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634A - 세라믹 젖병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세라믹 젖병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634A
KR20130123634A KR1020120046903A KR20120046903A KR20130123634A KR 20130123634 A KR20130123634 A KR 20130123634A KR 1020120046903 A KR1020120046903 A KR 1020120046903A KR 20120046903 A KR20120046903 A KR 20120046903A KR 20130123634 A KR20130123634 A KR 20130123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
container
bottle container
bottle
transfer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김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준 filed Critical 김영준
Priority to KR1020120046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3634A/ko
Publication of KR20130123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75Accessories therefor
    • A61J11/008Protectin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06Feeding-bottles in general having elongated tubes, e.g. for drinking from bottle in upright 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2Identification, exchange or storage of information
    • B01L2300/025Displaying results or values with integrated means
    • B01L2300/028Gradu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라믹 젖병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따르면 용기의 내부 및 외부가 인체에 유해한 환경 호르몬 등과 같은 물질을 방출하지 않는 친환경 소재로 구현되고, 내열성이 강해 전자렌지에서 데우거나 고온의 분유를 수용하더라도 쉽게 변질하지 않아 유해 물질을 방출하지 않고, 불투과성을 갖아 직사광선을 투과시키지 않고 보온성이 뛰어나 장시간 분유를 담고 있어도 분유가 상하지 않으며, 표면에서의 세정 작용이 용이하여 강한 화학 작용으로 신생아 또는 유아에게 유해한 세제를 다량 사용하지 않아도 쉽게 세척이 가능하여 위생 관리에 탁월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젖병 용기로 사용한 후 이유식 보관 용기, 반찬 용기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탁월한 경제성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라믹 젖병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Ceramic baby bott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젖병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신생아 또는 유아가 분유를 먹기 위해 사용하는 젖병은 플라스틱, 유리, 실리콘 등을 주원료로 하여 제조되었다.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 재질의 젖병은 쉽게 깨지지 않고 가벼워서 사용하기에 편한 장점이 있으나 평상시 또는 전자렌지에서 데우거나 고온의 물에서 소독할 때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배출할 가능성이 있고, 유리 재질의 젖병은 세척이 용이하고 위생 관리가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쉽게 깨지거나 고온에서 파손될 염려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0251호는 젖병과 실리콘고무로 이루어진 젖꼭지에 음이온발산물질이 포함되어 우유를 신선하게 유지하는 한편 유아들의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건강을 증진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젖병을 개시하고, 한국 공개특허 제1994-0000092호는 아기들이 우유를 넣어 먹게 되는 통상의 젖병에 자석을 설치 구성시키고, 또한 젖병 구성 재질에 세라믹을 함유시켜서 젖병에 넣어진 우유를 구성하고 있는 물이 설치된 자석의 자력에 의해서 물 분자의 결합구조가 6각 고리 구조화되고, 또한 원적외선에 의해 활성화되게 하는 젖병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들은 내열성 및 내구성 또는 철저한 위생 관리 측면에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자는 친환경적인 도자 세라믹 소재를 이용하여 안전하고 위생 관리에 탁월한 젖병 용기를 고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친환경 소재를 이용하여 신생아 또는 유아가 사용하기에 적절한 젖병 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용기의 내부 및 외부가 도자 세라믹 소재의 연속적인 표면으로 구현된, 세라믹 젖병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외부 표면에 용량 눈금 표시가 전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의 내부 표면에 용량 눈금 표시가 전사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용기의 외부 표면 및 내부 표면에 용량 눈금 표시가 전사될 수 있고, 상기 용기의 외부 및 내부 표면에 전사된 용량 눈금 표시는 사용자가 상기 내부 표면에 전사된 용량 눈금 표시를 볼 때, 상기 외부 표면에 전사된 용량 눈금 표시도 함께 확인할 수 있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의 외부 표면 중 측면은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 대비 중앙 영역이 연속적인 함몰 표면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의 개방 영역은 젖꼭지 수유부와 분리가능하게 연결 장착될 수 있도록 구현되되, 다른 젖꼭지 수유부와 호환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의 개방 영역의 외부 표면은 그 표면을 나선형으로 기울어지게 둘러싸는 평행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정제된 도자 세라믹 원재료와 물을 혼합한 후 최종 제품 규격보다 10% 이상 큰 규격의 내부 공간을 갖는 몰드에 주입하여, 연속적인 도자 세라믹 표면으로 내부 및 외부가 구현된 젖병 용기 형상물을 성형하는 성형 단계; 상기 성형 젖병 용기 형상물을 가마 내에서 1000℃ 이상의 온도로 소성하는 제1 소성 단계; 상기 제1 소성 젖병 용기 형상물의 내부 및 외부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유약을 처리하는 시유 단계; 상기 시유 젖병 용기 형상물을 가마 내에서 1000℃ 이상의 온도로 소성하는 제2 소성 단계; 상기 제2 소성 젖병 용기 형상물 내부 및 외부 표면에 용량 눈금 표시를 전사하는 전사 단계; 및 상기 전사된 젖병 용기 형상물을 가마 내에서 700℃ 이상의 온도로 소성하는 제3 소성 단계;를 포함하는, 세라믹 젖병 용기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성형 단계의 몰드는 최종 제품 규격보다 12 내지 12.5%가 더 큰 규격의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 단계는 상기 외부 표면 중 측면은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 대비 중앙 영역이 연속적인 함몰 표면으로 구현된 젖병 용기 형상물을 성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 단계는 상기 상부 개방 영역의 외부 표면은 그 표면을 나선형으로 기울어지게 둘러싸는 평행 돌출부를 구비하는 젖병 용기 형상물을 성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소성 단계는 가마 내에서 1200 내지 1300℃ 이상의 온도로 소성하고, 상기 제2 소성 단계는 가마 내에서 1100 내지 1300℃ 이상의 온도로 소성하고, 상기 제3 소성 단계는 가마 내에서 700 내지 900℃ 이상의 온도로 소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 젖병 용기 형상물의 표면의 미세한 돌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표면 처리를 하는 정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용기의 내부 및 외부가 인체에 유해한 환경 호르몬 등과 같은 물질을 방출하지 않는 친환경 소재로 구현되고, 내열성이 강해 전자렌지에서 데우거나 고온의 분유를 수용하더라도 쉽게 변질하지 않아 유해 물질을 방출하지 않고, 불투과성을 갖아 직사광선을 투과시키지 않고 보온성이 뛰어나 장시간 분유를 담고 있어도 분유가 상하지 않으며, 표면에서의 세정 작용이 용이하여 강한 화학 작용으로 신생아 또는 유아에게 유해한 세제를 다량 사용하지 않아도 쉽게 세척이 가능하여 위생 관리에 탁월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젖병 용기로 사용한 후 이유식 보관 용기, 반찬 용기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탁월한 경제성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의 내부 및 외부 표면에 표시된 용량 눈금 표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의 측면 중 연속적인 함몰 표면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젖꼭지 수유부와 결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의 개방 영역에 구비된 평행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 내지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 제조 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 제조방법에 추가된 정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보호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젖병 용기는 정상적인 성인에 비해 면역력이 매우 약하고 세균 또는 바이러스 등과 같은 병균에 의한 전염성 질병의 발병 가능성이 훨씬 높은 신생아 또는 유아들이 주로 분유를 먹기 위해 사용하는 물품이다. 따라서, 젖병 용기는 그 재질 및 형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신생아 또는 유아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철저히 배제하여 제조되어야 한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1)는 용기의 내부 및 외부가 도자 세라믹 소재의 연속적인 표면(10)으로 구현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도자 세라믹"이라 함은 점토를 주원료로 하여 고령석, 장석, 석영 등과 같은 광물질을 배합한 것을 성형하여 고온에서 구워 만든 제품으로서, 유약을 표면 처리하여 수분 흡수성이 없고, 내열성 및 내구성이 높은 도기 또는 자기용 물질로 정의되고, 예를 들어 최근 본 차이나(bone china) 또는 파인 차이나(fine china) 공법이라고 불리는 공법이 도자 세라믹을 식기 등에 활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는 도자 세라믹 소재를 주원료로 하는데, 도자 세라믹 소재는 플라스틱, 실리콘, 유리 등과 같은 다른 재질에 비해 인체에 유해한 환경 호르몬 등과 같은 물질을 방출하지 않는 친환경 소재이다. 즉, 도자 세라믹 소재는 내열성이 강해서 전자렌지에서 데우거나 고온의 분유를 수용하더라도 쉽게 변질하지 않아 유해 물질을 방출하지 않고, 불투과성을 갖아 직사광선을 투과시키지 않고 보온성이 뛰어나 장시간 분유를 담고 있어도 분유가 상하지 않으며, 표면에서의 세정 작용이 용이하여 강한 화학 작용으로 신생아 또는 유아에게 유해한 세제를 다량 사용하지 않아도 쉽게 세척이 가능하여 위생 관리에 탁월하다. 또한, 도자 세라믹 소재는 외부적 충격으로 파손되지 않는 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젖병 용기로 사용한 후 이유식 보관 용기, 반찬 용기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탁월한 경제성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1)는 용기의 내부 및 외부가 도자 세라믹 소재의 연속적인 표면(10)으로 구현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연속적인 표면"이라 함은 젖병 용기의 내부 및 외부 표면이 상기 도자 세라믹 소재에 의해 연속적으로 구현되되, 상기 도자 세라믹 소재 이외의 다른 소재가 세라믹 젖병 용기의 내부 및 외부 표면에 구현되지 않음을 전제로 않다. 도 1의 좌측 사진은 상기 도자 세라믹 소재로 외부 표면이 연속적으로 구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1)의 측면도이고, 도 1의 우측 사진은 상기 도자 세라믹 소재로 내부 표면이 연속적으로 구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1)의 평면도인데, 이들 도 1의 좌측 및 우측 사진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1)의 내부 및 외부가 불연속적이 아닌 상기 도자 세라믹 소재의 연속적인 표면으로 구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의 내부 및 외부 표면이 도자 세라믹 소재로 연속적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플라스틱, 실리콘, 유리 등과 같은 다른 재질과의 연결 틈에 세균 또는 바이러스 등과 같은 병균이 서식하거나 잔류할 위험성이 상당히 줄어들고, 세척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는 장기간 사용하거나 또는 간단한 세척만으로도 철저한 위생 관리가 가능하여 신생아 또는 유아를 위한 철저한 위생 관리 유지에 탁월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1)의 외부 표면에 표시된 용량 눈금 표시(20)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1)의 내부 표면에 표시된 용량 눈금 표시(30)를 도시하고, 도 4는 젖병 용기(1)의 내부 및 외부 표면에 표시된 용량 눈금 표시를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선을 도시한다.
상기 세라믹 젖병 용기(1)의 내부 표면에 표시된 용량 눈금 표시(30)는 상기 젖병 용기 내부에 분유를 담을 때 분유의 양을 확인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고, 외부 표면에 표시된 용량 눈금 표시(20)는 상기 용기가 젖병 용기임을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용기 내부에 표시된 용량 눈금 표시(30)를 쉽게 확인하는 수단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는 그 소재의 특성상 불투명성을 갖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내부에 수용된 분유의 양을 확인할 수 없고, 내부 및 외부가 도자 세라믹 소재의 연속적인 표면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투명한 플라스틱, 실리콘, 유리 등의 재질을 내부 및 외부 표면에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신생아 또는 유아가 먹는 분유의 양은 이들의 연령 또는 월령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젖병 용기의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위치에 용량 눈금 표시가 구비되어 있어야 하고, 젖병 용기의 외관이 다른 유사한 외관을 갖는 제품과 혼동을 일으켜 음식물 보관, 숟가락 및 젓가락의 보관 등 다른 용도로 사용되어 비위생적으로 관리되지 않도록 외부에서 "젖병 용기"임을 직감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는 본 용기가 "젖병 용기"임을 직감할 수 있도록 외부 표면에 "용량 눈금 표시"(20)가 전사되고, 수용되는 분유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내부 표면에 용량 눈금 표시(30)가 전사되고, 각 용량 눈금 표시는 사용자가 상기 내부 표면에 전사된 용량 눈금 표시(30)를 확인할 때, 상기 외부 표면에 전사된 용량 눈금 표시(20)도 함께 확인할 수 있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어서 내부 용량 눈금 표시(30)가 잘 보이지 않을 경우 외부 표면에 전사된 용량 눈금 표시(20)를 확인하여 분유의 양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1)의 측면 중 연속적인 함몰 표면(50)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의 측면은 상부 영역(40), 중앙 영역(50), 및 하부 영역(60)으로 구분할 수 있고, 상기 상부 영역(40) 및 하부 영역(60) 대비 중앙 영역(50)이 연속적인 함몰 표면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영역(50)은 신생아 또는 유아가 젖병 용기를 엄지 손가락 및 검지 손가락으로 둘러싸서 쥐기 위한 영역으로 이해되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 상부 영역(40) 및 하부 영역(60)에 비해 연속적인 함몰 표면으로 구현되어 신생아 또는 유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를 쉽게 쥘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젖꼭지 수유부(2)와 결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1)를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1)의 개방 영역(70)에 구비된 평행 돌출부(80)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의 좌측 사진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1)를 나타내고, 도 6의 우측 사진은 상기 세라믹 젖병 용기(1)와 젖꼭지 수유부(2)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세라믹 젖병 용기(1)는 개방 영역(70)을 구비하는데, 이는 분유를 주입하는 부분이고, 상기 젖꼭지 수유부(2)와 분리가능하게 연결 장착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한편, 상기 개방 영역(7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와만 결합하는 맞춤형 젖꼭지 수유부와 연결 장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다른 젖꼭지 수유부와 호환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세라믹 젖병 용기(1)는 반 영구적으로 사용하더라도 상기 젖꼭지 수유부(2)는 동 제품 또는 다른 제품을 교체하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 관리 유지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탁월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1)의 개방 영역(70)의 외부 표면은 그 표면을 나선형으로 기울어지게 둘러싸는 평행 돌출부(8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방 영역(70)은 젖꼭지 수유부(2)와 결합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한 오염에 가장 취약한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평행 돌출부(80)는 상기 젖꼭지 수유부(2)의 오목부(도시되지 않음)와 체결되어 상기 젖꼭지 수유부(2)를 세라믹 젖병 용기(1)에 고정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상기 개방 영역(70)의 표면으로부터 오목 또는 함몰된 구조를 배제하고 연속적인 돌출 표면으로 구현된다.
도 9 내지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 제조 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 제조 방법은 크게 성형 단계, 제1 소성 단계, 시유 단계, 제2 소성 단계, 전사 단계, 및 제3 소성 단계로 구분된다.
상기 성형 단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의 형상물을 성형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 제조 방법 중 성형 단계를 설명한다. 상기 성형 단계는 정제된 도자 세라믹 원재료와 물을 혼합한 후 최종 제품 규격보다 더 큰 규격의 내부 공간을 갖는 몰드에 주입하여, 연속적인 도자 세라믹 표면으로 내부 및 외부가 구현된 젖병 용기 형상물, 또한 상기 상부 개방 영역의 외부 표면은 그 표면을 나선형으로 기울어지게 둘러싸는 평행 돌출부를 구비하는 젖병 용기 형상물, 더 나아가 상기 외부 표면 중 측면은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 대비 중앙 영역이 연속적인 함몰 표면으로 구현된 젖병 용기 형상물을 성형한다. 이 경우, 상기 몰드의 내부 공간의 규격은 이하 설명될 제1 소성 단계에서의 형상물의 수축률을 고려함과 동시에 미세한 틈이 없는 연속적인 내/외부 표면을 구현하기 위하여 최종 제품 규격보다 더 크게 제작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최종 제품 규격보다 10% 이상 큰 규격, 더 바람직하게는 최종 제품 규격보다 12 내지 12.5%가 더 큰 규격의 내부 공간을 갖는 것이 적절하다. 그 이외 도자 세라믹 원재료의 정제, 물의 혼합 비율, 몰드 자체 제작 단계, 탈형 과정 등에 관한 구체적인 구현 방법은 공지된 기술 영역 내에서 쉽게 구현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 제조 방법은 상기 성형 단계 후 상기 성형 젖병 용기 형상물이 함유하는 수분을 충분히 제거하기 위한 건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 단계는 자연 건조 또는 건조장 건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 제조 방법은 상기 성형 젖병 용기 형상물의 표면의 미세한 돌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표면 처리를 하는 정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 제조 방법 중 정형 단계를 설명한다. 상기 정형 단계는 용기의 내부 및 외부의 표면을 연속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추가 단계로서, 작업용 칼 등을 이용하여 몰드와 접한 부분을 고르게 처리하고, 더 나아가 해면 스펀지 등을 이용하여 물에 헹궈 가며 상기 성형 젖병 용기 형상물의 표면을 매끈하게 닦아주는 과정이다.
상기 제1 소성 단계는 상기 성형 젖병 용기 형상물을 가마 내에서 고온의 열로 1차적으로 소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 제조 방법 중 제1 소성 단계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소상 단계는 상기 성형 젖병 용기 형상물을 붕판(내화물 평판) 위에 놓고 상기 붕판과 형상물이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알루미나 가루를 물에 개어 굽에 바른 후 적재하여 1000℃ 이상의 온도, 더 바람직하게는 1200 내지 1300℃ 이상의 온도로 가마 내에서 소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소성 단계를 거친 성형 젖병 용기 형상물의 표면을 다시 매끄럽게 정리해 주고, 상기 제1 소성 단계에서 사용했던 알루미나 가루 등 부재료 등을 완전히 제거하는 폴리싱(Polishing)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이하, 상세하게 설명될 시유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품 비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시유 단계는 상기 제1 소성 젖병 용기 형상물의 내부 및 외부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유약을 처리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 제조 방법 중 시유 단계를 설명한다. 상기 제1 소성 단계를 마무리한 젖병 용기 형상물에 유약을 도포 처리한다. 이 경우 상기 유약 도포는 담금 방식 또는 스프레이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소성 단계는 상기 시유 젖병 용기 형상물을 가마 내에서 고온의 열로 소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 제조 방법 중 제2 소성 단계를 설명한다. 한편, 제2 소성 단계의 온도는 1000℃ 이상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1100 내지 1300℃ 이상의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사 단계는 상기 제2 소성 젖병 용기 형상물 내부 및 외부 표면에 용량 눈금 표시를 전사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 제조 방법 중 전사 단계를 설명한다. 본 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의 내부 및 외부의 연속적인 표면에 용량 눈금 표시가 전사된다. 상기 전사 단계 후 상기 젖병 용기 형상물의 내부 및 외부를 충분히 건조시켜야 한다.
상기 제3 소성 단계는 상기 전사된 젖병 용기 형상물을 가마 내에서 700℃ 이상의 온도로 소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 제조 방법 중 제3 소성 단계를 설명한다. 한편, 제3 소성 단계의 온도는 700℃ 이상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900℃ 이상의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3 소성 단계를 완료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젖병 용기가 제조될 수 있다.

Claims (8)

  1. 용기의 내부 및 외부가 도자 세라믹 소재의 연속적인 표면으로 구현된,
    세라믹 젖병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외부 표면에 용량 눈금 표시가 전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젖병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부 표면에 용량 눈금 표시가 전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젖병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외부 및 내부 표면에 용량 눈금 표시가 전사되되, 상기 용기의 외부 및 내부 표면에 전사된 용량 눈금 표시는 사용자가 상기 내부 표면에 전사된 용량 눈금 표시를 볼 때, 상기 외부 표면에 전사된 용량 눈금 표시도 함께 확인할 수 있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젖병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외부 표면 중 측면은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 대비 중앙 영역이 연속적인 함몰 표면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젖병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개방 영역은 젖꼭지 수유부와 분리가능하게 연결 장착될 수 있도록 구현되되, 다른 젖꼭지 수유부와 호환 가능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젖병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개방 영역의 외부 표면은 그 표면을 나선형으로 기울어지게 둘러싸는 평행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젖병 용기.
  8. 정제된 도자 세라믹 원재료와 물을 혼합한 후 최종 제품 규격보다 10% 이상 큰 규격의 내부 공간을 갖는 몰드에 주입하여, 연속적인 도자 세라믹 표면으로 내부 및 외부가 구현된 젖병 용기 형상물을 성형하는 성형 단계;
    상기 성형 젖병 용기 형상물을 가마 내에서 1000℃ 이상의 온도로 소성하는 제1 소성 단계;
    상기 제1 소성 젖병 용기 형상물의 내부 및 외부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유약을 처리하는 시유 단계;
    상기 시유 젖병 용기 형상물을 가마 내에서 1000℃ 이상의 온도로 소성하는 제2 소성 단계;
    상기 제2 소성 젖병 용기 형상물 내부 및 외부 표면에 용량 눈금 표시를 전사하는 전사 단계; 및
    상기 전사된 젖병 용기 형상물을 가마 내에서 700℃ 이상의 온도로 소성하는 제3 소성 단계;
    를 포함하는, 세라믹 젖병 용기 제조 방법.
KR1020120046903A 2012-05-03 2012-05-03 세라믹 젖병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301236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903A KR20130123634A (ko) 2012-05-03 2012-05-03 세라믹 젖병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903A KR20130123634A (ko) 2012-05-03 2012-05-03 세라믹 젖병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427A Division KR101886165B1 (ko) 2017-07-24 2017-07-24 세라믹 젖병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634A true KR20130123634A (ko) 2013-11-13

Family

ID=49852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903A KR20130123634A (ko) 2012-05-03 2012-05-03 세라믹 젖병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36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1674A (zh) * 2014-09-05 2014-11-26 张勇权 一种婴幼儿奶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1674A (zh) * 2014-09-05 2014-11-26 张勇权 一种婴幼儿奶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0679A (en) Infant feeding container
KR101886165B1 (ko) 세라믹 젖병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40014658A (ko) 법랑 코팅층을 구비한 주방용품의 제조방법
TWM473836U (zh) 可攜式滅菌裝置
KR20130123634A (ko) 세라믹 젖병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10456512B2 (en) Baby product sterilizer including breast pump
CN204910185U (zh) 一种筷子杀菌装置
CN206318201U (zh) 一种奶嘴收纳盒
CN210250647U (zh) 一种婴儿奶瓶的消毒容器
CN107510611A (zh) 一种新型婴儿用奶瓶
CN104224554A (zh) 一种抗菌奶嘴
CN101579170A (zh) 安全玻璃饮用瓶
CN203829354U (zh) 婴幼用品消毒器
KR20140008222A (ko) 엄마의 유방 형태, 감촉의 실리콘 젖병
CN209436790U (zh) 一种吸盘碗
CN212308454U (zh) 用于快速制备规定温度的饮品的装置
CN204395020U (zh) 一种具有消毒功能的儿童保健奶瓶
CN215605064U (zh) 一种温奶的装置
TWM557109U (zh) 紫外線殺菌消毒收納箱
CN202437728U (zh) 一种随身自加热消毒奶瓶
CN201356350Y (zh) 一种带吸盘的吸壁碗
CN208893021U (zh) 一种具有防尘效果的医疗用托盘
CN202437729U (zh) 一种自消毒电子奶瓶设备
CN107348649A (zh) 一种自动加热饭盒
KR102306421B1 (ko) 핫 스틱을 이용한 스마트 젖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