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085A - Combined probe for tocomonitor - Google Patents

Combined probe for tocomoni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085A
KR20130125085A KR1020120048573A KR20120048573A KR20130125085A KR 20130125085 A KR20130125085 A KR 20130125085A KR 1020120048573 A KR1020120048573 A KR 1020120048573A KR 20120048573 A KR20120048573 A KR 20120048573A KR 20130125085 A KR20130125085 A KR 20130125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mother
toco
fetal
monito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5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혜원
이기영
유민상
박대규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넷
Priority to KR1020120048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5085A/en
Publication of KR20130125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08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2Measuring puls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61B8/0866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involving foetal diagnosis; pre-natal or peri-natal diagnosis of the bab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2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4Prob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probe for mother and fetus status monitoring equipment, and it is composed of one or both of an ultrasonic probe (100) and a toco probe (200) used in mother and fetus status monitoring equipment (30), which watches the status of the mother and the embryo at the same time. The status monitoring probe includes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electrode (41) installed on body contacting surfaces (101,201) of one or both of the ultrasonic probe (100) and the toco prob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urgent-like state which belongs to the most dangerous situation among the situations where childbirth accidents can occur as the state of the fetus becomes worse and the recovery is already impossible or where the fetus is likely to be dead, the heart rate of the mother can be observed separately from the heart rate of the fetus through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on the mother using only the ultrasonic probe and the toco probe without the need of a separate apparatus or process such as mounting of a separat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prob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risk of childbirth accidents while rapidly and efficiently dealing with urgent situations.

Description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용 통합형 프로브{Combined Probe for tocomonitor}Combined Probe for Maternal and Fetal Condition Monitoring Device

본 발명은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용 통합형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산모 및 태아 상태를 동시에 감시하는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30)에 사용되는 초음파 프로브(100) 또는 토코 프로브(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태 감시 프로브(probe)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프로브(100) 또는 상기 토코 프로브(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체 접촉면(101,201)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심전도 측정용 전극(4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용 통합형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probe for maternal and fetal state monitoring device, any one of the ultrasonic probe 100 or toco probe 200 used in the maternal and fetal state monitoring device 30 for monitoring the maternal and fetal status at the same time In the state monitoring probe (probe) including the above,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electrode 41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r more body contact surfaces (101, 201) of the ultrasonic probe 100 or the toco probe 200. It relates to an integrated probe for maternal and fetal condition monitoring device comprising a.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는 산모 및 태아의 안녕을 감시하는 장비이다. 특히 분만 전 자궁 수축 등으로 상태가 급격하게 변화는 시점에서 태아의 상태 변화를 정확히 감시할 필요가 있다. Maternal and fetal status monitoring devices are equipment for monitoring the well-being of the mother and fetu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monitor the change in the state of the fetus at the time when the state changes drastically due to uterine contraction before delivery.

이 경우, 태아의 상태를 감시하는데 필수적으로 함께 측정해야 할 부분이 산모의 상태이다. In this case, it is the mother's condition that must be measured together to monitor the condition of the fetus.

분만전 의료사고 중 가장 위험한 상황에 속하는 경우로 긴급한 감시 및 처리가 요구되는 경우의 하나가 태아의 상태가 이미 나빠졌거나, 사산했을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모의 하대동맥(1) 등에서 검출된 산모의 심박에 관한 결과가 마치 태아의 심박에 관한 결과로서 오인되어 검출되어, 이미 태아의 상태가 이미 나빠졌거나 사망한 사실을 감시하지 못하는 는 경우이다. One of the most dangerous cases of pre-partition medical accidents and the need for urgent monitoring and treatment is when the fetus is already bad or still dea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 the result of the mother's heartbeat detected in the mother's lower aorta 1 or the like is mistaken and detected as a result of the fetal heartbeat. It is the case that the fact is not monitored.

따라서, 태아의 상태를 모니터할 때 산모의 심박을 함께 측정하여 산모와 태아의 심박수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동일한 추세를 보일 경우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태아의 상태를 정확히 검출하도록 하는 기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Therefore, when monitoring the condition of the fetus, the function of measuring the mother's heart rate together and if the mother and fetus heart rate shows the same trend as shown in Fig. Required.

이러한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에 관하여 기존에는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태아의 심박을 검출하기 위하여 초음파 프로브(100)를 사용하고, 자궁의 수축을 검출하기 위한 토코 프로브(200)를 사용하는 태아 감시장치(10)와, 도 7에 도시한것과 같은 심전도 측정 프로브(40)를 통하여 산모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환자 감시장치(20)를 별도로 사용하여 태아와 산모의 심박을 비교하여 검사하는 장치가 사용되었다.
With respect to the mother and fetal state monitoring device, as shown in FIG. 3, the ultrasound probe 100 is used to detect the heartbeat of the fetus and the toco probe 200 is used to detect the contraction of the uterus. Device for comparing the fetal and mother's heart rate by separately using the fetal monitoring device 10 and the patient monitoring device 20 for measuring the mother's heart rate through the ECG probe 40 as shown in FIG. Was used.

심전도(ECG:electrocardiogram)란 심장근육의 수축 확장에 따른 활동전류를 측정하여 기록하는 것이다. 심장근육이 수축 이완할 때 발생되는 활동전위는 심장으로부터 온 몸으로 퍼지는 전류를 일으키며, 이 전류는 몸의 위치에 따라 전위차를 발생시키는데 이 전위차는 인체의 피부에 부착된 표면전극(surface electrode)인 심전도 측정용 전극(41)을 통해 검출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심전도는 심장의 이상 유무 확인에 이용되며, 협심증, 심근경색, 부정맥 등 심장질환계의 질환을 측정하는 데에는 기본적인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어 매우 중요한 의료기기 중 하나이다.
Electrocardiogram (ECG) is a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the active current according to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heart muscle. The action potential that occurs when the heart muscle contracts and relaxes produces an electric current that spreads from the heart to the body, and this electric current generates an electric potentia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body, which is a surface electrode attached to the skin of the human bod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electrode 41 can detect and record. The ECG is used to check for abnormalities of the heart, and is used as a basic method for measuring diseases of heart diseases such as angina pectoris, myocardial infarction, and arrhythmia.

한편, 심전도의 측정에는 환자의 좌우측 손목과 발목에 전극을 접속하고 심전도를 측정하는 수직모드(vertical mode)와 갈비뼈 주위로 전극을 부착하여 측정하는 수평 모드(horizontal mode)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includes a vertical mode for connecting electrodes to the left and right wrists and ankles of the patient, measuring an electrocardiogram, and a horizontal mode for attaching electrodes around the ribs.

수직 모드의 측정인 경우 통상 양쪽 손목과 왼쪽 발목에 전극을 장착하며, 이 경우 3가지 표준유도와 3가지 단극유도를 얻을 수 있다. 4번째 전극은 오른쪽 발목에 두고 이를 접지시켜 심전도 기록을 안정화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그러나, 이 전극은 어느 사지에 두어도 상관없으며, 발목이나 손목이 아니라 사지의 몸체 가까이에 전극을 둘 수도 있고, 좀 더 심장으로부터 먼 쪽, 예를 들면 손가락이나 발가락 끝 등에 전극을 두더라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vertical mode measurement, electrodes are usually mounted on both wrists and the left ankle. In this case, three standard inductions and three unipolar inductions can be obtained. The fourth electrode is placed on the right ankle and grounded to serve to stabilize ECG recording. However, this electrode can be placed on any limb, and the electrode can be placed near the body of the limb, not the ankle or wrist, and the same result can be achieved by placing the electrode further away from the heart, such as the finger or toe tip. Can be.

수평 모드의 측정인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은 부위에 3개의 심전도 측정 전극을 부착하여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the case of the measurement in the horizontal mode, it is common to measure by attaching three ECG electrodes to the same region as shown in FIG.

상기한 바와 같은 심전도 측정의 경우, 이론적으로는 최소 2개 이상의 심전도 측정용 전극(41)을 부착하면 그 측정이 가능하다.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theoretically, the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by attaching at least two electrocardiogram measuring electrodes 41.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발명은 상기 태아 감시장치(10)와 상기 환자 감시장치(20)의 2개의 장비를 별도로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is existing invention has a problem in that it is troublesome to separately use two pieces of equipment of the fetal monitoring device 10 and the patient monitoring device 20.

이러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태아 감시장치(10)와 상기 환자 감시장치(20)를 하나로 통합한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30)가 제안되어 사용되어 왔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fetal monitoring device 10 and the mother and fetal state monitoring device 30 incorporating the patient monitoring device 20 are proposed and used. come.

상기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30)는 하나의 장비만으로도 상기 태아 감시장치(10)와 상기 환자 감시장치(2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으나, 측정을 위한 프로브로는 여전히 기존과 같이 초음파 프로브(100), 토코 프로브(200) 및 심전도 측정 프로브(40)의 3개의 프로브를 동시에 사용하여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maternal and fetal state monitoring device 30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fetal monitoring device 10 and the patient monitoring device 20 at the same time with only one device, but still as a probe for measurement As described above,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three probes of the ultrasonic probe 100, the toco probe 200, and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probe 40 must be used simultaneously.

이와 같이 3개의 프로브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상기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30)와 각각의 상태 감시 프로브(probe)들을 연결하는 케이블 역시 3개 조가 필요하게 되므로, 긴급한 위급 상황의 병실 환경에서 혹시라도 있을 수 있는 케이블의 탈락에 의한 신체 징후 불검출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은 물론, 의료진 또는 환자의 움직임에도 많은 제약이 따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When three probes are used at the same time, three sets of cables connecting the mother and fetal condition monitoring device 30 and the respective condition monitoring probes are required, so in case of emergency emergency room environment In addition to the increased risk of undetected physical signs due to the possible dropout of the cable, there was a problem that many restrictions can also follow the movement of the medical staff or the patient.

또한, 측정을 위하여 상기 3종류의 상태 감시 프로브(probe)를 각각 설치하거나 사용하여야 하므로, 긴급을 요하는 응급상황에서의 대처가 조금이나마 지연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each of the three types of status monitoring probe (probe) to be installed or used for the measuremen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esponse in an emergency situation that may require a slight delay may be delayed.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분만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 중 가장 위험한 상황에 속하는 경우로 태아의 상태가 이미 회복 불가능할 정도로 나빠지거나 태아가 사망한 상태와 같이 긴급한 상태에서, 별도의 심전도 측정 프로브를 장착하는 것과 같이 별도의 장치나 과정의 필요 없이도 초음파 프로브와 토코 프로브만을 사용하여서도 즉각적으로 산모의 심전도 측정을 통하여 산모의 심박수를 태아의 심박수와 분리하여 관측하는 것이 가능하여, 긴박한 상황에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대응하면서 분만 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invention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belonging to the most dangerous situation in which the birth accident can occur, the condition of the fetus is already irreparably deteriorated or in an urgent state such as the fetal death, separate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mother's heart rate separately from the fetal heart rate by immediately measuring the mother's ECG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device or process, such as mounting an ECG probe. The challenge is to reduce the risk of delivery accidents while responding to urgent situations quickly and efficiently.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모 및 태아 상태를 동시에 감시하는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30)에 사용되는 초음파 프로브(100) 또는 토코 프로브(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태 감시 프로브(probe)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프로브(100) 또는 상기 토코 프로브(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체 접촉면(101,201)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심전도 측정용 전극(4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y one or more of the ultrasonic probe 100 or toco probe 200 used in the mother and fetal state monitoring device 30 for monitoring the mother and fetal state at the same time In the state monitoring probe (probe), at least on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electrode 41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body contact surface (101,201) of the ultrasonic probe 100 or the toco probe 200;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심전도 측정용 전극(41)은 상기 초음파 프로브(100) 또는 상기 토코 프로브(200)의 상기 신체 접촉면(101,201)에서 중심부를 벗어난 측면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electrode 41 is disposed on a side portion of the ultrasonic probe 100 or the toco probe 200 that is off the center of the body contact surfaces 101 and 201.

또한, 상기 심전도 측정용 전극(41)은 상기 초음파 프로브(100) 또는 상기 토코 프로브(200)의 상기 신체 접촉면(101,201)에서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원의 원주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electrode 41 is disposed on a circumference of a circle having a constant radius on the body contact surfaces 101 and 201 of the ultrasonic probe 100 or the toco probe 200.

또한, 상기 심전도 측정용 전극(41)은, 상기 초음파 프로브(100)의 상기 신체 접촉면(101)에 한 개가 설치되며, In addition, one ECG electrode 41 is provided on the body contact surface 101 of the ultrasonic probe 100,

상기 토코 프로브(200)의 상기 신체 접촉면(201)에 한 개 이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least one is installed on the body contact surface 201 of the toco probe 200.

또한, 상기 심전도 측정용 전극(41)은, 상기 초음파 프로브(100)의 상기 신체 접촉면(101)에 한 개 이상이 설치되고, 상기 토코 프로브(200)의 상기 신체 접촉면(201)에 한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one or more electrodes 41 for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are provided on the body contact surface 101 of the ultrasonic probe 100, and one is provided on the body contact surface 201 of the tocoprobe 200.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분만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 중 가장 위험한 상황에 속하는 경우로 태아의 상태가 이미 회복 불가능할 정도로 나빠지거나 태아가 사망한 상태와 같이 긴급한 상태에서, 별도의 심전도 측정 프로브를 장착하는 것과 같이 별도의 장치나 과정의 필요 없이도 초음파 프로브와 토코 프로브만을 사용하여서도 즉각적으로 산모의 심전도 측정을 통하여 산모의 심박수를 태아의 심박수와 분리하여 관측하는 것이 가능하여, 긴박한 상황에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대응하면서 분만 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fetal condition is already irreparably deteriorated or is in an urgent state such as the death of the fetus, which is one of the most dangerous situations in which a labor accident may occur, a separate ECG probe is mounted.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mother's heart rate separately from the fetal heart rate through the measurement of the mother's electrocardiogram immediately by using only the ultrasound probe and the toco probe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device or process.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risk of delivery accidents while responding efficiently.

도 1: 본 발명의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용 통합형 프로브가 사용되는 분만 사고 상태의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 본 발명의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용 통합형 프로브를 통하여 측정된 산모와 태아의 심박이 잘못 검출되는 경우의 심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3: 기존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의 구성 블록 다이어그램
도 4: 기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의 구성 블록 다이어그램
도 5: 기존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용 초음파 프로브의 외관 사시도.
도 6: 기존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용 토코 프로브의 외관 사시도.
도 7: 기존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용 심전도 프로브의 외관 사시도.
도 8: 기존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용 심전도 프로브가 장착되는 부위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9: 한 개의 심전도 측정용 전극이 설치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용 통합형 프로브의 신체 접촉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0: 2 개의 심전도 측정용 전극이 설치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용 통합형 프로브의 신체 접촉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용 통합형 프로가 사용되는 경우의 기능 블럭도.
1: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ase of a delivery accident state in which the integrated probe for maternal and fetal state monito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2 is a graph showing the heart rate when the heart rate of the mother and the fetus measured by the integrated probe for the mother and fetal state monito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orrectly detected.
3 is a block diagram of a separate maternal and fetal stat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maternal and fetal stat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ultrasound probe for maternal and fetal stat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toco probe for maternal and fetal stat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CG probe for maternal and fetal stat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ite on which an ECG probe for maternal and fetal stat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ody contact surface of the integrated probe for maternal and fetal stat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e electrode for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is installed.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ody contact surface of the integrated probe for maternal and fetal stat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wo electrocardiogram measuring electrodes are installed.
1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when an integrated pro for maternal and fetal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is u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용 통합형 프로브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integrated probe for the mother and fetal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so as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산모 및 태아 상태를 동시에 감시하는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30)에 사용되는 초음파 프로브(100) 또는 토코 프로브(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태 감시 프로브(probe)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프로브(100) 또는 상기 토코 프로브(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체 접촉면(101,201)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심전도 측정용 전극(4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신체 접촉면(101,201)은 상기 초음파 프로브(100) 또는 상기 토코 프로브(200)를 사용하는 경우 신체에 접촉하게 되는 면을 의미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9 or 10, at least one of the ultrasonic probe 100 or the toco probe 200 used in the mother and fetal state monitoring device 30 for monitoring the mother and fetal state at the same time In a state monitoring probe (probe) comprising, at least on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electrode 41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body contact surface (101,201) of the ultrasonic probe 100 or the toco probe 20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In this case, the body contact surfaces 101 and 201 refer to surfaces that come into contact with the body when the ultrasonic probe 100 or the toco probe 200 is used.

이 경우, 상기 초음파 프로브(100) 또는 상기 토코 프로브(200)는 그 원래의 기능을 위한 센서 구성요소가 주로 상기 신체 접촉면(101,201)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것을 고려할 때, 각각의 다른 특성을 지니는 측정 센서 구성 요소 사이의 간섭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심전도 측정용 전극(41)은 상기 초음파 프로브(100) 또는 상기 토코 프로브(200)의 상기 신체 접촉면(101,201)에서 중심부를 벗어난 측면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ultrasonic probe 100 or the toco probe 200 has a measurement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considering that a sensor component for its original function is main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body contact surfaces 101 and 201. In order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interference between the sensor components, as shown in FIG. 9 or FIG. 10,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electrode 41 may include the body contact surface of the ultrasonic probe 100 or the toco probe 200. It is preferred to be disposed at the side portion away from the center in 101,201.

이러한 상기 심전도 측정용 전극(41)의 배치 형태로는 대단히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그 일 실시예로는 도 9 또는 도 10에 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심전도 측정용 전극(41)은 상기 초음파 프로브(100) 또는 상기 토코 프로브(200)의 상기 신체 접촉면(101,201)에서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원의 원주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electrode 41, a wide variety of embodiments are possible, and as shown in FIG. 9 or 10,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electrode 41 is the ultrasonic probe. It is preferred to be disposed on the circumference of a circle having a constant radius at the body contact surfaces 101 and 201 of the 100 or the toco probe 200.

또한, 상기 심전도 측정용 전극(41)은, 상기 초음파 프로브(100)의 상기 신체 접촉면(101)에 한 개가 설치되며, 상기 토코 프로브(200)의 상기 신체 접촉면(201)에 한 개 이상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on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electrode 41 is installed on the body contact surface 101 of the ultrasonic probe 100, and one or more electrodes are installed on the body contact surface 201 of the tocoprobe 200. It is possible to.

또한, 상기 심전도 측정용 전극(41)은, 상기 초음파 프로브(100)의 상기 신체 접촉면(101)에 한 개 이상이 설치되고, 상기 토코 프로브(200)의 상기 신체 접촉면(201)에 한 개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one or more electrodes 41 for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are provided on the body contact surface 101 of the ultrasonic probe 100, and one is provided on the body contact surface 201 of the tocoprobe 200. It is possible to b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용 통합형 프로브를 사용하는 경우의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aternal and fetal state monitoring device in the case of using the integrated probe for maternal and fetal stat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별도의 심전도 측정 프로브를 산모에게 장착할 필요 없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초음파 프로브(100)와 상기 토코 프로브(200)를 산모에게 장착하여 상기 초음파 프로브(100)를 통하여는 초음파 응답을 통한 태아의 심박을 측정하고, 상기 토코 프로브(200)를 통하여는 압력 응답을 통한 산모의 자궁 수축을 측정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초음파 프로브(100) 또는 상기 토코 프로브(200)에 설치된 상기 심전도 측정용 전극(41) 를 통하여 산모의 심전도 응답을 측정하여 산모의 심박을 계산한다.
First, as shown in FIG. 11, the ultrasound probe 100 and the toco prob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ounted on the mother without the need for attaching a separate ECG probe to the mother. The ultrasound probe 100 measures the fetal heart rate through the ultrasound response, and the toco probe 200 measures the maternal uterine contraction through the pressure response. In this case, the mother's heart rate i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mother's ECG response through the ECG measuring electrode 41 installed in the ultrasonic probe 100 or the toco probe 200.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측정된 태아의 심박과 산모의 심박을 계속적으로 비교하여,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태아의 심박과 산모의 심박이 유사하거나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알람음을 발생시키는 것과 같은 경고 작동을 통하여 의료진에게 위급 상황을 전달하게 된다.
By continuously comparing the fetal heart rate and the mother's heart rate measur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s shown in Figure 2, such as generating an alarm sound when the fetal heart rate and the mother's heart rate is determined to be similar or identical Alerting alerts medical personnel of emergency situations.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description, optimal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태아 감시장치
20: 환자 감시장치
30: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
40: 심전도 측정 프로브
41: 심전도 측정용 전극
100: 초음파 프로브
200: 토코 프로브
10: fetal monitoring device
20: patient monitoring device
30: Maternal and fetal condition monitoring device
40: ECG probe
41: ECG electrode
100: ultrasonic probe
200: Toco Probe

Claims (5)

산모 및 태아 상태를 동시에 감시하는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30)에 사용되는 초음파 프로브(100) 또는 토코 프로브(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태 감시 프로브(probe)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프로브(100) 또는 상기 토코 프로브(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체 접촉면(101,201)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심전도 측정용 전극(41);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용 통합형 프로브.
In the state monitoring probe (probe) comprising any one or more of the ultrasonic probe 100 or the toco probe 200 used in the mother and fetal state monitoring device 30 for monitoring the mother and fetal state at the same time,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electrode (41) installed at least one or more body contact surfaces (101,201) of the ultrasonic probe (100) or the toco probe (200); Integrated probes for maternal and fetal condition monitoring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전도 측정용 전극(41)은 상기 초음파 프로브(100) 또는 상기 토코 프로브(200)의 상기 신체 접촉면(101,201)에서 중심부를 벗어난 측면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용 통합형 프로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electrode 41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ultrasound probe 100 or the toco probe 200, the body contact surface (101, 201) off the center portion of the integrated type for the maternal and fetal state monitoring device Probe.
청구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심전도 측정용 전극(41)은 상기 초음파 프로브(100) 또는 상기 토코 프로브(200)의 상기 신체 접촉면(101,201)에서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원의 원주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용 통합형 프로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ECG electrode 41 is a maternal and fetal state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the circumference of a circle having a constant radius on the body contact surface (101,201) of the ultrasonic probe 100 or the toco probe 200 Integrated probe for the device.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전도 측정용 전극(41)은,
상기 초음파 프로브(100)의 상기 신체 접촉면(101)에 한 개가 설치되며,
상기 토코 프로브(200)의 상기 신체 접촉면(201)에 한 개 이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용 통합형 프로브.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electrode 41,
One is installed on the body contact surface 101 of the ultrasonic probe 100,
Integrated probe for maternal and fetal state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is installed on the body contact surface (201) of the toco probe (200).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전도 측정용 전극(41)은,
상기 초음파 프로브(100)의 상기 신체 접촉면(101)에 한 개 이상이 설치되고,
상기 토코 프로브(200)의 상기 신체 접촉면(201)에 한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모 및 태아 상태 감시 장치용 통합형 프로브.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electrode 41,
At least one is installed on the body contact surface 101 of the ultrasonic probe 100,
Integrated probe for maternal and fetal state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is installed on the body contact surface (201) of the toco probe (200).
KR1020120048573A 2012-05-08 2012-05-08 Combined probe for tocomonitor KR2013012508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573A KR20130125085A (en) 2012-05-08 2012-05-08 Combined probe for tocomon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573A KR20130125085A (en) 2012-05-08 2012-05-08 Combined probe for tocomoni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085A true KR20130125085A (en) 2013-11-18

Family

ID=49853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573A KR20130125085A (en) 2012-05-08 2012-05-08 Combined probe for tocomoni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508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4816A (en) * 2019-04-26 2019-08-02 深圳市理邦精密仪器股份有限公司 Fetal Heart Rate determines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KR20220108492A (en) 2021-01-27 2022-08-03 주식회사 바이오넷 Fetal monitoring device having a function for reducing battery consump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4816A (en) * 2019-04-26 2019-08-02 深圳市理邦精密仪器股份有限公司 Fetal Heart Rate determines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KR20220108492A (en) 2021-01-27 2022-08-03 주식회사 바이오넷 Fetal monitoring device having a function for reducing battery consump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7448B2 (en) Automatic identification of suspect coronary arteries using anatomically oriented ECG data display
US9462957B2 (en) Portable electrocardiography device
US20180296188A1 (en) Patient monitor, phys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system, program to be used in patient monitor,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in which program to be used in patient monitor is stored
JP2013517083A (en) Identification of the causal coronary artery using anatomically oriented ECG data from the expanded lead set
US11980448B2 (en) Apparatus and methods of monitoring maternal and fetal heart rate
JP200253887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n-invasively and passively monitoring a fetal heart
Allen et al. Chronic fatigue syndrome and impaired peripheral pulse characteristics on orthostasis–a new potential diagnostic biomarker
JP2018528812A (en) ECG lead signal high / low frequency signal quality evaluation
KR20200006812A (en) Patch-type biosensor device for measuring multiple bio signals
US20220133213A1 (en) Multi-Sensor Patch
KR20130125085A (en) Combined probe for tocomonitor
CN105476625A (en) Portable electrocardiogram monitor
Ramachandran et al. Development of real-time ECG signal monitoring system for telemedicine application
Zhang et al. The auxiliary diagnostic value of a novel wearable electrocardiogram-recording system for arrhythmia detection: diagnostic trial
KR101974905B1 (en) Unconstrained Type Bio Signal Measuring Sensor And Bio Signal Measuring System Having The Same
Hu et al. A wireless and wearable system for fetal heart rate monitoring
TR201921911A2 (en) Heart attack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ystem.
EP3212077B1 (en) Methods, systems, and assemblies for measuring bioelectrical signals of intra-abdominal organs
US20180325406A1 (en) Rapid ekg lead placement device
KR101726503B1 (en) Glove-typ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KR102333296B1 (en) A disposable pad with an integrated chest electrode that connects the connector to the area where the connection lines connected to the pad are focused and use method thereof
EP3573524B1 (en) Electromyography based drug delivery
KR20130125084A (en) Combined probe for tocomonitor
TWM555707U (en) Arrhythmia detecting apparatus and related system thereof
Islam et al. Embedded programmable web-based ECG monitoring & detection system using a fast algorith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