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493A -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493A
KR20130117493A KR1020120040210A KR20120040210A KR20130117493A KR 20130117493 A KR20130117493 A KR 20130117493A KR 1020120040210 A KR1020120040210 A KR 1020120040210A KR 20120040210 A KR20120040210 A KR 20120040210A KR 20130117493 A KR20130117493 A KR 20130117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pump
bus bar
pressure sensor
capa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훈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0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7493A/ko
Publication of KR20130117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4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5/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two or more electric motors
    • H02P5/4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two or more electric motors for speed regulation of two or more dynamo-electric motors in relation to one anoth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5/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two or more electric motors
    • H02P5/7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two or more electric motors controlling two or more ac dynamo-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ultiple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바(Bus-Bar) 단락사고시 메인 엔진이 중단되지 않도록 메인 엔진의 급유펌프 또는 냉각펌프를 구동하는 모터를 제어하는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발전기에 연결되어 발생된 전력을 선박 내의 목적별로 배전하는 제1버스바 및 제2버스바, 상기 제1버스바와 상기 제2버스바 사이의 연결을 개폐하는 상시개방형차단기, 상기 제1버스바에 연결되어 제1펌프를 50% 용량으로 구동시키는 제1모터, 상기 제2버스바에 연결되어 제2펌프를 50% 용량으로 구동시키는 제2모터, 상기 제1모터에 병렬로 연결되어 제3펌프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제3모터, 상기 제2모터에 병렬로 연결되어 제4펌프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제4모터, 상기 제1펌프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 상기 제2펌프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 상기 제3펌프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3압력센서 및 상기 제4펌프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4압력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버스바에 단락전류가 발생하면 상기 상시개방형차단기는 개방되고 상기 제1압력센서가 측정한 값이 정해진 값 이하이면 상기 제4모터가 상기 제4펌프를 50% 용량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2버스바에 단락전류가 발생하면 상기 상시개방형차단기는 개방되고 상기 제2압력센서가 측정한 값이 정해진 값 이하이면 상기 제3모터가 상기 제3펌프를 50% 용량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Multiplex Motor Parallel Drive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바(Bus-Bar) 단락사고시 메인 엔진이 중단되지 않도록 메인 엔진의 급유펌프 또는 냉각펌프를 구동하는 모터를 제어하는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이나믹 포지셔닝 시스템이란, 쓰러스터(thruster) 등의 추진장치에 의해 부유식 해양 건축물이나 선박의 위치를 유지하는 시스템으로, 모니터 시스템, 제어 시스템, 쓰러스터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버스바는 다수의 발전기(D/G)에서 발생된 전력을 선박 내의 목적별로 배전하는 경우, 분기하기 이전의 전력간선을 말한다.
버스바는 절연지지대와 공기절연을 통해 보호되는데, 절연이 파괴될 때 소위 단락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버스바(Bus-Bar) 단락사고로 인해 메인 엔진이 중단되면 다이나믹 포지션닝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메인 엔진이 중단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는 다수 개의 발전기(100)가 연결된 제1버스바(51), 다수 개의 발전기(100)가 연결된 제2버스바(52), 상기 제1버스바(51)와 상기 제2버스바(52)를 연결하는 상시폐쇄형차단기(50), 상기 제1버스바(51) 및 상기 제2버스바(52)에 연결되는 다수 개의 스러스터모터(200), 상기 제1버스바(51)에 연결되는 제1모터(10), 상기 제1모터(10)가 구동하는 제1펌프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11), 상기 제2버스바(52)에 연결되는 제2모터(20) 및 상기 제2모터(20)가 구동하는 제2펌프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제1버스바(51) 단락사고시 제1모터(10)의 작동이 중단된 시점부터 제2모터(20)가 기동하는 시점까지 메인 엔진이 중단되어 다이나믹 포지셔닝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노르웨이 선급협회(DNV)는 다이나믹 포지션닝을 유지하는데, 운전중인 펌프만을 인정하며 재기동의 경우는 인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락사고시 메인 엔진이 중단되지 않도록 메인 엔진의 급유펌프 또는 냉각펌프를 구동하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발전기에 연결되어 발생된 전력을 선박 내의 목적별로 배전하는 제1버스바 및 제2버스바, 상기 제1버스바와 상기 제2버스바 사이의 연결을 개폐하는 상시폐쇄형차단기, 상기 제1버스바에 연결되어 제1펌프를 50% 용량으로 구동시키는 제1모터, 상기 제2버스바에 연결되어 제2펌프를 50% 용량으로 구동시키는 제2모터, 상기 제1펌프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 상기 제2펌프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버스바에 단락전류가 발생하면 상기 상시개방형차단기는 개방되고 상기 제1압력센서가 측정한 값이 정해진 값 이하이면 상기 제2모터는 극수 변환되어 상기 제2펌프가 50% 용량에서 100% 용량으로 운전되며, 상기 제2버스바에 단락전류가 발생하면 상기 상시개방형차단기는 개방되고 상기 제2압력센서가 측정한 값이 정해진 값 이하이면 상기 제1모터는 극수 변환되어 상기 제1펌프가 50% 용량에서 100% 용량으로 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모터 및 상기 제2모터는 가변 주파수 제어(VFD)를 통해서 제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수의 발전기에 연결되어 발생된 전력을 선박 내의 목적별로 배전하는 제1버스바 및 제2버스바, 상기 제1버스바와 상기 제2버스바 사이의 연결을 개폐하는 상시개방형차단기, 상기 제1버스바에 연결되어 제1펌프를 50% 용량으로 구동시키는 제1모터, 상기 제2버스바에 연결되어 제2펌프를 50% 용량으로 구동시키는 제2모터, 상기 제1모터에 병렬로 연결되어 제3펌프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제3모터, 상기 제2모터에 병렬로 연결되어 제4펌프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제4모터, 상기 제1펌프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 상기 제2펌프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 상기 제3펌프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3압력센서 및 상기 제4펌프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4압력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버스바에 단락전류가 발생하면 상기 상시개방형차단기는 개방되고 상기 제1압력센서가 측정한 값이 정해진 값 이하이면 상기 제4모터가 상기 제4펌프를 50% 용량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2버스바에 단락전류가 발생하면 상기 상시개방형차단기는 개방되고 상기 제2압력센서가 측정한 값이 정해진 값 이하이면 상기 제3모터가 상기 제3펌프를 50% 용량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는 메인 엔진의 급유펌프 또는 냉각펌프를 구동시키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버스바 단락사고시에도 메인 엔진이 중단되지 않게 되어 다이나믹 포지션닝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의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미설명부호 50은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있으나 단락사고 같은 비상시에 개방되는 상시폐쇄형차단기이고, 미설명부호 300은 평상시에는 개방되어 있으나 단락사고 같은 비상시에는 폐쇄되는 상시폐쇄형차단기이다.
또한, 미설명부호 100은 발전기이고, 미설명부호 200은 선박의 쓰러스터를 구동하기 위한 쓰러스터모터이고, 미설명부호 400은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환하는 변압기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는 다수 개의 발전기(100), 제1버스바(51), 제2버스바(52), 상시개방형차단기(50), 제1모터(10), 제1펌프(미도시), 제1압력센서(11), 제2모터(20), 제2펌프(미도시) 및 제2압력센서(21)를 포함한다.
상기 제1버스바(51) 및 상기 제2버스바(52)는 다수의 발전기(100)에서 발생된 전력을 선박 내의 목적별로 배전하는 경우, 분기하기 이전의 전력간선을 말한다. 여기서, 버스바는 절연지지대와 공기절연을 통해 보호되는데, 절연이 파괴될 때 소위 단락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제1버스바(51) 및 상기 제2버스바(52)는 다수 개의 발전기(100)가 연결되며, 다수 개의 쓰러스터모터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버스바(51)와 상기 제2버스바(52)는 상기 상시폐쇄형차단기(50)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버스바(51) 또는 상기 제2버스바(52)에 단락사고가 발생하면 상기 상시폐쇄형차단기(50)가 개방되어 단락사고가 확대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1모터(10)는 상기 제1버스바(51)에 연결되어 상기 제1버스바(51)에 단락사고가 발생하면 운전을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압력센서(11)가 측정한 제1펌프의 압력은 정해진 값 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제2모터(20)는 상기 제2버스바(52)에 연결되어 상기 제2버스바(52)에 단락사고가 발생하면 운전을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압력센서(21)가 측정한 제2펌프의 압력은 정해진 값 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먼저, 정상운전시에는 상기 제1모터(10)는 상기 제1펌프를 50% 용량으로 운전하고, 상기 제2모터(20)는 상기 제2펌프를 50%의 용량으로 운전하여, 총 100%의 용량으로 운전된다.
상기 제1모터(10)는 상기 제1펌프를 50%의 용량으로 구동시키며, 상기 제1압력센서(11)는 상기 제1펌프에 연결되어 주기적으로 상기 제1펌프의 압력을 측정한다. 이때, 상기 제1펌프의 압력이 정해진 값 이하이면 상기 제1압력센서(11)는 상기 제2모터(20)에 100% 용량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모터(20)는 극수 전환되어 상기 제2펌프를 100% 용량으로 구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모터(20)는 상기 제2펌프를 50%의 용량으로 구동시키며, 상기 제2압력센서(21)는 상기 제2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제2펌프의 압력을 측정한다. 이때, 상기 제2펌프의 압력이 정해진 값 이하이면 상기 제2압력센서(21)는 상기 제1모터(20)에 100% 용량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모터(20)는 극수 전환되어 상기 제1펌프를 100% 용량으로 구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버스바(51)와 상기 제1모터(10) 사이와, 상기 제2버스바(52)와 상기 제2모터(20) 사이에는 변압기(400)가 설치되어 상기 제1모터(10) 및 상기 제2모터(20)에 정격 전압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버스바(51)에 단락사고가 발생하면 상기 제2모터(20)가 상기 제2펌프를 100% 용량으로 운전하게 되고, 상기 제2버스바(52)에 단락사고가 발생하면 상기 제1모터(10)가 상기 제1펌프를 100% 용량으로 운전하게 되므로 메인 엔진은 중단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모터(10) 및 상기 제2모터(20)는 가변 주파수 제어(VFD)를 통해서 제어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는 다수 개의 발전기(100), 제1버스바(51), 제2버스바(52), 상시폐쇄형차단기(50), 제1모터(10), 제1펌프(미도시), 제1압력센서(11), 제2모터(20), 제2펌프(미도시), 제2압력센서(21), 제3모터(30), 제3펌프(미도시), 제3압력센서(31), 제4모터(40), 제4펌프(미도시) 및 제4압력센서(41) 를 포함한다.
상기 제1버스바(51) 및 상기 제2버스바(52)는 다수 개의 발전기(100)가 연결되며, 다수 개의 쓰러스터모터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버스바(51)와 상기 제2버스바(52)는 상기 상시폐쇄형차단기(50)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버스바(51) 또는 상기 제2버스바(52)에 단락사고가 발생하면 상기 상시폐쇄형차단기(50)가 개방되어 단락사고가 확대되는 것이 방지된다.
먼저, 정상운전시에는 상기 제1모터(10)는 상기 제1펌프를 50% 용량으로 운전하고, 상기 제2모터(20)는 상기 제2펌프를 50%의 용량으로 운전하여, 총 100%의 용량으로 운전된다. 이때, 상기 제1모터(10)에는 상기 제3모터(30)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모터(20)에는 상기 제4모터(40)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3모터(30) 및 상기 제4모터(40)는 작동되지 않고 있다.
상기 제1모터(10) 및 상기 제3모터(30)는 상기 제1버스바(51)에 연결되어 상기 제1버스바(51)에 단락사고가 발생하면 운전을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압력센서(11)가 측정한 제1펌프의 압력은 정해진 값 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제2모터(20) 및 상기 제4모터(40)는 상기 제2버스바(52)에 연결되어 상기 제2버스바(52)에 단락사고가 발생하면 운전을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압력센서(21)가 측정한 제2펌프의 압력은 정해진 값 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제1모터(10)는 상기 제1펌프를 50% 용량으로 구동시키며, 상기 제1압력센서(11)는 상기 제1펌프에 연결되어 주기적으로 상기 제1펌프의 압력을 측정한다. 이때, 상기 제1펌프의 압력이 정해진 값 이하이면 상기 제1압력센서(11)는 상기 제4모터(40)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4모터(40)는 상기 제3펌프를 50% 용량으로 구동한다.
또한, 상기 제2모터(20)는 상기 제2펌프를 50% 용량으로 구동시키며, 상기 제2압력센서(21)는 상기 제2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제2펌프의 압력을 측정한다. 이때, 상기 제2펌프의 압력이 정해진 값 이하이면 상기 제2압력센서(21)는 상기 제3모터(30)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3모터(30)는 상기 제3펌프를 50% 용량으로 구동한다.
또한, 상기 제1버스바(51)에 연결된 변압기(400)에 상기 제1모터(10)와 상기 제3모터(30)를 연결하고, 상기 제2버스바(52)에 연결된 변압기(400)에 상기 제2모터(20) 및 상기 제4모터(40)를 연결하여 상기 제1모터(10), 상기 제2모터(20), 상기 제3모터(30) 및 상기 제4모터(40)에 정격 전압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버스바(51)에 단락사고가 발생하면 상기 제2모터(20)는 상기 제2펌프를 50% 용량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4모터(40)는 상기 제4펌프를 50% 용량으로 구동하며, 상기 제2버스바(52)에 단락사고가 발생하면 상기 제1모터(10)는 상기 제1펌프를 50% 용량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3모터(30)는 상기 제3펌프를 50% 용량으로 구동하여 총 100%의 용량으로 운전하게 되므로, 메인 엔진은 중단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버스바 단락사고시에도 메인 엔진이 중단되지 않게 되어 다이나믹 포지션닝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제1모터 11: 제1압력센서
20: 제2모터 21: 제2압력센서
30: 제3모터 31: 제3압력센서
40: 제4모터 41: 제4압력센서
50: 상시개방형차단기 51: 제1버스바
52: 제2버스바 100: 발전기
200: 스러스터모터 300: 상시폐쇄형차단기
400: 변압기

Claims (3)

  1. 다수의 발전기에 연결되어 발생된 전력을 선박 내의 목적별로 배전하는 제1버스바 및 제2버스바와, 상기 제1버스바와 상기 제2버스바 사이의 연결을 개폐하는 상시개방형차단기와, 상기 제1버스바에 연결되어 제1펌프를 50% 용량으로 구동시키는 제1모터와, 상기 제2버스바에 연결되어 제2펌프를 50% 용량으로 구동시키는 제2모터와, 상기 제1펌프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와, 상기 제2펌프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버스바에 단락전류가 발생하면 상기 상시개방형차단기는 개방되고 상기 제1압력센서가 측정한 값이 정해진 값 이하이면 상기 제2모터는 극수 변환되어 상기 제2펌프가 50% 용량에서 100% 용량으로 운전되며,
    상기 제2버스바에 단락전류가 발생하면 상기 상시개방형차단기는 개방되고 상기 제2압력센서가 측정한 값이 정해진 값 이하이면 상기 제1모터는 극수 변환되어 상기 제1펌프가 50% 용량에서 100% 용량으로 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모터 및 상기 제2모터는 가변 주파수 제어(VFD)를 통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
  3. 다수의 발전기에 연결되어 발생된 전력을 선박 내의 목적별로 배전하는 제1버스바 및 제2버스바, 상기 제1버스바와 상기 제2버스바 사이의 연결을 개폐하는 상시개방형차단기, 상기 제1버스바에 연결되어 제1펌프를 50% 용량으로 구동시키는 제1모터, 상기 제2버스바에 연결되어 제2펌프를 50% 용량으로 구동시키는 제2모터, 상기 제1모터에 병렬로 연결되어 제3펌프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제3모터, 상기 제2모터에 병렬로 연결되어 제4펌프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제4모터, 상기 제1펌프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 상기 제2펌프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 상기 제3펌프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3압력센서 및 상기 제4펌프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4압력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버스바에 단락전류가 발생하면 상기 상시개방형차단기는 개방되고 상기 제1압력센서가 측정한 값이 정해진 값 이하이면 상기 제4모터가 상기 제4펌프를 50% 용량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2버스바에 단락전류가 발생하면 상기 상시개방형차단기는 개방되고 상기 제2압력센서가 측정한 값이 정해진 값 이하이면 상기 제3모터가 상기 제3펌프를 50% 용량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



KR1020120040210A 2012-04-18 2012-04-18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 KR20130117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210A KR20130117493A (ko) 2012-04-18 2012-04-18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210A KR20130117493A (ko) 2012-04-18 2012-04-18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493A true KR20130117493A (ko) 2013-10-28

Family

ID=49636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210A KR20130117493A (ko) 2012-04-18 2012-04-18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749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995A (ko) 2014-05-21 2015-12-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다중 모터 속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70000161A (ko) * 2015-06-23 2017-01-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생산설비의 meg 공급 펌프 시스템 및 운전 방법
CN114336771A (zh) * 2022-03-07 2022-04-12 澄瑞电力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自适应控制的船载岸电快速并车系统及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995A (ko) 2014-05-21 2015-12-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다중 모터 속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70000161A (ko) * 2015-06-23 2017-01-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생산설비의 meg 공급 펌프 시스템 및 운전 방법
CN114336771A (zh) * 2022-03-07 2022-04-12 澄瑞电力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自适应控制的船载岸电快速并车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nsen et al. Onboard DC Grid for enhanced DP operation in ships
US10581360B2 (en) Power supply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US9325272B2 (en) Hot standby power supply for a variable frequency drive
US9941772B2 (en) Marine propulsion systems
WO2016116595A1 (en) Distribution of electric energy on a vessel
KR101258143B1 (ko) 잠수함의 개장 가능한 섹션을 위한 잠수함 연료전지장치
GB2445382A (en) Marine vessel power system
US10608427B2 (en) DC power system segregated into different protection zones
CN108702001B (zh) 多源配电系统
KR20190142703A (ko) 저압 배전이 적용된 선박
CN109565275B (zh) 配电系统和方法
EP2916419A1 (en) Power system of a floating vessel
KR20130117493A (ko) 다중모터 병렬구동 제어장치
KR20220083813A (ko) 전력 공급 시스템
JP6710111B2 (ja) 陸電受電システム及び陸電受電設備
US20220081091A1 (en) Hybrid power generation plant system and method
US11807377B2 (en) Aircraft propulsion system
KR101971854B1 (ko) 트윈-스케그형 컨테이너선의 샤프트 제너레이터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AU2016332489A1 (en) Cooling of an electric motor drive for a water-borne means of transport
KR101521818B1 (ko) Dps용 전원 공급장치
CN104065071A (zh) 一种带动力定位的平台供应船的电力系统
CN113196607A (zh) 用于具有多个区域的涉水设施的能量供应系统
TH180152A (th) ยานพาหนะ
KR20160052125A (ko) 운항중인 선박 및 신조선박에 평형 수 처리 시스템과 같은 대 전력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