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6382A - 다수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6382A
KR20130126382A KR1020120050485A KR20120050485A KR20130126382A KR 20130126382 A KR20130126382 A KR 20130126382A KR 1020120050485 A KR1020120050485 A KR 1020120050485A KR 20120050485 A KR20120050485 A KR 20120050485A KR 20130126382 A KR20130126382 A KR 20130126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idc
measurement
serv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현
권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20050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6382A/ko
Publication of KR20130126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3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다수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기내 공존간섭(IDC)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모든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주서빙셀에 대한 측정 결과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 이웃셀에 대하여 측정을 수행하고, 상기 측정을 수행한 측정 샘플에서 IDC 영향을 제거한 측정 결과 및 IDC 진행중이어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어려운 주파수인 사용 불능 주파수를 포함하는 측정 결과 보고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가 상기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내에서 부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인 서빙주파수인 경우, 부서빙셀을 제거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IDC 지원 정보 트리거링 상황이 주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인지 따라 IDC 해결 하는 절차가 구별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반송파 집성 상황에서 부서빙셀 관련된 주파수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서빙셀과 관련되지 않은 주파수에 대하여도 IDC 외의 통신 문제 해결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수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본 발명은 다수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기내 공존간섭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하나의 대역폭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2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은 200KHz ~ 1.25MHz의 대역폭을 사용하고, 3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은 5MHz ~ 10 MHz의 대역폭을 사용한다. 증가하는 송신 용량을 지원하기 위해, 최근의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m은 20MHz 또는 그 이상까지 계속 그 대역폭을 확장하고 있다. 송신 용량을 높이기 위해서 대역폭을 늘리는 것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지만, 요구되는 서비스의 수준이 낮은 경우에도 큰 대역폭을 지원하는 것은 커다란 전력 소모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대역폭과 중심 주파수를 갖는 반송파를 정의하고, 복수의 반송파를 통해 광대역으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요소 반송파(Multiple Component Carrier)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반송파를 사용함으로써 협대역과 광대역을 동시에 지원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반송파가 5MHz의 대역폭에 대응된다면, 4개의 반송파를 사용하면 최대 20MHz의 대역폭을 지원한다.
오늘날의 유비쿼터스(ubiquitous) 접속 네트워크로 인해, 사용자들은 서로 다른 지역에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로 접속할 수 있고 어디서든지 접속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하나의 단말이 하나의 네트워크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던 사용자는 각 네트워크 시스템을 지원하는 서로 다른 기기를 휴대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단일 단말의 기능이 고도화되고 복잡해지면서 하나의 단말만으로도 다수의 네트워크 시스템과 동시다발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고,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하나의 단말이 다수의 네트워크 시스템 대역상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기기 내 공존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기기 내 공존 간섭은 동일 단말내에서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송이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의 수신에 간섭을 일으키는 경우의 간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단말이 블루투스 시스템과 802.16 시스템을 동시에 지원할 경우, 블루투스 시스템 대역과 802.16 시스템 대역간에 기기 내 공존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기기 내 공존 간섭은 주로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 경계의 이격 간격이 충분히 넓지 않은 경우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다수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는, 기기내 공존 간섭을 조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정해지지 않은 실정이다. 다시 말해, 단말과 기지국간의 기기내 공존 간섭을 해결하기 위한 동작에 관한 절차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기 내 공존 간섭의 제어를 지원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이 주서빙셀 또는 부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인지 여부를 기초로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다수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기내 공존간섭을 제어하는 방법은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모든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주서빙셀에 대한 측정 결과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 이웃셀에 대하여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측정을 수행한 측정 샘플에서 IDC 영향을 제거한 측정 결과 및 IDC 진행중이어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어려운 주파수인 사용 불능 주파수를 포함하는 측정 결과 보고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가 상기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내에서 부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인 서빙주파수인 경우, 부서빙셀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수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기내 공존간섭을 제어하는 단말은 상기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모든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주서빙셀에 대한 측정 결과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 이웃셀에 대하여 측정을 수행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을 수행한 측정 샘플에서 IDC 영향을 제거한 측정 결과 및 IDC 진행중이어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어려운 주파수인 사용 불능 주파수를 포함하는 측정 결과 보고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가 상기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내에서 부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인 서빙주파수인 경우, 부서빙셀을 제거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수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기기내 공존간섭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모든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주서빙셀에 대한 측정 결과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 이웃셀에 대하여 측정을 수행한 측정 샘플에서 IDC 영향을 제거한 측정 결과 및 IDC 진행중이어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어려운 주파수인 사용 불능 주파수를 포함하는 측정 결과 보고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가 상기 부서빙주파수를 포함하면 상기 IDC 지원 정보의 트리거링이 상기 부서빙주파수를 기준으로 수행되었다고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부서빙주파수에 관련된 부서빙셀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수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기내 공존간섭을 제어하는 기지국은 상기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모든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주서빙셀에 대한 측정 결과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 이웃셀에 대하여 측정을 수행한 측정 샘플에서 IDC 영향을 제거한 측정 결과 및 IDC 진행중이어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어려운 주파수인 사용 불능 주파수를 포함하는 측정 결과 보고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가 상기 부서빙주파수를 포함하면 상기 IDC 지원 정보의 트리거링이 상기 부서빙주파수를 기준으로 수행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부서빙주파수에 관련된 부서빙셀을 제거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IDC 지원 정보 트리거링 상황이 주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인지 따라 IDC 해결 하는 절차가 구별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반송파 집성 상황에서 부서빙셀 관련된 주파수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서빙셀과 관련되지 않은 주파수에 대하여도 IDC 외의 통신 문제 해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ISM 송신기에서 LTE 수신기로의 기기 내 공존 간섭을 나타내는 예이다.
도 4는 주파수 대역상에서 ISM 밴드와 LTE 밴드가 나누어지는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서 FDM 방식을 이용하여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완화시키는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서 FDM 방식을 이용하여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완화시키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전력 제어 방식을 이용하여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완화시키는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TDM 방식을 이용하여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완화시키는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TDM 방식에 따라 기기내 공존 간섭을 제어한 LTE 밴드와 ISM 밴드의 시간 축에서의 송수신 타이밍은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서 TDM 방식을 이용하여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완화시키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TDM 방식을 이용하여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완화시키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TDM 방식을 이용하여 기기내 공존 간섭을 완화시키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DRX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단말이 기기내에서 간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서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기기내 공존 간섭 제어가 수행되는 것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라서 S-측정 기준값이 변경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측정 설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라서 IDC 영향이 제거된 측정값을 얻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라서 IDC 영향이 제거된 측정값을 얻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라서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기기내 공존 간섭 제어가 수행되는 것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라서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기기내 공존 간섭 제어가 수행되는 것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라서 IDC 제어를 수행하는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의 일 예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라서 IDC 제어를 수행하는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의 일 예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라서 IDC 제어를 수행하는 단말 및 기지국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되며, 단말(10; User Equipment, UE), 기지국(20; evolved NodeB, eNB), 무선랜 접속점(Wireless LAN Access Point: AP, 30),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40) 위성(satellite)을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랜 접속점(또는 무선랜)은 무선 표준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기술을 지원하는 장치로서, IEEE 802.11은 와이파이(WiFi) 시스템과 혼용될 수 있다.
단말(10)은 셀룰라(cellular) 네트워크, 무선랜, 방송 네트워크, 위성 시스템등과 같은 다수의 네트워크의 커버리지(coverage)내에 위치할 수 있다. 단말(10)이 때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네트워크와 다양한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해서 다수의 무선 송수신기(transceiver)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smart phone)은 LTE(Long Term Evolution), WiFi, 블루투스(Bluetooth : BT) 송수신기와 GPS 수신기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좋은 성능을 유지하면서 하나의 동일 단말(10)내에 더욱더 많은 송수신기를 집적시키기 위해 단말(10)의 디자인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기기 내 공존 간섭(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 IDC interference(이하 IDC라 한다))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욱 커진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 : DL)는 기지국(20)에서 단말(1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 : UL)는 단말(10)에서 기지국(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10)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일 수 있다.
단말(1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MT(Mobile Terminal),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 기지국(Femto BS), 릴레이(relay)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10)은 LTE RF(11), GPS RF(12), 블루투스/WiFi RF(13)를 포함한다. 각 RF(Radio Frequency)에는 송수신 안테나(14, 15, 16)가 연결된다. 즉, 하나의 기기 플랫폼(device platform)내에 여러 종류의 RF가 근접하여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하나의 RF의 송신 전력이 다른 RF 수신기로의 수신 전력 수준(level)보다 매우 클 수 있다. 이 때 RF간의 주파수 간격이 충분하지 않고, 필터링 기술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어느 RF의 송신 신호가 기기 내 다른 RF의 수신기에 현저한 간섭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2의 "A"는 LTE RF(11)의 송신 신호가 GPS RF(12)와 블루투스/WiFi RF(23)에 대해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일으키는 경로의 예이고, "B"는 블루투스/WiFi RF(23)의 송신 신호가 LTE RF(21)에 대해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일으키는 경로의 일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송신기에서 LTE 수신기(receiver)로의 기기 내 공존 간섭을 나타내는 예이다. ISM 송신기는 산업과학 의료 분야에서 사용허가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대역인 ISB 밴드에서 송신하는 송신기를 말한다.
도 3을 참조하면, LTE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대역이 ISM 송신기의 송신 신호의 대역과 중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기기 내 공존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주파수 대역 F1 내지 F3에서 LTE 수신기를 통해서 신호를 수신할 때, F2 및 F3에서는 ISM 송신기로 인하여 LTE 수신기에 있어서 받아들일 수 없는(unacceptable) 간섭이 발생하는 상황임을 나타낸다. 여기서 F1 내지 F3는 하나의 밴드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하지만 F1은 공존 간섭(In-Device Coexistence : IDC)의 영향이 심한 영역 밖의 대역에 존재하게 되고 F2 및 F3는 IDC의 영향이 심한 영역에 속하게 된다. 즉, 하나의 밴드 내에서도 밴드 필터(Band Filter)의 특성에 따라 공존 간섭 문제의 정도가 주파수 대역 간에 서로 다를 수가 있다.
도 4는 주파수 대역상에서 ISM 밴드와 LTE 밴드가 나누어지는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밴드 40, 밴드 7, 밴드 38은 LTE 밴드이다. 밴드 40은 TDD 모드에서의 2300~2400MHz 대역을 차지하고, 밴드 7 중 FDD 모드에서의 상향링크는 2500~2570MHz 대역을 차지하고, 하향링크는 2620~2690MHz를 차지한다. 그리고 밴드 38은 TDD 모드에서의 2570~2620MHz 대역을 차지한다. 한편, ISM 밴드는 와이파이 채널과 블루투스 채널로 사용되며 2400~2483.5MHz 대역을 차지한다. 여기서, 기기 내 공존 간섭이 발생하는 상황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간섭 대역 간섭의 형태
밴드 40 ISM Tx -> LTE TDD DL Rx
밴드 40 LTE TDD UL Tx -> ISM Rx
밴드 7 LTE FDD UL Tx -> ISM Rx
밴드 7/13/14 LTE FDD UL Tx -> GPS Rx
표 1을 참조하면, 간섭의 형태에서 'a->b'의 표기는 송신기 a가 수신기 b로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일으키는 상황을 나타낸다. 밴드 40에서, ISM 송신기는 LTE 밴드의 하향링크 TDD 수신기(LTE DL TDD Rx)로의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일으킨다. 필터링 방식(filtering scheme)으로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는 있지만, 충분하지는 않다. 필터링 방식에 추가적으로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 방식등을 적용하면 기기 내 공존 간섭을 보다 효율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서 FDM 방식을 이용하여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완화시키는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LTE 밴드가 ISM 밴드와 중첩되지 않도록 LTE 밴드를 화살표 방향으로 (주파수 대역 축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ISM 밴드로부터 단말의 핸드오버를 유도한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레가시(legacy) 측정(measurement) 또는 새로운 시그널링(signaling)이 이동성 절차(mobility procedure) 또는 무선 연결 실패(radio link failure:RLF)절차를 정확히 트리거링(triggering)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또는, LTE 밴드 내에서 ISM과 문제가 되는 부분에 대하여 필터링이나 자원 할당 기법 등을 통하여 피하는 방법도 있다. 또는, LTE 반송파 집성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하는 반송파의 집합을 재구성(reconfiguration)하는 절차를 통하여 중첩 간섭을 피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서 FDM 방식을 이용하여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완화시키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ISM 밴드를 축소하고 LTE 밴드로부터 떨어지도록 화살표 방향으로(주파수 축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역호환(backward compatibility)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블루투스의 경우 적응적 주파수 호핑 매카니즘(mechanism)으로 인해 역호환 문제가 어느 정도는 해소될 수 있으나, 와이파이의 경우에는 역호환 문제의 해결이 어려울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전력 제어(Power Control:PC) 방식을 이용하여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완화시키는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은 LTE 신호의 전송 전력을 일정 수준 낮추어서 기기 내 공존 간섭을 회피하여 ISM 밴드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ISM 밴드의 전송 전력을 일정 수준 낮추어서 기기 내 공존 간섭을 회피하여 LTE 신호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이용하여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완화시키는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LTE 신호의 수신 시간을 ISM 밴드에서의 전송 시간과 중첩되지 않도록 변경하면 기기 내 공존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SM 밴드의 신호가 t0에서 전송되면, LTE 신호가 t1에서 수신되도록 한다.
도 10은 TDM 방식에 따라 기기내 공존 간섭을 제어한 LTE 밴드와 ISM 밴드의 시간 축에서의 송수신 타이밍은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9와 같은 TDM 방식에 의해 LTE 밴드와 ISM 밴드간의 이동이 없이 기기 내 공존 간섭이 회피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서 TDM 방식을 이용하여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완화시키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DRX)를 기반으로 한 TDM 방식으로서, 일정한 패턴 주기(pattern periodicity) 구간을 스케줄된 주기(Scheduled period) 구간과 비스케줄된 주기(Unscheduled period) 구간으로 나누면 기기 내 공존 간섭을 회피될 수 있다. 단말은 비스케줄된 주기 구간 내에서 LTE의 전송을 방지하여 LTE와 ISM 간의 상호 간섭을 피하되,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또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재전송(retransmission)과 같은 LTE 주요 전송은 스케줄된 주기 구간내일지라도 허용될 수 있다. 단말은 스케줄된 주기 구간 내에서 ISM의 전송을 방지하고 LTE의 전송을 허용하여 LTE와 ISM 간의 상호 간섭을 피한다. 비스케줄된 주기 구간과 마찬가지로 스케줄된 주기 구간 내에서도 비콘(Beacon) 또는 와이파이와 같은 ISM 밴드의 주요 전송은 허용될 수도 있다. 상기 ISM 밴드의 주요 전송을 보호하기 위하여 LTE 전송이 방지될 수도 있다. 또한, 비콘과 같은 ISM 밴드의 주요 전송을 보호하기 위한 특별한 시그널링이 추가될 수 있는데, 일 예로, 비콘 시그널링의 주기와 서브프레임 오프셋(Subframe offset)의 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 이때 서브프레임 오프셋 넘버와 시스템 프레임 번호(system frame number)는 "0"을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다. 시스템 프레임 번호는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을 단위로 하여 "0" 내지 "1023"의 중 하나의 값이다.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므로, 서브프레임 오프셋 넘버과 시스템 프레임 번호를 통해 단말은 해당 시스템에서의 정확한 프레임 위치를 알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TDM 방식을 이용하여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완화시키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TDM 방식이 적용되는 자의적 거부(Autonomously denial) 방식으로서, 단말에서 기기 내 공존 간섭이 발생할 때 ISM 수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LTE 전송을 자의적으로 거부한다. 상기 도 12에서 체크표시된 부분은 송신 또는 수신이 승인된 것을 의미하고, 엑스표시(X)된 부분은 송신 또는 수신이 거부된 것을 의미한다. LTE UL 전송을 기지국으로부터 승인(grant) 받았을지라도 단말에서 ISM 수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승인을 거부하여 LTE UL 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유사하게, LTE 수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ISM 전송을 거부할 수 있다. ISM 전송 전력을 일정 수준 낮추어 주어서 LTE에서의 수신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TDM 방식을 이용하여 기기내 공존 간섭을 완화시키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TDM 방식을 이용하는 부분적인 자의적 거부 방식(Partially autonomously denial scheme)으로서, IDC 간섭의 발생에 의해서 단말의 LTE 수신에 어려움이 생길 것을 대비하여 ISM 전송을 거부할 때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기초로 부분적으로 서브프레임의 ISM 전송을 거부하는 방식이다.
단말은 LTE의 PDCCH 영역을 수신할 때는 원칙적으로 ISM 전송을 거부한다. 하지만, PDCCH 영역을 기초로 판단하여 PDCCH가 지시하는 서브프레임 영역에 하향링크 자원 할당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서브프레임 영역에 대해서는 ISM 전송을 거부할 필요가 없고 ISM 전송이 허용된다. 여기서, PDCCH 영역은 자원 할당 또는 그랜트(resource allocation or grant) 정보와 같은 제어 정보가 포함된 자원 영역과 해당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는데 필요한 영역을 합한 영역을 의미한다. LTE의 경우,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에 의해서 전송되는 PDCCH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와 단말에서 PDCCH를 디코딩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의 크기의 합을 의미한다. 이때, PDCCH를 디코딩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의 크기는 단말의 구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나, 하나의 서브프레임보다 크지는 않을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PDCCH 영역(1300, 1310, 1320, 1330, 1340, 1350, 1360, 1370)에 각각에서는 ISM 전송을 거부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PDCCH 영역(1300, 1310, 1320, 1330, 1340, 1350, 1360, 1370)이 각각 지시하는 서브프레임인 비-PDCCH 영역(non-PDCCH, 1305, 1315, 1325, 1335, 1345, 1355, 1365, 1375)에 하향링크 자원 할당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비-PDCCH 영역(1315, 1335, 1345, 1355)에는 하향링크 자원 할당이 존재하지만, 비-PDCCH 영역(1305, 1325, 1365, 1375)에는 하향링크 자원 할당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일부 비-PDCCH 영역(1315, 1335, 1345, 1355)에 대해서만 부분적으로 ISM 전송을 거부한다. 다른 비-PDCCH 영역(1305, 1325, 1365, 1375)에 대해서는 ISM 전송이 허용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DRX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DRX 주기(DRX cycle, 1400)는 DRX 동작이 수행되는 주기를 말하며, 일 예로 10 서브프레임 내지 2560 서브프레임 사이의 범위에서 적용되는 긴 DRX 주기(long DRX cycle)가 있으며, 다른 예로 2 서브프레임 내지 640 서브프레임 범위에서 적용되는 짧은 DRX 주기(short DRX cycle)가 있다. 이때, 짧은 DRX 주기는 DRX 짧은주기타이머(drxShortCycleTimer)가 동작하는 동안에만 DRX 동작이 적용되고, DRX 짧은주기타이머 밖의 범위에서는 동일하게 긴 DRX 주기가 적용된다. 여기서, DRX 짧은주기타이머는 하나의 짧은 DRX 주기가 기본 단위가 된다. 즉, 짧은 DRX 주기의 길이가 10이면, "10 * drxShortCycleTimer"의 시간이 된다. 이때 짧은 DRX 주기의 길이의 범위는 1 내지 16이다.
활동시간(Active time, 1405)은 단말이 깨어서 PDCCH를 수신하는 총 시간을 의미한다. 활동시간은 단말의 지속구간타이머(On-duration timer, 1415)가 동작하고 있는 시간을 의미하거나, DRX 비활동타이머(drx-InactivityTimer, 1420), DRX 재전송타이머(drx-RetransmissionTimer, 1425) 또는 MAC 경합해결타이머(mac-ContentionResolutionTimer, 1430)와 같은 타이머가 동작하고 있는 시간을 더 포함하는 시간일 수 있다.
비-활동시간(Non-active time, 1410)은 DRX 주기(1400) 중 활동시간(1405)이 아닌 시간을 의미한다.
지속구간타이머(1415), DRX 비활동타이머(1420) 또는 DRX 재전송타이머(1425)와 같은 DRX 타이머의 타이머단위(Timer unit)는 PDCCH-서브프레임(PDCCH-subframe : psf)이다. 즉, DRX 타이머들은 PDCCH-서브프레임 단위로 시그널링되거나 동작된다. 여기서, PDCCH-서브프레임이란 PDCCH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TDD 설정(configuration)에서는 DL 서브프레임들과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서브프레임들이 PDCCH-서브프레임에 해당된다. 릴레이노드(Relay Node : RN)에 대해서는 설정되지만(configured) 서스펜드(suspend)되지 않은 서브프레임이 PDCCH-서브프레임에 해당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DRX 주기(1500) 중 지속구간타이머(1515)가 동작하고 있는 동안에는 DRX 명령 MAC CE(DRX Command MAC control element, 1550)를 수신하지 않는 한 활동시간(1505)이 되며, DRX 명령 MAC CE(1550)를 수신하면 지속구간타이머(1515)가 정지하여 비-활동시간(1510)이 된다. 지속구간타이머(1515)의 길이의 범위는 psf1 내지 psf200, 즉, 하나의 PDCCH-서브프레임 내지 200 PDCCH-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DRX 비활동타이머는 새로운 전송을 나타내는 PDCCH를 수신하면 시작하고, DRX 명령 MAC CE를 수신하면 정지한다.
DRX 재전송 타이머는 HARQ RTT(Round Trip Time) 내에 해당 HARQ 절차에서의 데이터 디코딩(data decoding)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지 못하면 시작한다. 해당 프로세스에 대해서 그랜트 메시지를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하면 DRX 재전송 타이머는 정지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단말이 기기내에서 간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이다. 간섭의 빈도(oftenness) 및 강도(strength 또는 power)를 기준으로 7가지 케이스로 분류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7가지 케이스를 간섭의 빈도를 기준으로 4가지 패턴(pattern)으로 분류하면, 케이스 1 및 케이스 2는 연속(continuous), 케이스 3 및 케이스 4는 잦음(burtsy), 케이스 5 및 케이스 6은 드뭄(sparse), 그리고 케이스 7은 비존재(none)의 패턴이다.
상기 7가지 경우를 간섭의 강도를 기준으로 3가지 패턴으로 분류하면, 케이스 1, 케이스3 및 케이스 5는 매우강함(too strong), 케이스 2, 케이스 4 및 케이스 6은 충분히약함(enough weak), 케이스 7은 비존재(none)의 패턴이다.
일 예로, 단말의 IDC 진행중(on-going IDC, 이하 IDC 진행중이라 한다)이라고 판단하는 경우는 케이스 1 및 케이스 3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적어도 간섭이 연속적이거나 잦은 경우이며, 강도가 매우 강한 경우이다.
한편, IDC 진행중에 해당하지는 않지만 기기내 공존간섭이 발생한 상태이고 기기내 공존간섭이 진행중인 상태로 변경될 가능성이 있는 상태를 "잠재적인 기기내 공존간섭 존재중"라고 정의한다(이하 잠재적 IDC 발생가능이라 한다).
일 예로, 단말은 상기 도 16의 케이스2, 케이스4, 케이스 5 및 케이스 6를 잠재적 IDC 발생가능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은 강도가 매우 강한 케이스 5의 경우만 잠재적 IDC 발생가능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잠재적인 IDC 발생가능 주파수 대역에서 핸드오버나 RRC 설정/재설정 등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며, 단말은 측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의 IDC 진행중이라고 판단하는 경우는 케이스 1, 2, 3 및 케이스 4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간섭이 연속적이거나 잦은 경우이다. 간섭의 강도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이다.
한편, 상기 실시예의 정의에 의해 케이스 5 및 케이스 6의 경우를 "잠재적인 기기내 공존간섭 존재중"라고 정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IDC 진행중인지 여부는 IDC와 셀 간 간섭(예를 들어, 동일채널의 서빙셀과 비서빙셀의 간섭(interference of co-channel serving and non-serving cells), 인접 채널 간섭(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등) 및 열 잡음(thermal noise)을 모두 합한 간섭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다. 즉, IDC, 셀 간 간섭, 인접 채널 간섭 및 열 잡음을 모두 합한 영향이 강한 경우 및 잦은 경우에 대해서 IDC 진행중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 16에서 IDC 만을 고려할 경우에는 케이스 2 또는 케이스 4에 해당할 지라도 셀 간 간섭이나 인접 채널 간섭, 열 잡음 등이 상당히 큰 경우 IDC 진행중일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에 따라서, 기기내 공존간섭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간섭을 완화(reduce), 회피(avoid) 또는 제거(remove)하는 동작을 통칭하여 간섭 제어(interference control), 간섭 조정(interference coordination) 또는 간섭 해결(interference solution)이라 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서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기기내 공존 간섭 제어가 수행되는 것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단말은 단말의 성능 정보(UE capability information)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700). 이때, 단말의 성능 정보는 RRC 메시지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성능 정보는 IDC 지원 정보(IDC assistant information) 구성 능력에 관한 정보 또는 IDC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주파수 대역(이하, "IDC 존재가능 주파수대역"이라 한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의 성능 정보는 IDC 진행중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IDC 지원 정보 구성 능력을 IDC 성능(IDC capability)라고도 부르며, 1비트의 비트맵 정보일 수 있다.
상기 IDC 지원 정보 구성 능력은 단말이 IDC 지원 정보를 구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또는 그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버전(예를 들면, 단말 및 기지국의 버전이 각각 릴리즈9, 릴리즈10 또는 릴리즈11 등)인지) 여부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IDC 지원 정보 구성 능력에 관한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가 기지국으로 전송되지 않거나, IDC 지원 정보 구성 능력이 없음을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해당 필드 또는 지시자가 디스에이블(disable) 또는 "0"으로 설정된 경우)가 기지국으로 전송되면, 기지국은 단말에게 IDC 지원 정보 관련 동작을 지시하지 않는다.
상기 IDC 존재가능 주파수 대역은 사용 불능 주파수일 가능성이 있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말한다. 여기서. 사용 불능 주파수란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IDC 진행중(on-going IDC) 이어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어려운 주파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WiFi가 꺼진 단말은 LTE 초기 접속 시 IDC가 전혀 발생하지 않지만, WiFi가 켜지면 밴드 40은 IDC 진행 중에 의한 사용 불능 주파수일 가능성이 있는 주파수 대역이므로, 밴드 40은 IDC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주파수 대역으로 판단된다.
IDC 존재가능 주파수 대역은 IDC 진행중인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단말의 장비(equipment) 구성에 따라서 IDC 문제가 잠재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potential IDC problematic frequency, 이하에서 잠재적 IDC 발생가능 주파수 대역이라 한다)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의 성능 정보를 전송하는 순간에 반드시 IDC가 발생한 상태일 것을 요건으로 하지 않는다.
상기 IDC 존재가능 주파수 대역은 EARFCN(E-UTRA 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을 이용하여 지시될 수 있다(또는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EARFCN은 E-UTRA(Evolved-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의 동작(operating)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여 번호를 부여한 것이다.
일 예로, 상기 단말의 성능 정보는 IDC 존재가능 주파수 대역의 모든 EARFCN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단말의 성능 정보는 IDC 존재가능 주파수 대역의 경계값에 해당하는 EARFCN을 포함할 수 있다. 경계값은 최대 경계값(upper bound) 또는 최소 경계값(lower bound)일 수 있다. 상기 경계값이 최대 경계값 인지 최소 경계값인지 여부가 미리 정해져서 단말 및 기지국에 설정되거나, 상기 경계값이 최대 경계값 인지 최소 경계값인지 지시하는 지시자(이를, 경계 타입 지시자라 한다)가 상기 단말의 성능 정보에 더 포함되어 전송되거나, 상기 경계값에 해당하는 EARFCN이 속한 동작 대역(operating band)의 번호를 기준으로 경계값의 타입이 암시적으로(implicitly)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작 대역 번호와 듀플렉싱(duplexing) 방식이 서로 다르지만 주파수 대역이 동일한 밴드 7과 밴드 41에 대해서는 동작 대역의 번호를 기준으로 경계값(또는 경계값의 타입)이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단말의 성능 정보에 포함된 EARFCN이 지시하는 주파수 대역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동작 대역이 지시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대역이 지시된다는 것은 주파수 대역이 아닌 동작 대역 단위의 지시를 말한다. 만약, 상기 EARFCN이 지시하는 주파수 대역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동작 대역이 복수 개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동작 대역 모두가 지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의 성능 정보가 IDC 지원 정보 구성 능력 정보는 포함하지 않고 IDC 존재가능 주파수 대역 정보만 포함하는 경우, 기지국(또는 네트워크)은 단말에 IDC가 발생할 가능성이 없어서 IDC 지원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즉, IDC 지원 정보 구성 능력이 디스에이블(또는 미지원(non-supported))인 경우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디스에이블은 아래에서 설명할 IDC 지원 정보 인에이블의 반대의 개념이다.
한편, 상기 단말의 성능 정보는 단말 내에서 IDC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다른 통신 시스템의 종류와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의 종류는 WLAN(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 BT) 또는 위성 항법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 GNSS)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의 타입은 해당 통신 시스템이 음성 통신의 용도로 쓰이는 타입, 멀티미디어 VOD(Video On Demand)와 같이 스트리밍 서비스에 의한 타입, 또는 오프로드(offload) 용도로 쓰이는 타입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계 S1700에 이어서, 기지국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를 단말로 전송하여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한다(S1705).
기지국은 상기 RRC 연결 재설정을 통해 단말의 IDC 지원 정보의 전송을 인에이블(enable) 상태(또는, 가능 상태라고도 한다)로 허용할 수 있다. 이를 IDC 지원 정보 인에이블(IDC assistant information enable, 또는 IDC 지원 허용이라 한다)이라 한다. 즉,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통해 IDC 지원 정보 인에이블 정보(또는 IDC 지원 정보 인에이블 지시자)가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상기 IDC 지원 정보 인에이블 지시자는 1비트로 구성된 비트맵 정보일 수 있다. 기지국은 IDC 지원 정보 인에이블이 단말에게 전달되면 해당 단말에 대해서 IDC 발생에 대한 IDC 지원 정보의 전송을 허용하고, IDC 지원 정보 인에이블이 단말에게 전달되지 않으면 IDC 지원 정보의 전송을 허용하지 않는다. 즉, 단말은 IDC 지원 정보 인에이블 지시자를 받지 아니하면 IDC 지원 정보 구성 및 전달을 하지 않는다.
일 예로, 단말은 IDC 관련 동작을 수행할 성능이 있지만 기지국은 IDC 관련 동작을 수행할 성능이 없으면, 단말의 성능 정보가 기지국으로 전달되어도 기지국에 의하여 IDC 지원 정보 인에이블이 시그널링되지 않는다.
한편, 기지국은 RRC 연결 재설정을 통해서 단말의 측정 수행을 위한 주파수 설정을 할 수 있다. 이를, 측정 설정(measurement configuration)이라고도 한다. 측정 설정은 다수의 측정 ID(measurement ID)를 기반으로 설정된다. 하나의 측정 ID는 하나의 측정 오브젝트(measurement object)와 하나의 보고 설정(report configuration) 정보와 관련된다. 측정 오브젝트라함은 측정 영역(예를 들어, 측정 대역폭(bandwidth), 측정 주파수(measurement frequency, 또는 center frequency)를 포함하는 영역)과 해당 측정 주파수에서 측정할 수 없는 셀인 블랙리스트셀화된 셀(black listed cell)과 측정해야 하는 리스트화된 셀(listed cell) 등을 포함한 정보이다. 보고 설정 정보라 함은 해당 측정 보고의 목적과 방식 등에 대한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말한다. 상기 측정 보고의 방식이 이벤트 트리거(event trigger) 방식일 경우, 이벤트 A1 내지 이벤트 A6, 또는 이벤트 B1 내지 이벤트 B2 등이 정해질 수 있다.
여기서,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단말에 대하여 측정 설정이 수행되는 셀과 관련하여, 서빙 셀(serving cell)은 주서빙셀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서빙셀을 말하고, 네이버링 셀(neighboring cell)은 측정 ID(measurement ID)가 해당 측정 오브젝트가 지칭하는 측정 영역(예를 들어, 측정 대역폭 또는 측정주파수 포함)에서 타겟팅(targeting)하는 셀 이외의 모든 셀을 말한다. 타겟팅하는 셀은 주서빙셀일 수도 있고, 서빙셀일 수도 있다. 각각의 타겟팅하는 셀은 해당 측정 ID와 관련되어 있는 보고 설정 정보에 따라 다르게 정해진다. 예를 들면 A1, A2, A3 이벤트의 경우는 타겟팅 셀이 주서빙셀이 되고, A6 이벤트의 경우는 부서빙셀이 된다.
또한, 리스트화된 셀(listed cell, 이하 리스트셀이라 한다)은 측정 오브젝트(measurement object)내에서 리스트화된 셀을 말하고, 감지된 셀(detected cells)은 측정 오브젝트내에서 리스트화된 셀은 아니지만 측정 오브젝트에 의해 지시된 반송파 주파수에서 단말에게 감지된 셀을 말한다. 블랙리스트화된 셀(black listed cell, 이하 블랙리스트셀이라 한다.)은 측정 오브젝트내에서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에서 제외된 셀을 의미한다. 측정 보고에서 제외되었다함은 해당 셀에 대해서는 측정 결과의 평가를 수행하지 않으며 측정 결과를 보고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측정 결과의 평가를 수행하지 않는다함은 측정에 의해서 리포트 트리거(report trigger)를 위해 측정 결과를 임계치와 비교하는 기작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측정 오브젝트는 측정을 수행하는 객체를 의미한다. 해당 객체는 하나의 반송파 대역을 포함하며, 해당 반송파 대역의 측정 오프셋, 블랙리스트셀, 리스트셀 등을 포함한다. E-UTRA에서, 단말은 블랙리스트셀을 제외한 서빙셀, 리스트셀 및 감지된 셀을 측정하고 보고한다.
상기 측정 설정을 기초로, 단말은 IDC 지원 정보 트리거링을 수행하고 IDC 지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측정 설정은 IDC 지원 정보 트리거링이 수행되는 주파수 대역 또는 IDC 지원 정보 내의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과 관련될 수 있다.
한편, 측정 설정된 총 주파수 대역(즉, 측정 설정에 의해서 설정된 모든 측정 영역) 내에서 서빙셀(주서빙 셀 또는 부서빙셀)과 관련된(linked) 주파수를 서빙주파수라고 하고, 측정 설정된 총 주파수 대역내에서 서빙주파수가 아닌 주파수(즉, 단말에 측정 설정되었지만 서비스를 받고 있지 않은 주파수 대역)들을 비서빙주파수라 한다. 또한, 서빙셀 중 주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를 주서빙주파수, 서빙셀 중 부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를 부서빙주파수라고 한다. 서빙주파수 내에 리스트셀, 블랙리스트셀, 및 감지된 셀이 있고, 서빙셀내에 서빙주파수가 있다.
예를 들면, 측정 설정된 주파수의 EARFCN 값이 1,2,3,4,5 이고 주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의 EARFCN 값은 3이고 부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의 EARFCN 값이 4,5인 경우, 서빙주파수의 EARFCN 값은 3,4,5이고, 비서빙주파수의 EARFCN 값은 1,2이다. 주서빙주파수의 EARFCN 값은 3이고, 부서빙주파수의 EARFCN 값은 4, 5 이다.
이하에서, 주서빙셀(또는 부서빙셀, 또는 비서빙셀)에 관한 설명은 주파수를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의 경계 값에 해당하는 EARFCN 값은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인 서빙주파수 범위 내에서만 결정된다.
한편, 상기 측정 설정에 있어서, 측정 결과 보고를 위하여 설정된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f1, f2)에 대해서는 측정 설정이 수행되지만, 측정 결과 보고를 위하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은 아니지만 단말이 감지(detection)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f3)에 대해서는 측정 설정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은 상기 f1 및 f2에 대해서만 IDC 지원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며, f3에 대해서는 IDC 지원 정보를 생성하거나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는 측정 보고의 설정(measurement report configuration)도 포함할 수 있으며, A3 이벤트 또는 A6 이벤트와 같은 트리거링 조건이 되는 이벤트마다 측정 ID(measurement ID)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는 IDC 지원 정보 트리거링의 후보(candidate) 주파수에 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는 IDC 지원 정보 트리거링을 제한하도록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는, 수시로 변하는 IDC에 의하여 빈번한 트리거링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prevent)하기 위하여 단말에 설정되는 차단 타이머(IDC prohibit timer)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DC의 발생을 검출하여 간섭 정보를 전달한 단말은 상기 차단 타이머 구동중인 시간 동안에는 IDC의 발생을 다시 검출하더라도 상기 기지국에게 간섭 정보를 전달하지 않는다. 이는, 단말로 하여금 IDC 발생에 따른 간섭 정보의 빈번한 전달을 방지하고 상향링크 전송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단말은 소정의 시간동안 차단 타이머에 의해 IDC 지원 정보의 전송을 중단(또는 금지,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차단 타이머는 네트워크(또는 기지국)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차단 타이머의 길이는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서빙셀 별로 차단 타이머가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고, 하나의 단말에 하나의 차단 타이머가 설정될 수도 있다. 하나의 단말에 하나의 차단 타이머가 설정될 경우, 모든 서빙셀에 동일한 차단타이머가 설정되고 사용된다.
단계 S1705에 이어서, 단말은 IDC 트리거링 조건을 기초로 IDC 지원 정보 트리거링(이하 IDC 트리거링이라 한다)을 수행한다(S1710). 즉, IDC 지원 정보의 전송을 트리거링한다. 상기 IDC 트리거링은 측정과 동시에 수행되거나, 측정이 상기 IDC 트리거링 보다 먼저 수행되거나, 상기 IDC 트리거링이 측정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IDC 트리거링은, 단말 내부의 판단에 따라, 단말의 IDC 진행중(on-going IDC) 여부를 기준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IDC 트리거링 조건은 상기 도 1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IDC 진행중인지 여부가 될 수 있으며, 그 판단 기준은 단말 내부의 판단에 따를 수 있다.
다른 예로, IDC 상황에 의해 통신에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겪게 될 수 있는 상황인지에 대하여 단말 내부의 판단(implementation)에 따라서 IDC 트리거링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단말의 내부의 판단에 따른 IDC 트리거링 조건은 테스트 케이스(test case), IDC 간섭 세기 및 활동성(activity), PER(packet error rate), 또는 측정 결과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IDC 활동성이라 함은 시간 상으로 IDC가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가에 대한 지표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IDC가 발생하지 않는 서브프레임과 IDC가 발생하는 서브프레임의 비율로 정의될 수 있고, 가능한 구현 예로 매 서브프레임 가중치 기반의 평균치를 구하는 방안이 있다.
한편, 일 예로, IDC 트리거링이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은 상기 RRC 연결 재설정을 통해 측정 설정된 주파수 대역 중 주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즉, 주서빙주파수에서 IDC 트리거링이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IDC 트리거링이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은 상기 RRC 연결 재설정을 통해 측정 설정된 주파수 대역 중 부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즉, 부서빙주파수에서 IDC 트리거링이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IDC 트리거링이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은 단말에게 측정 설정은 되었지만 서비스를 받고 있지 않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비서빙주파수에서 IDC 트리거링이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주서빙주파수, 부서빙주파수 또는 비서빙주파수의 조합으로 구성된 주파수 대역에서 IDC 트리거링이 발생할 수 있다.
단계 S1710에 이어서, 단말은 IDC 지원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715). IDC 지원 정보는 IDC 지시 정보(IDC indication information)라고도 부른다. 이때, 단말에서 측정된 측정 결과(measurement result)과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
IDC 지원 정보는 FDM 기반의 IDC 해결방법(IDC solution)을 위한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하거나, TDM 기반의 IDC 해결방법을 위한 TDM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DC 지원 정보는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은 IDC 진행중인 주파수 대역을 의미하거나, IDC 진행중인 주파수 대역 뿐만 아니라 잠재적 IDC 발생가능 주파수 대역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IDC 지원 정보는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의 모든 EARFCN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IDC 지원 정보는 측정 보고에 의해서 설정된 총 주파수대역내서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의 모든 EARFCN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IDC 지원 정보는 상기 최소 경계값에 해당하는 EARFCN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해당 EARFCN이 포함되어 있는 밴드(동작 밴드, operating band) 내에서 최소 경계값보다 큰 주파수 대역이 사용 불능 주파수임을 지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IDC 지원 정보는 상기 최대 경계값에 해당하는 EARFCN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해당 EARFCN이 포함되어 있는 밴드(동작 밴드) 내에서 최대 경계값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이 사용 불능 주파수 임을 지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IDC 지원 정보에 포함되는 EARFCN이 최대 경계값 인지 최소 경계값인지 여부가 미리 정해지거나, EARFCN이 최대 경계값 인지 최소 경계값 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자(경계 타입 지시자)가 상기 IDC 지원 정보에 더 포함되어 전송되거나, 상기 IDC 지원 정보에 포함된 EARFCN이 속한 동작 대역의 번호를 기준으로 경계값의 타입이 암시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IDC 지원 정보는 측정 설정에 의해서 결정된 총 주파수 대역 내에서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의 경계값에 해당하는 EARFC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계값은 해당 EARFNC 값이 포함되어 있는 밴드 내에서 최대 경계값 또는 최소 경계값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IDC 지원 정보가 EARFCN를 포함하며, 상기 EARFCN은 상기 EARFCN이 존재하는 동작 밴드 영역 자체가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임을 지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EARFCN이 지시하는 주파수 대역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동작 대역이 복수 개일 경우, 상기 IDC 지원 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동작 대역 모두가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임을 지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IDC 진행중인 주파수 대역 중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과 관련성이 있는 주파수 대역만 시그널링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의 EARFCN 값이 1,2,3,4,5이고, IDC 진행중인 주파수 대역의 EARFCN 값이 3보다 작거나 같고(즉, 최대 경계값이 3), 1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즉, 최소 경계값이 10), 단말에 의해 최대 경계값 3만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최소 경계값 10은 현재 측정 설정된 주파수 대역(1,2,3,4,5)을 벗어난 범위이며,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내에서만 경계값이 결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예로, IDC 진행중인 주파수 대역 중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모든 EARFCN 값(1,2,3)이 시그널링 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IDC 지원 정보는 TDM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DM 패턴 정보를 통해 DRX 동작 수행을 위한 DRX 파라미터와 관련된 값들이 추천되어 전달될 수 있다. 일 예로, DRX 주기, DRX 활동 구간, DRX 주기 시작 오프셋 값들이 전송된다. 또는 DRX 주기, 지속구간타이머, DRX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들이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DRX 주기 및 DRX 서브프레임 오프셋의 단위는 서브프레임이다. 지속구간 타이머 또한 서브프레임 단위로 주어질 수 있다. 하지만 지속구간타이머는 PDCCH-서브프레임 단위일 수 있다.
일 예로, TDM 패턴 정보는 하나의 단말당 모든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TDM 패턴 정보는 하나의 단말이 서비스를 받고 있는 서빙 주파수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TDM 패턴 정보는 서빙주파수에 대해서 적용되는 하나의 TDM 패턴 정보 및, 비서빙주파수에 대해서 적용되는 하나의 TDM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 비서빙주파수에 대한 TDM 패턴은 단말(또는 기지국)의 결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왜냐하면, 만약 단말이 상기 비서빙주파수로 핸드오버를 하려고 할 때 IDC의 영향을 받아 핸드오버를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단말이 비서빙주파수에 대한 TDM 패턴을 기지국으로 미리 전송하고, 소스 기지국에서 타겟 기지국으로 TDM 패턴을 전달(forwarding)하면, 단말은 상기 TDM 패턴을 기초로 IDC를 고려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비서빙주파수에 대한 TDM 패턴이 없어도 기지국이 서빙주파수에 대하여 IDC 동작은 수행하는데에는 문제가 없다.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은 주서빙주파수를 포함하거나, 부서빙 주파수를 포함하거나, 비서빙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IDC 지원 정보 내의 사용 불능 주파수가 서빙주파수를 포함하면 기지국은 IDC 트리거링이 서빙주파수를 기준으로 수행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사용 불능 주파수가 주서빙주파수를 포함하면 기지국은 IDC 트리거링이 주서빙주파수를 기준으로 수행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사용 불능 주파수가 주서빙주파수를 포함하지 않지만 부서빙주파수를 포함하면 기지국은 IDC 트리거링이 부서빙주파수를 기준으로 수행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IDC 지원 정보 내의 사용 불능 주파수가 서빙주파수 및 비서빙주파수를 모두 포함하면, 기지국은 IDC 트리거링이 서빙주파수 및 비서빙주파수 모두를 기준으로 수행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IDC 지원 정보 내의 사용 불능 주파수가 비서빙주파수만 포함하면 기지국은 IDC 트리거링이 비서빙주파수를 기준으로 수행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IDC 트리거링이 서빙주파수를 기초로 수행되는 경우, 모든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 하나의 단말은 하나의 TDM 패턴 정보만 수신할 수도 있고, 서빙주파수와 비서빙주파수 각각에 대한 TDM 패턴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단,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단말은 주서빙셀 및 부서빙셀에서 공용 DRX 패턴을 사용한다. 즉,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이 DRX 패턴을 공유한다. 따라서 단말은 주서빙셀에 대한 TDM 패턴과 부서빙셀에 대한 TDM 패턴을 구별하지는 않는다.
반면, 주서빙주파수 및 부서빙주파수에 대해서는 하나의 TDM 패턴을 적용하고, 비서빙 주파수에 대해서는 서빙주파수에 적용되는 TDM 패턴과 다른 TDM 패턴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에서 정의되는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TDM 패턴 정보가 추천되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 설정된 주파수의 EARFCN 값이 1,2,3,4,5이고, IDC 영향을 받는 주파수의 EARFCN 값의 최대 경계값이 3인 경우,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의 EARFCN 값은 1,2,3이고, 각각의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 DRX 파라미터들이 시그널링 된다.
해당 시그널링을 위하여 각각의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과 TDM 패턴(또는 DRX 파라미터) 간의 관계를 표현하기 위한 추가적인 시그널링도 가능하다. 일 예로,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의 EARFCN 값의 개수를 지시하는 시그널링이 추가될 수 있으며,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의 EARFCN 값의 개수를 통해서 TDM 패턴의 총 개수를 알 수 있다.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의 EARFCN 값의 개수를 지시하는 시그널링에서,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의 EARFCN 값이 증가하는 순으로 TDM 패턴이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의 EARFCN 값으로 2,3,6,7이 시그널링이 되고 TDM 패턴은 4가지(패턴1, 패턴2, 패턴3, 패턴4)가 시그널링될 때, TDM 패턴은 시그널링 순서에 따라 EARFCN 값 2,3,6,7에 각각 매핑(mapping)될 수 있다. 즉, TDM 패턴1은 EARFCN값 2와 매핑되고, TDM 패턴2는 EARFCN값 3과 매핑되고, TDM 패턴3은 EARFCN값 6과 매핑되고, TDM 패턴4는 EARFCN값 7과 매핑된다.
또는,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의 EARFCN 값의 개수를 지시하는 시그널링에서,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의 EARFCN 값 각각과 TDM 패턴이 직접 매핑될 수 있다. 즉, TDM 패턴이 시그널링 될 때 각 TDM 패턴에 매핑되는 EARFCN 값이 동시에 시그널링 된다. 만약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이 EARFCN 값으로 직접 표현되면 각 EARFCN 값에 TDM 패턴이 짝을 이루어 동시에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만약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이 경계값으로 표현되면 EARFCN 값 각각에 대한 추가 시그널링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IDC 지원 정보는 단말 내에서 IDC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다른 통신 시스템의 종류와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통신 시스템의 종류 정보는 WLAN, BT 또는 GNSS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른 통신 시스템의 타입 정보는 음성 통신 타입, 멀티미디어 VOD와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 타입 또는 오프로드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통신 시스템의 종류 및 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715에 이어서,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IDC 지원 정보를 기초로 IDC 해결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며, IDC 해결 동작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가장 적절한 IDC 해결방법(IDC solution, 또는 IDC 제어 방법(IDC coordination scheme))을 선택한다. 상기 IDC 지원 정보와 함께 측정결과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IDC 해결방법으로 TDM 동작을 선택(select, 또는 결정(determine))한다(S1720).
이때, 상기 IDC 지원 정보에 포함되는 사용 불능 주파수가 IDC 해결 동작 수행여부의 기준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기지국은 상기 IDC 지원 정보에 포함된 사용 불능 주파수를 기초로 상기 IDC 트리거링이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을 판단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은 주서빙주파수를 포함하거나, 부서빙 주파수를 포함하거나, 비서빙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사용 불능 주파수가 주서빙주파수를 포함하면 기지국은 IDC 트리거링이 주서빙주파수를 기준으로 수행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사용 불능 주파수가 주서빙주파수를 포함하지 않지만 부서빙주파수를 포함하면 기지국은 IDC 트리거링이 부서빙주파수를 기준으로 수행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사용 불능 주파수가 서빙주파수를 포함하지 않지만 비서빙주파수를 포함하면 기지국은 IDC 트리거링이 부서빙주파수를 기준으로 수행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IDC 트리거링이 발생되는 주파수가 어느 주파수인지에 따라(주서빙주파수인지, 부서빙주파수인지, 또는 비서빙주파수인지)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이 구별된다.
1. IDC 트리거링이 발생되는 주파수가 주서빙주파수인 경우
IDC 트리거링이 주서빙주파수를 기준으로 수행된 경우, IDC가 주서빙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였으므로, 주서빙주파수에서 계속 서비스를 원활히 제공하기 위하여(또는 주서빙셀의 보호를 위하여) 기지국은 IDC 해결 동작을 수행한다. 주서빙주파수 및 부서빙주파수 모두에서 IDC 트리거링이 발생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이때, TDM 해결방법이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기지국은 TDM 해결방법을 지시하며(S1725), 상기 TDM 해결방법은 상기 도 9 내지 도 15에 따른 동작일 수 있다. 이때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측정 재설정을 포함하는 절차(단계 S1730 내지 단계 S1740)가 불필요하다. 반면, TDM 해결방법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FDM 해결방법을 위해서 단말의 측정 결과가 필요하므로 기지국은 측정을 재설정한다(S1725). 예를 들어, IDC 문제를 완벽히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부하 균형화(load balancing)를 필요로 하는 경우, 또는 TDM 해결방법 대비 리소스 제약이 적은 해결방법인 FDM 해결방법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이다. 상기 측정 결과는 S-측정 방법을 기초로 측정이 수행된 결과일 수 있다.
측정 재설정의 일 예로, 기지국은 IDC 의 완벽한 제거를 위해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을 블랙리스트셀에 추가하거나,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측정을 수행하지 않도록 측정 재설정 내의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과 관련된 측정 오브젝트를 제거하거나, 측정 오브젝트에 대한 S-측정 기준값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은 추가적인 RRC 재설정 절차를 통해 측정 오브젝트에 대한 S-측정 기준값을 비교적 작은 값으로 변경하거나 아예 없애도록 측정 재설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S-측정 기준값은 일반적인 이동성(mobility, 또는 핸드오버(handover))을 위한 S-측정 기준값에 비하여 소정의 작은 값(예를 들어, 1dB)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성을 위한 S-측정 기준값은 타겟 기지국의 채널 상태가 소스 기지국의 채널 상태보다 3dB 이상 큰 경우에 해당하는 값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라서 S-측정 기준값이 변경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시나리오 A는 이동성(또는 핸드오버)을 위한 S-측정 기준값과 같이 비교적 큰 기준값이 설정되어 있는 상황을 나타낸다. 시나리오 B는 본 발명에 따라서 비교적 작은 S-측정 기준값이 설정되어 있는 상황을 나타낸다.
시나리오 A에서는 S-측정 기준값이 크기 때문에 IDC 영향을 제거한 측정 결과가 작을 수 있고, 이웃셀에서 측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시나리오 B에서는 S-측정 기준값이 작기 때문에 IDC 영향을 제거한 측정 결과가 작아도 이웃셀에서 측정을 수행하고 그 측정 결과를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다.
IDC 진행중인 경우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간의 경로감쇄나 셀 간 간섭 등을 고려한 채널 상태는 큰 차이가 나지 않더라도, IDC로 인하여 소스 기지국 혹은 타겟 기지국에서의 채널 상태가 나빠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IDC 영향을 제거한 측정 결과를 기초로 판단하면 채널 상태의 차이가 크지 않지만 IDC 영향을 포함한 측정 결과는 채널 상태의 차이가 큰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S-측정 기준값이 큰 값이라면, IDC의 영향으로 채널 상태가 나빠졌음에도 S-측정 이벤트가 트리거되지 않아 FDM을 위한 측정 결과를 기지국이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FDM 동작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S-측정이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S-측정 이벤트의 트리거링 동작에 쓰이는 측정 값 자체가 존재하기 어려워 상기 트리거링 동작이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S-측정이란 소정의 기준값(S-측정 기준값이라 한다)보다 주서빙셀의 측정결과가 작을 때, 이웃셀에서 측정을 수행하지 않는 측정을 말한다. 상기 S-측정 기준값과 비교 대상이 되는 측정값은 주서빙셀의 RSRP이다. 일반적인 이동성(또는 핸드오버)을 위한 S-측정 기준값은 충분히 큰 값으로 정해진다. S-측정 기준값이 충분히 크다는 것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시 타겟 기지국의 채널 상태가 소스 기지국의 채널 상태에 비하여 충분히 큰 경우에 측정 결과의 보고가 수행되고,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채널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경로감쇄, 셀 간 간섭, 인접 채널 간섭, 열 잡음 등이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측정 설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기지국에서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 안의 측정 설정 정보 요소(Measurement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를 통해 단말로 전송하는 측정 오브젝트(1900)는 측정 설정된 주파수 대역 f1(1910), f2(1920), f3(1930), f4(1940)을 포함한다.
주파수 대역 f1(1910)에서 설정된 리스트셀은 Cell3, Cell4이고, 블랙리스트셀은 Cell6이다. 단말에서 감지된 셀은 Cell5이라고 하자.
주파수 대역 f2(1920)에서 설정된 리스트셀은 Cell7이고, 블랙리스트셀은 Cell9이다. 단말에서 감지된 셀은 Cell9이라고 하자.
주파수 대역 f3(1930)에서 설정된 리스트셀은 Cell10, Cell11이고, 블랙리스트셀은 Cell13이다. 단말에서 감지된 셀은 Cell12이라고 하자.
주파수 대역 f4(1940)에서 설정된 리스트셀은 Cell14이고, 블랙리스트셀은 Cell16이다. 단말에서 감지된 셀은 Cell15이라고 하자.
또한, 단말은 주서빙셀 Cell1 및 부서빙셀 Cell2를 통해서 서비스를 수신하다고 하자.
이때, 측정 가능 주파수 대역은 측정 설정된 모든 주파수 대역인 f1, f2, f3 및 f4이다.
또한, 측정 결과에 대하여 측정 가능 셀은 (1) 일 예로, 상기 측정 가능 주파수 대역 중 블랙리스트 셀이 아닌 모든 셀(감지된 셀, 리스트 셀 및 서빙셀)들일 수 있으며, 이때, f1에 대하여 리스트셀 Cell3, Cell4 및 감지된 셀 Cell5이고, f2에 대하여 리스트셀 Cell7 및 감지된 셀 Cell8이고, f3에 대하여 리스트셀 Cell10, Cell11 및 감지된 셀 Cell12이고, f4에 대하여 리스트셀 Cell14 및 감지된셀 Cell15이고, 서빙셀인 Cell1 및 Cell2이다.
또는, 측정 결과에 대하여 측정 가능 셀은 (2) 다른 예로, 상기 측정 가능 주파수 대역 중 서빙셀들과 블랙리스트셀이 아닌 감지된 셀 및 리스트셀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베스트셀(여기서, 베스트 셀이란 측정 세기가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가장 큰 셀을 의미한다)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서빙셀 Cell1 및 Cell2이고, f1에 대한 베스트셀 Cell4, f2에 대한 베스트셀 Cell8, f3에 대한 베스트셀 Cell12, f4에 대한 베스트셀 Cell5이다. 단, 어느셀이 베스트셀인지는 일 예이며, 주파수 대역마다 베스트셀이 다른 셀로 결정될 수도 있다.
또는, 측정 결과에 대하여 측정 가능 셀은 (3) 또 다른 예로, 상기 측정 가능 주파수 대역 중 주서빙셀과 블랙리스트셀이 아닌 감지된 셀 및 리스트셀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베스트셀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주서빙셀 Cell1과, f1에 대한 베스트셀 Cell4, f2에 대한 베스트셀 Cell8, f3에 대한 베스트셀 Cell12, f4에 대한 베스트셀 Cell15이다. 단, 어느셀이 베스트셀인지는 일 예이며, 주파수 대역마다 베스트셀이 다른 셀로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서빙셀은 측정 가능 주파수 대역에 대한 셀들 중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한편, 단말이 기지국으로 측정 결과를 전송하는데(S1730), 측정 결과에 포함되는 측정값은 IDC 영향(affection)이 제거된 측정값일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라서 IDC 영향이 제거된 측정값을 얻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단말의 LTE DL 수신에 대하여 ISM 전송으로 인하여 IDC가 발생한다. IDC 발생 구간(2000)은 단말이 전체 측정샘플들로부터 측정 결과를 도출하는 필터링(filtering) 과정에서 제거되는 측정샘플들이다. 단말은 IDC 발생 구간(2000)을 제외한 나머지 측정샘플들을 기초로 측정값을 계산한다.
다음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측정값을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을 참조하면, Mn은 가장 최근의 측정 샘플이고, Fn은 측정 보고에 의해 보고될 측정값이며, Fn -1은 이전의 측정보고에 의해 보고된 측정값이고, a는 1/2(k/4)이고, k는 필터링을 위해 사용되는 필터 상수(filter coefficient)이다.
측정 샘플은 서브프레임 단위의 측정값으로서, 측정보고에 의해 보고될 측정 결과를 도출하는데 필요한 변수이다.
또는, 측정 샘플은 단말이 수신한 모든 서브프레임에 대한 측정값들 중 무선 시스템에서 정의한 규칙에 의해 선택된 서브프레임 대한 측정값을 의미한다.
측정 샘플은 단말의 물리계층에서 획득될 수 있고, 필터링은 단말의 상위계층, 예를 들어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에서 수행될 수 있다.
측정 샘플은 매 서브프레임마다 연속적으로 획득될 수도 있지만 단말의 용량이나 시스템에서 정의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에서 불연속적으로 획득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측정 샘플이 획득된 후 일정 시간의 이격구간 이후에 또 다른 측정 샘플이 획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일부 서브프레임에 대해서는 측정 샘플이 획득되지 않는다. 상기 이격구간은 주기적(periodic)일 수도 있고, 비주기적(aperiodic)일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IDC 발생 구간(2000)에 대한 IDC 영향이 없는 측정 샘플을 구하기 위하여, 단말 내부에서 IDC 간섭을 발생시키는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 자의적 거부(autonomously denial)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LTE 대역의 측정을 위해, 해당 측정 샘플 대해서는 ISM 전송을 자의적 거부한다.
자의적 거부 방식과 유사하게, ISM 전송 전력을 줄이는 방식도 가능하다. 전송 전력을 상당부분 줄임으로써 IDC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IDC 발생 구간(2000)에 대한 IDC 영향이 없는 측정 샘플을 구하기 위하여, 상기 IDC 영향이 있는 측정 샘플들에 대해서 IDC 간섭 세기를 단말 내부에서 측정하고 이를 감안하여 계산하는 방법이 있다. 즉, IDC 영향있는 측정 샘플들에서 IDC 간섭 크기만 제거하는 방법이다.
먼저, RSRQ 기반으로 구하는 서빙셀 혹은 이웃셀에서의 IDC의 영향이 있는 측정 샘플은 개념적으로 다음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S는 서빙셀을 통한 수신 신호의 세기이고, I는 시스템에 작용하는 간섭 신호(예를 들면, 셀 간 간섭)의 세기이며, N은 잡음(예를 들면, 열 잡음)의 세기이고, I'은 IDC의 세기이다. 측정 샘플은 수신 신호의 IDC 및 셀 간 간섭에 대한 상대적 비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측정 샘플에서 IDC 간섭을 제거하는 방법은 다음 수학식과 같다.
Figure pat00003
이때, I' 값은 단말 내부의 구현에 따라 서로 다른 방법으로 구할 수 있으며, I'값을 제거함으로써 I'의 영향이 없는 측정 샘플을 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IDC 발생 구간(2000)에 대한 IDC 영향이 없는 측정 샘플을 구하기 위하여, IDC 영향 있는 샘플의 수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적은 경우 IDC 영향있는 측정 샘플들의 영향을 평균 필터링(average filtering)만으로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IDC 영향이 없는 측정 샘플은 상기 수학식 2에 따라서 구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라서 IDC 영향이 제거된 측정값을 얻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단말은 IDC가 발생하는 서빙셀이나 이웃셀(neighbor cell)에서의 IDC가 발생하는 구간(제1 구간)에서는 IDC의 영향이 있는 측정 샘플을 구하고, IDC가 발생하지 않는 구간(제2 구간)에서는 IDC의 영향이 없는 측정 샘플을 구한다. 그리고, 단말은 IDC가 발생하지 않는 서빙셀이나 이웃셀에서의 IDC와 상관 없이 전구간(제3 구간)에서 측정 샘플을 구한다. 이때, 단말은 각 구간에서 매 서브프레임, 또는 일정 서브프레임, 또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측정 샘플을 구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구간에서 IDC의 영향이 있는 측정 샘플은 IDC, 셀 간 간섭(예를 들어, 동일채널의 서빙셀 및 비서빙셀의 간섭, 인접 채널 간섭 등) 및 열 잡음을 모두 합한 간섭의 영향을 모두 고려한 측정 샘플이고, 제2 구간에서 IDC의 영향이 없는 측정 샘플은 셀 간 간섭 또는 열 잡음의 영향만 있는 측정 샘플이다.
또 다른 실시 예로, IDC가 발생하는 서빙셀이나 이웃셀에서 전 구간에 걸쳐서 IDC에 의해 발생하는 간섭의 영향을 측정 샘플에서 제거하기 위하여 해당 측정 샘플에 대해서는 ISM의 전송을 방지하는 방안을 취할 수 있다. ISM의 전송을 방지한다 함은 ISM의 전송 전력을 상당히 작은 수준으로 줄이는 방안일 수 있다. 상당히 작은 수준이라 함은 LTE 수신단에서의 LTE 수신 신호 대비 ISM의 IDC 간섭 세기가 -20dB 정도로 작은 예를 들 수 있다. ISM의 전송을 방지함의 다른 실시 예로 해당 샘플에 대해서는 ISM 전송이 보류되거나 전송을 하지 않는 방안이 있다. 즉, ISM의 전송이 계획되어 있었으나 시간상으로 보류하거나 해당 전송이 단말에 의해 거부될 수 있다. 이런 방식에 의하면 전 구간에서는 기기내 공존간섭의 영향이 제거된 측정 샘플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여기서 IDC의 영향이 없는 측정 샘플은 셀 간 간섭 또는 열 잡음의 영향만 있는 측정 샘플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IDC가 발생하는 서빙셀이나 이웃셀에서 제 1구간에 대해서는 두 가지의 측정 샘플이 얻어질 수 있다. 두 가지의 측정 샘플이라 함은 IDC 간섭의 영향을 포함한 측정 샘플과 IDC 간섭의 영향을 제거한 측정 샘플을 의미한다. IDC 간섭의 영향을 제거한 측정 샘플은 해당 샘플에서 간섭 제거 기법을 적용하여 간섭의 영향이 없는 측정값을 가지는 측정 샘플을 의미한다. 간섭 제거 기법의 한 실시 예로 ISM 송신단에서의 ISM 전송 전력의 세기만큼을 해당 샘플에서의 SINR 값에서 보정해주는 방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 시스템은 IDC가 발생할 때 간섭의 영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말한다. 간섭에 의해서 공격을 받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2 네트워크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상향링크에 의해서 ISM 수신단에 간섭을 받을 때에는 ISM이 제2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반대로 ISM 송신단에 의해서 LTE 하향링크의 수신단에 간섭을 받을 때에는 LTE 시스템이 제2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RSRQ 기반으로 구하는 서빙셀이나 이웃셀에서의 IDC의 영향이 없는 측정 샘플은 개념적으로 다음 수학식과 같다.
Figure pat00004
여기서, S는 제2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웃셀을 통한 수신 신호의 세기이고, I는 제2 네트워크 시스템에 작용하는 간섭 신호(예를 들면, 셀 간 간섭)의 세기이며, N은 잡음(예를 들면, 열 잡음)의 세기이다. 즉, 측정 샘플은 수신 신호의 간섭과 잡음에 대한 상대적 비율을 의미한다.
RSRP 기반으로 구하는 서빙셀이나 이웃셀에서의 IDC의 영향이 없는 측정 샘플은 개념적으로 다음 수학식과 같다.
Figure pat00005
여기서, S는 제2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웃셀을 통한 수신 신호의 세기를 뜻한다. 즉, 측정 샘플은 제2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해당 이웃셀에서의 수신 신호의 강도를 의미한다.
RSRQ 기반으로 구하는 서빙셀 혹은 이웃셀에서의 IDC의 영향이 있는 측정 샘플은 개념적으로 상기 수학식 2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RSRP 기반으로 구하는 서빙셀 또는 이웃셀에서의 IDC의 영향이 있는 측정 샘플은 개념적으로 다음 수학식 6과 같다.
Figure pat00006
여기서, I'는 IDC의 세기이며, 측정 샘플은 서빙셀에서의 IDC 신호의 강도를 의미한다. S는 제2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수신 신호의 세기이다. 만약 IDC의 영향만을 측정하려고 한다면 I'이 결과값이 될 것이다. 만약 IDC이 섞인 값이 측정될 경우 S+I'가 결과값이 될 것이다. 만약 IDC을 제거한 값이 측정될 경우 S가 결과 값이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측정을 수행하는 개체(예를 들면, 단말)는 하나의 개체일 수 있고, 측정을 수행하는 개체는 복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DC를 고려한 측정을 수행하는 개체와 IDC를 고려하지 않은 측정을 수행하는 개체가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측정 결과는 어느 IDC 해결방법이 더 적절한지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DM 동작을 위한 타겟셀의 채널 품질이 나쁘면, 기지국은 서빙셀의 IDC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TDM 해결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1730에 이어서, 기지국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IDC 해결방법으로 FDM 동작을 선택(또는 결정)하고(S1735), 기지국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FDM 동작 지시(FDM order)를 포함시켜 단말로 전송한다(S1740). 상기 FDM 동작은 상기 도 5 내지 상기 도 6에 따른 동작일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이 IDC 지원 정보를 기초로 단계 S1720 또는 단계 S1735에서 결정한 IDC 해결방법이 기존에 진행되고 있는 IDC 해결방법과 동일한 경우, 단계 S1725 또는 단계 S1740의 IDC 해결 명령 과정(또는 IDC 해결 동작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2. IDC 트리거링이 발생되는 주파수가 부서빙주파수인 경우
IDC 트리거링이 부서빙주파수를 기준으로 수행된 경우(주서빙주파수에서는 IDC 트리거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단말은 주서빙셀 및 부서빙셀에서 공용 DRX 패턴을 사용하므로, 부서빙주파수를 위하여 TDM 패턴을 적용시킬 경우 주서빙셀에 대하여도 TDM 패턴이 적용되므로 문제가 된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라서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기기내 공존 간섭 제어가 수행되는 것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부서빙주파수에서 IDC 트리거링이 된 경우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기기내 간섭 제어 동작을 나타낸다.
도 22를 참조하면, 단계 S2200 내지 단계 S2210은 상기 도 17의 단계 S1700 내지 S1710과 동일하다.
즉, 단말은 단말의 성능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S2200), 기지국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여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한다(S2205). 기지국은 상기 RRC 연결 재설정을 통해 단말의 IDC 지원 정보의 전송을 인에이블 상태로 허용할 수 있다. 즉,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통해 IDC 지원 정보 인에이블 정보(또는 IDC 지원 정보 인에이블 지시자)가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단계 S2205에 이어서, 단말은 IDC 트리거링 조건을 기초로 부서빙주파수에서 IDC 지원 정보 트리거링을 수행한다(S2210). 부서빙주파수 뿐만 아니라 비서빙주파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지만 주서빙주파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도 17의 실시예를 적용한다.
단계 S2210에 이어서, 단말은 IDC 지원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2215).
기지국은 상기 IDC 지원 정보내의 사용 불능 주파수를 기초로 IDC 트리거링된 주파수 대역을 판단하여, 비서빙주파수에 대해서 IDC 트리거링이 발생한 경우, 기지국은 다음 실시예들 중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실시예1), IDC 제어를 위하여 주서빙셀에서도 TDM 패턴이 적용됨에도 불구하고, 부서빙주파수에 대하여 TDM 패턴을 적용시키는 IDC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주서빙셀은 IDC를 겪지 않지만 부서빙셀의 TDM 패턴의 적용을 위하여 상기 도 17과 같이 서빙주파수에 대하여 동일한 DRX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TDM 해결방법이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기지국은 TDM 해결방법을 적용하며, 상기 TDM 해결방법은 상기 도 9 내지 도 15에 따른 동작일 수 있다. 반면, TDM 해결방법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FDM 해결방법을 위해서 단말의 측정 결과가 필요하므로 기지국은 측정을 재설정한다.
다른 예로(실시예2), 기지국은 부서빙셀을 제거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220). 부서빙셀을 제거하는 경우, 단말은 별도의 IDC 해결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IDC 영향 없이 주서빙주파수(또는 사용 불능 주파수가 아닌 부서빙주파수)를 통해서 서비스를 원활하게 수신할 수 있다.
3. IDC 트리거링이 발생되는 주파수가 비서빙주파수인 경우
IDC 트리거링이 비서빙주파수에만 대해서 발생한 경우, 현재 단말이 IDC로 인한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IDC 해결 동작이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추후 TDM 패턴의 적용을 위한 기지국의 추가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라서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기기내 공존 간섭 제어가 수행되는 것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비서빙주파수에서 IDC 트리거링이 된 경우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기기내 간섭 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단계 S2300 내지 단계 S2310은 상기 도 17의 단계 S1700 내지 S1710과 동일하다.
즉, 단말은 단말의 성능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S2300), 기지국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여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한다(S2305). 기지국은 상기 RRC 연결 재설정을 통해 단말의 IDC 지원 정보의 전송을 인에이블 상태로 허용할 수 있다. 즉,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통해 IDC 지원 정보 인에이블 정보(또는 IDC 지원 정보 인에이블 지시자)가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단계 S2305에 이어서, 단말은 IDC 트리거링 조건을 기초로 비서빙주파수에서 IDC 지원 정보 트리거링을 수행한다(S2310). 주서빙주파수 또는 부서빙주파수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 17 또는 상기 도 22의 실시예를 적용한다.
단계 S2310에 이어서, 단말은 IDC 지원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2315).
IDC 트리거링이 비서빙주파수에 대해서 발생한 경우, 기지국은 IDC 제어(또는 회피(avoidance))를 위한 IDC 해결방법을 선택(또는 결정)하고 적용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기지국은 상기 IDC 지원 정보를 기초로 IDC 트리거링된 주파수 대역을 판단하여 서빙주파수가 하나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기지국은 IDC 트리거링이 비서빙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IDC 트리거링이 서빙주파수 대역에서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기지국은 IDC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대신 비서빙주파수에 대하여 발생할 수 있는 통신 서비스의 문제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320).
현재 단말이 통신 서비스 상에 IDC에 의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기지국에서 핸드오버나 IDC 상황의 변화에 따른 통신 서비스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IDC 지원 정보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블랙리스트(또는 블랙리스트셀)가 비서빙주파수인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도록 갱신할 수 있으며, 이후에 단말로 전송하는 측정 설정에 상기 갱신된 블랙리스트(또는 블랙리스트셀)를 포함시킨다.
다른 예로, 기지국은 비서빙주파수인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비서빙주파수에 대한 TDM 패턴을 적용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IDC 동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비서빙주파수에 대한 TDM 패턴은 기지국에게 유용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계 S2315에서 전송되는 IDC 지원 정보에 비서빙주파수에 대한 TDM 패턴이 포함되지 않으면, 단말은 비서빙주파수에 대한 TDM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적인 IDC 지원 정보(additional IDC assistant information)를 전송할 수 있다(도면 미표시).
상기 추가적인 IDC 지원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IDC 지원 정보의 크기를 줄이고 차등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메시지를 구성하여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IDC 지원 정보의 크기가 너무 커지는 것을 방지하여 IDC 지원 정보의 전달의 신뢰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IDC 지원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크기가 너무 크면,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무선 자원이 부족할 경우 여러 번에 걸쳐 나누어져서 전송되어야 하고, 상기 메시지의 모든 조각들이 전송될 때까지 기지국이 정보를 수집하거나 해석할 수 없어서 정보 전달에 지연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서빙주파수에 대한 TDM 패턴 정보는 현재 서빙셀에서 서비스를 받고 있는 통신 상태에 영향을 주는 IDC 진행중 상태를 말해주는 것은 아니지만, 해당 주파수로 핸드오버를 단말이 수행하고자 할 때 또는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 CA)에 의해 해당 주파수에서의 통신을 설정하고자 할 때, 해당 주파수에서 통신 품질 저하를 발생하지 않도록 미리 TDM 패턴을 기지국이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라서 IDC 제어를 수행하는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의 일 예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단말은 단말의 성능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2400). 이때, 단말의 성능 정보는 RRC 메시지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성능 정보는 IDC 지원 정보 구성 능력에 관한 정보 또는 IDC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 상기 IDC 존재가능 주파수 대역은 EARFCN을 이용하여 지시될 수 있다(또는 표현될 수 있다).
단계 S2400에 이어서, 단말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통해 IDC 지원 정보 인에이블을 수신한다(S2405). 상기 IDC 지원 정보 인에이블 지시자는 1비트로 구성된 비트맵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는, 수시로 변하는 IDC에 의하여 빈번한 트리거링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말에 설정되는 차단 타이머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405에 이어서, 단말은 IDC 트리거링 조건을 기초로 IDC 지원 정보 트리거링을 수행한다(S2410).
일 예로, IDC 트리거링이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은 상기 RRC 연결 재설정을 통해 측정 설정된 주파수 대역 중 서빙셀(주서빙셀 또는 부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즉, 서빙주파수에서 IDC 트리거링이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IDC 트리거링이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은 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 대역 뿐만 아니라, 단말에게 측정설정은 되었지만 서비스를 받고 있지 않은 주파수 대역일 수도 있다. 즉, 서빙주파수 및 비서빙주파수에서 IDC 트리거링이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IDC 트리거링이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은 단말에게 측정설정은 되었지만 서비스를 받고 있지 않은 주파수 대역만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비서빙주파수에서만 IDC 트리거링이 발생할 수 있다.
단계 S2410에 이어서, 단말은 IDC 지원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2415). IDC 지원 정보는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하거나, TDM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IDC 지원 정보는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의 모든 EARFCN 값 또는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의 경계값에 해당하는 EARFCN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IDC 지원 정보는 TDM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DM 패턴은 DRX 주기, DRX 활동 구간, 또는 DRX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일 수 있다. 또는, TDM 패턴은 DRX 주기, 지속구간타이머, DRX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들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RX 주기 및 DRX 서브프레임 오프셋의 단위는 서브프레임이다. 지속구간 타이머 또한 서브프레임 단위로 주어질 수 있다. 하지만 지속구간타이머는 PDCCH-서브프레임 단위일 수 있다.
일 예로, TDM 패턴 정보는 하나의 단말당 모든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TDM 패턴 정보는 하나의 단말이 서비스를 받고 있는 서빙 주파수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TDM 패턴 정보는 서빙주파수에 대해서 적용되는 하나의 TDM 패턴 정보 및, 비서빙주파수에 대해서 적용되는 하나의 TDM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 비서빙주파수에 대한 TDM 패턴은 단말(또는 기지국)의 결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에서 정의되는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TDM 패턴 정보가 추천되어 전송될 수 있다.
사용 불능 주파수가 서빙주파수를 포함하지 않고 비서빙주파수만 포함하는 경우(즉, IDC 트리거링이 비서빙주파수에만 대해서 발생한 경우, S2420), 현재 단말이 IDC로 인한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IDC 해결 동작이 불필요하다. 만약, IDC 트리거링이 비서빙주파수에 대해서 발생한 경우, 기지국은 IDC 제어(또는 회피)를 위한 IDC 해결방법을 선택(또는 결정)하고 적용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비서빙주파수에 대하여 발생할 수 있는 통신 서비스의 문제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는 동작을 기지국(또는 단말)의 결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S2460). 즉, 현재 단말이 통신 서비스 상에 IDC에 의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기지국에서 핸드오버나 IDC 상황의 변화에 따른 통신 서비스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정보로서 IDC 지원 정보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만약, IDC 지원 정보와 함께 비서빙주파수에 대한 TDM 패턴이 전송되지 않으면, 추가적인 IDC 지원 정보를 통해서 비서빙주파수에 대한 TDM 패턴 정보를 추가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가 서빙주파수를 포함하되, 주서빙주파수를 포함하지 않고 부서빙주파수만 포함하는 경우(S2425), IDC의 영향을 제거하면서도 주서빙주파수에 대하여는 이전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기지국은 부서빙셀을 제거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430). 부서빙셀을 제거하는 경우, 단말은 별도의 IDC 해결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IDC 영향 없이 주서빙주파수(또는 사용 불능 주파수가 아닌 부서빙주파수)를 통해서 서비스를 원활하게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 불능 주파수가 사용 불능 주파수에 주서빙주파수가 포함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부서빙주파수에 대하여 단계 S2435 이하와 같이 TDM 패턴을 적용시키는 IDC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도면 미표시). 주서빙셀은 IDC를 겪지 않지만 부서빙셀의 TDM 패턴의 적용을 통하여 TDM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가 주서빙주파수를 포함하는 경우(S2425), 단말은 기지국이 선택한 TDM 동작을 수행한다(S2435).
TDM 해결방법이 충분하다고 판단되어 FDM 동작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면(S2440). 단말은 측정 재설정을 포함하는 FDM 동작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절차를 종료한다.
TDM 해결방법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되어 FDM 동작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S2440), FDM 해결방법을 위해서 단말의 측정 결과가 필요하므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측정의 재설정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IDC 문제를 완벽히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부하 균형화를 필요로 하는 경우, 또는 TDM 해결방법 대비 리소스 제약이 적은 해결방법인 FDM 해결방법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이다.
측정 재설정의 일 예로, 기지국은 IDC 의 완벽한 제거를 위해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을 블랙리스트셀에 추가할 수 있다.
측정 재설정의 다른 예로,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측정을 수행하지 않도록 측정 재설정 내의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과 관련된 측정 오브젝트를 제거할 수 있다.
측정 재설정의 또 다른 예로, 측정 오브젝트에 대한 S-측정 기준값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S-측정 기준값은 일반적인 이동성(또는 핸드오버)을 위한 S-측정 기준값에 비하여 작은 값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단계 S2445에 이어서, 기지국이 측정을 재설정한 경우, 단말은 상기 측정 재설정을 기초로 IDC 영향을 제거한 측정을 수행한 측정 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2450). 상기 측정 결과는 S-측정 방법을 기초로 측정이 수행된 결과일 수 있다. 이때,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은 상기 측정 재설정을 기초로 더 낮게 설정된 S-측정 기준값을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2450에 이어서, 단말은 기지국이 선택한 FDM 동작을 수행한다(S2455). 상기 FDM 동작은 상기 도 5 내지 상기 도 6에 따른 동작일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라서 IDC 제어를 수행하는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의 일 예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의 성능 정보를 수신한다(S2500). 이때, 단말의 성능 정보는 RRC 메시지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성능 정보는 IDC 지원 정보 구성 능력에 관한 정보 또는 IDC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 상기 IDC 존재가능 주파수 대역은 EARFCN을 이용하여 지시될 수 있다(또는 표현될 수 있다).
단계 S2500에 이어서, 기지국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통해 IDC 지원 정보 인에이블을 전송한다(S2505). 상기 IDC 지원 정보 인에이블은 1비트로 구성된 비트맵 정보일 수 있다.
단계 S2505에 이어서, 단말로부터 IDC 지원 정보를 수신한다(S2510). IDC 지원 정보는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하거나, TDM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IDC 지원 정보는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의 모든 EARFCN 값 또는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의 경계값에 해당하는 EARFCN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IDC 지원 정보는 TDM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DM 패턴은 DRX 주기, DRX 활동 구간, 또는 DRX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일 수 있다.
일 예로, TDM 패턴 정보는 하나의 단말당 모든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TDM 패턴 정보는 하나의 단말이 서비스를 받고 있는 서빙 주파수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TDM 패턴 정보는 서빙주파수에 대해서 적용되는 하나의 TDM 패턴 정보 및, 비서빙주파수에 대해서 적용되는 하나의 TDM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 비서빙주파수에 대한 TDM 패턴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에서 정의되는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TDM 패턴 정보가 추천되어 전송될 수 있다.
사용 불능 주파수가 서빙주파수를 포함하지않고 비서빙주파수만 포함하는 경우(즉, IDC 트리거링이 비서빙주파수에만 대해서 발생한 경우, S2515), 현재 단말이 IDC로 인한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IDC 해결 동작이 불필요하며, 기지국은 IDC 제어(또는 회피)를 위한 IDC 해결방법을 선택(또는 결정)하고 적용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비서빙주파수에 대하여 발생할 수 있는 통신 서비스의 문제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565). 즉, 현재 단말이 통신 서비스 상에 IDC에 의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기지국에서 핸드오버나 IDC 상황의 변화에 따른 통신 서비스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정보로서 IDC 지원 정보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가 서빙주파수를 포함하지만, 주서빙주파수를 포함하지 않고 부서빙주파수만 포함하는 경우(S2520), IDC의 영향을 제거하면서도 주서빙주파수에 대하여는 이전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기지국은 부서빙셀을 제거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525). 부서빙셀을 제거하는 경우, 기지국은 별도의 IDC 해결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IDC 영향 없이 주서빙주파수(또는 사용 불능 주파수가 아닌 부서빙주파수)를 통해서 서비스를 원활하게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 불능 주파수가 사용 불능 주파수에 주서빙주파수가 포함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부서빙주파수에 대하여 TDM 패턴을 적용시키는 IDC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도면 미표시). 주서빙셀은 IDC를 겪지 않지만 부서빙셀의 TDM 패턴의 적용을 통하여 TDM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가 주서빙주파수를 포함하는 경우(S2520), 기지국은 IDC 해결방법을 선택(또는 결정)한다(S2530). 이때, 측정 결과를 수신하지 못한 기지국은 TDM 동작을 선택한다.
이때, 기지국은 단말이 TDM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한다(S2535). 단,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TDM 동작 이전에, 추가적인 IDC 지원 정보를 통해서 비서빙주파수에 대한 TDM 패턴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TDM 해결방법이 충분하다고 판단되어 FDM 동작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면(S2540). 단말은 측정 재설정을 포함하는 FDM 동작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
TDM 해결방법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되어 FDM 동작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S2540), FDM 해결방법을 위해서 단말의 측정 결과가 필요하므로 기지국은 단말의 측정을 재설정한다(S2545). 예를 들어, IDC 문제를 완벽히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부하 균형화를 필요로 하는 경우, 또는 TDM 해결방법 대비 리소스 제약이 적은 해결방법인 FDM 해결방법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이다.
측정 재설정의 일 예로, 기지국은 IDC 의 완벽한 제거를 위해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을 블랙리스트셀에 추가할 수 있다.
측정 재설정의 다른 예로,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측정을 수행하지 않도록 측정 재설정 내의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과 관련된 측정 오브젝트를 제거할 수 있다.
측정 재설정의 또 다른 예로, 측정 오브젝트에 대한 S-측정 기준값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S-측정 기준값은 일반적인 이동성(또는 핸드오버)을 위한 S-측정 기준값에 비하여 작은 값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단계 S2545에 이어서, 기지국이 측정을 재설정한 경우, 기지국은 단말이 상기 측정 재설정을 기초로 IDC 영향을 제거한 측정을 수행한 측정 결과를 단말로부터 수신한다(S2550). 상기 측정 결과는 S-측정 방법을 기초로 측정이 수행된 결과일 수 있다. 이때,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은 상기 측정 재설정을 기초로 더 낮게 설정된 S-측정 기준값을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2550에 이어서, 기지국은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IDC 해결방법을 선택하며 FDM 동작을 결정한다(S2555). 기지국은 상기 선택한 FDM 동작을 단말에게 지시한다(S2560). 상기 FDM 동작은 상기 도 5 내지 상기 도 6에 따른 동작일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라서 IDC 제어를 수행하는 단말 및 기지국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단말은 수신부(2605), 트리거링부(2610), 제어부(2615), 측정부(2620) 및 전송부(2625)를 포함한다.
전송부(2625)는 단말(2600)의 성능 정보를 기지국(2650)으로 전송한다. 이때, 성능 정보는 RRC 메시지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성능 정보는 IDC 지원 정보 구성 능력에 관한 정보 또는 IDC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 상기 IDC 존재가능 주파수 대역은 EARFCN을 이용하여 지시될 수 있다(또는 표현될 수 있다).
수신부(2605)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통해 IDC 지원 정보 인에이블을 수신한다. 상기 IDC 지원 정보 인에이블 지시자는 1비트로 구성된 비트맵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는, 수시로 변하는 IDC에 의하여 빈번한 트리거링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말(2600)에 설정되는 차단 타이머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링부(2610)는 IDC 트리거링 조건을 기초로 IDC 지원 정보 트리거링을 수행한다.
일 예로, IDC 트리거링이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은 상기 RRC 연결 재설정을 통해 측정 설정된 주파수 대역 중 서빙셀(주서빙셀 또는 부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다른 예로, IDC 트리거링이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은 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 대역 뿐만 아니라, 단말(2600)에게 설정되었지만 서비스를 받고 있지 않은 주파수 대역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IDC 트리거링이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은 단말(2600)에게 설정되었지만 서비스를 받고 있지 않은 주파수 대역만 포함할 수도 있다.
전송부(2625)는 IDC 지원 정보를 기지국(2650)으로 전송한다. IDC 지원 정보는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하거나, TDM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IDC 지원 정보는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의 모든 EARFCN 값 또는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의 경계값에 해당하는 EARFCN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IDC 지원 정보는 TDM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DM 패턴은 DRX 주기, DRX 활동 구간, 또는 DRX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일 수 있다. 또는, TDM 패턴은 DRX 주기, 지속구간타이머, DRX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들일 수 있다.
일 예로, TDM 패턴 정보는 하나의 단말(2600)당 모든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 TDM 패턴 정보는 하나의 단말이 서비스를 받고 있는 서빙 주파수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TDM 패턴 정보는 서빙주파수에 대해서 적용되는 하나의 TDM 패턴 정보 및, 비서빙주파수에 대해서 적용되는 하나의 TDM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 비서빙주파수에 대한 TDM 패턴은 단말(2600)(또는 기지국(2650))의 결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에서 정의되는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TDM 패턴 정보가 추천되어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2615)는, IDC 트리거링이 비서빙주파수에 대해서 발생한 경우, 비서빙주파수에 대하여 발생할 수 있는 통신 서비스의 문제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는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현재 단말(2600)이 통신 서비스 상에 IDC에 의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기지국(2650)에서 핸드오버나 IDC 상황의 변화에 따른 통신 서비스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정보로서 IDC 지원 정보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2615)는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가 서빙주파수를 포함하되, 주서빙주파수를 포함하지 않고 부서빙주파수만 포함하는 경우, IDC의 영향을 제거하면서도 주서빙주파수에 대하여는 이전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기지국은 부서빙셀을 제거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부서빙셀을 제거하는 경우, 단말(2600)은 별도의 IDC 해결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IDC 영향 없이 주서빙주파수(또는 사용 불능 주파수가 아닌 부서빙주파수)를 통해서 서비스를 원활하게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615)는 사용 불능 주파수가 사용 불능 주파수에 주서빙주파수가 포함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부서빙주파수에 대하여 TDM 패턴을 적용시키는 IDC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주서빙셀은 IDC를 겪지 않지만 부서빙셀의 TDM 패턴의 적용을 통하여 TDM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2615)는,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가 주서빙주파수를 포함하는 경우, 기지국(2650)이 선택한 TDM 동작을 수행한다.
전송부(2625)는, 비서빙주파수에 대한 TDM 패턴이 전송되지 않으면, TDM 동작 이전에, 추가적인 IDC 지원 정보를 통해서 비서빙주파수에 대한 TDM 패턴 정보를 추가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615)는 TDM 해결방법이 충분하다고 판단되어 FDM 동작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측정 재설정을 포함하는 FDM 동작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절차를 종료한다.
제어부(2615)에서 TDM 해결방법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되어 FDM 동작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수신부(2605)는 FDM 해결방법을 위해서 단말(2600)의 측정 결과가 필요하므로 기지국(2650)으로부터 측정의 재설정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IDC 문제를 완벽히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부하 균형화를 필요로 하는 경우, 또는 TDM 해결방법 대비 리소스 제약이 적은 해결방법인 FDM 해결방법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이다.
측정 재설정의 일 예로, 기지국(2650)은 IDC 의 완벽한 제거를 위해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을 블랙리스트셀에 추가할 수 있다.
측정 재설정의 다른 예로,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측정을 수행하지 않도록 측정 재설정 내의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과 관련된 측정 오브젝트를 제거할 수 있다.
측정 재설정의 또 다른 예로, 측정 오브젝트에 대한 S-측정 기준값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S-측정 기준값은 일반적인 이동성(또는 핸드오버)을 위한 S-측정 기준값에 비하여 작은 값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전송부(2625)는 기지국(2650)이 측정을 재설정한 경우, 단말(2600)은 상기 측정 재설정을 기초로 IDC 영향을 제거한 측정을 수행한 측정 결과를 기지국(2650)으로 전송한다.
측정부(2620)는 S-측정 방법을 기초로 측정을 수행한다.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은 상기 측정 재설정을 기초로 더 낮게 설정된 S-측정 기준값을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2615)는 기지국(2650)이 선택한 FDM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FDM 동작은 상기 도 5 내지 상기 도 6에 따른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2650)은 수신부(2655), 제어부(2660), IDC 결정부(2665) 및 전송부(2670)를 포함한다.
수신부(2655)는 단말(2600)의 성능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2600)의 성능 정보는 RRC 메시지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단말(2600)의 성능 정보는 IDC 지원 정보 구성 능력에 관한 정보 또는 IDC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 상기 IDC 존재가능 주파수 대역은 EARFCN을 이용하여 지시될 수 있다(또는 표현될 수 있다).
전송부(2670)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통해 IDC 지원 정보 인에이블을 전송한다. 상기 IDC 지원 정보 인에이블은 1비트로 구성된 비트맵 정보일 수 있다.
수신부(2655)는 단말(2600)로부터 IDC 지원 정보를 수신한다. IDC 지원 정보는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하거나, TDM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IDC 지원 정보는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의 모든 EARFCN 값 또는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의 경계값에 해당하는 EARFCN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IDC 지원 정보는 TDM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DM 패턴은 DRX 주기, DRX 활동 구간, 또는 DRX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일 수 있다.
일 예로, TDM 패턴 정보는 하나의 단말(2600)당 모든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TDM 패턴 정보는 하나의 단말이 서비스를 받고 있는 서빙 주파수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TDM 패턴 정보는 서빙주파수에 대해서 적용되는 하나의 TDM 패턴 정보 및, 비서빙주파수에 대해서 적용되는 하나의 TDM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 비서빙주파수에 대한 TDM 패턴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에서 정의되는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TDM 패턴 정보가 추천되어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2660)는, 사용 불능 주파수가 비서빙주파수만 포함하는 경우(즉, IDC 트리거링이 비서빙주파수에만 대해서 발생한 경우), 비서빙주파수에 대하여 발생할 수 있는 통신 서비스의 문제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현재 단말(2600)이 통신 서비스 상에 IDC에 의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기지국(2650)에서 핸드오버나 IDC 상황의 변화에 따른 통신 서비스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정보로서 IDC 지원 정보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2660)는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가 서빙주파수를 포함하지만, 주서빙주파수를 포함하지 않고 부서빙주파수만 포함하는 경우, IDC의 영향을 제거하면서도 주서빙주파수에 대하여는 이전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부서빙셀을 제거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부서빙셀을 제거하는 경우, 기지국은 별도의 IDC 해결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IDC 영향 없이 주서빙주파수(또는 사용 불능 주파수가 아닌 부서빙주파수)를 통해서 서비스를 원활하게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660)는 사용 불능 주파수가 사용 불능 주파수에 주서빙주파수가 포함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부서빙주파수에 대하여 TDM 패턴을 적용시키는 IDC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주서빙셀에서는 IDC를 겪지 않지만 부서빙셀의 TDM 패턴의 적용을 통하여 TDM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IDC 결정부(2665)는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가 서빙주파수를 포함하는 경우 IDC 해결방법을 선택(또는 결정)한다. 이때, 측정 결과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TDM 동작을 선택한다.
전송부(2670)는 단말(2600)이 TDM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한다.
수신부(2655)는, 단말(2600)로부터 TDM 동작 이전에, 추가적인 IDC 지원 정보를 통해서 비서빙주파수에 대한 TDM 패턴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2650)은 TDM 해결방법이 충분하다고 판단되어 FDM 동작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단말(2600)은 측정 재설정을 포함하는 FDM 동작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
제어부(2660)는, TDM 해결방법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되어 FDM 동작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FDM 해결방법을 위해서 단말(2600)의 측정 결과가 필요하므로 단말(2600)의 측정을 재설정한다. 예를 들어, IDC 문제를 완벽히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부하 균형화를 필요로 하는 경우, 또는 TDM 해결방법 대비 리소스 제약이 적은 해결방법인 FDM 해결방법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이다.
측정 재설정의 일 예로, 제어부(2660)는 IDC 의 완벽한 제거를 위해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을 블랙리스트셀에 추가할 수 있다.
측정 재설정의 다른 예로,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측정을 수행하지 않도록 측정 재설정 내의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 대역과 관련된 측정 오브젝트를 제거할 수 있다.
측정 재설정의 또 다른 예로, 측정 오브젝트에 대한 S-측정 기준값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S-측정 기준값은 일반적인 이동성(또는 핸드오버)을 위한 S-측정 기준값에 비하여 작은 값으로 변경될 수 있다.
수신부(2655)는, 제어부(2660)이 측정을 재설정한 경우, 단말(2600)이 상기 측정 재설정을 기초로 IDC 영향을 제거한 측정을 수행한 측정 결과를 단말(2600)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측정 결과는 S-측정 방법을 기초로 측정이 수행된 결과일 수 있다. 이때,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측정 보고의 트리거링은 상기 측정 재설정을 기초로 더 낮게 설정된 S-측정 기준값을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IDC 결정부(2665)는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IDC 해결방법을 선택하며 FDM 동작을 결정한다.
전송부(2670)는 선택한 FDM 동작을 단말(2600)에게 지시한다. 상기 FDM 동작은 상기 도 5 내지 상기 도 6에 따른 동작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다수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기내 공존간섭(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 IDC)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모든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주서빙셀에 대한 측정 결과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 이웃셀에 대하여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측정을 수행한 측정 샘플에서 IDC 영향을 제거한 측정 결과 및 IDC 진행중이어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어려운 주파수인 사용 불능 주파수를 포함하는 측정 결과 보고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가 상기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내에서 부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인 서빙주파수인 경우, 부서빙셀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기내 공존간섭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 보고는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TDM 패턴을 기초로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DRX)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내 공존간섭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TDM 패턴은 상기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내에서 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인 서빙주파수에 대해서 동일하게 적용되는 제1 TDM 패턴, 및 상기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내에서 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가 아닌 비서빙주파수에 대해서 동일하게 적용되는 제2 TDM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내 공존간섭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TDM 패턴이 상기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내에서 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가 아닌 비서빙주파수에 대하여 적용되는 TDM 패턴을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비서빙주파수에 대하여 적용되는 TDM 패턴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IDC 지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내 공존간섭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가 상기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내에서 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가 아닌 비서빙주파수인 경우, 상기 비서빙주파수에 대하여 발생하는 통신 서비스의 문제를 방지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내 공존간섭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동작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측정 설정을 다시 설정하는 측정 재설정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재설정을 기초로 IDC 영향을 제거한 측정을 재수행한 측정 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내 공존간섭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재설정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 보고를 위하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는 상기 측정 재설정이 수행되지만, 상기 측정 결과 보고를 위하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이 아니며 상기 단말이 감지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는 상기 측정 재설정이 수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내 공존간섭 제어 방법.
  8. 다수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기내 공존간섭(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 IDC)을 제어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모든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주서빙셀에 대한 측정 결과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 이웃셀에 대하여 측정을 수행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을 수행한 측정 샘플에서 IDC 영향을 제거한 측정 결과 및 IDC 진행중이어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어려운 주파수인 사용 불능 주파수를 포함하는 측정 결과 보고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가 상기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내에서 부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인 서빙주파수인 경우, 부서빙셀을 제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9. 다수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기기내 공존간섭(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 IDC)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모든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주서빙셀에 대한 측정 결과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 이웃셀에 대하여 측정을 수행한 측정 샘플에서 IDC 영향을 제거한 측정 결과 및 IDC 진행중이어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어려운 주파수인 사용 불능 주파수를 포함하는 측정 결과 보고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가 상기 부서빙주파수를 포함하면 상기 IDC 지원 정보의 트리거링이 상기 부서빙주파수를 기준으로 수행되었다고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부서빙주파수에 관련된 부서빙셀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기내 공존간섭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 보고는 TDM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TDM 패턴을 기초로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내 공존간섭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TDM 패턴은 상기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내에서 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인 서빙주파수에 대해서 동일하게 적용되는 제1 TDM 패턴, 및 상기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내에서 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가 아닌 비서빙주파수에 대해서 동일하게 적용되는 제2 TDM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내 공존간섭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TDM 패턴이 상기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내에서 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가 아닌 비서빙주파수에 대하여 적용되는 TDM 패턴을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비서빙주파수에 대하여 적용되는 TDM 패턴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IDC 지원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내 공존간섭 제어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가 상기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내에서 서빙셀과 관련된 주파수가 아닌 비서빙주파수인 경우, 상기 비서빙주파수에 대하여 발생하는 통신 서비스의 문제를 방지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내 공존간섭 제어 방법.
  14. 다수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기내 공존간섭(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 IDC)을 제어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설정에 의해 설정된 모든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주서빙셀에 대한 측정 결과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 이웃셀에 대하여 측정을 수행한 측정 샘플에서 IDC 영향을 제거한 측정 결과 및 IDC 진행중이어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어려운 주파수인 사용 불능 주파수를 포함하는 측정 결과 보고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사용 불능 주파수가 상기 부서빙주파수를 포함하면 상기 IDC 지원 정보의 트리거링이 상기 부서빙주파수를 기준으로 수행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부서빙주파수에 관련된 부서빙셀을 제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KR1020120050485A 2012-05-11 2012-05-11 다수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301263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485A KR20130126382A (ko) 2012-05-11 2012-05-11 다수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485A KR20130126382A (ko) 2012-05-11 2012-05-11 다수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382A true KR20130126382A (ko) 2013-11-20

Family

ID=49854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485A KR20130126382A (ko) 2012-05-11 2012-05-11 다수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63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1904A (zh) * 2019-06-18 2019-11-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设备内共存干扰指示方法和装置
WO2024029956A1 (en) * 2022-08-03 2024-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performed by node, and nod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1904A (zh) * 2019-06-18 2019-11-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设备内共存干扰指示方法和装置
CN110431904B (zh) * 2019-06-18 2023-10-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设备内共存干扰指示方法和装置
WO2024029956A1 (en) * 2022-08-03 2024-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performed by node, and no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38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69287B2 (en) Techniques for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signals in a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US202203945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easurement report consider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KR102051297B1 (ko) 허가 보조 액세스에 대한 rrm 측정 및 보고
US10797809B2 (en) LTE carrier aggregation configuration on TV white space bands
EP3375237B1 (en) Physical layer signaling on different physical resources
EP29547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ng frequenc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14013B1 (ko) 향상 성분 캐리어 통신들과 비-향상 성분 캐리어 통신들 사이의 공존을 위한 기법들
US20170280330A1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US2013019501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400501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30049121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302794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existence interference within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84168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30124809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20092475A (ko) 기기내 공존 간섭에 관한 제어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KR20130126382A (ko) 다수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30126440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860863B1 (ko) 기기내 공존 간섭을 고려한 측정보고의 수행장치 및 방법
KR20140042347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17341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30104333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841693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기 내 공존 간섭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075561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036912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