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448A - 비교적 낮은 pH를 갖는 저자극성의 투명한 세정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교적 낮은 pH를 갖는 저자극성의 투명한 세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448A
KR20130120448A KR1020137001788A KR20137001788A KR20130120448A KR 20130120448 A KR20130120448 A KR 20130120448A KR 1020137001788 A KR1020137001788 A KR 1020137001788A KR 20137001788 A KR20137001788 A KR 20137001788A KR 20130120448 A KR20130120448 A KR 20130120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tants
surfactant
compositions
cleansing composition
skin clea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1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2662B1 (ko
Inventor
유엔 토마스 그레이엄 에크만 건
러셀 엠. 월터스
리사 알. 간돌피
케빈 씨. 라헤이
마리 캐서린 맥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2/822,329 external-priority patent/US8343902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2/976,573 external-priority patent/US8329626B2/en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20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6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7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특성, 예를 들어 비교적 높은 투명도, 비교적 높은 거품 발생, 및/또는 이들의 조합과 조합되어 저자극 특성을 갖는 조성물뿐만 아니라, 그러한 조성물의 제조 및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들 조성물은 양쪽성 계면활성제들의 블렌드를 함유하며, 낮은 pH 값을 가지며, 피부를 세정하는 데 유용하다.

Description

비교적 낮은 pH를 갖는 저자극성의 투명한 세정 조성물{LOW-IRRITATING, CLEAR CLEANSING COMPOSITIONS WITH RELATIVELY LOW PH}
본 출원은 2010년 6월 24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2/822,329호 및 2010년 12월 2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2/976,573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며, 이들 출원 둘 모두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를 세정하는 데 유용하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유익한 특성, 예를 들어 비교적 높은 투명도(clarity), 비교적 높은 거품 발생(foaming), 및/또는 이들의 조합과 조합되어 저자극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낮은 pH 값을 갖는다.
합성 계면활성제 세제, 예를 들어 양이온성, 음이온성, 양쪽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세정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다양한 세제 및 세정 조성물에 널리 사용된다. 게다가, 이들 합성 계면활성제 세제는 샴푸 및 워시(wash)를 비롯한 개인 케어 조성물에 사용되어 왔다. 이들 개인 케어 조성물에서, 비교적 높은 수준의 거품 부피 및/또는 거품 안정성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계면활성제들의 조합 및 수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당업계에서 인식되는 바와 같이, 합성 계면활성제 세제는 피부 및 눈에 자극을 주는 경향이 있다. 증가된 세정 및 거품 발생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그러한 세제의 농도가 개인 케어 조성물에서 증가됨에 따라, 그러한 조성물과 관련된 자극이 또한 증가되는 경향이 있어, 그러한 조성물을 피부 및/또는 눈에 또는 그 부근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하지 않게 한다.
더 순한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려는 시도는 비교적 낮은 양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거품 발생은 비교적 높은 경향이 있으나 자극이 또한 비교적 높은 경향이 있음)를 비교적 보다 저자극성인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비이온성 및/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조합하는 것을 포함하였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726,915호를 참조한다. 순한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다른 접근법은 계면활성제 복합체를 얻기 위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쪽성 또는 양이온성 화합물을 회합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443,362호; 제4,726,915호; 제4,186,113호; 및 제4,110,263호를 참조한다. 불리하게도, 이러한 방법 둘 모두를 통해 제조되는 순한 세정 조성물은 비교적 불량한 거품 발생 및 세정 성능이 문제가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소정 용도에 대하여, 소비자들은 세정 조성물이 비교적 투명하기를 바라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특히, 투명한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소비자에게 순수함의 미적 표시를 제공하기 위하여 흔히 사용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중합체 증점제를 비롯한, 종래의 개인 케어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수의 성분들은 조성물이 탁해지거나 불투명해지게 하는 경향이 있다. 중합체, 계면활성제 및 다른 선택적 성분의 어떤 조합이 클렌저(cleanser)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또한 높은 투명도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생성하기 위해 조합될 수 있는지가 용이하게 예측가능하지 않다.
투명한 조성물의 생성에 관한 다른 복잡한 인자는, 소정 중합체 증점제가 개인 케어 조성물에서 투명도 및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다 높은 pH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미국 특허 제6,897,253호('253호)는 실질적으로 가교결합된 알칼리-팽윤가능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리올로지 개질제(rheology modifier), 물, 알칼리성 물질, 및 실질적으로 불용성인 화합물이 안정화되거나 현탁되기에 유효한 양의 계면활성제를 기술한다. 개시된 중합체 리올로지 개질제는 약 5 또는 6 또는 그 이상의 pH가 달성될 때까지 실질적인 점도의 상승을 시작하지 않는다. 보다 낮은 pH를 갖는 조성물을 제형화하는 것은 어렵지만, '253호는 낮은 pH(약 pH 4.5 내지 5)에서 높은 계면활성제 농도(약 9.8% 초과의 활성제) 및 아크릴레이트 리올로지 개질제를 갖는 투명한 세정 시스템을 달성하기 위하여 "백-애시드(Back-Acid)" 증점화 방법에 대하여 논의한다. 이 방법은 적절한 점도 및 안정성을 얻기 위하여 보다 높은 pH에서 제형화하는 단계 및 이어서 유기산을 사용하여 pH를 서서히 낮추는 단계를 포함한다.
미국 특허 공개 제2008/0113895호는 순한 세정 시스템을 위해 저분자량 아크릴 중합체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및 소듐 트라이데세스 설페이트의 사용을 개시한다. 투명한 세정 시스템이 달성되기는 하지만, 6.5 초과의 pH에서만 달성된다.
미국 특허 제7803403호는 자극 완화를 위한 저분자량 아크릴 중합체의 사용을 기술하며, 저분자량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를 갖는 투명한 세정 시스템의 생성에 있어서의 어려움을 지적한다. 투명한 시스템이, 저분자량 아크릴 중합체가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소듐 트라이데세스 설페이트, 또는 코크아미도프로필 베타인과 조합되어 달성되지만, 이 조성물의 pH는 6.5이어야 한다.
세정 조성물을 비롯한 피부 케어 조성물이 피부 및 눈에 가능한 한 순하도록 제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방식은 피부 및 눈에 적합한 pH를 갖는 조성물을 갖는 것에 의한다. 또한, 조성물은 비교적 높은 투명도, 바람직한 거품 특성 및/또는 다른 바람직한 미적 특성을 나타낼 필요성이 있다. 피부 케어 조성물의 추가적인 태양은 안전성 및 적합한 방부제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조성물의 성분은 또한 소정 pH 파라미터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리실산과 같은 소정 활성 성분은 활성을 위하여 낮은 pH를 필요로 한다.
일부 방부제 시스템, 즉 산성 형태로 작용하고 염 형태로는 작용하지 않는 방부제, 예를 들어 소듐 벤조에이트 또는 포타슘 소르베이트는 효능을 위하여 낮은 조성물 pH를 필요로 한다. 방부제의 효율은 방부제의 pKa에 따라 pH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된다. 따라서, 피부 및 눈에 적합한 pH를 유지하면서 최대 효율을 제공하기 위하여 낮은 pH에서 제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피부에 중성인 약 5 내지 약 6의 pH를 갖도록 조성물을 제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상된 효소 기능을 위해 피부의 pH를 낮추기 위해서, 그리고 피부 미생물총(microflora)을 변경시키기 위해서 피부의 pH보다 낮은 pH(약 4 내지 약 5)를 갖는 클렌저가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조성물은 낮은 pH를 가지면서도 여전히 높은 투명도를 갖는다. 이 조성물은 저자극 특성을 가지며 투명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피부 세정 조성물은
(a) 상기 피부 세정 조성물의 약 0.03 중량% 내지 약 2.1 중량%를 구성하고,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로 이루어진 양의 저분자량의 비-가교결합된 아크릴 공중합체; 및
(b) 8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 및 음이온성 물-가용화 기를 갖는 지방족 아민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양성 합성 계면활성제, 및 지방족 4차 암모늄, 포스포늄 및 3급 설포늄 화합물의 내부적으로 중화된 유도체를 포함하는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상기 지방족 라디칼이 직쇄 또는 분지형이고 상기 지방족 치환체들 중 하나가 8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상기 지방족 치환체들 중 하나가 음이온성 물-가용화 기를 함유한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들의 블렌드를 포함하고,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 성분을 포함하고, 이들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계면활성제 성분은 코코베타인을 함유하지 않으며, 상기 계면활성제들은 상기 피부 세정 조성물의 약 0.0015 내지 약 15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고, 그러한 조성물의 총 계면활성제 로드(load)는 약 20 중량% 미만이며,
(c) 상기 피부 세정 조성물의 총 계면활성제 로드는 상기 피부 세정 조성물의 약 14 중량% 이하이며, 상기 피부 세정 조성물의 pH는 약 6 이하이며, 상기 피부 세정 조성물은 흡광도가 약 0.2 미만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다른 태양에서, 상기 조성물은
(a) 물;
(b) 상기 피부 세정 조성물의 약 0.03 중량% 내지 약 1.6 중량%를 구성하고,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로 이루어진 양의 저분자량의 비-가교결합된 선형 아크릴 공중합체;
(c) 8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 및 음이온성 물-가용화 기를 갖는 지방족 아민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양성 합성 계면활성제, 및 지방족 4차 암모늄, 포스포늄 및 3급 설포늄 화합물의 내부적으로 중화된 유도체를 포함하는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상기 지방족 라디칼이 직쇄 또는 분지형이고 상기 지방족 치환체들 중 하나가 8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상기 지방족 치환체들 중 하나가 음이온성 물-가용화 기를 함유한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들을 포함하고, 이들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들로 이루어지며, 그러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들 중 하나는 약 0.065 중량% 미만 또는 약 3.5 중량% 초과의 농도로 코코-베타인을 포함하고,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거나/이루어지며, 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나머지 계면활성제들은 상기 피부 세정 조성물의 약 0.0015 내지 약 15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고, 그러한 조성물의 총 계면활성제 로드는 약 20 중량% 미만이며,
상기 피부 세정 조성물은 pH가 약 6 미만이고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실질적으로 없으며, 상기 피부 세정 조성물은 흡광도가 약 0.2 미만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소듐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코크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코크아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테인 및,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적절한 경우, 코코베타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저분자량의 친수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시스템이 약 6.2 초과의 pH에서 투명하나 이들은 약 6 미만의 pH에서 대체로 투명하지 않음을 알아냈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상기에 기술되고 하기에 추가로 설명되는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가 약 6 미만의 pH에서 저분자량의 친수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세제 조성물의 투명도를 개선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아냈다. 그러한 pH는 피부의 pH가 약 5.5이기 때문에 피부에 적합하게 되도록 피부와 접촉하게 되는 제형에 바람직하다.
출원인들은 본 발명의 피부 세정 조성물이, 기대되는 pH인 피부에 적합한 pH보다 더 낮은 pH에서 비교적 낮은 자극 및 비교적 높은 투명도를 비롯한 특성들의 독특하고 예기치 않은 조합을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영유아 피부를 포함하는 피부 케어, 화장품 또는 세정 조성물에 이상적이게 만든다. 조성물은 저분자량의 비-가교결합된 아크릴 공중합체 및 계면활성제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계면활성제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비-에톡실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적어도 하나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놀랍게도, 저분자량의 비-가교결합된 아크릴 공중합체와 결합할 선택 군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은 이전에 가능할 것으로 생각했던 것보다 낮은 pH에서 투명한 조성물이 얻어지게 한다.
용어 "총 계면활성제 로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 둘 모두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는 추가적인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모든 계면활성제의 총 중량 백분율을 의미한다. 그러한 추가적인 계면활성제에는, 예를 들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피부 세정 조성물의 총 계면활성제 로드는 피부 세정 조성물의 약 14 중량% 이하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낮은 pH"는 ASTM 방법 E70 - 07인 유리 전극을 이용한 수용액의 pH에 대한 표준 시험 방법(Standard Test Method for pH of Aqueous Solutions With the Glass Electrode)에 의해 결정할 때 약 6.2 이하의 pH 측정치를 포함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pH 범위는 약 3.5 내지 약 6.2이다. 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pH 범위는 약 4 내지 약 6이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pH 범위는 약 4.5 내지 약 5이다. pH가 또한 소정 방부제 시스템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었다. 예를 들어, 높은 pH는 방부제 시스템의 효능을 감소시킨다. 이하에서 상세히 되는 바와 같이, 유기산 방부제 시스템은 적정한 pH가 유지되지 않는다면 효과가 없게 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비교적 높은 투명도" 및/또는 "투명한 조성물"은 서로 바꾸어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용어는 조성물이, 방법 섹션에 정의된 투명도 시험에 의해 결정할 때 광투과율이 약 90%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약 90.5% 초과,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5% 초과일 것임을 의미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투명한 조성물"은 조성물이, 방법 섹션에 정의된 광산란 시험에 의해 결정할 때, 계수율이 약 70 kct/s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 kct/s 미만,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0 kct/s 미만일 것임을 의미할 것이다.
양쪽성 합성 계면활성제
양성 합성 세제는, 약 8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의 장쇄 및 음이온성 물-가용화 기, 예컨대 카르복시, 설포 또는 설페이토를 함유하는 지방족 아민의 유도체로서 대체로 기술될 수 있다. 이러한 정의 내에 속하는 화합물의 예는 소듐 3-도데실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소듐-3-도데실아미노 프로판 설포네이트, 및 도데실 다이메틸암모늄 헥사노에이트이다. 양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다른 예가 1967년 5월 9일자로 커닝햄(Cunningham) 15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318,817호에서 찾아지며, 이 특허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특정 바람직한 예는 하기 화학식을 갖는 것들이다:
Figure pct00001
쯔비터이온성 합성 계면활성제
쯔비터이온성 표면 활성제는, 지방족 라디칼이 직쇄 또는 분지형일 수 있고 지방족 치환체들 중 하나가 약 8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하나가 음이온성 물-가용화 기, 예컨대 카르복시, 설포, 설페이토, 포스페이토, 또는 포스포노를 함유하는 지방족 4차 암모늄, 포스포늄 및 3급 설포늄 화합물의 내부적으로 중화된 유도체로서 대체로 기술된다. 이들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일부는 하기 미국 특허 제2,129,264호, 제2,178,353호, 제2,774,786호, 제2,813,898호, 및 제2,828,332호에 기재되어 있다.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특정 바람직한 예는 하기 화학식을 갖는 것들이다:
Figure pct00002
수용성 베타인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에 유용한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다른 예이다. 이들 물질은 하기 일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pct00003
이러한 유형의 적합한 베타인 화합물의 예에는 도데실다이메틸암모늄 아세테이트, 테트라데실다이메틸암모늄 아세테이트, 헥사데실다이메틸암모늄 아세테이트, 알킬다이메틸암모늄 아세테이트 (여기서, 알킬 기는 평균 약 12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의 길이임), 도데실다이메틸암모늄 부타노에이트, 테트라데실다이메틸암모늄 부타노에이트, 헥사데실다이메틸암모늄 부타노에이트, 도데실다이메틸암모늄 헥사노에이트, 헥사데실다이메틸암모늄 헥사노에이트, 테트라데실다이메틸암모늄 펜타노에이트 및 테트라데실다이프로필 암모늄 펜타노에이트가 포함된다. 특히 바람직한 베타인 계면활성제에는 도데실다이메틸암모늄 아세테이트, 도데실다이메틸암모늄 헥사노에이트, 헥사데실다이메틸암모늄 아세테이트, 및 헥사데실다이메틸암모늄 헥사노에이트가 포함된다.
중합체 물질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저분자량" 중합체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표준물을 사용하여 보정된 젤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할 때 수평균 분자량(Mn)이 약 100,000 이하인 중합체를 말한다. 소정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저분자량 중합체는 분자량 범위가 약 5,000 내지 약 80,000 Mn,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000 내지 약 50,000 Mn,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000 내지 40,000 Mn인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한 중합체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중합체 물질에 회합시키기에 적합한 중합체 물질이며, 바람직하게는 점도 형성(viscosity build)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전형적으로 계면활성제 시스템과 관련되는 손상된 피부 장벽의 손상을 완화시키는 비-가교결합된 선형 아크릴 공중합체이다. 비-가교결합된 선형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표준물을 사용하여 보정된 젤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할 때 수평균 분자량이 100,000 이하인 저분자량의 것이다(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달리 명시되지 않는다면, 모든 수평균 분자량(Mn)은 이러한 방식으로 측정된 분자량을 말한다). 따라서, 이 중합체 물질은 공중합체 완화제(copolymeric mitigant)로서 기능한다. 공중합체 완화제는 적어도 2개의 단량체 성분으로부터 중합된다. 제1 단량체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카르복실산 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산 기는 일산(monoacid) 또는 이산(diacid), 다이카르복실산의 무수물, 이산의 모노에스테르, 및 이들의 염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제2 단량체 성분은 (제1 단량체 성분에 비하여) 소수성으로 개질되며, (메트)아크릴산의 선형 및 분지형 C1 내지 C9 알킬 에스테르, 선형 및 분지형 C1 내지 C10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을 비롯한, C1 내지 C9 알킬 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α,β-에틸렌계 불포화 비-산(non-acid) 단량체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제2 단량체 성분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현된다:
CH2=CRX
여기서, R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X는 -C(O)OR1 또는 -OC(O)R2이며, R1은 선형 또는 분지형 C1 내지 C9 알킬이고, R2는 수소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 내지 C9 알킬이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R1 및 R2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 내지 C8 알킬이고 다른 태양에서 R1 및 R2는 선형 또는 분지형 C2 내지 C5 알킬이다.
예시적인 제1 단량체 성분에는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아코니트산,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예시적인 제2 단량체 성분에는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 포르메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1-메틸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비닐 부티레이트, 비닐 2-에틸헥사노에이트, 비닐 피발레이트, 비닐 네오데카노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메트)아크릴" 산 및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산 및 상응하는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상응하는 메틸 유도체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 산은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을 말하며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를 말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단량체 성분은 (메트)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제2 단량체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C1 내지 C9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비-가교결합된 선형 아크릴 공중합체 완화제는 당업계에 알려진 자유 라디칼 중합 기술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사용되는 제1 단량체 성분의 양 대 제2 단량체 성분의 양은 중합 매질 중 모든 단량체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0:80 중량% 내지 약 50:50 중량%의 범위이다. 다른 태양에서 제1 단량체 성분 대 제2 단량체 성분의 중량비는 중합 매질 중 모든 단량체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35:65 중량%이며, 다른 태양에서 제1 단량체 성분 대 제2 단량체 성분의 중량비는 중합 매질 중 모든 단량체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5:75 중량%이다.
다른 태양에서, 유화 중합 기술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비-가교결합된 선형 아크릴 공중합체 완화제를 합성할 수 있다. 전형적인 유화 중합에서는, 혼합 교반하면서 개시된 단량체들의 혼합물을 적합한 반응기 내의 적합한 양의 물 중의, 예를 들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지방 알코올 설페이트 또는 알킬 설포네이트)와 같은, 유화 계면활성제의 용액에 첨가하여 단량체 에멀젼을 제조한다. 에멀젼을 임의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예를 들어, 질소로 퍼징하여, 산소를 제거한 다음, 과황산나트륨과 같은 중합 촉매(개시제) 또는 유화 중합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부가중합 촉매를 첨가하여 중합 반응을 개시한다. 중합이 완료될 때까지, 전형적으로 약 4 내지 약 16 시간 범위의 시간 동안 중합 매질을 교반한다. 필요하다면, 개시제를 첨가하기 전에 단량체 에멀젼을 약 70 내지 약 95℃ 범위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에멀젼 중합 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더 많은 촉매를 첨가하여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할 수 있다. 그 다음, 생성된 중합체 에멀젼 생성물을 반응기로부터 배출시키고 보관 또는 사용을 위해 포장한다. 선택적으로, 반응기로부터 배출시키기 전에 에멀젼의 pH 또는 다른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생성물 에멀젼은 총 고형물 함량이 약 10 내지 약 50 중량%의 범위이다. 전형적으로, 생성물 에멀젼의 총 중합체 함량(중합체 고형물)은 약 15 내지 약 45 중량%의 범위이며, 일반적으로 약 35 중량% 이하이다.
일 태양에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표준물을 사용하여 보정된 젤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할 때 본 발명의 선형 공중합체 완화제의 수평균 분자량(Mn)은 100,00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분자량은 약 5,000 내지 약 80,000 Mn 사이, 다른 태양에서 약 10,000 내지 50,000 Mn 사이, 그리고 또 다른 태양에서, 약 15,000 내지 40,000 Mn 사이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선형 공중합체 완화제는 탈이온수 중 5 중량% 중합체 고형물 농도에서 점도가 500 mPa-s 이하(브룩필드(Brookfield) RVT, 20 rpm, 스핀들 넘버 1)이며, 18 중량% NaOH 용액에 의해 pH 7로 중화된다. 점도는 다른 태양에서 약 1 내지 약 500 mPa·s, 다른 태양에서 약 10 내지 약 250 mPa·s, 그리고 또 다른 태양에서 약 15 내지 약 150 mPa·s의 범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분자량의 비-가교결합된 선형 아크릴 공중합체는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다.
임의의 다양한 비-에톡실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의 중합체 물질과 조합되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세정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비-에톡실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음전하를 가지며 임의의 에톡실화 세그먼트를 함유하지 않는, 즉 계면활성제 상에 -(C-C-O)v 세그먼트가 없는 계면활성제이다. 소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합한 비-에톡실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하기 부류의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것들이 포함된다: 알킬 설페이트, 알킬 설포네이트, 알킬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 알킬아릴 설포네이트, 알킬 설포석시네이트, 알킬 설포석시나메이트,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지방 알킬 설포아세테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아실글루타메이트, 사르코시네이트, 타우레이트,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 소정의 바람직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에는:
하기 화학식의 알킬 설페이트
R'-CH2OSO3X';
하기 화학식의 알킬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페이트
Figure pct00004
하기 화학식의 알킬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
Figure pct00005
하기 화학식의 알킬 설포네이트
R'-SO3X';
하기 화학식의 알킬아릴 설포네이트
Figure pct00006
하기 화학식의 알킬 설포석시네이트:
Figure pct00007
알킬 포스페이트
(여기서,
R'는 약 7 내지 약 22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약 7 내지 약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기이고,
R'1은 약 1 내지 약 18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약 8 내지 약 1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기이고,
R'2는 천연 또는 합성 I-아미노산의 치환체이고,
X'는 알칼리 금속 이온, 알칼리 토금속 이온, 암모늄 이온, 및 약 1 내지 약 3개의 치환체 - 각각의 치환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기 및 약 2 내지 약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이드록시알킬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로 치환된 암모늄 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w는 0 내지 20의 정수임)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미국 특허 출원 제12/822,329호 및 제12/976,573호에 기술된 소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구조와 일치하는 비-에톡실화 SOx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Figure pct00008
여기서, SO3 -는 음이온성 친수성 기이고, M+는 1가 양이온(예를 들어, NH4 +, Na+, K+, (HOCH2CH2)3N+ 등)이고, R은 넓은 범위의 소수성 기들 중 임의의 것 및 선택적으로 a)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을 결합시키는 작용기 및/또는 b) 추가적인 친수성 기를 포함한다. 예에는 하기가 포함된다:
· 알킬 설포네이트, 여기서 R은 C6 내지 C20 알킬(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바람직하게는 C10 내지 C18,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C12 내지 C17이다. 특정 예에는 소듐 C13-C17 알칸 설포네이트(R = C13 내지 C17 알킬, M+ = Na+) 및 소듐 C14-C17 알킬 Sec 설포네이트(R = s-C13 내지 C17 알킬, M+ = Na+)가 포함된다.
·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 여기서 R은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의 혼합물이며, 여기서 R1 = C4 내지 C16 알킬 또는 이들의 조합, 바람직하게는 C6 내지 C12, 더 바람직하게는 C8 내지 C12,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C10 내지 C12이다. 특정 예에는 소듐 C12-14 올레핀 설포네이트(R1 = C8 내지 C10 알킬, M+ = Na+) 및 소듐 C14-16 올레핀 설포네이트(R1 = C10 내지 C12 알킬, M+ = Na+)가 포함된다.
· 알킬 설페이트 에스테르, 여기서 R1 = C6 - C20,
Figure pct00011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바람직하게는 C12 내지 C18, 더 바람직하게는 C12 내지 C16,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C12 내지 C14. 특정 예에는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R1 = 라우릴, C12H25, M+ = NH4 +),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R1 = 라우릴, C12H25, M+ = Na+), 및 소듐 코코설페이트(R1 = 코코 알킬, M+ = Na+)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양쪽성"은 1) 예를 들어, 아미노 (염기성) 및 산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 산성) 작용기 둘 모두를 포함하는 아미노산과 같이, 산성 부위 및 염기성 부위 둘 모두를 포함하는 분자; 또는 2) 양전하와 음전하 둘 모두를 동일한 분자 내에 보유하는 쯔비터이온성 분자를 의미한다. 후자의 전하는 조성물의 pH에 의존적일 수 있거나 아니면 독립적일 수 있다. 쯔비터이온성 물질의 예에는 상기 및 하기에 기술된 알킬 베타인 및 아미도알킬 베타인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반대 이온 없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pH 조건 하에서,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양전하와 음전하의 균형을 이루어서 전기적으로 중성이거나, 아니면 반대 이온,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알칼리토, 또는 암모늄 반대 이온을 갖는다는 것을 쉽게 인지할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예에는 암포카르복실레이트, 예를 들어 알킬암포아세테이트 (모노 또는 다이); 알킬 베타인; 아미도알킬 베타인; 알킬 설테인; 아미도알킬 설테인; 암포포스페이트; 포스포릴화 이미다졸린, 예를 들어 포스포베타인 및 파이로포스포베타인; 카르복실알킬 알킬 폴리아민; 알킬이미노-다이프로피오네이트; 알킬암포글리시네이트 (모노 또는 다이); 알킬암포프로프리오네이트 (모노 또는 다이),); N-알킬 β-아미노프로프리온산; 알킬폴리아미노 카르복실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적합한 암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의 예에는 하기 화학식의 것들이 포함된다:
A-CONH(CH2)xN+R5R6 R 7
(여기서,
A는 약 7 내지 약 21개, 예를 들어, 약 10 내지 약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알케닐 기이고;
x는 약 2 내지 약 6의 정수이고;
R5는 수소이거나, 또는 약 2 내지 약 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카르복시알킬 기이고;
R6은 약 2 내지 약 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이드록시알킬 기이거나, 또는 하기 화학식의 기이고:
R8-O-(CH2)nCO2 -
(여기서,
R8은 약 2 내지 약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 기이고 n은 1 또는 2임);
R7은 약 2 내지 약 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카르복시알킬 기이다.
적합한 알킬 베타인의 예에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이 포함된다:
B-N+R9R10(CH2)pCO2 -
(여기서,
B는 약 8 내지 약 22개, 예를 들어, 약 8 내지 약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알케닐 기이고;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약 1 내지 약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기이고;
p는 1 또는 2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베타인은 영국 웨스트 미들랜즈 소재의 알브라이트 앤드 윌슨, 리미티드(Albright& Wilson, Ltd.)로부터 "엠피겐(Empigen) BB/J"로 구매가능한 라우릴 베타인이다.
적합한 아미도알킬 베타인의 예에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이 포함된다:
D-CO-NH(CH2)q-N+R11R12(CH2)mCO2 -
(여기서,
D는 약 7 내지 약 21개, 예를 들어, 약 7 내지 약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알케닐 기이고;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 1 내지 약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기이고;
q는 약 2 내지 약 6의 정수이고; m은 1 또는 2이다.
한 가지의 아미도알킬 베타인은 미국 버지니아주 호프웰 소재의 골드슈미트 케미칼 코포레이션(Goldschmidt Chemical Corporation)으로부터, 상표명 "테고베타인(Tegobetaine) L7"로 구매가능한, 코크아미도프로필 베타인이다.
적합한 아미도알킬 설테인의 예에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이 포함된다:
Figure pct00012
(여기서,
E는 약 7 내지 약 21개, 예를 들어, 약 7 내지 약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알케닐 기이고;
R14 및 R15는 각각 독립적으로, 약 1 내지 약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기이고;
r은 약 2 내지 약 6의 정수이고;
R13은 약 2 내지 약 3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 또는 하이드록시알킬렌 기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아미도알킬 설테인은 미국 뉴저지주 크랜버리 소재의 롱-쁠랑 인크.(Rhone-Poulenc Inc.)로부터 상표명 "미라타인(Mirataine) CBS"로 구매가능한 코크아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테인이다.
적합한 암포포스페이트 화합물의 예에는 하기 화학식의 것들이 포함된다:
Figure pct00013
(여기서,
G는 약 7 내지 약 21개, 예를 들어, 약 7 내지 약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알케닐 기이고;
s는 약 2 내지 약 6의 정수이고;
R16은 수소이거나, 또는 약 2 내지 약 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카르복시알킬 기이고;
R17은 약 2 내지 약 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이드록시알킬 기이거나, 또는 하기 화학식의 기이고:
R19-O-(CH2)t-CO2 -
(여기서, R19는 약 2 내지 약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 또는 하이드록시알킬렌 기이고, t는 1 또는 2임);
R18은 약 2 내지 약 3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 또는 하이드록시알킬렌 기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암포포스페이트 화합물은 미국 뉴저지주 소재의 모나 인더스트리즈 오브 패터슨(Mona Industries of Paterson)으로부터 상표명 "모나테릭(Monateric) 1023"으로 구매가능한 소듐 라우로암포 PG-아세테이트 포스페이트, 및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4,380,637호에 개시된 것들이다.
적합한 포스포베타인의 예에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이 포함된다:
Figure pct00014
여기서, E, r, R1, R2 및 R3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일 실시 형태에서, 포스포베타인 화합물은 모두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4,215,064호, 제4,617,414호, 및 제4,233,192호에 개시된 것들이다.
적합한 파이로포스포베타인의 예에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이 포함된다:
Figure pct00015
여기서, E, r, R1, R2 및 R3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일 실시 형태에서, 파이로포스포베타인 화합물은 모두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4,382,036호, 제4,372,869호, 및 제4,617,414호에 개시된 것들이다.
적합한 카르복시알킬 알킬폴리아민의 예에는 하기 화학식의 것들이 포함된다:
Figure pct00016
(여기서,
I는 약 8 내지 약 22개, 예를 들어, 약 8 내지 약 16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또는 알케닐 기이고;
R22는 약 2 내지 약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카르복시알킬 기이고;
R21은 약 2 내지 약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 기이고,
u는 약 1 내지 약 4의 정수이다.
임의의 적합한 양의 중합체 물질 및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 중의 중합체 물질의 활성량(active amount)을 기준으로) 0 중량% 초과 내지 약 6 중량%의 중합체 물질을 포함하고,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로 이루어진다. 소정의 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조성물은 약 0.1 내지 약 4.5 중량%의 중합체 물질, 더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3.5 중량%의 중합체 물질, 그리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2.5 중량%의 중합체 물질을 포함하고,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로 이루어진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양쪽성 블렌드를 함유하는 세정 조성물(코코베타인을 함유하지 않음)의 경우에, 중합체 물질은 조성물의 약 0.03 내지 약 2.1 중량%의 양으로 존재해야 한다. 코코베타인이 계면활성제로서 존재할 경우, 약 0.03 중량% 미만 또는 약 1.6 중량% 초과의 중합체 물질이 조성물에 존재해야 한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 중 계면활성제(들)의 총 활성량을 기준으로 약 0.0015 내지 약 15 중량%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로 이루어진다. 소정의 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조성물은 약 2 내지 약 12 중량%의 전체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제형은 약 2 내지 약 9 중량%의 전체 계면활성제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약 2 내지 약 7 중량%의 전체 계면활성제를 갖는다. 코코베타인이 존재할 경우, 상기 코코베타인은 약 0.065 중량% 미만 또는 약 3.5 중량% 초과의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해야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형화할 때, 비-에톡실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대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비가 0.5 미만일 경우, 조성물의 pH는 4.8 내지 약 6이어야 한다. 비-에톡실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대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비가 0.5 초과일 경우, 조성물의 pH는 6 이하,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한 비-가교결합된 선형 아크릴 공중합체는 당업계에 알려진 자유 라디칼 중합 기술을 통하여 합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사용되는 제1 단량체 성분의 양 대 제2 단량체 성분의 양은 중합 매질 중 모든 단량체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0:80 중량% 내지 약 50:50 중량%의 범위이다. 다른 태양에서 제1 단량체 성분 대 제2 단량체 성분의 중량비는 중합 매질 중 모든 단량체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35:65 중량%이며, 다른 태양에서 제1 단량체 성분 대 제2 단량체 성분의 중량비는 중합 매질 중 모든 단량체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5:75 중량%이다.
생성된 세정 조성물뿐만 아니라, 본 방법에 따른 배합 단계에서 배합되는 중합체 물질, 및 적어도 하나의 비-에톡실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적어도 하나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갖는 계면활성제 성분을 포함하는 임의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외관, 감촉 및 향을 향상시키는 첨가제, 예를 들어 착색제, 방향제, 방부제, pH 조절제 등을 비배타적으로 포함하는 임의의 다양한 다른 성분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총 계면활성제 로드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의 약 14 중량%를 초과하지 않아야 함을 염두에 두고서, 임의의 다양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에는 지방 알코올 산 또는 아미드 에톡실레이트, 모노글리세라이드 에톡실레이트, 소르비탄 에스테르 에톡실레이트,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 에스테르, 이들의 혼합물 등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소정의 바람직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코코-글루코사이드 및 데실-글루코사이드와 같은 것이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10 올레에이트와 같은 것이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폴리글리세릴 에스테르가 포함된다.
모발에 광택과 같은 추가적인 특질을 부여하는 휘발성 실리콘과 같은 임의의 다양한 구매가능한 이차 컨디셔너가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일 실시 형태에서, 휘발성 실리콘 컨디셔닝제는 대기압 비점이 약 220℃ 미만이다. 휘발성 실리콘 컨디셔너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3%, 예를 들어 약 0.25% 내지 약 2.5% 또는 약 0.5% 내지 약 1%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휘발성 실리콘의 예에는 비배타적으로 폴리다이메틸실록산, 폴리다이메틸사이클로실록산, 헥사메틸다이실록산, 사이클로메티콘 유체, 예를 들어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의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Dow Corning Corporation)으로부터 상표명 "DC-345"로 구매가능한 폴리다이메틸사이클로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메티콘 유체가 포함된다.
개인 세정 조성물에 보습 및 컨디셔닝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다양한 구매가능한 습윤제가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습윤제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10%, 예를 들어 약 0.5% 내지 약 5% 또는 약 0.5 내지 약 3%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습윤제의 예에는 비배타적으로 1)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용성 액체 폴리올; 2) 화학식: HO-(R" O)b-H(여기서, R"는 약 2개 내지 약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 기이며, b는 약 2 내지 약 10의 정수임)의 폴리알킬렌 글리콜; 3) 화학식 CH3-C6H10O5-(OCH2CH2)c-OH(여기서, c는 약 5 내지 약 25의 정수임)의 메틸 글루코스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4) 우레아; 및 5)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되며, 글리세린이 바람직한 습윤제이다.
적합한 킬레이팅제의 예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보호 및 보존할 수 있는 것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킬레이팅제는 에틸렌다이아민 테트라아세트산("EDTA")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의 다우 케미칼 컴퍼니(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상표명 "베르센(Versene) 100XL"로 구매가능한 테트라소듐 EDTA이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0.5% 또는 약 0.05% 내지 약 0.25%의 양으로 존재한다.
적합한 방부제에는 유기산 방부제가 포함되며, 벤조산 및 그의 알칼리 금속염과 암모늄염(예를 들어, 소듐 벤조에이트), 소르브산 및 그의 알칼리 금속염 및 암모늄염(예를 들어, 포타슘 소르베이트), p-아니스산 및 그의 알칼리 금속염과 암모늄염, 및 살리실산 및 그의 알칼리 금속염과 암모늄염이 포함될 수 있다. 조성물의 pH는 임의의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유기산 또는 무기산, 예를 들어 시트르산, 아세트산, 글리콜산, 락트산, 말산, 타르타르산, 또는 염산을 사용하여 적정한 산가(acidic value)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소듐 벤조에이트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0.5%의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포타슘 소르베이트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0.6%, 더 바람직하게는 약 0.3 내지 약 0.5%의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전술된 배합 단계 이전에, 이후에 또는 그와 동시에 전술된 선택적 성분들 중 하나 이상을 중합체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혼합하거나 그로 도입하기 위한 임의의 다양한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는 혼합 순서가 중요하지 않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중합체 물질 및/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방향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같은 소정 성분들을 첨가하기 전에 그러한 성분들을 예비 블렌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 방법은, 예를 들어 거품 생성, 헹굼 단계 등을 포함한, 모발 및 피부의 세정과 통상적으로 관련된 임의의 다양한 추가적인 선택 단계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인들은 임의의 특정 작동 이론에 의해 또는 그러한 이론으로 제한되는 것을 원하지 않지만, 저분자량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hm-polymer)와 회합된 계면활성제가 미셀로서 존재하는 계면활성제보다 더 안정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미셀 구조 내에 들어 있는 계면활성제는 저분자량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와 회합되는 경우보다 더욱 쉽게 미셀 밖으로 분산된다.
저분자량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방법에 유용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전술한 정보는 미국 특허 제7803403호, 미국 특허 공개 제2006/0257348호, 및 제20070111910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예시적으로 개시된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지 않은 임의의 구성요소, 성분, 또는 단계의 부재 하에 적합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성 및 본 발명을 수행하는 방법을 추가로 예시하기 위해서 몇몇 실시예가 하기에 기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의 상세 사항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된다.
방법
투명도 시험:
투명도 시험을 통하여 각각의 샘플의 투명도를 측정하였는데, 이를 위한 절차는, 측정될 조성물의 1 ㎝ 셀 샘플을 제조하는 단계 및 800 ㎚의 파장에서 1 ㎝ 셀을 갖는 아질런트(Agilent) 8453 UV-가시선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그러한 샘플과 관련된 %광투과율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희석하지 않고서 각각의 세정 조성물에 대하여 투명도를 결정하였다. 결과가 %T, 즉 1 ㎝ 셀에서의 세정 조성물을 통한 %투과율로서 보고되어 있다.
광산란 시험:
광을 산란시키는 콜로이드성 집합체에 의해 클렌저의 투명도를 결정한다. 보다 투명한 클렌저는 전형적으로 단지 작은 콜로이드성 집합체만을 가질 것이다. 광 파장의 1/3 정도인 보다 큰 콜로이드성 집합체는 광을 산란시키고, 흐리거나 탁한 용액을 생성할 것이다.
클렌저 샘플을 25.0℃에서 작동하는 제타사이저 나노(Zetasizer Nano) ZS DLS 기기(미국 매사추세츠주 사우스보로우 소재의 맬번 인스트루먼츠, 인크.(Malvern Instruments, In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기기를 맬번 디스퍼젼 테크놀로지 소프트웨어(Malvern Dispersion Technology Software)와 통합시켰다. 미여과된 샘플 용액을 3%로 희석하고, 큐벳(cuvette) (12 ㎜ 정사각형 폴리스티렌 큐벳, DTS0012) 내로 10 ㎜ 표시까지 분배하고 덮었다. 위치 4.65 ㎜에서 4 ㎽ He-Ne, 633 ㎚ 레이저를 사용하여 감쇠(attenuation) 7에서 측정을 행하였다. 온도를 섭씨 25도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3회 반복 및 매회마다 11회 실행하여 측정을 행하였다.
레이저(633 ㎚)가 세정 조성물에 입사되고 콜로이드성 집합체로부터 산란되어 검출기로 되돌아간다. 흐린 세정 용액은 보다 많은 그리고 보다 큰 콜로이드성 입자를 가질 것이며, 따라서 검출기로의 보다 많은 산란 및 보다 높은 계수율을 생성할 것이다.
세정 제형 혼합 절차
해밀턴 마이크로랩 스탈렛(Hamilton Microlab Starlet) 고처리량 액체 핸들러(high throughput liquid handler)로 단계 희석법(serial dilution method)을 사용하여 96-웰 플레이트 내에서 용액을 생성하였다. 각각의 플레이트는 1개 또는 2개의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저분자량의 친수성 중합체로 구성되었다. 각각의 성분 조합에 대해 24개의 상이한 용액을 생성하는 동일한 플레이트에 대해 4개의 상이한 계면활성제 비를 실행하였으며, 특정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Potassium Acrylates Copolymer) 수용액을 희석제로서 사용하였다.
재료:
저분자량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인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미국 오하이오주 브렉스빌 소재의 루브리졸(Lubrizol))를 저분자량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였다.
사용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상표명 미라놀(Miranol) 울트라 L-32 (미국 뉴저지주 크랜버리 소재의 로디아(Rhodia))로 판매되는 소듐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SLAC), 상표명 맥캄(Mackam) CBS-50G (미국 뉴저지주 크랜버리 소재의 로디아)로 판매되는 코크아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테인 (CPHS), 상표명 테고 베타인(Tego Betain) L 7V (미국 버지니아주 호프웰 소재의 에보닉(Evonik))로 판매되는 코크아미도프로필 베타인 (CAPB), 및 상표명 데하이톤(Dehyton) AB-30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내티 소재의 코그니스(Cognis))으로 판매되는 코코-베타인 (CB)이었다. 상이한 농도의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갖는 일련의 용액과 15 중량%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스톡 용액을 생성하였다. 계면활성제와 물 또는 중합체와 물의 이들 스톡 용액의 각각의 pH를 측정하고 원하는 pH로 조정하였다. 계면활성제 용액 및 물을 초기 웰에 첨가하고, 이어서 이러한 용액을 순차적으로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용액을 사용하여 21회 실행하여 75%, 50%, 37.5%, 25%, 18.75%, 12.5%, 9.375%, 6.25%, 4.6875%, 3.125%, 2.34375%, 1.5625%, 1.171875%, 0.78125%, 0.585938%, 0.390625%, 0.292969%, 0.195313%, 0.146484%, 0.097656%, 및 0.073242%의 희석액을 생성하였다. 일련의 희석 후에, 각각의 웰은 웰 플레이트 상의 컬럼 11 - 이는 160 ㅅl를 함유함 - 을 제외하고는 80 ㅅl의 총 부피를 함유하였다. 이러한 컬럼에 대해서는, 이들 웰 내의 재료의 증가된 양을 반영하도록 흡광도를 조정하였다. 웰 플레이트 상의 컬럼 12는 희석제 제어를 위해 남겨두었으며 어떠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도 혼입시키지 않았다.
투명도 흡광도 시험(Clarity Absorbance Test)
액체 핸들러에서의 단계 희석의 완료시, 96개의 상이한 용액을 갖는 웰 플레이트를 몰레큘러 디바이시스(Molecular Devices) 스펙트라 맥스(Spectra Max) 340 PC 분광광도계로 옮기고, 임의의 기포(bubble)를 제거하여 측정을 방해할 가능성을 피하였다. 이어서, 각각의 플레이트를 완료한지 5분 이내에 각각의 용액에 대해 410 ㎚의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예시하지만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비교예 C1 내지 비교예 C4: 세정 조성물의 제조
표 1에 열거된 물질 및 양에 따라 C1 내지 C4의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17
표 1의 각각의 조성물을 독립적으로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물(50.0 부)을 비이커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하기의 성분들을 각각의 각자의 생성 혼합물이 균질해질 때까지 혼합하면서 독립적으로 여기에 첨가하였다: hm-중합체(실시예에 따라, Ex. 968, 아쿠아 SF-1, 이누텍 SP-1 등), 카데팔 TD403MF-D, 테고베타인 L7-V, 메르콰트 S, 베르센 100XL, 및 니파셉트(Nipasept). 이어서, 원하는 최종 pH가 얻어질 때까지 수산화나트륨 용액 또는 시트르산의 20% 용액을 사용하여 생성된 용액의 pH를 조절하였다. 이어서, 여기에 잔량의 물을 첨가하였다. 동일한 성분을 갖지만 상이한 pH를 갖는 제형들을 모두 독립적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이한 pH에서의 샘플 C1 내지 샘플 C4에 대한 투명도 결과:
C1 내지 C4의 조성물의 투명도를 투명도 시험에 따라 결정하였다.
Figure pct00018
표 2는 표 1에 기술된 일련의 저분자량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 및 각각 에톡실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소듐 트라이데세스 설페이트 및 코크아미도프로필 베타인의 조합을 함유하는 일련의 세정 조성물(C1 내지 C4)의 투명도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이들 세정 조성물의 투명도는 약 6.3 부근의 높은 pH에서는 투명하지만(즉, 투명도 시험에 의해 측정할 때 약 90% 초과의 %투과율을 갖지만), 보다 낮은 pH에서는 투명도가 훨씬 더 낮다. 6 g의 저분자량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인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하기의 시판 제품들 각각의 94 g 샘플에 첨가하였다: JBS(라벨에 열거된 성분들(물, 코크아미도프로필 베타인, PEG-80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소듐 트라이데세스 설페이트, PEG-150 다이스테아레이트, 방향제, 테트라소듐 EDTA, 폴리쿼터늄-10, 쿼터늄-15, 수산화나트륨, 시트르산, D&C 옐로우 10, D&C 오렌지 4)을 함유하는 존슨즈 베이비 샴푸(Johnson's Baby Shampoo)) 및 HTT(라벨에 열거된 성분들(물, 코크아미도프로필 베타인, PEG-80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PEG-150 다이스테아레이트, 테트라소듐 EDTA, 염화나트륨, 폴리쿼터늄-10, 방향제, 쿼터늄-15, 시트르산)을 함유하는 존슨즈 헤드-투-토우 바디 베이비 워시(Johnson's Head-to-Toe Body Baby Wash)). 이들 새로운 조성물의 새로운 투명도를 투명도 시험에 의해 측정하였다. 이들 세정 조성물의 투명도는 약 6.3 부근의 높은 pH에서는 약 90% 초과(투명함)이고, 더 낮은 pH에서는 투명도가 더 낮다. 미국 특허 제7803403호에서는, 소듐 트라이데세스 설페이트 또는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및 시판 제품인 JBS 및 HTT를 함유하는 세정 시스템을 평가하였다. 미국 특허 제7803403호는 저분자량의 선형 아크릴 중합체 및 이들 계면활성제를 갖는 투명한 세정 시스템을 보여주지만, 이들 시스템이 보다 낮은 pH(약 pH 6.2 미만)에서 제조될 때, 세정 시스템은 투명성을 상실하고 흐려지고 반투명해진다.
실시예 3
비교예 C5 내지 비교예 C11: 세정 조성물의 제조
표 3에 열거된 물질 및 양에 따라 C5 내지 C11의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19
표 3의 각각의 조성물을 독립적으로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물(50.0 부)을 비이커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하기의 성분들을 각각의 각자의 생성 혼합물이 균질해질 때까지 혼합하면서 독립적으로 여기에 첨가하였다: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인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x. 968, 미국 오하이오주 브렉스빌 소재의 루브리졸), 이어서 요구된 대로 계면활성제인 코크아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테인, 데실 글루코사이드, 코크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또는 다이소듐 라우로암포다이아세테이트. 이어서, 원하는 최종 pH가 얻어질 때까지 수산화나트륨 또는 시트르산의 20% 용액을 사용하여 생성된 용액의 pH를 조절하였다. 이어서, 여기에 잔량의 물을 첨가하였다. 동일한 성분을 갖지만 상이한 pH를 갖는 제형들을 모두 독립적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이한 pH에서의 샘플 C5 내지 샘플 C11에 대한 투명도 결과:
C5 내지 C11의 조성물의 투명도를 투명도 시험에 따라 결정하였다.
Figure pct00020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 없는 저분자량(이하, "Mw")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인 C5는 4.0의 낮은 pH에서 낮은 투명도를 갖는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분자량의 선형 아크릴 중합체인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다수의 상이한 유형의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사용하여 중간 정도의 pH(약 6.3 내지 6.6의 pH)에서 투명한 세정 조성물이 용이하게 제조된다. 표 4는 저분자량의 선형 아크릴 중합체인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각각 양쪽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코크아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테인 및 데실 글루코사이드의 세정 조성물이 낮은 pH에서 투명하지 않음(약 90% 미만의 %T)을 보여준다. 표 4는 또한 각각 코크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및 다이소듐 라우로암포다이아세테이트인 세정 조성물이 낮은 pH에서 상분리되고 백색 침전물을 형성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상분리는 낮은 계면활성제 농도 및 높은 계면활성제 농도에서 존재하였다.
실시예 5
비교예 C12 내지 비교예 C18: 세정 조성물의 제조
표 5에 열거된 물질 및 양에 따라 C12 내지 C18의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21
표 5의 각각의 조성물을 독립적으로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물(50.0 부)을 비이커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하기의 성분들을 각각의 각자의 생성 혼합물이 균질해질 때까지 혼합하면서 독립적으로 여기에 첨가하였다: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인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x. 968, 미국 오하이오주 브렉스빌 소재의 루브리졸), 이어서 계면활성제인 소듐 트라이데세스 설페이트,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소듐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 또는 소듐 코코 설페이트를 요구된 대로 첨가하였다. 이어서, 원하는 최종 pH가 얻어질 때까지 수산화나트륨 또는 시트르산의 20% 용액을 사용하여 생성된 용액의 pH를 조절하였다. 이어서, 여기에 잔량의 물을 첨가하였다. 동일한 성분을 갖지만 상이한 pH를 갖는 제형들을 모두 독립적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이한 pH에서의 샘플 C12 내지 샘플 C18에 대한 투명도 결과:
C12 내지 C18의 조성물의 투명도를 투명도 시험에 따라 결정하였다.
Figure pct0002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분자량의 선형 아크릴 중합체인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다수의 상이한 유형의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사용하여 중간 정도의 pH(약 6.3 내지 약 6.6의 pH)에서 투명한 세정 조성물이 용이하게 제조된다. 그러나 표 2에서, 이들 세정 조성물이 낮은 pH(약 pH 6.2 미만)로 취해질 때, 그들은 투명성을 상실한다. 더욱이, 보다 낮은 pH의 세정 조성물인 C12 내지 C14는 소정 범위의 수준에 걸쳐 소정 범위의 에톡실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데, 이들 중 어느 것도 낮은 pH에서는 투명한 시스템을 달성하지 못한다.
저분자량의 선형 아크릴 중합체인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낮은 양의 비-에톡실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소듐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 및 소듐 코코 설페이트 각각을 갖는 세정 조성물인 C15 및 C17은 또한 낮은 투명도를 갖는다. 그러나, 저분자량의 선형 아크릴 중합체인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비-에톡실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갖는 세정 시스템인 C16 및 C18은 높은 투명도를 달성할 수 있다. 약 2.0% 초과의 활성제인 충분한 양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충분하게 투명한 제형을 달성하기 위한 요건이다.
실시예 7
비교예 C19 내지 비교예 C25: 비-에톡실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세정 조성물 및 투명도
표 7에 열거된 물질 및 양에 따라 C19 내지 C25의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23
표 7의 각각의 조성물을 독립적으로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물(50.0 부)을 비이커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하기의 성분들을 각각의 각자의 생성 혼합물이 균질해질 때까지 혼합하면서 독립적으로 여기에 첨가하였다: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인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x. 968, 미국 오하이오주 브렉스빌 소재의 루브리졸), 이어서 요구된 대로 계면활성제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도데실 벤젠 설포네이트,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또는 소듐 트라이데실 설페이트. 이어서, 원하는 최종 pH가 얻어질 때까지 수산화나트륨 또는 시트르산의 20% 용액을 사용하여 생성된 용액의 pH를 조절하였다. 이어서, 여기에 잔량의 물을 첨가하였다. 동일한 성분을 갖지만 상이한 pH를 갖는 제형들을 모두 독립적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상이한 pH에서의 비교예 C16, 비교예 C18 내지 비교예 C25에 대한 투명도 결과:
C16, C18 내지 C25의 조성물의 투명도를 투명도 시험에 따라 결정하였다.
Figure pct00024
표 8의 세정 조성물인 C16, C18 내지 C25 모두는 저 Mw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인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2.0% 초과의 활성제 수준의 소정 범위의 비-에톡실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며, 이들 세정 조성물 모두는 투명도 시험 및/또는 광산란 시험에 의해 측정할 때 높은 투명도(계수율이 약 70 kct/s 미만일 경우의 투명도)를 갖는다. 저 MW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 및 약 9.0 중량%의 활성제 내지 약 2.0 중량%의 활성제 수준의 비-에톡실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갖는 세정 조성물에서는, 이들 조성물의 투명도는 심지어 낮은 pH에서도 높았다.
실시예 9
비교예 C26 내지 비교예 C31: 비-에톡실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 양쪽성 계면활성제 세정 조성물
표 9에 열거된 물질 및 양에 따라 C26 내지 C31의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25
표 9의 각각의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물(50.0 부)을 비이커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하기의 성분들을 각각의 각자의 생성 혼합물이 균질해질 때까지 혼합 및/또는 가열하면서 독립적으로 여기에 첨가하였다: 70°로의 가열과 함께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및 소듐 라우릴 설포아세테이트. 이어서, 가열을 제거하고, 하기의 성분들을 첨가하면서 혼합물을 냉각되게 하였다: 글리세린, 이어서 계면활성제인 소듐 라우릴 설포석시네이트, 소듐 C14-16 올레핀 설포네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아이소트라이데실 알코올 설페이트, 소듐 코코-설페이트, 코크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및/또는 코크아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테인, 및 이어서 요구되는 경우 폴리쿼터늄-7, 이어서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인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x. 968, 미국 오하이오주 브렉스빌 소재의 루브리졸), 및 이어서 요구된 대로 방부제 및 방향제.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인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x. 968, 미국 오하이오주 브렉스빌 소재의 루브리졸)의 첨가 후에 생성된 용액의 pH를 수산화나트륨의 20% 용액을 사용하여 7.0 초과의 pH로 조절하였다. 방부제 및 방향제의 첨가 후에, 생성된 용액의 pH를 원하는 최종 pH가 얻어질 때까지 시트르산의 20% 용액을 사용하여 조절하였다. 이어서, 여기에 잔량의 물을 첨가하였다. 동일한 성분을 갖지만 상이한 pH를 갖는 제형을 동일한 배치(batch)로부터 제조하였으며, 샘플을 상이한 pH 수준에서 취하였다.
실시예 10
상이한 pH에서의 본 발명 실시예 E26 내지 본 발명 실시예 E31에 대한 투명도 결과:
E26 내지 E31의 조성물의 투명도를 투명도 시험 및 광산란 시험에 따라 결정하였다.
Figure pct00026
보여진 앞서의 세정 조성물인 C1 내지 C4 및 C6 내지 C10은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에톡실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였다. 이들 세정 조성물 모두는 보다 낮은 pH(즉, 약 6.2 미만)에서 낮은 투명도를 보여주었다. 표 8의 세정 조성물인 C16, C18 내지 C25 모두는 저 Mw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인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2.0% 초과의 활성제 수준의 소정 범위의 비-에톡실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며, 이들 세정 조성물 모두는 높은 투명도를 가졌다.
놀랍게도, 저 MW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인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비-에톡실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조합은 pH 약 6.2 미만에서 투명한 세정 조성물을 생성한다 (표 10으로부터의 E1 내지 E6). 저 MW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인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와의 비-에톡실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블렌드에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양쪽성 계면활성제의 비는 낮은 pH에서 투명도를 달성하는 데 중요하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양쪽성 계면활성제 비가 약 0.5 미만일 경우, 약 6.2 미만의 pH에서는 투명도가 달성되지만, 더 낮은 pH, 즉 약 4.8 미만에서는 달성되지 않는다. 세정 조성물 투명도에 대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의 영향은 총 계면활성제 농도와는 무관하다. 놀랍게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양쪽성 계면활성제 비가 약 0.5 미만인 세정 조성물에서, 비-에톡실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약 2% 미만의 활성제였으며, 이들 세정 조성물은 약 6.2 미만 및 약 4.8 초과에서 투명하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약 0.5 초과일 경우, 약 6.2 미만의 pH에서 투명도가 달성된다. 저 MW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인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갖는 음이온성-양쪽성 계면활성제 세정 조성물에 대한 낮은 pH에서의 투명도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블렌딩된 비-에톡실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해서는 달성되지만, 저 MW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인 포타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블렌딩된 에톡실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해서는 달성되지 않는다.
Figure pct00027
Figure pct00028
실시예 12
실시예 Ea112 내지 실시예 Ea190: 세정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또는 비교예 112 내지 190의 세정 조성물을 하기 표에 열거된 물질 및 양에 따라 그리고 상세히 전술된 세정 혼합 절차 하에서 그리고 pH 5.5에서 제조하였다. 흡광도 시험에 의해 측정된 각각의 예에 대한 관련 흡광도가 또한 나타나 있다.
Figure pct00029
Figure pct00030
실시예 13
실시예(Ea) 또는 비교예(Ca) 191 내지 270: 세정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또는 비교예 191 내지 270의 세정 조성물을 하기 표에 열거된 물질 및 양에 따라 그리고 상세히 전술된 세정 혼합 절차 하에서 그리고 pH 5.5에서 제조하였다. 흡광도 시험에 의해 측정된 각각의 예에 대한 관련 흡광도가 또한 나타나 있다.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실시예 14
실시예(Ea) 또는 비교예(Ca) 271 내지 350: 세정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또는 비교예 271 내지 350의 세정 조성물을 하기 표에 열거된 물질 및 양에 따라 그리고 상세히 전술된 세정 혼합 절차 하에서 그리고 pH 5.5에서 제조하였다. 흡광도 시험에 의해 측정된 각각의 예에 대한 관련 흡광도가 또한 나타나 있다.
Figure pct00033
Figure pct00034
실시예 15
실시예(Ea) 또는 비교예(Ca) 351 내지 430: 세정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또는 비교예 351 내지 430의 세정 조성물을 하기 표에 열거된 물질 및 양에 따라 그리고 상세히 전술된 세정 혼합 절차 하에서 그리고 pH 5.5에서 제조하였다. 흡광도 시험에 의해 측정된 각각의 예에 대한 관련 흡광도가 또한 나타나 있다.
Figure pct00035
Figure pct00036
실시예 16
실시예 ( Ea ) 또는 비교예 ( Ca ) 431 내지 510: 세정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또는 비교예 431 내지 510의 세정 조성물을 하기 표에 열거된 물질 및 양에 따라 그리고 상세히 전술된 세정 혼합 절차 하에서 그리고 모두 pH 5.5에서 제조하였다. 흡광도 시험에 의해 측정된 각각의 예에 대한 관련 흡광도가 또한 나타나 있다.
Figure pct00037
Figure pct00038
투명한 세정 제형을 달성하는 것이 흔히 바람직하지만, 세정 제형은 안정한, 즉 거시적으로 상분리되지 않을 것이 거의 항상 필요하다.
계면활성제와 음이온성 중합체의 소정의 조합은 매우 탁하거나 심지어는 불안정한 용액으로 이어질 수 있다.
수용액에서, 소수성 특징을 갖는 중합체는 계면활성제와 상호작용하여 더 큰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미시적 상분리의 형태이다. 충분히 큰, 이러한 더 큰 복합체는 광을 산란시키고 탁하거나 투명하지 않은 제형을 생성할 것이다. 이들 복합체가 점점 더 커짐에 따라, 클렌저는 덜 투명하게 되고 아마도 거시적인 상분리를 나타내게 될 것이다.
상기의 예들은 일정 범위의 양쪽성 계면활성제 유형(CAPB, SLAC, CB, COHS), 계면활성제 농도 및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 농도를 포함하는 일련의 상이한 클렌저 제형으로부터 얻어진 투명도를 보여준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투명하거나 상당히 투명하고 안정한 세정 제형이 단지 소정의 조합만으로 낮은 pH에서 제조될 수 있음을 알게 된다. 소수성으로 개질된 중합체의 높은 농도는 탁하거나 불안정한 세정 제형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확인된다.

Claims (4)

  1. 투명한 피부 세정 조성물로서,
    (a) 물;
    (b) 상기 피부 세정 조성물의 약 0.03 중량% 내지 약 2.1 중량%를 구성하는 양의 저분자량의 비-가교결합된 선형 아크릴 공중합체;
    (c) 8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 및 음이온성 물-가용화 기(water-solubilizing group)를 갖는 지방족 아민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양성(ampholytic) 합성 계면활성제, 및 지방족 4차 암모늄, 포스포늄 및 3급 설포늄 화합물의 내부적으로 중화된 유도체를 포함하는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상기 지방족 라디칼이 직쇄 또는 분지형이고 상기 지방족 치환체들 중 하나가 8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상기 지방족 치환체들 중 하나가 음이온성 물-가용화 기를 함유한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2개의 양쪽성(amphoteric) 계면활성제들의 블렌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성분
    을 포함하며,
    상기 피부 세정 조성물은 pH가 약 6 미만이고,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코코베타인이 실질적으로 없으며, 상기 계면활성제들은 상기 피부 세정 조성물의 약 0.0015 내지 약 15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고, 그러한 조성물의 총 계면활성제 로드(load)는 약 20 중량% 미만이며, 상기 피부 세정 조성물은 투명도 흡광도 시험(Clarity Absorbance Test)에 의해 측정할 때 흡광도가 약 0.22 미만인, 투명한 피부 세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 성분은 소듐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코크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및 코크아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테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투명한 피부 세정 조성물.
  3. 투명한 피부 세정 조성물로서,
    (a) 물;
    (b) 상기 피부 세정 조성물의 약 0.03 중량% 내지 약 1.6 중량%를 구성하는 양의 저분자량의 비-가교결합된 선형 아크릴 공중합체;
    (c) 8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 및 음이온성 물-가용화 기를 갖는 지방족 아민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양성 합성 계면활성제, 및 지방족 4차 암모늄, 포스포늄 및 3급 설포늄 화합물의 내부적으로 중화된 유도체를 포함하는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상기 지방족 라디칼이 직쇄 또는 분지형이고 상기 지방족 치환체들 중 하나가 8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상기 지방족 치환체들 중 하나가 음이온성 물-가용화 기를 함유한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2개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들
    을 포함하며,
    그러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들 중 하나는 약 0.065 중량% 미만 또는 약 3.5 중량% 초과의 농도로 코코-베타인을 포함하고, 상기 나머지 양쪽성 계면활성제들은 상기 피부 세정 조성물의 약 0.0015 내지 약 15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고, 그러한 조성물의 총 계면활성제 로드는 약 20 중량% 미만이며,
    상기 피부 세정 조성물은 pH가 약 6 미만이고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실질적으로 없으며, 상기 피부 세정 조성물은 투명도 흡광도 시험에 의해 측정할 때 흡광도가 약 0.22 미만인, 투명한 피부 세정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 성분은 소듐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코크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및 코크아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테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투명한 피부 세정 조성물.
KR1020137001788A 2010-06-24 2011-06-23 비교적 낮은 pH를 갖는 저자극성의 투명한 세정 조성물 KR1018826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22,329 US8343902B2 (en) 2010-06-24 2010-06-24 Low-irritating, clear cleansing compositions with relatively low pH
US12/822,329 2010-06-24
US12/976,573 US8329626B2 (en) 2010-06-24 2010-12-22 Low-irritating, clear cleansing compositions with relatively low pH
US12/976,573 2010-12-22
US13/166,445 2011-06-22
US13/166,445 US8329627B2 (en) 2010-06-24 2011-06-22 Low-irritating, clear cleansing compositions with relatively low pH
PCT/US2011/041611 WO2011163467A2 (en) 2010-06-24 2011-06-23 Low-irritating, clear cleansing compositions with relatively low p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448A true KR20130120448A (ko) 2013-11-04
KR101882662B1 KR101882662B1 (ko) 2018-07-30

Family

ID=45353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788A KR101882662B1 (ko) 2010-06-24 2011-06-23 비교적 낮은 pH를 갖는 저자극성의 투명한 세정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329627B2 (ko)
EP (1) EP2585173B1 (ko)
KR (1) KR101882662B1 (ko)
CN (1) CN102958569B (ko)
AU (1) AU2011270837C1 (ko)
CA (1) CA2801758C (ko)
CO (1) CO6640334A2 (ko)
MX (1) MX2012015203A (ko)
RU (1) RU2013103076A (ko)
WO (1) WO2011163467A2 (ko)
ZA (1) ZA2013006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94395A1 (en) * 2012-09-28 2014-04-03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Rinse-off skin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alkyl amidopropyl betaine surfactants
CA2899424A1 (en) 2013-02-19 2014-08-28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mproving appearance and formation of scar tissue
CN103284922B (zh) * 2013-06-08 2014-11-05 上海巴方精细化工有限公司 丁香罗勒油浴盐
US9480629B2 (en) 2013-08-06 2016-11-01 Rhodia Operations Sulfate-free structured liquid surfactants
US9937118B2 (en) 2016-06-21 2018-04-10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Clear suspending personal care cleansing compositions
MX2019000795A (es) 2016-07-26 2019-06-20 Colgate Palmolive Co Composiciones de limpieza liquidas con sistema antibacteriano y metodo para su fabricacion.
US20180100123A1 (en) * 2016-10-12 2018-04-12 Mectra Labs, Inc. Cleaning solution
CN109589273A (zh) * 2017-09-30 2019-04-09 株式会社Lg生活健康 低刺激性人体清洁剂组合物
CN110236983A (zh) * 2018-03-09 2019-09-17 东方学校财团法人东方设计大学 两性离子型界面活性剂的清洁组合物
CN108379148A (zh) * 2018-04-07 2018-08-10 广州市索柔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低刺激清洁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210330701A1 (en) 2020-04-23 2021-10-28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hibiting enveloped viruses using high molecular weight hydrophobically modified alkali swellable emulsion polymers and surfactant
US20210330700A1 (en) 2020-04-23 2021-10-28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hibiting influenza viruses using low molecular weight hydrophobically modified polymers and polyalkylene glycols
US20210330698A1 (en) 2020-04-23 2021-10-28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hibiting enveloped viruses using low molecular weight hydrophobically modified polymers
US20210330806A1 (en) 2020-04-23 2021-10-28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inhibiting enveloped viruses using high molecular weight hydrophobically modified alkali swellable emulsion polymers
US11690869B2 (en) 2020-04-23 2023-07-04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Methods of inhibiting enveloped viruses using low molecular weight hydrophobically modified polymer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2489A (ko) * 1998-12-16 2000-08-25 차알스 제이. 메츠 투명한 세정 세제 시스템
US20050180939A1 (en) * 2004-01-27 2005-08-18 L'oreal Skin cleansing composition
US20060014662A1 (en) * 2004-07-14 2006-01-19 Beiersdorf Ag Cleansing gel
KR20080034837A (ko) * 2005-05-10 2008-04-22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저자극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87057A (ko) * 2006-11-09 2009-08-14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저자극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9264A (en) 1935-03-29 1938-09-06 Du Pont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US2178353A (en) 1937-07-21 1939-10-31 Du Pont High molecular weight tetravalent sulphur compounds and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US2774786A (en) 1953-08-10 1956-12-18 Gen Mills Inc Phosphono-ammonium surface active agents
US2828332A (en) 1955-08-23 1958-03-25 Monsanto Chemicals Phosphonium compounds
US2813898A (en) 1955-09-13 1957-11-19 Monsanto Chemicals Sulfonium sulfonates
US3318817A (en) 1965-07-16 1967-05-09 Procter & Gamble Process for preparing detergent tablets
US3950260A (en) 1968-01-16 1976-04-13 Ibrahim Andrew Eldib Polyacrylates of selective viscosity as detergent builders
US4110263A (en) 1977-06-17 1978-08-29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Mild cleansing compositions containing alkyleneoxylated bis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US4186113A (en) 1978-04-03 1980-01-29 Johnson & Johnson Low irritating detergent compositions
US4215064A (en) 1978-11-30 1980-07-29 Johnson & Johnson Phosphobetaines
US4233192A (en) 1978-11-30 1980-11-11 Johnson & Johnson Detergent compositions
US4380637A (en) 1978-11-30 1983-04-19 Johnson & Johnson/Mona Industries, Inc. Imidazoline phosphobetaines
US4552685A (en) 1979-08-02 1985-11-12 The Dow Chemical Company Thickened amphoteric surfactant solutions
US4372869A (en) 1981-05-15 1983-02-08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US4382036A (en) 1981-05-15 1983-05-03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Pyrophosphobetaines
US4443362A (en) 1981-06-29 1984-04-17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Detergent compounds and compositions
US4617414A (en) 1984-09-10 1986-10-14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hosphate surfactants
US5004557A (en) 1985-08-16 1991-04-02 The B. F. Goodrich Company Aqueous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acrylic acid polymers
US4726915A (en) 1986-03-10 1988-02-23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DE3902374A1 (de) 1989-01-27 1990-08-02 Solvay Werke Gmbh Wasch- reinigungs- und/oder koerperreinigungsmittel
US5215976A (en) 1991-10-28 1993-06-01 Mona Industries, Inc. Phospholipids useful as spermicidal agents
US5648348A (en) 1991-10-28 1997-07-15 Mona Industries, Inc. Phospholipid antimicrobial compositions
US5286719A (en) 1991-10-28 1994-02-15 Mona Industries, Inc. Phospholipid virucidal compositions
CA2095743A1 (en) 1992-05-07 1993-11-08 Thomas R. Russo Shampoos containing polyglyceryl esters
US5968493A (en) 1997-10-28 1999-10-19 Amway Corportion Hair care composition
FR2773069B1 (fr) 1997-12-29 2001-02-02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au moins un tensioactif acide amidoethercarboxylique et au moins une association d'un polymere anionique et d'un polymere cationique
DE19818410A1 (de) 1998-04-24 1999-10-28 Wella Ag Haar- und Körperreinigungsmittel mit verminderter Hautirritation
US6533873B1 (en) 1999-09-10 2003-03-18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Suspending clear cleansing formulation
US6468614B1 (en) 2000-03-17 2002-10-22 Levine Anna L. Apparatus for displaying paper, fabric, photographs or the like
US6635702B1 (en) 2000-04-11 2003-10-21 Noveon Ip Holdings Corp. Stable aqueous surfactant compositions
CN1309815C (zh) 2000-10-17 2007-04-11 三菱化学株式会社 用于洗涤剂的聚甘油脂肪酸酯和含有该物质的洗涤剂
FR2829384B1 (fr) 2001-09-11 2003-11-14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un copolymere d'acide methacrylique, une silicone et un polymere cationique et leurs utilisations
US7157414B2 (en) 2003-08-28 2007-01-02 J&J Consumer Companies, Inc. Methods of reducing irritation in personal care compositions
FR2865401B1 (fr) 2004-01-27 2006-04-28 Oreal Composition de nettoyage de la peau
US7507399B1 (en) 2004-08-05 2009-03-24 Surfatech Corporation Functionalized polymeric surfactants based upon alkyl polyglycosides
US7547434B2 (en) 2005-09-09 2009-06-16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itigating skin irritation
US7335627B1 (en) 2006-05-25 2008-02-26 Surfa Tech Corporation Polymeric alkylpolyglycoside carboxylates
EP2079765B1 (en) 2006-11-09 2016-01-27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Irritation mitigating polymers and uses therefor
US7375064B1 (en) 2007-02-20 2008-05-20 Surfatech Corporation Functionalized polymeric surfactants based upon alkyl polyglycosides
GB0714817D0 (en) 2007-07-31 2007-09-12 Croda Int Plc Polyglycerol derivatives
US20090053337A1 (en) 2007-08-21 2009-02-26 L'oreal Composition and method of improving skin barrier function of compromised skin
DE102008059445A1 (de) 2008-11-27 2010-06-02 Henkel Ag & Co. Kgaa Schäumende Emulsionen mit Emulgatorkombin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2489A (ko) * 1998-12-16 2000-08-25 차알스 제이. 메츠 투명한 세정 세제 시스템
US20050180939A1 (en) * 2004-01-27 2005-08-18 L'oreal Skin cleansing composition
US20060014662A1 (en) * 2004-07-14 2006-01-19 Beiersdorf Ag Cleansing gel
KR20080034837A (ko) * 2005-05-10 2008-04-22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저자극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87057A (ko) * 2006-11-09 2009-08-14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저자극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58569A (zh) 2013-03-06
EP2585173B1 (en) 2017-04-12
CA2801758C (en) 2019-09-10
AU2011270837B2 (en) 2014-11-27
AU2011270837A1 (en) 2013-01-10
CO6640334A2 (es) 2013-03-22
EP2585173A2 (en) 2013-05-01
RU2013103076A (ru) 2014-07-27
AU2011270837C1 (en) 2015-04-23
US20110319308A1 (en) 2011-12-29
WO2011163467A3 (en) 2012-02-23
ZA201300617B (en) 2014-05-26
CA2801758A1 (en) 2011-12-29
US8329627B2 (en) 2012-12-11
KR101882662B1 (ko) 2018-07-30
WO2011163467A2 (en) 2011-12-29
MX2012015203A (es) 2013-05-09
CN102958569B (zh)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662B1 (ko) 비교적 낮은 pH를 갖는 저자극성의 투명한 세정 조성물
KR101882660B1 (ko) 비교적 낮은 pH를 갖는 저자극성의 투명한 세정 조성물
KR101783189B1 (ko) 비교적 낮은 pH를 갖는 저자극성의 투명한 세정 조성물
JP7460688B2 (ja) 錯化高分子電解質を含有する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EP2964187B1 (en) Improved foaming performance in cleansing compositions through the use of nonionic, amphiphilic polymers
WO2014099585A2 (en) Irritation mitigating polymers and uses therefor
BR112012033245B1 (pt) Clear, low irritation skin cleansing compositions with relatively low p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