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4080A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시간전진그룹 운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시간전진그룹 운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080A
KR20130124080A KR1020120047706A KR20120047706A KR20130124080A KR 20130124080 A KR20130124080 A KR 20130124080A KR 1020120047706 A KR1020120047706 A KR 1020120047706A KR 20120047706 A KR20120047706 A KR 20120047706A KR 20130124080 A KR20130124080 A KR 20130124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ng cell
secondary serving
tag
random access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범
안재현
허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20047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4080A/ko
Priority to PCT/KR2013/002200 priority patent/WO2013165093A1/ko
Publication of KR20130124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0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synchronizing of arrival of multiple up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시간전진그룹 운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한 상향링크 동기를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부서빙셀의 상향링크 시간의 동기를 위한 시간전진 값의 획득에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부서빙셀이 맵핑되는 새로운 TAG를 나타내는 TAG 구성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시간전진 값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TAG 구성정보에 기반하여, 현재 TAG에서 상기 부서빙셀을 제거하고, 상기 새로운 TAG에 상기 부서빙셀을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부서빙셀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인지 판단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인 경우,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시간전진그룹 운영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managing timing advance group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component carrier}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시간전진그룹 운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적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간의 대역폭은 서로 다르게 설정되더라도 주로 하나의 반송파(carrier)만을 고려하고 있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에서도 단일 반송파를 기반으로 하여,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는 반송파의 수가 1개이고, 상향링크 대역폭과 하향링크의 대역폭은 서로 대칭적이다. 이러한 단일 반송파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는 하나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였다. 그런데, 최근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이 도입됨에 따라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는 여러 개의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를 통해 구현될 수 있게 되었다.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은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의미한다. 반송파 집성이란 조각난 작은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로 주파수 영역에서 물리적으로 연속적인(continuous) 또는 비연속적인(non-continuous) 다수 개의 밴드를 묶어 논리적으로 큰 대역의 밴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단말이 망(network)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랜덤 액세스 절차를 거친다. 랜덤 액세스 절차는 경합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procedure)와 비경합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non-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procedure)으로 구분될 수 있다. 경합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와 비경합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의 가장 큰 차이점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이 하나의 단말에는 전용(dedicated)으로 지정되는지 여부에 대한 것이다. 비경합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는 단말이 자신에게만 지정된 전용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단말과의 경합(또는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경합이란 기지국에 액세스하기 위해 설정된 시간/주파수/시퀀스 자원을 기지국이 각 단말에게 할당하지 않고 다수의 단말들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2개 이상의 단말이 경쟁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경합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는 단말이 임의로 선택한 시간/주파수 자원 및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단말 이외의 또 다른 단말과의 경합 가능성이 존재한다.
단말이 네트워크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수행하는 목적은 초기 접속(initial access), 핸드오버(handover), 무선자원 요청(Sheduling Request), 시간 전진(TA; timing advnaced)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다중 상향링크 동기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 내 시간전진그룹(TAG: timing Advance Group)을 운영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동기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TAG의 TAT(Timing Advance Timer)가 만료된 경우 TAG 구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부서빙셀(SCell: secondary serving cell)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의 진행 중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구성 절차를 기반으로 부서빙셀의 TAG가 변경된 경우,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RRC 연결 재구성 절차를 기반으로 sTAG(secondary TAG)가 새롭게 추가된 경우, 상기 새롭게 추가된 sTAG에 포함된 부서빙셀을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동기를 획득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 SCell)의 상향링크 시간의 동기를 위한 시간전진 값의 획득에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전송을 제어하는 MAC(medium access control) 처리부,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부서빙셀이 맵핑되는 새로운 TAG를 나타내는 TAG 구성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TAG 구성정보에 기반하여, 현재 TAG에서 상기 부서빙셀을 제거하고, 상기 새로운 TAG에 상기 부서빙셀을 포함시키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MAC 처리부는 상기 부서빙셀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인지 판단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인 경우,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시간전진 값을 전송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부서빙셀의 상향링크 시간의 동기를 위한 시간전진 값의 획득에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절차의 개시를 지시하는 PDCCH 지시(order) 및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제어하는 MAC 처리부, 상기 PDCCH 지시 및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와 상기 부서빙셀이 맵핑되는 새로운 TAG를 나타내는 TAG 구성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현재 TAG에서 상기 부서빙셀을 제거하고, 상기 새로운 TAG에 상기 부서빙셀이 포함되도록 상기 TAG를 재구성하는 RRC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MAC 처리부는 상기 부서빙셀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인지 판단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인 경우,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가 종료되기를 기다리지 않고, 상기 부서빙셀상으로 PDCCH 지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한 상향링크 동기를 획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부서빙셀의 상향링크 시간의 동기를 위한 시간전진 값의 획득에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부서빙셀이 맵핑되는 새로운 TAG를 나타내는 TAG 구성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시간전진 값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TAG 구성정보에 기반하여, 현재 TAG에서 상기 부서빙셀을 제거하고, 상기 새로운 TAG에 상기 부서빙셀을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부서빙셀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인지 판단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인 경우,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시간전진 값을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부서빙셀의 상향링크 시간의 동기를 위한 시간전진 값의 획득에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절차의 개시를 지시하는 PDCCH 지시(order)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시간전진 값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부서빙셀이 맵핑되는 새로운 TAG를 나타내는 TAG 구성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현재 TAG에서 상기 부서빙셀을 제거하고, 상기 새로운 TAG에 상기 부서빙셀이 포함되도록 상기 TAG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부서빙셀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인지 판단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인 경우,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가 종료되기를 기다리지 않고, 상기 부서빙셀상으로 PDCCH 지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TAG의 TAT가 만료된 경우, sTAG를 초기 구성으로 재구성할 수 있으므로, 절차가 간소화되고, 통신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부서빙셀이 랜덤 액세스 절차 중 부서빙셀이 포함된 sTAG가 변경된 경우 랜덤 액세스 절차가 종료되기를 기다릴 필요없이 재구성된 sTAG에 대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차가 간소화되고, 랜덤 액세스 절차가 보다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새롭게 추가된 sTAG를 구성하는 부서빙셀이 기지국으로부터 활성화 지시 없이 바로 활성화되므로 절차가 간소화되고, 랜덤 액세스 절차가 보다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중 요소 반송파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중 요소 반송파 동작을 위한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간의 연결설정(linkage)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시간 전진 값을 획득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부서빙셀 구성정보와 TAG 구성정보가 한 번의 RRC 연결 재구성 절차에 의해 전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랜덤 액세스 수행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sTAG의 TAT 만료시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sTAG의 TAT 만료시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랜덤 액세스 절차 중 sTAG의 TAT 만료시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랜덤 액세스 절차 중 sTAG의 TAT 만료시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랜덤 액세스 절차 중인 부서빙셀1이 속한 sTAG가 변경된 경우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부서빙셀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 중 상기 부서빙셀이 포함된 sTAG가 변경된 경우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부서빙셀이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sTAG로 재구성된 경우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부서빙셀이 새롭게 추가된 TAG로 재구성된 경우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TAG가 변경된 경우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TAG가 변경된 경우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셀(cell)(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단말(User Equipment; UE, 12)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1)은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femto) 기지국, 가내 기지국(Home nodeB), 릴레이(relay)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셀은 기지국(11)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11)에서 단말(12)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2)에서 기지국(11)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은 복수의 반송파를 지원하는 것으로서, 스펙트럼 집성 또는 대역폭 집성(Bandwidth Aggregation)이라고도 한다. 반송파 집성은 조각난 작은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로서, 주파수 영역에서 물리적으로 연속적(continuous) 또는 비연속적인(non-continuous) 다수 개의 밴드를 묶어 논리적으로 큰 대역의 밴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반송파 집성에 의해 묶이는 개별적인 단위 반송파를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라고 한다. 각 요소 반송파는 대역폭과 중심 주파수로 정의된다. 반송파 집성은 증가되는 수율(throughput)을 지원하고, 광대역 RF(Radio Frequency) 소자의 도입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방지하고,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20MHz 대역폭을 갖는 반송파 단위의 그래뉼래리티(granularity)로서 5개의 요소 반송파가 할당된다면, 최대 100Mhz의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이다.
반송파 집성은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적인 요소 반송파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인접(contiguous) 반송파 집성과 불연속적인 요소 반송파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비인접(non-contiguous) 반송파 집성으로 나눌 수 있다.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간에 집성되는 반송파들의 수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 수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 수가 동일한 경우를 대칭적(symmetric) 집성이라고 하고, 그 수가 다른 경우를 비대칭적(asymmetric) 집성이라고 한다.
요소 반송파들의 크기(즉 대역폭)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70MHz 대역의 구성을 위해 5개의 요소 반송파들이 사용된다고 할 때, 5MHz 요소 반송파(carrier #0) + 20MHz 요소 반송파(carrier #1) + 20MHz 요소 반송파(carrier #2) + 20MHz 요소 반송파(carrier #3) + 5MHz 요소 반송파(carrier #4)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다중 요소 반송파(multiple component carrier) 시스템이라 함은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단말과 기지국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인접 반송파 집성 및/또는 비인접 반송파 집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대칭적 집성 또는 비대칭적 집성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중 요소 반송파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공용 매체접근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개체(210)는 복수의 반송파를 이용하는 물리(physical) 계층(220)을 관리한다. 특정 반송파로 전송되는 MAC 관리 메시지는 다른 반송파에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MAC 관리 메시지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포함하여 다른 반송파들을 제어할 수 있는 메시지이다. 물리계층(220)은 TDD(Time Division Duplex) 및/또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로 동작할 수 있다.
물리계층(220)에서 사용되는 몇몇 물리채널들이 있다.
먼저, 하향링크 물리채널로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는 단말에게 PCH(Paging Channel)와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및 DL-SCH와 관련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정보를 알려준다. PDCCH는 단말에게 상향링크 전송의 자원 할당을 알려주는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를 나를 수 있다.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는 DL-SCH가 맵핑된다.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는 단말에게 PDCCH들에 사용되는 OFDM 심벌의 수를 알려주고,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된다.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는 하향링크 채널로서,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인 HARQ ACK/NACK 신호를 나른다.
다음으로 상향링크 물리채널로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은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HARQ ACK/NACK 신호, 스케줄링 요청 및 CQI와 같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나른다.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은 UL-SCH(Uplink Shared Channel)을 나른다.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나른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중 요소 반송파 동작을 위한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프레임(frame)은 10개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된다. 서브프레임은 시간축으로는 복수의 OFDM 심벌과, 주파수 축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 반송파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요소 반송파(carrier)는 자신의 제어채널(예를 들어 PDCCH)를 가질 수 있다. 다중 요소 반송파들은 서로 인접할 수도 있고, 인접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단말은 자신의 역량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요소 반송파를 지원할 수 있다.
요소 반송파는 주요소 반송파(Primary Component Carrier; PCC)와 부요소 반송파(Secondary Component Carrier; SCC)로 나뉠 수 있다. 단말은 하나의 주요소 반송파만을 사용하거나, 주요소 반송파와 더불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요소 반송파를 사용할 수 있다. 단말은 주요소 반송파 및/또는 부요소 반송파를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을 수 있다. 상기 요소 반송파는 셀(Cell) 또는 서빙셀 (serving cell)로 표현될 수 있다. 명시적으로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 (downlink CC) 또는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uplink CC)와 같이 표현하지 않은 요소 반송파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 및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만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간의 연결설정(linkage)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하향링크에서,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 D1, D2, D3이 집성되어(aggregated) 있고, 상향링크에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 U1, U2, U3이 집성되어 있다. 여기서 Di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의 인덱스이고, Ui는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의 인덱스이다(i=1, 2, 3).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는 주요소 반송파이고, 나머지는 부요소 반송파이다.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는 주요소 반송파이고, 나머지는 부요소 반송파이다. 예를 들어, D1, U1이 주요소 반송파이고, D2, U2, D3, U3은 부요소 반송파이다. 여기서 주요소 반송파의 인덱스는 0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그 이외의 자연수 중 하나가 부요소 반송파의 인덱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향링크/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의 인덱스는 해당 하향링크/상향링크 요소 반송파가 포함된 요소 반송파 (또는 서빙셀)의 인덱스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상기 요소 반송파 인덱스 또는 부요소 반송파 인덱스만이 설정되고 해당 요소 반송파에 포함된 상향링크/상향링크 요소 반송파 인덱스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FDD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는 1:1로 연결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1은 U1과, D2는 U2와, D3은 U3과 각각 1:1로 연결설정될 수 있다. 단말은 논리채널 BCCH가 전송하는 시스템정보 또는 DCCH가 전송하는 단말전용 RRC메시지를 통해, 상기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들과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들간의 연결을 설정한다. 이러한 연결을 SIB1(system information block 1) 연결 또는 SIB2(system information block 2) 연결이라고 한다. 각 연결설정은 셀 특정하게(cell specific) 설정할 수도 있으며, 단말 특정하게(UE specific)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주요소 반송파는 셀 특정하게 설정되며 부요소 반송파는 단말 특정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간의 1:1 연결설정만을 예시로 들었으나, 1:n 또는 n:1의 연결설정도 성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요소 반송파의 인덱스는 요소 반송파의 순서 또는 해당 요소 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의 위치에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은 RRC 설정(establishment) 또는 재설정(re-establishment) 상태에서, 보안입력(security input)과 NAS 이동 정보(mobility information)을 제공하는 하나의 서빙셀을 의미한다. 단말의 성능(capabilities)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셀이 주서빙셀과 함께 서빙셀의 집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셀을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이라 한다.
따라서, 하나의 단말에 대해 설정된 서빙셀의 집합은 하나의 주서빙셀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주서빙셀과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로 구성될 수 있다.
주서빙셀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주요소 반송파(DL PCC)라 하고, 주서빙셀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상향링크 주요소 반송파(UL PCC)라 한다. 또한, 하향링크에서, 부서빙셀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부요소 반송파(DL SCC)라 하고, 상향링크에서, 부서빙셀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를 상향링크 부요소 반송파(UL SCC)라 한다. 하나의 서빙셀에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만이 대응할 수도 있고, DL CC와 UL CC가 함께 대응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간의 통신이 DL CC 또는 UL CC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은 단말과 기지국간의 통신이 서빙셀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과 동등한 개념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랜덤 액세스 수행방법에서, 단말이 UL CC상에서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것은, 주서빙셀 또는 부서빙셀상에서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것과 동등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단말이 DL CC상에서 하향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주서빙셀 또는 부서빙셀상에서 하향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동등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주서빙셀은 PUCCH의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반면, 부서빙셀은 PUCCH를 전송할 수 없으나 PUCCH 내의 정보 중 일부 제어정보를 PUSCH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둘째, 주서빙셀은 항상 활성화되어(activated) 있는 반면, 부서빙셀은 특정 조건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는 반송파이다. 상기 특정 조건은 기지국의 활성화/비활성화 지시자를 수신하였거나 각 부서빙셀마다 구성된 단말내의 비활성화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활성화는 트래픽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이 행해지거나 준비 상태(ready state)에 있는 것을 말한다. 비활성화(deactivation)는 트래픽 데이터 및 상기 트래픽 데이터에 대한 제어정보의 송신 또는 수신이 불가능하고 하향링크 채널상태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측정 및 보고도 불가능하지만, 최소한의 측정이나 최소 정보의 송신/수신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경로감쇄 계산 등을 위한 참조신호수신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등의 측정 및 해당 서빙셀의 하향링크를 통해 제어정보가 전송되는 영역을 지시하는 물리제어포멧지시채널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등을 수신할 수 있다.
셋째, 주서빙셀이 무선링크실패(Radio Link Failure; 이하 RLF)를 경험할 때, RRC 재설정이 트리거링(triggering)되나, 부서빙셀이 RLF를 경험할 때는 RRC 재설정이 트리거링되지 않는다. 무선링크실패는 하향링크 성능이 임계치 이하로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또는 RACH가 임계치 이상 횟수만큼 실패했을 경우에 발생한다.
넷째, 주서빙셀은 보안키(security key) 변경이나 RACH 절차와 동반하는 핸드오버 절차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단, 경합 해결(contention resolution: CR) 메시지의 경우, 경합 해결 메시지를 지시하는 PDCCH만 주서빙셀를 통하여 전송되어야 하고 PDSCH를 통해 전송되는 경합 해결 메시지는 주서빙셀 또는 부서빙셀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다섯째, NAS(non-access stratum) 정보는 주서빙셀을 통해서 수신한다.
여섯째, 언제나 주서빙셀은 DL PCC와 UL PCC가 짝(pair)으로 구성된다.
일곱째, 각 단말마다 다른 CC를 주서빙셀로 설정할 수 있다.
여덟째, 부서빙셀의 재구성(reconfiguration), 추가(adding) 및 제거(removal)와 같은 절차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신규 부서빙셀의 추가에 있어서, 전용(dedicated) 부서빙셀의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데 RRC 시그널링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RRC 시그널링으로 RRC 연결 재구성 절차가 사용될 수 있다.
아홉째, 주서빙셀은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영역 내에서 특정 단말에 한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설정된 단말-특정 검색 공간(UE-specific search space)에 할당되는 PDCCH(예를 들어, 하향링크 할당정보 또는 상향링크 그랜트 정보) 및 셀 내 모든 단말들 또는 특정조건에 부합하는 다수의 단말들에게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설정된 공용 검색 공간(common search space: CSS)에 할당되는 PDCCH(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SI), 랜덤 액세스 응답(RAR), 전송전력제어(transmit power control: TPC))를 모두 제공할 수 있다. 반면, 부서빙셀은 단말-특정 검색 공간만 설정될 수 있다. 즉, 단말은 부서빙셀을 통해서 공용 검색 공간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공용 검색 공간을 통해서만 전송되는 제어정보들 및 상기 제어정보들이 지시하는 데이터 정보들을 수신할 수 없다.
부서빙셀들 중에서 공용 검색 공간(CSS)이 정의될 수 있는 부서빙셀을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부서빙셀은 특수 부서빙셀(special SCell)이라고 지칭한다. 상기 특수 부서빙셀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cross carrier scheduling) 시 언제나 스케줄링 셀로 설정된다. 또한 PCell에 설정되는 PUCCH가 상기 특수 부서빙셀에 대하여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특수 부서빙셀에 대한 PUCCH는 특수 부서빙셀 구성 시 고정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또는 기지국이 해당 부서빙셀에 대한 재구성 시 RRC 시그널링(RRC 재구성 메시지)에 의해 할당(구성) 또는 해제될 수도 있다.
상기 특수 부서빙셀에 대한 PUCCH는, 해당 sTAG내에 존재하는 부서빙셀들의 ACK/NACK 정보 또는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를 포함하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기지국에 의해 RRC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sTAG내에 다수의 부서빙셀들 중 하나의 특수 부서빙셀을 구성하거나, 또는 특수 부서빙셀을 구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특수 부서빙셀을 구성하지 않는 이유는 CSS 및 PUCCH가 설정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일 예로, 경합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가 어떤 부서빙셀에서도 진행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거나, 또는 현재 주서빙셀의 PUCCH의 용량이 충분하다고 판단하여 추가적인 부서빙셀에 대한 PUCCH를 설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의 특징에 관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반드시 상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예시일 뿐이고 더 많은 예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환경에서는 송신기에서 전파가 전파되어 수신기에서 전달되는 동안에 전파지연(propagation delay)을 겪게 된다. 따라서 송수신기 모두 정확히 송신기에서 전파가 전파되는 시간을 알고 있다 하더라도 수신기에 신호가 도착하는 시간은 송수신기간 거리, 주변 전파 환경 등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고 수신기가 이동하는 경우 시간에 따라 변하게 된다. 만일 수신기가 송신기가 전달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을 정확히 알 수 없는 경우 신호 수신이 실패하거나 수신하더라도 왜곡된 신호를 수신하게 되어 통신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상향링크를 막론하고, 정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기지국과 단말간 동기(synchronization)가 반드시 선결되어야 한다. 동기의 종류는 프레임 동기(frame synchronization), 정보심벌 동기(information symbol synchronization), 샘플링 주기 동기(sampling period synchronization) 등 다양하다. 샘플링 주기 동기는 물리적 신호를 구분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획득하여야 하는 동기이다.
하향링크 동기 획득은 기지국의 신호를 기반으로 단말에서 수행된다. 기지국은 단말에서 하향링크 동기 획득이 용이하도록 상호 약속된 특정 신호를 송신한다. 단말은 기지국에서 보내온 특정 신호가 송신된 시간을 정확히 분별할 수 있어야 한다. 하향링크의 경우 하나의 기지국이 다수의 단말들에게 동시에 동일한 동기신호를 송신하므로 단말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호 약속된 특정 신호로서 주동기신호 (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부동기신호 (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셀 참조 신호(CRS: cell reference signal) 등이 있다.
상향링크의 경우 기지국은 다수의 단말들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다. 각 단말과 기지국간 거리가 상이한 경우 각 기지국이 수신하는 신호들은 서로 다른 송신지연 시간을 갖게 되고, 각각 획득한 하향링크 동기를 기준으로 상향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각 단말의 정보가 서로 다른 시간에 해당 기지국에서 수신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은 어느 하나의 단말을 기준으로 동기를 획득할 수가 없다. 따라서 상향링크 동기 획득은 하향링크와는 다른 절차가 필요하다.
랜덤 액세스 절차(random access procedure)가 상향링크 동기 획득을 위해 수행된다. 랜덤 액세스 절차 중에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시간 전진 값(timing advance value)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동기를 획득한다. 상향링크 시간을 앞당기는 값을 가지는 점에서, 시간 전진 값이라 불리우며, 시간 전진 값은 시간 정렬 값(timing alignment value)이라 불릴 수도 있다.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은 부서빙셀의 상향링크 시간의 동기를 위한 시간전진 값의 획득에 사용된다.
시간전진 값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상향링크 동기를 획득하면,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서브프레임 또는 MAC CE(MAC Control Elements)를 통해 시간전진 값을 수신한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단말은 시간 전진 타이머(timing advance timer: TAT)를 시작한다. 또는 단말은 상기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서브프레임 또는 MAC CE를 통해 시간전진 값을 수신한 서브프레임을 n번째 서브프레임이라 한다면 n+6번째 서브프레임부터 시간 전진 타이머를 시작할 수도 있다. 시간 전진 타이머가 작동 중이면 단말은 단말과 기지국간에 서로 상향링크 동기가 이루어진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다. 시간 전진 타이머가 만료되거나 작동되지 않으면, 단말은 단말과 기지국간 상향링크 동기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것으로 보고, 단말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전송 이외의 상향링크 전송은 수행하지 않는다. 시간 전진 타이머는 시간 정렬 타이머(timing alignment timer)라고 불릴 수도 있다.
한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단말이 복수의 요소 반송파 또는 복수의 서빙셀들을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단말에서 복수의 서빙셀들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신호들이 모두 동일한 시간지연을 가지면, 단말은 하나의 시간 전진 값으로 모든 서빙셀들에 대한 상향링크 동기 획득이 가능하다. 반면 복수의 서빙셀들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신호들이 서로 다른 시간지연을 가지면, 각 서빙셀마다 다른 시간 전진 값이 요구된다. 즉, 다중 시간 전진 값들(multiple timing advance values)이 요구된다. 만약 다중 시간 전진 값들을 획득하기 위해 단말이 각 서빙셀에 대해 일일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한다면, 상향링크 동기 획득을 위해 요구되는 랜덤 액세스 절차 수가 증가하므로 한정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자원에 오버헤드가 발생하고, 상향링크 동기 유지를 위한 동기 추적 절차의 복잡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오버헤드와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시간 전진 그룹(timing advance group: TAG)이 정의된다. 시간 전진 그룹은 시간 정렬 그룹(timing alignment group)이라고 불릴 수도 있다.
TAG는 UL CC가 구성된 서빙셀들 중에서, 동일한 시간 전진 값과 동일한 타이밍 참조(timing reference) 또는 상기 타이밍 참조를 포함하는 타이밍 참조 셀을 사용하는 서빙셀(들)을 포함하는 그룹이다. 여기서 타이밍 참조는 시간 전진 값 계산의 기준이 되는 DL CC이다. 예를 들어, 제1 서빙셀과 제2 서빙셀이 TAG1에 속하고 제2 서빙셀이 타이밍 참조 셀인 경우, 제1 서빙셀과 제2 서빙셀에는 동일한 시간 전진 값 TA1이 적용되며 제1 서빙셀은 상기 TA1 값을 제2 서빙셀의 DL CC의 하향링크 동기시점을 기준으로 적용한다. 반면 제1 서빙셀과 제2 서빙셀이 각각 TAG1, TAG2에 속하면, 제1 서빙셀과 제2 서빙셀은 각각 해당 TAG내 타이밍 참조 셀이 되며 제1 서빙셀과 제2 서빙셀에는 다른 시간 전진 값 TA1과 TA2가 각각 적용된다. TAG는 주서빙셀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주서빙셀과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 TAG는 UL CC가 구성된 서빙셀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며, 각 TAG에 맵핑되는 서빙셀에 대한 정보를 TAG 구성정보라 한다. TAG는 해당 서빙셀을 구성한 서빙 기지국에 의해 최초 그룹 구성 및 그룹 재구성이 결정되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게 전송된다.
주서빙셀은 TAG를 변경하지 않는다. 또한 단말은 다중 시간 전진 값이 필요한 경우 적어도 2개의 TAG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일 예로, 주서빙셀이 포함된 pTAG(primary TAG)와 주서빙셀이 포함되지 않은 sTAG(secondary TAG)로 구분된 TAG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 pTAG는 언제나 단 하나만 존재하고 sTAG는 다중 시간 전진 값이 필요한 경우라면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즉, 다중 시간 전진 값이 필요한 경우라면 TAG는 복수 개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TAG 개수는 4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pTAG는 언제나 소정의 값을 갖거나, 아무런 값도 갖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AG ID = 0은 pTAG를 나타낼 수 있다.
서빙 기지국과 단말은 각 TAG들에 대한 시간 전진(TA) 값 획득 및 유지를 위해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1. 서빙 기지국과 단말은 주서빙셀을 통해 pTAG의 시간전진 값 획득 및 유지를 수행한다. 또한 pTAG의 TA값 계산 및 적용을 위한 기준이 되는 타이밍 참조는 언제나 주서빙셀내의 DL CC가 된다.
2. sTAG에 대한 초기 상향링크 시간전진 값을 얻기 위해서는 기지국에 의해 초기화되는 비경쟁 기반 RA 절차가 사용된다.
3. sTAG에 대한 타이밍 참조는 활성화된 부서빙셀들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단말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타이밍 참조는 단말에 의해 상기 타이밍 참조를 제외한 활성화된 부서빙셀들 중 하나의 서빙셀로 변경될 수 있다. 단, 불필요한 타이밍 참조의 변경은 없다고 가정한다.
4. 각 TAG는 하나의 타이밍 참조와 하나의 시간전진타이머(timing advance timer: TAT)를 가진다. 그리고 각 TAT는 서로 다른 타이머 만료 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TAT는 각 TAG가 획득하고 적용한 시간전진값의 유효성 여부를 알려주기 위해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시간전진값을 획득한 직후부터 시작 또는 재시작한다.
5. pTAG의 TAT가 진행 중(러닝: running)이지 않으면 모든 sTAG에 대한 TAT는 진행 중이지 않아야 한다. 즉, pTAG의 TAT가 만료된 경우, pTAG를 포함한 모든 TAG의 TAT가 만료되며 pTAG에 대한 TAT가 진행 중이지 않을 때 모든 sTAG에 대한 TAT는 시작될 수 없다.
A. pTAG의 TAT가 만료되면 단말은 모든 서빙셀들의 HARQ 버퍼들을 플러쉬(flush)한다. 또한 모든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 대한 자원할당 구성을 초기화(clear)한다. 일 예로 반지속적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 SPS) 방식처럼 PDCCH와 같은 하향링크/상향링크에 대한 자원할당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제어정보 없이 주기적인 자원할당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SPS 구성을 초기화한다. 또한 모든 서빙셀들의 PUCCH 및 타입 0 (주기적) SRS의 구성을 해제한다.
6. 만일 sTAG의 TAT만 만료된 경우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진행한다.
A. sTAG내 부서빙셀들의 UL CC를 통한 SRS 전송을 중지한다.
B. 타입 0 (주기적) SRS 구성을 해제한다. 타입 1 (비주기적) SRS 구성은 유지한다.
C. CSI 보고에 대한 구성정보는 유지한다.
D. sTAG내 부서빙셀들의 상향링크에 대한 HARQ 버퍼들을 플러쉬(flush)한다.
7. 만일 sTAG에 대한 TAT가 진행 중인 경우, 상기 sTAG 내의 모든 부서빙셀들이 비활성화된 경우라도 단말은 해당 sTAG의 TAT를 중지하지 않고 진행한다. 이는 sTAG 내의 모든 부서빙셀들이 비활성화되어 상향링크 동기를 추적하기 위한 어떠한 SRS 및 상향링크 전송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이 특정 시간동안 유지되는 상태에서도 TAT를 통해 해당 sTAG의 TA값의 유효성을 보증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8. 만일 sTAG내의 마지막 부서빙셀이 제거된 경우, 즉 sTAG내의 어떠한 부서빙셀도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sTAG내의 TAT는 중지된다.
9. 부서빙셀에 대한 랜덤 엑세스 절차는 활성화된 부서빙셀에 대해서 기지국이 물리계층 제어정보 채널인 PDCCH를 통해 랜덤 액세스 절차의 시작을 지시하는 PDCCH 지시(order)를 전송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 PDCCH 지시는 해당 단말의 sTAG내 부서빙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인덱스 정보와 해당 부서빙셀에서 가용한 시간/주파수 자원 중에서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하여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을 허용하는 PRACH 마스크 인덱스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부서빙셀에 대한 랜덤 엑세스 절차는 비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만을 통해서 진행된다. 여기서 비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지시하기 위해 PDCCH 지시내의 포함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정보는 '000000' 이외의 정보로 지시되어야 한다.
10. RAR(random access response) 전송을 위한 PDCCH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했던 부서빙셀 이외의 다른 서빙셀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AR 전송을 위한 PDCCH는 주서빙셀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11. 부서빙셀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재전송 횟수가 최대 허용 재전송 횟수에 도달한 경우: A) MAC 계층은 랜덤 액세스 절차를 중지한다. B) MAC 계층은 랜덤 액세스가 실패하였음을 RRC 계층에 알리지 않는다. 따라서 RLF(radio link failure)의 트리거링을 유발하지 않는다. C) 단말은 기지국에게 부서빙셀의 랜덤 액세스가 실패했음을 알리지 않는다.
12. pTAG의 경로감쇄 참조는 주서빙셀 또는 pTAG내의 부서빙셀이 될 수 있으며 기지국은 pTAG 내의 각 서빙셀마다 RRC 시그널링을 통해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13. sTAG내의 각 서빙셀들의 상향링크 CC들의 경로감쇄 참조는 각각 SIB2 연결설정된 다운링크 CC이다. 여기서 SIB2로 연결설정되었다 함은 해당 부서빙셀의 SIB1 내의 정보를 기반으로 구성된 DL CC와 SIB2 내의 정보를 기반으로 구성된 UL CC간의 연결설정을 의미한다. 여기서 SIB2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통해 전송된 시스템 정보 블록 중 하나이며 상기 SIB2는 부서빙셀을 구성할 때 RRC 재구성 절차를 통해 기지국에서 단말에게 전송된다. 이때 상기 RRC 재구성 절차를 통해 단말에게 전송되는 SIB1정보 및 SIB2정보는 상기 부서빙셀의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SIB1정보 및 SIB2 정보와 상이할 수 있다. SIB2 내에는 상향링크 중심 주파수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SIB1 내에는 하향링크 중심 주파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시간 전진 값을 획득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과 기지국은 선택된 셀을 통해 대해 RRC 연결 설정(RRC connection establishment) 절차를 수행한다(S500). 상기 선택된 셀은 주서빙셀이 된다. RRC 연결 설정 절차는 기지국이 단말로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고, 단말이 기지국으로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부서빙셀을 단말에 추가로 구성하기 위한 RRC 연결 재구성 절차를 수행한다(S505). 부서빙셀의 추가는 예를 들어, 단말의 요청 또는 네트워크의 요청 또는 기지국의 자체판단에 의해 더 많은 무선자원을 단말에 할당해야 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부서빙셀을 단말에 추가하거나, 단말에 구성된 부서빙셀을 제거하는 것은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로 지시될 수 있다. RRC 연결 재구성 절차는 기지국이 단말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전송하고, 단말이 기지국으로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단말에 추가된 서빙셀에 대해 TAG를 구성한다(S510). 반송파 집성 상황에 따라 서빙셀간 TAG 구성은 셀 특정(cell-specific) 또는 기지국 특정(eNB-specific) 하게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주파수 대역의 서빙셀은 항상 FSR이나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 RRH)를 통해 제공되는 경우, 기지국의 서비스 지역 내 모든 단말에 대해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서빙셀과 기지국으로부터 직접 서비스되는 주파수 대역의 서빙셀은 FSR이나 원격 무선 헤드가 없었다면 비록 동일한 시간전진 값으로 설정될 수 있었음을 별론으로 하고, 서로 다른 TAG에 속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만약, i) 기지국이 상기 추가된 부서빙셀에 주서빙셀과 동일한 시간전진 값을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추가된 부서빙셀을 주서빙셀과 동일한 TAG으로 설정한다. 이 경우 단계 S515와 같은 TAG 구성정보의 전송 동작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단말이 TAG 구성정보의 수신없이 상기 추가된 부서빙셀에 대한 활성화 지시자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은 상기 추가된 부서빙셀을 주서빙셀과 동일한 TAG으로 설정된 것으로 여긴다.
만약 ii) 기지국이 상기 추가된 부서빙셀에 주서빙셀과 동일한 시간전진 값을 적용할 수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기지국은 상기 추가된 부서빙셀을 포함하는 sTAG을 구성한다. 각 TAG에는 TAG를 식별하는 TAG ID가 부여된다. 다만, 기지국은 sTAG에 대한 TAG ID를 선택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일례로서, 기지국이 상기 추가된 부서빙셀을 포함하는 sTAG가 기존에 구성된 TAG들과 다른 TAG임을 확인한 경우,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상향링크 동기를 획득하기 이전에 sTAG에 대한 TAG ID를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기지국이 상기 추가된 부서빙셀이 기존에 구성된 TAG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고 판단하거나, 또는 어느 TAG에 포함되는지 확인할 수 없는 경우,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상향링크 동기를 획득하기 이전에 sTAG에 대한 TAG ID를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기지국은 단말이 상향링크 동기를 획득 이후 필요 시 TAG 구성정보를 단말로 전송하고, 단말은 해당 sTAG의 TAG ID를 획득할 수 있다.
기지국은 TAG 구성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RRC 연결 재구성(reconfiguration) 절차를 수행한다(S515). TAG 구성정보는 각 부서빙셀마다 TAG ID 정보가 포함되는 포멧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부서빙셀의 상향링크 구성정보가 TAG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TAG 구성정보는 서빙셀마다 할당된 서빙셀 인덱스(ServCellIndex) 또는 부서빙셀들에게만 할당되는 부서빙셀 인덱스(ScellIndex)를 맵핑하는 포맷일 수 있다. 예를 들어, pTAG = {ServCellIndex = '1', '2'}, sTAG1 = {ServCellIndex = '3', '4'} 또는 pTAG = {ScellIndex = '1', '2'}, sTAG1 = {SCellIndex = '3', '4'}와 같은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주서빙셀은 언제나 서빙셀 인덱스가 '0'이고 TAG ID = 0이므로 설정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부서빙셀들 중에서 TAG ID 정보가 없는 경우, 해당 부서빙셀들은 pTAG내의 서빙셀임을 의미하거나 현재 구성되어 있는 모든 TAG와는 별개의 독립적인 sTAG내의 서빙셀임을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은 특정한 부서빙셀에 대하여 스케줄링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특정한 부서빙셀을 활성화하는 활성화 지시자를 단말로 전송한다(S520).
단말은 특정 sTAG에서 상향링크 동기를 확보하지 못한 경우, 상기 특정 sTAG에 대해 조정되어야 할 시간전진 값을 획득하여야 한다. 이는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는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S525).
sTAG 내의 활성화된 부서빙셀에 대한 랜덤 액세스 절차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PDCCH 지시에 의해서 시작될 수 있다. PDCCH 지시를 수신할 수 있는 부서빙셀은 상기 sTAG내에서 지정된 타이밍 참조를 포함한 부서빙셀로 한정할 수도 있으며 RACH 구성된 임의의 부서빙셀 또는 RACH 구성된 모든 부서빙셀이 될 수도 있다.
기지국은 단말이 동시에 2개 이상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진행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랜덤 액세스 절차의 동시 진행은 2개 이상의 랜덤 액세스 절차가 동기화되어 동시에 진행되는 경우와,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되는 일부 시간에 대하여 동시에 진행중인 경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말이 주서빙셀을 통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진행할 때, 단말이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기다리는 동안에 부서빙셀을 통해 랜덤 액세스 절차가 시작하는 경우(PDCCH order를 수신)이다. 여기서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기다리는 동안은 단말에 의해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가 재전송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간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기지국은 기존에 확보한 네트워크 내 정보 및/또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보조(assistant) 정보(e.g. 위치정보, RSRP, RSRQ 등)를 이용하여도 특정 부서빙셀을 특정 TAG에 맵핑시킬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정보를 확보하지 못한 경우, 상기 특정 부서빙셀을 새로운 sTAG로 설정하고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상기 상향링크 시간전진 값을 획득한다.
단말이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면, 단말은 랜덤 액세스 절차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부서빙셀의 시간전진 값을 갱신한다(S530).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는 RA-RNTI(random access-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로 스크램블링된 PDCCH에 의해 지시되는 PDSCH 내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RAR MAC PDU(protocol data unit)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부서빙셀을 구성하기 위한 RRC 연결 재구성 절차(S505)와, TAG를 구성하기 위한 TAG 구성정보의 전송 절차(S515)가 별도로 진행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하나의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내에 부서빙셀의 구성정보와 TAG 구성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 6은 부서빙셀 구성정보와 TAG 구성정보가 한 번의 RRC 연결 재구성 절차에 의해 전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도 5와 비교할 때 단계 S610에서의 한 번의 RRC 연결 재구성 절차에 의해 부서빙셀 구성정보와 TAG 구성정보가 모두 단말로 전송되고, 단말이 부서빙셀의 재구성 및 TAG 구성을 한 번에 수행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즉, 기왕에 진행되는 부서빙셀 구성정보의 전송을 위한 RRC 연결 재구성 절차에서 TAG 구성정보의 전송도 함께 이루어진다.
일례로서, 부서빙셀의 구성정보가 TAG 구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서빙셀의 구성정보가 단말에 추가되는 부서빙셀에 관한 인덱스 및, 상기 인덱스의 부서빙셀이 속하는 TAG의 식별자(identifier: ID)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TAG 구성정보가 부서빙셀의 구성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TAG 구성정보가 단말에 구성된 각 TAG의 TAG ID와 각 TAG에 속하는 서빙셀의 인덱스, 그리고 특정 TAG에 추가되는 부서빙셀의 인덱스, TAT파라미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TAG 구성정보는 해당 TAG 내에 속하는 서빙셀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TAG 구성정보 내 특정 TAG에 대한 구성정보로써 TAG ID와 TAT 파라미터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계 S610에서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RRC 연결 재구성 절차가 성공된 직후 수신된 최초 RRC 재구성 메시지일 수도 있고, 그 이외의 RRC 재구성 메시지일 수도 있다. 나머지 단계 S600, S605, S615, S620 및 S625는 도 5에서의 절차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25의 랜덤 액세스 절차는 예를 들어 도 7의 절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랜덤 액세스 수행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에 구성된 부서빙셀에 관한 랜덤 액세스 절차의 개시를 지시하는 PDCCH 지시(order)를 단말로 전송한다(S700). 이때, 부서빙셀은 기지국이 상향링크 동기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일 수 있다.
일례로, 비경합 기반의 랜덤 액세스 절차인 경우, 기지국은 가용한 전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 중에서 미리 예약한 전용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인덱스 및 사용 가능한 시간/주파수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할당(RA preamble assignment) 정보를 PDDCH 지시를 통해 단말로 전송한다. 이는 비경합 기반의 랜덤 액세스 과정을 위해서는 단말이 충돌 가능성이 없는 전용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과정이 핸드오버 과정 중에 수행되는 경우, 단말은 전용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로부터 얻을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과정이 기지국의 요청(PDCCH order)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단말은 전용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PDCCH, 즉 물리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물리계층 시그널링은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포맷 1A로서, 표 1과 같은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 지시자 필드(Carrier indicator field: CIF) - 0 or 3 bits.
- 포맷 0/1A 식별을 위한 플래그 - 1 bit (0인 경우 포맷 0을, 1인 경우 포맷 1A를 지시함)
포맷 1A CRC가 C-RNTI에 의해 스크램블되고, 남은 필드들이 아래와 같이 설정되는 경우, 포맷 1A는 PDCCH 명령(order)에 의해 개시되는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해 사용된다.
-아래-
- 국지적/분산적(Localized/Distributed) VRB 할당 플래그 - 1 bit. 0으로 설정됨
- 자원블록할당 -
Figure pat00001
bits. 모든 비트들이 1로 설정됨
- 프리앰블 인덱스(Preamble Index) - 6 bits
- PRACH 마스크 인덱스(Mask Index) - 4 bits
- 하나의 PDSCH 부호어의 간이 스케줄링 할당을 위한 포맷 1A의 모든 남은 비트들이 0으로 설정됨
표 1을 참조하면, 프리앰블 인덱스는 비경합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해 미리 예약한 전용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 중 선택된 하나의 프리앰블을 지시하는 인덱스이고, PRACH 마스크 인덱스는 사용 가능한 시간/주파수 자원 정보이다. 사용 가능한 시간/주파수 자원 정보는 다시 표 2와 같이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과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에 따라, 지시하는 자원이 달라진다.
Figure pat00002
단말은 단계 S700에서 지정된 부서빙셀상에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705). 상기 지정된 부서빙셀은 타이밍 참조 셀과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또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은 상기 부서빙셀이 속하는 TAG내의 다른 서빙셀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S710).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는 시간전진 값을 포함한다. 기지국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기지국은 수신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및 시간/주파수 자원을 기반으로 어느 단말이 어느 서빙셀을 통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기지국의 PDCCH 지시에 의해 단말이 부서빙셀에 대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하는 경우, 단말은 이미 주서빙셀에서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 예를 들어 RA-RNTI(Random Access-RNTI)를 확보한 상태이다. 따라서 기지국은 필요에 따라 단말의 RA-RNTI를 이용하여 단말로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random access response message)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RA-RNTI를 이용한다는 것은,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가 맵핑된 PDSCH를 지시하는 PDCCH를 RA-RNTI로 스크램블링(scrambling)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말이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면, 단말은 랜덤 액세스 절차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단말은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서브프레임에서부터 TAT를 시작 또는 재시작하거나 또는 TA값이 적용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시점부터 TAT를 시작 또는 재시작할 수 있다.
TAG의 TAT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해당 TAG의 시간전진 값은 유효하며, 따라서 해당 TAG에 구성된 서빙셀의 시간전진 값 및 상향링크 동기 또한 원칙적으로 유효하다. pTAG의 TAT가 만료된 경우 모든 TAG의 TAT가 만료되고, 단말은 모든 서빙셀들의 HARQ 버퍼들을 플러쉬(flush)하고, 모든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 대한 자원할당 구성을 초기화한다. 그러나, sTAG의 TAT가 만료된 경우, 다른 TAG의 TAT는 만료되지 않는다.
반면, sTAG의 TAT가 만료된 경우, 더이상 sTAG의 시간전진 값은 유효하지 않다. 이 경우 임의의 부서빙셀이 계속해서 sTAG에 속한다는 보장이 없다. 예를 들어, sTAG1에 속했었던 부서빙셀이 sTAG2에 속하게 될 수도 있다. 물론 부서빙셀에 대한 정확한 시간전진 값을 획득하기 전까지, 단말과 기지국은 부서빙셀이 sTAG2에 속함을 단정할 수 없다. 그러나, 단말과 기지국은 정확한 시간전진 값을 획득하기 이전이라도 신속히 TAG를 재구성해 줄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통신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기지국 및 단말은 TAG가 가장 신뢰성 있는 형태가 되도록, 강제적 또는 인위적으로 TAG를 재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신뢰성 있는 형태란, 단말에 구성된 부서빙셀의 조합이 네트워크 배치상, 통계상 또는 경험상 가장 확률이 높게 형성될 수 있는 TAG를 의미한다.
이 경우, 이미 진행 중인 랜덤 액세스 절차를 어떻게 취급할지도 문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개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sTAG의 TAT 만료시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기지국이 이전에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시간 전진 값을 획득하고, 운용 중이던 sTAG에 대하여 TAT가 만료되었음을 인지하였으며, 상향링크 동기 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sTAG의 TAT가 만료되었음을 확인한다(S800). 기지국이 sTAG의 TAT가 만료됨을 확인하는 방법은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의 TAT가 시작하는 시점에 별도의 TAT를 구동하여 TAT의 만료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기지국은 현재(current) sTAG 구성이 sTAG 초기구성(initial configuration)과 동일한지 확인한다(S810). 여기서, 현재 sTAG 구성이란 sTAG의 TAT가 만료된 시점에 단말에 구성된 sTAG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현재 sTAG 구성이란 기지국이 sTAG의 TAT가 만료되었음을 인지한 시점에 단말에 구성된 sTAG 구성을 의미할 수도 있다. 현재 sTAG 구성이 sTAG 초기구성과 동일하다 함은 현재 sTAG를 구성하는 부서빙셀과 sTAG 초기구성에 기반한 부서빙셀이 동일함을 의미한다.
TAG의 구성은 셀 특정(cell-specific) 또는 기지국 특정(eNB-specific) 기준에 의한 TAG 구성과, 단말 특정(UE-specific) 기준에 의한 TAG 구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셀 특정 또는 기지국 특정 기준에 의한 TAG 구성에서는 기지국이 네트워크의 배치 환경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TAG를 구성하며, 도 5의 S510과 같을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각 부서빙셀에 관한 시간전진 값이 없이도 TAG를 구성할 수 있다. S810에서의 TAG의 초기구성은 셀 특정 기준에 의한 TAG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단말 특정 기준에 의한 TAG 구성에서는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절차 등을 기반으로 획득한 서빙셀의 시간전진 값을 기반으로 TAG를 재구성할 수 있고, 서빙셀을 통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수신이 일정시간 이상 이루어지지 않거나 해당 서빙셀의 상향링크 동기가 맞지 않음을 기지국이 인지한 경우 해당 서빙셀을 해당 서빙셀이 구성된 TAG로부터 분리하여 TAG를 재구성할 수도 있다. TAG의 재구성은 단말 특정 기준에 의한 TAG 구성과 셀 특정 또는 기지국 특정 기준에 의한 TAG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TAG의 초기구성과 재구성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일 예로서, 단말에 제1 서빙셀, 제2 서빙셀, 제3 서빙셀, 및 제4 서빙셀이 구성된 것으로 가정하자. 기지국이 네트워크의 배치 환경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TAG1={제1 서빙셀, 제2 서빙셀}, TAG2={제3 서빙셀, 제4 서빙셀}로 TAG를 구성하였다면, 이것은 TAG의 초기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이후 랜덤 액세스 절차 등을 기반으로 획득한 제3 서빙셀의 시간전진 값이 TAG1의 시간전진 값과 동일하면, 제3 서빙셀은 TAG1에 편입된다. 이때 기지국 또는 단말은 TAG1={제1 서빙셀, 제2 서빙셀, 제3 서빙셀}로 갱신하고, TAG2={제4 서빙셀}로 갱신한다. 이것은 TAG의 재구성이라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에 제1 서빙셀, 제2 서빙셀, 제3 서빙셀, 및 제4 서빙셀이 구성된 것으로 가정하자. 기지국이 네트워크의 배치 환경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TAG1={제1 서빙셀, 제2 서빙셀}, TAG2={제3 서빙셀, 제4 서빙셀}로 TAG를 구성하였다면, 이것은 TAG의 초기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제4 서빙셀을 통한 상향링크 데이터 수신이 일정시간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또는 제4 서빙셀의 상향링크 동기가 맞지 않음을 다른 경로를 통해 인지한 경우 기지국은 제4 서빙셀의 시간 전진 값을 획득하기 전에도 제4 서빙셀을 새로운 TAG3에 편입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 또는 단말은 TAG1={제1 서빙셀, 제2 서빙셀}, TAG2={제3 서빙셀}로 갱신하고, TAG3={제4 서빙셀}로 갱신한다. 이것은 TAG의 재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TAG3의 시간 전진 값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4 서빙셀에 PDCCH 지시를 전송할 수 있다.
TAG의 초기구성과 TAG의 재구성 절차를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AG의 초기구성의 경우, 기지국은 각 단말에 대한 TAG의 초기구성을 위하여 네트워크의 배치 환경에 대한 정보를 미리 파악하고 상기 정보를 이용한다. 따라서, 단말에 구성된 UL CC를 포함하는 서빙셀들이 실질적으로 모두 동일한 시간전진 값을 적용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네트워크의 배치 환경 등을 기반으로 잠재적으로 서로 다른 시간전진 값을 가질 수 있다고 판단되는 서빙셀들은 서로 다른 TAG로 구성된다. 즉, 실제 시간전진 값이 확보되기 전에는 각 부서빙셀은 디폴트(default)로서 미리 정해진 TAG에 속하게 된다.
예를 들어, 주서빙셀과, 부서빙셀 1개로 반송파 집성을 구성한 단말의 경우, 상기 서빙셀들이 모두 기지국과 단말간 직접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로만이 존재하더라도 주파수 대역간 거리가 충분히 이격되어 있는 인터밴드(inter-band)에 각각 구성된 경우(예를 들어, 700MHz, 2GHz), 기지국이 랜덤 액세스 절차 등을 기반으로 실측된 시간전진 값을 기반으로 상기 서빙셀들에게 동일한 시간전진 값을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더라도 상기 두 서빙셀은 서로 다른 TAG로 구성되고, 기지국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게 TAG의 초기구성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또 다른 예로써, 주서빙셀과, 부서빙셀 1개로 반송파 집성을 구성한 단말의 경우, 상기 서빙셀들이 동일한 주파수 밴드(intra-band)에 구성되어 있더라도 주서빙셀은 기지국과 단말간 직접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로만이 존재하고, 부서빙셀은 RRH 또는 중계기를 통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로만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 기지국이 랜덤 액세스 절차 등을 통해 실측된 시간전진 값을 기반으로 상기 서빙셀들에게 동일한 시간전진 값을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더라도 상기 두 서빙셀은 서로 다른 TAG로 구성되고, 기지국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게 TAG의 초기구성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또 다른 예로써, 주서빙셀과, 부서빙셀 1개로 반송파 집성을 구성한 단말의 경우, 상기 서빙셀들이 동일한 주파수 밴드(intra-band)에 구성되어 있더라도, 주서빙셀은 기지국과 단말간 직접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로만이 존재하고 부서빙셀은 기지국과 단말간 직접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로 뿐만 아니라 중계기를 통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로도 존재하고 있는 경우, 기지국이 랜덤 액세스 절차 등을 통해 실측된 시간전진 값을 기반으로 상기 서빙셀들에게 동일한 시간전진 값을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더라도, 상기 두 서빙셀은 서로 다른 TAG로 구성되고, 기지국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게 TAG의 초기구성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반하여, TAG 재구성의 경우, 기지국은 기지국에 의해 지시(PDCCH order)된 랜덤 액세스 절차를 기반으로 단말로부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부서빙셀상에서 수신하고, 부서빙셀의 상향링크에 대한 시간전진 값을 확보하며, 확보된 시간전진 값을 기반으로 TAG를 재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의 배치 환경에 대한 정보에 따라 동일한 TAG로 구성되었다 하더라도 서로 다른 시간전진 값을 갖는 서빙셀들은 서로 다른 TAG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서빙셀과, 부서빙셀 1개로 반송파 집성을 구성한 단말의 경우, 상기 서빙셀들이 동일한 주파수 밴드(intra-band)에 구성되어 있고, 네트워크는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을 모두 기지국과 단말간 직접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로만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동일한 TAG(예를 들어 pTAG)로 구성한다. 그런데, 상기 부서빙셀은 기지국과 단말간 직접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로뿐만 아니라 중계기를 통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로도 존재하고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와 같이 네트워크에서 미리 파악하지 못한 중계기를 숨겨진 중계기(hidden repeater)라 한다. 이 경우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절차 등을 통해 실측된 시간전진 값을 기반으로 상기 동일한 TAG로 구성된 두 서빙셀을 서로 다른 TAG로 구성한다. 이후, 기지국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게 TAG 구성정보를 전송한다.
만약, 단계 S810에서, 현재 sTAG 구성이 sTAG 초기구성과 동일한 경우, 기지국은 PDCCH 지시를 통하여 랜덤 액세스 절차(RA 절차)를 수행한다(S840). 기지국은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 진행을 위해 필요한 경우 활성화 지시자를 먼저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단계 S810에서, 현재 sTAG 구성이 sTAG 초기구성과 다를 경우, 기지국은 해당 sTAG가 초기 구성이 되도록 해당 sTAG를 재구성한다(S820).
일 예로, 단말에 구성된 sTAG들이 sTAG1={제1 부서빙셀, 제4 부서빙셀}으로 구성되어 있고 sTAG1에 대한 TAT가 만료된 경우, 기지국은 네트워크 배치 환경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sTAG를 초기구성인 sTAG1={제1 부서빙셀}, sTAG2={제4 부서빙셀}로 재구성한다. 즉, sTAG2가 새롭게 구성된다.
다른 예로, 단말에 구성된 sTAG들이 sTAG1={제1 부서빙셀, 제4 부서빙셀}, sTAG2={제2 부서빙셀, 제3 부서빙셀}으로 구성되어 있고 sTAG1에 대한 TAT가 만료된 경우, 기지국은 네트워크 배치 환경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sTAG를 sTAG1={제1 부서빙셀}, sTAG2={제2 부서빙셀, 제3 부서빙셀}, sTAG3={제4 부서빙셀}로 재구성한다.
또 다른 예로, 단말에 구성된 sTAG들이 sTAG1={제1 부서빙셀, 제4 부서빙셀}, sTAG2={제2 부서빙셀, 제3 부서빙셀}으로 구성되어 있고 sTAG1에 대한 TAT가 만료된 경우, 기지국은 네트워크 배치 환경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sTAG를 sTAG1={제1 부서빙셀}, sTAG2={제2 부서빙셀, 제3 부서빙셀, 제4 부서빙셀}로 재구성한다. 즉, sTAG의 개수는 변하지 않는다.
sTAG가 초기구성 상태로 재구성되면, 기지국은 TAG 구성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RRC 연결 재구성 절차를 수행한다(S830). RRC 연결 재구성 절차는 기지국이 단말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전송하고, 단말이 기지국으로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PDCCH 지시를 통하여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한다(S840). 기지국은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 진행을 위해 필요한 경우 활성화 지시자를 먼저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sTAG의 TAT 만료시 기지국의 동작에 관하여 개시하였는데, 이하에서는 기지국의 동작에 대응하는 단말의 동작에 관하여 개시된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sTAG의 TAT 만료시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sTAG의 TAT가 만료된 경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RRC 연결 재구성 절차를 통하여 TAG 구성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단말은 sTAG의 TAT가 만료되었음을 확인한다(S900).
단말은 현재 sTAG 구성과 sTAG 초기구성이 동일한지 확인한다(S910).
여기서 sTAG 초기구성이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셀 특정 또는 기지국 특정 기준에 의한 sTAG 구성을 포함한다. sTAG 초기구성은 네트워크 배치 환경 정보에 기반할 수 있다.
현재 sTAG 구성이 sTAG 초기구성과 동일한 경우 단말은 현재 sTAG의 구성을 유지하며, 상기 sTAG를 통한 상향링크 전송은 취소하거나 중지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PDCCH 지시를 수신하고, 랜덤 액세스 절차를 진행한다(S930). 단말은 랜덤 액세스 절차 진행을 위해 필요한 경우 활성화 지시자를 먼저 수신할 수 있다.
다시 S910에서, 만약 현재 sTAG 구성과 sTAG 초기구성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단말은 sTAG를 초기화한다(S920). sTAG를 초기화한다 함은 해당 sTAG의 구성을 해제하거나 해당 sTAG의 초기구성 상태(예를 들어, 네트워크 배치 환경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TAG 구성)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해당 sTAG 내에 속하였던 부서빙셀들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은 취소되거나 중지된다.
sTAG를 초기화하는 동작은 단말이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sTAG의 구성을 해제하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함 없이 해당 sTAG의 구성을 해제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구성된 sTAG의 초기구성을 저장하고 있거나, 알고 있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RRC 재구성 명령을 수신함 없이 sTAG를 초기구성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절차의 개시를 지시하는 PDCCH 지시를 수신하고 랜덤 액세스 절차를 진행한다(S930). 단말은 랜덤 액세스 절차 진행을 위해 필요한 경우 활성화 지시자를 먼저 수신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절차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이 단말에 구성된 부서빙셀에 관한 랜덤 액세스 절차의 개시를 지시하는 PDCCH 지시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단말은 상기 PDCCH 지시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 이후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pTAG의 경우, 주서빙셀을 통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진행 중에, pTAG의 구성이 변경되는 경우에 기왕에 시작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중지하지 않는 데 반하여, sTAG의 경우, sTAG의 구성이 변경되는 경우에 랜덤 액세스 절차를 중지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S900에서 상기 sTAG의 TAT가 만료되기 전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sTAG에 구성된 부서빙셀에 관한 랜덤 액세스 절차의 개시를 지시하는 PDCCH 지시를 수신한 경우, 단말이 상기 PDCCH 지시에 관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기지국으로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랜덤 액세스 절차는 sTAG의 상향링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고 있는 부서빙셀의 sTAG가 변경된 경우 진행 중이었던 랜덤 액세스 절차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동기를 획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랜덤 액세스 절차 중 sTAG의 TAT 만료시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은 랜덤 액세스 절차의 개시를 지시하는 PDCCH 지시를 단말에 구성된 부서빙셀1(SCell 1) 상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S1000). 상기 부서빙셀1은 sTAG에 포함된다.
단말은 sTAG의 TAT 만료가 만료되었음을 확인한다(S1010).
단말은 현재 sTAG 구성과 sTAG 초기구성이 동일한지 확인한다(S1020).
현재 sTAG 구성이 sTAG 초기구성과 동일한 경우 단말은 현재 sTAG의 구성을 유지하며, 상기 sTAG를 통한 상향링크 전송은 취소하거나 중지한다. 단말은 부서빙셀1 상에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한다(S1030). 이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관한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S1010에서, 현재 sTAG 구성이 sTAG 초기구성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단말은 현재 sTAG를 초기화하고, 부서빙셀1 상에서 수행하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중지한다(S1040). sTAG를 초기화한다 함은 해당 sTAG의 구성을 해제하거나 해당 sTAG의 초기구성 상태(즉, 네트워크 배치 환경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TAG 구성)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해당 sTAG 내에 속하였던 부서빙셀들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은 취소되거나 중지된다.
예를 들어, 단말에 sTAG1, sTAG2가 구성되어 있고, sTAG1={제1 부서빙셀, 제4 부서빙셀}, sTAG2={제2 부서빙셀, 제3 부서빙셀}이라 하자. 단말이 제3 부서빙셀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지시하는 PDCCH 지시를 수신한 후 sTAG2에 대한 TAT가 만료되면, sTAG의 초기화로 인해 sTAG1={제1 부서빙셀, 제2 부서빙셀, 제3 부서빙셀}, sTAG2={제4 부서빙셀}로 재구성된다. 제3 부서빙셀은 sTAG2에서 sTAG1로 편입되었으므로, 제3 부서빙셀에서 진행 중이었던 랜덤 액세스 절차는 중지된다. 그리고 만약 sTAG1의 TAT가 진행 중이라면(즉, sTAG1의 상향링크 동기가 유효한 경우), 제3 부서빙셀은 sTAG1의 시간전진 값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단말이 S1010에서 sTAG의 구성을 해제한 경우 해당 sTAG에 대한 S1050 및 S1060단계를 수행하기에 앞서 RRC 연결 재구성 절차를 통하여 상기 sTAG를 구성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초기화된 sTAG를 구성하는 부서빙셀2 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의 개시를 지시하는 PDCCH 지시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S1050). 여기서 부서빙셀2는 부서빙셀1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에 구성된 sTAG1={제1 부서빙셀, 제4 부서빙셀}이고, 제1 부서빙셀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지시하는 PDCCH 지시를 수신한 후 sTAG1에 대한 TAT가 만료되고, sTAG의 초기화로 인해 sTAG1={제1 부서빙셀}, sTAG2={제4 부서빙셀}로 재구성된 경우, 단말은 초기화된 sTAG1를 구성하는 제1 부서빙셀상에서 PDCCH 지시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부서빙셀2는 부서빙셀1과 같다.
다른 예로서, 단말에 구성된 sTAG1={제1 부서빙셀, 제4 부서빙셀}이고, 제4 부서빙셀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지시하는 PDCCH 지시를 수신한 후 sTAG1에 대한 TAT가 만료되고, sTAG의 초기화로 인해 sTAG1={제1 부서빙셀}, sTAG2={제4 부서빙셀}로 재구성된 경우, 단말은 초기화된 sTAG1를 구성하는 제1 부서빙셀상에서 PDCCH 지시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부서빙셀2는 부서빙셀1과 다르다.
단말은 상기 부서빙셀2 상에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060). 이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관한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부서빙셀2가 구성된 sTAG를 통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0은 랜덤 액세스 절차 중 sTAG의 TAT가 만료된 경우 단말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이는 현재 sTAG 구성과 sTAG 초기구성이 같은 경우와 다른 경우에 대한 모든 동작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현재 sTAG 구성과 sTAG 초기구성이 다른 경우 단말과 기지국간의 동작 흐름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랜덤 액세스 절차 중 sTAG의 TAT 만료시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TAG 구성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RRC 연결 재구성 절차를 수행한다(S1100). 상기 RRC 연결 재구성 절차는 기지국이 TAG 구성정보를 포함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단말이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과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는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한다(S1110). 단말은 sTAG에서 상향링크 동기를 확보하지 못한 경우, 상기 sTAG에 대해 조정되어야 할 시간전진 값을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 진행을 위해 필요한 경우 활성화 지시자를 먼저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하여 확보한 상향링크 동기를 기반으로 상기 sTAG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S1120). 예를 들어 단말은 상향링크 동기를 맞추어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PUSCH,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등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sTAG에 구성된 부서빙셀1 상에서 PDCCH 지시를 단말로 전송한다(S1130).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경우 sTAG의 시간전진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서브프레임에서부터 TAT를 시작 또는 재시작하거나, 또는 시간전진 값이 적용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시점부터 TAT를 시작 또는 재시작할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전 sTAG의 TAT가 만료되고, 단말은 sTAG의 TAT 만료를 확인한다(1140).
단말은 sTAG를 초기화한다(S1150). sTAG를 초기화한다 함은 현재 sTAG의 구성을 해제(release)하거나 현재 sTAG의 구성을 sTAG의 초기구성 상태(즉, 네트워크 배치 환경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TAG 구성)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한다.
단말은 부서빙셀1 상에서 진행중이었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중지한다(S1160). 구체적으로 랜덤 액세스 절차의 중지는 단말은 S1130에 관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부서빙셀1 상에서 전송하지 않거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무시 또는 폐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후, 기지국은 초기화된 sTAG에 구성된 부서빙셀2 상으로 PDCCH 지시를 전송한다(S1170). 이후 단말은 상기 부서빙셀2 상에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고,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관한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부서빙셀2가 구성된 sTAG를 통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랜덤 액세스 절차 진행 중에 sTAG의 TAT가 만료되어 sTAG의 구성 부서빙셀이 변경되는 경우 뿐 아니라,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TAG의 재구성에 의하여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인 부서빙셀이 속한 sTAG가 변경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AG 구성정보를 포함한 기지국의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의해 부서빙셀이 속한 sTAG의 구성 부서빙셀이 변경되는 경우 단말은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랜덤 액세스 절차 중인 부서빙셀1이 속한 sTAG가 변경된 경우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은 TAG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S1200).
단말은 부서빙셀1(SCell1) 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인지 확인한다(S1210). 여기서 부서빙셀1 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이라 함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부서빙셀1에 관한 랜덤 액세스 절차의 개시를 지시하는 PDCCH 지시를 수신한 후,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랜덤 액세스 절차를 완료(complete)하기 전까지의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부서빙셀1에 관한 랜덤 액세스 절차의 개시를 지시하는 PDCCH 지시를 수신한 후, 단말이 기지국으로 부서빙셀1 상에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아직 전송하지 않았거나, 또는 단말이 랜덤 액세스 프래임블을 기지국으로 전송하였더라도,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이라 할 수 있다.
만약 부서빙셀1 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이 아닌 경우, 단말은 TAG 구성정보에 기반하여 TAG 또는 부서빙셀의 재구성을 완료하고,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250).
다시 S1210에서, 만약 부서빙셀1 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인 경우 단말은 부서빙셀1이 포함된 sTAG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S1220). 여기서 부서빙셀1이 포함된 sTAG가 변경되었다 함은 TAG 구성정보에 의해 부서빙셀이 기존의 sTAG에서 배제되어 다른 sTAG 또는 pTAG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단말에 sTAG1, sTAG2가 구성되고 sTAG1={제1 부서빙셀, 제2 부서빙셀}, sTAG2={제3 부서빙셀, 제4 부서빙셀}이라 하자.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의 TAG 구성정보에 의해, sTAG1={제1 부서빙셀}, sTAG2={제2 부서빙셀, 제3 부서빙셀, 제4 부서빙셀}으로 재구성된 경우, 제2 부서빙셀이 구성된 sTAG가 sTAG1에서 sTAG2로 변경되었다고 볼 수 있다.
비록 도 12에서는 S1210이 S1220보다 먼저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S1220이 S1210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고, S1210과 S1220이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만약 S1220이 S1210보다 먼저 수행될 경우, S1230은 부서빙셀1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이었을 때의 동작을 가정한다.
S1220에서 만약 부서빙셀1이 포함된 sTAG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부서빙셀1 상에서 진행 중이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중지하지 않고 계속 진행한다(S1230). 예를 들어, 아직 단말이 부서빙셀1 상에서 기지국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하지 않은 경우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한다. 또는 단말이 부서빙셀1 상에서 기지국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하였으나 아직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였던 경우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간전진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단말은 이후, 상기 시간전진 값을 기반으로 부서빙셀1의 상향링크 동기를 맞추고, 부서빙셀1이 포함된 sTAG의 부서빙셀들 상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250). 여기서 비록 도 12에는 S1230이 S1250보다 먼저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S1250이 S1230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고, S1230과 S1250이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다시 S1220에서, 만약 부서빙셀1이 포함된 sTAG가 변경된 경우, 단말은 부서빙셀1 상에서 진행 중이었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중지한다(S1240). 예를 들어, 아직 단말이 부서빙셀1 상에서 기지국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하지 않은 경우 단말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전송을 중지한다. 또는 단말은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더라도 이를 무시 또는 폐기한다.
sTAG의 변경으로 인해 부서빙셀1이 새로운 TAG(sTAG 또는 부서빙셀1이 pTAG로 변경 구성된 경우 pTAG)에 속하게 되고, 새로운 TAG의 TAT가 진행 중이면, 새로운 TAG에서 사용되는 시간전진 값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개시 또는 재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에 현재 sTAG1, sTAG2가 구성되고, sTAG1={제1 부서빙셀, 제2 부서빙셀}, sTAG2={제3 부서빙셀, 제4 부서빙셀}이라 가정하자. 제2 부서빙셀 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 진행 중에,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의 TAG 구성정보를 기반으로, sTAG1={제1 부서빙셀}, sTAG2={제2 부서빙셀, 제3 부서빙셀, 제4 부서빙셀}으로 재구성된 경우, 제2 부서빙셀의 sTAG가 sTAG1에서 sTAG2로 변경된다. 이 경우, sTAG2의 TAT가 진행 중이면 제2 부서빙셀은 sTAG2에서 사용되는 시간 전진 값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부서빙셀 상에서 수행되던 랜덤 액세스 절차는 중지된다.
만약, 부서빙셀1이 속하게 된 새로운 TAG의 TAT가 진행 중이 아니라면, 이후 단말은 기지국과 부서빙셀1이 속하게 된 새로운 TAG내의 서빙셀(부서빙셀1이 새로이 구성된 TAG가 pTAG인 경우 주서빙셀, sTAG인 경우 부서빙셀) 상으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진행하여 새로운 TAG의 시간전진 값을 획득하고,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단말은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250). 여기서 비록 도 12에는 S1240이 S1250보다 먼저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S1250이 S1240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고, S1240과 S1250이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2는 RRC 연결 재구성 절차가 수행된 경우 랜덤 액세스 절차의 진행 유무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며, 부서빙셀이 포함된 sTAG가 변경된 경우 단말과 기지국간의 동작 흐름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부서빙셀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 중 상기 부서빙셀이 포함된 sTAG가 변경된 경우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TAG 구성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RRC 연결 재구성 절차를 수행한다(S1300). 상기 RRC 연결 재구성 절차는 기지국이 TAG 구성정보를 포함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단말이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과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는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한다(S1310). 단말은 sTAG에서 상향링크 동기를 확보하지 못한 경우, 상기 sTAG에 대해 조정되어야 할 시간전진 값을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 진행을 위해 필요한 경우 활성화 지시자를 먼저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하여 확보한 상향링크 동기를 기반으로 상기 sTAG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S1320). 예를 들어 단말은 상향링크 동기를 맞추어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PUSCH,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등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sTAG에 구성된 부서빙셀1 상에서 PDCCH 지시를 단말로 전송한다(S1330). 상기 PDCCH 지시는 부서빙셀1에 관한 랜덤 액세스 절차의 개시를 단말에 지시한다.
기지국은 TAG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S1340).
단말은 부서빙셀1 상에서 상기 PDCCH 지시에 관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진행 중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말이 상기 TAG 구성정보를 기반으로 부서빙셀1이 다른 TAG로 변경되었음을 확인한 경우, 단말은 부서빙셀1 상에서 진행중인 랜덤 액세스 절차를 중지한다(S1350). 구체적으로 단말은 S1330에 관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부서빙셀1 상에서 전송하지 않고 랜덤 액세스 절차를 중지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무시 또는 폐기할 수도 있다.
단말은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360). 비록 도 13에서는 S1350이 S1360보다 먼저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S1350이 S1360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고,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기지국은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S1340의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이전에 부서빙셀1 상에서 진행되는 랜덤 액세스 절차가 중지된 것으로 여기고, 다음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1340을 통하여 단말의 TAG가 재구성되기 전에 부서빙셀1이 구성된 sTAG를 sTAG1, 단말의 TAG가 재구성된 후에 부서빙셀1이 구성된 sTAG를 sTAG2라 하면, 기지국은 이후에 sTAG1의 부서빙셀 상에서 단말로 PDCCH 지시를 전송함으로써 랜덤 액세스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sTAG2의 TAT가 진행 중인 경우 sTAG2에서 사용되는 시간전진 값을 이용하여 부서빙셀1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sTAG2의 TAT가 진행 중이 아닌 경우, 즉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 기지국은 필요한 경우 활성화 지시자를 먼저 전송하여 부서빙셀을 활성화 또는 재활성화시키고, sTAG2의 부서빙셀 상에서 PDCCH 지시를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랜덤 액세스 절차를 진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부서빙셀 재활성화라 함은 각 부서빙셀마다 구성된 비활성화 타이머를 재시작한다는 의미이다.
또한, 이와 같이 단말의 TAG가 재구성되어 부서빙셀을 포함한 TAG가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sTAG(예를 들어 새롭게 추가된 sTAG)로 재구성된 경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활성화 지시자를 수신하는 동작을 생략하고, 상기 부서빙셀을 활성화 또는 재활성화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부서빙셀이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sTAG로 재구성된 경우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TAG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한다(S1400). 단말은 상기 TAG 구성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의 TAG를 재구성한다.
일 예로, 부서빙셀을 통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수신이 일정시간 이상 이루어지지 않거나, 부서빙셀의 상향링크 동기가 맞지 않음을 기지국이 인지한 경우, 기지국은 부서빙셀이 다른 TAG에 포함되도록 TAG로부터 부서빙셀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TAG를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TAG 구성정보를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부서빙셀이 포함된 TAG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S1410). 여기서 부서빙셀이 구성된 TAG가 변경되었다 함은 부서빙셀이 기존에 포함된 TAG가 아닌 다른 TAG에 속하게 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단말에 TAG1이 구성되어 있고, TAG1={제1 부서빙셀, 제2 부서빙셀}이라 하자.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기반으로, TAG1={제1 부서빙셀}, TAG2={제2 부서빙셀}으로 재구성된 경우, 제2 부서빙셀이 포함된 TAG가 TAG1에서 TAG2로 변경되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TAG2는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TAG이다.
S1410에서 만약 부서빙셀이 구성된 TAG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440).
S1410에서, 만약 부서빙셀이 구성된 TAG가 변경된 경우, 단말은 변경 후의 TAG의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었는지 확인한다(S1420).
만약, 상기 변경 후의 TAG의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된 경우, 단말은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430). 여기서 변경 후의 TAG라 함은 상기 S1410에서 설명한 예에서 보았을 때, 제2 부서빙셀을 기준으로 TAG2를 나타낸다.
다시 S1420에서, 만약 변경 후의 TAG의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변경 후의 TAG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을 활성화한다(S1430). 이는 기지국에 의한 활성화 지시없이 단말이 자발적으로 부서빙셀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상기 변경 후의 TAG에 복수개의 부서빙셀들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 단말은 상기 변경 후의 TAG에 구성된 모든 부서빙셀들을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부서빙셀이 비활성화되어 있었다면, 단말은 상기 부서빙셀을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고, 만일 상기 부서빙셀이 활성화되어 있었다면 단말은 상기 부서빙셀을 재활성화한다. 여기서 상기 재활성화 동작은 부서빙셀에 설정되어 있는 비활성화 타이머(deactivation timer)를 재시작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TAG의 경우, TAT 타이머가 진행 중인 상황이 아니므로, 모든 상향링크 전송이 불가능하므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되어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기지국이 의도적으로 부서빙셀의 TAG를 변경하는 TAG 재구성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부서빙셀의 상향링크 동기를 확보할 의도가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 왜냐하면, 만일 기지국이 상향링크 동기를 확보할 의도가 없는 경우, 해당 부서빙셀의 상향링크 CC를 해제하거나 해당 부서빙셀을 비활성화시키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기지국은 단말로 추가적인 활성화 지시자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추가적인 활성화 지시자를 수신하지 않고, 바로 해당 부서빙셀의 활성화 또는 재활성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서빙셀이 단말 내 비활성화 타이머가 만료되어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기지국은 상기 부서빙셀이 비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명확히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해당 부서빙셀을 활성화하기 위해 상기 부서빙셀에 대한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자원할당을 위한 PDCCH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나, 단말은 상기 PDCCH를 제대로 수신하지 못하고 이를 HARQ NACK 정보를 통해 기지국으로 알려줄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은 상기 HARQ NACK 정보를 ACK 정보로 오인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비활성화 타이머를 재시작할 수 없으므로, 상기 부서빙셀은 비활성화 될 수 있으나, 기지국은 상기 부서빙셀이 활성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부서빙셀의 TAG가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TAG(예를 들어 새롭게 추가된 TAG)로 변경되면 상기 부서빙셀을 활성화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부서빙셀이 활성화 또는 재활성화되는 시점은 활성화 동작을 시작하는 서브프레임이 n인 경우 n+8의 위치에 있는 서브프레임에서부터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이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단말은 상기 부서빙셀의 활성화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한 서브프레임 또는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부서빙셀의 활성화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부서빙셀의 활성화 이후 단말은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440). 단말은 이후 변경 후의 TAG에 포함된 부서빙셀 상에서 기지국과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4에서는 부서빙셀이 포함된 TAG가 변경되어 부서빙셀이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sTAG로 포함된 경우 부서빙셀을 활성화시키는 동작이 단말을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TAG는 일 예로, 새롭게 추가된 TAG일 수 있으며, 부서빙셀이 새롭게 추가된 TAG로 재구성된 경우의 단말과 기지국의 일련의 동작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부서빙셀이 새롭게 추가된 TAG로 재구성된 경우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TAG 재구성에 의하여 TAG가 변경되고, 부서빙셀이 새롭게 추가된 TAG에 포함된 경우를 나타내었으며, 본 설명은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TAG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5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TAG를 재구성한다(S1500). 여기서 TAG 재구성은 셀 특정(cell-specific) 또는 기지국 특정(eNB-specific) 기준에 의한 TAG 구성과, 단말 특정(UE-specific) 기준에 의한 TAG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특정 기준에 의한 TAG 구성에서는 기지국이 네트워크의 배치(deployment) 환경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TAG를 재구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 특정 기준에 의한 TAG 구성에서는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절차 등을 기반으로 획득한 부서빙셀의 시간전진 값을 기반으로 TAG를 재구성할 수 있고, 부서빙셀을 통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수신이 일정시간 이상 이루어지지 않거나 부서빙셀의 상향링크 동기가 맞지 않음을 기지국이 인지한 경우, 기지국은 부서빙셀이 다른 TAG에 포함되도록 TAG로부터 부서빙셀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TAG를 재구성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TAG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S1510). 단말은 상기 TAG 구성정보를 기반으로 TAG를 재구성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TAG 구성정보를 기반으로 TAG를 재구성한 결과, 부서빙셀이 포함된 TAG가 새롭게 추가된 TAG로 변경된 경우, 즉, 부서빙셀이 새롭게 추가된 TAG에 속하게 된 경우, 상기 부서빙셀을 활성화한다(S1520). 여기서 새롭게 추가된 TAG라 함은 단말 기준에서, TAG 구성정보의 수신 전에는 없었던 인덱스의 TAG로서 TAG 구성정보에 의해 새롭게 추가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단말에 TAG1={제1 부서빙셀, 제2 부서빙셀}이 구성되고 RRC 연결 재구성 절차가 진행되었고, TAG1={제1 부서빙셀}, TAG2={제2 부서빙셀}으로 재구성된 경우, 여기서 TAG2는 단말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새롭게 추가된 TAG에 해당하고, 제2 부서빙셀은 새롭게 추가된 TAG에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단말은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530). 비록 도 15에서 S1520이 S1530보다 먼저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S1530이 S1520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고,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단말은 상기 부서빙셀에 관한 상향링크 동기를 확보하지 못하였으므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부서빙셀에 대해 조정되어야 할 시간전진 값을 획득하여야 한다. 이는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는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이후 단말과 기지국은 새로운 TAG에 구성된 상기 부서빙셀에 관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1540). S1520에서 단말이 이미 부서빙셀을 활성화 또는 재활성화하였으므로, 기지국은 별도의 활성화 지시자를 전송함이 없이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는 예를 들어, 기지국이 상기 부서빙셀에 관한 랜덤 액세스 절차의 개시를 지시하는 PDCCH 지시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단말이 상기 부서빙셀상에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기지국이 주서빙셀상에서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시간전진 값을 기반으로 상기 새로운 TAG의 시간전진 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S1550).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sTAG의 TAT가 만료된 경우 해당 sTAG를 초기화하여 신속히 TAG를 재구성할 수 있고, 부서빙셀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 진행 중 부서빙셀이 구성된 TAG가 변경된 경우 불필요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완료되기를 기다릴 필요없이 바로 변경 후 TAG(구체적으로는 변경 후 TAG에 구성된 부서빙셀들 중 하나)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또한 부서빙셀이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TAG(예를 들어 새롭게 추가된 TAG)로 재구성된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활성화 지시자를 기다릴 필요 없이 단말에서 부서빙셀을 활성화 또는 재활성화하고 바로 부서빙셀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르면 부서빙셀이 구성된 TAG가 변경된 경우, 부서빙셀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중이었는지 및 변경 후의 TAG가 새롭게 추가된 TAG(또는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TAG)인지에 따라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은 달라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과 기지국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TAG가 변경된 경우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말은 TAG의 재구성을 위한 TAG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거나, 다른 원인에 기하여 TAG를 초기화한다(S1600). TAG의 초기화의 원인은 TAG의 TAT 만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TAG의 TAT가 만료되면, TAG의 초기화가 트리거될 수 있다. TAG는 부서빙셀1(SCell1)을 포함한다.
단말은 부서빙셀1이 포함된 TAG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S1610).
만약 부서빙셀1이 포함된 TAG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진행 중인 동작을 속행한다. 예를 들어 만약 부서빙셀1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진행 중이었던 경우,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계속 진행한다. 만약 부서빙셀1을 통하여 상향링크 전송 중이었던 경우 전송을 계속 진행한다.
만약 부서빙셀1이 포함된 TAG가 변경된 경우 단말은 상기 부서빙셀1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인지 확인한다(S1620). 여기서 부서빙셀1 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이라 함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부서빙셀1에 관한 랜덤 액세스 절차의 개시를 지시하는 PDCCH 지시를 수신한 후,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랜덤 액세스 절차를 완료(complete)하기 전까지의 상태를 의미한다.
만약 부서빙셀1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이었다면 단말은 부서빙셀1상에서 진행 중이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중지한다(S1630). 이 경우, 만약 변경 후 TAG의 TAT가 진행 중이면, 단말은 변경 후의 TAG에서 사용되는 시간전진 값을 이용하여 부서빙셀1 상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만약 변경 후 TAG의 TAT가 진행 중이 아니면, 단말은 기지국과 상기 변경 후 TAG에 구성된 부서빙셀 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변경 후 TAG의 시간전진 값을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변경 후 TAG에 구성된 부서빙셀 상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개시할 수 있다.
다시 S1620에서, 만약 부서빙셀1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이 아니었던 경우, 단말은 부서빙셀1이 속하게 되는 변경 후의 TAG가 새롭게 추가된 TAG(또는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TAG)인지 확인한다(S1640).
만약 변경 후의 TAG가 새롭게 추가된 TAG가 아닌 경우 단말은 진행 중인 동작을 속행한다. 예를 들어, 변경 후의 TAG가 새롭게 추가된 TAG가 아니고, TAT가 진행 중인 경우(또는 변경 후 TAG가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sTAG가 아닌 경우, 변경 후 TAG는 TAT가 진행 중이다), 단말은 변경 후의 TAG에서 사용되는 시간전진 값을 이용하여 부서빙셀1 상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만약 변경 후의 TAG가 새롭게 추가된 TAG(또는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TAG)인 경우 단말은 새롭게 추가된 TAG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변경 후의 TAG가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TAG인 경우 변경 후의 TAG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을 활성화한다(S1450). 이 경우 단말은 새롭게 추가된 TAG에 포함된 부서빙셀 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새롭게 추가된 TAG의 시간전진 값을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새롭게 추가된 sTAG에 포함된 부서빙셀 상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의 동작에 대응되는 기지국의 동작은 예를 들어 도 17과 같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TAG가 변경된 경우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17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TAG의 재구성을 위한 TAG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S1700). 이후 단말은 상기 TAG 구성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의 TAG를 재구성하면,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의 전송은 이후의 단계가 진행되는 중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모든 단계가 완료된 이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기지국은 부서빙셀1이 포함된 TAG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S1710).
S1710에서 만약 부서빙셀1이 포함된 TAG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기지국은 진행 중인 동작을 속행한다. 예를 들어 만약 부서빙셀1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진행 중이었던 경우,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중지하지 않고 계속 진행한다. 만약 부서빙셀1을 통하여 상향링크 수신 중이었던 경우 상향링크 수신을 계속 진행한다.
S1710에서 만약 부서빙셀1이 포함된 TAG가 변경된 경우 기지국은 상기 부서빙셀1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인지 확인한다(S1720).
만약 부서빙셀1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인 경우, 기지국은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가 종료되기를 기다릴 필요없이, 변경 후 TAG에 구성된 부서빙셀2상에서 PDCCH 지시를 단말로 전송한다(S1730). 이 경우, 단말이 S1630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중지하므로,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가 종료되기를 기다릴 필요 없이 기지국은 필요시 바로 랜덤 액세스 절차의 개시를 지시하는 PDCCH 지시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S1700에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이전에 부서빙셀1 상에서 진행되는 랜덤 액세스 절차가 중지된 것으로 여기고, 상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S1720에서, 만약 부서빙셀1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이 아니었던 경우, 기지국은 변경 후의 TAG가 새롭게 추가된 TAG(또는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TAG)인지 확인한다(S1740).
만약 변경 후의 TAG가 새롭게 추가된 TAG가 아닌 경우 기지국은 진행 중인 동작을 속행한다. 예를 들어, 변경 후의 TAG가 새롭게 추가된 TAG가 아니고, TAT가 진행 중인 경우(또는 변경 후 TAG가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TAG가 아닌 경우, 변경 후 TAG는 TAT가 진행 중이다), 단말은 변경 후의 TAG에서 사용되는 시간전진 값을 이용하여 부서빙셀1 상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만약 변경 후의 TAG가 새롭게 추가된 TAG(또는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sTAG)인 경우 기지국은 새롭게 추가된 TAG에 포함된 부서빙셀2 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의 개시를 지시하는 PDCCH 지시를 전송한다(S1730).
이 경우, 단말이 S1650에서 새롭게 추가된 TAG에 포함된 부서빙셀(및 변경 후 TAG 구성 부서빙셀)을 활성화시키므로, 기지국은 별도로 활성화 지시자를 전송할 필요 없이 바로 랜덤 액세스 절차의 개시를 지시하는 PDCCH 지시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새롭게 추가된 TAG에 포함된 부서빙셀이 활성화 또는 재활성화된 것으로 보고, 바로 PDCCH 지시를 단말로 전송하고 랜덤 액세스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 후 기지국과 단말은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기반으로 상기 변경 후의 TAG의 시간전진 값을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변경 후의 TAG에 구성된 부서빙셀 상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개시 또는 재개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단말(1800)은 수신부(1805), 단말 프로세서(1810) 및 전송부(1820)를 포함한다. 단말 프로세서(1810)는 RRC 처리부(1811) 및 MAC 처리부(1812)를 포함한다.
수신부(1805)는 기지국(1850)으로부터 부서빙셀 구성정보, TAG 구성정보, PDCCH 지시(order),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활성화 지시자를 수신한다.
RRC 처리부(1811)는 RRC 절차에서 사용되는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기지국(1850)으로부터 수신한다. RRC 절차는 예를 들어, RRC 연결 설정 절차와 RRC 연결 재구성 절차를 포함한다. RRC 연결 재구성 절차에서 사용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부서빙셀 구성정보, TAG 구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RRC 처리부(1811)는 주서빙셀과, 반송파 집성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을 반송파 집성으로 단말(1800)에 구성한다. 부서빙셀을 단말(1800)에 추가적으로 구성하거나, 이미 구성된 부서빙셀을 제거하는 절차는 부서빙셀 구성정보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한편, RRC 처리부(1811)는 부서빙셀 구성정보 및 TAG 구성정보가 지시하는 TAG ID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TAG를 재구성한다. RRC 처리부(1811)는 TAG에 상기 부서빙셀이 포함되도록 상기 TAG를 재구성한다. 예를 들어, 부서빙셀 구성정보가 특정 부서빙셀의 추가 또는 제거를 위한 정보필드를 포함하는 경우, RRC 처리부(1811)는 상기 정보필드의 지시에 따라 부서빙셀을 추가하거나 제거하고, 부서빙셀이 추가되거나 제거되는 TAG를 갱신 또는 재구성한다.
또는 TAG 구성정보가 특정 부서빙셀이 특정 ID의 TAG로 맵핑됨을 지시하면, RRC 처리부(1811)는 TAG 구성정보에 기반하여 특정 부서빙셀을 상기 특정 ID의 TAG로 재구성한다. 특정한 TAG ID=0 이거나, TAG ID='Null' 이면, RRC 처리부(1811)는 상기 특정 부서빙셀이 디폴트로서 pTAG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특정 부서빙셀을 pTAG로 재구성한다. 또는 RRC 처리부(1811)는 상기 특정 부서빙셀을 어떠한 TAG에도 재구성하지 않는다.
또는, RRC 처리부(1811)는 단말에 구성된 sTAG의 TAT가 만료된 경우, 해당 sTAG를 초기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RC 처리부(1811)는 해당 sTAG의 구성을 해제하거나 해당 sTAG의 초기구성 상태로 되돌린다. sTAG를 초기구성 상태로 되돌리는 방법은 도 9의 단계 S920 또는 도 11의 단계 S1150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RRC 처리부(1811)는 MAC 처리부(1812)로부터 전달되는 부서빙셀에 관한 시간전진 값에 기반하여 TAG를 재구성할 수 있다. TAG 재구성의 일례로서, 시간전진 값이 기존에 구성된 TAG(pTAG 또는 sTAG)에 적용되는 시간전진 값과 동일한 TAG가 존재하는 경우, RRC 처리부(1811)는 추가된 부서빙셀을 해당 TAG로 매핑한다.
또한, RRC 처리부(1811)는 TAG 구성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의 TAG를 재구성한 결과, 새롭게 추가된 sTAG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새롭게 추가된 sTAG를 구성하는 부서빙셀을 활성화 또는 재활성화한다. 이 경우, RRC 처리부(1811)는 기지국에 의한 활성화 지시없이 자발적으로 부서빙셀을 활성화 또는 재활성화할 수 있다.
MAC 처리부(1812)는 PDCCH 지시에 따라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생성하고, 이를 전송부(1820)로 보낸다. 또한, MAC 처리부(1812)는 수신부(1805)로부터 전달받은 랜덤 액세스 응답(RAR) 메시지에서 부서빙셀에 관한 시간전진 값을 획득하고, 시간전진 값으로서 상기 부서빙셀에 관한 상향링크 동기를 제어한다. 또한, MAC 처리부(1812)는 시간전진 값을 RRC 처리부(1811)로 제공하여, RRC 처리부(1811)가 TAG 재구성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도 있다.
또한, MAC 처리부(1812)가 부서빙셀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 진행 중 RRC 처리부(1811)에 의한 TAG 재구성 등으로 상기 부서빙셀이 포함된 TAG가 다른 TAG로 변경된 경우, MAC 처리부(1812)는 상기 부서빙셀상에서 진행 중이었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중지한다. 예를 들어, MAC 처리부(1812)가 아직 전송부(1820)을 통하여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기지국(1850)으로 전송하기 전에는 MAC 처리부(1812)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생성 또는 전송을 중지한다. 또는 MAC 처리부(1812)가 전송부(1820)을 통하여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기지국(1850)으로 전송하였으나, 아직 수신부(1805)를 통하여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이후 수신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무시 또는 폐기한다.
또한, RRC 처리부(1811)에서 TAG를 재구성한 결과, 단말에 새롭게 추가된 TAG(또는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TAG)가 존재하는 경우, RRC 처리부(1811)는 상기 새롭게 추가된 TAG(또는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TAG)를 구성하는 부서빙셀을 활성화 또는 재활성화할 수 있다. 이는 기지국(1850)의 MAC 처리부(1872)에 의한 활성화 지시없이 단말(1800)의 RRC 처리부(1811)가 자발적으로 부서빙셀을 활성화 또는 재활성화하는 것이다
전송부(182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 또는 활성화 지시자를 기지국(1850)으로 전송한다.
기지국(1850)은 전송부(1855), 수신부(1860) 및 기지국 프로세서(1870)를 포함한다. 기지국 프로세서(1870)는 RRC 처리부(1871) 및 MAC 처리부(1872)를 포함한다.
전송부(1855)는 부서빙셀 구성정보, TAG 구성정보, PDCCH 지시, RAR, 활성화 지시자를 단말(1800)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부(1855)는 부서빙셀 구성정보에 TAG 구성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고, 부서빙셀 구성정보와 TAG 구성정보를 독립 개별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수신부(186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및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단말(1800)로부터 수신한다.
RRC 처리부(1871)는 단말(1800)에 대한 부서빙셀의 추가 또는 제거를 결정한다. 일례로서, 단말(1800)이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이 감소하거나, 핸드오버로 서빙 기지국의 부서빙셀과의 접속을 해제하는 경우에 RRC 처리부(1871)는 단말(1800)에 구성된 부서빙셀의 제거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1800)에 지원해야 하는 대역폭이 증가하는 경우 또는 핸드오버에 의해 타겟 기지국의 새로운 셀로 접속하는 경우 RRC 처리부(1871)는 단말(1800)에 부서빙셀의 추가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부서빙셀의 추가 또는 제거는 부서빙셀 구성정보의 변경 또는 갱신에 해당한다.
RRC 처리부(1871)는 단말(1800)에 대한 TAG의 재구성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특정 TAG의 TAT가 만료된 경우 RRC 처리부(1871)는 네트워크의 배치환경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TAG를 재구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RRC 처리부(1871)는 랜덤 액세스 절차 등을 기반으로 획득한 부서빙셀의 시간전진 값을 기반으로 TAG를 재구성할 수 있고, RRC 처리부(1871)는 부서빙셀을 통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수신이 일정시간 이상 이루어지지 않거나 부서빙셀의 상향링크 동기가 맞지 않음을 확인한 경우, RRC 처리부(1871)는 부서빙셀이 다른 TAG에 포함되도록 TAG로부터 부서빙셀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TAG를 재구성할 수도 있다.
RRC 처리부(1871)는 TAG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부(1855)로 보낸다.
RRC 처리부(1871)는 상기 부서빙셀 구성정보와 상기 TAG 구성정보를 하나의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도 있고, 서로 다른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또는, RRC 처리부(1871)는 상기 TAG 구성정보를 상기 부서빙셀 구성정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부서빙셀에 관한 TAG ID='Null'이거나, TAG ID=0이면, 추가되는 부서빙셀은 임시적으로 pTAG에 맵핑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도 있고, 어떠한 TAG에도 맵핑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MAC 처리부(1872)는 추가되는 부서빙셀의 상향링크 동기를 위한 시간전진 값의 획득을 위해, PDCCH 지시자를 생성하여 전송부(1855)로 보낸다. 그리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부(186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부서빙셀상에서 단말(1800)로부터 수신한다.
MAC 처리부(1872)는 부서빙셀이 비활성화된 경우, PDCCH 지시자를 생성하기 전에 부서빙셀을 활성화하는 활성화 지시자를 생성하여 전송부(1855)로 보낼 수 있다.
MAC 처리부(1872)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수신 시점에 기반하여, 추가되는 부서빙셀의 시간전진 값을 획득하고, RRC 처리부(1871)는 시간전진 값에 기반하여 추가되는 부서빙셀을 특정한 TAG로 재구성한다. 예를 들어, 부서빙셀의 추가시 pTAG로 재구성된 상태에서 시간전진 값이 pTAG와 동일하면, RRC 처리부(1871)는 TAG를 재구성하지 않는다. 또는 부서빙셀의 추가시 pTAG로 재구성된 상태에서 시간전진 값이 pTAG와 다르고, 다른 sTAG와 동일하면, RRC 처리부(1871)는 추가되는 부서빙셀을 상기 sTAG로 재구성한다. 또는, 부서빙셀의 추가시 pTAG로 재구성된 상태에서 시간전진 값이 pTAG와 다르고, 다른 sTAG와도 다르면, RRC 처리부(1871)는 추가되는 부서빙셀을 새로운 sTAG로 재구성한다.
RRC 처리부(1871) 재구성된 TAG를 단말(1800)에 알려주기 위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부(1855)로 전달한다.
한편, MAC 처리부(1872)가 부서빙셀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진행 중 TAG 재구성 등으로 상기 부서빙셀이 포함된 sTAG가 다른 sTAG로 변경된 경우, MAC 처리부(1872)는 상기 부서빙셀상에서 진행 중이었던 랜덤 액세스 절차가 끝나기를 기다릴 필요 없이, PDCCH 지시를 전송부(1855)를 통하여 단말(18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MAC 처리부(1872)는 RRC 처리부(1871)가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가 중지된 것으로 여기고, 새로운 랜덤 액세스 절차의 개시를 지시하는 PDCCH 지시를 전송부(1855)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RRC 처리부(1871)에서 TAG를 재구성한 결과, 단말(1800)에 새롭게 추가된 TAG(또는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TAG)가 존재하는 경우, MAC 처리부(1872)는 상기 새롭게 추가된 TAG(또는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TAG)를 구성하는 부서빙셀에는 활성화 지시자를 전송부(1855)를 통해 단말(180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비록 상기 새롭게 추가된 TAG(또는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TAG)를 구성하는 부서빙셀이 비활성화 되어 있더라도, MAC 처리부(1872)는 활성화 지시자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새롭게 추가된 TAG(또는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TAG)를 구성하는 부서빙셀은 기지국(1850)의 MAC 처리부(1872)에 의한 활성화 지시없이 단말(1800)의 RRC 처리부(1811)에 의해 활성화 또는 재활성화된다. 따라서 이 경우, 기지국(1850)의 MAC 처리부(1872)는 활성화 지시없이 상기 새롭게 추가된 TAG를 구성하는 부서빙셀상으로 랜덤 액세스 절차의 개시를 지시하는 PDCCH 지시를 생성하여 전송부(1855)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RRC 처리부(1871)가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MAC 처리부(1872)는 상기 새롭게 추가된 TAG(또는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TAG)에 포함된 부서빙셀이 활성화된 것으로 여기고, 랜덤 액세스 절차의 개시를 지시하는 PDCCH 지시를 전송부(1855)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동기를 획득하는 단말에 있어서,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 SCell)의 상향링크 시간의 동기를 위한 시간전진 값의 획득에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전송을 제어하는 MAC(medium access control) 처리부;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부서빙셀이 맵핑되는 새로운 TAG를 나타내는 TAG 구성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TAG 구성정보에 기반하여, 현재 TAG에서 상기 부서빙셀을 제거하고, 상기 새로운 TAG에 상기 부서빙셀을 포함시키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MAC 처리부는 상기 부서빙셀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인지 판단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인 경우,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RC 처리부는 상기 새로운 TAG의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 상기 새로운 TAG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시간전진 값을 전송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부서빙셀의 상향링크 시간의 동기를 위한 시간전진 값의 획득에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절차의 개시를 지시하는 PDCCH 지시(order) 및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제어하는 MAC 처리부;
    상기 PDCCH 지시 및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와 상기 부서빙셀이 맵핑되는 새로운 TAG를 나타내는 TAG 구성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현재 TAG에서 상기 부서빙셀을 제거하고, 상기 새로운 TAG에 상기 부서빙셀이 포함되도록 상기 TAG를 재구성하는 RRC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MAC 처리부는 상기 부서빙셀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인지 판단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인 경우,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가 종료되기를 기다리지 않고, 상기 부서빙셀상으로 PDCCH 지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MAC 처리부는 상기 새로운 TAG의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 상기 새로운 TAG에 포함된 부서빙셀에 관한 활성화 지시자 전송 없이, 상기 부서빙셀상으로 PDCCH 지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5.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한 상향링크 동기를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부서빙셀의 상향링크 시간의 동기를 위한 시간전진 값의 획득에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부서빙셀이 맵핑되는 새로운 TAG를 나타내는 TAG 구성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시간전진 값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TAG 구성정보에 기반하여, 현재 TAG에서 상기 부서빙셀을 제거하고, 상기 새로운 TAG에 상기 부서빙셀을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부서빙셀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인지 판단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인 경우,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동기의 획득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TAG의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 상기 새로운 TAG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동기의 획득방법.
  7.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시간전진 값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부서빙셀의 상향링크 시간의 동기를 위한 시간전진 값의 획득에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절차의 개시를 지시하는 PDCCH 지시(order)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시간전진 값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부서빙셀이 맵핑되는 새로운 TAG를 나타내는 TAG 구성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현재 TAG에서 상기 부서빙셀을 제거하고, 상기 새로운 TAG에 상기 부서빙셀이 포함되도록 상기 TAG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부서빙셀상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인지 판단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가 진행 중인 경우,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가 종료되기를 기다리지 않고, 상기 부서빙셀상으로 PDCCH 지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전진 값의 전송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TAG의 상향링크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 상기 새로운 TAG에 포함된 부서빙셀에 관한 활성화 지시자 전송 없이, 상기 부서빙셀상으로 PDCCH 지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전진 값의 전송방법.
KR1020120047706A 2012-05-04 2012-05-04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시간전진그룹 운영 방법 및 장치 KR20130124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706A KR20130124080A (ko) 2012-05-04 2012-05-04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시간전진그룹 운영 방법 및 장치
PCT/KR2013/002200 WO2013165093A1 (ko) 2012-05-04 2013-03-18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시간전진그룹 운영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706A KR20130124080A (ko) 2012-05-04 2012-05-04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시간전진그룹 운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080A true KR20130124080A (ko) 2013-11-13

Family

ID=49514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706A KR20130124080A (ko) 2012-05-04 2012-05-04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시간전진그룹 운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124080A (ko)
WO (1) WO20131650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62758B2 (en) 2014-08-05 2019-10-29 Qualcomm Incorporated Timing alignment procedures for dual PUCCH
CN107889270A (zh) * 2016-09-30 2018-04-06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的方法、装置及系统
CN109964514B (zh) * 2017-11-01 2021-06-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定时提前组标识的设置、配置方法及装置和用户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004B1 (ko) * 2008-06-02 2013-03-0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타이밍 조정 방법, 이동국, 기지국 및 이동 통신 시스템
US9084195B2 (en) * 2010-04-01 2015-07-14 Nokia Technologies Oy Multiple timing advance and carrier aggregation
US9402255B2 (en) * 2010-09-30 2016-07-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iming advance configuration for multiple uplink component carri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65093A1 (ko)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002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plink synchronizing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KR10208473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타이밍을 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38301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送信方法及び装置
JP656887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上向きリンクデータの送信方法及びこのために装置
KR10181012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의 수행장치 및 방법
US201401123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uplink synchronization in multi-component carrier system
KR20120136867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동기의 수행장치 및 방법
KR2016013236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random access procedure) 내 단말에 임시 식별자를 할당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30097586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의 수행 장치 및 방법
KR2013000109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의 수행장치 및 방법
WO2013107171A1 (zh) 一种多载波系统的随机接入方法及系统及终端及基站设备
KR2013008370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의 수행장치 및 방법
EP2810499B1 (en) User equipment, radio base station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time alignment timer
KR20130032178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의 수행장치 및 방법
KR20150051093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KR20130124080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시간전진그룹 운영 방법 및 장치
KR10191121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의 수행장치 및 방법
KR2012013228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의 수행장치 및 방법
KR20130032806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의 수행장치 및 방법
KR2012013228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의 수행장치 및 방법
KR2012013721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의 수행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