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9014A - A w-type desk - Google Patents

A w-type de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014A
KR20130119014A KR1020120023215A KR20120023215A KR20130119014A KR 20130119014 A KR20130119014 A KR 20130119014A KR 1020120023215 A KR1020120023215 A KR 1020120023215A KR 20120023215 A KR20120023215 A KR 20120023215A KR 20130119014 A KR20130119014 A KR 20130119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pair
user
diagonal
desk 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2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21071B1 (en
Inventor
정동수
Original Assignee
정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수 filed Critical 정동수
Priority to KR1020120023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071B1/en
Publication of KR20130119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0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0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0Tops characterised by shape, other than circular or rectangula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01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PURPOSE: A W-shaped desk is provided to prevent waist of a user being bent while using and to support elbows of both arms of the user. CONSTITUTION: A desk of a W-shaped desk comprises an accommodating unit (110), a couple of supporting units (120), and a couple of opposite-angle extension parts (130). The accommodating unit forms a space to accommodate a body of a user to be adhered to the desk. A couple of the supporting units supplies an area which is able to support both arms of the user positioned in the accommodating unit by being protruded from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ng unit. A couple of the opposite angle extension parts supply an area to place objects in a touchable position when both arms are stretched naturally being extended to the opposite directions from a couple of supporting units.

Description

W자형 책상{A W-Type Desk}W-shaped desk {A W-Type Desk}

본 발명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책상에 앉아 사용하는 사용자가 보다 책상 상판에 밀착될 수 있어 사용 중 사용자의 허리가 굽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사용자 양팔의 팔꿈치가 지지되며 양팔을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서 손이 위치하는 곳에 면적을 추가로 확보하여 한정된 책상 상판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사용자가 양팔을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서 손이 위치하는 곳에 물건을 놓아 둘 수 있도록 면적을 추가로 확보하면서 원형, 타원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책상 상판을 형성할 수 있고 특히, 사각형의 책상 상판 형태를 활용한 2인용 책상을 형성함에 있어서도 각 사용자가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배치하면서도 공간낭비를 줄이고 각 사용자가 양팔을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서 손이 위치하는 곳에 물건을 놓아 둘 수 있도록 면적을 추가로 확보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사각형, 원형 등의 책상 상판 형태를 활용하여 다인용의 다양한 책상을 형성할 수 있는 W자형 책상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k, and more specifically, a user who sits at a desk may be more closely attached to a desk top plate to prevent the user's waist from bending during use, as well as to support both elbows of the user's arms. It secures an additional area where the hand is placed in the open state, allowing the user to use the space on the limited desk top efficiently, and adds an area so that the user can place the object where the hand is placed with the arms open naturally. It is possible to form a desk top in various forms such as round, oval, square, pentagon, hexagon, and octagon while securing each other. Especially, in order to form a two-person desk utilizing the shape of a square desk top, each user does not face each other. To reduce space waste while keeping each user's arms open The space can be added to the place where the hand is placed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and the W-shaped desk can be used to form various desks for multi-use by using the shape of the tops of the squares and circles.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책상은 사용자가 앉아 작업을 수행하는 가구로, 그 상부에는 사용자가 물건을 올려놓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책상 상판이 넓은 판 형태로 위치하게 된다. In general, a desk is a furniture in which a user performs a sitting operation, and a desk top plate is placed in a wide plate shape so that a user can place objects on the desk and perform work.

도 1은 종래 사각형 책상 상판을 갖는 책상의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desk having a conventional rectangular desk top plat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책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책상 상판을 갖는 것이 통례이며, 이때 사용자는 사각형 책상 상판의 일면에 의자를 놓고 착석하여 책상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general desk has a rectangular desk top, as shown in FIG. 1. In this case, the user places a chair on one side of a rectangular desk top so as to work on a desk.

이때, 사용자는 책상 상판의 일면에서 작업을 위해 책상에 좀 더 가깝게 다가가기 위해 대부분 허리를 굽히게 되는데, 허리를 굽히는 자세는 사용자의 척추에 무리를 가하게 되고, 이러한 자세가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척추 형태가 변형되어 거북목이나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등과 같은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user is most likely to bend the waist to get closer to the desk for work on one side of the desk top, the bending position is to put a strain on the user's spine, if the user persists for a long time Spine shape of the deformed will cause diseases such as turtle neck, neck disc, lumbar disc.

또한, 책상에서 작업하는 사용자가 팔을 자연스럽게 벌리게 되면, 양팔은 각각 대각선으로 통상 45도 방향으로 펼쳐지게 되어 양팔 사이가 90도 간격을 유지하며 팔이 벌려지게 된다. 즉, 사용자는 책상에서 작업하는 동안 양팔이 자연스럽게 펼쳐지는 양팔 사이의 간격 내에서 주로 작업을 수행하게 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펼친 양팔의 간격을 벗어난 'A'부분의 책상 상판 부분의 활용도는 극히 떨어져 거의 사용되지 않는 부분이 되고, 반대로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펼친 양팔의 간격 내에 위치하게 되는 'B'부분의 경우에는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높음에도 불구하고 사각형 형태의 전형적인 책상 상판의 형태로 인해 필요한 면적을 확보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전형적인 사각형 책상 상판 형태를 갖는 종래의 책상의 경우, 책상 상판에서 활용도가 극히 떨어지는 부분('A'부분)의 존재와 활용도가 높은 부분('B'부분)에서의 필요한 면적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책상 상판 면적의 평균 활용도가 떨어져 책상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Also, when a user working at the desk naturally spreads his / her arms, both arms are diagonally extended in a normal direction of 45 degrees, so that arms are open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between both arms. That is, since the user mainly performs the work within the interval between the arms, in which both arms are naturally opened during the work on the desk, as shown in FIG. 1, the desk of the 'A' portion, In the case of the 'B' portion, which is located in the gap between the two arms naturally opened by the user, the utilization of the top plate portion is extremely low, and the utilization of the top plate portion is relatively low. The required area can not be ensured due to such a problem.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desk having the form of the existing typical rectangular desk top plate, the existence of the extremely low utilization portion ('A' portion) and the required area securing in the high utilization portion ('B' portion) Due to difficult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verage utilization of the desk top area is lowered and the desk cannot be used efficiently.

또한, 종래의 전형적인 사각형 책상 상판을 갖는 책상의 경우, 2인용 내지 다인용의 책상을 제조하거나 또는 책상을 붙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정면으로 서로 마주보게 되거나 또는 바로 옆에 인접하여야 할 수밖에 없어 여러 사람이 책상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활용도가 떨어지게 된다. Further, in the case of a desk having a typical rectangular desk top plate, even if a desk for two or multi-persons is to be manufactured or a desk is used, the users must face each other in front or be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not useful even when several people use the des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책상에 앉아 사용하는 사용자가 보다 책상 상판에 밀착될 수 있어 사용 중 사용자의 허리가 굽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사용자 양팔의 팔꿈치가 지지되며 양팔을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서 손이 위치하는 곳에 면적을 추가로 확보하여 한정된 책상 상판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W자형 책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user sitting at the desk can be more closely adhered to the desk top to prevent the user from bending the waist during use, the elbows of the user's arms are supported and the hands are in a state where the arms are naturally open. It is to provide a W-shaped desk that can secure an additional area in the place to efficiently use the space of the limited desk top.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양팔을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서 손이 위치하는 곳에 물건을 놓아 둘 수 있도록 면적을 추가로 확보하면서 원형, 타원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정형화되지 않은 다양한 형태로 책상 상판을 형성할 수 있는 W자형 책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esk in a variety of non-standardized forms, such as circular, oval, square, pentagonal, hexagonal, octagonal, while additionally securing an area so that the user can place an object where the hands are located while the arms are naturally open. It is to provide a W-shaped desk that can form a top plat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각형의 책상 상판 형태를 활용한 2인용 책상을 형성함에 있어서도 각 사용자가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배치하면서도 공간낭비를 줄이고 각 사용자가 양팔을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서 손이 위치하는 곳에 물건을 놓아 둘 수 있도록 면적을 추가로 확보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이는 W자형 책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sk for a two-person desk which uses a square desk top form, which is arranged so that each user is not facing each other, while reducing waste of space, So as to provide a W-shaped desk for enhancing the space utiliz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각형, 원형 등의 책상 상판 형태를 활용하여 다인용의 다양한 책상을 형성할 수 있는 W자형 책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shaped desk capable of forming various desks for multi-person using a desk top shape such as a rectangle or a circl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W자형 책상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The W-shaped desk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자형 책상의 책상 상판은 사용자가 책상에 밀착되도록 사용자 몸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수용부에 위치한 사용자의 양팔이 지지될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에서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양팔을 벌렸을 때 손이 닿는 위치에 물건을 놓을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는 한 쌍의 대각연장부를 포함하며, 대각연장부-지지부-수용부-지지부-대각연장부가 순서대로 W자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k top plate of the W-shaped de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user body so that the us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esk, the user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receiving portion is loc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A pair of supports providing an area in which both arms of the arm can be supported, and a pair of supports extending in a diagonal direction, respectively, to provide an area in which the user can place an object in a place where the user naturally touches his arms. To include a pair of diagonal extension, diagonal extension-support-acceptance-support-diagonal exten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shape in ord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W자형 책상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대각연장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부로부터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도는 5.625~75도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shaped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ngle in which the pair of diagonal extension portions extends from the pair of support portions in a diagonal direction, respectively, is 5.625 to 75 degre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W자형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으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의 평면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 한 쌍의 지지부, 한 쌍의 대각연장부는 상기 책상 상판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shaped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k top plate forms a flat shape of any one group consisting of a circle, an oval, a rectangle, a pentagon, a hexagon, and an octagon, and the accommodation portion , A pair of support, a pair of diagonal exten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one side of the desk top plat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W자형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은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 한 쌍의 지지부, 한 쌍의 대각연장부는 상기 책상 상판의 마주보는 꼭지점을 연결하는 대각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shaped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k top plate has a rectangular planar shape, and the receiving portion, a pair of support portions, and a pair of diagonal extension portions of the desk top plat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rranged symmetrically about a diagonal line connecting opposite vertic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W자형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은 정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 한 쌍의 지지부, 한 쌍의 대각연장부는 상기 책상 상판의 마주보는 꼭지점을 연결하는 대각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일 W자형 책상의 우측 대각연장부가 위치하는 면과 타 W자형 책상의 좌측 대각연장부가 위치하는 면을 서로 접합시키고, 접합된 일 W자형 책상의 좌측 대각연장부와 타 W자형 책상의 우측 대각연장부 전체를 연하여 수납부를 형성하여, 공간 낭비를 줄이고 각 사용자의 활용면적을 높인 2인용 책상을 형성한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shaped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k top plate has a square planar shape, and the receiving portion, a pair of support portions, and a pair of diagonal extension portions of the desk top plate. It is arranged symmetrically about the diagonal connecting the vertices facing each other, and joins the surface where the right diagonal extension of one W-shaped desk is located and the surface where the left diagonal extension of another W-shaped desk is located, The left diagonal extension part of the W-shaped desk and the entire right diagonal extension part of the other W-shaped desk are opened to form an accommodating part, thereby reducing a waste of space and increasing the utilization area of each us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W자형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은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 한 쌍의 지지부, 한 쌍의 대각연장부는 상기 책상 상판의 마주보는 꼭지점을 연결하는 대각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W자 형태를 이루는 상기 수용부, 한 쌍의 지지부, 한 쌍의 대각연장부가 상기 직사각형 형태의 책상 상판의 마주보는 꼭지점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각 사용자가 서로 정면으로 마주보지 않게 하면서도 각 사용자의 활용면적을 높인 2인용 책상을 형성한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shaped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k top plate has a rectangular planar shape, and the receiving portion, the pair of support portions, and the pair of diagonal extension portions of the desk top plate. It is arranged symmetrically about a diagonal line connecting the opposite vertices, and the receiving portion, a pair of support portions, and a pair of diagonal extensions forming a W-shape at opposite vertex portions of the rectangular desk top, respectively. It is formed to form a two-person desk with each user raised the utilization area while not facing each other in front of each o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W자형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은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 한 쌍의 지지부, 한 쌍의 대각연장부는 상기 책상 상판의 네 꼭지점 부위에 모두 형성되어, 공간 낭비를 줄이고 각 사용자의 활용면적을 높인 4인용 책상을 형성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shaped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k top plate has a rectangular planar shape, and the receiving portion, a pair of support portions, and a pair of diagonal extension portions of the desk top plate. It is formed at all four vertices, forming a four-person desk that reduces space waste and increases the utilization of each us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W자형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은 원형의 평면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 한 쌍의 지지부, 한 쌍의 대각연장부는 상기 원형 책상 상판의 외주면을 따라 180도, 120도, 90도, 72도, 60도, 45도 중 어느 하나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공간 낭비를 줄이고 각 사용자의 활용면적을 높인 2 내지 8인용 책상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shaped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k top plate has a circular planar shape, and the accommodating part, the pair of support parts, and the pair of diagonal extension parts are the circular desk top plates. It is formed at any one of 180 degrees, 120 degrees, 90 degrees, 72 degrees, 60 degrees, and 45 degre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ble to reduce space waste and increase the utilization area of each user. Form.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stitution described below, the combination, and the use relationship.

본 발명은 책상에 앉아 사용하는 사용자가 보다 책상 상판에 밀착될 수 있어 사용 중 사용자의 허리가 굽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사용자 양팔의 팔꿈치가 지지되며 양팔을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서 손이 위치하는 곳에 면적을 추가로 확보하여 한정된 책상 상판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the user sitting at the desk more closely adhered to the desk top to prevent the user's waist bent during use, as well as where the elbows of the user's arms are supported and the hands are placed in a state where the arms are naturally open. By additionally securing an area, the space of the limited desk top plate can be effectively used.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양팔을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서 손이 위치하는 곳에 물건을 놓아 둘 수 있도록 면적을 추가로 확보하면서 원형, 타원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책상 상판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desk top plate in a variety of forms, such as circular, oval, square, pentagonal, hexagonal, octagonal, while additionally securing an area so that the user can place the object where the hand is placed in a state where the arms are naturally open. Has an effect.

본 발명은 사각형의 책상 상판 형태를 활용한 2인용 책상을 형성함에 있어서도 각 사용자가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배치하면서도 공간낭비를 줄이고 각 사용자가 양팔을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서 손이 위치하는 곳에 물건을 놓아 둘 수 있도록 면적을 추가로 확보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forming a two-person desk using a rectangular desk top shape, each user is placed so as not to face each other while reducing the waste of space, each user can put the object where the hands are placed with the arms open naturally. The additional area is secured so as to increase space utilization.

본 발명은 사각형, 원형 등의 책상 상판 형태를 활용하여 다인용의 다양한 책상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orming a variety of desks for multi-use by utilizing the shape of the top of the desk, such as square, round.

도 1은 종래 사각형 책상 상판을 갖는 책상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자형 책상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책상 상판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책상 상판의 다른 형태들을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도 1의 책상 상판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참고도(정사각)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W자형 책상의 사시도(2인용)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W자형 책상의 평면도(2인용)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W자형 책상의 평면도(사각형)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W자형 책상의 평면도(원형)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W자형 책상의 평면도(직사각형)
1 is a plan view of a desk having a conventional rectangular desk top plat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shaped de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the desk top of FIG.
4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other forms of the desk top of FIG.
5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other form of the desk top of FIG. 1 (square)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two people) of the W-shaped de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two people) of the W-shaped de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quare) of a W-shaped de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circular) of the W-shaped de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lan view (rectangular) of the W-shaped de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W자형 책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W-shaped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2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자형 책상의 책상 상판(10)은 사용자가 책상에 밀착되도록 사용자 몸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110)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수용부(110)에 위치한 사용자의 양팔이 지지될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는 한 쌍의 지지부(12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120)에서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양팔을 벌렸을 때 손이 닿는 위치에 물건을 놓을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는 한 쌍의 대각연장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대각연장부(130)-지지부(120)-수용부(110)-지지부(120)-대각연장부(130)가 순서대로 W자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to 10, the desk top plate 10 of the W-shaped de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110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user body so that the us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esk, A pair of support portions 120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10 to provide an area in which both arms of the user loc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10 can be supported, and in the pair of supporting portions 120 Each diagonal extension includes a pair of diagonal extension portion 130 to provide an area to place the object in the place of the hand when the user naturally open both arms, the diagonal extension portion 130-the support portion The 120-receptor 110-support 120-diagonal extension 13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shape in order.

상기 수용부(110)는 사용자(30)가 책상에 밀착되도록 사용자 몸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W자형 책상의 책상 상판(10)의 일측면에서 일정 공간 즉, 책상을 사용하는 사용자(30) 몸의 일부(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몸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 몸의 1/4~3배에 해당하는 정도)가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책상 상판(10)의 일측면에서 함입되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수용부(110)가 책상 상판(10)의 일측면에서 일정 공간 함입되어 형성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사람의 허리(척추)는 곧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책상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책상에 가깝게 다가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의자에 엉덩이를 둔 채로 허리를 앞으로 구부려 작업을 수행하게 됨에 따라 책상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허리는 항상 앞으로 굽어져 있게 된다. 특히, 책상 상판(10)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사용자의 양팔의 팔꿈치는 책상 상판(10) 위에 기대어져야 하는데, 사용자가 자신의 양팔 팔꿈치를 책상 상판(10)에 기대기 위해서도 역시 허리를 앞으로 구부려야하게 된다. The receiving unit 110 is configured to form a space that can accommodate the user's body so that the user 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esk, as shown in Figure 2, etc., the receiving unit 110 is 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one side of the desk top plate 10 of the shaped desk, a portion of the user's body (30) using the desk (preferably about 1/4 to 3 times as much as the body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user's body) ) Is formed to be recessed in one side of the desk top plate 10 so as to form a space that can be accommodated. The most fundamental reason that the receiving unit 110 is formed by a certain space indentation on one side of the desk top plate 10 is that it is most desirable to keep the waist (vertebrae) of the person straight, the people who perform the work on the desk Most of the time, the waist of the worker working at the desk is always bent forward as the work is performed by bending the waist forward with the hips on the chair to perform the work. In particular, when performing the work on the desk top 10, the elbows of the user's both arms should be leaning on the desk top 10, the user is also forward to the waist in order to lean his elbows on the desk top 10. You have to ben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책상 상판(10)의 일측면에서 사용자(30)의 몸이 보다 책상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책상 상판(10)의 일측면에서 일정 공간 즉, 책상을 사용하는 사용자 몸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책상 상판(10)의 일측면에서 상기 수용부(110)가 함입되어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을 사용하는 사용자(30)는 상기 수용부(110) 내에 몸의 일부를 수용시켜 몸을 보다 책상에 밀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10)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지지부(120) 위에 양팔(310)의 팔꿈치를 자연스럽게 기댈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책상에 가깝게 가기 위해 몸을 구부릴 필요도, 양팔(310)의 팔꿈치를 책상에 기대기 위해 몸을 구부릴 필요도 없어져, 책상에서 작업하는 과정에서도 자연스럽게 몸의 허리(척추)를 곧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110)가 함입되는 공간의 크기의 경우, 먼저 함입되는 깊이(D)는 사용자(30) 몸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 몸의 1/4~3배에 해당하는 정도 즉, 5~60㎝ 정도로 함입될 수 있으며, 수용부(110)의 폭(H1)은 사용자(30) 몸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양팔을 제외한 몸의 폭에 상응하는 정도 즉, 24~60㎝ 정도의 폭을 형성할 수 있으며, 수용부(110)의 양단에서 각각 좌우측에 위치하는 후술할 지지부(120)와 연결되는 부분은 대략 135도의 완만한 경사각(θ1)을 이루면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수용부(110) 내에 책상에서 작업하는 사용자(30)가 자신의 몸을 위치시키게 되면, 사용자(30) 몸은 자연스럽게 책상 상판(10)과 더욱 가깝게 밀착되게 되며 사용자 양팔(310)의 팔꿈치는 수용부(110)의 양측에 위치하는 후술할 지지부(120)에 자연스럽게 올려놓고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30)는 허리를 구부릴 필요 없이 자연스럽게 허리를 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be able to maintain the body of the user 30 on the side of the desk top plate 10 more in close contact with the desk, a certain space, that is, using a desk on one side of the desk top plate 10 Since the accommodation part 110 is recessed and formed on one side of the desk top plate 10 so that a part of the user's body can be accommodated, the user 30 using the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arm 110 may accommodate a part of the bod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to the desk, as will be described later, both arms 310 on the support portion 120 formed on each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as will be described later Because you can lean your elbows naturally, you don't have to bend over to get closer to your desk, or you need to bend over to lean your elbows on your desk.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raight back (spine) of the body. Referring to FIG. 3, in the case of the size of the space in which the accommodating part 110 is embedded, the depth D, which is first embedded, corresponds to 1/4 to 3 times the body when the user 30 views the body from the side. That is, it may be embedded in about 5 ~ 60cm, the width (H1) of the receiving unit 110 when the user (30) in front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body excluding both arms, that is, 24-60cm It is possible to form a width of the degree, and the portions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120 to be described later locat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at each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is preferably extended to form a gentle inclination angle (θ1) of approximately 135 degrees. When the user 30 working at the desk in the receiving portion 110 formed as described above places his or her body, the user 30 naturally comes closer to the desk top plate 10 and the user's arms 310. Since the elbow of the can be naturally supported on the support portion 120 to be described later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the user 30 can perform the operation in the state of pinning the waist naturally without having to bend the waist. It becomes possible.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수용부(110)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수용부(110)에 위치한 사용자의 양팔(310)의 팔꿈치가 지지될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상기 수용부(110)의 양단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120)의 각 측면에는 상기 수용부(110) 내에 몸을 위치시킨 사용자(30) 몸의 측면과 접하게 되고, 사용자(30)가 자연스럽게 양팔(310)을 내리게 되면 양팔(310)의 팔꿈치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120)에 각각 위치하여 지지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지지부(120)가 각각 상기 수용부(11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는 앞서 설명한 상기 수용부(110)의 함입되는 깊이(D)와 동일하며, 지지부(120) 각각의 폭(H2)은 사용자(30)의 팔꿈치를 수용할 정도 즉, 3~60㎝ 정도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용부(110) 양측으로부터 각각 한 쌍의 지지부(120)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부(110) 내에 몸을 위치시키고 작업하는 사용자(30)는 자신의 양팔(310) 팔꿈치를 자연스럽게 상기 한 쌍의 지지부(120)에 위치시키고 작업할 수 있게 되므로 몸을 구부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허리를 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 support part 120 is configured to provide an area in which the elbows of both arms 310 of the user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part 110 are supported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on part 110, and the accommodation described above. Each side of the pair of support portions 120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portion 110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body of the user 30 to position the body in the receiving portion 110, the user 30 is naturally When both arms 310 are lowered, the elbows of both arms 310 are positioned and supported by the pair of support units 120, respectively. Referring to FIG. 3, the length of each of the pair of supporting parts 120 protruding from the receiving part 110 is equal to the depth D of the receiving part 110 described above, and the supporting part 120 is provided. Each of the widths H2 may be formed to a width of about 3 to 60 cm, that is, to accommodate the elbow of the user 30. As such, a pair of support portions 120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110, so that the user 30 who positions and works on the body within the accommodation portion 110 naturally has his elbows on both arms 310. Since it is possible to position and work on the pair of support portions 120,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work in a pinned state naturally without bending the body.

상기 대각연장부(130)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120)에서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30)가 자연스럽게 양팔(310)을 벌렸을 때 손이 닿는 위치에 물건을 놓을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앞서 종래의 전형적인 사각형 책상 상판을 사용하는 경우의 문제점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책상에서 작업하는 사용자의 팔은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서 각각 대각선으로 45도 방향으로 펼쳐지게 되어 양팔 사이가 90도 간격이 유지되도록 자연스럽게 벌려지게 되어, 사용자가 책상에서 작업하는 동안 양팔이 자연스럽게 펼쳐지는 양팔 사이의 간격 내에서 주로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반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사각형 형태의 책상 상판의 경우,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펼친 양팔의 간격을 벗어난 'A'부분의 활용도는 극히 떨어져 거의 사용되지 않는 부분이 되고, 반대로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펼친 양팔의 간격 내에 위치하게 되는 'B'부분의 경우에는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높음에도 불구하고 전형적인 사각 형태로 인해 필요한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종래의 전형적인 사각 형태의 책상 상판이 갖는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구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지지부(120)에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기 한 쌍의 대각연장부(13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20)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한 쌍의 지지부(120)에서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통상 이루는 각도(θ2)는 5.625~75도이고, 바람직하게는 각각 45도 각도의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대각연장부(130)-지지부(120)-수용부(110)-지지부(120)-대각연장부(130)가 순서대로 'W자' 형태를 이루게 되어, 사용자(30)의 팔꿈치 좌,우측의 극히 활용도가 떨어지는 부분에서는 불필요한 상판을 제거하고, 양팔(310)이 자연스럽게 펼쳐져 벌려졌을 때의 양팔(310) 사이의 간격 내 즉, 사용자가 쉽게 팔을 뻗어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부분에서는 상기 대각연장부(130)가 위치하여 상판의 필요한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30)는 기존의 책상 상판(10) 정면부 뿐만 아니라, 팔을 자연스럽게 펼쳐 닿을 수 있는 대각 방향의 책상 상판(10)에 존재하는 상기 대각연장부(130)에도 물건을 놓고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동일 비율의 책상 상판(10) 면적에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책상 상판(10)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The diagonal extension part 130 extends in the diagonal direction from the pair of support parts 120, respectively, to provide an area in which the user 30 can place an object in a place where the hand touches when the user naturally opens his arms 310. In this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th the problem of using a conventional typical rectangular desk top plate, the user's arms working on the desk are spread in a diagonal direction of 45 degrees each in a naturally open state so that there is a 90 degree gap between both arms.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rectangular desk top as shown in FIG. , The utilization of the 'A' part beyond the gap between the arms naturally spread by the user is extremely low and is rarely used.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the 'B' part that is located within the gap of the arms naturally spread by the user, the problem is that although the utilization is relatively high, the typical rectangular shape cannot sufficiently secure the required area. do.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diagonal extensions extending from each of the pair of support parts 120 may be structurally improved so as to structurally improve a problem of inferior space utilization of the conventional rectangular desk top as described above. The portion 130 does not extend horizontally from the support portion 120 as shown in FIG. 3, but in the pair of support portions 120 in the diagonal direction (the angle θ2 usually formed is 5.625 to 75 degrees, respectively). And, preferably, extending in a diagonal direction at an angle of 45 degrees, respectively, so that the diagonal extension part 130-the support part 120-the accommodation part 110-the support part 120-the diagonal extension part 130 are In order to form a 'W' form, the user's 30 elbows left, right side of the extremely low utilization of the unnecessary top plate is removed, both arms 310 when the arms are naturally spread open between the 310 Within interval That is, the user can easily extend the arm to use the diagonal extension portion 130 is located in the high utilization portion to secure the required area of the top plate sufficiently. Therefore, the user 30 can place objects on the diagonal extension part 130 existing in the diagonal desk top plate 10, which can naturally spread out the arms, as well as the conventional front desk top panel 10 So that the desk top plate 10 can be more efficiently utilized even in the same area of the desk top plate 10.

본 발명에서 상기 책상 상판(10)은 다양한 실시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타원형, 부채꼴,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으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의 평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데, 위와 같이 책상 상판(10)이 원형, 타원형, 부채꼴,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형성하더라도,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특징 즉, 상기 대각연장부(130)-지지부(120)-수용부(110)-지지부(120)-대각연장부(130)가 순서대로 'W자' 형태를 이루게 되어, 사용자의 팔꿈치 좌,우측의 극히 활용도가 떨어지는 부분에서는 불필요한 상판을 제거하고, 양팔이 자연스럽게 펼쳐져 벌려졌을 때의 양팔 사이의 간격 내 즉, 사용자가 쉽게 팔을 뻗어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부분에서는 상기 대각연장부(130)가 위치하여 상판의 필요한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은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110), 한 쌍의 지지부(120), 한 쌍의 대각연장부(130)는 상기 책상 상판(10)의 일측에 형성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k top plate 10 in various embodiments, as shown in Figure 4, may form a planar shape of any one group consisting of circular, oval, fan, square, pentagon, hexagon, octagon,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desk top plate 10 forms a shape of any one of a circle, an ellipse, a fan, a rectangle, a pentagon, a hexagon, and an octagon, the basic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diagonal extension 130 -Support part 120-Receiving part 110-Support part 120-Diagonal extension part 130 is formed in the form of 'W' in order, the upper plate unnecessary in the extremely low utilization of the left and right elbow of the user To remove, the arms between the two when the arms are naturally spread open, that is, the user can easily extend the arm to use, the diagonal extension portion 130 is located in the high utilization portion of the upper plate Features that can be secured enough for the necessary area is maintained as it is. At this time, the receiving portion 110, a pair of support portion 120, a pair of diagonal extension portion 13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esk top plate (10).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책상 상판(10)이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110), 한 쌍의 지지부(120), 한 쌍의 대각연장부(130)가 모두 상기 사각형 책상 상판(10)의 마주보는 꼭지점을 연결하는 대각선(20)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책상 상판(10)의 전체 면적이 동일한 사각형의 책상 상판 면적 대비 절감된 면적을 가지면서도, 사용자가 실제 사용하게 되는 책상 상판(10)은 자연스럽게 양팔을 벌린 상태에서 양팔이 닿게 되는 즉, 활용빈도가 높은 부분에서는 넓은 면적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활용성은 극대화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참고로, 도 10을 참조하면, 책상 상판(10)이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갖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수용부(110), 한 쌍의 지지부(120), 한 쌍의 대각연장부(130)가 직사각형 평면의 꼭지점 부위에 형성되는 것에서 벗어나 꼭지점에서 장변방향으로 일정 길이 내입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직사각형 평면 형상의 특성상 단변 길이방향보다 긴 장변 길이방향의 책상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즉, 직사각형 형태에서도 단순히 꼭지점에 상기 수용부(110), 한 쌍의 지지부(120), 한 쌍의 대각연장부(13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팔길이를 고려할 때)긴 장변 길이방향에 위치하는 대각연장부에 대한 활용성은 떨어지게 되기 때문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긴 장변 길이방향의 책상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desk top plate 10 forms a rectangular planar shape, the receiving portion 110, a pair of support portion 120, a pair All of the diagonal extension 130 is arranged symmetrically about a diagonal line 20 connecting the vertices facing the rectangular desk top plate 10, so that the total area of the desk top plate 10 shown in FIG. The desk top plate 10, which is actually used by the user, while having a reduced area compared to the same top desk area of the same square, secures a large area in the areas where the arm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arms are naturally spread, that is, high frequency of utilization. Because of this, utilization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For reference, referring to FIG. 10, when the desk top plate 10 has a rectangular planar shape, the accommodating part 110, the pair of support parts 120, and the pair of diagonal extension parts 130 are rectangular planes. It can be formed in the form formed in a state in which a certain length is embedded in the long side direction from the vertex, in this cas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desk in the long side length direction longer than the short side length in the characteristic of the rectangular plane shape For sake. That is, even in a rectangular shape, when the receiving portion 110, a pair of support portion 120, a pair of diagonal extension portion 130 is formed at the vertices (in consideration of the arm length of the user) long long side direction Since the usability of the diagonal extension portion located in the drop is reduced, by forming as shown in Figure 1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long longitudinal longitudinal desk.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W자형 책상을 활용하여 2인용 이상의 다인용 책상을 제작하여 활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다인용 책상 역시 기존 책상과는 다른 특유의 특징과 효과를 갖게 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tilizing the W-shaped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produce a multi-person desk for two or more people. The multi-person desk also has unique features and effect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desk.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W자형 책상을 활용한 2인용 책상을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2인용 책상은 상기 도 5에 도시되어 있던 1인용 책상 2개를 좌우로 각각 연결시킨 형태로 볼 수 있다. 즉, 상기 책상 상판(10)은 정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110), 한 쌍의 지지부(120), 한 쌍의 대각연장부(130)는 상기 책상 상판(10)의 마주보는 꼭지점을 연결하는 대각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일 W자형 책상의 우측 대각연장부(130)가 위치하는 면과 타 W자형 책상의 좌측 대각연장부(130)가 위치하는 면을 서로 접합시키는 형태를 갖게 된다. 앞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 지적한 바와 같이, 종래의 사각형 책상 상판을 갖는 책상을 붙여 2인용 책상으로 활용하는 예들에서는 책상을 좌우로 붙이게 되면 양 사용자의 시선이 서로 동일 방향을 보게 되어 인접한 사용자가 서로 이야기를 나누고자 하는 경우에는 허리를 거의 90도 각도로 틀어 마주보고 대화를 나누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함은 물론, 여기서도 역시 사용자의 팔이 자연스럽게 벌려진 상태를 벗어난 부분의 책상 상판은 사용되지 않게 되는 문제를 여전히 내포하게 된다. 그에 반해,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인용 책상은 인접한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시선을 마주치지 않게 하면서도 대략 45도 각도로만 시선이나 몸을 틀면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눌 수 있게 됨은 물론, 사각형 책상 2개를 맞댄 것에 비해 보다 작은 책상 상판 면적을 갖으면서도 책상 상판(10)의 모든 부분이 자연스럽게 벌린 사용자의 양팔 간격 내에 포함되어 활용빈도가 높게 되어 활용성을 극대화시키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인용 책상에서 사용자들의 정면 측 즉, 접합된 일 W자형 책상의 좌측 대각연장부(130)와 타 W자형 책상의 우측 대각연장부(130) 전체를 연하여 형성되는 부분에는 별도의 수납부(140) 즉, 책장을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6, when looking at a two-person desk utilizing a W-shaped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person desk shown in FIG. 6 connects two single-person desks shown in FIG. 5 to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It can be seen in the form. That is, the desk top plate 10 has a square planar shape, and the receiving portion 110, the pair of support portions 120, and the pair of diagonal extension portions 130 face the desk top plate 10. It is arranged symmetrically about a diagonal line connecting vertices, and the side where the right diagonal extension 130 of one W-shaped desk is located and the side where the left diagonal extension 130 of the other W-shaped desk are located. It will have a form of bonding to each other. As pointed out above, as pointed out in the prior art, when a desk having a conventional rectangular desk top is attached and used as a desk for two people, when the desk is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the eyes of both users are seen in the same direction, If you want to share a story, it is inconvenient to have to talk with your back at almost 90 degrees and you will not be able to use the desk top of the part where your arms are naturally open. . On the contrary, the two-person de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allows the adjacent user not to directly face the eye, but may naturally communicate when the eye or the body is twisted at only about 45 degrees. Compared to the two desks, while having a smaller desk top surface area, all parts of the desk top plate 10 are naturally included in the gaps between the arms of the user, which are frequently used to maximize utiliza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front of the user of the two-person desk, that is, the left diagonal extension portion 130 of the bonded one W-shaped desk and the right diagonal extension portion 130 of the other W-shaped desk as a whole It is possible to use a separate storage unit 140, that is, bookshelves are arranged in the portion formed by the sof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2인용 책상을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책상 상판(10)은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110), 한 쌍의 지지부(120), 한 쌍의 대각연장부(130)는 상기 책상 상판의 마주보는 꼭지점을 연결하는 대각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되면서, W자 형태를 이루는 상기 수용부(110), 한 쌍의 지지부(120), 한 쌍의 대각연장부(130)가 상기 직사각형 형태의 책상 상판(10)의 마주보는 꼭지점 부위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2인용 책상을 이용하는 각 사용자가 서로 정면으로 마주보지 않게 하면서도 각 사용자의 활용면적을 높이게 된다. 즉, 통상적으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는 종래의 2인용 책상들에서는 마주보게 되는 사용자들이 서로 정면으로 마주보게 되어 사용 중 서로 어색한 시선이 교차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도 7에서와 같은 2인용 책상의 경우 W자 형태를 이루는 상기 수용부(110), 한 쌍의 지지부(120), 한 쌍의 대각연장부(130)를 직사각형 형태의 책상 상판(10)의 마주보는 꼭지점에 각각 위치시켜 마주 앉게 되는 사용자들의 시선이 서로 정면으로 교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 특유의 기술적 특징 즉, 책상 상판(10)의 모든 부분이 자연스럽게 벌린 사용자의 양팔 간격 내에 포함되어 활용빈도가 높게 되어 활용성을 극대화시키는 특징을 갖게 된다.
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two-person desk as shown in Figure 7, in this case the desk top plate 10 forms a rectangular planar shape, the receiving portion 110 The pair of support parts 120 and the pair of diagonal extension parts 130 are arranged symmetrically about diagonal lines connecting opposite vertices of the desk top, the receiving part 110 having a W shape. ), A pair of support portions 120 and a pair of diagonal extension portions 130 are formed at opposite vertex portions of the rectangular desk top plate 10 so that each user using a two-person desk is in front of each other. It will increase the utilization area of each user without facing each other. That is, in the conventional two-person desks that are usually arranged in the form of facing each other, the users facing each other face to face in front of each other when the awkward gaze crosses each other during use, as shown in FIG. In the case of a cited desk, the receiving portion 110, the pair of support portions 120, and the pair of diagonal extension portions 130 having a W-shape are placed at opposite vertices of the rectangular desk top plate 10,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yes of the users facing each other to face each other, as well as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at is, all parts of the desk top plate 10 is included in the gap between the arms of the user naturally open The frequency of utilization is high, which has the characteristic of maximizing utilization.

도 8 내지 9에서는 그 외 다인용 책상을 형성하는 다양한 예들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책상 상판(10)이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110), 한 쌍의 지지부(120), 한 쌍의 대각연장부(130)가 각각 상기 책상 상판(10)의 네 꼭지점 부위에 모두 형성됨으로써, 공간 낭비를 줄이고 각 사용자의 활용면적을 높인 4인용 책상을 형성하는 예이다. 이와 같이, W자 형태를 이루는 상기 수용부(110), 한 쌍의 지지부(120), 한 쌍의 대각연장부(130)가 사각형 형태의 책상 상판(10)에서 각각의 꼭지점 부위에 형성되어 4인용 책상을 형성하게 되면, 책상 상판(10) 전체의 공간 낭비를 줄이면서 상대적으로 각 사용자의 활용면적은 높일 수 있게 된다. 8 to 9 illustrate various examples of forming other multi-purpose desk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the desk top plate 10 forms a rectangular planar shape, and the accommodation unit 110 is provided. A pair of support parts 120 and a pair of diagonal extension parts 130 are respectively formed at four vertices of the desk top plate 10, thereby reducing space waste and increasing the utilization area of each user. It is an example to form. As such, the accommodating part 110, the pair of support parts 120, and the pair of diagonal extension parts 130 having a W shape are formed at each vertex of the desk top plate 10 having a quadrangular shape. Forming the cited desk, while reducing the waste of the entire desk top plate 10 can be relatively increased utilization area of each user.

또한,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책상 상판(10)이 원형의 평면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110), 한 쌍의 지지부(120), 한 쌍의 대각연장부(130)가 각각 상기 원형 책상 상판(10)의 외주면을 따라 180도, 120도, 90도, 72도, 60도, 45도 중 어느 하나의 간격으로 형성됨으로써, 공간 낭비를 줄이고 각 사용자의 활용면적을 높인 2 내지 8인용 책상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예이다(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2 내지 8인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9의 (1)은 3인용, (2)는 4인용, (3)은 5인용 책상의 예이다. 이와 같이 원형의 책상 상판(10)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원형의 원주형태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상기 수용부(110), 한 쌍의 지지부(120), 한 쌍의 대각연장부(130)가 W자 형태를 이루게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9, the desk top plate 10 forms a circular planar shape, the receiving portion 110, a pair of support portion 120, a pair of diagonal extension portion 130 Are formed at intervals of any one of 180 degrees, 120 degrees, 90 degrees, 72 degrees, 60 degrees, and 45 degre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desk top plate 10, respectively, reducing space wastage and increasing the utilization area of each user. It is an example of forming any one of the desk for 2 to 8 persons (for referen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2 to 8 persons as described above, but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9 is an example of a desk for three, (2) for four, and (3) for a five-person desk. When using the circular desk top plate 10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the receiving portion 110, the pair of support portions 120, and the pair of diagonal extensions 130 are naturally W-shaped using a circular circumferential shape. Will have the advantage of achieving.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to the scope.

10: 책상 상판
110: 수용부 120: 지지부 130: 대각연장부
140: 수납부
20: 대각선 30: 사용자 310: 양팔
10: Desk top
110: accommodating part 120: support part 130: diagonal extension part
140:
20: Diagonal 30: User 310: Both arms

Claims (8)

책상 상판에 있어서,
사용자가 책상에 밀착되도록 사용자 몸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수용부에 위치한 사용자의 양팔이 지지될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에서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양팔을 벌렸을 때 손이 닿는 위치에 물건을 놓을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는 한 쌍의 대각연장부를 포함하며,
대각연장부-지지부-수용부-지지부-대각연장부가 순서대로 W자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자형 책상.
On the desk top,
Receiving portion to form a space that can accommodate the user's bod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esk,
A pair of support portion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to provide an area in which both arms of the user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can be supported;
Including a pair of diagonal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pair of support each in a diagonal direction to provide an area for the user to place the object when the user naturally open arms arms reach,
W-shaped desk,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gonal extension-supporting-accommodating-supporting-diagonal extension forming a W-shape in ord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대각연장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부로부터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도는 5.625~75도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W자형 책상.
The method of claim 1,
The W-shaped desk,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of the pair of diagonal extensions extending in a diagonal direction from the pair of support portions, respectively, is an angle of 5.625 to 75 degre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으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의 평면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 한 쌍의 지지부, 한 쌍의 대각연장부는 상기 책상 상판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자형 책상.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sk top forms a planar shape of any one group consisting of a circle, an oval, a rectangle, a pentagon, a hexagon, and an octagon,
The accommodating part, a pair of support parts, a pair of diagonal extension portion W-shaped des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one side of the desk top pla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은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 한 쌍의 지지부, 한 쌍의 대각연장부는 상기 책상 상판의 마주보는 꼭지점을 연결하는 대각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자형 책상.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sk top forms a rectangular planar shape,
The accommodating part, a pair of support parts, a pair of diagonal extension parts W-shaped desk,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horizontally symmetrically around a diagonal connecting the vertices facing the desk top pla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은 정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 한 쌍의 지지부, 한 쌍의 대각연장부는 상기 책상 상판의 마주보는 꼭지점을 연결하는 대각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일 W자형 책상의 우측 대각연장부가 위치하는 면과 타 W자형 책상의 좌측 대각연장부가 위치하는 면을 서로 접합시키고,
접합된 일 W자형 책상의 좌측 대각연장부와 타 W자형 책상의 우측 대각연장부 전체를 연하여 수납부를 형성하여, 공간 낭비를 줄이고 각 사용자의 활용면적을 높인 2인용 책상을 형성하는 W자형 책상.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sk top forms a square planar shape,
The accommodating part, a pair of support parts, and a pair of diagonal extension parts are arranged symmetrically about a diagonal line connecting vertices facing the desk top plate,
Join the surface where the right diagonal extension of one W-shaped desk is located and the surface where the left diagonal extension of another W-shaped desk are located,
W-shaped desk that forms an accommodating part by connecting the left diagonal extension part of the joined one W-shaped desk and the right diagonal extension part of the other W-shaped desk, thereby reducing the waste of space and increasing the utilization area of each user.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은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 한 쌍의 지지부, 한 쌍의 대각연장부는 상기 책상 상판의 마주보는 꼭지점을 연결하는 대각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W자 형태를 이루는 상기 수용부, 한 쌍의 지지부, 한 쌍의 대각연장부가 상기 직사각형 형태의 책상 상판의 마주보는 꼭지점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각 사용자가 서로 정면으로 마주보지 않게 하면서도 각 사용자의 활용면적을 높인 2인용 책상을 형성하는 W자형 책상.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sk top forms a rectangular planar shape,
The accommodating part, a pair of support parts, and a pair of diagonal extension parts are arranged symmetrically about a diagonal line connecting vertices facing the desk top plate,
The accommodating portion, a pair of support portions, and a pair of diagonal extensions forming the W-shape are formed at opposite vertex portions of the rectangular desk top, so that each user does not face each other in front of each other. W-shaped desk that forms a two-person desk with an increased are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은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 한 쌍의 지지부, 한 쌍의 대각연장부는 상기 책상 상판의 네 꼭지점 부위에 모두 형성되어, 공간 낭비를 줄이고 각 사용자의 활용면적을 높인 4인용 책상을 형성하는 W자형 책상.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sk top forms a rectangular planar shape,
The accommodating part, a pair of support parts, and a pair of diagonal extension parts are formed at all four corners of the upper table of the desk, thereby reducing a waste of space and forming a four-person desk that increases the utilization area of each us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은 원형의 평면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 한 쌍의 지지부, 한 쌍의 대각연장부는 상기 원형 책상 상판의 외주면을 따라 180도, 120도, 90도, 72도, 60도, 45도 중 어느 하나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공간 낭비를 줄이고 각 사용자의 활용면적을 높인 2 내지 8인용 책상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W자형 책상.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sk top forms a circular planar shape,
The accommodating part, the pair of support parts, and the pair of diagonal extension parts are formed at intervals of any one of 180 degrees, 120 degrees, 90 degrees, 72 degrees, 60 degrees, and 45 degre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desk top plate. The W-shaped desk forms one of two to eight-person desks that reduces waste and increases the utilization area of each user.
KR1020120023215A 2012-03-07 2012-03-07 A W-Type Desk KR1014210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215A KR101421071B1 (en) 2012-03-07 2012-03-07 A W-Type De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215A KR101421071B1 (en) 2012-03-07 2012-03-07 A W-Type Des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014A true KR20130119014A (en) 2013-10-31
KR101421071B1 KR101421071B1 (en) 2014-07-18

Family

ID=49636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215A KR101421071B1 (en) 2012-03-07 2012-03-07 A W-Type De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07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789B1 (en) * 2019-07-01 2020-06-01 한국패션산업연구원 Sewing table with worker area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6029U (en) * 1985-09-10 1987-03-20
KR200262902Y1 (en) * 2001-11-15 2002-03-18 유재일 Desk which can control height
KR20040106842A (en) * 2003-06-11 2004-12-18 주식회사 유일산업 The plate for 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1071B1 (en) 2014-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427433U (en) Noon break pillow
WO2015078302A1 (en) Multifunctional afternoon nap pillow
KR20130119014A (en) A w-type desk
CN103169279A (en) Combined type table and chair
CN203234263U (en) Standing type table and seat
CN210471745U (en) Combined pillow
CN210185202U (en) Height-adjustable pillow
CN210471753U (en) Waist pillow
CN209202483U (en) Office chair
CN203302710U (en) Seat cushion
CN206534450U (en) A kind of novel pillow and pillow part combination
CN205030928U (en) Health -care pillow
CN104026897A (en) Human body bed-table type foldable swivel chair
CN203597662U (en) Multifunctional noon break pillow
CN204049003U (en) Multifunctional pillow
CN204378670U (en) A kind of Portable armguard pillow
CN210383485U (en) Novel pillow
CN203168495U (en) Combined table and chair
JP7190075B2 (en) furniture
TWM552787U (en) Prone sleeping pillow
CN212325933U (en) Desktop elastic pillow for noon break
CN206275527U (en) Air-permeable pillow
CN208755560U (en) A kind of Combined type nursing pillow
KR200365343Y1 (en) Office desk
CN209450140U (en) s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220

Effective date: 201310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