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2070A - 동백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동백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2070A
KR20130122070A KR1020120045106A KR20120045106A KR20130122070A KR 20130122070 A KR20130122070 A KR 20130122070A KR 1020120045106 A KR1020120045106 A KR 1020120045106A KR 20120045106 A KR20120045106 A KR 20120045106A KR 20130122070 A KR20130122070 A KR 20130122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smetic composition
camellia
camellia see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정
강병하
이존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20045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2070A/ko
Publication of KR20130122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07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untreated material, e.g. fruit juice or sap obtained from fresh 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동백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모발 내부의 손상을 회복하여 건강한 모발로 복구시켜줄 수 있다. 또한, 모발 컨디셔닝 및 트리트먼트 효과로 인한 모발의 윤기와 부드러움 개선효과 등 모발의 전반적인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백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Hai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Camellia japonica L. seed}
본 발명은 물리, 화학적인 요인으로 인해 손상된 모발을 회복시키고 모발을 강화시키기 위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동백 오일은 예전부터 여인들의 머리단장에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모발의 윤기를 높이고 모발을 정돈하기 위하여 처방되어 왔다. 특히 염모제, 퍼머제, 열처리 등에 의해 손상되고 들뜬 모발 큐티클층을 정돈하고 얇은 오일막을 형성함으로써 모발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동백 오일은 물리 화학적 처리에 의한 모발 손상시 광범하게 일어나는 모발 아미노산 소실을 근본적으로 개선시키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동백오일은 샴푸나 비누로 머리를 감으면 쉽게 제거되어 모발 윤기 및 부드러움 개선에 있어서 일시적인 효과만을 보일 뿐 그 효과의 지속을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5339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동백오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동백씨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화학적 처리로 인한 모발의 아미노산 손실로 인하여 손상된 모발을 회복시키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백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백씨 유박(油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함유된 동백씨 추출물 및 동백씨 유박 추출물은 기존의 동백오일 성분과는 달리 수용성으로서, 풍부한 아미노산 성분들을 함유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모발에 사용시 동백씨에 함유된 풍부한 아미노산 성분들이 드라이의 열, 염색제 및 퍼머제 등의 물리, 화학적 처리에 의해 손상된 모발내부로 침투하여 소실된 모발 아미노산을 보충하여줄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손상된 모발을 근본적으로 회복시켜주므로 건강한 모발로 복구시켜줄 뿐만 아니라 그 효과를 오랫동안 지속시켜 줄 수 있다. 그러므로 모발의 윤기 및 부드러움 개선효과 또한 유지가 가능하다.
동백씨에는 다양한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트레오닌(threonine), 세린(serine), 글루탐산(glutamic acid), 프롤린(proline), 글리신(glycine), 알라닌(alanine), 시스테인(cystein), 발린(valine), 메티오닌(methionine), 아이소루신(isoleucine), 루신(leucine), 티로신(tyros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히스티딘(histidine), 라이신(lysine), 아르기닌(arginine) 등이 풍부하며 이중 필수 아미노산인 트레오닌, 발린, 메티오닌, 아이소루신, 루신, 페닐알라닌, 히스티딘 및 라이신 함량이 총 아미노산 함량의 30%정도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백씨 유박의 경우에는 총 아미노산의 함량이 동백씨 대비 160%이상으로 고함량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어 손상된 모발의 아미노산 복구에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동백씨 추출물 또는 동백씨 유박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동백씨 추출물 또는 동백씨 유박 추출물만으로 구성된 조성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0.1 내지 100중량%로 함유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동백씨 추출물을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미만일 경우는 그 효과가 미미하므로, 상기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제한없이 제형화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에센스, 헤어세럼, 두피트리트먼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컨디셔너, 헤어샴푸 및 헤어로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성분 외에 다른 성분들이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어샴푸 제형에서는 종류에 따라 적절한 성분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상적인 세정성분인 합성 계면활성제와 방부제, 점증제 및 점도 조절제, pH 조절제, 향료, 염료, 모발 컨디셔닝제 및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성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양쪽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 어떤 것도 선택 가능하며,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알킬 및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라우릴 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암모늄, 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 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암모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합성양쪽성 계면활성제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알킬 베타인 및 알킬 아미도프로필 베타인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코코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디메틸 알파-카복시에틸 베타인, 세틸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코카미도 프로필 베타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합성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알카놀 아미드 및 아민 옥사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라우릴 디에틸 아민옥사이드, 야자유 알킬디메틸 아민옥사이드, 라우린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나트륨,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메틸이소치아졸리논 및 소듐벤조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도 조절제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아마이드계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엠이에이(CME), 코카마이드디이에이(CDE), 소듐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모발 컨디셔닝제로는 디메치콘 베이스와 양이온성 폴리머 등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모발 컨디셔닝 제형에서는 종류에 따라 적절한 성분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상적인 컨디셔너 성분들로서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3급 아미도아민과 4급 암모늄화합물, 고융점 화합물,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고, 임의 성분으로서 방부제, 점증제, 점도 조절제, pH 조절제, 향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로서 4급 암모늄화합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알킬(C14-22)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알킬(C14-22)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수소화 탈로우 알킬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탈로우 알킬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3급 아미도아민으로는 코카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 베헤니르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 올레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 이소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민류는 L-글루탐산, 젖산(lactic acid), 염산, 말산(malic acid), 석신산(succinic acid), 아세트산, 퓨마르산(fumar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EDTA 등의 산으로 중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융점 화합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지방알코올계, 지방산계, 지방알코올 유도체, 탄화수소계 등 및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화합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폴리알킬실록산계, 폴리아릴실록산계, 폴리알킬아릴실록산계, 폴리에테르실록산 공중합체 및 그들의 혼합물과 사이클로폴리실록산 및 그의 알킬 아미노 치환 화합물, 아모디메티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나트륨,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메틸이소치아졸리논 및 소듐벤조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H조절제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동백씨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모발 내부의 손상을 회복하여 인장강도의 증가 등 모발의 구조를 강화하여 주고 건강한 모발로 복구시켜줄 수 있다. 또한, 모발 컨디셔닝 및 트리트먼트 효과로 인한 모발의 윤기와 부드러움 개선효과, 정전기 방지 등 모발의 전반적인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의 범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실시예 1] 동백씨 추출물
아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백씨 추출물의 제조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동백씨 1kg를 정제수로 세척하여 건조시키고 분쇄한 후 추출용매인 물 10kg에 넣고 25℃에서 3일간 추출한다. 이렇게 얻어진 추출용액을 여과 및 정제한 후 부틸렌글라이콜 10kg와 혼합하여 동백씨 추출물 약 20kg를 얻는다.
[실시예 2] 동백씨 유박 추출물
아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백씨 유박 추출물의 제조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동백씨를 정제수로 세척하여 건조시키고 압착기에 올려놓은 후 600kg/cm2의 힘으로 20분간 압착하여 오일을 짜낸 후, 남은 동백씨 유박을 회수한다. 이렇게 얻은 동백씨 유박 1kg를 건조시키고 분쇄한 후, 추출용매인 물 10kg에 넣고 25℃에서 3일간 추출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추출용액을 여과 및 정제한 후 부틸렌글라이콜 10kg와 혼합하여 동백씨 유박 추출물 약 20kg를 얻는다.
[비교예] 동백오일
이하에서는 앞서 기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특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종래 사용되고 있는 동백오일을 비교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비교 설명하기로 한다.
동백씨를 정제수로 세척하여 건조시키고 압착기에 올려놓은 후 600kg/cm2의 힘으로 20분간 압착한 후, 흘러나오는 동백오일을 회수한다. 회수된 동백오일에 대해 여과과정을 통해 찌꺼기를 제거한다.
[시험예 1]
본 발명의 모발 손상회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시험을 실시하였다.
모발탈색 및 실시예 1~2 및 비교예의 처리
표준모발 3g에 블리치파우더와 산화제(과산화수소) 혼합액을 골고루 도포하고 30분간 방치시킨 후, 소듐라우릴설페이트 8%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상기 과정을 3회 반복하여 모발을 탈색하였다. 이렇게 얻은 탈색모발 3g에 실시예 1(동백씨 추출물), 실시예 2(동백씨 유박 추출물) 또는 비교예(동백오일) 3g을 각각 도포하고 30℃에서 1 시간동안 방치시킨 후, 소듐라우릴설페이트 8%용액으로 세척하고 30℃, 습도 40%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처리 후 아미노산 함량의 비교
1. 기기 및 시약
HPLC는 AQUITY UPLC-PDA system(Waters, USA)을 사용하여 실험하였으며, 데이터 처리는 Waters Empower Pro software를 사용하였다. HPLC 이동상은 AccQ-Tag Ultra Eluent A, B(Waters, USA)를 사용하였고, 22종의 아미노산 L-Alanine(Ala), L-Aspartic acid(Asp), L-Asparagine(Asn), L-Arginine(Arg), L-Glutamic acid(Glu), L-Glutamine(Gln), L-Glycine(Gly), L-Histidine(His), L-Isoleucine(Ile), L-Leucine(Leu), L-Lysine(Lys), L-Methionine(Met), L-Proline(Pro), L-Serine(Ser), L-Threonine(Thr), L-Valine(Val), L-Tyrosine(Tyr), L-Cystine(Cys), L-Tryptophane(Trp), L-Theanine(The), L-Phenylalanin(Phe) 및 γ-Aminobutyric acid(GABA)은 Sigma(USA)사에서 구입하였다. 아미노산 형광 유도체화 시약으로는 AccQ-Tag 아미노산 유도체화 키트(Waters, USA)를 사용하였다.
2. HPLC 분석조건
분석 컬럼은 ACQUITY UPLC AccQ-Tag Ultra C18컬럼(2.1 × 100 mm, 1.7 μm)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AccQ-Tag Ultra Eluent A(buffer), AccQ-Tag Ultra Eluent B(1 % formic acid in Acetonitrile)를 이용하여 농도구배조건으로 분석하였다. 이 때 유속 0.7 mL/min, 주입량 1 μL, 컬럼온도 60℃, 검출 PDA 260 nm의 조건 하에서 분석하였으며, 이동상은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시간(min) A(%) B(%)
0 99.1 0.1
0.54 99.1 0.1
1.97 98.7 1.3
2.85 97.5 2.5
6.30 95.0 5.0
6.85 92.5 7.5
7.54 85.5 14.5
9.85 85.5 14.5
11.5 40.4 59.6
12.2 99.1 0.1
14.0 99.1 0.1
3. 아미노산 함량의 비교
상기의 분석조건 하에 분석한 탈색모발 및 탈색 후 실시예 1(동백씨 추출물), 실시예2(동백씨 유박 추출물) 및 비교예(동백오일)를 처리한 모발의 총 아미노산 측정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탈색모발 탈색 후 실시예 1 처리모발 탈색 후 실시예 2 처리모발 탈색 후 비교예
처리모발
총 아미노산 함량
(㎍/g)
66275 71956 74833 67135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탈색 후 비교예(동백오일)을 처리한 경우에는 총 아미노산 함량에 큰 변화가 없었으나, 탈색 후 실시예 1(동백씨 추출물) 또는 실시예 2(동백씨 유박 추출물)을 처리한 모발의 경우에는 탈색모의 총 아미노산 함량이 10% 이상 상승하였다. 또한, 실시예 2(동백씨 유박 추출물)을 처리한 모발의 경우 아미노산 보충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이는 비교예는 오일성분이므로 모발내에 침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지만, 실시예 1 및 2는 수용성이므로 모발내 침투가 용이하여 화학적 처리에 의해 소실된 모발 아미노산을 효과적으로 보충하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백씨 추출물 또는 동백씨 유박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동백오일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탈색 등 화학처리로 인하여 손상된 모발의 회복효과가 뛰어나고, 손상된 모발을 근본적으로 회복시켜 건강한 모발로 효과적으로 복구시켜줄 수 있다.
동백오일의 경우 성분내 아미노산함량이 적어 손상 모발 복구효과가 낮은데 반해, 동백씨 추출물은 풍부한 아미노산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고 수용성이므로 친수성을 띄는 손상모 표면에 보다 효과적으로 침투할 수 있다.
[시험예 2]
상기 시험예 1에서 탈색 및 실시예 1, 2 및 비교예를 처리한 모발의 인장강도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건조된 탈색모발, 탈색 후 실시예 1(동백씨 추출물) 처리모발, 탈색 후 실시예 1(동백씨 유박추출물) 처리모발, 탈색 후 비교예(동백오일) 처리모발에서 80±10㎛의 굵기를 가지는 머리카락을 각각 10개씩을 채취하여 레오미터(Rheometer: SUN Scientific co사)를 이용하여 모발 인장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탈색모발 탈색 후 실시예 1 처리모발 탈색 후 실시예 2 처리모발 탈색 후 비교예
처리모발
인장강도(g/cm2) 68.5 77.3 79.8 70.1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탈색 후 비교예(동백오일)을 처리한 경우에는 인장강도에 큰 변화가 없었으나, 탈색 후 실시예 1(동백씨 추출물) 또는 실시예 2(동백씨 유박 추출물)을 처리한 모발의 경우에는 탈색모의 인장강도가 15% 이상 상승하였다. 특히, 실시예 2(동백씨 유박 추출물)을 처리한 모발의 경우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이는 본 발명이 수용성인 동백씨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동백오일을 함유하는 경우보다 모발 내 아미노산의 침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동백오일이 아닌 동백씨 추출물 또는 동백씨 유박 추출물을 함유하여, 화학적 처리로 인한 손상된 모발 내에 아미노산을 보충해줌으로써 모발의 구조를 강화하여준다.

Claims (7)

  1. 동백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2. 동백씨 유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아미노산 성분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손상된 모발을 회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된 모발은 화학적 요인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에센스, 헤어세럼, 두피트리트먼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컨디셔너, 헤어샴푸 및 헤어로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045106A 2012-04-30 2012-04-30 동백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22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106A KR20130122070A (ko) 2012-04-30 2012-04-30 동백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106A KR20130122070A (ko) 2012-04-30 2012-04-30 동백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070A true KR20130122070A (ko) 2013-11-07

Family

ID=49851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106A KR20130122070A (ko) 2012-04-30 2012-04-30 동백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207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590A (ko) * 2013-11-29 2015-06-08 (주)아모레퍼시픽 모발 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모발 강화방법
WO2016159567A3 (ko) * 2015-03-31 2016-11-24 (주)아모레퍼시픽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및 항염용 조성물
KR20180117307A (ko) 2017-04-19 2018-10-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윤기 강화용 조성물
KR20190091161A (ko) 2018-01-26 2019-08-05 (주)아모레퍼시픽 동백씨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24390A (ko) * 2021-03-03 2022-09-14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검정콩, 풋귤 및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증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590A (ko) * 2013-11-29 2015-06-08 (주)아모레퍼시픽 모발 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모발 강화방법
WO2016159567A3 (ko) * 2015-03-31 2016-11-24 (주)아모레퍼시픽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및 항염용 조성물
KR20180117307A (ko) 2017-04-19 2018-10-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윤기 강화용 조성물
KR20190091161A (ko) 2018-01-26 2019-08-05 (주)아모레퍼시픽 동백씨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24390A (ko) * 2021-03-03 2022-09-14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검정콩, 풋귤 및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증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88314A1 (en) Composition For Surface Modification
US20190380936A1 (en) Functional Composition For Surface Modification
KR20130122070A (ko) 동백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CN105992583A (zh) 使用产生靛蓝的植物粉末和碱性剂染色角蛋白材料的方法
KR102052262B1 (ko) 헤어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29956B1 (ko) 지속성을 갖는 이제식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US20180369113A1 (en) Personal care formulations comprising carmin protein
WO2016139125A1 (de) Kosmetische mittel mit bio-aktivstoff und einem dipeptid
EP3506877B1 (en) Concentrate for keratin fiber treatment compositions
KR20160140407A (ko) 모발의 볼륨을 증진시키는 모발 또는 두피용 조성물
KR20180096564A (ko)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US20240010677A1 (en) Cosmetic tetrapeptide, composition and use
CN107789223B (zh) 一种护色提亮香波组合物
KR102200187B1 (ko) 모발 관리용 조성물
US20190192403A1 (en) Hair treatment composition
GB2547061A (en) High-Performance hair treatment agents with a Proteolipid and a magnesium salt
KR101945404B1 (ko) 펩타이드 함유 모발용 조성물
CN109789071B (zh) 毛发护理组合物
WO2016052834A1 (ko)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EP3076941A1 (de) Haarbehandlungsmittel mit substituierten silikon(en)
US20210346268A1 (en) Hair coloring method
KR20190126033A (ko) 표면 개질용 기능성 조성물
KR20210050907A (ko) 결합수분 증대 및 항상성 유지 기술
CN117898968A (zh) 一种防晒、去屑、修复功能的胶原蛋白洗发露及制备方法
KR20160059752A (ko)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