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3930A -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3930A
KR20130133930A KR1020120057058A KR20120057058A KR20130133930A KR 20130133930 A KR20130133930 A KR 20130133930A KR 1020120057058 A KR1020120057058 A KR 1020120057058A KR 20120057058 A KR20120057058 A KR 20120057058A KR 20130133930 A KR20130133930 A KR 20130133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eawater
water
pressure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인
Original Assignee
(주) 지엠펌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엠펌프 filed Critical (주) 지엠펌프
Priority to KR1020120057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3930A/ko
Publication of KR20130133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상에 구비되는 복수의 양식수조; 상기 복수의 양식수조로 해수를 유입시키기 위해 일단이 바다에 잠기도록 배치되는 입수관로; 상기 입수관로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입수관로에서 유입되는 해수를 상기 복수의 양식수조로 공급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급수펌프; 일단이 상기 급수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양식수조에 해수를 공급하는 급수관로; 상기 급수관로 및 상기 복수의 양식수조와 연통 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급수배관; 상기 급수관로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펌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양식수조로 공급되는 해수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급수펌프 및 상기 압력센서와 전기적으로 연통 되어 상기 급수관로의 압력이 일정하도록 상기 급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양식수조에 공급되는 해수의 양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 {System for supplying sea water for fish farm}
본 발명은 해수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식장에 해수를 공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생물을 채집하기 위해 자연 포획 또는 인공양식을 한다. 인공양식을 하기 위해서는 주로 해상에 인위적인 구조물을 배치한다. 특히, 해양생물이 자랄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만들어 먹이를 제공함으로써 고밀도 양식이 가능하게 하는 해상 양식장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해상에 양식장을 배치하는 경우 해양생물의 먹이, 배설물 및 해양생물의 질병예방을 위한 약품 등에 의해 바다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해상에 양식장을 구비하는 경우 적조 또는 겨울철 동사 등 자연적인 피해를 방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육상에 배치하는 양식장이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육상에 양식장을 배치함으로써, 바다오염을 예방할 수 있고, 해양생물이 자연적인 피해를 입는 것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육상에 해수를 끌어와야 하기 때문에 해수를 육상으로 끌어오기 위해 여러 급수 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특히, 육상에서 양식하는 해양생물의 종류가 증가하면서 육상에 구비되는 양식장은 다수의 양식수조를 구비하게 되며 그에 따라, 각 양식수조에 해수를 일정하게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 제어를 통해 복수의 양식수조에 일정량의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은 육상에 구비되는 복수의 양식수조; 상기 복수의 양식수조로 해수를 유입시키기 위해 일단이 바다에 잠기도록 배치되는 입수관로; 상기 입수관로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입수관로에서 유입되는 해수를 상기 복수의 양식수조로 공급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급수펌프; 일단이 상기 급수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양식수조에 해수를 공급하는 급수관로; 상기 급수관로 및 상기 복수의 양식수조와 연통 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급수배관; 상기 급수관로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펌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양식수조로 공급되는 해수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급수펌프 및 상기 압력센서와 전기적으로 연통 되어 상기 급수관로의 압력이 일정하도록 상기 급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도록, 상기 압력센서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통하는 인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은 육상에 구비되는 복수의 양식수조; 상기 복수의 양식수조로 해수를 유입시키기 위해 일단이 바다에 잠기도록 배치되는 입수관로; 상기 입수관로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입수관로에서 유입되는 해수를 상기 복수의 양식수조로 공급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급수펌프; 일단이 상기 급수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양식수조에 해수를 공급하는 급수관로; 상기 급수관로 및 상기 복수의 양식수조와 연통 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급수배관; 상기 입수관로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펌프에 의해 해수를 흡입하는 입수관로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진공센서; 및 상기 급수펌프 및 상기 진공센서와 전기적으로 연통 되어 상기 급수관로의 압력이 일정하도록 상기 급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진공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도록, 상기 진공센서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통하는 인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수관로는, 일단이 썰물인 경우에도 해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바다의 최저수위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급수배관은, 해수의 공급을 단속할 수 있도록 각각 밸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에 의하면,
첫째, 급수펌프를 구비하여 육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양식수조에 해수를 공급할 수 있다.
둘째, 압력센서 또는 진공센서를 구비하여 양식수조에 급수되는 해수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셋째, 제어부를 구비하여 양식수조에 급수되는 해수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넷째, 조수간만의 차이에 영향을 받지않고 일정량의 해수를 양식수조에 공급할 수 있다.
다섯째, 조수간만의 차이를 이용하여, 밀물의 경우 급수펌프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여섯째, 급수배관은 각각 밸브를 구비하여 복수의 양식수조에서 필요로 하는 해수를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일곱째, 각각의 밸브를 별개로 단속할 수 있어 각각 양식수조들의 관리상황에 따라 해수를 공급하여 전기료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의 밸브의 일부가 잠겨있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의 밸브의 일부가 잠겨있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100)은 복수의 양식수조(110), 입수관로(120), 급수펌프(130), 급수관로(140), 급수배관(150), 압력센서(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양식수조(110)는 참치, 돔, 우럭 등과 같은 해양생물을 각각 양식할 수 있도록 육상에 복수로 배치된다.
입수관로(120)는 복수의 양식수조(110)에 해수를 유입시키기 위해 바다와 양식수조(110)가 연통 되도록 구비된다. 도 2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입수관로(120)는 지하에 매설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도 2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입수관로(120)는 지상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해수가 유입되는 입수관로(120)의 일단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썰물(ET) 시에도 해수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바다의 최저수위 아래에 배치되도록 한다.
급수펌프(130)는 입수관로(120)에서 유입되는 해수를 복수의 양식수조(110)에 공급하도록 입수관로(120)의 타단에 구비되어 압력을 가한다.
여기서, 급수펌프(130)는 복수의 양식수조(110)에서 사용하는 해수의 양에 영향을 받지않고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해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급수펌프(130)는 압력을 제어하여 일정하게 급수되도록 하는 부스터 펌프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급수관로(140)는 복수의 양식수조(110)에 해수를 공급하기 위해 일단이 급수펌프(130)와 연통 되도록 구비된다.
급수배관(150)은 복수의 양식수조(110)에 각각 해수를 공급하기 위해 복수의 양식수조(110)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복수의 급수배관(150)은 일단이 각각 양식수조(110)들과 연통 되고, 타단이 급수관로(140)와 연통 되어 구비된다.
더불어, 복수의 양식수조(110)에 공급되는 해수를 각각 단속할 수 있도록 복수의 급수배관(150)은 각각 밸브(V)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양식수조(110) 중에서 일부 양식수조(110)를 청소하거나, 일부 양식수조(11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등 일부 양식수조(110)에 해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각각 밸브(V)를 별개로 단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압력센서(160)는 급수펌프(130)에 의해 복수의 양식수조(110)로 공급되는 해수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급수관로(140)의 일단부에 구비된다.
제어부(170)는 압력센서(160)와 전기적으로 연통 되어 급수관로(140)로 공급되는 해수의 압력 정보를 압력센서(160)로부터 얻는다. 또한, 제어부(170)는 급수펌프(130)와 전기적으로 연통 되어, 압력센서(160)로부터 수집된 수압에 대응하여 필요한 수압을 제공하도록 급수펌프(130)를 제어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170)는 급수관로(140)로 공급되는 해수의 압력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압력센서(1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변환하여 제어부(170)로 전송하기 위해 압력센서(160) 및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통 되는 인버터(I)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조수간만의 차에 의해 입수관로(120)를 통해 들어오는 해수의 압력이 변하더라도 제어부(170)부를 통해 급수관로(140)에 급수되는 해수의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특히, 밀물(FT)의 경우 입수관로(120)를 통해 들어오는 해수의 양이 많아 공급되는 해수의 압력이 증가하고, 이를 압력센서(160) 및 제어부(170)가 감지하여 급수펌프(130)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도 있다.
더불어, 앞서 설명한 복수의 밸브(V)가 별개로 조작되어 복수의 양식수조(110)에 공급되는 해수의 양이 변하더라도 제어부(170)는 각각의 양식수조(110)들에 항상 일정한 양의 해수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200)은 복수의 양식수조(210), 입수관로(220), 급수펌프(230), 급수관로(240), 급수배관(250), 진공센서(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양식수조(210)는 참치, 돔, 우럭 등과 같은 해양생물을 각각 양식할 수 있도록 육상에 복수로 배치되고, 입수관로(220)는 복수의 양식수조(210)에 해수를 유입시키기 위해 바다와 양식수조(210)가 연통 되도록 구비된다. 입수관로(220)는 지하 또는 지상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고, 해수가 유입되는 일단은 썰물(ET) 시에도 해수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바다의 최저수위 아래에 배치되도록 한다. 급수펌프(230)는 입수관로(220)에서 유입되는 해수를 복수의 양식수조(210)에 공급하도록 입수관로(220)의 타단에 구비되어 압력을 가한다. 급수관로(240)는 복수의 양식수조(210)에 해수를 공급하기 위해 일단이 급수펌프(230)와 연통 되도록 구비된다. 급수배관(250)은 복수의 양식수조(210)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복수의 급수배관(250)은 일단이 각각 양식수조(210)들에 연통 되고, 타단이 급수관로(240)와 연통 되어 구비되며, 복수의 양식수조(210)에 공급되는 해수를 각각 단속할 수 있도록 복수의 급수배관(250)은 각각 밸브(V)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것과 달리 여기서는 진공센서(260)가 급수펌프(230)에 의해 해수를 흡입하는 입수관로(22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도록 입수관로(220)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제어부(270)는 진공센서(260)와 전기적으로 연통 되어 급수펌프(230)가 해수를 흡입하기 위한 입수관로(220)의 내부 압력 정보를 진공센서(260)로부터 얻는다.
또한, 제어부(270)는 급수펌프(230)와 전기적으로 연통 되어, 진공센서(260)로부터 수집된 입수관로(220)의 내부압력에 대응하여 해수를 흡입하도록 급수펌프(230)를 제어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270)는 일정한 압력으로 해수를 흡입하여, 급수관로(240)로 공급되는 해수의 압력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제어부(270)는 진공센서(2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변환하여 제어부(270)로 전송하기 위해 진공센서(260) 및 제어부(270)와 전기적으로 연통 되는 인버터(I)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조수간만의 차에 의해 입수관로(220)를 통해 들어오는 해수의 압력이 변하더라도 제어부(270)부를 통해 급수펌프(230)가 흡입하는 해수의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특히, 밀물(FT)의 경우 입수관로(220)를 통해 들어오는 해수의 양이 많아 공급되는 해수의 압력이 증가하고, 이를 진공센서(260) 및 제어부(270)가 감지하여 급수펌프(230)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도 있다.
더불어, 앞서 설명한 복수의 밸브(V)가 별개로 조작되어 복수의 양식수조(210)에 공급되는 해수의 양이 변하더라도 제어부(270)는 각각의 양식수조(210)들에 항상 일정한 양의 해수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200...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 110, 210..양식수조
120, 220...입수관로 130, 230...급수펌프
140, 240...급수관로 150, 250...급수배관
160...압력센서 260...진공센서
170, 270...제어부 I...인버터
V...밸브

Claims (6)

  1. 육상에 구비되는 복수의 양식수조;
    상기 복수의 양식수조로 해수를 유입시키기 위해 일단이 바다에 잠기도록 배치되는 입수관로;
    상기 입수관로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입수관로에서 유입되는 해수를 상기 복수의 양식수조로 공급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급수펌프;
    일단이 상기 급수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양식수조에 해수를 공급하는 급수관로;
    상기 급수관로 및 상기 복수의 양식수조와 연통 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급수배관;
    상기 급수관로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펌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양식수조로 공급되는 해수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급수펌프 및 상기 압력센서와 전기적으로 연통 되어 상기 급수관로의 압력이 일정하도록 상기 급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도록,
    상기 압력센서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통하는 인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
  3. 육상에 구비되는 복수의 양식수조;
    상기 복수의 양식수조로 해수를 유입시키기 위해 일단이 바다에 잠기도록 배치되는 입수관로;
    상기 입수관로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입수관로에서 유입되는 해수를 상기 복수의 양식수조로 공급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급수펌프;
    일단이 상기 급수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양식수조에 해수를 공급하는 급수관로;
    상기 급수관로 및 상기 복수의 양식수조와 연통 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급수배관;
    상기 입수관로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펌프에 의해 해수를 흡입하는 입수관로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진공센서; 및
    상기 급수펌프 및 상기 진공센서와 전기적으로 연통 되어 상기 급수관로의 압력이 일정하도록 상기 급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진공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도록,
    상기 진공센서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통하는 인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로는,
    일단이 썰물인 경우에도 해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바다의 최저수위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급수배관은,
    해수의 공급을 단속할 수 있도록 각각 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
KR1020120057058A 2012-05-30 2012-05-30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 KR201301339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058A KR20130133930A (ko) 2012-05-30 2012-05-30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058A KR20130133930A (ko) 2012-05-30 2012-05-30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930A true KR20130133930A (ko) 2013-12-10

Family

ID=49981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058A KR20130133930A (ko) 2012-05-30 2012-05-30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39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156B1 (ko) * 2014-09-11 2015-01-15 (주) 지엠펌프 육상 양어장용 해수 공급장치
CN105028267A (zh) * 2015-06-23 2015-11-11 李成启 一种网箱养鱼大型鱼类的个数统计方法
CN109699567A (zh) * 2019-01-04 2019-05-03 邹权明 一种深井式自然压强进排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156B1 (ko) * 2014-09-11 2015-01-15 (주) 지엠펌프 육상 양어장용 해수 공급장치
CN105028267A (zh) * 2015-06-23 2015-11-11 李成启 一种网箱养鱼大型鱼类的个数统计方法
CN109699567A (zh) * 2019-01-04 2019-05-03 邹权明 一种深井式自然压强进排水
CN109699567B (zh) * 2019-01-04 2021-05-04 湛江市鸿振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深井式自然压强进排水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3963B1 (ko) 수상가두리용 내압조정식 수중 상향 사료공급장치
CN205180029U (zh) 一种畜牧业牲畜饮水槽自动供水装置
KR20130119796A (ko) 육상 축양장의 해수공급장치
CN102138541A (zh) 一种浅海管道式海底营养盐注气提升装置
KR20130133930A (ko) 양식장 해수 공급 시스템
CN202808485U (zh) 一种多层次生态浮床
CN104322421A (zh) 一种产业化高密度全密封水产养殖方法
CN204599029U (zh) 一种生态型池塘对虾养殖系统
CN205682188U (zh) 一种多功能水族养殖箱
CN202496293U (zh) 拼装式海参礁
CN204837575U (zh) 一种龙虾养殖池
CN103518640A (zh) 大牲畜养殖用自动补水装置的使用方法
CN204132192U (zh) 水产养殖增氧系统
CN204206911U (zh) 一种浮船礁结构
KR200371642Y1 (ko) 해중가두리양식장용 육상먹이공급장치
TW202017472A (zh) 養殖貨櫃
CN207252584U (zh) 一种使用新能源的水产品养殖池
CN206005557U (zh) 一种鸡舍自动补水饮水装置
CN206835945U (zh) 一种池塘集约化生态养殖系统
CN204206910U (zh) 船礁群结构
CN206314421U (zh) 一种育苗车间的池水调度系统
CN203654343U (zh) 一种养鱼池塘水下清淤装置
CN218959826U (zh) 一种养殖系统
KR20110088019A (ko) 가두리양식장 수온 조절장치
JP2008220204A (ja) 水産物水上養殖設備および水産物水上養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