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6690A - 운영체제 잠금해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운영체제 잠금해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6690A
KR20130126690A KR1020137022083A KR20137022083A KR20130126690A KR 20130126690 A KR20130126690 A KR 20130126690A KR 1020137022083 A KR1020137022083 A KR 1020137022083A KR 20137022083 A KR20137022083 A KR 20137022083A KR 20130126690 A KR20130126690 A KR 20130126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touch screen
screen terminal
group
un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시 리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26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해제 방법 및 터치 스크린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 위치 및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서,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은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상기 잠금해제 위치로 끌어 당겨지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상기 잠금해제 위치로 끌어 당겨지는 것을 검출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잠금해제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검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은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관련 정보에 따라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 의해 결정되므로, 잠금해제 동작의 융통성이 향상되고, 또한 잠금해제 동작의 효율성도 향상된다.

Description

운영체제 잠금해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UNLOCKING OPERATING SYSTEM}
본 출원은 2011년 2월 12일 중국특허청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인 중국특허출원 No. 201110036820.2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이며, 상기 문헌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원용되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해제 방법 및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과학과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휴대전화, 디지털 포토 프레임 및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더더욱 일상생활에 파고들고 있다.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예기치 못한 스위치-온과 같은 장애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때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 대해 잠금 동작이 수행될 수 있거나, 특정한 기능 키를 사용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 대해 잠금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터치 스크린 단말기는 작동 잠금 모드에 있게 된다.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작동 잠금 모드에 있으면, 이전에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작동 잠금 모드에 있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를 스위치-온 해야 하면, 사용자는 이전에 지정한 어플레케이션의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스크린상의 지정된 잠금해제 위치로 끌어당겨야 하며, 이 경우, 터치 스크린 단말기는 잠금해제 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터치 스크린 단말기는 작동 잠금해제 모드(즉, 정상 작동 모드)에 있게 되며, 그 사이에 사용자가 끌어당긴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시작한다.
그렇지만, 터치 스크린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이 아이콘은 이전에 지정된 고정 아이콘인 반면 터치 스크린 단말기는 작동 잠금 모드에 있으므로, 잠금해제 동작의 융통성이 감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잠금해제 동작의 융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해제 방법 및 터치 스크린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해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해제 방법은,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 위치 및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서,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은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상기 잠금해제 위치로 끌어 당겨지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상기 잠금해제 위치로 끌어 당겨지는 것을 검출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잠금해제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검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터치 스크린 단말기를 제공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 위치 및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은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 의해 결정되는, 디스플레잉 모듈;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상기 잠금해제 위치로 끌어 당겨지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검출 모듈; 및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상기 잠금해제 위치로 끌어 당겨지는 것을 검출하면, 상기 검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잠금해제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검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잠금해제 모듈
을 포함한다.
전술한 기술적 솔루션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해제 위치 및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이 터치 스크린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며, 그런 다음 터치 스크린 단말기는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잠금해제 위치로 끌어 당겨지는지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잠금해제 위치로 끌어 당겨지는 것을 검출하면, 터치 스크린 단말기는 잠금해제 동작을 실행하여 검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은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관련 정보에 따라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 의해 결정되므로, 잠금해제 동작의 융통성이 향상되고, 또한 잠금해제 동작의 효율성도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의 기술적 솔루션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된 도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당연히,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창조적 노력 없이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해제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해제 방법에서 결정된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1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해제 방법에서 결정된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1에 대한 다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해제 방법에서 결정된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2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해제 방법에서 결정된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2에 대한 다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해제 방법에서 결정된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3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해제 방법에서 결정된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3에 대한 다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 대한 개략적인 다른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솔루션, 및 이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술적 솔루션을 이하에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이하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부가 아닌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당업자가 창조적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바탕으로 해서 획득하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는 휴대전화, 개인휴대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로 약칭함), 무선 휴대 장치, 무선 노트북, 포터블 컴퓨터, MP3 플레이어, 및 MP4 플레이어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해제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해제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01: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 위치 및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은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 의해 결정된다.
단계 102: 터치 스크린 단말기는,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잠금해제 위치로 끌어 당겨지는지를 검출한다.
단계 103: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상기 잠금해제 위치로 끌어 당겨지는 것을 검출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는 잠금해제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검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개시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관련 정보 및 사전설정된 어플리케이션 결정 정책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결정 정책은 적어도 이하의 정책: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횟수에 따라,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1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되,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횟수는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중 사전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중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은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횟수에 따라 재배열되어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1을 결정할 수 있는 정책;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시간에 따라,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2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되,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시간과 현재 시각 간의 차이가 사전설정된 임계값보다 작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중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은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시간에 따라 재배열되어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2를 결정할 수 있는 정책;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에 따라,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3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되,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는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중 사전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중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은 시스템 기능 목록 내의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에 따라 재배열되어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3을 결정할 수 있는 정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해제 위치 및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이 터치 스크린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며, 그런 다음 터치 스크린 단말기는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잠금해제 위치로 끌어 당겨지는지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 단말기는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잠금해제 위치로 끌어 당겨지는 것을 검출하면, 터치 스크린 단말기는 잠금해제 동작을 실행하여 검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시작할 수 있다.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은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관련 정보에 따라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 의해 결정되므로, 잠금해제 동작의 융통성이 향상되고, 또한 잠금해제 동작의 효율성도 향상된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전술한 각각의 방법 실시예는 일련의 동작으로서 표현되어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은 이러한 동작의 순서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라, 일부의 단계는 다른 순서를 적용하여 실행될 수 있거나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는 모드 예시적 실시예에 속하며, 포함된 동작 및 모듈은 본 발명에 의해 필수적인 것은 아님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는 강조하는 바가 있으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터치 스크린 단말기는 디스플레잉 모듈(81), 검출 모듈(82) 및 잠금해제 모듈(83)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잉 모듈(81)은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 위치 및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은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 의해 결정되며; 검출 모듈(82)은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상기 잠금해제 위치로 끌어 당겨지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잠금해제 모듈(83)은 상기 검출 모듈(82)이,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상기 잠금해제 위치로 끌어 당겨지는 것을 검출하면, 상기 검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잠금해제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검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터치 스크린 단말기는 디스플레잉 모듈을 통해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해제 위치 및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며, 그런 다음 검출 모듈은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잠금해제 위치로 끌어 당겨지는지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검출 모듈이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잠금해제 위치로 끌어 당겨지는 것을 검출하면, 잠금해제 모듈은 잠금해제 동작을 실행하고 검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시작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조합/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은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관련 정보에 따라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 의해 획득되고 결정되므로, 잠금해제 동작의 융통성이 향상되고, 또한 잠금해제 동작의 효율성도 향상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터치 스크린 단말기는,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정 모듈은,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관련 정보 및 사전설정된 어플리케이션 결정 정책에 따라,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91)은 적어도 이하의 유닛: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횟수에 따라,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횟수는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중 사전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며,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중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은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횟수에 따라 재배열되어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을 결정할 수 있는, 제1 결정 유닛;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시간에 따라,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시간과 현재 시각 간의 차이가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중 사전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며,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중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은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시간에 따라 재배열되어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을 결정할 수 있는, 제2 결정 유닛; 및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가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중 사전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고,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중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은 시스템 기능 목록 내의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에 따라 재배열되어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을 결정할 수 있는, 제3 결정 유닛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의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는 관련 하드웨어에 명령을 내리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의 단계가 수행된다. 저장 매체는 ROM, RAM, 자기디스크, 또는 광디스크와 같이,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이면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을 설명하도록 의도된 것이지, 본 발명의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전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변형을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전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일부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등가의 대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및 대체는 대응하는 기술적 솔루션의 본질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의 개념 및 범위를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해제 방법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 위치 및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서,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은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상기 잠금해제 위치로 끌어 당겨지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상기 잠금해제 위치로 끌어 당겨지는 것을 검출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잠금해제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검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해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해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관련 정보 및 사전설정된 어플리케이션 결정 정책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해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결정 정책은 적어도 이하의 정책: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횟수에 따라,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되,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횟수는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중 사전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정책;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시간에 따라,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되,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시간과 현재 시각 간의 차이가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중 사전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정책;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되,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가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중 사전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정책
    중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해제 방법.
  5.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잠금 위치 및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은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 의해 결정되는, 디스플레잉 모듈;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상기 잠금해제 위치로 끌어 당겨지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검출 모듈; 및
    상기 검출 모듈이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상기 잠금해제 위치로 끌어 당겨지는 것을 검출하면, 상기 검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잠금해제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검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잠금해제 모듈
    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결정 모듈
    을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관련 정보 및 사전설정된 어플리케이션 결정 정책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적어도 이하의 유닛: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횟수에 따라,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횟수는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중 사전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제1 결정 유닛;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시간에 따라,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시간과 현재 시각 간의 차이가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중 사전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제2 결정 유닛; 및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한 그룹의 어플리케이션(들)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가 상기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중 사전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제3 결정 유닛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단말기.
KR1020137022083A 2011-02-12 2012-02-13 운영체제 잠금해제 방법 및 장치 KR201301266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0368202A CN102087585A (zh) 2011-02-12 2011-02-12 触摸屏终端的解锁方法及触摸屏终端
CN201110036820.2 2011-02-12
PCT/CN2012/071046 WO2012107000A1 (zh) 2011-02-12 2012-02-13 一种操作系统的解锁方法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690A true KR20130126690A (ko) 2013-11-20

Family

ID=44099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083A KR20130126690A (ko) 2011-02-12 2012-02-13 운영체제 잠금해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132877A1 (ko)
EP (1) EP2575022A4 (ko)
KR (1) KR20130126690A (ko)
CN (1) CN102087585A (ko)
WO (1) WO20121070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87585A (zh) * 2011-02-12 2011-06-08 华为终端有限公司 触摸屏终端的解锁方法及触摸屏终端
KR101786978B1 (ko) * 2011-07-22 201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2231097A (zh) * 2011-07-28 2011-11-02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屏幕解锁方法及装置
KR101563150B1 (ko) * 2011-09-09 2015-10-28 주식회사 팬택 잠금 화면에서 단축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1828306B1 (ko) * 2011-10-18 2018-02-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 및 장치
CN103116459A (zh) * 2011-11-16 2013-05-22 宏碁股份有限公司 屏幕解锁方法
CN103164131B (zh) * 2011-12-12 2016-04-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解锁方法及电子设备
CN103176686A (zh) * 2011-12-26 2013-06-26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和触摸屏解锁方法
TWI469040B (zh) * 2012-03-01 2015-01-11 Quanta Comp Inc 電子裝置以及鎖定/解鎖方法
TWI545495B (zh) * 2012-03-07 2016-08-11 群邁通訊股份有限公司 觸摸屏操作系統及方法
CN103309550B (zh) * 2012-03-14 2016-05-1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gps的解锁方法及装置
CN102662574A (zh) * 2012-03-28 2012-09-1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手机触摸屏的解锁方法
CN102646047B (zh) * 2012-04-20 2016-03-30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启动应用程序的方法及具有触摸显示屏的终端设备
CN103389860A (zh) * 2012-05-07 2013-11-13 观致汽车有限公司 交互系统及其交互方法
CN102855062B (zh) * 2012-08-02 2018-04-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屏幕解锁方法、装置及终端
CN103593105B (zh) * 2012-08-15 2018-08-10 南京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操作方法以及移动终端
CN102902464B (zh) * 2012-09-25 2015-08-05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解锁方法及装置
US9124545B2 (en) * 2013-02-14 2015-09-01 Facebook, Inc. Lock screen with socialized applications
CN103176740B (zh) * 2013-03-12 2016-08-0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解锁并快速查找应用程序的方法及其触摸式移动终端
CN103218120A (zh) * 2013-04-12 2013-07-24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android终端应用程序的快捷解锁方法
CN104111788A (zh) * 2013-04-19 2014-10-2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解锁方法及电子设备
KR101560448B1 (ko) 2013-07-24 2015-10-16 한국과학기술원 스크린 록 환경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 호출을 위한 방법
CN103888573B (zh) * 2014-03-17 2017-02-15 可牛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针对盲人的移动终端设置方法和装置
CN104331220A (zh) * 2014-10-31 2015-02-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解锁处理方法及装置
CN106155531A (zh) * 2015-04-20 2016-11-23 中国移动通信集团终端有限公司 一种终端锁屏时控制应用程序的方法及装置
CN105630323B (zh) * 2015-07-29 2019-01-11 东莞酷派软件技术有限公司 显示屏解锁方法及装置
CN105512526B (zh) * 2015-12-09 2019-02-19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终端设备的快速解锁方法及装置
CN106485109B (zh) * 2016-09-28 2019-06-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程序锁的设置方法和装置
CN106951223A (zh) * 2017-02-10 2017-07-1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桌面显示的方法及终端
CN107257408B (zh) * 2017-06-05 2020-06-09 南京白下高新技术产业园区投资发展有限责任公司 主屏页面显示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678676A (zh) * 2017-10-23 2018-02-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屏幕解锁方法及装置
CN109063434A (zh) * 2018-07-24 2018-12-21 广州朗国电子科技有限公司 同步解锁双系统会议白板的方法及系统
CN112912832A (zh) * 2018-12-26 2021-06-04 深圳市欢太科技有限公司 应用推送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2671976B (zh) * 2019-09-30 2023-01-13 华为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2603A1 (en) * 2007-10-19 2009-04-23 Fein Gene 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thentication with a user interface system
EP2060970A1 (en) * 2007-11-12 2009-05-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User interface for touchscreen device
KR101537706B1 (ko) * 2009-04-16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1604223B (zh) * 2009-04-20 2012-05-23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触摸屏的解锁方法、系统及触摸屏设备
CN101882046B (zh) * 2009-04-20 2012-10-1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触摸屏的解锁方法及系统
KR20110014040A (ko) * 2009-08-04 201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아이콘 충돌 제어방법
CN101867637A (zh) * 2010-07-02 2010-10-20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动态生成待机界面的方法及终端
US8402533B2 (en) * 2010-08-06 2013-03-19 Google Inc. Input to locked computing device
CN102075619A (zh) * 2010-12-15 2011-05-25 华为终端有限公司 触摸屏手机的解锁方法和触摸屏手机
CN102087585A (zh) * 2011-02-12 2011-06-08 华为终端有限公司 触摸屏终端的解锁方法及触摸屏终端
US20130033436A1 (en) * 2011-02-17 2013-02-07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07000A1 (zh) 2012-08-16
CN102087585A (zh) 2011-06-08
US20130132877A1 (en) 2013-05-23
EP2575022A4 (en) 2013-07-10
EP2575022A1 (en)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6690A (ko) 운영체제 잠금해제 방법 및 장치
US10169620B2 (en) Method of interacting with an electronic device while the display screen is deactivated
US8639295B2 (en) Method for unlocking screen, mobi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thereof
US9965086B2 (en) Method for enabling function module of terminal, and terminal device
US201401092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cking screen and executing operation in a portable terminal
EP28540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cking lock screen in electronic device
EP2637471A1 (en) Method for unlocking touch-screen cell phone, and touch-screen cell phone
US20140089842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rface display
EP2857946A1 (en)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touchscreen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EP2829971A1 (en) Method for starting application program and terminal device having touch display screen
US10599329B2 (en) Terminal device and locking or unlocking method for terminal device
CN105635483B (zh) 一种操作移动终端的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3092523A (zh) 一种解锁方法及终端
CA27626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sensitive display
CN105022955B (zh) 一种应用程序的锁定方法及移动终端
TWI675329B (zh) 資訊圖像顯示方法及裝置
KR20090084667A (ko) 전자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EP2469965A1 (en) Method, device and mobile terminal for locking/unlocking control
CN105335686B (zh) 具有指纹感测功能的电子装置及其应用程序的调用方法
US20150121262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dial interface of mobile device
AU20153126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ouch input
US20160080544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independent screen configurations
CN103713829A (zh) 系统切换方法、装置和电子设备
EP2306262A1 (en) A method of interacting with electronic devices in a locked state and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permit interaction when in a locked state
US20140245432A1 (en) Electronic device and unlock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