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8838A - 조준경의 영점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조준경의 영점 조정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18838A KR20130118838A KR1020130092025A KR20130092025A KR20130118838A KR 20130118838 A KR20130118838 A KR 20130118838A KR 1020130092025 A KR1020130092025 A KR 1020130092025A KR 20130092025 A KR20130092025 A KR 20130092025A KR 20130118838 A KR20130118838 A KR 201301188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ner case
- click
- moving
- mesh
- adjust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54—Devices for testing or checking ; Tools for adjustment of sights
- F41G1/545—Tools for adjustment of sigh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42—Tube sights; Bar sights ; Combinations of tubular fore and rearsigh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1/00—Details of sighting or aiming apparatus; Accessor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08—Aiming or laying means with means for compensating for speed, direction, temperature, pressure, or humidity of the atmosp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준경은 아우터케이스(20); 상기 아우터케이스(20) 내부에 배치된 제 1, 2 이너케이스(30)(40);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에 형성된 제 1 망선(31)을 위치 이동시키는 제 1 크리크 조정유닛(50);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에 형성된 제 2 망선(41)을 위치 이동시키는 제 2 크리크 조정유닛(60)을 포함하고, 1발의 영점 사격만으로도 영점조정을 완료할 수 있기 때문에, 탄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영점 조정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대폭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준경의 영점 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발의 사격만으로도 영점 조정이 가능한 조준경의 영점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총기에는 정밀한 사격을 위해 조준경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조준경에는 타겟의 사격지점을 조정하기 위한 조준선이 형성되며, 상기 조준선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클릭조정구가 설치된다.
상기 클릭조정구는 사격자가 정조준 사격을 했을 경우 탄알이 조준한 목표물에 정확히 명중하도록 조준선을 이동시키는 조정구로써, 수평클릭조정구와 수직클릭조정구로 구성되어 있다. 수평클릭조정구는 조준선을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클릭조정구이고, 수직클릭조정구는 조준선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클릭조정구이며 모두 동일한 구조 및 구성을 가지고 있다. 사격자는 총기의 수평클릭조정구 및 수직클릭조정구를 적절하게 조작하여 목표물을 명중시킬 수 있도록 조준선을 조정하여 보관하고 점검한다. 총기의 클릭조정구는 그 특성상 사격자가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야 하고, 편리하고 신속하게 다룰 수 있는 조건을 필요로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준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종래의 조준경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25368에 기재된 고안으로서, 조준렌즈케이스(1)에 다수의 분할홈(2)을 가진 고정축(3)이 나착되고, 고정축(3)의 내부에 조정홈(4) 및 관통공(5)을 가진 조정나사(6)가 나삽되어 있으며, 보호캡(7)이 고정축(3)의 외륜에 나합되어 조정나사(6)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조정나사(6)의 관통공(5)에는 테이퍼핀(8)이 내삽된 후 스프링(9)이 내삽되고 그 후미를 육각홈나사(10)를 나합하여 마감한 것으로 테이퍼핀(8)은 스프링(9)에 의해 탄성을 갖게 된다. 또한, 분할홈(2)은 고정축(3)의 내륜의 원주를 일정한 간격으로 미세하게 분할하여 홈을 형성해 놓은 것으로 스프링(9)에 의해 탄성이 주어진 테이퍼핀(8)이 분할홈(2)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클릭조정구는 조정홈(4)에 동전이나 드라이버 등으로 끼워 돌리면 조정나사(6)가 회전하고, 조정나사(6)가 회전하면 조정나사(6)의 나선에 따라 조정나사(6)가 조여들거나 풀리게 된다. 조정나사(6)가 조여들거나 풀림에 따라 조정나사(6)는 조준렌즈(c)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조준렌즈(c)를 좌우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판스프링(d)은 조정나사(6)를 풀 경우 조준렌즈(c)를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조정나사(6)를 회전함에 있어 분할홈(2)에 밀착된 테이퍼핀(8)은 조정나사(6)를 일정한 각도만큼씩 회전시켜 조정자가 회전을 단속하여 회전각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1클릭이라고 함은 한 개의 분할홈(2)을 회전하여 얻은 회전각에 따른 조정나사(6)의 조임거리 또는 풀림거리이며, 조정나사(6)의 조임거리 또는 풀림거리에 따라 조준렌즈(c)의 이동거리가 결정된다.
즉, 한 개의 분할홈(2)을 회전하여 얻은 회전각에 따른 조준렌즈(c)의 이동거리를 말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클릭조정구는 지금까지의 조준선을 정렬하는 표준으로 자리 잡아 왔으나, 사격거리에 따른 융통성이 없어 그 한계를 지니게 된다.
예를 들자면, 종래에는 50m거리의 사격에서 영점 사격을 하여 클릭을 조정한 후에 800m거리의 사격을 할 경우, 또 다시 영점 사격을 하거나 통용되는 설정치 만큼의 클릭을 조정해 주어야 한다.
또한, 종래의 조준경의 영점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여러 발의 영점 사격을 한 후 복수개의 탄착지점의 중간으로 클릭조정구를 조정하여 조준선을 정렬해야 하고, 이로 인해 영점조정을 위한 시간 및 탄 소모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1발의 사격만으로도 영점 조정이 가능한 조준경의 영점 조정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아우터케이스(20); 상기 아우터케이스(20) 내부에 배치된 제 1, 2 이너케이스(30)(40);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에 형태로 형성된 제 1 망선(31)을 위치 이동시키는 제 1 크리크 조정유닛(50);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에 형태로 형성된 제 2 망선(41)을 위치 이동시키는 제 2 크리크 조정유닛(60)을 포함하는 조준경의 영점조정방법에 있어서, 사격자가 총을 정조준하여 1발의 영점 사격을 실시시하는 단계(S10); 상기 사격 시 발생된 표적의 총탄 흔적으로 상기 제 1 크리크 조정기구(50)를 통해 제 1 이너케이스(30)의 형태의 제 1 망선(31)을 이동시키는 단계(S20); 상기 제 2 크리크 조정기구(60)를 통해 상기 이동된 제 1 망선(31)의 위치로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의 형태의 제 2 망선(41)을 이동시킨 후 형태로 결합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조준경의 영점조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아우터케이스(20); 상기 아우터케이스(20) 내부에 배치된 제 1, 2 이너케이스(30)(40);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에 형태로 형성된 제 1 망선(31)을 위치 이동시키는 제 1 크리크 조정유닛(50);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에 형태로 형성된 제 2 망선(41)을 위치 이동시키는 제 2 크리크 조정유닛(60)을 포함하는 조준경의 영점조정방법에 있어서, 사격자가 총을 정조준하여 1발의 영점 사격을 실시시하는 단계(S10); 상기 사격 시 발생된 표적의 총탄 흔적으로 상기 제 1 크리크 조정기구(50)를 통해 제 1 이너케이스(30)의 형태의 제 1 망선(31)을 이동시키는 단계(S20); 상기 제 2 크리크 조정기구(60)를 통해 상기 이동된 제 1 망선(31)의 위치로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의 형태의 제 2 망선(41)을 이동시킨 후 형태로 결합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조준경의 영점조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아우터케이스(20); 상기 아우터케이스(20) 내부에 배치된 제 1, 2 이너케이스(30)(40);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에 형태로 형성된 제 1 망선(31)을 위치 이동시키는 제 1 크리크 조정유닛(50);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에 형태로 형성된 제 2 망선(41)을 위치 이동시키는 제 2 크리크 조정유닛(60)을 포함하는 조준경의 영점조정방법에 있어서, 사격자가 총을 정조준하여 1발의 영점 사격을 실시시하는 단계(S10); 상기 사격 시 발생된 표적의 총탄 흔적으로 상기 제 1 크리크 조정기구(50)를 통해 제 1 이너케이스(30)의 형태의 제 1 망선(31)을 이동시키는 단계(S20); 상기 제 2 크리크 조정기구(60)를 통해 상기 이동된 제 1 망선(31)의 위치로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의 형태의 제 2 망선(41)을 이동시킨 후 형태로 결합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조준경의 영점조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준경은 1발의 영점 사격만으로도 영점조정을 완료할 수 있기 때문에, 탄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영점 조정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대폭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준경은 1발의 영점 사격만으로 영점 조정이 완료되기 때문에 거리 변화에 따른 영점조정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준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준경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준경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단면도
도 7은 도 4의 개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준경의 영점조정과정이 도시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점 조정과정이 도시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2 망선이 도시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준경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준경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단면도
도 7은 도 4의 개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준경의 영점조정과정이 도시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점 조정과정이 도시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2 망선이 도시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준경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준경의 영점조정과정이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점 조정과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준경은 아우터케이스(20)와, 상기 아우터케이스(20) 내부에 배치된 제 1, 2 이너케이스(30)(40)와,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에 형성된 제 1 망선(reticle, 31)을 위치 이동시키는 제 1 크리크 조정유닛(50)과,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에 형성된 제 2 망선(41)을 위치 이동시키는 제 2 크리크 조정유닛(60)을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케이스(20)는 전후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 1, 2 이너케이스(30)(40)가 삽입되며, 상기 제 1, 2 이너케이스(30)(40)는 상기 아우터케이스(20)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광원을 통과시킨다.
더불어 상기 아우터케이스(20)에는 접안렌즈(21) 및 접물렌즈(2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케이스(20)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렌즈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조준경 내부에는 다수개의 렌즈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렌즈 중 하나에 상기 제 1 망선(31)이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망선(31)이 형성된 렌즈를 제 1 망선렌즈(35)라고 하겠다.
여기서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의 구조는 종래 조준경에서 조준렌즈가 설치되는 구조와 동일하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도 빛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케이스(20)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렌즈가 배치된다. 여기서 렌즈 중 하나에 상기 제 2 망선(41)이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망선(41)이 형성된 렌즈를 제 2 망선렌즈(45)라고 하겠다.
그리고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도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와 같이 종래 조준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 1, 2 이너케이스(30)(40)는 종래 조준경의 구조를 차용하여 설치될 수 있으나, 상기 제 1, 2 이너케이스(30)(4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로 배열되어 빛을 투과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 1, 2 이너케이스(30)(40)의 제 1, 2 망선렌즈(35)(45)를 개별적으로 조정하여 상기 제 1, 2 망선(41)을 개별적으로 위치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크리크 조정유닛(50)은 상기 제 1 망선(31)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물이고, 상기 제 2 크리크 조정유닛(60)은 상기 제 2 망선(41)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물이다.
상기 제 1 크리크 조정유닛(50)은 종래기술에 언급된 것과 같이, 종래 조준경의 조준렌즈를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물이고, 상하 조정모듈(52)과 좌우 조정모듈(5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크리크 조정유닛(50)의 작동원리는 종래 기술과 같이 조정나사(6)를 돌려 상기 조정나사(6)에 의해 조준렌즈(c)가 이동되는 구조이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는 정도의 일반적인 기술이다. 본 발명은 제 1 크리크 조정유닛(50)의 내부 구성 및 작동구조에 관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 2 크리크 조정유닛(60)도 상하 조정모듈(62)과 좌우 조정모듈(63)로 구성되고, 그 작동 구성은 상기 제 1 크리크 조정유닛(50)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조정모듈(52)(53)(62)(63)의 작동구조 및 구성이 동일한바 하나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조정모듈(52)(53)(62)(63)은 상기 아우터케이스(20)에 설치된 조정하우징(71)과, 상기 조정하우징(71)에 배치되어 상기 조정하우징(71)과 나사 결합되고 상기 아우터케이스(20)를 관통하게 배치되는 조정나사(72)와, 상기 아우터케이스(2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너케이스(30)(40)를 지지하는 탄성부재(73)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73)는 상기 아우터케이스(20) 및 제 1 이너케이스(30) 사이 및 상기 아우터케이스(20) 및 제 2 이너케이스(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2 이너케이스(30)(4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73)는 일측이 상기 아우터케이스(2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 1, 2 이너케이스(30)(40)를 각각 탄성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를 지지하는 탄성부재(73)는 상기 제 1 크리크조정유닛(50)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크리크조정유닛(50)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게된다.
더불어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를 지지하는 탄성부재(73)는 제 2 크리크조정유닛(60)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크리크조정유닛(50)에 의해 이동되는 제 2 이너케이스(40)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73)의 설치구조는 종래기술에서도 설명된 바와 같이 아우터케이스(20)에 설치되어 제 1 망선렌즈(35) 또는 제 2 망선렌즈(45)를 탄성지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조정하우징(71)에 나사 결합된 상기 조정나사(72)가 소정각도 회전되면 상기 조정나사(72)가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이너케이스(30)(40)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면서 상기 제 1 망선(31) 또는 상기 제 2 망선(41)을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2 이너케이스(30)(40)는 상기 탄성부재(73)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있는 바, 상기 조정나사(72)를 통해 가해진 외력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정나사(72) 및 조정하우징(71) 사이에는 상기 조정나사(72)의 회전 시 조작감을 제공하기 위한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정나사(7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너케이스(30)(40)가 밀려 이동되는 구조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이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제 1, 2 크리크 조정유닛(50)(60)에 의해 상기 제 1, 2 이너케이스(30)(40)의 위치가 개별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하 조정모듈(52)은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의 제 1 망선(31)이 표시된 제 1 망선렌즈(35)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좌우 조정모듈(53)은 상기 제 1 망선렌즈(35)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73)는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를 상기 상하 조정모듈(52) 또는 좌우 조정모듈(53) 측으로 가압시키고 있는 바,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에 초기 위치로의 복원력을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 상하 조정모듈(62) 또는 상기 좌우 조정모듈(63)은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의 제 2 망선렌즈(45)에 대하여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2 망선렌즈(35)(45)의 정밀한 이동을 위해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는 전방 측이 상기 아우터케이스(20)에 고정된 상태이고, 상기 제 1 크리크 조정기구(50)는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의 후방 측에 조작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는 후방 측이 상기 아우터케이스(20)에 고정된 상태이고, 상기 제 2 크리크 조정기구(60)는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의 전방 측에 조작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2 망선이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2 망선(31)(41)은 이동되어 서로 일치되어야 하는바 사격자가 크리크 조정 후 일치된 형상을 보다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a)에서와 같이 +가 상하로 나누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b)에서와 같이 상하 반원으로 나눠진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c)에서와 같이 원 및 정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정삼각형이 원의 내접원 또는 외접원에 일치되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d)에서와 같이 X가 상하로 나누어진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준경의 영점 조정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격자가 총을 정조준하여 1발의 영점 사격을 실시시하는 단계(S10)와, 상기 사격 시 발생된 표적의 총탄 흔적으로 상기 제 1 크리크 조정기구(50)를 통해 제 1 이너케이스(30)의 제 1 망선(31)을 이동시키는 단계(S20)와, 상기 이동된 제 1 망선(31)의 위치로 상기 제 2 크리크 조정기구(60)를 통해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의 제 2 망선(41)을 이동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영점 사격 시 상기 제 1, 2 망선(31)(41)은 서로 일치된 상태이고, 사격자는 S10 단계에서 조준경의 제 1, 2 망선(31)(41)과 표적을 일치시킨 후 정조준 사격을 실시한다.
이후, 사격자는 S20 단계에서 표적의 총탄 흔적을 확인 한 후, 상기 제 1 크리크 조정기구(50)를 통해 제 1 망선(31)이 형성된 제 1 이너케이스(30)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제 1 망선(31)과 상기 총탄 흔적을 일치시킨다.
다음으로, 사격자는 상기 S30 단계에서 이동된 상기 제 1 망선(31)에 일치되도록 상기 제 2 크리크 조정기구(50)를 통해 상기 제 2 망선(41)이 형성된 제 2 이너케이스(40)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제 1, 2 망선(31)(41)을 일치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영점 조정을 실시하는 경우 1발의 총알만으로도 조준경의 영점 조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 아우터케이스(20); 상기 아우터케이스(20) 내부에 배치된 제 1, 2 이너케이스(30)(40);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에 형태로 형성된 제 1 망선(31)을 위치 이동시키는 제 1 크리크 조정유닛(50);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에 형태로 형성된 제 2 망선(41)을 위치 이동시키는 제 2 크리크 조정유닛(60)을 포함하는 조준경의 영점조정방법에 있어서,
사격자가 총을 정조준하여 1발의 영점 사격을 실시시하는 단계(S10);
상기 사격 시 발생된 표적의 총탄 흔적으로 상기 제 1 크리크 조정기구(50)를 통해 제 1 이너케이스(30)의 형태의 제 1 망선(31)을 이동시키는 단계(S20);
상기 제 2 크리크 조정기구(60)를 통해 상기 이동된 제 1 망선(31)의 위치로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의 형태의 제 2 망선(41)을 이동시킨 후 형태로 결합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조준경의 영점조정방법.
- 아우터케이스(20); 상기 아우터케이스(20) 내부에 배치된 제 1, 2 이너케이스(30)(40);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에 형태로 형성된 제 1 망선(31)을 위치 이동시키는 제 1 크리크 조정유닛(50);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에 형태로 형성된 제 2 망선(41)을 위치 이동시키는 제 2 크리크 조정유닛(60)을 포함하는 조준경의 영점조정방법에 있어서,
사격자가 총을 정조준하여 1발의 영점 사격을 실시시하는 단계(S10);
상기 사격 시 발생된 표적의 총탄 흔적으로 상기 제 1 크리크 조정기구(50)를 통해 제 1 이너케이스(30)의 형태의 제 1 망선(31)을 이동시키는 단계(S20);
상기 제 2 크리크 조정기구(60)를 통해 상기 이동된 제 1 망선(31)의 위치로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의 형태의 제 2 망선(41)을 이동시킨 후 형태로 결합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조준경의 영점조정방법.
- 아우터케이스(20); 상기 아우터케이스(20) 내부에 배치된 제 1, 2 이너케이스(30)(40);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제 1 이너케이스(30)에 형태로 형성된 제 1 망선(31)을 위치 이동시키는 제 1 크리크 조정유닛(50);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에 형태로 형성된 제 2 망선(41)을 위치 이동시키는 제 2 크리크 조정유닛(60)을 포함하는 조준경의 영점조정방법에 있어서,
사격자가 총을 정조준하여 1발의 영점 사격을 실시시하는 단계(S10);
상기 사격 시 발생된 표적의 총탄 흔적으로 상기 제 1 크리크 조정기구(50)를 통해 제 1 이너케이스(30)의 형태의 제 1 망선(31)을 이동시키는 단계(S20);
상기 제 2 크리크 조정기구(60)를 통해 상기 이동된 제 1 망선(31)의 위치로 상기 제 2 이너케이스(40)의 형태의 제 2 망선(41)을 이동시킨 후 형태로 결합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조준경의 영점조정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2025A KR20130118838A (ko) | 2013-08-02 | 2013-08-02 | 조준경의 영점 조정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2025A KR20130118838A (ko) | 2013-08-02 | 2013-08-02 | 조준경의 영점 조정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41471 Division | 2012-04-2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8838A true KR20130118838A (ko) | 2013-10-30 |
Family
ID=49636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2025A KR20130118838A (ko) | 2013-08-02 | 2013-08-02 | 조준경의 영점 조정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11883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34383A (ko) | 2014-07-23 | 2017-03-28 |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 약제 카세트 |
-
2013
- 2013-08-02 KR KR1020130092025A patent/KR2013011883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34383A (ko) | 2014-07-23 | 2017-03-28 |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 약제 카세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21091B2 (en) | Holographic weapon sight | |
KR102652020B1 (ko) | 통합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비하는 관찰 광학 장치 | |
US10704862B2 (en) | Next generation machine gun sight (NexGen MGS) | |
US8240075B1 (en) | Adjustable bases for sighting devices | |
US20220244520A1 (en) | Dual focal plane reticles for optical sighting devices | |
US7793456B1 (en) | Gun sight reticle having adjustable sighting marks for bullet drop compensation | |
CA2763390C (en) | Solid state flexure for pointing device | |
US20150247702A1 (en) | Feedback display for riflescope | |
US8459822B1 (en) | Multiple laser sighting and illumination systems for firearms | |
US10948264B1 (en) | Dual-emitter micro-dot sight | |
US10234238B1 (en) | Reflex sight with two position-adjustable reticles | |
US20140075820A1 (en) | Firearm gun-sight | |
IL223777A (en) | Intentional shooting with multicocal collimator | |
US20180045487A1 (en) | Firearm aiming device | |
CN104677193B (zh) | 枪械准星、照门机械瞄准通用光学校正仪 | |
US20160169621A1 (en) | Integrated sight and fire control computer for rifles and other firing mechanisms | |
US20180066918A1 (en) | Small-arms weapon sight | |
CN105423816A (zh) | 一种用于红外枪用瞄准镜的校准方法 | |
US20150107147A1 (en) | Firearm Sighting Assembly | |
US11662176B2 (en) | Thermal gunsights | |
US9389045B2 (en) | Aiming device for guns | |
US11029129B1 (en) | Gun tunnel sight | |
KR20130118838A (ko) | 조준경의 영점 조정방법 | |
CN204268970U (zh) | 枪械的觇孔、滤光片快速调节装置 | |
CN203785552U (zh) | 枪支通用多光谱零位校正仪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