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495A - 계수 및 로그데이터를 제공하는 지폐계수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계수 및 로그데이터를 제공하는 지폐계수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495A
KR20130123495A KR1020120046649A KR20120046649A KR20130123495A KR 20130123495 A KR20130123495 A KR 20130123495A KR 1020120046649 A KR1020120046649 A KR 1020120046649A KR 20120046649 A KR20120046649 A KR 20120046649A KR 20130123495 A KR20130123495 A KR 20130123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counting
data
log dat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5840B1 (ko
Inventor
장상환
Original Assignee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6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840B1/ko
Publication of KR20130123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 G06M7/02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wherein objects ahead of the sensing element are separated to produce a distinct gap between successive objects
    • G06M7/06Counting of flat articles, e.g. of sheets of pap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8Setting of parameters; Software upd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 계수 및 위조지폐를 식별하는 지폐계수기에 있어서, 이미지센서를 이용하여 지폐의 영상을 얻는 이미지 취득부, 여러 광 센서들을 이용하여 지폐의 위조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값 취득부, 이미지 취득부와 센서값 취득부에서 얻는 지폐 정보와 로그데이터를 저장하는 로그데이터 저장부로 구성된 판별부를 이용하여 시재마감장치 없이도 금융권에서 간편하게 시재마감을 할 수 있도록 지폐 데이터 및 로그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계수 및 로그데이터를 제공하는 지폐계수장치 및 방법{BILL COUN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UNTING AND LOG DATA}
본 발명은 지폐를 계수할 경우 계수데이터 및 로그데이터를 저장하여 금융기관에서 시재정산 시 활용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시재인수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지폐계수장치 하나만으로도 시재인수를 할 수 있는 지폐계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융기관에서는 업무 시작 전 사무원이 일정 금액의 현금을 잔고로 받아놓고, 고객이 입금하거나 출금하는 현금을 받은 현금으로 처리한 뒤 입출금 내용을 중앙서버에 입력한다. 그 후 영업시간이 종료하면 입출금한 내역과 잔고를 현재 보유하고 있는 현금과 비교하여 시재를 정산하게 된다.
그러나 이 과정은 입출금 전표를 각각 확인하면서 잔고를 계산한 다음 남아있는 현금과 대조하여 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정산이 정확하지 않고, 시재마감이 맞지 않을 경우 일일이 입출금 내역과 남아 있는 현금을 각 단위 지폐별로 계수하여 정확히 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번거롭고 오래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 시재인수 처리장치들과 이를 이용한 여러 가지 처리방법이 나오고 있지만 장비가 고가이며 대형이기 때문에 모든 지점에 설치하기 어려우며 이로 인해 시재인수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재인수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입출금 내역을 조회하여 시재 인수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든 창구에서 쉽고 경제적으로 시재정산을 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폐계수장치(100)는 이미지센서를 이용하여 지폐의 이미지를 얻는 이미지 취득부(210), 광 센서를 이용하여 지폐의 위조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값 취득부(220), 이미지 취득부(210)와 센서값 취득부(220)에서 얻는 지폐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31)와 로그데이터를 저장하는 로그데이터 저장부(232)로 구성된 판별부(200), 계수데이터 및 로그데이터를 PC(400)로 전송하기 위한 USB 포트(110)로 구성된 것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별도의 시재인수장치를 따로 구비하지 않아도 금융기관의 창구마다 놓여진 지폐계수장치에서 지폐데이터 및 로그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실시간 입출금 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영업 종료 후 시재마감 시에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지폐계수장치를 계수와 동시에 시재인수장치로도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데이터 및 로그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지폐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계수 및 로그데이터 활용의 예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처리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지폐 계수 및 위조지폐를 식별하는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이미지센서를 이용하여 지폐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이미지 취득부(210); 광센서를 이용하여 지폐의 위조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값 취득부(220); 이미지 취득부(210)와 센서값 취득부(220)에서 얻는 계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31)와 로그데이터를 저장하는 로그데이터 저장부(232)로 구성된 판별부(200); 계수데이터 및 로그데이터를 PC(400)로 전송하기 위한 USB 포트(110)로 구성된 것을 제공한다.
또한 지폐계수장치에 있어서, 투입된 지폐를 계수하는 단계(S3); 이미지센서에서 지폐 이미지를 취득하는 단계(S4); 취득된 이미지를 식별하여 지폐권종을 식별하는 단계(S5); 식별된 권종으로부터 지폐 위조여부를 판별하는 단계(S6); 지폐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7); 지폐데이터를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고 로그데이터를 로그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S8); 계수데이터와 로그데이터를 PC로 전송하는 단계(S10)를 포함하여 계수 데이터 및 로그데이터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수 및 로그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지폐처리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식화한 것이다.
지폐 권종을 식별하고 위조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계수장치는 투입구를 비롯하여 수송로, 모터, 스태커 등의 여러 가지 장치로 구성되어 있지만 지폐 권종 식별 및 위조 여부 검출을 하기 위한 역할은 식별부(200)가 담당하고 있다.
식별부(200)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지폐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이미지 취득부(210)와 초음파를 이용하여 지폐 두께 및 테이프를 검출하는 초음파센서, 지폐에 묻어있는 자기센서, 자외선에 반응하는 형광물질을 검출하여 위조지폐를 검출하는 광센서 등의 센서값 취득부(220)로 구성되어 있다.
지폐가 투입구에 투입되면 상기 각종 센서는 이미지 센싱 및 센서처리 과정을 통해 지폐의 권종, 액면가, 총 합계 및 위조지폐 여부를 취득한다. 그리고 이미지 센싱과정에서 투입된 지폐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데이터 저장부(231)에 저장함으로써 실제로 계수한 지폐의 전체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저장된 이미지 가공하여 지폐 일련번호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로그데이터 저장부(232)에 저장되는 것은 계수한 시점의 날짜 및 시간, 에러사유, 시스템 정보 등이며 계수 데이터와 결합되어 시재인수 등에 활용되게 된다.
사용자 번호는 사무원이 계수 시작 전 자신이 사용할 사용자 번호를 임의로 입력하여 개별로 시재 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사용자1부터 사용자N까지 가능하다.
데이터 저장부(231)와 로그데이터 저장부(232)의 데이터는 USB(300)에 저장하여 이를 PC(400)에서 출력한다. LAN을 통하여 PC(4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계수 및 로그데이터를 활용을 보여주기 위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금융기관에서 시재 불일치와 같은 입/출금 추적이 필요한 경우에는 계수 및 로그데이터를 USB를 통해 컴퓨터로 전송한다. 그러면 도 2와 같이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이 표시되고 몇 시 몇 분에 어떤 사용자가 얼마의 지폐를 계수했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위조지폐가 계수된 경우에는 로그데이터 기록을 중앙서버 데이터와 비교하여 입금자가 누구인가까지 알아낼 수 있다.
또한 지폐 전체이미지를 저장함으로 수표의 경우 그 일련번호를 확인할 수 있어 위조된 수표의 경로를 추적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처리순서도이다.
계수시작 전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할 고유한 사용자 번호를 지정한다(S2). 사용자 번호를 지정하는 것은 사무원 개개별로 시재인수를 하기 때문에 각자의 입출금 내역을 구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만약 개인이 사용한다면 상기 단계를 생략하여도 된다.
사용자 지정이 끝난 뒤 투입부에 지폐를 올려놓으면 계수는 시작되고(S3) 이미지 센서가 지폐 이미지를 취득하여(S4) 권종을 인식한다(S5). 권종이 인식되면 각종 센서들이 구동하여 지폐의 위조 여부를 식별한 뒤(S6) 계수한 지폐정보 및 로그데이터를 계수데이터 저장부(230)로 보낸다(S8).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계수를 시작하기 전 설정모드를 조정하여 수표 시리얼 넘버 기능을 선택하면 지폐 전체이미지를 저장하는 것 이외에도 이미지에서 시리얼 넘버를 따로 추출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S7). 이미지센서(100)로부터 이미지 정보들을 미리 취득하는 것은 지폐 권종마다 위조 여부 및 시리얼 넘버를 인식하는 부분이 틀리기 때문에 이미지 정보들을 이용하여 지폐 권종을 식별한 뒤에라야 다른 센서들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및 위치가 결정된다.
금융기관에서 상기 영업 종료 후 입출금 후 창구에 남은 금액과 중앙서버의 입출금이 맞는지 확인을 하고(S9) 맞는 경우에는 장치를 종료한다(S10).
그러나 창구에 현재 남은 금액과 중앙서버의 출입금 내용이 맞지 않은 경우는 계수장치로부터 데이터 자료를 받기 위해 USB(300)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PC(400)로 전송한다(S11).
연결된 PC(400)에서 지폐데이터와 로그데이터가 표시되면 계수된 시간 및 금액을 중앙서버의 출입금 내역과 일일이 비교하여 오류를 찾아낸 후 종료한다(S12).
영업이 종료하지 않더라도 업무 중간 상황에서 발생한 입출금 오류가 발생하였을 경우 언제든 USB(300)장치를 통해 PC(400)로 연결하여 입출금내역과 계수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표의 경우에는 지폐 전체이미지를 불러와 시리얼 넘버를 확인함으로써 분실되거나 위조된 고액권의 사용을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지폐계수장치 110: USB 포트
200: 식별부 210: 이미지 취득부
220: 센서값 취득부 230: 계수 데이터부
231: 데이터 저장부 232: 로그데이터 저장부
300: USB 400: PC

Claims (6)

  1. 지폐계수장치에 있어서,
    계수데이터와 로그데이터를 계수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하여 PC(400)로 전송함으로써 지폐 계수정보 및 로그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2. 지폐계수장치에 있어서,
    이미지센서를 이용하여 지폐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이미지 취득부(210);
    광센서를 이용하여 지폐의 위조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값 취득부(220);
    이미지 취득부(210)와 센서값 취득부(220)에서 얻는 계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31)와 로그데이터를 저장하는 로그데이터 저장부(232)로 구성된 판별부(200);
    계수데이터 및 로그데이터를 PC로 전송하기 위한 USB 포트(1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장치.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계수데이터 및 로그데이터를 LAN을 통해 PC(4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장치.
  4. 지폐계수장치에 있어서,
    투입된 지폐를 계수하는 단계(S3);
    이미지센서에서 지폐 이미지를 취득하는 단계(S4);
    취득된 이미지를 식별하여 지폐권종을 식별하는 단계(S5);
    식별된 권종으로부터 지폐 위조여부를 판별하는 단계(S6);
    지폐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7);
    지폐데이터를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고 로그데이터를 로그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S8);
    계수데이터와 로그데이터를 PC로 전송하는 단계(S10)를 포함하는 지폐처리방법.
  5. 청구항 4항에 있어서, 투입된 지폐를 계수하기 전 사용자 번호를 설정하는 단계(S2)를 포함하는 지폐처리방법.
  6. 청구항 4항에 있어서, PC로 전송된 계수데이터 및 로그데이터를 입출금 내역과 비교하는 단계(S12)를 포함하는 지폐처리방법.
KR1020120046649A 2012-05-03 2012-05-03 계수 및 로그데이터를 제공하는 지폐계수장치 및 방법 KR101385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649A KR101385840B1 (ko) 2012-05-03 2012-05-03 계수 및 로그데이터를 제공하는 지폐계수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649A KR101385840B1 (ko) 2012-05-03 2012-05-03 계수 및 로그데이터를 제공하는 지폐계수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495A true KR20130123495A (ko) 2013-11-13
KR101385840B1 KR101385840B1 (ko) 2014-04-16

Family

ID=49852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649A KR101385840B1 (ko) 2012-05-03 2012-05-03 계수 및 로그데이터를 제공하는 지폐계수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8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4520A (ko) * 2017-01-17 2018-07-25 기산전자 주식회사 지폐 계수기의 판별 결과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953B1 (ko) 2017-06-22 2017-09-12 유솔전자 주식회사 하드웨어 지문인증을 통한 스마트 지폐계수기 사용자 계수정보 휴대용 저장형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550B1 (ko) * 2002-08-19 2005-05-16 (주)신우아이티 일련번호 추출기능을 가진 유가증권 계수 장치 및 그방법
KR100812254B1 (ko) * 2006-05-02 2008-03-13 주식회사 프러스상사 지폐 감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4520A (ko) * 2017-01-17 2018-07-25 기산전자 주식회사 지폐 계수기의 판별 결과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840B1 (ko)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71528B1 (en) Papers discriminating device, and papers discriminating method
CN1499449B (zh) 纸币类交易设备
US9626666B2 (en) Dual validator self-service kiosk
US20100174403A1 (en) Banknote deposit machin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9934497B2 (en)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currency stamper
KR101554252B1 (ko) 지폐일련번호 인식을 통한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관리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금융자동화기기
JP5129339B2 (ja) 釣銭準備金作成方法
JP2005004486A (ja) 紙幣取引システム
CN104395939B (zh) 自动交易装置
KR101364222B1 (ko) 지엽류 판별 장치
AU2006207320A1 (en) Casino deposit unit and system
US9163978B2 (en) Purge-bin weighing scale
US9038805B2 (en) Self-service kiosk validator bridge
JP6587816B2 (ja) 貨幣収集システム及び貨幣収集方法
KR101385840B1 (ko) 계수 및 로그데이터를 제공하는 지폐계수장치 및 방법
RU2565518C2 (ru) Способ выдачи банкнот с помощью денежных автоматов и денежный автомат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способа
KR20130008801A (ko) 현금/수표 통합 입금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현금/수표 인식방법
CN1648956A (zh) 自助服务系统中现金管理的方法及装置
JP4298348B2 (ja) 貨幣取引装置及び紙幣情報の管理システム
KR20200044493A (ko) 스마트 금융 시재 관리장치
JP2020024501A (ja) 取引装置
KR102395495B1 (ko) 지폐 입출금에 따른 거래 내역 조회를 위한 단말장치, 지폐처리장치, 거래관리서버 및 그 방법
TW556127B (en) A learning method for detecting money
KR101538462B1 (ko) 지폐 시그너쳐를 이용한 위폐 거래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금융자동화기기
KR20040100820A (ko) 동전 및 지폐 입금 단말기 및 그 입금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