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700A - The fixed quantity feeder for the powdered milk - Google Patents

The fixed quantity feeder for the powdered mil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700A
KR20130123700A KR1020120047026A KR20120047026A KR20130123700A KR 20130123700 A KR20130123700 A KR 20130123700A KR 1020120047026 A KR1020120047026 A KR 1020120047026A KR 20120047026 A KR20120047026 A KR 20120047026A KR 20130123700 A KR20130123700 A KR 20130123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powder
quantitative
water
inform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0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원용
Original Assignee
용비에이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비에이티(주) filed Critical 용비에이티(주)
Priority to KR1020120047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3700A/en
Publication of KR20130123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7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1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hereby the powder ingredients and the water are delivered to a mixing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1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computer or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47J31/5253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of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ed quantity feeder for powdered milk which supplies fixed quantity of water, and s the water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 user can input information for the water supply quantity and the powdered milk feeding tim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the fixed quantity of powdered milk in warm water and notifying the powdered milk feeding time.

Description

정량 분유 공급기{THE FIXED QUANTITY FEEDER FOR THE POWDERED MILK}Quantitative formula feeder {THE FIXED QUANTITY FEEDER FOR THE POWDERED MILK}

본 발명은 정량의 따듯한 물과 정량의 분유를 자동으로 젖병에 공급할 수 있는 정량 분유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antitative milk powder feeder capable of automatically supplying quantitative warm water and quantitative milk powder to a baby bottle.

최근 육아용품 시장의 고도화와 고급화에 따라 젖병세척 분야에도 자동화된 기기가 도입되고 있으며, 고도의 멸균이 요구되는 젖병을 자동으로 살균하여 주는 장치 역시 꾸준한 연구 개발이 이어지고 있다. Recently, with the advancement and the high-end of the baby care products market, automated equipment is being introduced in the field of baby bottle washing, and the device for automatically sterilizing the baby bottle requiring high sterilization has also been continuously developed.

한편, 분유를 위생적이고 신속하게 타서 유아의 욕구를 신속히 해결해 줌은 물론이고 수유 시기 이후에는 미숫가루와 같은 가루 음식물을 탈 수 있고 이러한 용도로 사용 중에도 항상 정수와 온수를 음용(飮用)할 수 있게 하는 정수와 온수공급 기능을 가지는 분유 믹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기기들도 공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On the other hand, milk powder can be quickly and easily solved for infants' needs, as well as powdered foods such as wheat flour after the feeding period, and drinking water and hot water can be consumed at all times during this purpose. In order to provide a powdered milk mixer having a water purification function and a hot water supply function, devices are also being supplied.

이 정수와 온수공급 기능을 가지는 분유 믹서는, 수도라인에 직접 연결되어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다중 필터, 이 필터에 연결되어 정수된 물의 유입을 자동으로 단속하여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탱크, 이 저장탱크에 각각 독립적인 관로로 연결되어 이 저장탱크로부터의 물 공급을 단속하도록 제어부의 입력단에 연결 된 분유선택 스위치, 온수선택 스위치, 정수선택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각각 작동되도록하며, 그리고 이 UV램프에 의하여 살균된 젖병에 설정된 양의 분유를 호퍼로부터 공급하기 위하여 이 호퍼의 하측에 구비된 이송 스크류를 모터로 구동시키도록 이 모터를 제어부의 출력단에 연결하여 구성되는 분유 피더를 포함하고 있다. The powdered milk mixer with water purification and hot water supply function is a storage tank that stores water of a certain amount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inflow of purified water connected to this filter. Each tank is connected to an independent pipeline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owdered milk selection switch, the hot water selection switch, and the purified water selection switch connected to the input of the control unit to control the water supply from the storage tank. In order to supply the amount of milk powder set in the bottle sterilized by the UV lamp from the hopper, the milk powder feeder is configured by connecting the motor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so as to drive the feed screw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hopper with the motor. .

한편, 젖병을 세척하는 기기들도 개발되어 젖병을 세척하는 기본 방식을 살펴보면 아래 소개한 선행기술 문헌에서와 같이, 배수가 잘 되도록 마개를 분리한 젖병을 거꾸로 거치시키고, 젖병의 내부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거나 또는 젖병을 물에 담근 상태로 초음파 진동을 유발하여 오물을 제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quipment for washing the bottle has also been developed to look at the basic method of washing the bottle, as shown in the prior art document introduced below, the bottle is separated from the stopper so that the drainage well, and the high-pressure washing water inside the bottle Spraying or soaking the bottle in water to cause ultrasonic vibrations to take the way to remove dirt.

하지만 상기의 제품들도 정량적인 온수 공급, 정량적인 분유 공습 및 상기의 기능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제어 방법등에서 효율적 제어가 되도록 할 필요가 있으나 이러한 부분에서는 미흡한 실정이다. However, the above products also need to be efficiently controlled in a quantitative hot water supply, quantitative milk powder air raid, and a control method that manages the above functions in an integrated manner.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공개 특허 10-2003-0049709Prior Ar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03-0049709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공개 특허 10-2010-0098477Prior Art 2: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0-009847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한 것으로서, 분유를 위생적이고 신속하게 타서 유아의 욕구를 신속히 해결해 줌은 물론이고 수유 시기 이후에는 미숫가루와 같은 가루 음식물을 탈 수 있도록 한다. 즉, 정량의 온수와 정량의 분유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주며, 분유 수유 시간도 알려 줄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oints, so that milk powder can be burned quickly and hygienically to solve the needs of infants as well as to be able to burn powdered foods such as wheat flour after the feeding period. That i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supply the quantitative hot water and quantitative milk powder, and also inform the milk powder feeding time.

상기 목적은, 정량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일정한 온도로 상기 물을 데울 수도 있는 기능이 구비된 정량 분유 공급기에서, 상기 물이 공급되는 양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정보의 양에 따라 물이 배출되며, 분유 수유 시간에 대한 정보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달성된다.The object is that, in the quantitative milk powder feeder, which is capable of supplying water quantitatively, and having the function of heating the water at a constant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input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inputted This is achieved by allowing water to be discharged and allowing input of information on the milking time.

그리고, 상기 정보를 입력할 때 상기 정량 분유 공급기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하여 정보를 입력하고, 정략적으로 분유를 공급할 수 있는 기능이 더 추가된다. In addition, when the information is input, a function of inputting information through a terminal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quantitative milk powder supply unit, and additionally, a function of supplying milk powder is added.

또한, 분유가 입력되는 양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정보를 입력할 때 정량 분유 공급기를 통하여 입력하거나 상기 정량 분유 공급기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단말기를 통하여 정보를 입력한다. In addition,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milk powder may be input, and when the information is input,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a terminal for supplying or receiving information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quantitative milk powder supply unit or the short term communication. do.

한편, 분유 수유 시간을 제어부가 확인할 수 있고, 분유 수유 시간이 되었음에도 분유 수유 동작이 되지 않으면 알람을 작동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can check the milk powder feeding time, and if the milk powder feed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even when the milk powder feeding time is activated, the alarm is activated.

아울러, 상기 알람은 정량 분류 공급기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하고, 상기 알람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주고 받는 휴대 단말기를 통한다,In addition, the alarm is via a speaker provided in the quantitative classification supply, the alarm is via a portable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정량의 온수와 정량의 분유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주며, 분유 수유 시간도 알려 줄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supply the quantitative hot water and quantitative milk powder, and also inform the milk powder feeding time.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정량 분유 공급기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내지 도 5는 정량적으로 생수를 공급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내지 도 8은 정량적으로 분유를 공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중탕기가 더 구비되는 실시예이 도면이다.
도 11과 도 12는 복수의 젖병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3내지 도 15는 분유를 공급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6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시스템 제어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9와 도 20은 본 발명의 실행 흐름도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1 and 2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quantitative milk powder f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supplying bottled water quantitatively.
6 to 8 are diagrams of embodiments showing a method of supplying milk powder quantitatively.
9 and 10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water bath is further provided.
11 and 12 are views of an embodiment for mounting a plurality of feeding bottles,
13 to 15 are diagrams of yet another embodiment of supplying milk powder.
16-18 are diagrams of embodiments illustrating system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19 and 20 are diagrams of an embodiment showing a flowchart of exec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량 분유 공급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quantitative milk powder fee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즉, 본 발명에서는 분유를 위생적이고 신속하게 타서 유아의 욕구를 신속히 해결해 줌은 물론이고 수유 시기 이후에는 미숫가루와 같은 가루 음식물을 탈 수 있도록 한다. 즉, 정량의 온수와 정량의 분유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주며, 분유 수유 시간도 알려 줄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dered milk is hygienic and quickly burned to solve the needs of infants quickly, as well as to be able to burn powdered foods such as wheat flour after the feeding period. That i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supply the quantitative hot water and quantitative milk powder, and also inform the milk powder feeding time.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정량 분유 공급기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1 and 2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quantitative milk powder f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처럼 생수를 공급할 수 있는 생수 공급통(이하 물통)(30)이 상단에 구비되고, 하부에는 젖병(50)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조작판(20)에는 디스플레이(21)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 상황이나, 정량 분유 공급기의 작동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버튼(22)이 구비될 수가 있다.As shown in Figure 1 is provided with a bottled water bott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ucket) 30 that can supply bottled water to the top, the lower bottle 50 to be mounted. In addition, the operation panel 20 is provided with a display 21 so that the user's operation status an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ixed milk powder feeder can be known. Thus, the button 22 can be provid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정량 분유 공급기는 상기 물통(30)에 의하여 공급되는 생수를 온수로 바꾸어서 정량적으로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quantitative milk powder f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pplied quantitatively by changing the bottled water supplied by the bucket 30 to hot water.

한편, 마이크(23)가 더 구비되어 마이크를 통해 원하는 특별한 소리를 녹음할 수도 있으며, 연결 단자(25)를 통해서는 녹음하고자 하는 소리가 저장된 외부 기기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정량 분유 공급기에 전달할 수가 있다. 아울러, 스피커(24)는 필요한 소리를 출력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microphone 23 is further provided to record the desired special sound through the microphone, and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25 can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that stores the sound to be recorded to transfer the data to the milk powder supply. . In addition, the speaker 24 is able to output the required sound.

즉, 본 발명의 정량 분유 공급기는 유아들이 좋아하는 적당한 진동의 소리, 자연의 소리 혹은 산모의 목소리 등을 저장하였다가 필요할 때 스피커(24)를 통해서 출력할 수가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quantitative milk powder f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the sound of the appropriate vibration, the sound of nature or the mother's voice that children like, and output it through the speaker 24 when necessary.

또한, 상기 스피커(24)를 통해서는 분유의 수유 시간을 알려주는 기능을 할 수도 있게 된다, In addition, through the speaker 24 it is also possible to function to inform the feeding time of the powdered milk,

도 2는 정량 분유 공급기 상단에 분유 공급통(이하 분유통)(80)이 더 구비될 수가 있다. 이에따라, 본 발명에서는 정량적으로 온수를 공습할 수 있음과 함께 정량적으로 분유도 공급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2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owdered milk supply contain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owdered milk container) 80 at the upper end of the fixed-quantity milk powder supplier.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antitatively raid hot water and to have a function of supplying milk powder quantitatively.

도 3내지 도 5는 정량적으로 생수를 공급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3 to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supplying bottled water quantitatively.

단면도 도 3과 사시도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정량 토출장치는, 실린더 및 피스톤이 구비되는 액체 정량 토출기로서, 일측에 액체 저장탱크(30a)와 연통되는 유입구(31)가 형성되고 하방으로 토출구(32)가 구비된 실린더실(33)을 형성하는 고정실린더(34), 상기 실린더실(33)에서 승강되며 몸체 내부에 밸브통로(35)가 관통형성되는 피스톤(36), 상기 밸브통로(35)에 관통 결합되고 선단부가 상기 실린더실의 토출구(32)를 개폐하는 피스톤밸브(37), 상기 피스톤(36)과 피스톤밸브(37)를 유기적으로 동작시키는 동작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동작에 의해 개폐부(32a)가 토출구(32)를 막아주거나 열어주게 된다. 3 and perspective view, the metered discharge device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is a liquid metered discharger having a cylinder and a piston, and has an inlet 31 communicating with a liquid storage tank 30a on one side. Is formed and the fixed cylinder 34 to form a cylinder chamber 33 having a discharge port 32 downward, the piston 36 is elevated in the cylinder chamber 33 and the valve passage 35 is formed through the body 36 ), The piston valve (37) penetrately coupled to the valve passage (35)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32) of the cylinder chamber, and to operate the piston (36) and the piston valve (37) organically. do. 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2a blocks or opens the discharge port 32 by the above operation.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혹은 자력을 포함하는 구동수단(P), 상기 피스톤(36)과 피스톤밸브(37)를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3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It comprises a driving means (P) including a motor or magnetic force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a spring 38 for returning the piston 36 and the piston valve 37, and the like.

여기서, 상기 실린더실(33)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구(31)의 최저위치는 실린더실에 수용되는 액체의 토출 정량수위 직상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lowest position of the inlet 31 formed on one side of the cylinder chamber 33 is preferably located directly above the discharge fixed water level of the liquid accommodated in the cylinder chamber.

상기 실린더실(11)은 상부에 스프링(41) 설치를 위한 단차부(38)(38a)가 형성되고, 하방에는 토출구(32)와 멈춤 플랜지(39) 및 토출관(40)이 돌출 형성되게 된다. The cylinder chamber 11 has a step portion 38 (38a) for the spring 41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the discharge port 32, the stop flange 39 and the discharge tube 40 protruded downward do.

결과적으로, 구동 수단(P)가 피스톤 머리(37a)를 상하로 이동하므로서, 토출관을 통해 토출되는 생수의 양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As a result, the driving means P moves the piston head 37a up and down, thereby controlling the amount of bottl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tube.

도 5는 물통에서 공급되는 생수의 공급 제어도를 나타낸 도면이 된다.5 is a view showing a supply control diagram of the bottled water supplied from the bucket.

물통(30)에서 바로 유입구(31)로 생수가 공급되지 않고, 저수조(30a)를 통하여 유입구(31)에 생수가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30a)에는 센서(46)가 구비되어 저수조(30a)의 수위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센서는 저수조의 수위를 감지하거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라고 할 수 있다. The bottled water is not directly supplied to the inlet 31 from the bucket 30, and the bottled water is supplied to the inlet 31 through the reservoir 30a. And the reservoir (30a) is provided with a sensor 46 to maintain a constant water level and temperature of the reservoir (30a). That is, the sensor may be referred to as a sensor for sensing the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or the temperature.

온도 감지를 위해서는 통상의 전자 온도계를 구비하면 된다. 그리고, 수위를 감지하가 위해서는 통상의 수위 감지 방법에 사용되는 전극봉을 사용하거나 물위에 뜰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여 밸브 감지로서 수위를 감지 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수위 감지 기기를 발명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일반적인 수위 감지 센서를 본 발명에 적용하는 것이다.For temperature sensing, a conventional electronic thermometer may be provided. And, in order to detect the water level can be used a method that can detect the water level as a valve detection using the electrode used in the normal level detection method or using a device that can float on the water.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vent the water level sensing device but applies a general general water level sensing sensor to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저수조(30a)가 정해진 일정량의 수위를 넘기면 제어부는 밸브(45)를 닫게 되어, 물통(30)에서 저수도(30a)로 생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저수조의 수위가 일정량의 수위 아래로 되면, 제어부(90)는 밸브(45)를 열어주어 물통(30)에서 저수도(30a)로 생수가 공급되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reservoir 30a exceeds a predetermined level of water, the control unit closes the valve 45, thereby preventing the bottled water from being supplied to the reservoir 30a. The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is below a certain amount of water level, the control unit 90 opens the valve 45 so that the bottled water is supplied from the bucket 30 to the reservoir 30a.

한편, 저수조(30a)에는 히터(33)가 구비되어 온도 센서(46)에 의해 제어부(90)는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eservoir (30a) is provided with a heater 33, the control unit 90 by the temperature sensor 46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eat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아울러, 자외선 램프(34)도 더 구비될 수가 있어, 저수조(30a)에 저장된 생수를 살균처리 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자외선 램프는 항시 켜 있도록 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예를들어 물통(30)으로부터 새롭게 생수가 공급되면 일정 시간 자외선 램프가 켜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제어는 제어부(90)가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ultraviolet lamp 34 may be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bottled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30a can be sterilized. The UV lamp does not need to be on at all times. For example, when fresh water is newly supplied from the bucket 30, the ultraviolet lamp is turned on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such control can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90 by a predetermined algorithm.

결과적으로, 저수조(30a)의 수위가 일정량을 유지하도록 하므로서 유입구(31)에 공급되는 수압이 항시 일정하도록 유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토출구(32)를 개폐하는 피스톤밸브(37)의 시간 만을 제어하므로서 생수가 정량적으로 공급될 수가 있는 것이다. As a result, the water pressure supplied to the inlet 31 is kept constant at all times while maintaining the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30a at a constant amount. Therefore, by controlling only the time of the piston valve 37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32, the bottled water can be quantitatively supplied.

물론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생수의 정량 공급 장치는 하나의 일 실시예을 뿐으로, 정량적으로 생수를 공급할 수 있는 통상적인 기기와 방법은 모두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Of course, the quantitative supply device of bottled water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one embodiment, it is natural that all the conventional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the quantitative water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내지 도 8은 정량적으로 분유를 공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6 to 8 are diagrams of embodiments showing a method of supplying milk powder quantitatively.

도 6은 정량적으로 분유(도면에서 점의 이동으로 표시함)를 공급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개요도이다. 분유통(80)은 장착부(81)와 지지부(81a)(85a)에 장착되게 된다. 그리고, 장착부(81)에는 분유 출구가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유 출구(82)를 통해 정해진 일정량(예를 들면 한스푼 혹은 40g)의 분유가 배출되게 된다. FIG. 6 is a general schematic diagram of how milk powder (indicated by the movement of dots in the figure) can be quantitatively supplied. The milk powder container 80 is mounted to the mounting portion 81 and the support portions 81a and 85a. Then, the powdered milk outlet is present in the mounting portion 81. Then, a predetermined amount (for example, one spoon or 40 g) of powdered milk is discharged through the powdered milk outlet 82.

그리고, 일정량으로 배출된 분유는 이동통(85)를 통하여 투입통(86)에 위치하게 된다. 만일 정해진 정량이 40g이라면 분유 40g이 일차적으로 투입통(86)에 저장되게 되는 것이다. Then, the powdered milk discharged in a predetermined amount is positioned in the input container 86 through the mobile cylinder 85. If the fixed amount is 40g, 40g of powdered milk will be stored in the input container 86 primarily.

즉, 투입통(86)에 정량이 채워지면, 피스톤(92a)과 레버(93a)가 작동되어 출구(89)가 열리게 되고, 투입통(86)에 저장된 정량의 분유가 출구(89)를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된 분유는 연결부(92)를 통해 젖병(50)에 공급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부(92)는 젖병(50)과 연결되는 관이 된다.That is, when a fixed amount is filled in the input container 86, the piston 92a and the lever 93a are operated to open the outlet 89, and the powdered milk powder of the fixed amount stored in the input container 86 passes through the outlet 89. Will be discharged. The discharged milk powder is supplied to the baby bottle 50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92. As a result, the connection portion 92 becomes a tube connected to the baby bottle 50.

한편, 상기 레버(93a)는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구동장치(모터나 전자석)의 동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실린더(87b)와 피스톤(92a) 및 스프링(87a)의 작동에 의해 이동이 복원되어 닫혀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t is natural that the lever 93a can be moved by the power of the driving device (motor or electromagne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90. The movement is restored and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87b, the piston 92a and the spring 87a.

도 7은 분유통(80)의 분유(도면에서 점의 이동으로 표시함)가 일정량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된다. 즉, 회전 나사(94)가 분유통(80)의 분유에 삽입되어 위치하게 되고, 외부 동력과 연결된 동력 전달 나사(95)는 동력전달 기어(96)를 통해 회전 나사(94)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dered milk (indicated by movement of a dot in the drawing) of the powdered milk container 80. That is, the rotary screw 94 is inserted into the milk powder of the milk bottle 80 and positioned, and the power transmission screw 95 connected to external power transmits power to the rotary screw 94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gear 96. do.

따라서, 외부 모터 등이 동력 전달 나사(95)을 회전 시키면 상기 회전 동력은 회전 나사(94)를 회전 시키게 된다. 그렇게 되면 상기 회전 나사(94)의 나사홈을 따라 분유가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when an external motor or the like rotates the power transmission screw 95, the rotational power rotates the rotation screw 94. Then, the powdered milk moves down along the screw groove of the rotating screw 94.

즉, 회전 나사(94)의 이동 거리를 조절하여 분유의 정량 배출을 유도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 나사(94)가 아래로 이동하면 분유가 따라서 배출되고 다시 회전 나사가 위로 올라간 다음 다시 아래로 이동하게 되면 또 다시 분유가 배출될 수 있도록 사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즉, 상기 회전 나사(94)를 위 아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므로서 분유의 정량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들어 상기 회전 나사(94)가 상하로 10번 반복하여 40g의 우유가 투입통(86)에 쌓이게 되면, 제어부(90)는 레버(95)와 연결된 동력을 작동 시켜서, 분유가 투입통(86)에서 연결부(92)로 배출되게 된다. In other words, by adjust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rotating screw 94 to induce the quantitative discharge of milk powder. When the rotating screw 94 is moved downward, the powdered milk is discharged accordingly, and if the rotating screw is moved up again and then moved downward again, it uses the principle of buying so that the powdered milk can be discharged again. That is, by controlling the rotating screw 94 to move up and down,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milk powder quantitatively. For example, when the rotating screw 94 is repeatedly repeated 10 times up and down, 40g of milk accumulates in the feeding container 86, the control unit 90 operates the power connected to the lever 95, so that the powdered milk is fed into the feeding container ( At 86, it is discharged to the connection part 92.

당연히 상기 회전 나사의 제어는 동력 전달 나사(95)와 연결된 모터(편의상 도시 생략함)의 제어를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는 본 발명의 제어부(90)가 최종적으로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해 제어하게 된다. Naturally, the control of the rotating screw is made through the control of a motor (not shown for convenience)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screw 95 and the motor is controlled by an algorithm finally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90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은 동력 전달 나사(95)와 동력전달 기어(96)를 분유 통(80)이 아닌 이동통(85)에 구비하도록 하므로서 분유의 오염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transmission screw 95 and the power transmission gear 96 to be provided in the moving container 85 rather than the powdered milk container 80 to minimize the contamination of the powdered milk.

한편, 이동통(85)과 투입통(86)은 상호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오염될 경우 대체가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해서 이동통(85)과 투입통(86)은 회전하여 분리될 수가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obile cylinder 85 and the input cylinder 86 has a structure that can be replaced when the contamination is possible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this end, the movable cylinder 85 and the input cylinder 86 are rotated to be separated.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지지부(81a)(85a)도 분리가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도면에서는 별도로 도시되는 것이 생랙되었지 만, 나사 혹은 홈과 돌기 등으로 상기 두 개의 지지부(81a)(85a)는 얼마든지 분리되도록 설계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85)과 나사(94)(95)가 교체될 수가 있는 구조가 가능하게 된다. The two support portions 81a and 85a are also detachable. Although illustrated separately in the drawings, the two support portions 81a and 85a may be designed to be separated by any number of screws or grooves and protrusions. Therefore, a structure in which the movable cylinder 85 and the screws 94 and 95 can be replaced is possible.

도 8은 동력 전달 나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 된다. 동력 전달 나사(95)의 동력은 동력전달 기어(96)에 의해 90도 회전되어 회전 나사(94)에 전달되게 되며, 정회전과 역회전을 하므로서 결과적으로 회전 나사(94)가 상하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ower transmission screw. The power of the power transmission screw 95 is rotated 90 degrees by the power transmission gear 96 to be transmitted to the rotating screw 94, and as a result of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the rotating screw 94 can move up and down as a result. To make it possible.

도 9와 도 10은 중탕기가 더 구비되는 실시예이 도면이다.9 and 10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water bath is further provided.

도 9의 도면에서처럼, 본 발명의 정량 분유 공급기 하단에 추가로 중탕기(110)가 더 구비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중탕기는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를 의미하며, 상기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생수와 섞인 분유가 젖병에서 남았을 경우나 혹은 생수가 믹스된 젖병의 분유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고자 할 때 상기 중탕기(110) 안에 젖병을 담가 놓아 두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ure 9, the water bath 110 can be further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quantitative milk powd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bath means a container that can hold water, and can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water. Therefore, when the infant formula mixed with bottled water is left in the bottle or when the infant formula of the bottle mixed with the bottled water is to be maintained at a constant temperature, the bottle is placed in the bath apparatus 110.

도 10은 중탕기의 제어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중탕판(112) 상단에 중탕기 용기(110)가 장착되며, 중탕판(112) 내부에 전열선(113)이 구비되게 된다. 그리고 온도센서(111)의 감지에 의해 제어부가 스위치(113a)를 통하여 전열기를 제어하여 일정온도(예를들면 섭씨 35 도)가 유지되게 된다.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relationship of the water heater. The bath heater container 110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bath plate 112, and the heating wire 113 is provided inside the bath plate 112. Then, by sensing the temperature sensor 111,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eater through the switch 113a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for example, 35 degrees Celsius).

한편, 중탕기(110)는 항시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필요할 때만 사용하는 것이므로, 조작판(20)을 통하여 중탕기(110)의 작동을 시작하거나 중단할 수가 있으며, 온도 센서(111)의 감지로 일정 온도가 유지될 수가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bath heater 110 is not always used, but only when necessary, it is possible to start or stop the operation of the bath heater 110 through the operation panel 20,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the detec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111 Can be maintained.

도 11과 도 12는 복수의 젖병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11 and 12 are views of an embodiment for mounting a plurality of feeding bottles,

도 11은 회전판(55) 상단에 복수의 젖병(50)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회전판(55) 상단에 고정부(55a)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55a)에 젖병(50)이 장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55)이 젖병의 사용에 따라 회전 되도록 하므로서, 장착된 젖병(50)을 순서대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11 is a view of an embodiment to allow a plurality of feeding bottles 50 to be mounted on the top of the rotating plate (55). That is, the fixing part 55a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rotating plate 55 and the feeding bottle 50 is mounted on the fixing part 55a. And by rotating the rotating plate 55 in accordance with the use of the bottle, it is possible to use the mounted bottle (50) in order.

도 12는 회전판이 회전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회전판 하부에 회전 기어(56)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기어(56)는 회전 밸트(57)를 통하여 연결 기어(58a)가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기어는 스텝 모터(59)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즉, 조작판(20)의 버튼을 통하여 조작을 하게되면 스텝 모터(59)는 구동하게 되고, 상기 스템 모터의 동력 전달에 의하여 회전 기어(56)는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판(55)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12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principle that the rotating plate is rotated. The rotary gear 56 is provided below the rotary plate, and the rotary gear 56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gear 58a through the rotary belt 57. The connecting gear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step motor 59. That is, when the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button of the operation panel 20, the step motor 59 is driven, the rotary gear 56 is rotated by the power transmission of the stem motor and the rotary plate 55 by the rotational force This will be rotated.

그리고 상기 회전은 자동 보다는 수동 조작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필요한 젖병을 회전판(55)에 장착하거나 꺼낼 때 회전판을 버튼 조작으로 회전 시켜서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물론 상기 회전판(55)에 별도의 구동 모터나 기어등을 구비하지 않고, 단순히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도록 해서 수동으로 회전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nd the rotation is preferably a manual operation rather than automatic, when the user is required to mount or take out the necessary bottle to the rotating plate 55 can be used by rotating the rotating plate by the button operation. Of course, the rotary plate 55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drive motor or gear, it is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that is simply rotatable can be used to rotate manually.

도 13내지 도 15는 분유를 공급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13 to 15 are diagrams of yet another embodiment of supplying milk powder.

도 13에서처럼 캡슐(120)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며, 상기 캡슐(120)에는 미리 정해진 분량(예를들면 40g)의 분유가 충전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캡슐(120)은 용기(120c)와 덮개(120a)로 구성되어 제조상에서 캡슐(120)에 분유를 충전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덮개에 홈(120b)이 구비되고, 용기 바닥에도 홈(120d)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덮개의 홈(120b)에는 데어진 생수가 공급되며 바닥의 홈(120d)에는 생수와 믹스된 분유가 배출되게 된다.As shown in FIG. 13, a method of using the capsule 120 is provided, and the capsule 120 is in a state where a predetermined amount (eg, 40 g) of powdered milk is filled. In addition, the capsule 120 is composed of a container (120c) and the cover (120a) has a structure to facilitate the filling of powdered milk in the capsule 120 in manufacturing. Moreover, the groove | channel 120b is provided in the cover, and groove | channel 120d is also provided in the container bottom, respectively. And the bottled water is supplied to the groove 120b of the cover, and the powdered milk mixed with the bottl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groove 120d of the bottom.

도 14는 캡슐(120)에 충전된 분유가 더운 생수와 믹스되어 배출되는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물통(혹은 생수통)(30)에서 물이 공급될 때 동력을 가진 펌프(121)를 통하여 공급이 되어, 압력이 가해진 물이 공급이 되도록 한다.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diagram in which powdered milk filled in the capsule 120 is mixed with hot bottled water and discharged. When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or bottled water bottle) 30, the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pump 121 having power, so that the water under pressure is supplied.

그리고, 상기 압력이 가해진 물은 유량계(122)를 지나고 히터(123)를 통과하게 되어 데어진 물이 된다. 그런 다음 캡슐(120)이 담겨진 용기(125)에 분출구(124)를 통하여 데어진 물이 공급되는 구조를 가진다.The water to which the pressure is applied passes through the flow meter 122 and passes through the heater 123 to become dehydrated water. Then, the container 120 in which the capsule 120 is contained has a structure in which dehydrated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spout 124.

이때, 도면에서는 간단히 도시되었지만 분출기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용기(125)에 캡슐(120)이 장착되면, 상기 분출기(124)가 아래로 이동하여 압력이 있고 데어진 생수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although briefly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ejector is capable of vertical movement, and when the capsule 120 is mounted in the container 125, the ejector 124 is moved downward to supply pressured and dehydrated bottled water. will be.

도 15는 용기(125)의 구조와 믹스된 분유가 배출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 된다. 상기 용기(125)에 캡슐(120)이 장착되고 분출기(124)가 아래로 하강하게 되면, 분출기에 구비된 핀(127)이 덮개 홈(120b)을 통과하여 구멍이 만들어지게 된다. 한편, 용기의 핀(131)도 바닥의 홈(120d)을 통과하여 구멍이 만들어 지게 된다.15 is a view showing a principle that the powdered milk powder mixed with the structure of the container 125 is discharged. When the capsule 120 is mounted on the container 125 and the ejector 124 descends, the pin 127 provided in the ejector passes through the cover groove 120b to make a hole. On the other hand, the pin 131 of the container also passes through the groove 120d at the bottom to make a hole.

따라서, 분출기에 구비된 물 투입구(128)에 압력이 가해지고 데어진 생수가 캡슐(120) 내부에 공급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압력이 가해지고 데어진 생수는 캡슐 내부의 분유와 신속히 믹싱되어, 바닥의 홈(120d)에 만들어진 구멍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된 분유는 용기 배출구(132)를 통하여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용기 배출구를 통하여 빠져나간 생수와 믹싱된 분유는 젖병에 공급되게 된다. Therefore, pressure is applied to the water inlet 128 provided in the ejector, and dehydrated bottled water may be supplied into the capsule 120. Then, the pressurized and depleted bottled water is quickly mixed with the powdered milk inside the capsule, and can be discharged through a hole made in the groove 120d at the bottom. And the discharged milk powder is able to escape through the container outlet (132). Naturally, the bottled water and the mixed milk powder passed through the container outlet are supplied to the bottle.

한편, 압력이 가해주고 데어진 물은 유량계를 통하여 물의 양이 제어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80 cc 용량의 기준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물의 양이 제어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sure is applied and the dewatered water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flow rate of the water, for example, the amount of water so that the water can be supplied on the basis of 80 cc capacity.

그리고, 상기 유량의 제어와 온도의 제어 및 압력의 제어는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하여 제어부(90)가 각각 제어하게 된다. 상기의 제어 방법은 압력 펌프를 제어하거나, 온도를 제어하거나, 물의 양을 제어하는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한 기술적 설명을 생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90 controls the flow rate control, the temperature control, and the pressure control by the predetermined algorithm. Since the control method is to use a conventional method of controlling the pressure pump,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r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the detailed technical description of the control method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6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시스템 제어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16-18 are diagrams of embodiments illustrating system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에서처럼, 본 발명의 제어부(90)는 각각의 기기를 제어하기도 하지만, 시스템 제어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시스템 제어를 위해서는 WiFi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인 R/F부(137), 메모리(135a)(135b)(135c), 디스플레이(21) 및 입력 장치(22)(25) 등도 제어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6, the controller 9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rol each device, but may also control the system. In order to control the system, the R / F unit 137, the memory 135a, 135b, 135c, the display 21, and the input devices 22, 25, which ar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WiFi, are also controlled.

이때,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통상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통신기를 사용 하는 것이며, 메모리는 통상의 메모리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21)도 통상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아울러, 입력장치(22)(25)는 버튼 방식이 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상단에 구비된 입력 장치일 수도 있고, 외부의 기기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 단자일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마이크(23) 같은 입력장치도 구비되어, 소리로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to use a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a general short-range communication, the memory uses a normal memory. The display 21 also uses a conventional flat panel display device. In addition, the input devices 22 and 25 may be a button type, an input device provided on the top of the display, or may be a connection terminal to which an external device can be connected. On the other hand, an input device such as the microphone 23 is also provided, and information can be input by sound.

도 17은 휴대 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 된다. 제어부 내의 통신 인터페이스 부(910)은 R/F부(127)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스마트폰 혹은 태블릿 피시 혹은 컴퓨터등 다양한 단말기가 가능하다.)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가 있게 된다.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enabling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910 in the control unit may exchange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a variety of terminals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fish, or a computer) through the R / F unit 127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이를 위해서, 제어부의 접속 관리부(920)는 사용자의 단말기(200)와 접속되는 여부를 제어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단말기(200)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부(930) 및 단말기에 제공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간 및 데이터 관리부(940)가 구비되게 된다. To this end, the connection manager 920 of the controller may control and manage whether the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user's terminal 200, and the data provider 930 providing data to the terminal 200 and the data provided to the terminal. Time and data management unit 940 to manage the is provided.

여기서 시간 관리가 의미하는 바는 수유 시간을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수유 시간이 3 시간일 경우, 이전에 수유한 시간을 기록하고, 경과되는 시간을 파악하여 3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수유 시간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Here, time management means managing feeding time. In other words, if the feeding time is 3 hours, the previously fed time is recorded and the elapsed time is grasped so that the feeding time can be notified when 3 hours have elapsed.

도 18은 본 발명의 정량 분유 공급기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단말기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기 화면에는 다이어리 형태로 날자가 표시되고 특정 날자(500a)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화면의 일부에는 입력창(510)이 표시되어 상기 입력창(510)에는 분유 수유와 관계된 정보를 입력할 수가 있게 된다.1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terminal screen to send and receive data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quantitative milk powder f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terminal screen, a date is displayed in a diary form and a specific date 500a can be selected. In addition, an input window 510 is displayed on a part of the screen, and the input window 510 can input information related to milk feeding.

예를들어 유아에 어느 정도 시간 간격으로 혹은 언제 분유를 수유하여야 하는가에 관한 분유 수유 시간을 입력할 수가 있게 되며, 분유 수유 용량도 입력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유아가 건강 상태 등 필요 사항을 메모할 수도 있게 된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enter a formula feeding time regarding how often or when infants are to be fed, and a formula feeding capacity. In addition, infants will be able to take note of their health needs.

그리고, 상기 입력된 정보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본 발명의 정량 분유 공급기에 전송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기의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필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새롭게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 받아 실행시켜야 함은 당연하다. In addition, the inpu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quantitative milk powder f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In addition, it is natural that a user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needs to download and execute a new application program in order to input necessary information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도 19와 도 20은 본 발명의 실행 흐름도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19 and 20 are diagrams of an embodiment showing a flowchart of exec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단말기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단말기에 기 저장된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실행하게 되면, 단말기에서 정량 분유 공급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실행되게 된다. (S400 - S 405) 1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nputting information through a terminal. When a program previously stored in the terminal is selected and executed, a program for in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quantitative milk powder feeder is executed in the terminal. (S400-S 405)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단말기(200) 화면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해당되는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S410 - S415) 즉, 단말기(200)의 화면에는 수유되는 분유의 용량(예를들면 80cc 혹은 120cc 등)을 입력할 수 있거나, 분유가 수유되는 시간 간격 등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되는 것이다. When the program is executed, an input is displayed to input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200, and the user inputs corresponding information. (S410-S415) That is, the screen of the terminal 200 is used for A screen that allows you to enter a dose (eg 80cc or 120cc) or a time interval for feeding formula is displayed.

단말기에 데이터가 입력되면,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가 전송되고, 전송된 정보는 정량 분유 공급기의 메모리에 정보가 저장된다.(S420 - S425) 즉, 단말기(200)의 화면에 정보가 입력되면,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정량 분유 공급기에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정량 분유 공급기의 F/F부(137)는 정보를 수신 받아 제어부(90)의 제어를 통하여 메모리(135a)(135b)(135c)에 저장되게 된다. When data is input to the terminal,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and the transmitte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quantitative formula feeder. (S420-S425) That is, when the information is input to the screen of the terminal 200, The controller of the terminal transmits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quantitative milk powder supplier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F / F unit 137 of the quantitative milk powder feeder receives the information and is stored in the memory 135a, 135b, and 135c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90.

그리고, 상기 저장된 정보는 정량 분유 공급기가 분유를 공급할 때, 물의 양과 분유의 량을 정하는데 기준이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90)의 제어의 의해 공급되는 생수의 량을 조정할 수가 있고, 공급되는 분유의 양을 조정할 수가 있으며, 상기 공급되는 양은 입력된 정보에 의하여 정해지게 된다는 것이다. Then, the stored information is a reference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water and the amount of milk powder when the quantitative milk powder supplier supplies milk powder.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bottled water suppli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90 can be adjusted, the amount of powdered milk supplied can be adjusted, and the amount supplied is determined by the inputted information.

물론, 정보의 입력은 단말기(200)를 통해서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조작판(2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상단에 구비된 입력 장치 혹은 버튼을 통해서도 정보는 입력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Of course, the information may not be input only through the terminal 200. The information may also be input through an input device or a button provided at the top of the display provided in the operation panel 20.

한편, 단말기의 프로그램 실행이 종료되면, 정보 입력은 종료되게 된다. (S435 - S440)On the other hand, when the program execution of the terminal is finished, information input is terminated. (S435-S440)

도 20은 수유조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흐름도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20 is a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flowchart capable of confirming a feeding operation state.

본 발명의 정량 분유 공급기는 작동 상태에서는 시간을 자동으로 확인하게 된다. 당연히 제어부(90)가 Clock 신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해진 시간이 도래되었는가를 자동으로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S450- S455)The quantitative formula milk f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checks the time in the operating state. Naturally, the control unit 90 is able to check the clock signal, and automatically confirms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stored in the memory unit has arrived (S450-S455).

그리고, 분유를 수유할 시간이 도래되었으면, 사용자는 당연히 수유 조작을 하게 된다. (S460 - S465)왜냐하면 사용자도 시간을 확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때, 사용자가 수유 조작을 한다는 것은 젖병(50)을 장착하고, 분유 공급 작동 버튼을 누른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정량 분유 공급기는 버튼 작동만으로 정해진 온도(예를들면 섭씨 35도)로 데어진 일정량의 생수와 일정량 분유가 혼합되어 젖병(50)에 공급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S470)And when the time to feed milk powder arrives, a user will naturally perform a feeding operation. (S460-S465) Because the user is also checking the time. At this time, the user is to operate the feeding operation is to mount the feeding bottle 50, and press the powdered milk supply operation button. That is, the quantitative milk powder f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at a certain amount of bottled water and a certain amount of milk powder brought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35 degrees Celsius) may be mixed and supplied to the baby bottle 50 by a button operation alone. (S470)

한편, 수유 시간이 도래되었음에도 분유를 공급하는 버튼 등이 작동되지 않으면, 알람이 작동되게 된다. (S475)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feeding time has arrived, if the button for supplying the powdered milk is not operated, the alarm is activated. (S475)

본 발명에서 알람의 작동은 두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첫 번째는 정량 분유 공급기에 구비된 스피커(24)를 통하여, 미리 정해진 소리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수유 시간을 알릴 수도 있다, 그리고 두 번째는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단말기에 알람 신호를 전달하고 단말기는 그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가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larm can be operated in two ways. The first may output a predetermined sound to inform the user of the feeding time through the speaker 24 provided in the quantitative formula feeder, and the second may transmit an alarm signal to the terminal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signal. Can be printed.

20 : 조작판 30 : 물통
21 : 디스플레이 22 ; 버튼
23 ; 마이크 24 : 스피커
25 ; 연결단자 30a : 저수조
32a : 개폐부 32 : 토출구
33 : 히터 34 ; 자외선 램프
36 : 피스톤 37 : 피스톤 밸브
80 : 분유통 81 : 장착부
81a, 85a : 지지부 86 : 투입통
89 ; 출구 92 : 연결부
92a ; 피스톤 93a : 레버
94 ; 회전 나사 95 ; 동력전달 나사
110 : 중탕기 120 : 캡슐
124 : 분출구 125 ; 용기
128 : 물 투입구 132 : 배출구
20: operation panel 30: bucket
21: display 22; button
23; Microphone 24: Speaker
25; Connection terminal 30a: reservoir
32a: opening and closing part 32: discharge port
33: heater 34; UV lamp
36: piston 37: piston valve
80: milk bottle 81: mounting portion
81a, 85a: support portion 86: feed container
89; Exit 92: connection
92a; Piston 93a: Lever
94; Rotating screw 95; Power transmission screw
110: water heater 120: capsule
124: jet outlet 125; Vessel
128: water inlet 132: outlet

Claims (9)

정량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일정한 온도로 상기 물을 데울 수도 있는 기능이 구비된 정량 분유 공급기에서,
상기 물이 공급되는 양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정보의 양에 따라 물이 배출되며, 분유 수유 시간에 대한 정보도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분유 공급기.
In the quantitative milk powder feeder, which is capable of supplying water quantitatively and having the function of heating the water at a constant temperature,
Quantitative milk powder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can be input, the water is dischar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inpu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milking time can also be input.
상기 정보를 입력할 때 상기 정량 분유 공급기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분유 공급기. When the information is input, the quantitative milk powder suppl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can be input through the terminal that can exchange information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제 1항에 있어서, 정략적으로 분유를 공급할 수 있는 기능이 더 추가된 정량 분유 공급기.2. The quantitative milk powder feed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lk powder supply is further added. 제 3 항에 있어서, 분유가 입력되는 양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분유 공급기.4. The quantitative milk powder feed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milk powder is inputt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입력할 때 정량 분유 공급기를 통하여 입력하거나 상기 정량 분유 공급기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단말기를 통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분유 공급기. 5. The quantitative milk powder supply uni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when the information is input, the quantitative milk powder supply unit inputs the information through a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quantitative milk powder suppl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분유 수유 시간을 제어부가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분유 공급기.  The quantitative milk powder feed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an confirm the milk powder feeding time. 제 6 항에 있어서, 분유 수유 시간이 되었음에도 분유 수유 동작이 되지 않으면 알람을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분유 공급기. 7. The quantitative formula milk supply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n alarm is activated if the formula is not fed even though the formula is being f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은 정량 분류 공급기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분유 공급기. 8. The quantitative milk powder supply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alarm is via a speaker provided in the quantitative classification feed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주고 받는 휴대 단말기를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분유 공급기. 8. The quantitative powdered milk supply system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alarm is via a portable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KR1020120047026A 2012-05-03 2012-05-03 The fixed quantity feeder for the powdered milk KR201301237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026A KR20130123700A (en) 2012-05-03 2012-05-03 The fixed quantity feeder for the powdered mil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026A KR20130123700A (en) 2012-05-03 2012-05-03 The fixed quantity feeder for the powdered mil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700A true KR20130123700A (en) 2013-11-13

Family

ID=49852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026A KR20130123700A (en) 2012-05-03 2012-05-03 The fixed quantity feeder for the powdered mil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370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983B1 (en) * 2020-03-11 2020-09-18 송준수 Powdered milk mixing system
CN114532245A (en) * 2022-03-22 2022-05-27 凌小英 Automatic milk feeding device suitable for lambs and using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983B1 (en) * 2020-03-11 2020-09-18 송준수 Powdered milk mixing system
CN114532245A (en) * 2022-03-22 2022-05-27 凌小英 Automatic milk feeding device suitable for lambs and using method thereof
CN114532245B (en) * 2022-03-22 2023-07-14 凌小英 Automatic lamb feeding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37432T3 (en) smart beer tap
EP0938841B1 (en) Automatic feed distribution device for cats and dogs
ES2753298T3 (en) System and procedure for remote monitoring and feeding of pets
US11866315B2 (en) Beverage apparatus and method
US20150068463A1 (en) Pet treat dispenser system
KR101086869B1 (en) Automatic powdered milk and water mixing device
US90220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ingredients for a baby bottle
KR102086881B1 (en) Water dispenser
US20060157463A1 (en) Food preparation device
KR100404601B1 (en) Automatic suckling apparatus
CN103327859A (en) Simple user-interface for a beverage machine
JP6271108B1 (en) Beverage server and beverage server cap
JP2019511341A (en) Baby food preparation device
KR20130123700A (en) The fixed quantity feeder for the powdered milk
US20120211521A1 (en) Baby food preparation apparatus
CN108478083B (en) Medicine washing device, toilet seat cover and related medicine washing control method
CN105413554B (en) Match liquid platform and its stirring preparation and conveyer method based on disposable sterilized bag
JP6868911B2 (en) Container used for automatic dispensing equipment
JP2020044108A (e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control method of automatic dispensing device, program, and container
CN205235862U (en) Join in marriage liquid platform based on disposable aseptic bag
KR101739038B1 (en) Human sensor Automatic foam soap dispenser
KR101943566B1 (en) Feeding device for liquid for animals
GB2610883A (en) Food preparation device
EP4362755A1 (en) Bottle cleaning device with a fluid dispenser
KR20160035720A (en) Baby bottle cleaner having reg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