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4553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553A
KR20130124553A KR1020137023350A KR20137023350A KR20130124553A KR 20130124553 A KR20130124553 A KR 20130124553A KR 1020137023350 A KR1020137023350 A KR 1020137023350A KR 20137023350 A KR20137023350 A KR 20137023350A KR 20130124553 A KR20130124553 A KR 20130124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cch
resource
base station
pucch format
uplink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7122B1 (ko
Inventor
김기태
천진영
김수남
강지원
임빈철
박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24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7Scheduling of signalling, e.g. occurrenc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단말은 다중 노드 시스템 내의 복수의 단말들을 위한 제어 채널인 E-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기반으로 스케줄링 된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에 의하여 할당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자원을 통해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차세대 멀티미디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정보를 처리하여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3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이어 개발되고 있는 4세대 무선 통신은 하향링크 1Gbps(Gigabits per second) 및 상향링크 500Mbps(Megabits per second)의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목적은 다수의 사용자가 위치와 이동성에 관계없이 신뢰할 수 있는(reliable)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무선 채널(wireless channel)은 경로 손실(path loss), 잡음(noise), 다중 경로(multipath)에 의한 페이딩(fading) 현상, 심벌 간 간섭(ISI; inter-symbol interference) 또는 단말의 이동성으로 인한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 등의 비이상적인 특성이 있다. 무선 채널의 비이상적 특성을 극복하고, 무선 통신의 신뢰도(reliability)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M2M(machine-to-machine) 통신의 도입,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다양한 디바이스의 출현 및 보급으로 인하여 셀룰러(celluar) 망에 대한 데이터 요구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높은 데이터 요구량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더 많은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반송파 집합(CA; carrier aggregation) 기술, 인지 무선(CR; cognitive radio) 기술 등이 연구 중에 있다. 또한, 한정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데이터 용량을 높이기 위한 다중 안테나 기술, 다중 기지국 협력 기술 등이 연구되고 있다. 즉, 결국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주변에 접속할 수 있는 노드(node)의 밀도가 높아지는 방향으로 진화하게 될 것이다. 노드의 밀도가 높은 무선 통신 시스템은 노드 간의 협력에 의하여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즉, 각 노드가 서로 협력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각 노드가 독립적인 기지국(BS; base station), ABS(advanced BS), Node-B(NB), eNode-B(eNB), AP(access point) 등으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보다 훨씬 우수한 성능을 가진다. 이를 다중 노드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다중 노드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새로운 제어 채널이 구성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다중 노드 시스템을 위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자원 할당의 문제점의 해결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다중 노드 시스템을 위한 PUCCH 자원을 할당함에 있어서, PUCCH 포맷 1/1a/1b 및 2/2a/2b가 혼합되어 다중화되는 혼합 영역을 사용하거나 미리 지정된 영역을 사용하여 PUCCH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 있어서, 다중 노드(multi-node)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은 상기 다중 노드 시스템 내의 복수의 단말들을 위한 제어 채널인 E-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기반으로 스케줄링 된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에 의하여 할당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자원을 통해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PUCCH 자원은 PUCCH 포맷 1/1a/1b와 PUCCH 포맷 2/2a/2b가 다중화(multiplex) 되는 혼합 영역(mixed region)에 할당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영역은 각 슬롯(slot)에 하나의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은 상기 혼합 영역 내에서 상기 PUCCH 포맷 1/1a/1b에 사용되는 순환 쉬프트(cyclic shift)의 개수 또는 상기 PUCCH 포맷 2/2a/2b에 사용되는 순환 쉬프트의 개수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UCCH 포맷 1/1a/1b에 사용되는 순환 쉬프트의 개수 또는 상기 PUCCH 포맷 2/2a/2b에 사용되는 순환 쉬프트의 개수는 상위 계층(higher layer)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영역 내에서 상기 PUCCH 포맷 1/1a/1b를 위한 자원 인덱스 nPUCCH (1) 및 상기 PUCCH 포맷 2/2a/2b를 위한 자원 인덱스 nPUCCH (2)의 범위가 상기 기지국에 의하여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영역 내에서 상기 PUCCH 포맷 1/1a/1b를 위한 자원 인덱스 nPUCCH (1)은 수학식 nPUCCH (1)=(nCCE+NPUCCH (1)) mod (c·NCS , RRH (1))+NRB (2) 또는 nPUCCH (1)=(nCCE+NPUCCH (1)) mod [c·(Nsc RB-NCS , RRH (2))]+NRB (2)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 nCCE는 상기 E-PDCCH가 할당된 첫 번째 CCE(control channel element)의 인덱스이다. NPUCCH (1)=c·Nsc RBshift PUCCH이다. c는 노멀(normal) CP(cyclic prefix)인 경우 3, 확장 CP인 경우 2이다. Nsc RB는 하나의 자원 블록 내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개수인 12이다. Δshift PUCCH∈{1,2,3}이다. NCS , RRH (1)은 상기 PUCCH 포맷 1/1a/1b에 사용되는 순환 쉬프트의 개수이며, NCS,RRH (2)는 상기 PUCCH 포맷 2/2a/2b에 사용되는 순환 쉬프트의 개수이다. NRB (2)는 각 슬롯 내에서 PUCCH 포맷 2/2a/2b 전송을 위하여 사용되는 될 수 있는 대역폭을 자원 블록의 개수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혼합 영역 내에서 상기 PUCCH 포맷 2/2a/2b를 위한 자원 인덱스 nPUCCH (2)는 상기 기지국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PUCCH 자원은 상기 기지국에 의하여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지정된 PUCCH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자원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UCCH 자원 내에서 PUCCH 포맷 1/1a/1b를 위한 자원 인덱스 nPUCCH (1) 및 PUCCH 포맷 2/2a/2b를 위한 자원 인덱스 nPUCCH (2)의 범위가 상기 기지국에 의하여 미리 지정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다중 노드(multi-node) 시스템에서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단말은 무선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부, 및 상기 RF부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중 노드 시스템 내의 복수의 단말들을 위한 제어 채널인 E-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기반으로 스케줄링 된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에 의하여 할당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자원을 통해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안된 PUCCH를 이용하여 다중 노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도 2는 3GPP LTE에서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각 단말에 할당된 PDCCH 및 각 PDDCH가 할당된 첫 번째 CCE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도 7은 PUCCH 포맷이 물리 자원에 맵핑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논리적(logical) PUCCH 자원 인덱스와 물리적(physical) 자원 블록 인덱스 m과의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다중 노드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기존의 PDCCH 탐색 공간의 뒤에 E-PDCCH의 탐색 공간이 추가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1은 단말에 대한 PUCCH 자원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단말에 대한 PUCCH 자원 할당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제안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IEEE 802.16m은 IEEE 802.16e의 진화로, IEEE 802.16e에 기반한 시스템과의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제공한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LTE-A를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일반적으로 셀이라고 함)(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단말(12; user equipment, UE)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단말(12)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단말은 통상적으로 하나의 셀에 속하는데, 단말이 속한 셀을 서빙 셀(serving cell)이라 한다. 서빙 셀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서빙 기지국(serving BS)이라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셀룰러 시스템(cellular system)이므로, 서빙 셀에 인접하는 다른 셀이 존재한다. 서빙 셀에 인접하는 다른 셀을 인접 셀(neighbor cell)이라 한다. 인접 셀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인접 기지국(neighbor BS)이라 한다. 서빙 셀 및 인접 셀은 단말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결정된다.
이 기술은 하향링크(downlink) 또는 상향링크(uplink)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향링크는 기지국(11)에서 단말(12)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는 단말(12)에서 기지국(11)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시스템, MISO(multiple-input single-output) 시스템, SISO(single-input single-output) 시스템 및 SIMO(single-input multiple-output)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MIMO 시스템은 다수의 전송 안테나(transmit antenna)와 다수의 수신 안테나(receive antenna)를 사용한다. MISO 시스템은 다수의 전송 안테나와 하나의 수신 안테나를 사용한다. SISO 시스템은 하나의 전송 안테나와 하나의 수신 안테나를 사용한다. SIMO 시스템은 하나의 전송 안테나와 다수의 수신 안테나를 사용한다. 이하에서, 전송 안테나는 하나의 신호 또는 스트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 안테나를 의미하고, 수신 안테나는 하나의 신호 또는 스트림을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 안테나를 의미한다.
도 2는 3GPP LTE에서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S 36.211 V8.2.0 (2008-03)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8)"의 5절을 참조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무선 프레임 내 슬롯은 #0부터 #19까지 슬롯 번호가 매겨진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라 한다. TTI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단위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무선 프레임의 길이는 10ms이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ultiplexing) 심벌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OFDM 심벌은 3GPP LTE가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므로 하나의 심벌 구간(symbol period)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다중 접속 방식에 따라 다른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다중 접속 방식으로 SC-FDMA가 사용될 경우 SC-FDMA 심벌이라고 할 수 있다. 자원블록(RB; resource block)는 자원 할당 단위로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연속하는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개수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개수, 또는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3GPP LTE는 노멀(normal) 사이클릭 프리픽스(CP; cyclic prefix)에서 하나의 슬롯은 7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하고, 확장(extended) CP에서 하나의 슬롯은 6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크게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과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FDD 방식에 의하면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면서 이루어진다. TDD 방식에 의하면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같은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면서 서로 다른 시간에 이루어진다. TDD 방식의 채널 응답은 실질적으로 상호적(reciprocal)이다. 이는 주어진 주파수 영역에서 하향링크 채널 응답과 상향링크 채널 응답이 거의 동일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채널 응답은 상향링크 채널 응답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DD 방식은 전체 주파수 대역을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시분할되므로 기지국에 의한 하향링크 전송과 단말에 의한 상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수행될 수 없다.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구분되는 TDD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수행된다.
도 3은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의 일 예를 나타낸다.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벌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NRB개의 자원 블록을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 블록의 수 NRB은 셀에서 설정되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bandwidth)에 종속한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 NRB은 60 내지 11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하나의 자원 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상향링크 슬롯의 구조도 상기 하향링크 슬롯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 요소(element)를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라 한다. 자원 그리드 상의 자원 요소는 슬롯 내 인덱스 쌍(pair) (k,l)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여기서, k(k=0,...,NRB×12-1)는 주파수 영역 내 부반송파 인덱스이고, l(l=0,...,6)은 시간 영역 내 OFDM 심벌 인덱스이다.
여기서, 하나의 자원 블록은 시간 영역에서 7 OFDM 심벌, 주파수 영역에서 12 부반송파로 구성되는 7×12 자원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나, 자원 블록 내 OFDM 심벌의 수와 부반송파의 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OFDM 심벌의 수와 부반송파의 수는 CP의 길이, 주파수 간격(frequency spacing)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멀 CP의 경우 OFDM 심벌의 수는 7이고, 확장된 CP의 경우 OFDM 심벌의 수는 6이다. 하나의 OFDM 심벌에서 부반송파의 수는 128, 256, 512, 1024, 1536 및 2048 중 하나를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2개의 슬롯을 포함하고, 각 슬롯은 노멀 CP에서 7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 내의 첫 번째 슬롯의 앞선 최대 3 OFDM 심벌들(1.4Mhz 대역폭에 대해서는 최대 4 OFDM 심벌들)이 제어 채널들이 할당되는 제어 영역(control region)이고, 나머지 OFDM 심벌들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이 된다.
PDCCH는 DL-SCH(downlink-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및 전송 포맷, UL-SCH(up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정보, PCH 상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으로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과 같은 상위 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임의의 UE 그룹 내 개별 UE들에 대한 전송 파워 제어 명령의 집합 및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활성화 등을 나를 수 있다. 복수의 PDCCH가 제어 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으며, 단말은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또는 몇몇 연속적인 CCE(control channel elements)의 집합(aggregation) 상으로 전송된다. CCE는 무선채널의 상태에 따른 부호화율을 PDCCH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적 할당 단위이다. CCE는 복수의 자원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에 대응된다. CCE의 수와 CCE들에 의해 제공되는 부호화율의 연관 관계에 따라 PDCCH의 포맷 및 가능한 PDCCH의 비트수가 결정된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보내려는 DCI에 따라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 정보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붙인다. CRC에는 PDCCH의 소유자(owner)나 용도에 따라 고유한 식별자(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가 마스킹된다. 특정 단말을 위한 PDCCH라면 단말의 고유 식별자, 예를 들어 C-RNTI(cell-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또는, 페이징 메시지를 위한 PDCCH라면 페이징 지시 식별자, 예를 들어 P-RNTI(paging-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을 위한 PDCCH라면 시스템 정보 식별자, SI-RNTI(system information-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단말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전송에 대한 응답인 랜덤 액세스 응답을 지시하기 위해 RA-RNTI(random access-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도 5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제어 영역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전송되기 위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 할당된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데이터가 전송되기 위한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이 할당된다. 상위 계층에서 지시되는 경우, 단말은 PUSCH와 PUCCH의 동시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PUSCH는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인 UL-SCH에 맵핑된다. PUSCH 상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데이터는 TTI 동안 전송되는 UL-SCH를 위한 데이터 블록인 전송 블록(transport block)일 수 있다. 상기 전송 블록은 사용자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는 다중화된(multiplexed) 데이터일 수 있다. 다중화된 데이터는 UL-SCH를 위한 전송 블록과 제어정보가 다중화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에 다중화되는 제어정보에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RI(rank indicator) 등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는 제어정보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PUCCH 상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에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acknowledgement)/NACK(non-acknowledgement),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할당 요청인 SR(scheduling request) 등이 있다. PUCCH는 다양한 포맷을 지원하며, 각 포맷에 따라 전송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PUCCH 포맷 1a/1b는 ACK/NACK을 나른다. PUCCH 포맷 2/2a/2b는 CQI 또는 CQI 및 ACK/NACK을 나른다. PUCCH 포맷 3는 복수의 ACK/NACK들을 나른다. 표 1은 PUCCH 포맷에 따른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각 서브프레임 당 비트 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에서 BPSK는 binary phase shift keying 방식의 변조, QPSK는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방식의 변조를 나타낸다.
PUCCH를 위한 물리 자원은 상위 계층(higher layer)에 의해서 주어지는 NRB (2)와 Ncs (1)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NRB (2)(≥0)는 각 슬롯 내에서 PUCCH 포맷 2/2a/2b 전송을 위하여 사용되는 될 수 있는 대역폭을 자원 블록의 개수로 나타낸 것이다. Ncs (1)은 PUCCH 포맷 1/1a/1b와 PUCCH 포맷 2/2a/2b가 혼합되는(mixed) 자원 블록 내에서 PUCCH 포맷 1/1a/b를 위하여 사용되는 순환 쉬프트(cyclic shift)의 개수를 나타낸다. Ncs (1)은 상위 계층에 의해 주어지는 Δshift PUCCH의 정수 배이다. Ncs (1)=0인 경우 PUCCH 포맷 1/1a/1b와 PUCCH 포맷 2/2a/2b가 혼합되는 자원 블록은 없다. PUCCH 포맷 1/1a/1b 및 PUCCH 포맷 2/2a/2b의 전송을 위한 자원은 PUCCH 자원 인덱스 nPUCCH (1) 및 nPUCCH (2)에 의해서 각각 지시될 수 있다.
nPUCCH (1)은 반영구적 스케줄링 된(SPS; semi-persistent scheduled) 단말에 대해서 또는 PUCCH 포맷 1을 통해 SR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이외의 경우 nPUCCH (1)=nCCE+NPUCCH (1)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nCCE는 PDCCH가 할당된 첫 번째 CCE의 인덱스이며, NPUCCH (1)=c·Nsc RBshift PUCCH로 결정된다. c는 노멀 CP인 경우 3, 확장 CP인 경우 2이며, Nsc RB는 하나의 자원 블록 내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개수인 12이다. Δshift PUCCH∈{1,2,3}일 수 있다. nPUCCH (2)는 단말 특정(UE-specific) 파라미터이며, 상위 계층(higher layer)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각 단말에 할당된 PDCCH 및 각 PDDCH가 할당된 첫 번째 CCE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PDCCH의 탐색 공간(search space)에 각 단말에 할당된 PDCCH 및 각 단말의 PDCCH가 할당된 첫 번째 CCE의 인덱스가 나타나 있다. 이를 기반으로 nPUCCH (1)이 결정될 수 있다.
nPUCCH (2)는 CQI 보고 구성(reporting configuration)을 특정하는 CQI-ReportConfig IEs(information elements)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nPUCCH (1)과 nPUCCH (2)에 의해서 직교 시퀀스 인덱스 및/또는 순환 쉬프트가 결정된다.
도 7은 PUCCH 포맷이 물리 자원에 맵핑되는 예를 나타낸다.
각 PUCCH 포맷이 물리 자원에 맵핑될 때, 단말 별로 nPUCCH (1), nPUCCH (2)에 따라 물리 영역에 할당되는 자원 블록 인덱스 m이 계산된다. 즉, m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PUCCH에 할당된 자원 블록의 논리적인 주파수 영역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인덱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PUCCH에 할당되는 자원 블록 중 주파수 영역에서 가장자리(m=0, 1)에 PUCCH 포맷 2/2a/2b가 할당된다. PUCCH 포맷 1/1a/1b와 PUCCH 포맷 2/2a/2b의 혼합을 지원하는 자원 블록(m=2)은 각 슬롯 내에서 최대 하나일 수 있다. PUCCH 포맷 1/1a/1b는 PUCCH 할당되는 자원 블록 중 안쪽(m=3, 4, 5)에 맵핑된다.
또한, 하나의 단말에 대한 PUCCH는 서브프레임에서 자원 블록 쌍(RB pair)으로 할당될 수 있다. 자원 블록 쌍에 속하는 자원 블록들은 제1 슬롯과 제2 슬롯 각각에서 서로 다른 부반송파를 차지할 수 있다. 즉, PUCCH에 할당되는 자원 블록 쌍에 속하는 자원 블록이 차지하는 주파수는 슬롯 경계(slot boundary)를 기준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를 PUCCH에 할당되는 RB 쌍이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가 홉핑(frequency-hopped)되었다고 한다. 단말이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부반송파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도 8은 논리적(logical) PUCCH 자원 인덱스와 물리적(physical) 자원 블록 인덱스 m과의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에서 Δshift PUCCH=1을 가정하며, 따라서 가용한 순환 쉬프트의 개수는 12개가 된다. 또한, 노멀 CP에서 NPUCCH (1)=c·Nsc RBshift PUCCH=36이며, NRB (2)=2·Nsc RB=24이다. 또한, Ncs (1)=7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자 주변에 접속할 수 있는 노드(node)의 밀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기술이 진화하고 있다. 노드의 밀도가 높은 무선 통신 시스템은 노드 간의 협력에 의하여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다중 노드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다중 노드 시스템(20)은 하나의 기지국(21)과 복수의 노드(25-1, 25-2, 25-3, 25-4, 25-5)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노드(25-1, 25-2, 25-3, 25-4, 25-5)들은 하나의 기지국(21)에 의해서 관리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노드(25-1, 25-2, 25-3, 25-4, 25-5)들은 하나의 셀의 일부처럼 동작을 한다. 이때 각 노드(25-1, 25-2, 25-3, 25-4, 25-5)는 별도의 노드 ID(identifier)를 할당 받을 수 있고 또는 별도의 노드 ID 없이 셀 내의 일부 안테나 집단처럼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9의 다중 노드 시스템(20)은 하나의 셀을 형성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 distributed antenna system)으로 볼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노드(25-1, 25-2, 25-3, 25-4, 25-5)들은 개별적인 셀 ID를 가지고 단말의 스케줄링 및 핸드오버(HO; handover)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9의 다중 노드 시스템(20)은 다중 셀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기지국(21)은 매크로 셀(macro cell)일 수 있으며, 각 노드는 매크로 셀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보다 작은 셀 커버리지를 가지는 펨토 셀(femto cell) 또는 피코 셀(pico cell)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셀이 커버리지에 따라 오버레이(overlay)되어 구성되는 경우, 복수 계층 네트워크(multi-tier network)라 할 수 있다.
도 9에서 각 노드(25-1, 25-2, 25-3, 25-4, 25-5)는 기지국, Node-B, eNode-B, 피코 셀 eNb(PeNB), 홈 eNB(HeNB), 원격 무선 장비(RRH; remote radio head), 중계국(RS; relay station 또는 repeater), 분산 안테나(distributed antenna)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하나의 노드에는 최소 하나의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노드는 포인트(point)로 불릴 수 있다.
이하의 명세서에서 노드는 DAS에서 일정 간격 이상으로 떨어진 안테나 그룹을 의미한다. 즉, 이하의 명세서에서 각 노드는 물리적으로 RRH를 의미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노드는 물리적 간격에 상관 없이 임의의 안테나 그룹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교차 편광된 안테나(cross polarized antenna)들로 구성된 기지국을 수평 편광된 안테나(horizontal polarized antenna)들로 구성된 노드와 수직 편광된 안테나(vertical polarized antenna)들로 구성된 노드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고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다중 노드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새롭게 제어 채널이 구성될 수 있다. 하향링크에 있어서, 다중 노드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PDCCH의 도입이 고려 중에 있다. 새로운 PDCCH은 R-PDCCH, E-PDCCH 또는 RRH-PDCCH 등으로 불릴 수 있으며, 이의 구성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다중 노드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PUCCH에 대해서는 아직 제안된 바가 없다. 다중 노드 시스템을 위한 PDCCH인 E-PDCCH가 도입되는 경우, 기존의 방법에 의하여 PUCCH 자원을 할당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PUCCH 포맷 1/1a/1b 자원 인덱스 nPUCCH (1)는 할당된 PDCCH 영역의 첫 번째 CCE 인덱스를 기반으로 결정되는데, E-PDCCH는 기존의 PDCCH와 CCE를 공유할 수 없으므로 E-PDCCH가 할당된 첫 번째 CCE 인덱스를 기반으로 PUCCH 포맷 1/1a/1b 자원 인덱스 nPUCCH (1)이 결정될 수 없다. 즉, 기존의 PDCCH를 기반으로 결정된 PUCCH 포맷 1/1a/1b 자원 인덱스와 E-PDCCH를 기반으로 결정된 PUCCH 포맷 1/1a/1b 자원 인덱스가 충돌할 수 있다. 또한, PUCCH 포맷 2/2a/2b 자원 인덱스 NPUCCH (2) 및 PUCCH 포맷 2/2a/2b가 할당되는 자원 블록의 개수 nRB (2)는 상위 계층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새롭게 도입된 E-PDCCH를 위하여 NRB (2)를 증가시키면 기존의 LTE Rel-8 내지 Rel-10 단말의 지원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E-PDCCH의 탐색 공간을 기존 PDCCH의 탐색 공간의 마지막에 추가하여, E-PDCCH가 할당된 첫 번째 CCE 인덱스를 기반으로 nPUCCH (1)을 계산할 수 있다. 즉, E-PDCCH를 읽을 수 있는 단말은 기존의 PDCCH 탐색 공간 이후에 E-PDCCH의 CCE 인덱스를 더하여 최종적인 PUCCH 자원 인덱스 nPUCCH (1)을 얻을 수 있다. nPUCCH (1)은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02
도 10은 기존의 PDCCH 탐색 공간의 뒤에 E-PDCCH의 탐색 공간이 추가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존의 Rel-8 내지 Rel-10 단말의 PDCCH는 기존의 PDCCH 탐색 공간에 할당되고, E-PDCCH는 기존의 PDCCH 탐색 공간 뒤에 연결된(concatenated) E-PDCCH 탐색 공간에 할당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PDCCH 탐색 공간과 E-PDCCH의 탐색 공간이 겹치지 않게 함으로써, 기존의 PUCCH 자원 할당 방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E-PDCCH는 Rel-11 단말만이 검출하여 디코딩할 수 있고 추가적인 동작 역시 Rel-11 단말에게만 적용되므로, 기존 단말에게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 즉,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만족한다. 그리고 수학식 NCCE 역시 기지국과 단말이 모두 알 수 있는 값이므로, 추가적인 시그널링 또한 필요하지 않다.
이하,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중 노드 시스템에서 E-PDCCH를 기반으로 PUCCH 자원을 할당함에 있어서, PUCCH 포맷 1/1a/1b와 PUCCH 포맷 2/2a/2b가 동시에 다중화 되는 혼합 영역을 사용하거나, 또는 미리 지정된 영역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먼저, Rel-11 단말을 위한 PUCCH 자원으로 PUCCH 1/1a/1b와 PUCCH 포맷 2/2a/2b가 동시에 다중화 되는 혼합 영역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기존의 PUCCH 자원 중 PUCCH 1/1a/1b와 PUCCH 포맷 2/2a/2b를 동시에 지원하는 영역이 존재한다. 이는 도 7에서 m=2인 자원 블록에 해당할 수 있다. 혼합 영역은 NPUCCH (1)에 의하여 지시될 수 있으며, NPUCCH (1)=0인 경우 혼합 영역은 사용되지 않는다. 이때 혼합 영역을 Rel-11 단말을 위한 PUCCH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NPUCCH (1)=0으로 설정됨에 따라 기존의 단말들은 혼합 영역을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혼합 영역을 사용하지 않는다. 동시에 기지국은 기존의 단말들에게 해당 혼합 영역에 PUCCH 포맷 2/2a/2b 자원을 할당하지 않는다. PUCCH 포맷 2/2a/2b 자원은 기지국이 결정하고 RRC 시그널링에 의해서 단말에 알려지므로, 기지국의 동작만으로 기존의 단말들에 대하여 PUCCH 포맷 2/2a/2b 자원을 할당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NPUCCH (2)<NRB (2) 범위 안에서 기존 단말들에게 PUCCH 포맷 2/2a/2b 자원을 할당한다. 예를 들어 NRB (2)=24이면 인덱스가 NRB (2)/NSC RB=24/12=2인 자원 블록이 Rel-11 단말을 위하여 PUCCH 자원으로 사용되며, 나머지 인덱스가 0 및 1인 자원 블록이 기존 단말들에 대한 PUCCH 포맷 2/2a/2b 자원으로 사용된다.
기지국은 E-PDCCH를 통해 하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한 단말에 대하여 혼합 영역을 PUCCH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PUCCH 자원 인덱스를 할당하거나 이를 시그널링 할 수 있다. 단말들은 혼합 영역을 이용하여 PUCCH 포맷 1/1a/1b와 PUCCH 포맷 2/2a/2b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하나의 자원 블록에 12개의 순환 쉬프트를 통해 12개의 단말들의 PUCCH가 주파수 축으로 다중화 된다. 또한, PUCCH 포맷 1/1a/1b는 하나의 순환 쉬프트에 대해서 스프레딩 코드(spreading code)를 통해 시간 축으로 한번 더 다중화 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순환 쉬프트에 대해서 시간 축으로 다중화 되는 단말들의 개수는 노멀 CP의 경우 3개, 확장 CP의 경우 2개이다. 이에 따라 혼합 영역 내에서 PUCCH 포맷 1/1a/1b을 전송하는 단말들과 PUCCH 포맷 2/2a/2b을 전송하는 단말들에 각각 할당되는 순환 쉬프트의 개수가 결정될 필요가 있다. NCS , RRH (1)은 하나의 자원 블록 내에 PUCCH 포맷 1/1a/1b에 사용되는 순환 쉬프트의 개수이고, NCS , RRH (2)는 하나의 자원 블록 내에 PUCCH 포맷 1/1a/1b에 사용되는 순환 쉬프트의 개수이다. 상기 NCS , RRH (1) 및/또는 NCS , RRH (2)를 기반으로 하여 혼합 영역 내에서 nPUCCH (1)과 nPUCCH (2)의 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NCS,RRH (1) 및/또는 NCS , RRH (1)는 RRC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UCCH 포맷 1/1a/1b를 전송하는 단말들에 할당되는 PUCCH 포맷 1/1a/1b 자원 인덱스 nPUCCH (1)의 범위는 수학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Figure pct00003
PUCCH 포맷 2/2a/2b를 전송하는 단말들에 할당되는 PUCCH 포맷 2/2a/2b 자원 인덱스 nPUCCH (2)의 범위는 수학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Figure pct00004
수학식 3을 참조하면, 결국 nPUCCH (2)는 하나의 자원 블록 내에서 사용되는 순환 쉬프트의 개수가 된다.
E-PDCCH를 통해 하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한 단말은 자신이 E-PDCCH를 통해 스케줄링 된 것을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단말은 E-PDCCH에 의하여 스케줄링 된 PDSCH에 대한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할 때에도 상기 혼합 영역을 PUCCH 자원으로 이용하여 전송해야 함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Rel-11 단말들 중 PUCCH 포맷 2/2a/2b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들은 기지국의 RRC 시그널링에 의하여 nPUCCH (2)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혼합 영역을 PUCCH 자원으로 할당 받는다. 즉, 기존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PUCCH 포맷 2/2a/2b 자원을 할당 받을 수 있다. 그러나 PUCCH 포맷 1/1a/1b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들은 해당 PDCCH의 첫 번째 CCE 인덱스를 기반으로 PUCCH 포맷 1/1a/1b 자원 인덱스를 할당 받는다. 이에 따라 기존의 PDCCH를 기반으로 할당되는 PUCCH 포맷 1/1a/1b 자원 인덱스와 E-PDCCH를 기반으로 할당되는 PUCCH 포맷 1/1a/1b 자원 인덱스가 충돌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PUCCH 포맷 1/1a/1b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Rel-11 단말은 수학식 4에 의하여 결정된 nPUCCH (1)을 기반으로 PUCCH 포맷 1/1a/1b 자원을 할당 받을 수 있다.
Figure pct00005
수학식 4를 통해서 nPUCCH (1)이 수학식 2의 범위를 만족함을 알 수 있다.
도 11은 단말에 대한 PUCCH 자원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NRB (2)=24이고 NCS , RRH (2)=2인 경우의 PUCCH 자원 할당을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Rel-11 단말을 위한 PUCCH 자원이 할당된 영역은 혼합 영역인 m=2인 자원 블록이다. PUCCH 포맷 2/2a/2b를 전송하는 단말은 총 2개이며(순환 쉬프트 9, 10), PUCCH 포맷 1/1a/1b를 전송하는 단말은 총 24개(8 순환 쉬프트 x 3 스프레딩 인자)이다.
또는, 기지국이 PUCCH 자원으로 사용되는 영역을 미리 설정하고, 해당 영역 안에서 PUCCH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해당 영역은 특정 자원 블록이 될 수 있으며, PUCCH 포맷 1/1a/1b 자원 인덱스 nPUCCH (1) 및 PUCCH 포맷 2/2a/2b 자원 인덱스 nPUCCH (2)의 범위도 미리 지정될 수 있다.
도 12는 단말에 대한 PUCCH 자원 할당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2을 참조하면, m=1, 4인 자원 블록이 Rel-11 단말을 위한 PUCCH 자원이 할당되는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해당 자원 블록 내에서 PUCCH 포맷 1/1a/1b를 전송하는 단말 및 PUCCH 포맷 2/2a/2b를 전송하는 단말의 다중화를 위하여 사용되는 순환 쉬프트 및 스프레딩 코드의 적용을 위하여 기존의 PUCCH 자원 인덱스 할당 방법이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PUCCH 자원이 할당되는 자원 블록은 기존의 LTE rel-8 내지 rel-10 단말들과 공유되지 않는다.
도 13은 제안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단계 S200에서 단말은 다중 노드 시스템 내의 복수의 단말들을 위한 제어 채널인 E-PDCCH를 기반으로 스케줄링 된 PDSCH를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단계 S210에서 단말은 상기 기지국에 의하여 할당된 PUCCH 자원을 통해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상기 PUCCH 자원으로 PUCCH 1/1a/1b와 PUCCH 포맷 2/2a/2b가 동시에 다중화 되는 혼합 영역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기지국이 상기 PUCCH 자원으로 사용되는 영역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기지국(800)은 프로세서(810; processor), 메모리(820; memory) 및 RF부(830; Radio Frequency unit)을 포함한다. 프로세서(810)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8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820)는 프로세서(8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8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830)는 프로세서(8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단말(900)은 프로세서(910), 메모리(920) 및 RF부(930)을 포함한다. 프로세서(910)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9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920)는 프로세서(9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9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930)는 프로세서(9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810, 910)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20, 920)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830, 930)은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820, 92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810, 9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820, 920)는 프로세서(810, 91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810, 9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다중 노드(multi-node)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중 노드 시스템 내의 복수의 단말들을 위한 제어 채널인 E-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기반으로 스케줄링 된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에 의하여 할당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자원을 통해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UCCH 자원은 PUCCH 포맷 1/1a/1b와 PUCCH 포맷 2/2a/2b가 다중화(multiplex) 되는 혼합 영역(mixed region)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영역은 각 슬롯(slot)에 하나의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영역 내에서 상기 PUCCH 포맷 1/1a/1b에 사용되는 순환 쉬프트(cyclic shift)의 개수 또는 상기 PUCCH 포맷 2/2a/2b에 사용되는 순환 쉬프트의 개수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PUCCH 포맷 1/1a/1b에 사용되는 순환 쉬프트의 개수 또는 상기 PUCCH 포맷 2/2a/2b에 사용되는 순환 쉬프트의 개수는 상위 계층(higher layer)를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영역 내에서 상기 PUCCH 포맷 1/1a/1b를 위한 자원 인덱스 nPUCCH (1) 및 상기 PUCCH 포맷 2/2a/2b를 위한 자원 인덱스 nPUCCH (2)의 범위가 상기 기지국에 의하여 미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영역 내에서 상기 PUCCH 포맷 1/1a/1b를 위한 자원 인덱스 nPUCCH (1) 은 아래의 수학식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nPUCCH (1)=(nCCE+NPUCCH (1)) mod (c·NCS , RRH (1))+NRB (2) 또는
    nPUCCH (1)=(nCCE+NPUCCH (1)) mod [c· (Nsc RB-NCS , RRH (2))]+NRB (2)
    단, nCCE는 상기 E-PDCCH가 할당된 첫 번째 CCE(control channel element)의 인덱스이다. NPUCCH (1)=c·Nsc RBshift PUCCH이다. c는 노멀(normal) CP(cyclic prefix)인 경우 3, 확장 CP인 경우 2이다. Nsc RB는 하나의 자원 블록 내에 포함되는 부반송파의 개수인 12이다. Δshift PUCCH∈{1,2,3}이다. NCS , RRH (1)은 상기 PUCCH 포맷 1/1a/1b에 사용되는 순환 쉬프트의 개수이며, NCS , RRH (2)는 상기 PUCCH 포맷 2/2a/2b에 사용되는 순환 쉬프트의 개수이다. NRB (2)는 각 슬롯 내에서 PUCCH 포맷 2/2a/2b 전송을 위하여 사용되는 될 수 있는 대역폭을 자원 블록의 개수로 나타낸 것이다.
  8. 상기 혼합 영역 내에서 상기 PUCCH 포맷 2/2a/2b를 위한 자원 인덱스 nPUCCH (2) 는 상기 기지국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UCCH 자원은 상기 기지국에 의하여 미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된 PUCCH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자원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PUCCH 자원 내에서 PUCCH 포맷 1/1a/1b를 위한 자원 인덱스 nPUCCH (1) 및 PUCCH 포맷 2/2a/2b를 위한 자원 인덱스 nPUCCH (2)의 범위가 상기 기지국에 의하여 미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12. 다중 노드(multi-node)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부; 및
    상기 RF부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중 노드 시스템 내의 복수의 단말들을 위한 제어 채널인 E-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기반으로 스케줄링 된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에 의하여 할당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자원을 통해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PUCCH 자원은 PUCCH 포맷 1/1a/1b와 PUCCH 포맷 2/2a/2b가 다중화(multiplex) 되는 혼합 영역(mixed region)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PUCCH 자원은 상기 기지국에 의하여 미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37023350A 2011-04-28 2011-11-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4871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80362P 2011-04-28 2011-04-28
US61/480,362 2011-04-28
PCT/KR2011/009061 WO2012148060A1 (ko) 2011-04-28 2011-11-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553A true KR20130124553A (ko) 2013-11-14
KR101487122B1 KR101487122B1 (ko) 2015-01-28

Family

ID=47072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350A KR101487122B1 (ko) 2011-04-28 2011-11-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87122B1 (ko)
WO (1) WO20121480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13468A (zh) * 2012-11-09 2014-05-2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传输下行数据的方法和设备
CN103327639B (zh) * 2013-06-20 2015-11-11 吉林大学 Lte系统中利用pucch传输m2m业务的方法
CN105580484A (zh) 2014-09-04 2016-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用户侧设备及网络侧设备
EP3429251A4 (en) * 2016-04-01 2019-03-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ISPLAYING RESOURCES FOR ASSIGNMENT
CN108834106B (zh) * 2017-05-05 2023-05-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资源分配方法、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327B1 (ko) * 2005-05-06 201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채널 스케쥴링을 위한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상향링크 채널 스케쥴링 방법
KR101416212B1 (ko) 2007-02-15 2014-07-08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기지국장치, 이동국, 무선통신시스템 및 통신제어방법
KR101597573B1 (ko) 2008-08-11 2016-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정보의 상향링크 전송 방법
KR20100073992A (ko) * 2008-12-23 2010-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환경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122B1 (ko) 2015-01-28
WO2012148060A1 (ko)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37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1417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151418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화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54705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 할당 방법 및 장치
US9716576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7751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 포트를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2572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155480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152572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148712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전송 방법 및 장치
US94074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t mapping for down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