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8672A - Human power assistant apparatus supporting tool handling - Google Patents

Human power assistant apparatus supporting tool hand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8672A
KR20130128672A KR1020120052567A KR20120052567A KR20130128672A KR 20130128672 A KR20130128672 A KR 20130128672A KR 1020120052567 A KR1020120052567 A KR 1020120052567A KR 20120052567 A KR20120052567 A KR 20120052567A KR 20130128672 A KR20130128672 A KR 20130128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tool
muscle strength
us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5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82149B1 (en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티리서치
주식회사 엔티메디
김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티리서치, 주식회사 엔티메디, 김경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티리서치
Priority to KR1020120052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149B1/en
Publication of KR20130128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6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1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7/00Joints
    • B25J17/02Wrist joints
    • B25J17/0258Two-dimensional joints
    • B25J17/0266Two-dimensional joints comprising more than two actuating or connecting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8/00Arms
    • B25J18/06Arms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 B25J9/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by rotating at least one arm, excluding the head movement itself, e.g. cylindrical coordinate type or polar coordinate type
    • B25J9/041Cylindrical coordinate type
    • B25J9/042Cylindrical coordinate type comprising an articulated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ulti-articulate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articulated li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1/00Robots
    • Y10S901/01Mobile robo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1/00Robots
    • Y10S901/27Arm part

Abstract

A muscular strength assisting device is disclosed. The muscular strength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inks which relatively rotates or linearly rotates and a tool mounting unit joined to one end portion of one among the links and have characteristics moving the links by using a driving member or remarkably reducing power required by a user by using a load compens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orking convenience is improved as the user moves a tool joined to the muscular strength assisting device to a working position without a large amount of power and performs a task so that the fatigue of the user is reduced and musculoskeletal injuries are prevented. Furthermore, the user easily poses for working by utilizing a skeletal structure similar to a human body.

Description

공구 사용을 보조하는 근력보조장치{Human power assistant apparatus supporting tool handling}Human power assistant apparatus supporting tool handling

본 발명은 근력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무거운 공구의 하중과 작업 중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근력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capable of mitigating a heavy tool load and impact generated during work.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공구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 중에는 작업자가 장시간 사용하기 힘들 정도로 무거운 공구도 많이 있다.In general, various types of tools are used in industrial sites, and many of them are heavy enough to be difficult to use for a long time.

예를 들어 드릴, 리벳해머, 네일건 등의 공구는 작업자가 손으로 들 수 있긴 하지만, 비교적 무거운데다 사용시 발생하는 반발력을 견디기 위해 작업자가 많은 힘을 가하면서 작업을 해야 한다.For example, tools such as drills, rivet hammers, and nail guns can be lifted by the operator, but they are relatively heavy and require a lot of work by the operator to withstand the repulsion that occurs during use.

따라서 이러한 공구를 장시간 사용하면 그 무게로 인해 작업자가 쉽게 피로해질 뿐만 아니라 사용시의 반발력으로 인해 근골격계의 손상이 초래될 위험이 높다. Therefore, the use of such a tool for a long time is not only easy to fatigue the operator due to its weight, but also high risk of damage to the musculoskeletal system due to the repulsive force in us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지그(Jig)나 구조물을 사용하여 인력을 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용 장비가 없기 때문에 작업자가 현장에서 그때마다 필요한 구조물을 제작해서 사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또한 넓은 공간을 이동하면서 작업해야 하는 경우에는 고정된 보조구조물을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preferable to use a separate jig or structure to assist the manpower, but since there is no dedicated equipment, the worker has no choice but to make and use the required structure at the sit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a fixed auxiliary structure when you need to work while moving a large space.

또한 최근 들어 착용형 근력증강로봇이 소개되고 있으나, 이것은 전신 착용형으로 개발된 것이어서 공구사용을 위한 보조장치로는 지나치게 크고 무거우며 이동성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로봇 제어기술의 적용으로 인해 구입비용이 매우 고가이어서 상용화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earable strength-enhancing robots have recently been introduced, but this is developed as a whole-body wearable type, so that the auxiliary device for using a tool is too large and heavy and has limited mobility. In addition,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robot control technology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commercialize because the purchase cost is very expensiv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이동성이 뛰어난 공구용 근력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for a tool which can be easily used by a worker and excellent in mobility.

또한 본 발명은 원하는 작업위치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공구의 하중을 보상하고 반발력을 흡수하여 완화시킴으로써 작업자의 피로와 근골격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근력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that can easily access a desired working position, to compensate for the load of the tool and to absorb and relieve the repulsive force to prevent fatigue and musculoskeletal injury of the operator.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거운 공구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위치로 이동시켜서 지지하는 근력보조장치로서, 상기 공구를 결합하는 공구장착부; 상기 공구장착부를 지지하며, 2개의 링크가 상대 회전운동 또는 상대 직선운동하도록 결합된 관절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골격부; 상기 관절부를 동작시키는 구동수단; 사용자의 동작의도를 인식하는 동작인식수단; 상기 동작인식수단의 감지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근력보조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scle assisting apparatus for supporting a user by mounting a heavy tool to move to a desired working position, comprising: a tool mounting unit for coupling the tool; A skeletal portion supporting the tool mounting portion, the skeletal portion including one or more joint portions coupled to the two links by relative rotational movement or relative linear movement; Drive means for operating the joint; Motion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the motion intention of the user; It provides a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including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drive means by us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motion recognition means.

또한 본 발명은, 무거운 공구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위치로 이동시켜서 지지하는 근력보조장치로서, 상기 공구를 결합하는 공구장착부; 상기 공구장착부를 지지하며, 2개의 링크가 상대 회전운동 또는 상대 직선운동하도록 결합된 관절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골격부; 사용자가 상기 관절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골격부에 설치된 조종수단을 포함하는 근력보조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a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for mounting a heavy tool to move to the user's desired work position, the tool mounting portion for coupling the tool; A skeletal portion supporting the tool mounting portion, the skeletal portion including one or more joint portions coupled to the two links by relative rotational movement or relative linear movement; Provided by the user to operate the joint portion, a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including a control means installed in the skeleton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근력보조장치는, 상기 공구를 작업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관절부에 설치된 잠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means provided in the joint to stop the tool in the working posi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근력보조장치는, 회전축으로 결합된 제1링크와 제2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사이에는 상기 공구 및 상기 골격부의 하중을 보상하는 하중보상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the load compensation means for compensating the load of the tool and the skeleton portion between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상기 하중보상수단은, 일단이 상기 제1링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링크에 고정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탄성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보상수단은, 일단이 상기 제1링크에 연결된 스프링; 일단은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링크에 고정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것으로서,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길이가 달라지도록 설치된 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load compensating means may be an elastic means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link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fixed to the second link. In addition, the load compensation means,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spring;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pring,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fixed to the second link; The wire is woun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ulley provided so that the length of the winding wire is different as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is rota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근력보조장치는, 상기 골격부를 승강시키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eight adjusting unit for elevating the skeleton portion.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골격부의 하단에 연결된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의 하중을 보상하는 하중보상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중보상수단은, 일단이 케이스에 고정된 탄성수단; 상기 탄성수단의 상부에 위치하는 풀리; 일단은 상기 탄성수단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풀리에 감겨서 방향전환한 후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축에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수단은 등하중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height adjusting portion includes a lifting shaf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keleton portion and a load compensation means for compensating the load of the lifting shaft, the load compensation means, one end is fixed to the case; A pulley positioned above the elastic means;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ans, and the other end is wound around the pulley to change direction and extends downward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ire connected to the lifting shaft, the elastic means is an equal load spring It may be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골격부의 하단에 연결된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의 하중을 보상하는 하중보상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중보상수단은, 풀리; 일단은 상기 승강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풀리에 감겨서 방향전환한 후 하방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상기 타단에 연결된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portion includes a lifting shaf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keletal portion and the load compensation means for compensating the load of the lifting shaft, the load compensation means, the pulley;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ifting shaft, and the other end is wound around the pulley to change direction and extends downwar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eigh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wi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근력보조장치는, 회전축으로 결합된 제1링크와 제2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사이에서 공구의 반발력이나 외력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the buffer means for absorbing the impact due to the repulsive force or external force of the tool between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날개부; 상기 제2링크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날개부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공간부; 일단이 상기 날개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공간부의 내벽 또는 상기 공간부의 내벽에 돌출형성된 돌출블록에 연결된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날개부; 상기 제2링크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날개부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공간부; 일측은 공간부의 내벽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축에 실링부재를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블록;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 채워진 유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uffer means, the wing portion formed on the rotating shaft; A space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link, the blade portion being inserted and rotating; One end may be connected to the w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may include an elastic means connected to an inner wall of the space portion or a protrusion block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space portion. In addition, the buffer means, the wing portion formed on the rotating shaft; A space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link, the blade portion being inserted and rotating; One side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space portion, the other side is at least one protruding block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through a sealing member;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uid filled in the interior of the space.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근력보조장치에 공구를 결합한 상태에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작업위치로 이동하여 작업할 수 있으므로 작업편의성이 높아져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키고 근골격계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can work by moving to a working position without a great force in a state in which the tool is coupled to the muscle assisting apparatus, the work convenience is increased, thereby reducing the fatigue of the worker and preventing the musculoskeletal injury.

또한 인체와 유사한 골격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자세를 쉽게 취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a skeleton structure similar to the human body it is easy to take the operator posture desired by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력보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력보조장치의 골격구조 사시도
도 3은 위치고정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위치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위치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스프링과 유체를 이용한 완충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브레이크의 설치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브레이크의 다른 설치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근력보조장치의 사시도
도 12는 하중보상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하중보상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수직방향 하중보상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수직방향 하중보상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6 및 도 17은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근력보조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anc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keletal structure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osition fixing part
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osition fixing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position fixing
6 is a view showing a buffer structure using a spring
7 is a view showing a buffer structure using a spring and a fluid
8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brakes;
9 shows the operation of the brake.
10 is a view showing another installation of the brak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scle strength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load compensation means;
1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oad compensation means;
1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vertical load compensation means;
1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ertical load compensation means;
16 and 17 are perspective views each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무거운 공구를 사용자의 의도대로 작업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작업 중에도 공구를 지지할 수 있는 근력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capable of moving a heavy tool to a working position as intended by a user and supporting the tool even during work.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력보조장치(100)는 도 1의 사용상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지골격에 대응하는 링크의 단부에 공구(10)를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공구(10)를 원하는 작업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use state diagram of FIG. It can be moved to the desired working position.

도 2는 상기 근력보조장치(100)의 골격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근력보조장치(100)는, 다수의 링크로 이루어져 인체와 유사한 관절구조를 가지는 골격부(110), 골격부(110)의 일 단부에 결합된 공구장착부(140), 골격부(110)의 하단에 결합된 위치고정부(160), 골격부(110)를 동작시키는 구동수단(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을 포함한다.2 illustrates a skeleton structure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100. Accordingly,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1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inks, the skeleton having a joint structure similar to the human body 110, the tool mounting portion 140, coupled to one end of the skeleton portion 110, skeleton portion 110 Position fixing portion 160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the drive means for operating the skeleton portion 110 (not shown).

골격부(110)는 사용자 상체의 전면 및/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메인프레임(118)과 메인프레임(118)에 연결된 다수의 링크를 포함한다.Skeletal portion 110 includes a mainframe 118 located on the front and / or side of the user's upper body and a plurality of links connected to the mainframe 118.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메인프레임(118)의 상단에는 제1관절부(121)를 통해 제1링크(111)의 일단이 연결되고, 제1링크(111)의 타단은 제2관절부(122)를 통해 제2링크(112)의 일단에 연결된다. 제2링크(112)의 타단에는 공구장착부(140)가 연결된다.Specifically, one end of the first link 111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frame 118 through the first joint part 121,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111 is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joint part 122. I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link 112.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112, the tool mounting portion 140 is connected.

또한 메인프레임(118)의 하단에는 제3관절부(123)를 통해 제3링크(113)의 일단이 연결되고, 제3링크(113)의 타단에는 제4관절부(124)를 통해 제4링크(114)의 일단이 연결된다. 제4링크(114)의 타단에는 제5관절부(125)를 통해 위치고정부(160)가 연결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third link 113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frame 118 through the third joint part 123,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link 113 is connected to the fourth link through the fourth joint part 124. One end of 114 is connected. The other end of the fourth link 114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fixing unit 160 through the fifth joint (125).

제1링크(111), 제2링크(112), 제1관절부(121), 제2관절부(122)는 인체의 상완골격, 전완골격, 어깨관절, 팔꿈치관절에 각각 대응된다. 또한 제3링크(113), 제4링크(114), 제3관절부(123), 제4관절부(124), 제5관절부(125)는 인체의 대퇴골격, 하퇴골격, 고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에 각각 대응된다.The first link 111, the second link 112, the first joint 121, and the second joint 122 correspond to the humerus, forearm, shoulder, and elbow joints of the human body,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third link 113, the fourth link 114, the third joint 123, the fourth joint 124, the fifth joint 125 is the femoral skeleton of the human body, the lower leg skeleton, hip joint, knee joint, ankle Corresponds to each joint.

각 관절부는 별도의 구동수단을 통해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수단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모터, 실린더 등의 액츄에이터에 감속기, 와이어, 기어 등을 연결하여 관절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연결된 2개의 링크가 상대 회전운동하지 않고 상대 직선운동을 하도록 관절부를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Each joint portion is preferably individually controlled through a separate driving mean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type of the driving means is not limited, and for example, the joint may be operated by connecting a reducer, a wire, a gear, or the like to an actuator such as a motor or a cylinder. In some cases, the joint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two connected links perform relative linear motion without relative rotation.

골격부(110)에는 사용자의 팔, 다리, 상체 등을 구속하는 구속기구가 장착될 수 있으며, 도 1은 이와 같이 구속기구가 장착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또한 골격부(110)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해당 링크를 작업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핸들이 장착될 수도 있다.Skeleton 110 may be mounted to the restraint mechanism for restraining the user's arm, leg, upper body, etc., Figure 1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restraint mechanism is mounted. In addition, the skeleton portion 110 may be equipped with a handle that allows the user to move the link to the work position by holding the hand.

그리고 전술한 골격구조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는 인체의 어깨관절과 고관절에 각각 대응하는 제1관절부(121)와 제3관절부(123)에 2자유도가 부여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와 달리 3자유도 이상이 부여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1자유도만이 부여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keleton structure is only an example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n FIG. 2, two degrees of freedom are shown to the first and second joint parts 121 and 123 corresponding to the shoulder and hip joints of the human body, respectively, but three degrees of freedom may be provided. In some cases, only one degree of freedom may be granted.

또한 작업의 종류에 따라서는 공구장착부(140)를 인체의 손목관절에 대응하는 관절부를 통해 제2링크(112)에 대해 1자유도 이상을 갖도록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인체의 발목관절에 대응하는 제5관절부(125)는 생략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the tool mounting unit 140 may be connected to have at least one degree of freedom with respect to the second link 112 through a joint corresponding to the wrist joint of the human body. In addition, the fifth joint 125 corresponding to the ankle joint of the human body may be omitted.

또한 하지골격에 대응하는 부분은 링크구조를 적용하지 않고 단순히 높이조절만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제2 실시예와 관련된 도 11과 유사한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관절부를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는 도 16과 유사한 구조를 갖게 된다.In additio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frame may be configured to simply adjust the height without applying the link structure. In this case, it has a structure similar to FIG. 11 associated with the second embodiment. In addition, the joint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rotate about a vertical axis, in which case it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FIG.

결국 골격부(110)에 포함된 관절부의 개수나 자유도는 작업의 특성, 공구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number or degrees of freedom of the joints included in the skeleton 110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the type of the tool, and the like.

공구장착부(140)는 드릴, 리벳해머, 네일건 등의 공구를 고정 또는 장착할 수 있는 장착수단을 구비한다. 장착수단은 공구를 삽입하는 장착홈의 형태일 수도 있고, 클램프 등의 고정장치일 수도 있고, 기타 여러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Tool mounting unit 14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means for fixing or mounting tools, such as a drill, rivet hammer, nail gun. The mounting means may be in the form of a mounting groove for inserting a tool, may be a fixing device such as a clamp, or various other means may be used.

공구장착부(140)는 각종 공구의 형상에 따라 다수 개를 제작하여 사용할 때마다 해당 공구에 맞는 공구장착부(14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tool mounting unit 140 may replace and use the tool mounting unit 140 suitable for the tool every time a plurality of tools are manufactured and used according to the shape of various tools.

또한 공구장착부(140)에는 장착된 공구(10)를 일정한 압력으로 눌러주는 가압수단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 모터 등을 사용하거나 스프링 등의 탄성수단을 사용하여 공구(10)를 눌러줌으로써 작업시에 공구(10)가 작업면에 대해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ol mounting portion 14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ressing means for pressing the mounted tool 10 at a constant pressure. For example, by pressing the tool 10 by using a cylinder, a motor or the like or by using an elastic means such as a spring, the tool 10 may maintain a constant pressure on the working surface at the time of work.

위치고정부(160)는 근력보조장치(100)를 지면에 대해 위치를 고정시키는 수단이다. 도 3은 위치고정부(16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4링크(114)의 하단에 제5관절부(125)를 통해 연결되고 상하로 형성된 관통부(161a)를 구비하는 베이스(161), 이동성을 위해 베이스(161)에 장착된 바퀴(163), 상기 관통부(161a)의 내부로 삽입된 디딤판(165), 디딤판(165)과 베이스(161)의 사이에 설치되어 디딤판(165)에 상방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167)을 포함한다.The position fixing unit 160 is a means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100 with respect to the ground. 3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he position fixing unit 160. A base 161 having a through part 161 a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fourth link 114 through a fifth joint part 125 and formed up and down. ), A wheel 163 mounted on the base 161 for mobility, a stepping plate 165 inserted into the through part 161a, and a stepping plate 165 installed between the stepping plate 165 and the base 161. It includes an elastic means 167 to provide an upward restoring force.

탄성수단(167)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딤판(165)의 상단에서 측면으로 형성된 돌출단(165a)과 베이스(161)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elastic means 167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protruding end 165a and the base 161 which are formed laterally from the top of the tread plate 165.

이렇게 설치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딤판(165)에 발을 올려 놓으면, 디딤판(165)이 하강하여 지면에 접하게 되므로 근력보조장치(100)가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이때 디딤판(165)의 저면에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의 접지부재(169)를 부착하면 접지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In this case, if the user puts his foot on the tread 165 as shown in FIG. 4, the tread 165 descends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thereby preventing the muscle assisting apparatus 100 from moving and fixing its position. At this time, by attaching the ground member 169 made of a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ead plate 165 may increase the grounding force.

작업 후 사용자가 디딤판(165)에서 발을 떼면 탄성수단(167)의 복원력에 의해 디딤판(165)이 상승하므로 바퀴(163)를 이용하여 근력보조장치(100)를 다른 작업위치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user releases the foot from the tread 165 after the work, the tread 165 rises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ans 167, so that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100 can be conveniently moved to another work position using the wheel 163. Can be.

도 5는 베이스(161)와 디딤판(165)의 사이에 설치된 다른 유형의 탄성수단(167')을 나타낸 것으로서, 탄성수단(167')의 일단은 베이스(16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디딤판(16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5 shows another type of elastic means 167 'installed between the base 161 and the tread 165, one end of the elastic means 167'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161 and the other end thereof. 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tread 165.

이때 탄성수단(167')의 일단이 베이스(161)에 연결되는 높이는, 디딤판(165)에서 탄성수단(167')의 타단이 연결되는 지점의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 위치해야 한다. 이렇게 설치하면 탄성수단(167')은 디딤판(165)이 승강하는 도중에 최대 압축구간을 지나게 되므로, 디딤판(165)이 상사점에 있을 때는 탄성수단(167')이 디딤판(165)을 상방으로 밀게 되고, 디딤판(165)이 지면에 접촉하면 탄성수단(167')이 디딤판(165)을 하방으로 밀게 되므로 접지력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the height of one end of the elastic means 167 'is connected to the base 161, should be located between the top dead center and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point where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ans (167') in the tread 165. When installed in this way, the elastic means 167 'passes the maximum compression section while the tread 165 moves up and down, so that the elastic means 167' pushes the tread 165 upward when the tread 165 is at the top dead center. When the tread 165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elastic means 167 ′ pushes the tread 165 downward, thereby increasing the traction force.

그리고 디딤판(165)이 안정적으로 승강하기 위해서는 베이스(161)에 수직가이드(164)를 설치하고, 수직가이드(164)를 디딤판(165)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for the tread 165 to move up and down stably,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vertical guide 164 on the base 161, and couple the vertical guide 164 to the tread 165.

이러한 탄성수단(167')은 도 4의 탄성수단(167)과 함께 사용할 수도 있고, 독자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The elastic means 167 ′ may be used together with the elastic means 167 of FIG. 4, or may be used independently.

위치고정부(160)에 반드시 탄성수단(167,167')을 설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바퀴(163)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킨 채 베이스(161)를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지지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지발을 승강시키는 실린더를 이용하여 바퀴(163)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베이스(161)를 상승시킬 수도 있다.Since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the elastic means 167 and 167 'in the position fixing part 160, a separate support mechanism may be used to support the base 161 while the wheel 163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For example, the base 161 may be raised so that the wheel 163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using a cylinder for elevating the supporting feet.

한편 공구 사용시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근력보조장치(100)의 골격구조와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완충수단이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otect the skeletal structure and the user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100 from the impact generated during the use of the tool, appropriate cushioning means are required.

일 예로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18)과 제1링크(111), 또는 메인프레임(118)과 제2링크(112)의 사이에 완충기(15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링크(111)와 제2링크(112)의 사이에 완충기(15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다만, 완충기(150)로 인해 링크(111,112)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아야 하므로, 링크(111,112)의 동작범위를 고려하여 완충기(150)의 설치위치와 종류가 적절히 선택되어야 할 것이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2, a shock absorber 15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main frame 118 and the first link 111, or between the main frame 118 and the second link 112. Alternatively, the shock absorber 15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link 111 and the second link 112. However, since the movement of the links 111 and 112 should not be limited due to the shock absorber 150,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ype of the shock absorber 150 should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on range of the links 111 and 112.

다른 예로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식으로 완충수단을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임의의 제1링크(111)와 제2링크(112)가 회전축(115)으로 연결되고 회전축(115)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제1링크(111)에 대해 고정된다고 하면, 회전축(115)과 제2링크(112)를 스프링(157)으로 연결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ushioning means may be implemented in the manner as shown in FIG. 6. That is, if any of the first link 111 and the second link 112 is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115 and the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rotary shaft 115 is fixed relative to the first link 111, the rotary shaft 115 ) And the second link 112 may be connected to the spring 157.

구체적으로는 회전축(115)에 날개부(116)를 결합하고, 제2링크(112)에 상기 날개부(116)가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는 공간부(112a)를 형성한다. 이때 날개부(116)는 회전축(115)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하고, 공간부(112a)의 내벽에는 날개부(116)와 평행하거나 최소한의 각도로 대향하는 측면을 갖는 돌출블록(15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the wing portion 116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115, and the wing portion 116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ink 112 to form a space portion 112a capable of rotating. At this time, the wing portion 116 is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115, the inner wall of the space portion 112a has a protruding block 155 having a side surface parallel to the wing portion 116 or opposed at a minimum angle. It is preferable to form.

이 상태에서 돌출블록(155)과 날개부(116)의 사이마다 스프링(157)을 설치하면, 제1링크(111)에 대해 고정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축(115)이 회전할 때 날개부(116)가 함께 회전하면서 회전방향 선단에 위치하는 스프링(157)에 의해 돌출블록(155)이 밀리면서 제2링크(112)가 회전하게 된다.In this state, if the spring 157 is installed between the protruding block 155 and the wing 116, the wing portion (when the rotating shaft 115 is rotated by the driving means fixed to the first link 111) As the 116 rotates together, the second link 112 rotates as the protruding block 155 is pushed by the spring 157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rotation direction.

반대로 회전축(115)이 정지한 상태에서 제2링크(112)에 충격이 가해지면 스프링(157)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는 효과가 있다.On the contrary,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second link 112 while the rotating shaft 115 is stopped, the shock is absorbed by the spring 157.

이때의 스프링(157)은 탄성계수가 매우 크고 변위가 매우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변형이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회전축(115)의 회전력이 즉시 제2링크(112)로 전달될 수 있고, 회전축(115)이 멈추면 제2링크(112)가 즉시 멈추게 되어 위치결정이 용이하게 된다. 구체적인 탄성계수는 공구의 종류, 장치의 골격구조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야 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spring 157 is preferably a very large elastic modulus and very small displacement. In this case, since deformation hardly occurs in a normal stat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shaft 115 may be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second link 112. When the rotating shaft 115 stops, the second link 112 stops immediately, and positioning is performed. It becomes easy. The specific modulus of elasticity should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ool, skeletal structure of the apparatus, and the like.

또한 코일 형태의 스프링(157)을 대신하여 회전축(115)과 공간부(112a)의 내벽을 연결하는 태엽스프링, 토션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스프링(157)을 대신하여 탄성을 갖는 다른 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spring, a torsion spring, or the like, which connects the rotating shaft 115 and the inner wall of the space 112a may be used instead of the coil-shaped spring 157. In addition, other members having elasticity may be used instead of the spring 157.

돌출블록(155)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55)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Protruding block 155 is preferably arranged symmetrically about the rotation axis 155 as shown,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스프링(157)을 완충수단으로 사용하면 충격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압축된 스프링(157)이 소정 시간 동안 진동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157)이 설치된 공간부(112a)에 공기, 오일 등의 유체(159)를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간부(112a)에 채워진 유체는 스프링(157)의 진동을 운동에너지로 흡수하면서 외부 충격을 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pring 157 is used as a cushioning mean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mpressed spring 157 vibrates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process of absorbing shock.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s shown in FIG. 7, it is preferable to fill a fluid 159 such as air or oil in the space portion 112a in which the spring 157 is installed. The fluid filled in the space 112a serves to attenuate external shock while absorbing vibration of the spring 157 as kinetic energy.

다만, 유체(159)를 완충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공간부(112a)에서 유체(159)가 충진되는 범위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돌출블록(155)의 일측은 공간부(112a)의 내벽에 고정하고 타측은 회전축(115)에 접하도록 하고, 유체(159)가 채워진 공간에 날개부(116)를 위치시켜야 한다. 이때, 회전축(115)과 돌출블록(155)은 서로 고정되어서는 안되므로 실링부재를 사용하여 회전축(115)에 대해 돌출블록(155)을 회동가능하도록 접촉시켜야 한다. However, in order to use the fluid 159 as a buffer means,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range in which the fluid 159 is filled in the space portion 112a. To this end, one side of the protruding block 155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space portion 112a and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rotation shaft 115, and the wing portion 116 should be positioned in the space filled with the fluid 159. At this time, the rotating shaft 115 and the protruding block 155 should not be fixed to each other, so that the protruding block 155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115 using the sealing member.

날개부(116)의 단부는 공간부(112a)의 내벽과 이격되며, 그 간극을 통해 유체(159)가 이동하면서 완충효과를 얻게 된다.An end of the wing 116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space 112a, and the fluid 159 moves through the gap to obtain a buffer effect.

따라서 회전축(115)이 정지된 상태에서, 작업중의 충격이나 외력이 가해져 제2링크(112)가 도 7의 화살표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받게 되면, 스프링(157)이 압축되면서 충격이 감쇄되는 한편, 스프링(157)의 진동은 유체(159)의 운동에너지로 흡수되면서 안정된 완충효과를 얻게 된다.Therefore, when the rotating shaft 115 is stopped, when the impact or external force is applied during the operation and the second link 112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in the arrow direction (clockwise) of FIG. 7, the shock is reduced while the spring 157 is compressed. On the other hand, the vibration of the spring 157 is absorbed by the kinetic energy of the fluid 159 to obtain a stable buffering effect.

위에서는 하나의 공간부(112a)에 스프링(157)을 설치하고 유체(159)를 충진하였으나, 이와 달리 스프링(157)과 유체(159)를 이용한 완충구조를 서로 분리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링크(112)에 스프링(157)이 설치되는 공간부와 유체가 채워지는 공간부를 구분하여 형성하고, 제1 공간부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157)을 설치하고, 제2 공간부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체(159)를 충진하되 스프링을 생략할 수도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spring 157 is installed in one space 112a and the fluid 159 is filled in the above, the buffer structure using the spring 157 and the fluid 159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second link 112 is formed by dividing the space portion in which the spring 157 is installed and the space portion in which the fluid is filled, and installing the spring 157 in the first space portion as shown in FIG. 6, As shown in FIG. 7, the second space may be filled with the fluid 159, but the spring may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력보조장치(100)는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관절부를 동작시키므로 별도의 잠금수단이 없어도 공구(10)를 작업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구동수단의 부하를 줄이고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서는 관절부에 잠금수단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joint part by using a driving means, so that the tool 10 may be fixed to the working position without a separate locking means. However, in order to reduce the load of the driving means and to operate stably, it is more preferable to additionally install the locking means in the joint part.

잠금수단은 윈치, 호이스트 등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공압, 유압 또는 전동 브레이크일 수도 있고, 관절부에 삽입하여 회전을 방지하는 멈춤핀일 수도 있다.The locking means may be a conventional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brake used in a winch, hoist, or the like, or may be a stop pin inserted into a joint to prevent rotation.

도 8은 제1링크(111)와 제2링크(112)를 연결하는 관절부에 브레이크(190)가 설치된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브레이크(190)는 그 일측이 제2링크(112)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링크(11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설치한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190)에 구비된 마찰패드(도 9의 191)가 제1링크(111)에 구비된 드럼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한다.FIG. 8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brake 190 is installed at a joint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link 111 and the second link 112. The brake 190 has one side fixed to the second link 112. It is installed to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link 111 in the state. For example, the friction pad (191 of FIG. 9) provided in the brake 190 is installed to selectively contact the drum provided in the first link 111.

따라서 제1링크(111)에 대해 제2링크(112)를 회전시킬 때는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이크(190)의 마찰패드(191)를 제1링크(111)의 드럼으부터 분리시키고, 제2링크(112)를 고정시키려면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이크(190)의 마찰패드(191)를 제1링크(111)의 드럼에 접촉시키면 된다.Accordingly, when the second link 112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link 111, the friction pad 191 of the brake 190 is separated from the drum of the first link 111 as shown in FIG. 9 (a). In order to fix the second link 112, the friction pad 191 of the brake 190 may be in contact with the drum of the first link 111 as shown in FIG. 9B.

브레이크(190)의 위치가 제1링크(111)와 제2링크(112)의 사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링크(112)의 일측에서 회전축(115) 또는 회전축(115)에 결합된 드럼에 마찰패드(191)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Since the position of the brake 190 is not limited between the first link 111 and the second link 112, as shown in FIG. 10, the rotating shaft 115 or the rotating shaft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econd link 112. The friction pad 191 may be installed to selectively contact the drum coupled to the 115.

한편 브레이크(190)에 반드시 마찰패드(191)가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맞물림 기어 등의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Meanwhile, since the friction pad 191 is not necessarily used for the brake 190, other means such as an engagement gear may be used.

도 9 및 도 10은 관절부에 도 6과 같은 완충구조가 적용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따라서 브레이크(190)를 통해 제2링크(112)의 회전이 방지된 상태에서는 공구(10) 또는 기타 외력에 의한 충격이 관절부의 스프링(157)을 통해 흡수될 수 있다. 9 and 10 show a case in which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as shown in FIG. 6 is applied to the joint part, and thus, when the rotation of the second link 112 is prevented through the brake 190, the tool 10 or other external force is used. The impact may be absorbed through the spring 157 of the joint.

상기 공간부(112a)에 스프링(157)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유체가 채워질 수도 있고, 스프링(157)이 설치되는 공간부와 유체가 채워지는 공간부를 구분하여 설치할 수도 있음을 전술한 바와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space part 112a may be filled with a fluid for absorbing the vibration of the spring 157, and the space part in which the spring 157 is installed may be separately installed in the space part in which the fluid is filled.

또한 스프링(157)을 통해 제2링크(112)에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고, 제1링크(111)에 장착된 구동수단의 회전축(115)을 제2링크(112)에 직접 연결한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159)를 이용하여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2링크(112)에 공간부(112a)를 형성하고, 공간부(112a)의 내벽에 형성된 돌출블록(155)의 단부를 실링부재를 개재하여 회전축(115)에 회전가능하게 접촉시키고, 공간부(112a)의 내부에 유체(159)를 충진시키고, 단부가 공간부(112a)의 내벽과 이격되도록 날개부(116)를 회전축(115)에 결합시키면 된다.In addition, even when the rotary shaft 115 of the driving means mounted on the first link 11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112 without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second link 112 through the spring 157. As described above, a buffer effect can be obtained using the fluid 159. Also in this case, the space 112a is formed in the second link 112, and the end of the protruding block 155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space 112a is rotatably contacted with the rotation shaft 115 via the sealing member. In this case, the fluid 159 may be filled in the space 112a, and the wing 116 may be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115 so that an end portion thereof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space 112a.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른 근력보조장치(100)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공구(10)를 작업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동작의도를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구동수단을 제어해야 한다.In the meantime, in order to move the tool 10 to the work posi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in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ntention of the user and to control the driving means based thereon.

사용자의 동작의도는 사용자의 근전도신호를 측정하여 근육의 움직임을 추정하거나, 근육경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근육의 움직임을 추정함으로써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팔을 구속하는 구속기구와 근력보조장치(100)의 골격 사이에 힘토크 센서를 설치하여 힘토크센서의 출력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의도를 추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1관절부(121), 제2관절부(122) 등에 토크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토크변화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동작의도를 추정할 수도 있다.The intention of the user can be recognized by measuring the EMG signal of the user and estimating the movement of the muscle or by estimating the movement of the muscle by measuring the change in muscle hardness. In addition, by installing a force torque sensor between the restraint mechanism for restraining the user's arm and the skeleton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100 may use the output value of the force torque sensor to estimate the user's operation intention. In addition, by installing a torque sensor in the first joint portion 121, the second joint portion 122,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the torque change caused by the user's movement to estimate the user's intention.

제2 Second 실시예Example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골격부(110)의 각 관절부를 구동수단을 사용하여 동작시키는데, 이에 따르면 로봇제어기술의 적용으로 인해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부담이 있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operates each joint portion of the skeletal portion 110 by using a driving means, and accordingly,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robot control technology.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높이조절수단과 하중보상수단 등을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사용자가 공구(10)를 작업위치에 용이하게 접근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tool 10 to the working position by appropriately utilizing the height adjusting means and the load compensation means without using the driving means. It is designed.

이와 같이 각 관절부에 별도의 구동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하중보상수단 등만을 적용하면 사용자의 동작의도를 인식하는 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하중보상이 가능한 동작 범위 내에서는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such, if a load compensating means is applied without using a separate driving means for each joint part, a device for recognizing a user's intention is not required, and a user can use the apparatus with little force within a range of load compensable ope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근력보조장치(100')를 예시한 것으로서, 다수의 링크로 이루어져 인체의 상지골격과 유사한 관절구조를 가지는 골격부(110), 골격부(110)의 일 단부에 결합된 공구장착부(140), 골격부(110)의 하단에 결합된 높이조절부(130), 높이조절부(130)의 하단에 결합된 위치고정부(160)를 포함한다.FIG. 11 illustrates a muscle strength assisting apparatus 100 ′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inks and has a joint structure similar to the upper limb skeleton of the human body, and a skeletal portion 110. Tool mounting portion 140 coupled to one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13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keleton portion 110, the position fixing portion 16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130.

골격부(110)는 사용자 상반신의 전면 및/또는 측면에 위치하게 되는 메인프레임(118), 제1관절부(121)를 통해 메인프레임(118)의 상단에 그 일단이 연결된 제1링크(111), 일단이 제2관절부(122)를 통해 제1링크(111)의 타단에 연결된 제2링크(112)를 포함한다. 제2링크(112)의 타단에는 공구장착부(140)가 연결된다. Skeleton 110 is the main link 118, which is located on the front and / or side of the upper body of the user, the first link 11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ain frame 118 through the first joint portion 121 One end includes a second link 112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111 through the second joint part 122.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112, the tool mounting portion 140 is connected.

이 경우에도 골격부(110)에 사용자의 팔이나 상체 등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이 장착될 수 있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작업위치로 해당 링크를 이동시킬 수 있는 핸들이 장착될 수도 있다.Even in this case, the restraining means for restraining the user's arm or upper body may be mounted on the skeleton part 110, and a handle may be mounted to hold the user's hand and move the link to the working position.

제2 실시예에서도 골격부(110)에 포함된 관절부의 개수나 자유도는 작업의 특성, 공구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so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number or degrees of freedom of the joints included in the skeleton 110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the type of the tool, and the like.

또한 메인프레임(118)의 하단에는 높이조절부(130)의 승강축(131)이 연결된다. 승강축(131)과 메인프레임(118)은 수직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ifting shaft 131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frame 118. The lifting shaft 131 and the main frame 118 may be connected to be rotatable about the vertical axis.

공구장착부(140), 완충기(150) 및 위치고정부(16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tool mounting unit 140, the shock absorber 150, and the position fixing unit 160 are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른 근력보조장치(100')는 별도의 구동수단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각 관절부에는 작업위치에 도달한 후에 자세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절부에도 완충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Meanwhile, since the muscle assisting apparatus 100 ′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oes not use a separate driving means, it is preferable to install locking means for fixing posture after reaching the working position in each joint part. In addition, the buffer structure can be applied to the joint.

이러한 잠금수단과 완충구조의 종류 및 구조는 도6 내지 도 10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ypes and structures of the locking means and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근력보조장치(100')에서는 구동수단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공구(10)를 작업위치에 접근시킬 수 있어야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muscle assisting apparatus 100 ′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oes not use the driving means, the user should be able to approach the tool 10 to the working position without applying a large force.

이를 위해서는 도 12에 예시한 바와 같이 태엽스프링(170)을 하중보상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제1링크(111)와 제2링크(112)를 연결하는 회전축(112a)에 태엽스프링(170)을 장착하면, 공구(10)의 하중으로 인해 제2링크(112)가 제1링크(111)에 대해 소정 각도 회전하다가 태엽스프링(170)의 복원력과 회전력이 평형상태를 이루는 지점에서 제2링크(112)가 멈추게 된다. 따라서 이 위치에서는 작업자가 공구(10)를 들기 위하여 힘을 가할 필요가 없어진다. 태엽스프링(170)을 대신하여 토션스프링이 사용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spring spring 170 may be used as a load compensation means, as illustrated in FIG. 12. That is, when the spring spring 170 is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112a connecting the first link 111 and the second link 112, the second link 112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due to the load of the tool 10. While rotating the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111, the second link 112 is stopped at the point where the restoring force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pring spring 170 are in equilibrium. In this position, therefore, the operator does not need to exert a force to lift the tool 10. Torsion springs may be used in place of the springs 170.

다른 방법으로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링크(111)에 스프링(171)의 일단을 고정하고, 스프링(171)의 타단에는 와이어(172)의 일단을 연결한다. 상기 와이어(172)은 제1링크(111)와 제2링크(112)를 연결하는 관절부에 설치된 풀리(174)에 감긴 후에 그 타단이 제2링크(112)에 고정된다. As another method, as shown in FIG. 13, one end of the spring 171 is fixed to the first link 111, and one end of the wire 172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pring 171. The wire 172 is wound around the pulley 174 installed in the joint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link 111 and the second link 112,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econd link (112).

이렇게 설치하면, 공구(10)의 하중으로 인해 제2링크(112)가 제1링크(111)에 대해 소정 각도 회전하다가 스프링(171)의 복원력과 회전력이 평형상태를 이루는 지점에서 제2링크(112)가 멈추게 된다. 따라서 이 위치에서는 작업자가 공구(10)를 들기 위하여 힘을 가할 필요가 없어진다.In this case, the second link 112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link 111 due to the load of the tool 10, and then the second link (at the point where the restoring force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pring 171 form an equilibrium state). 112 stops. In this position, therefore, the operator does not need to exert a force to lift the tool 10.

여기서 풀리(174)가 관절부의 회전축과 반드시 동축상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제1, 제2링크(111,112)가 회전하면 풀리(174)에 감기는 와이어(172)의 길이가 달라짐으로써 스프링(171)의 변위가 발생할 수 있어야 하므로, 풀리(174)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설치되어야 한다.Here, the pulley 174 is not necessarily installed coaxial with the rotation axis of the joint portion. However, when the first and second links 111 and 112 rotate, the length of the wire 172 wound on the pulley 174 is changed, so that the displacement of the spring 171 may occur. Should be installed.

또한 스프링(171)의 위치가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와이어의 중간 어디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spring 171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and may be installed anywhere in the middle of the wire.

이러한 태엽스프링(170)이나 스프링(171)의 탄성계수는 장치의 골격구조, 공구의 하중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되어야 한다.The elastic modulus of the spring spring 170 or the spring 171 should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keletal structure of the device, the load of the tool, and the like.

한편 인체의 상지골격에 해당하는 골격부(110)의 동작만으로 공구(10)를 작업높이에 신속히 도달시키지 못하는 경우에는 높이조절부(130)를 사용하여 골격부(110)의 전체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f only the operation of the skeleton portion 110 corresponding to the upper limb skeleton of the human body does not reach the work height quickly, using the height adjustment unit 130 to adjust the overall height of the skeleton portion 110 It is preferable.

높이조절부(130)의 승강축(131)은 공압/유압 실린더, 모터 등의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승강될 수 있다. The lifting shaft 131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130 may be elevated using an actuator such as a pneumatic / hydraulic cylinder and a motor.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같이 구동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높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without using the driving means a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위에 상관없이 일정한 복원력을 발휘하는 등하중스프링(Constant-Force Spring)(180)을 이용하면 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4, a constant-force spring 180 that exhibits a constant restoring force may be used.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승강축(131)을 수직방향의 리니어가이드(175)에 결합하고, 리니어가이드(175)의 측방에 등하중스프링(180)을 설치한다. 또한 등하중스프링(180)의 일단은 높이조절부(130)의 케이스 저면에 고정시키고, 타단에는 와이어(172)의 일단을 연결한다. 또한 와이어(172)를 등하중 스프링(180)의 상부에 위치하는 풀리(174)에 감아서 하방으로 방향 전환한 후 그 타단을 승강축(131) 또는 승강축(131)에 결합된 가이드블록에 고정시킨다.Specifically, the lifting shaft 131 is coupled to the linear guide 175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equal load spring 18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linear guide 175. In addition, one end of the equal load spring 180 is fixed to the case bottom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13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re 172. In addition, the wire 172 is wound around the pulley 174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equal load spring 180 to be turned downward,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lifting shaft 131 or the guide block coupled to the lifting shaft 131. Fix it.

등하중스프링(180)의 복원력이 승강축(131)이 누르는 하중과 같으면 승강축(131)은 힘의 평형으로 인해 더 이상 움직이지 않으며, 설령 사용자가 승강축(131)을 올리거나 내리더라도 그 위치에서 힘의 평형이 계속 유지되기 때문에 승강축(131)은 올려지거나 내려진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If the restoring force of the equal load spring 180 is equal to the load that the lifting shaft 131 presses, the lifting shaft 131 does not move anymore due to the balance of force, even if the user raises or lowers the lifting shaft 131. The lifting shaft 131 stops at the raised or lowered position because the force balance is maintained at the position.

이러한 원리로 인해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승강축(131)을 올리거나 내릴 수 있으므로 공구(10)의 작업위치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Due to this principle, the user can raise or lower the lifting shaft 131 without applying great force, thereby making it easier to access the working position of the tool 10.

이러한 등하중스프링(180)을 대신하여 승강축(131)이 누르는 하중과 동일한 무게의 추를 사용하여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by using a weight equal to the load that the lifting shaft 131 presses in place of the equal load spring 180.

한편 여기서는 등하중스프링(180)이 승강축(131)의 높이조절에 이용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원리는 상대 직선운동하는 2개의 링크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ase in which the equal load spring 180 is us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elevating shaft 131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is principle may be applied to two links having relative linear motion.

도 15는 도 14의 등하중스프링(180)을 통상적인 코일 형태의 스프링(170)으로 대체한 높이조절부(130)를 나타낸 것이다. FIG. 15 shows the height adjustment unit 130 in which the equal load spring 180 of FIG. 14 is replaced with a spring 170 in the form of a conventional coil.

이 경우에는 스프링(170)의 복원력이 승강축(131)이 누르는 하중과 평형인 지점에서 승강축(131)이 정지하므로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승강축(131)을 위로 올릴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승강축(131)을 올리더라도 힘평형지점으로 다시 복귀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브레이크, 멈춤핀 등의 잠금수단을 사용하여 승강축(131)의 높이를 고정시켜야 한다.In this case, since the lifting shaft 131 stops at the point where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70 is in balance with the load pressed by the lifting shaft 131, the user may raise the lifting shaft 131 with a relatively small force. However, even if the user raises the lifting shaft 131, it returns to the force balance point again, so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height of the lifting shaft 131 must be fixed by using a locking means such as a brake and a stop pin.

이와 같은 도 12 내지 도 15의 하중보상수단은 관절부 구동수단을 사용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근력보조장치(1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하중보상수단을 적용하면 적은 출력의 구동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소모전력이 적어 이동성이 강화되고, 장치의 설계자유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12 to 15 may be applied to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using the joint driving means. When the load compensation means is applied, the drive means of low output can be used, so the power consumption is low, the mobility is enhanced, and the design freedom of the device can be increased.

도 11에서는 근력보조장치(100')의 골격부(110)가 인체의 상지골격과 유사한 링크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그러나 골격부(110)를 구성하는 링크의 개수, 자유도, 결합구조 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FIG. 11, the skeletal portion 110 of the muscle assisting device 100 ′ has a link structure similar to the upper limb skeleton of the human body. However, the number, degrees of freedom, coupling structure, etc. of the links constituting the framework 110 are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도 16의 근력보조장치(10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링크(111)의 일단을 수직축의 제1관절부(121)를 통해 승강축(131)의 상단에 연결하고, 제1링크(111)의 타단을 수직축의 제2관절부(122)를 통해 제2링크(112)에 연결할 수도 있다. 즉, 링크가 수평방향의 회전운동만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공구장착부(140)는 제2링크(112)에 고정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100 ″ of FIG. 16, one end of the first link 111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shaft 131 through the first joint 121 of the vertical axis, and the first link The other end of the 11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112 through the second joint 122 of the vertical axis, that is, the link may be configured to only ro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May be fixed to or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link 112.

또한 이 경우에도 공구(10)를 작업위치에 접근시킨 후에는 잠금수단을 이용하여 각 관절부(121,122)의 동작을 차단한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할 것이다. Also in this case, after approaching the tool 10 to the working position, the work should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joint parts 121 and 122 is blocked using the locking means.

또한 제1링크(111)와 제2링크(112)가 상대 회전운동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 직선운동하도록 연결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제2링크(112)를 이동시킨 후에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잠금수단이 설치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공구장착부(140)는 제2링크(112)에 고정될 수도 있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ink 111 and the second link 112 may be connected so that the relative linear movement, not relative rotation. In this case, the lock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position after moving the second link 112 should be installed. Similarly, the tool mounting part 140 may be fixed to the second link 112 or may be rotatably coupled.

또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2 이상의 골격부(110a, 110b)가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하여, 2인 이상이 동시에 작업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7, two or more skeleton portions 110a and 110b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dependently, so that two or more skeletons work simultaneously.

또한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는 근력보조장치의 골격부(110)가 사용자의 한쪽 팔 및/또는 한쪽 팔다리에만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양쪽 팔 또는 양쪽 다리에 대응하는 구조로 제작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have shown that the skeleton portion 110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has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only one arm and / or one limb of the user, It can also be manufactured in a corresponding structur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여러 변형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욱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modified or modified in various ways. However, if the modified or modified embodiment also includes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공구 100: 근력보조장치
111, 112, 113, 114: 제1, 제2, 제3, 제4 링크
112a: 공간부 115: 회전축
116: 날개부 118: 메인프레임
121, 122, 123, 124, 125: 제1, 제2, 제3, 제4, 제5 관절부
130: 높이조절부 131: 승강축
140: 공구장착부 150: 완충기
155: 돌출블록 157: 스프링
159: 유체 160: 위치고정부
161: 베이스 163: 바퀴
165: 디딤판 167, 171: 스프링
169: 접지부재 170: 태엽스프링
172: 와이어 174: 풀리
175: 리니어가이드 180: 등하중스프링
10: tool 100: muscle aid
111, 112, 113, 114: first, second, third, fourth link
112a: space 115: rotation axis
116: wing 118: mainframe
121, 122, 123, 124, 125: first, second, third, fourth, fifth joint portion
130: height adjustment unit 131: lifting shaft
140: tool mounting portion 150: shock absorber
155: protruding block 157: spring
159: fluid 160: position fixing
161: base 163: wheels
165: tread 167, 171: spring
169: ground member 170: spring spring
172: wire 174: pulley
175: linear guide 180: constant load spring

Claims (16)

무거운 공구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위치로 이동시켜서 지지하는 근력보조장치로서,
상기 공구를 결합하는 공구장착부;
상기 공구장착부를 지지하며, 2개의 링크가 상대 회전운동 또는 상대 직선운동하도록 결합된 관절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골격부;
상기 관절부를 동작시키는 구동수단;
사용자의 동작의도를 인식하는 동작인식수단;
상기 동작인식수단의 감지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근력보조장치
It is a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that supports by moving heavy tool to user's desired working position.
A tool mounting portion for coupling the tool;
A skeletal portion supporting the tool mounting portion, the skeletal portion including one or more joint portions coupled to the two links by relative rotational movement or relative linear movement;
Drive means for operating the joint;
Motion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the motion intention of the user;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eans us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motion recognition means
Muscle aids, including
무거운 공구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위치로 이동시켜서 지지하는 근력보조장치로서,
상기 공구를 결합하는 공구장착부;
상기 공구장착부를 지지하며, 2개의 링크가 상대 회전운동 또는 상대 직선운동하도록 결합된 관절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골격부;
사용자가 상기 관절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골격부에 설치된 조종수단
을 포함하는 근력보조장치
It is a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that supports by moving heavy tool to user's desired working position.
A tool mounting portion for coupling the tool;
A skeletal portion supporting the tool mounting portion, the skeletal portion including one or more joint portions coupled to the two links by relative rotational movement or relative linear movement;
Control means provided for the user to operate the joint portion, the skeleton portion
Muscle aids, including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를 작업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관절부에 설치된 잠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보조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locking means installed on the joint to stop the tool in the working posi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회전축으로 결합된 제1링크와 제2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사이에는 상기 공구 및 상기 골격부의 하중을 보상하는 하중보상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보조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t comprises a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A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the load compensation means for compensating the load of the tool and the skeleton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보상수단은,
일단이 상기 제1링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링크에 고정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탄성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보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oad compensation means,
One end is coupled to the first link, the other end is a muscle strength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ean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fixed to the second lin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보상수단은,
일단이 상기 제1링크에 연결된 스프링;
일단은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링크에 고정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것으로서,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길이가 달라지도록 설치된 풀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보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oad compensation means,
A spring connected at one end to the first link;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pring,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fixed to the second link;
As the wire is wound, the pulley is installed so that the length of the wire is changed as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is rotated.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comprising 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부를 승강시키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보조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Muscle assis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height adjustment unit for elevating the skeleton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골격부의 하단에 연결된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의 하중을 보상하는 하중보상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중보상수단은,
일단이 케이스에 고정된 탄성수단;
상기 탄성수단의 상부에 위치하는 풀리;
일단은 상기 탄성수단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풀리에 감겨서 방향전환한 후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축에 연결된 와이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보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includes a lifting shaf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keleton portion and a load compensation means for compensating the load of the lifting shaft, the load compensation means,
Elastic means,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case;
A pulley positioned above the elastic means;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ans, the other end is wound around the pulley to change the direction and extends downward to the wire connected to the lifting shaft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등하중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보조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elastic means is a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qual load spr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골격부의 하단에 연결된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의 하중을 보상하는 하중보상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중보상수단은,
풀리;
일단은 상기 승강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풀리에 감겨서 방향전환한 후 하방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상기 타단에 연결된 무게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보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includes a lifting shaf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keleton portion and a load compensation means for compensating the load of the lifting shaft, the load compensation means,
Pulleys;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ifting shaft, and the other end is wound around the pulley to change direction and extends downward;
Weigh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wire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comprising 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회전축으로 결합된 제1링크와 제2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사이에서 공구의 반발력이나 외력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보조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t comprises a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Muscle assis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buffer means for absorbing the impact due to the repulsive force or external force of the tool between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날개부;
상기 제2링크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날개부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공간부;
일단이 상기 날개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공간부의 내벽 또는 상기 공간부의 내벽에 돌출형성된 돌출블록에 연결된 탄성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보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buffer means,
A wing portion formed on the rotation shaft;
A space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link, the blade portion being inserted and rotating;
One end is connected to the wing portion, the other end is elastic means connected to the protruding block protruding on the inner wall of the space portion or the inner wall of the space portion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날개부;
상기 제2링크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날개부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공간부;
일측은 공간부의 내벽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축에 실링부재를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블록;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 채워진 유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보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buffer means,
A wing portion formed on the rotation shaft;
A space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link, the blade portion being inserted and rotating;
One side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space portion, the other side is at least one protruding block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through a sealing member;
Fluid filled in the space part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comprising a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부의 지면에 대한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comprising a position fixing for fixing the position relative to the ground of the skeleton por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골격부에 연결된 것으로서, 상하방향의 관통부를 구비하고, 바퀴가 장착된 베이스;
상기 관통부의 내부에서 승강하도록 설치된 디딤판;
상기 디딤판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수단
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디딤판에 발을 올려 놓으면 상기 디딤판이 지면에 닿음으로써 상기 골격부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보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osition fixing portion,
A base connected to the frame part and having a vertically penetrating portion therein and having wheels mounted thereon;
A stepping plate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inside the through part;
Elastic means provided between the tread plate and the base
And, if the user puts the foot on the treadmill muscle strength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of the skeleton portion is fixed by touching the treadboard to the groun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부에는 사용자의 신체를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보조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training means is installed to restrain the user's body
KR1020120052567A 2012-05-17 2012-05-17 Human power assistant apparatus supporting tool handling KR1013821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567A KR101382149B1 (en) 2012-05-17 2012-05-17 Human power assistant apparatus supporting tool hand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567A KR101382149B1 (en) 2012-05-17 2012-05-17 Human power assistant apparatus supporting tool handl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672A true KR20130128672A (en) 2013-11-27
KR101382149B1 KR101382149B1 (en) 2014-04-09

Family

ID=49855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567A KR101382149B1 (en) 2012-05-17 2012-05-17 Human power assistant apparatus supporting tool handl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14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356A (en) * 2017-08-02 2019-02-12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Tool adapter for manipulating commercial tools with a robot hand
KR102220000B1 (en) * 2019-10-08 2021-02-2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Upper extremity muscle strength rehabilitation robot
KR102631302B1 (en) * 2023-02-27 2024-01-29 정동해 Industrial tool handling device with multi-joint ar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302B1 (en) * 2018-07-20 2020-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 working assistance apparatus
KR20230092571A (en) 2021-12-17 2023-06-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Joint robot with adjustable posture maintenance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4986A (en) * 1999-06-10 2000-12-26 Sankyo Kogyo Kk Robot arm
JP2008006161A (en) * 2006-06-30 2008-01-17 Shinano Kenshi Co Ltd Power assist device and sensor
KR101065420B1 (en) * 2008-12-16 2011-09-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Wearable Robotic System for the Rehabilitation Training of upper limb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356A (en) * 2017-08-02 2019-02-12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Tool adapter for manipulating commercial tools with a robot hand
US11389970B2 (en) 2017-08-02 2022-07-19 Hanwha Defense Co., Ltd. Tool adapter for manipulating commercial tools with a robot hand
KR102220000B1 (en) * 2019-10-08 2021-02-2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Upper extremity muscle strength rehabilitation robot
WO2021071278A1 (en) * 2019-10-08 2021-04-1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Rehabilitation robot for increasing upper limb muscle strength
KR102631302B1 (en) * 2023-02-27 2024-01-29 정동해 Industrial tool handling device with multi-joint a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2149B1 (en) 201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2149B1 (en) Human power assistant apparatus supporting tool handling
TWI552743B (en) Inductive force feedback mechanism
CN108858120B (en) Parallel type compliant wheel foot device for wheel foot robot
EP3278938B1 (en) Wearable apparatus for assisting a human when performing a load-involved task
CN107149539B (en) Lower limb rehabilitation walking-aid robot supporting omnidirectional movement and control method
KR20110080656A (en) Compact exoskeleton arm support device for gravity compensation
JP7156962B2 (en) Work machine unit and articulated robot
CN105792994A (en) Robot arm
Alamdari et al. Gravity-balancing of elastic articulated-cable leg-orthosis emulator
KR20190122045A (en) Lumbar support device
KR101935144B1 (en) Robot arm equipped with counterbalance mechanism
KR101772285B1 (en) Adjustble conterbalncing unit and adjustable counberbalance exoskeleton for arm strength assitance
CN111631921A (en) Walking following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nd automatic following control method
EP3975968B1 (en) Load compensation device, in particular of gravitational loads, applicable to exoskeletons
CN107690375A (en) Portable power joint arrangement and lower limb assistance exoskeleton equipment and its control method
KR101332694B1 (en) a haptic device with weight compensation function
KR101299333B1 (en) System for Supporting Upper Limb Muscle Strength
US10400944B2 (en) Counterbalance system and/or a method for counterbalancing a load
CN210027663U (en) Biped walking robot based on parallel mechanism
KR101584341B1 (en) Load Compensation System of Walking Assistant Robot and Walk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14905543B (en) Balance mechanism for robot auxiliary equipment
KR101630927B1 (en) Apparatus of wearing lower body and assist muscular robot having thereof
US20150366730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bed with an actuated deck section
KR102019114B1 (en) Bodyweight support device
KR101323304B1 (en) Walking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