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521A - 전자 교과서의 편찬 의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교과서의 편찬 의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521A
KR20130125521A KR1020120049099A KR20120049099A KR20130125521A KR 20130125521 A KR20130125521 A KR 20130125521A KR 1020120049099 A KR1020120049099 A KR 1020120049099A KR 20120049099 A KR20120049099 A KR 20120049099A KR 20130125521 A KR20130125521 A KR 20130125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ilation
content
electronic textbook
intention
text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4600B1 (ko
Inventor
지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온
Priority to KR1020120049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600B1/ko
Publication of KR20130125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에 대한 편찬 의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편찬 의도는 전자 교과서의 저술자가 콘텐츠를 상기 전자 교과서 내에 포함시킨 의도를 나타낸다.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는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에 대한 편찬 의도를 추가하고, 편찬 의도에 기반하여 콘텐츠과 연관된 참고 내용을 생성한다.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는 전자 교과서의 사용자에게 콘텐츠 및 참고 내용을 단일한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심-리스로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 교과서의 편찬 의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UBLISH INTENTION OF ELECTRONIC TEXT BOOK}
본 발명은 전자 교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에 대한 편찬 의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교과서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전자 교과서에 연관된 전자 참고서 및 기타 교재들이 디지털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자 교과서, 전자 참고서 및 기타 교재의 시장이 동반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양한 전자 참고서들 및 기타 교재들이 서로 개별적인 환경에서 독립적인 형태로 제공될 경우, 학생 및 교수자를 비롯한 사용자들의 사고의 확장이 전자 교과서를 중심으로 진행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들은 전자 교과서 제작 시, 콘텐츠 별로 정형화된 편찬 의도가 반영될 수 있게 하고, 전자 교과서를 사용하는 학습 환경에서 반영된 편찬 의도가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에 대한 편찬 의도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편찬 의도에 기반하여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와 연관된 참고 내용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 및 연관된 참고 내용을 심-리스로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전자 교과서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교과서의 일부 내용에 대한 편찬 의도를 추가하는 단계 - 상기 편찬 의도는 상기 전자 교과서의 저술자가 상기 일부 내용을 상기 전자 교과서 내에 포함시킨 의도를 나타내는 상기 일부 내용을 위한 메타데이터임 -, 상기 편찬 의도에 기반하여 상기 일부 내용과 연관된 참고 내용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교과서의 사용자에게 상기 일부 내용 및 상기 참고 내용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교과서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전자 교과서 제공 방법은 상기 편찬 의도의 태깅(tagging)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깅은 상기 전자 교과서 내에서의 상기 편찬 의도의 표식일 수 있다.
상기 전자 교과서 제공 방법은, 상기 전자 교과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교과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교과서의 사업자의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 교과서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전자 교과서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참고 내용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편찬 의도를 상기 전자 교과서와 관련된 참고서 사업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참고서 사업자로부터 상기 참고 내용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일부 내용 및 상기 참고 내용을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참고 내용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참고 내용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일부 내용 및 상기 참고 내용을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참고 내용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찬 의도는 상기 일부 내용을 바탕으로한 학습 효과를 설명할 수 있고, 상기 일부 내용에 대한 교육 상의 접근 방식을 설명할 수 있다.
상기 일부 내용 및 상기 편찬 의도는 각각 복수 개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편찬 의도들은 카테고리 별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전자 교과서 제공 방법은, 상기 전자 교과서의 전체 내용에 대한 상기 복수 개의 편찬 의도들을 상기 카테고리 별로 분류함으로써 생성된 통계 자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계 자료는 상기 전자 교과서의 목차들 각각에 대해 생성된 편찬 의도의 개수를 상기 카테고리 별로 표시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는 계층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편찬 의도는 객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편찬 의도의 객체는 하나 이상의 학습 행위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학습 행위 요소들 각각은 상기 학습 행위 요소가 나타내는 학습 행위가 학습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방식을 기술하는 상세 설명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부 내용은 상기 전자 교과서의 하나의 챕터, 하나의 단락 및 하나의 그림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일부 내용 및 상기 참고 내용은 단일한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심-리스(seam-less)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편찬 의도 및 상기 일부 내용 간의 연관은 마이크로포멧을 사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전자 교과서의 일부 내용에 대한 편찬 의도를 추가하고 - 상기 편찬 의도는 상기 전자 교과서의 저술자가 상기 일부 내용을 상기 전자 교과서 내에 포함시킨 의도를 나타내는 상기 일부 내용을 위한 메타데이터임 -, 상기 편찬 의도에 기반하여 상기 일부 내용과 연관된 참고 내용을 생성하고, 상기 전자 교과서의 사용자에게 상기 일부 내용 및 상기 참고 내용을 제공하는 처리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자 교과서, 상기 일부 내용 및 상기 참고 내용을 출력하는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편찬 의도의 태깅(tagging)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태깅은 상기 전자 교과서 내에서의 상기 편찬 의도의 표식일 수 있다.
상기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는, 상기 전자 교과서의 사업자의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 교과서의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전자 교과서의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전자 교과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는, 상기 편찬 의도를 상기 전자 교과서와 관련된 참고서 사업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참고서 사업자로부터 상기 참고 내용을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일부 내용 및 상기 참고 내용을 연관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참고 내용을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전자 교과서의 전체 내용에 대한 상기 복수 개의 편찬 의도들을 상기 카테고리 별로 분류함으로써 생성된 통계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일부 내용 및 상기 참고 내용을 단일한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심-리스(seam-less)로 제공할 수 있다.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에 대한 편찬 의도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편찬 의도에 기반하여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와 연관된 참고 내용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 및 연관된 참고 내용을 심-리스로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교과서 편찬 시스템의 주체들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학교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교과서 사업자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참고서 사업자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편찬 의도 대응 서비스 개발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학교의 교과서 사업자 선정 및 참고서 사업자 선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교과서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전자 교과서를 통한 학습에 있어서의 편찬 의도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 10은 일 예에 따른 편찬 의도 적용과 관련된 이슈를 설명한다.
도 11은 일 예에 따른 편찬 의도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한다.
도 12는 일 예에 따른 편찬 의도의 카테고리, 학습 행위 및 상세 설명을 설명한다.
도 13은 일 예에 따른 편찬 의도 생성 GUI를 설명한다.
도 14는 일 예에 따른 편찬 의도 생성 GUI를 사용한 편찬 의도의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도 15는 일 예에 따른 편찬 의도를 관리하는 GUI를 설명한다.
도 16은 일 예에 따른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의 일부를 단락으로 지정하고, 지정된 단락에 편찬 의도를 추가하는 GUI를 설명한다.
도 17은 일 예에 따른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를 업데이트하려는 의도를 나타내는 편찬 의도를 추가하는 GUI를 설명한다.
도 18은 일 예에 따른 편찬 의도 및 연관된 참고 내용을 제공하는 GUI를 설명한다.
도 19는 일 예에 따른 전자 교과서를 현장에서 활용함으로써 학습 진행을 관리하고, 학습 결과의 확인을 제공하는 GUI를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 및 편찬 의도 간의 바인딩을 위해 사용되는 마이크로포멧의 일반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21은 일 예에 따른 편찬 의도를 전자 교과서 내에 삽입하기 위한 마이크로포멧의 양식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전자 교과서 및 디지털 교과서는 상호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며, 서로 교체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교과서는 전자책(Electronic-book; E-book) 또는 전자책 형태의 정보로 한정되지 않으며, 웹(web)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스트리밍을 형태로 제공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편찬 의도는 전자 교과서의 일부 내용을 위한 메타데이터이다. 일부 내용은 교과서 내의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교과서의 일부 내용 및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는 상호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서로 교체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내용은 전자 교과서의 하나의 챕터, 하나의 단락, 하나의 그림 및 하나의 표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편찬 의도는 전자 교과서의 사업자, 편찬자 또는 편집자가 전자 교과서의 생성, 작성 또는 편집 시에 전자 교과서 내에 콘텐츠를 포함시킨 의도(즉,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에 대한 저술 의도)를 나타내는 상기의 콘텐츠를 위한 메타데이터이다. 편찬 의도는 전자 교과서 내에 메타데이터의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편찬 의도는 일부 내용을 바탕으로 한 학습 효과를 설명할 수 있으며, 일부 내용에 대한 교육 상의 접근 방식을 설명할 수 있다.
참고 내용은 편찬 의도에 기반하여 생성된 콘텐츠와 연관된 메타데이터이다. 말하자면, 참고 내용은 콘텐츠의 편찬 의도에 맞춰져서 생성된 일부 내용을 위한 메타데이터일 수 있으며, 편찬 의도에 대응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참고 내용은 참고 형태 또는 자습 형태의 콘텐츠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참고 내용은 3차 파티(3rd party)인 참고서 사업자 또는 학습서 사업자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전자 교과서의 사용자(예컨대, 교사 또는 학생)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참고 내용과 참고 자료는 상호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며, 서로 교체될 수 있다. 여기서, 참고서는 교과서의 내용을 보충하는 전자책 형태의 정보로 한정되지 않으며, 교과서 또는 교과서의 내용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관된 내용을 포함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 상의 게시판 또는 위키피디아(Wikipedia) 등과 같은 협업 도구의 전부 또는 일부도 상기의 전자책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편찬 의도를 통해,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 및 참고 내용이 서로 간에 매핑될 수 있다. 상기의 매핑은 참고 내용의 서비스가 제공된 후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선 서비스-후 매핑의 관계가 성립할 수 있다. 또한, 참고 내용의 서비스가 제공된 후 매핑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선 매핑-후 서비스의 관계가 성립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교과서 편찬 시스템의 주체들을 나타낸다.
전자 교과서 편찬 시스템은 학교, 교과서 사업자 및 참고서 사업자를 전자 교과서 편찬 서비스의 제공 주체로서 포함할 수 있다.
학교, 교과서 사업자 및 참고서 사업자는 각각 학교 서버(110), 교과서 사업자 서버(120) 및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를 운영할 수 있다. 학교 서버(110), 교과서 사업자 서버(120) 및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는 각각 학교, 교과서 사업자 및 참고서 사업자가 자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운영하는 서버 또는 시스템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학교 서버(110), 교과서 사업자 서버(120) 및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는 각각 복수 개의 서버 군들로 구성된 학교 서버 팜(farm), 교과서 사업자 서버 팜 및 참고서 사업자 서버 팜을 나타낼 수 있다.
학교 서버(110), 교과서 사업자 서버(120) 및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는, 예컨대 오픈(Open)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를 통해, 서로 간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연동될 수 있다.
예컨대, 교과서 사업자 서버(120)는 전자 교과서의 편찬 의도를 오픈 API를 통해 학교 서버(110) 및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참고서 사업자는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로 제공된 편찬 의도를 이용함으로써 상기의 편찬 의도를 중심으로 교과서의 콘텐츠 별로 콘텐츠에 연관된 참고 내용을 생성할 수 있으며, 손쉽게 생성된 참고 내용을 편찬 의도에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의 연결은 논리적 방식의 연결 또는 물리적 방식의 연결일 수 있다. 상기의 연결에 의해 교과서의 내용 및 참고서의 내용 간의 상호 연동성이 제공될 수 있다.
학교는 학교 서버(110)로 제공된 편찬 의도를 용이하게 조회할 수 있다.
교과서 사업자 서버(120) 및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 간의 연관 관계는, 교과서 사업자 서버(120)에 의해 제공되는 교과서 및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에 의해 제공되는 참고서 간의 연관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교과서 및 참고서 간의 연관 관계는, 교과서가 참고서를 참조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참조는 교과서 내의 특정한 콘텐츠가 참고서 내의 특정한 콘텐츠를 참조하는 참조 관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의 참조 관계는 교과서로부터 참고서로의 순 방향의 참조뿐만 아니라, 참고서로부터 교과서로의 역 방향의 참조 또한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학교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다.
학교 서버(110)는 처리부(210) 및 저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또는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나타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웹(web) 어플리케이션 서버일 수 있으며, 일반적인 상용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일 수 있다. 처리부(210)는 다수의 서버들로 구성된 서버 팜일 수 있다. 저장부(220)는 램(ram), 플래시(flash)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등의 저장 장치를 나타낼 수 있으며, 테이블(table) 또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조(structure)를 나타낼 수 있으며,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DB 서버를 나타낼 수 있다.
처리부(210)는 콘텐츠 오케스트레이터(content orchestrator)(211), 프로세스 관리자(process manager)(212), 계약 관리자(contract manager)(213), 키 레포지터리(key repository)(214) 및 어댑터(adaptor)(215)를 실행 또는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오케스트레이터(211), 프로세스 관리자(212), 계약 관리자(213), 키 레포지터리(214) 및 어댑터(215)는 각각 처리부(21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세스(process), 테스트(task), 모듈(module) 등을 나타낼 수 있으며,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구성된 하드웨어(hardware)를 나타낼 수 있다.
콘텐츠 오케스트레이터(211)는 개별적인 콘텐츠 요청에 대한 DB로의 라우팅(routing) 기능을 제공한다. 콘텐츠 오케스트레이터(211)는 콘텐츠 요청을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DB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DB는 후술될 교내 학습 관리 DB(221), 교과서 및 편찬 의도 DB(222) 및 참고서 DB(223)일 수 있다.
프로세스 관리자(212)는 학습 관리 시스템과의 연결을 위해, 학습과 관련된 이벤트(event)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는 전자 교과서를 로드(load)(또는, 호출)하거나, 전자 교과서의 문제를 풀거나, 전자 교과서 및 참고서 간의 연동을 요청하는 것과 같은 학습과 관련된 사용자의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계약 관리자(213)는 학교, 교과서 사업자 및 참고서 사업자 중 3자 또는 양자 간의 개별적인 계약을 관리할 수 있다.
키 레포지터리(214)는 개별적인 계약의 키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키는 계약에 따른 학교, 교과서 사업자 및 참고서 사업자들 각각의 시스템들 간의 연동을 위한 API 키일 수 있다.
어댑터(215)는 외부의 오픈 API 서버와의 연동을 위한 API 어댑테이션(adaptation)을 제공한다. 여기서, 외부의 오픈 API 서버는 소셜(socia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참고서 사업자에 의해 운용되는 학습 포털(portal) 등과 같은 개별적으로 오픈 API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215)는 API를 호출하는 개체가 자신의 시스템 상에서 API에 의해 호출된 값을 이용하기 위해 생성한 연결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교내 학습 관리 DB(221), 교과서 및 편찬 의도 DB(222) 및 참고서 DB(223)를 포함할 수 있다.
교내 학습 관리 DB(221)는 학교가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학습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DB일 수 있다. 교내 학습 관리 DB(221)는 학생 정보, 학생 별 학습 진도 정보 및 학습 관련 과제물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교과서 및 편찬 의도 DB(222)는 학교 내에서 사용되는 전자 교과서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교과서 및 편찬 의도 DB(222)는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는, 교과서 및 편찬 의도 DB(222) 내에서 제공되는 것 외에도, API 호출에 의해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참고서 DB(223)는 학교 내에서 사용되는 참고서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참고서 DB(223)는 참고서의 콘텐츠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서의 콘텐츠는, 학교 및 참고서 사업자 간의 계약 관계에 따라, 학교의 참고서 DB(222) 내에서 제공될 수 있으며,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참고서의 콘텐츠가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 내에 위치하는 경우, 참고서의 콘텐츠는 API 호출에 의해 실시간으로 학교 서버(110)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교과서 사업자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다.
교과서 사업자 서버(120)는 처리부(310) 및 저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나타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일 수 있으며, 일반적인 상용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일 수 있다. 처리부(310)는 다수의 서버들로 구성된 서버 팜일 수 있다. 저장부(320)는 램, 플래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저장 장치를 나타낼 수 있으며, 테이블 또는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낼 수 있으며,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DB 서버를 나타낼 수 있다.
처리부(310)는 키 제공부(311), 계약 제공부(312) 및 오픈 API 제공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310)가 어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서버 팜일 경우, 키 제공부(311), 계약 제공부(312) 및 오픈 API 제공부(313)는 각각 키 서버, 계약 서버 및 오픈 API 서버일 수 있다.
키 제공부(311)는 적어도 하나의 계약을 개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키를 발급할 수 있다.
계약 제공부(312)는 적어도 하나의 계약의 정보를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각 계약의 대상은 학교 및 참고서 사업자일 수 있다.
오픈 API 제공부(313)은 후술될 편찬 의도 DB(321)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웹 서비스를 노출할 수 있다.
저장부(320)는 편찬 의도 DB(321) 및 전자 교과서 DB(322)를 포함할 수 있다.
편찬 의도 DB(321)는 편찬 의도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편찬 의도 정보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 각각에 대한 편찬 의도를 나타낼 수 있다. 편찬 의도 DB(321)는 전자 교과서 별로 편찬 의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교과서 DB(322)는 전자 교과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참고서 사업자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다.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는 처리부(410) 및 저장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부(4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나타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일 수 있으며, 일반적인 상용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일 수 있다. 처리부(410)는 다수의 서버들로 구성된 서버 팜일 수 있다. 저장부(420)는 램, 플래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저장 장치를 나타낼 수 있으며, 테이블 또는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낼 수 있으며,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DB 서버를 나타낼 수 있다.
처리부(410)는 키 제공부(411), 계약 제공부(412) 및 오픈 API 제공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410)가 어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서버 팜일 경우, 키 제공부(411), 계약 제공부(412) 및 오픈 API 제공부(413)는 각각 키 서버, 계약 서버 및 오픈 API 서버일 수 있다.
키 제공부(411)는 적어도 하나의 계약을 개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키를 발급할 수 있다.
계약 제공부(412)는 적어도 하나의 계약의 정보를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계약의 대상은 학교 및 전자 교과서 사업자일 수 있다.
오픈 API 제공부(413)은 교과서 사업자 서버(120)와의 연동을 통한 편찬 의도 정보 수집 및 학교 서버(110)와의 서비스 연동을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420)는 참고서 콘텐츠 DB(421)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서 콘텐츠 DB(421)는 참고서 콘텐츠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편찬 의도 대응 서비스 개발 방법을 설명한다.
전자 교과서 별로 편찬 의도 정보를 제공하는 편찬 의도 DB(321)는 웹 서비스 환경에서의 웹 서비스 설명 언어(Web Services Description Language; WSDL)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참고서 사업자는 하기의 단계들(510 내지 560)을 통해 편찬 의도로의 접근 권한을 획득할 수 있고, 편찬 의도에 대응하는 참고 내용을 개발할 수 있다.
단계(510)에서,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의 처리부(410)는 교과서 사업자 서버(120)의 오픈 API 제공부(313)에게 서비스 계약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515)에서, 오픈 API 제공부(313)는 참고서 제작 사업자에 대한 사업자 심의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업자 심의의 수행은 교과서 사업자로부터 사업자 심의가 통과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단계(520)에서, 오픈 API 제공부(313)는 교과서 사업자 서버(120)의 키 제공부(311)에게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로의 키 발급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525)에서, 키 제공부(311)는 키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530)에서, 키 제공부(311)는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의 처리부(410)로 서비스 계약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의 응답은 생성된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535)에서,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의 처리부(410)는 교과서 사업자 서버(120)의 오픈 API 제공부(313)에게 편찬 의도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의 요청은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540)에서, 오픈 API 제공부(313)는 키 제공부(311)에게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로부터 전송된 키의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545)에서, 키 제공부(311)는 전송된 키를 확인할 수 있다.
키가 유효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단계(550)에서, 키 제공부(311)는 편찬 의도 DB(321)에게 편찬 의도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555)에서, 편찬 의도 DB(321)는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의 처리부(410)에게 편찬 의도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의 응답은 편찬 의도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560)에서, 처리부(410)는 전송된 편찬 의도에 기반하여 참고 내용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학교의 교과서 사업자 선정 및 참고서 사업자 선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610)에서, 학교 서버(110)를 운영하는 학교는 교과서 사업자를 심의 및 선정할 수 있다.
단계(615)에서, 학교 및 선정된 교과서 사업자는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단계(620)에서, 계약을 맺은 교과서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교과서 사업자 서버(120)의 키 제공부(311)는 학교 서버(110)에게 키를 발급해 줄 수 있다.
단계(625)에서, 학교 서버(110)는 오픈 API를 통해 교과서 사업자 서버(120)의 전자 교과서 DB(322) 및 편찬 의도 DB(321)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의 접근을 위해 발급된 키가 사용될 수 있다.
단계(630)에서, 학교 서버(110)는 교과서 사업자 서버(120)로부터 전자 교과서 정보 및 편찬 의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635)에서, 학교 및 교과서 사업자 간의 계약 관계에 따라, 학교 서버(110)는 전자 교과서 정보 및 편찬 의도 정보를 교과서 및 편찬 의도 DB(222) 내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전자 교과서 정보 및 편찬 의도 정보는 학교 서버(110)의 교과서 및 편찬 의도 DB(222) 내에 있을 수 있다.
단계(640)에서, 학교는 편찬 의도에 따른 참고 내용에 대해 공개 입찰을 진행할 수 있다.
단계(645)에서,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를 운영하는 참고서 사업자는 공개 입찰에 대한 응찰을 할 수 있다.
단계(650)에서, 학교는 응찰 결과에 따라 참고서 사업자를 선정 및 계약할 수 있다.
단계(655)에서, 학교는 참고서 사업자 간의 계약 관계를 학교 서버(110)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선정된 참고서 사업자에 의해 생성되어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 내에 저장된 참고 내용이 학교 서버(110)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의 구조도이다.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700)는 송수신부(710), 처리부(720), 저장부(730) 및 입출력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7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etwork Interface Card; NIC),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포트(port)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device) 드라이버(driver)일 수 있으며, 학교 서버(110)의 어댑터(215)와 같은 네트워킹 모듈일 수 있다.
처리부(7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코어(core)일 수 있다.
저장부(730)는 램, 플래시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저장 장치일 수 있으며를 나타낼 수 있으며, 테이블 또는 DB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저장부(730)는 전자 교과서,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 편찬 의도, 및 참고 내용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전자 교과서,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 편찬 의도, 및 참고 내용에 관련된 일체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입출력부(740)는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및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는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정보를 입력 받는 장치는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등일 수 있다.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700)는 다수의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수신부(710), 처리부(720), 저장부(730) 및 입출력부(740) 각각은 특정한 기능에 특화된 적어도 하나의 서버를 나타낼 수 있다.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700)는 전술된 학교 서버(110)에 대응할 수 있다.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700)가 학교 서버(110)에 대응하는 경우,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700)의 처리부(720) 및 저장부(730)는 각각 학교 서버(110)의 처리부(210) 및 저장부(220)에 대응할 수 있다. 또는,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700)는 전자 교과서의 사용자(즉, 교사 또는 학생)이 사용하는 전자 책,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또는 스마트폰(smartphone) 등의 단말일 수 있다.
처리부(720)는 전술된 학교 서버(110)의 처리부(210), 교과서 사업자 서버(120)의 처리부(310) 및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의 처리부(41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730)는 학교 서버(110)의 저장부(220), 교과서 사업자 서버(120)의 저장부(320) 및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의 저장부(4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송수신부(710)는 학교 서버(110), 교과서 사업자 서버(120) 및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의 기능 중 정보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에 관련된 기능(예컨대, 오픈 API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교과서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810)에서,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700)의 처리부(720)는 전자 교과서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810)는 단계들(812, 814 및 816)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812)에서, 처리부(720)는 송수신부(710)를 통해, 예컨대 교과서 사업자 서버(120)의 오픈 API 제공부(313)에게, 전자 교과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814)에서, 송수신부(710)는, 예컨대 교과서 사업자 서버(120)의 전자 교과서 DB(322)로부터, 전자 교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816)에서, 처리부(720)는 수신된 전자 교과의 정보를 저장부(730) 내에 저장함으로써 전자 교과서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820)에서, 처리부(720)는 전자 교과서의 일부 내용에 대한 편찬 의도를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내용은 전자 교과서 내의 콘텐츠일 수 있다.
단계(830)에서, 처리부(720)는 추가된 편찬 의도의 태깅(tagging)을 추가할 수 있다. 태깅은 전자 교과서 내에서의 편찬 의도의 표식일 수 있다. 태깅은 상기의 일부 내용에 대해 편찬 의도가 제공됨을 나타내는 표식일 수 있다. 전자 교과서 사업자 또는 편찬자는 태깅을 통해 특정한 콘텐츠에 대해 편찬 의도가 제공된다는 것을 전자 교과서 내에서 손쉽게 나타낼 수 있다.
편찬 의도가 다수의 주체들에 의해 생성 및 추가될 수 있는 것처럼, 태깅 또한 다수의 주체들에 의해 추가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전자 교과서 내에서 다수의 주체들에 의해 생성된 다수의 편찬 의도의 세트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다수의 태깅들이 존재할 수 있다.
단계(840)에서, 처리부(720)는 편찬 의도에 기반하여 일부 내용과 연관된 참고 내용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840)는 단계들(842, 844 및 84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840)는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들 (510 내지 56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842)에서, 처리부(720)는 송수신부(710)를 통해 편찬 의도를, 예컨대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의 오픈 API 제공부(413)를 통해, 전자 교과서와 관련된 참고서 사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844)에서, 송수신부(710)는, 예컨대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의 참고서 콘텐츠 DB(421)를 통해, 참고서 사업자로부터 참고 내용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720)는 사용자로부터 참고 내용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후술된 현장 학습 등을 통해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700)의 사용자는 편찬 의도에 부합하는 참고 내용을 직접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편찬 의도는 편찬 의도를 생성한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846)에서, 처리부(720)는 일부 내용 및 참고 내용을 연관시킬 수 있다.
단계(850)에서, 처리부(720)는 입출력부(740)를 통해 전자 교과서의 사용자에게 일부 내용 및 참고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처리부(720)는 일부 내용 및 참고 내용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일부 내용 및 참고 내용을 입출력부(740)를 통해 출력되는 단일한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심-리스(seam-less)로 제공될 수 있다.
입출력부(740)는 전자 교과서, 일부 내용, 편찬 의도 및 참고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730)는 전자 교과서, 일부 내용, 편찬 의도 및 참고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단계(860)에서, 처리부(720)는 전자 교과서의 전체 내용에 대한 복수 개의 편찬 의도들을 후술될 카테고리 별로 분류함으로써 생성된 통계 자료를 입출력부(7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전자 교과서를 통한 학습에 있어서의 편찬 의도의 효과를 설명한다.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에 대한 편찬 의도와 관련하여,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 및 상기의 콘텐츠와 연관된 참고 내용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유기적인 연결이란, 1) 각각 개별적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의 형태로 존재하는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 및 상기의 콘텐츠와 연관된 참고 자료들이 단일한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서로 호출될 수 있고, 상대방의 내부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 교과서의 사용자들은 심-리스한 경험을 바탕으로 거부감 없이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와 연결하여 자신이 원하는 참고 자료들을 사용할 수 있다. 교사는 편찬 의도를 통해 1) 전자 교과서를 초기에 편찬한 편찬자의 의도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며, 2) 상기의 이해에 기반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고, 3) 콘텐츠와 관련된 과제 또는 학습 주제들을 제시할 수 있으며, 4) 편찬 의도에 따라 수업이 진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전자 교과서의 사업자 또는 편찬자는 편찬 의도를 통해 콘텐츠를 전자 교과서 내에 포함시킨 의도를 손쉽게 표기할 수 있다.
전자 교과서에 관련된 참고서의 사업자는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 및 상기의 콘텐츠에 대한 편찬 의도에 따라, 관련 자료(즉, 참고 내용)을 시스템(예컨대, 학교 서버(110) 또는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 상에서 유기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유기적인 제공이란, 전자 교과서를 중심으로 개별적인 참고서 사업자들 각각에 의해 작성된 관련 자료들이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 및 상기의 콘텐츠에 대한 편찬 의도와 연계되어 제공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학교는 전자 교과서 내의 편찬 의도 및 관련 자료를 연결할 수 있고, 상호 연결된 편찬 의도 및 관련 자료를 수업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편찬 의도 및 관련 자료에 기반하여 학생의 학습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예에 따른 편찬 의도 적용과 관련된 이슈를 설명한다.
편찬 의도 적용과 관련된 이슈들 각각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1) 전자 교과서와 관련된 서비스 주체들 간의 유기적인 인터페이스
서비스 주체들은 전술된 학교, 전자 교과서 사업자 및 참고서 사업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학교 서버(110), 교과서 사업자 서버(120) 및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는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 IMS) 표준에 기반하여 연동 및 확장될 수 있다. 학교 서버(110), 교과서 사업자 서버(120) 및 참고서 사업자 서버(130) 각각의 모듈들은 서로 간에 IMS 표준에 기반하여 연동 및 확장될 수 있다.
2) 전자 교과서와 관련된 정보들 간의 심-리스한 연결
각각 서로 상이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의 형태로 제공되는 전자 교과서 및 참고 내용 간의 어플리케이션-내(In-Application) 연결 기능이 어떻게 사용자에게 제공될 것이며, 전자 교과서 및 참고 내용 각각이 어떻게 업데이트될 것인지가 고려되어야 한다.
교과서의 콘텐츠 및 참고서의 참고 내용 간의 연결은 어플리케이션-내 연결 및 웹 서비스 연결이라는 두 가지 서비스 연결 형태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두 가지 연결 형태들은 향후 스마트 러닝(smart learning)이 웹 서비스 형태 또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존재한다는 가정에 따른 것이다.
어플리케이션-내 연결이 사용될 경우,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700)의 사용자는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700) 내에 개별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전자 교과서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7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검색, 자료 추천 및 문제 풀이 등의 기능을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와 연결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내 연결은 학교(또는, 학급) 및 참고서 사업자 간의 연계를 통해 참고서 사업자가 제공하는 기능을 학교 서버(110) 상에 등록하고, 상기의 기능이 반영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위해 전자 교과서와 관련된 서비스 및 참고서 사업자가 제공하는 기능과 관련된 서비스를 상호 연결하는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웹 서비스 연결은, 전자 교과서의 웹 서비스 및 참고 내용의 웹 서비스가 서로 간에 상대방의 기능을 호출하기 위해, 상대방의 웹 서비스의 내용을 서비스 별로 임베딩(embedding)하는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웹 서비스 연결은 콘텐츠 또는 서비스에 대해 직접적인 수정이 가해지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웹 서비스 연결은 오-어쓰(Oauth) 인증 등의 방식을 통해 전자 교과서의 웹 서비스 및 참고 내용의 웹 서비스가 각각 상호 연계되는 기능에 대해 상호 호출을 제공하는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3) 전자 교과서의 편찬자의 의도 파악
전자 교과서의 편찬자는, 특정한 학습 자료(예컨대, 전자 교과서 내의 콘텐츠)에 대해, 상기의 학습 자료로 인해 어떠한 학습 효과가 획득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편찬자는 전자 교과서의 사용자가 상기의 학습 자료를 어떠한 방식으로 접근해주기를 원하는가에 대해 정의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정의를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를 위한 메타데이터의 형태로 전자 교과서 내에 삽입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 중 교사를 위한 시스템 또는 장치는 상기의 사용자가 전자 교과서의 초기의 편찬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4) 전자 교과서를 사용한 학습 진도의 검증 및 관리
사용자 중 학생의 학습 진도를 검증 및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또는 장치가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상기의 시스템 또는 장치는 상기의 검증 및 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도 11은 일 예에 따른 편찬 의도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한다.
편찬 의도는 전자 교과서 내에 콘텐츠를 포함시킨 의도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 중 최상위의 메타데이터일 수 있다. 편찬 의도의 정보는 객체(object)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편찬 의도 객체는 확장가능한 마크업 언어(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형태(예컨대, 마이크로포맷(microformat) 형태)로 관리될 수 있다.
편찬 의도 객체는 하나 이상의 학습 행위 요소들을 하위 메타데이터로서 포함할 수 있다. 즉, 편찬 의도를 나타내는 편찬 의도의 객체는 하나 이상의 학습 행위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학습 행위 요소들은 각각 학습 행위를 나타낼 수 있다. 학습 행위는 편찬 의도에 맞는 수업 지도 방법론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학습 행위들 각각은 상세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학습 행위 요소는 상세 설명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 설명 요소는 상기의 학습 행위 요소가 나타내는 학습 요소가 수업 과정 또는 학습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방식(즉, 어떻게 상기의 학습 행위가 수업 과정 또는 학습 과정에서 이루어지는가)을 기술할 수 있다. 즉, 하나의 편찬 의도 객체는 편찬 의도, 학습 행위 및 상세 설명을 포함하는 데이터 셋을 구성할 수 있다. 편찬 의도 객체는 하나 이상의 학습 행위 요소들 및 상기의 하나 이상의 학습 행위 요소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세 설명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편찬 의도 객체는 학습 행위 요소에 대해 1:N의 구조로 확장될 수 있다.
학습 행위는 학습 지도 방법론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호 교체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예에 따른 편찬 의도의 카테고리, 학습 행위 및 상세 설명을 설명한다.
전자 교과서는 다수의 콘텐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콘텐츠들 중 복수 개의 콘텐츠들에 대해 편찬 의도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 및 상기의 콘텐츠에 관련된 편찬 의도는 각각 복수 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편찬 의도들은 카테고리 별로 분류될 수 있다. 도 12에서, 편찬 의도의 카테고리로서, "지식", "토론", "현장 학습", "과제" 및 "논술"이 예시되었다. 상기의 "지식", "토론", "현장 학습", "과제" 및 "논술"은 복수 개의 편찬 의도들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명칭일 수 있다.
각 카테고리는 하나 이상의 학습 행위와 관련될 수 있다. 도 12에서, "토론" 카테고리는 "자유 토론" 학습 행위 및 "토론 제출" 학습 행위와 관련되었고, "현장 학습" 카테고리는 "전역 위치 서비스(Global Positioning Service; GPS) 정보" 및 "사진 등록" 학습 행위와 관련된 것으로 예시되었다. 각 학습 행위는 상세 설명과 관련될 수 있다.
카테고리는 계층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2에서 도시된 카테고리들은 상기의 계층 내에서의 최상위 수준의 카테고리일 수 있다. 즉, 도 12에서 도시된 카테고리들은 각각 하위 카테고리들을 가질 수 있다. 학습 행위는 하위의 카테고리로 간주될 수 있다.
전술된 학습 행위는 상기의 학습 행위를 지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또는 서비스와 연관될 수 있다. 예컨대, "자유 토론" 학습 행위는 전자 교과서의 사용자들 간의 자유 토론을 지원하기 위한 게시판 서비스 또는 토론 서비스와 연관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 행위를 지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서비스를 학습 행위를 지원하기 위한 도구로 명명할 수 있다. 학습 행위와 연관된 도구는 전자 교과서의 사업자, 편찬자 또는 편집자가 전자 교과서의 생성, 작성 또는 편집 시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학습 행위와 연관된 도구는 전자 교과서의 생성, 작성 또는 편집 후에 다른 도구로 대체될 수 있다. 특히, 전자 교과서의 편찬 단계에서, 편찬 의도와 관련된 학습 행위 또는 학습 행위와 연관된 도구가 결정 또는 확정되지 않은 경우, 전자 교과서의 편찬자 외의 다른 주체에 의해 도구가 설정, 추가 또는 변경될 수 있다.
하기의 도 13 내지 도 19는 각각 편찬 의도의 관리에 관련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설명한다.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700)의 처리부(720)는 입출력부(740)를 통해 하기의 GUI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예에 따른 편찬 의도 생성 GUI를 설명한다.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700)는 편찬 의도 생성 메뉴(1310)를 포함하는 GUI(1300)를 입출력부(7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편찬 의도 생성 메뉴(1310)를 통해 편찬 의도를 전자 교과서 내에 메타데이터 형태로 등록할 수 있다.
상기의 GUI는 이미 등록된 편찬 의도들의 목록을 관리할 수 있는 목록 관리 인터페이스(1320)를 제공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1330)은 '현장 학습' 카테고리의 편찬 의도에 대해 '사진 등록'이라는 학습 방법에 대한 가이드(guide) 등록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는 어떤 카테고리의 편찬 의도 및 어떤 학습 행위를 저장할 것인가를 설명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GUI(1300) 는 목록 내의 개별적인 편찬 의도에 대한 수정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1340) 및 삭제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135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서, 편찬 의도의 내용(1360)이 도시되었고, 기 등록된 편찬 의도들의 목록(1370)이 도시되었다. 목록(1370)은 기 등록된 편찬 의도들 각각의 카테고리 및 학습 행위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예에 따른 편찬 의도 생성 GUI를 사용한 편찬 의도의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700)는 편찬 의도 생성 메뉴(1310)를 포함하는 GUI(1400)를 입출력부(7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편찬 의도 생성 메뉴(1310)를 사용하여 편찬 의도를 전자 교과서 내에 메타데이터 형태로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편찬 의도를 추가하는 사용자는 교과서의 저술자일 수 있다. 또한, 편찬 의도를 추가하는 사용자는 전자 교과서를 사용하는 교사 또는 강사일 수 있다. 즉, 전자 교과서 내의 하나 이상의 편찬 의도들은 각각 서로 상이한 주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편찬 의도는 향후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드래그&드롭(drag&drop)의 형태로 리본 박스(1410) 내에 추가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목록(1370) 내의 편찬 의도들 중 하나의 편찬 의도(1420)를, 예컨대 마우스의 커셔(cursor)로 클릭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된 편찬 의도(1420)를 리본 박스(1410)로 드래그&드롭함으로써 선택된 편찬 의도(1420)를 리본 박스(1410) 내에 추가할 수 있다.
리본 박스(1410) 내의 편찬 의도는 삭제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리본 박스(1410) 내의 편찬 의도(1430)를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사용하여 클릭함으로써 선택된 편찬 의도(1430)에 대한 팝-업 메뉴(1440)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된 팝-업 메뉴(1440) 내에서 "삭제"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편찬 의도(1430)를 삭제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예에 따른 편찬 의도를 관리하는 GUI를 설명한다.
교과서의 편찬자가 자신의 편찬 의도를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에 관련하여 상기의 전자 교과서 내에 등록한 경우, 전자 교과서 내에 편찬 의도가 마킹될 수 있다. 편찬 의도의 마킹은 편찬자가 자신의 편찬 의도를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 내에 등록한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통계 GUI(1500)는 전자 교과서의 전체 내용에 대해, 하나 이상의 편찬 의도들이 적용된 내역 및 하나 이상의 편찬 의도들이 적용된 전체 개수에 대한 통계 자료를 일괄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700)는 상기의 통계 GUI(1500)를 입출력부(7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제1 통계(1510)에서, 편찬 의도의 건 수 및 비율이 카테고리 별로 표시되었다.
제2 통계(1520)에서, 전자 교과서의 목차(예컨대, 전자 교과서의 각 장 및 절)의 항목들 각각에 대해 생성된 편찬 의도의 개수가 카테고리 별로 표시되었다.
즉, 단계(760)의 통계 자료는, 1) 전자 교과서 전체에 대한 편찬 의도의 개수 및 비율을 편찬 의도의 카테고리 별로 표시한 데이터 또는 2) 전자 교과서의 목차의 항목들 각각에 대해 생성된 편찬 의도의 개수를 카테고리 별로 표시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예에 따른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의 일부를 단락으로 지정하고, 지정된 단락에 편찬 의도를 추가하는 GUI를 설명한다.
도 16의 편찬 의도 추가 GUI(1600)에서, "토론" 카테고리의 편찬 의도가 추가되는 것이 예시되었다.
사용자는 출력된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1610)의 일부 영역(1620)을 단락으로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1610)는 텍스트(text) 타입(type)일 수 있다.
사용자는 편찬 의도 삽입 메뉴(1630)에서 토론(1640)을 선택하고, 표시된 콘텐츠(1610) 중 편찬 의도에 대한 일부 영역(1620)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의 선택 및 설정에 의해 일부 영역(1620)에 대한 편찬 의도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편찬 의도에 대한 일부 영역(1620)을 설정한 후 편찬 의도 삽입 메뉴(1630)에서 토론(1640)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의 선택 및 설정에 의해 일부 영역(1620)에 대한 편찬 의도가 추가될 수 있다. 전술된 일부 영역(1620)은 전자 교과서의 일부 내용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7은 일 예에 따른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를 업데이트하려는 의도를 나타내는 편찬 의도를 추가하는 GUI를 설명한다.
도 17의 편찬 의도 추가 GUI(1700)에서, 현장 학습 카테고리(1720)의 편찬 의도가 추가된다. 현장 학습 카테고리(1720)의 2 개의 학습 행위들("GPS 정보" 및 "사진 등록")이 도시되었다.
편찬 의도는 현장 학습을 통해 전자 교과서 내의 콘텐츠(예컨대, 내소사 대웅전 꼿살문의 사진(1740))을 업데이트하려는 의도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이러한 의도가 메타데이터의 형태로 전자 교과서 내에 삽입될 수 있다.
편찬 의도가 추가될 일부 영역은 전자 교과서의 내용(1750) 중 특정 영역을 드레그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편찬 의도 삽입 메뉴(1710)에서, 현장 학습 카테고리(1720) 및 사진 등록 학습 행위(1730)를 순차적으로 선택함으로써 편찬 의도가 추가될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8은 일 예에 따른 편찬 의도 및 연관된 참고 내용을 제공하는 GUI를 설명한다.
참고 내용 GUI(1800)에서, 참고서 활용 메뉴(1810)가 도시되었다. 참고서 활용 메뉴(1810)는 참고서 보기 메뉴(1820) 및 참고 내용 불러오기(1830)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참고서 보기 메뉴(1820)를 선택하면, 출력된 전자 교과서의 일부 내용(1840)(예컨대, 콘텐츠)과 연관된 참고서의 내용이 입출력부(7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참고 내용 불러오기(1830)를 선택하면, 입출력부(740)를 통해 출력된 전자 교과서의 일부 내용(1840)과 관련된 참고 내용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9는 일 예에 따른 전자 교과서를 현장에서 활용함으로써 학습 진행을 관리하고, 학습 결과의 확인을 제공하는 GUI를 설명한다.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700)의 사용자는 학습 진행 관리 메뉴(1910) 중 '현장 학습' 카테고리 메뉴(1920)를 선택할 수 있고, 다시, '현장 학습' 카테고리 메뉴(1920)에서, '사진 등록' 학습 행위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학생들이 현장 학습을 통해 사진을 업데이트 한 경우, 업데이트된 사진은 편찬 의도에 기반한 참고 내용으로서 등록될 수 있다.
교사가 사용하는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700)의 처리부(720)는 입출력부(740)를 통해 참고 내용으로서 사진을 업데이트한 학생들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학생들의 정보는 학생들 각각의 프로필(profile) 사진(1930)일 수 있다. 즉, 참고 내용은 상기의 참고 내용을 생성한 주체 또는 전자 교과서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720)는 입출력부(740)를 통해 참고 내용으로서 업데이트된 사진(1940)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700)의 사용자(예컨대, 교사)는 입출력부(740)를 통해 특정한 학생을 나타내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특정한 학생을 나타내는 정보가 선택되면 처리부(720)는 입출력부(740)를 통해 선택된 학생이 업로드한 사진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특정한 학생에 의해 업로드된 사진들을 확인할 수 있다.
처리부(720)는 입출력부(740)를 통해 재생 버튼(1950) 등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재생 버튼(1950)이 입력(또는, 선택)되면, 처리부(720)는 입출력부(740)를 통해 일련의 사진들(예컨대, 특정한 학생에 의해 업로드된 사진들)을 슬라이드 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술된 참고 내용의 등록 및 제공을 통해, 학생 및 교사를 비롯한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700)의 사용자는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와 연관된 최신의, 풍부하게 업로드된 참고 내용(예컨대, 사진 컨텐츠)을 수업 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식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슬라이드 형태로 제공된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와 연관된 참고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 및 편찬 의도 간의 바인딩을 위해 사용되는 마이크로포멧의 일반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편찬 의도를 나타내는 정보 및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정보는 IMS 표준 또는 전자 출판(electronic Publication; ePub) 표준 등과 상호 연동될 수 있다. 즉,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 및 상기의 콘텐츠에 대한 편찬 의도 간의 바인딩은 IMS 표준 또는 전자 출판 표준에 부합할 수 있다. 여기서, 바인딩이란 데이터의 연결 및 렌더링(rendering)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연동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즉, 편찬 의도가 생성되는 일부 내용) 및 편찬 의도 간의 연동에 있어서, 메타데이터 연동 문제 및 정보 위치 연동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즉, 1) 각각 별개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의 형테로 제공되는 참고 내용 및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 간의 어플리케이션-내 연결 기능이 어떻게 제공될 것인지가 문제시될 수 있으며, 2) 참고 내용, 콘텐츠 및 어플리케이션-내 연결 기능 각각을 어떻게 업데이트할 것인지가 문제시될 수 있다.
상기의 문제들은 마이크로포멧(microformat)을 이용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즉,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 및 편찬 의도 간의 바인딩(즉, 연관)은 마이크로포멧을 사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포멧은 XMTML의 상위 개념 중 하나로 간주될 수 있다. 마이크로포멧은 작고, 특화된 정보를 표준 포멧에 삽입하는 방식이며, HTML/XHTML과 같은 호스트 포멧으로서 풍부한 의미를 터널링하는 방식이다. 마이크로포멧은 일반적인 전자책 리더(reader) 및 모바일(mobile) 브라우저(browser) 등과 같은 프로세싱 능력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상기의 바인딩을 통한 동작을 구동할 수 있다.
마이크로포멧은 엘리멘탈(elemental) 마이크로포멧 및 컴파운드(compound) 마이크로포멧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엘리멘탈 마이크로포멧은 XDMP, XFN, XOXO, RelLicense 및 RelTa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파운드 마이크로포멧은 hCard, hCalendar 및 hReview 등을 포함할 수 있다.
hcomplication은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 및 편찬 의도 간의 바인딩을 위해 사용되는 컴파운드 마이크로포멧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1은 일 예에 따른 편찬 의도를 전자 교과서 내에 삽입하기 위한 마이크로포멧의 양식을 나타낸다.
h컴플리케이션(hComplication)은 편찬 의도를 전자 교과서 내에 삽입하기 위한 스키마를 나타낼 수 있다.
hComplication은 하기의 표 1과 같은 하위 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하위 요소 필수 여부 타입 설명
버전
(version)
선택적
(optional)
텍스트
생성(또는, 작성) 시점에서의 hCompilation의 버전을 의미
카테고리
(category)
필수적
(required)
텍스트
hComplication이 편찬 의도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함
행위
(behavior)
필수적 텍스트
hComplication이 학습 행위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함
제목
(title)
필수적 텍스트
편찬 의도 또는 학습 행위의 값
설명
(description)
선택적 텍스트, UTF-8
학습 행위에 대한 상세 설명의 값
저자
(writer)
선택적 hCard 편찬 의도를 등록 또는 수정한 사람의 정보.
날짜
(date)
선택적 ISO8601 절대적(absolute) 날짜 시각(date time) hComplication이 생성(또는, 작성)된 날짜의 정보
태그
(tag)
선택적 키워드(keyword) 또는 구(phrase)
렐-태그(rel-tag) 사용
추가적으로 사용된 태그의 정보
라이센스
(license)
선택적 렐-라이센스(rel-license) 사용 상기의 정보들의 라이선스에 대한 정보
"hCard", "rel-tag", "rel-license" 각각에 대해 "http://microformats.org/wiki/hcard", "http://microformats.org/wiki/rel-tag" 및 "http://microformats.org/wiki/rel-license"가 참조될 수 있다.
하기의 표 2는 HTML 형태로 제공되는 콘텐츠의 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div>
<span> 답사 둘째 날, 꽃살문으로 유명한 부안 내소사로 향했다. 경내에 들어서니 유서 깊은 대웅보전이 고즈넉하게 자리 잡고 있었다. </span> </p>
<span> ㉠ 꽃살문에서 꽃문양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각 꽃살문에는 연꽃, 모란, 국화 등이 새겨져 있었는데, 꽃잎 하나하나까지 정교하게 조각되어 있었다. 특히 왼쪽에서 셋째, 여섯째 문은 다른 문들과 꽃문양의 배치가 달라 눈길을 끌었다 </span></p>
</div>
도 21은 전자 교과서에 hCompilation을 추가한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도 21은 표 2의 콘텐츠에 hCompilation이 적용된 내용을 나타낼 수 있다.
처리부(720)는 전자 교과서에서, hCompilation이 태깅된 일부 범위를 편찬 의도와 연관된 일부 내용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전술된 메타데이터 연동 문제에 있어서, hcompilation의 포멧(format)의 규칙에 따라 메타데이터가 인식 및 추출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연동은 표준 규격에 따라 처리될 수 있다.
전술된 정보 위치 연동 문제에 있어서, 마이크로포멧은 콘텐츠의 주위를 태그(tag)(예컨대, "div" 태그)로 둘러 싸기 있기 때문에, 상기의 태그가 둘러 싸고 있는 범위 내의 콘텐츠에 편찬 의도가 연결될 수 있다.
하기에서, hCompiliation을 사용하여 편잔 의도 및 참고 내용을 연관시키는 처리 절차를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842)에서, 처리부(720)는 전자 교과서의 편찬 의도의 유효성을 검사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부(720)는 둠(Document Object Model; DOM) 파서(parser)를 사용하여 전자 교과서의 정보를 로드할 수 있고, 로드된 전자 교과서의 정보의 기본적인 신택스(syntax)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720)는 전자 교과서의 정보에서 편찬 의도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처리부(720)는 전자 교과서의 정보의 DOM 트리(tree) 내에서 hCompliation을 추출함으로써 편찬 의도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hCompliation는 태그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또한, 처리부(720)는 추출된 hCompliation 태그를 기준으로, 상기의 태그의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즉, 전자 교과서의 일부 내용)의 위치의 정보를 함께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논리적 위치 정보 및 물리적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846)에서, 처리부(720)는 편찬 의도를 나타내는 데이터 셋에 기반하여 전자 교과서의 콘텐츠 및 참고서 사업자에 의해 작성된 참고 자료 간의 링크(link)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부(720)는 전자 교과서의 편찬 의도들 각각을 고유한(unique) 형태로 구분할 수 있도록 논리적 위치 및 물리적 위치 중 하나 이상의 값을 이용하여 링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논리적 위치는 페이지 렌더링 시 렌더링되는 페이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물리적 위치는 전자 교과서 정보 중 편찬 의도에 대응하는 태그의 순서일 수 있다. 처리부(720)는 저장부(730) 내에 연결 링크의 정보를 XML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하기에서, 전자 교과서가 이용될 때 편찬 의도에 따라 참고 내용이 로드되는 절차가 설명된다.
단계(750)에서, 처리부(720)는 저장부(730)로부터 디지털 교과서의 정보(즉, 콘텐츠)를 로드할 때, 디지털 교과서의 정보와 함께 참고 내용을 로드할 수 있다.
처리부(720)는 로드된 디지털 교과서의 정보 내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태그의 정보 및 사용자의 태그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처리부(720)는 인식된 태그 정보를 이벤트 리스너(event listener)에 등록할 수 있다.
처리부(720)는 이벤트 리스너에 의해 호출되는 링크 정보에 기반하여 참고 내용을 호출할 수 있다. 여기서, 링크 정보는 논리적인 링크 정보 또는 물리적인 링크 정보일 수 있다.
처리부(720)는 호출된 참고 내용을 렌더링할 수 있으며, 렌더링된 참고 내용을 입출력부(7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교과서를 생성하는 전자 교과서 생성 코드와, 전자 교과서의 일부 내용에 대한 편찬 의도를 추가하는 편찬 의도 추가 코드와, 편찬 의도의 태깅을 추가하는 태깅 추가 코드와, 편찬 의도에 기반하여 일부 내용과 연관된 참고 내용을 생성하는 참고 내용 생성 코드와, 전자 교과서의 사용자에게 일부 내용 및 참고 내용을 제공하는 전자 교과서 제공 코드와, 전자 교과서의 전체 내용에 대한 복수 개의 편찬 의도들을 상기 카테고리 별로 분류함으로써 생성된 통계 자료를 제공하는 통계 자료 제공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피쳐폰 VM(virtual machine) 등의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 및/또는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 및/또는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에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파일 시스템은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를 통해 설명된 기술적 내용은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학교 서버
120: 교과서 사업자 서버
130: 참고서 사업자 서버
700: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
710: 송수신부
720: 처리부
730: 저장부
740: 입출력부

Claims (29)

  1. 전자 교과서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교과서의 일부 내용에 대한 편찬 의도를 추가하는 단계 - 상기 편찬 의도는 상기 전자 교과서의 저술자가 상기 일부 내용을 상기 전자 교과서 내에 포함시킨 의도를 나타내는 상기 일부 내용을 위한 메타데이터임 -;
    상기 편찬 의도에 기반하여 상기 일부 내용과 연관된 참고 내용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교과서의 사용자에게 상기 일부 내용 및 상기 참고 내용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교과서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찬 의도의 태깅(tagging)을 추가하는 단계 - 상기 태깅은 상기 전자 교과서 내에서의 상기 편찬 의도의 표식임 -
    를 더 포함하는, 전자 교과서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교과서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교과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교과서의 사업자의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 교과서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전자 교과서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교과서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고 내용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편찬 의도를 상기 전자 교과서와 관련된 참고서 사업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참고서 사업자로부터 상기 참고 내용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일부 내용 및 상기 참고 내용을 연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교과서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고 내용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참고 내용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일부 내용 및 상기 참고 내용을 연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교과서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참고 내용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교과서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찬 의도는 상기 일부 내용을 바탕으로한 학습 효과를 설명하며, 상기 일부 내용에 대한 교육 상의 접근 방식을 설명하는, 전자 교과서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내용 및 상기 편찬 의도는 각각 복수 개이며,
    상기 복수 개의 편찬 의도들은 카테고리 별로 분류되며,
    상기 전자 교과서의 전체 내용에 대한 상기 복수 개의 편찬 의도들을 상기 카테고리 별로 분류함으로써 생성된 통계 자료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교과서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자료는 상기 전자 교과서의 목차들 각각에 대해 생성된 편찬 의도의 개수를 상기 카테고리 별로 표시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교과서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는 계층적으로 구성된, 전자 교과서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찬 의도는 객체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편찬 의도의 객체는 하나 이상의 학습 행위 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학습 행위 요소들 각각은 상기 학습 행위 요소가 나타내는 학습 행위가 학습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방식을 기술하는 상세 설명 요소를 포함하는, 전자 교과서 제공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내용은 상기 전자 교과서의 하나의 챕터, 하나의 단락 및 하나의 그림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전자 교과서 제공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내용 및 상기 참고 내용은 단일한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심-리스(seam-less)로 제공되는, 전자 교과서 제공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찬 의도 및 상기 일부 내용 간의 연관은 마이크로포멧을 사용하여 정의되는, 전자 교과서 제공 방법.
  15. 전자 교과서의 일부 내용에 대한 편찬 의도를 추가하고 - 상기 편찬 의도는 상기 전자 교과서의 저술자가 상기 일부 내용을 상기 전자 교과서 내에 포함시킨 의도를 나타내는 상기 일부 내용을 위한 메타데이터임 -, 상기 편찬 의도에 기반하여 상기 일부 내용과 연관된 참고 내용을 생성하고, 상기 전자 교과서의 사용자에게 상기 일부 내용 및 상기 참고 내용을 제공하는 처리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자 교과서, 상기 일부 내용 및 상기 참고 내용을 출력하는 입출력부
    를 포함하는,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편찬 의도의 태깅(tagging)을 추가하고,
    상기 태깅은 상기 전자 교과서 내에서의 상기 편찬 의도의 표식인,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교과서의 사업자의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 교과서의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전자 교과서의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전자 교과서를 생성하는,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편찬 의도를 상기 전자 교과서와 관련된 참고서 사업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참고서 사업자로부터 상기 참고 내용을 수신하는 송수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일부 내용 및 상기 참고 내용을 연관시키는,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참고 내용을 수신하는 송수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일부 내용 및 상기 참고 내용을 연관시키는,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참고 내용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편찬 의도는 상기 일부 내용을 바탕으로한 학습 효과를 설명하며, 상기 일부 내용에 대한 교육 상의 접근 방식을 설명하는,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내용 및 상기 편찬 의도는 각각 복수 개이며,
    상기 복수 개의 편찬 의도들은 카테고리 별로 분류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전자 교과서의 전체 내용에 대한 상기 복수 개의 편찬 의도들을 상기 카테고리 별로 분류함으로써 생성된 통계 자료를 제공하는,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자료는 상기 전자 교과서의 목차들 각각에 대해 생성된 편찬 의도의 개수를 상기 카테고리 별로 표시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는 계층적으로 구성된,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편찬 의도는 객체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편찬 의도의 객체는 하나 이상의 학습 행위 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학습 행위 요소들 각각은 상기 학습 행위 요소가 나타내는 학습 행위가 학습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방식을 기술하는 상세 설명 요소를 포함하는,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내용은 상기 전자 교과서의 하나의 챕터, 하나의 단락 및 하나의 그림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
  2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일부 내용 및 상기 참고 내용을 단일한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심-리스(seam-less)로 제공하는,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
  2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편찬 의도 및 상기 일부 내용 간의 연관은 마이크로포멧을 사용하여 정의되는, 전자 교과서 제공 장치.
  29. 전자 교과서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전자 교과서의 일부 내용에 대한 편찬 의도를 추가하는 편찬 의도 추가 코드 - 상기 편찬 의도는 상기 전자 교과서의 저술자가 상기 일부 내용을 상기 전자 교과서 내에 포함시킨 의도를 나타내는 상기 일부 내용을 위한 메타데이터임 -
    상기 편찬 의도에 기반하여 상기 일부 내용과 연관된 참고 내용을 생성하는 참고 내용 생성 코드; 및
    상기 전자 교과서의 사용자에게 상기 일부 내용 및 상기 참고 내용을 제공하는 전자 교과서 제공 코드
    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049099A 2012-05-09 2012-05-09 전자 교과서의 편찬 의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24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099A KR101924600B1 (ko) 2012-05-09 2012-05-09 전자 교과서의 편찬 의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099A KR101924600B1 (ko) 2012-05-09 2012-05-09 전자 교과서의 편찬 의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521A true KR20130125521A (ko) 2013-11-19
KR101924600B1 KR101924600B1 (ko) 2018-12-03

Family

ID=4985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099A KR101924600B1 (ko) 2012-05-09 2012-05-09 전자 교과서의 편찬 의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6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586A (ko) * 2000-09-14 2000-12-05 이영교 개인별 맞춤식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통합 교육 시스템
KR20030000244A (ko) * 2001-06-22 2003-01-06 신영선 전자책
JP2005062987A (ja) * 2003-08-08 2005-03-10 Shingakusha Co Ltd 教科書関連情報検索システム
KR20110095612A (ko) * 2010-02-19 2011-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링크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586A (ko) * 2000-09-14 2000-12-05 이영교 개인별 맞춤식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통합 교육 시스템
KR20030000244A (ko) * 2001-06-22 2003-01-06 신영선 전자책
JP2005062987A (ja) * 2003-08-08 2005-03-10 Shingakusha Co Ltd 教科書関連情報検索システム
KR20110095612A (ko) * 2010-02-19 2011-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링크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600B1 (ko) 201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48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editing and publishing cross-platform interactive electronic works
Smith et al. Scratchpads 2.0: a Virtual Research Environment supporting scholarly collaboration, communication and data publication in biodiversity science
US20130031208A1 (en) Management and Provision of Interactive Content
US20120102383A1 (en) Creating, Sharing and Modifying Documents That Include Content and an Integrated Software Application
US20050198202A1 (en) Method for causing server to provide client computers with annotation functions for enabling users of the client computers to view object-based documents with annotations
Martinez-Garcia et al. Case-based learning, pedagogical innovation, and semantic web technologies
Blakiston Developing a content strategy for an academic library website
Schulman et al. The Finnish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as a best-practice model for biodiversity data infrastructures
Hanson A beginner's guide to creating Library Linked Data: lessons from NCSU's Organization Name Linked Data Project
Edmunds et al. Increasing visibility of open access materials in a library catalog: case study at a large academic research library
Hunter Moving open access to open source: transitioning an open-access journal into the open journal systems journal management system
Huynh et al. Learning by doing: How to develop a cross-platform web app
Knapp et al. Learning to love the lor: implementing an internal learning object repository at a large national organization
KR101924600B1 (ko) 전자 교과서의 편찬 의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Stitz et al. A path to providing user-centered subject guides
Miller Digital project preservation plan: A guide for preserving digital humanities/scholarship projects
Naithani et al.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the Conceptual Frameworks of CMS
Pansare et al. Smart college event management system using MERN Stack
Golub et al. Increasing visibility of culture through online information services: The case of Småland
Boone et al. Library Management in Trivandrum, India
Sundar et al.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Automation of Model Cloning Scalable EAV Model in GNEISYS Framework
Pimpler et al. Building web and mobile ArcGIS Server applications with JavaScript: build exciting custom web and mobile GIS applications with the ArcGIS Server API for JavaScript
de Bolster Generating blaise from ddi
US20170300369A1 (en) Method for combining unified matters in personal workspace and system using the same
EP27323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editing and publishing cross-platform interactive electronic 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