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6087A -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6087A
KR20130126087A KR1020120049881A KR20120049881A KR20130126087A KR 20130126087 A KR20130126087 A KR 20130126087A KR 1020120049881 A KR1020120049881 A KR 1020120049881A KR 20120049881 A KR20120049881 A KR 20120049881A KR 20130126087 A KR20130126087 A KR 20130126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web
terminal
home application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2773B1 (ko
Inventor
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비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비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비고
Priority to KR1020120049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773B1/ko
Publication of KR20130126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8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일 태양에 따르면, (a) 단말기에 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상기 단말기에 기설치된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하는 단계, (b)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 중 선택된 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하는 단계, 및 (c)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페이지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페이지에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에 설치된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 빈도가 높은 웹 어플리케이션들을 선택하여 추가하고, 추가된 웹 어플리케이션들의 초기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웹 어플리케이션의 접근성 및 활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HOME APPLICATION}
본 발명은 단말기에 설치된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 빈도가 높은 웹 어플리케이션들을 선택하여 추가하고, 추가된 웹 어플리케이션들의 초기 페이지(즉,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한 초기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웹 어플리케이션의 접근성을 극도로 향상시킬 수 있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어플리케이션은 단말기의 설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버튼(아이콘), 인터넷 브라우저, 연락처, 날씨, 전화 걸기 등의 메뉴를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단말기의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해당 메뉴의 실행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홈 어플리케이션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며, 단말기 사용자가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다른 홈 어플리케이션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종래의 홈 어플리케이션들, 가령, Launcher Pro 또는 홈++과 같은 홈 어플리케이션들은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 버튼을 선택해야만 실행될 수 있다. 더군다나,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홈 어플리케이션에 많은 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설치되어 있으나, 사용 빈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이 그리 많지 않은 경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버튼을 찾기가 용이하지 않고, 또한, 실행 버튼을 눌러야만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접근성 및 활용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47958호에 공개된 기술은 단말기가 구동되면,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홈 스크린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며, 호출된 홈 스크린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홈 스크린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화면을 단말기의 홈 스크린으로 설정함으로써, 홈 스크린과 단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적으로 포 그라운드/백 그라운드로 변경되면서, 사용자 접근이 가능한 홈 스크린을 제공한다. 이 기술은 홈 스크린 어플리케이션과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단말기의 홈 스크린으로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공개하고 있을 뿐, 홈 스크린 어플리케이션 내에 어플리케이션들을 추가하거나, 추가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접근성 및 활용성을 개선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에 설치된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 빈도가 높은 웹 어플리케이션들을 선택하여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하되, 추가된 웹 어플리케이션들의 초기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될 때, 곧바로 해당 초기 페이지를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웹 어플리케이션의 접근성 및 활용성을 극도로 개선할 수 있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a) 단말기에 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상기 단말기에 기설치된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하는 단계; (b)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 중 선택된 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하는 단계; 및 (c)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페이지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단말기에 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단계; (b) 상기 단말기에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하는 단계; (c)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하는 단계; 및 (d)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페이지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단말기에 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상기 단말기에 기설치된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하도록 하는 이벤트 송수신 관리부;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 중 선택된 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추가 관리부; 및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페이지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단말기에 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후 상기 단말기에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하도록 하는 이벤트 송수신 관리부;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추가 관리부; 및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페이지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에 설치된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 빈도가 높은 웹 어플리케이션들을 선택하여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하되, 추가된 웹 어플리케이션들의 초기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될 때 곧바로 해당 초기 페이지를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웹 어플리케이션의 접근성 및 활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된 웹 어플리케이션이 복수일 때, 사용자의 간단한 제스처 입력만으로도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초기 페이지를 넘기는 듯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친화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폴더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홈 어플리케이션의 폴더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플랫폼에 따라 패키징된 모듈들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홈 어플리케이션의 모듈들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홈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리시버가 웹 어플리케이션의 공유 폴더 내의 폴더(WebApplicationDate) 내의 데이터를 홈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폴더로 복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홈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디스플레이 관리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홈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디스플레이 관리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것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시스템(100)은 단말기(10), 통신망(12), 및 홈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망(12)은 무선 통신의 양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동 통신망, 인공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공지의 WLAN(Wireless LA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통신망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홈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4)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0)는 통신망(12)에 접속하여 홈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4)로부터 홈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0)는 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에게 이벤트를 전달하고, 어플리케이션들 중 웹 어플리케이션들이 상기 이벤트에 대한 응답을 홈 어플리케이션에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웹 언어로 만들어진 어플리케이션과 다른 언어들로 만들어진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개념이고, 웹 어플리케이션은 웹 언어들, 가령, HTML, 자바스크립트(JS: Java Script), 및 CSS(client side script) 등의 언어들로 만들어진 어플리케이션을 말한다. 또한, 이벤트 응답은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될 수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임을 알리는 정보이고, 추가적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의 이름, 인식 코드, 사이즈 등의 기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0)는 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후 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웹 어플리케이션이 홈 어플리케이션에게 이벤트 응답을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홈 어플리케이션은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될 수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들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또는 이벤트 응답을 전달하는 순서는 바뀔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0)는 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추가될 수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들이 파악되면, 추가될 수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추가할 수 있다. 이때, 홈 어플리케이션은 단말기(10)에 저장된 웹 어플리케이션의 공유 폴더의 데이터를 가져올 수도 있고, 웹 어플리케이션의 공유 폴더의 데이터를 참조할 수도 있다. 가령, 홈 어플리케이션은 웹 어플리케이션의 공유 폴더의 데이터를 가져와 홈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폴더에 복사할 수 있다. 단말기(10)의 공유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는 홈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에 홈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접근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0)는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된 웹 어플리케이션들의 초기 페이지들을 하나의 화면상에 모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고,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된 웹 어플리케이션들의 소정 개수의 초기 페이지들만이 한번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한번에 하나의 초기 페이지만을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소정의 터치 혹은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면 추가된 다른 웹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등의 변형예도 상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말기(10)에는 기본 홈 어플리케이션(위에서 언급한 홈 어플리케이션과는 다른 개념임. 즉, 여기서 말하는 기본 홈 어플리케이션은 일반적인 스마트폰의 홈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함)이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기본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홈 어플리케이션 및 기타 어플리케이션들을 설치할 수 있고, 기본 홈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웹 어플리케이션을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하거나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된 웹 어플리케이션을 제거하기 위한 버튼(가령,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는 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기본 홈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않고, 홈 어플리케이션을 기본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10)는 홈 어플리케이션 및 기본 홈 어플리케이션에서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단말기(10)의 공유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 관리부(20), 이벤트 송수신 관리부(22), 제어부(24), 웹 어플리케이션 추가 관리부(25) 및 저장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송수신 관리부(22)는 도 1의 통신망(12)에 연결하여 도 1의 홈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4)로부터 홈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송수신 관리부(22)는 도 1의 통신망(12)에 연결하여 복수의 서버들로부터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26)는 홈 어플리케이션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들 중 웹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는 공유 영역(A)를 가질 수 있다. 웹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파일은 공유 폴더, 가령, assert 폴더 내에 위치시키며, 공유 폴더는 저장부(26)의 공유 영역(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웹 어플리케이션 추가 관리부(25)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웹 어플리케이션을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할 수 있는데, 이때 공유 영역(A)을 참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홈 어플리케이션에 특정 웹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되면, 해당 특정 웹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페이지가 디스플레이 관리부(20)에 의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초기 페이지를 통하여 사용자는 해당 웹 어플리케이션에 소정의 입력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폴더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웹 어플리케이션 폴더(WebApplication) 내에 4개의 하위 폴더들(assert, libs, res, src 폴더들)이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하위 폴더(assert 폴더) 내에 폴더(WebApplicationData 폴더)가 존재할 수 있고, 하위 폴더(libs) 내에 폴더(DeviceAPI 폴더)가 존재할 수 있고, 하위 폴더(src 폴더) 내에 폴더들(BaseFunc, EventReceiver, EventSender 폴더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3에서, 폴더(WebApplicationData)에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 소스가 저장될 수 있으며, 폴더(assert)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접근이 가능할 수 있다. 폴더(libs)는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플랫폼의 프레임워크(framework) API에 접근이 가능한 디바이스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들을 라이브러리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폴더(Device API)는 W3C 위젯 API, JIL/BONDI/WAC 디바이스 API, 및 익스텐션(Extention) 디바이스 API 규격을 포함할 수 있다. 폴더들(EventSender, EventReceiver)은 홈 어플리케이션과의 통신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폴더(BaseFunc)는 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최초 실행되는 함수가 정의가 정의되어 있으며, 내부에서는 폴더(WebApplicationData) 내에 존재하는 초기 페이지(index.html)을 호출할 수 있다. 도 3의 폴더들(EventSender, EventReceiver, Device API) 각각은 이후 설명되는 이벤트 센더, 이벤트 리시버, 및 디바이스 API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폴더(WebApplicationData)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폴더(WebApplicationData) 내에 데이터(css, image, js 폴더들, config.xml, index.html)이 존재할 수 있다. 도 4의 폴더 내의 데이터가 저장부(26)의 공유 영역(A) 내에 저장될 수 있으며, 공유 영역(A)는 홈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접근될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도 2의 저장부(26)는 기본 홈 어플리케이션을 기본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즉, 홈 어플리케이션 및 어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되기 전에 기본 홈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2의 제어부(24)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버튼이 선택되면, 홈 어플리케이션을 저장부(26)에 저장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저장부(26)에 저장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이 웹 어플리케이션인 경우에 저장부(26)의 공유 영역(A)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부(26)의 공유 영역(A)에 공유 폴더, 가령, assert 폴더 및 그 하부에 위치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버튼이 선택되면(즉,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 등의 버튼이 선택되면),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버튼이 선택되면(즉,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에 의해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웹 어플리케이션들의 초기 페이지들 중의 하나가 선택되면),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24)는 기본 홈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홈 어플리케이션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플랫폼에 따라 패키징된 모듈들을 나타내며, 웹 어플리케이션은 웹 어플리케이션의 폴더 내에 존재하는 초기 페이지(index.html), 이벤트 센더, 이벤트 리시버, 및 디바이스 API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홈 어플리케이션의 모듈들을 나타내며, 홈 어플리케이션은 이벤트 센더, 이벤트 리시버, 디바이스 API 및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 이벤트 센더는 홈 어플리케이션 설치 시 이벤트를 전달하고, 이벤트 리시버는 웹 어플리케이션 설치 시 이벤트를 감지하여 이벤트 응답을 전달 받고, 디바이스 API는 저장부(26)의 공유 영역(A)에 접근 가능하도록 하고, 리소스 매니저는 홈 어플리케이션의 설치(installation), 삭제(uninstallation),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웹 어플리케이션과 홈 어플리케이션 사이의 통신은 2가지 경우로 나누어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웹 어플리케이션들이 설치되어 있고 이후 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에, 도 6의 홈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센더(event sender)가 저장부(26)에 미리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이벤트 리시버(event receiver)에게 이벤트를 전달하고, 어플리케이션들 중 도 5의 웹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이벤트 센더가 홈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리시버에게 이벤트 응답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도 6의 홈 어플리케이션 내에 특정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추가 요청이 입력되면, 홈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센더가 도 5의 해당 웹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리시버로 추가 요청 이벤트를 전달하고, 해당 웹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센더가 공유 폴더, 가령, assert 폴더 내의 폴더, 가령, WebApplicationData 내의 데이터(css, image, js 폴더들, config.xml, index.html)를 도 6의 홈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리시버로 전달할 수 있다. 도 6의 홈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리시버는 WebApplicationData 내의 데이터(css, image, js 폴더들, config.xml, index.html)를 홈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폴더로 복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이후에 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에, 도 5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센더가 도 6의 홈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리시버에게 이벤트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도 6의 홈 어플리케이션 내에 특정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추가 요청이 입력되면, 홈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센더가 도 5의 해당 웹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리시버로 추가 요청 이벤트를 전달하고, 해당 웹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센더가 공유 폴더, 가령, assert 폴더 내의 폴더, 가령, WebApplicationData 내의 데이터(css, image, js 폴더들, config.xml, index.html)를 도 6의 홈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리시버로 전달할 수 있다. 도 6의 홈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리시버는 WebApplicationData 내의 데이터(css, image, js 폴더들, config.xml, index.html)를 홈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폴더로 복사할 수 있다.
그리고, 홈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에, 도 6의 홈 어플리케이션의 디바이스 API(Device API)가 저장부(26)의 공유 영역(A)로부터 폴더(WebApplicationData) 내의 폴더들의 데이터를 가져와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홈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난 후에 폴더(WebApplicationData) 내의 데이터에 변경이 있으면, 디바이스 API가 저장부(26)의 공유 영역(A)의 폴더(WebApplicationData) 내의 변경된 데이터를 공유 영역(A)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기본 홈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더라도 저장부(26)의 공유 영역(A)의 폴더(WebApplicationData) 내에 저장된 변경된 데이터를 가져와 실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홈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리시버가 웹 어플리케이션의 폴더(WebApplicationDate) 내의 데이터를 홈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폴더로 복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홈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리시버가 웹 어플리케이션의 폴더(WebApplicationData) 내의 데이터(css, image, js 폴더들, config.xml, index.html)를 홈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폴더, 가령, uid 폴더로 복사할 수 있다.
도 2의 디스플레이 관리부(20)는 홈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웹 어플리케이션들이 추가되면, 추가된 웹 어플리케이션들의 초기 페이지들, 가령, index.html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관리부(20)는 도 8의 일 실시예의 화면에 도시된 것처럼,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된 웹 어플리케이션들의 초기 페이지들을 하나의 화면 상에 모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도9의 다른 실시예의 화면에 도시된 것처럼, 소정 개수의 초기 페이지들 또는 하나의 초기 페이지만을 하나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단말기의 사용자의 소정의 터치 또는 제스처에 의해서 다음 소정 개수의 초기 페이지들 또는 다음 하나의 초기 페이지를 바꾸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즉, 단말기의 사용자가 화면을 좌우로 플리킹(flicking)함에 의해서 초기 페이지들을 하나씩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초기 페이지들을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기존의 위젯 등이 사용자가 입력을 할 수 없는 초기 페이지를 제공하는 점도 극복을 하였고, 초기 페이지가 아닌 단순한 아이콘의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점도 극복을 하였다는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등과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시스템
10: 휴대용 단말기
12: 통신망
14: 홈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20: 디스플레이 관리부
22: 이벤트 송수신 관리부
24: 제어부
25: 웹 어플리케이션 추가 관리부
26: 저장부

Claims (43)

  1. (a) 단말기에 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상기 단말기에 기설치된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하는 단계;
    (b)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 중 선택된 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하는 단계; 및
    (c)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페이지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에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상기 단말기에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에게 이벤트를 전달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이벤트 응답을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의 저장부의 공유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웹 어플리케이션이 복수인 경우, 상기 선택된 웹 어플리케이션들을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웹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초기 페이지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웹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상기 초기 페이지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한번에 한 개의 초기 페이지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소정의 터치 또는 제스처 입력에 의해서 상기 선택된 웹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상기 초기 페이지가 돌아가면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센더(sender)가 상기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리시버(receiver)에게 상기 이벤트를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리시버는 상기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센더가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리시버에게 상기 이벤트 응답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d) 상기 단말기에 추가 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벤트를 전달하고,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벤트를 감지하여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에게 상기 이벤트 응답을 전달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추가 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상기 추가 웹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센더가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리시버에게 상기 이벤트 응답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페이지와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공유 폴더 내의 데이터이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공유 폴더 내의 데이터를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폴더로 복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의 디바이스 API가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공유 폴더의 데이터에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기본 홈 어플리케이션이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기본 홈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하거나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된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을 제거하기 위한 버튼들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13. (a) 단말기에 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단계;
    (b) 상기 단말기에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하는 단계;
    (c)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하는 단계; 및
    (d)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페이지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에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이벤트 응답을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저장부의 공유 영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하고 - 상기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저장부의 공유 영역에 저장됨 -,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초기 페이지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웹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상기 초기 페이지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한번에 한 개의 초기 페이지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소정의 제스처 입력에 의해서 상기 선택된 웹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상기 초기 페이지가 돌아가면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페이지와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공유 폴더 내의 데이터이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공유 폴더 내의 데이터를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폴더로 복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의 디바이스 API가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공유 폴더의 데이터에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기본 홈 어플리케이션이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기본 홈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하거나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된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을 제거하기 위한 버튼들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22. 단말기에 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상기 단말기에 기설치된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하도록 하는 이벤트 송수신 관리부;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 중 선택된 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추가 관리부; 및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페이지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송수신 관리부는,
    상기 단말기에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상기 단말기에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에게 이벤트를 전달하도록 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이벤트 응답을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게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의 저장부의 공유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추가 관리부는,
    상기 선택된 웹 어플리케이션이 복수인 경우, 상기 선택된 웹 어플리케이션들을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관리부는,
    상기 선택된 웹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초기 페이지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관리부는,
    상기 선택된 웹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상기 초기 페이지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한번에 한 개의 초기 페이지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소정의 터치 또는 제스처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웹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상기 초기 페이지를 돌아가면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송수신 관리부는,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센더(sender)가 상기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리시버(receiver)에게 상기 이벤트를 전달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리시버가 상기 이벤트를 감지하면, 상기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센더가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리시버에게 상기 이벤트 응답을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추가 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상기 이벤트 송수신 관리부는,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벤트를 전달하도록 하고,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벤트를 감지하여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에게 상기 이벤트 응답을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송수신 관리부는,
    상기 추가 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상기 추가 웹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센더가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리시버에게 상기 이벤트 응답을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31.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페이지와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공유 폴더 내의 데이터이고,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추가 관리부는,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공유 폴더 내의 데이터를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폴더로 복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의 디바이스 API가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공유 폴더의 데이터에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3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기본 홈 어플리케이션이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기본 홈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하거나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된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을 제거하기 위한 버튼들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34. 단말기에 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후 상기 단말기에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하도록 하는 이벤트 송수신 관리부;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추가 관리부; 및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페이지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송수신 관리부는,
    상기 단말기에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이벤트 응답을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게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저장부의 공유 영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추가 관리부는,
    상기 단말기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하고 - 상기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저장부의 공유 영역에 저장됨 -,
    상기 디스플레이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웹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초기 페이지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관리부는,
    상기 선택된 웹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상기 초기 페이지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한번에 한 개의 초기 페이지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소정의 제스처 입력에 의해서 상기 선택된 웹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상기 초기 페이지가 돌아가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40.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페이지와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공유 폴더 내의 데이터이고,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추가 관리부는,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공유 폴더 내의 데이터를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폴더로 복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의 디바이스 API가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공유 폴더의 데이터에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42.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기본 홈 어플리케이션이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기본 홈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하거나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추가된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을 제거하기 위한 버튼들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43.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049881A 2012-05-10 2012-05-10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392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881A KR101392773B1 (ko) 2012-05-10 2012-05-10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881A KR101392773B1 (ko) 2012-05-10 2012-05-10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087A true KR20130126087A (ko) 2013-11-20
KR101392773B1 KR101392773B1 (ko) 2014-05-09

Family

ID=4985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881A KR101392773B1 (ko) 2012-05-10 2012-05-10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7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2773B1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199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control method
US9619113B2 (en) Overloading app icon touchscreen interaction to provide action accessibility
EP2962216B1 (en) Sharing application states
KR102159416B1 (ko) 하이브리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사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9372885B2 (en)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dynamically updating the contents of a folder on a device
US20160330266A1 (en) Remotely controlling a device via a web browser
KR101895185B1 (ko) 상이한 파일 호스트를 이용한 파일 액세스 기법
EP2997465A1 (en) Automatic discovery of system behavior
US9307010B2 (en) Data upload method using shortcut
US20140115539A1 (en) Customized shortcuts for resource brows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40208193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haring resource file data
JP6501893B2 (ja) デスクトップ共有方法及びモバイル端末
CN109074357B (zh) 动态地管理服务的不同版本
US201500468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in terminal
US9170716B1 (en)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1392773B1 (ko)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9811333B2 (en) Using a version-specific resource catalog for resource management
JP201710284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中継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4062209A1 (en)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dynamically updating the contents of a folder on a device
US20240111410A1 (en) Drag and drop interactions for a browser software application
JP6847498B2 (ja) 遠隔リソースに関する設定情報を表示する設定情報表示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869504B1 (en) Method of managing resource transmission between two service providers and related computer system
KR101827925B1 (ko) 음성 통화 시 시각적인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KR102022592B1 (ko) 전자 장치에서 전송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357958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