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405A -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무선 전력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무선 전력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405A
KR20130117405A KR1020120039689A KR20120039689A KR20130117405A KR 20130117405 A KR20130117405 A KR 20130117405A KR 1020120039689 A KR1020120039689 A KR 1020120039689A KR 20120039689 A KR20120039689 A KR 20120039689A KR 20130117405 A KR20130117405 A KR 20130117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resonator
reflected
power
wireless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9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7405A/ko
Publication of KR20130117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4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07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of micro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07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of micro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temperature coefficients
    • H03H3/007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of micro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temperature coefficients by tuning of resonance frequenc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02A non-specified detector of a signal envelope being used in an amplifying circuit

Abstract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소스 공진기와 타겟 공진기 간의 상호 공진을 통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스 공진기와 상기 타겟 공진기가 상호 공진할 수 있는 주파수 구간을 스캐닝 하고, 상기 스캐닝 한 상기 주파수 구간에서 검출된,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상호 공진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변경한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무선 전력 수신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RECEPTION}
기술분야는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전력전송에 대한 연구는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및 휴대기기를 포함한 다양한 전기기기의 폭발적 증가로 인한 유선전력공급의 불편함 증가 및 기존 battery 용량의 한계 봉착 등을 극복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들 중 하나는 RF 소자들의 공진(resonance) 특성을 이용한다. 공진 특성을 이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전력을 공급하는 소스 디바이스와 전력을 공급받는 타겟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소스 공진기와 타겟 공진기 간의 상호 공진을 통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스 공진기와 상기 타겟 공진기가 상호 공진할 수 있는 주파수 구간을 스캐닝 하는 스캐닝 부 및 상기 스캐닝 부에서 스캐닝 한 상기 주파수 구간에서 검출된,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상호 공진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캐닝부는 상기 스캐닝 하는 상기 주파수 구간에서 주파수 별로 상기 소스 공진기를 통하여 전송된 전력 중, 상기 타겟 공진기에서 수신되지 않고 반사되는 반사전력을 검출하는 반사전력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캐닝 하는 상기 주파수 구간에서 주파수 별로 검출된, 상기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전력량이 최소인 경우의 해당 주파수로 상기 상호 공진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변경하는 공진 주파수 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진 주파수 변경부는 상기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전력량이 소정 레벨 이하의 값을 가지는 주파수 구간에 속한 주파수 중 하나로 상기 상호 공진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상기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는 포락선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포락선의 전압 레벨을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상기 상호 공진에 사용하기로 결정된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인 밴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소스 공진기를 통하여 상기 수신 디바이스가 통신하는데 필요한 웨이크 업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로드 모듈레이션(Load Modulation) 방식으로 변조되어 전송 된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소스 공진기와 타겟 공진기 간의 상호 공진을 통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스 공진기와 상기 타겟 공진기 간의 결합 계수의 변경에 따라 변화하는 공진 주파수를 추적하여 공급 디바이스로부터 상호 공진에 사용하기로 결정된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상호 공진에 사용하기로 결정된 주파수로 공진 주파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 공진기와 로드의 연결여부에 따라 반사전력량을 다르게 하는 로드 모듈레이션(Load Modulation) 방식으로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인 밴드 방식으로 상기 소스 공진기와 상기 타겟 공진기 간의 상호 공진을 통하여 상기 상호 공진에 사용하기로 결정된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 방법은 소스 공진기와 타겟 공진기 간의 상호 공진을 통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스 공진기와 상기 타겟 공진기가 상호 공진할 수 있는 주파수 구간을 스캐닝 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캐닝 한 상기 주파수 구간에서 검출된,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상호 공진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스캐닝 하는 단계는 상기 스캐닝 하는 상기 주파수 구간에서 주파수 별로 상기 소스 공진기를 통하여 전송된 전력 중, 상기 타겟 공진기에서 수신되지 않고 반사되는 반사전력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스캐닝 하는 상기 주파수 구간에서 주파수 별로 검출된, 상기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전력량이 최소인 경우의 해당 주파수로 상기 상호 공진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전력량이 소정 레벨 이하의 값을 가지는 주파수 구간에 속한 주파수 중 하나로 상기 상호 공진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상호 공진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에서, 각 주파수 별로 측정되는 반사전력량을 이용하여 최선의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결정함으로써, 무선 전력 전송 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 간의 거리 변화에 따라 결합계수가 변경됨으로써, 발생하는 통신 에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결합계수의 변화에 따른 통신 불능의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결합계수의 변화에 따른 위상 변환의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반사전력량을 이용하여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진기 및 피더에서 자기장의 분포를 나타낸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진기 및 피더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부의 피딩에 따른 공진기의 내부에서 자기장의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하, 일측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소스와 타겟 간에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에는 인 밴드 통신 방식과 아웃 밴드 통신 방식이 있다. 인 밴드 통신 방식은 소스와 타겟이 전력을 전송에 이용하는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에서 통신하는 것을 의미하고, 아웃 밴드 통신 방식은 소스와 타겟이 전력 전송에 이용하는 주파수와는 별도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소스(110) 및 타겟(120)을 포함한다. 소스(110)는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디바이스를 의미하며, 디바이스에는 패드, 단말, TV 등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모든 전자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타겟(120)은 무선 전력을 공급받는 디바이스를 의미하며, 디바이스에는 단말, TV, 자동차, 세탁기, 라디오, 전등 등 전력을 필요로 하는 모든 전자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소스(110)는 Variable SMPS(111), Power Amplifier(112), 매칭 네트워크(113), 제어부(114) 및 통신부(115)를 포함한다.
Variable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111)는 Power Supply로부터 출력되는 수십 Hz 대역의 AC 전압을 스위칭하여 DC 전압을 생성한다. Variable SMPS(111)는 일정한 레벨의 DC 전압을 출력하거나 제어부(Tx Control Logic)(114)의 제어에 따라 DC 전압의 출력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Variable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111)는 Class-E 타입의 Power Amplifier(112)가 항상 효율이 높은 포화 영역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Power Amplifier(112)의 출력 전력 레벨에 따라 공급 전압을 제어하여, 모든 출력 레벨에서 최대효율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Variable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111) 대신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용 SMPS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Variable DC/DC를 사용해야 한다. 상용 SMPS와 Variable DC/DC는 Class-E 타입의 Power Amplifier(112)가 항상 효율이 높은 포화 영역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Power Amplifier(112)의 출력 전력 레벨에 따라 공급 전압을 제어하여, 모든 출력 레벨에서 최대효율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Power Detector(116)는 Variable SMPS(111)의 출력 전류 및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류 및 전압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14)로 전달한다. 또한, Power Detector(116)는 Power Amplifier(112)의 입력 전류 및 전압을 검출할 수도 있다.
Power Amplifier(112)는 수 MHz ~ 수십 MHz 대역의 스위칭 펄스 신호에 의하여 일정한 레벨의 DC 전압를 AC 전압으로 변환함으로써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즉, Power Amplifier(112)는 기준 공진 주파수 FRef를 이용하여 Power Amplifier(112)에 공급되는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함으로써, 복수의 타겟 디바이스들에서 사용되는 통신용 전력 또는 충전용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용 전력은 0.1~1mWatt의 작은 전력을 의미하고, 충전용 전력은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로드에서 소비되는 1mWatt~200Watt의 큰 전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충전"이라는 용어는 전력을 충전하는 유닛(unit) 또는 요소(element)에 전력을 공급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충전"이라는 용어는 전력을 소비하는 유닛(unit) 또는 요소(element)에 전력을 공급하는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유닛(unit) 또는 요소(element)는 예를 들어 배터리, 디스플레이, 음성 출력 회로, 메인 프로세서, 각종 센서들을 포함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준 공진 주파수"는 소스(110)가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공진 주파수의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트래킹 주파수"는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조정된 공진 주파수의 의미로 사용된다.
제어부(114)는 "통신용 전력" 또는 "충전용 전력"에 대한 반사파를 검출하고, 검출된 반사파에 기초하여 타겟 공진기(133)와 소스 공진기(131) 사이의 미스매칭(mismatching)을 검출한다. 제어부(114)는 반사파의 포락선(envelop)을 검출함으로써, 미스 매칭을 검출하거나 반사파의 전력량을 검출함으로써 미스매칭을 검출할 수 있다.
매칭 네트워크(113)는 제어부(114)의 제어에 따라 소스 공진기(131)와 타겟 공진기(133) 간의 임피던스 미스매칭을 최적의 매칭으로 보상할 수 있다. 매칭 네트워크(113)는 캐패시터 또는 인덕터의 조합으로 제어부(114)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4)는 소스 공진기(131) 또는 Power Amplifier(112)의 출력 전압의 레벨 및 상기 반사파의 전압 레벨에 기초하여 전압정재파비(VSWR, Voltage standing wave ratio)를 계산하고, 상기 전압정재파비가 기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미스매칭이 검출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4)는 상기 전압정재파비가 기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기 설정된 N개의 트래킹 주파수 각각에 대한 전력 전송 효율을 계산하고, 상기 N개의 트래킹주파수 중 전력 전송 효율이 가장 좋은 트래킹 주파수 FBest를 결정하고, 기준 공진 주파수FRef를 상기 FBest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4)는 스위칭 펄스 신호의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4)의 제어에 의하여 스위칭 펄스 신호의 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14)는 는 Power Amplifier(112)를 제어함으로써, 타겟(120)에 전송하기 위한 변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통신부(115)는 인-밴드 통신을 통해 타겟(120)과 다양한 데이터(140)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4)는 반사파를 검출하고, 반사파의 포락선을 통해 타겟(12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제어부(114)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인-밴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변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4)는 스위칭 펄스 신호를 온/오프 함으로써, 변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4)는 델타-시그마 변조를 수행하여, 변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4)는 일정한 포락선을 가지는 펄스폭 변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4)는 소스(110)의 온도변화, 타겟(120)의 배터리 상태, 수신 전력량의 변화, 또는 타겟(120)의 온도 변화를 고려하여 타겟(120)으로 전송할 초기 무선 전력을 결정한다.
소스(110)는 온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측정 센서(도시 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겟(120)의 배터리 상태, 수신 전력량의 변화, 또는 타겟(120)의 온도 변화에 대한 정보는 통신을 통해 타겟(12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타겟(120)의 온도 변화는 타겟(12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출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4)는 소스(110)의 온도의 변화에 따라 Power Amplifier(112)로 공급되는 전압의 조정 량이 저장된 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Power Amplifier(112)로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110)의 온도가 상승한 경우, 제어부(114)는 Power Amplifier(112)로 공급되는 전압을 낮출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5)는 통신 채널을 이용하는 아웃-밴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115)는 Zigbee, Bluetooth 등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5)는 아웃-밴드 통신을 통해 타겟(120)과 데이터(140)를 전송할 수 있다.
소스 공진기(131)는 전자기(electromagnetic) 에너지(130)를 타겟 공진기(133)로 전달(transferring)한다. 소스 공진기(131)는 타겟 공진기(133)와의 마그네틱 커플링을 통해 "통신용 전력" 또는 "충전용 전력"을 타겟(120)으로 전달한다.
타겟(120)은 매칭 네트워크(121), 정류부(122), DC/DC 컨버터(123), 통신부(124) 및 제어부(125)를 포함한다.
타겟 공진기(133)는 소스 공진기(131)로부터 전자기(electromagnetic) 에너지를 수신한다. 즉, 타겟 공진기(133)는 소스 공진기(131)와의 마그네틱 커플링을 통해 소스(110)로부터 "통신용 전력" 또는 "충전용 전력"을 수신한다. 또한, 타겟 공진기(133)는 인-밴드 통신을 통해 소스(110)로부터 다양한 데이터(140)를 수신할 수 있다.
타겟 공진기(133)는 소스(110)의 온도변화, 타겟(120)의 배터리 상태, 수신 전력량의 변화, 또는 타겟(120)의 온도 변화를 고려하여 결정된 초기 무선 전력을 수신한다.
매칭 네트워크(121)는 소스(110) 측으로 보이는 입력 임피던스와 부하(Load)측으로 보이는 출력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수 있다. 매칭 네트워크(121)는 캐패시터와 인덕터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정류부(122)는 교류 전압을 정류함으로써, DC 전압을 생성한다. 즉, 정류부(122)는 타겟 공진기(133)에 수신된 교류 전압을 정류한다.
DC/DC 컨버터(123)는 정류부(122)에서 출력되는 DC 전압의 레벨을 Load에서 필요로 하는 용량에 맞게 조정한다. 예를 들어, DC/DC 컨버터(123)는 정류부(122)에서 출력되는 DC 전압의 레벨을 3~10Volt로 조정할 수 있다.
Power Detector(127)는 DC/DC 컨버터(123)의 입력단(126)의 전압과 출력단의 전류 및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입력단(126)의 전압은 소스에서 전달되는 전력의 전송 효율을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검출된 출력단의 전류 및 전압은 제어부(Rx Control Logic)(125)가 Load에 전달되는 전력을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소스(110)의 제어부(114)는 Load의 필요전력과 Load에 전달되는 전력을 고려하여, 소스(110)에서 전송해야 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통신부(124)를 통해 계산된 출력단의 전력이 소스(110)로 전달되면, 소스(110)는 전송해야 할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통신부(124)는 공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밴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5)는 타겟 공진기(133)과 정류부(122) 사이의 신호를 검출하여 수신 신호를 복조하거나, 정류부(122)의 출력 신호를 검출하여 수신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5)는 인-밴드 통신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복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5)는 매칭 네트워크(121)를 통하여 타겟 공진기(133)의 임피던스를 조정함으로써, 소스(110)에 전송하는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간단한 예로, 제어부(125)는 타겟 공진기(133)의 임피던스를 증가 시킴으로써, 소스(110)의 제어부(114)에서 반사파가 검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반사파의 발생 여부에 따라, 소스(110)의 제어부(114)는 이진수 "0" 또는 "1"을 검출할 수 있다.
통신부(124)는 "해당 타겟의 제품의 종류", "해당 타겟의 제조사 정보", "해당 타겟의 모델명", "해당 타겟의 Battery type", "해당 타겟의 충전 방식", "해당 타겟의 Load의 임피던스 값", "해당 타겟의 타겟 공진기의 특성에 대한 정보", "해당 타겟의 사용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 "해당 타겟의 소요되는 전력량", "해당 타겟의 고유의 식별자" 및 "해당 타겟의 제품의 버전 또는 규격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소스(110)의 통신부(115)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24)는 통신 채널을 이용하는 아웃-밴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124)는 Zigbee, Bluetooth 등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4)는 아웃-밴드 통신을 통해 소스(110)와 데이터(140)를 송수신 할 수 있다.
통신부(124)는 소스(110)로부터 웨이크-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Power Detector(127)는 타겟 공진기(133)에 수신되는 전력의 양을 검출하며, 통신부(124)는 타겟 공진기(133)에 수신되는 전력의 양에 대한 정보를 소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타겟 공진기(133)에 수신되는 전력의 양에 대한 정보는, "정류부(122)의 입력 전압 값 및 전류 값", "정류부(122)의 출력 전압 값 및 전류 값" 또는 "DC/DC 컨버터(123)의 출력 전압 값 및 전류 값"이다.
도 2는 결합계수의 변화에 따른 통신 불능의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 간의 거리가 변화하는 경우에, 결합계수(coupling coefficient) k가 변하게 된다. 결합계수의 변화는 최적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소스 공진기의 임피던스 및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키고, 타겟 공진기의 임피던스 및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킨다.
도 2의 그래프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부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로드 모듈레이션 방식으로, 부하를 연결하는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경우에,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수신하는 전력의 포락선을 나타낸다. 이때 전력은 전압레벨로 표시될 수 있다. 로드 모듈레이션 방식은 타겟 공진기와 부하의 연결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임피던스를 변경하고, 변경된 임피던스에 데이터를 매핑하여 데이터를 변조하는 방식이다.
그래프(210)는 스위치가 오프(off)되어 부하가 타겟 공진기와 연결되지 않는 경우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수신하는 전력의 포락선을 나타낸다. 그래프(220)는 스위치가 온(on)되어 부하가 타겟 공진기와 연결된 경우의 전송 장치에서 수신하는 전력의 포락선을 나타낸다.
6.78MHz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 간의 거리가 변화하기 전의 소스 공진기와 타겟 공진기 간의 공진 주파수이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 간의 거리가 변화한 결과, 6.78MHz에서 데이터 로우(low)와 데이터 하이(high)를 나타내는 지점(213)이 중복된다. 데이터 로우는 비트 중 0에 해당할 수 있고, 데이터 하이는 비트 중 1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런데, 지점(213)에서 데이터 로우와 데이터 하이를 나타내는 지점이 중복되므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데이터 로우와 데이터 하이를 구별할 수 없다. 따라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해석할 수 없으므로, 통신이 어려워진다.
지점(211)과 지점(221)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공진 주파수가 변경되면, 데이터 하이와 데이터 로우가 쉽게 구별될 수 있으므로, 지점(211)과 지점(221)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트래킹 할 필요가 있다.
도 3은 결합계수의 변화에 따른 위상 변환의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그래프(310)는 스위치가 오프(off)되어 부하가 타겟 공진기와 연결되지 않는 경우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수신하는 전력의 포락선을 나타낸다. 그래프(320)는 스위치가 온(on)되어 부하가 타겟 공진기와 연결된 경우의 전송 장치에서 수신하는 전력의 포락선을 나타낸다. 그래프(310)는 데이터 로우(low)에 해당하는 경우이고, 그래프(320)는 데이터 하이(high)에 해당하는 경우이다.
6.78MHz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 간의 거리가 변화하기 전의 소스 공진기와 타겟 공진기 간의 공진 주파수이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 간의 거리가 변화한 결과, 6.78MHz 데이터 로우(low)를 나타내는 지점(323)과 데이터 하이(high)를 나타내는 지점(313)의 전압 레벨이 서로 바뀌게 된다. 데이터 하이를 나타내는 전압 레벨이 데이터 로우를 나타내는 전압 레벨보다 커야,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는데, 위와 같은 경우 반대로 해석하게 된다.
데이터 로우는 비트 중 0에 해당할 수 있고, 데이터 하이는 비트 중 1에 해당할 수 있다. 지점(311)과 지점(321)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공진 주파수가 변경되면, 데이터 하이와 데이터 로우가 쉽게 구별될 수 있으므로, 지점(311)과 지점(321)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트래킹 할 필요가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스캐닝부(410), 제어부(420), 포락선 검출부(430), 모니터링부(440) 및 통신부(450)를 포함한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탑재된 소스 공진기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탑재된 타겟 공진기와의 상호 공진을 통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이하의 설명에서 수신 디바이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전기 자동차(EV, Electric Vehicle)일 수 있고,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전기 자동차의 하부 또는 상부에서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스캐닝 부(410)는 소스 공진기와 타겟 공진기가 상호 공진할 수 있는 주파수 구간을 스캐닝 한다. 상호 공진 할 수 있는 주파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종류 및 기능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파수 구간은 6.16MHz에서 7.68MHz에 해당할 수 있다. 스캐닝 부(410)는 소정 간격으로 주파수 구간을 스캐닝할 수 있다. 이때 소정 간격은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0.1MHz에 해당할 수도 있고, 0.01MHz에 해당할 수도 있다.
스캐닝부(410)는 반사전력 검출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전력 검출부(411)는 스캐닝 하는 주파수 구간에서 주파수 별로 소스 공진기를 통하여 전송된 전력 중, 타겟 공진기에서 수신되지 않고 반사되는 반사전력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스캐닝 부(410)에서 스캐닝 한 주파수 구간에서 검출된,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전력량에 기초하여 상호 공진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변경한다. 제어부(420)는 반사전력량이 최소인 경우의 해당 주파수로 상호 공진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반사전력량이 소정 레벨 이하의 값을 가지는 주파수 구간에 속한 주파수 중 하나로 상호 공진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공진 주파수 변경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공진 주파수 변경부(421)는 스캐닝 하는 주파수 구간에서 주파수 별로 검출된, 반사전력량이 최소인 경우의 해당 주파수로 상호 공진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공진 주파수 변경부(421)는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전력량이 소정 레벨 이하의 값을 가지는 주파수 구간에 속한 주파수 중 하나로 상호 공진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포락선 검출부(430)는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440)는 검출된 포락선의 전압 레벨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440)는 검출된 포락선의 전압 레벨이 최소인 경우, 제어부(420)로 해당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모니터링부(440)는 검출된 포락선의 전압 레벨이 소정 레벨 이하의 값을 가지는 주파수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4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검출된 포락선의 전압 레벨이 최소인 경우의 주파수를 새로운 공진 주파수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420)는 검출된 포락선의 전압 레벨이 소정 레벨 이하의 값을 가지는 주파수 구간에서 임의의 주파수를 새로운 공진 주파수로 결정할 수 있다.
통신부(450)는 상호 공진에 사용하기로 결정된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인 밴드 방식을 이용하여 수신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450)는 소스 공진기를 통하여 수신 디바이스가 통신하는데 필요한 웨이크 업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웨이크 업 전력은 수신 디바이스가 무선 전력 전송 장치와 통신하는데 필요한 최소 전력을 의미한다.
제어부(420)는 복조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조부(423)는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로드 모듈레이션(Load Modulation) 방식으로 변조되어 전송 된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고, 스캐닝부(410), 포락선 검출부(430), 모니터링부(440) 및 통신부(45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 예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제품을 구현하는 경우에 이들 모두를 제어부(42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들 중 일부만을 제어부(42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반사전력량을 이용하여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a)는 반사전력량이 최소인 지점에 해당하는 주파수 f1이 새로운 공진 주파수가 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b)는 반사전력량이 레벨1 과 레벨 2 사이에 해당하는 주파수 구간, 즉 주파수 f2와 주파수 f3 사이의 구간에서 임의의 주파수가 새로운 공진 주파수가 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a)를 참조하면, 반사전력량을 검출하는 시점이 실시간인 경우, f1에 해당하는 지점이 검출될 수 있다. 그러나, 임의의 간격으로 반사전력량이 검출되는 경우에 지점(501), 지점(503), 지점(505), 지점(507)에서 검출되었다고 가정하면, 검출된 지점들 중, 가장 작은 반사전력량을 가지는 지점(505)에 해당하는 주파수가 새로운 공진 주파수로 결정될 수 있다.
(b)를 참조하면, 레벨 1과 레벨 2는 소정시간 동안 검출된 반사전력량의 평균 값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f2와 f3 사이의 임의의 주파수가 새로운 공진 주파수로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통신부(610) 및 제어부(620)를 포함한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탑재된 소스 공진기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탑재된 타겟 공진기와의 상호 공진을 통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이하의 설명에서 공급 디바이스로 표현될 수 있다.
통신부(610)는 소스 공진기와 타겟 공진기 간의 결합 계수의 변경에 따라 변화하는 공진 주파수를 추적하여 공급 디바이스로부터 상호 공진에 사용하기로 결정된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통신부(610)는 인 밴드 방식으로 소스 공진기와 타겟 공진기 간의 상호 공진을 통하여 상호 공진에 사용하기로 결정된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620)는 상호 공진에 사용하기로 결정된 주파수로 공진 주파수를 변경한다.
제어부(620)는 변조부(621)를 포함할 수 있다. 변조부(621)는 타겟 공진기와 로드의 연결여부에 따라 반사전력량을 다르게 하는 로드 모듈레이션(Load Modulation) 방식으로 데이터를 변조할 수 있다. 변조부(621)는 타겟 공진기와 연결되는 로드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변조할 수도 있다. 이때, 로드의 크기는 가변저항, 가변 임피던스 등을 이용하여 조절될 수 있다.
제어부(62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고, 통신부(61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 예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제품을 구현하는 경우에 이들 모두를 제어부(62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들 중 일부만을 제어부(62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소스는 주파수 발생기, AC/DC 변환기(AC/DC converter),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LL(Phase Locked Loop), 소스 제어부(Source control logic), 포락선 검출부(Envelope detector), 필터 및 비교기(Filter & Comparator), 포락선 전압 레벨 모니터링부(Envelope voltage level monitoring), 커플러(Coupler) 및 소스 공진기를 포함한다.
주파수 발생기는 소정의 교류 신호(AC)를 생성할 수 있다. AC/DC 변환기(AC/DC converter)는 교류 신호를 소정의 직류 신호로 변환한다. 클래스 E 타입의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는 소정의 직류 신호를 타겟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 크기만큼 증폭할 수 있다. 커플러는 증폭된 신호를 소스 공진기로 전달하고, 포락선 검출부는 타겟으로부터 반사되는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한다. 포락선 전압 레벨 모니터링부는 포락선의 전압 레벨을 측정한다. 필터는 반사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필터링하고, 비교기는 반사 신호를 기준 신호와 비교하여 데이터를 복조한다.
소스 제어부는 측정된 포락선의 전압 레벨로부터 반사 신호의 크기를 계산하고, 새롭게 공진 주파수를 결정한다. 이때, 반사 신호의 크기가 가장 작은 경우의 주파수가 새로운 공진 주파수로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반사 신호의 크기가 소정 값 이하를 가지는 주파수 구간에서 임의의 주파수가 새로운 공진 주파수로 결정될 수도 있다.
PLL은 새롭게 결정된 공진 주파수로 주파수롤 변경한다. 소스 공진기는 타겟 공진기와의 상호 공진을 통하여 전력을 전송하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타겟은 타겟 공진기, 매칭회로 및 정류기(Matching circuit & Rectifier), 전압 레귤레이터(Voltage regulator), 배터리(Battery), 타겟 제어부(Target control logic),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타겟 공진기는 소스 공진기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로드 모듈레이션 방식으로 변조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매칭회로는 매칭회로의 입력 입피던스와 출력 임피던스를 매칭한다. 정류기는 타겟 공진기가 수신하는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정류한다. 전압 레귤레이터는 정류된 직류 신호를 배터리에서 요구하는 전압 레벨로 변환한다. 타겟 제어부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전압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타겟 제어부는 가변 임피던스 또는 배터리와 타겟 공진기의 연결을 트랜지스터를 통해 제어함으로써, 타겟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킬 수 있다. 타겟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킴으로써, 타겟 제어부는 로드 모듈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의 예로 NMOS(N channel Metal Oxide Semiconductor)가 사용될 수 있다. NMOS는 스위치와 같이 동작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소스 공진기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타겟 공진기 간의 상호 공진을 통하여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저장된 전력이 무선으로 전송된다.
810단계에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소스 공진기와 타겟 공진기가 상호 공진할 수 있는 주파수 구간을 스캐닝 한다.
820단계에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스캐닝 한 주파수 구간에서 검출된,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전력량에 기초하여 상호 공진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변경한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스캐닝 하는 주파수 구간에서 주파수 별로 소스 공진기를 통하여 전송된 전력 중, 타겟 공진기에서 수신되지 않고 반사되는 반사전력을 검출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스캐닝 하는 주파수 구간에서 주파수 별로 검출된,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전력량이 최소인 경우의 해당 주파수로 상호 공진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전력량이 소정 레벨 이하의 값을 가지는 주파수 구간에 속한 주파수 중 하나로 상호 공진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서 "공진기"는 소스 공진기 및 타겟 공진기를 포함한다.
도 9내지 도 11의 공진기는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된 공진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진기 및 피더에서 자기장의 분포를 나타낸다.
별도의 피더를 통해 공진기가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에는 피더에서 자기장이 발생하고, 공진기에서도 자기장이 발생한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피더(910)에서 입력 전류가 흐름에 따라 자기장(930)이 발생한다. 피더(910) 내부에서 자기장의 방향(931)과 외부에서 자기장의 방향(933)은 서로 반대 위상을 가진다. 피더(9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930)에 의해 공진기(920)에서 유도 전류가 발생한다. 이때 유도 전류의 방향은 입력 전류의 방향과 반대이다.
유도 전류에 의해 공진기(920)에서 자기장(940)이 발생한다. 자기장의 방향은 공진기(920)의 내부에서는 동일한 방향을 가진다. 따라서, 공진기(920)에 의해 피더(91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941)과 피더(910)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943)은 동일한 위상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피더(910)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기장과 공진기(92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합성하면, 피더(910)의 내부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화되고, 피더(910)의 외부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강화된다. 따라서, 도 9와 같은 구조의 피더(910)를 통해 공진기(92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 공진기(920) 중심에서 자기장의 세기가 약하고, 외곽에서 자기장의 세기가 강하다. 공진기(920) 상에서 자기장의 분포가 균일(uniform)하지 않은 경우, 입력 임피던스가 수시로 변화하므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자기장의 세기가 강한 부분에서는 무선 전력 전송이 잘되고, 자기장의 세기가 약한 부분에서는 무선 전력 전송이 잘 되지 않으므로, 평균적으로 전력 전송 효율이 감소한다.
(b)는 공진기(950)와 피더(960)가 공통의 접지를 가진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공진기(950)는 캐패시터(951)를 포함할 수 있다. 피더(960)는 포트(961)를 통하여, RF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피더(960)에는 RF 신호가 입력되어, 입력 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피더(960)에 흐르는 입력 전류는 자기장을 생성하고, 상기 자기장으로부터 공진기(950)에 유도 전류가 유도된다. 또한, 공진기(950)를 흐르는 유도 전류로부터 자기장이 발생한다. 이때, 피더(960)에 흐르는 입력 전류의 방향과 공진기(950)에 흐르는 유도 전류의 방향은 서로 반대 위상을 가진다. 따라서, 공진기(950)와 피더(960) 사이의 영역에서, 입력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971)과 유도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973)은 동일한 위상을 가지므로, 자기장의 세기가 강화된다. 반면에, 피더(960)의 내부에서는, 입력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981)과 유도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983)은 반대 위상을 가지므로, 자기장의 세기가 약화된다. 결과적으로 공진기(950)의 중심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지고, 공진기(950)의 외곽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강화될 수 있다.
피더(960)는 피더(960) 내부의 면적을 조절하여, 입력 임피던스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임피던스는 피더(960)에서 공진기(950)를 바라볼 때, 보이는 임피던스를 의미한다. 피더(960) 내부의 면적이 커지면 입력 임피던스는 증가하고, 내부의 면적이 작아지면 입력 임피던스는 감소한다. 그런데, 입력 임피던스가 감소하는 경우에도, 공진기(950) 내부의 자기장 분포는 일정하지 않으므로, 타겟 디바이스의 위치에 따라 입력 임피던스 값이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전력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와 상기 입력 임피던스의 매칭을 위해 별도의 매칭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입력 임피던스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큰 입력 임피던스를 작은 출력 임피던스에 매칭시키기 위해 별도의 매칭 네트워크가 필요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진기 및 피더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공진기(1010)는 캐패시터(1011)를 포함할 수 있다. 피딩부(1020)는 캐패시터(1011)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b)는 (a)의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이때, 공진기(1010)는 제1 전송선로, 제1 도체(1041), 제2 도체(1042), 적어도 하나의 제1 캐패시터(10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캐패시터(1050)는 제1 전송 선로에서 제1 신호 도체 부분(1031)과 제2 신호 도체 부분(1032) 사이에 위치에 직렬로 삽입되며, 그에 따라 전계(electric field)는 제1 캐패시터(1050)에 갇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전송 선로는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도체,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도체를 포함하며, 상부에 있는 도체를 통해서는 전류가 흐르며, 하부에 있는 도체는 전기적으로 그라운드 된다(grounded). 본 명세서에서는 제1 전송 선로의 상부에 있는 도체를 제1 신호 도체 부분(1031)과 제2 신호 도체 부분(1032)로 나누어 부르고, 제1 전송 선로의 하부에 있는 도체를 제1 그라운드 도체 부분(1033)으로 부르기로 한다.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기는 2 차원 구조의 형태를 갖는다. 제1 전송 선로는 상부에 제1 신호 도체 부분(103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1032)을 포함하고, 하부에 제1 그라운드 도체 부분(1033)을 포함한다. 제1 신호 도체 부분(103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1032)과 제1 그라운드 도체 부분(1033)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전류는 제1 신호 도체 부분(103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1032)을 통하여 흐른다.
또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신호 도체 부분(1031)의 한쪽 단은 제1 도체(1041)와 접지(short)되고, 다른 쪽 단은 제1 캐패시터(1050)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신호 도체 부분(1032)의 한쪽 단은 제2 도체(1042)와 접지되며, 다른 쪽 단은 제1 캐패시터(1050)와 연결된다. 결국, 제1 신호 도체 부분(1031), 제2 신호 도체 부분(1032) 및 제1 그라운드 도체 부분(1033), 도체들(1041, 1042)은 서로 연결됨으로써, 공진기는 전기적으로 닫혀 있는 루프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루프 구조'는 원형 구조,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구조 등을 모두 포함하며, '루프 구조를 갖는다고 함은' 전기적으로 닫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캐패시터(1050)는 전송 선로의 중단부에 삽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캐패시터(1050)는 제1 신호 도체 부분(103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1032) 사이에 삽입된다. 이 때, 제1 캐패시터(1050)는 집중 소자(lumped element) 및 분산 소자(distributed element)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분산 소자의 형태를 갖는 분산된 캐패시터는 지그재그 형태의 도체 라인들과 그 도체 라인들 사이에 존재하는 높은 유전율을 갖는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캐패시터(1050)가 전송 선로에 삽입됨에 따라 소스 공진기는 메타물질(metamaterial)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메타물질이란 자연에서 발견될 수 없는 특별한 전기적 성질을 갖는 물질로서, 인공적으로 설계된 구조를 갖는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들의 전자기 특성은 고유의 유전율 또는 투자율을 가지며, 대부분의 물질들은 양의 유전율 및 양의 투자율을 갖는다.
대부분의 물질들에서 전계, 자계 및 포인팅 벡터에는 오른손 법칙이 적용되므로, 이러한 물질들을 RHM(Right Handed Material)이라고 한다. 그러나, 메타물질은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유전율 또는 투자율을 가진 물질로서, 유전율 또는 투자율의 부호에 따라 ENG(epsilon negative) 물질, MNG(mu negative) 물질, DNG(double negative) 물질, NRI(negative refractive index) 물질, LH(left-handed) 물질 등으로 분류된다.
이 때, 집중 소자로서 삽입된 제1 캐패시터(1050)의 캐패시턴스가 적절히 정해지는 경우, 소스 공진기는 메타물질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제1 캐패시터(1050)의 캐패시턴스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소스 공진기는 음의 투자율을 가질 수 있으므로, 소스 공진기는 MNG 공진기로 불려질 수 있다. 제1 캐패시터(1050)의 캐패시턴스를 정하는 전제(criterion)들은 다양할 수 있다. 소스 공진기가 메타물질(metamaterial)의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전제(criterion), 소스 공진기가 대상 주파수에서 음의 투자율을 갖도록 하는 전제 또는 소스 공진기가 대상 주파수에서 영번째 공진(Zeroth-Order Resonance) 특성을 갖도록 하는 전제 등이 있을 수 있고, 상술한 전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제 아래에서 제1 캐패시터(1050)의 캐패시턴스가 정해질 수 있다.
MNG 공진기는 전파 상수(propagation constant)가 0일 때의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갖는 영번째 공진(Zeroth-Order Resonance) 특성을 가질 수 있다. MNG 공진기는 영번째 공진 특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공진 주파수는 MNG 공진기의 물리적인 사이즈에 대해 독립적일 수 있다. 즉,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MNG 공진기에서 공진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제1 캐패시터(1050)를 적절히 설계하는 것으로 충분하므로, MNG 공진기의 물리적인 사이즈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근접장(near field)에서 전계는 전송 선로에 삽입된 제1 캐패시터(1050)에 집중되므로, 제1 캐패시터(1050)로 인하여 근접 필드에서는 자기장(magnetic field)이 도미넌트(dominant)해진다. 그리고, MNG 공진기는 집중 소자의 제1 캐패시터(1050)를 이용하여 높은 큐-팩터(Q-Factor)를 가질 수 있으므로, 전력 전송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로, 큐-팩터는 무선 전력 전송에 있어서 저항 손실(ohmic loss)의 정도 또는 저항(resistance)에 대한 리액턴스의 비를 나타내는데, 큐--터가 클수록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이 큰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b)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MNG 공진기를 관통하는 마그네틱 코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네틱 코어는 전력 전송 거리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b)를 참조하면, 피딩부(1020)는 제2 전송선로, 제3 도체(1071), 제4 도체(1072), 제5 도체(1081) 및 제6 도체(10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송 선로는 상부에 제3 신호 도체 부분(1061) 및 제4 신호 도체 부분(1062)을 포함하고, 하부에 제2 그라운드 도체 부분(1063)을 포함한다. 제3 신호 도체 부분(1061) 및 제4 신호 도체 부분(1062)과 제2 그라운드 도체 부분(1063)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전류는 제3 신호 도체 부분(1061) 및 제4 신호 도체 부분(1062)을 통하여 흐른다.
또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신호 도체 부분(1061)의 한쪽 단은 제3 도체(1071)와 접지(short)되고, 다른 쪽 단은 제5 도체(1081)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4 신호 도체 부분(1062)의 한쪽 단은 제4 도체(1072)와 접지되며, 다른 쪽 단은 제6 도체 (1082)와 연결된다. 제5 도체(1081)는 제1 신호 도체 부분(1031)과 연결되고, 제6 도체 (1082)는 제2 신호 도체 부분(1032)과 연결된다. 제5 도체(1081)와 제6 도체(1082)는 제1 캐패시터(1050)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된다. 이때, 제5 도체(1081) 및 제6 도체(1082)는 RF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포트로 사용될 수 있다.
결국, 제3 신호 도체 부분(1061), 제4 신호 도체 부분(1062) 및 제2 그라운드 도체 부분(1063), 제3 도체(1071), 제4 도체(1072), 제5 도체(1081), 제6 도체(1082) 및 공진기(1010)는 서로 연결됨으로써, 공진기(1010) 및 피딩부(1020)는 전기적으로 닫혀 있는 루프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루프 구조'는 원형 구조,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구조 등을 모두 포함한다. 제5 도체(1081) 또는 제6 도체(1082)를 통하여 RF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 전류는 피딩부(1020) 및 공진기(1010)에 흐르게 되고, 입력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하여, 공진기(1010)에 유도 전류가 유도 된다. 피딩부(1020)에서 흐르는 입력 전류의 방향과 공진기(1010)에서 흐르는 유도 전류의 방향이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공진기(1010)의 중앙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강화되고, 공진기(1010)의 외곽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화된다.
공진기(1010)와 피딩부(1020) 사이 영역의 면적에 의해 입력 임피던스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전력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와 상기 입력 임피던스의 매칭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매칭 네트워크는 필요하지 않다. 매칭 네트워크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피딩부(1020)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입력 임피던스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매칭 네트워크의 구조는 단순해질 수 있다. 단순한 매칭 네트워크 구조는 매칭 네트워크의 매칭 손실을 최소화한다.
제2 전송 선로, 제3 도체(1071), 제4 도체(1072), 제5 도체(1081), 제6 도체(1082) 는 공진기(1010)와 동일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공진기(1010)가 루프 구조인 경우에는 피딩부(1020)도 루프 구조일 수 있다. 또한, 공진기(1010)가 원형 구조인 경우에는 피딩부(1020)도 원형 구조일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부의 피딩에 따른 공진기의 내부에서 자기장의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무선 전력 전송에서 피딩은, 소스 공진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에서 피딩은, 정류부에 AC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a)는 피딩부에서 흐르는 입력 전류의 방향 및 소스 공진기에서 유도되는 유도 전류의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a)는 피딩부의 입력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 및 소스 공진기의 유도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을 나타낸다. (a)는 도 11의 공진기(1110) 및 피딩부(1120)를 좀 더 간략하게 표현한 도면이다. (b)는 피딩부와 공진기의 등가회로를 나타낸다.
(a)를 참조하면, 피딩부의 제5 도체 또는 제6 도체는 입력 포트(1110)로 사용될 수 있다. 입력 포트(1110)는 RF 신호를 입력 받는다. RF 신호는 전력 증폭기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전력 증폭기는 타겟 디바이스의 필요에 따라 RF 신호의 진폭을 증감시킬 수 있다. 입력 포트(1110)에서 입력된 RF 신호는 피딩부에 흐르는 입력 전류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피딩부를 흐르는 입력 전류는 피딩부의 전송선로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흐른다. 그런데, 피딩부의 제5 도체는 공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5 도체는 공진기의 제1 신호 도체 부분과 연결된다. 따라서 입력 전류는 피딩부 뿐만 아니라 공진기에도 흐르게 된다. 공진기에서 입력 전류는 반시계 방향으로 흐른다. 공진기에 흐르는 입력 전류에 의하여 자기장이 발생하고, 상기 자기장에 의해 공진기에 유도 전류가 생성된다. 유도 전류는 공진기에서 시계방향으로 흐른다. 이때 유도 전류는 공진기의 캐패시터에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유도 전류에 의해 자기장이 발생한다. (a)에서 피딩부 및 공진기에 흐르는 입력 전류는 실선으로 표시되고, 공진기에 흐르는 유도 전류는 점선으로 표시되었다.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은 오른나사의 법칙을 통해 알 수 있다. 피딩부 내부에서, 피딩부에 흐르는 입력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의 방향(1121)과 공진기에 흐르는 유도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의 방향(1123)은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피딩부 내부에서 자기장의 세기가 강화된다.
또한, 피딩부와 공진기 사이의 영역에서, 피딩부에 흐르는 입력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의 방향(1133)과 소스 공진기에 흐르는 유도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의 방향(1131)은 서로 반대 위상이다. 따라서, 피딩부와 공진기 사이의 영역에서, 자기장의 세기는 약화된다.
루프 형태의 공진기에서는 일반적으로 공진기의 중심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하고, 공진기의 외곽부분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강하다. 그런데 (a)를 참조하면, 피딩부가 공진기의 캐패시터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공진기의 유도 전류의 방향과 피딩부의 입력 전류의 방향이 동일해 진다. 공진기의 유도 전류의 방향과 피딩부의 입력 전류의 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피딩부의 내부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강화되고, 피딩부의 외부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화된다. 결과적으로 루프 형태의 공진기의 중심에서는 피딩부로 인하여 자기장의 세기가 강화되고, 공진기의 외곽부분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공진기 내부에서는 전체적으로 자기장의 세기가 균일해질 수 있다.
한편, 소스 공진기에서 타겟 공진기로 전달되는 전력 전송의 효율은 소스 공진기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세기에 비례하므로, 소스 공진기의 중심에서 자기장의 세기가 강화됨에 따라 전력 전송 효율도 증가할 수 있다.
(b)를 참조하면, 피딩부(1140) 및 공진기(1150)는 등가회로로 표현될 수 있다. 피딩부(1140)에서 공진기 측을 바라볼 때 보이는 입력 임피던스 Zin은 다음의 수식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M은 피딩부(1140)와 공진기(1150) 사이의 상호 인덕턴스를 의미하고, ω 는 피딩부(1140)와 공진기(1150) 간의 공진 주파수를 의미하고, Z는 공진기(1150)에서 타겟 디바이스 측을 바라볼 때 보이는 임피던스를 의미한다. Zin은 상호 인덕턴스 M에 비례한다. 따라서, 피딩부(1140)와 공진기(1150) 사이에 상호 인덕턴스를 조절함으로써 Zin을 제어할 수 있다. 상호 인덕턴스 M은 피딩부(1140)와 공진기(1150) 사이 영역의 면적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피딩부(1140)의 크기에 따라 피딩부(1140)와 공진기(1150) 사이 영역의 면적이 조절될 수 있다. Zin은 피딩부(1140)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므로, 전력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와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매칭 네트워크가 필요하지 않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포함된 타겟 공진기 및 피딩부도 위와 같은 자기장의 분포를 가질 수 있다. 타겟 공진기는 소스 공진기로부터 마그네틱 커플링을 통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한다. 이때 수신되는 무선 전력을 통하여 타겟 공진기에서는 유도 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타겟 공진기에서 유도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은 피딩부에 다시 유도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a)의 구조와 같이 타겟 공진기와 피딩부가 연결되면, 타겟 공진기에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피딩부에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동일해진다. 따라서, 피딩부의 내부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강화되고, 피딩부와 타겟 공진기 사이의 영역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화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200)은 소스 시스템(1210), 소스 공진기(1220), 타겟 공진기(1230), 타겟 시스템(1240) 및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1250)을 포함한다.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200)은 도 1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즉,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200)은 소스 시스템(1210) 및 소스 공진기(1220)로 구성되는 소스를 포함한다. 또한,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200)은 타겟 공진기(1230) 및 타겟 시스템(1240)로 구성되는 타겟을 포함한다.
이때, 소스 시스템(1210)은 도 1의 소스(110)와 같이, Variable SMPS, Power Amplifier, 매칭 네트워크, 제어부 및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타겟 시스템(1240)은 도 1의 타겟(120)과 같이, 매칭 네트워크, 정류부, DC/DC 컨버터,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1250)는 타겟 시스템(1240)에 의해 충전 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200)은 수 KHz~수십 MHz의 공진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소스 시스템(1210)은 충전 차량의 종류, 배터리의 용량,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전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력을 타겟 시스템(124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소스 시스템(1210)은 소스 공진기(1220) 및 타겟 공진기(1230)의 정렬(alignment)를 맞추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시스템(1210)의 제어부는 소스 공진기(1220)와 타겟 공진기(1230)의 alignment가 맞지 않은 경우, 타겟 시스템(1240)으로 메시지를 전송하여 alignment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alignment가 맞지 않은 경우란, 타겟 공진기(1230)의 위치가 마그네틱 레조넌스(magnetic resonance)가 최대로 일어나기 위한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 일 수 있다. 즉, 차량이 정확하게 정차되지 않은 경우, 소스 시스템(1210)은 차량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소스 공진기(1220)와 타겟 공진기(1230)의 alignment가 맞도록 유도할 수 있다.
소스 시스템(1210)과 타겟 시스템(1240)은 통신을 통해, 차량의 식별자를 송수신할 수 있고, 각종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1에서 설명된 내용들은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200)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200)은 수 KHz~수십 MHz의 공진 주파수를 사용하고,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1250)를 충전하기 위해 수십 watt이상의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소스 공진기와 타겟 공진기 간의 상호 공진을 통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스 공진기와 상기 타겟 공진기가 상호 공진할 수 있는 주파수 구간을 스캐닝 하는 스캐닝 부; 및
    상기 스캐닝 부에서 스캐닝 한 상기 주파수 구간에서 검출된,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상호 공진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변경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부는
    상기 스캐닝 하는 상기 주파수 구간에서 주파수 별로 상기 소스 공진기를 통하여 전송된 전력 중, 상기 타겟 공진기에서 수신되지 않고 반사되는 반사전력을 검출하는 반사전력 검출부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캐닝 하는 상기 주파수 구간에서 주파수 별로 검출된, 상기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전력량이 최소인 경우의 해당 주파수로 상기 상호 공진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변경하는 공진 주파수 변경부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주파수 변경부는
    상기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전력량이 소정 레벨 이하의 값을 가지는 주파수 구간에 속한 주파수 중 하나로 상기 상호 공진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변경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는 포락선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포락선의 전압 레벨을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부
    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공진에 사용하기로 결정된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인 밴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소스 공진기를 통하여 상기 수신 디바이스가 통신하는데 필요한 웨이크 업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로드 모듈레이션(Load Modulation) 방식으로 변조되어 전송 된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부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9. 소스 공진기와 타겟 공진기 간의 상호 공진을 통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스 공진기와 상기 타겟 공진기 간의 결합 계수의 변경에 따라 변화하는 공진 주파수를 추적하여 공급 디바이스로부터 상호 공진에 사용하기로 결정된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상호 공진에 사용하기로 결정된 주파수로 공진 주파수를 변경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 공진기와 로드의 연결여부에 따라 반사전력량을 다르게 하는 로드 모듈레이션(Load Modulation) 방식으로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부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인 밴드 방식으로 상기 소스 공진기와 상기 타겟 공진기 간의 상호 공진을 통하여 상기 상호 공진에 사용하기로 결정된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12. 소스 공진기와 타겟 공진기 간의 상호 공진을 통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스 공진기와 상기 타겟 공진기가 상호 공진할 수 있는 주파수 구간을 스캐닝 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캐닝 한 상기 주파수 구간에서 검출된,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상호 공진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하는 단계는
    상기 스캐닝 하는 상기 주파수 구간에서 주파수 별로 상기 소스 공진기를 통하여 전송된 전력 중, 상기 타겟 공진기에서 수신되지 않고 반사되는 반사전력을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스캐닝 하는 상기 주파수 구간에서 주파수 별로 검출된, 상기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전력량이 최소인 경우의 해당 주파수로 상기 상호 공진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변경하는
    무선 전력 전송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전력량이 소정 레벨 이하의 값을 가지는 주파수 구간에 속한 주파수 중 하나로 상기 상호 공진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변경하는
    무선 전력 전송 방법.
KR1020120039689A 2012-04-17 2012-04-17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201301174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689A KR20130117405A (ko) 2012-04-17 2012-04-17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무선 전력 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689A KR20130117405A (ko) 2012-04-17 2012-04-17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무선 전력 수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405A true KR20130117405A (ko) 2013-10-28

Family

ID=49636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689A KR20130117405A (ko) 2012-04-17 2012-04-17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무선 전력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74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517A (ko) * 2017-11-24 2019-06-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전력을 분배하는 장치 및 방법
CN110266120A (zh) * 2019-07-25 2019-09-20 珠海英集芯半导体有限公司 一种改善无线充通信可靠性的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517A (ko) * 2017-11-24 2019-06-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전력을 분배하는 장치 및 방법
CN110266120A (zh) * 2019-07-25 2019-09-20 珠海英集芯半导体有限公司 一种改善无线充通信可靠性的方法
CN110266120B (zh) * 2019-07-25 2024-03-01 珠海英集芯半导体有限公司 一种改善无线充通信可靠性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009B1 (ko) 공진 주파수를 조정해서 커플링 효율을 높이는 무전전력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813264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947980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101813125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검출 파라미터에 기초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KR101809470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공진 주파수 트래킹 방법 및 장치
KR101817194B1 (ko)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1985820B1 (ko) 무선 전력을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880030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2개의 소스 공진기를 이용해서 자기장을 제어하는 소스 장치 및 방법
KR101947982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공진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82273B1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방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318742B1 (ko) 임피던스 매칭 조건을 고려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KR102122394B1 (ko) 효율적인 전력 분배를 위한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098647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멀티 타겟에 대한 임피던스 매칭 제어 방법 및 이를 채용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2042662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의 통신 전력 전송 방법 및 장치
US9837826B2 (en) Resonating apparatus with increased isolation for stabl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20140032631A (ko) 자기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통신 및 전력 제어 방법
KR20140008020A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무선 전력 릴레이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102122514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력 전송 유닛 및 전력 수신 유닛과 그 통신 방법
KR20150000028A (ko) 충전 환경 판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20120126333A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공진 임피던스 및 공진 주파수의 제어 방법
KR20140085727A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공진 장치 및 방법
KR20150010029A (ko) 커플링 영역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120071626A (ko) 인 밴드 통신을 이용한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KR102122382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의 인증 방법 및 장치
KR20140094737A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