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9155A - Apparatus for attaching/detaching an objec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ttaching/detaching an obje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155A
KR20130119155A KR1020120042091A KR20120042091A KR20130119155A KR 20130119155 A KR20130119155 A KR 20130119155A KR 1020120042091 A KR1020120042091 A KR 1020120042091A KR 20120042091 A KR20120042091 A KR 20120042091A KR 20130119155 A KR20130119155 A KR 20130119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rod
external force
medium
perturb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0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유섭
Original Assignee
임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유섭 filed Critical 임유섭
Priority to KR1020120042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9155A/en
Publication of KR20130119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15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1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fastened by removable means, e.g. screws or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for attaching/detaching an object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perform installation work or maintenance work about a structure easily, by enabling the user to attach or detach various usage target objects to or from a fixed housing simply, which is installed in the structure. CONSTITUTION: A fixed housing (100) includes a loading or unloading pocket (120) and a first hanging unit. An attaching/detaching medium is inserted to or separated from the loading or unloading pocket of the fixed housing. The attaching/detaching medium includes a second hanging unit and a hanging release unit releasing the hanging by external force respectively, and a usage target object having a fixed function for usage purpose is combined to one side of the attaching/detaching medium. A fixed electrode part (150)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loading or unloading pocket, and includes a power source electrode connected to a leading-in power source line of the structure.

Description

물체 착탈장치 {Apparatus for attaching/detaching an object}Apparatus for attaching / detaching an object}

본 발명은 물체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지상 일정높이의 다양한 구조물에 사용 목적상 일정 기능을 갖는 다양한 사용대상물을 간편하게 착탈 및 통전시킬 수 있어 설치 및 유지보수작업이 편리하며 다양한 기능을 갖는 사용대상물을 통합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물체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detaching an object, and more particularly, to easily detach and energize a variety of objects having a certain function for use in various structures of a certain height above the ground, which is convenient to install and maintain and have various functio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bject detachment device that enables integrated operation of an object to be used.

일반적으로 지상에 설치되는 구조물들, 예컨대 신호등 구조물, 가로등 구조물, 도로시설물, 그 외 각종 건축물의 내외부 벽면이나 천정 등에는 사용목적상 일정기능을 갖는 사용대상물들, 예컨대, 촬영기능을 갖는 CCTV나 무인단속카메라와 같은 각종 촬영기기, 조명기능을 갖는 가로등, 형광등, 안내표시등, 횡단보도조명등과 같은 각종 등기구, 정보게시기능을 갖는 도로표지판, 현수막, 간판 등과 같은 표지판, 전원공급기능을 갖는 배터리장치 등이 설치되어 운용이 되고 있다.[Background Art] In general, buildings, which are installed on the ground, such as a traffic light structure, a streetlight structure, a road facility, and interior and exterior walls and ceilings of various buildings, Various lighting apparatuses such as a light-emitting device, an intermittent camera, a streetlight having a lighting function, a fluorescent lamp, a guide light, a crosswalk light, a sign such as a road sign, a banner, Etc. are installed and operated.

그런데, 상기한 사용대상물들은 대부분 견고한 고정설치만이 고려되어 브라켓 이나 볼트/너트 등을 활용한 단순 체결방식으로 구조물에 고정 설치가 된 상태에서 운용이 되고 있음과 함께 전기접속이 필요한 사용대상물의 경우에는 구조물에 배치된 전원선과 사용대상물이 단순한 결선작업만을 통해 통전이 되도록 구현되어 있는 실정이다.By the way, most of the above-mentioned objects are considered to be fixed installation only, so that they are operated in a state of being fixedly installed in the structure by a simple fastening method using brackets or bolts / nuts, etc. In this situation, the power wires and the objects to be used in the structure are implemented to be energized only through simple wiring work.

따라서, 구조물에 설치된 상기의 사용대상물들에 대해 청소가 요구되거나 고장으로 인해 수리 또는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등과 같은 유지보수작업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가 고정설치를 위한 체결수단들을 별도의 장비를 가지고 일일이 해체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함과 함께 전원을 사용하는 사용대상물의 경우에는 결선 해체작업도 일일이 수행해야만 하며, 더구나 유지보수 후에는 재차 체결시키고 전선들을 결선하는 작업을 다시 수행해야만 하므로 이러한 유지보수작업이 번거로움과 함께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Therefore, when maintenance work is required, such as when cleaning or replacement is required due to a failure of the above-mentioned objects installed in the structure, the worker has to separately install the fastening means for the fixed installation with separate equipment. In addition to the dismantling work, in the case of the object using the power, the dismantling of the wires must be carried out one by one. Furthermore, after maintenance, the maintenance work must be performed again and the wires must be reconnected. Along with the hassle,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 spent a lot of time and money.

또한, 단일 구조물에 기능확장을 위하여 여러가지 기능을 갖는 사용대상물들이 복합적으로 설치되어 운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사용대상물들이 각각의 체결수단들을 통해 독립적으로 구조물에 설치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치공간의 부족으로 인해 기능확장에 한계가 있을 수 있음과 함께 다양한 기능을 갖는 사용대상물들을 통합 운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게 된다.In addition, it may be necessary to use a combination of objects having a variety of functions in order to expand the function in a single structure, in this case, because the objects should be installed on the structure independently through the respective fastening means Due to the lack of installation space, there may be a limitation in the expansion of functions, and it is difficult to integrate and operate the objects having various functions.

예컨대, 신호등 구조물에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등 이외에 추가적으로 신호위반을 단속하기 위한 무인단속카메라, 주차위반을 단속하기 위한 주차단속카메라, 교통량 파악을 위한 교통량검출기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갖는 사용대상물들이 함께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는 추세인데, 이러한 사용대상물들이 각각 별개의 브라켓을 통해 신호등 구조물의 수평지지대나 지주 등에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있기 때문에 신호등 구조물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이 부족하여 단일 신호등 구조물에 모두 설치되지 못하고 별도의 추가 구조물에 나누어져 설치됨으로써 단일 구조물로의 통합운영이 어려움과 함께 설치비용 및 운용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in addition to traffic lights that perform their functions, traffic light structures have various objects such as unmanned enforcement cameras for cracking down on traffic violations, parking enforcement cameras for cracking down on parking violations, traffic detectors for traffic volume detection, etc. It is a trend that is installed and operated, because these objects are installed independently of the horizontal supports or props of the traffic light structure through separate brackets, not only the traffic light structure is complicated, but also the installation space is insufficient to install them all on a single traffic light structure. It is difficult to integrate and operate as a single structure by being divided and installed in a separate additional structur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cost and operation cost increase.

또한, 상기 신호등 구조물을 계속 예로 든다면, 정전 등과 같은 불측의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신호등과 설치된 사용대상물들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는데, 이러한 정전상황 등에 빠르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if the traffic light structure continues to be taken as an example, when an unforeseen situation such as a power outage occurs, the traffic light and the installed objects are not able to perform their functions.

아울러서, 상기 구조물에 설치 운용되는 사용대상물들은 대부분 지상의 작업자가 직접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정도의 높이에 위치되는게 일반적인 바, 사용대상물의 설치 및 유지보수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작업사다리나 고소작업차량 등을 이용할 수 밖에 없으며, 그에 따라 작업사다리나 고소작업차량 등 별도 장비를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 설치작업 또는 유지보수작업 중 작업자가 아래로 추락할 수 있는 위험성이 크게 되며, 특히 도로에 세워진 신호등 구조물이나 가로등 구조물의 경우 작업 중 교통정체를 야기하는 점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most of the objects to be installed and operated on the structure are generally located at a height where the ground workers cannot directly perform the work, and in order to perform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 of the objects to be used separately, the ladder or the sue There is no choice but to use a work vehicle, and thu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repare separate equipment, such as a work ladder or a high-altitude work vehicle, increases the risk of a worker falling down during installation or maintenance work. In the case of erected traffic light structures or street light structures, various problems such as traffic congestion may occur during work.

이와 같이 종래 구조물에 사용대상물을 설치하여 운용하는 방식은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는 바, 사용대상물의 설치 및 유지보수작업이 보다 간편하면서 단인구조물에서 여러가지 기능을 갖는 사용대상물들을 통합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할 것이다.As such, the method of installing and using an object to be used in a conventional structure generates many problems, which makes it easier to install and maintain an object to be used and to operate the object to have various functions in a single structure. Development of the device is urgently requir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목적상 일정기능을 갖는 사용대상물을 구조물에 고정 설치된 고정하우징에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착탈에 따라 자동으로 통전 및 통전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대상물의 설치 및 유지보수작업이 편리하고, 다양한 사용대상물을 단일구조물에서 통합 운영할 수 있으며, 정전 등과 같은 불측의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물체 착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remove the object to be used in a fixed housing fixedly installed on the structure with a certain function for the purpose of use and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removable It is convenient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 of the objects to be used, and the various objects can be integrated and operated in a single structure, and the object detachment device can proactively cope with unforeseen situations such as power failure.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사다리 등과 같은 별도의 장비없이 작업자가 지상에서 직접 사용대상물을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설치 및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물체 착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bject detachment device that allows the operator to quickly and safely install and maintain the object directly on the ground without any additional equipment, such as a work ladd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As a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지상 일정높이의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탈포켓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삽탈포켓의 내부에는 제1걸림수단이 마련되는 고정하우징과, 상기 고정하우징의 삽탈포켓에 삽탈이 됨과 함께, 상기 제1걸림수단과 선택적으로 걸림을 수행하는 제2걸림수단과, 외력에 의해 상기 걸림을 해제시키는 걸림해제수단이 각각 마련되며, 일측에는 사용목적상 일정기능을 갖는 사용대상물이 결합되는 착탈매개체를 포함하는 물체 착탈장치가 개시된다.The fixed housing is fixed to the structure of a certain height above the ground, at least one insertion pocket is formed and the inside of the insertion pocket fixed housing is provided with a first locking means, and the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insertion housing of the fixed housing, The first locking means and the second locking means for selectively performing the locking, and the locking release means for releasing the locking by the external force is provided, respectively, one side includes a removable medium coupled to the object having a certain function for use purposes An object detachment apparatus is disclosed.

여기서, 상기 삽탈포켓의 상부에는 고정전극부가 설치되되, 상기 고정전극부는 상기 구조물의 인입전원선에 연결된 전원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매개체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된 사용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삽탈시에 상기 전원전극과 선택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는 접속전극부가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fixed electrode por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cket, the fixed electrode portion includes a power electrode connected to the incoming power line of the structure, the upper and upper portions of the detachable medium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bined use object when inserting and removing A connection electrode part may be provided at the connection electrode to selectively connect with the power electrode.

또한, 상기 고정전극부의 상부에는 승강 가능하게 섭동전극부가 설치되되, 상기 섭동전극부는 상기 구조물의 제어신호선에 연결되는 섭동신호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전극부는 상기 섭동전극부의 승강에 따라 섭동신호전극과 선택적으로 접속이 되는 상부신호전극과 상기 착탈매개체의 삽탈에 따라 접속전극부와 선택적으로 접속이 되는 하부신호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erturbation electrode part is installed above the fixed electrode part so as to be lifted, the perturbation electrode part includes a perturbation signal electrode connected to the control signal line of the structure, and the fixed electrode part is a perturbation signal electrode as the perturbation electrode part is elevated. And an upper signal electrod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lower signal electrode and a lower signal electrod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electrode part according to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detachable medium.

또한, 상기 인입전원선에는 정전 유무에 따라 전원공급경로를 스위칭하는 릴레이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coming power line may be provided with a relay for switching the power supply path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power failure.

또한, 상기 섭동전극부는 상기 착탈매개체의 삽입시 선택적으로 상향 가압되면서 섭동신호전극을 상승시키는 전극가이드와, 가압 해제시 섭동신호전극에 하향 복원력을 제공하는 전극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erturbation electrode part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de guide for raising the perturbation signal electrode while being selectively pressurized upon insertion of the detachable medium, and an electrode spring for providing downward restoring force to the perturbation signal electrode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또한, 상기 착탈매개체의 상단에는 삽입시에 상기 전극가이드가 삽입되면서 가압이 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groove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detachable medium so as not to be pressurized while the electrode guide is inserted.

또한, 상기 제1걸림수단은 하단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삽탈포켓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쐐기와, 상기 걸림쐐기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쐐기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걸림수단은 상기 착탈매개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쐐기가 전진되면서 끼워질 수 있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catching means may include a catching wedg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catching means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on the inserting / removing pocket, and a wedge spring providing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catching wedge, and the second catching means comprises: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removable medium may be made of a locking jaw that can be fitted as the locking wedge advances.

또한, 상기 걸림해제수단은, 상기 착탈매개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승 외력이 가해지는 외력작용판과, 상기 외력작용판에 연결되어 상기 착탈매개체의 측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해진 외력에 의해 상승되면서 상기 걸림쐐기의 하단 경사면을 가압하여 걸림턱에서 후진 이탈시키는 쐐기가압편과, 상기 외력작용판에 하강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king release means,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etachable medium,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is applied to the rising external force, and connected to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is installed to be able to lift on the side of the detachable medium, by the applied external force It may include a wedge pressure piece which is pushed dow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cking wedge and detached from the locking jaw while being raised, and a restoring spring providing a lower restoring force to the external force action plate.

또한, 상기 고정하우징에 대한 착탈매개체의 삽탈작업이 지상에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착탈매개체에 착탈이 됨과 함께 상기 외력작용판에 선택적으로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조작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moval of the removable medium to the fixed housing can be further removed from the attachment to the removable medium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easily carried out on the ground and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ng rod that can be selectively applied to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또한, 상기 착탈매개체의 하부에는 상기 조작봉의 상부가 삽입되는 봉삽입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봉삽입부의 내측에는 삽입된 조작봉을 걸림 지지하는 볼플런저가 구비되고, 상기 외력작용판에는 상기 조작봉이 봉삽입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조작봉에 의해 관통이 되는 봉관통공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봉관통공에는 일방향으로 핀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봉의 상부에는 삽입방향에 따라 상기 핀홈을 통과하거나 걸리면서 선택적으로 외력작용판에 상승 외력을 가하는 작동핀이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작동핀이 핀홈을 통과하여 조작봉이 봉삽입부에 삽입된 경우 상기 볼플런저에 의해 걸림 지지가 되는 제1지지홈과, 작동핀이 외력작용판에 상승 외력을 가하면서 조작봉이 봉삽입부에 삽입된 경우 상기 볼플런저에 의해 걸림 지지가 되는 제2지지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lower portion of the detachable medium is formed with a rod inserting portion into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ng rod is inserted, and a ball plunger for holding and holding the inserted operating rod inside the rod inserting portion, and the operating rod is provided on the external force action plate. A rod through hole is formed through the ro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 portion, and a pin groove is formed in one direction of the rod through hole, and an external force is selectively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d by passing or catching the pin groove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A first supporting groove which is supported by the ball plunger when the actuating pin exerting an upward external force on the plate protrudes in one direction and the actuating pin passes through the pin groove to be inserted into the rod inserting portion; When the operating rod is inserted into the rod inserting portion while applying an upward external force to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the latch support is held by the ball plunger. It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second securing groove.

또한, 상기 작동핀, 제1지지홈, 제2지지홈이 형성된 조작봉의 상부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연체로 이루어진 조작봉의 상단부에는 봉전극부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봉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조작부가 조작봉의 하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n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rod having the operation pin, the first support groove, and the second support groove is formed of an insulator, and an upper end of the operation rod made of the insulator is provided with a rod electrode portio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od electrode portion. A control operation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operating rod.

본 발명에 따르면,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걸림과 걸림해제 작동을 통해 일정기능을 갖는 다양한 사용대상물들을 간편하게 구조물에 설치된 고정하우징에 장착 또는 탈거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에 대한 사용대상물의 설치작업 또는 유지보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Through the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 various objects having a certain function can be easily installed or removed in the fixed housing installed in the structure, so that the installation or maintenance work of the object can be easily performed. have.

또한, 사용대상물의 장착 또는 탈거시에 자동으로 통전 및 통전차단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시마다 번거롭게 결선작업이나 해체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대상물의 설치작업 또는 유지보수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stallation or removal of the object to be used is automatically energized and cut off the electricity, there is no need to cumbersome wiring or dismantling work every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so the installation or maintenance work of the object to be used more easily performed There is an advantage to being able to

또한, 단일의 고정하우징에 복수의 사용대상물을 장착시킬 수 있으므로 여러가지 기능을 갖는 사용대상물들을 단일구조물에서 통합 운영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설치 및 운용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objects can be mounted in a single fixed housing, the objects having various functions can be integrated and operated in a single structure,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installation and operating costs.

또한, 전원입력경로나 제어신호경로를 스위칭할 수 있으므로 정전 등과 같은 불측의 상황이 발생한 경우 전원공급기능을 갖는 사용대상물과 별도 제어기능을 갖는 사용대상물을 적절하게 장착시켜 운용함으로써 신속하게,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wer input path or the control signal path can be switched, in case of an unforeseen situation such as a power failure, it is possible to promptly and actively operate by properly installing and operating the object having the power supply function and the object having the separate control function. There is an advantage to deal with.

또한, 작업사다리나 고소작업차량 등과 같은 별도 장비없이 조작봉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지상에서 사용대상물의 장착 또는 탈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작업을 보다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the operator can install or remove the object on the ground by using the operating rod without additional equipment such as a work ladder or a high-altitude working vehicle, so that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safely. have.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It is to be noted that, in addition to the effect specifically described above, a specific effect that can be easily derived and expected from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ncluded i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고정하우징의 내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3은 상기 고정하우징이 구조물 중 특히 신호등 구조물에 설치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매개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와 도 6은 상기 착탈매개체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7은 상기 착탈매개체에 다양한 사용대상물이 결합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고정하우징과 착탈매개체의 장착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착탈매개체가 고정하우징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 전극부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섭동전극부의 스위칭이 필요한 사용대상물이 결합된 착탈매개체가 장착된 경우의 전극부들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섭동전극부의 스위칭이 필요치 않은 사용대상물이 결합된 착탈매개체가 장착된 경우의 전극부들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는 릴레이가 스위칭된 경우의 전극부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은 복수의 고정하우징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고정하우징이 신호등 구조물에 설치되면서 착탈매개체가 장착된 사용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봉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상기 조작봉을 적용하여 착탈매개체를 고정하우징에 장착 또는 탈거하는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17은 전기접속 기능을 갖는 조작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fixed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side of the fixed housing;
3 is a view illustrating that the fixed housing is installed in the structure of the traffic light structure, in particular,
4 is a view showing a removable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showing different embodiments of the removable medium,
7 is a view illustrating that a variety of use objects are coupled to the removable medium,
8 is a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operation of the fixed housing and the removable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de unit when the removable mediu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mounted to the fixed housing,
10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de unit when the removable medium coupled to the object to be used for switching the perturbation electrode unit is mounted,
11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de portion when the removable medium coupled to the use object which does not need switching of the perturbation electrode portion is mounted,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electrode parts when a relay is switched;
1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fixed housings are electrically connected.
1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fixed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traffic light structure, the removable medium is mounted,
15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mounting or removing the removable medium to the fixed housing by applying the operating rod,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perating rod which has an electrical connection func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체 착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object de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hape, size, spacing of the elements of th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emphasize more clearly described.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may be reduced or exaggerated.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when describing an embodiment,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exist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as a matter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s known functions or known configurations, the details of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지상 일정높이의 다양한 구조물에 사용 목적상 일정 기능을 갖는 다양한 사용대상물을 간편하게 착탈시켜 통합 또는 교체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물체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므로,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bject detachment apparatus for easily detaching or integrating and using a variety of objects having a certain function for the purpose of use in a variety of structures of a certain height above the ground, the first specific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description, it is necessary to summariz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구조물”이라는 것은 특별한 구조를 갖는 시설물을 특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신호등 구조물, 가로등 구조물, 도로시설물, 일반 건축물의 내외벽 구조물이나 천정구조물 등과 같이 지상 위에 일정높이로 세워지는 시설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irst, as used herein, the term "structure" does not specify a facility having a special structure, for example, a certain height on the ground such as a traffic light structure, a street lamp structure, a road facility, an inner and outer wall structure or a ceiling structure of a general building, and the like. It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he facilities to be built.

또한, “사용대상물”이란 사용 목적상 일정 기능을 갖는 기기, 기구, 장치 등의 물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촬영기능을 갖는 CCTV나 단속카메라, 조명기능을 갖는 각종 등기구, 무선 제어기능을 갖는 무선제어기, 전원공급기능을 갖는 배터리장치, 안내게시기능을 갖는 각종 표지판, 현수막 등과 같이 지상 일정높이의 구조물에 설치되어 운용이 되는 다양한 물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object to be used" means an object such as a device, a device, a device having a certain function for the purpose of use, such as CCTV having a shooting function, intermittent cameras, various luminaires having a lighting function, wireless with a wireless control func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objects installed and operated in a structure having a certain height above the ground, such as a controller, a battery device having a power supply function, various signs having a notice posting function, a banner, and the lik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체 착탈장치는 구조물 및 사용대상물의 제한없이 다양하게 적용이 될 수 있는 것이지만, 이하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 및 구성의 이해를 높이고자, 특히 본 발명이 신호등 구조물에 적용되는 것을 주된 일 예로 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detach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applied without limiting the structure and the object to be used, but in describing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order to enhance understanding of convenience an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a main example applied to the traffic light structure.

도 1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 착탈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 착탈장치는 고정하우징(100)과, 착탈매개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o 17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object de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object de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housing. 100 and the removable medium 200 may be configured to be included.

먼저, 상기 고정하우징(100)은 지상 일정높이의 구조물(10)에 고정 설치가 되는 하우징본체(110)를 포함한다.First, the fixed housing 100 includes a housing body 110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tructure 10 of the ground height.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구조물 설치를 위해 하우징본체(110)의 외측에는 본체고정수단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본체고정수단은 설치대상 구조물이 건물 벽면이나 천정인지, 신호등이나 가로등의 지주 또는 지지대인지 등과 같이 설치대상 구조물의 종류와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다.The body fixing means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body 110 to install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body 110, the body fixing means is the structure or the target of the building wall or ceiling, the prop or support of the traffic light or street lamp It may be variously adopted depending on the type and structure of the structure to be installed, such as recognition.

이러한 하우징본체(1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탈포켓(120)이 형성된다.At least one insertion pocket 120 is formed in the housing body 110.

상기 삽탈포켓(120)은 후술할 착탈매개체(200)가 삽입 또는 이탈되는 요소로서, 이를 위해 내부에 공간을 가지면서 하부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The inserting pocket 120 is an element into which the detachable medium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or detached. The inserting pocket 120 has a space therein and has a lower open structure.

도 3에는 상기 고정하우징(100)이 다양한 구조물들 중에서 특히 신호등 구조물(10)에 고정 설치된 것이 일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ixed housing 100 is fixedly installed in the traffic light structure 10 among various structures.

다음으로, 상기 착탈매개체(200)는 상기 고정하우징(100)과는 분리된 요소로서, 상기 고정하우징(100)의 삽탈포켓(120)으로 삽입되거나 삽탈포켓(120)으로부터 이탈되는 몸체부(210)를 포함한다.Next, the removable medium 200 is a separate element from the fixed housing 100, the body portion 210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insertion and removal pocket 120 of the fixed housing 100. ).

그리고 상기 착탈매개체(200)에는 사용목적상 일정기능을 갖는 다양한 사용대상물(20)이 결합되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몸체부(210)의 일측에는 대상물결합부(220)가 마련된다. 이러한 대상물결합부(220)에는 사용대상물(20)을 체결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221)이 형성될 수 있다.And the removable medium 200 is coupled to the various use objects 20 having a predetermined function for the purpose of use, for this purpose, the object coupling portion 22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210.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21 for fastening and coupling the object to be used 20 may be formed in the object coupling part 220.

도 7에는 다양한 사용대상물(20) 중에서 각각 촬영기능을 갖는 CCTV, 전원공급기능을 갖는 배터리장치, 조명기능을 갖는 등기구가 상기 착탈매개체(200)에 결합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7 illustrates that a CCTV having a photographing function, a battery device having a power supply function, and a luminaire having a lighting function are coupled to the detachable medium 200 among various objects 20.

상기와 같이 고정하우징(100)은 구조물에 고정 설치가 되고, 착탈매개체(200)는 사용대상물(20)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하우징(100)의 삽탈포켓(120)에 삽입 또는 이탈이 되는 바, 삽탈에 따라 착탈매개체(200)를 고정하우징(100)에 장착시키고 탈거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xed housing 100 is fixedly installed in the structure, and the removable medium 200 is inserted into or detached from the inserting / removing pocket 120 of the fixed housing 100 in a state of being coupled with the use object 20. As a result of the removal, a means for mounting and removing the detachable medium 200 to the fixed housing 100 is required.

이에 따라, 상기 고정하우징(100)의 삽탈포켓(120) 내측에는 제1걸림수단이 마련되고, 착탈매개체(200)의 몸체부(210)에는 제2걸림수단과 걸림해제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ly, a first catching means may be provided inside the inserting / removing pocket 120 of the fixed housing 100, and a second catching means and a release releasing means may be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210 of the detachable medium 200. .

상기 제1걸림수단과 제2걸림수단은 상호간 걸림작용을 통하여 삽탈포켓(120)에 삽입된 착탈매개체(200)의 몸체부(210)가 하우징본체(110)에 장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걸림해제수단은 제1걸림수단과 제2걸림수단의 걸림을 해제시켜 장착된 상기 몸체부(210)가 탈거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first catching means and the second catching means perform a function of allowing the body portion 210 of the detachable medium 200 inserted into the inserting and detaching pocket 120 to be mounted on the housing body 110 through the interlocking action. The locking release means is to release the first locking means and the second locking means to perform the function to remove the mounted body portion 210.

상기 제1걸림수단과 제2걸림수단은 전술한 것처럼 상호간 걸림을 수행하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제1걸림수단은 상기 삽탈포켓(120)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쐐기(130)와, 상기 걸림쐐기(13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쐐기스프링(1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catching means and the second catching means perform the mutual locking as described above. For this purpose, the first catching means is provided with a catching wedge 130 which is install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on the inserting pocket 120, and the It may be made of a wedge spring 140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locking wedge 130.

여기서, 상기 걸림쐐기(130)의 하단에는 경사면(131)이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면(131)을 통하여 걸림쐐기(130)는 착탈매개체(200)의 몸체부(210)가 삽탈포켓(120)으로 삽입될 때 상기 몸체부(210)에 의해 눌리면서 후진 가압력을 제공받게 된다.Here, the inclined surface 13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wedge 130, the locking wedge 130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131 is the body portion 210 of the removable medium 200 to the insertion pocket 120. When inserted, it is pressed by the body portion 210 to receive a reverse pressing force.

그리고 상기 제2걸림수단은 상기 몸체부(2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쐐기(130)가 전진되면서 끼워질 수 있는 걸림턱(2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nd the second locking means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210 may be made of a locking jaw 230 that can be fitted as the locking wedge 130 is advanced.

이러한 구성의 제1걸림수단과 제2걸림수단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착탈매개체(200)가 삽입되지 않은 일반상태에서는 걸림쐐기(130)가 쐐기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되어 삽탈포켓(120)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first catching means and the second catching means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In the normal state in which the detachable medium 200 is not inserted, the catching wedge 130 is advanc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wedge spring 140. The protruding stat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cket 120 is maintained.

그리고, 착탈매개체(20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먼저 걸림쐐기(130)의 경사면(131)이 착탈매개체(200)의 몸체부(210)에 의해 눌림 가압이 되면서 후진이 되었다가 착탈매개체(200)의 걸림턱(230)이 걸림쐐기(130)의 위치에 도달하면 다시 쐐기스프링(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걸림쐐기(130)가 전진되면서 걸림턱(230)에 끼워지는 걸림작용을 수행하여 착탈매개체(200)를 하우징본체(110)에 장착하도록 작동하게 된다.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detachable medium 200, the inclined surface 131 of the locking wedge 130 is pressed by the body portion 210 of the detachable medium 200, and then retracted. When the locking jaw 230 reaches the position of the locking wedge 130, the locking wedge 130 is moved forwar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wedge spring 140 to perform a locking action to be fitted to the locking jaw 230. The detachable medium 200 is operated to be mounted on the housing body 110.

상기의 제1걸림수단과 제2걸림수단은 착탈매개체(200)의 견고한 장착이 가능하도록 도시된 것처럼 삽탈포켓(120)의 내측면 좌우 양쪽과 몸체부(210)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first catching means and the second catching means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pai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side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portion 210 of the insertion and removal pocket 120, as shown to enable a solid mounting of the removable medium 200. It would be desirable to be prepared.

또한, 상기에서 제1걸림수단과 제2걸림수단을 반대로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즉, 제1걸림수단으로 걸림턱을 형성하고 제2걸림수단으로 걸림쐐기와 쐐기스프링을 구성하여도 동일한 방식으로 걸림작용이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first catching means and the second catching means in reverse.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locking action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even when the locking jaw is formed as the first locking means and the locking wedge and the wedge spring are configured as the second locking means.

그리고 상기 걸림해제수단은 전술한 것처럼 외력에 의해서 제1걸림수단과 제2걸림수단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요소로서, 이러한 걸림해제수단은 외력작용판(240)과, 쐐기가압편(250)과, 복원스프링(2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locking release means is an element for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first locking means and the second locking means by an external force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release means includes an external force acting plate 240 and a wedge pressure piece 250.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estoring spring 260.

상기 외력작용판(240)은 착탈매개체(200)의 몸체부(210) 하부에 구비가 되고, 이러한 외력작용판(240)에는 상승 외력이 가해지게 되며, 상승 외력이 가해지면 외력작용판(240)은 상승을 하게 된다.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240 is provided under the body portion 210 of the detachable medium 200,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240 is applied to the external force,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240 is applied to the external force ) Rises.

상기 쐐기가압편(250)은 상기 외력작용판(240)에 연결되면서 상기 몸체부(210)의 측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가 되며, 이를 위해 몸체부(210)의 측면에 승강 가능하게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쐐기가압편(250)에는 일정길이의 수직장공(251)이 형성된다.The wedge pressing piece 250 is installed to be elevated on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21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240, for this purpose is to be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210 to be elevated The vertical wedge 251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in the wedge pressing piece 250 to be able to.

상기 복원스프링(260)은 외력작용판(240)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쐐기가압편(250)과 외력작용판(240)이 원위치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외력작용판(240)의 상부에서 하강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The restoring spring 260 is lower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240 so that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240 is removed, the wedge pressure member 250 and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240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Provide resilience.

이러한 구성의 걸림해제수단은 외력작용판(240)에 상승 외력이 가해지면 외력작용판(240)이 상승 작동이 되면서 쐐기가압편(250)이 몸체부(210)의 측면에서 동반 상승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승하는 쐐기가압편(250)이 걸림턱(230)에 끼워진 상태인 걸림쐐기(130)의 경사면(131)을 가압함으로써 걸림쐐기(130)를 걸림턱(230)에서 후진 이탈시켜 걸림을 해제시키게 되며,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스프링(260)에 의해 쐐기가압편(250)과 외력작용판(240)이 원위치로 하강 복원이 되도록 작동하게 된다.The release means of this configuration is that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240,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240 is a rising operation, the wedge pressure piece 250 is accompanied by the rise in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210 By pressing the inclined surface 131 of the locking wedge 130 in which the rising wedge pressure piece 250 is fitted to the locking jaw 230, the locking wedge 130 is detached from the locking jaw 230 by the backward movement and is locked. When the external force has been removed, the wedge is pressed by the restoring spring 260 and the external force actuating plate 240 is operated to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여기서, 전술한 것처럼 제1걸림수단과 제2걸림수단이 좌우 한쌍으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이에 대응하여 상기 걸림해제수단의 쐐기가압편(250)도 외력작용판(240)의 양단에 연결되면서 몸체부(210)의 좌우 양측면에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Her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atching means and the second catching means may be provided in a pair of left and right bars, and correspondingly, the wedge pieces 250 of the release means are also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external force plate 240. It may be installed in pairs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portion (210).

그리고, 이렇게 쐐기가압편(250)이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외력작용판(240)은 한 쌍의 쐐기가압편(250)에 양단이 함께 연결되어 외력 작용시 한 쌍의 쐐기가압편(250)이 일체로 작동되도록 단일판재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쐐기가압편(250)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외력 작용시 한 쌍의 쐐기가압편(250)이 독립적으로 작동되도록 좌우 분리판재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And, when the wedge pressing pieces 250 are installed in a pair of left and right,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240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air of wedge pressing pieces 250 together when a pair of wedge pressure Piece 250 may be composed of a single plate to be integrally operated, as shown in Figure 6, a pair of wedges are independently connected to each of the pressing pieces 250, a pair of wedge pressing pieces 250 when an external force ac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sist of the left and right separation plates to operate independently.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사용대상물(20)과 결합된 착탈매개체(200)는 구조물(10)에 설치된 고정하우징(100)에 간편하게 장착 또는 탈거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렇게 착탈매개체(200)에 의해 착탈이 이루어지는 사용대상물(20)은 그 기능상 고정하우징(100)과 전기적 접속을 이루어야만 운용될 수 있는 경우가 있는 바,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고정하우징(100)과 착탈매개체(200)에 전기적 접속을 위한 구성부분이 요구될 수 있다.Detachable medium 200 coupled to the object to be used 20 through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to be easily mounted or removed to the fixed housing 100 installed on the structure 10, so detachable by the removable medium 200 The object to be used 20 may be operated only by making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fixed housing 100 in terms of its function. In some embodiments, the object 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xed housing 100 and the detachable medium 200. Components may be required.

이에 따라, 상기 고정하우징(100)의 삽탈포켓(120) 상부에는 고정전극부(150)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착탈매개체(200)의 몸체부(210) 상부에는 접속전극부(270)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xed electrode unit 150 may be installed on the inserting / removing pocket 120 of the fixed housing 100, and the connection electrode unit 270 may be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210 of the detachable medium 200. It may be provided.

상기 고정전극부(150)에는 구조물로부터 인입된 인입전원선(11)에 연결되는 전원전극(151)이 마련된다.The fixed electrode unit 150 is provided with a power electrode 151 connected to the incoming power line 11 drawn from the structure.

상기 접속전극부(270)는 몸체부(210)의 일측에 결합된 사용대상물(20)과 전기적으로 연결이 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전극부(270)와 사용대상물(20)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들이 몸체부(210)로부터 돌출되어 몸체부(210)의 삽탈포켓(120) 삽탈시 간섭되지 않도록 몸체부(210)에는 배선경유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electrode part 27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bject to be used 20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part 210. Here, the wires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electrode 270 and the object 20 to be protruded from the body portion 210 to prevent interference when the insertion and removal pocket 120 of the body portion 210 is removed. The wire via groove 211 may be formed in the 210.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접속전극부(270)는 착탈매개체(200)의 착탈에 따라 상기 전원전극(151)과 선택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By such a configuration, the connection electrode unit 270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power electrode 151 according to the detachment of the detachable medium 200.

즉, 착탈매개체(200)가 삽탈포켓(120)에 장착되면 접속전극부(270)는 전원전극(151)과 접속되고 탈거되면 접속이 차단되며, 그에 따라 예컨대, 전원공급에 의해 촬영작동이 되는 CCTV나 조명작동이 되는 등기구, 전원공급을 받아 충전이 되는 배터리장치 등과 같은 사용대상물은 고정하우징(100)의 장착에 따라 고정전극부(150)와 접속전극부(270)가 접속됨으로써 인입전원선(11)으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촬영기능이나 조명기능, 충전기능 등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detachable medium 200 is mounted on the inserting / removing pocket 120, the connecting electrode part 270 is connected to the power electrode 151 and disconnected when the detaching medium 200 is removed. The object to be used, such as a CCTV, a luminaire that operates lighting, and a battery device that is charged by being supplied with power, is connected to the fixed electrode unit 150 and the connecting electrode unit 270 according to the mounting of the fixed housing 100. Power is applied from (11) to smoothly perform the shooting function, lighting function, charging function and the like.

또한, 상기와 같이 착탈되는 사용대상물(20)에 전원공급만을 수행하는 단순작동 외에, 구조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구조물 자체에 제어대상물과 그러한 제어대상물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선(12)이 별도로 설치된 경우도 있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simple operation of only supplying power to the detachable object 20 as described abov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structure, the control object and the control signal line 12 for controlling such a control object are separately installed. There is also.

예컨대,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신호등 구조물(10)의 경우를 예로 살펴보면, 구조물에 제어대상물인 신호등(13)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어대상물인 신호등(13)의 점멸 제어를 위해 인입전원선(11)과는 별도로 교통신호제어기로부터 제어신호선(12)이 인입되고 있는 바, 이러한 제어신호선(12)의 이상유무에 따라 신호입력경로의 스위칭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고정하우징(100)에는 섭동전극부(160)가 더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9 to FIG. 13, in the case of the traffic light structure 10 as an example, the traffic light 13 that is a control object is installed in the structure, and the blinking control of the traffic light 13 that is the control object is performed. The control signal line 12 is introduced from the traffic signal controller separately from the incoming power line 11 for the purpose of switching the signal input path according to the abnormality of the control signal line 12. The perturbation electrode unit 160 may be further installed at 100.

상기 섭동전극부(160)는 상기 고정전극부(150)의 상부에 추가로 설치가 되는데, 고정이 아니라 승강이 가능하도록 설치가 된다.The perturbation electrode unit 160 is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ixed electrode unit 150, but is installed to enable lifting rather than fixing.

이러한 섭동전극부(160)에는 구조물(10)로 인입되는 제어신호선(12)과 연결이 되는 섭동신호전극(161)이 마련된다.The perturbation electrode unit 160 is provided with a perturbation signal electrode 161 connected to the control signal line 12 introduced into the structure 10.

그리고 이렇게 섭동전극부(160)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고정전극부(150)에는 상기 전원전극(151) 이외에 고정전극인 상부신호전극(152)과 하부신호전극(153)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When the perturbation electrode unit 160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fixed electrode unit 150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signal electrode 152 and a lower signal electrode 153 which are fixed electrodes in addition to the power electrode 151. have.

상기 상부신호전극(152)은 상기 섭동전극부(160)의 승강에 따라 상기 섭동신호전극(161)과 선택적으로 접속이 되는데, 즉 섭동전극부(160)가 하강된 평상 상태일 때는 섭동신호전극(161)과 접속이 되고 상승이 되면 분리가 되면서 섭동신호전극(161)과 접속이 차단되게 된다.The upper signal electrode 152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perturbation signal electrode 161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perturbation electrode unit 160, that is, the perturbation signal electrode when the perturbation electrode unit 160 is in the lowered state. When the connection is made with 161 and rises, it is separated and the connection with the perturbation signal electrode 161 is blocked.

또한, 상기 하부신호전극(153)은 착탈매개체(200)의 착탈에 따라 상기 접속전극부(270)와 선택적으로 접속이 되는데, 즉, 착탈매개체(200)가 장착되면 접속전극부(270)와 접속이 되고 탈거가 되면 분리가 되면서 접속전극부(270)와 접속이 차단되게 된다.In addition, the lower signal electrode 153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lectrode part 270 according to the detachment of the detachable medium 200. That is, when the detachable medium 200 is mounted, the lower signal electrode 153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lectrode part 270. When the connection is removed and removed, the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electrode part 270 is blocked.

상기의 섭동전극부(160)는 착탈매개체(200)의 착탈에 따라 승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섭동전극부(160)에는 상기 착탈매개체(200)의 삽입시 선택적으로 상향 가압이 되면서 섭동신호전극(161)을 상승시키는 전극가이드(162)와, 착탈매개체(200)의 탈거에 따른 가압 해제시 섭동신호전극(161)에 하향 복원력을 제공하는 전극스프링(163)이 마련된다.The perturbation electrode unit 160 is elevated according to the detachment of the detachable medium 200. For this purpose, the perturbation electrode unit 160 is selectively upwardly pressurized when the detachable medium 200 is inserted into the perturbation signal. An electrode guide 162 that raises the electrode 161 and an electrode spring 163 that provides downward restoring force to the perturbation signal electrode 161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due to the detachment of the detachable medium 200 are provided.

상기 전극가이드(162)는 착탈매개체(200)의 삽입시 상향 가압이 되도록 섭동신호전극(161)의 양쪽에서 상기 고정전극부(150)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다.The electrode guide 162 extends so as to protrude downward through the fixed electrode unit 150 at both sides of the perturbation signal electrode 161 so as to be upwardly pressurized when the removable medium 200 is inserted.

이러한 구성에 의해, 착탈매개체(200)가 장착되지 않은 평상시 상태에서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섭동전극부(160)가 전극스프링(163)에 의해 하강되어 섭동신호전극(161)과 고정전극부(150)의 상부신호전극(152)이 서로 접속됨으로써 제어신호선(12)을 따라 교통신호제어기로부터의 제어신호가 구조물의 제어대상물(예컨대 신호등(13))로 정상 입력이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in the normal state in which the detachable medium 200 is not mounted, the perturbation electrode unit 160 is lowered by the electrode spring 163 as shown in FIG. 9, so that the perturbation signal electrode 161 and the fixed electrode unit ( The upper signal electrodes 152 of the 1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ontrol signal from the traffic signal controller along the control signal line 12 is normally input to the control object (for example, the traffic light 13) of the structure.

이러한 정상상태에서, 예컨대 교통신호제어기의 고장이나 정전 등과 같은 사고에 의해서 제어신호선(12)을 통한 제어신호의 입력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별도로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갖는 사용대상물(20, 예컨대, 무선 점멸제어기)이 결합된 착탈매개체(200)를 삽탈포켓(120)에 장착시켜 준다.In this steady state, for example,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input of the control signal through the control signal line 12 due to an accident such as a failure or a power failure of the traffic signal controller, an object to be used 20 having a function of separately inputting a control signal (for example, , The radio flashing controller) is attached to the removable medium 200 is mounted on the insertion pocket 120.

그러면,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전극가이드(162)가 착탈매개체(200)에 가압 상승되면서 섭동신호전극(161)이 상부신호전극(152)과 접속이 차단됨과 동시에 하부신호전극(153)이 착탈매개체(200)의 접속전극부(270)와 접속이 되면서 제어신호의 입력경로가 교통신호제어기로부터 사용대상물(무선제어기)로 스위칭이 되므로, 사용대상물(무선제어기)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통해 제어대상물(13, 신호등)의 제어를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n, as shown in FIG. 10, as the electrode guide 162 is pushed up on the detachable medium 200, the perturbation signal electrode 161 is disconnected from the upper signal electrode 152,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signal electrode 153 is detached. Since the input path of the control signal is switched from the traffic signal controller to the object to be used (wireless controller)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lectrode unit 270 of the medium 200, the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object to be used (wireless controller).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control the object 13 (traffic light).

다만, 상기와 같은 제어신호의 입력경로 스위칭과는 관계없는 사용대상물(예컨대, 신호단속카메라, 횡단보도 조명장치 등)의 경우에는 상기 섭동전극부(160)를 스위칭시키지 않고 정상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제어대상물(신호등)과 함께 입력받을 필요가 있으므로, 이러한 사용대상물을 위한 착탈매개체(200)의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그 상단부에 상기 전극가이드(162)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홈(271)이 형성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target object (eg, a signal camera, a pedestrian crossing lighting device, etc.) irrelevant to the switching of the input path of the control signal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signal normally input without switching the perturbation electrode unit 160 may be used. Since it needs to be input together with a control object (traffic light), in the case of a removable medium 200 for such an object to be used, the guide groove 271 into which the electrode guide 162 can be inserted at its upper end as shown in FIG. ) May be formed.

이렇게 상기 착탈매개체(200)에 가이드홈(271)이 형성되면, 착탈매개체(200)가 장착되더라도 전극가이드(162)가 가이드홈(271)에 삽입이 되면서 전극가이드(162)가 가압이 되지 않게 된다.When the guide groove 271 is formed in the detachable medium 200, the electrode guide 162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71 so that the electrode guide 162 is not pressurized even when the detachable medium 200 is mounted. do.

이에,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섭동신호전극(161)은 그대로 원래의 위치에서 상부신호전극(152)과 접속을 유지함과 함께 하부신호전극(153)도 착탈매개체(200)의 접속전극부(270)와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1, the perturbation signal electrode 161 maintains the connection with the upper signal electrode 152 at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connection electrode portion 270 of the detachable medium 200 is also connected to the lower signal electrode 153. ) Is established.

따라서, 제어신호선(12)을 따라 교통신호제어기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예컨대, 신호등 점멸신호)는 제어대상물(13, 신호등)과 삽탈포켓(120)에 장착된 사용대상물(20, 신호단속카메라 등)에 함께 입력이 되면서 제어대상물(13)과 사용대상물(20)이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동기화하여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control signal (for example, a traffic light blinking signal) input from the traffic signal controller along the control signal line 12 is used as the control object 13 (signal light) and the use object 20 mounted on the insertion / removing pocket 120 (signal control camera, etc.). The control object 13 and the use object 20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input control signal while being inputted together to the operation.

또한, 정전에 의해 상기 인입전원선(11)으로 전원공급이 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인입전원선(11)에는 정전 유무에 따라 전원공급경로를 스위칭하는 릴레이(170)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relay 170 may be installed in the inlet power line 11 to switch the power supply path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ower failure in case the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inlet power line 11 due to a power failure.

이렇게 릴레이(170)가 인입전원선(11)에 설치된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릴레이(170)의 후단에 2개 이상의 삽탈포켓(120) 위에 복수로 구비된 전원전극(151)이 병렬로 배선이 될 수 있다.When the relay 170 is installed in the incoming power line 11 as shown in FIG. 12, a plurality of power electrodes 151 provided on the two or more insertion pockets 120 at the rear end of the relay 170 are parallel to each other. Can be wired.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정전이 되면 릴레이(170)가 스위칭되면서 전원공급경로를 스위칭하는 바, 일측 삽탈포켓(120)으로는 전원공급기능을 갖는 사용대상물(예컨대, 배터리장치)이 장착되고, 타측 삽탈포켓(120)으로는 전원인가에 의해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또 다른 사용대상물(예컨대, 무선 점멸제어기, CCTV, 단속카메라, 등기구 등)이 장착되면, 스위칭된 전원공급경로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기능을 갖는 사용대상물(배터리장치)로부터 다른 사용대상물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정전시에도 타측 삽탈포켓(120)에 장착된 사용대상물들은 정상적인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2, when the power failure occurs, the relay 170 switches the power supply path while the power supply path is switched, and the inserting pocket 120 has a power supply function (eg, a battery device). ) Is installed, and the other insertion pocket 120 is equipped with another object to be used (eg, wireless flashing controller, CCTV, intermittent camera, luminaire, etc.) to perform other functions by applying power, the switched power supply path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is made from the use object (battery device) having the power supply function to another use object, the use objects mounted on the other insertion pocket 120 during the power failure can smoothly perform a normal function. .

즉, 정전시에는 릴레이(170)의 스위칭을 통해, 인입전원선(11)으로부터의 전원공급경로가 일측 삽탈포켓(120)에 장착된 사용대상물(배터리장치)로부터 타측 삽탈포켓(120)에 장착된 사용대상물(예컨대, 무선제어기)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변경이 되는 것이다.That is, at the time of power failure, the power supply path from the incoming power line 11 is mounted on the other insertion pocket 120 from the object to be used (battery device) mounted on the one insertion pocket 120 by switching the relay 170. The power is applied to the used object (eg, a radio controller).

그리고, 이러한 전원공급경로의 스위칭을 위해서는 전술한 것처럼 하나의 고정하우징(100)에 형성된 복수의 삽탈포켓(120) 사이에서도 구현 가능함과 함께,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고정하우징(100) 사이에서도 상호 전원공급선을 병렬 배선함으로써 구현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ing of the power supply path may be implemented between a plurality of inserting pockets 120 formed in one fixed housing 100 as described above, and as shown in FIG. 13, between the plurality of fixed housings 100. It can be understood that even in parallel with each other can be implemented by wiring the power supply line.

또한, 사용대상물에 따라서는 네트워크 기능이 필요할 수도 있으므로, 이를 위해 상기 삽탈포켓(120)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전극부(150)와는 별도로 구조물로부터 인입된 인테넷선에 연결되는 네트워크접속부(180)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착탈매개체(200)의 상단부에도 상기 접속전극부(270)와는 별도로 착탈매개체(200)의 장착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접속부(180)에 선택적으로 접속이 되는 네트워크단자(280)가 더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network function may be required depending on the object to be used, a network connection unit 180 connected to the internet wire, which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wire, which is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is separated from the fixed electrode unit 150. In response, a network terminal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network connection unit 180 according to the attachment of the detachable medium 200 to the upper end of the detachable medium 200 separately from the connection electrode part 270. 280 may be further provided.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전기접속의 구성을 위한 인입전원선(11)이나 제어신호선(12) 등을 작업자가 하우징본체(110) 내부로 용이하게 결선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외측면에는 결선개방구(111)가 관통 형성이 되며, 상기 결선개방구(111)에는 빗물이나 먼지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개방구덮개(112)가 설치될 수 있다.Then, the inlet power line 11 or the control signal line 12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as described above of the housing body 110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perform the wiring work inside the housing body 110 The connection opening opening 11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opening opening 111 may be installed at the connection opening opening 111 to prevent inflow of rainwater or dust.

그리고 상기 개방구덮개(112)에는 상기 인입전원선(11)이나 제어신호선(12)의 경유를 위한 전선경유구(113)가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형성이 되고, 이러한 전선경유구(113) 중 전선이 경유하지 않는 전선경유구(113)에는 밀폐를 위한 밀봉플러그(114)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cover 112 is formed with at least one wire through-hole 113 for passing through the incoming power line 11 or the control signal line 12, and a wire among the wire through-holes 113. The sealing plug 114 for sealing may be coupled to the wire via port 113 which is not via the wire.

한편, 상기한 구성에서 고정하우징(100)은 전술한 것처럼 지상 일정높이의 구조물에 설치 고정이 되는데, 이러한 고정하우징(100)의 설치높이는 구조물(10)이나 사용대상물(2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할 수 밖에 없는 바, 즉, 작업자가 바로 지상에서 착탈매개체(200)의 장착 또는 탈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높이일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신호등이나 가로등 구조물, 건물의 천정 등과 같이 별도로 사다리를 이용하거나 고소작업차량 등을 이용하여 장착 또는 탈거작업을 수행해야만 하는 높이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ixed housing 100 is fixed to the structure of the ground fixed height as described above,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fixed housing 100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structure 10 or the object to be used 20. There is no choice but to bar, that is, the height at which the worker can directly mount or remove the detachable medium 200 from the ground, but most of them use a ladder, such as a traffic light, a street lamp structure, or a ceiling of a building. It may be a height that must be mounted or removed using an aerial vehicle or the like.

상기에서 후자의 경우, 전술한 것처럼 사다리나 고소작업차량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사용대상물(20)이 결합된 착탈매개체(200)를 직접 손으로 잡고 고정하우징(100)의 삽탈포켓(120)에 장착시키거나 걸림해제수단의 외력작용판(240)에 힘을 가해 탈거작업을 수행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In the latter case, by using a ladder or a high-altitude vehicle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or directly holds the detachable medium 200 to which the object 20 is coupled to the inserting and detaching pocket 120 of the fixed housing 100 by hand.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removal operation by applying a force to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240 of the mounting or unlocking means.

하지만, 이러한 경우 사다리나 작업차량 등 별도 장비를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 작업 중 작업자가 추락할 수 있는 위험성, 신호등이나 가로등 구조물의 경우 작업 중 교통정체를 야기하는 점 등과 같이 다양한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착탈매개체(200)의 장착 또는 탈거작업을 사다리나 고소작업차량 등을 이용하지 않고 지상에서 작업자가 직접 수행할 수 있게 할 필요성이 있다.However, in this case, it may cause various problems such as inconvenience of having to prepare separate equipment such as ladder or work vehicle, danger that worker can fall during work, and cause traffic jam during work in case of traffic light or street light structur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allow the worker to directly perform the installation or removal of the detachable medium 200 on the ground without using a ladder or a high-altitude work vehicl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체 착탈장치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고정하우징(100)에 대한 착탈매개체(200)의 장착 또는 탈거작업이 지상에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착탈매개체(200)에 착탈이 됨과 함께 상기 외력작용판(240)에 선택적으로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조작봉(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To this e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object de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5 to 17, the mounting or detachment operation of the detachable medium 200 to the fixed housing 100 is easy on the ground In addition to being detachable to the detachable medium 200 to be carried ou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operating rod 300 that can selectively apply an external force to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240.

상기 조작봉(300)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봉몸체(310)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봉몸체(310)는 작업자의 휴대 및 보관 편의성을 위하여 접철되는 구조를 갖거나 또는 빼고 넣을 수 있는 상이한 외경을 갖는 다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operating rod 300 includes a rod body 310 having a certain length, the rod body 310 has a different outer diameter that can be folded or put in or folded structure for the convenience of carrying and storage of the operator. It may be configured in multiple stages.

이러한 봉몸체(310)의 상부에는 작동핀(320)이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operation pin 320 is protruded in one direc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d body 310.

이러한 작동핀(320)은 착탈매개체(200)의 외력작용판(240)에 상승 외력을 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actuating pin 320 serves to apply a lift external force to the external force working plate 240 of the detachable medium 200.

또한, 상기 봉몸체(310)에는 상기 작동핀(320)의 위쪽에 각각 제1지지홈(330)과 제2지지홈(340)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rod body 310 is formed with a first support groove 330 and a second support groove 340 on the operation pin 320, respectively.

상기 제1지지홈(330)과 제2지지홈(340)은 모두 요입홈의 형태로 형성이 되는데, 상기 제1지지홈(330)은 상기 작동핀(320)의 돌출방향과 상이한 방향에 형성이 되고, 상기 제2지지홈(340)은 상기 작동핀(320)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형성이 된다.The first support groove 330 and the second support groove 340 are all formed in the form of concave groove, the first support groove 330 is form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operation pin (320). The second support groove 340 is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operation pin 320.

그리고 상기 제1지지홈(330)이 제2지지홈(340)보다는 위쪽에 형성되며, 따라서 높이에 있어서는 제1지지홈(330)이 위쪽에 위치되고, 작동핀(320)이 아래쪽에 위치되며, 제2지지홈(340)이 제1지지홈(330)과 작동핀(320)의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groove 330 is formed above the second support groove 340, so in terms of height, the first support groove 330 is located above, and the operation pin 320 is located below. The second support groove 34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upport groove 330 and the operation pin 320.

상기한 구성의 조작봉(300)은 전술한 것처럼 작업자의 손길이 미치지 않는 높이에 설치된 고정하우징(100)에 착탈매개체(200)를 작업자가 지상에서 직접 장착 또는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므로, 조작봉(300)은 착탈매개체(200)를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착탈매개체(200)에 착탈이 되어야 함과 함께 착탈매개체(200)를 원활하게 고정하우징(100)에 장착 또는 탈거시킬 수 있어야 한다.Since the operation rod 300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a means for allowing the operator to directly attach or remove the detachable medium 200 from the ground in the fixed housing 100 installed at a height not touched by the operator as described above, The rod 300 should be detachable to the detachable medium 200 so that the detachable medium 200 can be stably lifted, and the detachable medium 200 should be able to be smoothly mounted or removed from the housing 100. .

이를 위해, 상기 착탈매개체(200)의 몸체부(210)에는 상기 봉몸체(310)의 상부가 삽입 또는 이탈될 수 있는 봉삽입부(212)가 형성된다.To this end, the rod portion 212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210 of the removable medium 200, the upper portion of the rod body 310 can be inserted or removed.

그리고, 상기 봉삽입부(212)의 내측에는 삽입된 봉몸체(310)에 형성된 상기 제1지지홈(330) 또는 제2지지홈(340)을 선택적으로 걸림 지지할 수 있는 볼플런저(290)가 구비된다. The ball plunger 290 may selectively hold the first support groove 330 or the second support groove 340 formed in the rod body 310 inserted into the rod insertion unit 212. Is provided.

이러한 볼플런저(290)는 구 형상의 볼이 요입홈 형상인 제1지지홈(330)과 제2지지홈(340)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림되는 것이므로, 조작봉(300)에서 착탈매개체(200)가 유동되거나 회전되지 않으면서 착탈매개체(200)의 장착이나 탈거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데 필요한 정도의 고정력을 제공하게 된다.The ball plunger 290 is a spherical ball is elastically fitted to the first support groove 330 and the second support groove 340 in the concave groove shape, so that the removable medium 200 in the operating rod 300 ) Is provided without the flow or rotation to provide a fixing force necessary for the mounting or removal of the removable medium 200 can be performed smoothly.

또한, 착탈매개체(200)의 외력작용판(240)에는 상기 봉몸체(310)가 외력작용판(240)을 관통하여 봉삽입부(212)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봉몸체(310)의 통과가 가능한 봉관통공(241)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rod body 310 passes through the rod body 310 so that the rod body 310 can be inserted into the rod insertion unit 212 through the external force plate 240 of the detachable medium 200. Possible through-holes 241 are formed.

그리고, 상기 봉관통공(241)에는 일방향으로 핀홈(24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핀홈(242)은 조작봉(300)에 형성된 상기 작동핀(320)에 대응하는 홈으로서, 조작봉(300)의 삽입방향에 따라 작동핀(320)의 돌출방향이 상기 핀홈(242)의 형성방향과 일치하면 작동핀(320)은 핀홈(242)을 통과하게 되므로 외력작용판(240)에 아무런 영향을 미지치 않게 되고, 그 방향이 상이하면 작동핀(320)은 외력작용판(240)에 걸리면서 상승 외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od through hole 241 is formed with a pin groove 242 in one direction, the pin groove 242 is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pin 320 formed on the operating rod 300, the operating rod 300 Whe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actuating pin 320 coincides with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pin groove 242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actuating pin 320 passes through the pin groove 242 and thus has no influence on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240. If the direction is different, the operation pin 320 is applied to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240 while being able to exert a rising external force.

상기 착탈매개체(200)와의 관계에서, 상기 조작봉(300)의 작동핀(320)은 조작봉(300)의 삽입방향에 따라 상기 핀홈(242)을 통과하거나 걸리면서 외력작용판(240)에 선택적으로 상승 외력을 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고, 제1지지홈(330)은 상기 작동핀(320)이 핀홈(242)을 통과하여 봉삽입부(212)에 삽입된 경우 상기 볼플런저(290)에 의해 걸림 지지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며, 제2지지홈(340)은 작동핀(320)이 외력작용판(240)에 상승 외력을 가하면서 봉삽입부(212)에 삽입된 경우 상기 볼플런저(290)에 의해 걸림 지지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In the relationship with the removable medium 200, the operation pin 320 of the operating rod 300 is selective to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240 while passing through or engaging the pin groove 242 in accordance with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operating rod 300. The first support groove 330 is to perform the function of applying a rising external force, the ball plunger 290 when the actuating pin 320 is inserted into the rod inserting portion 212 through the pin groove 242 And the second support groove 340 is the ball plunger when the actuating pin 320 is inserted into the rod inserting portion 212 while applying an upward external force to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240. It is to perform the function of being supported by the 290.

이러한 조작봉(300)을 통해 착탈매개체(200)를 고정하우징(100)에 장착 및 탈거하는 작동을 도 1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16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먼저 착탈매개체(200)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조작봉(300)의 봉몸체(310) 상부를 착탈매개체(200)의 봉삽입부(212)에 삽입시킨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mounting and removing the removable medium 200 to the fixed housing 100 through the operation rod 300 with reference to Figure 16, as shown in Figure 16 (a), first removable medium 200 In order to mount, the rod body 310 of the operating rod 300 is inserted into the rod inserting portion 212 of the detachable medium 200.

이 때, 조작봉(300)의 작동핀(320)이 외력작용판(240)의 핀홈(242)을 통과하도록 작동핀(320)의 돌출방향이 핀홈(242)의 방향과 일치되도록 삽입시켜준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pin 320 of the operating rod 300 is inserted so that the projecting direction of the operation pin 320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the pin groove 242 so as to pass through the pin groove 242 of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240. .

그러면, 조작봉(300)은 외력작용판(240)을 그대로 통과하면서 외력작용판(240)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은 채 봉삽입부(212)에 삽입이 된다.Then, the operating rod 300 is inserted into the rod inserting portion 212 without affecting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240 while passing through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240 as it is.

그리고, 봉삽입부(212)에 삽입이 된 봉몸체(310)의 제1지지홈(330)으로 볼플런저(290)가 걸림 지지가 되면서 조작봉(300)이 착탈매개체(200)에 장착이 된다.Then, the ball plunger 290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groove 330 of the rod body 310 inserted into the rod insertion unit 212 while the operation rod 300 is attached to the detachable medium 200. do.

이 상태에서 도 16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조작봉(300)을 들어올려 착탈매개체(200)를 고정하우징(100)의 삽탈포켓(120)으로 삽입시키면 도 16의 (c)에 도시된 것처럼, 착탈매개체(200)가 고정하우징(100)에 장착이 되고, 장착 후에는 도 16의 (d)에 도시된 것처럼, 조작봉(300)을 하측으로 당겨줌으로써 착탈매개체(200)로부터 탈거해주면 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as illustrated in FIG. 16B, when the operation rod 300 is lifted and the removable medium 2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and removal pocket 120 of the fixed housing 100, it is shown in FIG. 16C. As described above, the detachable medium 200 is mounted on the fixed housing 100, and after the detachment, the detachable medium 200 is removed from the detachable medium 200 by pulling the operation rod 300 downward as shown in FIG. 16D. You can do it.

반면, 상기 장착된 착탈매개체(200)를 고정하우징(100)으로부터 탈거할 때는, 걸림해제수단의 외력작용판(240)에 상승 외력을 가해주어야 하므로, 이 때는 조작봉(300)의 작동핀(320)이 외력작용판(240)에 걸리도록, 도 16의 (e)에 도시된 것처럼, 작동핀(320)의 돌출방향이 핀홈(242)의 방향과 상이하도록 조작봉(300)을 삽입시켜 준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achable mounting medium 200 is removed from the fixed housing 100, it is necessary to apply a rising external force to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240 of the release means, in this case the operating pin of the operating rod (300) As illustrated in (e) of FIG. 16, the operating rod 300 is inserted such that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operation pin 320 is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of the pin groove 242 so that the 320 is caught by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240. give.

그러면, 도 16의 (f)에 도시된 것처럼, 작동핀(320)이 외력작용판(240)을 상향 가압하면서 조작봉(300)이 봉삽입부(212)에 삽입이 되는 바, 외력작용판(240)의 상승에 따라 전술한 것과 같은 걸림해제가 수행된다.Then, as shown in (f) of FIG. 16, the operating rod 300 is inserted into the rod inserting portion 212 while the operation pin 320 presses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240 upwardly. As the 240 is raised, the release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그리고 이렇게 걸림해제가 수행된 상태에서 봉삽입부(212)에 삽입이 된 봉몸체(310)의 제2지지홈(330)으로 볼플런저(290)가 걸림 지지가 되면서 조작봉(300)이 다시 착탈매개체(200)에 장착이 되며, 따라서 도 16의 (g)에 도시된 것처럼, 조작봉(300)을 내려주게 되면 자연스럽게 착탈매개체(200)가 고정하우징(100)으로부터 탈거되며, 탈거 후에는 도 16의 (h)에 도시된 것처럼, 착탈매개체(200)로부터 조작봉(300)을 분리해주면 모든 작업이 완료된다.Then, while the ball plunger 290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groove 330 of the rod body 310 inserted into the rod insertion unit 212 in the state where the release is performed, the operation rod 300 is again supported. It is attached to the removable medium 200, so as shown in Figure 16 (g), when the operating rod 300 is lowered naturally detachable medium 200 is removed from the fixed housing 100, after removal As shown in (h) of FIG. 16, all operations are completed by removing the operating rod 300 from the detachable medium 200.

여기서, 상기와 같이 조작봉(300)은 착탈매개체(200)의 장착시와 탈거시에 그 삽입방향을 달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작봉(300)을 들어올렸을 때에도 작업자가 상기 작동핀(320)의 돌출방향을 지상에서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봉몸체(310)의 하부에는 작동핀(320)의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식별부(380)가 구비될 수 있다.Here, since the operating rod 300 is configured to change the insertion direction when the removable medium 200 is mounted and detached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operating rod 300 is lifted by the operator the operation pin 320 In order to easily identify the projecting direction of the g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rod body 310 may be provided with a direction identification unit 380 for indicating the direction of the operation pin 320.

한편, 상기 조작봉(300)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그 자체에 통전기능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작동핀(320), 제1지지홈(330), 제2지지홈(340)이 형성된 봉몸체(310)의 상부를 절연체(350)로 형성하고, 상기 절연체(350)로 형성된 봉몸체(310)의 상단부에는 전기적 접속을 위한 봉전극부(360)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ng rod 30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17,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ower supply function itself, for this purpose the operation pin 320, the first support groove 330, The upper portion of the rod body 310 having the second support groove 340 is formed of an insulator 350, and the rod electrode portion 360 for electrical connection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rod body 310 formed of the insulator 350.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봉전극부(3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봉전극부(360)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조작부(370)가 봉몸체(3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trol operation unit 370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od electrode unit 360 and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the rod electrode unit 360 may be provided under the rod body 310.

상기 제어조작부(370)에는 단시간의 전원공급을 위한 내부배터리(371)와, 전원공급의 제어를 위한 다수의 제어스위치(372) 및 상기 내부배터리(371)와는 별도로 장시간의 전원공급을 위해 외부전원과 연결될 수 있는 외부전원연결선(373)이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operation unit 370 has an internal battery 371 for supplying power for a short time, a plurality of control switches 372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for supplying power for a long time separately from the internal battery 371. An external power connection line 373 may be provided.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체 착탈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object detachment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Equivalent configuration modified or changed by the person having it will be said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0: 고정하우징
110: 하우징본체 120: 삽탈포켓
130: 걸림쐐기 140: 쐐기스프링
150: 고정전극부 151: 전원전극
152: 상부신호전극 153: 하부신호전극
160: 섭동전극부 161: 섭동신호전극
162: 전극가이드 163: 전극스프링
170: 릴레이 180: 네트워크접속부
200: 착탈매개체
210: 몸체부 212: 봉삽입부
220: 대상물결합부 230: 걸림턱
240: 외력작용판 250: 쇄기가압편
260: 복원스프링 270: 접속전극부
271: 가이드홈 280: 네트워크단자
290: 볼플런저
300: 조작봉
310: 봉몸체 320: 작동핀
330: 제1지지홈 340: 제2지지홈
350: 절연체 360: 봉전극부
370: 제어조작부 380: 방향식별부
The main part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as follows.
100: fixed housing
110: housing body 120: insert pocket
130: locking wedge 140: wedge spring
150: fixed electrode unit 151: power electrode
152: upper signal electrode 153: lower signal electrode
160: perturbation electrode unit 161: perturbation signal electrode
162: electrode guide 163: electrode spring
170: relay 180: network connection
200: removable medium
210: body portion 212: rod insertion portion
220: object coupling portion 230: locking jaw
240: external force acting plate 250: wedge pressure piece
260: restoring spring 270: connection electrode
271: guide groove 280: network terminal
290 ball plunger
300: operation rod
310: rod body 320: working pin
330: first support groove 340: second support groove
350: insulator 360: rod electrode portion
370: control operation unit 380: direction identification unit

Claims (11)

지상 일정높이의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탈포켓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삽탈포켓의 내부에는 제1걸림수단이 마련되는 고정하우징; 및
상기 고정하우징의 삽탈포켓에 삽탈이 됨과 함께, 상기 제1걸림수단과 선택적으로 걸림을 수행하는 제2걸림수단과, 외력에 의해 상기 걸림을 해제시키는 걸림해제수단이 각각 마련되며, 일측에는 사용목적상 일정기능을 갖는 사용대상물이 결합되는 착탈매개체;를 포함하는 물체 착탈장치.
A fixed housing fixedly installed on a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ground, wherein at least one inserting pocket is formed and a first catching means is provided inside the inserting pocket; And
In addition to being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inserting / removing pocket of the fixed housing, the first catching means and the second catching means for selectively catching the catch and the catching release means for releasing the catching by external force are provided, respectively, on one side. Object detachable device comprising a; detachable medium is coupled to the use object having a certain fun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탈포켓의 상부에는 고정전극부가 설치되되, 상기 고정전극부는 상기 구조물의 인입전원선에 연결된 전원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매개체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된 사용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삽탈시에 상기 전원전극과 선택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는 접속전극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착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ixed electrode part is installed on the insert pocket, and the fixed electrode part includes a power electrode connected to an incoming power line of the structure.
And a connection electrode part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etachable medium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bined use object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power electrode at the time of insertion and detachmen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전극부의 상부에는 승강 가능하게 섭동전극부가 설치되되, 상기 섭동전극부는 상기 구조물의 제어신호선에 연결되는 섭동신호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전극부는 상기 섭동전극부의 승강에 따라 섭동신호전극과 선택적으로 접속이 되는 상부신호전극과 상기 착탈매개체의 삽탈에 따라 접속전극부와 선택적으로 접속이 되는 하부신호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착탈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perturbation electrode part is installed on the fixed electrode part so as to be elevated, and the perturbation electrode part includes a perturbation signal electrode connected to a control signal line of the structure.
The fixed electrode part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signal electrod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perturbation signal electrode as the perturbation electrode part moves up and a lower signal electrod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lectrode part according to the removal of the detachable medium. Object detachment device to do.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전원선에는 정전 유무에 따라 전원공급경로를 스위칭하는 릴레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착탈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a relay for switching the power supply path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ower failur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섭동전극부는 상기 착탈매개체의 삽입시 선택적으로 상향 가압되면서 섭동신호전극을 상승시키는 전극가이드와, 가압 해제시 섭동신호전극에 하향 복원력을 제공하는 전극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착탈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erturbation electrode unit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de guide for raising the perturbation signal electrode while being selectively pressurized upon insertion of the detachable medium, and an electrode spring providing downward restoring force to the perturbation signal electrode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매개체의 상단에는 삽입시에 상기 전극가이드가 삽입되면서 가압이 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착탈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Object detach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removable medium is inserted when the electrode guide is not pressed when the insertion.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수단은 하단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삽탈포켓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쐐기와, 상기 걸림쐐기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쐐기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걸림수단은 상기 착탈매개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쐐기가 전진되면서 끼워질 수 있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착탈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first locking means is formed of a locking wedge is formed on the lower end to the front and back to the insertion pocket, and the wedge spring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locking wedge,
The second locking means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detachable medium, the object detach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locking jaw that can be fitted as the locking wedge advance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해제수단은,
상기 착탈매개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승 외력이 가해지는 외력작용판;
상기 외력작용판에 연결되어 상기 착탈매개체의 측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해진 외력에 의해 상승되면서 상기 걸림쐐기의 하단 경사면을 가압하여 걸림턱에서 후진 이탈시키는 쐐기가압편; 및
상기 외력작용판에 하강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착탈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lease means,
An external force acting plat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etachable medium and to which a rising external force is applied;
A wedge pressing piece which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force action plate so as to be lifted up and down on the side of the detachable medium, and presses the lower inclined surface of the catching wedge while being lifted by an applied external force, thereby detaching backward from the catching jaw; And
And a restoring spring providing a restoring restoring force to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하우징에 대한 착탈매개체의 삽탈작업이 지상에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착탈매개체에 착탈이 됨과 함께 상기 외력작용판에 선택적으로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조작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착탈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nd an operation rod capable of selectivel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to and from the detachable medium so that the detachable medium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ground for the fixed housing. Object detachment devic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매개체의 하부에는 상기 조작봉의 상부가 삽입되는 봉삽입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봉삽입부의 내측에는 삽입된 조작봉을 걸림 지지하는 볼플런저가 구비되고,
상기 외력작용판에는 상기 조작봉이 봉삽입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조작봉에 의해 관통이 되는 봉관통공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봉관통공에는 일방향으로 핀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봉의 상부에는 삽입방향에 따라 상기 핀홈을 통과하거나 걸리면서 외력작용판에 선택적으로 상승 외력을 가하는 작동핀이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작동핀이 핀홈을 통과하여 조작봉이 봉삽입부에 삽입된 경우 상기 볼플런저에 의해 걸림 지지가 되는 제1지지홈과, 작동핀이 외력작용판에 상승 외력을 가하면서 조작봉이 봉삽입부에 삽입된 경우 상기 볼플런저에 의해 걸림 지지가 되는 제2지지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착탈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lower part of the detachable medium is provided with a rod inserting portion into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ng rod is inserted, and a ball plunger is provided to hold and hold the inserted operating rod inside the rod inserting portion.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is formed with a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operating rod can be inserted into the rod inserting portion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rod insertion portion, and the through-hole has a pin groove formed in one direction.
The operating pin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operating rod protruding in one direction, while selectively actuating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through the pin groove in accordance with the insertion direction or while the pin is inserted into the rod insertion part. The first support groove which is held by the ball plunger, and the second support which is held by the ball plunger when the operating rod is inserted into the rod inserting portion while the operation pin exerts an external force on the external force acting plate. Object detach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ach groove is forme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핀, 제1지지홈, 제2지지홈이 형성된 조작봉의 상부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연체로 이루어진 조작봉의 상단부에는 봉전극부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봉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조작부가 조작봉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착탈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An upper portion of the operating rod having the operation pin, the first support groove, and the second support groove is formed of an insulator. An upper end of the operation rod made of the insulator is provided with a rod electrode portio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od electrode portion to supply power. An object detach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operation to control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perating rod.



KR1020120042091A 2012-04-23 2012-04-23 Apparatus for attaching/detaching an object KR2013011915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091A KR20130119155A (en) 2012-04-23 2012-04-23 Apparatus for attaching/detaching an obj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091A KR20130119155A (en) 2012-04-23 2012-04-23 Apparatus for attaching/detaching an obje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155A true KR20130119155A (en) 2013-10-31

Family

ID=4963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091A KR20130119155A (en) 2012-04-23 2012-04-23 Apparatus for attaching/detaching an obje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915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468A1 (en) * 2015-11-11 2017-05-18 이용춘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aggage delivery servic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enabling computer to execute method is stored therei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468A1 (en) * 2015-11-11 2017-05-18 이용춘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aggage delivery servic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enabling computer to execute method is stored there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510958A (en) Maintenance of lighting equipment using unmanned vehicles
KR101498645B1 (en) Lifting apparatus combined with a pole for maintaining a streetlamp
KR20100027279A (en) Maintenance-apparatus for street lamp
KR20130119155A (en) Apparatus for attaching/detaching an object
KR101312224B1 (en) Housing device for attaching/detaching an object
KR20100118412A (en) Lifting and dragging apparatus for traffic sign lamp
CN108842661A (en) A kind of traffic information indicator being conveniently replaceable
KR20190047587A (en) Up and down apparatus of highly mounted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20121976A (en) Lifting Apparatus for Traffic Sign Lamp
JP6030887B2 (en) LED road light
KR20130119147A (en) Intermediate device for attaching/detaching an object
KR101392038B1 (en) Pole for attaching/detaching an object
CN213452613U (en) Signal device for machine equipment warning
KR100989456B1 (en) Elevating Type Lighting Fixtures
CN208886694U (en) A kind of fire emergency lamp of energy Quick overhaul
KR20120024343A (en) A installation structure for traffic sign lamp
CN115257990B (en) Lifting robot for maintaining street lamp
KR101798438B1 (en) Laceway for multi-purpose bracket
KR102433781B1 (en) Street light for easy maintenance
CN214898320U (en) Drop-out fuse system convenient to unmanned aerial vehicle changes fuse
CN108867328B (en) Hot melt viewing device and contain its suspension cable HDPE buckler
CN211569794U (en) Special maintenance box for elevator
KR100989486B1 (en) Elevating Type Receipt Apparatus For Lighting Fixtures
KR101707469B1 (en) LED lighting apparatus having one touch LED module detaching and attaching device
JP6271750B2 (en) Replacement bracket for equipment installed in high pl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