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568A - 분실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 Google Patents

분실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568A
KR20130125568A KR1020120049197A KR20120049197A KR20130125568A KR 20130125568 A KR20130125568 A KR 20130125568A KR 1020120049197 A KR1020120049197 A KR 1020120049197A KR 20120049197 A KR20120049197 A KR 20120049197A KR 20130125568 A KR20130125568 A KR 20130125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smartphone
recognition pattern
smart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to KR1020120049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5568A/ko
Publication of KR20130125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5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은 이동통신기기로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과, 사용자로부터 각종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부와, 소리신호 발생을 위한 스피커부와, 각종 에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GPS모듈부와, 상기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로부터 사용자의 보안인식패턴 및 알람시간간격을 입력받으며, 상기 알람시간간격 이내에 상기 입력된 보안인식패턴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피커부를 통해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스마트폰의 분실을 방지하면서도, 분실 시 이의 회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실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SMART PHONE HAVING FUNCTING OF PREVENTING LOSS}
본 발명은 분실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사용자로부터 보안인식 패턴을 입력받고, 일정한 시간 이내에 보안인식패턴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 알람신호를 발신함과 동시에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분실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다양한 이동통신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는 바, 스마트폰은 휴대용 컴퓨터와 휴대전화의 기능을 융합한 제품이다.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이동 중에도 인터넷 통신, 팩스 전송 및 각종 개인정보의 관리가 가능하다.
상기 스마트폰과 기존의 일반 휴대전화의 가장 큰 차이점은 스마트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광범위한 각종의 메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들을 스마트폰에 저장하고, 필요 시 이를 이용할 수 있는 점이다.
따라서, 스마트폰에는 각종의 개인 또는 업무적 데이터들이 다량 저장되므로, 분실 시에는 사용자에게 막대한 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분실을 방지하고 분실 시 이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또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의 분실을 방지하면서도, 분실 시 이의 회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은 이동통신기기로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사용자로부터 각종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부와, 소리신호 발생을 위한 스피커부와, 각종 에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GPS모듈부와, 상기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로부터 사용자의 보안인식패턴 및 알람시간간격을 설정받으며, 상기 알람시간간격 이내에 상기 입력된 보안인식패턴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피커부를 통해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람시간간격 이내에 상기 보안인식패턴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안인식패턴은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비밀번호 또는 사용자의 지문 또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지정된 패턴 중의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장치는 웹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스마트폰의 분실을 방지하면서도, 분실 시 이의 회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의 구성 블럭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의 작동 플로우차트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의 보안인식패턴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은 이동통신기기로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0)와, 사용자로부터 각종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부(20)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부(30)와, 소리신호 발생을 위한 스피커부(40)와, 각종 에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50)와,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GPS모듈부(60)와, 상기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20)로부터 사용자의 보안인식패턴 및 알람시간간격을 설정받으며, 상기 알람시간간격 이내에 상기 입력된 보안인식패턴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피커부(40)를 통해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부(10)는 이동통신기기로서의 음성통화 및 무선인터넷 접속 등을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20)는 스마트폰 사용자로부터 각종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에 따른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부분으로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각종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부(3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부분으로서, 이동통신기기로서의 음성통화 또는 동영상 촬영시 소리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이용된다.
상기 스피커부(40)는 소리신호를 발생시키는 부분으로서, 통화 시의 음성, 음악, 알람신호 등을 외부로 발생시킨다.
상기 저장부(50)는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는 부분으로서, 스마트폰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에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부분이다.
상기 GPS모듈부(60)는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스마트폰의 네비게이션 에플리케이션에 이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어부(70)는 스마트폰의 전반적인 구성들을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20)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 및 각종의 구성들을 제어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의 작동 플로우차트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의 보안인식패턴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와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의 장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에서 사용자로부터 보안인식패턴 및 알람시간간격을 입력받는다(S10, S20).
상기 보안인식패턴은 일예로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화면에 숫자들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패턴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 에서는 패턴이 "Z"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사용자의 지정에 따라 본인만이 알고 있는 다양한 패턴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지정된 비밀번호 또는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문 패턴 등도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알람시간간격은 어느 정도의 시간간격으로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느냐를 결정하는 시간 주기로서, 사용자의 지정에 따라 입력된다.
이때, 예를 들어 2시간 간격으로 알람시간간격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또는 저녁 시간대에는 알람 신호가 발생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알람시간간격이 경과되는동안(S30) 사용자로부터 상기 보안인식패턴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S40) 알람신호를 발생시킨다(S50).
스마트폰은 그 특성 상 대부분의 사람들이 항상 휴대하고 다니므로, 만약 상기 알람시간간격이 경과되는 동안 보안인식패턴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알람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스마트폰의 위치를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알람신호가 발생되는 중에도 보안인식패턴이 입력된다면(단계60) 알람신호 발생을 멈추고 다시 알람시간간격이 경과되기를 기다리게 된다.
이후, 다시 알람시간간격이 경과되면(S30) 다시 보안인식패턴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단계 60 에서 보안인식패턴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부(10)를 통해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웹서버, PC 또는 IP TV 등의 장치(8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정보 전송은 무선 인터넷망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장치는 인터넷망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라면 다양한 장치들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단계 60 에서 보안인식패턴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면서 보안인식패턴이 입력될 때까지 알람신호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의 회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통신부 20: 유저인터페이스부
30: 마이크부 40: 스피커부
50: 저장부 60: GPS 모듈부

Claims (4)

  1. 이동통신기기로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사용자로부터 각종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부와;
    소리신호 발생을 위한 스피커부와;
    각종 에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GPS모듈부와;
    상기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로부터 사용자의 보안인식패턴 및 알람시간간격을 설정받으며,
    상기 알람시간간격 이내에 상기 입력된 보안인식패턴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피커부를 통해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시간간격 이내에 상기 보안인식패턴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인식패턴은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비밀번호 또는 사용자의 지문 또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지정된 패턴 중의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장치는 웹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KR1020120049197A 2012-05-09 2012-05-09 분실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KR20130125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197A KR20130125568A (ko) 2012-05-09 2012-05-09 분실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197A KR20130125568A (ko) 2012-05-09 2012-05-09 분실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568A true KR20130125568A (ko) 2013-11-19

Family

ID=49853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197A KR20130125568A (ko) 2012-05-09 2012-05-09 분실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55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89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uetooth-based identity recognition
EP3068115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coming call reminder
CN112256425B (zh) 负载均衡方法及系统、计算机集群、信息编辑方法及终端
EP3429176B1 (en) Scenario-based sound effect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13206781B (zh) 客户端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2089121A1 (zh) 处理推送消息的方法和装置
US20170244830A1 (en) Inferring social protocols guiding the use of portable devices
JP2015526933A (ja) モバイル・デバイスからの開始ディテールの送信
CN105933465B (zh) 接入无线网络的方法及装置
CN106155944B (zh) 设备配置方法、装置和系统
CN111866140B (zh) 融合管理设备、管理系统、服务调用方法及介质
CN107393528B (zh) 语音控制方法及装置
US20170208533A1 (en) Controlling communications for driver cell phone interactions in restricted areas
JP6163788B2 (ja) 通信端末、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303616B (zh) 一种播放控制方法、装置及终端
CN105592216A (zh) 新事件提示系统及方法
KR20140083448A (ko) 얼굴 인식 잠금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RU267971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рабочим состоянием
CN116128468A (zh) 管理平台、数据处理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173321B (zh) 设备通信连接建立方法及设备通信系统
KR20130125568A (ko) 분실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CN110798444B (zh) 一种基于物联网的数据同步方法以及装置
KR102008493B1 (ko) 점수 기반의 보안 강화 장치 및 방법
JP2017050632A (ja) 携帯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210001154A (ko) 단말기, 서버 및 그것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