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4779A - Substrate modul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ubstrate modul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779A
KR20130124779A KR1020120048175A KR20120048175A KR20130124779A KR 20130124779 A KR20130124779 A KR 20130124779A KR 1020120048175 A KR1020120048175 A KR 1020120048175A KR 20120048175 A KR20120048175 A KR 20120048175A KR 20130124779 A KR20130124779 A KR 20130124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ubstrate module
air gap
display device
transparen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1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정구
안기환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8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4779A/en
Publication of KR20130124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77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rate module for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ubstrate module for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apable of enlarging a viewing angle for a three-dimensional image because crosstalk rarely occurs as a color filter,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 patterned retarder are arranged from a light source in order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includes an air gap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patterns of the patterned retarder and a boundary between the patterns.

Description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Substrate modul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Substrate modul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혼광(crosstalk) 현상을 방지하며, 특히 3차원 영상에서 시야각이 대폭 확대된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rate module for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rate module for an image display device, which prevents crosstalk, and to which a viewing angle is greatly enlarged in a 3D imag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종래 CRT 모니터가 주종을 이루던 화상 표시 장치는 최근 그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LCD, OLED, 전자종이 등 더 넓고 가벼우며 심지어 구부릴 수도 있는 화상 표시 장치들이 속속 소개되고 있다. 더욱이, 화상 표시 장치를 통해 표현되는 화상도 평면적인 2차원 영상뿐만 아니라 시청자가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3차원 영상까지 가능한 수준에 이르렀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In recent years, an image display device in which a conventional CRT monitor is dominant has been rapidly developed, and a wider, lighter, and even bendable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an OLED, In addition, the image represented by the image display device has reached a level capable of not only a planar two-dimensional image but also a three-dimensional image in which a viewer can feel a three-dimensional effect.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의 일반적인 원리는, 하나의 물체에 좌우의 눈이 다른 방향에서 물체를 봄으로써 생기는 좌우망막상의 공간적인 차이의 효과를 이용하여 인간이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효과를 이용하여 좌우양안에 각각 서로 다른 영상, 즉 스테레오 스코픽 영상(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스테레오 스코픽 영상(3차원 영상)은 표시 방법에 따라 안경을 쓰는 방법과, 안경을 쓰지 않는 방법으로 발전되었으며, 안경을 쓰지 않고 보는 방법으로 가장 대표적인 방법이 수직시차만을 표현하는 렌티큘라판을 영상표시장치에 부착하여 입체영상을 보는 방법이며, 나아가 수직, 수평 시차를 표현하는 다시점 또는 초다시점 IP(Integral Photography)판, 교차 렌티큘라판 또는 사각 렌즈판 등의 다시점 영상 표시 마스크로 발전되었다.The general principle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method is to make a human feel a three-dimensional effect by using the effect of the spatial difference on the left and right retinas caused by the left and right eyes looking at the object in one direction. Therefore, a method of displaying different images, that is, stereoscopic images (three-dimensional images), in both left and right eyes using this effect has been used. The stereoscopic image (3D image) has been developed into a method of wearing glasses and a method of wearing glasses according to a display method, and the most representative method of viewing without glasses is a lenticular plate representing only vertical parallax. It is a method of viewing a stereoscopic image by attaching it to a display device, and further developing into a multi-view image display mask such as a multi-view or ultra-multi-view IP (Integral Photography) plate, a cross lenticular plate, or a rectangular lens plate, which express vertical and horizontal parallax. It became.

이처럼,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은 안경을 쓰고 3차원 영상을 관찰하는 방법과, 안경을 쓰지 않고 3차원 영상을 관찰하는 방법으로 나뉘어진다.As such, the 3D image display method is divided into a method of observing a 3D image with glasses and a method of observing a 3D image without glasses.

안경을 쓰고 3차원 영상을 관찰하는 방법은 극장과 같은 넓은 공간에서 3차원 영상을 관찰하는 방법으로서, 2안식의 스테레오 스코픽 영상(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안경을 쓰지 않고 보는 방법으로서, 단일 시청자 또는 소수 시청자가 관찰 위치가 정해져 있는 위치에서 3차원 영상을 관찰하는 방법이 있다.A method of observing a 3D image by wearing glasses is a method of observing a 3D image in a large space such as a theater and uses a binocular stereoscopic image (3D image) display method. In addition, as a method of viewing without wearing glasses, there is a method in which a single viewer or a few viewers observe a 3D image at a position where an observation position is determined.

그런데, 편광방식으로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종래의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위상차 필름을 부착하여 3차원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였으나, 이 방법에 의하면 시청자는 편광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3차원 영상을 관찰하게 된다. 하지만, 화상 표시 장치에 별도의 위상차 필름을 부착하게 되면, 화각이 작아짐으로 인해, 다수의 시청자가 3차원 영상을 관찰할 수 없으며, 또한 개인(개별 시청자)도 3차원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영역이 좁아짐으로 인해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개별 시청자는 고정된 위치에서 3차원 영상을 관찰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By the way, as a typical method of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image by the polarization method, there was a method that can observe the three-dimensional image by attaching a retardation film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viewer wearing a polarized glasses In this state, the 3D image is observed. However, when the retardation film is attach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angle of view becomes smaller, and thus, many viewers cannot observe the 3D image, and also an individual (individual viewer) can observe the 3D image. Due to this narrowing, the range of movement is limited, and therefore, individual viewers have to observe a 3D image at a fixed positio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1-0114017호는 패턴화된 리타더의 서로 다른 두 패턴 사이에 빛 차단을 위한 제3의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혼광(cross-talk) 현상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No. 2011-0114017 attempts to minimize cross-talk by forming a third pattern for blocking light between two different patterns of the patterned retarder. The technique is disclosed.

하지만, 패턴화된 리타더에 상기와 같은 제3의 패턴을 형성하게 되면, 제3의 패턴에 화상 신호광이 흡수되어 화면의 전체적인 밝기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third pattern is formed in the patterned retarder, the image signal light is absorbed in the third pattern, and thus the overall brightness of the screen is lowered.

이 외에도, 블랙 매트릭스의 폭을 넓히거나, 컬러 필터 모듈의 투명 기판의 두께를 얇게 하는 방안들이 제시된 바 있으나, 블랙 매트릭스의 폭을 넓히는 것은 제한이 있으며, 투명 기판의 두께를 얇게 하면 패널이 휘어 빛샘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have been proposals to increase the width of the black matrix or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of the color filter module. However, there is a limit to increasing the width of the black matrix. This has the disadvantage of occurring.

따라서, 여전히 3차원 영상의 시야각을 넓히기 위한 효과적인 해결책은 아직 제시된 바가 없다.
Therefore, no effective solution for widening the viewing angle of three-dimensional images has yet been proposed.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11-0114017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114017

본 발명은 혼광(cross-talk) 현상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strate module for an image display devic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cross-talk phenomenon.

본 발명은 시야각이 확장된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strate module for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n extended viewing angle.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기판 모듈을 구비한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module.

1. 광원으로부터 컬러필터, 투명 기판 및 패턴화된 리타더가 순서대로 배치되고, 상기 투명 기판은 패턴화된 리타더의 패턴과 패턴 사이의 경계에 대응되는 영역에 에어 갭(air gap)을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1. A color filter,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 patterned retarder are sequentially arranged from a light source,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has an air gap in an area corresponding to a boundary between the pattern of the patterned retarder and the pattern. Substrate module for video display device.

2. 위 1에 있어서, 에어 갭은 투명 기판이 절단된 영역인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2. In the above 1, the air gap is a substrate module for a video display device is a region where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cut.

3. 위 1에 있어서, 에어 갭은 투명 기판의 일면에 홈부로 형성된 영역인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3. In the above 1, the air gap is a substrate module for a video display device is a region formed with a groove on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4. 위 3에 있어서, 홈부의 단면은 사각형, 삼각형, 반타원형 및 단부가 삼각형이거나 반원형인 막대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4. In the above 3, wherein the cross section of the groove portio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rectangular, triangular, semi-elliptic and the end of the triangular or semi-circular rod-shaped substrate module.

5. 위 3에 있어서, 홈부는 투명 기판에 있어서 패턴화된 리타더가 배치된 방향의 면 또는 그 반대면에 형성된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5. In the above 3, wherein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tterned retarder is disposed or the opposit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substrate module.

6. 위 1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갭은 상기 투명 기판보다 굴절률이 작은 물질로 채워져 있는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6. The substrate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air gap is filled with a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smaller than that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7. 위 1에 있어서, 투명 기판의 두께는 100 내지 1,000 ㎛인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7. In the above 1,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100 to 1,000 ㎛ substrate module for a video display device.

8. 위 1에 있어서, 컬러필터의 각 픽셀 사이의 블랙매트릭스 영역이 에어 갭 부분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8. The substrate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black matrix area between each pixel of the color filter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air gap portion.

9. 위 1에 있어서, 에어 갭의 폭은 컬러필터의 각 픽셀 사이의 블랙매트릭스의 폭 이하인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9. The substrate module according to the above 1, wherein the width of the air gap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width of the black matrix between each pixel of the color filter.

10. 위 1에 있어서, 투명 기판은 투명 유리 또는 투명 고분자로 형성되는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10. The substrate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formed of transparent glass or transparent polymer.

11. 위 1에 있어서, 패턴화된 리타더는 어느 한 패턴과 그에 인접하는 다른 패턴은 광축이 서로 다른 것인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11. The substrate module according to 1 above, wherein the patterned retarder has one pattern and another pattern adjacent thereto different from each other.

12. 위 1에 있어서, 패턴화된 리타더는 어느 한 패턴과 그에 인접하는 다른 패턴은 광축이 서로 수직인 것인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12. The substrate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patterned retarder is one pattern and another pattern adjacent thereto i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13. 위 1에 있어서, 패턴화된 리타더의 표면에는 표면처리층을 더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13. The substrate modul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urface treatment layer on the surface of the patterned retarder.

14. 위 1에 있어서, 패턴화된 리타더의 광이 출사되는 면에는 광산란 수단을 더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14. The substrate modul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light scattering means on a surface from which the light of the patterned retarder is emitted.

15. 위 1에 있어서, 투명 기판과 패턴화된 리타더 사이에는 편광필름이 개재되는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15. The substrate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polarizing film is interposed betwee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patterned retarder.

16. 위 15에 있어서, 편광필름은 편광자 단독 또는 편광자와 보호필름을 구비하는 것인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16. In the above 15, the polarizing film is a substrate module for a video display device that is provided with a polarizer alone or a polarizer and a protective film.

17. 위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의 기판 모듈을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
17.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ubstrate module of any one of 1 to 16 above.

본 발명의 기판 모듈은 투명 기판의 에어 갭을 통해 리타더의 패턴과 패턴 사이의 경계부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광이 반사됨으로써 혼광(cross-talk)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3차원 영상에 대한 시야각을 확대할 수 있다.In the substrat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ght is reflect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between the pattern of the retarder and the pattern through the air gap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cross-talk is hardly generated, and thus the viewing angle of the 3D image is increased. You can zoom in.

본 발명의 기판 모듈은 광의 손실이 거의 없으므로 화면의 밝기가 우수한 3차원 영상을 표현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의 구현을 가능하도록 한다.Since the substrat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lmost no light los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representing a 3D image having excellent brightness of a screen.

본 발명의 기판 모듈은 블랙 매트릭스의 폭을 넓히지 않고 혼광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투명 기판의 두께를 얇게 할 필요도 없으므로 패널의 휨으로 인한 빛샘이 발생하지 않는다.
The substrat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revent the confusion phenomenon without widening the width of the black matrix, and does not need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o that light leakage due to the bending of the panel does not occu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판 모듈의 절단된 에어 갭을 갖는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판 모듈에 의한 혼광(cross-talk) 방지 메커니즘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판 모듈의 홈부 형태의 에어 갭을 갖는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갭의 홈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판 모듈이 편광 필름을 구비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판 모듈이 편광 필름 및 컬러 필터를 구비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혼광의 정도(휘도의 비)의 정의와 그에 따라 도출된 비교예 1의 상하시야각에 대한 혼광의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비교예 1의 상하 시야각에 따른 혼광 상태를 산출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있어서 좌안광이 출사되는 영역에서의 상하 시야각에 따른 좌안광과 우안광의 휘도를 산출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ubstrate module for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one embodiment having a cut air gap of the substrat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ross-talk prevention mechanism by the substrat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having an air gap in the form of a groove of the substrat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groove of an air g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ubstrat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olarizing film.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substrat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olarizing film and a color filter.
8 is a graph showing the definition of the degree of confusion (ratio of luminance)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gree of confus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viewing angle of Comparative Example 1 derived accordingly.
It is a graph which showed the mixed state according to the vertical viewing angle of the comparative example 1, and shows the result.
9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alculating the luminance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according to the vertical viewing angle in the region where the left eye light is emitt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FIG.

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 컬러필터, 투명 기판 및 패턴화된 리타더가 순서대로 배치되고, 상기 투명 기판은 패턴화된 리타더의 패턴과 패턴 사이의 경계에 대응되는 영역에 에어 갭(air gap)을 구비함으로써, 혼광(cross-talk)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3차원 영상에 대한 시야각을 확대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lor filter,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 patterned retarder are sequentially arranged from a light source,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has an air gap in an area corresponding to a boundary between the pattern of the patterned retarder and the patter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rate module for an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enlarging a viewing angle with respect to a 3D image because cross-talk is hardly generated, and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도면은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도면에 기재된 사항으로 한정되어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n embodiment of a substrate module for a video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drawing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provided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is not interpreted.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은 광원으로부터 컬러필터(400), 투명 기판(100) 및 패턴화된 리타더(200)가 순서대로 배치되는 기판 모듈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투명 기판(100)이 패턴화된 리타더의 패턴과 패턴 사이의 경계에 대응되는 영역에 에어 갭(air gap)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의 수직 단면(도 1에서 A-A'축 기준)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컬러필터(400)의 픽셀(410) 내 서브픽셀(R, G, B)들의 배열방향이 패턴화된 리타더(200)의 패턴(210, 22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한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서브픽셀(R, G, B)들의 배열방향이 패턴(210, 22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The substrate module for an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rate module in which a color filter 400, a transparent substrate 100, and a patterned retarder 200 are sequentially arranged from a light sour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is characterized by having an air gap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between the pattern of the patterned retarder and the patter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based on A-A 'axis of FIG. 1) of a substrate module for an image display devic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ubpixels R, G, and B in the pixel 410 of the color filter 400 is parallel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atterns 210 and 220 of the patterned retarder 200. Although the case where the position of the subpixels R, G, and B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tterns 210 and 220 is also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투명 기판(100)은 패턴화된 리타더(200)의 서로 다른 두 패턴(210, 220) 사이의 경계에 대응되는 영역에 에어 갭(110)을 구비한다. 에어 갭(110)은 투명 기판(100)과 공기의 굴절률 차이를 발생시킴으로써 혼광(cross-talk) 현상을 방지한다.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gap 110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 boundary between two different patterns 210 and 220 of the patterned retarder 200. The air gap 110 prevents cross-talk by generating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and the air.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혼광(cross-talk) 방지 메커니즘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3차원 영상은 좌안과 우안에 서로 다른 영상을 투사함으로써 인식되게 되는데, 상기 서로 다른 영상은 패턴화된 리타더(200)의 서로 다른 두 패턴(210, 220)을 각각 통과하게 된다. 예를 들면, 좌안에 투사되는 영상은 제1 패턴(210)을 통과하게 되고, 우안에 투사되는 영상은 제2 패턴(220)을 통과하게 되는 것이 이상적인 결과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광원에서 나오는 광은 수직방향으로만 진행하지 않으므로, 종래의 경우에는 제1 패턴(210)을 통과해야 하는 광이 제2 패턴(220)을 통과하기도 하는데(도 3의 점선 화살표), 이 경우에 혼광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Figure 3 schematically shows a cross-talk preven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 3D image is recognized by projecting different images on the left and right eyes, and the different images pass through two different patterns 210 and 220 of the patterned retarder 200, respectively. Done. For example, the image projected on the left eye passes through the first pattern 210, and the image projected on the right eye passes through the second pattern 220. However, sinc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does not actually proce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onventional case, light that should pass through the first pattern 210 may pass through the second pattern 220 (dotted arrow in FIG. 3). In this case, a mixed phenomenon occurs.

하지만, 본 발명은 패턴화된 리타더(200)의 패턴 간의 경계에 대응되는 위치의 투명 기판 영역에 에어 갭(110)을 구비함으로써, 투명 기판(100)과 공기의 굴절률 차이를 발생시키고, 그에 따라 인접하는 패턴으로 향하는 광(도 3의 점선 화살표)들을 다시 투명 기판(100) 쪽으로 반사시킴으로써(도 3의 이점쇄선 화살표), 혼광 현상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gap 110 in the transparent substrate reg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between the patterns of the patterned retarder 200, thereby generating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and air. Accordingly, by reflecting the light (dashed line arrow in FIG. 3) directed to the adjacent pattern back toward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the dashed line arrow in FIG. 3), the converging phenomen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투명 기판(100)에 형성되는 에어 갭(11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기판(100)이 절단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20)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The air gap 110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may have a cut shape, or as shown in FIG. 4, may have a shape of the groove 120.

에어 갭(110)이 투명 기판(100)이 절단된 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투명 기판(100)을 기재에 접착시킨 후 에어 갭(110)이 형성될 영역을 절단하는 방법, 또는 이미 절단된 바(bar) 형태의 투명 기판(100)을 패턴화된 리타더(200)의 각 패턴 영역에 대응되도록 접착시키고, 그 옆에 또 다른 투명 기판(100)의 바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인접하는 투명 기판(100)의 바와 에어 갭을 갖도록 접착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When the air gap 110 has a shape in which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is cut, a method of cutting the region in which the air gap 110 is to be formed after adher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to the substrate, or the bar already cut (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in the form of a bar) is adhered to correspond to each pattern region of the patterned retarder 200, and when the bar of another transparent substrate 100 is disposed next to the adjacent transparent substrate 100 It can be prepared by a method of bonding to have a bar and an air gap.

에어 갭(110)이 홈부(120)의 형태를 가질 경우에는 투명 기판(100)에 홈부(120)가 형성되는 부분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화된 리타더가 배치된 방향의 면일 수 있으며, 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반대면(광원이 배치된 방향)일 수도 있다. 홈부(120)의 형성 위치는 기판 모듈(10)의 적용되는 구체적인 영상 표시 장치의 용도, 혼광 형상의 억제 효율 등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홈부(120)를 형성하는 방법은 투명 기판(100)을 기재에 접착시킨 후 홈부(120)을 형성하거나, 투명 기판(100)에 먼저 홈부(120)를 형성한 후에 기재에 접착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When the air gap 110 has the shape of the groove portion 120, the portion where the groove portion 120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is disposed as a patterned retarder as shown in FIG. 4A. It may be a surface in the direction shown, or may be the opposite surface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source is disposed) as shown in (b).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groove portion 120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necessity, such as the use of the specific image display device to which the substrate module 10 is applied, the suppression efficiency of the mixed shape, and the like. The groove 120 may be formed by bond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to the substrate to form the groove 120, or first forming the groove 120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and then attaching the substrate to the substrate. Can be.

홈부(120)의 깊이는 혼광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값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Since the depth of the groove portion 120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a range of values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mixing phenomenon,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홈부(120)의 단면도 기판 모듈(10)의 적용되는 구체적인 영상 표시 장치의 용도, 제조 방법의 용이성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대해 특별한 제한은 없다. 홈부(120)의 대표적인 예시가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홈부(120)는 그 단면이 사각형(a), 삼각형(b), 반타원형(c), 단부가 삼각형인 막대형(d), 단부가 반원형인 막대형(e)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roove 120 may have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needs of a specific image display device to be applied to the substrate module 10, ease of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lik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groove 120 is shown schematically in FIG. 5. Referring to Figure 5, the groove portion 120 has a cross section (a), a triangle (b), a semi-elliptic (c), the end of the bar (d), the end of the semi-circular bar (e), etc.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에어 갭(110)은 에어 갭(110)이 형성된 투명 기판(100)보다 굴절률이 작은 물질로 채워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 기판(100)과 에어 갭(110)의 계면에서 투명 기판(100) 내부로의 반사는 에어 갭(110)에 존재하는 공기의 굴절률이 투명기판보다 작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에어 갭(110)에 공기 외에 투명 기판(100)보다 굴절률이 작은 물질이 채워져 있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에어 갭(110)에 채워지는 물질은 투명 기판(100)보다 굴절률이 낮다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gap 110 may be filled with a material having a smaller refractive index tha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on which the air gap 110 is formed. As shown in FIG. 3,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lection of the air present in the air gap 110 has a refractive index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and the air gap 110. It happens because it is smaller. Therefore, even if the air gap 110 is filled with a material having a smaller refractive index tha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in addition to ai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The material filled in the air gap 110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the refractive index is lower than that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 기판(100)의 두께는 적용되는 영상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100 내지 1,000 ㎛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may have various values depending on the specific us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to be applied,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100 to 1,000 μm.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 기판(100)의 에어 갭(110)의 폭은 컬러필터의 각 픽셀 사이의 블랙매트릭스의 폭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 갭의 폭이 블랙 매트릭스의 폭을 초과하면 혼광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에어 갭은 존재하기만 하면 투명 기판(100)과의 굴절률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투명기판(100) 내부로의 반사가 일어나므로, 에어 갭의 폭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1㎛, 바람직하게는 0.001㎛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상기와 같은 고찰은 광의 파동성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광의 파동성을 고려한다면, 에어 갭(110)의 폭이 통과하는 광의 파장보다 작게 되면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광의 파장성이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에어 갭(110)의 폭의 하한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 갭(110)의 폭은 투명기판(100)을 통과하는 광의 파장의 1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5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배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air gap 110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is preferably equal to or less than the width of the black matrix between each pixel of the color filter. If the width of the air gap exceeds the width of the black matrix, confusion may occur.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air gap is present,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with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is generated and reflection occurs into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which i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lower limit of the width of the air gap is particularly limited. It doesn't work. For example, it may be 1 μm, preferably 0.001 μm, but is not limited thereto. However, the above considerations do not consider the wav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Considering the wav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if the width of the air gap 110 is smaller than the wavelength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effect des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appear. In this aspect, the lower limit of the width of the air gap 110 can be set within a range in which the wavelength of light does not impai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air gap 110 may have a width of one or more times, preferably five or more times, more preferably ten or more times the wavelength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투명 기판(100)은 당분야에서 투명 기판으로 사용되는 소재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 유리 또는 투명 고분자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소재는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may be adopt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material used as a transparent substrate in the art. For example, it may be a transparent glass or a transparent polymer and specific materials can be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needed.

본 발명의 기판 모듈(10)은 투명 기판(100)의 상부(광원이 위치한 쪽의 반대편)에 패턴화된 리타더(200)를 구비한다. 패턴화된 리타더(200)는 좌안과 우안에 투사되는 서로 다른 광이 각각 통과되는 제1 패턴(210)과 제2 패턴(220)이 교대로 배열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substrate modu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tterned retarder 200 on an upper portion (opposite side on which the light source is located)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The patterned retarder 2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pattern 210 and the second pattern 220 through which different light beams projected from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pass are alternately arranged.

상기 서로 다른 두 패턴은 각각 서로 다른 위상차값 또는 서로 다른 방향의 광학축을 가지는 패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제1 패턴(210)과 제2 패턴(220)이 서로 다른 광축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각 패턴의 광축은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직교"한다는 것은 수학적으로 완벽하게 직교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며, 수학적으로 완벽하게 직교하지는 않지만 당분야에서 현실적으로 직교하는 것으로 인정하는 범위까지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two different patterns may be patterns having different phase difference values or optical axes in different directions.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pattern 210 and the second pattern 220 have different optical axes, the optical axes of the patterns may b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each o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substantially orthogonally" means including perfectly mathematically orthogonally, and not including mathematically perfectly orthogonally, but also including a range that is recognized as practically orthogonal in the art.

각 패턴의 폭은 패턴화된 리타더(200)의 두께 대비 200 배 내지 1000배, 바람직하게는 300배 내지 700배인 것이 패턴화된 리타더(200)에 광이 입사하는 위치의 패턴과 출사하는 패턴 위치가 서로 다른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그 영향을 실질적으로 무시할 수 있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패턴화된 리타더(200)의 두께는 0.1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width of each pattern is 200 times to 1000 times, preferably 300 times to 700 times, the thickness of the patterned retarder 200, which is emitted from the pattern of the position where light is incident on the patterned retarder 200. Even if the pattern posi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preferable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influence thereof can be substantially ignored. In this aspect, the thickness of the patterned retarder 200 is preferably 0.1 to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패턴화된 리타더(200)은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경화성 액정 조성물을 경화시켜 얻을 수 있다. The patterned retarder 200 may be used in the art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For example, it can obtain by hardening | curing a photocurable liquid crystal composition.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패턴화된 리타더(200)의 표면에는 표면처리층을 더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보강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처리층은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능성층이 제한 없이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티포그(anti-fog)층, 안티글레어(anti-glare)층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면처리층은 별도의 필름으로 제조된 뒤 패턴화된 리타더(200)에 접착시켜 형성할 수도 있으며, 표면처리층 형성용 조성물을 패턴화된 리타더(200)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박막화의 측면에서는 표면처리층 형성용 조성물을 패턴화된 리타더(200)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necessary, the surface of the patterned retard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rface treatment layer, thereby reinforcing various functions. Such a surface treatment layer may be adopted without limitation a variety of functional layers used in the art. For example, an anti-fog layer, an anti-glare layer,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surface treatment layer may be formed by adhering to the patterned retarder 200 after being manufactured as a separate film. The surface treatment layer may be formed by apply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surface treatment layer to the patterned retarder 200 and drying the same. It may be. In terms of thinning, it is preferable to apply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surface treatment layer to the patterned retarder 200 and to dry it.

필요에 따라, 패턴화된 리타더(200)의 광이 출사되는 면에 광산란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이 패턴화된 리타더(200)를 통과한 뒤 광산란 수단을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광산란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출사되는 광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광산란 수단은 당분야에 알려진 광산란 수단을 제한없이 채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그 단면 모양이 원의 일부인 패턴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반원형, 반타원형 등의 렌즈 형상(렌티큘러 형상)을 이룰 수 있다.If necessary, light scattering means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surface from which the light of the patterned retarder 200 is emitted. Accordingly, light may pass through the light scattering means after passing through the patterned retarder 200. By providing such light scattering means, the uniformity of the light emitted can be improved. Light-scattering means can adopt light-scattering means known in the art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a pattern whose cross-sectional shape is part of a circle is preferable, for example, it can achieve lens shape (lenticular shape), such as semicircle and semi-ellipse.

본 발명에 있어서, 광원(미도시)과 투명 기판(100) 사이에 컬러 필터(40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필터는 당분야에 알려진 컬러 필터가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 filter 4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ight source (not shown)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In the color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or filters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컬러 필터(400)는 픽셀(410) 및 상기 픽셀(410)들 사이를 구분하는 블랙 매트릭스(420)을 구비한다. 픽셀(410)은 광의 색(color)을 결정하는 부분으로서, 적색(R), 녹색(G), 청색(B) 의 서브 픽셀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브 픽셀 사이에도 각 서브 픽셀들을 구분하는 블랙 매트릭스(미도시)가 존재한다.1 and 2, the color filter 400 includes a pixel 410 and a black matrix 420 that distinguishes between the pixels 410. The pixel 410 is a part for determining the color of light, and is composed of subpixels of red (R), green (G), and blue (B). There is also a black matrix (not shown) that distinguishes each subpixel between the subpixels.

본 발명에 있어서, 컬러 필터(400)가 광원과 투명 기판(100)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컬러필터(400)의 각 픽셀(410) 사이의 블랙매트릭스(420) 영역이 에어 갭(110) 부분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혼광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lor filter 400 is disposed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the area of the black matrix 420 between each pixel 410 of the color filter 400 is the air gap 110. It is preferable to dispose to correspond to the point of view to effectively prevent the mixing phenomenon.

본 발명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투명 기판(100)과 패턴화된 리타더(200) 사이에는 다양한 필름층들이 개재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서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필름(300)이 개재될 수 있다. 도 7에는 투명기판(100) 하부에 컬러필터(400)가 구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if necessary, various film layer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and the patterned retarder 200, an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 polarizing film 300 a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 6. ) May be intervened. 7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olor filter 400 is provided below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300)으로는 편광자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편광자에 보호필름이 부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As the polarizing film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izer may be used alone or in a form in which a protective film is attached to the polarizer.

편광자는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편광자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편광자는 연신된 고분자 필름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것이다.The polarizer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the polarizer used in the art. A commonly used polarizer is one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on a stretched polymer film.

편광자를 구성하는 고분자 필름은 이색성 물질, 예컨대 요오드에 의해 염색 가능한 필름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필름, 셀룰로오스 필름, 이들의 부분적으로 검화된 필름 등과 같은 친수성 고분자 필름; 또는 탈수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탈염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등과 같은 폴리엔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면내에서 편광도의 균일성을 강화하는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이색성 물질에 대한 염색 친화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이 바람직하다. The polymer film constituting the polariz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film which can be dyed with a dichroic substance such as iodine. Specifically, the polymer film may be a polyvinyl alcohol film,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film, an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film , Cellulose films, partially saponified films thereof, and the like; Or a dehydrated polyvinyl alcohol film, a dehydrochloric acid-treated polyvinyl alcohol film, and the like. Of these,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preferable because it has an excellent effect of enhancing the uniformity of the degree of polarization in the plane and is excellent in dye affinity for a dichroic substance.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하여 얻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일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 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 비닐 이외에, 아세트산 비닐과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트산 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불포화 술폰산계, 올레핀계, 비닐에테르계,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계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More preferably, it may be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obtained by saponifying a polyvinyl acetate resin. Examples of the polyvinyl acetate resin include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copolymers of vinyl acetate and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therewith.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vinyl acetate include acrylamide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type, an unsaturated sulfonic acid type, an olefin type, a vinyl ether type, and an ammonium group.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된 것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내지 100몰%이며, 바람직하게는 98몰% 이상인 것이 좋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내지 10,000이며,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5,000인 것이 좋다.The polyvinyl alcohol resin may also be modified. For example, polyvinyl formal or polyvinyl acetal modified with aldehydes may be used. The saponification degre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85 to 100 mol%, preferably 98 mol% or more. The polymerization degre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1,000 to 10,000, preferably 1,500 to 5,000.

이러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막으로 형성한 것이 편광자의 원반 필름으로서 사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막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원반 필름의 막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0 내지 150㎛일 수 있다.What formed such a polyvinyl alcohol-type resin into a film is used as a raw film of a polarizer. The method of forming the film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known method can be used. The thickness of the original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10 to 150 mu m.

편광자는 통상 상기와 같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흡착시키는 공정,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수세, 건조하는 공정을 경유하여 제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편광자의 두께는 5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arizer is usually produced by a process of uniaxially stretching a polyvinyl alcohol film as described above, dyeing with a dichroic dye and adsorbing, treating with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and washing and drying.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duced as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5 to 40 mu m.

본 발명의 편광필름(300)이 편광자와 보호필름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편광자와 보호필름은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접착수단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계 접착제, 유기계 접착제, 광경화성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polarizing film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olarizer and a protective film, the polarizer and the protective film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the adhesive means used in the art. For example, an aqueous adhesive, an organic adhesive, a photocurable adhesive, or the lik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편광판(300)에 사용되는 보호필름으로는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보호필름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에서 우수한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황화 폴리페닐렌계 수지; 비닐알콜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필름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블렌드물로 구성된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된 필름을 이용할 수도 있다.As the protective film used in the polarizing plat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tective film used in the art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Preferably, a film excellent in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moisture shielding, isotropy, etc. may be used, and more specifically, a polyester-based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iso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etc. Suzy; Cellulose-based resins such as diacetylcellulose and triacetylcellulose; Polycarbonate resin; Acrylic resins such as polymethyl (meth) acrylate and polyethyl (meth) acrylate; Styrene resins such as polystyrene and acrylonitrile-styrene copolymer; Polyolefin resin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cyclo- or norbornene-structured polyolefins,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Vinyl chloride resin; Amide resins such as nylon and aromatic polyamide; Imide resin; Polyether sulfone type resin; Sulfone based resin; Polyether sulfone type resin; Polyether ether ketone resin; A sulfided polyphenylene resin; Vinyl alcohol type resin; Vinylidene chloride resins; Vinyl butyral resin; Allylate series resin; Polyoxymethylene type resin; Epoxy resin, and the like, and a film composed of the blend of the thermoplastic resin may also be used. Further, a film made of a thermosetting resin such as (meth) acrylic, urethane, acrylic urethane, epoxy, or silicone or a film made of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may be used.

이 중에서 더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필름은 TAC(triacetyl cellulose)계, COP(cyclo-olefin polymer)계, PMMA(poly (methyl methacrylate))계 중합체 등을 포함하는 필름이다.Among these films, films that are more commonly used include films of TAC (triacetyl cellulose), cyclo-olefin polymer (COP), and poly (methyl methacrylate) polymers.

본 발명의 기판 모듈(10)에 있어서, 투명 기판의 패턴화된 리타더가 배치되는 측의 반대편 측에는 광원(미도시)이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광원으로 OLED를 이용하는 일부 영상 표시 장치와 같이 광원 자체에서 색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광원과 본 발명의 기판 모듈(10) 사이에 컬러 필터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In the substrate modu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 source (not shown) is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patterned retarder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disposed.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isplaying a color in the light source itself, such as some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OLED as a light source, a color filter may not be required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he substrate modu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기판 모듈(10)은 영상 표시 장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적용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로는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나, 구체적으로 입체화상구현용 또는 반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무기/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LED, OLED, FED, VF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substrate modu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usefully used in an image display device. Applicable video display device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one, but specifically, for stereoscopic image display or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organic / organic EL display device, flexible display device, LED, OLED, FED, VFD, plasma display device And the like can be used.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실시예Example 1 One

컬러 필터, 상기 컬러 필터의 블랙 매트릭스 상에 절단된 형태의 에어 갭을 갖는 투명 유리 기판, 및 상기 에어 갭에 대응되는 영역에 패턴의 경계가 위치하는 패턴화된 리타더의 구조를 TracePro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설계하였다.TracePro software uses a structure of a color filter, a transparent glass substrate having an air gap in a cut shape on the black matrix of the color filter, and a patterned retarder in which a pattern boundary is locat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ir gap. Was designed.

구체적으로, 컬러필터의 픽셀의 폭은 630㎛, 블랙 매트릭스의 폭은 120㎛, 투명 유리 기판의 굴절률은 1.51, 투명 유리 기판의 두께는 520㎛, 절단된 형태의 에어 갭의 폭은 120㎛로 설정하였다. 또한, 광원은 lambertian 타입, 광속은 flux 1 watt, 광선 수는 1,000,000개로 설정하였다.Specifically, the pixel width of the color filter is 630㎛, the black matrix width is 120㎛,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ransparent glass substrate is 1.51,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glass substrate is 520㎛, the width of the cut air gap is 120㎛ Set. In addition, the light source was set to lambertian type, the flux of flux 1 watt, the number of rays 1,000,000 pieces.

실시예Example 2 2

에어 갭의 폭을 60㎛으로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except having set the width of the air gap to 60 micrometers.

실시예Example 3 3

에어 갭의 폭을 10㎛으로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except having set the width of the air gap to 10 micrometers.

실시예Example 4 4

에어 갭의 폭을 1㎛으로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except having set the width of the air gap to 1 micrometer.

실시예Example 5 5

에어 갭을 단면이 직사각형인 홈부로 형성하고, 그 폭을 10㎛, 깊이를 420㎛로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The air gap was formed into a groov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was conducted except that the width was set to 10 µm and the depth to 420 µm.

실시예Example 6 6

에어 갭 홈부의 깊이를 260㎛로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5 except having set the depth of the air gap groove part to 260 micrometers.

실시예Example 7 7

에어 갭을 단면이 삼각형인 홈부로 형성하고, 그 밑변을 120㎛, 깊이를 520㎛로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The air gap was formed into a groove having a tri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same operation was performed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bottom side was set to 120 µm and the depth was set to 520 µm.

실시예Example 8 8

에어 갭 홈부의 밑변을 10㎛로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7 except having set the bottom side of the air gap groove part to 10 micrometers.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에어 갭을 갖지 않는 평탄한 투명 유리 기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except that a flat transparent glass substrate having no air gap was used.

시험예Test Example

<< 혼광의Confused 측정 방법> Measurement method>

도 8에 본 발명에서의 혼광의 정도(휘도의 비)를 정의하는 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FIG. 8 schematically shows the definition of the degree of confusion (ratio of luminanc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고하면, 혼광이 발생한 정도는,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필터(F)에서 패턴화된 리타더(R)의 각 패턴에 대응하여 출사되는 광(점선으로 표시되는 광 및 실선으로 표시되는 광)이 패턴화된 리타더(R)의 어느 한 패턴에 동시에 존재하는 혼광 상태의 휘도에 대해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필터(F)에서 패턴화된 리타더(R)의 한 패턴 부분에만 광을 출사한 경우의 휘도의 비((2)/(1))로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degree of confusion is generated by light emitt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pattern of the retarder R patterned by the color filter F as shown in (1) (light represented by dotted lines and Regarding the luminance of the mixed state in which light represented by a solid line) is simultaneously present in any pattern of the patterned retarder R, the retarder (patterned in the color filter F as shown in (2)) is shown. It can be represented by the ratio ((2) / (1)) of the luminance when light is emitted only to one pattern portion of R).

도 8의 하단 그래프는 비교예 1에 대해서 상기 방법에 따라 상하 시야각(°)에 대해서 혼광 정도(휘도의 비)를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The lower graph of FIG. 8 measures and shows the degree of mixed light (ratio of luminance)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viewing angles (°)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Comparative Example 1.

<< 실시예들과Examples and 비교예의Comparative example 혼광Confusion 정도 측정> Accuracy measurement>

실시예에 대한 계산은 광설계프로그램인 Lighttool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의 상하 시야각에 따른 혼광 정도를 상기 측정 방법에 따라 산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9에 나타내었다.The calculation for the embodiment was calculated using the light tool software, which is an optical design program, to calculate the degree of mixing according to the vertical viewing angles of Examples 1 to 8 and Comparative Example 1 according to the measuring metho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1 and 9 below. Indicated.

각도
(°)
Angle
(°)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4Example 4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6Example 6 실시예 7Example 7 실시예 8Example 8
8585 0.79010.7901 00 00 00 00 00 0.41310.4131 00 00 8080 0.69310.6931 00 00 00 00 0.08440.0844 0.18490.1849 00 00 7575 0.51810.5181 00 00 00 00 0.07820.0782 0.27210.2721 00 00 7070 0.58530.5853 00 00 00 00 0.02730.0273 0.24410.2441 00 00 6565 0.51050.5105 00 00 00 00 00 0.17050.1705 0.04470.0447 00 6060 0.48050.4805 0.06580.0658 0.0330.033 0.00240.0024 00 0.00460.0046 0.17130.1713 0.06850.0685 00 5555 0.41880.4188 0.09090.0909 0.04330.0433 0.00720.0072 0.0020.002 0.01630.0163 0.18570.1857 0.06380.0638 0.00950.0095 5050 0.39090.3909 0.07980.0798 0.04480.0448 0.00510.0051 00 0.01070.0107 0.13320.1332 0.08090.0809 0.0080.008 4545 0.34390.3439 0.03690.0369 0.02980.0298 0.00590.0059 0.00150.0015 0.01310.0131 0.12060.1206 0.0440.044 0.00380.0038 4040 0.28130.2813 0.0120.012 0.01650.0165 0.00770.0077 00 0.01930.0193 0.12180.1218 0.05070.0507 0.01030.0103 3535 0.24190.2419 0.02410.0241 0.00130.0013 0.00110.0011 00 0.00820.0082 0.07540.0754 0.08970.0897 0.0030.003 3030 0.18690.1869 0.04970.0497 0.01510.0151 00 00 00 0.0450.045 0.08940.0894 00 2525 0.14310.1431 0.05890.0589 0.02820.0282 0.00230.0023 00 0.00520.0052 0.02330.0233 0.09770.0977 0.0030.003 2020 0.09710.0971 0.06340.0634 0.02860.0286 0.00510.0051 00 0.01120.0112 0.01130.0113 0.07530.0753 0.01070.0107 1515 0.04740.0474 0.06130.0613 0.03260.0326 0.00710.0071 0.00090.0009 0.01560.0156 0.01560.0156 0.10090.1009 0.00790.0079 1010 0.00820.0082 0.03980.0398 0.02590.0259 0.00420.0042 0.00060.0006 0.00910.0091 0.00910.0091 0.09460.0946 0.01020.0102 55 00 0.01280.0128 0.01250.0125 0.00250.0025 0.00080.0008 0.00520.0052 0.00520.0052 0.04720.0472 0.00950.0095 00 00 0.00160.0016 0.00160.0016 0.00070.0007 00 0.00170.0017 0.0010.001 0.00930.0093 0.00530.0053 -5-5 00 0.01360.0136 0.01260.0126 0.00340.0034 00 0.00730.0073 0.00730.0073 0.04250.0425 0.00740.0074 -10-10 0.00670.0067 0.03760.0376 0.02350.0235 0.00370.0037 0.00070.0007 0.0080.008 0.0080.008 0.0830.083 0.00510.0051 -15-15 0.0490.049 0.06020.0602 0.03020.0302 0.00640.0064 00 0.01380.0138 0.01380.0138 0.09120.0912 0.00790.0079 -20-20 0.09510.0951 0.0630.063 0.0390.039 0.00730.0073 0.00110.0011 0.01560.0156 0.01570.0157 0.11230.1123 0.01050.0105 -25-25 0.14970.1497 0.05620.0562 0.02870.0287 0.00570.0057 00 0.01230.0123 0.02950.0295 0.08790.0879 0.00840.0084 -30-30 0.19130.1913 0.04350.0435 0.01310.0131 00 00 00 0.04580.0458 0.11540.1154 00 -35-35 0.23430.2343 0.02870.0287 0.00270.0027 0.00120.0012 00 0.00950.0095 0.07870.0787 0.08420.0842 00 -40-40 0.28580.2858 0.00930.0093 0.0140.014 0.00780.0078 0.00130.0013 0.02090.0209 0.10490.1049 0.04630.0463 0.00330.0033 -45-45 0.34910.3491 0.0450.045 0.03920.0392 0.00450.0045 00 0.00930.0093 0.11850.1185 0.05280.0528 0.0070.007 -50-50 0.38460.3846 0.07220.0722 0.0390.039 0.0080.008 0.00160.0016 0.01660.0166 0.16730.1673 0.08780.0878 0.00380.0038 -55-55 0.43140.4314 0.06690.0669 0.04330.0433 0.00780.0078 00 0.01670.0167 0.15620.1562 0.07560.0756 0.00450.0045 -60-60 0.45930.4593 0.0610.061 0.01860.0186 00 00 0.01470.0147 0.2040.204 0.06620.0662 00 -65-65 0.54710.5471 00 00 00 00 00 0.23940.2394 0.09720.0972 00 -70-70 0.50650.5065 00 00 00 00 0.04850.0485 0.22140.2214 00 00 -75-75 0.57850.5785 00 00 00 00 00 0.20970.2097 00 00 -80-80 0.69980.6998 00 00 00 00 00 0.09770.0977 00 00 -85-85 0.63330.6333 00 00 00 00 00 0.31520.3152 00 00

상기 표 1 및 도 9를 참고하면, 시야각이 ±20°이하인 범위에서는 실시예와 비교예의 혼광 정도가 0.1 이하로 그 정도가 미미하고 서로 비슷한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and FIG. 9, in the range where the viewing angle is ± 20 ° or less, the degree of confusion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s 0.1 or less, which is insignificant and similar to each other.

그러나, 상하 시야각이 ±25°이상의 범위에서는 비교예 1은 혼광 정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비교예 1의 경우에 상하 시야각이 매우 좁은 것을 의미한다.However, in the range where the vertical viewing angle is ± 25 ° or more, Comparative Example 1 can confirm that the degree of mixing is continuously increased. This means that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vertical viewing angle is very narrow.

반면, 실시예들의 경우에는 실시예 6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시야각에서 혼광 정도가 0.1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의 혼광 방지 성능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s except for Example 6, the degree of confusion in most of the viewing angle can be seen that less than 0.1, it can be seen that the excellent anti-confusion performance of the embodiments.

또한, 실시예들의 데이터를 살펴보면, 에어 갭의 폭이 작아질수록 혼광 방지 성능이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절단된 형태의 에어 갭을 갖는 실시예 1 내지 4가 홈부 형태의 에어 갭을 갖는 실시예 5 내지 8보다 우수한 혼광 방지 성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looking at the data of the embodiments, it can be seen that as the width of the air gap is smaller, the confusion prevention performance is increased, Examples 1 to 4 having the air gap of the cut form has an air gap of the groove por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it has the mixing prevention performance superior to Examples 5-8.

10: 기판 모듈
100: 투명 기판 110: 에어 갭(절단 형태) 120: 에어 갭(홈부)
200: 패턴화된 리타더 210: 제1 패턴 220: 제2 패턴
300: 편광 필름 400: 컬러필터 410: 픽셀
411, 412, 413: 서브 픽셀 420: 블랙매트릭스
10: Board Module
100: transparent substrate 110: air gap (cut form) 120: air gap (groove)
200: patterned retarder 210: first pattern 220: second pattern
300: polarizing film 400: color filter 410: pixels
411, 412, 413: Subpixel 420: Black Matrix

Claims (17)

광원으로부터 컬러필터, 투명 기판 및 패턴화된 리타더가 순서대로 배치되고, 상기 투명 기판은 패턴화된 리타더의 패턴과 패턴 사이의 경계에 대응되는 영역에 에어 갭(air gap)을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
The color filter,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patterned retarder are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light source,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has an air gap in an area corresponding to a boundary between the pattern of the patterned retarder and the pattern. Substrate module for display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 갭은 투명 기판이 절단된 영역인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
The substrate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air gap is a region where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cut.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 갭은 투명 기판의 일면에 홈부로 형성된 영역인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
The substrate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air gap is a region formed as a groove on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청구항 3에 있어서, 홈부의 단면은 사각형, 삼각형, 반타원형 및 단부가 삼각형이거나 반원형인 막대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
The substrate modul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cross section of the groove portio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rectangle, a triangle, a semi-ellipse, and a rod of which the end is triangular or semi-circular.
청구항 3에 있어서, 홈부는 투명 기판에 있어서 패턴화된 리타더가 배치된 방향의 면 또는 그 반대면에 형성된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
The substrate module of claim 3, wherein the groove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tterned retarder is disposed or a surface opposite thereto.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갭은 상기 투명 기판보다 굴절률이 작은 물질로 채워져 있는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
The substrate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air gap is filled with a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smaller than that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청구항 1에 있어서, 투명 기판의 두께는 100 내지 1,000 ㎛인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
The substrate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transparent substrate has a thickness of 100 to 1,000 μm.
청구항 1에 있어서, 컬러필터의 각 픽셀 사이의 블랙매트릭스 영역이 에어 갭 부분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
The substrate module of claim 1, wherein a black matrix region between each pixel of the color filter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an air gap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 갭의 폭은 컬러필터의 각 픽셀 사이의 블랙매트릭스의 폭 이하인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
The substrate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dth of the air gap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width of the black matrix between each pixel of the color filter.
청구항 1에 있어서, 투명 기판은 투명 유리 또는 투명 고분자로 형성되는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
The substrate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formed of transparent glass or transparent polymer.
청구항 1에 있어서, 패턴화된 리타더는 어느 한 패턴과 그에 인접하는 다른 패턴은 광축이 서로 다른 것인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
The substrate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patterned retarder has a different optical axis from one pattern and another pattern adjacent thereto.
청구항 1에 있어서, 패턴화된 리타더는 어느 한 패턴과 그에 인접하는 다른 패턴은 광축이 서로 수직인 것인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
The substrate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patterned retarder has one pattern and another pattern adjacent thereto with the optical axe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패턴화된 리타더의 표면에는 표면처리층을 더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
The substrate modul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urface treatment layer on a surface of the patterned retarder.
청구항 1에 있어서, 패턴화된 리타더의 광이 출사되는 면에는 광산란 수단을 더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
The substrate module for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light scattering means on a surface from which light of the patterned retarder is emitted.
청구항 1에 있어서, 투명 기판과 패턴화된 리타더 사이에는 편광필름이 개재되는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
The substrate module of claim 1, wherein a polarizing film is interposed betwee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patterned retarder.
청구항 15에 있어서, 편광필름은 편광자 단독 또는 편광자와 보호필름을 구비하는 것인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
The substrate module of claim 15, wherein the polarizing film comprises a polarizer alone or a polarizer and a protective film.
청구항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의 기판 모듈을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A video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ubstrate module of claim 1.
KR1020120048175A 2012-05-07 2012-05-07 Substrate modul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3012477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175A KR20130124779A (en) 2012-05-07 2012-05-07 Substrate modul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175A KR20130124779A (en) 2012-05-07 2012-05-07 Substrate modul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779A true KR20130124779A (en) 2013-11-15

Family

ID=4985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175A KR20130124779A (en) 2012-05-07 2012-05-07 Substrate modul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477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8685B2 (en) 2014-08-26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lor filter arra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image sensor including the same
US10317687B2 (en) 2014-12-16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path adjust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8685B2 (en) 2014-08-26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lor filter arra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image sensor including the same
US10317687B2 (en) 2014-12-16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path adjust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806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with lenticular lens pattern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KR102418069B1 (en) Image display mirror for a vehicle
US20140192285A1 (en) Illumination unit and display unit
JP5793746B2 (en) Micro retarder film
US20120287379A1 (en) Patterned polarization plat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system
KR101328109B1 (en) Optical film,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stereoscopic glasses and stereoscopic display having the same
KR101298874B1 (en) Polarizing Glasses
KR20080105971A (en) Stereoscopic display and phase different plate
JP2009139593A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phase difference plate
KR101822699B1 (en) Optical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WO2012046385A1 (en) Retardation plate an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retardation plate
KR10181375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WO2015076409A1 (en) Optical member and display device
KR20130124779A (en) Substrate modul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TW201508353A (en) Optical film, circularly polarizing film, 3D image display device
KR102311830B1 (en) Image display mirror for a vehicle
KR20090101630A (en) Polarizing film for 3 dimensional liquid crystal display
KR20120029859A (en) Display for stereoscopic image
KR102514151B1 (en)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6161174B2 (en) Display device
US2015026839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hase retarder film
KR102470716B1 (en) Image display mirror for a vehicle
KR20110107531A (en) Stereoscopic image system
JP5837680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US20220171212A1 (en) Optical laminate, method of manufacturing patterned optical anisotropic layer, 3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