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205A - 오픈 api 기반의 관세선납 조건에서의 국제 배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픈 api 기반의 관세선납 조건에서의 국제 배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205A
KR20130120205A KR1020120043285A KR20120043285A KR20130120205A KR 20130120205 A KR20130120205 A KR 20130120205A KR 1020120043285 A KR1020120043285 A KR 1020120043285A KR 20120043285 A KR20120043285 A KR 20120043285A KR 20130120205 A KR20130120205 A KR 20130120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tional
delivery
customs
api
sh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헌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43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0205A/ko
Publication of KR20130120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2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픈 API 기반의 관세선납 조건에서의 국제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자상거래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국제 배송물에 대한 접수가 이루지도록 하는 API 서비스와 통관에 필요한 온라인 서류 접수 절차의 간소화를 위한 API 서비스를 연계하여 국제 배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쇼핑몰 운영자 등과 같이 배송 정보를 대리 접수하는 사람 또는 그 행위의 개입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국제 배송이 수행되도록 하는 편의성을 제공하며, 수취인이 관세를 납부하지 않아서 발생할 수 있는 국제 배송 우편의 반송 처리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율성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오픈 API 기반의 관세선납 조건에서의 국제 배송 시스템{SYSTEM FOR GLOBAL SHIPPING BASED ON OPEN API IN DELIVERED DUTY PAID CONDITION}
본 발명은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기반의 관세선납 조건에서의 국제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상거래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국제 배송물에 대한 접수가 이루지도록 하는 API 서비스와 통관에 필요한 온라인 서류 접수 절차의 간소화를 위한 API 서비스를 연계하여 국제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픈 API 기반의 관세선납 조건에서의 국제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인터넷 등과 같은 온라인 접속 환경이 널리 보급 및 확충되면서 온라인 전자상거래가 일반화되었으며, 국제 물류 배송 환경의 발전으로 인하여 국제적인 온라인 전자상거래 또한 그 이용율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국내에서의 국제적인 온라인 전자상거래의 성립에 따라 국제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를 종래 기술로서 예시하면, 국제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쇼핑몰은 민간특송업체나 우체국의 EMS(Express Mail Service) 또는 항공소포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자상거래 상품을 배송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상품의 국제 배송 접수는 쇼핑몰 운영자(판매자)가 주문자의 배송 정보를 확보한 상태에서 해당 특송업체 또는 우체국 인터넷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주문자의 배송 정보를 대리 접수하는 절차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쇼핑몰 운영자 등과 같이 배송 정보를 대리 접수하는 사람 또는 그 행위가 반드시 개입되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아웃바운드(outbound) 국제 배송 서비스는 수취인이 관세를 납부하는 절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수취인이 관세 납부를 거부할 경우에는 국제 배송 우편물이 반송 처리가 되는 비효율성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한 것으로서, 전자상거래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국제 배송물에 대한 접수가 이루지도록 하는 API 서비스와 통관에 필요한 온라인 서류 접수 절차의 간소화를 위한 API 서비스를 연계하여 국제 배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쇼핑몰 운영자 등과 같이 배송 정보를 대리 접수하는 사람 또는 그 행위의 개입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국제 배송이 수행되도록 하는 편의성을 제공하며, 수취인이 관세를 납부하지 않아서 발생할 수 있는 국제 배송 우편의 반송 처리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율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 기반의 관세선납 조건에서의 국제 배송 시스템은, 오픈 API를 이용하는 국제 배송 서비스 접수 모듈을 통해 자국에서 타국으로의 국제 배송 상품에 대한 개별 또는 다량의 파일 접수를 수행하는 전자상거래 서버와, 국제 배송 서비스 접수 모듈을 제공하는 자국 배송 장치와, 관세선납 조건에서의 통관절차 간소화 및 반품 상품에 대한 관세환급을 위한 전자문서 표준 API를 제공하는 온라인 통관 장치와, 전자상거래 서버가 접수한 국제 배송 상품에 대해 전자문서 표준 API를 이용하여 우편물에 대한 접수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자국 국제 배송 접수 장치와, 자국 국제 배송 접수 장치와의 연계를 통해 우편물에 대한 타국 내 배송 기능을 제공하는 타국 국제 배송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상거래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국제 배송물에 대한 접수가 이루지도록 하는 API 서비스와 통관에 필요한 온라인 서류 접수 절차의 간소화를 위한 API 서비스를 연계하여 국제 배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상거래 업체는 한국 우정 배송 시스템 등과 같은 자국 배송 장치에 접속할 필요 없이 자체 운영 사이트에서 국제 배송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자상거래 업체는 국제 배송 접수, 통관절차, 배송비용 결제, 배송상태 확인 등의 서비스를 한번에 원스톱(one-stop)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아울러, 종래 기술에서는 관제 수취인 부담방식을 적용함에 따라 수취인이 상품수령을 거부할 경우에는 반송 처리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관세선납 조건을 적용함에 따라 반송되는 국제 우편물이 줄어들기 때문에 물류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관세선납을 위한 양륙비용 산정 및 배송비용 계산 모듈을 통해 국가별 관세 정보 조회와 이에 해당하는 양륙비용 및 배송비용을 한번에 조회할 수 있으며, 관세청 인터넷 통관시스템 등과 같은 온라인 통관 장치와의 API 연동을 통해 신고서 접수가 자동화 및 간소화 되고, 상품의 반품에 대한 업체의 재수입면세의 관세환급을 종래 기술과 같이 관세사를 통해 환급신청을 하지 않으므로 관세사에게 수수료를 지불할 필요가 없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 기반의 관세선납 조건에서 국제 배송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자국 배송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자국 국제 배송 접수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타국 국제 배송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 기반의 관세선납 조건에서 국제 배송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API 명세에 따른 개별접수 등록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 배송 서비스 접수를 위한 신청정보 조회 API 연계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표지 출력을 위한 이미지 스트림 처리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표지 출력을 위한 API 호출 및 결과반환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통관 장치(관세청 인터넷 통관 시스템)의 전자문서 오픈 API 서비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륙비용 산정 절차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륙비용 조회 요청 및 배송비용 계산 화면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 기반의 관세선납 조건에서의 국제 배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 배송 시스템은, 전자상거래 서버(100), 자국 배송 장치(110), 자국 국제 배송 접수 장치(120), 타국 국제 배송 장치(130), 배송 상태 추적 장치(140), 온라인 통관 장치(150) 등을 포함한다.
전자상거래 서버(100)는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를 운용할 수 있으며, 인터넷 우체국 등과 같이 국제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API 국제 배송 서비스 접수 모듈을 이용하여 고객들이 신청한 국제(해외) 배송 상품에 대한 개별 또는 다량의 파일 접수를 수행한다.
자국 배송 장치(110)는 예컨대, 한국 우정 배송 시스템 등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국제 우편물 접수부(111)를 포함하고, 국제 우편물 접수부(111)는 전자상거래 서버(100)에게 API 국제 배송 서비스 접수 모듈을 제공하여 국제우편물의 개별 접수(1111) 또는 다량 접수(1112)에 관련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API 국제 배송 서비스 접수 모듈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접수에 필요한 각 항목을 전자상거래 웹페이지의 화면으로 구성한 개별접수 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수취인 주소, 국가코드, HS(Harmonized System) 코드, 세관신고서 등을 전자상거래 서버(100)가 제공하는 전자상거래 웹사이트에 애드인(Add-in)하여 접속 정보를 REST 방식으로 자국 국제 배송 접수 장치(120)로 전송한다.
우편물을 다량 접수(1112)할 경우, 자국 배송 장치(110)에서 제공한 파일 양식에 맞게 다수의 접수 내역을 작성하여 파일로 전송하면, 자국 국제 배송 접수 장치(120)에서 건별로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방식을 통해 자동 접수된다.
또한, 자국 배송 장치(110)는 국제우편물 신청정보 조회부(112)를 포함하며, 국제우편물 신청정보 조회부(112)는 국제우편물 접수 시에 필요한 신청정보 조회 기능을 API 호출 및 결과 반환을 통해 제공한다. 신청조회 항목은 국가별, 우편물 중량별 배송 요금 조회(1121), 관세 및 내국세를 포함하는 통관비용 조회(1122), 상품품목 코드인 HS 코드 조회(1123), 수취인 주소의 영문주소 변환을 위한 주소정보 조회(1124), 배송국가의 우편번호 조회(1115), 국가코드 조회(1126), 국가별 통관 정보 조회(1127) 등이 있다.
예를 들어, 도 7은 전자상거래 서버(100)에 의한 전자상거래 웹사이트에서 조회 API에 대한 요청/응답 화면 예시도이다.
자국 배송 장치(110)는 접수 관리부(113)를 포함하며, 접수 관리부(113)는 전자상거래 서버(100)가 신청한 접수 건에 대해, 접수내역 수정/취소(1131), 이미지 스트림을 이용한 EMS/항공소포 기표지 출력(1132), 상품의 배송상태 종추적(1133)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8은 이미지 스트림을 이용한 오픈 API 기표지 출력 방법의 일 예를 보인 것이며, 도 9은 업체에서 출력할 EMS(특급우편서비스) 기표지의 화면 예시도이다.
자국 국제 배송 접수 장치(120)는 한국 우정 국제 우편 접수 운영 시스템 등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전자상거래 서버(100)가 API를 통해 접수한 우편물에 대한 접수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국제우편물 관리부(121)와 배송 비용 산정부(122) 및 우편물류시스템 연계부(123)를 포함한다. 이러한 자국 국제 배송 접수 장치(120)는 웹기반 서비스로 우정사업자 내부 관리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국제우편물 관리부(121)는 접수내역 조회(1211) 기능, 업체별 이용 통계 조회(1212) 기능, 요금 정산내역 조회(1213) 기능, 국제우편물 등기번호 발행(1214) 기능, 관세청에 전송할 세관신고서 접수(1215) 기능, 국제우편 배송에 필요한 접수 정보 및 사전통관, 주문정보 등에 포함하는 사전정보를 전송하는 기능(1216), API 호출에 의해 접수된 개별, 다량우편물 처리 및 운영시스템 등록 기능(1217), 기표지 발행 기능(1218)을 포함한다. 도 10은 관세청에서 제공하는 전자문서 오픈 API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었다.
배송 비용 산출부(122)는 자국 내에서 전자상거래 업체에게 제공할 배송비용 정보 및 타국의 국제 배송 장치에게 사전정보와 함께 전송할 관세/세금 조회(1221) 기능, 통관수수료 조회(1222) 기능, 양륙비용 산정(1223) 기능, 국제 배송에 필요한 모든 비용을 합산한 배송비용 산정(1224) 기능, 타국 내에서의 배송비용 정산(1224) 기능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양륙비용 산정(1223) 기능은 국가별 서로 다른 관세, 세금, 수수료만을 계산해 내는 모듈이며, 배송비용 산정(1224)는 양륙비용에 출발국(자국), 도착국(타국)에서 발생되는 배송 비용을 합산한 비용이다. 도 11은 양륙비용 및 배송비용 산정 절차를 예시한 것이며, 도 12는 배송비용 계산 요청 및 결과 반환에 대한 화면의 예시도이다.
우편물류시스템 연계부(123)는 우체국 등과 같은 배송 기관에서 실물의 우편물을 집배원이 픽업하기 위한 방문접수 신청(1231)과 배달 추적을 위한 UPU(Universal Postal Union) 발송 종추적(1232) 기능, 국제 배송을 위한 국제공항 국제우편물류센터 연계 접수(1233) 기능을 포함한다.
타국 국제 배송 장치(130)는 예컨대, 타국의 우정 국제 우편 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국제우편물 관리부(131), 도착국 배달을 위한 우체국 정보시스템 연계부(132)를 포함한다.
국제우편물 관리부(131)에서는 국내에서 전송한 국제 배송 관련 사전정보를 수신(1311)하여 도착국 등기번호를 발행(1312)하며, 도착국 관세청에 관세대상 물품에 대해 관세 및 통관수수료를 대납(1313)하여 통관절차의 확인(1314)을 거쳐 수취인에게 배달한다. 관세선납조건의 서비스이므로 수취인은 관세를 부담하지 않는다.
도착국인 타국의 우체국 정보시스템 연계부(132)는 도착국 배송상태 조회를 위한 도착 종추적(1321) 기능, 실물의 우편물을 수취인에게 배달하는 우편물 배송(1322) 기능을 포함한다. 예컨대, 도착 종추적(1321) 기능은 UPU(Universal Post Union, 만국우편연합)에서 제공하는 종추적 시스템을 활용하여 도착국 내에서 우편물의 배송상태 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
배송 상태 추적 장치(140)는 예컨대, UPU 발송/도착 종추적 시스템 등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국제 배송 우편물의 발송/도착 상태를 추적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UPU에서 제공하는 종추적 시스템을 활용하여 우편물의 등기번호 입력을 통해 배송상태 추적이 가능하다.
온라인 통관 장치(150)는 관세청 전자문서 표준 API 연계 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관세선납 조건에서의 통관절차 간소화 및 반품 상품에 대한 관세환급을 위해서 도 10과 같이 관세청에서 배포한 전자문서 표준 API를 자국 국제 배송 접수 장치(120)에게 제공하며, 자국 국제 배송 접수 장치(120)는 온라인 통관 장치(150)로부터 제공받은 전자문서 표준 API를 연계하여 신고서를 접수한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100 : 전자상거래 서버 110 : 자국 배송 장치
111 : 국제 우편물 접수부 112 : 국제 우편물 신청정보 조회부
113 : 접수 관리부 120 : 자국 국제 배송 접수 장치
121 : 국제 우편물 관리부 122 : 배송 비용 산정부
123 : 우편 물류 시스템 연계부 130 : 타국 국제 배송 장치
131 : 국제 우편물 관리부 132 : 우체국 정보시스템 연계부
140 : 배송 상태 추적 장치 150 : 온라인 통관 장치

Claims (1)

  1.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는 국제 배송 서비스 접수 모듈을 통해 자국에서 타국으로의 국제 배송 상품에 대한 개별 또는 다량의 파일 접수를 수행하는 전자상거래 서버와,
    상기 국제 배송 서비스 접수 모듈을 제공하는 자국 배송 장치와,
    관세선납 조건에서의 통관절차 간소화 및 반품 상품에 대한 관세환급을 위한 전자문서 표준 API를 제공하는 온라인 통관 장치와,
    상기 전자상거래 서버가 접수한 국제 배송 상품에 대해 상기 전자문서 표준 API를 이용하여 우편물에 대한 접수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자국 국제 배송 접수 장치와,
    상기 자국 국제 배송 접수 장치와의 연계를 통해 상기 우편물에 대한 타국 내 배송 기능을 제공하는 타국 국제 배송 장치
    를 포함하는 오픈 API 기반의 관세선납 조건에서의 국제 배송 시스템.
KR1020120043285A 2012-04-25 2012-04-25 오픈 api 기반의 관세선납 조건에서의 국제 배송 시스템 KR201301202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285A KR20130120205A (ko) 2012-04-25 2012-04-25 오픈 api 기반의 관세선납 조건에서의 국제 배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285A KR20130120205A (ko) 2012-04-25 2012-04-25 오픈 api 기반의 관세선납 조건에서의 국제 배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205A true KR20130120205A (ko) 2013-11-04

Family

ID=4985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285A KR20130120205A (ko) 2012-04-25 2012-04-25 오픈 api 기반의 관세선납 조건에서의 국제 배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02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598A (ko) * 2016-05-23 2019-02-18 가부시키가이샤 에이씨디 상거래 시스템, 관리 서버 및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598A (ko) * 2016-05-23 2019-02-18 가부시키가이샤 에이씨디 상거래 시스템, 관리 서버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07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national merchandise return service
US7647249B2 (en) Method for providing a shipping label via an intermediary's website
US7996328B1 (en) Electronic shipping notifications
US201602926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ending of Items
US200601495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customized processing of returned merchandise
KR101692271B1 (ko) 온라인 상품 무역 거래의 통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온라인 상품 무역 거래 방법
CN104766196A (zh) 一种基于第三方支付网上购物的智能物流方法及系统
CN101715584A (zh) 用于国家邮政公司的跨境互连的系统和方法
JP6047679B1 (ja) 商取引システム、管理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90016621A (ko) 결제 중개 시스템 및 결제 중개 방법
KR101791625B1 (ko) 스마트 무역 서비스 제공 장치
KR20200009973A (ko) 쓰레기 간편 수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00702A (ko) 온라인 쇼핑몰 통합 공급망 관리시스템
KR20130120205A (ko) 오픈 api 기반의 관세선납 조건에서의 국제 배송 시스템
JP6730019B2 (ja) 電子決済システムおよび電子決済方法
KR101953554B1 (ko) 통관 절차를 위한 자금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244238B1 (ko) 회계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53565B1 (ko) 해외 구매자를 위한 외화 결제 중개시스템
WO2001088805A1 (en) Internet-based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shipment of goods
US7356824B2 (en) Shared services platform
EP3916658A1 (en) Reducing undetected fraud and increasing efficiency in setting up and supply and payment systems for shared household resources
JP5122715B2 (ja) 決済仲介方法
KR20240030830A (ko) 보증 보험에 기초한 선결제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20230089835A (ko) 물류 및 통관 업무 통합 처리 시스템
CN116894617A (zh) 物流运单批处理方法及其装置、设备、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