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3531A - Digital door lock - Google Patents

Digital door 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3531A
KR20130133531A KR1020120056859A KR20120056859A KR20130133531A KR 20130133531 A KR20130133531 A KR 20130133531A KR 1020120056859 A KR1020120056859 A KR 1020120056859A KR 20120056859 A KR20120056859 A KR 20120056859A KR 20130133531 A KR20130133531 A KR 20130133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unit
key information
door lock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8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40148B1 (en
Inventor
김철
Original Assignee
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 filed Critical 김철
Priority to KR1020120056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148B1/en
Publication of KR20130133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5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1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door lock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gate and including a locking module to control the opening/closing of the gate. The digital door lock comprises: a display unit displaying any one among current time, available time, room condition information, authorized information for use, guidance sign, and guidance number and receiving password by the number; a bar code reader unit to receive key information data from a bar code stored in a portable terminal of users; a memory unit to store key number data from a management server; a wireless/wired network unit receiving the key information data from the management server in real-time and to transfer opening/closing information data of a locking device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a MICOM receiving the key information data by the wireless/wired network unit, temporarily storing the received key information data in the memory unit, and controlling the locking module by receiving the password inputted through the display unit or the bar code information inputted by the bar code reader, comparing with the key information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ccess is approved. [Reference numerals] (10) Display part;(12) Touch panel;(2) Locking module;(20) Key input unit;(30) Barcode reader unit;(40) Audio input and output unit;(50) Memory unit;(60) Wireless/wired network unit;(70) Power source control part;(80) Micom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 Lock}Digital Door Lock {Digital Door Lock}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무선 네트워크모듈이 내장되어 서버의 요청에 따라 잠금 번호의 변경이 가능하며, 변경된 잠금 번호를 인식하여 도어를 제어할 수 있고, 비밀번호 입력 및 바코드 리딩을 통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door lock, and more particularly, a wired / wireless network module is built in, so that the lock number can be changed at the request of the server, the door can be controlled by recognizing the changed lock number, password input and barcode reading. It relates to a digital door lock to enable opening and closing through.

숙박업소의 객실 개폐 장치로는 금속 열쇠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기계식 도어락이 주로 사용되었다.Mechanical door locks, which open and close doors using metal keys, were mainly used as the door locker of the lodging facility.

하지만 이러한 기계식 도어락은 인증 수단으로 사용되는 금속 열쇠가 분실 및 복제에 취약하여 보안성이 약한 편이었다.However, these mechanical door locks were weak in security because metal keys used as authentication means were vulnerable to loss and duplication.

요즈음에는 종래의 기계식 도어락이 지닌 취약성을 해결하고자 인증 수단으로 전자 키(Key)를 사용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MPU : Microprocessor Unit)를 도어락에 탑재하여 도어락의 전반적인 열림과 잠금을 제어하는 디지털 도어락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Nowadays, digital door locks are developed to control the overall opening and locking of door locks by using an electronic key as an authentication means to solve the weaknesses of conventional mechanical door locks and by mounting a microprocessor unit (MPU) in the door lock. Has been commercialized.

한편,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서비스업 중 특히, 호텔, 모텔, 콘도, 펜션 등의 숙박업소의 경우에는 출입권한을 부여받은 자가 별도의 열쇠를 지참하거나 고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출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service industry for commercial purposes, especially in hotels, motels, condos, pensions, etc., the person who has been granted access has a separate key or enters a fixed password.

이러한 도어락으로 구성된 경우 숙박 이용 시 열쇠의 발급 및 회수의 과정이 수반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열쇠 또는 비밀번호를 분실하였을 경우에는 출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한다.In the case of the door lock, the hassle that a process of issuing and retrieving a key may be involved when using accommodation, and a problem arises in that entry or exit is impossible when a key or a password is lost.

또한, 숙박업소 이용에 따라 사생활 노출을 꺼려하는 고객들이 있을 수 있는데, 해당 숙박업소가 기존 열쇠 방식의 도어락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열쇠를 발급받아야하기 때문에 관리자와의 대면을 해야 하는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there may be customers who are reluctant to expose their privacy in accordance with the use of the lodging facilities. If the lodging establishment has a door lock structure of the existing key method, a key must be issued, so that an unavoidable situation of having to face the manager occurs. do.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리서버를 통해 무선으로 비밀번호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digital door lock that allows a password to be changed wirelessly through a management serve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밀번호 입력 및 바코드 리딩에 따라 도어가 개폐되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gital door lock in which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password input and barcode reading.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의 출입에 여부를 판단하여 객실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도록 하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gital door lock to control the power supply of the room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ser acces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안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이용자 외출 시 자동으로 방범이 유지되도록 하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door lock to maintain the security automatically when the user goes out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security system.

상기한 발명의 목적은, 문(gate)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며, 문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잠금 모듈을 포함하는 도어락에 있어서, 현재 시간, 이용가능 시간, 이용 가능기간, 객실의 상태 정보, 이용 승인 여부 정보, 안내문구 및 번호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고, 상기 번호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디스플레이부; 이용자의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바코드로부터 키 정보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바코드 리더부;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키 번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관리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키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며, 잠금 장치의 개폐 정보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유무선 네트워크부; 및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부를 통해 키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키 정보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 임시 저장하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비밀번호 또는 바코드 리더부를 통해 입력되는 바코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키 정보 데이터와 비교하여 출입에 대한 승인을 판단하여 상기 잠금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MICO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에 의해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gate (gate), the door lock comprising a lock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the current time, available time, available period, state information of the room,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information on whether to use the application, guide text, and a number, and receives a password through the number; A barcode reader unit for receiving key information data from a barcode stored in a user's portable terminal; A memory unit for storing key number data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A wired / wireless network unit configured to receive key information data from a management server in real time and to transmit the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data of a locking device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receiving key information data through the wired / wireless network unit, temporarily storing the received key information data in the memory unit, receiving a password input through a display unit or barcode information input through a barcode reader unit, and storing the key information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Compared with key information data, it is achieved by a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ICOM (MICOM) for controlling the locking module to determine the approval for the entrance.

또한 본 발명은, 비밀번호 입력 기능, 외출 및 퇴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갖는 버튼으로 구성된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key input unit consisting of a button having any one of a password input function, going out and leaving.

또한 본 발명은, 키 정보 데이터 인식에 따라 발생되는 도어락 개폐의 승인 또는 거절에 따른 알림 및 경고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dio input a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y one of a notification and a warning message according to the approval or rejection of the door lock opening and closing generated according to the key information data recogni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오디오 입출력부는 관리서버와의 연결 시 관리자와의 음성대화가 진행될 수 있도록 음성 입력이 가능한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o input and outpu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icrophone module capable of a voice input so that the voice conversation with the manager can proceed when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또한 본 발명은, 이용자가 정상적인 도어 개폐를 통해 입실한 경우 객실 전체에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ow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o that the entire room can be supplied normally when the user enters through normal door opening and closing.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원제어부는 이용자의 외출 및 퇴실 시 자동으로 객실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automatically shut off the power of the room when the user goes out and leav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이컴은 키 정보 데이터 수신시 객실 이용 기간 정보를 수신 받아 관리서버로부터의 별도의 키 제어 신호의 수신 없이도 이용 기간의 퇴실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키 정보 데이터를 삭제하여 새로운 키 정보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 잠금 장치의 개폐가 불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ceiving the key information data, the microcomputer receives the room usage period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deletes the key information data when the departure time of the use period without receiving a separate key control sig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to the new key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ocking device to be impossible until data is receiv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키 정보 데이터는 개인 휴대폰 번호 또는 이메일로 비밀번호 및 바코드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information data is characterized in that a password and a barcode are transmitted to a personal cell phone number or email.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이컴은 이용자가 객실 내부에서 외부로 나갈 때 반드시 외출 또는 퇴실 버튼의 입력 확인 후 도어가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computer controls the door to be opened and closed after confirming the input of the outgoing or leaving button when the user goes out from the inside of the room.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에 의하면, 관리서버를 통해 무선으로 비밀번호가 변경될 수 있으며, 비밀번호 입력 및 바코드 리딩에 따라 도어가 개폐되고, 이용자의 출입에 여부를 판단하여 객실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으며, 보안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이용자 외출 시 자동으로 방범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ssword can be changed wirelessly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password input and barcode reading,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wer supply of the room by judging whether or not the user access. By interlocking with the security system, security is automatically maintained when the user goes ou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1)은, 객실 문(gate)의 소정의 위치, 즉 이용자의 손으로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곳에 설치되는 도어락으로써, 전면부는 문 외부로, 후면부는 문 내부로 오픈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digital door lock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lock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guest room gate, that is, a place which can be easily operated by a user's hand, and the front part is outside the door. The rear part is open inside the door.

상기 디지털 도어락(1)은 레버 형태의 잠금 모듈(2)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부(10), 키 입력부(20), 바코드 리더부(30), 오디오 입출력부(40), 메모리부(50), 유무선 네트워크부(60), 전원제어부(70) 및 마이컴(MICOM)(80)으로 구성된다.The digital door lock 1 includes a lock module 2 in the form of a lever, and includes a display unit 10, a key input unit 20, a barcode reader unit 30, an audio input / output unit 40, and a memory unit 50. , A wired / wireless network unit 60, a power control unit 70, and a microcomputer (MICOM) 80.

상기 디스플레이부(10)는 현재 시간, 이용가능 시간, 이용가능 기간, 객실의 상태 정보, 이용 승인 여부 정보, 안내문구 및 번호 등을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0 displays a current time, available time, available period, status information of a room, information on whether to use a user, guide phrases and numbers.

상기 객실의 상태 정보는 입실, 외출, 퇴실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The state information of the room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entering, going out, and leaving the room.

상기 디스플레이부(10)는 이용자가 화면터치로 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패널을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10 includes a touch panel so that a user can input a number by using a screen touch.

상기 키 입력부(20)는 물리적인 버튼의 구성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0)와 선택적 또는 병행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번호입력, 외출 및 퇴실 등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The key input unit 20 may be configured as a physical button to selectively or in parallel with the display unit 10, and to select a function such as number input, going out and leaving.

상기 바코드 리더부(30)는 이용자의 휴대폰, 타블릿 피씨, 아이패드 등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바코드 이미지 또는 카드로부터 바코드를 읽어 마이컴(80)으로 전달한다.The barcode reader unit 30 reads a barcode from a barcode image or a card stored i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user's mobile phone, a tablet PC, an iPad, and transmits the barcode to the microcomputer 80.

상기 오디오 입출력부(40)는 키 정보 데이터 인식에 따라 발생되는 도어락 개폐의 승인 또는 거절에 따른 알림 및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The audio input / output unit 40 outputs a notification and a warning message according to the approval or rejection of the door lock opening and closing generated according to the key information data recognition.

또한, 상기 오디오 입출력부(40)는 관리서버(미도시)와 연결 시 관리자와의 음성대화가 진행될 수 있도록 음성 입력이 가능한 마이크 모듈(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udio input / output unit 40 preferably includes a microphone module (not shown) capable of inputting a voice so that a voice conversation with a manager can be performed when connected to a management server (not shown).

상기 메모리부(50)는 수신된 키 번호를 임시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킹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로그(log) 데이터를 남겨두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emory unit 50 temporarily stores the received key number, and preferably does not leave log data in order to prevent hacking problems.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부(60)는 관리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키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며, 관리자가 도어락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입/퇴실 정보를 전송한다.The wired / wireless network unit 60 receives key information data from a management server in real time and transmits entry / exit information so that an administrator can check whether the door lock is opened or closed.

이용자가 객실 내부에서 외부로 나갈 때 외출 또는 퇴실 버튼을 반드시 눌러야만 도어가 열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관리자가 이용자의 외출 및 퇴실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When the user goes out from the inside of the room, it is preferable to open the door only by pressing the go out or exit button,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accurately grasp the user's going out and exit status.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부(60)는 건물 각층에 설치된 라우터 또는 AP 단말기를 정보를 수신 받으며, 모든 네트워크 장비는 암호화 모듈로 보호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red / wireless network unit 60 receives information about a router or an AP terminal installed in each floor of a building, and all network equipment is preferably protected by an encryption module.

상기 키 정보 데이터는 정상적으로 승인된 이용자의 휴대 단말기로 동시에 전송한다.The key information data is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normally authorized user.

만약, 키 정보 데이터가 노출되어 악용될 수 있다고 판단되거나, 키 이미지 분실 시에는 관리자에게 새로운 키 정보 데이터 요청을 통해 객실의 키 정보 데이터가 변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key information data may be exposed and abused, or if the key image is lost, the key information data of the guest room may be changed by requesting a new key information data from the administrator.

그리고, 새로운 키 정보 데이터가 발급될 때에는 이용자에게 기 발송된 키 정보 데이터가 아닌 새로운 키 정보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관리자 또한 임의로 키 정보 데이터를 도용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new key information data is issued, it is preferable to provide new key information data instead of previously sent key information data to the user,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not arbitrarily steal the key information data.

상기 전원제어부(70)는 종래의 카드키 확인을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 이용자가 정상적인 도어 개폐를 통해 입실한 경우 객실 전체에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The power control unit 70 is to replace the conventional card key check, and when the user enters through the normal door opening and closing to control the power so that the entire room can be supplied normally.

이용자가 외출하거나 퇴실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객실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전력의 낭비를 막을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user goes out or leaves, the power of the guest room is automatically shut off to prevent waste of power.

상기 마이컴(80)은 유무선 네트워크부(60)를 통해 키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키 정보 데이터를 메모리부(50)에 임시 저장하며, 디스플레이부(10) 또는 키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는 비밀번호, 바코드 리더부(30)를 통해 입력되는 바코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50)에 저장된 키 정보 데이터와 비교하여 출입에 대한 승인을 판단하고, 정상적인 입실이 진행되면 상기 전원제어부(70)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이용자의 출입에 대한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달하며, 실시간으로 키 정보 데이터를 수신 받아 변화되는 키 정보 데이터에 대응할 수 있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한다.The microcomputer 80 receives the key information data through the wired / wireless network unit 60, temporarily stores the received key information data in the memory unit 50, and through the display unit 10 or the key input unit 20. Receives an input password and barcod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barcode reader unit 30 and compares it with key information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50 to determine approval for access, and when the normal entrance proceeds, the power control unit ( 70) to supply power, and to pass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entry and exit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receives the key information data in real time and controls a series of processes that can respond to the changing key information data.

상기 마이컴(80)은 최초 수신 받은 이용자의 이용기간 및 이용시간에 따라 관리서버(미도시)의 별도의 키 제어 신호의 수신 없이도 해당 기간일의 퇴실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키 정보 데이터를 삭제하여 새로운 키 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때까지는 개폐가 불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icrocomputer 80 automatically deletes the key information data when the departure time of the corresponding period is reached without receiving a separate key control signal of a management server (not shown) according to the user's use period and use time. It is preferable to control such that opening and closing is impossible until key information data is received.

예컨대, 객실의 청소 등이 실시될 수 있도록 청소 담당자의 휴대폰으로 퇴실 이후에 일정 시간 동안 개폐가 가능한 키 정보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key information data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leaving the mobile phone of the person in charge of cleaning so that the room can be cleaned.

숙박업소는 객실에 따라 가용인원이 정해져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객실을 예약할 때 총 이용자의 수를 결정하고 결제를 하게 된다.The number of available rooms is determined by accommodation. Therefore, when a user reserves a room, the user determines the total number of users and makes a payment.

하지만, 관리자의 대면 없이 숙박업소에 출입하기 때문에 몇 명이 객실을 이용하는지 확인하기는 어렵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check how many people use the rooms because they enter the lodgings without a manager's face to face.

따라서, 도시하진 않았지만, 객실 입구의 소정의 위치에 센서를 설치하고, 해당 센서로부터 디지털 도어락(1)으로 입실 인원에 대한 카운터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락(1)은 다시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예약된 인원 이내의 입실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although not shown, the sensor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t the entrance of the room, and the counter information about the occupant is transferred from the sensor to the digital door lock 1, and the digital door lock 1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again.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room within the reserved number of people has been made.

이용자가 객실을 예약할 때 상기의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 락(1)의 구성에 따라 이용자의 객실 이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a user reserves a room, the user's room use process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이용자는 디지털 도어락(1)이 구비된 호텔, 모텔, 콘도, 펜션 등을 이용하기 위하여 해당 관리자 페이지(홈페이지) 등에 접속하여 예약 및 대금을 결제한다.In order to use a hotel, a motel, a condo, a pension, and the like provided with the digital door lock 1, the user accesses a corresponding administrator page (homepage) or the like to make a reservation and pay.

정상적인 결제가 완료되면 이용자는 키 정보 데이터를 수신 받을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When the normal payment is completed, the user can select a target to receive the key information data.

예컨대, 개인 휴대폰 번호 및 이메일 주소가 될 수 있는데, 다수의 이용자가 독립적인 도어락의 개폐를 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휴대폰 번호 및 이메일 주소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동시에 여러 명에게 발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it may be a personal cell phone number and an e-mail address, and it is desirable to allow multiple users to input a plurality of cell phone numbers and e-mail addresses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can open and close an independent door lock. Do.

이후, 관리서버는 이용자가 예약한 날짜의 입실 가능 시간(전 이용자가 퇴실한 후 기존의 키 정보 데이터가 삭제된 시간)에 해당 이용자에게 객실의 디지털 도어 락(1)을 개폐할 수 있는 키 정보 데이터를 전송한다.Thereafter, the management server key information to open and close the digital door lock (1) of the room to the user at the available time (the time when the previous user has left the existing key information data is deleted) of the date reserved by the user Send the data.

상기 이용자 키 정보 데이터는 비밀번호 또는 바코드 형태로 발급할 수 있도록 하며, 매번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출입하는 것이 불편할 수 있기 때문에 비밀번호와 바코드를 동시에 발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ser key information data can be issued in the form of a password or bar code, and it is preferable to simultaneously issue a password and a bar code because it may be inconvenient to enter and exit through a password input every time.

이용자는 발급받은 키 정보 데이터 중 비밀번호 또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 락(1)을 개폐한다.The user opens and closes the digital door lock 1 using a password or a barcode among issued key information data.

이후, 외출/퇴실에 따라 키를 입력하여 디지털 도어락(1)을 통해 전력공급 및 보안시스템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After that, by inputting a key according to the going out and leaving, the power supply and security system can operate through the digital door lock 1.

객실 이용을 마치면 퇴실 기능을 선택하여 퇴실할 의사를 관리서버로 전송하게 된다.When you finish using the room, select the exit function will be sent to the management server to leave.

운영방식에 따라 퇴실 기능 선택 시 자동으로 키 정보 데이터가 삭제되거나, 이용가능 시간이 끝나는 시점에 삭제되도록 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operating method, the key information data may be automatically deleted when the exit function is selected, or may be deleted at the end of the available time.

상기와 같이, 디지털 도어락(1)은 마이컴(80)이 유무선 네트워크부(60)를 통해 키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키 정보 데이터를 메모리부(50)에 임시 저장하며, 디스플레이부(10) 또는 키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는 비밀번호, 바코드 리더부(30)를 통해 입력되는 바코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50)에 저장된 키 정보 데이터와 비교하여 출입에 대한 승인을 판단하고, 정상적인 입실이 진행되면 상기 전원제어부(70)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이용자의 출입에 대한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달하고, 실시간으로 키 정보 데이터를 수신 받아 변화되는 키 정보 데이터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서버를 통해 무선으로 비밀번호가 변경될 수 있으며, 비밀번호 입력 및 바코드 리딩에 따라 도어가 개폐되고, 이용자의 출입 여부를 판단하여 객실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으며, 보안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이용자 외출 시 자동으로 방범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igital door lock 1, the microcomputer 80 receives key information data through the wired / wireless network unit 60, temporarily stores the received key information data in the memory unit 50, and displays the display unit 10. Or by receiving a password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20 and barcod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barcode reader unit 30 and comparing the key information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50 to determine an approval for access. When the normal entrance proceeds, the power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power to be supplied,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user's entrance and exit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receives the key information data in real time to respond to the changed key information data. Therefore, the password can be changed wirelessly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password input and barcode reading, and the user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 When the can control the power supply, the user goes out through the integration with security systems has the effect that automatic security is maintained.

1 : 디지털 도어락 2 : 잠금 모듈
10 : 디스플레이부 12 : 터치패널
20 : 키 입력부 30 : 바코드 리더부
40 : 오디오 입출력부 50 : 메모리부
60 : 유무선 네트워크부 70 : 전원제어부
80 : 마이컴(MICOM)
1: digital door lock 2: locking module
10: display unit 12: touch panel
20: key input unit 30: barcode reader unit
40: audio input / output unit 50: memory unit
60: wired and wireless network unit 70: power control unit
80: MICOM

Claims (9)

문(gate)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며, 문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잠금 모듈을 포함하는 잠금 장치에 있어서,
현재 시간, 이용가능 시간, 이용가능 기간, 객실의 상태 정보, 이용 승인 여부 정보, 안내문구 및 번호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고, 상기 번호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디스플레이부;
이용자의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바코드로부터 키 정보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바코드 리더부;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키 번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관리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키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며, 잠금 장치의 개폐 정보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유무선 네트워크부; 및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부를 통해 키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키 정보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 임시 저장하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비밀번호 또는 바코드 리더부를 통해 입력되는 바코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키 정보 데이터와 비교하여 출입에 대한 승인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잠금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MICO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In the locking device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gate (gate), and including a locking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ny one of a current time, available time, available period, state information of a room, information on whether to use a room, information on a notice, and a number, and receives a password through the number;
A barcode reader unit for receiving key information data from a barcode stored in a user's portable terminal;
A memory unit for storing key number data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A wired / wireless network unit configured to receive key information data from a management server in real time and to transmit the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data of a locking device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Receives key information data through the wired / wireless network unit, temporarily stores the received key information data in the memory unit, receives a password input through a display unit or barcode information input through a barcode reader unit, and stores the key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a microcomputer (MICOM) for controlling the locking module by determining whether to approve entry or exit in comparison with information data.
제 1항에 있어서,
비밀번호 입력 기능, 외출 및 퇴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갖는 버튼으로 구성된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The method of claim 1,
The digital door lock further comprises a key input unit comprising a button having one of a password input function, a function of going out and leaving the room.
제 1항에 있어서,
키 정보 데이터 인식에 따라 발생되는 도어락 개폐의 승인 또는 거절에 따른 알림 및 경고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audio input /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y one of a notification and a warning message according to the approval or rejection of the door lock opening / closing generated according to key information data recogni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입출력부는 관리서버와의 연결 시 관리자와의 음성대화가 진행될 수 있도록 음성 입력이 가능한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udio input and output unit is a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icrophone module capable of inputting a voice so that a voice conversation with the manager can proceed when connecting to the management server.
제 1항에 있어서,
이용자가 정상적인 도어 개폐를 통해 입실한 경우 객실 전체에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user enters through the normal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ow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is normally supplied to the entire room.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이용자의 외출 및 퇴실 시 자동으로 객실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ower control unit is a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to automatically cut off the power of the room when the user goes out and lea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키 정보 데이터 수신시 객실 이용기간 정보를 수신 받아 관리서버로부터의 별도의 키 제어 신호의 수신 없이도 이용기간의 퇴실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키 정보 데이터를 삭제하여 새로운 키 정보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 잠금 장치의 개폐가 불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microcomputer receives the key information data and receives the room use period information and receives new key information data by automatically deleting the key information data at the time of leaving the use period without receiving a separate key control sig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ocking device is impossib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정보 데이터는 개인 휴대폰 또는 이메일로 비밀번호 및 바코드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The method of claim 1,
The key information data is a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password and barcode is transmitted to a personal mobile phone or emai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이용자가 객실 내부에서 외부로 나갈 때 반드시 외출 또는 퇴실 버튼의 입력 확인 후 도어가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 락.The digital door lock of claim 1, wherein the microcomputer controls the door to be opened and closed after the user checks out the input of the go out or exit button when the user exits from the inside of the room.
KR1020120056859A 2012-05-29 2012-05-29 Digital Door Lock KR1013401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859A KR101340148B1 (en) 2012-05-29 2012-05-29 Digital Door 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859A KR101340148B1 (en) 2012-05-29 2012-05-29 Digital Door 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531A true KR20130133531A (en) 2013-12-09
KR101340148B1 KR101340148B1 (en) 2013-12-10

Family

ID=49981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859A KR101340148B1 (en) 2012-05-29 2012-05-29 Digital Door 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014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88870A (en) * 2014-09-18 2016-04-1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Entrance guard control method, apparatus, terminal and control server
KR20170007225A (en) * 2016-12-27 2017-01-18 전대연 The system for entering and carrying out the goods by use of smart goods cabinet
KR101717992B1 (en) * 2015-11-23 2017-03-20 주식회사 에스씨테크원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lo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9793A (en) * 2015-05-15 2015-07-29 广西职业技术学院 Smart door lock system for unlocking hotel guest room by utilizing smart mobile phone
KR102012276B1 (en) * 2017-11-16 2019-10-21 주식회사 다자요 Digital door lock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364B1 (en) 2006-03-22 2007-04-17 김진우 Doorlock system used for optical sensor part
KR100902302B1 (en) 2007-06-19 2009-06-10 (주)유비몰 Door locking system utilizing bar code
KR101152188B1 (en) * 2010-03-11 2012-06-15 (주)클레어 System for managing used resource in guest room
KR101016626B1 (en) 2010-09-17 2011-02-23 최승환 System for controlling of a door lock opening using bar cod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88870A (en) * 2014-09-18 2016-04-1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Entrance guard control method, apparatus, terminal and control server
KR101717992B1 (en) * 2015-11-23 2017-03-20 주식회사 에스씨테크원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lock
KR20170007225A (en) * 2016-12-27 2017-01-18 전대연 The system for entering and carrying out the goods by use of smart goods cabi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0148B1 (en)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342B1 (en) visitors monitoring system in apartment house and monitoring method thereof
KR20130133532A (en) Unmanned-accommodating system using digital door lock
KR101340148B1 (en) Digital Door Lock
CN102779323A (en) Network remotely-control door lock integrated system
KR20210033154A (en) Accommodation Management System on Real Time
KR20160050841A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entrance and exit
KR102328402B1 (en) Smart door look control system and method
JP5513234B2 (en) Visitor management device
KR101521947B1 (en) Access and management system
JP6218671B2 (en) Automatic door electronic lock control system
CN112714928A (en) Acceptance terminal machine
JP2020201665A (en) Facility use management system and facility use management method
KR20160010009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mote entrance of person
JP2019105053A (en) Equipment operation system
KR101233922B1 (en) Management method of the apartment vistors using the network
JP2002236986A (en) Guarding system
KR20180095404A (en) unmanned accommodation system control method
JP7492705B2 (en) Indoor Use Management System
KR200315859Y1 (en) system of control coming and going
KR102315499B1 (en) Management system for guest room using key code stored in door-lock
KR200214333Y1 (en) Fingerprints recognition electronic card key
JP7352669B2 (en) Automatic lock/unlock system and mobile terminals and computer programs for mobile terminals
JP2017173890A (en) Room entry/exit management device and room entry/exit management method
JP6708871B1 (en) Door locking and unlocking system
CN112689856A (en) Management system and data ce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