processing may be additionally required. In addition, since the supplied steam supplies moisture to the laundry, a post-treatment for removing moisture from the refreshed laundry may be required for the user's convenience.
이러한 후처리로써, 상기 공기공급단계(S7)이후에, 제 1 건조단계(S9)이 먼저 수행될 수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섬유의 구김을 펴기 위해서는 섬유의 조직이 재배열되는 과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섬유조직의 재배열을 위해서는 먼저 소정량의 수분이 제공되고 충분한 시간동안 섬유내의 수분이 천천히 제거되어야 한다. 즉, 수분이 천천히 제거되어야만 변형된 섬유조직들이 부드럽게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만일 너무 높은 온도로 섬유를 건조하게 되면, 수분만이 급속하게 섬유부터 제거되며 섬유조직들은 변형된 채로 남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수분을 천천히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 1 건조단계(S9)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세탁물을 가열하면서, 세탁물을 건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건조단계(S9)은 실질적으로 저온건조에 해당할 수 있다. As such a post-treatment, after the air supply step S7, the first drying step S9 may be performed first. As is known, the process of rearranging the tissue of the fiber is required to unfold the fiber. For the rearrangement of such fibrous tissues,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first provided and water in the fiber must be slowly removed for a sufficient time. That is, only when moisture is slowly removed, the deformed fibrous tissues can be smoothly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If the fiber is dried at too high a temperature, only moisture is rapidly removed from the fiber and the fibers remain deformed. For this reason, in order to slowly remove moisture, the first drying step S9 may be configured to dry the laundry while heating the laundry to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That is, the first drying step S9 may substantially correspond to low temperature drying.
이러한 제 1 건조단계(S9)는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가열된 공기를 소정시간동안 상기 터브(30)에 공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공급된 가열공기는 최종적으로 상기 드럼(40)내의 세탁물에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된 공기공급은 상기 스팀공급 메커니즘을 형성하는 덕트(100)내의 부품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 및 도 18c를 참조하면,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블로워(140)와 히터(130)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히터(130)가 열을 발산하면, 이러한 열은 주변의 공기를 가열하게 되며, 가열된 공기는 상기 블로워(140)에서 제공된 공기유동에 실려 덕트(10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된 공기는 공기유동과 함께 터브(30) 및 드럼(40)을 거쳐 세탁물에 도달될 수 있다. 또한, 만일 히터(130)이 지속적으로 작동되면,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는 계속적으로 상승되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유지되기 어렵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히터(130)는 단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히터(130)은 30초동안 작동되고, 40초동안 정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작동 및 정지를 반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가열된 공기의 공급을 위해, 상기 공기 또는 히터(130)의 온도가 직접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덕트(100)의 공기온도 또는 히터(130)의 온도가 57℃까지 떨어지면, 상기 히터(130)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100) 공기온도 또는 히터(130)의 온도가 58℃까지 올라가면, 상기 히터(130)가 정지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에 기초한 히터(130)의 단순제어만에 의해서도 상기 공기 또는 히터(130)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범위인 57℃-58℃로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에 기초한 히터(130)의 단순제어에 추가적으로, 히터(130)의 단속적인 작동은 강제적으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앞서 스팀공급 프로세스(P2)에서 이미 상기 터브(30)내의 온도는 상온보다 높으며, 상기 제 1 건조단계(S9)는 상대적으로 저온의 환경을 요구한다. 따라서, 도 17 및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130)는 상기 블로워(140)가 소정시간(예를 들어, 3초)동안 작동된 후, 작동되기 시작할 수 있다. The first drying step S9 may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but may be performed by supplying air heated to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to the
상술된 제 1 건조단계(S9)에 의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가열된 공기가 세탁물에 공급되므로, 세탁물의 섬유조직은 천천히 건조되면서 재 배열된다. 따라서, 세탁물은 주름 및 구김을 포함하지 않도록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건조단계(S9)는 세탁물을 충분한 시간동안 천천히 건조하도록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9분 30초동안 수행될 수 있다. Since the air heated to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by the above-described first drying step (S9) is supplied to the laundry, the fiber structure of the laundry is slowly dried and rearranged. Thus, the laundry can be restored to not include wrinkles and wrinkles. This first drying step S9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for 9 minutes and 30 seconds, as shown in FIG. 18C to slowly dry the laundry for a sufficient time.
또한, 공급된 스팀으로 인해 세탁물은 젖게 되므로, 세탁물로부터 수분이 완전하게 제거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건조단계(S9)이후에, 제 2 건조단계(S10)가 수행된다. 상기 수분을 빠른 시간내에 세탁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 2 건조단계(S10)는 높은 온도로, 즉 적어도 상기 제 1 건조단계(S9)보다 높은 온도로 세탁물을 건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건조단계(S10)는 상기 제 1 건조단계(S9)와 비교할 때 고온건조에 해당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aundry becomes wet due to the supplied steam, it is necessary to completely remove the moisture from the laundry. Therefore, after the first drying step S9, a second drying step S10 is performed. In order to remove the moisture from the laundry in a short time, the second drying step S10 may be configured to dry the laundry at a high temperature, that is, at least higher than the first drying step S9. That is, the second drying step (S10) may correspond to high temperature drying as compared with the first drying step (S9).
이러한 제 2 건조단계(S10)는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상당히 높은 온도를 갖는 공기를 소정시간동안 상기 터브(30)에 공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적어도 상기 제 2 건조단계(S10)는 상기 제 1 건조단계(S9)의 공기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갖는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 및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가열단계(S9)과 마찬가지로, 높은 온도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블로워(140)와 히터(130)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건조단계(S9)의 단속적 작동과는 다르게, 히터(130)는 높은 온도의 공기의 계속적 공급을 위해 계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히터(130)가 지속적으로 작동되는 동안, 상기 히터(130)가 과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히터(130)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공기 또는 히터(130)의 온도가 직접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덕트(100) 공기온도 또는 히터(130)의 온도가 95℃까지 상승하면, 상기 히터(130)가 정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덕트(100) 공기온도 또는 히터(130)의 온도가 90℃까지 하강하면, 상기 히터(130)는 다시 작동될 수 있다. The second drying step S10 may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but may be performed by supplying air having a considerably high temperature to the
상술된 제 2 건조단계(S10)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된 공기가 세탁물에 공급되므로, 세탁물은 빠른 시간내에 완전하게 건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건조단계(S10)는 도 17 및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제 1 건조단계(S9)보다 짧은 1분동안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건조단계(S9)의 기간은 상기 제 2 건조단계(S10)보다 길다. Since the air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by the above-described second drying step S10 is supplied to the laundry, the laundry can be completely dried in a short time. This second drying step S10 may be performed for one minute, for example, shorter than the first drying step S9 as shown in FIGS. 17 and 18C. That is, the period of the first drying step S9 is longer than the second drying step S10.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건조단계들(S9,S10)는 일종의 후처리로써의 건조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서로 연계된다. 따라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단계들(S9,S10)는 이들의 기능적 측면에서 하나의 프로세스, 즉 건조 프로세스(P4)를 형성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drying steps S9 and S10 are linked to each other to provide a drying function as a kind of post treatment. Thus, as shown in FIGS. 16 and 17, these steps S9 and S10 form one process, ie drying process P4, in terms of their function.
한편,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가 완료된 후, 세탁기의 내부에는 상당량의 스팀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스팀은 응축되면서, 상기 덕트(100), 터브(30), 드럼(40), 및 이들의 내부 부품들의 표면에 얇은 수막을 형성한다. 따라서, 만일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 즉 공기유동 공급단계(S7)후에 바로 건조단계들(S9,S10)이 수행되면, 이러한 수막은 쉽게 증발하여 수분이 세탁물에 공급되며, 이에 따라 건조효율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막은 일부 부품, 특히 히터(130)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제 1 건조단계(S9)이전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이후에 소정시간동안 상기 세탁기의 작동이 휴지(pause)된다(S8). 즉, 상기 휴지단계(S8)는 상기 공기유동 공급단계(S7)과 상기 제 1 건조단계(S9)사이에 수행된다.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지단계(S8)동안 드럼(40) 및 이의 회전을 위한 모터를 제외한 세탁기의 모든 부품들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따라서, 부품들에 형성된 수막은 물로 더 응축되어 모여진다. 응축된 물은 수막과는 달리 쉽게 증발되지 않으며, 건조단계들(S9,S10)동안 수분이 세탁물에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수막의 제거로, 히터(130)의 정상적인 작동이 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휴지단계(S8)에 의해 건조효율의 감소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휴지단계(S8)는 예를 들어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분(180초)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휴지단계(S8)는 부품들로부터 수막, 즉 수분을 제거하는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므로, 앞서 정의된 다른 프로세스들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수분제거 프로세스(P3)로 간주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steam supply process (P2) is completed, a substantial amount of steam is present inside the washing machine. This steam condenses to form a thin water film on the surface of the
건조단계들(S9,S10)을 거친 세탁물은 가열된 공기에 의해 가열에 의해 높은 온도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세탁물에 의해 화상을 입을 수도 있으며, 수분이 제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건조된 세탁물을 바로 입을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제 2 건조단계(S10)이후에, 상기 세탁물은 냉각될 수 있다(S11).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냉각단계(S11)은 상기 세탁물에 가열되지 않은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 및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되지 않은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냉각단계(S11)에서 히터(130)의 작동없이 상기 블로워(130)만이 상온의 공기의 유동을 위해 작동될 수 있다. 가열되지 않은 공기, 즉 상온의 공기는 덕트(100), 터브(30) 및 드럼(40)에 걸쳐 이동하면서, 최종적으로 상기 세탁물에 공급될 수 있다. 공급된 상온의 공기는 세탁물과 열 교환에 의해 세탁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프레쉬된 세탁물을 바로 입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된다. 또한, 공급되는 상온의 공기는 상기 덕트(100), 터브(30) 및 드럼(40) 뿐만 아니라 세탁기의 전체 부품들을 어느 정도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도 실질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냉각단계(S11)는 예를 들어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8분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단계(S11)는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므로, 앞서 정의된 다른 프로세스들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냉각 프로세스(P5)로 간주될 수 있다. 만일 필요한 경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단계(S11)이후에, 상기 세탁물 및 세탁기는 소정시간동안 추가적으로 상온의 공기하에서 자연 냉각될 수도 있다. The laundry having passed through the drying steps S9 and S10 has a high temperature by heating by heated air. Therefore, the user may be burned by the laundry, and even though the moisture is removed, the user may not wear the dry laundry immediately. For this reason, after the second drying step (S10), the laundry can be cooled (S11). More specifically, the cooling step (S11) may supply air that is not heated to the laundry.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7 and 18C, only the
도 16에 도시된 리프레쉬 코스는 상기 단계들(S1-S11)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완료될 수 있다. 기능적 측면을 고려할 때,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스팀 공급 메커니즘을 최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충분한 양질의 스팀을 생성하며, 이에 따라 리프레쉬 코스의 의도된 기능을 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를 보조하여, 상기 준비 프로세스(P1)은 스팀생성에 최적의 환경을 형성하고, 상기 수분제거 프로세스(P3)는 건조에 최적의 환경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건조 및 냉각 프로세스(P4,P5)는 건조 및 냉각과 같은 후처리(post treatment or additional treatment)를 수행한다. 이들 프로세스들의 적절한 연계에 의해 상기 리프레쉬 코스는 주름, 냄새, 정전기 제거와 같은 의도된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e refresh course shown in FIG. 16 may be completed by continuously performing the steps S1-S11. In view of the functional aspects, the steam supply process P2 efficiently generates sufficient quality steam by optimally controlling the steam supply mechanism, and thus can mainly perform the intended function of the refresh course. By assisting the steam supply process P2, the preparation process P1 creates an optimal environment for steam generation, and the water removal process P3 forms an optimal environment for drying. In addition, the drying and cooling processes P4 and P5 perform post treatment or additional treatment such as drying and cooling. By properly linking these processes, the refresh course can effectively perform its intended function, such as removing wrinkles, odors and static electricity.
한편, 만일 상기 노즐(150)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거나 고장나는 경우, 상기 스팀공급프로세스(P2)의 물공급단계(S6)에서 상기 소정공간(S)으로의 공급되는 물의 량이 기 설정된 것보다 적어지거나, 물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다른 부품들과는 달리, 이러한 노즐(150)의 비정상적 작동 또는 고장은 즉각적으로 히터(150)의 과열을 가져오며, 더 나아가 세탁기의 파손을 가져올 수도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노즐(150)의 비정상적 작동 또는 고장은 상기 덕트(100)내에,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소정공간(S)에 공급되는 물의 량(이하, '급수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비정상적 작동 또는 고장은 상기 급수량을 판단함으로써 함께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 16-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레쉬 코스는 상기 소정공간(S)으로로의 급수량을 판단하는 단계(S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급수량 판단단계(S12)를 포함하는 리프레쉬 코스가 도 16-도 20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설명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상기 급수량 판단단계(S12)는 정확한 판단을 위해 공급된 물의 실제량을 직접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직접적 방법은 상대적으로 비싼 장치를 요구하므로, 세탁기의 생산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량 판단단계(S12)는 상기 소정공간(S)에 충분한 량의 물이 공급되었는지 여부만을 판단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판단단계(S12)는 급수량의 판단에 있어서 간접적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앞서 스팀공급 프로세스(P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0)에서 공급된 물이 스팀으로 변화되면, 자연히 덕트(100)내의 공기 온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물이 기 설정된 량으로 공급되었다면, 충분한 량의 스팀이 발생되고 덕트(100)내의 공기온도도 일정 수준까지 증가될 수 있다. 반면, 급수량이 줄어들거나 물 공급이 중단되면, 상대적으로 적은 량의 스팀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공기온도도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까지 증가될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급수량은 덕트(100)내의 공기의 온도 상승량과 상관관계를 갖는다. 즉, 큰 급수량은 큰 온도 증가량을 가져오며, 상대적으로 적은 급수량은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적은 온도 증가량을 가져온다. 따라서, 이러한 간접적인 판단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S12)는 소정기간동안 덕트(100)내의 온도 상승량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공간(S)으로의 급수량을 판단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determination step (S12) may directly measure the actual amount of water supplied for accurate determination. However, this direct method requires a relatively expensive device, which can increase the production cost of the washing machine. Therefore, the water supply amount determining step S12 may be performed by only determining whether a sufficient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the predetermined space S. That is, the determination step (S12) may adopt an indirect method in determining the water supply amount. As described above in the steam supply process (P2), when the water supplied from the
이와 같이, 상기 판단단계(S12)는 급수량의 간접적 판단을 위해 스팀발생에 의한 온도 상승량을 판단한다. 따라서, 이러한 온도 상승량 판단은 먼저 스팀의 생성을 필수불가결하게 요구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판단단계(S12)은 기본적으로 스팀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공간(S)내의 공기는 상기 스팀 뿐만 아니라 히터(130)에 의해서도 가열되므로, 스팀만에 의한 공기의 온도 증가량이 상기 소정공간(S)에서 정확하게 측정되기 어려울 수 있다. 반면, 상기 소정공간(S)을 벗어난 덕트(100)내의 공간은 스팀만의 온도증가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물이 스팀으로 변화될 때, 이의 부피는 크게 팽창된다. 따라서, 생성된 스팀은 상기 소정공간(S)으로부터 자연스럽게 토출된다. 이러한 이유로, 정확한 온도증가량의 측정을 위해 상기 판단단계(S12)는 상기 소정기간동안 상기 소정공간(S)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온도증가량을 측정 및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판단단계(S12)는 상기 소정공간(S)의 밖에 위치되고, 배출된 스팀과 혼합되며, 이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온도 증가량이 측정된다. 이와 같이 배출된 공기 및 스팀은 바로 덕트의 배출부(110a)로 진입하므로, 상기 판단단계(S12)는 상기 덕트의 배출구(110a)에서의 공기 온도증가량을 측정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세탁물의 건조제어를 위해, 상기 배출부(110a)에는 순환하는 뜨거운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센서는 건조단계(S9,S10) (통상적인 세탁물 건조단계 포함) 뿐만 아니라 판단단계(S9)에서도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판단단계(S12)는 세탁기의 생산비용 절감에 매우 유리하다. 더 나아가, 상기 판단단계(S12)는 상기 리프레쉬 코스도중 어느 때라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단계(S6)은 온도 증가량 측정에 요구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므로, 상기 판단단계(S12)는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도중 상기 물공급단계(S6)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그러나, 노즐(150)의 비정상적 작동을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상기 판단단계(S12)는 도 16, 17, 및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의 직전, 즉 상기 가열단계(S5)의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is way, the determining step (S12) determines the amount of temperature rise due to steam generation in order to indirectly determine the water supply amount. Therefore, such temperature rise determination first necessitates the generation of steam. For this reason, the determining step S12 may basically include generating steam. In addition, since the air in the predetermined space S is heated not only by the steam but also by the
상술된 기본적인 개념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단계(S12)가 도 19를 주로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Based on the basic concept described above, the determination step S12 is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9 mainly.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급수량의 판단은 스팀 발생에 의한 온도상승량을 이용하므로, 상기 판단단계(S12)에 있어서 먼저 소정시간동안 상기 덕트내의 소정공간(S)에서 스팀이 생성된다. 이러한 스팀생성에 있어서, 이미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100)내의 소정공간(S)이 덕트(100)내의 다른 공간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된다(S12a). 또한, 상기 가열된 소정공간(S)에 물이 직접적으로 공급된다(S12a). 즉, 이러한 가열 및 공급단계(S12a)는 상술된 스팀공급 프로세스(P2)의 가열단계(S5)와 물공급단계(S6)과 유사하다. 이러한 가열 및 공급단계(S12a)를 수행하기 위해, 도 17 및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30) 및 노즐(150)이 작동될 수 있다. 앞서 가열단계(S5)와 물공급단계(S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적절한 스팀 생성을 위해서는 먼저 소정시간동안의 가열이 수행된 후에 물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히터(130)가 소정시간 작동된 후, 노즐(150)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후속하는 단계들에서 온도 상승량을 빨리 측정하기 위해서, 스팀의 생성도 빨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7 및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 및 공급단계(S12a)에서 상기 히터(130)와 노즐(150)의 작동은 동시에 시작된다. 또한, 판단단계(S12)자체는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처럼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 의도된 단계이 아니므로, 상기 블로워(140)는 작동되지 않는다. 이러한 가열 및 공급단계(S12a)는 실제적으로 상기 판단단계(S12)의 전체기간동안 계속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초동안 수행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etermination of the water supply amount uses the temperature increase amount due to steam generation, in the determination step S12, steam is first gener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S in the duct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is steam generation, as described in the steam supply process P2, the predetermined space S in the
상기 가열 및 공급단계(S12a)가 수행되면, 즉 상기 스팀이 생성되기 시작하면, 제 1 온도가 측정될 수 있다(S12b). 상기 제 1 온도는 상기 소정공간(S)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온도에 해당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1 온도는 상기 소정공간(S)의 밖에 위치되며, 상기 소정공간(S)에서 배출된 스팀과 혼합되면서 가열되는 공기의 온도에 해당한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온도는 상기 덕트의 배출구(110a)에서의 공기 온도에 해당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스팀은 가열 및 공급단계(S12a)가 시작되면 바로 생성되며 상기 소정공간(S)으로부터 자연스럽게 토출된다. 따라서, 상기 측정단계(S12b)는 상기 가열 및 공급단계(S12a)가 시작된 후에 언제라도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온도 상승량 측정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측정단계(S12b)는 상기 가열 및 공급단계(S12a)가 수행된 직후, 즉, 상기 스팀이 생성되기 시작한 직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열 및 공급단계(S12a)의 초기에는 스팀생성량이 많지 않아 상기 소정공간(S)로부터 원활하게 토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및 공급단계(S12a)의 초기에 짧은 시간동안 (예를 들어, 1초) 상기 블로워(140)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블로워(140)에서 공급된 공기유동에 의해 상기 가열 및 공급단계(S12a)의 초기에 스팀이 상기 소정공간(S)로부터 원할하게 토출될 수 있다. When the heating and supplying step S12a is performed, that is, when the steam starts to be generated, the first temperature may be measured (S12b). The first temperature corresponds to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redetermined space (S). In other words, the first temperature is located outside the predetermined space S, and corresponds to a temperature of air heated while being mixed with steam discharged from the predetermined space S.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emperature may correspond to the air temperature at the
상기 측정단계(S12b)가 완료되면, 소정시간 후에 상기 토출된 공기의 온도인 제 2 온도가 측정된다(S12c). 상기 측정단계(S12c)에서 측정 대상이 되는 공기는 상기 측정단계(S9b)에서 설명된 공기와 동일하다. When the measuring step (S12b) is comple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a second temperature which is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air is measured (S12c). The air to be measured in the measuring step S12c is the same as the air described in the measuring step S9b.
상기 측정단계(S12c)가 완료되면, 상기 측정된 제 1 및 제 2 온도로부터 온도 상승량이 계산될 수 있다(S12d). 상기 상승량은 일반적으로 상기 제 2 온도로부터 제 1 온도를 빼서 얻어질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단계들(S12b-S12d)에 의해 상기 소정시간동안 상기 소정공간(S)으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온도 상승량이 결정될 수 있다. When the measuring step S12c is completed, a temperature increase amount may be calculated from the measured first and second temperatures (S12d). The amount of rise can generally b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first temperature from the second temperature. By the above-described steps (S12b-S12d) it can be determined the amount of temperature ris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redetermined space (S)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이 후, 계산된 온도 상승량은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될 수 있다(S12e). 만일 상기 비교단계(S12e)에서, 계산된 온도 증가량이 소정의 기준값보다 미만인 경우, 이는 온도 증가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결과는 충분한 물이 공급되지 않았거나 물의 공급이 중단되어 이에 따라 충분한 스팀이 발생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계산된 온도 증가량이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 경우, 적어도 충분한 물이 공급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S12f). 다른 한편, 만일 상기 비교단계(S12e)에서, 계산된 온도 증가량이 소정의 기준값이상인 경우, 이는 온도 증가가 충분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결과는 충분한 물이 공급되어 충분한 스팀이 발생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계산된 온도 증가량이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적어도 충분한 물이 공급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S12g). 이와 같은 비교 및 판단단계(S123-S12g)에서, 상기 소정의 기준값은 실험이나 해석을 통해 얻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가 될 수 있다. Thereafter, the calculated temperature increase amount may be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S12e). If the calculated temperature increase amoun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n the comparison step S12e, this means that the temperature increase has not been sufficiently achieved. Furthermore, this result means that not enough water is supplied or that the water supply is interrupted and thus not enough steam is generated. Therefore, when the calculated temperature increase amoun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at least sufficient water is not supplied (S12f). On the other hand, if in the comparison step S12e, the calculated temperature increase amount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t means that the temperature increase has been sufficiently made. Furthermore, this result means that sufficient water is supplied and not enough steam is generated. Therefore, when the calculated temperature increase amount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at least sufficient water is supplied (S12g). In the comparison and determination step (S123-S12g),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may be obtained through experiment or analysis, for example, may be 5 ° C.
만일 상기 판단단계(S12g)에서와 같이 충분한 물이 공급된 것으로 판단되면, 이는 상기 노즐(150)이 어떠한 고장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해서 가열단계(S5)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스팀공급 프로세스(P2)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계속해서 상기 단계들(S5-S7)의 세트 즉,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기 설정된 횟수로 반복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sufficient water is supplied as in the determination step S12g,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한편, 상기 판단단계(S12)는 스팀을 이용하므로, 상기 판단단계(S12) 완료된 후, 상기 덕트(100) 내부에는 상당량의 스팀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스팀은 상기 덕트(100) 내부의 부품의 표면에 응축되며, 이들 부품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응축수는 스팀공급 프로세스(P2)에서 히터(130)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판단단계(S12) 이후, 상기 가열단계(S5)이전에 소정시간동안 상기 세탁기의 작동이 휴지(pause)된다(S13). 즉, 상기 휴지단계(S13)는 상기 판단단계(S12)와 상기 가열단계(S5)사이에 수행된다.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지단계(S13)동안 드럼(40) 및 이의 회전을 위한 모터를 제외한 세탁기의 모든 부품들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히터(130)를 포함한 덕트(100)내의 부품들상의 응축수는 증발되거나, 자연히 이들 부품으로부터 자중에 의해 떨어진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히터(130)를 포함한 덕트내 부품들이 후속단계들에서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도 17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지단계(S13)동안 블로워(140)가 작동될 수도 있다. 상기 블로워(140)에서 제공된 공기유동은 상기 응축수의 제거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동은 상기 히터(130)의 표면을 냉각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히터(130)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표면온도를 갖는다. 따라서, 후속하는 가열단계(S5)에서 상기 히터(130)는 보다 안정적으로 원하는 성능을 낼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로워(140)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상의 이유로, 상기 휴지단계(S13)를 넘어 추가적인 시간동안(예를 들어, 도 18b에서는 1초) 작동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휴지단계(S13)은 예를 들어, 5초동안 수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determination step (S12) uses steam, after the determination step (S12) is completed, a considerable amount of steam is present in the duct (100). This steam is condensed on the surface of the components inside the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판단단계(S12)는 급수량의 판단에 의해 노즐(150)의 정상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휴지단계(S13)은 일종의 후처리로써 후속단계들에 대한 이러한 판단단계(S12)의 영향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상기 판단 및 휴지단계(S12,S13)는 기능적 측면에서 서로 연계되며, 도 16, 17, 18a,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프로세스, 즉 점검 프로세스(P6)를 형성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etermining step (S12) can determine the normal state of the
만일 상기 판단단계(S12f)에서 충분한 물이 공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이는 또한 상기 노즐(150)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거나 고장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노즐(150)의 비정상적 작동은 여러가지 이유에 의해 발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노즐(150)에 공급되는 수압이 비정상적으로 낮은 경우를 포함한다. 이러한 노즐(150)의 비정상적 작동 또는 고장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히터(150)의 과열 및 고장, 더 나아가 세탁기의 파손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판단단계(S12f)과 같이 충분한 물이 공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안전상의 이유로 상기 세탁기의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정상적 상태하에서도 리프레쉬 코스는 이의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노즐(150)이 비록 적은 량이지만 물을 공급할 능력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면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리프레쉬 코스는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도 20은 대안적인(alternative) 단계들을 도시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sufficient water is not supplied in the determination step S12f, it may also be determined that the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분한 물이 공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S12f),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더이상 진행되거나 반복되지 않는다. 즉, 스팀의 추가적인 생성 및 공급은 중단된다. 대신에, 제 3 건조단계(S14)가 수행된다. 리프레쉬 코스에 있어서, 주름의 제거가 가장 중요한 기능이 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3 건조단계(S14)는 적어도 이러한 주름제거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분이 천천히 제거되어야만 변형된 섬유조직들이 부드럽게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만일 너무 높은 온도로 섬유를 건조하게 되면, 주름은 제거되지 않은 채 수분만이 급속하게 섬유부터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로부터 수분을 천천히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 3 건조단계(S14)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세탁물을 가열하면서, 세탁물을 건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건조단계(S14)도 상기 제 1 건조와 유사하게 저온건조에 해당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0, when it is determined that sufficient water is not supplied (S12f), the steam supply process P2 does not proceed or repeat any more. That is, the further production and supply of steam is stopped. Instead, the third drying step S14 is performed. In the refresh course, since the removal of wrinkles may be the most important function, the third drying step S14 may be configured for at least such wrinkle removal. As described above, the dehydrated fibrous tissue can be smoothly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only when water is slowly removed. Also, if the fiber is dried at too high a temperature, only moisture can be rapidly removed from the fiber without the wrinkles being removed. Therefore, in order to slowly remove the moisture from the laundry, the third drying step S14 may be configured to dry the laundry while heating the laundry to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That is, the third drying step S14 may also correspond to low temperature drying similarly to the first drying.
이러한 제 3 건조단계(S14)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가열된 공기를 소정시간동안 상기 터브(30)에 공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블로워(140)와 히터(130)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히터(130)는 단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S14a). 예를 들어, 상기 히터(130)는 40초동안 작동되고, 30초동안 정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작동 및 정지를 반복할 수 있다. 상기 제 3 건조단계(S10)는 고온의 스팀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행되므로, 상기 제 3 건조단계(S10)에서의 세탁물 및 이의 주변 온도는 상기 제 1 건조단계(S9)보다 낮다. 따라서, 동일한 히터의 단속적 작동을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 1 건조단계(S9)에서 히터 작동시간(30초)보다 상기 제 3 건조단계(S14)에서의 히터작동시간(40초)이 더 길게 설정된다. The third drying step S14 may be performed by supplying air heated to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to the
마찬가지로,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의 중지로 인해 상기 제 3 건조단계(S14)의 세탁물에는 충분한 수분이 제공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제 1 건조단계(S9)에서도 설명된 바와 같이, 효과적인 주름제거를 위해서는 소정량의 수분을 공급하고 이후 공급된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제 3 건조단계(S14)에서 상기 세탁물에 수분이 공급될 수 있다(S14b). 이러한 수분은 세탁물에 여러가지 형태로 공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체상태의 물 또는 액체상태의 물이 세탁물에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기체상태의 물인 스팀은 상기 제 3 건조단계(S14)에서 공급되기 어렵다. 반면, 미스트는 액체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작은 입자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세탁물에 수분을 제공하는 데 있어 충분히 효과적이다. 따라서, 상기 수분공급단계(S14b)는 미스트를 상기 세탁물에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미스트는 적어도 상기 세탁물에 공급되도록 상기 터브(30)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미스트 공급도 어려가지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상기 노즐(150)이 비정상적인 상태이지만 여전히 작동가능하다면 즉 소량의 물을 여전히 공급할 수 있다면, 상기 노즐(150)이 미스트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제 3 건조단계(S14)동안 가열된 공기를 세탁물에 공급하기 위해 공기유동은 계속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블로워(140)은 상기 제 3 건조단계(S14)동안 계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즐(150)에서 분사된 미스트는 상기 블로워(140)로부터의 공기유동에 의해 운반되어 덕트(100), 터브(30) 및 드럼(40)을 거쳐 세탁물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분사된 미스트의 많은 부분은 상기 히터(130)을 통과하면서 스팀으로 변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효과적으로 리프레쉬 코스에서 의도된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만일 상기 노즐이 완전히 고장난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세탁물에 직접 수분을 공급, 보다 상세하게는 미스트를 분사할 수 있도록 별도의 장치가 세탁기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별도장치는 상기 노즐(150)과 함께 작동하거나 이에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상기 별도장치에서 공급된 미스트도 상기 터브(30)내의 고온의 환경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팀을 변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노즐(150) 및 별도장치는 세탁물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미스트 대신에 액체상태의 물을 그대로 공급할 수도 있다. Similarly, sufficient moisture may not be provided to the laundry of the third drying step S14 due to the stop of the steam supply process P2. 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drying step (S9), it is advantageous to su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and then remove the supplied water for effective wrinkle removal. For this reason, moisture may be supplied to the laundry in the third drying step S14 (S14b). Such moisture may be supplied to the laundry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gaseous water or liquid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laundry. However, as mentioned above, steam which is gaseous water is difficult to supply in the third drying step S14. Mist, on the other hand, is made of small particles despite being in the liquid state, which is sufficiently effective to provide moisture to laundry. Therefore, the water supply step (S14b) may supply the mist to the laundry. That is, the mist may be supplied to the
상기 수분공급단계(S14b)는 상기 제 3 건조단계(S14)도중 어느 때라도 시작될 수 있다. 그러나, 고온의 환경에서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 공급된 수분을 뒤이어 제거하는데 기본적으로 유리하다. 또한, 공급되는 미스트를 부분적으로 스팀으로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미스트가 가능한 한 고온의 환경에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분공급단계(S14b)는 세탁물에 공급되는 공기가 가열되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분공급단계(S14b)는 상기 히터의 단속적인 작동에 있어서 상기 히터(150)가 작동되는 동안 공급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보다 확실한 결과를 위해 상기 수분공급단계(S14b)는 오직 세탁물에 공급되는 공기가 가열되는 동안에만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분공급단계(S14b)는 상기 히터의 단속적인 작동에 있어서 오직 상기 히터(150)가 작동되는 동안에만 공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분공급단계(S14b)은 상기 히터(150)가 작동되는 40초동안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장 고온의 환경이 형성될 수 있는 상기 히터(150)의 작동중 마지막 10초 동안 수행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너무 많은 량의 수분이 공급되면, 세탁물의 주름은 제거되지 않고 오히려 세탁물은 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분공급단계(S14b)는 상기 제 3 건조단계(S14)의 일부동안만 수행된다. 더 나아가, 같은 이유로 상기 수분공급단계(S14b)는 상기 제 3 건조단계(S14)의 전반부동안만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3 건조단계(S14)는 고온의 스팀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행되므로, 주름 제거에 충분한 시간을 갖도록 예를 들어 20분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 건조단계(S14)의 기간은 유사한 제 1 건조단계(S9)보다 길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수분공급단계(S14b)도 이러한 20분의 제 3 건조단계(S14)의 전반부동안, 즉 제 3 건조단계(S14)가 시작된 후 11분까지 수행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step S14b may be started at any time during the third drying step S14. However, supplying moisture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is basically advantageous for subsequent removal of the supplied moisture. In addition, in order to partially convert the supplied mist into steam, it is preferable that the mist is sprayed into the environment as high as possible. Therefore, the water supply step (S14b) may be performed while the air supplied to the laundry is heated. That is, the water supply step S14b may be supplied while the
또한, 공급된 수분으로 인해 세탁물은 젖게 되므로, 세탁물로부터 수분이 제거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건조단계(S14)이후에, 제 4 건조단계(S15)가 수행된다. 이러한 제 4 건조단계(S15)은 앞서 설명된 제 2 건조단계(S10)와 이의 기능 및 구체적인 작동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상기 제 2 건조단계(S10)에 관련하여 논의된 모든 특징들은 그대로 상기 제 4 건조단계(S15)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추가적인 설명은 다음에서 생략된다. In addition, since the laundry becomes wet due to the supplied water,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moisture from the laundry. Therefore, after the third drying step S14, the fourth drying step S15 is performed. This fourth drying step (S15)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in function and specific operation of the second drying step (S10) described above. Therefore, all the features discussed above in relation to the second drying step S10 may be applied to the fourth drying step S15 as it is, and thus, further description is omitted below.
상술된 제 3 및 제 4 건조단계들(S14,S15)은 스팀공급이 불가능한 경우 리프레쉬기능을 수행하며 동시에 건조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서로 연계된다. 따라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단계들(S14,S15)는 이들의 기능적 측면에서 하나의 프로세스, 즉 건조 및 리프레쉬 프로세스(P7)를 형성하게 된다. The third and fourth drying steps S14 and S15 described above are linked to each other to perform a refresh function and simultaneously provide a drying function when steam supply is impossible. Thus, as shown in FIG. 20, these steps S14 and S15 form one process, that is, a drying and refreshing process P7 in terms of their function.
상술된 건조단계들을 거친 세탁물은 가열된 공기에 의해 높은 온도를 가지므로, 상기 제 4 건조단계(S15)이후에, 상기 세탁물은 냉각될 수 있다(S16). 이러한 냉각단계(S16)은 앞서 설명된 냉각단계(S11)와 이의 기능 및 구체적인 작동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단계(S11)에 관련하여 논의된 모든 특징들은 그대로 상기 냉각단계(S16)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추가적인 설명은 다음에서 생략된다. 이러한 냉각단계(S16)도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므로, 앞서 정의된 다른 프로세스들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냉각 프로세스(P8)로 간주될 수 있다. 만일 필요한 경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단계(S16)이후에, 상기 세탁물 및 세탁기는 소정시간동안 추가적으로 상온의 공기하에서 자연 냉각될 수도 있다. Since the laundry that has passed the above drying steps has a high temperature by heated air, after the fourth drying step S15, the laundry may be cooled (S16). This cooling step (S16)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in the above-described cooling step (S11) and its function and specific operation. Therefore, all the features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cooling step S11 may be applied to the cooling step S16 as it is, and thus further description is omitted below. Since this cooling step S16 also performs an independent function, it can be regarded as one cooling process P8 like other processes defined above. If necessary, as shown in Figure 17, after the cooling step (S16), the laundry and the washing machine may be naturally cooled under an additional room temperature air for a predetermined time.
도 20에 도시된 리프레쉬 코스는 스팀의 충분한 공급 또는 공급자체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변형된 단계들(S14-S16)를 포함한다. 이러한 변형된 리프레쉬 코스는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스팀 대신에 미스트를 세탁물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된 리프레쉬 코스에서는 부분적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 관련 부품들을 적절하게 작동시킴으로써 주름 뿐만 아니라 정전기도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변형된 리프레쉬코스는 스팀의 공급이 중단됨에도 불구하고 세탁기 기존 부품들을 최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의도된 리프레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The refresh course shown in FIG. 20 includes modified steps S14-S16 to perform the intended function even when a sufficient supply or supply of steam is not possible. This modified refresh course can provide a mist to the laundry instead of the steam to provide the necessary moisture. It is also possible to partially supply steam in the modified refresh course. Furthermore, proper operation of the relevant parts can eliminate static as well as wrinkles. Therefore, the modified refresh course can implement the intended refresh function by optimally controlling the existing parts of the washing machine even if the supply of steam is stopped.
앞서 설명된 단계들(S1-S13)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들에서 세탁물은 뒤섞일 수 있다. 이러한 뒤섞임을 위해, 도 17 및 도 18a-도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40)은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드럼(40)은 한방향으로 계속 회전될 수 있으며, 세탁물은 상기 드럼(40)내에 제공된 리프터에 의해 소정 높이까지 들어올려진 후 낙하를 반복한다. 즉, 상기 세탁물은 텀블된다(tumble). 상기 드럼(40) 및 내부의 세탁물은 상당한 중량을 가지므로, 이들에게 관성도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드럼(40)은 회전하도록 모터에 의해 계속적으로 동력을 공급받을 필요가 없다. 상기 모터가 정지되더라도 상기 드럼(40)과 세탁물은 관성에 의해 소정시간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드럼(40)의 회전동안 상기 모터는 단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 및 도 18a-도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는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16초동안 작동되고 4초동안 정지될 수 있다. 이러한 드럼(40)의 회전에 의해 세탁물은 잘 뒤섞이게 되고 각 단계(S1-S13)에서 의도된 기능들이 효과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탁물의 뒤섞음, 즉 드럼(40)의 회전은 상기 모든 단계들(S1-S13)동안 계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세탁물의 뒤섞음은 앞서 설명된 변형된 리프레쉬 코스을 위한 단계들(S14-S16)에도 변형없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물을 잘 뒤섞을 수 있다면, 다른 드럼(40)의 모션들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된 텀블링을 대신하여, 상기 드럼(40)은 소정시간동안 한방향으로 회전후,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러한 세트를 계속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른 모션들이 필요한 경우 적용가능하다. In at least one of the steps S1-S13 described above, the laundry may be mixed. For this mixing, the drum 40 can be rotated, as shown in FIGS. 17 and 18A-18C. For example, the drum 40 may continue to rotate in one direction, and the laundry is lifted to a predetermined height by a lifter provided in the drum 40 and then repeatedly drops. In other words, the laundry is tumbled. Since the drum 40 and the laundry therein have a considerable weight, the inertia also greatly affects them. Thus, the drum 40 does not need to be continuously powered by the motor to rotate. Even if the motor is stopped, the drum 40 and the laundry can be rot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by inertia. Thus, the motor can be operated intermittently during the rotation of the drum 40.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7 and 18A-18C, the motor can be run for 16 seconds and stopped for 4 seconds to save energy. The rotation of the drum 40 can cause the laundry to be well mixed and help to perform the intended functions effectively in each step S1-S13. Thus, the washing of the laundry, ie the rotation of the drum 40 can be carried out continuously during all the steps (S1-S13). Furthermore, the shuffling of the laundry can be applied without modification to the steps S14-S16 for the modified refresh course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f the laundry can be mixed well, the motions of the other drum 40 can also be applied. For example, instead of the tumbling described above, the drum 40 rotates in one direc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rotates in another direction, and this set can be repeated continuously. In addition, other motions may be applied where necessary.
한편, 일반적으로 가정에는 표준전압의 전원이 공급되고, 이러한 표준전압에 맞게 세탁기를 포함한 각종 가전기기는 제작된다. 그러나, 실제 가정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은 상기 표준전압에 대해 약간의 편차를 갖는다. 더 나아가,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은 세탁기가 작동될 때마다 변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편차도 마찬가지로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약간의 편차는 세탁기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많은 전기를 사용하는 히터(130)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히터(130)는 전기적 저항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전기적 저항은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공급된 전원의 전압이 변화되면, 이에 따라 히터(130)의 실제 발열량도 영향을 받게 된다. 즉, 단위시간동안 표준전압보다 큰 전압의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히터(130)는 상기 단위시간동안 예상된 량보다 더 큰 량의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단위시간동안 표준전압보다 작은 전압의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히터(130)는 상기 단위시간동안 예상된 것보다 더 적은 량의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히터(130)를 이용하여 열을 공급하는 단계, 즉 가열단계(S5)에는 기본적으로 기 설정된 기간, 즉 고정된 기간이 설정된다. 이러한 경우, 만일 세탁기가 적어도 도 16의 리프레쉬 코스를 수행하기 위해 작동하기 시작할 때, 상기 세탁기에 표준전압보다 큰 전압의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히터(130)는 상기 가열단계(S5)동안 예상된 것보다 큰 열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큰 전압으로 인해, 상기 히터(130)는 과열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열과 이의 반복은 상기 히터(130)의 파손 뿐만 아니라 화재를 가져올 수 있다. 다른 한편, 만일 세탁기의 작동시작시에 상기 세탁기에 표준전압보다 작은 전압의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히터(130)는 상기 가열단계(S5)동안 예상된 것보다 적은 열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 가열단계(S5)동안 충분한 열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하는 량의 스팀이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인 모든 제어에서 적용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열단계(S5) 수행시간은 상기 히터(130)의 통상적인 성능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다. 그러나, 상기 세탁기에 표준전압과 다른 전압을 갖는 전원이 공급된다면, 상기 히터(130)는 변경된 성능에 따라 작동할 것이며, 기설정된 수행기간동안 상기 가열단계(S5)로부터 원하는 성능 이 얻어질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세탁기에 공급되는 전원의 실제 전압을 고려하여, 적어도 상기 가열단계(S5)는 추가적으로 제어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전압을 고려한 상기 가열단계(S5)의 제어는 여러가지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히터(130)가 상기 가열단계(S5)동안 공급하는 총 열량은 단순하게 상기 가열단계(S5)가 수행되는 전체 시간, 즉, 수행시간(time period)에 종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130)의 성능이 상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변경된다 하더라도, 이러한 변경 및 이에 따른 공급되는 발열량의 변경은 상기 수행시간을 변경함으로써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 16 및 도 21-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프레쉬 코스는 상기 세탁기에 실제적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단계(S5)의 수행시간을 조절하는 단계(S100)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household power supply is generally supplied with a standard voltage, and various home appliances including a washing machine are manufactured to meet the standard voltage. However, the voltage of the power source supplied to the actual home has a slight variation with respect to the standard voltage. Furthermore, the voltage of the supplied power source can be changed each time the washing machine is operated, and accordingly, the deviation can be changed as well. This slight variation affects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particularly the performance of the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세쉬 코스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S5)는 기본적으로 고정된 수행시간을 갖도록 설정되므로, 이러한 조절단계(S100)는 세탁기에 공급되는 전원의 실제 전압에 따라 기 설정된 가열단계(S5)의 수행시간을 변경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가열단계(S5)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단계(S5)의 주된 기능은 상기 소정공간(S)를 가열하는 것이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가열단계(S5)는 히터(130)에 의존한다. 따라서, 상기 가열단계(S5)의 수행시간은 실제적으로 상기 히터(130)의 작동시간에 해당하며, 같은 이유로, 상기 조절단계(S100)는 상기 히터(130)의 작동시간을 조절하는 단계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단계(S5)는 실제적으로 제 1 및 제 2 가열단계(S5a,S5b)로 나뉘어지며, 상기 제 1 가열단계(S5a)가 기본적으로 상기 가열단계(S5)의 대부분의 시간기간에 해당하는 13초동안 수행된다. 또한, 상기 제 1 가열단계(S5a)는 물 및 공기유동없이 상기 소정공간(S)만을 가열한다. 즉, 상기 제 1 가열단계(S5a)동안에는 순수하게 히터(130)만이 가열을 위해 작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열단계(S5)가 상기 가열단계(S5)의 주된 성능을 결정하며, 상기 히터(130)의 성능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영향받는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조절단계(S100)는 상기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기간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절단계(S100)는 물 및 공기유동의 공급없이 수행되는 가열단계(S5)의 일부(즉, 제 1 가열단계(S5a)의 시간을 조절한다고 설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조절단계(S100)는 상기 히터(130)만이 작동되는 시간(즉, 제 1 가열단계(S5a))을 조절한다고도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비록 상기 제 1 가열단계(S5a)가 가열단계(S5)의 일부분에 불과하나, 상기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이 조절되면, 상기 전체 가열단계(S5)의 수행시간도 마찬가지로 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단계(S100)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 조절은 여전히 상기 전체 가열단계(S5)의 수행시간의 조절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상기 조절단계(S100)에 의해 수행시간이 조절되면, 이후 상기 가열단계(S5), 즉 제 1 가열단계(S5a)는 조절된 수행시간동안 수행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eating step S5 is basically set to have a fixed execution time, the adjusting step S100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actual voltage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The execution time of the heating step S5 is changed. Similarly, as already explained in the heating step S5, the main function of the heating step S5 is to heat the predetermined space S, and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heating step S5 is performed by a heater 130). Therefore, the execution time of the heating step S5 corresponds to the operating time of the
상술된 기본 개념에 기초하여, 상기 조절단계(S100)가 도 21-22b를 주로 참조하여 다음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On the basis of the above-described basic concept, the adjustment step SlOO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mainly with reference to Figs. 21-22b.
도 21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세탁기에 공급되는 전원의 실제 전압이 측정될 수 있다(S110). 이러한 측정단계(S11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압 감지단계(S1)와 동일한 단계이며, 이미 상기 감지단계(S1)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실제 전압에 기초한 제어를 위해 수행된다. 이러한 전압측정단계(S11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이러한 전압측정을 위해 실제적으로 별도의 측정장치가 설치되면, 이는 세탁기의 생산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세탁기의 제어장치는 이의 회로내에 저항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저항을 이용하여 공급되는 전원의 실제적인 전압값을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1, as described above, the actual voltage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may be measured (S110). This measurement step S110 is the same step as the voltage sensing step S1 as shown in Fig. 16, and is performed for control based on the actual voltage, as already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sensing step S1 . This voltage measurement step S110 can be measured by various methods. However, if a separate measuring device is actually installed for this voltage measurement, this can increase the production cost of the washing machine. However, practically, the control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has a resistance in its circuit and can conveniently measure the actual voltage value of the power supplied using the resistor.
만일 상기 측정단계(S110)도중 다른 부품들이 작동되면, 작동중 전원이 사용되므로, 공급되는 전원의 정확한 실제 전압이 측정되기 어렵다. 따라서, 도 17 및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단계(S110)(즉, 단계(S1))는 모든 세탁기의 부품의 작동을 중지한 상태에서 수행된다. 또한, 이러한 측정단계(S110)는 상기 조절단계(S100)에 의해 이의 수행시간이 조절되는 상기 가열단계(S5)이전에 언제라도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부품들의 작동에 의한 간섭을 배제하고 정확한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리프레쉬 코스가 시작되면 바로, 즉 상기 청소단계(S2)이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단계(S1) 참조). 상기 측정단계(S110)와는 별도로, 후술되는 상기 조절단계(S100)의 후속단계들도 상기 가열단계(S5)이전에 언제라도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후속단계들은 상기 측정단계(S110)직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측정단계(S110)는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3초동안 수행될 수 있다. If other components are operated during the measurement step S110, since the power is used during operation,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accurate actual voltage of the supplied power. Therefore, as shown in Figs. 17 and 18A, the measuring step S110 (i.e., step S1)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all the parts of the washing machine are stopped. In addition, the measuring step S110 may be performed any time before the heating step S5 in which the execution time thereof is adjusted by the adjusting step S100. However, in order to eliminate the interference due to the operation of other components and to measure the correct voltag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reshing i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refreshing process is started, that is, before the cleaning step S2 (see sensing step S1). Apart from the measuring step S110, the subsequent steps of the adjusting step S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also be performed at any time before the heating step S5. Preferably, however, these subsequent steps may be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measuring step S110. This measurement step S110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for 3 seconds, as shown in Fig. 18A.
상기 측정단계(S110)가 완료되면, 측정된 실제 전압은 공급되는 전원의 표준전압과 비교될 수 있다 (S121). 이러한 표준전압은 국가별로 서로 다르게 기 설정되며, 세탁기를 포함한 모든 가전기기는 이러한 표준전압에 맞게 설계 및 제어된다. 이러한 표준전압은 우리나라의 경우 220V이며 미주지역은 110V이다. When the measurement step S110 is completed, the measured actual voltage may be compared with the standard voltage of the supplied power source (S121). These standard voltages are set differently by country, and all appliances, including washing machines, are designed and controlled for these standard voltages. These standard voltages are 220V in Korea and 110V in the Americas.
만일 상기 측정된 실제 전압이 상기 표준전압보다 작으면, 상기 가열단계(S5), 정확하게는 제 1 가열단계(S5a)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수행된다 하더라도, 상기 가열단계(S5)동안 충분한 열이 상기 소정공간(S)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프레쉬 코스는 리프레쉬를 위해 충분한 량의 스팀을 생성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정된 실제전압이 상기 표준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가열단계(S5)의 수행시간은 증가될 수 있다 (S131a). 이러한 증가 단계(S131a)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실제적으로 상기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 증가는 상기 실제전압과 표준전압과의 실제 차이의 크기를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은 상기 실제전압과 표준전압과의 실제 차이의 크기에 상관없이 일정시간만큼 증가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측정된 실제 전압이 상기 표준전압과 같으면, 기설정된 설정시간동안 상기 가열단계(S5), 특히 제 1 가열단계(S5)가 수행될 수 있다. If the measured actual voltage is smaller than the standard voltage, even if the heating step (S5), or more precisely the first heating step (S5a),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It may not be supplied to the predetermined space S. Therefore, the refresh course may fail to generate a sufficient amount of steam for refreshing. Accordingly, when the measured actual voltage is smaller than the standard voltage, the execution time of the heating step S5 may be increased (S131a). As mentioned above in this increase step S131a, the execution time of the first heating step S5a may actually be increased. Also, the increase in the execution time of the first heating step (S5a)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voltage and the standard voltage. On the other hand, the execution time of the first heating step S5a may be increased by a predetermined time regardless of the actual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voltage and the standard voltage. On the other hand, if the measured actual voltage is equal to the standard voltage, the heating step (S5), especially the first heating step (S5), may be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set time.
또한, 만일 상기 측정된 실제 전압이 상기 표준전압보다 큼에도 불구하고 상기 가열단계(S5), 정확하게는 제 1 가열단계(S5a)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수행되면, 상기 히터(130)는 과열되거나 파손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화재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측정된 실제전압이 상기 표준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가열단계(S5)의 수행시간은 단축될 수 있다 (S131b). 이러한 단축 단계(S131b)에 있어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실제적으로 상기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 감소는 상기 실제전압과 표준전압과의 실제 차이의 크기를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은 상기 실제전압과 표준전압과의 실제 차이의 크기에 상관없이 일정시간만큼 감소될 수도 있다. Further, if the heating step (S5), or more precisely the first heating step (S5a), is performed for a preset time period even though the measured actual voltage is greater than the standard voltage, the heater (130) And may even cause a fire. Therefore, if the measured actual voltage is greater than the standard voltage, the execution time of the heating step S5 may be shortened (S131b). In this shortening step S131b, as mentioned above, the execution time of the first heating step S5a may actually be reduced. In addition, the execution time reduction of the first heating step S5a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voltage and the standard voltage. Also, the execution time of the first heating step S5a may be reduced by a predetermined time regardless of the actual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voltage and the standard voltage.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증가 및 가열단계들(S131a,S131b)은 상기 비교단계(S121)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단계(S5)의 수행시간을 결정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ncreasing and heating steps S131a and S131b determine the execution time of the heating step S5 based on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step S121.
한편, 이미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실제전압과 표준전압과의 차이의 실제 크기가 고려된다면, 상기 가열단계(S5)의 수행시간은 보다 정확하고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제전압과 표준전압과의 실제 차이가 크다면, 상기 가열단계(S5)의 수행시간은 이러한 차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크게 조절, 즉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보다 정확한 조절을 위하여, 도 22a 및 22b에 따른 조절단계(S100)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단계(S100)는 기본적으로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을 사용한다. 상기 도 22b의 테이블에서, 분석 및 실험에 의해 측정된 전압의 범위들에 따라 최적의 가열단계, 정확하게는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들이 기 설정된다. 이러한 도 22b의 테이블은 사전에 작성되며, 항상 참조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장치의 저장장치(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다. 상기 도 22b의 테이블은 다수개의 전압의 범위들을 설정함으로써 실제 전압과 표준전압의 실제적인 차이를 고려하며, 이러한 전압 범위들에 서로 다른 수행시간들을 부여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세부적인 수행시간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On the other hand, as already mentioned above, if the actual magnitud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voltage and the standard voltage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execution time of the heating step S5 can be adjusted more accurately and appropriately. For example, if the actual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voltage and the standard voltage is large, the execution time of the heating step (S5) can be relatively controlled, i.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and vice versa to be. For this more precise adjustment, an adjustment step S100 according to FIGS. 22A and 22B may be applied. This adjustment step S100 basically uses a table as shown in FIG. 22B. In the table of FIG. 22B, the execution times of the optimal heating step, precisely the first heating step S5a, are preset according to the ranges of the voltages measured by the analysis and the experiment. The table in FIG. 22B is prepared in advance and is stored in a storage device (for example, a memory) of the control device so as to be always referred to. The table in FIG. 22B considers the actual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voltage and the standard voltage by setting the ranges of the plurality of voltages, and by giving different execution times to these voltage ranges, more precise and detailed execution time adjustment is enabled do.
도 22a를 참조하면, 마찬가지로 먼저 상기 세탁기에 공급되는 전원의 실제 전압이 측정될 수 있다(S110).이러한 측정단계(S110)는 앞서 설명된 도 21의 측정단계와 모든 측면에 있어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다음에서 생략된다. Referring to FIG. 22A, the actual voltage of the power supply to the washing machine can be measured (S110). Since the measuring step S110 is the same as the measuring step of FIG. A further explanation for this is omitted from the following.
상기 측정단계(S110)가 완료되면, 측정된 실제 전압에 해당하는 수행시간이 상기 테이블로부터 확인된다(S122). 상기 확인단계(S122)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먼저 측정된 실제 전압이 포함되는 범위를 도 22b의 테이블에서 찾으며, 이 후 해당하는 가열단계, 즉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을 읽어들인다. 이 후,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확인된 수행시간은 실제 가열단계, 즉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으로 설정된다(S132). 도 22b의 테이블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표준전압범위에 해당하는 225V-234V에는 앞서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준전압에 따라 기 설정된 수행시간, 즉 표준 수행시간인 13초가 그대로 부여된다. 반면, 측정된 전압이 표준전압보다 적을수록, 즉 전압범위가 작아질수록 부여된 제 1 가열단계의 수행시간은 점차적으로 증가된다. 또한, 측정된 전압이 표준전압보다 클수록, 부여된 수행시간은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단계들(S131a,S131b)와 유사하게, 일련의 확인 및 설정단계(S122,S132)에서도 상기 측정된 실제전압이 상기 표준전압보다 작거나 큰 경우, 상기 가열단계(S5)의 수행시간은 증가 또는 감소된다. When the measurement step S110 is completed, the execution time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actual voltage is confirmed from the table (S122). In the checking step S122, the controller finds a range including the measured actual voltage first in the table of FIG. 22B, and then reads the execution time of the corresponding heating step, that is, the first heating step S5a. Thereafter, the confirmed execution time is set by the controller to the execution time of the actual heating step, that is, the first heating step (S5a) (S132). As indicated by an arrow in the table of FIG. 22B, 225V-234V corresponding to the standard voltage range is given a predetermined execution time, i.e., 13 seconds as a standard execution time, according to the standard voltage as shown in FIG. 18B. On the other hand, as the measured voltage is lower than the standard voltage, that is, the voltage range is smaller, the execution time of the given first heating step is gradually increased. Further, the greater the measured voltage is than the standard voltage, the given execution time is gradually reduced. Therefore, similar to the steps S131a and S131b, if the measured actual voltage is smaller or larger than the standard voltage in the series of confirmation and setting steps S122 and S132, the execution time of the heating step S5 Is increased or decreased.
따라서, 상기 표준전압보다 작은 전압의 전원이 공급되고 이에 따라 상기 히터(130)가 예상된 것보다 적은 열을 발생시킨다 하더라도 상기 단계들(S131a,S122/S132)에 따른 수행시간의 증가에 의해 원하는 량의 스팀생성에 충분한 량의 열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준전압보다 큰 전압의 전원이 공급되고 이에 따라 상기 히터(130)가 예상된 것보다 큰 열을 발생시킨다 하더라도 상기 단계들(S131b,S122/S132)에 따른 수행시간의 감소에 의해 히터(130)가 과열되거나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130)의 성능이 상기 공급되는 전원의 실제 전압에 의해 변경된다 하더라도, 이러한 변경 및 이에 따른 공급되는 발열량의 변경은 도 21-도 22b에 따른 조절단계(S100)에 의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조절단계(S100)에 의해, 상기 리프레쉬 코스는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변화에 상관없이 고장을 배제하면서 충분한 스팀을 생산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세탁기의 성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even if the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단계(S100)에 의해 상기 가열단계(S5)의 수행시간은 증가 또는 감소되며, 이러한 조절된 가열단계(S5)는 상기 프로세스(P2)의 반복에 의해 함께 반복된다. 따라서, 실제적으로 조절단계(S100)에 의한 수행시간의 증가 및 감소는 증폭되며, 이에 따라 리프레쉬 코스의 전체시간도 크게 변화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큰 전체시간의 변화는 사용자를 혼란스럽게 하며, 신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조절단계(S100)는 조절된 가열단계의 수행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리프레쉬 코스의 전체시간을 일정한 시간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레쉬 코스의 시간은 실제적으로 상기 가열단계(S5), 즉 제 1 가열단계(S5a)를 제외한 여러 단계들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휴지단계(S8)는 다른 단계들에 비해 긴 수행기간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리프레쉬 코스의 시간의 조절을 위해 적당하다. 따라서, 상기 조절단계(S100)는 조절된 가열단계의 수행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휴지단계(S8)의 수행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140). As described above, the execution time of the heating step S5 is increased or decreased by the adjusting step S100, and the adjusted heating step S5 is repeated by the repetition of the process P2 . Therefore,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execution time by the adjustment step S100 is actually amplified, so that the total time of the refresh course also changes greatly. However, this large change in overall time confuses the user and negatively impacts reliability. For this reason, the adjusting step S100 may further include adjusting the total time of the refresh course to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execution time of the controlled heating step. The time of the refresh course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various steps except the heating step S5, i.e., the first heating step S5a. In particular, the dormancy step S8 has a longer execution period than the other steps, and thus is suitable for adjusting the time of the refresh course. Accordingly, the adjusting step S100 may further include adjusting the execution time of the dormant step S8 based on the execution time of the controlled heating step S140.
상기 조절단계(S140)에 있어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단계(S5), 즉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이 증가되는 경우, 상기 휴지단계(S8)의 수행시간은 감소될 수 있다 (S140a). 상기 가열단계(S5), 즉,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이 감소되는 경우, 상기 휴지단계(S8)의 시간은 증가될 수 있다 (S140b). 또한, 도 22a의 조절단계(S140)에 있어서, 상기 확인단계(S122)에서 측정된 실제 전압이 포함되는 범위가 도 22b의 테이블에서 찾아지면, 해당 범위에 부여된 가열단계의 수행시간과 함께, 부여된 휴지단계(S8)의 수행시간도 제어장치에 의해 읽혀지며 실제 휴지단계(S8)의 수행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2b의 테이블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증가 또는 감소되는 제 1 가열단계(S5a)의 수행시간과 이의 반복을 고려하여 상기 휴지단계(S8)도 충분하게 감소 또는 증가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2b의 테이블도 상기 제 1 가열단계(S5a) 수행시간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며, 상기 제 1 가열단계(S5a) 수행시간의 감소에 따라 증가되는 휴지단계(S8)의 수행시간을 보여준다. 즉, 도 22a의 조절단계(S140)도 상기 도 21의 단계들(S141a,S141b)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휴지단계(S8)의 수행시간을 조절한다. 21, when the execution time of the heating step S5, that is, the first heating step S5a, is increased, the execution time of the dormancy step S8 is (S140a). If the execution time of the heating step (S5), that is, the first heating step (S5a) is reduced, the time of the dormant step (S8) may be increased (S140b). If the range including the actual voltage measured in the checking step S122 is found in the table of FIG. 22B in the adjusting step (S140) of FIG. 22A, together with the execution time of the heating step given to the corresponding range, The execution time of the granted dormancy step S8 is also read by the control device and can be set as the execution time of the actual dormancy step S8. As shown in the table of FIG. 22B, the dormancy step S8 is set to sufficiently decrease or increase in consideration of the execution time and the repetition of the first heating step S5a which is increased or decreased. More specifically, the table of FIG. 22B is also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f the execution time of the first heating step (S5a), and the step of performing the resting step (S8) which is increased as the execution time of the first heating step (S5a) Show time. That is, the adjustment step S140 of FIG. 22A also adjusts the execution time of the dormant step S8 in a manner similar to the steps S141a and S141b of FIG.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단계(S140)에 의해, 상기 리프레쉬 코스는 상기 가열단계의 수행시간의 조절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시간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편의와 상기 리프레쉬 코스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the adjustment step (S140), the refresh course can be alway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irrespective of the adjustment of the execution time of the heating step,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liability of the refresh course .
한편,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 S3-S5)는 이의 독립적인 스팀생성 및 공급기능으로 인해, 앞서 이미 논의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레쉬 코스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세탁 코스 또는 다른 개별적인 코스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3은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가 적용된 기본적인 세탁코스를 도시한다. 이러한 도 23을 참조하여 기본적인 세탁코스에서의 스팀공급 프로세스의 기능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steam supply process (P2: S3-S5), because of its independent steam generation and supply function, as previously discussed, can be applied to the refresh course as well as the basic washing course or other individual course as it is. Fig. 23 shows a basic washing course to which the steam supplying process is applied. Referring to FIG. 23, the function of the steam supply process in the basic washing cours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일반적으로 세탁코스는 세탁수 공급단계(S100), 세탁 단계(S200), 헹굼단계(S300), 탈수단계(S400)로 이루질 수 있다. 또한, 세탁기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를 위한 구조를 갖는 경우, 상기 탈수단계(S400)이후에 건조단계(S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general, the washing course may be composed of a washing water supply step (S100), a washing step (S200), a rinsing step (S300), and a dehydration step (S400). In addition, when the washing machine has a structure for drying, as shown in Figure 2, it may further include a drying step (S500) after the dehydration step (S400).
만일 스팀공급 프로세스가 상기 공급단계(S100)이전 및/또는 상기 공급단계(S100)동안에 수행되는 경우 (P2a,P2b), 공급된 스팀에 의해 세탁물이 미리 적셔질 수 있으며, 공급된 세탁수는 가열될 수 있다. 만일 스팀공급 프로세스가 상기 세탁단계(S200)이전 및/또는 상기 세탁단계(S200)동안 수행되는 경우 (P2c,P2d), 공급된 스팀은 터브(30) 및 드럼(40)내의 공기 및 세탁수를 가열함으로써 세탁에 유리한 고온의 환경을 형성할 수 있다. 스팀공급 프로세스가 상기 헹굼단계(S300)이전 및/또는 상기 헹굼단계(S300)동안 수행되는 경우(P2e,P2f), 공급된 스팀은 마찬가지로 헹굼에 유리하도록 내부 공기 및 헹굼수를 가열할 수 있다. 스팀공급 프로세스가 상기 탈수단계(S400)이전 및/또는 상기 탈수단계(S400)동안 수행되는 경우(P2g,P2h), 공급된 스팀은 주로 세탁물을 살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스팀공급 프로세스가 상기 건조단계(S500)이전 및/또는 상기 건조단계(S500)동안 수행되는 경우(P2i,P2j), 공급된 스팀은 터브(30) 및 드럼(40)의 내부온도를 크게 상승시켜 세탁물로부터 수분이 쉽게 증발되게 유도한다. 만일 필요한 경우, 세탁물을 최종적으로 살균하기 위해, 상기 건조단계(S500)이후에 스팀공급 프로세스(P2k)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모든 스팀공급 프로세스(P2a-P2j)는 스팀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살균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한다. 더 나아가, 상기 스팀공급프로세스를 보조하기 위해 상기 준비 프로세스(P1)이 함께 수행될 수 있다. If the steam supply process is performed before the supply step (S100) and / or during the supply step (S100) (P2a, P2b), the laundry may be pre-soaked by the supplied steam, the supplied wash water is heated Can be. If the steam supply process is carried out before the washing step (S200) and / or during the washing step (S200) (P2c, P2d), the supplied steam is supplied to the air and wash water i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충분한 량의 스팀을 공공급함으로써 세탁에 유리한 분위기를 형성하며, 이에 따라 세탁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세탁물을 살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사용자의 알레르기(allergy)가 방지될 수도 있다. As such, the steam supply process P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atmosphere favorable for washing by publicly supplying a sufficient amount of steam,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washing performance. In addition, the steam supply process (P2) may sterilize the laundry, so that, for example, allergy of the user may be prevented.
상술된 스팀공급 메커니즘 뿐만 아니라 리프레쉬 코스 및 기본 세탁코스를 고려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고온공기 공급을 위한 메커니즘, 즉 건조용 메커니즘을 스팀생성 및 공급을 위해 사용하며, 오직 최소한의 변형만을 적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 특히 스팀공급 프로세스(P2)는 기존의 건조 메커니즘 즉, 변형된 스팀공급 메커니즘을 최적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충분한 양질의 스팀을 효율적으로 생성 및 공급하기 위한 최소한의 변형 및 최적의 제어를 구현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은 생산비용은 최소한으로 증가시키면서도 리프레쉬, 세탁성능 향상 및 살균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가지 기능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In consideration of the refreshing course and the basic washing course as well as the steam supply mechanism described above,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mechanism for supplying hot air, that is, a drying mechanism for steam generation and supply, and applies only minimal deformation. do. 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particular the steam supply process P2, optimally controls the existing drying mechanism, that is, the modified steam supply mechanism. Thus,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least deformation and optimum control to efficiently produce and supply sufficient high quality steam. For this reas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erform refreshing, washing performance improvement and sterilization as well as various other functions while minimizing the production cost.
상기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감.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범위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 포함된다. Although several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thereof. Accordingly, the 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all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덕트 110: 건조덕트
120: 응축덕트 130: 히터
140: 블로워 150: 노즐
160: 급수장치100: duct 110: drying duct
120: condensation duct 130: heater
140: blower 150: nozzle
160: water supply
Claims (7)
상기 터브내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덕트;
상기 덕트내에 설치되며 상기 덕트내의 소정공간만을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히터;
상기 덕트에 설치되며 스팀을 생성하도록 상기 가열된 소정공간에 물을 직접적으로 공급하며, 별도로 형성되어 이의 내부에 끼워지며 와류를 형성하는 발생장치를 갖는 노즐; 및
상기 덕트에 설치되며, 상기 생성된 스팀을 상기 터브로 이송하도록 상기 소정 공간을 향해 공기를 불어내는 블로워로 이루어지는 세탁기.A tub for storing washing water;
A drum rotatably provided in the tub and receiving laundry;
A duc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tub;
A heater installed in the duct and configured to heat only a predetermined space in the duct;
A nozzle installed in the duct and directly supplying water to the heated predetermined space to generate steam, and having a generator formed separately and fitted in the nozzle to form a vortex; And
And a blower installed in the duct and configured to blow air toward the predetermined space so as to transfer the generated steam to the tub.
물을 분사하는 개구부를 갖는 헤드;
상기 헤드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헤드에 물을 안내하는 몸체로 이루어지는 세탁기. The nozzle of claim 1, wherein the nozzle comprises:
A head having an opening for spraying water;
And a body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ead and guides water to the head.
이의 중심을 따라 연장되며 원추형상을 갖는 코어;
상기 코어의 주위에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유로를 포함하는 세탁기.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generator comprises:
A core extending along a center thereof and having a conical shape;
And a flow path extending spirally around the core.
Priority Applications (2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8035A KR101461982B1 (en) | 2012-05-31 | 2012-05-31 | Washing machine |
RU2013104451/12A RU2537276C2 (en) | 2012-02-06 | 2013-02-01 | Machine for linen processing |
EP13153744.1A EP2623663B1 (en) | 2012-02-06 | 2013-02-01 | Laundry machine with drying duct comprising a nozzle |
RU2013104452/12A RU2536030C2 (en) | 2012-02-06 | 2013-02-01 | Laundry treatment machine |
EP13153753.2A EP2623664B1 (en) | 2012-02-06 | 2013-02-01 |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with a drying duct comprising a nozzle |
EP13153758.1A EP2623665B1 (en) | 2012-02-06 | 2013-02-01 | Laundry machine comprising a nozzle and a heater arranged in a drying duct and control method hereof |
EP13170504.8A EP2636785B1 (en) | 2012-02-06 | 2013-02-01 | Laundry machine comprising a nozzle and a heater arranged in a drying duct and control method hereof |
EP13153714.4A EP2623662B1 (en) | 2012-02-06 | 2013-02-01 |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ES13153758.1T ES2544310T3 (en) | 2012-02-06 | 2013-02-01 |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nozzle and a heater arranged in a drying duct and control procedure thereof |
BR102013002643-3A BR102013002643B1 (en) | 2012-02-06 | 2013-02-04 | Washing machine |
AU2013200562A AU2013200562B2 (en) | 2012-02-06 | 2013-02-04 |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
BR102013002653-0A BR102013002653B1 (en) | 2012-02-06 | 2013-02-04 |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
US13/758,157 US9644306B2 (en) | 2012-02-06 | 2013-02-04 | Control method of laundry machine |
US13/757,997 US9334601B2 (en) | 2012-02-06 | 2013-02-04 | Control method of laundry machine |
US13/759,652 US9328448B2 (en) | 2012-02-06 | 2013-02-05 | Laundry machine with drying duct comprising a nozzle |
JP2013020692A JP5695103B2 (en) | 2012-02-06 | 2013-02-05 |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
US13/759,398 US9085843B2 (en) | 2012-02-06 | 2013-02-05 | Control method of laundry machine |
CN201310048525.8A CN103243516B (en) | 2012-02-06 | 2013-02-06 |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201310048437.8A CN103243523B (en) | 2012-02-06 | 2013-02-06 | Washing machine |
CN201310048803.XA CN103243517B (en) | 2012-02-06 | 2013-02-06 | The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
CN201310050181.4A CN103243518B (en) | 2012-02-06 | 2013-02-06 | The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
CN201310215139.3A CN103334254B (en) | 2012-02-06 | 2013-02-06 |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13/909,866 US9328449B2 (en) | 2012-02-06 | 2013-06-04 | Control method of laundry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8035A KR101461982B1 (en) | 2012-05-31 | 2012-05-31 | Washing mach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4487A true KR20130134487A (en) | 2013-12-10 |
KR101461982B1 KR101461982B1 (en) | 2014-11-14 |
Family
ID=49982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8035A KR101461982B1 (en) | 2012-02-06 | 2012-05-31 | Washing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198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324973A1 (en) * | 2022-08-17 | 2024-02-21 | BSH Hausgeräte GmbH | Household appliance for treating items of laundry with a specific flushing system for an air guiding system, and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8224B1 (en) * | 2006-06-12 | 2007-03-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aundry dryer |
KR101215449B1 (en) * | 2007-05-16 | 2012-12-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
2012
- 2012-05-31 KR KR1020120058035A patent/KR101461982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324973A1 (en) * | 2022-08-17 | 2024-02-21 | BSH Hausgeräte GmbH | Household appliance for treating items of laundry with a specific flushing system for an air guiding system, and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61982B1 (en) | 2014-1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623662B1 (en) |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070028398A1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RU2322537C1 (en) |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s operation | |
CN111379121A (en) | Laundry device having induction hea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461983B1 (en) | Washing machine | |
KR101461982B1 (en) | Washing machine | |
KR101443647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 |
KR101498080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 |
KR101513046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 |
KR101461976B1 (en) | Washing machine | |
KR101461975B1 (en) | Washing machine | |
KR101701858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 |
KR101895945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 |
KR101498085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 |
KR101028080B1 (en) | Wash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