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8812A - 광학 필름,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8812A
KR20130128812A KR1020120052841A KR20120052841A KR20130128812A KR 20130128812 A KR20130128812 A KR 20130128812A KR 1020120052841 A KR1020120052841 A KR 1020120052841A KR 20120052841 A KR20120052841 A KR 20120052841A KR 20130128812 A KR20130128812 A KR 20130128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iquid crystal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원
박문수
이대희
벨리아에프 세르게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20052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8812A/ko
Publication of KR20130128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2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with refractive index ellipsoid inclined relative to the LC-layer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using mesoge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4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the refractive index Nz perpendicular to the element surface being different from in-plane refractive indices Nx and Ny, e.g. biaxial or with normal optical axi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 방향 위상차값 Rin이 90nm 내지 130nm이고, 두께 방향 위상차값 Rth가 -20nm 내지 -50nm 미만인 이축성 필름; 및 상기 이축성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며, 필름 면의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0˚ 초과 5˚ 이하의 각도를 갖도록 경사 배향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학 필름,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OPTICAL FILM,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정 각도로 경사 배향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는 초기의 액정 배향이 유리 기판과 수평하고 전극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가지게 배향되며, 전기장의 방향이 유리 기판에 평형하게 형성되는 액정표시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액정이 수직으로 배향되는 TN-모드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액정의 굴절율 이방성 차이가 작고, 시야각이 넓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이 수평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기 때문에, 시야각에 따른 굴절률 이방성 변화는 크지 않지만, 측면에서 봤을 때 액정의 배열이 비대칭적으로 되어, 좌-우 측에서의 색 변화가 발생하고, 경사각에 대해 상대적으로 빛 누설이 높아 경사각에서 낮은 콘트라스트 비 값을 나타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의 콘트라스트비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5-0073221호(특허문헌 1)에는 액정 셀과 편광판 사이에 음의 이축성 필름과 +C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시야각 보상 필름을 배치하여, 정면과 경사각에서 콘트라스트 특성을 향상시키고, 색 변화를 최소화하는 IPS-LCD소자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IPS-LCD의 경우, 경사 방향에서의 콘트라스비가 다소 개선되기는 하나, 그 효과가 충분하지 않았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58468호(특허문헌 2)에는 -B 필름과 +C 필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C 필름의 광축이 필름의 수직 방향에 대해 -5 ~ 5도 범위로 기울어져 있는 시야각 보상 필름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IPS-LCD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필름 적층체를 사용할 경우, IPS-LCD의 경사방향 콘트라스트비는 상당한 정도까지 개선할 수 있지만, 사용되는 광원의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색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어, 경사 방향의 콘트라스트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우수한 색감을 구현할 수 있는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하기 식 (1)로 정의되는 면 방향 위상차값 Rin이 90nm 내지 130nm이고, 하기 식 (2)로 정의되는 두께 방향 위상차값 Rth가 -20nm이상 -50nm미만인 이축성 필름; 및 상기 이축성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며, 필름 면의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0˚ 초과 5˚ 이하의 각도를 갖도록 경사 배향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식 (1) : 면상 위상차 값 Rin = (nx- ny )×d
식 (2) : 두께 방향 위상차 값 Rth = (nz- ny )×d
이때, 상기 식 (1) 및 (2)에 있어서, nx는 이축성 필름의 x축 방향의 굴절율, ny는 이축성 필름의 y축 방향의 굴절율, nz는 이축성 필름의 z축 방향의 굴절율이며, d는 상기 이축성 필름의 두께임.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편광자; 및 상기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IPS 모드 LCD, FFS 모드 LCD 또는 PLS 모드 LCD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면상 스위치 모드 LCD 장치에 적용되어 콘트라스트비 특성, 특히 경사 방향에 있어서의 콘트라스트비 특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LED 광원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우수한 색감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광학 필름에서의 굴절율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의 콘트라스트비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의 색감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비교예 1의 콘트라스트비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비교예 1의 색감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비교예 2의 콘트라스트비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비교예 2의 색감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원활한 이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시야각 보상을 위해 사용되는 광학 필름의 굴절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편의상, 광학 필름의 x축 방향의 굴절율을 nx, y축 방향의 굴절율을 ny, z축 방향의 굴절율을 nz라 하자. 광학 필름의 위상차 특성은 상기 굴절율들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결정되며, 세 축 방향의 굴절율 중 두 축 방향의 굴절율이 다른 경우를 일축성 필름이라 하고, 세 축 모두의 굴절율이 다른 경우를 이축성 필름이라 한다.
일축성 필름은 nx ≠ ny = nz 인 A 필름과 nx = ny ≠ nz 인 C 필름으로 구분된다. 이때, nx > ny = nz 인 경우를 +A 필름이라 하며, nx < ny = nz 인 경우를 -A 필름이라고 한다. 또한, nx = ny < nz인 경우를 +C 필름이라고 하며, nx = ny > nz인 경우를 -C 필름이라고 한다.
한편, 이축성 필름은 일반적으로 B 필름으로 나타내며, 특히, nx > ny > nz 인 경우를, -B 필름이라고 한다.
한편, 면상 위상차 값(in-plane retardation), Rin과 두께 방향 위상차 값(Thickness retardation value), Rth 는 광학 필름의 위상차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파라미터들로, 상기 면상 위상차 값과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은 각각 하기 식 (1) 및 (2)와 같이 정의된다.
식 (1) 면상 위상차 값 Rin = (nx- ny )×d d:필름의 두께
식 (2) 두께 방향 위상차 값 Rth = (nz- ny )×d d:필름의 두께
이하,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일 구현예가 개시되어 있다.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특정 범위의 면 방향 위상차값과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을 갖는 이축성 필름과 상기 이축성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며, 경사 배향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축성 필름의 면 방향 위상차값 Rin은 90nm 내지 130nm 정도, 바람직하게는, 100nm 내지 130nm, 더 바람직하게는 100nm 내지 120nm 정도이다. 또한, 상기 이축성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값 Rth는 -20nm 내지 -50nm정도, 바람직하게는, -20nm 이상 -50n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20nm 내지 -48nm 정도이다.
한편, 상기 이축성 필름에 있어서, 상기 Rth의 절대값이 Rin의 절대값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Rin에 대한 Rth의 비율의 절대값, 즉, │Rth/Rin│은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 결과, 이축성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값과 면 방향 위상차값이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색감 특성이 특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는 일반적으로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 표시장치의 보상 필름으로 이축성 필름과 +C 필름의 조합을 사용할 경우, 이축성 필름의 면 방향 위상차값에 대한 두께 방향 위상차값의 비의 절대값(즉, │Rth/Rin│)이 1보다 큰 경우에 광학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연구 결과, 면 방향 위상차값과 두께 방향 위상차값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이축성 필름의 일면에 특정한 각도로 경사 배향된 액정층을 형성한 광학 필름을 사용할 경우, 놀랍게도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우수한 광학 특성 및 색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때, 상기 액정층은 이축성 필름 면의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0˚ 초과 5˚ 이하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의 각도를 갖도록 경사 배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정층의 경사 배향 각도가 0˚ 초과 5˚ 이하를 만족할 경우,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 장치의 경사 방향 시야각이 획기적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효과는 경사 배향 각도가 2˚ 내지 5˚인 경우에 더욱 현저하게 나타난다. 또한, 액정층의 경사 배향 각도가 5˚를 초과할 경우에는 광학 필름에 의해 비대칭적인 위상차가 추가로 발생하여 경사방향 콘트라스트비가 오히려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때 경사 배향이란, 액정층을 구성하는 액정 물질들이 특정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의도적으로 배향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액정층 형성 시에 배향막에 UV 광을 경사지게 조사하거나, 액정 물질에 자기장을 거는 등의 방법으로 경사 배향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의도적인 경사배향을 하지 않더라도 액정 배향 과정에서 다소의 프리틸트가 발생할 수 있음은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리틸트의 경우, 각각의 액정 분자마다 프리틸트 각도가 제각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액정 분자들을 경사배향시킨 본 발명에서와 같은 광학 효과는 얻기 어렵고, 오히려 이러한 랜덤한 프리틸트는 광학 효과를 저하시킨다.
한편, 상기 액정층은 nx = ny < nz을 만족하도록 형성되는 것, 즉 +C 필름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두께 방향 위상차값 Rth가 100 내지 150nm 정도, 바람직하게는, 110nm 내지 140nm, 더 바람직하게는 120nm 내지 140nm 정도인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이축성 필름과 액정층을 포함하는 전체 광학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값(이하, Rth , total라 함)이 60 내지 130nm정도, 바람직하게는, 70nm 내지 120nm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70nm 내지 100n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 전체의 두께 방향 위상차값이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우수한 콘트라스트비를 나타날 때 뿐 아니라, 수직 시야각에서의 상부 방향의 색감 향상에 우수한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하기 식 (3)에 의해 정의되는 Nz값이 0 내지 1 정도,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Nz 값은 이축성 필름과 액정층이 모두 포함된 광학 필름 전체에서 측정되는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 결과, 상기와 같은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광학 필름을 사용할 경우,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 표시 장치의 경사 방향의 시야각 특성이 특히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식 (3) : Nz =(nx-nz)/(nx -ny)
상기 식(3)에서, nx는 광학 필름의 x축 방향의 굴절율, ny는 광학 필름의 y축 방향의 굴절율, nz는 광학 필름의 z축 방향의 굴절율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편광판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와,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편광자는, 특별한 제한 없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편광자들, 예를 들면, PVA계 편광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편광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 장치의 시야각 특성은 상기 보호 필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면, 보호 필름으로 두께 방향의 위상차를 갖는 필름을 사용할 경우, 시야각 보상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 필름으로는 무연신 COP 또는 위상차 값이 없는 TAC 혹은 무연신 아크릴 필름과 같은 등방성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광학 필름은 양면에 보호 필름이 부착된 편광판에 적층되어 보상 필름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상기 편광자에 직접 부착되어 편광자 보호 필름의 기능과 보상 필름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이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 사용될 경우,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사용되는 필름 수의 감소로 인해 생산 단가가 저하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광학 필름이 편광자 보호 필름의 사용될 경우에는, 이축성 필름이 편광자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학 필름은 이축성 필름의 지상축(Slow axis)이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 광학 필름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편광판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에서도 특히, 면상 스위치 모드의 액정표시장치들, 예를 들면, IPS 모드 LCD, FFS 모드 LCD 또는 PLS 모드 LCD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는 전극 쌍을 포함하는 능동 매트릭스 구동 전극의 모드에 따라 In-Plane Switching(IPS), 또는 Super In-Plane Switching(Super IPS) 또는 Fringe Field Switching(FFS), Plane to Line Switching(PLS) 등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라는 용어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구현예들이 개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부 기판(21), 하부 기판(23) 및 상기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에 삽입되는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으로 채워진 액정 셀(22)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20), 상기 액정 패널(2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편광판(10) 및 제2편광판(30)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셀 내의 액정의 광축이 편광판과 평행한 면상(in-plane)에 위치하며, 상기 제1편광판과 제2편광판의 흡수축은 서로 수직이고, 상기 액정 패널과 제2편광판 사이에 상기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편광판(10)의 흡수축(↔)과 제2편광판(30)의 흡수축(◎)이 서로 수직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편광판(10)의 흡수축(↔)과 액정셀(22)의 광축(<--->)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한편, 백라이트(미도시)는 제1편광판 측이나, 제2편광판측 중 어느 쪽에 배치되어도 무관하나, 액정셀(22)의 광축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편광판(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시야각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액정셀(22)은 도 3(a)에 개시된 바와 같은 호모지니어스(HOMOGENEOUS) 타입일 수도 있고, 도 3(b)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스플레이(SPLAY) 타입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액정셀(22)의 위상차 값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550nm 파장에서 대략 300nm ~ 400nm의 범위의 값을 갖는다.
한편,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의 광학 특성은 편광자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호 필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면, 보호 필름으로 두께 방향의 위상차를 갖는 필름을 사용할 경우, 시야각 보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편광판 및 제2편광판에 사용되는 보호 필름으로는 무연신 COP 또는 위상차 값이 없는 TAC 혹은 무연신 아크릴 필름과 같은 등방성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호 필름은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제2편광판의 경우, 편광자의 일면에만 상기 등방성 필름으로 이루어진 보호 필름을 구비하고,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이 적층되는 면에는 별도의 보호 필름을 구비하지 않고,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편광자 위에 바로 적층하여, 보호 필름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ISP-LCD에 대하여 방위각 45˚, 모든 경사각에서 콘트라스트 비 값 및 색감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시뮬레이션 조건>
(1) 액정셀: 셀 간격 3.3㎛, 프리틸트 각 1.4o, 유전율 이방성Δε=+7, 550nm 파장에서 복굴절 Δn=0.1. 호모지니어스 타입 배향
(2) 제1편광판 및 제2편광판: 보호 필름 두께=80㎛, 두께 방향 위상차 없음
(3) -B 필름: 두께= 45㎛, Rin=110nm, Rth=-40nm
(4) 액정층: 두께=1㎛ Rth=140nm, 경사 배향 각도 3˚
시뮬레이션 결과는 각각 도 4 및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4는 실시예의 콘트라스트비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실시예의 색감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비교예 1
-B 필름으로 Rin=60nm, Rth=-80nm 인 필름을 사용하고, 액정층으로 Rth=150nm인 것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각각 도 6 및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6은 비교예 1의 콘트라스트비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비교예 1의 색감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비교예 2
-B 필름으로 Rin=130nm, Rth=-80nm 인 필름을 사용하고, 액정층으로 Rth=140nm인 것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각각 도 8 및 도 9에 도시하였다. 도 8은 비교예 2의 콘트라스트비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는 비교예 2의 색감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0 : 제1편광판
20 : 액정셀
30 : 제2편광판

Claims (16)

  1. 하기 식 (1)로 정의되는 면 방향 위상차값 Rin이 90nm 내지 130nm이고, 하기 식 (2)로 정의되는 두께 방향 위상차값 Rth가 -20nm 이상 -50nm 미만인 이축성 필름; 및
    상기 이축성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며, 필름 면의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0˚ 초과 5˚ 이하의 각도를 갖도록 경사 배향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식 (1): 면상 위상차 값 Rin = (nx- ny )×d
    식 (2): 두께 방향 위상차 값 Rth = (nz- ny )×d

    상기 식 (1) 및 (2)에 있어서,
    nx는 이축성 필름의 x축 방향의 굴절율,
    ny는 이축성 필름의 y축 방향의 굴절율,
    nz는 이축성 필름의 z축 방향의 굴절율이며,
    d는 상기 이축성 필름의 두께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필름 면의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2˚ 내지 5˚ 이하의 각도를 갖도록 경사 배향된 광학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성 필름의 면 방향 위상차값에 대한 두께 방향 위상차값의 비의 절대값(│Rth/Rin│)이 0.5 이하인 광학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nx = ny < nz을 만족하는 것인 광학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두께 방향 위상차값 Rth가 100 내지 150nm 인 광학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전체 두께 방향 위상차값 Rth , total가 60 내지 130nm 인 광학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Nz값이 0 내지 1인 광학 필름.

    식 (3) : Nz =(nx-nz)/(nx-ny)

    식 (3)에서, nx는 광학 필름의 x축 방향의 굴절율, ny는 광학 필름의 y축 방향의 굴절율, nz는 광학 필름의 z축 방향의 굴절율임.
  8. 편광자; 및
    청구항 1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이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되는 편광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의 이축성 필름이 편광자 측에 배치되는 편광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의 이축성 필름의 지상축이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는 편광판.
  12. 청구항 1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IPS 모드 LCD, FFS 모드 LCD 또는 PLS 모드 LCD인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부 기판, 하부 기판 및 상기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에 삽입되는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으로 채워진 액정 셀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편광판 및 제2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셀 내의 액정의 광축은 편광판과 평행한 면상(in-plane)에 위치하며,
    상기 제1편광판과 제2편광판의 흡수축은 서로 수직이고,
    상기 액정 패널과 제2편광판 사이에 청구항 1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면상 스위칭 액정표시장치인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판은 보호 필름으로 등방성 필름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청구항 1의 광학 필름이 제2편광판의 보호 필름으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052841A 2012-05-18 2012-05-18 광학 필름,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288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841A KR20130128812A (ko) 2012-05-18 2012-05-18 광학 필름,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841A KR20130128812A (ko) 2012-05-18 2012-05-18 광학 필름,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812A true KR20130128812A (ko) 2013-11-27

Family

ID=49855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841A KR20130128812A (ko) 2012-05-18 2012-05-18 광학 필름,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8812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827A (ko) * 2016-10-24 2018-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유기 발광 장치
KR20190017373A (ko) * 2017-08-11 2019-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편광판 세트 및 액정표시장치
KR20190017376A (ko) * 2017-08-11 2019-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편광판 세트 및 액정표시장치
KR20190120926A (ko) * 2018-04-17 2019-10-25 주식회사 엘지화학 타원 편광판 및 유기발광장치
KR20200050752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200050750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200050751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230041264A (ko) * 2021-09-17 2023-03-2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발광소자의 광학특성 향상을 위한 광학보상필름
WO2024053962A1 (ko) * 2022-09-06 2024-03-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표시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827A (ko) * 2016-10-24 2018-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유기 발광 장치
WO2018080138A1 (ko) * 2016-10-24 2018-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유기 발광 장치
CN109791242A (zh) * 2016-10-24 2019-05-21 株式会社Lg化学 用于抗反射的滤光器和有机发光器件
US11152599B2 (en) 2016-10-24 2021-10-19 Lg Chem, Ltd. Optical filter for anti-reflection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KR20190017373A (ko) * 2017-08-11 2019-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편광판 세트 및 액정표시장치
KR20190017376A (ko) * 2017-08-11 2019-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편광판 세트 및 액정표시장치
KR20190120926A (ko) * 2018-04-17 2019-10-25 주식회사 엘지화학 타원 편광판 및 유기발광장치
KR20200050752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200050750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200050751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230041264A (ko) * 2021-09-17 2023-03-2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발광소자의 광학특성 향상을 위한 광학보상필름
WO2024053962A1 (ko) * 2022-09-06 2024-03-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2230B1 (ko) 수직 배향 액정표시장치
JP4597953B2 (ja) +a−プレートと+c−プレートを用いた視野角の補償フィルムを含むips液晶表示装置
US7283189B2 (en) In-plane switching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compensation film for angular field of view using negative biaxial retardation film and (+) C-plate
JP6057253B2 (ja) 視野角補償フィルム積層体及びこれを利用した面内切り替え液晶表示装置
KR20130128812A (ko) 광학 필름,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4723590B2 (ja) +a‐フィルムと+c‐フィルムとを用いた広視野角補償フィルムを有する垂直配向の液晶表示装置
KR101314480B1 (ko) 면상 스위치 모드 lcd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면상 스위치 모드 lcd
EP2461206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P2990862B1 (en) In-plane switch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10048203A (ko)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KR100877926B1 (ko) 네거티브 c 및 네거티브 이축성 플레이트 조합된 위상차필름 및 그 위상차 필름들을 구비한 수직배향 액정표시장치
KR20090117641A (ko) 음의 굴절률 특성을 갖는 이축성 위상차 필름과 양의 굴절률 특성을 갖는 이축성 위상차 필름이 구비된 면상 스위칭 액정 표시장치
JP4459229B2 (ja) 垂直配向液晶表示装置
WO2009072815A2 (en) Integrated wide viewing film and in-plan switching liquid crystal display with the same
KR101512711B1 (ko) 위상차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시야각 트위스트네마틱모드 액정표시장치
KR20100022919A (ko) 광시야각을 갖는 트위스트네마틱 모드 액정표시장치
KR20090056210A (ko) 위상차필름을 포함하는 면상 스위칭 액정 표시 장치
KR20090101871A (ko) 음의 굴절률 특성을 갖는 이축성 위상차필름과 네거티브 c-플레이트 특성의 편광자 보호필름이 구비된 면상 스위칭액정표시장치
KR101485773B1 (ko) 위상차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시야각 트위스트네마틱모드 액정표시장치
KR20130073149A (ko) 위상차 필름, 이를 포함하는 하부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10032702A (ko)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KR20090083057A (ko) 수평 방향의 콘트라스트 비가 개선된 tn―lcd 및편광판
KR20130073204A (ko) 위상차 필름, 이를 포함하는 하부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30073180A (ko) 위상차 필름, 이를 포함하는 하부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10135464A (ko) 트위스트네마틱 모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