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6766A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6766A
KR20130126766A KR1020120036081A KR20120036081A KR20130126766A KR 20130126766 A KR20130126766 A KR 20130126766A KR 1020120036081 A KR1020120036081 A KR 1020120036081A KR 20120036081 A KR20120036081 A KR 20120036081A KR 20130126766 A KR20130126766 A KR 20130126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con
user terminal
code
ic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정수
Original Assignee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위즈게임즈 filed Critical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to KR1020120036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6766A/ko
Publication of KR20130126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7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에 하나 이상의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아이콘 조합을 암호입력코드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아이콘의 조합으로 구성된 기저장된 암호코드와 상기 결정된 암호입력코드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기저장된 암호코드와 상기 결정된 압호입력코드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ASSCODE IN USER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니라 아이콘형 이미지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암호코드를 쉽게 기억하고 동시에 아이콘 구성 변경을 통하여 보안효과를 높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장소나 다른 사람이 볼 수 있는 장소에서 이용하는 암호코드 입력방식의 경우에는 숫자가 표시된 키패드나 터치스크린에 패스워드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공공장소나 다른 사람이 볼 수 있는 장소에서의 암호코드 입력방법은 여러 측면에서 위험한데, 그 이유는 입력하는 암호코드를 타인이 용이하게구별할 수 있고, 또한 입력하는 버튼 등에 사용자지문이 남기 때문이다.특히 최근 널리 사용되는 휴대 전화와 같은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단순한 통신 수단뿐만 아니라 또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다기능 전자 기기로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러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공공장소에서 충분한 보안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암호를 입력하는 기술이 개시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사용자가 보안성과 사용자 입력 용이성을 동시에 갖는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에 하나 이상의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아이콘 조합을 암호입력코드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아이콘의 조합으로 구성된 기저장된 암호코드와 상기 결정된 암호입력코드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기저장된 암호코드와 상기 결정된 압호입력코드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에 대한 1회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출력되는 상기 아이콘의 구성을 변경하여 재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은 NXN의 행렬 형태로 표시되며, 상기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에 대한 1회 입력이 결정되면, 상기 행렬의 N은 변경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에 대한 1회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이콘은 사진, 그림 또는 캐릭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상기 아이콘에 대한 터치신호 및 터치지속 시간의 조합에 따라 아이콘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을 다르게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기저장된 암호코드와 상기 결정된 암호입력코드를 비교하는 단계 후, 상기 기저장된 암호코드와 상기 결정된 암호입력코드가 동일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장치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에 하나 이상의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을 출력하는 아이콘출력부;상기 아이콘출력부에 의하여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입력수신부;상기 터치입력수신부가 수신한 아이콘 조합을 암호입력코드로 결정하는 암호입력코드결정부;아이콘의 조합으로 구성된 기저장된 암호코드와 상기 암호입력코드결정부가 결정한 암호입력코드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에 의한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인증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이콘출력부는 상기 터치입력수신부가 상기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에 대한 1회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출력되는 상기 아이콘의 구성을 변경하여 재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이콘출력부는 상기 아이콘을 NXN의 행렬 형태로 표시되며, 상기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에 대한 1회 입력이 결정되면, 상기 행렬의 N은 변경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이콘출력부는 상기 터치입력수신부가 상기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에 대한 1회 입력을 수신 시, 상기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이콘은 사진, 그림 또는 캐릭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입력수신부는 상기 아이콘에 대한 터치신호 및 터치지속 시간의 조합에 따라 아이콘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을 다르게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인증수행부는 상기 기저장된 암호코드와 상기 결정된 암호입력코드가 동일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휴대전화, 전자책 또는 컴퓨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에 하나 이상의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아이콘 조합을 암호입력코드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아이콘의 조합으로 구성된 기저장된 암호코드와 상기 결정된 암호입력코드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기저장된 암호코드와 상기 결정된 압호입력코드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연속 방문 기록을 이용하여, 사용자별 안착여부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방문 기록에 따른 방문빈도 수와 시간정보와 같은 정량적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에 안착하였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2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관리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에 하나 이상의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을 출력한다(S110). 본 발명에서 상기 아이콘은 그림, 사진 또는 캐릭터이며, 단순한 숫자나 문자 형태의 암호표시수단에 비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암호를 기억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S120). 즉, 상기 터치스크린에 출력,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터치함으로써 터치된 아이콘을 특정 암호로 입력한다.
이후, 상기 입력된 복수 개의 아이콘을 조합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암호입력코드로 결정하고(S130), 상기 아이콘의 조합으로 구성된 기저장된 암호코드와 상기 결정된 암호입력코드를 비교한다(S130). 이후, 상기 기저장된 암호코드와 상기 결정된 암호입력코드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S140). 이상의 단계로 진행된 아이콘 기반의 암호입력과 입력된 암호입력코드에 의한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액세스가 결정된다(S150). 하지만, 결정된 암호입력코드가 기저장된 암호와 상이한 경우, 사용자 인증은 실패하며, 이로써 사용자 단말에 대한 액세스는 거부될 수 있다(S160).
도 2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관리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터치스크린(110)에 하나 이상의 아이콘(120)이 출력된다. 도 2에서 상기 아이콘은 그림 형태로서, 상기 아이콘은 서로 구분된 터치영역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아이콘은 NxN 행렬형태로서, 복수 개가 상기 터치스크린(110)에 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아이콘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터치입력이 수행된다. 상기 아이콘에 대한 하나 이상의 연속적인 터치입력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사용자가 입력하는 암호입력코드를 구성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터치지속시간에 따라 서로 구분되는 아이콘 입력을 기록,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 시간의 아이콘 터치입력과 짧은 시간의 아이콘 터치입력은 서로 구분되는 터치입력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아이콘에 대한 터치신호 및 터치지속 시간의 조합에 따라 아이콘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이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암호입력을 위한 아이콘을 터치함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아이콘 구성은 변경된다. 여기에서 구성의 변경은 아이콘 위치의 변경이거나, 아이콘이 표시되는 행렬 또는 수의 변경일 수 있다.
도 4에서는 행렬의 N이 변경되어, 아이콘의 수가 변경되는 경우를 나타내나, 아이콘 위치만 터치스크린에 변경될 수 있다(N은 양의 정수임).
도 5에는 상술한 아이콘 터치입력이 복수 회 진행됨에 따라 사용자 입력암호코드 조합이 완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입력된 아이콘 조합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암호(아이콘 조합)이 비교된다.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입력된 아이콘 기반 암호가 기설정된 암호와 동일한 경우, 화면 잠김 등과 같은 보안 기능이 해제되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액세스할 수 있다(도 7 참조). 하지만, 비교 결과, 입력된 암호조합이 기설정된암호와 상이한 경우, 액세스는 거부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사용자가 기억하기 쉬운 그림, 사진 등의 이미지를 암호입력수단을 활용하고, 동시에 입력 후 아이콘 구성을 변경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암호관리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에 하나 이상의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을 출력하는 아이콘출력부(2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상기 아이콘은 그림 형태로서, 상기 아이콘은 서로 구분된 터치영역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아이콘은 NxN 행렬형태로서, 복수 개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며, 상기 행렬에 표시된 아이콘은 단순히 위치가 변경되거나, 또는 행렬의 N 자체가 암호 1회 입력 후 변경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 암호입력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암호관리장치는 상기 아이콘출력부(210)에 의하여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입력수신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입력수신부(220)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아이콘 각각에 대한 터치입력을 구분하여, 인식하며, 이를 저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암호관리장치는 입력되는 아이콘 터치신호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수신부(220)가 수신한 아이콘 조합을 암호입력코드로 결정하는 암호입력코드결정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암호입력코드결정부(230)는 입력되는 아이콘 터치신호를 조합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액세스를 위하여 입력하는 암호로 이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암호관리장치는 상기 암호입력코드결정부(230)에 의하여 결정된 암호입력코드, 즉, 사용자가 입력한 암호입력코드(아이콘 조합에 따라 결정됨)를 기저장된 암호코드와 비교하는 비교부(240) 및 상기 비교부(240)에 의한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인증수행부(25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상기 아이콘출력부(210)는 상기 터치입력수신부(220)가 상기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에 대한 1회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출력되는 상기 아이콘의 구성을 변경하여 재출력하며, 상기 구성 변경은 NXN 행렬 형태의 아이콘 구성에서 상기 행렬의 N을 변경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아이콘출력부(210)는 상기 터치입력수신부(220)가 상기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에 대한 1회 입력을 수신 시, 상기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입력수신부(220)는 상기 아이콘에 대한 터치신호 및 터치지속 시간의 조합에 따라 아이콘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을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즉, 동일 아이콘이라 하여도 길게 입력하는 경우와 짧게 입력하는 경우는 다른 암호 입력이 될 수 있으며, 이로써 암호입력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인증수행부(250)는 상기 기저장된 암호코드와 상기 결정된 암호입력코드가 동일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한다. 이로써 화면잠금 해제나, 단말의 정상 기능을 사용자가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은 휴대전화, 전자책 또는 컴퓨터 등과 같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는 사용자 단말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호관리방법 및 장치는,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호관리방법 및 장치는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암호관리방법 및 장치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장치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암호관리방법 및 장치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암호관리방법 및 장치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 등의 모바일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호관리방법 및 장치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 등의 모바일단말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단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에 하나 이상의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아이콘 조합을 암호입력코드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아이콘의 조합으로 구성된 기저장된암호코드와 상기 결정된 암호입력코드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기저장된 암호코드와 상기 결정된 압호입력코드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에 대한 1회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출력되는 상기 아이콘의 구성을 변경하여 재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은 행렬 형태로 표시되며, 상기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에 대한 1회 입력이 결정되면, 상기 행렬의 줄 수는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에 대한 1회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은 사진, 그림 또는 캐릭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콘에 대한 터치신호 및 터치지속 시간의 조합에 따라 아이콘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을 다르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장된 암호코드와 상기 결정된 암호입력코드를 비교하는 단계 후,
    상기 기저장된 암호코드와 상기 결정된 암호입력코드가 동일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
  8.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장치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에 하나 이상의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을 출력하는 아이콘출력부;
    상기 아이콘출력부에 의하여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입력수신부;
    상기 터치입력수신부가 수신한 아이콘 조합을 암호입력코드로 결정하는 암호입력코드결정부;
    아이콘의 조합으로 구성된 기저장된 암호코드와 상기 암호입력코드결정부가 결정한 암호입력코드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에 의한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인증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출력부는 상기 터치입력수신부가 상기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에 대한 1회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출력되는 상기 아이콘의 구성을 변경하여 재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출력부는 상기 아이콘을 행렬 형태로 표시하며, 상기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에 대한 1회 입력이 결정되면, 상기 행렬의 줄 수는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출력부는 상기 터치입력수신부가 상기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에 대한 1회 입력을 수신 시, 상기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은 사진, 그림 또는 캐릭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수신부는상기 아이콘에 대한 터치신호 및 터치지속 시간의 조합에 따라 아이콘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을 다르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증수행부는상기 기저장된 암호코드와 상기 결정된 암호입력코드가 동일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장치.
  15. 제 8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6.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에 하나 이상의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아이콘 조합을 암호입력코드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아이콘의 조합으로 구성된 기저장된 암호코드와 상기 결정된 암호입력코드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기저장된 암호코드와 상기 결정된 압호입력코드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36081A 2012-04-06 2012-04-06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 및 장치 KR20130126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081A KR20130126766A (ko) 2012-04-06 2012-04-06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081A KR20130126766A (ko) 2012-04-06 2012-04-06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766A true KR20130126766A (ko) 2013-11-21

Family

ID=4985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081A KR20130126766A (ko) 2012-04-06 2012-04-06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67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54898A (zh) * 2020-06-02 2020-09-11 Tcl通讯(宁波)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54898A (zh) * 2020-06-02 2020-09-11 Tcl通讯(宁波)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1654898B (zh) * 2020-06-02 2022-06-10 Tcl通讯(宁波)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8339B1 (en) Verifying Applications in Virtual Environments Using a Trusted Security Zone
US10554656B2 (en) Authent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3057053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secure information
US9104840B1 (en) Trusted security zone watermark
US10025952B1 (en) Obfuscation of sensitive human-perceptual output
CN107079031B (zh) 经由与第二设备的通信对第一设备的基于用户认证的批准
CN107431924B (zh) 将设备标识符和用户标识符相关联的设备盗窃防护
US10242167B2 (en)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US11336599B2 (en) Architecture for performing action in a third-party service by an email client
CA2813172A1 (en) Multiple-access-level lock screen
WO2014108005A1 (en) Co-verification method, two-dimensional code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and system therefor
KR102509594B1 (ko) 어플리케이션 코드의 위변조 여부 탐지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6177000A1 (zh) 进入操作系统桌面的方法和移动智能终端
CN105701420B (zh) 一种用户数据的管理方法及终端
US10582005B2 (en) Architecture for performing actions in a third-party service by an email client
EP292783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10084035B (zh) 用于在发生拒绝时建议响应指南的电子设备和方法
KR20140112399A (ko) 어플리케이션 접근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KR102348217B1 (ko) 전자장치에서 보안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113785A (ko) 음성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서버
US202302917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a user in a session initiated on a computing device
KR20130126766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암호관리방법 및 장치
KR20150091569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특정 영역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CN109947309B (zh) 一种应用控制方法及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10287689A (zh) 一种密码保护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