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247A - Bone conduction headphone - Google Patents

Bone conduction head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247A
KR20130125247A KR1020120048838A KR20120048838A KR20130125247A KR 20130125247 A KR20130125247 A KR 20130125247A KR 1020120048838 A KR1020120048838 A KR 1020120048838A KR 20120048838 A KR20120048838 A KR 20120048838A KR 20130125247 A KR20130125247 A KR 20130125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conduction
sound
conduction headphones
upper case
voic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8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77418B1 (en
Inventor
김덕규
강상규
신현택
우민환
유병진
최남식
김성훈
Original Assignee
메아리소닉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아리소닉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아리소닉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8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418B1/en
Publication of KR20130125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2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4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for diaphragms or their outer suspen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conduction headphone and, more specifically, to a bone conduction headphone which enables people, who do not hear sound well because of damage to the eardrum, to listen to sound well by adding the function of a hearing aid as well as the function of a headphone, can reduce a bad influence on users by preventing fine metallic magnetic materials from being absorbed onto a human body with magnets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uman body, can sharply reproduce low-frequencies, and can prevent the leakage of sound to the outside. The bone conduction head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purpose includes a speaker part on both sides of a mounting part, the speaker part comprising: a lower case which covers a part coming into contact with a human body; an upper case which covers the other side of the lower case; a plate spring which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upper and lower cases; a voice coil structure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plate spring and the upper case; and a vibrating plate which is provided i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case.

Description

골전도 헤드폰{bone conduction headphone}Bone conduction headphones

본 발명은 골전도 헤드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폰의 기능뿐만 아니라, 보청기의 기능을 추가하여, 고막이 손상되어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사람들도 소리를 잘 들을 수 있고, 자석의 위치를 신체와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금속성의 미세한 자성체가 신체와 접촉하는 부분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미치는 악영향을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음역대도 선명하게 재생할 수 있으며, 음향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골전도 헤드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conduction headphone, and more particularly, by adding not only the function of the headphone but also the function of a hearing aid, the eardrum is damaged so that people who cannot hear well can hear the sound well, and the position of the magnet and the body By being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etallic fine magnetic body from being adsorbed on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body, to reduce the adverse effect on the user, to reproduce the low range clearly, and to prevent the soun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Relates to bone conduction headphones.

일반적으로 사람이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방법은 두 가지로 공기전도(air conduction)방식과 골 전도(bone conduction)방식이 그것이다.In general, there are two ways in which people can hear sound: air conduction and bone conduction.

이 중에서, 공기전도방식은 소리가 고막을 통해 내이(inner ear)로 전달되는 방식으로서, 통상 공기로 전해지는 소리의 진동은 귀속에 고막으로 전달되어 고막 속에 자리잡고 있는 3개의 뼈를 통하여 진동이 "와우"라는 것에 전달된다.Among them, the air conduction method is a method in which sound is transmitted to the inner ear through the eardrum. In general, the vibration of the sound transmitted to the air is transmitted to the eardrum and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ree bones located in the eardrum. It is passed on to "wow".

따라서, 와우(달팽이관)에는 린바액이라는 액체가 차 있고, 이 액체의 진동이 전기신호로 바뀌면서 청각 신경에 전달됨으로써, 사람의 뇌는 소리를 인식하게 된다.Therefore, a liquid called rinba liquid is filled in the cochlea (snail tube), and the vibration of the liquid is transmitted to the auditory nerve as the electrical signal is changed, so that the human brain recognizes sound.

한편, 골전도방식은 두개골(cranial bone)을 통한 소리가 달팽이관에 전달, 청각신경을 거쳐 뇌로 전달되는 것으로서, 소리 인식 메커니즘에서 진동이 고막과 고막 속에 자리 잡고 있는 3개의 뼈를 경유하는 과정을 생략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bone conduction method is that the sound through the skull (cranial bone) is transmitted to the cochlea, through the auditory nerve to the brain, the vibration recognition in the sound recognition mechanism skips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three bones located in the eardrum and the tympanic membrane. It is.

즉, 귀 주변의 피부 표면에 가해지는 음향 진동이 두개골을 통하여 직접 와우에 전달됨으로써, 고막이나 이소골(耳小骨)에 이상이 있는 난청자라도, 와우와 청각 신경이 정상이라면 피부를 통한 골 전도로 확실하게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acoustic vibration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kin around the ear are transmitted directly to the cochlea through the skull, so that even if the eardrum or the ear bones are abnormal, if the cochlear and auditory nerves are normal, bone conduction through the skin can be ensured. You will hear the sound.

한편, 공기전도형 이어폰 및 헤드폰의 경우 귀를 막고 사용함으로써, 주변 외부의 소음 등을 들을 수가 없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증가하여 선진국에서는 귀를 막고 사용하는 공기전도형 이어폰 및 헤드폰을 착용하고 도로상에서 음악 등을 청취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법률적으로 규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ir-conducting earphones and headphones, the ears are blocked and you can not hear outside noises, which increases the risk of safety accidents.In developed countries, air-conducting earphones and headphones are blocked and used on the road. The law prohibits music from being heard.

또한, 최근 디지털음향 및 통신기기의 눈부신 보급으로 세계적으로 청소년들의 소음성 난청증가는 인구대비 10% 이상으로 난청을 호소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고령화 시대에서도 노인성 난청증가도 사회적으로 문제시되어 수신되는 스피커의 음량을 감소하고 사용시간을 줄이는 것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due to the recent widespread use of digital sound and communication devices, the world's noise deafness has increased by more than 10% of the world's population.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e increase in senile hearing loss is also a social problem. It is proposed to reduce the number of hours and reduce the use time.

따라서, 골전도 스피커는 일반인의 경우 귀를 열어놓고 사용함으로서 주변의 소음을 동시에 수신하므로 안전사고의 예방과 고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않고 골전도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하므로 난청예방을 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since the bone conduction speaker receives the surrounding noise at the same time by using the ears open, the hearing loss prevention is prevented because the bone conduction principle is used using the bone conduction principle without directly affecting the prevention and safety of the eardrum.

또한, 일반적인 골전도 스피커의 구조는 스피커의 출력향상을 위해 진동자의 구성을 스피커하우징의 외부로 구성함으로써, 음량의 증가시마다 진동폭이 증가하여 사용시, 인체에 간지러움을 증가시켜, 일부 사용자에게는 장시간 사용시 어지러움과 두통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general bone conduction speaker is configur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vibrator to the outside of the speaker housing to improve the output of the speaker, the vibration width increases with each increase of the volume increases the tickle to the human body when used, dizzying for some users long-term use There was a problem with headaches.

또한, 골전도 스피커는 스테레오사운드(stereo sound)를 재생하는 능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일반적인 모노(mono)사운드로 인해 골전도의 장점에 비해 치명적인 기술의 한계로 인해 스테레오(stereo)를 사용하는 오디오용으로 보급되지 못하고 있다.In addition, bone conduction speakers have a significantly reduced ability to reproduce stereo sound, which is used for audio using stereo due to the limitations of technology that is fatal compared to the advantages of bone conduction due to the general mono sound. It is not spreading.

이러한 골전도를 이용한 스피커의 일 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등록특허 제10-0770590호에 기재된 기술이 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스피커(300)는, 원통형상의 제1자석(301)과, 이 제1자석(301)의 외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성되는 원통형상의 제2자석(302)과, 상기 제1자석(301)의 내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성되는 원기둥형상의 폴피스(303)와, 상기 제1자석(301), 제2자석(302) 및 폴피스(303)의 후단을 지지하면서 자속을 유도하는 하부플레이트(304)와, 상기 제1자석(301)의 상단에 구성되는 도넛형상의 제1상부플레이트(305)와, 상기 제1상부플레이트(305)의 외측이면서 상기 제2자석(302)의 상단에 구성되는 도넛형상의 제2상부플레이트(306)와, 상기 제1상부플레이트(305)의 내측이면서 상기 폴피스(303)의 상단에 구성되는 원판형상의 제3상부플레이트(307)와, 상기 제1자석(301) 및 폴피스(303) 사이에 형성되는 제1진동공간(301a)에서 진동하는 원통형상의 제1진동코일(308)과, 이 제1진동코일(308)이 권선된 원통형상의 제1보빈(309)과, 상기 제1자석(301) 및 제2자석(302) 사이에 형성되는 제2진동공간(302a)에서 진동하는 원통형상의 제2진동코일(310)과, 이 제2진동코일(310)이 권선된 원통형상의 제2보빈(311)과, 상기 제1보빈(309)의 상단에 고정되어 제1보빈(309)의 진동과 함께 진동하면서 피진동체(일반적으로 공기)를 진동시키는 제1진동소재(312)와, 상기 제2보빈(311)의 상단에 고정되어 제2보빈(311)의 진동과 함께 진동하면서 피진동체(골 또는 공기 등일 수 있다)를 진동시키는 제2진동소재(313)와, 상기 제1상부플레이트(305)의 상단에 고정되면서 상기 제1보빈(309)과 제2보빈(311) 사이에 구성되어서 상기 제1진동소재(312)를 지지하는 도넛형상의 제1프레임(314)과,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306)의 상단에 고정되면서 상기 제1프레임(314)과 함께 상기 제2진동소재(313)를 지지하는 도넛형상의 제2프레임(315)과, 상기 제2진동소재(313)를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314, 315)에 탄력 있게 지지시키는 에지(316,317)와, 상기 제1프레임(314)의 상부를 덮으면서도 제1진동소재(312)에 의한 진동이 전면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다수의 개방공(318a)이 형성된 그릴(31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 example of a speaker using such bone conduction, there is a technology described in Korean Patent No. 10-0770590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technical feature of the speaker 300 is a cylindrical first magnet 301. ), A cylindrical second magnet 302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 30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cylindrical pole piec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the inside of the first magnet 301. 303, a lower plate 304 for inducing magnetic flux while supporting rear ends of the first magnet 301, the second magnet 302, and the pole piece 303, and an upper end of the first magnet 301. A donut-shaped first upper plate 305, a donut-shaped second upper plate 306 which is formed outside of the first upper plate 305 and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second magnet 302, and A disk-shaped third upper plate 3 formed inside the first upper plate 305 and on the upper end of the pole piece 303. 07) and a cylindrical first vibration coil 308 oscillating in the first vibration space 301a formed between the first magnet 301 and the pole piece 303, and the first vibration coil 308 Cylindrical second vibration coil 310 oscillating in the wound cylindrical first bobbin 309 and the second vibration space 302a formed between the first magnet 301 and the second magnet 302. And, the second vibration coil 310 is wound around the cylindrical second bobbin 311 and the first bobbin 309 is fixed to the upper vibration of the first bobbin 309 and the vibration body ( In general, the first vibration material (312) for vibrating the air), and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obbin (311) while vibrating with the vibration of the second bobbin (311) may be a vibration body (bone or air, etc.) The first vibration material 312 is configured between the first bobbin 309 and the second bobbin 311 while being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vibration material 313 and the first upper plate 305 ) A donut-shaped first frame 314 supporting the donut shape and a donut-shaped material supporting the second vibration material 313 together with the first frame 314 while being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second upper plate 306. Covering the second frame 315, the edges 316 and 317 to elastically support the second vibration material 313 to the first and second frames 314 and 315,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314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rill 318 formed with a plurality of open holes (318a) so that the vibration by the first vibration material 312 is output to the front.

그런데, 등록특허 제10-0770590호에 기재된 기술은 골전도 방식을 통하여 소리를 재생함으로써, 고막 등에 손상이 있어 공기전도 방식으로는 소리를 들을 수 없는 사람들도 안정적으로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하는 장점은 있으나, 내부에 구비된 자석이 신체부분과 가까운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스피커의 출력을 높이기 위해 자석의 규격상승과 수량을 증가하여 구성함으로써, 강한 자력으로 인해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되며, 스피커에 소요되는 복잡한 소요부품의 구조로 인해 원가상승과 소리를 재생시 음질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By the way, the technology described in Patent No. 10-0770590 is to reproduce the sound through the bone conduction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eople who can not hear the sound by the air conduction method due to damage to the eardrum, etc. However, since the magnet provided inside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body part, by increasing the size and quantity of the magnet in order to increase the output of the speaker, due to the strong magnetic force adversely affects the human body,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of required part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ound quality is significantly lowered during the cost increase and reproduction of the soun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골전도 방식으로 소리를 재생하도록 하여, 고막에 문제가 있거나, 시끄러운 환경에서도 소리를 안정적으로 들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자의 구성을 스피커 하우징 내부에 구성하여 음량의 증가시에도 인체에 미치는 간지러움 현상을 대폭 감소하여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골전도 스피커에서 구현하지 못한 스테레오사운드(stereo sound)의 원음 재생력을 향상하게 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자석을 신체와 접하는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자력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도록 하고, 주변의 작은 금속성 자성체가 신체와 접하는 부분에 흡착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건강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골전도 헤드폰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produce the sound in a bone conduc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stably hear the sound in noisy or noisy environment, as well as the vibrator Its configuration inside the speaker housing greatly reduces the tickle effect on the human body even when the volume is increased, minimizing the effect on the human body even if worn for a long time, and reproduces the original sound reproduction of stereo sound which is not realized in the bone conduction speaker. It is improved, and the magnet provided inside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ody, so as to be less affected by the magnetic force, and to prevent the small metallic magnetic body from being adsorbed to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body to deteriorate the user's health To prevent bone conduction headphones to provide.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드폰에 형성되는 데코의 형상을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착용시에 데코가 사용자의 귀를 덮도록 하여, 헤드폰의 소리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그 소리를 모아 귀로 보내줌으로써, 보다 또렷하게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골전도 헤드폰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the shape of the deco formed on the headphone so as to protrude to one side, so that the deco covers the user's ear when worn, not only to prevent the sound of the headphone to leak outside, By collecting the sound and sending it to your ear, you can provide bone conduction headphones that can hear the sound more clearly.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순한 헤드폰의 역할 뿐만 아니라, 별도로 마이크로폰을 내장하여 주위의 소리를 감지하고, 이를 증폭하여 재생하여 줌으로써, 공기전도 방식으로 소리를 잘 들을 수 없는 사람들이 주변의 소리를 안정적으로 들을 수 있는 보청기의 역할을 하는 골전도 헤드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role of a simple headphone, by separately embedding a microphone to sense the ambient sound, and amplified and reproduced, people who can not hear the sound well in the air conduction method of the surrounding sound It is to provide a bone conduction headphones that act as a hearing aid that can be stably hear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SUMMARY OF THE INVENTION [0006]

거치부의 양측에 스피커부가 구비되는 골전도 헤드폰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는 인체와 접하는 부분을 커버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타측을 커버하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과 상부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는 보이스코일 구조체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진동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bone conduction headphones having a speaker unit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ortion, the speaker unit is provided in the lower case to cover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the upper case to cover the other side of the lower case, the inner side of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The leaf spring, and the voice coil structure provided between the leaf spring and the upper case, and the diaphragm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se.

여기서, 상기 보이스코일 구조체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자석과, 상기 자석과 이격되게 구비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보이스코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voice coil structure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magnet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ase, a bobbin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gnet, and a voice coil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은 보이스코일 구조체가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양측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af spring may include a body to which a voice coil structure is coupled, an elastic par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and a fixing part formed in an arc shape on both sides of the elastic part.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가장자리 사이에는 카스켓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 gasket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edge of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이때, 상기 가스켓의 내측 상하단에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asket is formed with a stepped porti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groove is formed.

여기서,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upper case or the lower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roj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외측에는 데코가 더 구비되되, 상기 데코는 상부 케이스의 후부로 돌출되는 커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outer side of the upper case is further provided with a deco, the deco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portion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 upper case is formed.

한편, 상기 거치부의 중심부에는 스피커부로 전송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가 구비된 제1컨트롤 박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enter of the moun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trol box is provided with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 signal transmitted to the speaker unit.

여기서, 상기 제1컨트롤 박스에는 외부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부에는 외부전원을 충전하는 충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rst control box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for receiving external power, the power suppl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ging section for charging the external power.

한편,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는 외부기기와 연결되되, 볼륨 조절부가 구비된 제2컨트롤 박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ntrol box provided with a volume control unit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제1컨트롤 박스에는 무선 송수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ntrol box may further include a Bluetooth module for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이때, 상기 제1컨트롤 박스에는 보청모드와 외부기기모드를 전환하는 외부 입력신호 감지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 box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rnal input signal detection module for switching between the hearing aid mode and the external device mode.

한편, 상기 보이스코일 구조체와 자석의 사이에는 제1음원진동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 first sound source vibration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voice coil structure and the magnet.

또한, 상기 보이스코일 구조체와 진동판의 사이에는 제2음원진동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second sound source vibr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voice coil structure and the diaphragm.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골전도 방식으로 소리를 재생하도록 하여, 고막에 문제가 있거나, 시끄러운 환경에서도 소리를 안정적으로 들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자의 구성을 스피커 하우징 내부에 구성하여 음량의 증가시에도 인체에 미치는 간지러움 현상을 대폭 감소하여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골전도 스피커에서 구현하지 못한 스테레오사운드(stereo sound)의 원음 재생력을 향상하게 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자석을 신체와 접하는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자력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도록 하고, 주변의 작은 금속성 자성체가 신체와 접하는 부분에 흡착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건강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by reproducing the sound in a bone conduc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stably listen to the sound in a troubled or noisy environment, as well as to configure the vibrator inside the speaker housing to Even when it is increased, it greatly reduces the tickling effect on the human body, and minimizes the effect on the human body even if worn for a long time, and improves the original sound reproduction of stereo sound which is not realized in the bone conduction speaker, and the magnet provided inside It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in contact with the body, so as to be less affected by the magnetic force, it is effective to prevent the user's health is deteriorated by preventing the small metallic magnetic material from being adsorbed to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body.

그리고, 본 발명은 헤드폰에 형성되는 데코의 형상을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착용시에 데코가 사용자의 귀를 덮도록 하여, 헤드폰의 소리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그 소리를 모아 귀로 보내줌으로써, 보다 또렷하게 소리를 들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protruding the shape of the deco formed on the headphone to one side, so that the deco covers the user's ear when worn, not only prevents the sound of the headphone to leak outside, but also the sound By collecting and sending it to your ear, you can hear the sound more clearly.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헤드폰의 역할뿐만 아니라, 별도로 마이크로폰을 내장하여 주위의 소리를 감지하고, 이를 증폭하여 재생하여 줌으로써, 공기전도 방식으로 소리를 잘 들을 수 없는 사람들이 주변의 소리를 안정적으로 들을 수 있는 보청기의 역할을 할 수 있고, 휴대폰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전자기기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functions as a simple headphone, but also by separately embedding a microphone to sense the surrounding sound, and amplify and reproduce the sound, so that people who cannot hear the sound well by the air conduction method stably hear the surrounding sound. It can act as a hearing aid, and when using a mobile phone, by receiving the user's voi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electronic devices.

또한, 본 발명은 스피커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보이스코일 구조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1음원진동공간부와 제2음원진동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저음역대의 해상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first sound source vibration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sound source vibration space portion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oice coil structure provided inside the speaker unit,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solution of the low range, and further output It can increase the effect.

도 1은 종래의 골전도 헤드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골전도 헤드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헤드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헤드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헤드폰의 하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헤드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헤드폰의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과 일반 음향기기를 사용하는 골전도 헤드폰의 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능을 사용한 골전도 헤드폰의 블럭도이다.
도 10은 일반적인 골전도 스피커의 주파수별 출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헤드폰의 주파수별 출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one conduction headphones.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bone conduction headphones.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ne conduction headph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ne conduction headph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case of the bone conduction headph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ne conduction headph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of a bone conduction headph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of a bone conduction headphone using a mobile phone and a general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of a bone conduction headphone using a Bluetooth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graph showing output for each frequency of a typical bone conduction speaker.
11 is a graph showing the output for each frequency of the bone conduction headph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헤드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헤드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헤드폰의 하부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헤드폰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헤드폰의 블럭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과 일반 음향기기를 사용하는 골전도 헤드폰의 블럭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능을 사용한 골전도 헤드폰의 블럭도이고, 도 10은 일반적인 골전도 스피커의 주파수별 출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헤드폰의 주파수별 출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ne conduction headphon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ne conduction headphon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case of the bone conduction headphon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6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ne conduction headphon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7 is a block diagram of a bone conduction headphon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8 is a block diagram of a bone conduction headphone using a mobile phone and a general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of a bone conduction headphone using a Bluetooth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graph showing the output for each frequency of a typical bone conduction speaker, Figure 11 is a bone cond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is a graph showing the output of each headphone frequency.

본 발명은 골전도 헤드폰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전기 신호를 소리로 전환하는 스피커부(200)와 상기 스피커부(200)를 양측 단부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게 하는 거치부(100)와, 상기 거치부(100)의 중심부 내측에 구비되는 제1컨트롤박스(110)와 상기 거치부(100)의 일측에 전선으로 연결되는 제2컨트롤박스(120)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conduction headphone, as shown in Figures 3 to 7 the configuration is worn by the user to install the speaker unit 200 and the speaker unit 200 at both ends to convert the electrical signal to sound Mounting unit 100 to enable, the first control box 110 and the second control box 1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00 provided inside the center of the mounting portion 100 by a wire. )

여기서, 상기 스피커부(200)는 인체와 접하는 부분을 커버하는 하부 케이스(240)와 상기 하부 케이스(240)의 타측을 커버하는 상부 케이스(210)와 상기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40)의 내측에 구비되는 판스프링(250)과 상기 판스프링(250)과 상부 케이스(210) 사이에 구비되는 보이스코일 구조체(220)와 상기 하부 케이스(24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진동판(243)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speaker unit 200 includes a lower case 240 covering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n upper case 210 covering the other side of the lower case 240, the upper case 210, and a lower case 240. ) And a diaphragm 243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coil 240 and the voice coil structure 220 provided between the leaf spring 250 and the leaf spring 250 and the upper case 210 provided inside the. )

그리고, 상기 보이스코일 구조체(220)는 상기 상부 케이스(21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자석(213)과 상기 자석(213)과 이격되게 구비되는 보빈(222)과 상기 보빈(222)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보이스코일(224)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voice coil structure 22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22 and the bobbin 222 which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gnet 213 and the magnet 213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ase 210. The voice coil 224 is installed.

그래서, 외부에서 수신된 신호나 소리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보이스코일 구조체(220)를 구성하는 보이스코일(224) 과 자석(213) 그리고 보이스코일 구조체(220)가 부착 설치되는 판스프링(250)의 작용에 의해 진동하도록 하여 소리를 재생하게 된다.Thus, the voice coil 224 constituting the voice coil structure 220, the magnet 213 and the voice coil structure 220 are attached to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externally received signal or sound. Sound is reproduced by vibrating by action.

그리고, 이러한 진동에 의해 상기 하부 케이스(240)의 진동판 안착부(242)에 설치된 진동판(243)이 진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2컨트롤박스(120)를 통하여 수신되는 외부신호나 소리를 사용자의 고막을 통하지 않고, 두개골을 통하여 직접 청각신경으로 전달되도록 하므로, 고막이 손상되어 소리를 잘 들을 수 없거나, 소음이 심한 곳에서도 또렷하게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vibration plate 243 installed on the diaphragm seating part 242 of the lower case 240 causes the vibration of the user's eardrum to receive an external signal or sound received through the second control box 120. Because it is transmitted through the skull directly to the auditory nerve, not through the eardrum, the eardrum is damaged so that the sound cannot be heard well, or the sound can be clearly heard even in a noisy place.

이때, 상기 진동판(243)을 상기 진동판 안착부(242)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 결합되게 함으로써, 진동판(243)의 진동을 하부 케이스(240)에 온전하게 전달할 수 있어, 소리를 사용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by making the diaphragm 243 more tightly coupled to the diaphragm seating portion 242, the vibration of the diaphragm 243 can be transmitted to the lower case 240 intact, so that the sound is more completely transmitted to the user. It can be delivered.

한편, 일반적인 골전도 스피커에서는 보이스코일 구조체(220)를 진동시키기 위하여 자석(213)을 사용자의 신체와 접하는 하부 케이스(240)와 인접하게 위치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골전도 스피커를 착용하게 되면, 자석(213)에 의해 생성되는 자력이 주변의 작은 금속성 자성체를 끌어당겨, 신체와 접하는 부분에 흡착되어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된다.Meanwhile, in the general bone conduction speaker, since the magnet 213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lower case 240 contacting the user's body in order to vibrate the voice coil structure 220, when the user wears the bone conduction speaker, the magnet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213 attracts a small metallic magnetic body around the body, and is absorbed by the part contacting the body to affect the user, thereby adversely affecting health.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보이스코일 구조체(220)를 진동시키기 위한 자석(213)을 사용자의 신체와 최대한 멀리 위치하도록 상부 케이스(2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자석 안착부(212)에 부착 설치시킴으로써, 주변의 작은 금속성 자성체가 신체와 접하는 부분(즉, 하부 케이스(240))에 흡착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하게 된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 213 for vibrating the voice coil structure 220 is attached to the magnet seating portion 21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ase 210 so as to be located as far as possible from the user's body. The small metallic magnetic body of the is not adsorbed on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body (that is, the lower case 240) to minimize the adverse effect on the user.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250)은 중심부에 형성되어 보이스코일 구조체(220)가 결합되는 몸체(252)와 상기 몸체(252)의 양측에 형성되는 탄성부(254)와 상기 탄성부(254)의 양측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256)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leaf spring 250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body 252 to which the voice coil structure 220 is coupled, and the elastic part 254 and the elastic part 254 formed at both sides of the body 252. It consists of a fixed portion 256 formed in an arc shape on both sides.

여기서, 상기 몸체(252)의 양측에 형성되는 탄성부(254)는 각각 하나의 얇고 폭이 좁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판스프링(250)의 강도를 강하게 하여 진동폭을 줄이더라도, 보이스코일 구조체(220)에 의해 재생되는 소리의 파장을 원음에 가깝게 안정적으로 재생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elastic parts 254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252 are each formed in one thin and narrow bar shape, so that the strength of the leaf spring 250 to reduce the vibration width, the voice coil structure ( The wavelength of the sound reproduced by 220 can be stably reproduced close to the original sound.

그래서, 상기 판스프링(250)의 진동폭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보이스코일 구조체(220)가 진동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피커부(200) 전체의 폭을 줄일 수 있게 된다.Thus, the vibration width of the leaf spring 250 can be reduced, so that the space in which the voice coil structure 220 vibrates can be reduced, and accordingly, the width of the entire speaker unit 200 can be reduced.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250)의 상부에는 PCB(260)가 설치되어 스피커부(200)에 입력되는 외부신호를 거치부(100) 내측으로 구성된 케이블(미도시)과 연결하도록 구성하여 불량발생 요인을 개선하고, 생산성 향상시키며, 안정적으로 품질을 유지하게 한다.In addition, the PCB 26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af spring 250 so as to connect an external signal input to the speaker unit 200 with a cable (not shown) configured inside the mounting unit 100. Improves productivity, improves productivity and maintains stable quality.

그리고, 상기 보빈(222)과 자석(213) 사이에는 스피커의 음질과 음량을 1차적으로 결정하는 제1음원진동공간부(270)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음원진동공간부(270)를 형성함으로써, 도 10에 도시된 일반적인 골전도 스피커의 저음역대의 해상도와 비교할 때, 본 발명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음역대를 보다 원음에 가깝게 재생할 수 있고, 출력 또한 높여 주게 된다.In addition, a first sound source vibration space portion 270 is formed between the bobbin 222 and the magnet 213 to primarily determine sound quality and volume of the speaker, and form the first sound source vibration space portion 270.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roduce the low frequency band closer to the original sound and increase the output, as shown in FIG. 11, when compared with the low frequency resolution of the general bone conduction speaker shown in FIG.

이러한 상기 제1음원진동공간부(270)는 자석(213)의 규격, 보이스코일 구조체(220)의 임피던스, 판스프링(250)의 재질과 규격 및 형상에 따라 크기를 조절하여, 최적의 음량 및 음질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sound source vibration space 270 adjusts the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agnet 213, the impedance of the voice coil structure 220, the material, size and shape of the leaf spring 250, and the optimum volume and Enable sound quality.

따라서, 상기 판스프링(250)의 하부측에 결합된 보이스코일 구조체(220)와 자석(213)의 간격 사이에 형성되는 제1음원진동공간부(270)는 스피커의 출력과 음질을 향상하고, 상부케이스(210) 측의 외주면과 인체의 피부와 대면되는 부위에는 자력이 대폭감소되어 금속성소자의 흡착을 방지함으로써,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the first sound source vibration space 270 formed between the voice coil structure 220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leaf spring 250 and the magnet 213 improves the output and sound quality of the speaker, The magnetic force is greatly reduc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case 210 side and the part of the human body to prevent adsorption of the metallic element, thereby preventing adverse effects on the human body.

그리고, 상기 보이스코일 구조체(220)의 상부에 결합된 PCB(260)와 하부 케이스(24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진동판(243) 사이에는 제2음원진동공간부(280)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음원진동공간부(280)는 보이스코일 구조체(220)에 의해 판스프링(250)을 진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내부의 공기가 진동되게 되어, 공기의 진동이 진동판(243)에 전달되게 되므로 제1음원진동공간부(270)로부터 확정된 스피커의 출력을 보다 더 향상시키게 된다.A second sound source vibration space 280 is formed between the PCB 26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oice coil structure 220 and the diaphragm 243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case 240. The second sound source vibration space 280 vibrates the leaf spring 250 by the voice coil structure 220, thereby causing the air inside to vibrate, so that the vibration of the air is transmitted to the diaphragm 243. The output of the speaker determined from the first sound source vibration space 270 is further improved.

따라서, 상기 제2음원진동공간부(280)는 상기 제1음원진동공간부(270)와 동일한 기능을 하여, 제1음원진동공간부(270)의 보조역할을 하게 된다.Accordingly, the second sound source vibration space unit 280 functions as the first sound source vibration space unit 270 to serve as an auxiliary role of the first sound source vibration space unit 270.

또한, 종래에 보빈(222)의 내부에 구비하던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보빈(222)의 부피와 무게를 더욱 줄일 수 있어, 스피커부(200)의 부피와 무게를 줄여 주어 사용자가 보다 편안한 상태로 착용감이 향상된 골전도 헤드폰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by not using a ferrite core that is conventionally provided inside the bobbin 222,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bobbin 222 can be further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speaker unit 200, allowing the user to It allows you to use bone conduction headphones that are comfortable and have improved fit.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240)에는 제2가압돌부(244)가 형성되고, 상기 제2가압돌부(244)에는 안착홈(245)이 형성되어, 상기 판스프링(25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고정부(256)가 삽입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210)에는 상기 제2가압돌부(244)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가압돌부(214)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245)에 삽입된 고정부(256)을 가압 고정하게 된다.In addition, a second pressing protrusion 244 is formed in the lower case 240, and a seating groove 245 is formed in the second pressing protrusion 244, and the high pressure protrusion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eaf spring 250. The government unit 256 is inserted, and the upper case 210 has a first pressing protrusion 214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essing protrusion 244, and a fix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245. The pressure 256 is fixed.

그래서, 상기 보이스코일 구조체(220)에 의해 판스프링(250)이 진동하더라도, 위치가 이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Thus, even if the leaf spring 250 vibrates by the voice coil structure 220, the position is firmly fixed without moving.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40)의 가장자리 사이에는 가스켓(230)이 더 구비되는데, 이렇게 가스켓(230)을 설치함으로써, 소리를 재생할 때 발생하는 보이스코일 구조체(220)의 진동에 의해,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4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gasket 230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edge of the upper case 210 and the lower case 240, by installing the gasket 230, vibration of the voice coil structure 220 generated when reproducing sound As a result, noise is prevented from occurring due to friction generated between the upper case 210 and the lower case 240.

그리고, 상기 가스켓(230)의 내측 상하단에는 단턱부(232)가 형성되어, 가스켓(230)이 상기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40) 사이에 설치될 때, 상기 단턱부(232)가 상기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40)의 가장자리에 걸리게 되어, 가스켓(230)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asket 230 are formed with a stepped portion 232, and when the gasket 230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case 210 and the lower case 240, the stepped portion 232 is provided. It is caught by the edge of the upper case 210 and the lower case 240, so that the gasket 230 is firmly fixed.

또한, 상기 가스켓(230)의 내주면에는 걸림홈(234)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210) 또는 하부 케이스(240)에는 상기 걸림홈(234)에 대응되는 걸림돌기(217)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locking groove 234 is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ket 230, and a locking protrusion 217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groove 234 is formed in the upper case 210 or the lower case 240.

그래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가스켓(230)이 상부 케이스(210) 또는 하부 케이스(240)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부 케이스(210) 또는 하부 케이스(240)가 부딛히거나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us,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gasket 230 is firmly fixed between the upper case 210 or the lower case 240, so that the upper case 210 or the lower case 240 is crushed or friction occurs. Will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210)의 외측에는 데코(215)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데코(215)는 스피커부(200)의 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부 케이스(210)의 후부로 커버부(216)가 돌출 형성되어, 스피커부(200)에서 생성된 소리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일부 외부로 누출되는 소리를 상기 커버부(216)에서 모아서 사용자의 귀로 보내주게 되어, 보다 또렷하게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deco 215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case 210. The deco 215 not only makes the aesthetics of the speaker unit 200 more beautiful, but also covers the rear of the upper case 210. The protruding portion 216 is formed to not only prevent the sound generated by the speaker unit 20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but also collect some of the sound leaking from the cover unit 216 to be sent to the user's ear. You will hear the sound more clearly.

한편, 상기 거치부(100)의 내면에는 접촉부(130)가 형성되는데, 상기 접촉부(130)는 실리콘으로 형성하여, 거치부(100)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했을 때, 접촉하는 부분의 착용감을 좋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act portion 13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00, the contact portion 130 is formed of silicon, when the mounting portion 100 is worn on the user's head, the feeling of wearing the contact portion Make it good

따라서, 종래의 스피커구조는 소요되는 부품의 구성이 많을 뿐더러 이로 인해 서로 다른 부품과 부품을 견고하게 결합할지라도 상호 간의 간섭에 의해,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되는 구조이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speaker structure is not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onents required, but because of this, even if the different components and components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by long-term use, due to the interference between each other, the reliability problem occurs.

그래서, 본 발명은 스피커에 소요되는 중요한 구성품을 최소화함으로써, 최상의 출력으로, 최상의 음질을 재생할 수 있게 한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o reproduce the best sound quality with the best output by minimizing the important components required for the speaker.

그리고, 상기 거치부(10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 제2컨트롤 박스(120)는 외부기기(2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잭(미도시)과, 외부기기(2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조절하는 볼륨 조절부(121)와, 외부의 소리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122)와 통화 선택 스위치(123)으로 이루어진다.And, the second control box 12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jack (not shown)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20, and control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20 It consists of a volume control unit 121, a microphone 122 and the call selection switch 123 for sensing the external sound and converting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여기서, 상기 통화 선택 스위치(123)는 통신기기인 휴대폰을 사용시, 통화선택과 통화종료의 기능을 지원하고, 음향기기를 사용시, 정지 및 재생기능과, 이전곡/다음곡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용이하게 외부기기(20)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Here, the call selection switch 123 supports the functions of call selection and call termination when using a mobile phone, which is a communication device, and when using an audio device, a stop and playback function, and select a previous song / next song, The external device 20 can be used more easily.

또한, 상기 거치부(100)의 중심부 내측에는 제1컨트롤 박스(11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컨트롤 박스(110)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111)와 마이크 신호 필터링 모듈(113)과 외부 입력신호 감지모듈(114)과 증폭부(115)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 first control box 110 is provided inside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unting part 100, wherein the first control box 110 includes an external power supply 111 and a microphone signal filtering module 113. And an external input signal detection module 114 and an amplifier 115.

여기서, 상기 마이크 신호 필터링 모듈(113)은 상기 제2컨트롤 박스(120)에 구비된 마이크(122)를 통하여 감지되는 외부의 소리를 필터링하여 소리를 보다 선명하게 처리하며, 상기 외부 입력신호 감지모듈(114)은 제2컨트롤 박스(120)에 구비된 연결잭(미도시)을 통하여 연결된 외부기기(20)에서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감지하여 외부기기(20)의 신호를 스피커부(200)로 전송하게 된다.Here, the microphone signal filtering module 113 filters the external sound detected through the microphone 122 provided in the second control box 120 to process the sound more clearly, and the external input signal detection module When the signal is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20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jack (not shown) provided in the second control box 120, the 114 detects the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of the external device 20 to the speaker unit 200. Done.

그래서, 외부기기(2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1컨트롤박스(110)의 외부 입력신호 감지모듈(114)에서 보청기 모드로 자동전환하게 되고, 상기 마이크(122)를 통하여 입력되는 소리를 상기 마이크신호필터링모듈(113)과 증폭부(115)를 통하여 증폭하여, 스피커부(200)로 전송하여 주어, 귀가 잘들리지 않은 사용자에게 보청기 모드로 사용되게 되며, 외부기기(20)가 연결되어 외부 입력신호 감지모듈(114)에서 외부기기(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하게 되면, 외부 입력신호 감지모듈(114)에서는 자동적으로 보청기 모드를 종료하고 외부에서 입력된 신호를 상기 증폭부(115)를 통하여 증폭한 후, 스피커부(200)로 전송하여 줌으로써, 외부기기(20)의 신호를 스피커부(200)에서 출력하는 외부기기모드로 사용하게 된다.Thus, when the external device 20 is not used, the external input signal detection module 114 of the first control box 110 automatically switches to the hearing aid mode, and the sound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22 is input. Amplified through the microphone signal filtering module 113 and the amplifying unit 115, and transmitted to the speaker unit 200, the ear is used in the hearing aid mode to the user who is hard to hear, the external device 20 is connected When the external input signal detection module 114 detects a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20, the external input signal detection module 114 automatically terminates the hearing aid mode and outputs an externally input signal to the amplifying unit 115. After amplifying through)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speaker unit 200, the signal of the external device 20 is used in the external device mode output from the speaker unit 200.

그리고, 상기 제2컨트롤 박스(120)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마이크변환스위치(미도시)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마이크변환스위치는 제2컨트롤 박스(120)에 구비된 마이크(122)를 사용하여, 보청기 모드일 때는 외부의 소리를 수신하여 증폭부(115)를 통하여 스피커부(200)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으로 사용하고, 외부기기 모드 중 사용자가 휴대전화를 사용할 때는 마이크(122)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기기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으로 사용하도록 마이크(122)의 연결을 전환하여주는 기능을 하게 되어, 하나의 마이크(122)를 사용하여 두가지 기능을 할 수 있게 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control box 120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conversion switch (not shown). The microphone conversion switch may include a microphone 122 provided in the second control box 120. In the hearing aid mode, an external sound is received and used as a function for transmitting to the speaker unit 200 through the amplifying unit 115, and the microphone 122 is used when the user uses a mobile phone in the external device mode. By converting the user's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the function to switch the connection of the microphone 122 to be used as a function to transmit a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using a single microphone 122 to perform two functions Make it possible.

한편, 종래에는 별도로 증폭부(115)를 사용하지 않고, 외부기기(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그대로 스피커부(200)에서 재생하게 되므로, 소리의 크기가 작아서, 외부기기(20)의 출력을 높여주어야 하므로, 외부기기(20)의 배터리 소모량이 많았으나, 본 발명에서는 별도로 증폭부(115)를 사용함으로써, 외부기기(20)에서의 출력이 낮더라도, 적절하게 증폭시켜주기 때문에, 외부기기(20)의 배터리 소모량을 줄여주게 된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ly, since the speaker unit 200 reproduc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external device 20 as it is, without using the amplifying unit 115 separately, the volume of the sound is small and output of the external device 20 is reduced. Since the external device 20 consumes a lot of battery power,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amplifier 115 to separately amplify the external device 20 even if the output from the external device 20 is low. It will reduce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20).

그리고, 상기 전원부(111)는 충전잭(117)을 통하여 외부의 전원을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전원부(111)에는 충전부(112)가 구비되어 있어, 외부전원을 사용하면서, 동시에 충전을 하게 되므로, 외부 전원이 연결되지 않더라도, 일정기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11 is used to connect the external power through the charging jack 117,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111 is provided with a charging unit 112, at the same time using an external power, Therefore, even if the external power is not connected, it can be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여기서, 상기 제1컨트롤 박스(110)에는 표시램프(119)가 구비되어, 현재 골전도 헤드폰의 상태가 충전 상태인지, 사용하면서 충전하는 상태인지, 사용만 하는 상태인지를 다양한 색으로 보여주게 되어, 사용자가 한눈에 골전대 헤드폰의 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
Here, the first control box 110 is provided with a display lamp 119, to show whether the current state of the bone conduction headphones in the state of charging, charging while using, or only using the state in various colors At a glance, the user can see the condition of the bone marrow headphone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청기로는 사용하지 않고, 외부기기(20)를 휴대전화와 같은 통신기기나 MP3와 같은 음향기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그 구성은 별도로 외부 입력신호 감지모듈(114)를 구비하지 않고, 입력되는 신호를 직접 증폭부(115)를 통하여 증폭한 후, 스피커부(200)를 통하여 출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device 20 is not used as a hearing aid, but the external device 20 uses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n acoustic device such as an MP3. Without the external input signal detection module 114, the input signal is amplified directly through the amplifier 115, and then output through the speaker unit 200.

그래서, 보청기기능을 사용하지 않게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보청기가 필요하지 않는 사용자들에게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Thus, by not using the hearing aid function,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so that users who do not need the hearing aid can use it at a lower price.

한편, 다른 구성들은 전술한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separ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을 사용하지 않고,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된 외부기기(20a)를 사용할 경우, 제1컨트롤 박스(110)의 내부에 블루투스 모듈(114a)을 구비하여, 무선으로 외부기기(20a)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안한 상태로 외부기기(20a)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when the external device 20a equipped with the Bluetooth function is used without using the wire, the Bluetooth module is inside the first control box 110. It is provided with (114a), it is possible to wirelessly receive the signal of the external device 20a, the user can use the external device 20a in a more comfortable state.

즉, 상기 블루투스 외부기기(20a)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상기 제1컨트롤 박스(110)에 구비된 블루투스 모듈(114a)에서 감지하고, 상호 간에 페어링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That is, the Bluetooth module 114a included in the first control box 110 detects a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uetooth external device 20a and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through pairing with each other.

이렇게 블루투스 모듈(114a)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는 상기 외부 입력신호 감지모듈(114)에서 감지하게 되어, 보청기모드에서 외부기기모드로 자동 전환되고, 증폭부(115)를 통하여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부(200)를 통하여 출력하게 된다.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114a is detected by the external input signal detection module 114, and automatically switches from the hearing aid mode to the external device mode, and amplifies the signal through the amplifying unit 115 so that the speaker unit Output through (200).

물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청기모드를 사용하지 않는 구성에서도 블루투스 모듈(114a)를 추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Of course, as shown in FIG. 8, the Bluetooth module 114a may be additionally used even in a configuration not using the hearing aid mode.

그리고, 다른 구성들은 전술한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In addition, since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a separ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골전도 헤드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폰의 기능뿐만 아니라, 보청기의 기능을 추가하여, 고막이 손상되어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사람들도 소리를 잘 들을 수 있고, 자석의 위치를 신체와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금속성의 미세한 자성체가 신체와 접촉하는 부분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미치는 악영향을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음역대도 선명하게 재생할 수 있으며, 음향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골전도 헤드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conduction headphone, and more particularly, by adding not only the function of the headphone but also the function of a hearing aid, the eardrum is damaged so that people who cannot hear well can hear the sound well, and the position of the magnet and the body By being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etallic fine magnetic body from being adsorbed on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body, to reduce the adverse effect on the user, to reproduce the low range clearly, and to prevent the soun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Relates to bone conduction headphones.

10 : 외부전원 20,20a : 외부기기
100 : 거치부 110 : 제1컨트롤 박스
111 : 전원부 112 : 충전부
113 : 마이크 신호 필터 모듈 114 : 외부 입력신호 감지 모듈
115 : 증폭부 117 : 충전잭
118 : 전원스위치 119 : 표시램프
120 : 제2컨트롤 박스 121 : 볼륨 조절부
122 : 마이크 123 : 통화 선택 스위치
130 : 접촉부 200 : 스피커부
210 : 상부 케이스 212 : 자석 안착부
213 : 자석 214 : 제1가압돌부
215 : 데코 216 : 커버부
220 : 보이스코일 구조체 222 : 보빈
224 : 보이스코일 230 : 가스켓
232 : 단턱부 234 : 걸림홈
240 : 하부 케이스 242 : 진동판 안착부
243 : 진동판 244 : 제2가압돌부
245 : 안착홈 250 : 판스프링
252 : 몸체 254 : 탄성부
256 : 고정부 260 : PCB
270 : 제1음원진동공간부 280 : 제2음원진동공간부
10: external power source 20,20a: external device
100: mounting portion 110: the first control box
111: power supply unit 112: charging unit
113: microphone signal filter module 114: external input signal detection module
115: amplifier 117: charging jack
118: power switch 119: indicator lamp
120: second control box 121: volume control unit
122: microphone 123: call selection switch
130: contact portion 200: speaker portion
210: upper case 212: magnet seat
213: magnet 214: first pressing protrusion
215: Deco 216: cover
220: voice coil structure 222: bobbin
224: voice coil 230: gasket
232: step 234: locking groove
240: lower case 242: diaphragm seating portion
243: diaphragm 244: second pressure protrusion
245: seating groove 250: leaf spring
252: body 254: elastic portion
256: fixed part 260: PCB
270: first sound source vibration space 280: second sound source vibration space

Claims (14)

거치부의 양측에 스피커부가 구비되는 골전도 헤드폰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는 인체와 접하는 부분을 커버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타측을 커버하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과 상부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는 보이스코일 구조체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진동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헤드폰.
In the bone conduction headphones provided with speaker parts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ortion,
The speaker unit and a lower case covering a part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n upper case covering the other side of the lower case;
A leaf spring provided inside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 voice coil structure provided between the leaf spring and the upper case;
Bone conduction headphone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diaphragm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코일 구조체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자석과,
상기 자석과 이격되게 구비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보이스코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헤드폰.
The method of claim 1,
The voice coil structure and the magnet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ase,
A bobbin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gnet;
Bone conduction headphone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voice coil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보이스코일 구조체가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양측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헤드폰.
The method of claim 1,
The leaf spring has a body to which the voice coil structure is coupled;
Elastic par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Bone conduction headphone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ixed portion formed in an arc shape on both sides of the elastic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가장자리 사이에는 카스켓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헤드폰.
The method of claim 1,
Bone conduction headphones, characterized in that the gasket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edge of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의 내측 상하단에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헤드폰.
5. The method of claim 4,
A stepped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asket,
Bone conduction headphone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헤드폰.
The method of claim 5,
The upper case or the lower case bone conduction headphone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roj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외측에는 데코가 더 구비되되,
상기 데코는 상부 케이스의 후부로 돌출되는 커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헤드폰.
The method of claim 1,
Deco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case,
The deco is a bone conduction head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portion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 upper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중심부에는 스피커부로 전송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가 구비된 제1컨트롤 박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헤드폰.
The method of claim 1,
Bone conduction headphon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of th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control box having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 signal transmitted to the speaker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트롤 박스에는 외부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부에는 외부전원을 충전하는 충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헤드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control box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for receiving external power,
The power supply unit bone conduction headphone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external p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는 외부기기와 연결되되, 볼륨 조절부가 구비된 제2컨트롤 박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헤드폰.
The method of claim 1,
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bone conduction headphon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ntrol box is provided with a volume contro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트롤 박스에는 무선 송수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헤드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control box bone conduction headphone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 Bluetooth module for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트롤 박스에는 보청모드와 외부기기모드를 전환하는 외부 입력신호 감지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헤드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control box is a bone conduction headphone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rnal input signal detection module for switching between the hearing aid mode and the external device mo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코일 구조체와 자석의 사이에는 제1음원진동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헤드폰.
3. The method of claim 2,
Bone conduction headphone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ound source vibr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voice coil structure and the magn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코일 구조체와 진동판의 사이에는 제2음원진동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헤드폰.
3. The method of claim 2,
Bone conduction headphon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ound source vibr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voice coil structure and the diaphragm.
KR1020120048838A 2012-05-08 2012-05-08 bone conduction headphone KR1013774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838A KR101377418B1 (en) 2012-05-08 2012-05-08 bone conduction head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838A KR101377418B1 (en) 2012-05-08 2012-05-08 bone conduction head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247A true KR20130125247A (en) 2013-11-18
KR101377418B1 KR101377418B1 (en) 2014-04-17

Family

ID=4985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838A KR101377418B1 (en) 2012-05-08 2012-05-08 bone conduction head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41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1762A1 (en) * 2017-01-10 2018-07-19 허진숙 Headset for bone conduction
KR102348587B1 (en) * 2020-08-13 2022-01-0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Hearing test device
KR20220132575A (en) * 2020-04-30 2022-09-30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sound input/output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2384A1 (en) * 2016-02-18 2017-08-24 주식회사 예일전자 Vibration output device provided to user-worn equipment
KR101724050B1 (en) * 2016-10-07 2017-04-06 노근호 Headset with bone-conduction acoustic apparatus
KR20180054274A (en) * 2016-11-15 2018-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sound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3054A (en) * 2004-05-07 2005-11-17 Azden Corp Bone conduction speaker
KR100937159B1 (en) * 2009-04-27 2010-01-15 박의봉 Bone conductive headphone
KR20110102710A (en) * 2010-03-11 2011-09-19 팜쉬주식회사 Speaker for bone conduction headset
KR101376217B1 (en) * 2010-03-19 2014-04-17 메아리소닉코리아 주식회사 Bone conductive headpho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1762A1 (en) * 2017-01-10 2018-07-19 허진숙 Headset for bone conduction
KR20220132575A (en) * 2020-04-30 2022-09-30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sound input/output device
KR102348587B1 (en) * 2020-08-13 2022-01-0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Hearing tes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7418B1 (en) 201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650B1 (en) bone conduction speaker module
JP4631070B2 (en) Bone conduction speaker
JP5879563B2 (en) Speaker, hearing aid, earphon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1377418B1 (en) bone conduction headphone
CA1213349A (en) Telephone hearing aid
KR100962106B1 (en) Audio signal system
WO2017168903A1 (en) Sound reproducing device
GB2082020A (en) Ear speaker
KR101537380B1 (en) bone conduction speaker module
JP2004507951A (en) Bone conduction oscillator
KR101092958B1 (en) Earset
CN101355823A (en) Insert earphone using bone conduction loudspeaker
US10142735B2 (en) Dual mode headphone and method therefor
KR20090120951A (en) Speaker apparatus
JPS6113440B2 (en)
KR20120015209A (en) Audio output apparatus of helmet type using vibration unit
KR101376217B1 (en) Bone conductive headphone
KR20230118640A (en) sound output device
JP2011119913A (en) Hybrid type speaker unit and hybrid type speaker
KR100770590B1 (en) Speaker, ear-phone and speaker for ear-phone
KR20060043937A (en) Ear-phone
JP2006174432A (en) Bone conduction speaker, headphone, headrest, and pillow using the same
JP3801808B2 (en) earphone
JPS6251040B2 (en)
CN201260237Y (en) Insert earphone adopting bone conduction loudsp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