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034A - 콴다 효과를 적용한 고정식 핀 안정기 - Google Patents

콴다 효과를 적용한 고정식 핀 안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034A
KR20130134034A KR1020120057259A KR20120057259A KR20130134034A KR 20130134034 A KR20130134034 A KR 20130134034A KR 1020120057259 A KR1020120057259 A KR 1020120057259A KR 20120057259 A KR20120057259 A KR 20120057259A KR 20130134034 A KR20130134034 A KR 20130134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pin
ballast
jet flow
fin stab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3823B1 (ko
Inventor
서대원
이승희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7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823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18Arrangement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access to underwater elements, e.g. to propellers ; Externally attached cofferdam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4Bilge k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8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auxiliary jets or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63B2039/067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effecting motion dampening by means of fixed or movable resistance bodies, e.g. by bilge ke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콴다 효과를 적용한 고정식 핀 안정기에 관한 것으로, 선체의 횡 동요를 감쇠시키기 위해 선체의 양측에 선저부에 설치되는 핀 안정기에 있어서; 상기 핀 안정기는 상기 선체와 핀 안정기 사이의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선저부에 고정되고; 상기 핀 안정기의 뒷날에는 제트 유동 공급구와 원형 슬릿 형상의 제트 유동 분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선체 내부에는 상기 제트 유동 공급구로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콴다 효과를 적용한 고정식 핀 안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핀 안정기 주변에서 발생되는 캐비테이션을 방지함으로써 선박의 운항 안정성을 극대화시키고, 선체의 진동, 소음, 부식 등의 문제도 일소하면서 핀 안정기 제어를 위한 부대설비들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제어의 용이성, 비용 절감 등을 달성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콴다 효과를 적용한 고정식 핀 안정기{The Fixed Type Fin stabilizer Utilizing the Coanda Effect}
본 발명은 콴다 효과를 적용한 고정식 핀 안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횡 동요 감쇠장치 중 하나인 핀 안정기 주변에서 발생되는 캐비테이션을 감소시키는 것과 더불어 핀 안정기의 받음각을 고정한 상태에서도 효과적으로 양력을 발생시켜 핀 안정기의 회전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개선된 콴다 효과를 적용한 고정식 핀 안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핀 안정기는 선측에 한 쌍이 설치되어, 파랑 중에 선박에 발생되는 6 자유도 운동 중 횡 동요(rolling)를 감쇠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핀 안정기의 설치 및 작동을 위해 핀 안정기와 선체 사이의 틈새가 존재하게 되는데, 선박이 고속으로 운항할 경우 이러한 틈새를 통해 흐르는 유동에 의해 핀 안정기 주변에서 캐비테이션이 발생한다.
그리고, 발생된 캐비테이션은 선체에 진동을 유발시키거나 유기소음 및 부식 등 악영향을 끼친다.
통상, 파도에 의한 선체운동이 심해지면 선박의 항해나 설치기기의 운용에 문제가 야기되고, 탑승한 승객들에게도 불편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선박의 운동성능 향상과 승객의 승선감을 높이기 위하여 파도에 의한 선박 운동을 감쇠시킬 필요가 있다.
선박의 6 자유도 운동 중에서도 특히 횡 동요 성분은 감쇠계수가 다른 운동 성분에 비하여 매우 작기 때문에 파랑에 대한 응답성이 상당히 높다.
함정의 경우 횡 동요로 인해 무기 등의 조준성능이 나빠져 운항이 제한되는 등 결국 함정의 작전 성능과 생존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하며, 고부가가치 선박인 유람선 및 여객선에 탑승하는 승객 또는 승조원의 안전과 승선감을 떨어뜨린다.
현재까지 주로 사용되는 횡 동요 감쇠 장치로는 핀 안정기(fin stabilizer)를 비롯하여 빌지 킬(bilge keel), 감요탱크(anti-rolling device), 질량 이동형 장치(moving weight stabilizer) 등이 있다.
이 중에서 핀 안정기는 선박 운항시 횡요 저감에 다른 장치보다 효과적인 방법이다. 즉, 잘 설계된 핀 안정기의 경우 통상 횡 동요를 적어도 50% 이상 감쇠시킬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선박의 고속화 추세에 따라 선박의 운항속도가 크게 증가하면서 선체와 핀안정기 사이의 틈새에서 캐비테이션이 발생하게 되어 선체 부와 핀 안정기 부의 침식 등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틈새 캐비테이션을 없애기 위한 방법으로 고속 운항 시에 핀 안정기를 선체 안으로 격납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지만 복잡한 기계장치들이 필요하게 된다.
예컨대, 종래 핀 안정기는 도 1과 같이, 파랑에 의해 선박의 횡 동요가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여 유압동력장치(4)에 신호를 보내 구동부(3)를 회전하게 하여 선체 측면에 설치된 한 쌍의 핀 안정기(1)를 통해 양력을 얻어 횡 동요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핀 안정기(1)의 설치시 회전축(2)이 필요하게 되며, 부득이 선체와 핀 안정기(1) 사이의 틈새가 존재하게 된다.
더구나, 선박이 고속으로 운항할 경우 이러한 틈새를 통해 빠르게 흐르는 유동에 의해 핀 안정기(1) 주변에서 캐비테이션이 발생하게 되어, 선체에 진동을 유발시키거나 유기소음 및 부식 등 악영향을 끼친다.
뿐만 아니라, 회전축(2) 설치에 따라 주변을 씰링해야 하는 문제, 회전구동을 위한 많은 기계적 수단들을 선체 안에 장착해야 하는 등 설계상, 구조상 많은 불편과 어려움이 따랐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종래 핀 안정기(1)는 일반적인 날개 단면을 사용하여 받음각의 변화에 따른 날개 흡입면과 압력면의 압력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양력의 힘을 통해 횡 동요를 제어하게 되는데, 고속운항 중에서는 빠른 유속이 핀 안정기(1)로 유입되어 양력이 증가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횡 동요를 제어할 수 있지만 저속운항 중에서는 핀 안정기(1)로 유입되는 유속이 작기 때문에 양력은 속도의 제곱배 만큼 줄어들게 되어 횡 동요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다른 예로, 등록특허 제0544899호에서는, 선체 좌우현에 차인라인이 형성된 20노트 이상의 고속선박에 상기 차인라인을 기점으로 폭이 높이 보다 크거나 같으면서 경사각이 3~10°인 직삼각형 형상의 에어포일형 핀을 설치하는 형태로 차인 선형을 구성하여 횡요 방지 효과를 높인 바 있고, 선체에 핀(Fin)을 형성한 관련 기술로 횡요와 달리 선박의 추진 효율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공개특허 제2008-92850호, 공개특허 제2010-2086호가 있는데, 공개특허 제2008-92850호의 경우에는 선체평행부의 후단보다 후방의 빌지부의 외판 양쪽 현에 빌지 핀이 설치되고, 선미 끝의 프로펠러 근방의 외판 양쪽 현에 선미 끝 핀이 설치되는 선박에서, 빌지 핀은 선미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선미 끝 핀은 프로펠러의 전진시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시킨 예이고, 제2010-2086호는 선체의 좌,우현에 제1,2핀을 구비하되 선미 수선과 이 선미 수선으로부터 수선간장의 10% 전방 위치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뻗어 설치되고, 제1핀이 제2핀의 하방에 위치되며, 제1핀의 전단은 제2핀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시킨 예이다.
하지만, 개시된 상기 특허 기술을 포함한 당해 분야의 대부분의 기술들은 선박의 추진 효율을 향상시키거나 횡요를 억제하기 위한 기술로 국한된 것으로, 특히 고속선과 같이 고속 항주시 핀 안정기 주변에서 발생되는 캐비테이션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 구성을 개시한 예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한계점을 고려하여 이를 효과있게 해결할 수 있도록 창출된 것으로, 핀 안정기를 선체에 틈새 없이 고정시킬 수 있어, 틈새를 지나는 유동에 의한 캐비테이션이 사라지게 되며, 또한 슬릿을 통해 제트 유동의 공급량을 변화시켜가며 핀 안정기의 양력 조절이 가능하여 선박의 횡 동요를 효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핀 안정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복잡한 장치들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효율적이고 확실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콴다 효과를 적용한 고정식 핀 안정기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선체의 횡 동요를 감쇠시키기 위해 선체의 양측에 선저부에 설치되는 핀 안정기에 있어서; 상기 핀 안정기는 상기 선체와 핀 안정기 사이의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선저부에 고정되고; 상기 핀 안정기의 뒷날에는 제트 유동 공급구와 원형 슬릿 형상의 제트 유동 분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선체 내부에는 상기 제트 유동 공급구로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콴다 효과를 적용한 고정식 핀 안정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핀 안정기는 상기 펌프의 공급량 조절을 통해 콴다 제트의 공급유량이 제어되어 양력 발생이 조절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핀 안정기는 앞날로부터 0.3C 부분까지는 NACA 0015에 따르는 일반적인 날개 단면을 이루고, 뒷날에는 콴다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원형실린더가 위치되는데, 원형실린더의 반경은 날개 전체 코드의 7%로 하며, 제작공차 내에서 슬릿의 높이를 선정한 후 앞날로부터 0.3C 되는 위치에서부터 슬릿 높이까지를 직선 또는 스플라인으로 연결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핀 안정기 주변에서 발생되는 캐비테이션을 방지함으로써 선박의 운항 안정성을 극대화시키고, 선체의 진동, 소음, 부식 등의 문제도 일소하면서 핀 안정기 제어를 위한 부대설비들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제어의 용이성, 비용 절감 등을 달성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핀 안정기의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핀 안정기의 단면 형상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핀 안정기의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핀 안정기의 예시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핀 안정기의 설계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a,b는 종래 핀 안정기와 본 발명 핀 안정기의 단면 주위 압력분포 및 유선분포도이다.
도 7은 종래 핀 안정기와 본 발명 핀 안정기의 양력 특성을 보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핀 안정기(5)는 기존과 달리 고정식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핀 안정기(5)는 회전을 통해 받음각을 변화시키는 종래의 핀 안정기(1, 도 1 참조)와는 다르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기계적 장치들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다만, 도 3과 같이, 콴다 효과를 이용한 양력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펌프(6)만 배치되면 된다.
또한, 고정식이기 때문에 선체와 핀 안정기(5) 사이의 틈새가 없으므로 고속에서 발생되는 틈새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캐비테이션이 사라지게 된다.
이러한 고정식 핀 안정기(5)의 원리를 살펴보면, 먼저 도 4와 같은 단면을 가진다.
그리고, 고정식 핀 안정기(5)의 내부에 고속의 제트 유동(1'-4)을 공급하기 위한 제트공급부(1'-1)와 제트 유동 분출구(1'-2)가 있다.
따라서, 분사된 제트 유동(1'-4)은 뒷날 원형 곡면(1'-3)을 따라가 흘러가게 되면서 뒷날 주변의 유동을 압력면 방향으로 끌고 가게 되면서 날개 전체의 순환이 증가해 양력을 얻게 된다.
이 경우, 제트 유동(1'-4)의 양은 펌프(6)를 통해 공급하는 양을 조절함으로써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트 유동 분사를 통해 양력을 조절하게 되므로 핀 안정기(5)의 회전 없이도 횡 동요를 감쇠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핀 안정기(5)의 경우, 핀 안정기(5)를 선체에 틈새없이 고정시킬 수 있어, 틈새를 지나는 유동에 의한 캐비테이션이 사라지게 되며, 또한 뒷날 원형 곡면(1'-3)과 핀 안정기(5) 사이의 슬릿을 통해 제트 유동(1'-4)의 공급량을 변화시켜 가며, 핀 안정기(5)의 양력을 조절하여 선박의 횡 동요를 제어함으로써 핀 안정기(5)를 회전시키기 위한 복잡한 장치들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고정상태에서도 쉽게 횡 복원력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종래 핀 안정기와 본 발명 고정식 핀 안정기에 대해 수치계산을 수행하였다.
이때, 단면형상은 미국항공자문위원회(NACA) 0015의 날개 단면을 선정하고, 고정식 핀 안정기의 단면은 제트 유동을 분사할 수 있도록 도 5와 같이 변경 설계하였다.
이 경우, 앞날로부터 0.3C 되는 부분은 종래 날개 단면과 동일하게 택하고, 뒷날에는 콴다 효과를 적용하기 위한 원형 곡면을 설치하기 위해 반경이 코드(Chord)의 7%가 되는 원형 곡면을 만들고 앞날과 뒷날을 직선 또는 스플라인으로 연결하였다.
여기에서, C는 Chord의 약어로서, 날개의 x방향 길이를 말한다.
다시 말해, 상기 핀 안정기(5)는 앞날로부터 0.3C 부분까지는 NACA 0015에 따르는 일반적인 날개 단면을 이루고, 뒷날에는 콴다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원형실린더가 위치되는데, 원형실린더의 반경은 날개 전체 코드의 7%로 하며, 제작공차 내에서 슬릿의 높이를 선정한 후 앞날로부터 0.3C 되는 위치에서부터 슬릿 높이까지를 직선 또는 스플라인으로 연결한 것이다.
아울러, 종래 핀 안정기와 본 발명 고정식 핀 안정기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치계산 프로그램 FLUENT를 활용하여 양력성능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때, 제트 공급장치를 통해 뒷날로 분사되는 유동의 모멘텀 계수(Cj)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질량유량(kg/s),
Figure pat00003
는 슬릿을 통해 분사되는 제트유동의 평균유속이다.
실험결과,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 핀 안정기의 경우 회전에 의한 날개 받음각 변화에 따라 양력성능이 변화하게 되며, 10°의 받음각이 주어진 경우 압력면과 흡입면의 압력차이가 발생되며, 정체적이 앞날의 압력면 근처에 발생됨을 보아 양력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b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핀안정기는 받음각이 0°인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제트 유동이 뒷날의 곡면을 따라 갈 수 있게 분사함으로써, 날개의 앞날과 뒷날부근에서 흡입면과 압력면의 압력차이로 인해 양력이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콴다 효과는 유입유의 유속이 없는 상태에서도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 저속에서도 효과적으로 선박의 횡 동요를 감쇠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핀 안정기의 양항력 성능을 비교한 도 7을 참조하면, 종래 핀 안정기의 경우 받음각 30°까지는 선형적으로 양력이 증가하다가 30°이후 실속(stall)의 발생 양력이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에, 고정식 핀 안정기의 경우는 받음각이 0°로 고정된 상태에서 제트 유동을 공급함으로써 종래의 핀 안정기보다 크게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제트 유동 공급량을 조절하여, 양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서는 핀 안정기 앞날로부터 0.3C가 되는 부분은 일반적인 날개 단면의 형태로 택하고, 콴다 효과를 적용하기 위해 뒷날에 반지름이 코드의 7%인 원형 곡면을 두고 제트 유동 분사를 위한 노즐을 위치시고, 핀 안정기 내부에는 뒷날에 제트 유동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가 설치되며, 공급된 제트 유동은 뒷날의 노즐에서 분사되어 원형 곡률을 따라가게 하여 효과적인 콴다 효과를 통해 핀 안정기에 양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1'-1 : 제트 유동 공급부 1'-2 : 제트 유동 분출구
1'-3 : 뒷날 원형 곡면 1'-4 : 제트 유동
5 : 핀 안정기 6 : 펌프

Claims (3)

  1. 선체의 횡 동요를 감쇠시키기 위해 선체의 양측에 선저부에 설치되는 핀 안정기에 있어서;
    상기 핀 안정기는 상기 선체와 핀 안정기 사이의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선저부에 고정되고;
    상기 핀 안정기의 뒷날에는 제트 유동 공급구와 원형 슬릿 형상의 제트 유동 분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선체 내부에는 상기 제트 유동 공급구로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콴다 효과를 적용한 고정식 핀 안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핀 안정기는 상기 펌프의 공급량 조절을 통해 콴다 제트의 공급유량이 제어되어 양력 발생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콴다 효과를 적용한 고정식 핀 안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핀 안정기는 앞날로부터 0.3C 부분까지는 NACA 0015에 따르는 일반적인 날개 단면을 이루고, 뒷날에는 콴다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원형실린더가 위치되는데, 원형실린더의 반경은 날개 전체 코드의 7%로 하며, 제작공차 내에서 슬릿의 높이를 선정한 후 앞날로부터 0.3C 되는 위치에서부터 슬릿 높이까지를 직선 또는 스플라인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콴다 효과를 적용한 고정식 핀 안정기.
KR1020120057259A 2012-05-30 2012-05-30 콴다 효과를 적용한 고정식 핀 안정기 KR101383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259A KR101383823B1 (ko) 2012-05-30 2012-05-30 콴다 효과를 적용한 고정식 핀 안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259A KR101383823B1 (ko) 2012-05-30 2012-05-30 콴다 효과를 적용한 고정식 핀 안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034A true KR20130134034A (ko) 2013-12-10
KR101383823B1 KR101383823B1 (ko) 2014-04-10

Family

ID=49981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259A KR101383823B1 (ko) 2012-05-30 2012-05-30 콴다 효과를 적용한 고정식 핀 안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8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5387A (zh) * 2019-04-28 2019-07-16 哈尔滨工程大学 一种适用于低速船舶的减摇装置
CN112158307A (zh) * 2020-09-14 2021-01-01 上海交通大学 一种新型智能降阻舭龙骨
KR102202953B1 (ko) * 2020-05-20 2021-01-14 마린디벨로(주) 모듈형 복합수지 플로팅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695B1 (ko) * 2018-02-02 2019-11-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안정성 유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20465B1 (no) * 2004-02-16 2005-12-12 Egeland Olav Fremgangsmate og system for testing av et reguleringssystem tilhorende et marint fartoy
KR20060014191A (ko) * 2004-08-10 2006-02-15 한국기계연구원 선박용 횡동요 저감장치
KR101148067B1 (ko) 2009-04-14 2012-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횡동요 저감형 선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5387A (zh) * 2019-04-28 2019-07-16 哈尔滨工程大学 一种适用于低速船舶的减摇装置
CN110015387B (zh) * 2019-04-28 2021-08-20 哈尔滨工程大学 一种适用于低速船舶的减摇装置
KR102202953B1 (ko) * 2020-05-20 2021-01-14 마린디벨로(주) 모듈형 복합수지 플로팅 구조체
CN112158307A (zh) * 2020-09-14 2021-01-01 上海交通大学 一种新型智能降阻舭龙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823B1 (ko) 201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823B1 (ko) 콴다 효과를 적용한 고정식 핀 안정기
KR101290805B1 (ko) 워터젯 타력장치를 구비한 선박
KR20110083998A (ko) 선박용 덕트
KR101464187B1 (ko) 선박에 구비되는 제어핀 및 그 제어핀을 구비하는 선박
KR101195136B1 (ko) 덕트형 추진기용 추력 증가 장치
KR20090106118A (ko) 선박의 유동 박리 제어장치
KR101205355B1 (ko) 선박의 러더
KR101194722B1 (ko) 타력 향상과 틈새 캐비테이션 억제용 혼 내부의 제트유동 분출장치
KR101225169B1 (ko) 추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324965B1 (ko) 러더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0648367B1 (ko) 침식방지용 압력평형 구조의 선박용 방향타
US2005007681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hydrofoil cavitation
AU2013328235B2 (en) Boat
KR101302035B1 (ko) 선박
KR20210137337A (ko) 방사형 벌브를 구비한 선박용 전가동 러더
KR101319442B1 (ko) 방향타
KR101185519B1 (ko) 선박의 러더
KR102117384B1 (ko) 선박용 덕트의 지지구조
US20230382497A1 (en) Ship resistance reduction apparatus using air
KR102117385B1 (ko) 선박용 타원형 덕트의 지지구조
KR200459934Y1 (ko) 축 보조 링의 추가 및 끝단판의 구조 개선을 통한 함정용 안정기의 캐비테이션 저감 및 로프 걸림 방지 장치
KR102092559B1 (ko) 선박용 추진 스러스터
KR200459925Y1 (ko) 선체 보조 링의 추가 및 끝단판의 구조 개선을 통한 함정용 안정기의 캐비테이션 저감 및 로프 걸림 방지 장치
KR101323795B1 (ko) 선박
KR20160038391A (ko) 선박용 덕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