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1790A - 공중파 방송과 중첩 재생되는 코멘트 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중파 방송과 중첩 재생되는 코멘트 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1790A
KR20130121790A KR1020130120708A KR20130120708A KR20130121790A KR 20130121790 A KR20130121790 A KR 20130121790A KR 1020130120708 A KR1020130120708 A KR 1020130120708A KR 20130120708 A KR20130120708 A KR 20130120708A KR 20130121790 A KR20130121790 A KR 20130121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comment
unit
broadcasting
feed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0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6981B1 (ko
Inventor
이병익
정관석
Original Assignee
이병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익 filed Critical 이병익
Priority to KR1020130120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981B1/ko
Publication of KR20130121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TV 방송을 시청할 때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코멘트에 해당하는 방송을 중첩하여 나타내는 방송 시스템 및 장치이다.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200)에서 코멘트 방송을 생성하여 방송 수신 장치(100)로 송출하면, 방송 수신 장치(100)에서 중첩 재생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방송 프로그램과 코멘트 방송 컨텐츠를 중첩한 방송이 재생되도록 한다.

Description

공중파 방송과 중첩 재생되는 코멘트 방송 시스템{comment broadcasting system for overlaying with air channel broadcasting}
본 발명은 TV 방송 컨텐츠에 대한 코멘트 방송을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방송 및 통신 기술의 발달로 양방향 TV서비스의 제공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TV를 시청하는 도중 방송 프로그램의 상세 정보 또는 부가 정보 등의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관련 정보가 TV를 통해 또는 TV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TV에 출력되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2012. 3.13.자 공개된 공개특허공보 2012-23301호는 웹 상의 댓글을 수집하여 선정된 댓글을 방송 컨텐츠에 동기화시켜 댓글을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댓글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댓글 서비스를 통해 방송 컨텐츠에 대한 타 시청자들의 반응을 공유하여 공감하는 방송 시청이 가능하다. 그러나 댓글은 무질서하며 개시된 시스템으로는 정리된 반응을 보여주지 않아 통제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공중파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단순한 정보가 아닌,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다른 시청자의 코멘트에 해당하는 방송을 별도로 진행하고 이를 시청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물리적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타인과 함께 방송 시청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방송에 대한 시청자의 피드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진행 중인 방송에 대한 실시간 시청자의 반응을 방송 진행에 반영할 수 있고, 또한 시청자의 피드백 정보를 실시간으로 도식화 하여 중첩 방송함으로써 시청자가 다른 시청자들의 여론 형성 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바, 방송국 프로그램 제작과정에 실시간 반영시킬 수 있는 양방향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방송 시스템은 시청자의 방송 수신 장치와, 코멘트 방송을 생성할 수 있는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는 다수의 코멘트 방송 중 취향에 맞는 코멘트 방송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방송 수신 장치는 선택된 코멘트 방송에 접속하여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과, 동영상, 그래픽 및 도식화 정보를 포함하는 코멘트 컨텐츠를 중첩하여 재생한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코멘트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는 동시에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 및/또는 코멘트 방송에 대한 자신의 의견이나 반응을 수신된 피드백 질문지를 통하여 피드백 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코멘트 컨텐츠는 피드백 질문지를 통하여 시청자가 선택한 피드백 정보를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그래프 등의 도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양상에 있어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에 중첩되는 코멘트 컨텐츠의 수신기 화면 내에서의 위치나 크기, 중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는 실시간으로 방송 프로그램 수신하고 코멘트 방송 진행자의 영상, 음성을 입력 받아 방송 채널에 대한 코멘트인 방송 컨텐츠를 생성하여 접속해 오는 방송 수신 장치로 코멘트 방송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코멘트 방송 진행에 사용되는 그래픽 아이템을 결제하여 코멘트 방송 진행에 상기 그래픽 아이템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는 시청자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피드백 질문지 선택항 별 시청자의 선택 도수의 분포를 실시간으로 도식화하여 화면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상에 따르면, 공중파 방송에 대하여 코멘트 방송을 함으로써 누구든지 직, 간접적으로 방송 제작에 참여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본격적인 양방향 TV 방송의 전기가 마련되어 미래에 새로운 형식의 창조적인 방송 프로그램이 다양한 장르형태로 진화하고 발전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시청자들이 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시청자 또한 코멘트 방송에 영향을 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로써 궁극적으로 공간적으로 함께 있지 않아도 다수의 사람이 함께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시청자 피드백 정보가 실시간으로 도식화되어 제공됨으로써 기존의 여론조사가 가지는 시간공백의 한계를 최소화 시켜 여론 동향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TV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그에 대한 코멘트에 해당하는 내용의 코멘트 방송을 기본 방송 프로그램에 중첩시켜 방송하는 방송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수신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수신 장치(100) 사용자의 TV 화면 구성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200)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방송 컨텐츠를 제작하여 티브이 단말에 공급하는 방송 사업자 측의 시스템('방송 시스템’ 이라 칭함) 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양방향 채널 방송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코멘트 방송은 공중파 방송 프로그램의 컨텐츠에 관련된 내용을 기반으로 한 타 시청자('코멘트 방송 진행자'라 칭함.)의 방송 진행과 상기 컨텐츠에 대한 시청자의 반응을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그래프 등의 도식('도식화 정보'라 칭함)으로 구성되는 방송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토론회 등의 방송 프로그램이 방영 중인 경우, 코멘트 방송 진행자가 토론회 내용에 대한 방송을 진행하면서, 방송 내용과 관련된 질문지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시청자들의 반응을 살피고, 이를 실시간으로 방송에 그래프로 나타내는 컨텐츠들로 구성되는 방송일 수 있다. 이러한 일례의 방법을 공중파, 종합유선방송국 등이 콘텐츠 제작 과정에 직접 활용 할 수도 있다. 공중파 등의 방송 중 시청자에게 공개 질문 또는 설문하면 시청자 응답(소통)이 코멘트 방송 시스템을 통해 그래프 등의 도식화 정보로 제공되고, 방송국은 이러한 시청자 피드백 컨텐츠를 인용 및/또는 원용하여 방송 제작에 반영시킬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 대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방송 시스템은 방송 수신 장치(100),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200), 공중파 방송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10) 및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공중파 방송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이며, 이 대신 케이블 방송 시스템, 위성 방송 시스템 등 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TV, 컴퓨터 모니터 등 방송 채널을 나타낼 수 있는 화면이 있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입력장치 또한 리모컨, 키보드, 핸드폰, 터치 스크린 등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장치 중 하나 혹은 이들의 가능한 조합일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TV등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내부 장치일 수 있으며, 또는 셋탑박스와 같은 외부의 별개 장치일 수 있다. 공중파 방송 시스템과 코멘트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방송을 수신하여 방송 프로그램과 코멘트 컨텐츠를 중첩시켜 재생 신호를 출력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방송 채널의 선택 지시를 입력 받는 방송 채널 선택부(111)와, 방송 채널 선택부(111)에서 선택된 방송 채널에 관련된 코멘트 방송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코멘트 방송의 선택 지시를 입력 받는 코멘트 방송 선택부(112)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와 방송 채널 선택부(111)에서 선택된 방송 채널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121)와, 코멘트 방송 선택부(112)에서 출력된 코멘트 방송의 선택 지시에 따라 코멘트 방송 시스템에 접속하여 코멘트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통신부(122)를 포함하는 통신부(120)와 방송 수신부(121)에서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과 컨텐츠 통신부(122)에서 수신된 그래픽 아이템과 도식화 정보를 포함하는 코멘트 컨텐츠를 중첩시킨 컨텐츠 재생 신호를 출력하는 중첩 재생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첩 재생부(130)는 방송 프로그램과 코멘트 방송 컨텐츠를 중첩시키는 재생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중첩 화면을 재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중첩 재생 신호는 송출 시스템에서 방송 프로그램과 코멘트 방송을 이미 중첩시켜 송출한 재생 신호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중첩 재생 신호는 각각의 송출 시스템에서 별개의 채널로 송출한 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와 코멘트 방송 컨텐츠 각각을 수신하여, 수신기 내에서 중첩하여 출력한 재생 신호일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방송 채널 선택부(111), 코멘트 방송 선택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시스템의 운영에 관련하여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하고, 사용자에게 시스템의 반응을 인지가능한 신호로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중첩 해야 할 방송 컨텐츠들에 대해 사용자의 입력 장치로부터 선택 지시를 입력 받아 통신부(120)를 통하여 중첩 재생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채널 선택부(111)는 사용자의 입력 장치로부터 공중파 방송, 케이블 방송 등의 채널에 대하여 방송 선택 입력을 받고, 코멘트 방송 선택부(112)는 상기 선택된 방송에 대한 코멘트 방송의 선택 지시를 입력 받아 각각 통신부(120)에서 선택된 방송을 각각의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부(120)에 선택 입력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방송 수신부(121)와 컨텐츠 통신부(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방송 수신부(121)는 방송 채널 선택부(111)로부터 선택 지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컨텐츠 통신부(122)는 코멘트 방송 선택부(112)로부터 선택 지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21)는 수신한 정보에 따라 공중파 방송 등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선택된 방송 채널로부터 방송 채널 선택부(111)에서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며, 컨텐츠 통신부(122)는 코멘트 방송 시스템에 접속하여 코멘트 방송 선택부(112)에서 선택된 코멘트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방송 피드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송 피드백부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 피드백 정보를 입력 받아 통신부(120)를 통해 선택된 코멘트 방송 관련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인 양상에 따르면, 방송 피드백부는 질문지 피드백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질문지 피드백부는 컨텐츠 통신부에서 수신된 피드백 질문지를 중첩 재생부로 출력하고, 피드백 질문지에 대한 시청자의 선택을 입력 받아 통신부(120)를 통해 선택된 코멘트 방송 관련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피드백 질문지는 방송 진행자가 시청자들의 여론을 확인하기 위한 설문과 시청자가 설문에 대해 답할 수 있는 선택항들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좋다"는 반응의 경우 호응도를 상, 중, 하 3가지 정도의 선택항과 그에 대한 응답코드 11,12,13 로 구성하고, "싫다"는 반응의 경우에서 3가지 선택항과 응답코드 22,23,24, "모르겠다"는 반응의 경우 3가지 선택항과 응답코드 33,34,35, 로 구성한다. 시청자는 원하는 선택항의 응답코드를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질문지의 형식은 방송 장르와 성격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선택항 입력 방법 또한 질문지의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수행될 수 있다.
피드백 질문지는 일 실시예로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 내용으로 구성되며, 방송 진행자가 시청자들의 여론을 확인하기 위해 직접 구성하거나, 방송 시스템 제공업자 등이 미리 제작하여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시청자 피드백 정보는 예를 들면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의 감상, 평가, 응원, 비판 등의 내용을 담은 문자, 캐릭터 아이콘, 이모티콘 등의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일 수 있다. 또는 수신된 피드백 질문지에서 제공하는 선택항에 대한 응답일 수 있다.
또 다른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코멘트 피드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멘트 피드백부는 코멘트 컨텐츠에 대한 시청자 피드백 정보를 입력 받아 통신부(120)를 통해 선택된 코멘트 방송 관련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시청자 피드백 정보는 예를 들면 코멘트 컨텐츠에 대한 시청자의 감상, 평가, 응원, 비판 등의 내용을 담은 문자, 캐릭터 아이콘, 이모티콘 등의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일 수 있다. 또는 수신된 피드백 질문지에서 제공하는 선택항에 대한 응답일 수 있다.
상기 선택된 방송 관련 서버는 선택된 코멘트 방송을 사용자의 방송 수신 장치(100)로 송출하는 해당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200)의 송출부(23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중첩 재생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첩 재생 제어부는 방송 프로그램에 중첩되는 코멘트 컨텐츠에 대한 표시 제어를 처리한다. 일 실시예로서, 방송 프로그램을 기본 화면으로 하여 그 안에서 코멘트 방송의 화면이 표시되는 위치나, 그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 혹은 제1화면(11)과 제2화면(12)의 중첩 정도, 즉 중첩표시되는 코멘트 방송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코멘트 방송을 제어하는 다른 기능을 포함 할 수 있으며, 제시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사용자의 입력장치를 통한 조작 신호 입력을 기반으로 하며, 중첩 재생 제어부가 상기 조작 신호를 중첩 재생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코멘트 방송 시스템에 적용되는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200)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200)는 공중파 방송을 수신하여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코멘트에 해당하는 방송을 생성하여 다수의 방송 수신 장치(100)로 코멘트 방송을 송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200)는 실시간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210)와, 코멘트 방송 진행자의 영상, 음성을 입력 받아 방송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방송 채널에 대한 코멘트인 방송 컨텐츠를 생성하는 코멘트 방송 생성부(220)와, 코멘트 방송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해 접속해 오는 방송 수신 장치(100)로 코멘트 방송을 제공하는 송출부(230)를 포함한다.
방송 수신부(210)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은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등의 공중파 방송을 포함하며, 방송 수신부(210)는 해당 방송 시스템에 접속하여 선택된 방송 채널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다.
코멘트 방송 생성부(220)는 코멘트 방송 진행자의 영상, 음성을 입력 받아 방송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방송채널에 대한 코멘트인 방송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진행자의 영상, 음성 등의 입력은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나 디스플레이 장치와 함께 구비되는 카메라, 마이크 등의 장치일 수 있다. 제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행자가 제공하는 영상, 음성 등을 수신하여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노트북, 태블릿 피씨 등 다른 장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코멘트 방송 생성부(220)는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 마이크에서 입력되는 음성 및 그래픽 아이템이나 도식화 된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 컨텐츠로 코멘트 방송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컨텐츠의 품질, 전송 속도 등을 위해 상기 영상, 음성, 멀티 컨텐츠 등의 컨텐츠를 압축하여 송출부로 전송할 수 있다.
송출부(230)는 코멘트 방송 생성부(220)에서 압축된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접속해 오는 방송 수신 장치(100)로 코멘트 방송을 송출 할 수 있다.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코멘트 방송 진행에 사용되는 그래픽 아이템의 선택 지시를 입력 받는 그래픽 아이템 선택부(241)와, 그래픽 아이템 선택부(241)에서 선택된 아이템에 대하여 결제를 진행하는 결제 처리부(242)를 포함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와 결제된 그래픽 아이템을 코멘트 방송 생성부(220)로 출력하는 그래픽 아이템 생성부(2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아이템은 코멘트 방송 진행에 사용되는 다양한 그림의 아이콘으로써, 다양한 동작과 음성 등의 효과를 수반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야구 중계 방송에 대한 코멘트 방송에서 코멘트 방송 진행자가 자신이 응원하는 팀의 경기 내용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려고 한다면, 팔짱을 끼고 한심하다는 표정을 짓는 캐릭터나, 버럭 화를 내는 동작과 음성을 담은 캐릭터를 사용할 수 있다. 캐릭터는 코멘트 방송 시스템 제공자가 공급하는 것으로서, 유명 캐릭터나 유명인의 사진이나 캐리커쳐 등일 수 있다.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현재 방송 프로그램의 제공 상황과 시청자의 수요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 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중첩 재생부(130)에 이어서 추가로 설명하면, 중첩 재생부는(130) 제1화면과 제2화면의 영상, 음성, 그래픽 아이템 및 도식화된 피드백 정보를 별개로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전송하거나 영상, 음성 그래픽 아이템 및 도식화된 피드백 정보의 디지털 패킷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수신기의 중첩 재생 송출단에서 상기 디지털 패킷을 재조립하여 단일의 압축된 영상 프레임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는 그래픽 아이템 선택부(241)와 결제 처리부(24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코멘트 방송 진행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62) 등을 보고 그래픽 아이템의 선택 지시를 입력하면 그래픽 아이템 선택부(241)가 이를 수신하여 그래픽 아이템을 선택하고, 선택된 그래픽 아이템을 결제 처리부(242)가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그래픽 아이템 생성부(243)에서는 그래픽 아이템 선택부(241)에서 선택된 아이템에 적용되는 동작, 음향 등의 효과를 반영하여 그래픽 아이템 생성 신호를 만들고, 코멘트 방송 생성부(220)로 출력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200)는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200)가 시청자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코멘트 방송 진행자의 제어 신호를 통해 처리하는 시청자 피드백 분석부(251)와, 분석된 시청자 피드백 정보를 코멘트 방송 진행 정보의 화면으로 출력하는 피드백 정보 생성부(252)를 포함하는 피드백 처리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처리부(250)는 방송 수신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시청자 피드백 정보를 코멘트 방송 진행에 적용하는 제어 신호를 통해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피드백 처리부(250)는 시청자 피드백 분석부(251)와 피드백 정보 생성부(252)를 포함한다. 시청자 피드백 분석부(251)는 시청자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코멘트 방송 진행자의 제어 신호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시청자 피드백 정보를 성별이나 연령에 따라 분리하거나, 동일, 유사한 시청자 피드백 정보별로 분류하여 통계치를 내는 등의 분석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피드백 정보 생성부(252)는 분석된 시청자 피드백 정보를 코멘트 방송 진행에 적용되도록 정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분석된 정보를 정리하여 나타내는 형식을 다양하게 제공하거나, 코멘트 방송 진행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면서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200)를 통해 형식을 편집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시청자 피드백 분석부(251)는 질문지 피드백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질문지 피드백 분석부는 피드백 질문지에 대한 시청자의 선택을 수신하여 각각의 질문지 선택항 별 시청자의 선택 도수의 분포를 포함하는 실시간 시청자 반응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질문지에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질문 선택지로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등의 선택 항목이 구성 된 경우, 각 항목에 대한 시청자의 선택 도수를 산출한다. 선택 도수의 산출을 실시간으로 수행하며 그 변화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피드백 처리부가 질문지 피드백 분석부로부터 상기 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 받아 실시간 변화를 반영하는 도식을 생성하여 화면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60)는 디스플레이 제어부(261)와 디스플레이 장치(26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62)는 방송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 코멘트 방송, 그래픽 아이템, 도식화된 피드백 정보, 코멘트 방송 진행 제어 메뉴 등을 나타내는 화면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TV, 컴퓨터 모니터, 핸드폰 등 화면을 나타내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261)는 디스플레이 장치(262)에 출력된 화면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서 코멘트 방송 진행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62)를 보고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도식화된 피드백 정보, 그래픽 아이템을 조절하는 선택 지시를 입력하면 디스플레이 제어부(261)가 이를 수신하여 선택 지시들이 반영된 코멘트 방송을 생성하도록 코멘트 방송 생성부(220)로 신호를 출력한다.
도4는 코멘트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TV 등의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도4의 일 실시예로서, 방송 채널 선택 메뉴(13)에서 원하는 방송 채널을 선택하면 제1화면(11)에서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이 재생되며,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코멘트 방송 채널의 목록이 코멘트 방송 선택 메뉴(14)에 나타날 수 있다. 코멘트 방송 선택 메뉴(14)에서 제1화면(11)에서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코멘트 방송을 선택하면 제2화면(12)에 선택된 코멘트 방송이 재생된다. 도4의 제2화면(12)의 방송 화면 크기나 위치, 투명도, 테두리 모양 등은 일 실시예이며, 시청자의 입력장치를 통해 제2화면(12)에 대한 제어 지시를 코멘트 방송 제어 메뉴(16)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시청자는 제1화면(11)과 제2화면(12)의 중첩 재생을 보면서 이에 대한 자신의 피드백을 시청자 피드백 메뉴(15)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시청자 피드백 메뉴(15)를 통해 입력된 선택 지시는 방송 피드백부와 코멘트 피드백부를 통해 방송 수신 장치(100)에서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200)로 전송된다. 시청자 피드백 메뉴(15)는 일 실시예로서, 수신된 피드백 질문지의 선택항과 응답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각 화면과 각 메뉴들은 도4와 달리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양하게 중첩되거나 함께 구성될 수 있다.
도5는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200)를 사용하는 코멘트 방송 진행자의 디스플레이 장치(262)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도5의 화면1(262-1)은 방송 채널 선택 메뉴(262-7)에서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이 재생되며, 화면3(262-3)은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200)에 입력되는 코멘트 방송 진행자의 영상 등의 미리보기를 나타내는 코멘트 방송 재생 화면일 수 있다. 화면2(262-2)는 시청자의 피드백 도식화 정보가 나타나는 화면일 수 있다. 코멘트 방송 제어 메뉴(262-4)는 코멘트 방송의 진행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메뉴일 수 있다. 시청자 피드백 정보 제어 메뉴(262-6)는 피드백 정보 생성부(252)에서 처리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 받는 문자, 그림, 그래프, 차트 등의 목록 메뉴일 수 있다. 그래픽 아이템 제어 메뉴(262-5)는 코멘트 방송에 적용될 그래픽 아이템과 그에 대한 다양한 그래픽 효과나 음향 등을 샘플링 하여 제공하여 선택 지시 받는 메뉴일 수 있다. 상기 각 화면과 각 메뉴들은 도5와 달리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양하게 중첩되거나 함께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도면과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하게 응용하여 실시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TV 또는 그 밖의 디스플레이 장치
11 : 제1화면 12 : 제2화면
13 : 방송 채널 선택 메뉴 14 : 코멘트 방송 선택 메뉴
15 : 시청자 피드백 메뉴 16 : 코멘트 방송 제어 메뉴
100 : 방송 수신 장치 11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11 : 방송 채널 선택부 112 : 코멘트 방송 선택부
120 : 통신부 121 : 방송 수신부
122 : 컨텐츠 통신부 130 : 중첩 재생부
200 :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 210 : 방송 수신부
220 : 코멘트 방송 생성부 230 : 송출부
240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41 : 그래픽 아이템 선택부
242 : 결제 처리부 243 : 그래픽 아이템 생성부
250 : 피드백 처리부 251 : 시청자 피드백 분석부
252 : 피드백 정보 생성부 260 : 디스플레이부
261 : 디스플레이 제어부 262 : 디스플레이 장치
262-1 : 화면1 262-2 : 화면2
262-3 : 화면3 262-4 : 코멘트 방송 제어 메뉴
262-5 : 그래픽 아이템 제어 메뉴
262-6 : 시청자 피드백 정보 제어 메뉴
262-7 : 방송 채널 선택 메뉴
270 : 통신부

Claims (9)

  1. 사용자로부터 방송 채널의 선택 지시를 입력 받는 방송 채널 선택부와,
    방송 채널 선택부에서 선택된 방송 채널에 관련된 코멘트 방송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코멘트 방송의 선택 지시를 입력 받는 코멘트 방송 선택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방송 채널 선택부에서 선택된 방송 채널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와,
    코멘트방송 선택부에서 출력된 코멘트 방송의 선택 지시에 따라 코멘트 방송 시스템에 접속하여 코멘트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통신부를 포함하는 통신부와;
    방송 수신부에서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과 컨텐츠 통신부에서 수신된 그래픽 아이템을 포함하는 코멘트 컨텐츠를 중첩시킨 컨텐츠 재생신호를 출력하는 중첩 재생부; 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 피드백 정보를 입력 받아 통신부를 통해 선택된 코멘트 방송 관련 서버로 전송하는 방송 피드백부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방송 피드백부는 :
    컨텐츠 통신부에서 수신된 피드백 질문지를 중첩 재생부로 출력하고, 피드백 질문지에 대한 시청자의 선택을 입력 받아 통신부를 통해 선택된 코멘트 방송 관련 서버로 전송하는 질문지 피드백 처리부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
    코멘트 컨텐츠에 대한 시청자 피드백 정보를 입력 받아 통신부를 통해 선택된 코멘트 방송 관련 서버로 전송하는 코멘트 피드백부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
    방송 프로그램에 중첩되는 그래픽 아이템을 포함하는 코멘트 컨텐츠의 화면 내에서의 위치나 크기, 중첩 정도를 조절하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 받아 중첩 재생부로 출력하는 중첩 재생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6. 공중파 방송을 수신하는 다수의 방송 수신 장치로 코멘트 방송을 송출하는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와;
    코멘트 방송 진행자의 영상, 음성을 입력 받아 방송 수신부에서 수신한 방송채널에 대한 코멘트인 방송 컨텐츠를 생성하는 코멘트 방송 생성부와;
    코멘트 방송 생성부에서 생성된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해 접속해 오는 방송 수신 장치로 코멘트 방송을 제공하는 송출부를 포함하는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가 :
    사용자로부터 코멘트 방송 진행에 사용되는 그래픽 아이템의 선택 지시를 입력 받는 그래픽 아이템 선택부와,
    그래픽 아이템 선택부에서 선택된 아이템에 대하여 결제를 진행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
    결제된 그래픽 아이템을 코멘트 방송 생성부로 출력하는 그래픽 아이템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가 :
    시청자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코멘트 방송 진행자의 제어 신호를 통해 처리하는 시청자 피드백 분석부와, 분석된 시청자 피드백 정보를 코멘트 방송 진행 정보의 화면으로 출력하는 피드백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피드백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시청자 피드백 분석부는 :
    피드백 질문지에 대한 시청자의 선택을 수신하여 각각의 질문지 선택항 별 시청자의 선택 도수의 분포를 포함하는 실시간 시청자 반응 정보를 분석하는 질문지 피드백 분석부;를 포함하는 코멘트 방송 송출 장치.

KR1020130120708A 2013-10-10 2013-10-10 공중파 방송과 중첩 재생되는 코멘트 방송 시스템 KR101566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708A KR101566981B1 (ko) 2013-10-10 2013-10-10 공중파 방송과 중첩 재생되는 코멘트 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708A KR101566981B1 (ko) 2013-10-10 2013-10-10 공중파 방송과 중첩 재생되는 코멘트 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790A true KR20130121790A (ko) 2013-11-06
KR101566981B1 KR101566981B1 (ko) 2015-11-06

Family

ID=49851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708A KR101566981B1 (ko) 2013-10-10 2013-10-10 공중파 방송과 중첩 재생되는 코멘트 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9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523B1 (ko) * 2018-03-21 2018-08-27 심혜택 오버레이 콘텐츠 전송 방법
WO2018155729A1 (ko) * 2017-02-21 2018-08-30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소셜 방송 서비스제공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985B1 (ko) 2005-04-01 2007-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특정 방송컨텐츠의 재생/저장을 위한 양방향 디지털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에 따른 양방향 디지털 방송 수신단말기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5729A1 (ko) * 2017-02-21 2018-08-30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소셜 방송 서비스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881523B1 (ko) * 2018-03-21 2018-08-27 심혜택 오버레이 콘텐츠 전송 방법
KR101966136B1 (ko) * 2018-03-21 2019-04-08 심혜택 오버레이 콘텐츠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6981B1 (ko) 2015-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9118B2 (e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headset display
US9571866B2 (en) Video display system
US20180316948A1 (en) Video processing systems, methods and a user profile for describing the combination and display of heterogeneous sources
US201803169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processing, combination and display of heterogeneous sources
US20180316947A1 (en) Video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the combination, blending and display of heterogeneous sources
KR102017301B1 (ko)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80316942A1 (en) Systems and methods and interfaces for video processing, combination and display of heterogeneous sources
CN103718545B (zh) 用于修改由视频合成单元用来生成合成视频信号的布局的方法、设备及装置
CN102598701B (zh) 为网络电视提供内容信息
US11284137B2 (en) Video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 selection and navigation of a combination of heterogeneous sources
US20100319043A1 (en) Interactive television architecture
US201803169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processing, combination and display of heterogeneous sources
US20140168277A1 (en) Adaptive Presentation of Content
US20110185296A1 (en) Displaying an Environment and Related Features on Multiple Devices
US20180316943A1 (en) Fpga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processing, combination and display of heterogeneous sources
US20180316946A1 (en) Video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 selection and navigation of a combination of heterogeneous sources
KR20140121395A (ko) 사회적 메시지를 콘텐츠 타임라인과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H11196345A (ja) 表示システム
WO2019191082A2 (en)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machine learning for the combination and display of heterogeneous sources
WO2018071781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processing and display
US20180129462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20140038799A (ko)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CN104053062A (zh) 具有配对画布的电子显示器
WO2017112520A1 (en) Video display system
US201803169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processing and display with synchronization and blending of heterogeneous sour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