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4434A - 셀룰러 네트워크들을 위한 간섭 억제 - Google Patents

셀룰러 네트워크들을 위한 간섭 억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434A
KR20130124434A KR1020130050742A KR20130050742A KR20130124434A KR 20130124434 A KR20130124434 A KR 20130124434A KR 1020130050742 A KR1020130050742 A KR 1020130050742A KR 20130050742 A KR20130050742 A KR 20130050742A KR 20130124434 A KR20130124434 A KR 20130124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ransmission parameters
time
interfering base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드조르뒈 투즈코빅
로우아이 잘로울
아민 모바셔
Original Assignee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124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4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5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 H04J11/005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using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유저 단말(UE)가 간섭 억제에 유리하거나 또는 알려진 네트워크 조건들이 제공되는 동안에 간섭 억제 프로세싱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레임워크(framework). 상기 프레임워크는 간섭 억제(IS) 시간 및 주파수(시간/주파수) 존(zone)를 포함하고, 그것은 서빙 기지국 에 의해 스케줄 될 수 있고 UE로 시그널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은 IS 타임/주파수 존 동안에 UE에서의 간섭 억제에 유리한 네트워크 조건을 구축하기 위해서 간섭 기지국(들)과 협동(coordinate)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은 UE을 위한 IS 타임/주파수 존을 기회주의적(opportunistically)으로, 그것이 간섭 기지국(들)에 의해서 사용되거나 사용을 위해 스케줄되는 유리한 송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때마다 스케줄한다. UE가 IS 타임/주파수 존 내에 간섭 억제 프로세싱을 적용하고, 그럼으로써 수신기 효율(receiver performance)을 개선시킨다. 타임/주파수 존 밖에서는, UE는 수신기 효율을 저하시키기 않기 위해서 간섭 억제 프로세싱을 불활성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셀룰러 네트워크들을 위한 간섭 억제{INTERFERENCE SUPPRESSION FOR CELLULAR NETWORKS}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발명은 2012년 5월 4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번호 61/642,962의 우선권 이득을 주장하고, 그것은 전체로서 참조로 본원에 통합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셀룰러 네트워크들에서의 간섭 억제(interference suppression)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들(cellular network)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들(wireless network)은 트래픽 수요에 있어서 상당한 증가를 경험하고 있다. 이것이 적절한 유저 경험(user experience)을 위해 간섭 관리를 상당히 중요하게 만든다.
본 발명은 셀룰러 네트워크들에서의 간섭 억제(interference suppression)에 관한 것으로, 간섭 기지국(들)의 다운링크 스루풋 저하없이 UE들이 간섭을 감소시키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간섭 기지국(들)로부터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라, 간섭 기지국(interfering base station)으로부터의 간섭을 억제하기 위해서 서빙 기지국(serving base station)에 의해 서브되는(served) 유저 단말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스케줄된 타임 및 주파수(타임/주파수) 존 내에 상기 간섭 기지국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time/frequency zone)을 상기 유저 단말로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섭 기지국의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 내에 상기 간섭 기지국의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 내에 상기 간섭 기지국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상기 결정된 송신 파라미터들로 설정하기 위해서 상기 간섭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 내에서 상기 유저 단말에서의 간섭 억제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 내에 상기 서빙 기지국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섭 기지국의 셋 송신 파라미터(set transmission parameter)들 및 상기 서빙 기지국의 상기 선택된 송신 파라미터들은 유저 단말에서의 간섭 억제에 유리한 송신 파라미터들의 알려진 조합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간섭 기지국의 표시, 상기 간섭 기지국의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 상기 서빙 기지국의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 및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의 선호되는 타임/주파수 존의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섭 기지국의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 내에 상기 간섭 기지국 및 상기 서빙 기지국의 각각의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들을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섭 기지국의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 단말이 상기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 내에서 상기 간섭 기지국으로부터의 상기 간섭을 디코딩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 내의 상기 간섭 기지국의 송신 전력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섭 기지국의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주파수 존의 미리 정의된 유형들의 셋(set)으로부터 상기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의 유형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간섭 기지국의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은 상기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의 상기 선택된 유형과 관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을 상기 유저 단말에 시그널링 하는 단계는 상기 서빙 기지국의 라디오 자원 제어(RRC:radio resource control)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유저 단말로 상기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을 시그널링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간섭 기지국의 상기 셋 송신 파라미터들(set transmission parameters)의 일부를 상기 유저 단말로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은 송신 모드(TM:transmission mode), 송신 파워 레벨, 변조 기법, 코딩 기법, 파일럿 타이밍(pilot timing) 및/또는 구조, 프레임 구조 및 자원할당 모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라, 유저 단말(user equipment)이 간섭 기지국(interfering base station)으로부터의 간섭을 억제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서 기지국(base statio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간섭 기지국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간섭 기지국의 모니터링 된 송신 파라미터들이 상기 유저 단말에서의 간섭 억제에 유리한 때 상기 유저 단말을 위해서 간섭 억제(IS:interference suppression) 존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은 송신 모드(TM:transmission mode), 송신 파워 레벨, 변조 기법, 코딩 기법, 파일럿 타이밍(pilot timing) 및/또는 구조, 프레임 구조 및 자원할당 모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저 단말을 위해서 상기 IS 존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상기 IS 존(IS zone)을 상기 유저 단말로 시그널링하는 단계; 및
상기 IS 존 동안에 간섭 억제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유저 단말에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간섭 기지국에 기인한 간섭 측정치를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은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큰 상기 간섭 측정치에 응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섭 기지국의 상기 모니터링 된 송신 파라미터들은 상기 간섭 기지국의 현재 또는 향후의 송신 파라미터들에 해당한다.
일 측면에 따라, 유저 단말에서의 간섭 억제의 방법이 제공되고,
기지국으로부터 타임 및 주파수(타임/주파수)(time/frequency) 존 내에 상기 유저 단말에서의 간섭 억제에 유리한 네트워크 조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정보에 응답하여, 간섭 억제 프로세싱을 상기 타임/주파수 존 내의 수신된 신호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 조건은 상기 기지국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의 송신 파라미터들의 알려진 조합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주파수 존의 스케줄링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및 상기 네트워크 조건과 관련된 간섭 기지국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간섭 억제 프로세싱을 적용하는 단계는 직렬 간섭 제거(SIC) 프로세싱,간섭 제거 합성(IRC) 프로세싱, 및 최대 우도(ML) 간섭 제거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들을 위한 간섭 억제에 의하면, 간섭 기지국(들)의 다운링크 스루풋 저하없이 UE들이 간섭을 감소시키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출원에 통합되고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들은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을 예시하고 추가로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하고 그리고 관련 기술분야에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만들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셀룰러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다.
도 2 는 예시적인 수신기를 도시한다.
도 3 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간섭 억제 존(interference suppression zone)을 설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4 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간섭 억제 존(interference suppression zone)을 설정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5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에게 간섭 억제 존을 시그널링(signaling) 하기 위한 예시적인 비트맵을 도시한다.
도 6 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간섭 억제 존(interference suppression zone)을 설정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7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단말(user equipment)에 간섭 억제를 적용시키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면에서 처음 나타나는 엘리먼트(element)는 상응하는 참조 번호에서 가장 왼쪽의 숫자(들)에 의해 통상적으로 표시된다.
이 논의의 목적을 위해서, 용어 "모듈(module)"은 소프트웨어, 펌웨어(firmware) 및 하드웨어(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회로들, 마이크로 칩들, 또는 디바이스들 또는 그것의 임의 조합과 같은) 및 그것의 임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하여, 각 모듈은 실제 디바이스 내에 하나 또는 하나이상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고 설명된 모듈의 일부를 형성하는 각 컴포넌트는 모듈의 일부를 형성하는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에 대하여 협력하거나 또는 독자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반대로, 본원에서 설명된 복수개의 모듈들은 실제 디바이스 내에서 단일 컴포넌트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모듈 내에서의 컴포넌트들은 단일 장치 내에 있거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복수의 장치들 간에 분산될 수도 있다.
아래의 개시들에서, LTE 표준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이 가끔 사용된다. 예를 들어, 용어 "eNodeB"는 다른 표준들에서 기지국(BS:base station) 또는 기지 트랜시버 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으로 흔하게 설명되는 것을 언급하는데 사용된다. 해당 용어는 LTE 표준들에서 중계(relay) 또는 스몰 셀(small cell) 송신기를 언급하는데 또한 사용된다. 용어 "유저 단말(UE:User Equipment)"은 다른 표준들에서 이동국(MS:mobile station) 또는 모바일 단말(mobile terminal)으로 흔하게 설명되는 것을 언급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교리들에 기반된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은 LTE 표준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무선 통신 표준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은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 있거나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셀룰러 네트워크 환경(cellular network environment)(100)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셀룰러 네트워크 환경(100)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고 실시예들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은 셀룰러 네트워크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유형들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네트워크 환경 (100)은 eNodeB (Evolved Node B)(102), eNodeB (104), 유저 단말(UE)(106) 및 UE (108)를 포함한다. eNodeB (102) 및 eNodeB (104) 는 백홀 네트워크(예, X2 인터페이스) 링크(110)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UE들(106, 108)은 셀룰러 폰, 태블릿, 랩탑 등을 포함하는 셀룰러 기반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다. eNodeB들(102 및 104)은 복수개의 서빙 셀(serving cell)들(각 서빙 셀은 기지국과 동등한 것이고 그리고 UE들에 그것을 식별시키는 고유한 셀 ID를 갖는다)을 각각 지원할 수 있다. 그것의 수신기 성능들에 의존하는 UE (106) 또는 UE (108)는 eNodeB (102) 및/또는 eNodeB (104)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빙 셀들과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예시의 목적을 위해서, UE (106)는 eNodeB (102)에 위치된 제 1 셀(기지국)에 의해 서브되고, eNodeB (104)에 위치된 제 2 셀(기지국)은 UE (108)을 서브한다는 것이 가정된다. eNodeB (102) 및 eNodeB (104)는 동일한 지리적 영역(geographical area)내에 있어서 eNodeB (104) 에서의 제 2 셀로부터 예를 들어 UE (108)로 송신되는 신호들은 eNodeB (102) 에서의 제 1 셀로부터 UE (106)으로 송신되는 신호들과 간섭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가정된다. 예를 들어, eNodeB(102) 및 eNodeB(104)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근처의 셀들에, 셀룰러 네트워크의 동일한 셀 내에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동일한 셀의 근처의 섹터들에 있을 수 있다. 더욱이, eNodeB(102) 및 eNodeB(104)는 실외 및/또는 실내 위치된 마이크로셀, 피코셀, 또는 펨토셀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의 교리에 기반한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이해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들은 상기에서의 예시적인 시나리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기지국 간섭은 UE (106) 의 서빙 기지국과 같은 eNodeB (eNodeB (102) )에 위치될 수 있다. 더욱이, 실시예들은 UE (106)에서 서빙 기지국(serving base station)와 간섭하는 복수개의 간섭 기지국(동일한 또는 상이한 eNodeB들에 위치된)들을 포함하는 환경들로 확장될 수 있다.
도 2 는 예시적인 수신기(200)를 도시한다.예시적인 수신기(200)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고 실시예들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수신기(200)는 예를 들어 UE (106)와 같은 UE에서 구현될 수 있고 그리고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기반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수신기(200)는 수신 안테나(202), 프론트엔드 모듈(FEM:front-end module)(204)(예, 듀플렉서들, 스위치들, 및 필터들과 같은 별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는), 라디오 주파수 집적 회로(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206)(믹서들, 저대역 통과 필터들과 같은 아날로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는), 아날로그 프론트엔드(AFE)(208)(예, 디지털-투-아날로그 컨버터들과 같은 믹스 신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는), FFT (Fast Fourier Transform) 모듈(210), 및 기저대역 프로세서(212)를 포함한다.FEM (204), RFIC (206), AFE (208) 및 FFT 모듈(210) 의 동작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어서 본 출원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기저대역 프로세서(212)는 다른 컴포넌트들 중에서도 복조기 (216) 및 간섭 제거 모듈(interference cancellation module)(218)을 포함하는 디코더 (214)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도2에 도시되지 않은)에서, 복조기 (216) 및 간섭 제거 모듈(218)은 복조기(216) 및 모듈(218) 둘 모두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단일 모듈로 결합된다. 복조기 (216)는 FFT 모듈 (210)의 출력에 기반하여 데이터 비트 스트림(220)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전형적으로, FFT 모듈 (210)의 출력은 희망하는 정보 신호 및 간섭의 합성 신호(composite signal)를 포함한다. 데이터 비트 스트림(220)은 희망하는 정보 신호의 추정치를 나타낸다. 복조기(216)는 간섭 제거 모듈데이터(218)에 의해 보조될 수 있어서 비트 스트림(220)을 생성하기 위한 복조기 (216)에 의해 사용되는 합성 신호에서의 간섭을 감소시키거나 배제시킴으로써 데이터 비트 스트림(220)을 향상시킨다.
간섭 제거 모듈(218)은 몇몇 예제들 이름을 대면 간섭 제거 합성(IRC:interference rejection combining), 직렬 간섭 제거(SIC: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및 최대 우도(ML:maximum likelihood) 간섭 제거와 같은 간섭 제거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일 실시예에서, 간섭 제거 모듈(218)은 FFT 모듈 (210)의 출력에서 간섭을 추정하고 그리고 복조기(216)에 추정된 간섭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복조기(216)는 데이터 비트 스트림(220)의 디코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모듈 (218)로부터 추정된 간섭을 사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간섭 제거 모듈(218)은 간섭을 디코딩하고(예, 간섭을 나타내는 심벌 스트림을 생성) 및 복조기(216)에 디코딩된 간섭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복조기 (216)는 데이터 비트 스트림(220)을 생성하기 위해서 합성 신호로부터 디코딩된 간섭을 뺀다.
상기의 도 1 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시나리오의 UE에서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LTE 표준 (릴리즈(Release)-11까지)은 간섭 기지국(들)과 합동으로(in coordination with) 서빙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 될 수 있는 ABS(Almost Blank Subframe)를 정의한다. ABS 동안, 간섭 기지국(들)은 파일럿과 제어 정보만을 송신한다(데이터 톤(tone)들은 공백으로 남아있어서 대부분 공백인 서브프레임(Almost Blank Subframe)으로 명명된). 서빙 기지국은 ABS의 포지션 (position) 및 간섭 기지국(들)의 셀 ID(들)을 UE로 시그널(signal)한다. 이것이 간섭 제거 수신기(예, 수신기(200))가 구비된 UE가 간섭 기지국(들)에 의해 송신된 파일럿 /제어 정보를 디코딩 하고서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디코딩된 파일럿/제어 정보를 제거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ABS 프레임워크는 서빙 기지국이 UE에 감소된 간섭 및 보다 높은 신호 대 간섭비(SIR:signal-to-interference ratio)의 기간들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ABS 프레임워크는 ABS동안에 데이터 송신 중단을 갖는 간섭 기지국(들)의 희생에 부딪힌다. 이것은 간섭 기지국(들)에 의해 서브되는 UE들에 제공되는 다운링크 스루풋(downlink throughput)을 감소시킨다.
이하에서 더 설명될 실시예들은 간섭 기지국(들)의 다운링크 스루풋 저하없이 UE들이 간섭을 감소시키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간섭 기지국(들)로부터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들은 어떤 네트워크 조건들(서빙 기지국 및 간섭 기지국(들)의 각각의 송신 파라미터들의 특정 조합들에 해당하는)이 UE에서의 간섭 억제에 유리할 수 있는지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LTE 표준(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 출원에 통합되는)은 각 유저(UE) 베이시스(basis)에 근거하여 기지국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이한 송신 모드들(TM들)(TM1 내지 TM10)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모드들 TM1 및 TM2는 각 송신 포트 베이시스(transmit port basis) 기반하여 데이터 및 셀-특정 파일럿(cell-specific pilot)들 위에 동일한 합성 송신 가중치를 적용한다. 모드들 TM4 및 TM6는 주어진 랭크(rank)의 유저 특정 프리-코더 매트릭스(user specific pre-coder matrix)에 의해 물리 자원 블럭(PRB:Physical Resource Block)내에 데이터 톤들의 프리-코딩(pre-coding of data tones)을 포함한다. 모드 TM3는 주어진 유저 할당 내에서 데이터 톤들에 걸쳐서 미리 정의된 주어진 랭크의 프리 코더(pre-coder)들의 고정된 셋(set) 순환한다. 모드들 TM5, TM7, TM8 및 TM9은 주어진 유저 할당 내에서 데이터 및 유저 특정 파이럿 톤(pilot tone)들에 주어진 랭크의 빔성형(beamforming)을 적용한다.
TM들의 임의 조합(서빙 기지국 및 간섭 기지국에서)들은 UE에서의 간섭 억제에 유리한 네트워크 조건들로 귀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 TM5, TM7, TM8, 및 TM9)으로부터의 서빙 기지국 및 간섭 기지국에 대한 TM 모드들의 임의 조합은 UE에서의 간섭 억제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조합들이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 및 간섭 기지국에 대한 타임 동기화 및 비충돌(non-colliding) 파일럿들을 가진 조합 TM2, TM3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의 교리에 기반한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이해되는 바와 같이, 송신 파라미터들의 유리한 조합들은 TM들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에 따라, 송신 파라미터들의 조합들은 송신 모드(TM), 송신 파워 레벨, 변조 기법, 코딩 기법 및 파일럿 타이밍 및/또는 구조, 프레임 구조 및 서빙 기지국 및/또는 간섭 기지국(들)의 자원(예, PRB) 할당 모드의 임의 조합들(값/ 설정(setting)/모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UE는 간섭 송신에 관련된 그것 자신의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또는 그것들에 관한 예측을 위한 중요한 프로세싱을 할 수 없거나 또는 중요한 프로세싱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UE는 얼마간의 추가적인 복잡도(complexity) 및 전력 소모를 초래함으로써 간섭 송신의 변조 차수(modulation order)를 추정/추측할 수 없을 수 있다. 이 정보는 간섭 송신기로부터 간섭을 디코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전반적으로 UE는 간섭 억제에 관련된 그것 자신의 네트워크 조건의 발생을 결정하는 또는 그것들에 관한 예측을 위한 중요한 프로세싱을 할 수 없거나 또는 중요한 프로세싱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TM들은 각 서브 프레임(예, 매 1 msec) 및 각 PRB 베이시스(basis)에 기반하여 기지국에 의해 동적으로 선택될 수 있어서, 추적(track)을 위해서 UE에 대하여 상당히 다르게 TM들을 만든다. 더욱이, 전형적으로 매우 작은 송신 파라미터 조합들은 실제로 UE에서의 유리한 간섭 억제 조건들로 귀결되어서, UE에서의 유리한 네트워크 조건들의 무작위 발생을 매우 드물게(rare) 한다. 추가하여, 간섭 억제에 유리하지 않은 네트워크 조건들 동안에 간섭 억제 프로세싱을 적용하는 것은 정상 상태 프로세싱(normal processing)(간섭 억제 프로세싱이 없는)에 비교되어 수신기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것을 테스트(testing)가 보여준다. 이것이 UE에서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해결책으로서 항상 활성 간섭 억제(active interference suppression)를 가지고 UE를 동작시키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 더 설명될 실시예들은 수신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간섭 억제 프로세싱을 적용하기 위한 간섭 제거 가능한 수신기가 구비된 UE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워크는 간섭 억제(IS) 타임 및 주파수(타임/주파수) 존(zone)를 포함하고, 그것은 서빙 기지국 또는 다른 상위 레벨의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간섭 기지국(들)과 합동으로 또는 합동(coordination)없이) 스케줄 될 수 있고 UE로 시그널 된다. IS 타임/주파수 존은 특정 타임 및 주파수 자원들의 면에서 정의된다. 실시예들에 따라, IS 타임/주파수 존은 자원 엘리먼트들(LTE에서, 자원 엘리먼트는 하나의 OFDM 심벌 지속기간 동안에 하나의 OFDM 캐리어이다)면에서, LTE 슬롯(0.5msec)들 면에서, 물리 자원 블럭들(PRB들) (LTE에서, PRB는 LTE 슬롯의 지속기간 동안에 12 OFDM 서브캐리어들이다)면에서, LTE 서브프레임(1msec의 20 LTE 슬롯들)면에서 및/또는 타임 및 주파수 자원들의 임의의 다른 표현/조합을 이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IS 타임/주파수 존의 타임 및/또는 주파수 자원들은 연속되거나 또는 연속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S 타임/주파수 존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OFDM 서브 캐리어들 상에서 간섭 억제 서프프레임(ISS)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IS 타임/주파수 존은 UE에서의 간섭 억제에 유리한 네트워크 조건과 일치하여서 긍정적 효과를 가진 간섭 억제 프로세싱을 적용하기 위해서 UE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UE에서의 간섭 억제에 유리한 네트워크 조건들은 이론적으로, 시뮬레이션으로부터 및/또는 실제 테스트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빙 기지국은 IS 타임/주파수 존 동안에 UE에서의 간섭 억제에 유리한 네트워크 조건을 구축하기 위해서 간섭 기지국(들)과 협동(coordinate)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것은 IS 타임/주파수 존(zone) 동안에 서빙 기지국 및 간섭 기지국(들) 개개의 송신 파라미터들 설정(및/또는 고정시키는)하기 위해서 간섭 기지국(들)과 협동하는 서빙 기지국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서빙 기지국은 UE에 대한 IS 타임/주파수 존을 기회주의적(opportunistically)으로, 그것이 간섭 기지국(들)에 의해서 사용되거나 사용을 위해 스케줄 되는 유리한 송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때마다 스케줄 한다. UE가 IS 타임/주파수 존 내에 간섭 억제 프로세싱을 적용하고, 그럼으로써 수신기 효율(receiver performance)을 개선시킨다. 타임/주파수 존 밖에서는, UE는 수신기 효율을 저하시키기 않기 위해서 간섭 억제 프로세싱을 불활성화 시킬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IS 타임/주파수 존은 UE에서의 간섭 억제를 가능하게 하는 고정(fix)되고 알려진 네트워크 조건과 일치하여서 더 적은 노력과 프로세싱을 갖는 간섭 억제 프로세싱을 적용하기 위해서 UE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것은 IS 타임/주파수 존(zone) 동안에 서빙 기지국 및 간섭 기지국(들) 개개의 송신 파라미터들 설정(및/또는 고정시키는) 또는 그것들을 그들에게 통지하기 위해서 간섭 기지국(들)과 협동하는 서빙 기지국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서빙 기지국은 UE에 대한 IS 타임/주파수 존을 기회주의적(opportunistically)으로, 그것이 간섭 기지국(들)에 의해서 사용되거나 사용을 위해 스케줄 되는 유리한 송신 파라미터들을 (UE에 알려진)결정할 때마다 스케줄 한다. UE가 IS 타임/주파수 존 내에 간섭 억제 프로세싱을 적용하고, 그럼으로써 수신기 효율(receiver performance)을 개선시킨다. 타임/주파수 존 밖에서는, UE는 수신기 효율을 저하시키기 않기 위해서 간섭 억제 프로세싱을 불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간섭 억제 프레임워크(interference suppression framework)의 예제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한정이 아닌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서, 일부 실시예들이 도 1 에 설명된 예시적인 환경(100) 및 도 2 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수신기 (200)을 참고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3 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간섭 억제 타임/주파수 존(interference suppression time/frequency zone)을 설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300)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프로세스(300)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고 실시예들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프로세스(300)는 예를 들어 eNodeB (102)와 같은 eNodeB 또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셀룰러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프로세스 (300)는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는 상위 레벨의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또한 수행될 수 있다. 논의의 목적을 위해서, 프로세스(300)를 수행하는 기지국 또는 그것이 서브하여 UE를 유익하게 하도록 프로세스(300)가 수행되는 것은 서빙 기지국으로 언급되고 그리고 유익한 프로세스(300)가 수행되는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그것이 지원되는)유저는 지원되는 유저/UE(assisted user/UE)로서 언급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프로세스 (300)는 스케줄 된 IS 타임/주파수 존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들의 각각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것/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계(302)에서 시작한다. 실시예들에서, 스케줄 된 IS 타임/주파수 존은 구체적으로 지정된 타임 및 주파수 자원들을 포함하고 주기적(periodic)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S 타임/주파수 존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브되는 UE들을 지원하는 서빙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된다. 예를 들어, 도 1 을 참고로 하여, eNodeB (102)은 eNodeB (104) 에 의해 야기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UE(106)를 지원하는 IS 타임/주파수 존(IS time/frequency zone)을 스케줄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ISS에 참가하는 eNodeB들에 해당하는 지원 UE(들)은 선호되는 타임/주파수 존을 피드백(feedback)할 수 있고, 그것이 채택되어서 UE로 스케줄 된 IS 타임/주파수 존으로서 시그널 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30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의 각각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설정/통지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에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을 시그널하기 위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예, 백홀 네트워크(backhaul network)를 이용하여)와 통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은 서빙 기지국과 함께 간섭 억제(IS) 기지국(BS) 셋(set)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IS BS 셋은 그것의 개개 멤버들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 에서, eNodeB (102)는 IS BS 셋을 형성하기 위해서 그것이 간섭하는 것으로 여겨지는(예, UE(106)에) eNodeB (104)와 (예, 백홀 네트워크(110)을 통하여) 협상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IS BS 셋은 셀룰러 네트워크의 다른 엔티티(예, 네트워크 계획(network planning))에 의해 결정되고, IS BS 셋 멤버들로 시그널 한다. 예를 들어, eNodeB (104) 는 eNodeB (102)에 대한 그것의 상대적 위치에 기반하여 eNodeB (102)를 포함하는 IS BS 셋으로 지정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UE들로부터의 피드백은 IS BS 셋들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IS BS 셋들은 정적 또는 동적 멤버십(membership)들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결정된 시간 주기들 동안 또는 애드-혹(ad-hoc) 베이시스(basis) 기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희망하는 때 IS BS 셋에 참가하거나 떠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IS BS 셋들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다수의 지원 UE들 및/또는 그것들의 커버리지 면적(coverage area)의 다수 지리적 섹터들에 각각 해당하는 다수의 IS BS 셋들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NodeB (102)가 도 1에 UE (108)을 또한 서브한다고 가정하면, eNodeB (102)는 두 개의 IS BS 셋들, UE(106)에 대한 하나의 셋업(set up) 및 UE(108)에 대한 다른 셋 업,의 일부 일 수 있다. 두 개의 IS BS 셋들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멤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S BS 셋의 임의의 멤버는 그것이 서브하는 UE들에 대한 IS 타임/주파수 존들을 스케줄 하기 위해서 본 출원에서 설명된 IS 프레임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IS BS 셋의 형성(또는 추가적으로 명시적 인가(explicit permission)가 주어진 IS BS 셋 멤버들)을 개시한 기지국만이 IS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S BS 셋의 모든 멤버들은 스케줄된 IS 타임/주파수 존 내에서 그것들 각각의 송신 파라미터들(예, IS 타임/주파수 존을 스케줄링 하는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에 의해 협력하는 것이 요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케줄된 IS 타임/주파수 존 내에서 기지국의 협력은 설사 그것이 IS BS 셋의 일부를 형성한다 할지라도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에 기인한 간섭은 어떤 임계값이하 일 수 있거나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트래픽은 그것의 협력이 요구되지 않을 만큼 충분히 낮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BS는 그것이 IS BS 셋의 일부인 것을 알지 못할 수 있다. 일 예로서, BS에 의한 IS 타임/주파수 존의 기회주의적인 스케줄링으로, 다른 BS(들)은 IS 존에 참가하지 않아서 그것들은 IS 존을 인지하지 못한다. 이 경우에 IS 타임/주파수 존을 스케줄링 한 BS만이 IB BS 셋을 인지한다.
실시예들에 따라, 송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은 파라미터에 대한 값을 지정하는 것, 파라미터에 대한 모드/기법을 선택하는 것, 및/또는 파라미터와 관련된 특성들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셋(set)일 수 있는 간섭 기지국(들)의 송신 파라미터들은 송신 모드(TM), 송신 파워 레벨, 변조 기법, 코딩 기법, 파일럿 타이밍 및/또는 구조, 프레임 구조, 자원(예, PRB) 할당 모드, 및 지원되는 UE에서 간섭 억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임의 다른 파라미터 설정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302)는 IS 타임/주파수 존 내에서의 서빙 기지국의 송신 파라미터들 설정 또는 조정하는 서빙 기지국을 포함하지 않고, 단지 간섭 기지국(들)의 각각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것만 포함한다.
도 3으로 되돌아와서, 일 실시예에서, 단계(302)는 스케줄된 IS 타임/주파수 존 내에서 UE에서의 간섭 억제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스케줄된 IS 타임/주파수 존 내에서 서빙 기지국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는 것(IS 타임/주파수 존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택될 수 있는 서빙 기지국의 송신 파라미터들은 송신 모드(TM), 송신 파워 레벨, 변조 기법, 코딩 기법, 파일럿 타이밍 및/또는 구조, 프레임 구조, 자원(예, PRB) 할당 모드, 및 지원되는 UE에서 간섭 억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임의 다른 파라미터 설정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302)는 IS 타임/주파수 존 내에서의 서빙 기지국의 송신 파라미터들 설정 또는 조정하는 서빙 기지국을 포함하지 않고, 단지 간섭 기지국(들)의 각각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것만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의 셋 송신 파라미터(set transmission parameter)들 및/또는 서빙 기지국의 선택된 송신 파라미터들은 지원되는 UE에서 간섭 억제에 유리한 네트워크 조건을 구축하는 송신 파라미터들의 알려진 조합에 해당한다. 지원되는 UE에서의 간섭 억제에 유리한 네트워크 조건들은 이론적으로, 시뮬레이션으로부터 및/또는 실제 테스트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송신 파라미터들의 선택된 조합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 및 서빙 기지국의 각각의 파일럿 신호(예, 비제로(non-zero) 파워 간섭 신호들, 제로(0) 파워 간섭 신호들 및/또는 복조 기준 신호들)들을 정렬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이 지원되는 UE가 서빙 기지국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로부터의 채널들을 추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신 파라미터들의 선택된 조합은 지원되는 UE가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 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로부터의 간섭 디코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선택되는 타임/주파수 존 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의 송신 파워 레벨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신 파라미터들의 선택된 조합은 서빙 및/또는 간섭 기지국들에 대한 알려진 변조 차수들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따라서 지원되는 UE는 간섭 제거에 이 지식(knowledge)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 파라미터들에 관련된 조합으로 각각 특징되는 상이한 유형들의 IS 타임/주파수 존들이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302)는 IS 타임/주파수 존의 유형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 파라미터들의 선택된 조합은 서빙 기지국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간의 협상(negotiation)을 통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선택된 조합은 협상될 수 있어서 하나이상의 기지국(예, 서빙 기지국 및 간섭 기지국)은 각각의 지원되는 UE을 위하여 스케줄된 IS 타임/주파수 존(또는 다른 IS 존)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신 파라미터들의 선택된 조합은 서빙 기지국에 의해 독점적으로 결정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일 실시예에서, 그것에 따르는 것이 요구되는)로 단지 통신된다. UE(예, 지원되는 UE)들로부터의 피드백은 송신 파라미터들의 선택된 조합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예, 값들, 사이즈들 등과 같은 존을 포함하는 타임/주파수 자원들의 세부사항들, 타임/주파수 존의 주기성(periodicity)등)은 서빙 기지국에 의해 협상될 수 있거나 또는 독점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신 파라미터들의 선택된 조합은 UE에 의해 결정되고 그리고 예를 들어 그것의 서빙 기지국 또는 프로세스(300)를 수행하는 상위 레벨의 네트워크 제어기에 통신된다.
도 3으로 돌아가서, 단계(302)에서 스케줄된 IS 타임/주파수 존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의 각각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설정한 후에, 프로세스 (300)은 유저 또는 지원되는 UE로 스케줄된 IS 타임/주파수 존을 시그널링(signaling)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계(304)로 진행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단계(302)는 단계(304)와 동시에 또는 단계(304)뒤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304)는 서빙 기지국의 라디오 자원 제어(RRC:radio resource control) 채널을 이용하여 지원되는 UE로 스케줄된 IS 타임/주파수 존을 시그널링 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5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서 더 설명될 비트맵(bitmap)이 UE로 스케줄된 IS 타임/주파수 존을 시그널링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케줄된 IS 타임/주파수 존은 알려진 간격들에서 반복되어서 동일한 주파수 자원들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서 셋업(setup)에서 UE로 단지 한번 시그널링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 다음 기지국이 적절한 때(예, UE가 더 이상 간섭 기지국들의 범위 내에 있지 않는 때) IS 타임/주파수 존을 조정할 수 있거나 또는 IS 지원을 턴 오프(turn off)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304)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의 셋(set) 송신 파라미터들의 일부 (또는 전부) 및/또는 서빙 기지국의 선택된 송신 파라미터들을 지원되는 UE로 시그널링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의 셋 송신 파라미터(set transmission parameter)들 및/또는 서빙 기지국의 선택된 송신 파라미터들은 지원되는 UE 및 이들 파라미터들을 이용하는 IS 타임/주파수 존 트리거(trigger)들에 해당하는 시그널링에 대해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시그널링된 정보는 UE가 그것의 수신기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에 의해 야기된 간섭을 더 잘 디코딩하는 것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서빙 기지국은 스케줄된 IS 타임/주파수 존 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에 의해 사용되는 변조 차수(modulation order)(예, 직교 위상 편이 변조(QPSK) 또는 16-QAM등)를 UE로 시그널링한다. 그것들의 각각의 셀 ID들에 관한 지식으로, UE는 그것의 수신기를 이용하여 간섭을 제거하고 그리고 간섭 기지국들로부터의 간섭을 디코딩하기 위해서 이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 는 일 실시예에 따른 IS 타임/주파수 존(time/frequency zone)을 설정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프로세스(400)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프로세스(400)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고 실시예들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프로세스(400)는 예를 들어 eNodeB (102)와 같은 eNodeB 또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셀룰러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프로세스 (400)는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는 상위 레벨의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또한 수행될 수 있다. 논의의 목적을 위해서, 프로세스(400)를 수행하는 기지국 또는 그것이 서브하여 UE를 유익하게 하도록 프로세스(400)가 수행되는 것은 서빙 기지국으로 언급되고 그리고 유익한 프로세스(400)가 수행되는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그것이 지원되는)유저는 지원되는 유저/UE(assisted user/UE)로서 언급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프로세스 (400)는 스케줄 된 IS 타임/주파수 존 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들의 각각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계(402)에서 시작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402)는 스케줄된 IS 타임/주파수 존 내에서 서빙 기지국 및/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에 의해 사용되거나 또는 사용되도록 의도된 송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다른 엔티티 예, UE)들 각각과 통신함으로써 서빙 기지국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402)는 스케줄된 IS 타임/주파수 존 동안에 서빙 기지국 자신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서빙 기지국을 더 포함한다.
이어서, 단계(404)는 IS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 내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고정(고정된 채로 유지)하기 위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과 통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것은 단계(404)에서 결정된 송신 파라미터들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이 그것들의 각각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단계(402 및 404)는 단일 단계로 수행될 수 있어서, 서빙 기지국은 IS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 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고 고정시키기 위해서 그것들과 통신한다.
마지막으로, 단계(406)은 스케줄된 IS 타임/주파수 존 및/또는 서빙 기지국 및/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의 송신 파라미터들의 일부(또는 전부)를 지원되는 UE로 시그널링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UE는 저장된 송신 파라미터들의 미리 정의된 셋(set)을 가지고 그리고 IS 타임/주파수 존의 시그널링은 송신 파라미터들의 저장된 셋의 사용(지원되는 UE로 파라미터들을 발송하지 않고)을 트리거한다. 단계(406)에서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예시적인 프로세스 (300)의 단계(304)에 상기에서 설명된 것처럼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프로세스 (400)에 따라서, 서빙 기지국은 스케줄 된 IS 타임/주파수 존 동안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이 그것들의 각각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조정하지 않지만, 그것들을 고정된 채로 유지시키는 것에 유의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이 프로세스는 예시적인 프로세스 (300) 보다 IS 타임/주파수 존을 셋 업(set up)하기 위해서 기지국들간에 보다 드문 통신을 필요로 할 수 있지만, 그러나 UE에서 보다 덜 유리한 간섭 억제 조건들로 귀결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들은 단계(406)에서 UE로 간섭 기지국들의 고정된 송신 파라미터들에 대하여 더 많은 정보를 시그널링함으로써 교정될 수 있다.
도 5 는 일 실시예에 따른 UE로 IS 타임/주파수 존(IS time/frequency zone)을 시그널링(signaling) 하기 위한 예시적인 비트맵(500) 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비트맵(bitmap)(500)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고 실시예들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비트맵 (500)은 간섭 억제 서브프레임(ISS:interference suppression subframe)(하나 또는 그 이상의 OFDM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1msec)을 구성하는 IS 타임/주파수 존을 시그널링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비트맵 (500)은 하나의 LTE 서브프레임에 해당하는 각각의 비트를 가진 n 비트들을 포함한다. 1 의 값을 갖는 도 5에서의 비트 502.3와 같은 비트는 그것이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이 ISS 서브프레임인 것을 표시한다.
비트맵 (500)은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 가능한 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맵 (500)은 40 비트 길이일 수 있고, 매40msec에 UE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ISS는 주기적으로 반복되어서 비트맵은 셋 업(set up) 시에 UE로 단지 한번 시그널링 된다.
도 6 는 일 실시예에 따른 IS 타임/주파수 존(time/frequency zone)을 설정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프로세스(600)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프로세스(600)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고 실시예들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프로세스(600)는 예를 들어 eNodeB (102)와 같은 eNodeB 또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셀룰러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논의의 목적을 위해서, 프로세스(600)를 수행하는 기지국은 서빙 기지국으로 언급되고 그리고 임의 유저를 위해서 유익한 프로세스(600)가 수행되는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그것이 지원되는)것은 지원되는 유저/UE로서 언급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600)은 간섭 기지국에 기인하여 간섭 측정이 지원되는 UE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계(602)로 시작한다. 일 실시예에서, UE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로부터 그것의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간섭 측정치를 주기적으로 발송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602)는 단계(604)에 앞서서 UE로부터 다수의 간섭 측정치들을 수신하고 그 다수의 측정치들을 평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어서, 단계(604)는 간섭 측정치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큰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만약 간섭 측정치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프로세스 (600)은 단계(602)로 회귀한다.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 (600)은 단계(606)으로 진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원되는 UE에 의해서 측정된 간섭이 지원되는 UE에 의해 디코딩 될 정도로 충분히 셀 때에만 프로세스(600)가 단계(606)으로 진행하도록 미리 결정된 임계값이 선택된다.
단계(606)는 지원되는 UE에서의 간섭 억제에 유리한 파라미터들이 간섭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지 또는 사용되도록 스케줄 되었는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간섭 기지국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만약 어떤 간섭 기지국의 유리한 송신 파라미터들도 단계(606)에서 발견되지 않으면, 프로세스(600)은 단계(608)로 진행하여, 모니터링 카운터(monitoring counter)가 만기되었는지 아닌지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만약 단계(608)에서의 그 답이 노우(no)라면, 프로세스 (600) 단계로 회귀한다.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 (600)은 UE로부터 새로운 간섭 측정치를 수신하기 위해서 단계(602)로 회귀한다.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카운터는 UE로부터의 간섭 측정치가 현재(만기되지 않은(unexpired)) 고려될 수 있는 시간 지속기간(time duration)의 함수이다.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 카운터는 UE의 유동성(mobility)의 함수이다.
간섭 기지국의 유리한 송신 파라미터들이 단계(606)에서 발견되면 프로세스(600)은 단계(610)으로 진행하여 간섭 기지국의 유리한 송신 파라미터들과 일치되도록 지원되는 UE를 위한 IS 타임/주파수 존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610)은 IS 타임/주파수 존 내에서 간섭 억제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지원되는 UE로 IS 타임/주파수 존을 시그널링 하고 그리고 지원되는 UE(assisted UE)에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시적인 프로세스 (600)에 따라서, 서빙 기지국은 스케줄된 IS 타임/주파수 존 동안 간섭 기지국이 송신 파라미터들을 조정하거나 또는 그것들을 고정시키는 것을 요청하지 않는 것에 유의한다. 서빙 기지국은 간섭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파라미터들을 단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일 실시예에서, 서빙 기지국은 간섭 기지국이 특정 송신 파라미터들을 사용하기 시작하거나 또는 사용하도록 스케줄 될 때 마다 통지 받는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은 간섭 기지국이 특정 TM 모드를 사용할 때 마다 그것에 발송되는 플래그(flag)를 가질 수 있다. 이 플래그는 간섭 기지국으로부터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다른 엔티티로부터 발송될 수 있다.
도 7 은 일 실시예에 따른 UE에서의 간섭 억제를 적용시키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700)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프로세스(700)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고 실시예들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프로세스(700)은 상기에서 설명된 것 처럼 지원되는 UE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700)은 단계(702)로 시작하여 타임/주파수 존에서의 간섭 억제에 유리한 네트워크 조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타임/주파수 존은 지원되는 UE의 서빙 기지국에 의해 또는 서빙 기지국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간의 협동에 의해 스케줄 되는 간섭 억제 존이다. 타임/주파수 존은 특정 타임 및 주파수 자원(resource)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는 타임/주파수 존의 스케줄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정보는 타임/주파수 존 내에서의 서빙 기지국 및/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의 송신 파라미터들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여서 UE에서의 간섭 억제 유리한 네트워크 조건을 발생시킨다.
이어서, 단계(704)는 수신된 정보에 응답하여 간섭 억제 프로세싱을 타임/주파수 존 내의 수신된 신호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signal)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의 희망하는 신호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섭 기지국들에 기인한 간섭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704)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타임/주파수 존 내의 직렬 간섭 제거(SIC) 프로세싱, 간섭 제거 합성(IRC) 프로세싱, 및 최대 우도(ML) 간섭 제거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700)은 수신된 신호로부터 간섭을 디코딩 및 빼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서 보다 높은 간섭 억제 효율로 귀결된다.
실시예들은 그것의 지정된 기능들 및 관계들의 구현예들을 예시하는 기능 빌딩 블럭(functional building block)들의 도움으로 상기에서 설명되었다. 이 기능적인 빌딩 블록들의 경계들은 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출원에서 임의로 정의되었다. 지정된 기능들 및 그것의 관계들이 적절히 수행되는 한 대안적인 경계들이 정의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의 앞에서의 설명은 다른 사람들이 해당 분야의 기술범위내의 지식을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반적 개념(concept)에서 벗어나지 않고, 과도한 실험 없이, 이런 특정 실시예들을 다양한 적용들을 위해 용이하게 개조 및/또는 개작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특징을 매우 충실하게 보여줄 것이다. 따라서, 이런 개작들 및 개조들은 본 출원에서 제시된 교리(teaching) 및 지도(guidance)에 기반한, 개시된 실시예들의 등가물들 의미 및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출원에서 어법(phraseology) 또는 용어(terminology)는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또는 어법은 당해 기술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교리(teaching)들 및 지도(guidance)의 관점에서 해석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전체 효과(breadth) 및 범위는 상기 설명된 대표적인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한정되지 않아야 하고 단지 다음의 청구항들 및 그것들의 등가물들에 의해서만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15)

  1. 간섭 기지국(interfering base station)으로부터의 간섭을 억제하기 위해서 서빙 기지국(serving base station)에 의해 서브되는(served) 유저 단말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스케줄된 타임 및 주파수(타임/주파수) 존 내에 상기 간섭 기지국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time/frequency zone)을 상기 유저 단말로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간섭 기지국의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 내에 상기 간섭 기지국의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 내에 상기 간섭 기지국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상기 결정된 송신 파라미터들로 설정하기 위해서 상기 간섭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 내에서 상기 유저 단말에서의 간섭 억제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 내에 상기 서빙 기지국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간섭 기지국의 셋 송신 파라미터(set transmission parameter)들 및 상기 서빙 기지국의 상기 선택된 송신 파라미터들은 유저 단말에서의 간섭 억제에 유리한 송신 파라미터들의 알려진 조합에 해당하는, 방법.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간섭 기지국의 표시, 상기 간섭 기지국의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 상기 서빙 기지국의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 및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의 선호되는 타임/주파수 존의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기지국의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 내에 상기 간섭 기지국 및 상기 서빙 기지국의 각각의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들을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기지국의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 단말이 상기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 내에서 상기 간섭 기지국으로부터의 상기 간섭을 디코딩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 내의 상기 간섭 기지국의 송신 전력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기지국의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주파수 존의 미리 정의된 유형들의 셋(set)으로부터 상기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의 유형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간섭 기지국의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은 상기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의 상기 선택된 유형과 관련되는, 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을 상기 유저 단말에 시그널링 하는 단계는 상기 서빙 기지국의 라디오 자원 제어(RRC:radio resource control)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유저 단말로 상기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을 시그널링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기지국의 상기 셋 송신 파라미터들(set transmission parameters)의 일부를 상기 유저 단말로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은 송신 모드(TM:transmission mode), 송신 파워 레벨, 변조 기법, 코딩 기법, 파일럿 타이밍 및/또는 구조, 프레임 구조 및 자원할당 모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12. 간섭 기지국(interfering base station)으로부터의 간섭을 억제하기 위해서 서빙 기지국(serving base station)에 의해 서브되는(served) 유저 단말을 지원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스케줄된 타임 및 주파수(타임/주파수) 존 내에 간섭 기지국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스케줄된 타임/주파수 존(time/frequency zone)을 상기 유저 단말로 시그널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13. 유저 단말(user equipment)이 간섭 기지국(interfering base station)으로부터의 간섭을 억제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서 기지국(base statio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간섭 기지국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간섭 기지국의 모니터링 된 송신 파라미터들이 상기 유저 단말에서의 간섭 억제에 유리한 때 상기 유저 단말을 위해서 간섭 억제(IS:interference suppression) 존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3 에 있어서,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은 송신 모드(TM:transmission mode), 송신 파워 레벨, 변조 기법, 코딩 기법, 파일럿 타이밍(pilot timing) 및/또는 구조, 프레임 구조 및 자원할당 모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15. 유저 단말에서의 간섭 억제의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타임 및 주파수(타임/주파수)(time/frequency) 존 내에 상기 유저 단말에서의 간섭 억제에 유리한 네트워크 조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정보에 응답하여,간섭 억제 프로세싱을 상기 타임/주파수 존 내의 수신된 신호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30050742A 2012-05-04 2013-05-06 셀룰러 네트워크들을 위한 간섭 억제 KR201301244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42962P 2012-05-04 2012-05-04
US61/642,962 2012-05-04
US13/838,387 2013-03-15
US13/838,387 US9462593B2 (en) 2012-05-04 2013-03-15 Interference suppression for cellular network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434A true KR20130124434A (ko) 2013-11-13

Family

ID=48326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742A KR20130124434A (ko) 2012-05-04 2013-05-06 셀룰러 네트워크들을 위한 간섭 억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62593B2 (ko)
EP (1) EP2661002B1 (ko)
KR (1) KR20130124434A (ko)
CN (1) CN103384404A (ko)
TW (1) TWI52200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571A (ko) * 2014-01-29 2016-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간섭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20918A (ko) * 2016-08-19 2018-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49507A4 (en) * 2012-05-08 2015-12-23 Fujitsu Ltd REFERENCE SIGNAL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DEVICE
US8995592B2 (en) * 2012-05-10 2015-03-3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ignaling to support advanced wireless receiver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US8982722B1 (en) * 2012-11-28 2015-03-17 Sprint Spectrum L.P. Determining wireless communication gain
US9991982B2 (en) * 2013-01-21 2018-06-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US9521558B2 (en) * 2013-06-10 2016-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uting system with coordin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614631B2 (en) 2013-10-03 2017-04-04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Coordination and signaling in NAICS and interference partitioning
WO2015099330A1 (ko) 2013-12-24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가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을 제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4753838B (zh) * 2013-12-26 2020-03-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干扰处理方法、装置、网络控制单元及终端
US9794946B2 (en) 2014-01-31 2017-10-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assisted interference mitigation
US10284349B2 (en) * 2014-03-20 2019-05-07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integrated circuit
CN106209301A (zh) * 2015-04-30 2016-12-0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干扰信息指示方法、干扰删除方法及装置
CN109451860B (zh) 2017-11-10 2023-06-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
WO2022187995A1 (zh) * 2021-03-08 2022-09-15 香港中文大学(深圳) 5g专网与公网上下行通信方法和装置
CN113055322B (zh) * 2021-03-08 2022-05-20 香港中文大学(深圳) 5g专网与公网上下行通信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4232B2 (en) * 2006-03-22 2009-12-15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coexistence mode switching among transceivers
US20080070510A1 (en) * 2006-09-18 2008-03-20 Nokia Corporation Interference management techniques for wireless networks
FI20075272A0 (fi) 2007-04-19 2007-04-19 Nokia Corp Vastaanotin ja vastaanottomenetelmä
WO2009073744A2 (en) * 2007-12-04 2009-06-11 Nextwave Broadband Inc. Intercell interference mitigation
US9119212B2 (en) 2008-07-11 2015-08-25 Qualcomm Incorporated Inter-cell interference cancellation framework
US8295395B2 (en) * 2008-09-30 2012-10-23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artial interference reduction within wireless networks
US8463190B2 (en) * 2009-02-26 2013-06-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interference reduction in self-optimizing networks
WO2010124725A1 (en) 2009-04-28 2010-11-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ssion parameter adaptation in cooperative signal communication
EP2262336A1 (en) * 2009-06-10 2010-12-15 Deutsche Telekom AG Method for improved link adaptation in cellular wireless networks
US9144037B2 (en) * 2009-08-11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itigation by puncturing transmission of interfering cells
KR101573001B1 (ko) * 2009-08-24 2015-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기 및 그의 기준 신호 이용 방법
EP2476219A1 (en) 2009-09-10 2012-07-18 Fujitsu Limited Cell selection for mimo transmission
US8694012B2 (en) * 2010-02-01 2014-04-08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Method and apparatuses for two or more neighboring wireless network devices accessing a plurality of radio resources
US9088394B2 (en) * 2011-02-06 2015-07-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S2410680B1 (es) 2011-08-22 2014-07-30 Telefónica, S.A. Método para facilitar la minimización de interferencia intercelular aprovechando sus características conocidas
US10687225B2 (en) 2013-09-19 2020-06-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ference characteristics for interference mitig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571A (ko) * 2014-01-29 2016-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간섭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20918A (ko) * 2016-08-19 2018-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62593B2 (en) 2016-10-04
TW201347590A (zh) 2013-11-16
EP2661002B1 (en) 2018-06-20
TWI522000B (zh) 2016-02-11
CN103384404A (zh) 2013-11-06
US20130294398A1 (en) 2013-11-07
EP2661002A1 (en)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1002B1 (en) Interference Suppression for Cellular Networks
US11637721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channel estimation
RU2601427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и способ связи
CN106537964B (zh) 用于网络适配和利用下行链路发现参考信号的设备、网络和方法
US9820287B2 (en) Mobile communications directed to assignment of radio resources and reporting pathloss of D2D communications
JP6329133B2 (ja) 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及び構成
JP2020115692A (ja) ユーザ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基地局
CN110431799B (zh) 使用信道状态信息参考信号(csi-rs)的移动性增强
JP202001796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制御情報をマッピング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7534980B (zh) 移动通信网络、方法、基站、中继节点和通信终端
EP3217759A1 (en) Base station and user terminal
US9780843B2 (en) Interference suppression and alignment for cellular networks
JP2014523158A (ja) 協調マルチポイント送信のポイント接続の方法
TW201709758A (zh) 用於在未許可頻譜中的基於crs和基於dm-rs的傳輸模式之間進行協調的技術
US99678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ie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for cell discovery
WO2018123483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2012000861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20503709A (ja) 無線通信方法
US10505613B2 (en) Communication system
JP201609283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内におけるデバイスツーデバイス通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とそれを利用する関連装置
TWI830778B (zh) 通訊裝置、通訊方法、及非暫時性電腦可讀取之儲存裝置
CN113785530A (zh) 用于下行链路半持久调度的多trp传输
KR20140107956A (ko) 새로운 반송파 형식에서의 간섭 측정 방법 및 장치
US9614631B2 (en) Coordination and signaling in NAICS and interference partitioning
KR101837869B1 (ko) 전력 제어 방법, 사용자 장비 및 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